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4686B1 - 견인 치료용 의자 - Google Patents

견인 치료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4686B1
KR100874686B1 KR1020070113314A KR20070113314A KR100874686B1 KR 100874686 B1 KR100874686 B1 KR 100874686B1 KR 1020070113314 A KR1020070113314 A KR 1020070113314A KR 20070113314 A KR20070113314 A KR 20070113314A KR 100874686 B1 KR100874686 B1 KR 100874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 plate
moving
control panel
plate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3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영환
Original Assignee
모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영환 filed Critical 모영환
Priority to KR1020070113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46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4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4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61H1/0222Traction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25Sitting on the buttocks
    • A61H2203/0431Sitting on the buttocks in 90°/90°-position, like on a c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견인 치료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평된 좌판, 수직된 등판, 상기 등판 상부의 헤드 레스트, 상기 좌판 전방 하부의 발판, 상기 좌판 하부의 받침 봉 및 상기 받침 봉 하부의 받침 다리로 구성되는 의자에 있어서, 서로 평행되게 전방을 향하는 상태와 외측으로 펼쳐진 상태로 변환 가능하도록 상기 등판의 양측에 접철 가능하게 구비되는 팔 받침대; 상기 좌판에 대해 상기 등판을 회동시켜 상기 등판을 수직된 상태와 후방으로 눕혀진 수평된 상태로 변환시키는 등판회동구동부; 눕혀진 상태의 상기 등판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등판이동구동부; 상기 헤드 레스트를 인출 또는 수축되도록 이동시키는 헤드이동구동부; 상기 팔 받침대를 인출 또는 수축되도록 이동시키는 팔받침이동구동부; 상기 발판을 인출 또는 수축되도록 이동시키는 발판이동구동부; 상기 발판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발판승강구동부; 및 상기 등판회동구동부, 상기 등판이동구동부, 상기 헤드이동구동부, 상기 팔받침이동구동부, 상기 발판이동구동부 및 상기 발판승강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패널;을 포함한다.
따라서, 평상 시에는 의자 용도로 사용하다가 침대 형태로 변환시켜 견인 치료를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의자와 견인 치료기를 별도로 구입하던 것에 비해 사용자의 비용을 경감하고, 의자 형태에서는 작은 크기 및 부피를 갖으므로 집안이나 사무실에도 설치가 가능하고 자동으로 신체의 각 부위를 신장 또는 이완시키므로 사용자가 언제든지 손쉽게 견인 치료를 받을 수 있어 병원을 방문하던 것에 비해 비 용 및 시간을 경감하고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의자, 견인 치료

Description

견인 치료용 의자{CHAIR FOR TRACTION TREATMENT}
본 발명은 견인 치료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정이나 사무실에 설치해 놓고 언제든지 편리하게 견인 치료를 실시할 수 있는 견인 치료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근 들어 편리해진 문명의 혜택으로 운동부족 현상이 자주 발생됨과 아울러, 잘못된 생활 습관, 사고의 다발 등에 의해 견인(traction) 치료가 요구되는 질환들이 다발되고 있다.
견인 치료는 신체의 일 부분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목적하는 신체 부분을 잡아당겨 신장시켰다가 다시 이완시키는 물리 치료의 일종으로, 디스크, 근육통과 같은 근골격계 질환을 치료함과 아울러, 자세 교정과 같은 교정 치료, 성장 치료, 비만 치료 및 재활 치료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견인 치료는 통상 병원과 같은 시술소에서 주로 침대형 트랜션기를 이용하여 시술되고 있으며, 즉 트랙션기의 상판 위에 피치료자를 눕혀 놓고 시술자가 피치료자의 신체 부위를 잡아당겼다가 이완시키는 방식으로 실시되고 있다.
그에 따라,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첫째, 견인 치료를 위해서는 피치료자가 꼭 시술소를 방문해야 하므로, 시간 및 비용 부담이 발생되고, 불편함이 야기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침대형 트랙션기는 상판이 수평 상태를 유지하므로 그 크기 및 부피가 매우 커서 공간 활용성을 저하시키고,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에는 설치가 어려워 개인적으로 이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견인 치료는 다소 오랜 기간 반복적으로 치료를 받아야만 치료 효과를 볼 수 있는데, 매번 시술소를 방문해야 함에 따른 여러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셋째, 종래의 견인 치료의 시술은 사실상 시술자가 힘을 가해 실시하므로 시술자가 힘이 많이 들고, 또한 시술자 없이는 치료를 받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크기 및 부피가 작아서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에도 손쉽게 설치해 놓고 수시로 견인 치료를 받을 수 있는 견인 치료용 의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자동으로 신체의 각 부위를 잡아당겼다가 이완시킬 수 있어 시술자 없이도 견인 치료를 실시할 수 있는 견인 치료용 의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견인 치료용 의자는, 수평된 좌판, 수직된 등판, 상기 등판 상부의 헤드 레스트, 상기 좌판 전방 하부의 발판, 상기 좌판 