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7429A - 목 교정 받침 - Google Patents

목 교정 받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7429A
KR20100127429A KR1020090045867A KR20090045867A KR20100127429A KR 20100127429 A KR20100127429 A KR 20100127429A KR 1020090045867 A KR1020090045867 A KR 1020090045867A KR 20090045867 A KR20090045867 A KR 20090045867A KR 20100127429 A KR20100127429 A KR 201001274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neck
thoracic
partia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5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지예
Original Assignee
강지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지예 filed Critical 강지예
Priority to KR1020090045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27429A/ko
Publication of KR20100127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74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5Cervical colla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을 이루는 뼈(경추)가 굽었거나, 추간판에 변형이 있는 초기 환자의 목뼈를 바로잡고, 중증환자의 통증을 완화시키도록 하는 목 교정 받침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사람의 머리 후두부를 받쳐주는 두부분할받침과, 상기 두부분할받침과 이격되어 사람의 흉추를 받쳐주는 흉추받침과, 상기 두부분할받침과 상기 흉추받침을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 교정 받침은 머리를 앞으로 굽혀서 일자상의 흉세유돌근(SCM)을 약간 굽혀주도록 함으로서 목뼈의 바른 자세를 유도하며, 이에 따라 목디스크를 예방하면서 초기 목디스크의 치료 효과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목뼈 교정구로서, 간단한 구조로서 의학지식이 없는 일반인이라도 자가적으로 사용하여 바른 자세 및 초기 디스크의 예방/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체격이 다른 사람에게도 그 거리 조절을 손쉽게 하여 적용될 수 있도록 하며, 치료 중에 수면에 들어서 무의식적으로 자세가 돌아가더라도 베개로서의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수면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하는 발명이다.
교정구, 목 교정 받침, 목 디스크

Description

목 교정 받침{CORRECTIONAL FULCRUM FOR NECK}
본 발명은 목을 이루는 뼈(경추)가 굽었거나, 추간판에 변형이 있는 초기 목 디스크 환자의 목뼈를 바로잡고, 중증환자의 통증을 완화시키도록 하는 목 교정 받침에 관한 발명이다.
목 디스크{경추 수핵 탈출증 (cervical herniated nucleus pulpususdisc)이지만, 이하 '목 디스크'라 칭함}란 경추 추간판(디스크)이 외부의 급격한 자극이나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수분이 감소하여 퇴행성 변화를 일으켜서 탄력성이 상실되어 굳어지고 추간판 벽에 균열이 발생하여 내부의 굳어진 수핵이 빠져나오는 것을 주원인으로 발생되는 증상이며 외상에 의해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목 디스크는 뒷목 및 어깨 상부의 통증이 가장 흔한 증상이며, 병이 발생한 부위에 따라 어깨와 팔의 통증이나 약화가 발생하기도 하고, 심한 경우 척수에 손상을 줘서 다리의 힘이 약해지거나 마비가 발생하기도 하며, 심하면 수술을 통해 치료해야 하지만, 초기에는 약물 치료와 물리치료를 적절히 시행하면서 증상의 완화 및 호전을 유도하는 조치를 취함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물리치료의 일환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교정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목디스크와 같은 질환의 초기치료나 목뼈의 교정에 사용될 수 있는 종래 기술로서는 실용신안등록 제20-0399287(2005년10월14일)호인 등목 베개{공보상에는 '배게'로 기재되었으나, 맞춤법에 맞추어 '베개'로 기재하며, 이하 동일함}가 있는데, 이는 도 6에 구성상태로 도시하고 도 7에 사용상태 측면도로 도시한 바와 같이, 인체의 등(척추)의 형태의 골격으로 구성된 등목베개로서 사람이 등목베개를 베고 누웠을 때 목의 경추(101) 부분에 있어서: 경추의 부분은 목에 해당되며 목 지압봉(100)에 의해 목이 지압되며 비뚤어진 경추를 지압봉에 의해 늘려줌으로써 목이 이완되어 경추가 바로 잡히는 것이고, 또한 상기 등 지압봉(200)은 목 부분과 마찬가지로서 비뚤어진 자세에서 오는 등은 휘어있는 상태이므로 등 지압봉으로 흉추(105) 부분을 늘려주어 뼈 마디마디를 이완시켜주어 흉추를 바로잡는 것이고, 또한 상기 보조봉(205)은 흉추부분을 등 지압봉으로 지압을 하였다면 보조봉(205)은 흉추부분을 보호하는 보조역할이 구비된 것이다.
