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6497Y1 - 자세교정구 - Google Patents

자세교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6497Y1
KR200406497Y1 KR2020050031245U KR20050031245U KR200406497Y1 KR 200406497 Y1 KR200406497 Y1 KR 200406497Y1 KR 2020050031245 U KR2020050031245 U KR 2020050031245U KR 20050031245 U KR20050031245 U KR 20050031245U KR 200406497 Y1 KR200406497 Y1 KR 2004064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er
adhesive
connecting means
attached
posture corr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12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기
Original Assignee
이병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기 filed Critical 이병기
Priority to KR20200500312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64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64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649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6Back straightening devices with shoulder braces to force back the shoulder to obtain a correct curvature of the s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2005/0197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with spr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세교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착용할 수 있어 활동성이 높으며, 어깨부분과 허리부분을 동시에 교정할 수 있음은 당연하고 어깨부분을 교정하는 상체 걸이구와 허리부분을 교정하는 요대부의 지지력을 조절할 수 있고, 동시에 각각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 다용도로 이용할 수 있는 자세교정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자세교정구는 신축성과 탄력성이 뛰어난 소재로 형성됨과 동시에 아주 간단한 구성을 가지므로 착용시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어 활동성이 높으며, 어깨부분과 허리부분의 척추를 동시에 교정할 수 있음은 당연하고 지지력 또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체 걸이부와 요대부는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상체 걸이부, 요대부, 벨크로테이프

Description

자세교정구{A CORRECTION APPLIANCE FOR POSTURE}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구의 사시도.
도 2의 "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수단의 분리 사시도이고, "나"는 일부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등받이끈의 체결을 도시한 일부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구의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체 걸이부 20 : 요대부
22 : 접착밴드 24 : 접착면
30 : 등받이끈 32 : 접착부
40a,40b,40c,40d : 연결수단 41 : 몸체
41a : 삽입구 42a : 절개부
42b : 안치구 43 : 걸림편
44 : 고리 45 : 체결구
46 : 핀봉 47 : 걸림편
48 : 부착고리 49 : 고정구
50 : 고정커버 100 : 자세교정구
본 고안은 자세교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착용할 수 있어 활동성이 높으며, 어깨부분과 허리부분을 동시에 교정할 수 있음은 당연하고 어깨부분을 교정하는 상체 걸이구와 허리부분을 교정하는 요대부의 지지력을 조절할 수 있고, 동시에 각각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 다용도로 이용할 수 있는 자세교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른 자세, 즉 척추를 앞으로 굽히지 않고 수직으로 편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는 것은 모두가 알고 있는 사실이다. 하지만 습관화되지 않으면 척추를 편 상태의 바른 자세는 오히려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게 된다.
이론 인해 대부분의 사람들은 척추를 구부리고 있는 잘못된 자세로 생활하게 된다. 그런데, 사람들이 장기간 잘못된 자세로 있는 경우 요통과 그에 따르는 질병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성장기에 접어든 어린이들은 잘못된 자세로 인해 어깨처짐이나 척추의 휨이 빈번하게 발생된다.
결국, 어깨와 척추는 사람의 몸을 유지하는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바른 자세를 유지하게 하는 근본이 된다. 이에 요통 환자나 앉아서 생활하는 시간이 많은 사람이나 성장기에 있는 어린이들에게 있어 바른 자세는 더욱 필요시 되는 생활습 관이다.
