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6018B1 -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 Google Patents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6018B1
KR102236018B1 KR1020180166276A KR20180166276A KR102236018B1 KR 102236018 B1 KR102236018 B1 KR 102236018B1 KR 1020180166276 A KR1020180166276 A KR 1020180166276A KR 20180166276 A KR20180166276 A KR 20180166276A KR 102236018 B1 KR102236018 B1 KR 102236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p
panel
fixing
unit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6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7094A (ko
Inventor
노경석
조현용
송지혜
Original Assignee
밸류앤드트러스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밸류앤드트러스트(주) filed Critical 밸류앤드트러스트(주)
Priority to KR1020180166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6018B1/ko
Publication of KR20200077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7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6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6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4Orthopaedic corsets having pressure pads connected in a frame for reduction or correction of the curvature of the s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6Back straightening devices with shoulder braces to force back the shoulder to obtain a correct curvature of the s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pads
    • A61F5/32Adjustable pressure p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교정환자의 상반신에 착용되는 아웃웨어; 상기 아웃웨어 외측면에 둘러지도록 구비되되, 상기 아웃웨어의 특정 부위에 착탈되는 다수의 압박 밴드부; 상기 아웃웨어에 배치되되, 교정 대상인 신체 부위를 압박하도록 배치된 험프 압박부; 및 상기 아웃웨어에 고정되되, 상기 험프 압박부와 연결되어 상기 신체 부위를 압박 또는 해제하는 압박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험프 압박부는, 임의의 일축을 공유하면서 타단이 일단에 대하여 각도 조절됨으로써, 착용이 용이함은 물론, 척추측만증 환자의 척추 만곡 진행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A WEARING TYPE CORRECTING APPARATUS FOR HUMAN BODY}
본 발명은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압박 착용에 어려움을 겪는 척추측만증 환자가 교정 의복 착용 후 간편하게 압박 및 해제 작동시키도록 함과 아울러, 교정 의복 착용 후 밴드의 신축 조절 및 신체 특정 부위의 증상별 압박이 용이한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척추(脊椎, spine)는 사람에게서 목과 등, 허리, 엉덩이, 꼬리뼈 부분에 이르기까지 주요 골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뼈를 말한다. 구체적으로 척추는 7개의 목뼈(경추), 12개의 가슴뼈(흉추), 5개의 허리뼈(요추), 5개의 엉치뼈(천추), 4개의 꼬리뼈(미추)로 구분된다.
한편, 척추 안에는 뇌에서 나온 신경다발로 척수(脊髓, spinal cord)가 존재하며, 이는 중추신경계인 뇌와 말초 신경계인 말초기관들을 잇는 역할을 한다. 위와 같이 척추는 신체의 매우 주요한 부위로써 척추 질환을 앓는 경우 생활에 많은 어려움을 주고 있다.
대표적인 척추 질환으로는 경추척추사이원반탈출증, 척추측만증, 요통증후군 및 척추사이원반 탈출증 등이 있다.
특히, 척추측만증(scoliosis)은 대표적인 척추 변형의 하나로 사람의 척추에는 '휘어져 있는 상태' 또는 '굽은 상태'를 뜻하는 '만곡'(curve)이 있는데 척추의 만곡은 정상인에게 나타나는 정상적인 만곡과 정상인에서는 볼 수 없는 비정상적인 만곡이 있다.
이와 같은 척추측만증은 전체 척추측만증 환자의 절반가량이 10대 청소년일 정도로 성장기에 많이 발생하고 있다.
측만의 정도에 따라 다른 조치를 취해야 하나, 병증을 인지하지 못하거나 단순 관찰조치만 취하는 경우가 많아서 악화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척추측만증의 치료의 목적은 경도의 만곡이 더 이상 진행되지 않도록 하고, 중증도 이상의 만곡은 기형을 교정하고 그 교정을 유지시켜 신체의 균형을 얻어 기능 및 미용을 호전시키는 것이다.
척추측만증을 조기에 발견한 경우 적절한 보조기 착용 등의 보존적인 방법으로도 심한 만곡으로의 진행을 막을 수 있다.
그러나, 종래 보조기구는 척추측만증 환자의 변형 정도에 따라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특히 청소년의 경우 성장이 계속되고 있어 그 과정에서 효과적으로 척추교정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 나아가, 불편한 보조기구를 사용하는 환자에게 보조기구 사용에 따른 충분한 동기를 부여하지 못해 보조기구의 사용을 쉽게 포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위와 같은 기술분야의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10709731호 '척추보조기'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척추 만곡 등과 같은 척추질환에 대하여 척추 교정과 회복을 위하여 환자가 착용하는 척추 보조기에 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종래의 척추보조기에 구성된 등판의 경우 그 형상이 고정되어 있어 시간이 경과함에 따른 환자의 척추 상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길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하고 내/외피가 기능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등판부와, 등판부에 탈/부착되고 간단한 조작으로 조임이 가능하도록 당김줄 고정구가 구성된 허리밴드부가 구성되는 것으로 등판의 길이조절 및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등판을 상부 및 하부로 이분화시킨 후 각각을 길이조절과 각도 조절이 가능한 연결부재로 연결 구성함으로써 환자의 등에 최적화된 길이 및 각도를 가지도록 등판을 조작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교정환자 스스로 당김줄 조정구를 이용한 조정이 매우 어려운 구조를 가지는 바, 척추 보조기의 사용 시 필수적으로 제3자에게 도움을 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종래기술은, 신체 변형에 대응하여 각도가 조절되도록 구비되나, 척추측만증의 결과로 신체 외부로 돌출된 부분인 소위 '험프' 부위를 직접 압박하기 위한 각도 조절은 아닌 점에서 각각 상이한 험프의 돌출량에 대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1070973호(2011.09.29.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척추측만증 환자에 대한 척추교정시술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척추측만증을 앓고 있는 교정 환자의 험프 위치 및 돌출량에 매칭되어 적절한 압박을 가하여 교정 시간을 단축하거나 교정율이 향상될 수 있는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는, 교정환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아웃웨어, 상기 아웃웨어에 배치되되, 교정 대상인 신체 부위를 압박하도록 배치된 험프 압박부 및 상기 아웃웨어에 고정되되, 상기 험프 압박부와 연결되어 상기 신체 부위를 압박 또는 해제하는 압박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험프 압박부는, 임의의 일축을 공유하면서 타단이 일단에 대하여 각도 조절된다.
