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7401B1 - 척추 및 무릎용 재활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척추 및 무릎용 재활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7401B1
KR102577401B1 KR1020210127041A KR20210127041A KR102577401B1 KR 102577401 B1 KR102577401 B1 KR 102577401B1 KR 1020210127041 A KR1020210127041 A KR 1020210127041A KR 20210127041 A KR20210127041 A KR 20210127041A KR 102577401 B1 KR102577401 B1 KR 102577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pine
knees
user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7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4655A (ko
Inventor
안왕근
Original Assignee
안왕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왕근 filed Critical 안왕근
Priority to KR1020210127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7401B1/ko
Priority to PCT/KR2022/014380 priority patent/WO2023048535A1/ko
Publication of KR20230044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4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7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7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61H1/0229Drawing-out devices by reducing gravity forces normally applied to the body, e.g. by lifting or hanging the body or part of 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Devices carried or supported by
    • A61G7/1046Mobile bases, e.g. having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9Attachment, suspending or supporting means for pat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4Kn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55Both knee and hip of a patient, e.g. in supine or sitting position, the feet being moved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plane
    • A61H1/0262Walking movement; Appliances for aiding disabled persons to wal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08Using suspension devices for supporting the body in an upright walking or standing position, e.g.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disabl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61H2201/1652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06Standing on the feet

Abstract

척추 및 무릎용 재활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한 쌍의 수직프레임(111, 112)의 하부에 이동바퀴(115)가 설치된 바디부재(110);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111, 112)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용자의 상체를 지지할수 있도록 상기 수직프레임(111, 112)에 결합되는 하중받침부재(130) 상기 하중받침부재(130)를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킴에 따라 사용자의 상체 하중에 대응되는 중량이 상기 하중받침부재(130)에 전달되도록 하여 상기 바디부재(110)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는 웨이트부재(150)를 마련하여 겨드랑이,팔, 또는 어깨를 하중받침부재 (130) 에 걸친 상태에서 보행하면서 재활운동을 할수 있다.
상기 하중받침부재(130)에 체중이 실림으로써 척추와 무릎에 가해지는 하중이 감소돼고, 직립에 따른 체중이 척추와 무릎에 덜 전달이 되고 압박된 디스크와 협착된 척추를 견인하는 역할을 하게 되어, 척추가 쭉 펴지면서 바르게 정렬이 되고 통증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척추 및 무릎용 운동기구의 발명의 목적은 척추와 무릎의 하중을 최대한 줄여서 상기와 같이 통증이 감소되고, 걸으면서 재활운동을 함으로써 신체의 균형감각과, 근력운동, 정신적인 재활 운동이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척추 및 무릎재활용 운동기구의 발명의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척추 및 무릎용 재활 운동기구{Rehabilitation equipment for spine and knee}
본 발명은 척추 및 무릎용 재활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척추와 무릎에 가해지는 하중을 웨이트의 중량을 이용해서 상체가 들어 올려진 상태가 되어 척추와 무릎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인 상태에서 보행 및 재활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척추 및 무릎용 재활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직립 보행하는 인간은 항상 중력으로 인해 척추에 하중이 크게 작용하고 있다.
직업상 근로작업과 사고, 노화, 선천적 질환으로 척추가 변형이 되고 퇴행 되어서 척추 측만증 ,추간판 탈출증(디스크) ,척추관 협착증 등으로 많은 사람들이 고통 받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현대인은 운동 부족과 앉아서 생활하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더욱 심각하게 대두 되고 있다.
또한 청소년기의 학생들은 선척적인 척추 변형과 오랫동안의 학습자세, 장시간의 컴퓨터의 사용 등 잘못된 자세로 인해서 척추 측만증 등 척추 변형이 발샐할 확률이 많다.
이러한 척추 변형을 초기에 교정하지 않으면 만성 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어서 주의와 관찰이 필요하다.
척추측만증(Scoliosis)이란 척추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 정중앙의 축으로부터 척추가 옆으로 휜 것을 지칭하지만, 실제로는 단순한 2차원적인 변형이 아니라 추체의 회전 변형이 동반되어 옆에서 보았을 때에도 정상적인 만곡 상태가 소실되는 3차원적인 변형을 의미한다.
또한 척추측만증은 척추의 비정상적인 만곡을 일으키고 이로 인해 척추 주변의 근육과 인대에 긴장이발생하며, 신경의 압박을 통해 두통이나 경부, 어깨, 요부 등의 통증, 잦은 피로감, 만성 피로와 같은 외관상및 기능상 결함 및 정서적 장애 등의 증세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동안의 척추측만증에 대한 국내외 치료 및 연구경향은 비수술적 요법으로 전문치료사에 의한 도수교정운동치료, 보조기 치료 그리고 수술적 요법을 이용한 교정치료가 대부분으로 이뤄져 왔다.
