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6814B1 - 경추교정기 - Google Patents

경추교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6814B1
KR102186814B1 KR1020190078634A KR20190078634A KR102186814B1 KR 102186814 B1 KR102186814 B1 KR 102186814B1 KR 1020190078634 A KR1020190078634 A KR 1020190078634A KR 20190078634 A KR20190078634 A KR 20190078634A KR 102186814 B1 KR102186814 B1 KR 102186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rvical
support part
movable block
heigh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8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3727A (ko
Inventor
김기온
정대훈
Original Assignee
김기온
정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온, 정대훈 filed Critical 김기온
Publication of KR20200003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3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6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6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61H1/0296Ne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8Apparatus for applying pressure or blows almost perpendicular to the body or limb axis, e.g. chiropractic devices for repositioning vertebrae, correcting deform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09Ne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목부위에 배치되고 높이를 조절하도록 된 경추 교정부(2)를 구비하는 경추 교정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경추 교정부(2)는 평탄한 베이스부(21)와, 상기 베이스부(21)에서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연장되고 슬로트(22)가 형성된 레일부재(23), 상기 레일부재(23)에서 높이조절가능하게 설치된 절첩지지부(24)(24') 및 상기 절첩지지부(24)(24')의 상단에 장착되어 경추를 지지하도록 만곡된 형상의 경추 지지부(25) 및 상기 경추 지지부(25)의 높이를 조정하도록 상기 절첩지지부(24)(24')를 구동하는 구동부(6)를 포함하며, 상기 절첩지지부(24)(24')들은 각각 두개의 바(241, 242)(241',242')가 X자 형태로 결합되고 양측 레일부재(23)와 경추 지지부(25) 사이에서 대향되게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쌍으로 서로 이격된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절첩지지부(24)의 하나의 바(241)는 하단이 레일부재(23)에 형성된 슬로트(22)에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연결부재(245)로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바(242)는 그 상단이 상기 경추 지지부(25)의 측면에 형성된 슬로트(251)에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한편, 하단은 레일부재(23)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경추교정기{The remedy apparatus for the cervical vertebrae}
본 발명은 경추교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경추인장기를 배치하여 높이를 조절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체형에 따른 경추 교정을 보다 사용자가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개선된 경추교정기에 관한 것이다.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경추(頸椎)는, 척추의 맨 위쪽, 인체의 목 부분(구체적으로는, 경부)에 있는 추골로서, 7개의 척추뼈로 이루어져 있는데 요추(腰椎)와 흉추(胸椎)와는 다른 해부학적 구조를 갖고 있어 회전운동이나 굴곡 및 신전운동을 원활히 작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목 부분에 위치한 경추는 등과 허리보다 뼈가 훨씬 작을 뿐만 아니라 허리보다는 운동범위가 넓고 움직이는 빈도가 잦기 때문에, 등이나 허리에 비해 충격을 쉽게 받으며 이러한 요인으로 인해 경추통이 요통보다 더 많고, 경추에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으로는 가장 흔하게 발생되는 경추부염좌와 경추간판 탈출증을 비롯하여 경추골절, 경추척추관 협착증, 후종인대골화증, 척추종양 등이 있다.
상기 경추부염좌(頸椎部捻挫, whiplash injury)는, 경추를 지지해주는 주위의 근육이나 인대 등이 비정상적으로 긴장 또는 이완되어 있거나 경추부가 외력에 의하여 과신전(過伸展)·과굴곡(過屈曲)되거나, 비틀림 또는 축(軸)으로 압박될 때 목근육과 경추 주위를 싸고 있는 근육 인대 등이 늘어나거나 찢어져 붓고 아픈 증세로서, 자동차 추돌사고에서 흔히 발생되며, 추락이나 운동 경기 중 부상에서도 올 수 있다.
상기 경추추간판탈출증(頸椎椎間板脫出症, ruptured cervical disk)은, 목디스크라고도 하는 것으로, 추간판의 퇴행성 변화에 의해서 발생되며, 일반적으로 경추 사이의 추간판이 튀어나와서 신경을 자극하는 연성추간판(soft disc)과 경추 뒤쪽에서 군더더기 뼈가 자라서 신경을 자극하는 경성추간판(hard disc)의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뉘고, 이러한, 경추추간판탈출증은 외상 또는 만성적인 자극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고 중년 이후에는 경추추간판이 노화하여 변화되는 경우에 쉽게 발생되고, 급성인 경우에는 뒤틀린 자세로 장시간 독서를 하거나 텔레비전 시청을 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으며, 고정된 자세로 컴퓨터를 오래 사용하거나 너무 높은 베개를 베고 잠을 잔 경우에도 나타날 수 있다.
