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1134U - 신체교정장치 - Google Patents

신체교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1134U
KR20090001134U KR2020070012671U KR20070012671U KR20090001134U KR 20090001134 U KR20090001134 U KR 20090001134U KR 2020070012671 U KR2020070012671 U KR 2020070012671U KR 20070012671 U KR20070012671 U KR 20070012671U KR 20090001134 U KR20090001134 U KR 2009000113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rvical
spine
rear end
chiropractic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26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보선
Original Assignee
이보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보선 filed Critical 이보선
Priority to KR20200700126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1134U/ko
Publication of KR200900011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113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61H1/0296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86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 thermost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43Position of the patient substantially horizontal
    • A61H2203/0456Su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4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1Back

Abstract

본 고안에서는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머리 윗쪽으로 양팔을 치켜 올려 젖힌 다음 신체의 뒷부분 전체를 단계적으로 점점 큰 원호를 그리면서 아치(Arch)형태로 젖히는 방식으로 스트레칭 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용자의 체중에 의하여 척추 및 경추의 마디마디가 압박되면서 원래의 상태로 펴지게 함으로써 척추와 경추의 흐름을 바르고 부드러우면서 견고하게 하여 인체의 모든 에너지를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골반, 허리, 등, 어깨, 목, 머리에서 생길 수 있는 각종 질환 등을 스스로 예방하고 치유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신체교정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은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여 앞부분과 뒷부분이 서로 다른 곡률반경을 갖는 아치형으로 형성되고, 전단부와 후단부가 설치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이루어지며 좌우 양측면 사이를 가로질러 다수개의 압박편이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사용자의 척추를 교정하는 척추교정부와; 상기 척추교정부의 후단부에 결합된 상태로 설치되며,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여 앞부분과 뒷부분이 서로 다른 곡률반경을 갖는 아치형으로 형성되고, 좌우 양측면 사이를 가로질러 다수개의 압박편이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사용자의 경추를 교정하는 경추교정부와; 상기 척추교정부의 후단부와 경추교정부의 전단부 사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척추교정부에 대한 경추교정부의 설치간격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간격조정부를 포함한다.
척추교정, 경추교정, 간격조정, 물리치료

