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9693B1 - 경추 교정기 - Google Patents

경추 교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9693B1
KR100869693B1 KR1020070034159A KR20070034159A KR100869693B1 KR 100869693 B1 KR100869693 B1 KR 100869693B1 KR 1020070034159 A KR1020070034159 A KR 1020070034159A KR 20070034159 A KR20070034159 A KR 20070034159A KR 100869693 B1 KR100869693 B1 KR 100869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rvical
pedestal
wearer
upper pedesta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4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0821A (ko
Inventor
최길운
Original Assignee
(주)태연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연메디칼 filed Critical (주)태연메디칼
Priority to KR1020070034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9693B1/ko
Publication of KR20080090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0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9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9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5Cervical coll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83Splints for the neck or 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61H1/0296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73Means for preventing injuries
    • A61H2201/0176By stopping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38Driving means with hydraulic or pneuma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09Neck
    • A61H2201/1611Hold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rs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Otolaryngolog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부위의 경추 양측을 지지하는 경추 교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높이조절수단 등을 구비하여 다양한 높이 및 자세로 경추를 지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경추 교정방식을 구현함으로써, 목부위의 경추 양측을 균형있게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다양한 체형의 착용자에게 효과적으로 폭넓게 적용할 수 있는 경추 교정기를 제공한다.
경추, 교정기, 높이조절장치

Description

경추 교정기{The remedy for cervical vertebra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교정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교정기에서 높이조절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교정기에서 높이조절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교정기에서 높이조절장치의 견인을 위한 조작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교정기에서 높이조절장치의 복원을 위한 조작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추 교정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추 교정기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추 교정기의 견인시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추 교정기의 복원시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부 지지대 11 : 상부 받침대
12 : 높이조절장치 13 : 가이드바
14 : 후부 받침대 15 : 튜브
16 : 첵밸브 17 : 복원용 밸브
18 : 브라켓 19 : 잠금장치
20 : 힌지부 21 : 장치 몸체
22 : 랙기어부 23 : 피니언기어부
24 : 노브 25 : 래칫
26 : 플랜지 27 : 래칫기어부
본 발명은 경추 교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목부위의 경추 양측을 균형있게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그 구조를 개선한 경추 교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추는 척추에서 흉추 윗부분으로 머리를 지지하는 일곱마디의 경추골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경추골은 흉추상부에서 앞쪽으로 약간 휘어지게 만곡되어 있어서 서서 있거나, 특히 의자에 앉아서 장시간 근무할 때 머리의 하중을 가장 많이 받는 부분으로서, 잘못된 자세 및 생활습관 그리고 운동부족 등으로 경추골이 정상위치에서 변위하거나 이탈되면서 각 경추골 사이의 추간연골을 압박하여 통증과 함께 신경계통으로 연결된 다른 신체부분까지 파생되는 나쁜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이렇게 비정상적으로 변형이 된 경추를 교정하기 위하여 지금까지 한의원에서는 지압, 안마, 침, 뜸 등으로 치료하였고, 병원에서는 물리치료, 견인치료 (Traction)와 함께 척추조정요법(Chiropractic), 튜나요법 등으로 치료하였으나, 치료환자를 관찰한 결과 한방치료 및 척추조정요법, 튜나요법은 주로 경추의 굳어진 근육을 부드럽게 풀어주고 경추의 횡돌기를 교정시키는 정도이고, 견인치료는 흉추에서 경추로 이어지는 일곱마디의 기본적인 경추골의 만곡진 정상상태를 고려하지 않고 일직선상으로만 견인함으로 인해 통증만 유발시키고, 변위, 이탈진 경추골이 정상위치로 교정되지못하여 계속 재발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면, 인체부위 중 경추(頸椎)는 척추의 상단 부위, 인체의 경부(頸部)에 있는 추골을 의미하는 것으로, 7개의 척추뼈로 이루어지고 요추(腰椎)와 흉추(胸椎)와는 달리 회전운동이나 굴곡 및 신전 운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기존 경추 질환으로는 경추부염좌, 경추추간판 탈출증, 경추골절, 경추척추관 협착증, 후종인대골화증, 척추종양 등이 있으며, 이중 흔한 질환은 경추부염좌 및 경추추간판 탈출증이다.