상기한 경추부염좌와 경추추간판탈출증은, 증세가 심한 경우에는 병원에서 경추 신장과 같은 물리적 치료를 받아야 하지만, 증세가 비교적 경미한 경우에는 경추의 각도를 정상각도로 유지되게 받쳐 주고 교정할 수 있는 경추 교정기를 사용하여 경직이나 이완된 근·인대의 근육을 풀어 주고 좁아진 경추 추간판 사이를 늘려주어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교정기의 예로는,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14965호(2007년02월01일 공개)에 신체의 목부위가 안착되어 목의 양측부위와 접촉되도록 서로 대칭되는 구조로 이격되게 마련되며 좌,우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양측 지지구와, 그 양측 지지구의 외측에 선택적으로 접촉되고 동력원인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부여받아 회전 운동되며 그 회전 운동시 양측 지지구와 접촉되면서 일방향 이동력을 부여하는 회전블럭과, 그 양측 지지구의 단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홈부가 형성된 베이스와, 그 양측 지지구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타단부가 베이스측에 고정되어 자체 탄성력에 의해 일방향 복원력을 부여하는 탄성스프링으로 구성된 경추용 교정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의 경추용 교정기는 구조가 복잡하고 가격이 비싼 문제가 있으며, 전문가에 의한 지시를 받아야 하는 점에서 개인이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다른 예로서,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421268호(등록일자 2014년07월14일)에는 경추인장베개는, 사용자의 머리를 받쳐 지지하며 회동축을 중심으로 상하 회동 가능한 헤드레스트와; 상기 헤드레스트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헤드레스트의 상하 회동시 헤드레스트를 상기 회동축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직선운동시키되, 헤드레스트가 하향 회동할 때 헤드레스트를 사용자의 경추를 인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견인유도부와; 상기 헤드레스트를 상향 지지하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견인유도부는; 상기 헤드레스트를 수평으로 통과한 상태로 헤드레스트의 회동축 역할을 하는 메인 샤프트와, 상기 메인샤프트의 양단부에 고정되며 메인샤프트의 축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기어부와, 상기 회전기어부에 치합하여 회전기어부의 회전시 메인샤프트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랙기어부를 구비한 베이스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인장베개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의 경추인장베개는 복잡한 구조로 인해 가격이 상승되어 개인이 사용하기 부담스러운 문제가 있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14965호(2007년02월01일 공개)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421268호(등록일자 2014년07월14일)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경추 교정기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구조를 단순화하고 개인의 경추의 각도 조정을 편한 각도로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베개와 함께 사용할 수 있고 경추 인장부를 탈착하여 경추교정 효과를 향상시키도록 개선한 경추 교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경추 교정기는,
사용자의 목부위에 배치되고 높이를 조절하도록 된 경추 교정부를 구비하는 경추 교정기에 있어서,
상기 경추 교정부는 평탄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연장되고 슬로트가 형성된 레일부재, 상기 레일부재에서 높이조절가능하게 설치된 절첩지지부들 및 상기 절첩지지부들의 상단에 장착되어 경추를 지지하도록 만곡된 형상의 경추 지지부 및 상기 경추 지지부의 높이를 조정하도록 상기 절첩지지부들을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절첩지지부들은 각각 두개의 바가 X자 형태로 결합되고 양측 레일부재와 경추 지지부 사이에서 대향되게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쌍으로 서로 이격된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절첩지지부의 하나의 바는 하단이 레일부재에 형성된 슬로트에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연결부재로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바는 그 상단이 상기 경추 지지부의 측면에 형성된 슬로트에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한편, 하단은 레일부재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상기 레일부재와 경추 지지부 사이에서 대향되게 양측의 두개의 바들이 교차되는 지점을 연결하는 회전축에는 구동부로서 모터와 가동블럭 및 상기 가동블럭을 관통하여 나사물림되게 설치된 나사봉을 포함하여, 모터에 의해 가동블럭이 이동하도록 설치되고,
인접한 절첩지지부의 바들이 교차되는 위치에도 가동블럭이 제공되고, 상기 가동블럭은 나사봉과 나사결합되어 있지 않고 슬라이드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인접한 절첩지지부는 다른 절첩지지부의 가동블럭의 바들의 높이가 상승 또는 하강함에 따라 종동적으로 높이가 조정되도록 된다.
