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3047B1 - 기능성 경추, 요추 교정기 - Google Patents

기능성 경추, 요추 교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3047B1
KR101713047B1 KR1020150147183A KR20150147183A KR101713047B1 KR 101713047 B1 KR101713047 B1 KR 101713047B1 KR 1020150147183 A KR1020150147183 A KR 1020150147183A KR 20150147183 A KR20150147183 A KR 20150147183A KR 101713047 B1 KR101713047 B1 KR 101713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portion
body receiving
user
lower body
upp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7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주
박지현
Original Assignee
박성주
박지현
영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주, 박지현, 영산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박성주
Priority to KR1020150147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30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3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3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Abstract

이 발명은 하체받침부와 상체받침부가 힌지부로 결합된 척추 교정기에 있어서, 상기 하체받침부와 상체받침부는 상기 힌지부에 의하여 각도 조절이 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하체받침부 및 상체받침부의 상부면은 신체의 다리, 허리, 등, 목 등의 접촉이 용이하도록 만곡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체받침부와 상체받침부의 내부면 사이에 구비된 제1 각도조절부에 의하여 신체적 조건에 맞도록 굽혀지는 기능성 경추, 요추 교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신체의 후면에 부분적으로 압박을 가하는 부위가 발생되지 않아 신체 내 혈액의 순환 및 기(氣)의 순환이 방해받지 않고, 각도 조절의 범위가 50퍼센트 이상 증대되어 사용자의 신체적 조건에 맞춘 정확한 각도를 제공할 수 있으며, 요추 디스크 환자에게는 자신의 요추 디스크 상태에 맞는 각도를, 경추 디스크 환자에게는 자신의 경추 디스크 상태에 맞는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가 누워있는 상태에서 제3자가 사용자의 디스크 상태에 맞도록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능성 경추, 요추 교정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능성 경추, 요추 교정기{FUNCTIONAL C AND L-SPINE CHIROPRACTIC APPARATUS}
이 발명은 척추 교정기에 관한 장치로서, 특히 척추를 구성하는 경추 및 요추의 교정기에 관한 것이다.
척추는 신체라는 구조물의 골격이다. 일반적으로 척추는 목뼈에서부터 허리뼈까지 척추마디 사이에 끼어있는 반원모양의 관절로서 각각의 관절 사이에 척추뼈와 접해있는 연골판이 있으며, 둥그런 외곽 주위로는 탄력있는 환상섬유로 겹겹이 둘러 싸여 있고, 그 내부 중심에는 말랑말랑한 수액이 들어있다.
일반적으로 척추 디스크병은 척추와 척추 사이에 위치하는 수핵과 섬유륜에서 발생되는 것으로 수핵이 탈출하는 수핵 탈출증이라고도 하며 척추의 경부, 흉부, 요부의 디스크에서 주로 발생한다.
이러한 척추 디스크병의 근본적인 원인은 척추 디스크가 직립 생활 및 전굴 활동으로 압력에 의해 눌리거나 손상되는 것이다. 즉, 과도한 하중 또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으로 척추와 척추 사이의 수핵이 돌출해 나와 신경근이 압박을 받는 것이고, 신경근의 압박으로 요통을 일으킬 뿐 아니라 신경이 연결되는 하반신에도 방사통을 일으키게 되며, 악화시 직립된 상태로 정상적인 활동을 할 수 없게 될 정도의 척추 디스크병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최근에는 스마트폰이나 PC의 사용 증가로 인하여 경추 디스크병을 호소하는 환자들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른바, 쿠룬타는 이러한 척추 디스크병을 해결하기 위하여 척추를 후굴(backbend)시켜 디스크가 차지하는 공간을 넓혀주는 척추 교정기이다. 즉, 쿠룬타는 사용자가 후굴자세로 누운 상태에서 척추의 압력을 해소할 수 있게 한다. 구체적으로, 요추 부위에서 한번 휘어지는 각도는 요추와 흉추 부위의 디스크 공간을 넓혀주고, 마찬가지로 흉추와 경추 부위에서 휘어지는 각도는 경추의 디스크 공간을 넓혀준다.