그 경추부염좌(頸椎部捻挫; whiplash injury)는 경추를 지지해주는 주위의 근육이나 인대 등이 비정상적으로 긴장 또는 이완되어 있거나 경추부가 외력에 의 하여 과신전 혹은 과굴곡되거나, 비틀림 또는 축으로 압박될 때 목근육과 경추 주위를 싸고 있는 근육, 인대등이 늘어나거나 찢어져 붓고 아픈 증세를 갖는 것이다.
또한, 경추추간판 탈출증(頸椎椎間坂脫出症; ruptured cervacal disk)은 일명 목디스크 라고도 지칭되며, 추간판의 퇴행성 변화에 의해 발생되는 질환이다.
상기한 경추추간판 탈출증은 외상 또는 만성 자극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퇴행성으로 발생되거나, 일상생활에서 부적절한 자세로 장시간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할 경우, 급성으로 발생될 수 있다.
위의 경우에 해당되는 목 근육의 경직이나 이완 현상은 물리적 자극을 전달하는 물리 치료수단을 이용하여 치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경추에 이상이 있는 환자의 경우 물리치료시를 제외한 일상생활 중에서도 경추의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기존의 경추 교정기나 경추 보호대의 경우에는 단순히 목 주변을 감싸는 형태로 목의 움직임만을 제한하는 것들이 대부분이어서 착용자의 체형에 적합한 상태로, 또 경추를 바른 자세로 안정감있게 지지해주는 효과면에서는 미흡한 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높이조절수단 등을 구비하여 다양한 높이 및 자세로 경추를 지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경추 교정방식을 구현함으로써, 목부위의 경추 양측을 균형있게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다양한 체형의 착용자에게 효과적으로 폭넓게 적용할 수 있는 경추 교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교정기는 착용자의 목주변 어깨부위에 밀착되어 지지되는 하부 지지대와, 착용자의 턱부위를 감싸듯이 받쳐주는 상부 받침대와, 장치의 몸체는 상부 받침대 및 후부 받침대측과 연결되고 노브조작에 의한 기어전동방식으로 상부 받침대 및 후부 받침대를 상승 및 하강시켜주는 양쪽 2개의 높이조절장치와, 상기 하부 지지대상의 양편에 수직 설치되어 상부 받침대 및 후부 받침대를 포함하는 장치 몸체의 상승 및 하강 동작을 안내하는 양쪽 2개의 가이드바와, 상기 높이조절장치의 후단부 양편에 힌지구조로 연결 설치되어 착용자의 목뒷부분을 받쳐주는 개폐가능한 한쌍의 후부 받침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상부 받침대 및 후부 받침대에 힌지구조로 결합되면서 가이드바에 수직 관통되어 슬라이드 가능한 구조로 지지되는 장치 몸체와, 상기 가이드바측의 랙기어부에 맞물려 돌아가는 피니언기어부를 가지면서 장치 몸체상에 결합되는 노브와, 상기 장치 몸체상에 지지되어 가이드바측과 걸려지면서 장치 몸체의 일방향 움직임을 구속하는 래칫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장치의 노브는 래칫 해제를 위하여 장치 몸체상에서 수평방향으로 미소 유동되면서 그 플랜지를 이용하여 래칫을 한쪽으로 젖혀줄 수 있 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추 교정기는 착용자의 목주변 어깨부위에 밀착되어 지지되는 하부 지지대와, 착용자의 턱부위를 감싸듯이 받쳐주는 상부 받침대와, 장치 몸체는 하부 지지대상에 고정되고 장치 로드는 상부 받침대상에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상부 받침대를 상승 및 하강시켜주는 양쪽 2개의 높이조절장치와, 상기 하부 지지대상의 양편에 수직 설치되어 상부 받침대의 상승 및 하강 동작을 안내하는 두쌍의 가이드바와, 상기 상부 받침대의 후단부 양편에 힌지구조로 연결 설치되어 착용자의 목뒷부분을 받쳐주는 개폐가능한 한쌍의 후부 받침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외부로부터 동력을 제공받기 