하부의 받침 봉 및 상기 받침 봉 하부의 받침 다리로 구성되는 의자에 있어서, 서로 평행되게 전방을 향하는 상태와 외측으로 펼쳐진 상태로 변환 가능하도록 상기 등판의 양측에 접철 가능하게 구비되어 펼쳐진 상태에서 양 팔을 지지하는 팔 받침대; 상기 발판에 결합 구비되어 발 부위를 결속하는 발 결속수단; 상기 등판 또는 상기 좌판에 결합 구비되어 허리를 결속하는 허리 결속수단; 상기 좌판에 대해 상기 등판을 회동시켜 상기 등판을 수직된 상태와 후방으로 눕혀진 수평된 상태로 변환시키는 등판회동구동부; 수평된 상태의 상기 등판을 전후로 이동시켜 허리를 신장 또는 이완시키는 등판이동구동부; 및 상기 등판회동구동부 및 상기 등판이 동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패널;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헤드 레스트에 결합 구비되어 머리 부위를 결속하는 헤드 결속수단; 및 상기 제어 패널의 작동 제어에 따라 상기 헤드 레스트를 인출 또는 수축되도록 이동시켜 목을 신장 또는 이완시키는 헤드이동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팔 받침대에 결합 구비되어 손 부위를 결속하는 손 결속수단; 및 상기 제어 패널의 작동 제어에 따라 상기 팔 받침대를 인출 또는 수축되도록 이동시켜 팔을 신장 또는 이완시키는 팔받침이동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 패널의 작동 제어에 따라 상기 발판을 인출 또는 수축되도록 이동시켜 다리를 신장 또는 이완시키는 발판이동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 패널의 작동 제어에 따라 상기 발판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발판승강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발판승강구동부는, 상기 등판회동구동부가 상기 등판을 후방으로 눕히는 때에 상기 발판을 상승시키고, 상기 등판회동구동부가 상기 등판을 세우는 때에 상기 발판을 하강시킬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 패널의 작동 제어에 따라 발열되도록 상기 좌판 및 상기 등판에 매설 구비되는 발열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평상 시에는 의자 용도로 사용하다가 침대 형태로 변환시켜 견인 치료를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의자와 견인 치료기를 별도로 구입하던 것에 비해 사용자의 비용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의자 형태에서는 작은 크기 및 부피를 갖으므로 집안이나 사무실에도 설치가 가능하고 자동으로 신체의 각 부위를 신장 또는 이완시키므로 사용자가 언제든지 손쉽게 견인 치료를 받을 수 있어 병원을 방문하던 것에 비해 비용 및 시간을 경감하고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견인 치료용 의자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그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견인 치료용 의자(100)는, 기본적으로 통상적인 의자와 같이, 사용자의 둔부를 받칠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좌판(110)과, 사용자의 등을 받칠 수 있도록 좌판(110)의 후단부에서 상부방향을 향해 수직되게 구비되는 등판(120)과, 좌판(110)의 하부에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수직되도록 구비되어 좌판(110)을 지지하는 받침 봉(130)과, 받침 봉(130)의 하부에서 바닥면에 안착되어 의자 전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받침 다리(140)와, 사용자의 머리 부위를 받칠 수 있도록 등판(120)의 상부에 구비되는 헤드 레스트(150)와, 사용자의 발 부위를 받칠 수 있도록 좌판(110)의 전방 하부에 구비되는 발판(160)을 포함한다.
여기서, 좌판(110)과 등판(120)은 착석한 사용자에게 안락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스폰지, 솜과 같은 쿠션부재를 내부에 구비할 수 있으며, 그 외부는 가죽과 같은 피복재에 의해 피복될 수 있다.
등판(120)은 좌판(110)의 후단부에 대해 그 하단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부(120a)를 매개로 결합될 수 있다.
받침 봉(130)은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도록 그 높낮이의 조절이 가능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좌판(110)을 직접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승강이 이루어지는 나사결합체를 구비하거나 실린더와 같은 자동승강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받침 다리(140)는 바닥면에 안착되어 의자 전체를 하부 측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으로, 자유로운 이동을 위한 바퀴(142)를 구비할 수 있고, 또한 바퀴(142)의 회전을 구속하여 이동을 차단하기 위한 레버와 같은 바퀴고정수단(144)을 구비할 수 있다.
헤드 레스트(150)는 등판(120)의 상부 측에 구비되며, 즉 등판(120)에 대해 그 헤드 연결대(152)를 통해 결합된다.
발판(160)은 좌판(110)의 전방 하부 측에 구비되며, 즉 좌판(110)에 대해 그 발판 연결대(162)를 통해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헤드 레스트(150)에 결합 구비되어 사용자의 머리 부위를 감싸 결속하는 헤드 결속밴드(154)와, 발판(160)에 결합 구비되어 사용자의 발 부위를 감싸 결속하는 발 결속밴드(164)와, 등판(120)에 결합 구비되어 착석한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 결속하는 허리 결속밴드(122)와, 등판(120)의 양측에 90°범위로 접첩 가능하게 한 쌍으로 구비되어 서로 180°로 펼쳐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양 팔을 지지하는 팔 받침대(170)와, 각 팔 받침대(170)의 선단부에 결합 구비되어 사용자의 손 부위를 감싸 결속하는 손 결속밴드(172)와, 좌판(110)에 대해 등판(120)을 회동시켜 등판(120)을 수직된 상태와 후방으로 눕혀진 수평된 상태로 변환시키는 등판회동구동부(180)와, 눕혀진 상태의 등판(120)을 전후로 이동시켜 사용자의 허리를 신장 또는 이완시키는 등판이동구동부(190)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등판회동구동부(180) 및 등판이동구동부(19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패널(200)을 더 포함한다.
