KR101074235B1 - 각도 조절과 상하 길이 조절이 자유로운 척추보조기 - Google Patents

각도 조절과 상하 길이 조절이 자유로운 척추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4235B1
KR101074235B1 KR1020110024932A KR20110024932A KR101074235B1 KR 101074235 B1 KR101074235 B1 KR 101074235B1 KR 1020110024932 A KR1020110024932 A KR 1020110024932A KR 20110024932 A KR20110024932 A KR 20110024932A KR 101074235 B1 KR101074235 B1 KR 101074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joint
key
coupled
calibra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4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덕영
전성철
유동열
최우철
이정희
하병욱
Original Assignee
하병욱
재단법인 부산테크노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병욱, 재단법인 부산테크노파크 filed Critical 하병욱
Priority to KR1020110024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42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4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4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37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Abstract

본 발명은 척추를 지지하여 퇴행성 질환을 예방하거나 교정하기 위한 척추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착용자의 척추 질환의 정도나 교정 상태에 따라 흉추를 교정하기 위한 상부 교정판의 각도 조절과 상하 높이 조절이 용이하여 노약자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사용하기에 적합한 척추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요추부에 닿는 판상의 것으로서 상부 일면에 한 쌍의 슬라이딩 가이드(121)가 고정 부착되는 하부 교정판(120); 사용자의 흉추부에 닿는 판상의 것으로서 상기 하부 교정판보다 면적이 작고 상기 하부 교정판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교정판(110); 상단부가 상기 상부 교정판(110)에 고정되는 제1관절(161)과 상기 제1관절의 하단에 결합하는 것으로서 원판 형상의 회동구(132)의 외주면 상에 다수개의 키홈(132a)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회동체(130); 하단부가 상기 하부 교정판(120)의 슬라이딩 가이드(121)에 끼워지며 판면에 그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위치 조절공(165a)이 관통 형성되는 제2관절(165)과 상기 제2관절의 상단부에 결합하는 것으로서 상기 회동체에 회동축에 의하여 결합하여 상기 회동체를 회전지지하는 회동 지지체(140); 상기 회동 지지체(140)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가압구(152)의 눌림에 의하여 상면에 돌출 형성되는 키포크(151b)가 승강하여 상기 키홈에 결합 또는 결합 해제되는 잠금장치(150); 및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상에 상하로 탄성 운동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제2관절의 위치 조절공에 삽입 결합 또는 결합 해제됨으로써 제2관절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고정장치(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과 상하 길이 조절이 자유로운 척추보조기에 관하여 개시한다.

Description

각도 조절과 상하 길이 조절이 자유로운 척추보조기{Spine fixing device with an angle and a length control means}
본 발명은 척추를 지지하여 퇴행성 질환을 예방하거나 교정하기 위한 척추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착용자의 척추 질환의 정도나 교정 상태에 따라 흉추를 교정하기 위한 상부 교정판의 각도 조절과 상하 높이 조절이 용이하여 노약자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사용하기에 적합한 척추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척추보조기는 척추 수술환자나 퇴행성 척추 질환을 겪고 있는 환자 등의 척추 교정을 보조하기 위한 장치의 하나로서 크게 외과적 척추 질환 치료 후 척추를 고정하여 지지하기 위한 정형외과용 척추보조기와 고령자 및 가벼운 척추 변형 환자를 대상으로 가벼운 척추의 변형을 교정 및 지지하기 위한 재활 및 고령자용 척추보조기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척추보조기는 아직까지 외국의 수입산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국내외에 다양한 종류의 것들이 소개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14 내지 도15는 종래의 척추보조기의 외관 사시도인데, 전자는 등록특허 제1013298호 "각도조절부를 구비한 척추 측만증 보조기"에 개시된 것이고, 후자는 등록실용신안 제0362859호 "착탈식 허리 보호대"에 개시된 것이다.