비수술적 요법인 보조기 치료는 치료기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치료효과 역시 비용에 대비해 미미한 수준이며 착용감과 외관상의 불편함으로 치료에 대한 환자들의 만족도가 낮았다.
또한 도수교정치료는 척추분절이고정되지 못한 상태에서 적용함으로써 효율성이 떨어지며 이에 사용되는 의료장비 대부분이 비싼 수입 의료장비로 비싼 비용을 지불하고 있는 현실이다.
수술적 요법은 수술이 적용될 수 있는 정도의 각도 변형이 있을 경우에만 실시할 수 있고, 의료비용 역시 많이 들며 재활기간이 오래 걸리므로 역시 이에 대한 효율성이 떨어지는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의료비용을 낮추면서 척추측만증 교정에 대한 치료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새로운 융합 운동재활기구의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다.
한편, 추간판탈출증(일명 디스크)란 요추와 요추 사이가 눌려 간격이 좁아지거나 섬유테의 변형으로수액(髓液)이 빠져 나와 신경을 압박하여 통증을 유발하게 되는 질환이다.
이러한 디스크를 치료하기 위한 가장좋은 방법은 좁아진 요추 간격 사이를 넓혀 척수사이의 음압상태로 만들어 신경의 압박을 감소시켜 통증을 줄이는 것이다.
따라서 디스크의 발병 시에는 감압견인치료기를 통해 요추 간격을 넓혀주고 주변의 근육을 강화시키는 치료방법을 통상적으로 시술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감압견인치료기는 매우 고가의 제품으로써 과다한 치료비가 소요되며 기존의 물리치료기는 치료효과가 미비하고 치료기간이 길어 효율성이 떨어진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척추 교정용 재활운동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척추 교정용 재활운동기구는 프레임에 지지되어 사용자가 누울 수 있는 자리를 제공하는 베드요소 및 사용자의 골반과 머리 부분을 각각 고정시키는 결속요소 그리고 사용자가 발과 팔을 사용하여 운동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운동요소를 포함하는 척추교정용 재활 운동기구에 있어서,상기 프레임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시트가 구비되고, 이 시트의 후방으로 연이어 시소베드가 배치되되, 상기 시소베드는 세워진 상태에서 뒤로 젖혀지도록 회동되게 지지되며,상기 프레임은지면에 접촉되어 지지하는 것으로 여러 개의 파이프를 연결하여 수평으로 배치되는 받침프레임 및 상기 받침프레임의 전방 일측에서 수직하게 구비되어 그 상부에 발 운동기구가 설치되는 제1수직프레임 및 상기 제1수직프레임의 후방 일측에서 수직하게 구비되어 그 상부에 시트가 구비되는 제2수직프레임 및 상기 제2수직프레임의 후방 일측에서 수직하게 구비되어 그 상부에 상기 베드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수직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제1수직프레임은 상기 받침프레임의 일측에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하단이 힌지 결합되는하단바 및 상기 하단바의 상부에 위치되어 힌지 결합되어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상단바를 포함한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척추교정 운동기구'가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척추교정 운동기구는 하부에 구비되는 받침프레임과 상기 받침프레임의 후방 상단으로부터 수직 연결되고 상단에 절곡부가 연장되는 중앙지지프레임과 하단이 상기 받침프레임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중앙지지프레임에 연결되는 보강프레임과 상기 받침프레임의 내측에 횡설되는 보조프레임으로 구비되는 베이스프레임체와, 상기 중앙지지프레임의 상단에 연장된 절곡부에 용접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전면에 구비되는 회동가이드체와, 상기 회동가이드체에 연결되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이 상단 중앙에 위치되어 회동축의 하단이상단에 용접 고정되고 양측에 각각 파지구가 구비되는 회동체와, 상기 회동체의 후면 양측에 일단이 각각 용접되는 2개의 등받이프레임과 상기 등받이프레임 타단에각각 구비되는 등받이체와, 상기 중앙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일단이 용접되는 머리지지프레임과 상기 머리지지프레임의 타단에용접고정되고 호형으로 형성되는 머리받침체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체의 받침프레임 내측에 구비되는 의자를 포함한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272196호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63327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2-0100613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웨이트의 중량으로 사용자의 척추와 무릎의 받는 하중을 감소시킨 상태에서 보행하면서 재활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척추 및 무릎용 재활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체중에 대응되는 중량체에 의해 척추에 받는 하중을 줄여줌으로써, 신경의 압박과 협착 및 변형으로 인한 통증을 개선하고 걸으면서 운동이 이루어지는 척추 및 무릎용 재활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허리보호대와 견인 와이어를 이용해서 보다 안정적으로 척추와 무릎을 보호하면서 재활운동이 이루어지는 척추 및 무릎용 재활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척추 및 무릎용 재활 운동기구는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한 쌍의 수직프레임(111, 112)의 하부에 이동바퀴(115)가 설치된 바디부재(110);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111, 112)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용자의 상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프레임(111, 112)에 결합되는 하중받침부재(130); 상기 하중받침부재(130)를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킴에 따라 사용자의 상체 하중에 대응되는 중량이 상기 하중받침부재(130)에 전달되도록 상기 바디부재(110)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는 웨이트부재(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웨이트부재(150)를 보다 안전하게 들어올릴 수 있도록 상기 바디부재(110)에 설치되는 와이어견인부재(170); 상기 와이어견인부재(170)에 설치된 와이어(180)와 연결되고, 사용자의 허리 및 어깨 부위에 착용되는 허리보호대부재(1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디부재(110)는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부에 하중받침부재(130)를 결합시킬 수 있게 일정 높이 간격으로 다수의 높이조절구멍(111a)이 형성된 제1 수직프레임(111);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부에 