변형적으로, 상기 구동부는 수동으로 조작하도록 노브와 축부를 포함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축부는 나사봉의 양단에서 외측으로 손잡이부가 인출될 수 있게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부에는 상하측이 각각 개방되고 길게 슬로트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봉의 양단부들 각각에는 걸림돌기가 슬로트에서 상하로 돌출되어 나사봉과 함께 회전될 수 있고, 나사봉에 깊게 결합되는 보관위치와 나사봉에서 인출된 사용위치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경추 교정부에 배치되어 경추의 추간판들을 인장시키는 경추 인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경추 인장부는 저면이 경추지지부의 만곡된 곡면에 대응된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면에는 4개의 탄성돌출부들이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경추지지부 위에 형성된 상기 4개의 탄성돌출부들은 사용자 목이 배치될 때 경추의 추간판들을 인장함과 함께 목 근육을 지압하도록 되고,
상기 경추 인장부의 저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그 고정돌기가 경추지지부에 형성된 고정홈에 삽입되어 경추 인장부를 경추지지부에 고정시키도록 될 수 있다.
상기 경추 인장부는 일측이 볼록하게 형성된 융기부에서 경사져 수평으로 된 베개부의 평탄한 부분에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경추 교정기는 목의 경추부를 지지하는 경추 지지부의 높이를 사용자가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하고, 그 구조가 단순화되어 제조가격을 경감시킴과 함께, 경추 지지부 위에 경추 인장기를 배치하여 사용시 경추를 인장시켜 경추 교정 효과가 우수하고, 기존의 베개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경추 교정기를 베개에 결합한 상태로서 경추 지지부 위에 간이 경추인장부가 배치된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경추교정기의 경추 지지부의 높이를 조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도 3의 위치에서 경추 지지부를 하강시킨 상태의 정면도.
도 5는 도 1의 경추 교정기의 경추 지지부 위에 간이 경추인장부가 배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도 1의 경추 교정기의 사용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경추 교정기의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5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경추 교정기는 일측이 볼록한 융기부(12)가 일측에 형성되고 그 융기부에서 경사져 수평으로 된 베개부(1), 상기 베개부(1)의 평탄한 부분에 배치되는 경추 교정부(2) 및 상기 경추 교정부(2)에 배치되어 경추의 추간판들을 인장시키는 경추 인장부(3)를 포함한다.
상기 경추 교정부(2)는 평탄한 베이스부(21)와, 상기 베이스부(21)에서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연장되고 슬로트(22)가 형성된 레일부재(23), 상기 레일부재(23)에서 높이조절가능하게 설치된 절첩지지부(24) 및 상기 절첩지지부(24)의 상단에 장착되어 경추를 지지하도록 만곡된 형상의 경추 지지부(25) 및 상기 경추 지지부(25)의 높이를 조정하도록 상기 절첩지지부(24)를 구동하는 구동부(6)로서 모터를 포함한다.
상기 경추 인장부(3)의 저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고정돌기(33)를 형성하고, 경추지지부(25)에는 상기 고정돌기(33)를 삽입할 수 있는 고정홈(252)을 형성하여 경추 인장부(3)를 경추 교정부의 경추 지지부(25) 위에 안정되게 배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첩지지부(24)는 두개의 바(241, 242)가 X자 형태로 결합된 구조로 양측 레일부재(23)와 경추 지지부(25) 사이에서 대향되게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쌍으로 서로 이격되어 적어도 2개소에 제공된다.