상기 전자의 등록특허는 척추측만증 환자의 척추 만곡 각도에 따라 최상의 치료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척추측만증 보조기의 상부 지지부(101)와 중앙지지부(102) 간 및 하부지지부(103)과 중앙지지부 간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각도 조절부를 부착함으로써 다양한 교정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척추보조기의 구성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후자의 등록특허는 허리보호대와 받침대를 별도로 구비하여 상황에 따라 서로 부착하여 일체로 사용하거나 분리하여 허리보호대만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되, 받침대의 중간이 분리되게 하여 사용자의 신체 굴곡에 상관없이 밀착될 수 있도록 한 착탈식 허리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전자의 경우에는 척추측만증을 치료하기 위한 것으로서 좌우측 방향으로만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는 문제가 있으며 후자는 허리부의 요추는 보호가 가능하나 흉추부는 교정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각종 척추 질환에 대한 외과적 시술 외에 다양한 척추 질환 치료 보조기구가 등장하고 있는데, 인구의 고령화가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실에 비례하여 고령화에 따른 노인성 척추질환도 증가추세에 있다.
퇴행성 척추질환의 하나인 노인성 척추변형은 신체적인 불편과 노인의 사회적 활동을 제약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으며, 고령자층의 척추수술은 매년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척추질환을 앓는 고령자 수의 증가로 인하여 척추보조기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으나 대부분 고가의 수입품에 의존하고 있으며, 그 사용방법이 매우 복잡하여 노인이나 환자들이 사용하기에는 불편할 뿐 아니라 서구인의 체형에 맞게 디자인되어 있어 국내 사용자들의 신체조건에 맞지 않는 경우가 많다.
또한 현재의 척추보조기는 상체와 맞닿는 보형물의 사이즈 조절이 불가능하며 한 번 착용 후 교정의 상태나 진행경과에 따라서 척추보조기를 바꾸거나 다시 제작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사용자에게 시간과 비용의 2중 부담을 지우고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척추보조기의 주 사용자가 신체활동이 불편한 환자나 노인이라는 점을 감안하여 척추보조기의 지지대 부분의 전후 방향 각조 조절이나 상하 방향 높낮이 조절이 쉽고 편리한 구조의 척추보조기의 개발이 요청되었다.
등록특허 제1013298호 "각도조절부를 구비한 척추 측만증 보조기" 등록실용신안 제0362859호 "착탈식 허리 보호대" 등록실용신안 제0249325호 "척추보조기" 등록실용신안 제0323715호 "개방형 척추 측만증 보조기"
본 발명은 척추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나 노인성 척추질환을 앓고 있는 고령자의 척추 치료와 교정을 보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의 척추보조기와 달리 흉추부를 지지하는 교정판의 전후 방향 각도조절이 가능하고 흉추부와 요추부를 지지하는 각각의 교정판 간의 상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척추보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흉추부 지지구조의 각도 조절과 상하 높이 조절이 원터치 방식으로 손쉽게 수행될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함으로써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고령자들이 사용하기에 매우 편리한 구조의 척추보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의 달성의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요추부에 닿는 판상의 것으로서 상부 일면에 한 쌍의 슬라이딩 가이드(121)가 고정 부착되는 하부 교정판(120); 사용자의 흉추부에 닿는 판상의 것으로서 상기 하부 교정판보다 면적이 작고 상기 하부 교정판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교정판(110); 상단부가 상기 상부 교정판(110)에 고정되는 제1관절(161)과 상기 제1관절의 하단에 결합하는 것으로서 회동구(132)의 외주면 상에 다수개의 키홈(132a)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회동체(130); 하단부가 상기 하부 교정판(120)의 슬라이딩 가이드(121)에 끼워지며 판면에 그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위치 조절공(165a)이 관통 형성되는 제2관절(165)과 상기 제2관절의 상단부에 결합하는 것으로서 상기 회동체에 회동축에 의하여 결합하여 상기 회동체를 회전지지하는 회동 지지체(140); 상기 회동 지지체(140)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가압구(152)의 눌림에 의하여 상면에 돌출 형성되는 키포크(151b)가 승강하여 상기 키홈에 결합 또는 결합 해제되는 잠금장치(150); 및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상에 상하로 탄성 운동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제2관절의 위치 조절공에 삽입 결합 또는 결합 해제됨으로써 제2관절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고정장치(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과 상하 길이 조절이 자유로운 척추보조기를 제안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 교정판(110)의 외면에는 하부에 개방부(313)가 마련되고 상부에 어깨끈 통과부(314)가 마련되는 상부 커버(310)가 결합하고, 상기 하부 교정판(120)의 외면에는 하부에 개방부(323)가 마련되고 상부에 관절 통과부(327)가 마련되는 하부 커버(320)가 결합한다.