하중받침부재(130)를 결합시킬 수 있게 일정 높이 간격으로 다수의 높이조절구멍(112a)이 형성된 제2 수직프레임(112); 상기 수직프레임(111, 112)의 전면으로 고정되는 하부수평프레임(113); 상기 하부수평프레임(11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바퀴(115); 상기 바디부재(110)를 소정의 각도로 잡아당김에 따라 상기 이동바퀴(115)와 함께 지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바퀴유닛(1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중받침부재(130)는 상기 수직프레임(111, 112)에 결합되고, 상기 수직프레임(111, 112)의 높이조절구멍(111a, 112a)에 대응되게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높이조절구멍(132)이 형성된 한 쌍의 높이조절프레임(131); 상기 높이조절프레임(131)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사용자의 팔을 지탱할 수 있도록 상기 높이조절프레임(131)에서 수평 방향으로 고정되는 한 쌍의 하부지지프레임(133); 상기 하부지지프레임(133)의 일단에서 수직 방향으로 고정되는 수직프레임(134); 사용자의 어깨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프레임(134)의 상단에서 상기 하부지지프레임(133)의 상측에 위치되게 고정되는 한 쌍의 어깨지지프레임(135); 사용자가 바디부재(110) 및 상기 웨이트부재(150)를 잡아당길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어깨지지프레임(135)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는 전면파지프레임(13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웨이트부재(150)는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베이스본체(151); 상기 베이스본체(151)를 회전시킬 수 있게 상기 베이스본체(151)의 일측에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지게 형성되는 각도조절프레임(152); 상기 각도조절프레임(152)에 형성되는 각도조절구멍(154); 상기 베이스본체(151)의 상면에 설치되는 완충판(155); 상기 하중받침부재(130)에 일정량의 중량이 가해질 수 있도록 상기 완충판(155)의 상면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웨이트(157); 상기 바디부재(110)의 수직프레임(111, 112)에 고정되는 회전프레임(158); 상기 각도조절프레임(152)의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회전프레임(158)에 결합되는 회전축(159); 상기 베이스본체(151)의 저면에 설치되는 보조바퀴유닛(1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이어견인부재(190)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중앙수직프레임(191); 상기 중앙수직프레임(191)을 상기 바디부재(110)에 고정시킬 수 있게 상기 중앙수직프레임(191)의 하부에 고정되는 하부수평프레임(192); 상기 중앙수직프레임(191)을 상기 바디부재(110)에 고정시킬 수 있게 상기 하부수평프레임(192)의 상측에 고정되는 상부고정프레임(193); 상기 중앙수직프레임(191)의 상부와 상기 상부고정프레임(193)에 고정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194); 상기 중앙수직프레임(191)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와이어(19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척추 및 무릎용 재활 운동기구에 의하면, 겨드랑이, 팔 또는 어께를 하중받침부재에 걸친 상태에서 척추 및 무릎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이고 직립에 따른 체중이 척추와 무릎에 전달되는 것을 줄여서 통증을 감소시키고 안정적인 자세로 보행하면서 근력 운동과 재활운동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척추 및 무릎용 재활 운동기구에 의하면 웨이트부재를 사용자의 신체 상태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해서 체중에 따른 압박 또는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고, 사용자가 지면으로 부터 적당히 들뜬 상태에서 보행하면서 재활운동을 할 수 있다.
또 허리보호대 및 와이어견인부재에 의해 사용자의 체중을 감소시킨 상태에서 재활 치료사와 같이 재활 치료를 보다 편한 상태에서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보행이 불편한 중증의 환자들도 재활운동기구에 몸을 의지해서 보호자와 함께 좀 더 안정적으로 재활운동을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척추 및 무릎용 재활 운동기구를 도시한분해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척추 및 무릎용 재활 운동기구를 도시한분해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척추 및 무릎용 재활 운동기구를 도시한분해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척추 및 무릎용 재활 운동기구를 도시한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척추 및 무릎용 재활 운동기구를 도시한입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척추 및 무릎용 재활 운동기구를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척추 및 무릎용 재활 운동기구를 젖힌 상태를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척추 및 무릎용 재활 운동기구를 젖힌 상태를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척추 및 무릎용 재활 운동기구의 와이어견인부재를 도시한 입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척추 및 무릎용 재활 운동기구의 와이어견인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척추 및 무릎용 재활 운동기구를도시한 측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척추 및 무릎용 재활 운동기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척추 및 무릎용 재활 운동기구는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한 쌍의 수직프레임(111, 112)의 하부에 이동바퀴(115)가 설치된 바디부재(110)와,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111, 112)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용자의 상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프레임(111, 112)에 결합되는 하중받침부재(130)와, 상기 하중받침부재(130)를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킴에 따라 사용자의 상체 하중에 대응되는 중량이 상기 하중받침부재(130)에 전달되도록 상기 바디부재(110)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는 웨이트부재(150)를 포함한다.
