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7470A - 경추 견인기의 보조 받침장치 - Google Patents

경추 견인기의 보조 받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7470A
KR20030097470A KR1020020034859A KR20020034859A KR20030097470A KR 20030097470 A KR20030097470 A KR 20030097470A KR 1020020034859 A KR1020020034859 A KR 1020020034859A KR 20020034859 A KR20020034859 A KR 20020034859A KR 20030097470 A KR20030097470 A KR 20030097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support
support
support plate
cervical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4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정민
Original Assignee
한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정민 filed Critical 한정민
Priority to KR1020020034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97470A/ko
Publication of KR20030097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7470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17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with vertical cross-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5Cervical colla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48Adjustable, angled or hinged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52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ends of the rails are fixed on the lateral sides of the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4Connections for attaching additional wire to frames, posts or railings

Abstract

본 발명은 경추 견인기의 보조 받침장치에 관한 것으로, 받침부의 내측에 환자의 턱과 목을 떠받치되 소망하는 각도만큼 경추를 좌우로 구부릴 수 있는 보조 받침수단을 설치함으로써, 통증 부위에 따라 경추를 좌우로 구부린 상태로 견인운동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을 이용하면, 통증 부위가 경부의 정중앙이 아닌 측부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이를 효과적으로 견인하여 치료할 수 있다.