상기한 헤드 결속밴드(154), 손 결속밴드(172), 허리 결속밴드(122) 및 발 결속밴드(164)는 해당하는 신체 부위를 감싸 결속할 수 있도록 서로 부착 및 분리될 수 있는 두 개의 밴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부착 및 분리를 위해 벨크로 테이프(velcro tape)나 결속고리체와 같은 탈착수단(154a, 172a, 122a, 164a)을 구비할 수 있다.
물론, 이와 다르게 사용자가 바로 해당하는 신체 부위(손, 발)를 끼워넣을 수 있는 손 결속밴드(172) 및 발 결속밴드(164)는 아예 반원 형태의 연결된 밴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때 발 결속밴드(164)는 각기 한쪽 발씩을 결속할 수 있도록 두 개의 연결된 밴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헤드 결속밴드(154)는 사용자의 머리 부위를 결속함에 있어, 구체적으로는 이마 부위나 턱 부위를 결속할 수 있다.
그리고, 손 결속밴드(172)를 대신하여 팔 받침대(170)의 선단부에는 사용자 가 직접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팔 받침대(170)는 등판(120)의 양 측면 부위에 힌지부(170a)를 매개로 등판(120)과 결합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힌지부(170a)를 통해 회동됨으로써 전방을 향하는 상태와 측방을 향하는 상태로 변환될 수 있다.
팔 받침대(170)는 양측에서 서로 평행되게 전방을 향하는 상태에서는 착석한 사용자의 겨드랑이 사이로 끼움됨으로써, 착석한 사용자의 어깨부위를 지지하여 착석한 상태에서 허리에 가해지는 체중 부하를 감쇄시키고 허리를 일직선된 상태로 유지시켜 올바른 착석 자세를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팔 받침대(170)는 서로 180° 각도를 이루도록 외측으로 벌어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펼쳐진 양 팔을 지지한다.
이와 같이, 팔 받침대(170)는 착석한 상태에서의 자세 유지를 위한 용도와 눕혀진 상태에서의 견인 치료를 위한 용도로 겸용된다.
팔 받침대(170)는 사용자에게 안락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좌판(110) 및 등판(120)과 마찬가지로 쿠션부재를 구비할 수 있고, 그 외부는 가죽과 같은 피복재에 의해 피복될 수 있다.
등판회동구동부(180)는 좌판(110)에 대해 등판(120)을 회동시켜 등판(120)을 수직된 상태와 후방으로 눕혀진 수평 상태로 변환시킨다.
이러한 등판회동구동부(180)는 좌판(110)에 결합 구비되어 제어 패널(200)의 제어에 따라 일정 각도 범위로 회전 작동되는 제1 모터(182)와, 제1 모터(182)의 출력축에 일단부가 고정되도록 결합되고 타단부는 등판(120)에 결합되어 제1 모 터(182)의 정·역 회전에 따라 등판(120)을 세우거나 눕히는 지지대(184)와, 등판(120)에 결합 구비되어 지지대(184)가 삽입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하는 슬라이딩 바(186)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그 작용은, 등판이동구동부(190)에 의해 등판(120)이 이동될 때에는 지지대(184)가 슬라이딩 바(186)에 삽입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고, 제어 패널(200)의 제어에 따라 제1 모터(182)가 정방향으로 90°회전되면 그 출력축에 결합된 지지대(184) 및 지지대(184)에 결합된 등판(120)이 90°회전되어 눕혀지며, 반대로 제1 모터(182)가 역방향으로 90°회전되면 지지대(184) 및 등판(120)이 90°역회전되어 세워진다.
등판이동구동부(190)는 눕혀진 상태의 등판(120)을 좌판(110)에 대해 전후로 이동시켜 사용자의 허리를 신장 또는 이완시킨다.
이러한 등판이동구동부(190)는 좌판(110)에 결합 구비되고 등판(120)의 회동에 따라 선단부가 90°범위로 회동되어 꺽일 수 있는 베이스 판(192)과, 베이스 판(192)의 선단부 상에 장착되어 제어 패널(200)의 제어에 따라 회전 작동되는 제2 모터(194)와, 제2 모터(194)의 출력축에 구비되는 리드 스크류(196)와, 리드 스크류(196)와 나사 결합을 이루도록 등판(120)에 결합 구비되고 리드 스크류(196)의 회전에 따라 직선 이동되어 등판(120)을 이동시키는 이동 블록(198)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그 작용은, 등판회동구동부(180)의 작동에 따라 등판(120)이 후방으로 눕혀지는 때에 베이스 판(192)의 선단부가 꺽여 장착된 제2 모터(194)의 방향이 변경되며, 이후 제어 패널(200)의 제어에 따라 제2 모터(194)가 일정 각도만큼 정방향으로 회전되면 리드 스크류(196)에 나사 결합된 이동 블록(198) 및 이 이동 블록(198)에 결합된 등판(120)이 후방으로 일정 길이 이동되어 사용자의 허리를 신장시키며, 일정 시간 유지했다가 반대로 제2 모터(194)가 일정 각도만큼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이동 블록(198) 및 등판(120)이 전방으로 일정 길이 이동되어 사용자의 허리를 이완시킨다.
