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4494A - 경추 견인장치 - Google Patents

경추 견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4494A
KR20030084494A KR1020020023242A KR20020023242A KR20030084494A KR 20030084494 A KR20030084494 A KR 20030084494A KR 1020020023242 A KR1020020023242 A KR 1020020023242A KR 20020023242 A KR20020023242 A KR 20020023242A KR 20030084494 A KR20030084494 A KR 20030084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rvical
fixing
power
support
suppor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3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4071B1 (ko
Inventor
한정민
Original Assignee
한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정민 filed Critical 한정민
Priority to KR10-2002-0023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4071B1/ko
Priority to PCT/KR2003/000540 priority patent/WO2003079941A1/en
Priority to AU2003214672A priority patent/AU2003214672A1/en
Publication of KR20030084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4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4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40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5Cervical coll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37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61H1/0296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65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limits of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81Protectors for articul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rs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추 견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인체의 얼굴과 목의 경계부위를 떠받치되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는 받침부와, 몸통부위에 안착되는 지지부와, 상기 받침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측을 착탈 가능하게 연결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인체의 목 후면부에서 상기 받침부와 상기 지지부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되 입력전원에 의해 동력을 발생하여 상기 받침부를 밀어 올리는 신장수단 및, 이용자의 스위치조작에 따라 상기 신장수단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작동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턱의 높이는 고정시키고 목 뒷부분만을 집중하여 늘려주므로, 턱에 충격이나 압력이 가해지지 않아 TMJ 장해가 발생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턱과 목 뒷부분을 모두 신장시킬 때 보다 경추의 신전거리가 길어져 경추를 효과적으로 견인할 수 있다. 또, 스위치조작에 따른 모터의 구동에 의해 경추부를 신장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어, 환자 스스로가 힘을 조절하며 경추 견인운동을 할 수 있다.

Description

경추 견인장치 {A traction apparatus for the cervical vertebrae}
본 발명은 경추 견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의 경추부분만을 장해 없이 효과적으로 견인할 수 있고 환자 스스로가 견인력을 조절하여 신전운동을 할 수 있는 경추 견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경추(頸椎)는, 척추의 맨 위쪽, 인체의 목 부분(구체적으로는, 경부)에 있는 추골로서, 7개의 척추뼈로 이루어져 있는데 요추(腰椎)와 흉추(胸椎)와는 다른 해부학적 구조를 갖고 있어 회전운동이나 굴곡 및 신전운동을 원활히 작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목 부분에 위치한 경추는, 등과 허리보다 뼈가 훨씬 작을 뿐만 아니라 허리보다는 운동범위가 넓고 움직이는 빈도가 잦기 때문에, 등이나 허리에 비해 충격을 쉽게 받으며 이러한 요인으로 인해 경추통이 요통보다 더 많다.
경추에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으로는, 경추부염좌, 경추추간판 탈출증, 경추골절, 경추척추관 협착증, 후종인대골화증, 척추종양 등이 있는데, 이중 가장 흔하게 발생되는 대표적인 질환은, 경추부염좌와 경추간판 탈출증이다.
상기 경추부염좌(頸椎部捻挫, whiplash injury)는, 경추를 지지해주는 주위의 근육이나 인대 등이 비정상적으로 긴장 또는 이완되어 있거나 경추부가 외력에 의하여 과신전(過伸展) ·과굴곡(過屈曲)되거나, 비틀림 또는 축(軸)으로 압박될 때 목근육과 경추 주위를 싸고 있는 근육 ·인대 등이 늘어나거나 찢어져 붓고 아픈 증세로서, 자동차 추돌사고에서 흔히 발생되며, 추락 ·운동 경기 중 부상에서도 올 수 있다.