<제1 실시 예>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척추 및 무릎용 재활 운동기구를 도시한분해 입체도이고,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척추 및 무릎용 재활 운동기구를 도시한분해 입체도이며,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척추 및 무릎용 재활 운동기구를 도시한분해 입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척추 및 무릎용 재활 운동기구를 도시한입체도이고,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척추 및 무릎용 재활 운동기구를 도시한입체도이며,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척추 및 무릎용 재활 운동기구를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척추 및 무릎용 재활 운동기구는 바디부재(110)와, 상기 바디부재(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중받침부재(130)와, 상기 하중받침부재(130)에 중량을 가해주는 웨이트부재(15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디부재(110)는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부에 하중받침부재(130)를 결합시킬 수 있게 일정 높이 간격으로 다수의 높이조절구멍(111a)이 형성된 제1 수직프레임(111)과,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부에 하중받침부재(130)를 결합시킬 수 있게 일정 높이 간격으로 다수의 높이조절구멍(112a)이 형성된 제2 수직프레임(112)과, 상기 수직프레임(111, 112)의 전면으로 고정되는 하부수평프레임(113)과, 상기 하부수평프레임(11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바퀴(115)와, 상기 바디부재(110)를 소정의 각도로 잡아당김에 따라 상기 이동바퀴(115)와 함께 지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바퀴유닛(116)를 구비한다.
상기 제1 수직프레임(111)과 제2 수직프레임(112)은 소정 높이로 형성되고, 수직프레임(111, 112)의 상부에는 하중받침부재(13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일정 높이 간격으로 각각 높이조절구멍(111a, 112a)이 형성된다.
상기 수직프레임(111, 112)의 하부에는 이동바퀴(115)를 설치할 수 있게 일측으로 돌출되는 하부수평프레임(113)이 고정되며, 상기 하부수평프레임(113)이 견고하게 고정되게 브레이싱(113a)이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수직프레임(111, 112)에는 일정 높이 간격으로 상부수평프레임(114)이 고정되며, 상기 하부수평프레임(113)에는 이동바퀴(115)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 상기 수직프레임(111, 112)에는 보조바퀴유닛(116)이 설치되며, 상기 보조바퀴유닛(116)은 바디부재(110)를 사용자의 전면으로 당기는 경우 이동바퀴(115)와 함께 지면에 접촉되어 수직프레임(111, 112)을 제한된 각도로 회전되게 하며, 이동바퀴(115)와 함께 지면을 따라 이동된다.
즉, 상기 수직프레임(111, 112)을 사용자의 전면으로 젖힘에 따라 도 7에서와 같이, 보조바퀴유닛(116)이 지면에 접촉된다.
상기 보조바퀴유닛(116)은 수직프레임(111, 112)에 보조프레임(117)이 고정되고, 상기 보조프레임(117)에는 지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보조바퀴(118)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수직프레임(111, 112)의 일면에는 전면플레이트(119)가 설치되고, 상기 수직프레임(111, 112)의 타면에는 후면플레이트(120)가 설치된다.
상기 하중받침부재(130)는 상기 수직프레임(111, 112)에 결합되고, 상기 수직프레임(111, 112)의 높이조절구멍(111a, 112a)에 대응되게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높이조절구멍(132)이 형성된 한 쌍의 높이조절프레임(131)과, 상기 높이조절프레임(131)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사용자의 팔을 지탱할 수 있도록 상기 높이조절프레임(131)에서 수평 방향으로 고정되는 한 쌍의 하부지지프레임(133)과, 상기 하부지지프레임(133)의 일단에서 수직 방향으로 고정되는 수직프레임(134)과, 사용자의 어깨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프레임(134)의 상단에서 상기 하부지지프레임(133)의 상측에 위치되게 고정되는 한 쌍의 어깨지지프레임(135)과, 사용자가 바디부재(110) 및 상기 웨이트부재(150)를 잡아당길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어깨지지프레임(135)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는 전면파지프레임(136)을 구비한다.
상기 하중받침부재(130)는 사용자가 바디부재(110)를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킴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를 들어올려 사용자의 체중이 척추(또는 허리) 및 무릎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일 수 있다.