제어 패널(200)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등판회동구동부(180) 및 등판이동구동부(190)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하며,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적정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팔 받침대(170)의 길이를 변경시킬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팔 받침대(170)는 등판(120)에 결합되는 제1 팔 받침대(170-1)와, 이 제1 팔 받침대(170-1)에 대해 인출 또는 삽입되어 길이가 변경되는 제2 팔 받침대(170-2)로 구성됨과 아울러, 제어 패널(200)의 제어에 따라 작동되어 제1 팔 받침대(170-1)에 대한 제2 팔 받침대(170-2)의 인출 길이를 변경시키는 팔받침이동구동부(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팔 받침대(170-1)는 큰 사각 관으로 형성되고, 제2 팔 받침대(170-2)는 제1 팔 받침대(170-1)의 큰 사각 관에 대해 삽입될 수 있는 작은 사각 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팔받침이동구동부(210)는 제1 팔 받침대(170-1)에 결합 구비되어 제어 패널(200)의 제어에 따라 회전 작동되는 제3 모터(212)와, 제3 모터(212)의 출 력축에 구비되는 리드 스크류(214)와, 리드 스크류(214)와 나사 결합을 이루도록 제2 팔 받침대(170-2)에 결합 구비되고 리드 스크류(214)의 회전에 따라 직선 이동되어 제2 팔 받침대(170-2)를 이동시키는 이동 블록(216)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그 작용은, 제어 패널(200)의 제어에 따라 제3 모터(212)가 일정 각도만큼 정방향으로 회전되면 리드 스크류(214)에 나사 결합된 이동 블록(216) 및 이 이동 블록(216)에 결합된 제2 팔 받침대(170-2)가 외측으로 일정 길이 이동되어 사용자의 팔을 신장시키며, 일정 시간 유지했다가 반대로 제3 모터(212)가 일정 각도만큼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이동 블록(216) 및 제2 팔 받침대(170-2)가 내측으로 일정 길이 이동되어 사용자의 팔을 이완시킨다.
이와 같이, 팔 받침대(170)의 길이가 변경될 수 있으므로, 팔 받침대(170)를 피복하는 피복재에는 주름부(170b)가 형성되어, 팔 받침대(170)의 길이 변경에 따라 주름부(170b)가 펼쳐지거나 겹쳐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등판(120)에 대한 헤드 레스트(150)의 인출 길이를 변경시킬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제어 패널(200)의 제어에 따라 작동되어 헤드 레스트(150)의 인출 길이를 변경시키는 헤드이동구동부(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헤드이동구동부(220)는 등판(120)에 결합 구비되어 제어 패널(200)의 제어에 따라 회전 작동되는 제4 모터(222)와, 제4 모터(222)의 출력축에 구비되는 리드 스크류(224)와, 리드 스크류(224)와 나사 결합을 이루도록 헤드 연결대(152)에 결합 구비되고 리드 스크류(224)의 회전에 따라 직선 이동되어 헤드 연결대(152)를 이동시키는 이동 블록(226)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그 작용은, 제어 패널(200)의 제어에 따라 제4 모터(222)가 일정 각도만큼 정방향으로 회전되면 리드 스크류(224)에 나사 결합된 이동 블록(226) 및 이 이동 블록(226)에 결합된 헤드 연결대(152)가 상방으로 일정 길이 이동되어 사용자의 머리 부위를 잡아당겨 사용자의 목을 신장시키며, 일정 시간 유지했다가 반대로 제4 모터(222)가 일정 각도만큼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이동 블록(226) 및 헤드 연결대(152)가 하방으로 일정 길이 이동되어 사용자의 목을 이완시킨다.
또한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발판(160)의 인출 길이를 변경시킬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발판 연결대(162)는 좌판(110)에 결합되는 제1 발판 연결대(162-1)와, 이 제1 발판 연결대(162-1)에 대해 인출 또는 삽입되어 길이가 변경되는 제2 발판 연결대(162-2)로 구성됨과 아울러, 제어 패널(200)의 제어에 따라 작동되어 제1 발판 연결대(162-1)에 대한 제2 발판 연결대(162-2)의 인출 길이를 변경시키는 발판이동구동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발판 연결대(162-1)는 큰 사각 관으로 형성하고, 제2 발판 연결대(162-2)는 제1 발판 연결대(162-1)의 큰 사각 관에 대해 삽입될 수 있는 작은 사각 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발판이동구동부(230)는 제1 발판 연결대(162-1)에 결합 구비되어 제어 패널(200)의 제어에 따라 회전 작동되는 제5 모터(232)와, 제5 모터(232)의 출력축에 구비되는 리드 스크류(234)와, 리드 스크류(234)와 나사 결합을 이루도록 제2 발판 연결대(162-2)에 결합 구비되고 리드 스크류(234)의 회전에 따라 직선 이동되어 제2 발판 연결대(162-2)를 이동시키는 이동 블록(236)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그 작용은, 제어 패널(200)의 제어에 따라 제5 모터(232)가 일정 각도만큼 정방향으로 회전되면 리드 스크류(234)에 나사 결합된 이동 블록(236) 및 이 이동 블록(236)에 결합된 제2 발판 연결대(162-2)가 외측으로 일정 길이 이동되어 사용자의 다리를 신장시키며, 일정 시간 유지했다가 반대로 제5 모터(232)가 일정 각도만큼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이동 블록(236) 및 제2 발판 연결대(162-2)가 내측으로 일정 길이 이동되어 사용자의 다리를 이완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등판(120)이 눕혀지는 때에 발판(160)을 상승시켜 눕혀지는 사용자의 몸 전체가 수평 상태로 될 수 있도록 발판(160)을 승강시키는 발판승강구동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발판(160)이 좌판(110)에 대해 회동되어 승강될 수 있도록 제1 발판 연결대(162-1)의 상단부는 힌지부(162a)를 매개로 좌판(110)과 결합될 수 있다.