종래의 크룬타 중에는 본 발명자의 특허권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58929호(2007.09.10. 등록) “척추 신경 활성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에 따르면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부분이 사다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신체의 특정 부위가 상당한 압박을 받게 된다. 이에 따라, 신체 내 혈액의 순환 및 기(氣)의 순환에 저항이 발생되어 척추 교정의 효과가 반감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부재가 다양하고 복잡하여 제작이 어렵고, 제작 과정에서 분실의 위험이 있으며, 생산 속도가 느리고, 인건비가 상당하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되는 부분이 홈 또는 굴곡이 없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신체의 후면에 부분적으로 압박을 가하는 부위가 발생되지 않아 신체 내 혈액의 순환 및 기(氣)의 순환이 방해받지 않는 기능성 경추, 요추 교정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부재가 단순하여 제작이 용이하므로, 생산 속도가 증대되며, 인건비가 절감되고, 휴대성과 안전성이 증대된 기능성 경추, 요추 교정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나아가, 사용자의 신체적 조건에 맞춘 더 정확한 각도를 제공할 수 있어 디스크 환자 또는 전문 요가 수행자는 보다 용이하고 안전하게 척추 디스크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기능성 경추, 요추 교정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 발명인 기능성 경추, 요추 교정기는 하체받침부(10)와 상체받침부(20)가 힌지부(30)로 결합된 척추 교정기에 있어서, 상기 하체받침부(10)와 상체받침부(20)는 상기 힌지부(30)에 의하여 각도 조절이 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하체받침부(10) 및 상체받침부(20)의 상부면은 신체의 다리, 허리, 등, 목 등의 접촉이 용이하도록 만곡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체받침부(10)와 상체받침부(20)의 내부면 사이에 구비된 제1 각도조절부(40)에 의하여 신체적 조건에 맞도록 굽혀지며, 상기 상체받침부(20)는 등과 접촉되는 등받침부(21)와 머리와 접촉되는 머리받침부(22)가 포함되되, 상기 등받침부(21)와 머리받침부(22)는 힌지부(30)로 결합되고, 상기 등받침부(21)와 머리받침부(22)의 내부면 사이에 구비된 제2 각도조절부(50)에 의하여 신체의 경추 또는 요추 디스크 상태에 맞도록 굽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각도조절부(40)는 상기 하체받침부(10)와 상체받침부(20)에 제1 걸고리(41)가 각각 구비되어 프론트 와이어(42)와 리어 와이어(43)가 끼워지며, 상기 프론트 와이어(42)와 리어 와이어(43) 사이에 제1 길이조절구(44)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제2 각도조절부(50)는 상기 등받침부(21)와 머리받침부(22)에 제2 걸고리(51)가 각각 구비되어 제2 길이조절구(52)가 상기 제2 걸고리(51)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체받침부(10) 및 상체받침부(20)는 금속재로 제작된 제1 플레이트(10a)(20a) 상부에 합성수지재로 제작된 제2 플레이트(10b)(20b)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체받침부(10) 및 상체받침부(20) 하단에는 각각 고무패킹(15)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체받침부(10)의 폭방향 가장자리에는 끼움홀(11)이 형성되어 상기 끼움홀(11)에 가이드봉(12)이 착탈 가능하도록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해, 이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되는 부분이 홈 또는 굴곡이 없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신체의 후면에 부분적으로 압박을 가하는 부위가 발생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신체 내 혈액의 순환 및 기(氣)의 순환이 방해받지 않으므로, 이 발명에 따른 척추 교정의 효과가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부재가 단순하여 제작이 용이하므로, 생산 속도가 증대될 수 있고, 인건비가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무게가 줄어들어 휴대성과 안전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이 발명은 3단 접이식 구조를 지닐 수 있어, 각도 조절의 범위가 50퍼센트 이상 증대되어 사용자의 신체적 조건에 맞춘 정확한 각도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종래의 척추용 교정기에 비하여 사용자에게 더 낮거나 더 높은 후굴자세를 제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디스크 환자 또는 전문 요가 수행자는 보다 용이하고 안전하게 척추 디스크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발명은 