또한, 상기 험프 압박부는, 상기 아웃웨어에 고정되는 험프 고정 패널부와, 상기 험프 고정 패널부의 일측에 상기 임의의 일축을 기준으로 각도 조절된 후 상기 험프 고정 패널부에 대한 특정 각도에서 고정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신체 부위를 압박하는 험프 압박 패널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험프 고정 패널부는, 상기 아웃웨어의 내측에 고정되는 이너 고정 패널 및 상기 아웃웨어의 외측에 고정되고, 상기 압박 조절부와 연결된 아우터 고정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이너 고정 패널과 상기 아우터 고정 패널은, 상기 이너 고정 패널 및 상기 아우터 고정 패널 사이에 개재된 상기 아웃웨어를 관통하는 다수의 체결부재에 의하여 상호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험프 압박부는, 상기 험프 고정 패널부의 외측단에 상기 임의의 일축을 기준으로 힌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험프 압박 패널부의 각도 조절을 매개하는 회동 패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 패널부에는 상기 험프 압박 패널부의 단부가 삽입 안착되도록 다수의 결착공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험프 압박 패널부는, 상기 다수의 결착공 중 상기 아웃웨어에 고정된 상태의 상기 험프 고정 패널부를 기준으로 교정환자의 교정 부위에 매칭되는 일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험프 압박 패널부는, 압박 패널 본체, 상기 압박 패널 본체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회동 패널부의 상기 다수의 결착공 중 일부에 삽입 가능하게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삽입 레그 및 상기 압박 패널 본체의 내측면에 구비되고, 교정환자의 신체 부위에 접촉되는 압박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 패널부의 상기 다수의 결착공에는, 상기 험프 압박 패널부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삽입 레그가 삽입되어 걸림되는 레그 걸림홀이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삽입 레그는, 상기 다수의 결착공 내부로의 삽입을 유도하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 유도 레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삽입 유도 레그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레그 걸림홀에 걸림되는 걸림 레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 레그는, 상기 레그 걸림홀 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되고, 상기 레그 걸림홀의 내측에 걸림되는 라운딩 단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험프 압박부는, 상기 특정 각도에서 상기 회동 패널부를 고정시키는 각도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험프 고정 패널부의 외측면에 대하여 슬라이딩 무빙되게 구비된 조절 바 및 상기 조절 바의 양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험프 고정 패널부에 대하여 상기 회동 패널부를 힌지 회동 가능하게 고정시키도록 구비된 힌지 봉이 관통되는 힌지 관통홀 및 상기 힌지 관통홀과 평행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핀 홀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 핀이 구비된 각도 조절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험프 고정 패널부의 단부에는, 상기 힌지 봉이 관통됨과 아울러, 상기 스토퍼 핀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블록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 패널부에는 상기 힌지 봉이 관통됨과 아울러, 상기 스토퍼 핀이 상기 특정 각도에서 삽입되도록 원주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복수개의 고정홀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각도 고정 블록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 봉에 개재되되, 상기 조절 바의 상기 스토퍼 핀을 상기 각도 고정 블록의 상기 고정홀 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고정홀은, 일부 내주면이 상호 겹쳐진 형태의 원형으로 형성되되, 내경의 크기가 상기 스토퍼 핀의 외경보다 크고, 상호 겹쳐진 부분의 최단 거리가 상기 스토퍼 핀의 외경보다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도 조절블록과, 상기 가이드 블록 및 상기 각도 고정 블록은, 상기 힌지 봉이 관통하도록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다양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첫째, 일반적인 의복 형태로 착용 가능하므로, 교정환자 스스로 착용이 용이하여 착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교정 대상인 험프 위치에 따라 험프 압박 패널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범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셋째, 교정환자 마다 상이한 신체적 특수성을 반영하여 험프 고정 패널부에 대한 험프 압박 패널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척추측만증 교정률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의 사용례를 나타낸 정면 측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성 중 이너웨어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구성 중 압박 조절부와 험프 압박부의 장착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완전 착용 상태를 나타낸 정면 측 사시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의 구성 중 험프 압박부를 나타낸 내측 및 외측 사시도이고,