발판승강구동부(240)는 좌판(110)에 결합 구비되어 제어 패널(200)의 제어에 따라 작동되며 그 출몰되는 로드(즉, 실린더 로드)가 제1 발판 연결대(162-1)에 결합되는 실린더(242)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그 작용은, 제어 패널(200)의 제어에 따라 실린더(242)의 로드가 일정 길이 인출되도록 작동되면 제1 발판 연결대(162-1)가 밀어져 좌판(110)에 대해 회동됨으로써 발판(160)이 상승되고, 반대로 실린더(242)의 로드가 일정 길이 삽입되도록 작동되면 제1 발판 연결대(162-1)가 당겨져 좌판(110)에 대해 회동됨으로써 발판(160)이 원위치로 하강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좌판(110)과 등판(120)에는 제어 패널(200)의 제어 에 따라 발열되어 착석하거나 누운 사용자를 온열 치료할 수 있는 발열수단(250)이 매설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발열수단(250)으로는 발열 램프나 열선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등판(120)이 눕혀지므로 받침 봉(130)과 받침 다리(140) 만으로는 등판(120)이 눕혀진 상태를 원활히 지탱할 수 없게 되므로, 받침 다리(140)의 후방 측에 위치되어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는 후방 받침 다리(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후방 받침 다리(260)는 전방 측에 구비되는 받침 다리(140)로부터 적정 거리 이격되는 후방 측에 위치되어 지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측의 받침 다리(140)로부터 연장되도록 구비되거나 이와 다르게 등판(120)의 후면 측에 결합 구비되어 등판(120)이 눕혀짐에 따라 바닥면에 안착되는 형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후방 받침 다리(260)는 전방 측의 받침 다리(140)와 마찬가지로 이동을 위한 바퀴(262)와, 이 바퀴(262)의 이동을 구속하여 차단하기 위한 바퀴고정수단(264)을 구비할 수 있다.
덧붙여, 제어 패널(200)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등판회동구동부(180), 등판이동구동부(190), 팔받침이동구동부(210), 헤드이동구동부(220), 발판이동구동부(230), 발판승강구동부(240) 및 발열수단(250)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하며, 시간을 기준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타이머를 구비하고, 프로그램화된 모드를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견인 치료용 의자(100)의 전체적인 작용에 대해 이하 설명한다.
견인 치료용 의자(100)를 의자 용도로 사용 시에는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등판(120)이 수직된 상태이고, 양측의 팔 받침대(170)가 서로 평행되게 전방을 향하는 상태이며, 발판(160)이 하강되어 좌판(110)의 하부 측에 위치되는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 대해 사용자는 착석하여 의자 용도로 사용하며, 그때 제어 패널(200)을 조작하여 발열수단(250)을 작동시킬 수도 있다.
그러하다가, 견인 치료를 실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받침 다리(140) 및 후방 받침 다리(260)에 구비된 바퀴고정수단(144, 264)을 이용하여 바퀴들(142, 262)의 이동을 차단한 다음, 자신의 신체 조건에 맞도록 초기 조정을 실시하며, 즉 받침 봉(130)의 높낮이, 발판(160)의 초기 높이, 발판(160)의 초기 인출 길이, 헤드 레스트(150)의 초기 인출 길이, 팔 받침대(170)의 초기 인출 길이에 대해 조정을 실시한다.
받침 봉(130)의 높낮이는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그 외의 초기 조정은 제어 패널(200)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실시할 수 있다.
발판(160)의 초기 높이 조정은 사용자가 제어 패널(200) 상의 해당하는 버튼 을 조작하면 발판승강구동부(240)가 작동되어 발판(160)을 승강시키므로, 사용자는 원하는 높이에 발판(160)이 위치했을 때 조정을 종료하면 된다.
발판(160)의 초기 인출 길이 조정은 사용자가 제어 패널(200) 상의 해당하는 버튼을 조작하면 발판이동구동부(230)가 작동되어 발판(160)을 인출시켰다가 축소시켰다 하므로, 사용자는 원하는 길이로 발판(160)이 인출되었을 때 조정을 종료하면 된다.
헤드 레스트(150)의 초기 인출 길이 조정은 사용자가 제어 패널(200) 상의 해당하는 버튼을 조작하면 헤드이동구동부(220)가 작동되어 헤드 레스트(150)를 상방으로 이동시켰다가 하방으로 축소시켰다 하므로, 사용자는 원하는 높이에 위치했을 때 조정을 종료하면 된다.
팔 받침대(170)의 초기 인출 길이 조정은 사용자가 제어 패널(200) 상의 해당하는 버튼을 조작하면 팔받침이동구동부(210)가 작동되어 팔 받침대(170)를 외측으로 이동시켰다가 내측으로 축소시켰다 하므로, 사용자는 원하는 길이 상태로 되었을 때 조정을 종료하면 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초기 조정이 모두 완료되면, 사용자는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허리 부분을 허리 결속밴드(122)로 결속하고, 머리 부위를 헤드 결속밴드(154)로 결속하며, 또한 발 부위를 발 결속밴드(164)로 결속하고, 양측 팔 받침대(170)에 자신의 팔을 위치시킨 다음 양 손 부위를 손 결속밴드(172)로 결속한다.