위하여 장치 몸체로부터 연장되는 튜브 및 이 튜브의 끝에 장착되는 첵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액추에이터의 복원을 위하여 공급되어 있는 동력을 급속 해제가능한 복원용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에어을 동력으로 사용하는 에어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경추 교정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 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교정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경추 교정기는 착용자의 목주변 어깨부위에 놓여지는 하부 지지대(10), 착용자의 턱부위를 받쳐주는 상부 받침대(11), 착용자의 목뒷부분을 받쳐주는 후부 받침대(14), 상부 받침대(11) 및 후부 받침대(14)의 높이조절을 위한 높이조절장치(12)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 지지대(10)는 경추 교정기 전체를 지지하는 베이스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서, 착용자 목주변의 둘레를 따라가면서 앞쪽과 양쪽 어깨부분 및 어깨 뒷쪽 일부까지 연속해서 신체의 굴곡에 맞게 덮혀지는 형태의 굴곡형 판체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하부 지지대(10)는 착용시 목주변의 둘레에 밀착되는 형태로 놓여지면서 경추 교정기 전체를 지지하게 되고, 뒷쪽은 개방되어 있어서 이곳을 통해 착용하거나 벗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상부 받침대(11)는 착용자의 턱부분을 아래쪽에서 받쳐주는 부분으로 서, 이것이 착용자의 턱부분을 윗쪽으로 밀면서 받쳐줌에 따라 착용자의 목, 즉 경추가 바로 세워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부 받침대(11)는 착용자의 턱선 및 그 아래쪽의 윤곽에 맞게 굴곡된 형태를 가짐에 따라 착용시 착용자의 턱부분 전체 구간에 밀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해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부 받침대(11)의 양쪽 단부는 봉형태로 형성되어 있어서 이곳을 이용하여 후술하는 높이조절장치(12)의 장치 몸체(21)에 힌지구조로 끼워지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후부 받침대(14)는 착용자의 목 뒷부분을 받쳐주는 부분으로서, 앞쪽의 상부 받침대(11)와 함께 짝을 이루어 착용자의 목 부분 둘레 전체를 균형있게 잡아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후부 받침대(14)는 2부분으로 이루어져 있고, 또 높이조절장치(12)의 장치 몸체(21)측에 힌지구조로 연결되어 있어서 젖혀서 열거나 닫을 수 있게 되며, 특히 닫은 상태에서는 공지의 잠금장치(19)로 닫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각 부분의 후부 받침대(14)의 한쪽 단부는 위의 상부 받침대(11)와 마찬가지로 봉형태로 형성되어 있어서 이곳을 이용하여 높이조절장치(12)의 장치 몸체(21)에 힌지구조로 끼워지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는 한편, 이때의 봉형태 부분이 연결되는 부위의 형성되는 힌지부(20)를 이용하여 후부 받침대(14)를 수평방향으로 젖힐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교정기에서 높이조절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교정기에서 높이조절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높이조절장치(12)는 노브조작을 통한 동력을 제공받아 상부 받침대(11) 및 후부 받침대(14)를 상승 및 하강시켜 그 높이를 조절해주는 부분이다.