상기 절첩지지부(24)의 하나의 바(241)는 하단이 레일부재(23)에 형성된 슬로트(22)에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연결부재(245)로 연결된다. 다른 하나의 바(242)는 그 상단이 상기 경추 지지부(25)의 측면에 형성된 슬로트(251)에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한편, 하단은 레일부재(23)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상기 레일부재(23)와 경추 지지부(25) 사이에서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른 쌍의 절첩지지부(24')의 바(241',242')들은 위에서 설명한 쌍의 절첩지지부(24)의 바(241,242)들과 대칭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대향되게 레일부재와 경추 지지부(25) 사이에서 양측의 두개의 바(241, 242)들이 교차되는 지점을 연결하는 회전축(245)에는 구동부(6)로서의 모터와 가동블럭(261) 및 상기 가동블럭을 관통하여 나사물림되게 설치된 나사봉(262)을 포함하여, 구동부(6)로서의 모터에 의해 가동블럭이 이동하도록 설치된다. 인접한 절첩지지부(24')의 회전축(245')에도 동일한 구조로 가동블럭이 제공되고 상기 나사봉(262)이 나사결합되어 관통되어 있다.
이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6)가 작동하여 상기 나사봉(262)이 가동블럭(261)과 나사결합되는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가동블럭(261)이 도면에서 우측에 배치된 구동부(6)로서의 모터 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절첩지지부(24)의 바(241)의 하단이 슬로트(22)에서 슬라이드되면서 두개의 바(241,242)들이 서로 접근하게 됨으로써, 절첩지지부(24)의 높이가 상승하게 되고, 따라서 경추 지지부(25)의 높이가 상승하게 된다.
상기 구동부(6)로서의 모터가 역회전하여 나사봉(262)이 가동블럭(261)과 나사가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블럭(261)이 도면에서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두개의 바(241,242)들이 서로 멀어지게 됨에 따라 절첩지지부(24)의 높이가 낮아져 경추 지지부(25) 높이 또한 낮아진다.
인접한 절첩지지부(24')의 바(241',242')들이 교차되는 위치에도 가동블럭(261')이 제공되지만, 나사봉(262)과 나사결합되어 있지 않고 슬라이드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절첩지지부(24')는 절첩지지부(24)의 가동블럭(261)의 바(241, 242)들의 높이가 상승 또는 하강함에 따라 종동적으로 높이가 조정된다.
도면에서 미설명된 부호(7)는 상기 구동부(6)로서의 정역회전을 작동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이와 같이 구동부로서의 모터의 회전방향과 회전 정도에 따라 경추 지지부(25)의 높이가 간편하게 조정될 수 있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사용상태도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경추 지지부(25) 위에는 경추의 추간판들을 인장시키기 위한 경추 인장부(3)가 배치된 상태에서 목을 경추 인장부(3)의 탄성돌출부(31)들 사이에 배치한다.
이때, 상기 경추 인장부(3)는 저면이 경추지지부(25)의 만곡된 곡면에 대응된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면에는 4개의 탄성돌출부(31)들이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경추 인장부(3)를 만곡된 경추 지지부(25) 위에 배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목을 얹게 되면 만곡된 경추지지부(25) 위에 배치된 상기 4개의 탄성돌출부(31)들은 경추의 추간판들을 인장하게 됨과 함께 목 근육을 지압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탄성돌출부(31)들은 그 사이에 목이 얹혀질 때 각각의 탄성돌출부(31)들 내측에 목이 배치되어 상기 탄성돌출부들은 탄성적으로 외측으로 경사지면서 두개씩 양측으로 벌어져 추간판들의 인장 효과가 향상된다. 