상기 경추추간판탈출증(頸椎椎間板脫出症, ruptured cervical disk)은, 목디스크라고도 하는 것으로, 추간판의 퇴행성 변화에 의해서 발생되며, 일반적으로 경추 사이의 추간판이 튀어나와서 신경을 자극하는 연성추간판(soft disc)과 경추 뒤쪽에서 군더더기 뼈가 자라서 신경을 자극하는 경성추간판(hard disc)의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이러한, 경추추간판탈출증은 외상 또는 만성적인 자극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고 중년 이후에는 경추추간판이 노화하여 변화되는 경우에 쉽게 발생되고, 급성인 경우에는 뒤틀린 자세로 장시간 독서를 하거나 텔레비전 시청을 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으며, 고정된 자세로 컴퓨터를 오래 사용하거나 너무 높은 베개를 베고 잠을 잔 경우에도 나타날 수 있다.
상기한 경추부염좌와 경추추간판탈출증은, 경부를 물리적으로 견인함으로써, 경직이나 이완된 근·인대의 근육을 풀어주고 좁아진 경추 추간판 사이를 늘려주어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에 경추 통증의 물리적인 치료방법으로 경추 견인이 많이 시행되고 있다.
종래에 상기한 경추 견인을 수행하는 경추 견인기구로서, (1) 턱과 목 뒷부분을 포함하는 목 전체와 어깨부위를 나사로 일정한 높이로 밀어 올려 고정하는 고정식 견인기구와, (2) 환자의 몸은 침대에 패드 등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턱과 목 뒷부분을 모터를 이용한 동력으로 끌어당기는 동력식 견인기구와, (3) 턱과 목 뒷부분을 포함하는 목 부위를 공기튜브로 감싸고 펌프를 이용해 상기 공기튜브를 목의 길이방향으로 팽창시킴으로써 경부를 밀어 올려 견인하는 공기식 견인기구와, (4) 턱과 목 뒷부분을 고정하고 이를 철봉에 매달아 환자의 체중을 이용해 경부를 늘이는 견인기구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경추 견인기구들은, 턱과 목 뒷부분을 함께 밀어 올리거나 끌어당김으로써 경추를 견인하도록 되어 있는 데, 경추가 목의 뒷부분 쪽에 위치하는 까닭에 턱과 목 뒷부분을 모두 견인하면 목 뒷부분만을 견인하는 경우에 비해 경추의 신전거리가 짧아 경추를 효과적으로 견인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턱에 물리적인 압력이 가해짐으로써 TMJ 장해가 발생될 수 있는 심대한 문제점이 있었다.
참고적으로, TMJ(TemporoMandibular Joint)는 귀 앞쪽에 위치한 관절로서 아래턱(하악골)을 머리(두개골)에 연결시켜주는 부위이고 입을 벌리거나 다물고 음식을 씹는 운동에 관여하는 근육들이 연결되어 있는데, 아래턱과 TMJ 및 근육들이 바르게 위치하여 조화롭게 움직이지 못할 때 발생되는 장해를 TMJ 장해라고 하며, 이러한 TMJ 장해는 턱에 과도한 충격 또는 압력이 가해짐으로 인해 쉽게 발병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경추 견인기구들은, 착용 후 신전운동을 하기 위해서는 주위사람이 도와줘야 하므로 이용이 불편하고, 경추를 견인할 때 견인력을 환자 스스로가 조절하지 못하므로 효율적인 운동을 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경추에 손상을 입을 가능성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경추에 가까운 목 뒷부분만을 집중적으로 견인할 수 있고 환자가 혼자서 착용하기 쉬우며 스스로의 조작을 통해 견인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경추 견인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경추 견인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경추 견인장치를 결합한 전면도,
도 3은 도 2의 후면도,
도 4는 도 2의 우측면도,
도 5는 도 4의 AB방향 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경추 견인장치를 환자가 착용하여 작동하는 상태를 보인 우측면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작동제어수단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작동제어수단을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작동제어수단을 나타낸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경추 견인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경추 견인장치를 환자가 착용하여 작동하는 상태를 보인 우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받침부 10-1, 10-2: 받침부재
11-1, 11-2: 받침면 12: 힌지축
13: 잠금수단 14: 고정 브라켓
15: 고정 너트 16, 17: 가이드봉
20: 지지부 21: 구멍
22: 고정 나사봉 23, 24: 파이프
25: 이송 나사봉 26: 기어박스
27: 모터 28: 전원코드
30, 31: 너트 40, 41: 베벨기어
50: 작동제어수단 51: 몸체
52: 배터리 53: 뚜껑부재
54: 스위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경추 견인장치는, 인체의 얼굴과 목의 경계부위를 떠받치되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는 받침부와, 몸통부위에 안착되는 지지부와, 상기 받침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측을 착탈 가능하게 연결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인체의 목 후면부에서 상기 받침부와 상기 지지부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되 입력전원에 의해 동력을 발생하여 상기 받침부를 밀어 올리는 신장수단 및, 이용자의 스위치조작에 따라 상기 신장수단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작동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경추 견인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경추 견인장치를 결합한 전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후면도, 도 4는 도 1의 우측면도로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경추 견인장치는, 크게 목 부위에 착용되는 받침부(10)와 지지부(20)로 구성된다.
