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5070Y1 - 신체교정장치 - Google Patents

신체교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5070Y1
KR200415070Y1 KR2020060002642U KR20060002642U KR200415070Y1 KR 200415070 Y1 KR200415070 Y1 KR 200415070Y1 KR 2020060002642 U KR2020060002642 U KR 2020060002642U KR 20060002642 U KR20060002642 U KR 20060002642U KR 200415070 Y1 KR200415070 Y1 KR 2004150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ressing
current
vibrator
sp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26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보선
Original Assignee
이보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보선 filed Critical 이보선
Priority to KR20200600026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50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50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507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2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4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6Arms
    • A61H2205/062Shoul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1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에서는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머리 윗쪽으로 양팔을 치켜올리면서 신체의 뒷부분 전체를 단계적으로 점점 큰 원호를 그리면서 아치(Arch)형태로 젖히는 방식으로 스트레칭 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용자의 체중에 의하여 척추의 마디마디가 압박되면서 원래의 상태로 펴지게 함으로써 척추의 흐름을 바르고 부드러우면서 견고하게 하여 인체의 모든 에너지를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골반, 허리, 등, 어깨, 목, 머리에서 생길 수 있는 여러가지 질환 등을 스스로 예방하고 치유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신체교정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신체교정장치는 150∼200cm의 길이와 40∼60cm의 폭으로 이루어지며, 중심부의 최고 높이가 40∼50cm로 유지되는 한편,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여 앞부분과 뒷부분이 서로 다른 곡률반경을 갖는 아치형으로 형성되며, 전단부와 후단부가 설치면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좌우 양측면 사이를 가로질러 동일한 간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14개의 압박편과; 상기 각 압박편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전류가 인가되면 발열되면서 압박편이 가열되도록 하는 전열선과; 상기 프레임의 좌우 양측면 상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고정·설치되며, 윗부분에 일정 간격으로 파지홈이 형성된 손잡이부와; 프레임의 전단부 상면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류의 흐름과 전열선 및 다른 전자부품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콘트롤부를 포함한다.
신체교정, 척추, 압박편, 압박돌기, 진동자, 온열

Description

신체교정장치{AN APPARATUS FOR CORRECTION OF HUMAN BODY}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체교정장치를 앞쪽에서 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체교정장치를 뒷쪽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에에 따른 신체교정장치를 앞쪽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신체교정장치를 뒷쪽에서 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신체교정장치에서 다른 예의 압박돌기가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체교정장치에서 압박편의 중심선을 따라 진동자 및 원적외선램프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신체교정장치에서 압박돌기상에 진동자 및 원적외선램프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신체교정장치의 측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신체교정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프레임 14 : 압박편
16 : 전열선 18 : 손잡이부
20 : 콘트롤부 22 : 압박돌기
24 : 원적외선램프 26 : 진동자
28 : 저주파진동자.
본 고안은 신체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머리 윗쪽으로 양팔을 치켜올리면서 신체의 뒷부분 전체를 단계적으로 점점 큰 원호를 그리면서 아치(Arch)형태로 젖히는 방식으로 스트레칭 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용자의 체중에 의하여 척추의 마디마디가 압박되면서 원래의 상태로 펴지게 함으로써 척추의 흐름을 바르고 부드러우면서 견고하게 하여 인체의 모든 에너지를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골반, 허리, 등, 어깨, 목, 머리에서 생길 수 있는 각종 질환 등을 스스로 예방하고 치유할 수 있도록 한 신체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바쁜 일상생활에 쫓겨 운동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며, 공부하는 학생의 경우 발육상태가 예전에 비하여 월등히 향상되었는데 비하여, 학교나 학원 등의 학습공간에 비치되는 의자나 책상은 기존의 것이 사용됨에 따라 장시간의 학습활동이 반복되는 경우 척추가 굽어지는 현상이 척추만곡증이 일반화되고 있다.
