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7231B1 - 재활 치료용 신체 견인 장치 - Google Patents

재활 치료용 신체 견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7231B1
KR101627231B1 KR1020160020585A KR20160020585A KR101627231B1 KR 101627231 B1 KR101627231 B1 KR 101627231B1 KR 1020160020585 A KR1020160020585 A KR 1020160020585A KR 20160020585 A KR20160020585 A KR 20160020585A KR 101627231 B1 KR101627231 B1 KR 101627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pulling
pull
fixed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0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덕
Original Assignee
박종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덕 filed Critical 박종덕
Priority to KR1020160020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72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7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7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61H1/0222Traction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61H1/0296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09Neck
    • A61H2201/1611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23Back
    • A61H2201/1626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4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1Back

Abstract

본 발명은 신체의 경추 및 척추의 재활 치료를 목적으로 신체의 목 부위와 허리 부위를 견인할 때 적절한 힘으로 미세 조절이 가능하도록 견인할 수 있게 함으로써 안전한 견인이 가능하여 환자를 보호할 수 있는 재활 치료용 신체 견인 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재활 치료용 신체 견인 장치로서, 환자가 앉을 수 있는 의자와 승강되는 등받이가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에 앉아 있는 환자의 목 부위를 견인할 수 있게 설치되어 신체의 경추를 재활 치료할 수 있는 제1 견인 유닛; 및 상기 의자에 앉아 있는 환자의 허리 부위를 견인할 수 있게 설치되어 신체의 척추를 재활 치료할 수 있는 제2 견인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재활 치료용 신체 견인 장치{towing devices for physical rehabilitation}
본 발명은 재활 치료용 신체 견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체의 경추 및 척추의 재활 치료를 목적으로 신체의 목 부위와 허리 부위를 견인할 때 적절한 힘으로 미세 조절이 가능하도록 견인할 수 있게 함으로써 안전한 견인이 가능하여 환자를 보호할 수 있는 재활 치료용 신체 견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인들 사이에는 목이 뻣뻣해지고 팔과 손가락이 저리고 어깨가 아픈 경우가 많다.
단순하게는 근육통이나 원활하지 못한 혈액순환, 중풍 전조증으로 인하여 오는 경우도 있지만, 상당수에 있어서는 경추디스크로 인해서 유발된다.
경추디스크의 원인으로 여러 가지를 들 수 있지만, 교통사고 등의 외상에 의한 경추디스크를 제외하면 신경을 많이 쓰거나, 자세가 나쁘거나, 컴퓨터를 하느라고 집중하여 오래 앉아 있거나, 스트레스를 많이 받아서 오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경추(頸推)는 척추의 맨 위쪽, 인체의 목 부분(구체적으로는 경부)에 있는 추골로서, 7개의 척추뼈가 곡선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경추는 요추(腰推)와 흉추(胸推)와는 다른 해부학적 구조를 갖고 있어 회전운동이나 굴곡 및 신전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한다.
특히, 목 부분에 위치한 경추는 등과 허리보다 뼈가 훨씬 작을 뿐만 아니라 허리보다는 운동범위가 넓고 움직이는 빈도가 잦기 때문에, 등이나 허리에 비해 충격을 쉽게 받으며, 이러한 요인으로 인해 경추디스크가 허리디스크 보다 많다.
또한, 경추에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으로는, 경추부염좌, 경추추간판 탈출증, 경추골절, 경추척추관 협착증, 후종인대골화증, 척추종양 등이 있다.
이중 가장 흔하게 발생되는 대표적인 질환은, 경추부염좌와 경추간판 탈출증이다.
경추부염좌(頸椎部捻挫, whiplash injury)는, 경추를 지지해주는 주위의 근육이나 인대 등이 비정상적으로 긴장 또는 이완되어 있거나, 경추부가 외력에 의하여 과신전(過伸展), 과굴곡(過屈曲)되거나, 비틀림 또는 축(軸)으로 압박될 때 나타난다. 즉, 목근육과 경추 주위를 싸고 있는 근육, 인대 등이 늘어나거나 찢어져 붓고 아픈 증세로서, 자동차 추돌사고에서 흔히 발생되며, 추락, 운동 경기 중 부상에서도 올 수 있다.
경추추간판탈출증(頸椎椎間板脫出症, ruptured cervical disk)은, 목디스크라고도 하는 것으로, 추간판의 퇴행성 변화에 의해서 발생된다.
통상 경추 사이의 추간판이 튀어나와서 신경을 자극하는 연성추간판(soft disc)과 경추 뒤쪽에서 군더더기 뼈가 자라서 신경을 자극하는 경성추간판(hard disc)의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이러한 경추추간판탈출증은 외상 또는 만성적인 자극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고, 중년 이후에는 경추추간판이 노화하여 변화되는 경우에 쉽게 발생된다.