또한, 상기 하부 커버(320)의 외측면에는 내외면에 벨크로(205,206)가 형성되는 좌·우측 허리밴드(210,220)와, 상기 좌·우측 허리밴드를 연결하는 연결밴드(230)와, 상기 연결밴드에 고정 부착되는 다수개의 당김줄 지지구(234)에 연결되는 당김줄(235)과, 상기 당김줄의 일측 선단에 형성되어 좌측 또는 우측 허리밴드의 벨크로에 부착되는 당김줄 고정구(236)로 이루어지는 허리밴드부(200)가 결합한다.
한편, 상기 잠금장치(150)는 블록 형상의 하우징 몸체(154a)의 일면 중앙부에 상하 방향으로 키 수용홈(154b)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측면에 스프링 수용홈(154d)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키 하우징(154)과, 상기 키 수용홈에 수용되어 상하로 슬라이딩 하는 키 몸체(151a)의 상단에 다수개의 키포크(151b)가 돌출 형성되고 노출면 일측에 슬라이딩 돌기(151c)가 형성되는 키(151)와, 수평방향에 대하여 사선방향의 슬라이드공(152b)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돌기와 결합하는 전면판(152a)과 상기 전면판에 수직하게 결합하며 내측면에 스프링 지지돌기(152d)가 형성되는 측판(152c)으로 이루어지는 가압구(152)와, 일단이 키 하우징의 스프링 수용홈에 수용되고 타단은 상기 스프링 지지돌기에 결합하는 스프링(153)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장치(170)는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의 내측에 매설되는 내측 부쉬(172)와, 상기 내측부쉬의 내측에 결합하는 외측 커버(173)와, 상기 외측 커버의 내주면에 장착되는 스프링(174)과, 상기 스프링의 내경에 삽입되는 봉 형상의 것으로서 외주면에 스프링 걸림판(171c)이 형성되고 상단에 머리부(171a)가 형성되는 고정버튼(171)으로 구성되어 고정버튼의 탄성력에 의한 상하 이동에 의하여 하방의 제2관절(165)의 위치 조절공(165a)에 결합 또는 결합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척추 보조기가 요추부를 지지하기 위한 하부 교정판과 흉추부를 지지하기 위한 상부 교정판으로 2분할하여 구성되되, 사용자의 척추 교정 정도와 상태에 따라서 상부 교정판의 전후 각도 조절이 가능하므로 척추보조기를 다시 제작해야하는 경우에 비하여 시간 및 비용면에서 경제적이다.
또한, 사용자의 신체치수에 맞도록 상부 교정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척추보조기가 신체에 맞지않아 교정 효과가 저하되고 사용자의 거동에 불편을 주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척추보조기가 사용자의 신체치수에 정확히 밀착하게 함으로써 척추 교정의 효과를 향상시키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척추보조기의 상부 교정판의 각도 조절과 높낮이 조절을 적은 힘과 간결한 동작으로 한 번에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고령자가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척추보조기의 전방측 착용 상태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척추보조기의 후방측 착용 상태도.
도3은 본 발명의 상·하부 교정판 구조의 골격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회동체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5는 본 발명의 회동 지지체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잠금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키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
도8는 본 발명의 가압구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및 평면도.
도9은 본 발명의 키 하우징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측면도 및 저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고정장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11은 본 발명의 하부 커버 및 상부커버의 정면도.
도12는 본 발명의 허리밴드부의 정면도.
도13은 본 발명의 허리밴드부의 이면도.
도14 내지 도15는 종래의 척추보조기의 외관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작동원리에 관하여 상술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척추보조기의 전방측 착용 상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척추보조기의 후방측 착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척추보조기는 크게 사용자의 요추부를 감싸는 허리밴드부(200), 사용자의 흉추부와 요추부를 고정 지지하기 위한 척추보조기 골격계(100), 상기 척추보조기 골격계(100)의 외피가 되는 커버(300) 및 상기 커버(300)에 연결되는 어깨끈(400)으로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의 요지라고 할 수 있는 척추보조기 골격계(100)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상·하부 교정판 구조의 골격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척추보조기 골격계(100)는 기본적으로 사용자의 흉추부를 지지 고정하기 위한 상부 교정판(110), 요추부를 지지 고정하기 위한 하부 교정판(120), 상기 상·하부 교정판(110,120)을 연결하는 제1 및 제2관절(161,165), 상기 제1관절(161) 및 제2관절(165)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회동구(132), 회동 지지구(142) 및 잠금장치(150), 상기 제2관절(165)의 길이를 조정하기 위한 슬라이딩 가이드(121)와 고정장치(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 교정판(110)과 하부 교정판(120)은 일정한 강도와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나 플라스틱재로 형성되는데, 교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thermoplastic)를 사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교정판(110)은 크기는 하부 교정판(120)보다는 작게 형성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도3에서 보이는대로 전방과 후방을 정의하기로 한다. 즉, 도면에서 보이는 방향을 전방이라고 하고, 그 배면 또는 이면을 후방이라고 정의한다.