Description

신체교정장치{AN APPARATUS FOR CORRECTION OF HUMAN BODY}
본 고안은 신체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머리 윗쪽으로 양팔을 치켜올려 젖힌 다음 신체의 뒷부분 전체를 단계적으로 점점 큰 원호를 그리면서 아치(Arch)형태로 젖히는 방식으로 스트레칭 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용자의 체중에 의하여 척추 및 경추의 마디마디가 압박되면서 원래의 상태로 펴지게 함으로써 척추와 경추의 흐름을 바르고 부드러우면서 견고하게 하여 인체의 모든 에너지를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골반, 허리, 등, 어깨, 목, 머리에서 생길 수 있는 각종 질환 등을 스스로 예방하고 치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바쁜 일상생활에 쫓겨 운동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며, 공부하는 학생의 경우 발육상태가 예전에 비하여 월등히 향상되었는데 비하여, 학교나 학원 등의 학습공간에 비치되는 의자나 책상은 기존의 것이 사용됨에 따라 장시간의 학습활동이 반복되는 경우 척추가 굽어지는 현상이 척추만곡증이 일반화되고 있다.
또, 최근 정보통신기술이 눈부시게 발전됨과 더불어 인터넷망이 널리 보급됨에 따라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컴퓨터를 이용하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서서 활동하는 시간 보다 앉아서 키보드를 조작하는 시간이 많아짐에 따라 요통이나 어깨결림 등의 골반, 허리, 등, 어깨, 목, 머리로 이어지는 선상의 신체부위에서 각종 질환이 발생된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상기 골반, 허리, 등, 어깨, 목, 머리로 이어지는 부위에는 목뼈인 경추와 등부위의 흉추, 허리부위의 요추 및 골반부위의 천추로 이루어지며, 허리를 지지하고 척수신경을 보호하는 척추가 자리잡고 있는바, 장기간 앉아서 근무하는 직장인이나 학생의 경우 척추가 "S"자로 휘는 척추측만증의 발병률이 높고, 이외에도 허리디스크나 척추분리증 등이 발병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 상기와 같이 공부할 때나 책상앞에서 근무할 때의 잘못된 자세, 고개를 앞으로 숙이고 걷는 동작, 높이가 맞지 않는 베개를 베고 자는 습관 등 잘못된 생활습관이 반복되는 경우에는 신체의 밸런스가 무너지면서 목디스크(경추 추간판 탈출증)가 발병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경추 및 척추의 이상에서 발생되는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바른 생활자세를 유지하고 규칙적으로 적절한 운동을 하는 것이 필요하나 여러가지 여건상 이를 제대로 지키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척추교정을 위한 각종 척추교정기가 제안되었으나, 대부분의 선행기술이 별도의 장치를 이용하여 척추 또는 등근육을 잡아당겨 이완시켜주거나 의복처럼 착용하여 척추의 왜곡을 방지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의료기관이나 재활기관 등 전문기관에서 사용하는 것이어서 개인이 사용하기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머리 윗쪽으로 양팔을 치켜 올려 젖힌 다음 신체의 뒷부분 전체를 단계적으로 점점 큰 원호를 그리면서 아치(Arch)형태로 젖히는 방식으로 스트레칭 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용자의 체중에 의하여 척추 및 경추의 마디마디가 압박되면서 원래의 상태로 펴지게 함으로써 척추와 경추의 흐름을 바르고 부드러우면서 견고하게 하여 인체의 모든 에너지를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골반, 허리, 등, 어깨, 목, 머리에서 생길 수 있는 각종 질환 등을 스스로 예방하고 치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신체교정장치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여 앞부분과 뒷부분이 서로 다른 곡률반경을 갖는 아치형으로 형성되고, 전단부와 후단부가 설치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이루어지며 좌우 양측면 사이를 가로질러 다수개의 압박편이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사용자의 척추를 교정하는 척추교정부와; 상기 척추교정부의 후단부에 결합된 상태로 설치되며,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여 앞부분과 뒷부분이 서로 다른 곡률반경을 갖는 아치형으로 형성되고, 좌우 양측면 사이를 가로질러 다수개의 압박편이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사용자의 경추를 교정하는 경추교정부와; 상기 척추교정부의 후단부와 경추교정부의 전단부 사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척추교정부에 대한 경추교정부의 설치간격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간격조정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간격조정부는 척추교정부의 후단부 좌우측 내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후단외측으로 돌출되며, 상단면에 다수의 끼움홈이 형성된 제1결합편과; 경추교정부의 전단부 좌우측 외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전단 외측으로 돌출되며 하단면에 제1결합편상의 끼움홈에 끼워져 걸리는 다수의 걸림돌부가 형성된 제2결합편으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본 고안에서 상기 간격조정부는 상기 척추교정부의 후단부 중앙하부와 경추교정부의 전단부 및 후단부의 중앙하부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향하는 나사부를 갖도록 형성되는 나사공과; 상기 경추교정부의 후단 외측으로부터 상기 각각의 나사공을 통하여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에 따라 척추교정부와 경추교정부가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하는 리드스크류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본 고안에서 상기 척추교정부를 구성하는 각 압박편의 내부에는 전열선이 매입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전류가 인가되면 발열되면서 각각의 압박편이 가열되도록 구성되고, 척추교정부 본체의 정해진 위치에는 상기 전열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전열선으로 인가되는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고, 전열선의 발열온도를 조정하는 콘트롤러가 설치된 특징을 갖는다.
