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3910B1 - 경추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경추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3910B1
KR101633910B1 KR1020150032621A KR20150032621A KR101633910B1 KR 101633910 B1 KR101633910 B1 KR 101633910B1 KR 1020150032621 A KR1020150032621 A KR 1020150032621A KR 20150032621 A KR20150032621 A KR 20150032621A KR 101633910 B1 KR101633910 B1 KR 101633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er
supporting
connecting member
support unit
receiv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2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범모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32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3910B1/ko
Priority to PCT/KR2016/002289 priority patent/WO2016144080A1/ko
Priority to US15/556,423 priority patent/US1141318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3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3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5Cervical coll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A61F5/048Traction spl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83Splints for the neck or head

Abstract

본 발명은 경추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보조장치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경추 보조장치는 착용자의 턱부위를 감싸듯이 받쳐주는 상부 받침부, 착용자의 목주변 어깨부위에 밀착되어 지지되는 하부 지지부, 상부 받침부와 하부 지지부 후방에 위치되어 착용자의 목 뒷부분을 지지하는 후방 지지부, 및 상부 받침부의 일 측면에 설치되는 몸체와, 하부 지지부의 일 면에서 몸체로 연장형성되는 연결부재와, 연결부재가 관통되게 몸체의 일측에 설치되고, 연결부재를 축으로 양 방향 회전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며, 회전부재의 회전 방향에 따라 높이조절부의 몸체가 연결부재를 따라 상승 및 하강됨으로써, 상부 받침부가 하부 지지부에 대하여 상승 및 하강될 수 있다.

Description

경추 보조장치{A cervical brace}
본 발명은 경추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추는 척추에서 흉추 윗부분으로 머리를 지지하는 일곱마디의 경추골로 구성되어 있다.
경추골은 흉추상부에서 앞쪽으로 약간 휘어지게 만곡되어 있어서 서서 있거나, 특히 의자에 앉아서 장시간 근무할 때 머리의 하중을 가장 많이 받는 부분으로서, 잘못된 자세 및 생활습관 그리고 운동부족 등으로 경추골이 정상위치에서 변위하거나 이탈되면서 각 경추골 사이의 추간연골을 압박하여 통증과 함께 신경계통으로 연결된 다른 신체부분까지 파생되는 나쁜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이렇게 비정상적으로 변형이 된 경추를 교정하기 위하여 지금까지 한의원에서는 지압, 안마, 침, 뜸 등으로 치료하였고, 병원에서는 물리치료, 견인치료 (Traction)와 함께 척추조정요법(Chiropractic), 튜나요법 등으로 치료하였으나, 치료환자를 관찰한 결과 한방치료 및 척추조정요법, 튜나요법은 주로 경추의 굳어진 근육을 부드럽게 풀어주고 경추의 횡돌기를 교정시키는 정도이고, 견인치료는 흉추에서 경추로 이어지는 일곱마디의 기본적인 경추골의 만곡진 정상상태를 고려하지 않고 일직선상으로만 견인함으로 인해 통증만 유발시키고, 변위, 이탈진 경추골이 정상위치로 교정되지못하여 계속 재발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면, 인체부위 중 경추(頸椎)는 척추의 상단 부위, 인체의 경부(頸部)에 있는 추골을 의미하는 것으로, 7개의 척추뼈로 이루어지고 요추(腰椎)와 흉추(胸椎)와는 달리 회전운동이나 굴곡 및 신전 운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기존 경추 질환으로는 경추부염좌, 경추추간판 탈출증, 경추골절, 경추척추관 협착증, 후종인대골화증, 척추종양 등이 있으며, 이중 흔한 질환은 경추부염좌 및 경추추간판 탈출증이다.
그 경추부염좌(頸椎部捻挫; whiplash injury)는 경추를 지지해주는 주위의 근육이나 인대 등이 비정상적으로 긴장 또는 이완되어 있거나 경추부가 외력에 의하여 과신전 혹은 과굴곡되거나, 비틀림 또는 축으로 압박될 때 목근육과 경추 주위를 싸고 있는 근육, 인대등이 늘어나거나 찢어져 붓고 아픈 증세를 갖는 것이다.
또한, 경추추간판 탈출증(頸椎椎間坂脫出症; ruptured cervacal disk)은 일명 목디스크 라고도 지칭되며, 추간판의 퇴행성 변화에 의해 발생되는 질환이다.