3단 접이식 구조를 지닐 수 있어, 요추 디스크 환자에게는 자신의 요추 디스크 상태에 맞는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고, 경추 디스크 환자에게는 자신의 경추 디스크 상태에 맞는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디스크 환자가 자신의 척추 디스크 이상 부위에 맞도록 정확한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함으로써, 척추 교정 및 치료가 배가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주로 디스크 환자)가 이 발명 위에 누워있는 상태에서 제3자가 사용자의 디스크 상태에 맞도록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누워있다가 다시 일어나서 각도를 조절해야 하는 수고가 덜어지는 이점이 있으며, 사용자가 누워있는 상태에서 제3자에 의하여 더 정확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 발명은 제1 각도조절부 및 제2 각도조절부에 의하여 신체적 조건에 맞도록 굽혀질 수 있어, 사용자의 척추 상태에 적합한 후굴(backbend)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통증이나 무리없이 디스크의 공간을 넓힐 수 있어, 부작용 없이 척추 교정의 효과가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두 겹의 플레이트가 결합됨으로써, 사용자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구조적 안정성을 가지면서, 접촉되는 신체 부위에 편안함과 따뜻함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하체받침부에는 끼움홀이 형성되어 상기 끼움홀에 가이드봉이 착탈 가능하도록 끼움 결합됨으로써, 손잡이로서의 기능과 다리모음부재로서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즉, 상기 하체받침부에 형성된 끼움홀에 사용자가 신체적 조건에 맞추어 원하는 위치에 가이드봉을 끼움 결합함으로써, 손잡이 또는 다리모음부재가 구비되는 것이어서, 호환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이 발명의 일 실시예인 기능성 경추, 요추 교정기의 전체적인 형태를 도시한 도면임.
도 2는 이 발명의 일 실시예인 기능성 경추, 요추 교정기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임.
도 3은 이 발명의 일 실시예인 기능성 경추, 요추 교정기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임.
도 4는 이 발명의 일 실시예인 기능성 경추, 요추 교정기의 휴대를 위하여 굽혀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임.
도 5는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고무패킹이 구비된 기능성 경추, 요추 교정기의 전체적인 형태를 도시한 도면임.
도 6은 이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끼움홀에 가이드봉이 결합된 기능성 경추, 요추 교정기의 전체적인 형태를 도시한 도면임.
도 7은 도 6의 실시예에 대한 기능성 경추, 요추 교정기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임.
도 8은 이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끼움홀에 걸이줄이 결합된 기능성 경추, 요추 교정기의 전체적인 형태를 도시한 도면임.
도 9은 도 8의 실시예에 대한 기능성 경추, 요추 교정기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임.
이 발명에 따른 기능성 경추, 요추 교정기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이 발명의 일 실시예인 기능성 경추, 요추 교정기의 전체적인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 발명인 기능성 경추, 요추 교정기는 하체받침부(10)와 상체받침부(20)가 힌지부(30)로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하체받침부(10)와 상체받침부(20)는 상기 힌지부(30)에 의하여 각도 조절이 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하체받침부(10) 및 상체받침부(20)의 상부면은 신체의 다리, 허리, 등, 목 등의 접촉이 용이하도록 만곡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되는 부분이 홈 또는 굴곡이 없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신체의 후면에 부분적으로 압박을 가하는 부위가 발생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신체 내 혈액의 순환 및 기(氣)의 순환이 방해받지 않으므로, 이 발명에 따른 척추 교정의 효과가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반면, 종래의 척추용 교정기(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58929호 “척추 신경 활성기” 참조)는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부분이 사다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신체의 특정 부위가 상당한 압박을 받게 된다. 이에 따라, 신체 내 혈액의 순환 및 기(氣)의 순환에 저항이 발생되어 척추 교정의 효과가 반감될 수 있다.