또, 최근 정보통신기술이 눈부시게 발전됨과 더불어 인터넷망이 널리 보급됨에 따라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컴퓨터를 이용하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서서 활동하는 시간 보다 앉아서 키보드를 조작하는 시간이 많아짐에 따라 요통이나 어깨결림 등 의 골반, 허리, 등, 어깨, 목, 머리로 이어지는 선상의 신체부위에서 각종 질환이 발생된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상기 골반, 허리, 등, 어깨, 목, 머리로 이어지는 부위에는 목뼈인 경추와 등부위의 흉추, 허리부위의 요추 및 골반부위의 천추로 이루어지며, 허리를 지지하고 척수신경을 보호하는 척추가 자리잡고 있는바, 장기간 앉아서 근무하는 직장인이나 학생의 경우 척추가 "S"자로 휘는 척추측만증의 발병률이 높고, 이외에도 허리디스크나 척추분리증 등이 발병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 상기와 같이 공부할 때나 책상앞에서 근무할 때의 잘못된 자세, 고개를 앞으로 숙이고 걷는 동작, 높이가 맞지 않는 베개를 베고 자는 습관 등 잘못된 생활습관이 반복되는 경우에는 신체의 밸런스가 무너지면서 목디스크(경추 추간판 탈출증)가 발병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경추, 흉추 및 요추에서 발생되는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바른 생활자세를 유지하고 규칙적으로 적절한 운동을 하는 것이 필요하나 여러가지 여건상 이를 제대로 지키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척추교정을 위한 각종 척추교정기가 제안되었으나, 대부분의 선행기술이 별도의 장치를 이용하여 척추 또는 등근육을 잡아당겨 이완시켜주거나 의복처럼 착용하여 척추의 왜곡을 방지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의료기관이나 재활기관 등 전문기관에서 사용하는 것이어서 개인이 사용하기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머리 윗쪽으로 양팔을 치켜올리면서 신체의 뒷부분 전체를 단계적으로 점점 큰 원호를 그리면서 아치(Arch)형태로 젖히는 방식으로 스트레칭 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용자의 체중에 의하여 척추의 마디마디가 압박되면서 원래의 상태로 펴지게 함으로써 척추의 흐름을 바르고 부드러우면서 견고하게 하여 인체의 모든 에너지를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골반, 허리, 등, 어깨, 목, 머리에서 생길 수 있는 각종 질환 등을 스스로 예방하고 치유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신체교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신체교정장치는 150∼200cm의 길이와 40∼60cm의 폭으로 이루어지며, 중심부의 최고 높이가 40∼50cm로 유지되는 한편,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여 앞부분과 뒷부분이 서로 다른 곡률반경을 갖는 아치형으로 형성되며, 전단부와 후단부가 설치면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좌우 양측면 사이를 가로질러 동일한 간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14개의 압박편과; 상기 각 압박편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전류가 인가되면 발열되면서 압박편이 가열되도록 하는 전열선과; 상기 프레임의 좌우 양측면 상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고정·설치되며, 윗부분에 일정 간격으로 파지홈이 형성된 손잡이부와; 프레임의 전단부 상면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류의 흐름과 전열선 및 다른 전자부품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콘트롤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프레임의 좌우 양측면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각 압박편의 상부면의 좌우 양쪽에는 사용시 압박강도를 높여주어 지압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압박돌기가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고안에서 상기 각 압박편 사이에 형성되는 만곡홈의 중심선상에는 전류의 인가에 따라 점등 및 발열되면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원적외선램프가 설치된 특징을 갖는다.
본 고안에서 상기 압박편의 중심부에는 전류의 인가에 따라 진동되는 진동자 또는 저주파진동자가 선택적으로 설치된 특징을 갖는다.
본 고안에서 상기 압박돌기의 상부면에는 전류의 인가에 따라 진동되는 진동자 또는 저주파진동자가 선택적으로 설치된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체교정장치를 앞쪽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체교정장치를 뒷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또, 도 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신체교정장치를 앞쪽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신체교정장치를 뒷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또,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체교정장치에서 압박편의 중심선을 따라 진동자 및 원적외선램프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신체교정장치에서 압박돌기상에 진동자 및 원적외선램프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신체교정장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신체교정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신체교정장치(10)는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머리 윗쪽으로 양팔을 치켜올리면서 신체의 뒷부분 전체를 단계적으로 아치형태로 젖히는 방식으로 스트레칭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신체교정장치(10)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아치형의 프레임(12)과, 상기 프레임의 좌측면(12a)과 우측면(12b)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다수개의 압박편(14)과, 상기 압박편(16)의 내부에 설치되어 압박편(18)을 가열하는 전열선(16)과; 상기 프레임(12)의 좌우측면(12a)(12b) 상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고정·설치되는 손잡이부(18) 및 프레임(12)으로 인가되는 전류의 흐름 및 전자부품의 작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부(20)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서 상기 프레임은 150∼200cm의 길이와 40∼60cm의 폭으로 이루어지며, 중심부의 최고 높이가 40∼50cm로 유지되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여 앞부분이 뒷부분에 비하여 완만한 형태의 곡률반경을 갖는 아치형으로 형성된다.