이러한 높이조절장치(12)는 내부에 수직의 관통부를 가지면서 사각 블럭형태로 이루어진 장치 본체(21), 일정길이의 축을 갖는 조작수단으로서의 노브(24), 장치 본체(21)의 일방향 움직임(하강동작)을 단속하는 래칫(25) 등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 본체(21)는 하부 지지대(10)상에 수직으로 세워져 있는 가이드바(13)에 그 관통부를 통해 삽입되면서 노브(24)와 가이드바(13) 간의 기어조합을 통해 상하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며, 양단쪽으로는 상부 받침대(11)와 후부 받침대(14)가 각각 힌지부(20)를 통해 일체식으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노브(24)는 상부 받침대(11) 및 후부 받침대(14)를 포함하는 장치 본체(21)의 상승 및 하강을 조작하는 수단으로서, 장치 본체(21)의 전면과 후면을 관통하는 형태로 결합되어 지지되면서 회전가능한 동시에 축방향으로 일정거리 이동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며, 이때의 노브(24)의 축에는 피니언기어부(23)가 일체식으로 장착되어 있어서 이 피니언기어부(23)가 가이드바(13)에 형성되어 있는 랙기어부(22)와 맞물림에 따라 노브조작에 의한 상승 하강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노브(24)의 축 일측에는 동심원상으로 플랜지(26)가 일체 형성되어 있 으며, 이때의 플랜지(26)는 노브(24)의 축방향 이동시 후술하는 래칫(25)과 간섭되면서 래칫(25)을 한쪽으로 젖혀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플랜지(26)의 젖힘 동작에 의해 래칫(25)의 걸림상태가 해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래칫(25)은 장치 본체(21)의 상승된 위치를 유지시켜주는 수단으로서, 장치 몸체(21)의 관통부 내에 핀구조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때의 핀결합부위에 장착되는 일방향 스프링에 의해 항상 그 상단부는 한쪽으로 젖혀지려는 힘을 받게 되므로서,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가이드바(13)에 형성되어 있는 래칫기어부(27)에 항상 걸려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고, 결국 장치 몸체(21)는 아래쪽으로의 움직임이 구속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교정기에서 높이조절장치의 견인을 위한 조작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교정기에서 높이조절장치의 복원을 위한 조작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추 교정기를 착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후부 받침대(14)을 젖혀서 개방한 상태 및 상부 받침대(11)를 가장 아래쪽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하부 지지대(10)의 개방되어 있는 쪽으로 통해 착용자의 목부분에 가(假) 착용하고, 계속해서 후부 받침대(14)를 닫은 후 잠금장치(19)를 체결하여 착용자의 목부분 주변 및 뒷쪽과 턱부분 아래쪽을 상부 받침대(11)와 후부 받침대(14)가 앞뒤쪽에서 잡아줄 수 있게 한다.
이렇게 상부 받침대(11)와 후부 받침대(14)를 닫은 상태로 조합한 다음, 높 이를 조절하는 경우 노브(24)를 한쪽으로 돌리면 피니언기어부(23)가 가이드바(13)의 랙기어부(22)를 타고 진행되므로, 상부 받침대(11) 및 후부 받침대(14)가 상승하게 되고, 착용자가 원하는 적절한 높이에서 노브 조작을 중단하면 이때의 조절된 높이가 래칫(25)의 구속작용에 의해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높이 조절시 양쪽의 노브(24) 조작량을 적절히 조절하면, 착용자의 좌우측을 균형있게 또는 어느 한쪽을 편한 자세로 하여 안정감있게 받쳐줄 수 있게 된다.
즉, 환자의 경우에 따라서는 어느 한쪽을 덜 올린다거나 또는 더 올린다거나 해야만 자신에 맞는 편한 자세를 찾을 수 있는데, 이때에는 양쪽의 노브 조작량을 적절히 조절하면 편한 자세로 경추를 받치고 있을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착용자의 좌우측이 안정감있게 받쳐질 수 있게 되고, 결국 경추를 적당한 견인력을 가지고 안정된 자세로 바로 세울 수 있고, 착용자는 편안한 착용감과 우수한 경추 교정효과를 가질 수 있게 된다.