경추추간판 탈출증은 외상 또는 만성 자극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퇴행성으로 발생되거나, 일상생활에서 부적절한 자세로 장시간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할 경우, 급성으로 발생될 수 있다.
위의 경우에 해당되는 목 근육의 경직이나 이완 현상은 물리적 자극을 전달하는 물리 치료수단을 이용하여 치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경추에 이상이 있는 환자의 경우 물리치료시를 제외한 일상생활 중에서도 경추의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종래의 경추 교정기나 경추 보호대의 경우에는 단순히 목 주변을 감싸는 형태로 목의 움직임만을 제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경추 보조장치는 노브 조작에 의한 기어전동방식으로 기어 간의 유격 및 높이조절 시 발생되는 하중에 의해 기어의 마모 및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10-0494073(등록일 2005년 5월 30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착용자의 체형에 적합하게 조절이 용이하여 착용감을 상승시킬 수 있는 경추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경추 보조장치는 착용자의 턱부위를 감싸듯이 받쳐주는 상부 받침부, 착용자의 목주변 어깨부위에 밀착되어 지지되는 하부 지지부, 상부 받침부와 하부 지지부 후방에 위치되어 착용자의 목 뒷부분을 지지하는 후방 지지부, 및 상부 받침부의 일 측면에 설치되는 몸체와, 하부 지지부의 일 면에서 몸체로 연장형성되는 연결부재와, 연결부재가 관통되게 몸체의 일측에 설치되고, 연결부재를 축으로 양 방향 회전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며, 회전부재의 회전 방향에 따라 높이조절부의 몸체가 연결부재를 따라 상승 및 하강됨으로써, 상부 받침부가 하부 지지부에 대하여 상승 및 하강될 수 있다.
이때, 높이조절부의 몸체는 상부 받침부에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 받침부에는 몸체가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몸체의 타 측에는 착용자의 턱에 대하여 상부 받침부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각도조절부재는 고정부재에 슬라이딩하며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각도조절부재는 몸체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때, 각도조절부재의 단면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재는 각도조절부재에 대응하는 형상의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몸체는 회전부재가 수용되도록 일 측으로 개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며, 수용부의 상부 및 하부에는 연결부재가 관통되는 한 쌍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재가 관통되는 회전부재에는 연결부재와 결합되는 결합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재가 배치되는 회전부재에는 결합부재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안착홈은 회전부재의 일면과 타면에 각각 형성되며, 결합부재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회전부재의 일면과 타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안착홈에 각각 안착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재는 너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연결부재는 결합부재에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부 지지부의 일 면에는 연결부재가 고정되는 지지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보조장치는 착용자의 턱을 받쳐주는 상부 받침부의 일측에 하부 지지부와 연결되어 상부 받침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와 각도조절부재가 구비됨으로써, 착용자의 체형에 적합하게 상부 받침부의 높이와 각도 조절이 용이하여 착용감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높이조절부의 결합부재는 너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연결부재는 결합부재에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종래에 비하여 부품이 현저히 줄어들기 때문에 제품의 제조 단가 및 조립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높이조절부의 결합부재는 너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연결부재는 결합부재에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마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보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보조장치의 하부 지지부와 지지부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보조장치의 높이조절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보조장치의 회전부재와 결합부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보조장치의 각조도절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는 도 7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작동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보조장치의 고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보조장치의 고정부재에 각도조절부재가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보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보조장치의 하부 지지부와 지지부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추 보조장치(1)는 착용자의 턱부위를 감싸듯이 받쳐주는 상부 받침부(10), 착용자의 목주변 어깨부위에 밀착되어 지지되는 하부 지지부(20), 상부 받침부(10)와 하부 지지부(20) 후방에 위치되어 착용자의 목 뒷부분을 지지하는 후방 지지부(30), 및 하부 지지부(20)에 대하여 상부 받침부(10)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높이조절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받침부(10)는 착용자의 턱 부분을 아래쪽에서 받쳐주는 것으로서, 착용자의 턱부분을 위쪽으로 가압하면서 받쳐줌에 따라 착용자의 목, 즉 경추가 바로 세워질 수 있다.
이러한 상부 받침부(10)는 착용자의 턱선 및 그 아래쪽의 윤곽에 맞게 굴곡된 형태를 가짐에 따라 착용시 착용자의 턱부분 전체 구간에 밀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해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부 받침부(10)의 양 측에는 높이조절부(10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고정부재(140)가 설치될 수 있다.