상기 탄성돌출부(31)들은 외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사용자 스스로 경추 지지부(25)의 높이를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고, 경추 지지부(25) 위에 배치되는 경추인장부(3)를 배치하여 경추 인장 및 지압 효과를 얻을 수 있음에 따라 전문가의 도움 없이도 경추를 교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경추 교정기는 베개(1)의 낮게 평탄하게 된 부분에 배치하거나 탈착가능하게 결합하여 사용함에 따라 융기부(12)로 베개를 통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이때, 상기 경추 교정부(2)에는 베이스부(21)에 상방으로 돌출된 고정돌기(211)가 형성되고, 베개부(1)의 저면에는 고정홈(13)이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21)의 고정돌기(211)에 고정홈(13)이 삽입되게 베개부(1)를 배치함으로써, 평탄한 베이스부(21) 위에 베개부(1)가 배치, 고정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경추교정기를 메모리폼 베개(1)에 간편하게 탈착할 수 있으며, 경추 지지부(25)의 높이를 수동으로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메모리폼 베개(1)의 저면에 탄성 밴드(300)을 고정하고, 경추교정기의 베이스부(21)의 양측부에 형성된 홈(250)에 상기 밴드(300)를 끼워 걸어서 경추교정기와 베개(1)를 결합함으로써, 베개를 경추교정기에서 간편하게 분리하여 세탁후 재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도 2, 3, 4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추교정기에서 스위치(7)로 작동되는 구동부(6)로서 모터가 나사봉(262)을 회전시켜 절첩지지부(24)의 높이를 상승시켜 경추 지지부(25)의 높이를 상승하게 하는 대신에, 도 8과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상기 나사봉(262)를 그 양단에 제공된 구동부로서의 손잡이부(301)로 회전시켜 경추지지부(25)의 높이를 수동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레일부재(23)에서 높이조절가능하게 설치된 절첩지지부(24)(24')의 상단에 경추 지지부(25)가 장착되고, 경추 지지부(25)의 높이를 조정하도록 레일부재와 경추 지지부(25) 사이에서 양측의 두개의 바(241, 242)들이 교차되는 지점을 연결하는 회전축(245)에 가동블럭(261) 및 상기 가동블럭을 관통하여 나사물림되게 설치된 나사봉(262)을 포함하여, 구동부에 의해 가동블럭이 이동하도록 설치된 구조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즉, 구동부로서 노브(302)와 축부(303)를 포함하는 손잡이부(301)를 포함하며, 상기 축부(303)는 나사봉(262)의 양단이 삽입되도록 홀(30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홀(304)은 상하측이 각각 개방되고, 상기 나사봉(262)의 양단부들 각각에는 걸림돌기(263)가 홀(304)에서 상하로 돌출되어 배치되어 결합된다.
이로써, 상기 손잡이부(301)의 축부(303)는 그 내부의 홀(304)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봉(262)의 단부에 깊게 삽입되어 경추지지부(25)의 측단부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된 보관위치에 배치되거나, 도 9와 같이 축부(303)의 홀(304)이 단부에서 나사봉(262)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돌기(263)에 걸려 더 이상 외측으로 인출되지 못하는 상태로 되게 인출되어 경추지지부(25)의 측단부로 부터 측방으로 돌출된 상태의 사용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도 8의 상태는 사용자가 손잡이(301)를 사용하지 않는, 즉 경추지지부(25)의 높이를 조정할 필요가 없을 때, 경추지지부(25)의 외측에 제공되는 커버(400) 속에 배치되게 하여 외관이 미려하게 된다.
상기 도 9는 사용자가 경추지지부(25)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하여 손잡이(301)를 외측으로 당긴 상태로서,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도 손으로 상기 노브(302)를 회전시켜 나사봉(262)에 나사결합된 절첩지지부(24)의 높이를 조정함으로써 경추 지지부(25) 높이를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노브를 회전시킬 때, 그 홀(304)에서 개방된 상하측으로 돌출된 나사봉(262)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돌기(263)가 홀(304)의 측부에 걸린 상태로 되어 나사봉이 회전된다.
이와 같이 스위치와 모터를 채용하지 않고도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음과 함께 인출가능하게 노브를 나사봉(262)의 양단부에 설치하고, 사용시에만 나사봉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사용편의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 스스로 높이를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고 경추의 인장효과를 얻을 있는 경추교정기에 이용할 수 있다.