상기 받침부(10)는 그 상·하부가 개방되어 있고 그 내주면에 얼굴과 목의 경계부위를 떠받칠 수 있도록 받침면(11-1,11-2)이 완만하게 절곡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받침부재(10-1, 10-1)로 구성되어 있고, 한쌍의 받침부재(10-1, 10-2)의 각 일단에는 종방향으로 힌지축(12)이 결합되어 횡방향으로 여닫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한쌍의 받침부재(10-1, 10-2)의 각 타단은 잠금수단(13)에 의해 서로 맞닿아 잠그거나 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잠금수단(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한쌍의 받침부재(10-1, 10-2)의 각 타단에 서로 맞닿을 경우 서로 일직선으로 관통되는 삽입구멍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걸림부재(13-1, 13-2) 및 이 걸림부재(13-1, 13-2)의 삽입구멍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잠금핀(13-3)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잠금수단(13)으로서, 걸림부재에 핀을 삽입하여 고정하는 방식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현재까지 개발된 어떤 형태의 잠금장치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받침부(10)의 전면 즉, 받침부재(10-1)의 외주면에는 삽입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 브라켓(14)이 형성되어 있고, 받침부(10)의 후면 즉, 받침부재(10-2)의 외주면에는 고정 너트(15)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받침부(10)의 하부면 즉, 한쌍의 받침부재(10-1, 10-2)의 어느 한쪽의 하부면(10-2)에는 가이드 봉(16, 17)이 설치되어 있다.
참고적으로, 상기 가이드 봉(16, 17)은 적어도 하나면 만족하고 필요에 따라 원하는 수만큼 복수개를 설치할 수 있으며, 복수개를 설치할 경우에 한쌍의 받침부재(10-1, 10-2) 중 어느 한쪽에만 설치될 필요는 없고 한쌍의 받침부재(10-1, 10-2)에 각각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20)는 인체의 목이 끼워질 수 있는 구멍(21)이 형성되어 있고 그 상부면에 고정 나사봉(22)과 파이프(23, 24)와 이송 나사봉(25)과 기어박스(26) 및 모터(27)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20)는 인체의 몸통부위(바람직하게는, 어깨부위)에 안착되어 받침부(10)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목을 끼우기 위한 구멍(21)은 지지부(20)를 몸통부위에 효과적으로 안착하여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 필수적인 것이 아니다.
즉, 지지부(20)는 몸통부위에 안착될 수 있는 구조라면 구멍의 유무에 관계없이 적용이 가능하다. 예컨대, 지지부에 구멍을 형성하지 않는 대신 목이 끼워질 수 있는 홈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가슴부위에 끼워지도록 상하부가 개폐된 항아리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지지부(20)는 어깨부위에 안착된 상태에서 좌우로 회동하지 않고 착용감이 편안하도록,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 나사봉(22)은 착용시에 받침부(10)에 구비된 고정 브라켓(14)의 구멍에 삽입되는 것으로 고정 브라켓(14)의 구멍에 삽입된 상태로 복수의 너트(30, 31)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파이프(23, 24)는 받침부(10)에 구비된 가이드봉(16, 17)이 삽입된다.