고정부재(140)에 대해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자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하부 지지부(20)는 경추 보조장치(1) 전체를 지지하는 베이스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착용자 목주변의 둘레를 따라가면서 앞쪽과 양쪽 어깨부분 및 어깨 뒤쪽 일부까지 연장형성되어 신체의 굴곡에 맞게 덮혀지는 형태의 굴곡형 판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하부 지지부(20)는 착용시 목 주변의 둘레에 밀착되는 형태로 놓여지며 경추 교정장치(1) 전체를 지지하게 되고 뒤쪽은 개방되어 있어 착용자가 용이하게 착용하거나 벗을 수 있다.
또한, 하부 지지부(20)의 일 면에는 연결부재(13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22)가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지지부재(22)는 높이조절부(100)에 대응하는 하부 지지부(20)의 일 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재(22)는 도 2에서와 같이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원기둥 형상의 지지부재(22) 상부에 후술되는 높이조절부(100)의 연결부재(130)가 고정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연결부재(130)가 지지부재(22)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결합될 수 있다.
한편, 지지부재(22)와 하부 지지부(20)의 연결 구조는 도 2에 도시 및 설명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하부 지지부(20)에 대하여 지지부재(22)가 연결부재(130)를 고정결합 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이든 자유롭게 구성될 수 있다.
후방 지지부(30)는 착용자의 목 뒷부분을 받쳐주는 것으로서, 앞쪽의 상부 받침부(10)와 함께 짝을 이루어 착용자의 목 부분 둘레 전체를 균형 있도록 잡아줄 수 있다.
높이조절부(100)는 도 3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보조장치의 높이조절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보조장치의 회전부재와 결합부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조절부(200)는 경추 보조장치(1)가 착용자의 체형에 맞출 수 있도록 하부 지지부(20)와 상부 받침부(10) 사이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설치될 수 있다.
높이조절부(100)는 상부 받침부(10)의 일측 면에 설치되는 몸체(110)와, 몸체(110)의 일 측에 양 방향으로 회전가능한 회전부재(120)와, 회전부재(120)에 대응하는 하부 지지부(20)의 지지부재(22)에 고정결합되어 회전부재(120)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연결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120)가 수용되도록 일 측으로 개방되는 수용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몸체(110)는 회전부재(12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접하도록 ??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회전부재(12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접하는 몸체(110)에는 한 쌍의 관통홀(114)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몸체(110)의 수용부(112)의 상부 및 하부에 관통홀(114)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몸체(110)는 ??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 및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구성이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착용자가 회전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몸체의 일부를 개방시킨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든 자유롭게 구성될 수 있다.
회전부재(120)는 연결부재(130)를 따라 상부 받침부(10)를 상승 및 하강 시키기 위한 것으로, 연결부재(130)를 축으로 양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부재(120)는 수용부(112)에 수용될 수 있으며, 회전부재(12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홈(122)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안착홈(122)에는 결합부재(124)가 안착되는 것으로, 수용부(112)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는 관통홀(114)에 대응하여 회전부재(120)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안착홈(122)의 형상은 결합부재(124)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부재(124)로 너트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안착홈(122)의 중심과 결합부재(124)의 중심에는 연결부재(130)가 관통될 수 있는 중앙 관통홀(126)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130)는 원통형상으로, 연결부재(130)의 일단은 지지부재(22)에 결합되어 상부 받침부(10)를 향하도록 연장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부재(130)의 외주면에는 결합부재(124)와 결합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재(130)는 일정 길이를 가지고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연결부재(130)의 일정 길이는 하부 지지부(20)의 지지부재(22) 저면에서 상부 받침부(10)의 높이조절부(100) 사이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130)는 회전부재(120)에 대응하는 하부 지지부(20)의 일 면과 회전부재(120)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재(130)의 일측은 하부 지지부(20)의 일 면에 설치되는 지지부재(22)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으며, 연결부재(130)의 타측은 수용부(112)에 형성되는 한 쌍의 관통홀(114) 및 중앙 관통홀(126)을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하부 지지부(20)의 지지부재(22)에 결합되는 연결부재(130)는 몸체(110)의 수용부(112) 하부에 형성되는 관통홀(114), 회전부재(120)의 중앙홀(126), 및 몸체(110)의 수용부(112) 상부에 형성되는 관통홀(114)을 순차적으로 관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상부 받침부(10)의 높이 조절 방법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회전부재(120)를 회전시키면, 회전부재(120)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안착되는 한 쌍의 결합부재(124)가 연결부재(130)의 나사산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착용자가 양 방향 회전 가능한 회전부재(120)를 일 방향(화살표 A 참조)으로 회전시키면, 회전부재(120)의 안착홈(122)에 안착된 결합부재(124)는 연결부재(130)를 따라 상승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부 받침부(10)가 상승될 수 있다(화살표 B 참조).