도 6은 험프 압박부의 험프 위치별 사용 태양을 나타낸 분해도이며,
도 7은 험프 압박부의 험프 돌출량별 사용 태양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5a 및 도 5b의 험프 압박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5a 및 도 5b의 험프 압박부의 구성 중 이너 패널부의 결합 부위 및 험프 고정 패널부의 결합 부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11 및 도 12는 도 10의 A 및 B 부위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5a 및 도 5b의 험프 압박부의 구성 중 각도 조절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며,
도 14는 도 13의 각도 조절부의 구성 중 고정홀의 변형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의 사용례를 나타낸 정면 측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성 중 이너웨어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구성 중 압박 조절부와 험프 압박부의 장착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완전 착용 상태를 나타낸 정면 측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1)의 일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교정환자의 신체에 착용 가능한 이너웨어(10)와, 이너웨어(10)의 외측에 착용되는 아웃웨어(20)와, 아웃웨어(20) 외측면에 둘러지도록 구비되되, 아웃웨어(20)의 특정 부위에 벨크로 방식으로 착탈되는 다수의 압박 밴드부(도면부호 미표기)와, 아웃웨어(20) 중 다수의 압박 밴드부에 의하여 가려지는 부위에 배치되되, 교정 대상인 신체 부위를 압박하도록 배치된 험프 압박부(100)와, 아웃웨어(20)에 고정되되, 험프 압박부(100)와 당김 와이어(105)를 매개로 연결되고, 당김 와이어(105)를 감김시키거나 풀어주는 동작으로 험프 압박부(100)를 통해 신체 부위를 압박 또는 해제하는 압박 조절부(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험프 압박부(100)에 의하여 압박되는 교정환자는 앞선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 항목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척추측만증을 앓고 있는 환자로서, 특히 험프 압박부(100)는 척추측만증의 외형 증세 중 하나인 험프 부위를 압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너웨어(10)는, 교정환자의 신체 중 상반신 또는 하반신의 노출 피부 외측을 감싸는 의복으로서, 다수의 압박 밴드부 및 험프 압박부(100)에 의한 교정 부위의 압박 과정에서 피부 쓸림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착용하는 속옷과 같이 땀 흡수가 좋고 통기성이 우수하여 잘 건조되는 한편 신축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아웃웨어(20)는, 이너웨어(10)의 외측에 착용 가능한 것이라면 그 명칭 여하에 불구하고 모두 포함되는 개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아웃웨어(20)는, 교정환자의 신체 중 상반신에 착용될 수 있음은 물론, 교정환자의 신체 중 하반신에 착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아웃웨어(20)가 교정환자의 신체 중 상반신에 착용되는 것으로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아웃웨어(20)는, 후술하는 다수의 압박 밴드부 또는 험프 압박부(100)를 통한 압박 시 환자를 보호하도록 기능하는 것이라면 의복부, 보호 슈트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교정환자가 스스로 착용이 용이하도록 자켓 형태로 구비되되 직물 재질로 구비된 의복부를 개시하고 있다. 아울러, 여기서의 아웃웨어(20)의 재질은, 상술한 직물을 포함하는 여하한 재질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이를 위해, 아웃웨어(20)의 전면 중간 부분에는 지퍼 형태의 체결 구조(27)가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교정환자 스스로 손쉽게 착용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아웃웨어(20)는, 다수의 압박 밴드부 및 험프 압박부(100)에 의한 교정 부위의 압박 시 찢어지거나 직물이 겹쳐 교정환자에게 불필요한 고통을 주는 일이 없도록 이너웨어(10)보다 두꺼운 직물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아웃웨어(20)의 두께는, 교정환자의 정상적인 활동성이 보장되는 정도의 두께의 범위 내에서 설계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아웃웨어(20)의 외측에는 다수의 압박 밴드부가 착용될 수 있다. 다수의 압박 밴드부는, 아웃웨어(20)의 외측에 착용됨으로써, 전체적으로 교정환자의 상반신에 균일한 압박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수의 압박 밴드부는,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지 않으나, 대략 "Y"자 형태 또는 "L"자 형태의 3가닥의 단부(21~26)를 가지도록 구비되어 그 가닥들의 연결 부위는 교정환자의 교정 부위에 밀착되도록 구비됨과 아울러 각 가닥들은 아웃웨어(20)의 전면측 다수 개소에 벨크로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압박 밴드부의 각 단부들(21~26)은, 도 1 및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양 어깨의 전면 측에 결합되는 숄더 밴드단(25,26)과, 양 가슴 일측 하단 측에 결합되는 가슴 밴드단(23,24) 및 양 골반의 전면 측에 결합되는 요추 밴드단(21,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Y자 형태의 압박 밴드부와 L자 형태의 압박 밴드부는, 각각 숄더 밴드단(25,26), 가슴 밴드단(23,24) 및 요추 밴드단(21,22)이 하나씩 구비되어 교정환자의 신체를 효율적이고도 균일하게 압박하도록 배치 설계될 수 있다.