상기 상·하부 교정판(110,120)은 제1관절(161)과 제2관절(165)에 의하여 연결된다. 상기 제1관절(161)과 제2관절(165)은 금속 또는 경질의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얇은 막대 형상으로 형성한 것으로서 제1관절(161)은 상부 교정판(110)에 결합하고 제2관절(165)은 하부 교정판(120)에 결합한다.
즉, 상기 제1관절(110)의 상단부는 상부 교정판(110)의 판면에 볼트나 나사 등에 의하여 고정 체결되며, 상기 제2관절(165)의 하단부는 하부 교정판(120) 상의 슬라이딩 가이드(121)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한다.
상기 제1관절(161)의 하단에는 회동체(130)가 볼트나 나사 등에 의하여 고정 결합하거나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회동체(130)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면에 체결공(131a)이 형성되는 연결구(131)와 상기 연결구(131)의 하단에 연장 형성되는 원판 또는 원기둥 형상의 회동구(132)로 이루어진다. 도4의 (a)는 정면도이고 (b)는 좌측면도이다.
상기 체결공(131a)은 제1관절(161)과의 볼트나 나사 체결을 위한 것이고, 상기 회동구(132)는 후술할 잠금장치(150)와의 상대적인 위치 조절로 인하여 제1관절(161)의 전후 방향 각도 조절을 위한 것이다.
상기 회동구(132)는 원판 또는 원기둥 형상의 판면의 중앙부에 회동축(미도시)이 결합하기 위한 회동축공(133)이 형성되고, 원주단 일부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키홈(132a)이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키홈(132a)에는 후술할 키(151)의 키포크(151b)가 삽입하여 결합한다.
상기 제2관절(165)의 상단에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은 회동 지지체(140)가 볼트나 나사 등에 의하여 고정된다. 상기 회동 지지체(140)는 상기 회동체(130)가 일정한 각도로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 및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서 한 쌍의 회동 지지구(142a,142b), 상기 회동 지지구(142)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잠금장치 장착구(144) 및 상기 잠금장치 장착구(144)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결구(141)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구(141)는 제2관절(165)의 상단부에 볼트나 나사로 체결되는 부분으로서 판면에 다수개의 체결공(141a)을 가진다. 상기 한 쌍의 마주하는 회동 지지구(142a,142b)의 사이 공간에는 전술한 회동구(132)가 삽입되며, 양자는 회동축(미도시)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도면에서 미설명부호 143은 회동 지지구(142)에 형성되는 회동축공을 나타낸다.
상기 잠금장치 장착구(144)는 후술할 도6의 잠금장치를 부착하기 위한 부위로서 잠금장치(150)와의 볼트나 나사 결합을 위하여 다수개의 체결공(144b)이 판면에 형성되며, 전면의 중앙부에는 좌우로 연장되는 전면판 수용홈(144a)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전면판 수용홈(144a)은 후술할 잠금장치(150)의 가압구(152)의 전면판(152a)이 수용되어 좌우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한다. 도5의 (a)는 정면을 나타낸 것이고, (b)는 우측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잠금장치의 외관 사시도인데, 잠금장치(150)는 크게 키 하우징(154), 상기 키 하우징(154) 내부에서 상하로 슬라이딩하는 키(151), 사용자의 누름에 의하여 상기 키(151)를 승강시키는 가압구(152) 및 상기 가압구(152)와 키 하우징(154) 사이에 탄성 게재되는 스프링(153)으로 이루어진다.