반대로, 회전부재(120)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부재(120)의 안착홈(122)에 안착된 결합부재(124)는 연결부재(130)를 따라 하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부 받침부(10)가 하강될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는 자기 턱에 맞춰서 하부 지지부(20)에 대한 상부 받침부(10)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높이조절부(100)의 몸체(110)는 상부 받침부(10)에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상부 받침부(10)에는 몸체(110)가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부재(140)가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 내지 도 11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보조장치의 각조도절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는 도 7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은 도 8의 작동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보조장치의 고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보조장치의 고정부재에 각도조절부재가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타 측에는 착용자의 턱에 대하여 상부 받침부(1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재(150)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각도조절부재(150)는 그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몸체(110)의 타 측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즉, 몸체(110)의 타 측에 접하는 각도조절부재(150)의 일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점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조절부재(150)에는 나사(152)가 관통될 수 있는 홀(154)이 형성될 수 있으며, 홀(154)에 대응하는 몸체(110)의 타 측에는 나사(152)의 나사산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116)이 형성될 수 있다.
각도조절부재(15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력의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수평선(L)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회전각(θ)을 가지고 경사질 수 있다.
그리고, 각도조절부재(150)는 회전각으로 경사진 상태로 몸체(110)에 밀착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회전각으로 경사진 각도조절부재(150)는 도 10에서와 같이, 상부 받침부(10)에 설치되는 고정부재(140)에 슬라이딩되며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재(140)는 각도조절부재(15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가이드홈(14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이드홈(142)은 각도조절부재(150)와 동일하게 그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경추 보조장치(1)의 상부 받침부(10)의 각도 조절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착용자는 나사(152)를 사용하여 각도조절부재(150)를 몸체(110)의 타 측에 결합홈(116)에 느슨하게 삽입함으로써, 각도조절부재(150)가 몸체(110)에 가고정될 수 있다.
이때, 각도조절부재(15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력의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수평선(L)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착용자는 각도조절부재(150)를 회전시킨 후, 일정한 회전 각도로 경사진 각도조절부재(150)를 몸체(110)의 타 측에 나사(152)를 통하여 밀착 고정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조절부재(150)를 고정부재(140)의 가이드홈(142)으로 삽입함으로써 고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각도조절부재(150)에 의해 상부 받침부(10)의 각도가 착용자의 체형에 맞게 맞출 수 있다.
이때, 고정부재(140)는 수평면(L)과 수평으로 상부 받침부(10)에 설치될 수 있으며, 고정부재(140)의 가이드 홈(142)에 삽입되는 각도조절부재(150)가 수평면(L)에서 경사진 상태로 몸체(110)에 고정됨으로, 몸체(110)는 각도조절부재(150)의 회전각(θ)만큼 기울어진다.