한편, 압박 조절부(200)는, 도 1 및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험프 압박부(100)와 함께 연동되도록 아웃웨어(20)에 고정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압박 조절부(200)는, 당김 와이어(105)를 감거나 풀도록 작동하는 다이얼 방식으로 구성됨으로써 아웃웨어(20)에 고정된 상태의 험프 압박부(100)를 압박 조절부(200) 측으로 당기는 동작으로 교정환자의 험프 부위를 압박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압박 조절부(200)가 다이얼 방식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당김 와이어(105) 뿐만 아니라 여하한 구성을 매개로하여 험프 압박부(100)를 이용하여 교정 환자의 험프 부위에 관한 압박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라면 본 발명의 압박 조절부(200)에 포함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서, 압박 조절부(200)는, 도면에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았으나, 다이얼 노브(도면부호 미표기)를 누르면 당김 와이어(105)가 자동으로 풀리게 되고 다이얼 노브를 회전시키면 당김 와이어(105)가 감김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험프 압박부(100)는, 교정환자의 교정이 필요한 신체 부위, 이를테면, 척추측만증의 외관 증세로서 외부로 돌출된 부위인 험프 부위를 지속적으로 압박하여 교정환자의 일상 생활 중 자연스럽게 척추측만증을 교정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험프 압박부(100)는, 임의의 일축을 공유하면서 타단이 일단에 대하여 각도 조절됨으로써, 교정환자의 교정 대상인 신체 부위의 차이가 발생하더라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의 구성 중 험프 압박부를 나타낸 내측 및 외측 사시도이고, 도 6은 험프 압박부의 험프 위치별 사용 태양을 나타낸 분해도이며, 도 7은 험프 압박부의 험프 돌출량별 사용 태양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5a 및 도 5b의 험프 압박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5a 및 도 5b의 험프 압박부의 구성 중 이너 패널부의 결합 부위 및 험프 고정 패널부의 결합 부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11 및 도 12는 도 10의 A 및 B 부위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5a 및 도 5b의 험프 압박부의 구성 중 각도 조절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며, 도 14는 도 13의 각도 조절부의 구성 중 고정홀의 변형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1)의 일 실시예의 구성 중 핵심 구성인 험프 압박부(100)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험프 압박부(100)는, 도 5a 및 도 5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아웃웨어(20)에 고정되는 험프 고정 패널부(110)와, 험프 고정 패널부(110)에 연결된 험프 압박 패널부(140)와, 험프 고정 패널부(110)의 외측단에 임의의 일축을 공유하도록 힌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험프 압박 패널부(140)의 각도 조절을 매개하는 회동 패널부(120) 및 험프 고정 패널부(110)에 대하여 슬라이딩 무빙 가능하게 구비되어 험프 고정 패널부(110)에 대하여 험프 압박 패널부(140)의 고정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회동 패널부(120)는 후술하는 힌지 봉(133)을 통해 험프 고정 패널부(110)와 함께 임의의 일축을 공유하면서, 험프 고정 패널부(110)에 대하여 각도 조절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험프 고정 패널부(110)는, 도 5a 및 도 5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아웃웨어(20)의 내측에 고정되는 이너 고정 패널(112)과, 아웃웨어(20)의 외측에 고정되고, 압박 조절부(200)와 연결된 당김 와이어(105)가 연결되는 다수의 와이어 연결구(113a,133b)가 형성된 와이어 연결단(113)을 구비한 아우터 고정 패널(111)을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 연결단(113)은 이너 고정 패널(112)이 구비된 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개구된 부위는 차폐 부재(114)가 설치되어 차폐시킬 수 있다. 당김 와이어(105)는 아우터 고정 패널(111)의 외측면으로 노출된 다수의 와이어 연결구(113a,113b) 중 하나(113a)를 통해 삽입된 후 나머지 하나(113b)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이너 고정 패널(112)과 아우터 고정 패널(111)은, 도 11에 참조된 바와 같이, 이너 고정 패널(112) 및 아우터 고정 패널(111) 사이에 개재된 아웃웨어(20)를 관통하는 다수의 체결부재(117)에 의하여 상호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아우터 고정 패널(111)에는, 다수의 체결부재(117) 각각이 관통 체결되는 관통홀(115)이 형성되고, 이너 고정 패널(112)에는 다수의 체결부재(117) 각각이 걸림 고정되는 체결홀(116)이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체결부재(117) 각각은 이너 고정 패널(112)의 체결홀에 수용되는 선단 부분이 길이방향에 직교되도록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고, 이너 고정 패널(112)의 체결홀(116)에는 체결부재(117)의 선단 부분이 수용된 후 체결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걸림되도록 걸림 턱부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이너 고정 패널(112)과 아우터 고정 패널(111) 사이에 아웃웨어(20)가 개재된 상태로, 이너 고정 패널(112)과 아우터 고정 패널(111)은 상술한 다수의 체결부재(117)에 의하여 상호 결합됨으로써, 험프 고정 패널부(110) 자체를 아웃웨어(20)의 특정 부위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험프 고정 패널부(110)의 와이어 연결단(113)이 구비된 측의 반대 방향의 단부에는 회동 패널부(120)가 힌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회동 패널부(120)의 특정 각도에서의 견고한 지지력을 위한 험프 고정 패널부(110)에는 보강 리브(118)가 형성될 수 있다. 보강 리브는, 험프 고정 패널부(110)의 와이어 연결단(113)이 구비된 측의 반대 방향의 단부에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험프 압박 패널부(140)는, 도 5a 및 도 5b에 참조된 바와 같이, 험프 고정 패널부(110)의 일측에 각도 조절된 후 험프 고정 패널부(110)에 대한 특정 각도에서 고정 가능하게 구비되고, 교정환자의 신체 부위를 실질적으로 압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험프 압박 패널부(140)는, 도 5a 및 도 5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압박 패널 본체(141)와, 압박 패널 본체(141)의 단부에 형성되고, 회동 패널부(120)의 일부에 삽입 가능하게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삽입 레그(144)와, 압박 패널 본체(141)의 내측면에 구비되고, 교정환자의 신체 부위에 접촉되는 압박 패드(143)를 포함할 수 있다.