결국, 이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되는 부분을 홈 또는 굴곡이 없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혈액 및 기(氣)의 순환에 저항을 주었던 요소들을 제거하여 척추의 치료 및 교정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하체받침부(10)와 상체받침부(20)의 내부면 사이에 구비된 제1 각도조절부(40)에 의하여 신체적 조건에 맞도록 굽혀진다. 즉, 사용자마다 상이한 척추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이에 적합한 후굴(backbend)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통증이나 무리없이 디스크의 공간을 넓힐 수 있어 부작용 없이 척추 교정의 효과가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 발명은 부재가 단순하여 제작이 용이하므로, 생산 속도가 증대될 수 있고, 인건비가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무게가 줄어들어 휴대성과 안전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플레이트는 사용자의 신체에 대응되는 가로 약 370mm, 세로 약 800mm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척추 교정의 효과를 고려하여 상기 하체받침부(10)와 상체받침부(20)는 각각 곡률이 약 1150R, 650R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1 각도조절부(40)는 상기 하체받침부(10)와 상체받침부(20)에 제1 걸고리(41)가 각각 구비되어 프론트 와이어(42)와 리어 와이어(43)가 끼워지며, 상기 프론트 와이어(42)와 리어 와이어(43) 사이에 제1 길이조절구(44)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체받침부(10)와 상체받침부(20)는 사용자의 신체적 조건에 맞도록 용이하고 신속하게 굽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길이조절구(44)는 턴버클(turnbuckle)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턴버클은 육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그립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턴버클의 외면은 고무 등 합성수지재로 감싸짐으로써 사용자의 그립감을 더 향상시키고, 저온의 접촉감이 주는 불쾌감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제1 걸고리(41)는 유클립(U-clip)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내경이 약 20mm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걸고리(41)는 상기 하체받침부(10)와 상체받침부(20)의 내부면에 용접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제1 길이조절구(44)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도 2는 이 발명의 일 실시예인 기능성 경추, 요추 교정기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상체받침부(20)는 등과 접촉되는 등받침부(21)와 머리와 접촉되는 머리받침부(22)가 포함되되, 상기 등받침부(21)와 머리받침부(22)는 힌지부(30)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등받침부(21)와 머리받침부(22)의 내부면 사이에 구비된 제2 각도조절부(50)에 의하여 신체의 경추 또는 요추 디스크 상태에 맞도록 굽혀질 수 있다.
여기서, 경추(cervical vertebrae)라 함은, 7개의 등골뼈로 된 척추의 맨 윗부분을 의미하고, 또한 요추(lumbar vertebrae)라 함은, 척추의 허리부분을 구성하는 5개의 추골을 의미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이 발명은 하체받침부(10)와 상체받침부(20)로 분절되고, 상체받침부(20)는 다시 등받침부(21)와 머리받침부(22)로 분절되는 것이어서 전체적으로 3단 접이식 구조를 지닐 수 있다.