물론, 이러한 결속 작업은 착석한 사용자 이외의 다른 사람의 도움을 일부 받을 수도 있고, 손 결속밴드(172) 대신에 손 파지수단이 구비된 경우에는 착석한 사용자 혼자서도 충분히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자신의 양 팔을 그대로 외측으로 벌려 양측의 팔 받침대(170)가 완전히 180°를 이루도록 펴지게 한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제어 패널(200)을 조작하여 견인 치료를 위한 어느 하나의 자동 모드를 실행시킨다.
그러면, 제어 패널(200)은 먼저 등판회동구동부(180)를 작동시켜 등판(120)을 후방으로 젖혀 등판(120)이 좌판(110)과 수평 상태를 이루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눕혀지도록 함과 더불어, 발판승강구동부(240)를 작동시켜 발판(160)을 상승시켜 사용자의 다리가 또한 수평되도록 하며, 그 결과 도 3c와 같은 상태가 되도록 한다.
그 후, 제어 패널(200)은 허리 견인, 팔 견인, 목 견인 및 다리 견인을 프로그램화된 순서 및 횟수에 따라 실시한다.
허리 견인 시에는 등판이동구동부(190)를 작동시켜 등판(120)을 일정 거리 이동시켰다가 다시 원위치시키며, 이때 사용자의 팔 부위가 팔 받침대(170)에 결속되어 있고 또한 발 부위가 결속되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허리가 신장되었다가 이완되는 것에 의해 허리에 대한 견인 치료가 이루어진다.
팔 견인 시에는 팔받침이동구동부(210)를 작동시켜 팔 받침대(170)를 외측으로 이동시켰다가 다시 원위치로 복귀시키며, 이때 사용자의 다른 몸체 부위가 결속되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팔이 신장되었다가 이완되는 것에 의해 팔에 대한 견인 치료가 이루어진다.
목 견인 시에는 헤드이동구동부(220)를 작동시켜 헤드 레스트(150)를 상방으로 이동시켰다가 다시 원위치로 복귀시키며, 이때 사용자의 머리 부위 및 상체 이하 부위가 결속되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목이 신장되었다가 이완되는 것에 의해 목에 대한 견인 치료가 이루어진다.
다리 견인 시에는 발판이동구동부(230)를 작동시켜 발판(160)을 외측으로 인출시켰다가 다시 원위치로 복귀시키며, 이때 사용자의 발 부위 및 허리 이상 부위가 결속되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다리가 신장되었다가 이완되는 것에 의해 다리에 대한 견인 치료가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은 견인 치료 과정이 소정의 횟수로 반복되어 모두 완료되면, 제어 패널(200)은 등판회동구동부(180) 및 발판승강구동부(240)를 작동시켜 등판(120)을 원 상태로 세우고, 발판(160)을 원 상태로 하강시켜 의자 형태로 복원시키며, 사용자는 양 팔을 잡아당겨 양측 팔 받침대(170)를 전방을 향하도록 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결속밴드들(122, 154, 164, 172)을 모두 풀어 신체에 대한 구속을 해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견인 치료용 의자(100)는 평상 시에 의자로 사용할 때에는 종래의 침대형 트랙션기와 비교하여 그 크기 및 부피가 대폭 작아질 수 있으므로 집안이나 사무실에도 설치해 놓고 수시로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자동으로 각 신체 부위를 신장시켰다가 이완시키므로 혼자서도 충분히 견인 치료를 실시할 수 있음으로써,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시킴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수정과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견인 치료용 의자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견인 치료용 의자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견인 치료용 의자를 의자 용도로 사용할 때의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견인 치료용 의자를 이용하여 견인 치료를 실시하기 위해 사전에 신체 부위를 결속하여 준비하는 상황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견인 치료용 의자를 이용한 견인 치료 시의 상황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견인 치료용 의자 110 : 좌판
120 : 등판 120a : 힌지부
122 : 허리 결속밴드 122a : 탈착수단
130 : 받침 봉 140 : 받침 다리
142 : 바퀴 144 : 바퀴고정수단
150 : 헤드 레스트 152 : 헤드 연결대
154 : 헤드 결속밴드 154a : 탈착수단
160 : 발판 162 : 발판 연결대
162-1 : 제1 발판 연결대 162-2 : 제2 발판 연결대
162a : 힌지부 164 : 발 결속밴드
164a : 탈착수단 170 : 팔 받침대
170-1 : 제1 팔 받침대 170-2 : 제2 팔 받침대
170a : 힌지부 172 : 손 결속밴드
172a : 탈착수단 180 : 등판회동구동부
182 : 제1 모터 184 : 지지대
186 : 슬라이딩 바 190 : 등판이동구동부
192 : 베이스 판 194 : 제2 모터
196 : 리드 스크류 198 : 이동 블록
200 : 제어 패널 210 : 팔받침이동구동부
212 : 제3 모터 214 : 리드 스크류
216 : 이동 블록 220 : 헤드이동구동부
222 : 제4 모터 224 : 리드 스크류
226 : 이동 블록 230 : 발판이동구동부
232 : 제5 모터 234 : 리드 스크류
236 : 이동 블록 240 : 발판승강구동부
242 : 실린더 250 : 발열수단
260 : 후방 받침다리 262 : 바퀴
264 : 바퀴고정수단

Claims (13)

  1. 수평된 좌판, 수직된 등판, 상기 등판 상부의 헤드 레스트, 상기 좌판 전방 하부의 발판, 상기 좌판 하부의 받침 봉 및 상기 받침 봉 하부의 받침 다리로 구성되는 의자에 있어서,