상기 하중받침부재(130)의 높이조절프레임(131)은 수직프레임(111, 112)에 탈착되며, 상기 높이조절프레임(131)에는 높이조절구멍(111a, 112a)에 대응되는 높이조절구멍(132)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 높이조절프레임(131)의 하단에는 일측으로 하부지지프레임(133)이 설치되며, 상기 하부지지프레임(133)은 사용자의 팔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7에서와 같이, 사용자는 하부지지프레임(133)을 파지한 상태에서 팔을 하부지지프레임(133)에 올려놓음으로써, 상체를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하부지지프레임(133)의 선단에는 일정 높이를 갖는 수직프레임(134)이 설치되고, 상기 수직프레임(134)의 상단에는 어깨지지프레임(135)이 설치된다.
상기 어깨지지프레임(135)은 사용자의 어깨를 지지하여 줌으로써, 어깨지지프레임(135)에 사용자의 체중이 실리게 된다. 즉, 사용자는 어깨지지프레임(135)에 올라선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체중은하중지지부재(130)에 의해 척추 및 무릎에 체중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보행이 이루어지는 직립한 상태를 편안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어깨지지프레임(135)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하중받침부재(130)를 파지할 수 있게 전면파지프레임(136)이 설치된다.
상기 웨이트부재(150)는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베이스본체(151)와, 상기 베이스본체(151)를 회전시킬 수 있게 상기 베이스본체(151)의 일측에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지게 형성되는 각도조절프레임(152)과, 상기 각도조절프레임(152)에 형성되는 각도조절구멍(154)과, 상기 베이스본체(151)의 상면에 설치되는 완충판(155)과, 상기 하중받침부재(130)에 일정량의 중량이 가해질 수 있도록 상기 완충판(155)의 상면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웨이트(157)와, 상기 바디부재(110)의 수직프레임(111, 112)에 고정되는 회전프레임(158)과, 상기 각도조절프레임(152)의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회전프레임(158)에 결합되는 회전축(159)과, 상기 베이스본체(151)의 저면에 설치되는 보조바퀴유닛(160)을 구비한다.
상기 웨이트부재(150)의 베이스본체(151)는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본체(151)의 일측에는 각도조절프레임(152)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각도조절프레임(152)의 선단에는 회전축(159)이 결합될 수 있게 결합구멍(153)이 형성되고, 상기 각도조절프레임(152)에는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각도조절구멍(154)이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본체(151)의 상면에는 웨이트(157)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줄일 수 있도록 완충판(155)이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본체(151)의 중앙에는 웨이트(157)가 움직이지 않도록 수직봉(156)이 고정된다.
상기 수직봉(156)에는 사용자의 체중에 따른 중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다수의 웨이트(157)가 구비된다.
상기 바디부재(110)의 수직프레임(111, 112)에는 웨이트부재(15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프레임(158)이 설치되며, 상기 회전프레임(158)과 각도조절구멍(154)에 회전축(159)이 결합된다.
즉, 상기 베이스본체(151)는 회전프레임(158)과 각도조절구멍(154)에 결합된 회전축(159)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아울러 베이스본체(151)의 저면에는보조바퀴유닛(160)이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본체(151)의 저면에는 한 쌍의 바퀴프레임(161)이 설치되고, 상기 바퀴프레임(161)에는 보조바퀴(16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 상기 수직프레임(111, 112)에는 각도조절판(163)이 설치되고, 상기 각도조절판(163)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각도조절구멍(164)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본체(151)의 각도조절구멍(154)에 끼워지는 고정핀(165)이 구비된다.
다음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척추 및 무릎용 재활 운동기구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척추 및 무릎용 재활 운동기구를 젖힌 상태를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또는 환자, 재활운동 대상자)는 보행 또는 재활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웨이트부재(150)의 수직봉(156)에 다수개의 웨이트(157)를 끼워 거치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웨이트(157)의 개수를 달리하여 자신의 체중 또는 재활 운동에 필요한 중량을 조절하게 된다.
또한 웨이트(157)의 중량 조절 뿐만 아니라 각도조절판(163)의 각도조절구멍(164)과 각도조절프레임(152)의 각도조절구멍(154)에 고정핀(165)을 적정한 위치에 결합시킨다.
즉, 사용자는 운동하고자 하는 강도(또는 압력)에 따라 고정핀(165)을 적정 위치에 끼워 결합함으로써, 웨이트본체(151)에 설치되어 있는 웨이트(157)를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핀(165)을 각도조절판(164)의 하부측에 설치하면, 사용자는 비교적 가벼운 중량의 웨이트(157)를 들어올리게 되고, 고정핀(165)을 각도조절판(164)의 상부측에 설치하면, 사용자는 비교적 무거운 중량의 웨이트(157)를 들어올리게 된다.
이와 같이 운동하고자 하는 강도 또는 운동량에 따라 적절한 개수의 웨이트(157)와 각도를 조절한 다음 사용자는 하중받침부재(130)를 파지한 상태에서 신체의 전면으로 잡아당기게 된다.