본 고안에서 상기 경추교정부의 전단면에는 적외선조사기, 원적외선조사기, 저주파진동기, 진동안마기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리치료기가 설치된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적용하면, 신체의 골반, 허리, 등, 목, 머리로 이어지는 신체의 뒷부분이 단계적으로 점점 큰 원호를 그리며 아치형으로 스트레칭됨에 따라 심장근육이 이완되는 것은 물론, 혈액순환이 촉진되어 동맥경화, 심장병예방, 소화불량, 두뇌긴장의 해소에 효과가 있다.
또, 꾸준히 반복하여 사용하면 척추와 경추의 유연성이 증가되고, 귀와 눈질환 편두통,스트레스성 두통과 불면증이 완화되며, 어깨, 등, 배 부위의 경직된 근육이 해소되고 요통이 완화되는 등 잘못된 생활습관에서 기인하는 각종 질환이 예방 및 치유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신체교정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신체교정장치에서 경추교정부의 전단면에 물리치료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신체교정장치에서 간격조정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신체교정장치에서 간격조정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또,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신체교정장치에서 척추교정부의 내부에 전열선이 매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신체교정장치(10)는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머리 윗쪽으로 양팔을 치켜올리면서 척추는 물론 경추에 이르는 신체의 뒷부분 전체를 단계적으로 아치형태로 젖히는 방식으로 스트레칭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신체교정장치(10)는 앞부분에 위치되어 척추를 교정하는 기능을 하는 척추교정부(12)와, 상기 척추교정부(14)의 후단외측에 결합되어 경추를 교정하는 기능을 하는 경추교정부(14) 및 상기 척추교정부(12)와 경추교정부(14)의 설치간격을 조정하는 간격조정부(16)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서 상기 척추교정부(12)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여 앞부분과 뒷부분이 서로 다른 곡률반경을 갖는 아치형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그 전단부(12a)와 후단부(12b)는 설치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이루어진다.
또, 척추교정부(12) 본체의 좌우 양측면 사이에는 척추를 압박하기 위한 다수개의 압박편(18)이 동일한 간격으로 가로질러 설치되어 사용자가 뒤로 누운 상태에서 후단부(12b)쪽으로 이동하면서 스트레칭하는 방식으로 척추를 교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경추교정부(14)는 척추교정부(12)의 후단부에 결합된 상태로 설치되는데, 그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여 앞부분과 뒷부분이 서로 다른 곡률반경을 갖는 아치형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또, 경추교정부(14) 본체의 좌우 양측면 사이를 가로질러 경추를 압박하기 위한 다수개의 압박편(18')이 동일한 간격으로 가로질러 설치되어 사용자가 목의 뒷부분을 뒤로 젖혀 스트레칭하는 방식으로 경추를 교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척추교정부(12)와 경추교정부(14)상의 압박편(18)(18')은 사용자가 뒤로 누웠을 때 척추 및 경추가 닿는 부분의 좌우측이 윗쪽으로 돌출되도록 구성하여 사용시 사용자의 체중에 의하여 척추 및 경추의 좌우 양쪽 가장자리가 눌려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에서 상기 간격조정부(16)는 척추교정부(12)의 후단부(12b)와 경추교정부(14)의 전단부(14a) 사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척추교정부(12)에 대한 경추교정부(14)의 설치간격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다양한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간격조정부(16)의 일 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척추교정부(12)의 후단부(12b) 좌우측 내면으로부터 후단외측으로 상단면에 다수의 끼움홈(20)이 형성된 제1결합편(22)이 돌출되게 설치되고, 경추교정부(14)의 전단부(14a) 좌우측 외면에으로부터 전단 외측으로는 하단면에 제1결합편(22)상의 끼움홈(20)에 끼워져 걸리는 다수의 걸림돌부(24)가 형성된 제2결합편(26)이 돌출되게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 상기 간격고정부(16)의 다른 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척추교정부(12)의 후단부(12b) 중앙하부와 경추교정부(14)의 전단부(14a) 및 후단부(14b)의 중앙하부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향하는 나사부를 갖는 나사공(28)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경추교정부(14)의 후단 외측으로부터 상기 각각의 나사공(28)을 