또한, 급성인 경우에는 뒤틀린 자세로 장시간 독서를 하거나 텔레비전 시청을 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고, 고정된 자세로 컴퓨터를 오래 사용하거나 너무 높은 베개를 베고 잠을 잔 경우에도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경추부염좌와 경추추간판탈출증은 경부를 물리적으로 견인함으로써, 경직이나 이완된 근, 인대의 근육을 풀어주고, 좁아진 경추 추간판 사이를 늘려주어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수술을 전제로 하지 않고 물리적인 방법으로 치료를 하거나 재활을 할 경우 사용되는 것이 경추 견인장치이다.
경추 견인장치는, 선 자세나 앉은 자세 혹은 누운 자세에서 턱 부분과 목 부분을 감싸는 벨트를 착용하고 일정한 힘을 이용하여 견인을 하게 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추 견인장치는, 견인 위치, 방향 및 견인 강도에 대한 일정한 표준이 없어 임의로 견인을 한다.
또한, 견인치료가 필요한 환자의 경우는 경추의 모양이 정상인과 다른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정상인과 동일한 위치에서 견인을 시도할 경우 경추에 무리를 줄 수 있다.
특히, 무리한 경추 견인으로 인하여 목 구조가 일자로 변형이 되기도 한다.
또한, 개인에 따라 적절한 견인 강도를 파악하지 못하여 견인시 경추에 무리를 주거나 정확한 치료가 어렵게 된다.
국내 특허 등록번호 10-0874686호, 견인 치료용 의자. 국내 특허 공개번호 10-2015-0047664호, 신체견인기. 국내 특허 공개번호 10-2006-0075445호, 척추 치료 장치. 국내 특허 공개번호 10-2012-0138375호, 허리디스크 운동장치.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체의 경추 및 척추의 재활 치료를 목적으로 신체의 목 부위와 허리 부위를 견인할 때 적절한 힘으로 미세 조절이 가능하도록 견인할 수 있게 함으로써 안전한 견인이 가능하여 환자를 보호하고, 구조가 간단하여 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게 한 재활 치료용 신체 견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재활 치료용 신체 견인 장치로서, 직립 형태의 골격을 이루는 수직 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에 승하강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승강부재에 고정된 등받이와 상기 등받이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수직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되게 설치된 수평 프레임과 상기 수평 프레임에 설치되어 환자가 앉을 수 있는 의자로 이루어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의자에 앉아 있는 환자의 목 부위를 견인할 수 있게 설치되어 신체의 경추를 재활 치료할 수 있는 제1 견인 유닛; 및 상기 본체의 의자에 앉아 있는 환자의 허리 부위를 견인할 수 있게 설치되어 신체의 척추를 재활 치료할 수 있는 제2 견인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견인 유닛은: 상기 본체의 의자에 앉아 있는 환자의 목 부위에 고정시킬 수 있는 제1 고정구; 상기 제1 고정구를 견인할 수 있도록 어느 일단이 상기 제1 고정구에 고정되어 도르래들을 경유하도록 설치된 제1 견인 케이블; 및 상기 제1 견인 케이블을 잡아당겨 제1 고정구를 견인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이 만나는 부위에 인접하도록 상기 수직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견인 케이블의 다른 일단이 고정된 제1 견인 작동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견인 유닛은: 상기 본체의 의자에 앉아 있는 환자의 허리 부위에 고정시킬 수 있게 상기 등받이에 고정되어 있는 제2 고정구; 상기 제2 고정구를 견인할 수 있도록 어느 일단이 승강부재에 고정되어 도르래들을 경유하도록 설치된 제2 견인 케이블; 및 상기 제2 견인 케이블을 잡아당겨 제2 고정구가 고정된 등받이를 견인할 수 있도록 상기 수평 프레임의 중간 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제2 견인 케이블의 다른 일단이 고정된 제2 견인 작동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견인 작동구 및 제2 견인 작동구는: 상기 본체에 횡 방향으로 설치되어 제자리 회전되며, 외주면에는 숫나선부가 형성되되, 상기 숫나선부는 중앙을 기준으로 각각 왼나사와 오른나사로 이루어진 나선축; 상기 나선축을 제자리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나선축의 일단부에 설치된 핸들; 상기 핸들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나선축에 결합되어 상기 나선축의 제자리 회전에 의해 나선축을 따라 왕복 이동되면서 상호 간격이 좁혀지거나 넓혀지도록 상기 나선축의 왼나사와 오른나사에 각각 결합될 수 있는 암나선부가 형성된 제1 내지 제2 이동체; 및 상기 제1 내지 제2 이동체에 어느 일단이 각각 제1 내지 제2 힌지로 결합됨과 아울러 다른 일단은 상호 마주하며 제3 힌지로 결합되고, 상호 마주하여 제3 힌지로 결합된 부위에 상기 제1 내지 제2 견인 케이블의 다른 일단이 각각 고정되어 상기 제1 내지 제2 이동체의 간격이 좁혀지거나 넓혀지도록 왕복 이동될 때 상호 마주하여 제3 힌지로 결합된 부위의 각도가 가변되면서 상기 제1 내지 제2 견인케이블을 견인하도록 하는 한 쌍의 제1 내지 제2 