이에 상기 바디부재(110)의 수직프레임(111, 112)은 도 7에서와 같이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며, 사용자는 재활 운동 또는 보행이 이루어질 수 있게 어깨를 어깨지지프레임(135)에 안착시킨다.
사용자가 어깨를 어깨지지프레임(135)에 올려놓음에 따라 사용자의 발은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들뜬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상기 웨이트(157)는 사용자가 직립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신체를 지면으로부터 들뜨게 하여 줌으로써, 사용자의 체중이 척추(또는 허리) 및 무릎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직립 보행 시와 달리 체중이 척추 및 무릎에 덜 가해진 상태에서 편안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재활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 예>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척추 및 무릎용 재활 운동기구를 젖힌 상태를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재활 운동기구는 사용자의 허리 부위에 착용되는 허리보호대부재(170)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바디부재(110), 하중받침부재(130) 및 웨이트부재(150)는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동일한 명칭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허리보호대부재(170)는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는 허리보호대(171)와, 사용자의 어깨를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어깨관통부(172)와, 상기 허리보호대(171)를 어깨지지프레임(135)에 고정시키는 고정고리(173)로 이루어진다.
상기 허리보호대(171)에는 사용자의 허리 및 등 부위를 감쌀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 가능하게 벨트 또는 버클(미도시) 등이 구비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재활 운동기구는 허리보호대(171)를 허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바디부재(110)를 회전시킴에 따라 웨이트부재(150)가 들어올려지게 된다.
이에 사용자는 하부지지프레임(133)을 파지하고, 어깨를 어깨지지프레임(135)에 지지함과 동시에 허리보호대(171)에 의해 상체를 안정되게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이는 척추(또는 허리)가불안정한 사용자가 척추 전체를 감싸는 허리보호대(171)를 착용하여 척추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보행하면서 재활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제3 실시 예>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척추 및 무릎용 재활 운동기구의 와이어견인부재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 예에 따른 척추 및 무릎용 재활 운동기구, 와이어견인부재 및 허리보호대를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 예에 따른 척추 및 무릎용 재활 운동기구, 와이어견인부재 및 허리보호대를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척추 및 무릎용 재활 운동기구는 상기 웨이트부재(150)를 보다 안전하게 들어올릴 수 있도록 상기 바디부재(110)에 설치되는 와이어견인부재(190)를 더 구비한다.
상기 와이어견인부재(190)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중앙수직프레임(191)과, 상기 중앙수직프레임(191)을 상기 바디부재(110)에 고정시킬 수 있게 상기 중앙수직프레임(191)의 하부에 고정되는 하부수평프레임(192)과, 상기 중앙수직프레임(191)을 상기 바디부재(110)에 고정시킬 수 있게 상기 하부수평프레임(192)의 상측에 고정되는 상부고정프레임(193)과, 상기 중앙수직프레임(191)의 상부와 상기 상부고정프레임(193)에 고정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194)과, 상기 중앙수직프레임(191)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와이어(195)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바디부재(110), 하중받침부재(130) 및 웨이트부재(150)는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조금 다르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어께지지프레임(135)과 베이스본체((151)를 각도조절판(163)과 각도조절핀(165)으로 평행이 되게 조절해서 이동바퀴(115)와 보조바퀴(162)가 지면에 밀착되고, 보조바퀴(118)는 떠있는 상태가 된다.
사용자가 허리보호부재(170)를 착용하고, 어께끈에 와이어연결 고리(174)를 연결하고, 재활지도사가 웨이트(157)를 완충판(155) 위에 올려 놓고 웨이트(157)를 와이어(195)로 피라미드 형태로 적절하게 묶어서 웨이트 (157)의 중량을 허리보호부재(170)로 전달시켜 사용자의 신체가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들어올려진 상태가 되어 척추와 무릎에 가해지는 하중이 줄어든 상태에서 보행하면서 재활지도사와 함께 재활 운동을 할수 있게 된다.
상기 와이어견인부재(190)의 중앙수직프레임(191)은 전체적인 형상이 대략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수직프레임(191)의 하부에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전체적인 형상이 'ㄷ'자 형상의 하부수평프레임(192)이 설치된다.
또 상기 중앙수직프레임(191)의 소정 높이에는 전체적인 형상이 'ㄷ'자 형상의 상부수평프레임(193)이 설치되며, 이들 수평프레임(192, 193)의 일단은 바디부재(110)의 수직프레임(111, 112)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상부수평프레임(193)에는 전체적인 형상이 대략 '∩'자 형상의 수직프레임(194)이 설치되고, 상기 중앙수직프레임(191)의 내부에는 웨이트부재(150)와 허리보호대(170) 사이에 연결되는 와이어(195)가 설치된다.