한편, 경추 교정기를 벗는 경우, 노브(24)를 살짝 바깥쪽으로 당겨 빼내면 래칫(25)의 구속상태가 해제되므로, 이 상태에서 노브(24)를 반대방향으로 돌려줌으로써, 상부 받침대(11)와 후부 받침대(14)를 초기 위치로 하강시킬 수 있고, 이렇게 하강된 상태에서 후부 받침대(14)의 잠금장치를 해제한 후 후부 받침대(14)를 양편으로 젖혀서 열면, 경추 교정기를 쉽게 앞쪽으로 벗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추 교정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추 교정기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6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경추 교정기는 착용자의 목주변 어깨부위에 놓여지는 하부 지지대(10), 착용자의 턱부위를 받쳐주는 상부 받침대(11), 착용자의 목뒷부분을 받쳐주는 후부 받침대(14), 상부 받침대(11) 및 후부 받침대(14)의 높이조절을 위한 높이조절장치(12)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 지지대(10)는 경추 교정기 전체를 지지하는 베이스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서, 착용자 목주변의 둘레를 따라가면서 앞쪽과 양쪽 어깨부분 및 어깨 뒷쪽 일부까지 연속해서 신체의 굴곡에 맞게 덮혀지는 형태의 굴곡형 판체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하부 지지대(10)는 착용시 목주변의 둘레에 밀착되는 형태로 놓여지면서 경추 교정기 전체를 지지하게 되고, 뒷쪽은 개방되어 있어서 이곳을 통해 착용하거나 벗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상부 받침대(11)는 착용자의 턱부분을 아래쪽에서 받쳐주는 부분으로서, 이것이 착용자의 턱부분을 윗쪽으로 밀면서 받쳐줌에 따라 착용자의 목, 즉 경추가 바로 세워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부 받침대(11)는 착용자의 턱선 및 그 아래쪽의 윤곽에 맞게 굴곡된 형태를 가짐에 따라 착용시 착용자의 턱부분 전체 구간에 밀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해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부 받침대(11)의 양쪽 단부는 관형태로 형성되어 있어서 이곳을 이용하여 후술하는 가이드바(13)에 끼워지면서 슬라이드 가능한 구조로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후부 받침대(14)는 착용자의 목 뒷부분을 받쳐주는 부분으로서, 앞쪽의 상부 받침대(11)와 함께 짝을 이루어 착용자의 목 부분 둘레 전체를 균형있게 잡아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후부 받침대(14)는 2부분으로 이루어져 있고, 또 상부 받침대(11)측에 힌지구조로 연결되어 있어서 젖혀서 열거나 닫을 수 있게 되며, 특히 닫은 상태에서는 공지의 잠금장치(19)로 닫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각 부분의 후부 받침대(14)의 한쪽 단부는 위의 상부 받침대(11)와 마찬가지로 관형태로 형성되어 있어서 이곳을 이용하여 후술하는 가이드바(13)에 끼워지면서 슬라이드 가능한 구조로 지지될 수 있는 한편, 이것이 힌지부(20) 역할을 하여 후부 받침대(14)는 힌지부(20)를 이용하여 수평방향으로 젖힐 수 있게 된다.
상기 높이조절장치(12)는 외부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상부 받침대(11) 및 후부 받침대(14)를 상승 및 하강시켜 그 높이를 조절해주는 부분으로서, 장치 몸체(21)를 이용하여 하부 지지대(10)상에 고정되면서 장치 로드를 이용하여 상부 받침대(11)측에 연결되는 구조(실질적으로는 상부 받침대와 후부 받침대를 상호 연결하고 있는 브라켓측에 연결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이러한 높이조절장치(12)는 다양한 형태의 액추에이터를 적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에어을 동력으로 사용하는 에어실린더(19)를 적용한다.
상기 높이조절장치(12)를 작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에어실린더(19)를 작동시키는 에어을 제공하기 위하여, 실린더 몸체측으로부터 튜 브(15)가 연장되고, 이 튜브(15)의 끝에는 외부 에어주입수단측의 커플러(미도시)와 연결할 수 있는 첵밸브(16)가 장착된다.