Description

경추 견인기의 보조 받침장치 {A supplementary support in traction apparatus for the cervical vertebrae}
본 발명은 경추 견인기의 보조 받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경추 견인기에 적용하여 경추 견인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경추 견인기의 보조 받침장치에 관한 것이다.
경추(頸椎)는, 척추의 맨 위쪽, 인체의 목 부분(구체적으로는, 경부)에 있는 추골로서, 7개의 척추뼈로 이루어져 있는데 요추(腰椎)와 흉추(胸椎)와는 다른 해부학적 구조를 갖고 있어 회전운동이나 굴곡 및 신전운동을 원활히 작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목 부분에 위치한 경추는, 등과 허리보다 뼈가 훨씬 작을 뿐만 아니라 허리보다는 운동범위가 넓고 움직이는 빈도가 잦기 때문에, 등이나 허리에 비해 충격을 쉽게 받으며 이러한 요인으로 인해 경추통이 요통보다 더 많다.
경추에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으로는, 경추부염좌, 경추추간판 탈출증, 경추골절, 경추척추관 협착증, 후종인대골화증, 척추종양 등이 있는데, 이중 가장 흔하게 발생되는 대표적인 질환은, 경추부염좌와 경추간판 탈출증이다.
상기 경추부염좌(頸椎部捻挫, whiplash injury)는, 경추를 지지해주는 주위의 근육이나 인대 등이 비정상적으로 긴장 또는 이완되어 있거나 경추부가 외력에의하여 과신전(過伸展) ·과굴곡(過屈曲)되거나, 비틀림 또는 축(軸)으로 압박될 때 목근육과 경추 주위를 싸고 있는 근육 ·인대 등이 늘어나거나 찢어져 붓고 아픈 증세로서, 자동차 추돌사고에서 흔히 발생되며, 추락 ·운동 경기 중 부상에서도 올 수 있다.
상기 경추추간판탈출증(頸椎椎間板脫出症, ruptured cervical disk)은, 목디스크라고도 하는 것으로, 추간판의 퇴행성 변화에 의해서 발생되며, 일반적으로 경추 사이의 추간판이 튀어나와서 신경을 자극하는 연성추간판(soft disc)과 경추 뒤쪽에서 군더더기 뼈가 자라서 신경을 자극하는 경성추간판(hard disc)의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이러한, 경추추간판탈출증은 외상 또는 만성적인 자극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고 중년 이후에는 경추추간판이 노화하여 변화되는 경우에 쉽게 발생되고, 급성인 경우에는 뒤틀린 자세로 장시간 독서를 하거나 텔레비전 시청을 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으며, 고정된 자세로 컴퓨터를 오래 사용하거나 너무 높은 베개를 베고 잠을 잔 경우에도 나타날 수 있다.
상기한 경추부염좌와 경추추간판탈출증은, 경부를 물리적으로 견인함으로써, 경직이나 이완된 근·인대의 근육을 풀어주고 좁아진 경추 추간판 사이를 늘려주어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에 경추 통증의 물리적인 치료방법으로 경추 견인이 많이 시행되고 있다.
종래에 상기한 경추 견인을 수행하는 경추 견인기구로서, (1) 턱과 목 뒷부분을 포함하는 목 전체와 어깨부위를 일정한 높이로 밀어 올려 고정하는 고정식 견인기구와, (2) 환자의 몸을 침대에 패드 등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턱과 목 뒷부분을 모터를 이용한 동력으로 끌어당기는 동력식 견인기구와, (3) 턱과 목 뒷부분을 포함하는 목 부위를 공기튜브로 감싸고 펌프를 이용해 상기 공기튜브를 목의 길이방향으로 팽창시킴으로써 경부를 밀어 올려 견인하는 공기식 견인기구와, (4) 턱과 목 뒷부분을 고정하고 이를 철봉에 매달아 환자의 체중을 이용해 경부를 늘이는 견인기구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 중 상기한 고정식 견인기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인체의 목 부위에 착용되는 받침부와 몸통 부위에 착용되는 지지부로 구성된다.
상기 받침부는 턱 부위를 받치는 제1 받침판(10)과 이 제1 받침판(10)에 대응되어 목의 뒷부분을 받치는 제2 받침판(11)으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는 앞가슴 부분에 착용되는 제1 지지판(20)과 등과 목의 경계부위에 착용되는 제2 지지판(21)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받침판(10)의 내부면은 턱의 아랫부분을 받칠 수 있도록 곡면처리되어 있고, 상기 제1 지지판(20)에는 목의 앞부분이 끼워질 수 있도록 "∩"형태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받침판(10, 11)과 제1 및 제2 지지판(20, 21)의 내부면은 인체에 밀착됨과 더불어 착용시 편안할 수 있도록 쿠션 처리되어 있다.
상기 제2 받침판(11)은 제1 받침판(10)에 벨크로 타입의 벨트(12)에 의해 부착 및 탈착이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제2 지지판(21)도 제1 지지판(20)에 벨크로 타입의 벨트(22)에 의해 부착 및 탈착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1 지지판(20)에는 그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걸림홈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지지봉(23, 24)이 설치되어 있으며, 제1 받침판(10)에는 상기 한쌍의 지지봉(23, 24)에 관통 삽입되어 가이드되는 한쌍의 가이드구멍(13, 14)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한쌍의 가이드 구멍(13, 14)의 내부에는 이용자의 버튼(15)조작에 따라 상기 지지봉(23, 24)의 걸림홈에 걸어져 구속되거나 그 구속이 해제되는 구속수단(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이용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기구를 착용한 상태에서 받침부를 상방향으로 끌어당겨 원하는 높이까지 올린 다음 구속수단으로 록킹시켜 두면 받침부는 이용자가 올린 높이에서 고정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경추 견인기구는, 경추를 직선으로 곧추 세운 상태로만 견인하도록 되어 있어 통증 부위가 경부의 정중앙이 아닌 측부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이를 효과적으로 견인하여 치료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경추를 좌측이나 우측으로 구부린 상태로 견인운동을 할 수 있게 보조하는 경추 견인기의 보조 받침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경추 경인기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이용자가 도 1에 도시된 경추 견인기를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전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받침수단이 적용된 경추 견인기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받침부의 평면도,
도 5는 도 4에 손잡이와 나사봉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탄발 지지수단의 구조도,
도 7 내지 도 9는 도 3에 도시된 경추 견인기를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전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111: 받침판 112, 122: 벨크로 타입의 벨트
120, 121: 지지판 123, 124: 지지봉
200, 210: 보조받침판 201, 211: 회전지지봉
202: 나사봉 203: 슬라이드구멍
204: 손잡이 204a: 암나사구멍
205, 206: 삽입홈 215, 216: 삽입용 돌기
300: 탄발지지수단 301: 몸체
310: 횡 바 320∼331: 고정돌기
340, 341: 스프링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경추 견인기의 보조 받침장치는, 상기 받침부의 내부에 인체의 목과 얼굴의 경계부위를 떠받치도록 된 보조 받침수단이 수평축을 중심으로 양측부가 회동 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선택적으로 구속될수 있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보조 받침수단이, 상·하부가 개방되어 있고 그 내주면에 인체의 얼굴과 목의 경계부위를 떠받칠 수 있도록 받침면이 완만하게 절곡 형성되어 있으며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는 보조 받침판과, 상기 보조 받침판의 양단을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상기 받침부에 고정하는 회전수단과, 상기 보조 받침판의 회동을 구속하는 구속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받침수단이 적용된 경추 견인기의 분리 사시도로서, 본 발명이 적용된 경추 견인기는, 크게 받침부와 지지부로 구성되는데, 상기 받침부는 턱 부위를 받치는 제1 받침판(110)과 이 제1 받침판(110)에 대응되어 목의 뒷부분을 받치는 제2 받침판(111)으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는 앞가슴 부분에 착용되는 제1 지지판(120)과 등과 목의 경계부위에 착용되는 제2 지지판(121)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받침판(110)의 내부면은 턱의 아랫부분을 받칠 수 있도록 곡면처리되어 있고, 상기 제1 지지판(120)에는 목의 앞부분이 끼워질 수 있도록 "∩"형태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받침판(111)은 