이에, 바른 자세 교정을 위한 장치가 제안되어 있으나, 이는 의료기관 등의 장소에 설치하기 적당한 규모와 구성으로 되어 있어 사용자가 일반 생활을 하면서 이용하기에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로 인해 최근에는 간단한 구조로 형성되어 허리부분만을 감싸는 자세교정구가 제안되고 있는데, 이는 허리부분만을 지지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항상 착용할 수 있어 활동성이 높으며, 어깨부분과 허리부분의 척추를 동시에 교정할 수 있음은 당연하고 지지력 또한 조절할 수 있고, 동시에 각각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 다용도로 이용할 수 있는 자세교정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사용자의 어깨에 착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배면 일측에는 하 방향으로 두 개의 연결수단이 구비되는 상체 걸이부; 상기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도록 구비되며, 배면 일측에는 두 개의 연결수단이 상 방향으로 구비되고, 전방부 양 측면에는 접착면이 각각 형성되며, 양 끝단부에는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한 쌍의 접착밴드가 구비되는 요대부; 및 상기 상체 걸이부와 상기 요대부의 연결수단에 당김 작용이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며, 양 끝단부에는 상기 요대부의 접착면에 탈부착시킬 수 있는 접착부가 형성된 등받이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내부에는 삽입구가 형성되되, 일면에는 길이 방향대로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고, 양단에 안치부가 각각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부착되는 걸림편과 상기 몸체의 일면에 부착되어 등받이끈이 관통되도록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고리로 구성된 체결구; 상기 체결구의 삽입구에 결합되는 핀봉과 상기 핀봉의 일측에 형성되는 걸림편과 상기 핀봉에 부착되어 상기 상체 걸이부와 요대부에 각각 부착되는 부착고리로 구성된 고정구; 및 상기 체결구의 몸체 외측으로 체결되어 상기 체결구와 고정구가 상호 분리되지 못하도록 끼움 체결되는 고정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요대부의 접착면과 접착밴드 및 상기 등받이끈의 접착부는 탈부착이 용이한 벨크로테이프로 형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자세교정구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구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본 고안의 자세교정구(100)는 크게 상체 걸이부(10)와 요대부(20) 및 등받이끈(3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체 걸이부(10)는 사용자의 어깨에 착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배면 일측에는 하 방향으로 두 개의 연결수단(40c)(40d)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요대부(20)는 상기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도록 구비되며, 배면 일측에는 두 개의 연결수단(40a)(40b)이 상 방향으로 구비되고, 전방부 양 측면에는 접착면(24)이 각각 형성되며, 양 끝단부에는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한 쌍의 접착밴드(2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등받이끈(30)은 두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체 걸이부(10)와 상기 요대부(20)의 연결수단(40a)(40b)(40c)(40d)에 당김 작용이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고, 양 끝단부에는 상기 요대부(20)의 접착면(24)에 탈부착시킬 수 있는 접착부(32)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등받이끈(30)은 사용자의 당김이 편리하고 상체 걸이부(10)의 교정력이 뛰어나도록 교차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상체 걸이부(10)와 요대부(20)는 활동성이 뛰어남과 더불어 교정력이 우수하도록 신축성과 탄력성이 뛰어난 소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뿐만 아니라 상기 등받이끈(30) 또한 활동성과 교정력이 뛰어나도록 신축성과 탄력성이 뛰어난 소재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상체 걸이부(10)와 요대부(20) 및 등받이끈(30)을 구성하는 소재를 신축성과 탄력성이 뛰어난 소재로 한정하는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
또한, 상기 요대부(20)의 접착면(24)과 접착밴드(22) 및 등받이끈(30)의 접착부(32)는 탈부착이 용이한 벨크로테이프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2의 "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수단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나"는 일부 결합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여 먼저 "가"를 살펴보면, 본 고안의 연결수단(40a)(40b)(40c)(40d)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크게 체결구(45)와 고정구(49) 및 고정커버(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구(45)는 내부에 삽입구(41a)가 형성되되, 일면에는 길이 방향대로 절개된 절개부(42a)가 형성되고, 양단으로 안치부(42b)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몸체(41)와 상기 몸체(41)의 일측에 부착되는 걸림편(43)과 상기 몸체(41)에 부착되어 내부에 등받이끈(30)이 관통되도록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고리(4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구(49)는 상기 체결구(45)의 삽입구(41a)와 결합되는 핀봉(46)과 상기 핀봉(46)의 일측에 형성되는 걸림편(47)과 상기 핀봉(46)에 부착되어 상기 상체 걸이부(10)와 요대부(20)에 각각 부착되는 부착고리(4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커버(50)는 상기 체결구(45)의 몸체(41)의 외관으로 삽입되어 체결구(45)와 고정구(49)가 상호 이탈되지 못하도록 커버하는 것이다.