상기 기재된 내용은 그 공고공보에 기재된 그대로인데, 작성상의 오류로 인하여 정확한 내용을 알기 어렵지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의 받침을 라텍스 재질로 제작하여 돌출부분(목지압봉 및 등지압봉)이 목과 등을 각각 받치도록 하여 뼈와 뼈 간을 이완시키도록 함을 요체로 하는 것으로 이해되며, 또한 종래 발명의 등목 베개는 사람이 등목베개를 베고 누워 있을 때 척추의 뼈와 뼈마디 마디를 이완 시켜줌으로써 척추를 비롯하여 몸 구석구석 연결되어있는 신경과 혈관에 영향을 미치는 각종 질병을 유발하여 기능의 저하를 초래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것으로서 잠을 잘 때 숙면을 하게 하고자 하는 것이라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등목 베개는 그 기재된 바를 그대로 인정한다고 하더라도, 그 구조상 목과 등을 받치도록 하는 것이라서 예컨대 목이 앞으로 굽은 경우에 이를 뒤쪽으로 연신하는 기능으로서는 적합하지만, 그 반대의 경우에는 전혀 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특히 목 디스크의 경우 추간판이 목의 후부쪽으로 돌출되어 상기한 등목 베개를 받치는 경우 환부를 압박하여 질환을 더욱 심하게 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 교정 받침은 머리를 앞으로 굽혀서 일자상의 흉세유돌근(SCM)을 약간 굽혀주도록 함으로서 목뼈의 바른 자세를 유도하며, 이에 따라 목디스크를 예방하면서 초기 목디스크의 치료 효과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목뼈 교정 받침을 제공하고자 개발 완성된 발명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 교정 받침은 간단한 구조로서 의학지식이 없는 일반인이라도 자가적(自家的)으로 사용하여 바른 자세 및 초기 디스크의 예방/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베고 누웠을 때 자세 고정능력이 높으며, 체격이 다른 사람에게도 그 거리 조절을 손쉽게 하여 적절히 적용될 수 있도록 하며, 치료 중에 수면에 들어서 무의식적으로 자세가 돌아가더라도 베개로서의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수면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하는 발명이다.
본 발명의 기본 구성에 의하면, 사람의 머리 후두부를 양쪽에서 받쳐주는 한쌍의 두부분할받침과, 상기 두부분할받침과 이격되어 사람의 흉추를 받쳐주는 흉추받침과, 상기 두부분할받침과 상기 흉추받침을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연결부에 대하여 상기 두부분할받침 및 상기 흉추받침 각각이 착탈식으로 결착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의 상면이 부직포로 되고, 상기 두부분할받침 및 상기 흉추받침의 하면에는 매직돌기가 설치되어 벨크로 매직방식으로 접합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연결부가 상기 흉추받침에서 한쌍의 상기 두부분할받침 각각으로 돌출되어 삽입식으로 연결되는 연결대로 되고, 상기 연결대는 동일간격으로 이격된 나란한 2개의 막대상으로 되면서 그 측부에 다수의 걸림턱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더구나, 상기 연결대 중 상기 흉추받침에 부착되는 연결되는 하나로 합체되어 전체적으로 'Y'자상으로 이루어진다.
게다가, 상기 연결대가 삽입되는 삽입구에는 누르면 상기 삽입구의 측부 넓이가 벌어지는 압지구가 장설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한쌍의 상기 두부분할받침 각각의 중앙부에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통기공이 형성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목 교정 받침은 머리를 앞으로 굽혀서 일자상의 흉세유돌근(SCM)을 약간 굽혀주도록 함으로서 목뼈의 바른 자세를 유도하며, 이에 따라 목디스크를 예방하면서 초기 목디스크의 치료 효과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목뼈 교정용 받침으로서, 간단한 구조로서 의학지식이 없는 일반인이라도 자가적으로 사용하여 바른 자세 및 초기 디스크의 예방/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뿐만 아니라, 베고 누웠을 때 자세 고정능력이 높으며, 체격이 다른 사람에게도 그 거리 조절을 손쉽게 하여 적용될 수 있도록 하며, 치료 중에 수면에 들어서 무의식적으로 자세가 돌아가더라도 베개로서의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수면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하는 발명이다.