상기 이송 나사봉(25)은, 도 5를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일단이 받침부(10)에 구비되어 있는 고정 너트(15)에 끼워지고 타단이 기어박스(26)에 그 일부가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게 고정 및 지지되는데, 기어박스(26)의 내부로 삽입된 상기 이송 나사봉(25)의 타단에는 베벨기어(40)가 설치된다.
상기 모터(27)는 그 회전축이 기어박스(26)에 삽입되는데, 기어박스(26)의 내부로 삽입된 상기 모터(27)의 회전축에는 상기 이송 나사봉(25)에 설치된 베벨기어(40)와 기어물림되는 베벨기어(41)가 설치된다.
참고적으로, 상기 모터(27)의 회전축에 설치된 베벨기어(41)에 대한 이송 나사봉(25)에 설치된 베벨기어(40)의 기어비를 작게 하여 모터(27)의 회전속도보다 이송 나사봉(25)의 회전속도를 더 느려지게 함으로써, 견인력을 보다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모터(27)에는 전원 코드(28)를 매개로 작동제어수단(50)이 연결되어 있는데, 이 작동제어수단(50)은 이용자의 조작에 따라 모터(27)에 전류방향을 절환하여 인가함으로써 모터(27)를 정/역 구동한다.
이러한, 작동제어수단(5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의 수납공간에 배터리(battery)(52)가 수납되어 있는 몸체(51)와, 몸체(51)의 배터리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뚜껑부재(53)와, 몸체(51)에 수납되어 있는 배터리(52)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의 방향을 이용자의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절환하여 전원 코드(power cord)(28)를 통해 모터(27)로 인가하는 스위치(54)로 구성된다.
참고적으로,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받침부(10)의 전면을 지지부(20)로부터 이용자가 소망하는 높이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 및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으로서, 비교적 단순한 구조인 고정 브라켓(14)과 고정 나사봉(22) 및 복수개의 너트(30, 31)를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2개의 분리된 부재를 착탈 가능하게 소망하는 높이로 연결 고정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형태의 연결장치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 참고적으로, 상기 가이드봉(16, 17) 및 파이프(23, 24)는, 본 발명의 경추 견인장치를 착용할 때, 받침부(10)를 지지부(20)에 쉽게 끼워 맞출 수 있도록 설치된 가이드수단임과 동시에 받침부(10)를 신장시킬 때 받침부(10)가 좌우방향으로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나,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또한, 참고적으로,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작동제어수단(50)이 별도로 분리되어 있는 경우만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작업성, 제조원가, 편리성, 필요성 등을 감안하여 작동제어수단이 지지부(20)에 부착되도록 용이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참고적으로,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송 나사봉(25)과 모터(27)의 회전축이 베벨기어(40, 41)를 매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송 나사봉(25)와 모터(27)의 회전축을 직접 연결하거나, 베벨기어가 아닌 다른 타입의 기어를 매개로 연결하는 등 용이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다.
이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이용자는 지지부(20)의 구멍(21)에 목을 끼워 지지부(20)를 착용하고, 받침부(10)를 힌지축(12)을 중심으로 개방한 상태로 가이드 봉(16, 17)은 지지부(20)의 파이프(23, 24)에 삽입하고 고정 나사봉(22)에 너트(30)를 끼운 상태로 이 고정 나사봉(22)을 고정 브라켓(14)의 구멍에 삽입하며 이송 나사봉(25)을 고정 너트(15)에 끼워 맞춘다.