이때, "나"를 살펴보면, 상기 체결구(45)와 고정구(49)가 결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즉 상기 고정구(49)의 핀봉(46)과 부착고리(48)는 상기 체결구(45)의 삽입구(41a)로 삽입되어 그 일면에 형성된 절개부(42a)를 따라 슬라이딩됨으로 상호 체결되어 있는 것이다. 이렇게 체결된 후 상기 삽입구(41a)의 양 단에는 일부 절개된 안치부(42b)가 형성됨으로 상기 고정구(49)의 부착고리(48)는 소정의 각도로 회동 가능한 것이다. 최종적으로 상기와 같이 체결된 체결구(45)와 고정구 (49)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탈부착 가능한 고정커버(50)가 상기 체결구(45)의 삽입구(41a) 외측으로 체결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연결수단(40a)(40b)(40c)(40d)은 분리가 아주 용이하도록 구성됨을 알 수 있는데, 이는 결국 상체 걸이부(10)와 요대부(20)로 분리가 용이한 것이다. 그러므로 각 부분을 분리하여 다기능적으로 사용함에 있어 아주 편리한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등받이끈의 체결을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요대부(20)에 상방으로 부착된 두개의 연결수단(40a)(40b)에는 등받이끈(30)의 일단이 각각 부착되고, 타단은 상체 걸이부(10)에 하방으로 부착된 두개의 연결수단(40c)(40d)에 지지 가능하도록 관통되어 교차됨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등받이끈(30)은 인위적으로 당김 작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요대부(20)와 상체 걸이부(10)에 부착되는 연결수단(40a)(40b)(40c)(40d)과 등받이끈(30)의 체결관계를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요대부(20)에 구비되는 두개의 연결수단(40a)(40b)에서, 고정구(49)의 부착고리(48)가 요대부(20)에 부착되고, 타측 방향으로 위치되는 체결구(45)의 고리(44)에 등받이끈(30)의 일단이 부착되어 타단은 상부로 향하는 것이다.
상체 걸이부(10)에 부착된 두개의 연결수단(40c)(40d)에서, 고정구(49)의 부 착고리(48)가 상체 걸이부(10)에 부착되어 있고, 타측 방향으로 위치되는 체결구(45)의 고리(44) 내부를 통해 상부로 향하는 상기 등받이끈(30)이 관통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등받이끈(30)은 상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자체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신장의 차이를 극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는 통상적인 벨트 길이 조절과 동일함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 상태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여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상체 걸이부(10)를 어깨에 착용하고, 요대부(20)는 허리를 감싸도록 착용한다. 그런 다음 배면에 구비되어 있는 등받이끈(30)을 교차되게 하여 양손으로 끝단부를 잡고 양측방으로 당긴 후 끝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접착부(32)를 요대부(20)의 양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접착면(24)에 부착 고정시킨다.