압박 패널 본체(141)는, 대략 교정환자의 옆구리 또는 허리 부분에서 뒷 부분(등 부위)으로 연장되는 만곡 부위를 감싸면서 교정환자의 교정 부위인 험프를 압박하도록 회동 패널부(120)의 연결 부위로부터 선단까지 전체적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압박 패널 본체(141)는, 도 5a, 도 5b 및 도 8에 참조된 바와 같이, 교정환자의 신체 부위를 마주하는 면에는 상술한 압박 패드(143)가 패드 설치 홈(142)(142)에 끼움 결합되고, 그 반대면에는 압박 패드(143)의 분리를 위한 분리 커버(14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분리 커버(143')를 분리하면, 소정의 도구를 이용하여 압박 패널 본체(141)의 패드 설치 홈(142)(142)에 결합된 압박 패드(143)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압박 패널 본체(141)의 일단부에는, 상술한 적어도 하나의 삽입 레그(144)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회동 패널부(120)에는 압박 패널 본체(141)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삽입 레그(144)가 삽입되기 위한 다수의 결착공(122)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회동 패널부(120)는, 도 5a, 도 5b 및 도 9에 참조된 바와 같이, 힌지 봉(133)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회동 패널 본체(121)를 포함할 수 있다.
회동 패널 본체(121)의 일단부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험프 고정 패널부(110)와 힌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다양한 결합 요소(후술하는 적어도 하나의 각도 고정 블록(126))가 구비되고, 회동 패널 본체(121)의 타단부에는 압박 패널 본체(141)의 일단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삽입 레그(144)가 삽입되는 다수의 결착공(122)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다수의 결착공(122)은, 도 5a 및 도 8에 참조된 바와 같이, 회동 패널 본체(121)의 타단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상호 구획되게 형성되되, 5개의 결착공(122)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다수의 결착공(122)은 5개가 구비된 것으로 전제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다수의 결착공(122)은, 그 형성 개수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이상의 개수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아울러, 회동 패널 본체(121)의 다수의 결착공(122)에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 레그(144)가 삽입되어 걸림되는 레그 걸림홀(127)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결착공(122)이 회동 패널 본체(121)의 타단부에서 일단부 측으로 요홈지도록 형성된 것으로 정의할 경우, 레그 걸림홀(127)은 다수의 결착공(122) 각각의 내측에서 교정환자의 신체 부위 측으로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압박 패널 본체(141)의 일단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삽입 레그(144)는, 도 8에 참조된 바와 같이, 다수의 결착공(122) 내부로의 삽입을 유도하는 삽입 유도 레그(145) 및 적어도 하나의 삽입 유도 레그(145) 사이에 구비되고, 상술한 레그 걸림홀(127)에 걸림되는 걸림 레그(147)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걸림 레그(147)의 양측에는 각각 삽입 유도 레그(145)가 구비되고, 하나의 걸림 레그(147)와 2개의 삽입 유도 레그(145)가 하나의 셋트를 이루면서 결착공(122) 하나에 삽입되고, 3개의 셋트로 이루어진 걸림 레그(147)가 압박 패널 본체(141)의 일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5a 및 도 5b,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이, 회동 패널 본체(121)의 타단부에는 5개의 결착공(122)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이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 레그(147)는 위 5개의 결착공(122) 중 3개를 점할 수 있도록 3개의 셋트로 구성된다. 따라서, 아웃웨어(20)에 험프 고정 패널부(110)와 회동 패널부(120)가 고정된 상태에서 교정환자 마다 교정 부위인 험프의 위치가 상이한 경우에도,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이, 3개의 셋트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걸림 레그(147)가 점하는 다수의 결착공(122)을 선택하여 험프 압박 패널부(14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교정환자의 교정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한편, 걸림 레그(147)는, 도 12에 참조된 바와 같이, 양측에 구비된 삽입 유도 레그(145)에 의하여 다수의 결착공(122) 중 소정 결착공(122) 내부로 삽입 유도된 후, 레그 걸림홀(127)의 내측에 걸림되도록 선단에 라운딩 단부(146)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라운딩 단부(146)가 형성된 걸림 레그(147) 부분의 두께는 적어도 결착공(122)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작게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삽입 유도 레그(145)와는 달리 만곡되게 형성됨으로써 결착공(122) 내부로의 삽입 시 결착공(122) 내측면에 지지되면서 탄성 변형된 후 레그 걸림홀(127)에 걸림되는 것이다.
한편, 회동 패널 본체(121)는, 도 5a에 참조된 바와 같이, 험프 고정 패널부(110)와 결합되기 위한 일단부와 압박 패널 본체(141)가 착탈되기 위한 타단부가 구획벽(123)에 의하여 구획될 수 있다. 따라서, 구획벽(123)을 기준으로 일측(일단부측)은, 상술한 험프 고정 패널부(110)와 결합되기 위한 구성 요소들이 수용되는 결합 공간(도면부호 미표기)이 형성되고, 구획벽(123)을 기준으로 타측(타단부측)은 상술한 다수의 결착공(122) 및 레그 걸림홀(127)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회동 패널 본체(121)의 길이방향 일단부와 타단부에 해당하는 내측벽(128)에는, 상술한 결합 공간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힌지 설치홀(128')이 구비되고, 힌지 설치홀(128')을 통하여 후술하는 힌지 봉(133)이 힌지 설치됨과 아울러, 힌지 설치홀(128')을 외부로부터 차폐하기 위한 차폐 커버(125a,125b)가 양단에 설치될 수 있다.