통하여 별도의 리드스크류(Lead Screw:30)를 끼워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회전시키면 척추교정부(12)와 경추교정부(14)가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서 상기 척추교정부(12)를 구성하는 각 압박편(18)의 내부에는 전열선(32)이 매입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전류가 인가되면 발열되면서 각각의 압박편(18)이 가열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척추교정부(12)의 측면 한쪽에는 전열선(3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전열선으로 인가되는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고, 전열선(32)의 발열온도를 조정하는 콘트롤러(34)가 설치된다.
또, 본 고안에서 상기 경추교정부(14)의 전단면에는 적외선조사기, 원적외선 조사기, 저주파진동기, 진동안마기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리치료기(36)가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척추교정부(12)상의 콘크롤러(34)와 경추교정부(14)상의 물리치료기(36)에는 외부의 전원과 연결되도록 하기 위하여 전선 및 플러그(38)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플러그(38)를 외부전원과 연결된 콘센트에 꽂은 상태에서 콘트롤부(34)상에 배치된 스위치를 조작하여 전열선(32)이 가열되도록 하면, 상기 전열선(32)이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되는 온도까지 가열되면서 압박편(18)이 따뜻해진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척추교정부(12)의 전단부(12a)쪽의 첫번째 압박편과 두번째 압박편사이의 공간에 발뒤꿈치를 끼워 넣은 상태에서 편안하게 누운 후 양팔을 머리뒷쪽으로 치켜올려 젖힌 다음, 신체의 뒷부분을 아치형태로 스트레칭한 상태에서 처음에는 3∼5분, 익숙해지면 10∼15분까지 점차 늘려가면서 유지하고, 복식호흡을 병행한다.
이와 같이하여 1단계의 스트레칭이 이루어지면, 몸을 뒷쪽으로 밀어 이동시킨 후 발뒤꿈치를 두번째 압박편과 세번째 압박편 사이의 공간에 끼워 넣은 상태에서 동일한 스트레칭동작을 수행하면, 압박편(18)상의 돌출된 부분이 척추의 좌우 가장자리를 누르게 되면서 사용자 자신의 체중에 의한 척추교정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척추교정부(12)를 이용하여 척추를 교정하기 위한 스트레칭동작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몸이 뒷쪽으로 이동되면 자연스럽게 사용자의 경추가 경추교정부(14)에 위치하게 되는데, 척추교정을 위한 스트레칭시와 마찬가지로 목의 뒷부분을 뒤로 젖히면 경추교정부(14)에 설치된 압박편(18')상의 돌출된 부분이 경추의 좌우 가장자리를 누르게 되면서 경추의 교정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신체교정장치(10)를 이용하여 신체를 교정하는 경우에 각 단계별 스트레칭 동작시 상기 압박편(18)(18')상에 돌출된 부분에 의하여 신체의 뒷부분에 압박되는 강도가 강해지면서 척추선 및 경추선의 좌우 양쪽의 지압점에 대한 지압효과가 향상된다.
한편, 상기 척추교정부(12)와 경추교정부(14) 사이에는 간격조정부(16)가 설치되는데, 사용자의 신체조건상 목이 상대적으로 길거나 짧은 경우 간격조정부를(16)를 이용하여 척추교정부(12)와 경추조정부(14)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즉,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조정부(16)가 척추교정부(12)의 후단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제1결합편(22)과 경추교정부(14)의 전단 외측으 로 돌출되는 제2결합편(26)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사용자의 자신의 경추길이를 감안하여 경추교정부(26)의 제2결합편(26)의 하단면에 형성된 걸림돌부(24)를 제1결합편(22)상의 끼움홈(20)에 맞추어 끼우는 방식으로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조정부(16)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향하는 나사부를 갖는 나사공(28)과 상기 나사공(28)에 끼워져 체결되는 리드스크류(30)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경추길이를 감안하여 리드스크류(30)를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회전시켜 척추교정부(12)와 경추교정부(14)가 서로 동시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하는 방식으로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경추교정부(14)의 전단면에 적외선조사기, 원적외선조사기, 저주파진동기, 진동안마기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리치료기(36)가 설치되는 경우 스트레칭동작에 의하여 경추를 교정함과 동시에 물리치료기의 작용에 의하여 경추질환을 치료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신체교정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신체교정장치에서 경추교정부의 전단면에 물리치료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신체교정장치에서 간격조정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신체교정장치에서 간격조정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신체교정장치에서 척추교정부의 내부에 전열선이 매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척추교정부 14 : 경추교정부
16 : 간격조정부 18,18' : 간격조정부
20 : 끼움홈 22 : 제1결합편
24 : 걸림돌부 26 : 제2결합편
28 : 나사공 30 : 리드스크류
32 : 전열선 34 : 콘트롤러
36 : 물리치료기.