아울러, 몸체(110)는 회전각(θ)만큼 기울어진 상태로 고정부재(140)의 가이드 홈(142)에 삽입되기 때문에, 상부 받침부(10)도 각도조절부재(150)의 회전각(θ)만큼 기울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받침부(10)의 위치가 착용자의 체형에 맞춰질 수 있으므로, 경추 보조장치(1)의 착용감을 상승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경추 보조장치(1)는 높이조절부(100)의 몸체(110)와 각도조절부재(150)가 탈착 가능하므로 각도조절부재(15)로 상부 받침부(10)의 각도를 조절 한 후, 회전부재(120)와 연결부재(140)로 상부 받침부(10)의 높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따라서, 착용자의 턱을 받쳐주는 상부 받침부의 일측에 하부 지지부와 연결되어 상부 받침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와 각도조절부재가 구비됨으로써, 착용자의 체형에 적합하게 상부 받침부의 높이와 각도 조절이 용이하여 착용감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높이조절부의 결합부재는 너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연결부재는 결합부재에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종래에 비하여 부품이 현저히 줄어들기 때문에 제품의 제조 단가 및 조립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높이조절부의 결합부재는 너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연결부재는 결합부재에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마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 경추 보조장치 10:상부 받침부
20 : 하부 지지부 30 :후방 지지부
100 : 높이조절부 110 : 몸체
120 : 회전부재 124 : 결합부재
130 : 연결부재 140 : 고정부재
150 : 각도조절부재

Claims (12)

  1. 착용자의 턱부위를 감싸듯이 받쳐주는 상부 받침부;
    상기 착용자의 목주변 어깨부위에 밀착되어 지지되는 하부 지지부;
    상기 상부 받침부와 상기 하부 지지부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착용자의 목 뒷부분을 지지하는 후방 지지부; 및
    상기 상부 받침부의 일 측면에 설치되는 몸체와, 상기 하부 지지부의 일 면에서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연결부재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연결부재가 관통되며 내주면 상에 상기 나사산에 대응하는 대응 나사산을 구비하여 상기 연결부재의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부의 몸체가 상기 연결부재를 따라 상승 및 하강됨으로써, 상기 상부 받침부가 상기 하부 지지부에 대하여 상승 및 하강되는 경추 보조장치.
  2. 착용자의 턱부위를 감싸듯이 받쳐주는 상부 받침부;
    상기 착용자의 목주변 어깨부위에 밀착되어 지지되는 하부 지지부;
    상기 상부 받침부와 상기 하부 지지부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착용자의 목 뒷부분을 지지하는 후방 지지부;
    상기 상부 받침부의 일 측면에 설치되는 몸체와, 상기 하부 지지부의 일 면에서 상기 몸체로 연장형성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가 관통되게 상기 몸체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재를 축으로 양 방향 회전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높이조절부; 및
    상기 몸체의 타 측에는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착용자의 턱에 대하여 상기 상부 받침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부의 몸체가 상기 연결부재를 따라 상승 및 하강됨으로써, 상기 상부 받침부가 상기 하부 지지부에 대하여 상승 및 하강되는 경추 보조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의 몸체는 상기 상부 받침부에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상부 받침부에는 상기 몸체가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부재가 설치되는 경추 보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재는 상기 몸체에 나사결합되는 경추 보조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단면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추 보조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각도조절부재에 대응하는 형상의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경추 보조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회전부재가 수용되도록 일 측으로 개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의 상부 및 하부에는 상기 연결부재가 관통되는 한 쌍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경추 보조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가 관통되는 상기 회전부재에는 상기 연결부재와 결합되는 결합부재가 배치되는 경추 보조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가 배치되는 상기 회전부재에는 상기 결합부재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경추 보조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은 상기 회전부재의 일면과 타면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재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일면과 타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상기 안착홈에 각각 안착되는 경추 보조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너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추 보조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부의 일 면에는 상기 연결부재가 고정되는 지지부재가 설치되는 경추 보조장치.
KR1020150032621A 2015-03-09 2015-03-09 경추 보조장치 KR101633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2621A KR101633910B1 (ko) 2015-03-09 2015-03-09 경추 보조장치
PCT/KR2016/002289 WO2016144080A1 (ko) 2015-03-09 2016-03-08 경추 보조장치