이에 따라, 각도 조절의 범위가 50퍼센트 이상 증대되어 사용자의 신체적 조건에 맞춘 정확한 각도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이 발명은 3단 접이식 구조를 지님으로써, 종래의 척추용 교정기에 비하여 사용자에게 더 낮거나 더 높은 후굴자세를 제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디스크 환자 또는 전문 요가 수행자는 보다 용이하고 안전하게 척추 디스크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발명은 3단 접이식 구조를 지님으로써, 요추 디스크 환자에게는 자신의 요추 디스크 상태에 맞는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고, 경추 디스크 환자에게는 자신의 경추 디스크 상태에 맞는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디스크 환자가 자신의 척추 디스크 이상 부위에 맞도록 정확한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함으로써, 척추 교정 및 치료가 배가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주로 디스크 환자)가 이 발명 위에 누워있는 상태에서 제3자가 사용자의 디스크 상태에 맞도록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누워있다가 다시 일어나서 각도를 조절해야 하는 수고가 덜어지는 이점이 있으며, 사용자가 누워있는 상태에서 제3자에 의하여 더 정확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동일한 사용자라도 몸 컨디션에 맞추어 적절한 각도로 조절함으로써, 척추 교정 및 치료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등받침부(21) 및 머리받침부(22)의 플레이트 형상은 사용자의 신체에 대응되는 가로 약 370mm, 세로 약 400mm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등받침부(21)와 머리받침부(22) 및 상기 등받침부(21)와 하체받침부(10)를 연결하는 각각의 힌지부(30)는 하나의 경첩으로 제작되어 상기 등받침부(21), 머리받침부(22) 및 하체받침부(10)의 내부면에 용접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상기 힌지부(30)는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각도 조절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2 각도조절부(50)는 상기 등받침부(21)와 머리받침부(22)에 제2 걸고리(51)가 각각 구비되어 제2 길이조절구(52)가 상기 제2 걸고리(51)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길이조절구(52)는 턴버클(turnbuckle)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턴버클은 육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그립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턴버클의 외면은 고무 등 합성수지재로 감싸지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의 그립감을 더 향상시키고, 저온의 접촉감이 주는 불쾌감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등받침부(21)와 머리받침부(22)는 사용자의 신체적 조건에 맞도록 용이하고 신속하게 굽혀질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턴버클 사이에는 가이드 스틱(도면 미도시)이 삽입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지렛대 원리에 의하여 적은 힘으로 턴버클을 회전시켜 용이하게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걸고리(51)는 상기 등받침부(21)와 머리받침부(22)의 내부면에 용접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제2 길이조절구(52)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도 3은 이 발명의 일 실시예인 기능성 경추, 요추 교정기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A)는 머리받침부(22)를 굽히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B)는 머리받침부(22)를 굽힌 상태에서 사용자가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의 (B)와 같이, 상기 머리받침부(22)를 굽힌 상태에서 사용자가 누웠을 때, 하체받침부(10)의 경사가 완만하고, 상체받침부(20)의 경사는 상기 하체받침부(10)의 경사보다 급하되, 상기 머리받침부(22)의 경사는 상기 등받침부(21)의 경사보다 더 급하게 될 수 있다.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적 조건에 맞도록 정확한 각도를 조절하거나, 디스크 환자가 자신의 척추 디스크 이상 부위에 맞도록 정확한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하체받침부(10)와 상체받침부(20)가 펼쳐진 상태에서 제2 각도조절부(50)를 조절하여 등받침부(21)와 머리받침부(22)의 각도를 특정한다(도 3의 (A) 참조). 그 다음, 굽어진 상기 머리받침부(22)에 대응하여 제1 각도조절부(40)를 조절한다(도 3의 (B) 참조).
또한, 사용자(주로 디스크 환자)가 이 발명 위에 누워있는 상태에서 제3자가 사용자의 디스크 상태에 맞도록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도 3을 참조하면, 경추 부위(등받침부(21)와 머리받침부(22))의 각도를 증가시키면 요추 부위의 각도(하체받침부(10)와 등받침부(21))는 줄어들고, 반대로 경추 부위의 각도를 감소시키면 요추 부위의 각도는 증가된다.
한편, 도 4는 이 발명의 일 실시예인 기능성 경추, 요추 교정기가 미사용시 휴대하기 적합하도록 최대로 굽혀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하체받침부(10)와 상체받침부(20)의 내부면이 대향되도록 최대로 굽혀짐으로써, 부피가 최소화되어 휴대하기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사용 후 보관하기 위하여 상기 하체받침부(10)와 상체받침부(20)를 굽히기만 하면 된다는 점에서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가 다시 사용하고자 한다면, 상기 하체받침부(10)와 상체받침부(20)를 펼치기만 하면 된다. 이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보관 전의 특정된 각도로 바로 복귀된다는 이점이 있다.