이때의 상기 튜브(15)는 하부 지지대(10)상에 공지의 클립 등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첵밸브(16)는 튜브(15) 내로 공기가 유입되는 쪽으로 일방향성을 갖는 밸브로서, 일단 주입된 공기는 첵밸브를 통해 배출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외부의 유체주입수단의 커플러를 첵밸브(16)에 연결한 후, 에어을 주입하게 되면 에어실린더(19)로 에어이 공급되면서 에어실린더가 전진 작동되고, 결국 에어실린더에 작동에 의해 상부 받침대(11) 및 후부 받침대(14)가 상승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높이조절장치(12)에는 액추에이터의 복원을 위하여, 즉 상부 받침대(11)와 후부 받침대(14)를 초기 위치로 하강시키기 위하여, 동력을 급속 해제할 수 있는, 예를 들면 에어실린더로 공급된 에어을 배출시킬 수 있는 복원용 밸브(17)가 갖추어져 있으며, 이에 따라 복원용 밸브(17)의 간단한 개폐조작만으로 상부 받침대(11)와 후부 받침대(14)를 초기 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고, 결국 경추 교정기의 사용상태를 임의로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의 복원용 밸브(17)는 에어빼기가 가능한 공지의 밸브를 적용할 수 있으며, 그 장착위치 또한 높이조절용 액추에이터(19) 뿐만 아니라 튜브(15), 첵밸브(16) 등 그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받침대(11)와 후부 받침대(14)의 상승 및 하강 동작을 지지하면서 안내하기 위한 수단으로 두쌍의 가이드바(13)가 구비된다.
상기 두쌍의 가이드바(13)는 하부 지지대(10)의 양쪽에 한쌍씩 배치되고, 한쌍의 가이드바(13)는 2개의 바가 수직으로 나란하게 위치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렇게 구비되는 가이드바(13)에는 앞쪽으로 위치되는 바를 이용하여 상부 받침대(11)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관형태 부분이 삽입 결합되는 동시에 뒷쪽으로 위치되는 바를 이용하여 후부 받침대(14)의 각 일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관형태 부분이 삽입 결합되는 한편, 이때의 상부 받침대(11)의 관형태 부분과 후부 받침대(14)의 관형태 부분이 브라켓(18)에 의해 서로 연결 형성되므로서, 상부 받침대(11)와 후부 받침대(14)는 가이드바(13)의 안내를 받으면서 일체식으로 상승 및 하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장치(12)의 장치 로드가 상기 브라켓(18)측에 결합되므로서, 높이조절장치(12)의 작동에 의한 상부 받침대(11)와 후부 받침대(14)의 상승 및 하강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추 교정기의 견인시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추 교정기의 복원시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과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추교정기를 착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후부 받침대(14)을 젖혀서 개방한 상태 및 상부 받침대(11)를 가장 아래쪽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하부 지지대(10)의 개방되어 있는 쪽으로 통해 착용자의 목부분에 가 (假) 착용하고, 계속해서 후부 받침대(14)를 닫은 후 잠금장치(19)를 체결하여 착용자의 목부분 주변 및 뒷쪽과 턱부분 아래쪽을 상부 받침대(11)와 후부 받침대(14)가 앞뒤쪽에서 잡아줄 수 있게 한다.
이렇게 상부 받침대(11)와 후부 받침대(14)를 닫은 상태로 조합한 다음, 튜브(15)에 있는 첵밸브(16)를 통해 외부로부터 에어을 주입하면, 높이조절장치(12), 예를 들면 에어실린더로 에어이 공급되면서 에어실린더의 전진 작동에 의해 상부 받침대(11) 및 후부 받침대(14)가 상승하게 되고, 착용자가 원하는 적절한 높이에서 에어 공급을 중단하면 이때의 조절된 높이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높이 조절시 2개의 에어실린더가 양쪽에서 균형있게 상부 받침대(11)와 후부 받침대(14)를 상승시켜주게 되므로, 착용자의 좌우측이 안정감있게 받쳐질 수 있게 되고, 결국 경추를 적당한 견인력을 가지고 안정된 자세로 바로 세울 수 있고, 착용자는 편안한 착용감과 우수한 경추 교정효과를 가질 수 있게 된다.