US15/556,423 US11413182B2 (en) 2015-03-09 2016-03-08 Cervical br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2621A KR101633910B1 (ko) 2015-03-09 2015-03-09 경추 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3910B1 true KR101633910B1 (ko) 2016-06-27

Family

ID=56344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2621A KR101633910B1 (ko) 2015-03-09 2015-03-09 경추 보조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413182B2 (ko)
KR (1) KR101633910B1 (ko)
WO (1) WO2016144080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26071A (zh) * 2017-02-16 2017-05-31 同济大学 一种智能颈部治疗装置
CN106923959A (zh) * 2017-03-24 2017-07-07 广东工贸职业技术学院 一种颈椎康复器
KR102079341B1 (ko) * 2019-11-11 2020-02-19 양정재 거북목 교정기
KR102079343B1 (ko) * 2019-11-11 2020-02-19 양정재 거북목 교정기
KR102159449B1 (ko) * 2019-04-03 2020-09-23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목디스크 치료용 병렬로봇형 웨어러블 장치
KR102174370B1 (ko) * 2020-04-08 2020-11-04 (주)위드넥 착용 가능한 능동 목 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목 부하 저감방법
KR102376452B1 (ko) * 2021-05-12 2022-03-18 황재호 경추 보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99987B2 (ja) 2019-05-21 2023-12-18 ディージェーオー,エルエルシー 頸椎カラーの高さ、奥行き及び外周調整機構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3539A (ja) * 1994-05-27 1995-12-05 Toru Arimura 頸椎装具
KR20030084494A (ko) * 2002-04-27 2003-11-01 한정민 경추 견인장치
KR20030097470A (ko) * 2002-06-21 2003-12-31 한정민 경추 견인기의 보조 받침장치
KR100494073B1 (ko) 2002-03-22 2005-06-10 한정민 경추 견인장치
KR20080090821A (ko) * 2007-04-06 2008-10-09 (주)태연메디칼 경추 교정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5876A (en) * 1884-09-30 Belt-clamp
DE2124228C3 (de) * 1971-05-15 1975-07-03 Wilhelm Will Kg, Optisches Werk, 6331 Nauborn Schwalbenschwanzführung
US7128724B2 (en) * 2003-04-14 2006-10-31 Ohana Medical Concepts, Llc Cervical spine brace and traction device
KR101205438B1 (ko) * 2010-05-27 2012-11-28 유실근 견인치료가 가능한 기능성 경추보조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3539A (ja) * 1994-05-27 1995-12-05 Toru Arimura 頸椎装具
KR100494073B1 (ko) 2002-03-22 2005-06-10 한정민 경추 견인장치
KR20030084494A (ko) * 2002-04-27 2003-11-01 한정민 경추 견인장치
KR20030097470A (ko) * 2002-06-21 2003-12-31 한정민 경추 견인기의 보조 받침장치
KR20080090821A (ko) * 2007-04-06 2008-10-09 (주)태연메디칼 경추 교정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26071A (zh) * 2017-02-16 2017-05-31 同济大学 一种智能颈部治疗装置
CN106726071B (zh) * 2017-02-16 2019-04-02 同济大学 一种智能颈部治疗装置
CN106923959A (zh) * 2017-03-24 2017-07-07 广东工贸职业技术学院 一种颈椎康复器
KR102159449B1 (ko) * 2019-04-03 2020-09-23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목디스크 치료용 병렬로봇형 웨어러블 장치
KR102079341B1 (ko) * 2019-11-11 2020-02-19 양정재 거북목 교정기
KR102079343B1 (ko) * 2019-11-11 2020-02-19 양정재 거북목 교정기
KR102174370B1 (ko) * 2020-04-08 2020-11-04 (주)위드넥 착용 가능한 능동 목 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목 부하 저감방법
KR102376452B1 (ko) * 2021-05-12 2022-03-18 황재호 경추 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413182B2 (en) 2022-08-16
US20180042756A1 (en) 2018-02-15
WO2016144080A1 (ko) 2016-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3910B1 (ko) 경추 보조장치
KR101780277B1 (ko)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
KR20170090389A (ko)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
KR20100050859A (ko) 물리치료용 근막 이완기
RU2753640C1 (ru) Корректирующий позвоночник ортопедический массажный валик
KR101430899B1 (ko) 척추 교정용 복합 지압기구
KR101849884B1 (ko) 척추 교정대
KR20200136286A (ko) 공기압을 이용한 경추 견인형 스트레칭 교정운동 마사지장치
KR101649416B1 (ko) 머리 이완용 베개
KR20200136285A (ko) 경추 후두하근 마사지장치
KR101955369B1 (ko) 기능성 골반교정기기
KR20170133002A (ko) 안마 베개
KR102458543B1 (ko) 목 각도조절 견인기
KR20210133333A (ko) 경추굴곡 감지를 통한 교정운동 마사지장치
KR20210132831A (ko) 경추의 견인운동을 통한 마사지장치
KR20170006499A (ko) 경추 마사지용 지압기
KR100823107B1 (ko) 척추 디스크 교정 및 자가 치료기구
CN110537810A (zh) 一种使用颅骶疗法的矫形枕
KR102326038B1 (ko) 경추 마사지 장치
US20240065923A1 (en) Massage apparatus
KR20180059305A (ko) 개인 맞춤형 척추 교정치료기
KR102503243B1 (ko) 척추 측만 및 곡만 교정기
KR102599666B1 (ko) 거북목 교정장치
KR200240806Y1 (ko) 허리 및 다리 교정 도구
CN108553212B (zh) 一种肩支架组件可调的颈椎康复治疗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