이런 과정에서 상기 요대부(20)는 허리부분을 감싸고 지지하므로 허리부분을 교정할 것은 당연하고, 상기 상체 걸이부(10)는 어깨에 착용되어 등받이끈(30)으로 당김 작용됨으로 어깨의 처짐이 방지됨과 더불어 전체적으로 척추를 교정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자세교정구(100)는 아주 간단한 구성을 가지므로 착용시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고, 신축성과 탄력성이 뛰어난 소재로 구성됨으로 활동성 이 높으며, 어깨부분과 허리부분의 척추를 동시에 교정할 수 있음은 당연하고 지지력 또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체 걸이부(10)와 요대부(20)는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고안의 실용신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고안의 실용신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고안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고안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개시된 고안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고안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고안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자세교정구는 신축성과 탄력성이 뛰어난 소재로 형성됨과 동시에 아주 간단한 구성을 가지므로 착용시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어 활동성이 높으며, 어깨부분과 허리부분의 척추를 동시에 교정할 수 있음은 당연하고 지지력 또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체 걸이부와 요대부는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3)

  1. 사용자의 어깨에 착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배면 일측에는 하 방향으로 두 개의 연결수단이 구비되는 상체 걸이부;
    상기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도록 구비되며, 배면 일측에는 두 개의 연결수단이 상 방향으로 구비되고, 전방부 양 측면에는 접착면이 각각 형성되며, 양 끝단부에는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한 쌍의 접착밴드가 구비되는 요대부; 및
    상기 상체 걸이부와 상기 요대부의 연결수단에 당김 작용이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며, 양 끝단부에는 상기 요대부의 접착면에 탈부착시킬 수 있는 접착부가 형성된 등받이끈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내부에는 삽입구가 형성되되, 일면에는 길이 방향대로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고, 양단에 안치부가 각각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부착되는 걸림편과 상기 몸체의 일면에 부착되어 등받이끈이 관통되도록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고리로 구성된 체결구;
    상기 체결구의 삽입구에 결합되는 핀봉과 상기 핀봉의 일측에 형성되는 걸림편과 상기 핀봉에 부착되어 상기 상체 걸이부와 요대부에 각각 부착되는 부착고리 로 구성된 고정구; 및
    상기 체결구의 몸체 외측으로 체결되어 상기 체결구와 고정구가 상호 분리되지 못하도록 끼움 체결되는 고정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요대부의 접착면과 접착밴드 및 등받이끈의 접착부는 탈부착이 용이한 벨크로테이프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구.
KR2020050031245U 2005-11-04 2005-11-04 자세교정구 KR2004064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245U KR200406497Y1 (ko) 2005-11-04 2005-11-04 자세교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245U KR200406497Y1 (ko) 2005-11-04 2005-11-04 자세교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6497Y1 true KR200406497Y1 (ko) 2006-01-23

Family

ID=41758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1245U KR200406497Y1 (ko) 2005-11-04 2005-11-04 자세교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649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8354B1 (ko) 2016-07-04 2018-09-2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파킨슨병 환자용 허리 보조기
KR20230032422A (ko) * 2021-08-31 2023-03-0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흉추 굽힘자세 교정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8354B1 (ko) 2016-07-04 2018-09-2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파킨슨병 환자용 허리 보조기
KR20230032422A (ko) * 2021-08-31 2023-03-0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흉추 굽힘자세 교정기구
KR102599114B1 (ko) * 2021-08-31 2023-11-06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흉추 굽힘자세 교정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94597B2 (en) Scapulo-spinal stabilizer with abdominal support for opening the superior thoracic aperture
US7833182B2 (en) Back support apparatus and method
EP2693993B1 (en) Adjustable brace apparatus
US8382692B1 (en) Neck and spine support device for a neck in flexion
RU2629794C2 (ru) Ортез для лечения сколиоза
US20190380859A1 (en) Shoulder and arm restraint
US20150148727A1 (en) Low-profile, postural corrective garment for therapeutic relief of low back pain and mechanical lumbar disorders
KR102034921B1 (ko) 척추 교정 장치
CN104955422A (zh) 可调整周向长度的腰骶支架
JP4354405B2 (ja) 鎖骨骨折固定帯
US10835411B2 (en) Anatomically neutral arm support apparatus
US20080119770A1 (en) Sling for supporting an arm
JPWO2010071170A1 (ja) 医療用コルセット付きガードル
KR200406497Y1 (ko) 자세교정구
KR20200025903A (ko) 자세교정벨트
KR101647439B1 (ko) 경추와 흉추의 만곡을 유지하는 쿠션
US20160235574A1 (en) Lumbar support device
JP2002177310A (ja) 肩用サポーター
RU2142244C1 (ru) Жилет, корректирующий осанку человека
KR200318281Y1 (ko) 자세교정용 벨트
KR200353892Y1 (ko) 교정벨트
US20140058306A1 (en) Adjustable length orthotic device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CN201076540Y (zh) 脊柱损伤外固定支具
KR102051663B1 (ko) 체간 교정용 속옷
JPH0717214U (ja) 姿勢矯正バン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