도 5는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고무패킹(15)이 구비된 기능성 경추, 요추 교정기의 전체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하체받침부(10) 및 상체받침부(20)는 금속재로 제작된 제1 플레이트(10a)(20a) 상부에 합성수지재로 제작된 제2 플레이트(10b)(20b)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플레이트(10a)(20a)를 구성하는 금속재는 사용자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지니는 재료로서, 표면상에는 홈이나 굴곡이 없는 소재이면 족하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스테인레스로 제작될 수 있으며, 알루미늄 및 동판 등으로도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플레이트(10b)(20b)를 구성하는 합성수지재는 사용자가 누운 자세로 접촉시 따뜻한 정도의 체온이 유지되고, 푹신한 소재이면 족하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코르크시트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인조가죽시트 등으로도 제작될 수 있다.
두 겹의 플레이트가 결합됨으로써, 사용자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구조적 안정성을 가지면서, 접촉되는 신체 부위에 편안함과 따뜻함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제1 플레이트(10a)(20a)가 스테인레스로 제작되고, 제2 플레이트(10b)(20b)가 코르크시트로 제작되는 경우, 각각 약 4T 및 1.2T 두께로 제작되어 접착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하체받침부(10) 및 상체받침부(20) 하단에는 각각 고무패킹(15)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하체받침부(10) 및 상체받침부(20)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바닥의 긁힘을 방지함으로써,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이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끼움홀(11)에 가이드봉(12)이 결합된 기능성 경추, 요추 교정기의 전체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이 실시예의 측면을 도시한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하체받침부(10)의 폭방향 가장자리에는 끼움홀(11)이 형성되어 상기 끼움홀(11)에 가이드봉(12)이 착탈 가능하도록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봉(12)은 상기 하체받침부(10)의 끼움홀(11)에 끼움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손잡이로서의 기능과 다리모음부재로서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즉, 상기 하체받침부(10)에 형성된 끼움홀(11)에 사용자가 신체적 조건에 맞추어 원하는 위치에 가이드봉(12)을 끼움 결합함으로써, 손잡이 또는 다리모음부재가 구비되어 호환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최초 누운 자세에서 크거나 작은 위치 변동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가이드봉(12)이 손잡이 기능을 발휘하므로, 이를 통하여 용이하게 자세 보정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봉(12)이 다리모음부재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데, 사용자의 누운 자세에서의 다리 벌어짐을 방지하여 척추 교정의 효과가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다리모음부재 기능을 발휘하는 또 다른 실시예로서, 하체받침부(10)와 힌지로 결합된 판 형상의 다리모음판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봉(12)은 장공형 단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상기 가이드봉(12)은 안정적으로 하체받침부(10)의 끼움홀(11)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봉(12)은 하부에 닥턱(12a)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착탈 가능하도록 끼움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이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끼움홀(11)에 걸이줄(13)이 결합된 기능성 경추, 요추 교정기의 전체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9은 이 실시예의 측면을 도시한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하체받침부(10)의 폭방향 가장자리에는 끼움홀(11)이 형성되어 상기 끼움홀(11)을 관통하는 걸이줄(13)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상기 걸이줄(13) 내측으로 발목을 고정시킴으로써, 안정적으로 척추 교정 및 치료를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사용자의 신체적 여건과 기호에 맞추어 윗몸일으키기 등 운동을 병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이 발명인 기능성 경추, 요추 교정기의 제조방법으로서, 먼저, 금속재 플레이트를 원하는 크기로 절단한다(가로 약 370mm 및 세로 약 800mm). 3단 접이식 구조로 제작할 경우, 상기 절단된 플레이트 중 일부를 한 번 더 절단한다(가로 약 370mm 및 세로 약 400mm).