본 발명의 목 교정 받침을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목 교정 받침의 전체 구성상태 중 기본적인 구성상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로서 특히 받침패드(4)를 2매 받친 형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사용상태도로서, 특히, 도 5a는 사용시 목 교정 받침의 바른 위치를 알기 쉽도록 도시한 착용상태도이고, 도 5b는 사용시 목에 미치는 영향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인데, 이를 참고로 본 발명의 각부 기능에 대하여 간략히 살펴본다.
본 발명의 목 교정 받침은 머리와 흉추를 연결하고 지지하는 목뼈를 바르게 교정하는 것이라서, 머리의 후두부와 흉추간을 지지하면서 견인력을 부여하는 구조를 가져야 하며, 따라서 사람의 머리 후두부를 받쳐주는 한쌍의 두부분할받침(1, 1)과, 상기 두부분할받침(1, 1)과 이격되어 사람의 흉추를 받쳐주는 흉추받침(2) 및 상기 두부분할받침(1, 1)과 상기 흉추받침(2)을 연결하는 연결부(3)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흉추받침(2) 및 두부분할받침(1, 1)은 베개와 같이 타원 반구상으로 돌출되어 있고 약간의 쿠션을 가짐으로 각각 흉추와 머리를 소정의 높이로 받들어 지지하며, 특히, 두부분할받침(1, 1)은 한쌍으로 되어 각각이 사람의 후두부 양쪽을 받치고 그 중간의 연결부인 요입부에 목이 놓이게 되므로 자세를 견고히 고정하게 되며, 이때 흉추받침(2) 및 두부분할받침(1)은 연결부(3)에 의하여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으므로, 목뼈가 견인작용을 받게 되어(도 5b의 화살표 B방향) 목뼈를 바른 자세로 교정하거나 초기 목디스크의 치료에 도움을 주게 된다. 물론, 이때 두부분할받침(1) 및 흉추받침(2)은 목뼈의 견인작용에 대한 반작용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지만, 두부분할받침(1) 및 흉추받침(2)은 연결부(3)에 의하여 간격이 지지됨으로 반작용에 의한 밀림은 충분히 지지받을 수 있게 된다. 물론 흉추받침(2)은 돌출된 중앙부가 좌우측부보다 조금 낮게 하거나 쿠션이 있어서 베고 누웠을 때 약간 눌려지도록 하면 등의 요추부분이 미끄러져 떨어지지 않고 반듯하게 지지되도록 하여 바람직하며, 이는 본원 발명의 설계변경 사항에 불과함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임이 명백하다.
또한, 두부분할받침(1)은 사람의 머리 뒷부분(경추)을 양쪽에서 받쳐서 머리를 고정하면서 앞으로 숙여지게 함으로 흉세유돌근(SCM)을 앞으로 당겨지게 함으로 바른 자세로의 교정이 이루어지며, 사람의 신장이나 자세의 차이에 따라 두부분할받침(1) 및 흉추받침(2)의 높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도 2 참조) 받침패드(4)를 받쳐서 조절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도면에서는 2매를 받친 것으로 도시함), 이때 사용되는 받침패드(4)는 얇은 시트상의 소재라던가 심지어는 책으로 대체도 가능하며 얇은 것을 여러 겹으로 포개어 사용할수록 높이조절이 정밀화를 기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다른 구성상태도로서, 연결부(3)의 개량에 관한 구성을 도시한 일예의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 교정 받침은 상술한 기본 구성과 더불어, 상기 연결부(3)가 상 기 그 상면 전면에 걸쳐서 부직포(312)로 되어 있고, 상기 두부분할받침(1, 1) 및 상기 흉추받침(2)의 하면에는 매직돌기(311)가 설치되어 벨크로 매직방식으로 접합되는 것인데, 매직돌기(311)와 부직포(312)간의 때고 붙임이 자유로움으로 두부분할받침(1, 1) 및 흉추받침(2)을 때 내어 원하는 위치의 연결부(3)위에 놓고 누르면 두부분할받침(1, 1) 및 흉추받침(2)간의 적절한 위치를 설정할 수 있어서 거리조절이 손쉽게 되며 이는 사용자의 신장 및 골격의 차이에 따른 조절을 손쉽도록 하게 된다. 물론, 본원에서는 연결부(3)의 상면을 부직포(312)로 하고 두부분할받침(1, 1) 및 흉추받침(2)의 아래에 매직돌기(311)가 설치되어 결합되도록 하였지만, 그 역으로의 설치도 가능하며, 이때는 연결부(30의 상면으로 매직돌기(312)가 돌출되어 사용자와의 접촉시에 껄끄러우므로 불쾌감을 줄 수 있다는 점은 유의하여야 한다.