여기서, 이송 나사봉(25)은 이용자가 작동제어수단(50)의 스위치(54)를 조작해서 모터(27)로 전류를 인가하여 일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고정너트(15)에 끼워 맞출 수 있다.
즉, 이용자가 작동제어수단(50)의 스위치(54)를 "하향(down)"으로 조작함으로써, 배터리(52)의 전류가 순방향으로 모터(27)에 인가되어 모터(27)가 정회전 구동하게 되고, 모터(27)의 회전력이 기어박스(26)의 베벨기어(40, 41)에 의해 직각으로 전환된 다음 이송 나사봉(25)으로 전달되어 이송 나사봉(25)이 일방향으로 회동하면서 고정너트(15)에 끼워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이용자는 고정 나사봉(22)에 끼워져 있는 너트(30)로 고정 나사봉(20)과 고정 브라켓(14)간의 연결점을 조절함으로써, 받침부(10)의 높이를 이용자가 소망하는 높이로 맞춘 다음, 고정 나사봉(22)에 너트(31)을 끼워서 고정 나사봉(22)을 고정브라켓(14)에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착용상태가 되는데, 이용자가 작동제어수단(50)의 스위치(54)를 "상향(up)"으로 조작하면, 배터리(52)의 전류가 역방향으로 모터(27)에 인가되어 모터(27)가 역회전 구동하게 되고, 모터(27)의 회전력이 기어박스(26)의 베벨기어(40, 41)에 의해 직각으로 전환된 다음 이송 나사봉(25)으로 전달되어 이송 나사봉(25)이 타방향으로 회전된다.
여기서, 이송 나사봉(25)의 회전방향은 고정너트(15)로부터 이송 나사봉(25)이 하방으로 이탈되는 방향인데, 이송 나사봉(25)은 지지부(1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반발력에 의해 고정 너트(15)가 상방으로 밀어 올려지게 된다(도 5 참조).
이때, 받침부(10)의 전면부는 고정 나사봉(22) 및 고정 브라켓(14)에 의해 지지부(20)에 고정되어 있는 바, 이송 나사봉(25)의 회동에 의해 고정 너트(15)가 밀어 올려지면 받침부(10)가, 도 6의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후면으로부터 전면으로 다소 경사지게 휘어지면서 인체의 목 뒷부분을 신장시키게 된다.
참고적으로, 받침부(10)는 금속이나 플라스틱 등의 통상적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금속과 플라스틱 등과 같은 통상의 재료는 일정범위 내에서 휘어질 수 있는 성질 즉, 가요성(可撓性)이 있는 바, 받침부(10)의 일면이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받침부(10)의 타면을 밀어 올리면 받침부(10)가 일정한 범위 내에서 약간 휘어지게 된다.
즉, 모터(27)에 의해 이송 나사봉(25)을 회동시켜 받침부(10)의 후면을 밀어 올림에 의해 인체의 목 뒷부분을 신장시켜 경추 부위를 견인하는 것이다.
여기서, 경추가 위치하고 있는 목 뒷부분만이 신장되고 턱은 신장되지 않으므로, TMJ 장해가 발생될 염려가 없으며, 턱과 목 뒷부분을 모두 신장시키는 경우와 비교해 경추의 신전거리가 상대적으로 길어지므로 경추를 효과적으로 견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작동제어수단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콘센트(도시되지 않음)에 접속되는 플러그(plug)(60)와, 이 플러그(60)를 매개로 상기 전원콘센트로부터 인가되는 상용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평활함과 더불어 설정레벨로 변압하는 전원 어뎁터(61)와, 이 전원 어뎁터(61)와 전원 코드(62)를 매개로 연결되는 몸체(63)에 설치되어 상기 전원 어뎁터(61)로부터 인가되는 직류전압의 전류 방향을 이용자의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절환하여 모터(27)로 인가하는 스위치(64)로 구성된다.