1 : 베개부 2 : 경추 교정부
3 : 경추 인장부 6 : 모터
7 : 스위치 12 ; 융기부
21 : 베이스부 22,251 : 슬로트
23 : 레일부재 24, 24' : 절첩지지부
25 : 경추 지지부 241, 242, 241',242' : 바
245 : 회전축 261 : 가동블럭

Claims (6)

  1. 사용자의 목부위에 배치되고 높이를 조절하도록 된 경추 교정부(2)를 구비하는 경추 교정기에 있어서,
    상기 경추 교정부(2)는 평탄한 베이스부(21)와, 상기 베이스부(21)에서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연장되고 슬로트(22)가 형성된 레일부재(23), 상기 레일부재(23)에서 높이조절가능하게 설치된 절첩지지부(24)(24') 및 상기 절첩지지부(24)(24')의 상단에 장착되어 경추를 지지하도록 만곡된 형상의 경추 지지부(25) 및 상기 경추 지지부(25)의 높이를 조정하도록 상기 절첩지지부(24)(24')를 구동하는 구동부(6)를 포함하고,
    상기 절첩지지부(24)(24')들은 각각 두개의 바(241, 242)(241',242')가 X자 형태로 결합되고 양측 레일부재(23)와 경추 지지부(25) 사이에서 대향되게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쌍으로 서로 이격된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절첩지지부(24)의 하나의 바(241)는 하단이 레일부재(23)에 형성된 슬로트(22)에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연결부재(245)로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바(242)는 그 상단이 상기 경추 지지부(25)의 측면에 형성된 슬로트(251)에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한편, 하단은 레일부재(23)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교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재와 경추 지지부(25) 사이에서 대향되게 양측의 두개의 바(241, 242)들이 교차되는 지점을 연결하는 회전축(245)에는 구동부(6)로서 모터(6)와 가동블럭(261) 및 상기 가동블럭을 관통하여 나사물림되게 설치된 나사봉(262)을 포함하여, 모터(6)에 의해 가동블럭(261)이 이동하도록 설치되고,
    인접한 절첩지지부(24')의 바(241',242')들이 교차되는 위치에도 가동블럭(261')이 제공되고, 상기 가동블럭(261')은 나사봉(262)과 나사결합되어 있지 않고 슬라이드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인접한 절첩지지부(24')는 다른 절첩지지부(24)의 가동블럭(261)의 바(241, 242)들의 높이가 상승 또는 하강함에 따라 종동적으로 높이가 조정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교정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재와 경추 지지부(25) 사이에서 대향되게 양측의 두개의 바(241, 242)들이 교차되는 지점을 연결하는 회전축(245)에는 구동부(6)에 의해 이동되는 가동블럭(261) 및 상기 가동블럭을 관통하여 나사물림되게 설치된 나사봉(262)을 포함하고,
    인접한 절첩지지부(24')의 바(241',242')들이 교차되는 위치에도 가동블럭(261')이 제공되고, 상기 가동블럭(261')은 나사봉(262)과 나사결합되어 있지 않고 슬라이드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인접한 절첩지지부(24')는 다른 절첩지지부(24)의 가동블럭(261)의 바(241, 242)들의 높이가 상승 또는 하강함에 따라 종동적으로 높이가 조정되며,
    상기 구동부(6)는 수동으로 조작하도록 노브(302)와 축부(303)를 포함하는 손잡이부(301)를 포함하며, 상기 축부(303)는 나사봉(262)의 양단에서 외측으로 손잡이부(301)가 인출될 수 있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교정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303)에는 상하측이 각각 개방되고 길게 형성된 홀(30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봉(262)의 양단부들 각각에는 걸림돌기(263)가 홀(304)에서 상하로 돌출되어 나사봉과 함께 회전될 수 있고, 나사봉에 깊게 결합되는 보관위치와 나사봉에서 인출된 사용위치로 이동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교정기.
  5. 제 1항 내지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추 교정부(2)에 배치되어 경추의 추간판들을 인장시키는 경추 인장부(3)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경추 인장부(3)는 저면이 경추지지부(25)의 만곡된 곡면에 대응된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면에는 4개의 탄성돌출부(31)들이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경추지지부(25) 위에 형성된 상기 4개의 탄성돌출부(31)들은 사용자 목이 배치될 때 경추의 추간판들을 인장함과 함께 목 근육을 지압하도록 되고,
    상기 경추 인장부(3)의 저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고정돌기(33)가 형성되고, 그 고정돌기(33)가 경추지지부(25)에 형성된 고정홈(252)에 삽입되어 경추 인장부(3)를 경추지지부(25)에 고정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교정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경추 인장부(3)는 일측이 볼록하게 형성된 융기부(12)에서 경사져 수평으로 된 베개부(1)의 평탄한 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교정기.