한편, 경추 교정기를 벗는 경우, 복원용 밸브(17)를 조작하여 에어실린더측의 에어를 빼줌으로써, 상부 받침대(11)와 후부 받침대(14)를 초기 위치로 하강시킬 수 있고, 이렇게 하강된 상태에서 후부 받침대(14)의 잠금장치를 해제한 후 후부 받침대(14)를 양편으로 젖혀서 열면, 경추 교정기를 쉽게 앞쪽으로 벗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양쪽 2개의 높이조절장치를 이용하여 목부위의 경추 양측을 균형있게 지지할 수 있고, 또 필요에 따라서는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는 형태로 지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경추 교정기를 구현함으로써, 착용자의 경추를 효과적으로 바로 세워줄 수 있고 또 이러한 상태를 안정감있게 유지해줄 수 있는 등 경추 교정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높이조절이 가능함에 따라 다양한 체형의 착용자에게 폭넓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착용자의 목주변 어깨부위에 밀착되어 지지되는 하부 지지대(10)와, 착용자의 턱부위를 감싸듯이 받쳐주는 상부 받침대(11)와, 장치의 몸체는 상부 받침대(11) 및 후부 받침대(14)측과 연결되고 상부 받침대(11) 및 후부 받침대(14)를 상승 및 하강시켜주는 양쪽 2개의 높이조절장치(12)와, 상기 하부 지지대(10)상의 양편에 수직 설치되어 상부 받침대(11) 및 후부 받침대(14)를 포함하는 장치 몸체의 상승 및 하강 동작을 안내하는 양쪽 2개의 가이드바(13)와, 상기 높이조절장치(12)의 후단부 양편에 힌지구조로 연결 설치되어 착용자의 목뒷부분을 받쳐주는 개폐가능한 한쌍의 후부 받침대(1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교정기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장치(12)는 노브조작에 의한 기어전동방식이며, 상부 받침대(11) 및 후부 받침대(14)에 힌지구조로 결합되면서 가이드바(13)에 수직 관통되어 슬라이드 가능한 구조로 지지되는 장치 몸체(21)와, 상기 가이드바(13)측의 랙기어부(22)에 맞물려 돌아가는 피니언기어부(23)를 가지면서 장치 몸체(21)상에 결합되는 노브(24)와, 상기 장치 몸체(21)상에 지지되어 가이드바(13)측과 걸려지면서 장치 몸체(21)의 일방향 움직임을 구속하는 래칫(25)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교정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장치(12)의 노브(24)는 래칫 해제를 위하여 장치 몸체(21)상에서 수평방향으로 미소 유동되면서 그 플랜지(26)를 이용하여 래칫(25)을 한쪽으로 젖혀줄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교정기.
  4. 착용자의 목주변 어깨부위에 밀착되어 지지되는 하부 지지대(10)와, 착용자의 턱부위를 감싸듯이 받쳐주는 상부 받침대(11)와, 장치의 몸체는 하부 지지대(10)상에 고정되고 장치의 로드는 상부 받침대(11)상에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상부 받침대(11)를 상승 및 하강시켜주는 양쪽 2개의 높이조절장치(12)와, 상기 하부 지지대(10)상의 양편에 수직 설치되어 상부 받침대(11)의 상승 및 하강 동작을 안내하는 두쌍의 가이드바(13)와, 상기 상부 받침대(11)의 후단부 양편에 힌지구조로 연결 설치되어 착용자의 목뒷부분을 받쳐주는 개폐가능한 한쌍의 후부 받침대(1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교정기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장치(12)는 외부로부터 동력을 제공받기 위하여 장치 몸체로부터 연장되는 튜브(15) 및 이 튜브(15)의 끝에 장착되는 첵밸브(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교정기.
  5. 삭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장치(12)는 장치의 복원을 위하여 공급되어 있는 동력을 급속 해제가능한 복원용 밸브(1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교정기.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장치(12)는 에어을 동력으로 사용하는 에어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교정기.