제1 받침판(110)에 벨크로 타입의 벨트(112)에 의해 부착 및 탈착이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제2 지지판(121)도 제1 지지판(120)에벨크로 타입의 벨트(122)에 의해 부착 및 탈착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1 지지판(120)에는 그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걸림홈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지지봉(123, 124)이 설치되어 있으며, 제1 받침판(110)에는 상기 한쌍의 지지봉(123, 124)에 관통 삽입되어 가이드되는 한쌍의 가이드구멍(113, 114)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한쌍의 가이드 구멍(113, 114)의 내부에는 이용자의 버튼(115)조작에 따라 상기 지지봉(123, 124)의 걸림홈에 걸어져 구속되거나 그 구속이 해제되는 구속수단(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받침부의 내부에는 인체의 목과 얼굴의 경계부위를 떠받치도록 된 보조 받침수단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 보조 받침수단은, 제1 및 제2 보조받침판(200, 2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보조받침판(200)은, 도 4를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제1 받침판(110)의 내측에 설치되는데, 제1 보조받침판(200)의 일단에 고정된 제1 회전지지봉(201)이 제1 받침판(110)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는 바, 제1 보조받침판(200)은 상기 제1 회전지지봉(201)에 의해 제1 받침판(110)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제1 보조받침판(200)의 측면에는 그 외주면에 수나사선이 가공되어 있는 나사봉(202)이 고정되어 있는데, 이 나사봉(202)은 제1 받침판(110)에 그 외측면과 내측면을 관통하여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라이드 구멍(203)을 관통하여 제1 받침판(11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슬라이드 구멍(203)을 관통하여 돌출된 나사봉(202)의 종단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용자가 잡기 쉽게 되어 있는 손잡이(204)에 형성된 암나사홈(204a)이 끼워지는 바, 손잡이(204)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나사봉(202)에 일정 깊이 이상 끼우게 되면 손잡이(204)의 일단이 제1 보조받침판(200)의 외측면을 압착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2 보조 받침판(210)의 외측면에는 제2 회전지지봉(211)이 고정되어 있고 이 제2 회전지지봉(211)은 제2 받침판(111)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는 바, 제2 보조받침판(210)은 상기 제2 회전지지봉(211)에 의해 제2 받침판(111)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제2 회전지지봉(211)의 회전 자유로운 종단에는 탄발지지수단(300)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 탄발지지수단(3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받침판(111)의 외측면에 설치된 몸체(301)와, 이 몸체(301)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 회전지지봉(211)의 종단에 결합되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횡(橫) 바(bar)(310)와, 상기 횡 바(310)의 양단 하부에 형성된 제1 및 제2 고정돌기(320, 321)와, 이 제1 및 제2 고정돌기(320, 321)에 대향되게 몸체(301)의 내측 바닥면에 설치된 제3 및 제4 고정돌기(330, 331)와, 상기 고정돌기(320, 321, 330, 331)에 각각의 양단이 끼워져 횡 바(311)의 양단을 탄발 지지하는 한쌍의 스프링(340, 341)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탄발지지수단(300)은, 이용자가 착용 후 목에 힘을 주지 않은 상태에서 제1 보조 받침판(200) 및 제2 보조 받침판(210)이 회동하지 않고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하고 제1 보조 받침판(200) 및 제2 보조 받침판(210)에 적당한 탄발력을 주어 이용자가 목을 좌측이나 우측으로 구부릴 때 소망하는 각도를 쉽게 설정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보조적인 장비로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제1 보조 받침판(200)과 제2 보조 받침판(210)은, 제1 보조 받침판(200)에 형성된 삽입홈(205, 206)과 이에 대응되어 제2 보조 받침판(210)에 형성된 삽입용 돌기(215, 216)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용자는 착용시에 제1 받침판(200)의 가이드 구멍(113, 114)에 제1 지지판(120)의 지지봉(123, 124)를 삽입하여 제1 받침판(200)을 일정 높이에 고정시킨 다음, 제1 보조 받침판(200)에 턱을 받치고 제2 보조 받침판(210)을 목의 뒷부분에 댄 상태로 제2 보조 받침판(210)의 삽입용 돌기(215, 216)를 제1 보조 받침판(211)의 삽입홈(205, 206)에 삽입하여 제1 보조 받침판(200)과 제2 보조 받침판(210)을 연결하고, 벨크로타입의 벨트(112)에 의해 제2 받침판(111)을 제1 받침판(110)에 부착하여 고정시키게 된다(도 7 참조).
이와 같이 착용한 상태에서, 제1 보조 받침판(200) 및 제2 보조 받침판(210)은 탄발지지수단(300)의 스프링(340, 341)에 의해 수평을 유지하고 있게 된다.
이때, 이용자가 스프링(340, 341)의 탄발력을 이길 수 있는 힘으로 좌측이나 우측으로 목을 구부리게 되면, 제1 보조 받침판(200) 및 제2 보조 받침판(210)이 목을 구부리는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는 바, 이용자는 소망하는 각도로 목을 구부린 다음 손잡이(204)를 회전시켜 손잡이(204)의 일단을 제1 받침판(110)에 압착시킴으로써, 제1 및 제2 보조 받침판(200, 210)을 제1 받침판(110)에 고정시킨다(도 8 및 도 9 참조).
다음, 제1 받침판(110)을 소망하는 높이까지 끌어올려 고정함으로써, 이용자는 통증부위에 따라 경추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구부린 상태에서 견인운동을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보조 받침판(200)과 제2 보조 받침판(210)이 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동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동하도록 구성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추견인기의 보조 받침장치는, 도 3 내지 도 9에 도시된 경추 견인기의 보조 받침장치의 기본 구성과 동일하나, 나사봉(202)과 슬라이드 구멍(203)과 손잡이(204)와 탄발지지수단(300)이 없는 대신, 제1 회전지지봉(210)과 제2 회전지지봉(211)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이를 회동시키기 위한 기어박스가 결합되고 이 기어박스를 구동하는 모터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기억박스는 상기 모터로부터 발생된 회전력을 그에 결합된 제1 회전지지봉(210) 또는 제2 회전지지봉(211)에 전달하여 회전시키도록 구비된 것으로, 모터의 구동이 정지하면 그에 결합된 제1 회전지지봉(210) 또는 제2 회전지지봉(211)을 구속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구동회로와, 이 모터구동회로에 작동전원을 인가하는 전원공급수단(예컨대, 배터리 등) 및, 상기 모터구동회로로 이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키조작수단 등이 구비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는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변형, 수정을 용이하게 만들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 또는 수정이 본 발명의 특징을 이용하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특히,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받침장치를 고정식 견인기구에 적용한 경우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턱과 목 부분을 받치는 받침부가 구비된 것이라면 어떤 형태의 견인기구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받침부의 내측에 환자의 턱과 목을 떠받치되 소망하는 각도만큼 경추를 좌우로 구부릴 수 있는 보조 받침수단을 설치함으로써, 통증 부위에 따라 경추를 좌우로 구부린 상태로 견인운동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을 이용하면, 통증 부위가 경부의 정중앙이 아닌 측부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이를 효과적으로 견인하여 치료할 수 있다.