이러한,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작동제어수단은, 직접 전원콘센트에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된 것으로, 배터리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배터리의 교체에 따른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유지비를 절감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작동제어수단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콘센트(도시되지 않음)에 접속되는 플러그(70)와, 이 플러그(70)를 매개로 상기 전원콘센트로부터 인가되는 상용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평활함과 더불어 설정레벨로 변압하는 전원 어뎁터(71)와, 이 전원 어뎁터(71)와 전원 코드(72)를 매개로 연결되는 몸체(73)와, 이 몸체(73)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충전 배터리(charging battery)(74)와, 몸체(73)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원 어뎁터(71)로부터 인가되는 직류전압을 충전 배터리(74)에 충전하는 충전기(75)와, 이용자의 조작에 따라 충전 배터리(74)에 충전되어 있는 전원의 전류 방향을 절환하여 모터(27)로 인가하는 스위치(76)로 구성된다.
이러한,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작동제어수단은, 충전 배터리에 전원을 충전하였다가 사용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전원콘센트에 접속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경추 견인운동을 할 수 있고 배터리를 교체하지 않아도 된다.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경추 견인장치는, 이용자가 바닥에 누워서 경추 견인운동을 할 수 있게 한 것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10)의 후면에 받침부(10)가 신장되는 방향으로 이를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딩수단이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딩수단은 받침부재(10-2)의 후부 외주면에 고정 설치된 플랜지(80)와, 이 플랜지(8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81)로 구성된다.
여기서, 플랜지(80)와 롤러(81)로 구성된 슬라이딩수단은 구현 가능한 가장 단순한 형태를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받침부(10)를 슬라이딩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형태의 장치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경추 견인장치는, 도 11을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이용자가 바닥면(F)에 누운 상태로 작동제어수단(50)의 스위치(54)를 "상향(up)"으로 조작하면, 배터리(52)의 전류가 역방향으로 모터(27)에 인가되어 모터(27)가 역회전 구동하게 되고, 모터(27)의 회전력이 기어박스(26)의 베벨기어(40, 41)에 의해 직각으로 전환된 다음 이송 나사봉(25)으로 전달되어 이송 나사봉(25)이 타방향으로 회전된다.
여기서, 이송 나사봉(25)의 회전방향은 고정너트(15)로부터 이송 나사봉(25)이 하방으로 이탈되는 방향인데, 이송 나사봉(25)은 지지부(1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반발력에 의해 고정 너트(15)가 상방으로 밀어 올려지게 된다.
받침부(10)의 전면부는 고정 나사봉(22) 및 고정 브라켓(14)에 의해 지지부(20)에 고정되어 있는 바, 이송 나사봉(25)의 회동에 의해 고정 너트(15)가 밀어 올려지면 받침부(10)가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후면으로부터 전면으로 다소 경사지게 휘어지면서 인체의 목 뒷부분을 신장시키게 된다.
이때, 롤러(81)가 받침부(10)와 바닥면(F) 간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므로, 이용자는 바닥(F)에 누운 상태에서 간단히 작동제어수단(50)의 스위치(54)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받침부(10)를 신장시킬 수 있고, 이로서, 일어서거나 앉은 상태와 동일하게 경추의 견인운동을 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는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변형, 수정을 용이하게 만들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 또는 수정이 본 발명의 특징을 이용하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턱의 높이는 고정시키고 목 뒷부분만을 집중하여 늘려주므로, 턱에 충격이나 압력이 가해지지 않아 TMJ 장해가 발생되지 않을 뿐 만 아니라, 턱과 목 뒷부분을 모두 신장시킬 때보다 경추의 신전거리가 길어져 경추를 효과적으로 견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스위치조작에 따른 모터의 구동에 의해 경추부를 신장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환자 스스로가 견인력을 조절하며 경추 견인운동을 할 수 있어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이며 이용이 편리하다.