작동암;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내지 제2 작동암에 의해 상기 제1 내지 제2 견인 케이블에 제공되는 인장력을 통해 환자의 목 부위와 허리 부위에 고정된 제1 내지 제2 고정구를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견인하여 재활 치료를 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의 하단에는 이동바퀴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견인 케이블과 제1 견인 작동구의 사이에는 제1 높낮이 조절구가 설치되고, 상기 제2 견인 케이블과 승강부재의 사이에는 제2 높낮이 조절구가 설치되되, 상기 제1 내지 제2 높낮이 조절구는: 상기 제1 견인 작동구와 승강부재에 각각 설치된 외부관체; 상기 외부관체에 삽입되도록 설치된 내부관체; 상기 내부관체에 일정 간격을 이루게 형성된 간격 조절공들; 상기 간격 조절공들 중에서 어느 하나가 대응될 수 있도록 상기 외부관체에 형성된 고정공; 및 상기 고정공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간격 조절공에 삽입되도록 상기 고정공을 통해 간격 조절공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내부관체의 길이가 조절된 상태를 고정하는 고정핀;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르래들은: 상기 제1 견인 케이블이 경유될 수 있도록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위치하도록 설치된 제1 도르래와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위치하도록 설치된 제2 도르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견인 케이블이 경유될 수 있도록 상기 승강부재의 상부에 위치하는 수직 프레임의 중간부위에 설치된 제3 도르래와 상기 제3 도르래에 인접하는 후측으로 설치된 제4 도르래와 상기 제4 도르래에 직립하는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직 프레임의 하단부에 설치된 제5 도르래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5 도르래는: 상기 수직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이 만나는 부위에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2 견인 작동구로부터 제공되는 제2 견인 케이블의 인장력 방향을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고정구는: 환자의 목 부위를 고정하도록 환자의 턱과 후두부에 고정시킬 수 있는 목 고정벨트로 이루어지되, 상기 목 고정벨트의 양단에 벨크로 테이프가 구비되고, 상기 제2 고정구는: 상기 등받이에 고정되어 환자의 허리 부위를 고정시킬 수 있는 허리 고정벨트와 어깨끈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허리 고정벨트의 양단에 벨크로 테이프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재활 치료용 신체 견인 장치에 의하면, 재활 치료의 목적으로 환자의 목 부위와 허리 부위를 견인시, 그 견인되는 힘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하여 환자를 보호하면서 정확한 재활 치료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여 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고, 조작이 간편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갖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재활 치료용 신체 견인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재활 치료용 신체 견인 장치에 구비되는 제1 견인 유닛의 구성을 강조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재활 치료용 신체 견인 장치에 구비되는 제1 견인 유닛의 제1 견인 작동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재활 치료용 신체 견인 장치에 구비되는 제2 견인 유닛을 강조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재활 치료용 신체 견인 장치에 구비되는 제2 견인 유닛의 제2 견인 작동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재활 치료용 신체 견인 장치에 구비되는 제2 견인 유닛에 의해 등받이가 승강될 수 있게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재활 치료용 신체 견인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재활 치료용 신체 견인 장치에 구비되는 제1 견인 유닛의 구성을 강조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재활 치료용 신체 견인 장치에 구비되는 제1 견인 유닛의 제1 견인 작동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재활 치료용 신체 견인 장치에 구비되는 제2 견인 유닛을 강조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재활 치료용 신체 견인 장치에 구비되는 제2 견인 유닛의 제2 견인 작동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재활 치료용 신체 견인 장치에 구비되는 제2 견인 유닛에 의해 등받이가 승강될 수 있게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활 