그 다음, 하체받침부(10) 및 상체받침부(20)에 해당하는 플레이드를 각각 목적된 곡률로 벤딩한다(곡률 약 1150R, 650R).
그 다음, 상기 하체받침부(10) 및 상체받침부(20)에 힌지부(30)를 용접 결합하고, 상기 하체받침부(10) 및 상체받침부(20)의 내부면에는 제1 걸고리(41)를 용접 결합한다. 3단 접이식 구조로 제작할 경우, 등받침부(21) 및 머리받침부(22)에 힌지부(30)를 용접 결합하고, 상기 등받침부(21) 및 머리받침부(22)의 내부면에는 제2 걸고리(51)를 용접 결합한다.
그 다음, 플레이트의 모서리와 표면을 정리하여 합성수지재 플레이트를 접착한다.
그 다음, 제1 걸고리(41)에 와이어와 제1 길이조절구(44)를 결합하여 제1 각도조절부(40)를 구성한다. 3단 접이식 구조로 제작할 경우, 제2 걸고리(51)에 제2 길이조절구(52)를 결합하여 제2 각도조절부(50)를 구성한다.
이상에서 이 발명에 의한 기능성 경추, 요추 교정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이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이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10 : 하체받침부 11 : 끼움홀
12 : 가이드봉 13 : 걸이줄
15 : 고무패킹 20 : 상체받침부
21 : 등받침부 22 : 머리받침부
30 : 힌지부 40 : 제1 각도조절부
41 : 제1 걸고리 42 : 프론트 와이어
43 : 리어 와이어 44 : 제1 길이조절구
50 : 제2 각도조절부 51 : 제2 걸고리
52 : 제2 길이조절구

Claims (7)


  1. 하체받침부(10)와 상체받침부(20)가 힌지부(30)로 결합된 척추 교정기에 있어서,
    상기 하체받침부(10)와 상체받침부(20)는 상기 힌지부(30)에 의하여 각도 조절이 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하체받침부(10) 및 상체받침부(20)의 상부면은 신체의 다리, 허리, 등, 목 등의 접촉이 용이하도록 만곡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체받침부(10)와 상체받침부(20)의 내부면 사이에 구비된 제1 각도조절부(40)에 의하여 신체적 조건에 맞도록 굽혀지며,
    상기 상체받침부(20)는 등과 접촉되는 등받침부(21)와 머리와 접촉되는 머리받침부(22)가 포함되되, 상기 등받침부(21)와 머리받침부(22)는 힌지부(30)로 결합되고, 상기 등받침부(21)와 머리받침부(22)의 내부면 사이에 구비된 제2 각도조절부(50)에 의하여 신체의 경추 또는 요추 디스크 상태에 맞도록 굽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경추, 요추 교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각도조절부(40)는 상기 하체받침부(10)와 상체받침부(20)에 제1 걸고리(41)가 각각 구비되어 프론트 와이어(42)와 리어 와이어(43)가 끼워지며, 상기 프론트 와이어(42)와 리어 와이어(43) 사이에 제1 길이조절구(44)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경추, 요추 교정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각도조절부(50)는 상기 등받침부(21)와 머리받침부(22)에 제2 걸고리(51)가 각각 구비되어 제2 길이조절구(52)가 상기 제2 걸고리(51)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경추, 요추 교정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체받침부(10) 및 상체받침부(20)는 금속재로 제작된 제1 플레이트(10a)(20a) 상부에 합성수지재로 제작된 제2 플레이트(10b)(20b)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경추, 요추 교정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체받침부(10) 및 상체받침부(20) 하단에는 각각 고무패킹(15)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경추, 요추 교정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체받침부(10)의 폭방향 가장자리에는 끼움홀(11)이 형성되어 상기 끼움홀(11)에 가이드봉(12)이 착탈 가능하도록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경추, 요추 교정기.