Claims (5)

  1.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여 앞부분과 뒷부분이 서로 다른 곡률반경을 갖는 아치형으로 형성되고, 전단부(12a)와 후단부(12b)가 설치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이루어지며 좌우 양측면 사이를 가로질러 다수개의 압박편(18)이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사용자의 척추를 교정하는 척추교정부(12)와;
    상기 척추교정부(12)의 후단부에 결합된 상태로 설치되며,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여 앞부분과 뒷부분이 서로 다른 곡률반경을 갖는 아치형으로 형성되고, 좌우 양측면 사이를 가로질러 다수개의 압박편(18')이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사용자의 경추를 교정하는 경추교정부(14)와;
    상기 척추교정부(12)의 후단부(12b)와 경추교정부(14)의 전단부(14a) 사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척추교정부(12)에 대한 경추교정부(14)의 설치간격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간격조정부(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교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정부(16)는 척추교정부(12)의 후단부(12b) 좌우측 내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후단외측으로 돌출되며, 상단면에 다수의 끼움홈(20)이 형성된 제1결합편(22)과;
    경추교정부(14)의 전단부(14a) 좌우측 외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전단 외측으 로 돌출되며 하단면에 제1결합편(22)상의 끼움홈(20)에 끼워져 걸리는 다수의 걸림돌부(24)가 형성된 제2결합편(26)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교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정부(16)는 척추교정부(12)의 후단부(12b) 중앙하부와 경추교정부(14)의 전단부(14a) 및 후단부(14b)의 중앙하부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향하는 나사부를 갖도록 형성되는 나사공(28)과;
    상기 경추교정부(14)의 후단 외측으로부터 상기 각각의 나사공(28)을 통하여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에 따라 척추교정부(12)와 경추교정부(14)가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하는 리드스크류(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교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척추교정부(12)를 구성하는 각 압박편(18)의 내부에는 전열선(32)이 매입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전류가 인가되면 발열되면서 각각의 압박편(18)이 가열되도록 구성되고;
    척추교정부(12) 본체의 정해진 위치에는 상기 전열선(3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전열선(32)으로 인가되는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고, 전열선(32)의 발열온도를 조정하는 콘트롤러(34)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교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추교정부(14)의 전단면에는 적외선조사기, 원적외선조사기, 저주파진동기, 진동안마기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리치료기(36)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교정장치.
KR2020070012671U 2007-07-27 2007-07-27 신체교정장치 KR2009000113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2671U KR20090001134U (ko) 2007-07-27 2007-07-27 신체교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2671U KR20090001134U (ko) 2007-07-27 2007-07-27 신체교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134U true KR20090001134U (ko) 2009-02-02

Family

ID=41298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2671U KR20090001134U (ko) 2007-07-27 2007-07-27 신체교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1134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9298B1 (ko) * 2014-12-24 2015-06-17 엄광복 요추 교정운동 보조 기구
KR20210002842A (ko) 2019-07-01 2021-01-1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거북목 교정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9298B1 (ko) * 2014-12-24 2015-06-17 엄광복 요추 교정운동 보조 기구
WO2016105139A1 (ko) * 2014-12-24 2016-06-30 엄광복 요추 교정운동 보조 기구
KR20210002842A (ko) 2019-07-01 2021-01-1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거북목 교정 장치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0384B1 (ko) 척추 교정용 휠백장치
KR101173164B1 (ko) 경추 견인치료기
JP5894277B2 (ja) 脊椎・脊髄疾患を予防及び治療するための矯正椅子
KR101633910B1 (ko) 경추 보조장치
KR100945059B1 (ko) 마사지 장치
KR101551150B1 (ko) 기능성 지압요법 근막 지압기
KR101430899B1 (ko) 척추 교정용 복합 지압기구
KR102030379B1 (ko) 경추 교정기
KR101849884B1 (ko) 척추 교정대
KR101649416B1 (ko) 머리 이완용 베개
KR102148323B1 (ko) 온열식 척추 교정장치
KR20180001747U (ko) 척추 스트레칭 장치
KR200417047Y1 (ko) 건강운동기구
WO2008143469A2 (en) The method and apparatus of spinal correction with a equipment made to measure
KR20140112855A (ko) 삼중 곡면 구조의 등받이형 척추 교정장치
KR20070081086A (ko) 베어 등목 베개
KR20090001134U (ko) 신체교정장치
CN109172352B (zh) 一种颈椎康复椅
KR200216138Y1 (ko) 척추 교정용 의자
KR200415070Y1 (ko) 신체교정장치
KR100371610B1 (ko) 의자를 이용한 척추 교정방법
KR100996489B1 (ko) 일대일 맞춤형 척추체형교정기 및 그 성형방법
KR20170096992A (ko) 물리치료용 척추교정기
KR20100127429A (ko) 목 교정 받침
KR200240806Y1 (ko) 허리 및 다리 교정 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