치료용 신체 견인 장치는 본체(100)와 제1 견인유닛(200) 및 제2 견인유닛(3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00)는 직립 형태의 골격을 이루도록 수직 프레임(110)이 설치되고, 상기 수직 프레임(110)에 승하강될 수 있도록 설치된 승강부재(120)에 고정되도록 등받이(130)가 설치되며, 상기 등받이(13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수직 프레임(110)으로부터 돌출되게 수평 프레임(140)이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수평 프레임(140)에 의자(150)가 설치되어 환자가 앉을 수 있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등받이(130)가 고정되는 승강부재(120)의 양측단 상하부에는 롤러(122)가 설치되어 상기 롤러(122)가 수직 프레임(110)을 따라 승강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수직 프레임(110)은 환자가 편안한 상태로 앉을 수 있도록 소정 경사를 이루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기 본체(100)의 하단에는 이동바퀴(102)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이동바퀴(102)에 의해 본체(100)를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견인유닛(200)은 본체(100)의 의자(150)에 앉아 있는 환자의 목 부위를 견인할 수 있게 하여 신체의 경추를 치료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1 견인유닛(200)은 본체(100)의 의자(150)에 앉아 있는 환자의 목 부위에 고정시킬 수 있는 제1 고정구(210)가 구비되고, 상기 제1 고정구(210)를 견인할 수 있도록 어느 일단이 상기 제1 고정구(210)에 고정되어 도르래들을 경유하도록 제1 견인 케이블(220)이 설치되며, 상기 제1 견인 케이블(220)을 잡아당겨 제1 고정구(210)를 견인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견인 케이블(220)의 다른 일단이 제1 견인 작동구(230)에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 견인 작동구(230)는 수직 프레임(110)과 수평 프레임(140)이 만나는 부위에 인접하도록 상기 수직 프레임(11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수직 프레임(11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제1 견인 작동구(200)는 상기 수직 프레임(110)의 하측부에 횡 방향으로 설치되어 제자리 회전되도록 외주면에 숫나선부가 형성된 나선축(402)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나선축(402)의 외부면에 형성된 숫나선부는 중앙을 기준으로 각각 왼나사와 오른나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나선축(402)을 제자리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나선축(402)의 일단부에 핸들(404)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핸들(404) 대신에 모터(미도시)를 설치할 수 있으며, 모터를 설치하는 경우에도 모터의 초기 동작에 의해 힘이 순간적으로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모터의 힘으로 견인하는 것이 아니라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나선축의 회전에 의해 견인하도록 함으로서 모터의 초기 동작시 가해지는 힘에 영향을 받지 않고 견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핸들(404)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나선축(402)에 결합되어 상기 나선축(402)의 제자리 회전에 의해 나선축(402)을 따라 왕복 이동되면서 상호 간격이 좁혀지거나 넓혀지도록 제1 내지 제2 이동체(406a 내지 406b)가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제1 내지 제2 이동체(406a 내지 406b)는 나선축(402)의 왼나사와 오른나사에 각각 결합될 수 있는 암나선부가 형성되어, 상기 나선축(402)의 제자리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내지 제2 이동체(406a 내지 406b)이 나선축(402)을 따라 왕복 이동된다.
이와 같이 상기 나선축(402)을 따라 이동되는 상기 제1 내지 제2 이동체(406a 내지 406b)에 한 쌍의 제1 내지 제2 작동암(408a 내지 408b)이 각각 힌지 결합된다. 즉, 상기 제1 내지 제2 작동암(408a 내지 408b)의 어느 일단이 상기 제1 내지 제2 이동체(406a 내지 406b)에 각각 제1 내지 제2 힌지(407a 내지 407b)로 결합됨과 아울러 다른 일단은 상호 마주하여 제3 힌지(407c)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2 작동암(408a 내지 408b)이 상호 마주하여 제3 힌지(407c)로 결합된 부위에 상기 제1 견인 케이블(220)의 다른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제1 내지 제2 이동체(406a 내지 406b)의 간격이 좁혀지거나 넓혀지도록 왕복 이동될 때 상호 마주하여 제3 힌지(407c)로 결합된 부위의 각도가 가변되면서 상기 제1 견인 케이블(220)을 잡아당겨 상기 제1 고정구(210)를 견인한다.