상기 와이어(195)의 하단은 웨이트(157)에 결속되고, 상기 와이어(195)의 상단은 허리보호부재(170)의 어께끈에 와이어연결고리(174)와 결속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허리보호대(170)를 착용한 상태에서 웨이트(157)의 중량에 의해 신체를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들어올려진 상태에서 재활 운동 또는 보행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10: 바디부재 111: 제1 수직프레임
111a: 높이조절구멍 112: 제2 수직프레임
112a: 높이조절구멍 113: 하부수평프레임
113a: 브레이싱 114: 상부수평프레임
115: 이동바퀴 116: 보조바퀴유닛
117: 보조프레임 118: 보조바퀴
119: 전면플레이트 120: 후면플레이트
130: 하중받침부재 131: 높이조절프레임
132: 높이조절구멍 133: 하부지지프레임
134: 수직프레임 135: 어깨지지프레임
136: 전면파지프레임
150: 웨이트부재 151: 베이스본체
152: 각도조절프레임 153: 결합구멍
154: 각도조절구멍 155: 완충판
156: 수직봉 157: 웨이트
158: 회전프레임 159: 회전축
160: 보조바퀴유닛 161: 바퀴프레임
162: 보조바퀴 163: 각도조절판
164: 각도절구멍 165: 고정핀
170: 허리보호대부재 171: 허리보호대
172: 어깨관통부 173: 고정고리
174: 와이어연결고리
190: 와이어견인부재 191: 중앙수직프레임
192: 하부수평프레임 193: 상부수평프레임
194: 수직프레임 195: 와이어

Claims (6)

  1.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한 쌍의 수직프레임(111, 112)의 하부에 이동바퀴(115)가 설치된 바디부재(110);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111, 112)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용자의 상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프레임(111, 112)에 결합되는 하중받침부재(130);
    상기 하중받침부재(130)를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킴에 따라 사용자의 상체 하중에 대응되는 중량이 상기 하중받침부재(130)에 전달되도록 상기 바디부재(110)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는 웨이트부재(150);를 포함하며,
    상기 웨이트부재(150)는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베이스본체(151);
    상기 베이스본체(151)를 회전시킬 수 있게 상기 베이스본체(151)의 일측에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지게 형성되는 각도조절프레임(152);
    상기 각도조절프레임(152)에 형성되는 각도조절구멍(154);
    상기 베이스본체(151)의 상면에 설치되는 완충판(155);
    상기 하중받침부재(130)에 일정량의 중량이 가해질 수 있도록 상기 완충판(155)의 상면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웨이트(157);
    상기 바디부재(110)의 수직프레임(111, 112)에 고정되는 회전프레임(158);
    상기 각도조절프레임(152)의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회전프레임(158)에 결합되는 회전축(159);
    상기 베이스본체(151)의 저면에 설치되는 보조바퀴유닛(1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및 무릎용 재활 운동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허리 및 어깨 부위에 착용되는 허리보호대부재(170);
    상기 웨이트부재(150)를 보다 안전하게 들어올릴 수 있도록 상기 바디부재(110)에 설치되는 와이어견인부재(1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및 무릎용 재활 운동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재(110)는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부에 하중받침부재(130)를 결합시킬 수 있게 일정 높이 간격으로 다수의 높이조절구멍(111a)이 형성된 제1 수직프레임(111);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부에 하중받침부재(130)를 결합시킬 수 있게 일정 높이 간격으로 다수의 높이조절구멍(112a)이 형성된 제2 수직프레임(112);
    상기 수직프레임(111, 112)의 전면으로 고정되는 하부수평프레임(113);
    상기 하부수평프레임(11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바퀴(115);
    상기 바디부재(110)를 소정의 각도로 잡아당김에 따라 상기 이동바퀴(115)와 함께 지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바퀴유닛(1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및 무릎용 재활 운동기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받침부재(130)는 상기 수직프레임(111, 112)에 결합되고, 상기 수직프레임(111, 112)의 높이조절구멍(111a, 112a)에 대응되게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높이조절구멍(132)이 형성된 한 쌍의 높이조절프레임(131);
    상기 높이조절프레임(131)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사용자의 팔을 지탱할 수 있도록 상기 높이조절프레임(131)에서 수평 방향으로 고정되는 한 쌍의 하부지지프레임(133);
    상기 하부지지프레임(133)의 일단에서 수직 방향으로 고정되는 수직프레임(134);
    사용자의 어깨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프레임(134)의 상단에서 상기 하부지지프레임(133)의 상측에 위치되게 고정되는 한 쌍의 어깨지지프레임(135);
    사용자가 바디부재(110) 및 상기 웨이트부재(150)를 잡아당길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어깨지지프레임(135)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는 전면파지프레임(13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및 무릎용 재활 운동기구.