도 3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상태도로서, 연결부(3)의 개량에 관한 구성을 도시한 다른예의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 교정 받침은 상술한 기본 구성과 더불어, 상기 연결부(3)가 상기 흉추받침(2)에서 한쌍의 상기 두부분할받침(1, 1) 각각으로 돌출되어 삽입식으로 연결되는 연결대(32)로 되고, 상기 연결대(32)는 동일간격으로 이격된 나란한 2개의 막대상으로 되면서 그 측부에 다수의 걸림턱(321)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연결대(32)는 예컨대 수지로 제작된 막대상으로 된 것을 사용한다면 자체 탄력성도 좋으면서 막대상의 연결대(32)가 쥐기 쉬워서 거리조절을 보다 편하게 할 수 있게 되며, 특히 걸림턱(321)이 스토퍼의 역할을 하여 소정의 거리에서 유지되 는 지지력을 부여하여 두부분할받침(1) 및 흉추받침(2)간의 거리 조절이 보다 손쉽게 이루어진다. 특히, 연결대(32)를 2개의 나란한 막대상으로 하고 측부에 걸림턱(321)을 형성하였으므로 걸림턱(321)의 저항력에 의하여 고정되지만 2개의 나란한 막대상 연결대(32)를 눌러서 폭을 좁히면 걸림턱(321)의 저항 없이 끼고/뽑을 수 있어서 손쉽게 거리 조절을 할 수 있으며, 걸림턱(321)도 측면에 형성시켜서 두부분할받침(1) 및 상기 흉추받침(2)을 베었을 때 밑으로 쳐지는 목 부분이 걸림턱(321)에 찔리는 경우도 없게 된다. 이때, 연결대(32)가 흉추받침(2)측에 부착되어 두부분할받침(1, 1)측으로 삽입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그 반대로 구성하여도 동일하게 기능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임은 명백하다.
더구나, 상기 연결대(32) 중 상기 흉추받침(2)에 부착되는 연결되는 하나로 합체되어 전체적으로 'Y'자상(도 3b 참조)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면 보다 바람직한데, 이는 부품 개소를 줄여서 경제적이며 취급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상기 연결대(32)가 삽입되는 삽입구(11)에는 누르면 상기 삽입구(11)의 측부 넓이가 벌어지는 압지구(16)가 장설되어 이루어지면, 걸림턱(321)을 삽입시에 미끄러져 들어가는 경사를 형성하도록 하여, 삽입{두부분할받침(1, 1) 및 상기 흉추받침(2)간의 거리 축소}시에는 걸림턱(321)이 삽입구(11) 내로 미끄러져 들어가고, 뽑을 때는 지지가 되어 두부분할받침(1, 1) 및 상기 흉추받침(2)간의 거리를 지지하도록 하며, 두부분할받침(1, 1)간 및/또는 상기 흉추받침(2)간의 거리를 줄일 때에는 압지구(16)를 눌러서 삽입구(11)의 넓이를 벌려서 걸림턱(321)이 걸리지 않고 빠져나올 수 있게 하여 보다 견고한 지지력과 손쉬운 거리조정능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연결대(32)는 상술한 2개의 나란한 막대상으로 할 수도 있지만, 하나의 막대로 하여도 압지구(16)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동/고정이 될 수 있다.
또한, 한쌍의 상기 두부분할받침 각각의 중앙부에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통기공이 형성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목 교정 받침은 상술한 기본 구성과 더불어, 사람 머리의 측부를 받치는 것으로 상기 두부분할받침(1, 1)이 각각 그 좌우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누운자세에서 옆으로 돌아 누웠을 때 귀부분이 위치되는 곳{두부분할받침(1)의 중앙부}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통기공(14)이 형성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교정 치료 중에 사용자가 수면에 들어 옆으로 돌아눕더라도 머리의 측부를 적절히 받혀주면서 옆으로 누운 상태에서 귀가 눌려져도 통기가 가능하여 이명현상등의 부작용을 방지하여 보다 안락함을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통기공(14)의 크기는 제한적이지 않지만, 하나로 뚫는 경우는 크게 또한 다수를 천공하는 경우에는 작게 하는 등 다양하게 조절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 교정 받침은 목의 바른 자세를 유도하면서 초기 목디스크의 치료에서는 효과가 있으므로, 정형치료분야에서의 이용이 기대되며, 그 구조가 간단하여 일반인이라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어서 각 가정에서도 비취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상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구성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종래 발명의 구성상태도이다.