따라서, 상기 제1 내지 제2 작동암(408a 내지 408b)에 의해 상기 제1 견인 케이블(220)에 제공되는 인장력을 통해 환자의 목 부위에 고정된 제1 고정구(210)를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견인하여 환자의 경추 부위에 대한 재활 치료를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견인 케이블(220)과 제1 견인 작동구(230)의 사이에는 제1 높낮이 조절구(24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 견인 작동구(230)의 제1 내지 제2 작동암(408 내지 408b)이 제3 힌지(107c)로 상호 마주하여 결합된 부위에 제1 높낮이 조절구(240)가 설치되고, 상기 제1 높낮이 조절구(240)에 상기 제1 견인 케이블(220)의 다른 일단을 고정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 높낮이 조절구(240)는 제1 견인 작동구(230)에 수직하게 외부관체(502)가 설치되고, 즉, 제1 견인 작동구(230)의 제1 내지 제2 작동암(408a 내지 408b)이 제3 힌지(407c)로 상호 마주하여 결합된 부위에 외부관체(502)가 설치되고, 상기 외부관체(502)에 삽입되어 길이 조절될 수 있도록 내부관체(504)가 설치되며, 상기 내부관체(502)에는 일정 간격으로 간격 조절공(506)들이 형성되고, 상기 간격 조절공(506)들 중에서 어느 하나가 대응될 수 있도록 상기 외부관체(502)에는 고정공(508)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공(508)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간격 조절공(506)에 삽입되도록 상기 고정공(508)을 통해 간격 조절공(506)을 관통하도록 고정핀(509)을 설치되어 상기 내부관체(504)의 길이가 조절된 상태를 고정되게 함으로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고정구(210)는 환자의 목 부위를 고정하도록 환자의 턱과 후두부에 고정시킬 수 있는 목 고정벨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목 고정벨트의 양단에는 벨크로 테이프가 구비되어 환자의 체형에 알맞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 고정구(210)에 대하여 도면에서는 자세하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통상의 기술자라면 위 설명만으로 충분히 실시 가능하다.
한편, 상기 도르래들은 제1 견인 케이블(220)이 경유될 수 있도록 상기 수직 프레임(110)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위치하도록 제1 도르래(161)가 설치되고, 상기 제1 도르래(161)의 후방으로 위치하도록 즉, 상기 수직 프레임(110)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위치하도록 제2 도르래(162)가 설치되어, 상기 제1 내지 제2 도르래(161 내지 162)를 경유하도록 상기 제1 견인 케이블(22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견인유닛(300)은 본체(100)의 의자(150)에 앉아 있는 환자의 허리 부위를 견인할 수 있게 하여 신체의 척추를 치료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2 견인 유닛(300)는 본체(100)의 의자(150)에 앉아 있는 환자의 허리 부위에 고정시킬 수 있는 제2 고정구(310)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2 고정구(310)는 수직 프레임(110)에 승강되게 설치된 승강부재(120)에 고정되는 등받이(130)에 설치되고, 상기 제2 고정구(310)를 견인할 수 있도록, 즉 상기 승강부재(120)를 견인할 수 있도록 어느 일단이 상기 승강부재(120)에 고정되어 도르래들을 경유하도록 제2 견인 케이블(320)이 설치되며, 상기 제2 견인 케이블(320)을 잡아당겨 제2 고정구(310)가 고정된 등받이(130)를 수직 프레임(110)에 승강되도록 견인할 수 있게 상기 제2 견인 케이블(320)의 다른 일단이 고정된 제2 견인 작동구(330)에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2 견인 작동구(330)는 수평 프레임(140)의 중간 부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의자(15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제2 견인 작동구(330)는 위에서 설명한 제1 견인 작동구(230)와 동일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즉, 외주면에 왼나사와 오른나사로 이루어지는 숫나선부가 형성된 나선축(402)과, 핸들(404), 제1 내지 제2 이동체(406a 내지 406b) 및 제1 내지 제2 작동암(408a 내지 408b)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견인 작동구(230)와 차이점으로는 상기 제1 내제 제2 작동암(408a 내지 408b)이 상호 마주하도록 설치되어 마름모꼴을 이루게 설치되는 구성만이 다르며, 작동 원리 및 동작은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제1 내지 제2 작동암(408a 내지 408b)에 의해 상기 제2 견인 케이블(320)에 제공되는 인장력을 통해 환자의 허리 부위에 고정되는 제1 고정구(310)가 설치된 등받이(130)가 고정된 승강부재(120)를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견인하여 환자의 척추 부위에 대한 재활 치료를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견인 케이블(320)과 승강부재(120)의 사이에는 제2 높낮이 조절구(34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2 견인 케이블(320)이 고정되는 승강부재(120)의 상부에 상기 제2 높낮이 조절구(340)가 설치되고, 상기 제2 높낮이 조절구(340)에 상기 제2 견인 케이블(320)의 일단을 고정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상기 제2 높낮이 조절구(340)는 위에서 설명한 제1 높낮이 조절구(240)의 구성과 동일하다. 즉, 외부관체(502)와 내부관체(504), 조절공(506)들, 고정공(508), 및 고정핀(509)으로 구성되어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고정구(310)는 등받이(130)에 고정되어 환자의 허리 부위를 고정시킬 수 있는 허리 고정벨트와 어깨끈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허리 고정벨트의 양단에 벨크로 테이프가 구비되어 환자의 체형에 알맞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2 고정구(310)에 대하여 도면에서는 자세하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통상의 기술자라면 위 설명만으로 충분히 실시 가능하다.