    서로 평행되게 전방을 향하는 상태와 외측으로 펼쳐진 상태로 변환 가능하도록 상기 등판의 양측에 접철 가능하게 구비되어 펼쳐진 상태에서 양 팔을 지지하는 팔 받침대;
    상기 발판에 결합 구비되어 발 부위를 결속하는 발 결속수단;
    상기 등판 또는 상기 좌판에 결합 구비되어 허리를 결속하는 허리 결속수단;
    상기 좌판에 대해 상기 등판을 회동시켜 상기 등판을 수직된 상태와 후방으로 눕혀진 수평된 상태로 변환시키는 등판회동구동부;
    수평된 상태의 상기 등판을 전후로 이동시켜 허리를 신장 또는 이완시키는 등판이동구동부; 및
    상기 등판회동구동부 및 상기 등판이동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패널;을 포함하는 견인 치료용 의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레스트에 결합 구비되어 머리 부위를 결속하는 헤드 결속수단; 및
    상기 제어 패널의 작동 제어에 따라 상기 헤드 레스트를 인출 또는 수축되도 록 이동시켜 목을 신장 또는 이완시키는 헤드이동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견인 치료용 의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팔 받침대에 결합 구비되어 손 부위를 결속하는 손 결속수단; 및
    상기 제어 패널의 작동 제어에 따라 상기 팔 받침대를 인출 또는 수축되도록 이동시켜 팔을 신장 또는 이완시키는 팔받침이동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견인 치료용 의자.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팔 받침대에 결합 구비되어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 파지수단; 및
    상기 제어 패널의 작동 제어에 따라 상기 팔 받침대를 인출 또는 수축되도록 이동시켜 팔을 신장 또는 이완시키는 팔받침이동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견인 치료용 의자.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패널의 작동 제어에 따라 상기 발판을 인출 또는 수축되도록 이동시켜 다리를 신장 또는 이완시키는 발판이동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견인 치료용 의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패널의 작동 제어에 따라 상기 발판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발판승강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견인 치료용 의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승강구동부는,
    상기 등판회동구동부가 상기 등판을 후방으로 눕히는 때에 상기 발판을 상승시키고,
    상기 등판회동구동부가 상기 등판을 세우는 때에 상기 발판을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 치료용 의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패널의 작동 제어에 따라 발열되도록 상기 좌판 및 상기 등판에 매설 구비되는 발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견인 치료용 의자.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 다리의 후방 위치에서 바닥면에 안착되어 지지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후방 받침다리;를 더 포함하는 견인 치료용 의자.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 결속수단, 상기 허리 결속수단 및 상기 헤드 결속수단은,
    신체 부위를 감싸 결속하며 탈착을 위한 탈착수단을 구비하는 밴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 치료용 의자.
  11. 수평된 좌판, 수직된 등판, 상기 등판 상부의 헤드 레스트, 상기 좌판 전방 하부의 발판, 상기 좌판 하부의 받침 봉 및 상기 받침 봉 하부의 받침 다리로 구성되는 의자에 있어서,
    서로 평행되게 전방을 향하는 상태와 외측으로 펼쳐진 상태로 변환 가능하도록 상기 등판의 양측에 접철 가능하게 구비되는 팔 받침대;
    상기 좌판에 대해 상기 등판을 회동시켜 상기 등판을 수직된 상태와 후방으로 눕혀진 수평된 상태로 변환시키는 등판회동구동부;
    눕혀진 상태의 상기 등판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등판이동구동부;
    상기 헤드 레스트를 인출 또는 수축되도록 이동시키는 헤드이동구동부;
    상기 팔 받침대를 인출 또는 수축되도록 이동시키는 팔받침이동구동부;
    상기 발판을 인출 또는 수축되도록 이동시키는 발판이동구동부;
    상기 발판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발판승강구동부; 및
    상기 등판회동구동부, 상기 등판이동구동부, 상기 헤드이동구동부, 상기 팔받침이동구동부, 상기 발판이동구동부 및 상기 발판승강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패널;을 포함하는 견인 치료용 의자.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패널은,
    상기 발판의 초기 높이, 상기 발판의 초기 인출 길이, 상기 헤드 레스트의 초기 인출 길이, 상기 팔 받침대의 초기 인출 길이의 조정을 위한 작동 제어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 치료용 의자.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패널은,
    프로그램화된 순서 및 횟수에 따라 상기 등판회동구동부, 상기 등판이동구동부, 상기 헤드이동구동부, 상기 팔받침이동구동부, 상기 발판이동구동부 및 상기 발판승강구동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 치료용 의자.