각도 조절부(130)는, 도 5a 및 도 5b에 참조된 바와 같이, 험프 고정 패널부(110)에 대하여 회동 패널부(120)가 특정 각도로 절곡되도록 조절함과 아울러, 회동 패널부(120)가 험프 고정 패널부(110)에 대하여 특정 각도를 유지하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각도 조절부(130)는, 도 5a 및 도 5b에 참조된 바와 같이, 험프 고정 패널부(110)의 외측면에 대하여 슬라이딩 무빙되게 구비된 조절 바(131)와, 조절 바(131)의 양단부에 구비되고, 험프 고정 패널부(110)에 대하여 회동 패널부(120)를 힌지 회동 가능하게 고정시키도록 구비된 힌지 봉(133)이 관통되는 힌지 관통홀 및 힌지 관통홀과 평행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핀 홀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 핀(134)이 구비된 각도 조절블록(132a,132b)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험프 고정 패널부(110)와 회동 패널부(120) 및 각도 조절부(130)는 힌지 봉(133)에 의하여 힌지 회동 가능하게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험프 고정 패널부(110)에 대하여 회동 패널부(120)가 힌지 봉(133)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험프 고정 패널부(110)의 단부에는, 힌지 봉(133)이 관통됨과 아울러, 스토퍼 핀(134)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블록(119)이 형성될 수 있다. 험프 고정 패널부(110)에는 가이드 블록(119)과는 별개로 힌지 봉(133)이 관통하여 지지되도록 구비된 힌지 관통 블록(119')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회동 패널 본체(121)에는 힌지 봉(133)이 관통됨과 아울러, 스토퍼 핀(134)이 특정 각도에서 삽입되도록 원주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복수개의 고정홀(126a)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각도 고정 블록(126)이 형성될 수 있다. 회동 패널 본체(121)에는 각도 고정 블록(126) 외에 힌지 봉(133)이 관통되는 힌지 홀(129a)이 형성된 힌지 블록(129)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각도 조절부(130)의 각도 조절블록(132a,132b)과, 험프 고정 패널부(110)의 가이드 블록(119) 및 회동 패널 본체(121)의 각도 고정 블록(126)은 모두 회동 패널 본체(121)에 구획벽(123)을 통해 구획되도록 형성된 결합 공간 내에 배치되되, 힌지 봉(133)이 관통하도록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즉, 힌지 봉(133)은, 각도 조절블록(132a,132b), 가이드 블록(119) 및 각도 고정 블록(126)을 관통하여 회동 패널 본체(121)의 결합 공간 내에서 험프 고정 패널부(110), 회동 패널 본체(121) 및 각도 조절부(130) 3개의 구성을 연결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1)의 일 실시예는, 도 8에 참조된 바와 같이, 힌지 봉(133)에 개재되되, 조절 바(131)의 스토퍼 핀(134)을 각도 고정 블록(126)의 고정홀(126a) 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135)는, 각도 조절부(130)의 각도 조절블록(132a,132b)의 일측에 해당하는 부위에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은 회동 패널 본체(121)의 내측벽(128) 또는 힌지 블록(129)의 일면에 지지되는 용수철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각도 조절부(130) 중 조절 바(131)는 험프 고정 패널부(110)의 외측면에 면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교정환자가 각도 조절부(130) 중 조절 바(131)의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손잡이단을 통해 일측으로 밀어 조작 바를 슬라이딩 무빙시키면, 각도 조절블록(132a,132b)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 핀(134)이 회동 패널 본체(121)의 각도 고정 블록(126)에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홀(126a) 중 어느 하나로부터 이탈되면서험프 고정 패널부(110)에 대한 회동 패널부(120)의 각도가 교정환자의 교정 부위에 맞춤되도록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교정환자가 회동 패널부(120)의 각도를 조절하여 험프 압박 패널부(140)를 자신의 신체에 맞춤시킨 후 상술한 특정 각도에서 조절 바(131)를 놓으면 탄성부재(135)의 탄성 지지력에 의하여 조절 바(131)가 본래의 위치로 복원되면서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 핀(134)이 특정 각도에 해당하는 고정홀(126a)에 삽입되어 험프 고정 패널부(110)에 대하여 회동 패널부(120)의 각도가 변하지 않도록 고정되게 된다.
도 14의 상측 도면을 참조하면, 회동 패널 본체(121)의 각도 고정 블록(126)에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홀(126a)은, 힌지 봉(133)이 설치되는 힌지 관통홀(126a)을 중심으로 360도의 범위 내에서 12개가 등각을 이루도록 원주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된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험프 압박 패널부(140)가 교정환자의 험프 부위에 압박을 가하는 기능을 고려할 때 복수개의 고정홀(126a)은 360도 범위에 걸쳐 형성될 필요는 없고, 90도의 범위에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따라서, 총 12개의 고정홀(126a) 중 90도 범위 내의 고정홀(126a)인 4개의 고정홀(126a)만을 구비하고, 각각의 사이는 30도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다만, 회동 패널부(120)의 조절 각도 범위가 30도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4개의 고정홀(126a)만으로 조절될 경우, 교정환자 마다 상이한 신체적 조건 및 교정 부위인 험프의 돌출량을 충족시키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도 14의 하측 도면과 같이, 복수개의 고정홀(126a)은 일부 내주면이 상호 겹쳐진 형태의 원형으로 형성되어 회동 패널부(120)의 조절 각도 범위를 세분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고정홀(126a)은 스토퍼 핀(134)이 충분한 고정력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내경의 크기가 스토퍼 핀(134)의 외경보다 크고 상호 겹쳐진 부분의 최단 거리가 스토퍼 핀(134)의 외경보다 작도록 형성되도록 설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1)의 일 실시예의 작동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압박 조절부(200) 및 험프 압박부(100)를 아웃웨어(20) 중 교정환자의 신체 부위 교정이 가능한 특정 위치에 고정시킨다.