한편, 상기 도르래들은 제2 견인 케이블(320)이 경유될 수 있도록 상기 승강부재(120)의 상부에 소정 간격을 두고 위치하도록 수직 프레임(110)의 중간부위에 제3 도르래(163)가 설치되고, 상기 제3 도르래(163)에 인접하는 후측으로 제4 도르래(164)가 설치되며, 상기 제4 도르래(164)에 직립하는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직 프레임(110)의 하단부에 제5 도르래(165)가 설치되어, 상기 제3 내지 제5 도르래(163 내지 165)를 경유하도록 상기 제2 견인 케이블(32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5 도르래(165)는 수직 프레임(110)과 수평 프레임(140)이 만나는 부위에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2 견인 작동구(330)로부터 제공되는 제2 견인 케이블(320)의 인장력 방향을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재활 치료용 신체 견인 장치는, 환자가 본체(100)의 의자(150)에 앉은 상태에서 제1 고정구(210)로 목 부위를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제1 견인 작동구(230)를 조작하여 상기 제1 고정구(210)를 견인함으로써 경추의 재활 치료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체(100)의 의자(150)에 환자가 앉은 상태에서 제2 고정구(310)로 허리 부위를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제2 견인 작동구(330)를 조작하여 상기 제2 고정구(310)가 설치되는 등받이(130)가 고정된 승강부재(120)를 견인함으로써 척추의 재활 치료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고정구(210) 및 제2 고정구(310)를 견인하기 위해 제공되는 인장력이 상기 제1 내지 제2 견인 작동구(230 내지 330)의 나선축(402)과 상기 나선축(402)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제1 내제 제2 이동체(406a 내지 406b)에 의해 각도가 가변되면서 제1 내제 제2 견인 케이블(220 내지 320)을 잡아 당김으로서 미세한 조절이 가능하다. 즉, 제1 내지 제2 견인 케이블(220 내지 320)의 견인 초기에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힘을 없게 하여 즉, 나선축(402)의 제자리 회전에 의해 제1 내지 제2 견인 케이블(220 내지 320)을 견인 초기에도 부드럽게 견인하도록 함으로서 재활 치료를 받는 환자를 보호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100 - 본체 102 - 이동바퀴
110 - 수직 프레임 120 - 승강부재
130 - 등받이 140 - 수평 프레임
150 - 의자 200 - 제1 견인 유닛
210 - 제1 고정구 220 - 제1 견인 케이블
230 - 제1 견인 작동구 300 - 제2 견인 유닛
310 - 제2 고정구 320 - 제2 견인 케이블
330 - 제2 견인 작동구

Claims (5)

  1. 재활 치료용 신체 견인 장치에 있어서,
    직립 형태의 골격을 이루는 수직 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에 승하강될 수 있도록 설치된 승강부재에 고정된 등받이와 상기 등받이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수직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되게 설치된 수평 프레임과 상기 수평 프레임에 설치되어 환자가 앉을 수 있는 의자로 이루어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의자에 앉아 있는 환자의 목 부위를 견인할 수 있게 설치되어 신체의 경추를 재활 치료할 수 있는 제1 견인 유닛; 및
    상기 본체의 의자에 앉아 있는 환자의 허리 부위를 견인할 수 있게 설치되어 신체의 척추를 재활 치료할 수 있는 제2 견인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견인 유닛은:
    상기 본체의 의자에 앉아 있는 환자의 목 부위에 고정시킬 수 있는 제1 고정구;
    상기 제1 고정구를 견인할 수 있도록 어느 일단이 상기 제1 고정구에 고정되어 도르래들을 경유하도록 설치된 제1 견인 케이블; 및
    상기 제1 견인 케이블을 잡아당겨 제1 고정구를 견인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이 만나는 부위에 인접하도록 상기 수직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견인 케이블의 다른 일단이 고정된 제1 견인 작동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견인 유닛은:
    상기 본체의 의자에 앉아 있는 환자의 허리 부위에 고정시킬 수 있게 상기 등받이에 고정되어 있는 제2 고정구;
    상기 제2 고정구를 견인할 수 있도록 어느 일단이 상기 승강부재에 고정되어 도르래들을 경유하도록 설치된 제2 견인 케이블; 및