KR1020190078634A 2018-07-02 2019-07-01 경추교정기 KR1021868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76397 2018-07-02
KR1020180076397 2018-07-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3727A KR20200003727A (ko) 2020-01-10
KR102186814B1 true KR102186814B1 (ko) 2020-12-04

Family

ID=69158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8634A KR102186814B1 (ko) 2018-07-02 2019-07-01 경추교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68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7240B1 (ko) * 2022-08-03 2023-05-02 주식회사 바디블 경추 교정용 목 운동장치
KR20230093925A (ko) * 2021-12-20 2023-06-2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기도 확보를 위한 각도 조절 베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2082B1 (ko) * 2019-10-14 2021-03-24 김문희 휴대용 경추 교정장치
KR102226216B1 (ko) * 2019-10-14 2021-03-09 김문희 휴대용 경추 교정장치
KR102242469B1 (ko) * 2019-11-01 2021-04-19 김문희 휴대용 경추 교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4717Y1 (ko) 2004-07-01 2004-10-12 이순녕 베게 높이 조절장치
KR200390847Y1 (ko) 2005-05-11 2005-07-28 정병옥 높이자동변환 탄성장치가 내장된 베개
KR200402802Y1 (ko) 2005-07-29 2005-12-06 한정민 경추용 교정기
KR101851591B1 (ko) 2017-04-19 2018-04-24 조덕윤 높이조절장치가 내장된 베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028B1 (ko) 2006-06-29 2008-01-03 한정민 경추용 교정기
KR20120047433A (ko) * 2010-11-04 2012-05-14 김영훈 높이조절이 가능한 베개
KR101421268B1 (ko) 2014-03-11 2014-07-18 (주)세원메디텍 경추인장베개
KR101649152B1 (ko) * 2014-09-25 2016-08-24 김영식 분리형 베개
KR20180031098A (ko) * 2016-09-19 2018-03-28 성민 마 경추 지압 베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4717Y1 (ko) 2004-07-01 2004-10-12 이순녕 베게 높이 조절장치
KR200390847Y1 (ko) 2005-05-11 2005-07-28 정병옥 높이자동변환 탄성장치가 내장된 베개
KR200402802Y1 (ko) 2005-07-29 2005-12-06 한정민 경추용 교정기
KR101851591B1 (ko) 2017-04-19 2018-04-24 조덕윤 높이조절장치가 내장된 베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3925A (ko) * 2021-12-20 2023-06-2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기도 확보를 위한 각도 조절 베개
KR102584295B1 (ko) * 2021-12-20 2023-09-2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기도 확보를 위한 각도 조절 베개
KR102527240B1 (ko) * 2022-08-03 2023-05-02 주식회사 바디블 경추 교정용 목 운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3727A (ko) 2020-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6814B1 (ko) 경추교정기
KR101561005B1 (ko) 물리치료 기능을 구비한 마사지장치
KR100966084B1 (ko) 경추용 교정장치
AU2008357225B2 (en) Spinal three-dimensional orthopaedic equipment
KR101715519B1 (ko) 경부 교정 장치
KR20080042427A (ko) 척추 교정 및 스트레칭을 위한 장치
KR20180081342A (ko) 경추 견인장치
KR102030379B1 (ko) 경추 교정기
US20060135897A1 (en) Forward head posture correction collar
KR20100122299A (ko) 스트레칭 장치
KR101498430B1 (ko) 척추 견인 운동장치
KR100749454B1 (ko) 척추 및 목디스크 교정장치
JP2880672B2 (ja) 腰痛治療装置
KR20030097470A (ko) 경추 견인기의 보조 받침장치
KR100494073B1 (ko) 경추 견인장치
KR101283784B1 (ko) 목 디이스크환자를 위한 견인장치
KR200291305Y1 (ko) 경추 견인기의 보조 받침장치
KR200406852Y1 (ko) 경추용 교정기
CN114209510B (zh) 一种医用多功能颈椎固定床
KR102020565B1 (ko) 재활치료용 신체 견인장치
CN211095738U (zh) 一种脊椎康复按摩辅助装置
KR101451022B1 (ko) 3차원 운동 구동 모듈 및 이를 이용한 관절의 3차원 운동 장치
KR200283775Y1 (ko) 경추 견인장치
KR20100127429A (ko) 목 교정 받침
KR200402802Y1 (ko) 경추용 교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