또, 상기 프레임(12)의 전단부와 후단부가 설치면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며, 상기 후단부의 수직면에는 사람의 뒷머리부가 들어갈 수 있는 깊이의 요홈(12c)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프레임은 강도가 우수하고 뒤틀리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컬코트, 합성수지, 돌가루 및 세라믹을 혼합·제조하여 우수한 성형 성과 강도를 갖는 복합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표면에는 보온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수지가 발포되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14개의 압박편(14)은 프레임(12)의 좌우 양측면(12a)(12b) 사이를 가로질러 동일한 간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각 압박편(14) 사이에는 만곡홈(14a)이 형성된다.
상기 각 압박편(14)은 사용자가 누워서 신체의 뒷부분을 아치형으로 스트레칭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척추와 경추 각 마디부분을 압박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서 상기 각 압박편(14)의 내부에는 전류가 인가되면 발열되면서 압박편(14)을 가열시켜 따뜻하게 함으로써 온열기능을 부여하는 전열선(16)이 내장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프레임(12)의 좌우 양측면(12a)(12b) 상단부 가장자리에는 단계별 이동시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신체를 뒷쪽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부(18)가 통상의 볼트와 너트체결방식에 의하여 고정·설치되며, 상기 손잡이부(18)의 윗부분에는 일정 간격으로 파지홈(18a)이 형성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프레임(12)의 전단부 상면에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류의 흐름과 전열선(16) 등 전자부품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콘트롤부(20)가 설치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 상기 프레임(12)의 좌우 양측면(12a)(12b)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각 압박편(14)의 상부면의 좌우 양쪽에는 사용시 압박강도를 높여주어 지압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압박돌기(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박편(14)상의 압박돌기(22)는 도 3,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면이 곡면을 이루거나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각 압박편(14) 사이에 형성되는 만곡홈(14a)의 중심선상에는 전류의 인가에 따라 점등 및 발열되면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원적외선램프(24)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서 상기 각 압박편(14)의 중심부 및 압박돌기(22)의 상부면에는 전류의 인가에 따라 진동되는 진동자(26) 또는 저주파진동자(28)가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진동자(26)와 저주파진동자(28)는 시중에 판매되는 통상적인 것을 적용하되, 각각 콘트롤부(20)에서 그 동작 및 진동의 강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프레임(12)상에 설치된 콘트롤부(20)에는 외측단에 플러그(30)가 연결된 전선(32)이 인입되며, 상기 전열선(16), 원적외선램프(24), 진동자(26) 및 저주파진동자(28)은 각각 전선에 의하여 콘트롤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콘트롤부(20)에는 상기 각 전자부품을 제어하기 위한 통상의 스위치부는 물론, 전열선(16)과 원적외선램프(24)의 온도, 진동자(26)와 저주파진동자(28)의 진동강도를 조절하기 위한 통상의 조절수단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한 상기 전열선(16), 원적외선램프(24), 진동자(26) 및 저주파진동자 (28) 등의 전자부품으로 연결되는 전선은 프레임(12)의 저면을 따라 배치된 후 폴리우레탄수지(34)를 발포하여 밀봉처리하며, 상기 프레임(12)의 저면부에는 별도의 마감판(36)을 설치하여 압박편(14)과 만곡홈(14a)의 굴곡부분이 보이지 않도록 처리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플러그(30)를 외부전원과 연결된 콘센트에 꽂은 상태에서 콘트롤부(20)상에 배치된 스위치를 조작하여 전열선(16)이 가열되도록 하면, 상기 전열선(16)이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되는 온도까지 가열되면서 압박편(14)이 따뜻해진다.
이 상태에서 신체의 스트레칭은 전체 14단계와 마지막 정리단계로 이루어지는데, 1단계에서는 사용자가 프레임(12)상의 앞부분 첫번째 압박편과 두번째 압박편사이의 만곡홈(14a)에 발뒤꿈치를 끼워 넣은 상태에서 편안하게 누운 후 양팔을 머리뒷쪽으로 치켜올려 젖힌 다음, 신체의 뒷부분을 아치형태로 스트레칭한 상태에서 처음에는 3∼5분, 익숙해지면 10∼15분까지 점차 늘려가면서 유지하고, 복식호흡을 병행한다.