    상기 제2 견인 케이블을 잡아당겨 제2 고정구가 고정된 승강부재를 견인할 수 있도록 상기 수평 프레임의 중간 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제2 견인 케이블의 다른 일단이 고정된 제2 견인 작동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견인 작동구 및 제2 견인 작동구는:
    상기 본체에 횡 방향으로 설치되어 제자리 회전되며, 외주면에는 숫나선부가 형성되되, 상기 숫나선부는 중앙을 기준으로 각각 왼나사와 오른나사로 이루어진 나선축;
    상기 나선축을 제자리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나선축의 일단부에 설치된 핸들;
    상기 핸들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나선축에 결합되어 상기 나선축의 제자리 회전에 의해 나선축을 따라 왕복 이동되면서 상호 간격이 좁혀지거나 넓혀지도록 상기 나선축의 왼나사와 오른나사에 각각 결합될 수 있는 암나선부가 형성된 제1 내지 제2 이동체; 및
    상기 제1 내지 제2 이동체에 어느 일단이 각각 제1 내지 제2 힌지로 결합됨과 아울러 다른 일단은 상호 마주하며 제3 힌지로 결합되고, 상호 마주하여 제3 힌지로 결합된 부위에 상기 제1 내지 제2 견인 케이블의 다른 일단이 각각 고정되어 상기 제1 내지 제2 이동체의 간격이 좁혀지거나 넓혀지도록 왕복 이동될 때 상호 마주하여 제3 힌지로 결합된 부위의 각도가 가변되면서 상기 제1 내지 제2 견인케이블을 견인하도록 하는 한 쌍의 제1 내지 제2 작동암;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내지 제2 작동암에 의해 상기 제1 내지 제2 견인 케이블에 제공되는 인장력을 통해 환자의 목 부위와 허리 부위에 고정된 제1 내지 제2 고정구를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견인하여 재활 치료를 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치료용 신체 견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단에는 이동바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치료용 신체 견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견인 케이블과 제1 견인 작동구의 사이에는 제1 높낮이 조절구가 설치되고,
    상기 제2 견인 케이블과 승강부재의 사이에는 제2 높낮이 조절구가 설치되되,
    상기 제1 내지 제2 높낮이 조절구는:
    상기 제1 견인 작동구와 승강부재에 각각 설치된 외부관체;
    상기 외부관체에 삽입되도록 설치된 내부관체;
    상기 내부관체에 일정 간격을 이루게 형성된 간격 조절공들;
    상기 간격 조절공들 중에서 어느 하나가 대응될 수 있도록 상기 외부관체에 형성된 고정공; 및
    상기 고정공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간격 조절공에 삽입되도록 상기 고정공을 통해 간격 조절공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내부관체의 길이가 조절된 상태를 고정하는 고정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치료용 신체 견인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르래들은:
    상기 제1 견인 케이블이 경유될 수 있도록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위치하도록 설치된 제1 도르래와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위치하도록 설치된 제2 도르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견인 케이블이 경유될 수 있도록 상기 승강부재의 상부에 위치하는 수직 프레임의 중간부위에 설치된 제3 도르래와 상기 제3 도르래에 인접하는 후측으로 설치된 제4 도르래와 상기 제4 도르래에 직립하는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직 프레임의 하단부에 설치된 제5 도르래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5 도르래는:
    상기 수직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이 만나는 부위에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2 견인 작동구로부터 제공되는 제2 견인 케이블의 인장력 방향을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치료용 신체 견인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구는:
    환자의 목 부위를 고정하도록 환자의 턱과 후두부에 고정시킬 수 있는 목 고정벨트로 이루어지되, 상기 목 고정벨트의 양단에 벨크로 테이프가 구비되고,
    상기 제2 고정구는:
    상기 등받이에 고정되어 환자의 허리 부위를 고정시킬 수 있는 허리 고정벨트와 어깨끈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허리 고정벨트의 양단에 벨크로 테이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치료용 신체 견인 장치.