Claims (10)

  1. 인체의 목부위를 떠받치는 받침부가 구비되어 있는 경추 견인기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의 내부에 인체의 목과 얼굴의 경계부위를 떠받치도록 된 보조 받침수단이 수평축을 중심으로 양측부가 회동 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선택적으로 구속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는 특징으로 하는 경추 견인기의 보조 받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받침수단은,
    상·하부가 개방되어 있고 그 내주면에 인체의 얼굴과 목의 경계부위를 떠받칠 수 있도록 받침면이 완만하게 절곡 형성되어 있으며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는 보조 받침판과,
    상기 보조 받침판의 양단을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상기 받침부에 고정하는 회전수단과,
    상기 보조 받침판의 회동을 구속하는 구속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견인기의 보조 받침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받침판은, 한쌍의 판으로 이루어져 연결수단을 매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견인기의 보조 받침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한쌍의 판 중 어느 한쪽의 판에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용 돌기와, 상기 한쌍의 판 중 남은 한쪽의 판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용 돌기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견인기의 보조 받침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일단이 상기 보조받침판과 상기 받침부 중 어느 한쪽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보조받침판과 상기 받침부 중 남은 한쪽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는 한쌍의 회전지지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견인기의 보조 받침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받침판의 회동을 탄발 지지하는 탄발 지지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견인기의 보조 받침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탄발 지지수단은, 상기 회전지지봉의 양단 중 회전 자유로운 단부에 결합되는 횡 바와,
    상기 횡 바의 양단을 각각 탄성력에 의해 지지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견인기의 보조 받침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는, 상기 받침부의 외측면과 내측면을 관통하여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라이드 구멍과,
    일단이 상기 보조 받침판의 외측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슬라이드 구멍을통해 상기 받침부의 외부로 돌출되며 외주면에 수나사선이 가공되어 있는 나사봉과,
    이용자가 잡기 쉽게 되어 있고 일측에 형성된 암나사홈이 상기 나사봉의 타단에 끼워지되 일정 깊이 이상 끼워지면 상기 받침부의 외측면에 압착되도록 이루어진 손잡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견인기의 보조 받침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받침수단은,
    상·하부가 개방되어 있고 그 내주면에 인체의 얼굴과 목의 경계부위를 떠받칠 수 있도록 받침면이 완만하게 절곡 형성되어 있으며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는 보조 받침판과,
    상기 보조 받침판의 양단을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상기 받침부에 고정하는 회전수단과,
    상기 회전수단에 결합되어 상기 보조 받침판을 회동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모터구동회로와,
    상기 모터구동회로에 작동전원을 인가하는 전원공급수단과,
    상기 모터구동회로로 이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키조작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견인기의 보조 받침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별도의 기어박스를 매개로 상기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견인기의 보조 받침장치.
KR1020020034859A 2002-06-21 2002-06-21 경추 견인기의 보조 받침장치 KR200300974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4859A KR20030097470A (ko) 2002-06-21 2002-06-21 경추 견인기의 보조 받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4859A KR20030097470A (ko) 2002-06-21 2002-06-21 경추 견인기의 보조 받침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8857U Division KR200291305Y1 (ko) 2002-06-21 2002-06-21 경추 견인기의 보조 받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7470A true KR20030097470A (ko) 2003-12-31