그럼 다음, 2단계 이후 14단계까지 매 단계별 스트레칭동작이 완료된 후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손으로 손잡이부(18)의 파지홈(18a)을 잡고 눕혀진 상태의 몸을 뒷쪽으로 밀어 이동시킨 후, 그 다음 단계에 해당되는 압박편(14)과 만곡홈(14a) 사이에 양발의 뒷꿈치를 걸리도록 하고, 상기 1단계에서와 동일한 요령으로 양팔을 머리뒷쪽으로 치켜올려 젖힌 다음 신체의 뒷부분을 아치형태로 스트레 칭한 상태에서 5∼10분 동안 유지하면서 복식호흡을 병행한다.
이와 같이 신체의 뒷부분이 아치형을 이루면서 스트레칭되는 동작이 반복되면, 3단계와 4단계에서는 흉추가 열리게 되고, 5단계에서는 코, 입, 귀 등 안면근육과 경추가 활성화되고, 천추(골반부위)의 활성화가 시작된다.
또, 6단계에서는 안면근육이 활성화됨과 동시에 백회가 자극되고, 천추와 경추가 더욱 활성화됨은 물론, 뇌로의 산소공급이 원활해지며, 7단계에서는 천추와경추의 활성화가 지속되며 승모근이 자극된다.
또, 8단계에서는 천추와 경추의 활성화와 승모근의 자극에 더하여 신체의 자세가 거꾸로된 상태로 되기 때문에 장하수, 방광하수현상이 발생되면서 장운동이 시작되고, 이 상태에서 내쉬는 숨을 길게 하기를 여러차례 반복하면 내장기능이 강화된다.
한편, 9단계에서는 요추디스크(4번)가 자극되면서 디스크의 예방효과가 있고, 10단계에서는 선골(천골)이 자극되며, 장하수의 자세에서 가스가 방출된다.
11단계에서는 엉덩이가 프레임의 후단부를 미끄러져 바닥에 닿게 되는데, 이 상태에서는 대퇴부, 장단지, 종아리(비복근)가 자극됨에 따라 다리의 피로가 회복된다.
12단계, 13단계, 14단계에서는 아킬레스건이 자극되면서 발목과 종아리의 피로가 회복되며, 발목을 상하방향으로 올렸다 내렸다 하면서 두드려주면 발목림프운동이 활성화된다.
상기 14단계이후의 마지막 정리단계에서는 하늘을 보고 누운 자세에서 양다 리를 모아 양팔로 무릎을 깍지끼고 턱과 무릎이 접촉되도록 하는 동작을 5초간 1회 유지한 다음, 누워 위를 향한 자세로 오른쪽 손바닥을 바닥에 대고 오른쪽 다리를 굽혀서 좌측으로 넘기고, 왼손을 굽힌 오른쪽 무릎을 5초간 1회 눌러주는 동작을 좌우 번갈아 하며, 그런 후에는 바닥을 향하여 무릎을 꿇고 양손을 쭉 뻗어서 손바닥을 바닥에 붙이고 고개를 숙이면서 등을 늘려주는 동작을 5초간 1회 시행하고 마무리 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신체교정장치(10)를 이용하여 신체를 교정하는 경우에 상기 압박편(14)상에 압박돌기(22)가 형성되어 있으면, 각 단계별 스트레칭 동작시 신체의 뒷부분에 압박되는 강도가 강해지면서 척추선의 좌우양쪽의 지압점에 대한 지압효과가 향상된다.
또, 상기 압박편(14) 또는 압박돌기(22)상에 진동자(26) 또는 저주파진동자(28)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각 단계별 스트레칭동작시 콘트롤부(20)에 설치된 해당 전자부품의 제어수단을 조작하여 진동자(26) 또는 저주파진동자(28)를 작동시키면 신체의 뒷부분, 특히 척추선의 좌우 양쪽의 지압점에 대한 진동마사지 또는 저주파 마사지 작용이 이루어짐에 따라 스트레칭효과가 배가된다.
또, 상기 각 압박편(14)사이의 만곡홈(14a)에 원적외선램프(24)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각 단계별 스트레칭 동작시 점등된 원적외선램프(24)로부터 발생된 원적외선이 신체의 뒷부분에 조사됨에 따라 생리기능이 현저하게 활성화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적용하면, 신체의 골반, 허리, 등, 목, 머리로 이어지 는 신체의 뒷부분이 1단계에서 14단계에 이르기까지 점점 큰 원호를 그리며 아치형으로 스트레칭됨에 따라 심장금육이 이완되는 것은 물론, 혈액순환이 촉진되어 동맥경화, 심장병예방, 소화불량, 두뇌긴장의 해소에 효과가 있다.