도7은 본 발명의 키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인데, 상기 키(151)는 사각 입체 형상의 키몸체(151a)의 상단에 다수개의 포크 형상의 키포크(151b)이 형성되며, 키몸체(151a)의 측면에 봉형상의 작은 슬라이딩 돌기(151c)가 형성된다. 상기 키포크(151b)는 뾰족한 팁이 다수개 이격하여 형성된 것으로서 키(151)의 승강 작동에 의하여 상기 키홈(132a)에 삽입 또는 분리됨으로써 상부 교정판(110)의 각도를 변화 및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8는 본 발명의 가압구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및 평면도인데, 가압구(152)는 수평면에 대하여 사선방향으로 슬라이드공(152b)이 형성되는 전면판(152a)과 상기 전면판에 수직하게 결합하는 것으로서 내측면에 스프링 지지돌기(152d)가 돌출 형성되는 측판(152c)으로 이루어진다.
도9은 본 발명의 키 하우징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측면도 및 저면도이다. 키 하우징(154)은 블록 형상인 하우징 몸체(154a)의 전면 중앙부에 상하방향으로 오목하게 키 수용홈(154b)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판면에는 다수개의 체결공(154c)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스프링 수용홈(154d)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 수용홈(154d)에는 스프링(도6의 153)의 일단이 삽입되어 수용되며, 스프링(153)의 타단은 상기 가압구(152)의 스프링 지지돌기(152d)에 의하여 지지된다.
이상의 구조를 가지는 잠금장치(150)는 상기 회동체(130)의 하방에 위치하여 키(151)와 키홈(132a)의 결합 또는 해제에 의하여 상부 교정판(110)과 제1관절(161)의 각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즉, 상부 교정판(110)의 각도를 조절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가압구(152)를 눌러 키(151)를 하강시켜 키포크(151b)를 키홈(132a)에서 분리하고 원하는 각도로 상부 교정판(110)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가압구(152)를 놓으면 키(151)가 상승하면서 키포크(151b)가 다시 회전한 키홈(132a)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도10은 본 발명의 고정장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제2관절(165)은 도3과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교정판(120)에 고정되는 슬라이딩 가이드(121)의 내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하는데 제2관절(165)의 판면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위치 조절공(165a)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121)의 상면에는 내측부쉬(172), 외측커버(173) 및 고정버튼(171) 그룹이 결합한다. 상기 내측부쉬(172)는 상면이 개방되고 저면 중앙부가 관통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외측커버(173)는 상면 중앙이 관통되고 저면이 개방되는 것으로서 외주면에는 상기 내측부쉬(172)의 내주면에 나사 결합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버튼(171)은 봉 형상의 몸체부(171b)의 상단에 손으로 누르기 위한 머리부(171a)가 형성되고, 몸체부(171b)의 외주면에 스프링 걸림판(171c)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171b)는 외측커버(173) 및 내측부쉬(172)를 차례로 위에서 아래 통과하여 최종적으로 제2관절(165)의 위치 조절공(165a)에 결합한다. 상기 스프링 걸림판(171c)과 외측커버(173)의 내측면 사이에는 탄성 스프링(174)이 게재되어 고정버튼(171)을 탄성지지한다.
고정장치(170)를 이용하여 상부 교정판(110)의 높낮이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 고정버튼(171)을 위로 살짝 들어올려 유지한 상태에서 제2관절(165)을 적절한 위치로 승강시킨 후 고정버튼(171)을 놓으면 고정버튼(171)이 스프링(174)의 탄성회복력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변화된 위치 조절공(165a)에 삽입되어 위치 고정된다.
도11은 본 발명의 하부 커버 및 상부커버의 정면도이다. 상부 교정판(110)과 하부 교정판(120)은 섬유나 수지 재질의 커버(300)에 의하여 외관이 마감된다. 도11의 (a)는 하부 교정판(120)을 덮기 위한 하부 커버(320)를 나타낸 것이고, (b)는 상부 교정판(110)을 덮기 위한 상부 커버(310)를 나타낸 것이다.
상부 커버(310)는 합성수지나 섬유재의 외피(311)의 하방에 개방부(313)가 형성되어 상부 교정판(110)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하며, 상부에는 어깨끈(400)이 통과하기 위한 어깨끈 통과부(314)가 형성된다. 상기 외피(311)의 내부에는 착용자의 흉추부를 보호하기 위한 쿠션재질의 내피(312)가 부착될 수 있다.