KR1020160020585A 2016-02-22 2016-02-22 재활 치료용 신체 견인 장치 KR101627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0585A KR101627231B1 (ko) 2016-02-22 2016-02-22 재활 치료용 신체 견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0585A KR101627231B1 (ko) 2016-02-22 2016-02-22 재활 치료용 신체 견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7231B1 true KR101627231B1 (ko) 2016-06-03

Family

ID=56192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0585A KR101627231B1 (ko) 2016-02-22 2016-02-22 재활 치료용 신체 견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723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78319A (zh) * 2018-04-26 2018-09-04 常熟荣瑞灭菌技术有限公司 一种颈椎康复理疗装置
CN108498293A (zh) * 2018-04-25 2018-09-07 夏若熙 一种家用颈椎医疗康复设备
KR20190041217A (ko) 2017-10-12 2019-04-22 김태호 경추 견인 장치
KR102020565B1 (ko) * 2018-10-29 2019-09-10 박종덕 재활치료용 신체 견인장치
CN110478197A (zh) * 2019-09-19 2019-11-22 瑞安市人民医院 多功能骨科牵引架
CN112716673A (zh) * 2019-10-14 2021-04-30 河南省正骨研究院 骨科护理用牵引康复装置及其使用方法
KR20230044655A (ko) * 2021-09-27 2023-04-04 안왕근 척추 및 무릎용 재활 운동기구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59742A (ja) * 1982-03-19 1983-09-22 山内 壽馬 頚椎関節圧迫牽引装置
JPS58177129U (ja) * 1982-05-22 1983-11-26 株式会社大日工業技研 電動牽引装置
KR20060075445A (ko) 2004-12-28 2006-07-04 노인규 척추 치료 장치
KR100874686B1 (ko) 2007-11-07 2008-12-18 모영환 견인 치료용 의자
KR20120138375A (ko) 2011-06-15 2012-12-26 이동근 허리디스크 운동장치
KR20150047664A (ko) 2013-10-23 2015-05-06 김경복 신체견인기
KR20150057717A (ko) * 2013-11-20 2015-05-28 남연성 능동형 척추 견인 장치
KR20150136439A (ko) * 2014-05-26 2015-12-07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하지 근력을 이용한 자가 경추 견인 치료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59742A (ja) * 1982-03-19 1983-09-22 山内 壽馬 頚椎関節圧迫牽引装置
JPS58177129U (ja) * 1982-05-22 1983-11-26 株式会社大日工業技研 電動牽引装置
KR20060075445A (ko) 2004-12-28 2006-07-04 노인규 척추 치료 장치
KR100874686B1 (ko) 2007-11-07 2008-12-18 모영환 견인 치료용 의자
KR20120138375A (ko) 2011-06-15 2012-12-26 이동근 허리디스크 운동장치
KR20150047664A (ko) 2013-10-23 2015-05-06 김경복 신체견인기
KR20150057717A (ko) * 2013-11-20 2015-05-28 남연성 능동형 척추 견인 장치
KR20150136439A (ko) * 2014-05-26 2015-12-07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하지 근력을 이용한 자가 경추 견인 치료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1217A (ko) 2017-10-12 2019-04-22 김태호 경추 견인 장치
CN108498293A (zh) * 2018-04-25 2018-09-07 夏若熙 一种家用颈椎医疗康复设备
CN108478319A (zh) * 2018-04-26 2018-09-04 常熟荣瑞灭菌技术有限公司 一种颈椎康复理疗装置
KR102020565B1 (ko) * 2018-10-29 2019-09-10 박종덕 재활치료용 신체 견인장치
CN110478197A (zh) * 2019-09-19 2019-11-22 瑞安市人民医院 多功能骨科牵引架
CN110478197B (zh) * 2019-09-19 2024-05-07 瑞安市人民医院 多功能骨科牵引架
CN112716673A (zh) * 2019-10-14 2021-04-30 河南省正骨研究院 骨科护理用牵引康复装置及其使用方法
KR20230044655A (ko) * 2021-09-27 2023-04-04 안왕근 척추 및 무릎용 재활 운동기구
KR102577401B1 (ko) * 2021-09-27 2023-09-12 안왕근 척추 및 무릎용 재활 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7231B1 (ko) 재활 치료용 신체 견인 장치
TWI491387B (zh) 限制、再定位、牽引以及運動裝置及方法
US6638299B2 (en) Chiropractic treatment table and method for spinal distraction
US8038635B2 (en) Forward head posture correction collar
KR101561005B1 (ko) 물리치료 기능을 구비한 마사지장치
US6152950A (en) Apparatus for therapeutic treatment of low back pain
US20170027800A1 (en) Spinal Therapy Apparatus
JP3459999B2 (ja) 三次元脊椎矯正装置
US6945986B2 (en) Extended skull and posterior cervical adjusting device
KR200323761Y1 (ko) 경추교정의자
US11395755B2 (en) Method for applying spinal traction
CN1251652C (zh) 多功能颈腰椎牵引机
KR101607427B1 (ko) 척추 견인 운동장치
WO2013088182A1 (en) Apparatus for spine recovery
JP3229852B2 (ja) 腰痛の治療若しくは予防のための装置
KR102020565B1 (ko) 재활치료용 신체 견인장치
JP2017070427A (ja) 支持装置
KR101814281B1 (ko) 척추 견인 운동장치
KR20030083676A (ko) 척추 및 골반 교정기
KR102531496B1 (ko) 요추 및 경추 견인 무게 측정 장치
KR102501550B1 (ko) 경,흉추의 견인정렬 근육강화 운동기능의 목디스크 치료기
KR100320952B1 (ko) 삼차원 척추 교정장치
KR200485399Y1 (ko) 척추 견인 운동장치의 상반신 고정장치
KR20030075955A (ko) 경추 견인장치
WO2018010510A1 (zh) 一种三维正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