Family

ID=32388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4859A KR20030097470A (ko) 2002-06-21 2002-06-21 경추 견인기의 보조 받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9747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084B1 (ko) * 2008-01-16 2008-09-24 최길운 목 디스크 치료 교정기
KR100869693B1 (ko) * 2007-04-06 2008-11-21 (주)태연메디칼 경추 교정기
KR101633910B1 (ko) * 2015-03-09 2016-06-2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경추 보조장치
WO2016175347A3 (ko) * 2015-04-28 2017-05-18 양동규 목 지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헤드셋, 전자기기
KR101990241B1 (ko) 2018-02-14 2019-06-17 문경환 경추 인장효과를 갖는 접이식 패드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693B1 (ko) * 2007-04-06 2008-11-21 (주)태연메디칼 경추 교정기
KR100860084B1 (ko) * 2008-01-16 2008-09-24 최길운 목 디스크 치료 교정기
KR101633910B1 (ko) * 2015-03-09 2016-06-2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경추 보조장치
WO2016144080A1 (ko) * 2015-03-09 2016-09-1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경추 보조장치
US11413182B2 (en) 2015-03-09 2022-08-16 Korea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Cervical brace
WO2016175347A3 (ko) * 2015-04-28 2017-05-18 양동규 목 지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헤드셋, 전자기기
KR101990241B1 (ko) 2018-02-14 2019-06-17 문경환 경추 인장효과를 갖는 접이식 패드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1005B1 (ko) 물리치료 기능을 구비한 마사지장치
KR101173164B1 (ko) 경추 견인치료기
KR102186814B1 (ko) 경추교정기
KR100966084B1 (ko) 경추용 교정장치
US5823982A (en) Traction apparatus for physical therapy of herniated nucleosus pulposus or sprain and strain
JP2014111156A (ja) 熟眠用整形枕
CA2393152A1 (en) Device for providing accupressure back massage
KR101715519B1 (ko) 경부 교정 장치
US20080004556A1 (en) Multifunctional neck brace
KR20200136285A (ko) 경추 후두하근 마사지장치
WO2008143469A2 (en) The method and apparatus of spinal correction with a equipment made to measure
KR20030097470A (ko) 경추 견인기의 보조 받침장치
KR200291305Y1 (ko) 경추 견인기의 보조 받침장치
KR100494073B1 (ko) 경추 견인장치
KR100494071B1 (ko) 경추 견인장치
KR101283784B1 (ko) 목 디이스크환자를 위한 견인장치
KR200283775Y1 (ko) 경추 견인장치
CN207733967U (zh) 一种加热型颈枕
KR102020565B1 (ko) 재활치료용 신체 견인장치
KR100823107B1 (ko) 척추 디스크 교정 및 자가 치료기구
KR200406852Y1 (ko) 경추용 교정기
KR200402802Y1 (ko) 경추용 교정기
KR102326038B1 (ko) 경추 마사지 장치
CN211750954U (zh) 一种新型理疗器
US20050133042A1 (en) Neck collars for relieving neck pai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