  5. 삭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견인부재(190)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중앙수직프레임(191);
    상기 중앙수직프레임(191)을 상기 바디부재(110)에 고정시킬 수 있게 상기 중앙수직프레임(191)의 하부에 고정되는 하부수평프레임(192);
    상기 중앙수직프레임(191)을 상기 바디부재(110)에 고정시킬 수 있게 상기 하부수평프레임(192)의 상측에 고정되는 상부고정프레임(193);
    상기 중앙수직프레임(191)의 상부와 상기 상부고정프레임(193)에 고정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194);
    상기 중앙수직프레임(191)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와이어(19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및 무릎용 재활 운동기구.
KR1020210127041A 2021-09-27 2021-09-27 척추 및 무릎용 재활 운동기구 KR102577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7041A KR102577401B1 (ko) 2021-09-27 2021-09-27 척추 및 무릎용 재활 운동기구
PCT/KR2022/014380 WO2023048535A1 (ko) 2021-09-27 2022-09-26 척추 및 무릎용 재활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7041A KR102577401B1 (ko) 2021-09-27 2021-09-27 척추 및 무릎용 재활 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4655A KR20230044655A (ko) 2023-04-04
KR102577401B1 true KR102577401B1 (ko) 2023-09-12

Family

ID=85720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7041A KR102577401B1 (ko) 2021-09-27 2021-09-27 척추 및 무릎용 재활 운동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77401B1 (ko)
WO (1) WO2023048535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04112A (ja) * 2007-05-28 2011-02-03 フンダシオン ファトロニク バランス及び身体の向きの支援装置
KR101627231B1 (ko) * 2016-02-22 2016-06-03 박종덕 재활 치료용 신체 견인 장치
JP2018050945A (ja) * 2016-09-28 2018-04-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歩行訓練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97874B2 (ja) * 1993-09-20 2004-02-16 株式会社シー.シー.エス 歩行機能回復訓練支援装置
US20050268397A1 (en) * 2004-06-03 2005-12-08 Avinoam Nativ Apparatus for assisting a person to stand and walk
KR20120100613A (ko) 2011-03-04 2012-09-12 지디메디칼 주식회사 척추재활 및 교정을 위한 척추근육 운동기구
JP5278860B2 (ja) * 2011-10-04 2013-09-04 株式会社アートプラン 自立支援型移乗装置
KR101272196B1 (ko) 2012-05-10 2013-06-12 윤창로 척추 교정용 재활운동기구
KR200463327Y1 (ko) 2012-06-28 2012-10-30 김성복 척추교정 운동기구
KR101954506B1 (ko) * 2017-01-12 2019-05-1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간병인을 위한 환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전동 이송 리프트
KR101981402B1 (ko) * 2017-12-06 2019-08-28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보행보조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00001098A (ko) * 2018-06-26 2020-01-06 주식회사 랜티스 재활운동을 위한 보행용 스마트 전동휠체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04112A (ja) * 2007-05-28 2011-02-03 フンダシオン ファトロニク バランス及び身体の向きの支援装置
KR101627231B1 (ko) * 2016-02-22 2016-06-03 박종덕 재활 치료용 신체 견인 장치
JP2018050945A (ja) * 2016-09-28 2018-04-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歩行訓練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4655A (ko) 2023-04-04
WO2023048535A1 (ko) 2023-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39124B2 (ja) 拘束・再配置・けん引・運動装置
US802945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tion, correction and/or reversal of aberrant cervical, cervico-thoracic, thoracic, thoraco-lumbar, lumbar and lumbo-sacral/pelvic postures
KR101095633B1 (ko) 척추 교정기
PT1023111E (pt) Aparelho de reequilibrio do corpo humano
US11103409B2 (en) Stretching device to restore and protect against the negative effects of prolonged sitting
KR101875038B1 (ko) 3차원 척추교정 재활운동 기구
JP2010264287A (ja) 背中下部の痛みを防止するための又は和らげるための装置
ES2376013T3 (es) Aparato de ejercicio.
KR200463327Y1 (ko) 척추교정 운동기구
US20210298980A1 (en) Spinal Alignment System and Method
KR100420965B1 (ko) 척추 교정용 의자
US20030130696A1 (en) Method and portable apparatus for spinal adjustment
US10130835B1 (en) Three exercise combination device to alleviate sciatica and low back pain
EP2842535A1 (en) Gravity scoliosis correction device
US2013028946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rapeutic spinal treatment
KR101861041B1 (ko) 상체 운동기능을 겸비한 교정용 상의
US5637079A (en) Traction apparatus
KR101214848B1 (ko) 자세교정의자
KR102577401B1 (ko) 척추 및 무릎용 재활 운동기구
KR100749454B1 (ko) 척추 및 목디스크 교정장치
ES2310594T3 (es) Dispositivo de ejercicios y sujecion.
JP2000139977A (ja) 腰痛治療椅子
KR102323854B1 (ko) 척추측만 재활필라테스 기구
KR101861040B1 (ko) 상체 운동기능을 겸비한 다기능 교정용 상의
CN209316459U (zh) 一种中医康复用腰椎康复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