이때, 교정환자의 교정 부위인 험프의 위치와 험프 압박 패널부(140)의 위치가 상이할 경우, 교정환자는 험프 압박 패널부(140)를 회동 패널 본체(121)의 다수의 결착공(122)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험프 위치에 대응하는 결착공(122)에 재결합시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교정환자의 교정 부위인 험프를 험프 압박 패널부(140)를 통해 지지하는 압박 각도 조절이 필요할 경우, 교정환자는 각도 조절부(130)의 조절 바(131)를 손잡이부를 이용하여 일측으로 슬라이딩 무빙시킨 후 각도 고정 블록(126)에 대한 스토퍼 핀(134)의 삽입 위치의 조절을 통해 원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험프 고정 패널부(110)에 대한 회동 패널부(120)의 각도 조절은, 압박 조절부(200)에 의한 험프 압박부(100)의 당김 와이어(105)의 감김 행위를 통한 전체적인 신체 압박이 이루어진 후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 반대로 각도 조절부(130)에 의한 각도 조절이 이루어진 후 압박 조절부(200)에 의한 압박 조절이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10: 이너웨어
20: 아웃웨어 100: 험프 압박부
105: 당김 와이어 110: 험프 고정 패널부
111: 아우터 고정 패널 112: 이너 고정 패널
113: 와이어 연결단 113a,113b: 와이어 연결구
114: 차폐 부재 115: 관통홀
116: 체결홀 117: 체결부재
118: 보강 리브 119: 가이드 블록
119': 힌지 관통 블록 120: 회동 패널부
121: 회동 패널 본체 122: 다수의 결착공
123: 구획벽 125a,125b: 커버 패널
126: 각도 고정 블록 126a: 고정홀
127: 레그 걸림홀 128: 내측벽
129: 힌지 블록 129a: 힌지 홀
130: 각도 조절부 131: 조절 바
132a,132b: 각도 조절블록 133: 힌지 봉
134: 스토퍼 핀 135: 탄성부재
140: 험프 압박 패널부 141: 압박 패널 본체
142: 패드 설치 홈 143: 압박 패드
143': 분리 커버 144: 삽입 레그
145: 삽입 유도 레그 146: 라운딩 단부
147: 걸림 레그

Claims (14)

  1. 교정환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아웃웨어;
    상기 아웃웨어에 배치되되, 교정 대상인 신체 부위를 압박하도록 배치된 험프 압박부; 및
    상기 아웃웨어에 고정되되, 상기 험프 압박부와 연결되어 상기 신체 부위를 압박 또는 해제하는 압박 조절부; 를 포함하고,
    상기 험프 압박부는, 임의의 일축을 공유하면서 타단이 일단에 대하여 각도 조절되는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험프 압박부는,
    상기 아웃웨어에 고정되는 험프 고정 패널부와;
    상기 험프 고정 패널부의 일측에 상기 임의의 일축을 기준으로 각도 조절된 후 상기 험프 고정 패널부에 대한 특정 각도에서 고정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신체 부위를 압박하는 험프 압박 패널부; 를 포함하는,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험프 고정 패널부는,
    상기 아웃웨어의 내측에 고정되는 이너 고정 패널; 및
    상기 아웃웨어의 외측에 고정되고, 상기 압박 조절부와 연결된 아우터 고정 패널; 을 포함하고,
    상기 이너 고정 패널과 상기 아우터 고정 패널은, 상기 이너 고정 패널 및 상기 아우터 고정 패널 사이에 개재된 상기 아웃웨어를 관통하는 다수의 체결부재에 의하여 상호 고정되는,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험프 압박부는,
    상기 험프 고정 패널부의 외측단에 상기 임의의 일축을 기준으로 힌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험프 압박 패널부의 각도 조절을 매개하는 회동 패널부; 를 더 포함하는,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회동 패널부에는 상기 험프 압박 패널부의 단부가 삽입 안착되도록 다수의 결착공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험프 압박 패널부는, 상기 다수의 결착공 중 상기 아웃웨어에 고정된 상태의 상기 험프 고정 패널부를 기준으로 교정환자의 교정 부위에 매칭되는 일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험프 압박 패널부는,
    압박 패널 본체;
    상기 압박 패널 본체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회동 패널부의 상기 다수의 결착공 중 일부에 삽입 가능하게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삽입 레그; 및
    상기 압박 패널 본체의 내측면에 구비되고, 교정환자의 신체 부위에 접촉되는 압박 패드; 를 포함하는,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회동 패널부의 상기 다수의 결착공에는, 상기 험프 압박 패널부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삽입 레그가 삽입되어 걸림되는 레그 걸림홀이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삽입 레그는, 상기 다수의 결착공 내부로의 삽입을 유도하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 유도 레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삽입 유도 레그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레그 걸림홀에 걸림되는 걸림 레그를 포함하는,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걸림 레그는, 상기 레그 걸림홀 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되고, 상기 레그 걸림홀의 내측에 걸림되는 라운딩 단부가 형성된,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험프 압박부는,
    상기 특정 각도에서 상기 회동 패널부를 고정시키는 각도 조절부; 를 더 포함하는,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험프 고정 패널부의 외측면에 대하여 슬라이딩 무빙되게 구비된 조절 바; 및
    상기 조절 바의 양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험프 고정 패널부에 대하여 상기 회동 패널부를 힌지 회동 가능하게 고정시키도록 구비된 힌지 봉이 관통되는 힌지 관통홀 및 상기 힌지 관통홀과 평행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핀 홀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 핀이 구비된 각도 조절블록; 을 포함하는,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험프 고정 패널부의 단부에는, 상기 힌지 봉이 관통됨과 아울러, 상기 스토퍼 핀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블록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 패널부에는 상기 힌지 봉이 관통됨과 아울러, 상기 스토퍼 핀이 상기 특정 각도에서 삽입되도록 원주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복수개의 고정홀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각도 고정 블록이 형성된,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힌지 봉에 개재되되, 상기 조절 바의 상기 스토퍼 핀을 상기 각도 고정 블록의 상기 고정홀 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 를 더 포함하는,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고정홀은,