Claims (11)

  1. 경추 견인장치에 있어서,
    인체의 얼굴과 목의 경계부위를 떠받치되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는 받침부와,
    몸통부위에 안착되는 지지부와,
    상기 받침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측을 착탈 가능하게 연결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인체의 목 후면부에서 상기 받침부와 상기 지지부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되 입력전원에 의해 동력을 발생하여 상기 받침부를 밀어 올리는 신장수단 및,
    이용자의 스위치조작에 따라 상기 신장수단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작동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견인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하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그 내주면에 인체의 얼굴과 목의 경계부위를 떠받칠 수 있도록 받침면이 완만하게 절곡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받침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받침부재는 종방향으로 결합된 힌지축에 의해 횡방향으로 여닫을 수 있게 되어 있음과 더불어 단부에 구비된 잠금수단에 의해 잠글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견인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수단은, 상기 받침부와 지지부 중 어느 하나에고정 설치되어 있는 고정 너트와,
    상기 받침부 및 지지부 중 남은 하나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고정 너트에 끼워지는 이송 나사봉 및,
    상기 작동제어수단으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하여 상기 이송 나사봉을 회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견인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기어비에 의해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기어수단을 매개로 상기 이송 나사봉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견인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수단은, 기어비에 의해 회전속도의 조절이 가능함과 더불어 힘의 전달방향 전환이 가능한 베벨기어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견인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받침부와 지지부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 브라켓과,
    일단이 상기 받침부와 지지부 중 남은 하나에 고정 설치되며 타단이 상기 고정 브라켓의 구멍에 삽입되는 고정 나사봉과,
    상기 고정 나사봉에 끼워져 상기 고정 나사봉을 상기 고정 브라켓에 고정하는 복수의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견인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제어수단은, 배터리와, 이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배터리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의 방향을 절환하여 상기 신장수단으로 인가하는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견인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제어수단은, 전원콘센트에 접속되는 플러그와, 이 플러그를 매개로 상기 전원콘센트로부터 인가되는 상용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평활함과 더불어 설정레벨로 변압하는 전원 어뎁터와, 이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전원 어뎁터로부터 인가되는 직류전압의 전류 방향을 절환하여 상기 신장수단으로 인가하는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견인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제어수단은, 전원콘센트에 접속되는 플러그와, 이 플러그를 매개로 상기 전원콘센트로부터 인가되는 상용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평활함과 더불어 설정레벨로 변압하는 전원 어뎁터와, 충전 배터리와, 상기 전원 어뎁터로부터 인가되는 직류전압을 상기 충전 배터리에 충전하는 충전기와, 이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충전 배터리에 충전되어 있는 전원의 전류 방향을 절환하여 상기 신장수단으로 인가하는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견인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와 상기 지지부 중 어느 한쪽에 고정 설치된 가이드봉 및, 상기 받침부와 상기 지지부 중 남은 한쪽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봉이 삽입되는 파이프로 구성된 가이드 수단이 추가로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견인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의 외주면 중 인체의 목 뒷부분이 위치하는 부분에는, 상기 받침부를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딩수단이 추가로 더 설치되어 있는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견인장치.