도 7은 종래발명의 사용상태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 부호의 설명
1. 두부분할받침
11. 삽입구 14. 통기공 15. 삽입구 16. 압지구
2. 흉추받침
3. 연결부
311. 매직 돌기 312. 부직포
32. 연결대 321. 걸림턱
4. 받침패드
100. 목 지압봉 101. 경추 105. 흉추 200. 등 지압봉 205. 보조봉

Claims (7)

  1. 사람의 머리 후두부를 양쪽에서 받쳐주는 한쌍의 두부분할받침과,
    상기 두부분할받침과 이격되어 사람의 흉추를 받쳐주는 흉추받침과,
    상기 두부분할받침과 상기 흉추받침을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교정 받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 대하여 상기 두부분할받침 및 상기 흉추받침 각각이 착탈식으로 결착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교정 받침.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상면이 부직포로 되고, 상기 두부분할받침 및 상기 흉추받침의 하면에는 매직돌기가 설치되어 벨크로 매직방식으로 접합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교정 받침.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상기 흉추받침에서 한쌍의 상기 두부분할받침 각각으로 돌출되어 삽입식으로 연결되는 연결대로 되고, 상기 연결대는 동일간격으로 이격된 나란한 2개의 막대상으로 되면서 그 측부에 다수의 걸림턱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목 교정 받침.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 중 상기 흉추받침에 부착되는 연결되는 하나로 합체되어 전체적으로 'Y'자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교정 받침.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가 삽입되는 삽입구에는 누르면 상기 삽입구의 측부 넓이가 벌어지는 압지구가 장설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교정 받침.
  7.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쌍의 상기 두부분할받침 각각의 중앙부에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통기공이 형성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교정 받침.
KR1020090045867A 2009-05-26 2009-05-26 목 교정 받침 KR201001274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867A KR20100127429A (ko) 2009-05-26 2009-05-26 목 교정 받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867A KR20100127429A (ko) 2009-05-26 2009-05-26 목 교정 받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7429A true KR20100127429A (ko) 2010-12-06

Family

ID=43504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5867A KR20100127429A (ko) 2009-05-26 2009-05-26 목 교정 받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2742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025B1 (ko) * 2013-06-21 2015-01-0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방지 또는 개선용 수면보조장치
KR20160035357A (ko) 2014-09-23 2016-03-31 을지대학교 산학협력단 목운동 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025B1 (ko) * 2013-06-21 2015-01-0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방지 또는 개선용 수면보조장치
KR20160035357A (ko) 2014-09-23 2016-03-31 을지대학교 산학협력단 목운동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66985B2 (en) Orthopedic pillow for sound sleep
WO2011078150A1 (ja) 気道拡張用具及びこれを備えた気道拡張ユニット
RU2329014C2 (ru) Способ профилактики и лечения деформаций позвоночника и ортопедический комплект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2004081641A (ja) 整体治療の前後において使用する整体治療用補助具
AU2016273948B2 (en) Orthopedic pillow for treatment and prevention of lumbar and thoracic spine diseases
KR100945059B1 (ko) 마사지 장치
US20080248936A1 (en) Therapeutic Neutral Spine and Exercise Device and Method of Applying Same
KR101849884B1 (ko) 척추 교정대
TWI617301B (zh) Spinal correction aid
KR100795271B1 (ko) 베어 등목 베개
KR200417047Y1 (ko) 건강운동기구
JP2005046553A (ja) 健康枕
US20070094800A1 (en) Leg Support for Relieving Back Pain
KR20100127429A (ko) 목 교정 받침
KR101955369B1 (ko) 기능성 골반교정기기
KR101126325B1 (ko) 목 교정구
KR100591744B1 (ko) 자세교정용 매트
JP2018110828A (ja) 骨盤背骨修正器
KR200474245Y1 (ko) 척추 교정과 허리 통증 완화용 받침대
JP2002345863A (ja) 整体治療の前後において使用する整体治療用補助具
CN202619928U (zh) 颈椎生理曲度矫正治疗器
KR102599666B1 (ko) 거북목 교정장치
KR20090001134U (ko) 신체교정장치
CN108542572B (zh) 一种多功能颈椎康复治疗仪
CN108553212B (zh) 一种肩支架组件可调的颈椎康复治疗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