    일부 내주면이 상호 겹쳐진 형태의 원형으로 형성되되, 내경의 크기가 상기 스토퍼 핀의 외경보다 크고, 상호 겹쳐진 부분의 최단 거리가 상기 스토퍼 핀의 외경보다 작도록 형성된,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블록과, 상기 가이드 블록 및 상기 각도 고정 블록은, 상기 힌지 봉이 관통하도록 일렬로 배치된,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KR1020180166276A 2018-12-20 2018-12-20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KR102236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276A KR102236018B1 (ko) 2018-12-20 2018-12-20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276A KR102236018B1 (ko) 2018-12-20 2018-12-20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094A KR20200077094A (ko) 2020-06-30
KR102236018B1 true KR102236018B1 (ko) 2021-04-05

Family

ID=71120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6276A KR102236018B1 (ko) 2018-12-20 2018-12-20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60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49133A1 (ko) * 2022-06-20 2023-12-28 밸류앤드트러스트(주)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정 모니터링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44563B2 (en) 2021-05-20 2024-04-02 Value & Trust Wearable device for body correction
KR102678445B1 (ko) * 2021-10-12 2024-06-25 백석대학교산학협력단 척추측만증 교정을 위한 기능성 보조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75871A1 (en) 2008-05-02 2009-11-05 Gerald Liu Back brace for spinal correctio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1070973B1 (ko) 2010-04-14 2011-10-06 하병욱 척추보조기
KR101074235B1 (ko) 2011-03-21 2011-10-14 하병욱 각도 조절과 상하 길이 조절이 자유로운 척추보조기
WO2014124054A1 (en) 2013-02-05 2014-08-14 Boa Technology Inc. Closure devices for medical devices and methods
WO2016134807A1 (en) 2015-02-27 2016-09-01 F.G.P. S.R.L. Manually operated rotative locking device for orthopedic orthoses or braces
KR101769288B1 (ko) 2017-04-06 2017-08-21 밸류앤드트러스트(주) 척추측만증 환자용 비대칭 척추보조기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298B1 (ko) * 2007-11-16 2011-02-09 선동윤 각도조절부를 구비한 척추측만증 보조기
US8468657B2 (en) * 2008-11-21 2013-06-25 Boa Technology, Inc. Reel based lacing system
KR101927594B1 (ko) * 2016-12-30 2019-03-12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와이어를 이용한 척추 측만증 교정 보조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75871A1 (en) 2008-05-02 2009-11-05 Gerald Liu Back brace for spinal correctio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1070973B1 (ko) 2010-04-14 2011-10-06 하병욱 척추보조기
KR101074235B1 (ko) 2011-03-21 2011-10-14 하병욱 각도 조절과 상하 길이 조절이 자유로운 척추보조기
WO2014124054A1 (en) 2013-02-05 2014-08-14 Boa Technology Inc. Closure devices for medical devices and methods
WO2016134807A1 (en) 2015-02-27 2016-09-01 F.G.P. S.R.L. Manually operated rotative locking device for orthopedic orthoses or braces
KR101769288B1 (ko) 2017-04-06 2017-08-21 밸류앤드트러스트(주) 척추측만증 환자용 비대칭 척추보조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49133A1 (ko) * 2022-06-20 2023-12-28 밸류앤드트러스트(주)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정 모니터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094A (ko) 2020-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6018B1 (ko)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KR101769288B1 (ko) 척추측만증 환자용 비대칭 척추보조기구
KR101070973B1 (ko) 척추보조기
US9872790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providing automatic closure of prosthetics and orthotics
JP2013536010A (ja) 整形外科用装置
US20150133842A1 (en) Tensioning system for dorsal orthopedic supports for the vertebral column
KR20200064635A (ko) 버튼식 다이얼 장치
CN103906486A (zh) 用于改善使用者姿势的装置
RU2463997C2 (ru) Устройство внешней фиксации грудопоясничного отдела позвоночника
WO2016185029A1 (de) Vorrichtung zur normalisierung der schulterstellung eines menschen
KR101563149B1 (ko) 의료용 복대
KR20190093057A (ko) 척추측만증 환자용 비대칭 척추보조기구
KR101488669B1 (ko) 허리지지대 구조
KR102322350B1 (ko)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KR102183964B1 (ko) 허리 보호 벨트
KR20090132163A (ko) 복합식 척추보호대
KR20120116264A (ko) 자세교정용 밴드
KR20210030140A (ko) 허리 보호 벨트
KR200362859Y1 (ko) 착탈식 허리보호대
KR200480674Y1 (ko) 의료용 복대
US11944563B2 (en) Wearable device for body correction
KR20160085980A (ko) 의료용 복대
CN208259813U (zh) 一种脊柱保健带
CN215778960U (zh) 穿戴式人体矫正装置
KR200318281Y1 (ko) 자세교정용 벨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