KR1020070113314A 2007-11-07 2007-11-07 견인 치료용 의자 KR100874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3314A KR100874686B1 (ko) 2007-11-07 2007-11-07 견인 치료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3314A KR100874686B1 (ko) 2007-11-07 2007-11-07 견인 치료용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4686B1 true KR100874686B1 (ko) 2008-12-18

Family

ID=40372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3314A KR100874686B1 (ko) 2007-11-07 2007-11-07 견인 치료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4686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394B1 (ko) * 2009-03-04 2012-01-16 구경순 허리와 목을 견인하고 동시에 골반을 교정하는 치료기
CN105012090A (zh) * 2015-07-23 2015-11-04 赵百华 一种康复型轮椅
KR101627231B1 (ko) 2016-02-22 2016-06-03 박종덕 재활 치료용 신체 견인 장치
CN106618835A (zh) * 2016-11-25 2017-05-10 天津书芹科技有限公司 一种机电一体化医疗牵引设备
CN106726063A (zh) * 2016-12-22 2017-05-31 江苏德丰医疗设备有限公司 一种牵引治疗椅
CN107693182A (zh) * 2016-10-14 2018-02-16 崔韡 一种护理用穿戴式牵引装置
KR102020565B1 (ko) 2018-10-29 2019-09-10 박종덕 재활치료용 신체 견인장치
CN112957168A (zh) * 2021-02-02 2021-06-15 马静 一种神经内科护理用癫痫发作防护装置
KR102311116B1 (ko) * 2020-05-22 2021-10-13 유명호 어깨 운동기구
KR102473998B1 (ko) * 2022-03-23 2022-12-05 박소영 자세 교정 및 허리 견인 기능성 의자
KR20230000569A (ko) * 2021-06-25 2023-01-03 정원욱 개량된 압박 고정 구조를 갖는 스트레칭 의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8253Y1 (ko) 1997-07-08 1999-10-15 서영보 신체 교정기
KR200265759Y1 (ko) 2001-11-28 2002-02-25 에스케이바이오메디텍(주) 원적외선 조사 및 진동발생부재를 갖는 좌욕 온열의자
KR200321824Y1 (ko) 2003-05-15 2003-08-02 이태형 허리운동이 가능한 의자
KR100739020B1 (ko) 2006-02-10 2007-07-12 신정훈 요추 견인 치료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8253Y1 (ko) 1997-07-08 1999-10-15 서영보 신체 교정기
KR200265759Y1 (ko) 2001-11-28 2002-02-25 에스케이바이오메디텍(주) 원적외선 조사 및 진동발생부재를 갖는 좌욕 온열의자
KR200321824Y1 (ko) 2003-05-15 2003-08-02 이태형 허리운동이 가능한 의자
KR100739020B1 (ko) 2006-02-10 2007-07-12 신정훈 요추 견인 치료장치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394B1 (ko) * 2009-03-04 2012-01-16 구경순 허리와 목을 견인하고 동시에 골반을 교정하는 치료기
CN105012090A (zh) * 2015-07-23 2015-11-04 赵百华 一种康复型轮椅
KR101627231B1 (ko) 2016-02-22 2016-06-03 박종덕 재활 치료용 신체 견인 장치
CN107693182A (zh) * 2016-10-14 2018-02-16 崔韡 一种护理用穿戴式牵引装置
CN107693182B (zh) * 2016-10-14 2018-08-24 崔韡 一种护理用穿戴式牵引装置
CN106618835A (zh) * 2016-11-25 2017-05-10 天津书芹科技有限公司 一种机电一体化医疗牵引设备
CN106618835B (zh) * 2016-11-25 2019-06-28 蒋建辉 一种机电一体化医疗牵引设备
CN106726063A (zh) * 2016-12-22 2017-05-31 江苏德丰医疗设备有限公司 一种牵引治疗椅
KR102020565B1 (ko) 2018-10-29 2019-09-10 박종덕 재활치료용 신체 견인장치
KR102311116B1 (ko) * 2020-05-22 2021-10-13 유명호 어깨 운동기구
CN112957168A (zh) * 2021-02-02 2021-06-15 马静 一种神经内科护理用癫痫发作防护装置
KR20230000569A (ko) * 2021-06-25 2023-01-03 정원욱 개량된 압박 고정 구조를 갖는 스트레칭 의자
KR102572329B1 (ko) * 2021-06-25 2023-08-28 정원욱 개량된 압박 고정 구조를 갖는 스트레칭 의자
KR102473998B1 (ko) * 2022-03-23 2022-12-05 박소영 자세 교정 및 허리 견인 기능성 의자
WO2023182797A1 (ko) * 2022-03-23 2023-09-28 박소영 자세 교정 및 허리 견인 기능성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4686B1 (ko) 견인 치료용 의자
US8801638B2 (en) Delordosation device
JP2021520284A (ja) 多機能車いす
CN102026608B (zh) 协助分娩的装置
CA2977871A1 (en) Patient transfer and training aid
CN107320252A (zh) 一种康复型多功能床椅
KR102058242B1 (ko) 스트레칭 안마의자
US20140316465A1 (en) &#34;Apparatus and Method For Spinal And/or Neck Decompression&#34;
JP4798859B2 (ja) 洗髪装置
CN108578091B (zh) 一种脊髓病人康复智能轮椅
WO2001021128A1 (en) A mobility aid
CN106420224A (zh) 护理过渡架
KR101906672B1 (ko) 척추 및 경추 견인용 의자
CN110916979A (zh) 一种膝关节康复训练椅
KR200434785Y1 (ko) 자세전환이 용이한 의자
CN107320259A (zh) 一种可自锁的多功能床椅
KR20130086672A (ko) 자동 안마장치
CN211301794U (zh) 一种具有理疗功能的椅子
CN112155877A (zh) 一种助行机器人
CN206198240U (zh) 一种脚蹬式伸缩型舒适牙科椅
CA2936978C (en) A stretching appliance for stretching the back
KR102146138B1 (ko) 하체국소 안마모듈이 구비된 스트레칭 안마의자
KR200325988Y1 (ko) 좌대 승강 및 등받이와 다리받이 각도조정 의자
CN107854271A (zh) 一种全自动理疗床
CN215532980U (zh) 一种修脚用折叠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