하부 커버(320)는 역시 합성수지나 섬유재의 외피(321)의 하방에 하부 교정판(120)을 수용하기 위한 입구인 개방부(323)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제2관절(165)이 통과하기 위한 관절 통과부(327)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 커버(320)의 전방면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벨크로(325)가 형성되어 여기에 후술할 허리밴드부(200)의 벨크로(231)가 부착된다. 상기 하부 커버(320)의 개방부(323)는 열고 닫기가 간편하도록 지퍼(324)와 같은 밀봉수단을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 미설명부호 326은 어깨끈 결합구를 나타낸다.
도12는 본 발명의 허리밴드부의 정면도이고, 도13은 본 발명의 허리밴드부의 이면도이다.
허리밴드부(200)는 전술한 하부 커버(320)의 외측면에 부착하여 요추부를 감싸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크게 분리된 우측 허리밴드(210)와 좌측 허리밴드(220) 및 이 둘을 연결하는 연결밴드(230)로 구성된다.
상기 좌·우측 허리밴드(210,220)의 표면과 이면에는 벨크로(205,206)가 형성되어 허리에 감싼 후 상호 간을 교차시켜 벨크로로 접합하여 고정한다.
상기 좌·우측 허리밴드(210,220)는 중앙의 연결밴드부(230)에 의하여 연결되는데, 상기 연결밴드(230)는 분리된 좌우측 편이 당김줄(235)에 의하여 연결된다. 즉, 좌우측 편으로 분리된 연결밴드부(230) 각각에는 다수개의 당김줄 지지구(234)가 상하로 일렬 배치되어 있으며 당김줄(235)이 각각의 당김줄 지지구(234)를 거쳐 당김줄 고정구(236)에 연결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당김줄 고정구(236)를 들고 팔을 뻗어 당기면 당김줄(235)이 수축되어 좌우측 편으로 분리된 연결밴드부(230)가 당겨져 거리가 좁혀지게 된다. 이와 같이 당김줄(235)에 의하여 연결밴드부(230)의 좌우폭을 조절함으로써 착용자는 척추보조기의 허리밴드부(200)를 더욱 몸에 맞게 최적화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당김줄 고정구(236)의 이면에는 벨크로(미도시)가 형성되어 좌측 또는 우측 허리밴드(210,220)의 벨크로(205)에 부착하여 고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당김줄(235)이나 당김줄 지지구(234) 및 고정구(236)의 결합구조로는 공지의 다양한 대체수단을 채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에서 벗어나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척추 질환 환자나 고령자의 노인성 척추질환을 예방 또는 교정 치료하기 위한 척추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흉추부 교정판과 요추부 교정판의 각도 조절과 높낮이 조절이 가능할 뿐 아니라 그 조절 방법이 신속하고 매우 편리하여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고령자들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된 척추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척추보조기는 고가의 수입품을 대체할 수 있으며, 조작이 매우 편리하므로 특히 노인성 척추질환을 앓고 있는 고령자들에게 널리 보급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100: 척추보조기 골격계 110: 상부 교정판
120: 하부 교정판 121: 슬라이딩 가이드
130: 회동체 131: 연결구
132: 회동구 132a: 키홈
133: 회동축공 140: 회동 지지체
141: 연결구 142: 회동 지지구
143: 회동축공 144: 잠금장치 장착구
144a: 전면판 수용홈 150: 잠금장치
151: 키 151a: 키몸체
151b: 키포크 151c: 슬라이딩 돌기
152: 가압구 152a: 전면판
152b: 슬라이드공 152c: 측판
152d: 스프링 지지돌기 153: 스프링
154: 키 하우징 154a: 하우징 본체
154b: 키 수용홈 154d: 스프링 수용홈
161: 제1관절 165: 제2관절
165a: 위치 조절공 170: 고정장치
171: 고정버튼 172: 내측 부쉬
173: 외측 커버 174: 스프링
200: 허리 밴드부 205,206: 벨크로
210, 220: 허리밴드 230: 연결밴드
231: 벨크로 235: 당김줄
236: 당김줄 고정구 300: 커버
310: 상부 커버 311: 외피
312: 내피 313: 개방부
314: 어깨끈 통과부 320: 하부 커버
321: 외피 322: 내피
323: 개방부 324: 밀봉수단
325: 벨크로 326: 어깨끈 결합구
327: 관절 통과부 400: 어깨끈

Claims (5)