KR1020150147183A 2015-10-22 2015-10-22 기능성 경추, 요추 교정기 KR101713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7183A KR101713047B1 (ko) 2015-10-22 2015-10-22 기능성 경추, 요추 교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7183A KR101713047B1 (ko) 2015-10-22 2015-10-22 기능성 경추, 요추 교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3047B1 true KR101713047B1 (ko) 2017-03-07

Family

ID=58411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7183A KR101713047B1 (ko) 2015-10-22 2015-10-22 기능성 경추, 요추 교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304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9173A (ko) 2017-05-25 2018-12-05 등 김 척추 교정장치
KR102235350B1 (ko) 2019-10-18 2021-04-02 (주)에어박스 운동기구 겸용 해먹
CN113197719A (zh) * 2021-03-31 2021-08-03 解维涛 一种腰椎治疗用牵引装置
KR20220010138A (ko) * 2020-07-17 2022-01-25 장성아 척추 스트레칭 운동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5070Y1 (ko) * 2006-01-27 2006-04-27 이보선 신체교정장치
KR20070111252A (ko) * 2006-05-17 2007-11-21 우성미 척추이완용 기구
KR20130085596A (ko) * 2012-01-20 2013-07-30 박진묵 척추 스트레칭 운동기구
KR20140126463A (ko) * 2013-04-23 2014-10-31 기 석 우 키 성장 촉진 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5070Y1 (ko) * 2006-01-27 2006-04-27 이보선 신체교정장치
KR20070111252A (ko) * 2006-05-17 2007-11-21 우성미 척추이완용 기구
KR20130085596A (ko) * 2012-01-20 2013-07-30 박진묵 척추 스트레칭 운동기구
KR20140126463A (ko) * 2013-04-23 2014-10-31 기 석 우 키 성장 촉진 기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9173A (ko) 2017-05-25 2018-12-05 등 김 척추 교정장치
KR102235350B1 (ko) 2019-10-18 2021-04-02 (주)에어박스 운동기구 겸용 해먹
KR20220010138A (ko) * 2020-07-17 2022-01-25 장성아 척추 스트레칭 운동장치
KR102365303B1 (ko) * 2020-07-17 2022-02-18 장성아 척추 스트레칭 운동장치
CN113197719A (zh) * 2021-03-31 2021-08-03 解维涛 一种腰椎治疗用牵引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41179B2 (ja) 熟眠用整形枕
US8893334B1 (en) Orthopedic pillows
KR101713047B1 (ko) 기능성 경추, 요추 교정기
US20120024295A1 (en) Orthopedic device
KR101577903B1 (ko) 교정 및 치료 효과를 가지는 베개
CN109259914A (zh) 一种脊柱外科用矫正装置
JP2013533059A (ja) 3曲面腰椎前弯リカバリーパッド
KR101849884B1 (ko) 척추 교정대
JP2013523288A (ja) 脊椎牽引装置
JP2011167325A (ja) 頚椎矯正用枕
CN106344342A (zh) 一种脊柱复位及训练康复器
KR101214848B1 (ko) 자세교정의자
WO2008143469A2 (en) The method and apparatus of spinal correction with a equipment made to measure
KR20070081086A (ko) 베어 등목 베개
CN104688396A (zh) 一种颈椎牵引器
CN110114042B (zh) 颈椎牵引装置
CN211485125U (zh) 一种维持脊柱正常生理曲度的装置
RU214872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тяжения позвоночника за счет гравитации под весом собственного тела человека
CN202161447U (zh) 颈椎牵引枕
KR101102894B1 (ko) 척추 및 골격 고정의자
KR200474245Y1 (ko) 척추 교정과 허리 통증 완화용 받침대
CN111658264B (zh) 一种自助式颈椎保健、治疗牵引装置
CN202619928U (zh) 颈椎生理曲度矫正治疗器
KR102577401B1 (ko) 척추 및 무릎용 재활 운동기구
KR101126325B1 (ko) 목 교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