또, 꾸준히 반복하여 사용하면 척추의 유연성이 증가되고, 귀와 눈질환 편두통,스트레스성 두통과 불면증이 완화되며, 어깨, 등, 배 부위의 경직된 근육이 해소되고 요통이 완화되는 등 잘못된 생활습관에서 기인하는 각종 질환이 예방 및 치유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5)

150∼200cm의 길이와 40∼60cm의 폭으로 이루어지며, 중심부의 최고 높이가 40∼50cm로 유지되는 한편,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여 앞부분과 뒷부분이 서로 다른 곡률반경을 갖는 아치형으로 형성되며, 전단부와 후단부가 설치면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좌우 양측면 사이를 가로질러 동일한 간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14개의 압박편과;
상기 각 압박편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전류가 인가되면 발열되면서 압박편이 가열되도록 하는 전열선과;
상기 프레임의 좌우 양측면 상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고정·설치되며, 윗부분에 일정 간격으로 파지홈이 형성된 손잡이부와;
상기 프레임의 전단부 상면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류의 흐름과 전열선의 설정온도 및 각 전자부품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콘트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교정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좌우 양측면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각 압박편의 상부면의 좌우 양쪽에는 사용시 압박강도를 높여주어 지압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압박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교정장치.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압박편 사이에 형성되는 만곡홈의 중심선상에는 전류의 인가에 따라 점등 및 발열되면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원적외선램프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교정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편의 중심부에는 전류의 인가에 따라 진동되는 진동자 또는 저주파진동자가 선택적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교정장치.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돌기의 상부면에는 전류의 인가에 따라 진동되는 진동자 또는 저주파진동자가 선택적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교정장치.
KR2020060002642U 2006-01-27 2006-01-27 신체교정장치 KR2004150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2642U KR200415070Y1 (ko) 2006-01-27 2006-01-27 신체교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2642U KR200415070Y1 (ko) 2006-01-27 2006-01-27 신체교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5070Y1 true KR200415070Y1 (ko) 2006-04-27

Family

ID=41764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2642U KR200415070Y1 (ko) 2006-01-27 2006-01-27 신체교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507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195B1 (ko) 2006-05-17 2008-03-13 우성미 척추이완용 기구
KR101713047B1 (ko) * 2015-10-22 2017-03-07 박성주 기능성 경추, 요추 교정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195B1 (ko) 2006-05-17 2008-03-13 우성미 척추이완용 기구
KR101713047B1 (ko) * 2015-10-22 2017-03-07 박성주 기능성 경추, 요추 교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1005B1 (ko) 물리치료 기능을 구비한 마사지장치
US20030212352A1 (en) Manipulation device with dynamic intensity control
CN112315732A (zh) 康健装置及其系统
CN201328904Y (zh) 振动牵引热疗床
US20030212303A1 (en) Manipulation device with buoyancy breath monitor
KR100795271B1 (ko) 베어 등목 베개
KR200417047Y1 (ko) 건강운동기구
RU2721142C1 (ru) Регулируемая по высоте реабилитационная лечебная подушка
KR200415070Y1 (ko) 신체교정장치
KR101378163B1 (ko) 멀티자세 교정기
KR101104394B1 (ko) 허리와 목을 견인하고 동시에 골반을 교정하는 치료기
KR200423409Y1 (ko) 건강증진용 베개형 운동구
CN109172352B (zh) 一种颈椎康复椅
KR20210055815A (ko) 요부근력 강화용 자가운동기구
KR101057361B1 (ko) 신체교정용 침대
KR100632993B1 (ko) 스트레칭 운동매트
KR102047714B1 (ko) 척추교정 및 허리근력강화를 위한 의료보조기구
JP2018110828A (ja) 骨盤背骨修正器
KR20180004993A (ko) 지압기능이 있는 경추치료용 롤링마사지 베개
KR101237513B1 (ko) 골반 및 힙업 교정장치
WO2018082614A1 (zh) 康健装置及其系统
KR20090001134U (ko) 신체교정장치
TWM468231U (zh) 具人體工學曲線的床組
KR100718647B1 (ko) 치료보조용 척추 운동기
CN214968770U (zh) 一种运动式人体按摩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