  1. 사용자의 요추부에 닿는 판상의 것으로서 상부 일면에 한 쌍의 슬라이딩 가이드(121)가 고정 부착되는 하부 교정판(120);
    사용자의 흉추부에 닿는 판상의 것으로서 상기 하부 교정판보다 면적이 작고 상기 하부 교정판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교정판(110);
    상단부가 상기 상부 교정판(110)에 고정되는 제1관절(161)과 상기 제1관절의 하단에 결합하는 것으로서 회동구(132)의 외주면 상에 다수개의 키홈(132a)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회동체(130);
    하단부가 상기 하부 교정판(120)의 슬라이딩 가이드(121)에 끼워지며 판면에 그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위치 조절공(165a)이 관통 형성되는 제2관절(165)과 상기 제2관절의 상단부에 결합하는 것으로서 상기 회동체에 회동축에 의하여 결합하여 상기 회동체를 회전지지하는 회동 지지체(140);
    상기 회동 지지체(140)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가압구(152)의 눌림에 의하여 상면에 돌출 형성되는 키포크(151b)가 승강하여 상기 키홈에 결합 또는 결합 해제되는 잠금장치(150); 및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상에 상하로 탄성 운동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제2관절의 위치 조절공에 삽입 결합 또는 결합 해제됨으로써 제2관절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고정장치(17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과 상하 길이 조절이 자유로운 척추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교정판(110)의 외면에는 하부에 개방부(313)가 마련되고 상부에 어깨끈 통과부(314)가 마련되는 상부 커버(310)가 결합하고, 상기 하부 교정판(120)의 외면에는 하부에 개방부(323)가 마련되고 상부에 관절 통과부(327)가 마련되는 하부 커버(320)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과 상하 길이 조절이 자유로운 척추보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버(320)의 외측면에는
    내외면에 벨크로(205,206)가 형성되는 좌·우측 허리밴드(210,220)와, 상기 좌·우측 허리밴드를 연결하는 연결밴드(230)와, 상기 연결밴드에 고정 부착되는 다수개의 당김줄 지지구(234)에 연결되는 당김줄(235)과, 상기 당김줄의 일측 선단에 형성되어 좌측 또는 우측 허리밴드의 벨크로에 부착되는 당김줄 고정구(236)로 이루어지는 허리밴드부(200)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과 상하 길이 조절이 자유로운 척추보조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150)는
    블록 형상의 하우징 몸체(154a)의 일면 중앙부에 상하 방향으로 키 수용홈(154b)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측면에 스프링 수용홈(154d)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키 하우징(154)과, 상기 키 수용홈에 수용되어 상하로 슬라이딩 하는 키 몸체(151a)의 상단에 다수개의 키포크(151b)가 돌출 형성되고 노출면 일측에 슬라이딩 돌기(151c)가 형성되는 키(151)와, 수평방향에 대하여 사선방향의 슬라이드공(152b)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돌기와 결합하는 전면판(152a)과 상기 전면판에 수직하게 결합하며 내측면에 스프링 지지돌기(152d)가 형성되는 측판(152c)으로 이루어지는 가압구(152)와, 일단이 키 하우징의 스프링 수용홈에 수용되고 타단은 상기 스프링 지지돌기에 결합하는 스프링(153)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과 상하 길이 조절이 자유로운 척추보조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170)는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의 내측에 매설되는 내측 부쉬(172)와, 상기 내측부쉬의 내측에 결합하는 외측 커버(173)와, 상기 외측 커버의 내주면에 장착되는 스프링(174)과, 상기 스프링의 내경에 삽입되는 봉 형상의 것으로서 외주면에 스프링 걸림판(171c)이 형성되고 상단에 머리부(171a)가 형성되는 고정버튼(171)으로 구성되어 고정버튼의 탄성력에 의한 상하 이동에 의하여 하방의 제2관절(165)의 위치 조절공(165a)에 결합 또는 결합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과 위치 조절이 자유로운 척추보조기.