KR10-2002-0023242A 2002-03-22 2002-04-27 경추 견인장치 KR100494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3242A KR100494071B1 (ko) 2002-04-27 2002-04-27 경추 견인장치
PCT/KR2003/000540 WO2003079941A1 (en) 2002-03-22 2003-03-19 A traction apparatus for the cervical vertebrae
AU2003214672A AU2003214672A1 (en) 2002-03-22 2003-03-19 A traction apparatus for the cervical vertebra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3242A KR100494071B1 (ko) 2002-04-27 2002-04-27 경추 견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4494A true KR20030084494A (ko) 2003-11-01
KR100494071B1 KR100494071B1 (ko) 2005-06-10

Family

ID=32380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3242A KR100494071B1 (ko) 2002-03-22 2002-04-27 경추 견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407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084B1 (ko) * 2008-01-16 2008-09-24 최길운 목 디스크 치료 교정기
KR101633910B1 (ko) * 2015-03-09 2016-06-2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경추 보조장치
CN110680587A (zh) * 2019-11-04 2020-01-14 佛山市乙太医疗用品有限公司 一种颈椎牵引装置
CN112155822A (zh) * 2020-10-14 2021-01-01 深圳市澳诺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颈椎牵引装置
KR20230094398A (ko) * 2021-12-21 2023-06-28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간편 목 고정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57292B2 (en) 2008-10-03 2012-09-04 Linares Medical Devices, Llc Neck cast with multi-position adjustability of height and diameter and including downwardly configured shoulder supports for immobilizing a patient's head
KR101766200B1 (ko) * 2015-11-26 2017-09-06 (주)헬스메드 기능성 목디스크 보호대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4306A (en) * 1983-12-19 1989-08-08 Pujals Jr Charles Cervical/occipital support
US4593684A (en) * 1984-03-01 1986-06-10 Graham Erwin W Occipital support for cervical traction
US5067483A (en) * 1990-08-21 1991-11-26 Freed William L Cervical traction device
KR200195562Y1 (ko) * 1998-04-27 2001-09-29 유영호 목보호구
KR19990045817A (ko) * 1999-01-19 1999-06-25 장익춘 공기주입식경추보호대의보장구
KR100390534B1 (ko) * 2000-12-29 2003-07-07 형 근 이 경추 교정기
KR200283775Y1 (ko) * 2002-03-22 2002-07-27 한정민 경추 견인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084B1 (ko) * 2008-01-16 2008-09-24 최길운 목 디스크 치료 교정기
KR101633910B1 (ko) * 2015-03-09 2016-06-2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경추 보조장치
WO2016144080A1 (ko) * 2015-03-09 2016-09-1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경추 보조장치
US11413182B2 (en) 2015-03-09 2022-08-16 Korea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Cervical brace
CN110680587A (zh) * 2019-11-04 2020-01-14 佛山市乙太医疗用品有限公司 一种颈椎牵引装置
CN112155822A (zh) * 2020-10-14 2021-01-01 深圳市澳诺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颈椎牵引装置
KR20230094398A (ko) * 2021-12-21 2023-06-28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간편 목 고정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4071B1 (ko) 2005-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0680B1 (ko) 경추 견인장치
US10245173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lieving and preventing excessive back and joint discomfort, poor posture, and lack of energy
US5823982A (en) Traction apparatus for physical therapy of herniated nucleosus pulposus or sprain and strain
CN210843673U (zh) 一种脊柱外科矫正装置
CN101637417B (zh) 一种俯卧式颈椎校正装置
KR100494071B1 (ko) 경추 견인장치
CN111228086B (zh) 一种颈椎康复机器人
CN205434029U (zh) 一种针对脊柱外科病的预防治疗椅
KR100494073B1 (ko) 경추 견인장치
WO2003079941A1 (en) A traction apparatus for the cervical vertebrae
KR200283775Y1 (ko) 경추 견인장치
CN109646163A (zh) 一种便于佩戴使用的脊柱矫正装置
CN201453444U (zh) 一种俯卧式颈椎校正装置
KR20030097470A (ko) 경추 견인기의 보조 받침장치
CN212439294U (zh) 一种颈椎康复机器人
CN114848255A (zh) 一种脊柱外科护理康复运动器
CN210990992U (zh) 一种采用气动肌肉驱动的腰椎牵引装置
CN210019848U (zh) 一种可实现个性化调节的颈椎病牵引颈托
KR101283784B1 (ko) 목 디이스크환자를 위한 견인장치
CN208693556U (zh) 差速器无级调速腰椎牵引床
KR200291305Y1 (ko) 경추 견인기의 보조 받침장치
CN219557719U (zh) 一种颈部康养仪
CN221932289U (zh) 一种脊柱外科术后康复牵引装置
CN112043483B (zh) 一种新型可穿戴式腰椎牵引装置
KR102020565B1 (ko) 재활치료용 신체 견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