KR1020070034159A 2007-04-06 2007-04-06 경추 교정기 KR100869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4159A KR100869693B1 (ko) 2007-04-06 2007-04-06 경추 교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4159A KR100869693B1 (ko) 2007-04-06 2007-04-06 경추 교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0821A KR20080090821A (ko) 2008-10-09
KR100869693B1 true KR100869693B1 (ko) 2008-11-21

Family

ID=40151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4159A KR100869693B1 (ko) 2007-04-06 2007-04-06 경추 교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969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4012A (ko) 2020-07-28 2022-02-04 이창윤 거북목 예방을 위한 자세 교정용 목 받침대
KR102376452B1 (ko) * 2021-05-12 2022-03-18 황재호 경추 보조장치
KR20220096160A (ko) 2020-12-30 2022-07-07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목 각도조절 견인치료기
KR20220101406A (ko) 2021-01-11 2022-07-19 오르텍주식회사 경추 교정장치
KR20230155237A (ko) 2022-05-03 2023-11-1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운동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910B1 (ko) * 2015-03-09 2016-06-2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경추 보조장치
WO2016175347A2 (ko) * 2015-04-28 2016-11-03 양동규 목 지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헤드셋, 전자기기
CN105395302A (zh) * 2015-12-25 2016-03-16 张萍 一种具有远程操控功能的智能颈椎牵引器
CN106308992A (zh) * 2016-08-21 2017-01-11 上海欧牡健康管理咨询有限公司 一种基于3d打印的颈椎矫形器的制造工艺
CN107440826A (zh) * 2017-08-03 2017-12-08 景峰 一种可移动颈部牵引装置
KR102018367B1 (ko) * 2018-05-24 2019-10-21 최권한 목 견인 고정기
KR102192633B1 (ko) * 2018-11-01 2020-12-17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거북목 교정기
CN110123505A (zh) * 2019-06-19 2019-08-16 上海脊邦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双侧可调节颈椎牵引器
CN110353987B (zh) * 2019-08-20 2024-02-13 上海朗俊旭美美容器械有限公司 清洗方便的艾灸颈椎仪
KR102246852B1 (ko) * 2019-10-28 2021-04-30 장기용 거북목 교정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7470A (ko) * 2002-06-21 2003-12-31 한정민 경추 견인기의 보조 받침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7470A (ko) * 2002-06-21 2003-12-31 한정민 경추 견인기의 보조 받침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4012A (ko) 2020-07-28 2022-02-04 이창윤 거북목 예방을 위한 자세 교정용 목 받침대
KR20220096160A (ko) 2020-12-30 2022-07-07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목 각도조절 견인치료기
KR102458543B1 (ko) 2020-12-30 2022-10-24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목 각도조절 견인기
KR20220101406A (ko) 2021-01-11 2022-07-19 오르텍주식회사 경추 교정장치
KR102376452B1 (ko) * 2021-05-12 2022-03-18 황재호 경추 보조장치
KR20230155237A (ko) 2022-05-03 2023-11-1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운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0821A (ko) 2008-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9693B1 (ko) 경추 교정기
CN107929036B (zh) 一种颈椎康复训练装置
KR101095633B1 (ko) 척추 교정기
US20150313784A1 (en) Lower Lumber Traction Device and Method of Use
CN209827140U (zh) 一种髋关节脱位持续牵引复位架
US20100279837A1 (en) Equipment for vertical stretching and radicular decompression of the spine
JP2017530834A (ja) 身体のバランスを復元させる下半身及び脊椎関節運動装置並びにその制御方法
KR100420965B1 (ko) 척추 교정용 의자
CN108403338A (zh) 独立装置的立体可调式床上扶手
US20060135897A1 (en) Forward head posture correction collar
WO2007027573A2 (en) Lumbar lordosis brace
EP2044919B1 (en) Stretching bank for health purposes
US20200188213A1 (en) Spinal Cord and Meninges Stretching Frame and Method to Prevent and Treat the Root Cause of Scoliosis
CN206138357U (zh) 一种俯卧位治疗椅
KR100749454B1 (ko) 척추 및 목디스크 교정장치
US10463910B1 (en) Portable stretching device and method for use thereof
CN212347095U (zh) 一种整脊固定椅
CN209645170U (zh) 一种无动力颈椎康复理疗仪
CN206687801U (zh) 一种胸腰椎骨折闭合复位器
RU2459599C1 (ru) Х-тракционный способ вытяжения и удлинения позвоночника и интерактивная тракционно-релаксационн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202078499U (zh) 新型脊柱治疗床
CN106726067B (zh) 多功能悬垂式脊椎牵引康复治疗机
KR200270422Y1 (ko) 척추 교정용 의자
CN109009650A (zh) 一种充气式腰椎引导康复器
CN213758811U (zh) 一种骨科护理用牵引复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