KR1020110024932A 2011-03-21 2011-03-21 각도 조절과 상하 길이 조절이 자유로운 척추보조기 KR101074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4932A KR101074235B1 (ko) 2011-03-21 2011-03-21 각도 조절과 상하 길이 조절이 자유로운 척추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4932A KR101074235B1 (ko) 2011-03-21 2011-03-21 각도 조절과 상하 길이 조절이 자유로운 척추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4235B1 true KR101074235B1 (ko) 2011-10-14

Family

ID=45032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4932A KR101074235B1 (ko) 2011-03-21 2011-03-21 각도 조절과 상하 길이 조절이 자유로운 척추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423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522B1 (ko) 2012-06-28 2014-07-31 하병욱 척추보조기
WO2018097613A1 (ko) * 2016-11-28 2018-05-31 박동관 탄성체를 이용한 인체 굴 신 보조장치
KR101854541B1 (ko) * 2016-11-28 2018-06-08 박동관 탄성체의 반발력을 이용한 인체허리의 굴 신 보조 장치
KR20180001799U (ko) * 2016-12-08 2018-06-18 김봉수 신체 보호장치
CN109864843A (zh) * 2019-04-01 2019-06-11 吕夫德 腰双侧可调弹性支撑式护腰装置
KR20200077094A (ko) * 2018-12-20 2020-06-30 밸류앤드트러스트(주)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3098Y1 (ko) * 2006-09-28 2006-12-07 강욱 허리보호대
US7785282B2 (en) 2004-10-08 2010-08-31 Isabelle E Rauch Spinal orthosi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85282B2 (en) 2004-10-08 2010-08-31 Isabelle E Rauch Spinal orthosis
KR200433098Y1 (ko) * 2006-09-28 2006-12-07 강욱 허리보호대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522B1 (ko) 2012-06-28 2014-07-31 하병욱 척추보조기
WO2018097613A1 (ko) * 2016-11-28 2018-05-31 박동관 탄성체를 이용한 인체 굴 신 보조장치
KR101854541B1 (ko) * 2016-11-28 2018-06-08 박동관 탄성체의 반발력을 이용한 인체허리의 굴 신 보조 장치
CN109862854A (zh) * 2016-11-28 2019-06-07 朴东宽 利用弹性体辅助人体弯曲/伸展的装置
JP2020503183A (ja) * 2016-11-28 2020-01-30 パク、ドングァンPark, Donggwan 弾性体を用いた人体屈伸補助装置
US11141304B1 (en) 2016-11-28 2021-10-12 Donggwan PARK Device for assisting human body bending/stretching using elastic body
KR20180001799U (ko) * 2016-12-08 2018-06-18 김봉수 신체 보호장치
KR200487442Y1 (ko) 2016-12-08 2018-09-18 김봉수 신체 보호장치
KR20200077094A (ko) * 2018-12-20 2020-06-30 밸류앤드트러스트(주)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KR102236018B1 (ko) 2018-12-20 2021-04-05 밸류앤드트러스트(주)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CN109864843A (zh) * 2019-04-01 2019-06-11 吕夫德 腰双侧可调弹性支撑式护腰装置
CN109864843B (zh) * 2019-04-01 2024-02-06 吕夫德 腰双侧可调弹性支撑式护腰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4235B1 (ko) 각도 조절과 상하 길이 조절이 자유로운 척추보조기
EP2693993B1 (en) Adjustable brace apparatus
KR101095633B1 (ko) 척추 교정기
TWI617301B (zh) Spinal correction aid
KR102030379B1 (ko) 경추 교정기
EP2457544B1 (en) Improved hyperextension orthopaedic corset
KR20130086672A (ko) 자동 안마장치
US9561395B2 (en) Ankle strengthening exercise device
KR101488669B1 (ko) 허리지지대 구조
KR101104394B1 (ko) 허리와 목을 견인하고 동시에 골반을 교정하는 치료기
KR102322350B1 (ko)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KR200457098Y1 (ko) 다리 교정장치
CN108392376B (zh) 一种颈椎康复治疗仪
KR101955369B1 (ko) 기능성 골반교정기기
KR20200077094A (ko)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CN209966688U (zh) 一种脊柱侧弯矫正装置
KR200383241Y1 (ko) 자세 교정 보조구
KR200353892Y1 (ko) 교정벨트
CN108542710B (zh) 一种颈椎康复治疗仪
JP3173281U (ja) 脊椎矯正背もたれ
KR200406497Y1 (ko) 자세교정구
KR20100015101A (ko) 자세 교정 보조기
KR101062115B1 (ko) 척추 교정 운동 장치
US20120289874A1 (en) Spinal Posture Brace
KR200318281Y1 (ko) 자세교정용 벨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