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2802Y1 - 경추용 교정기 - Google Patents

경추용 교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2802Y1
KR200402802Y1 KR20-2005-0022062U KR20050022062U KR200402802Y1 KR 200402802 Y1 KR200402802 Y1 KR 200402802Y1 KR 20050022062 U KR20050022062 U KR 20050022062U KR 200402802 Y1 KR200402802 Y1 KR 2004028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rvical
sides
cam member
base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20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정민
Original Assignee
한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정민 filed Critical 한정민
Priority to KR20-2005-00220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28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28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28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8Apparatus for applying pressure or blows almost perpendicular to the body or limb axis, e.g. chiropractic devices for repositioning vertebrae, correcting deform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61H1/0296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4Special force transmission means, i.e. between the driving means and the interface with the user
    • A61H2201/1418C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4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ne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eurology (AREA)
  • Nurs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목의 경추부위 양측으로 주기적이고 반복적인 가압력을 전달하여 경추부위를 자극 및 마사지하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경추용 교정기에 관한 것으로 , 그 구조는 신체 목 부위의 양측으로 서로 대칭되게 마련되며 목부위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양측 가압구와, 그 양측 가압구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고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복귀가능하게 설치되는 링크부재와, 링크부재의 단부와 접촉되고 모터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회전동작되어 양측 가압구를 목부위의 양측에 주기적으로 접촉시키기 위한 캠부재를 구비하여 된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의 경추용 교정기는 양측 가압구가 목 경추부위를 양외측에서 주기적으로 압박하여 경추부위의 교정 및 효과적인 물리 치료의 기능을 갖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경추용 교정기{The remedy apparatus for the cervical vertebrae}
본 고안은 경추용 교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목부위의 경추 양측에 간헐적이고 직접적인 물리적 자극을 가하여 물리 치료의 기능을 갖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경추용 교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부위중 경추(頸椎)는 척추의 상단 부위, 인체의 경부(頸部)에 있는 추골을 의미하는 것으로, 7개의 척추뼈로 이루어지고 요추(腰椎)와 흉추(胸椎)와는 달리 회전운동이나 굴곡 및 신전 운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기존 경추 질환으로는, 경추부염좌, 경추추간판 탈출증, 경추골절, 경추척추관 협착증, 후종인대골화증, 척추종양 등이 있으며, 이중 흔한 질환은 경추부염좌 및 경추추간판 탈출증이다.
그 경추부염좌(頸椎部捻挫; whiplash injury)는 경추를 지지해주는 주위의 근육이나 인대 등이 비정상적으로 긴장 또는 이완되어 있거나 경추부가 외력에 의하여 과신전 혹은 과굴곡되거나, 비틀림 또는 축으로 압박될 때 목근육과 경추 주위를 싸고 있는 근육, 인대등이 늘어나거나 찢어져 붓고 아픈 증세를 갖는 것이다.
또한, 경추추간판 탈출증(頸椎椎間坂脫出症; ruptured cervacal disk)은, 일명 목디스크 라고도 지칭되며, 추간판의 퇴행성 변화에 의해 발생되는 질환이다.
상기한 경추추간판 탈출증은 외상 또는 만성 자극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퇴행성으로 발생되거나, 일상생활에서 부적절한 자세로 장시간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할 경우, 급성으로 발생될 수 있다.
위의 경우에 해당되는 목 근육의 경직이나 이완 현상은 물리적 자극을 전달하는 물리 치료기를 이용하여 치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기존의 물리 치료기들은 척추를 자극하는 가압부재가 단순히 척추부위를 따라 직선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열을 가하는 방식의 물리 치료기를 채용하거나, 저주파를 이용하여 간헐적으로 신체 특정부위에 물리적 자극을 가하는 저주파 물리 치료기를 주로 채용하고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단순히 척추 부위를 자극하는 기능만을 갖고 있으므로 경추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에게는 부적합하며, 후자의 경우에는 경추 부위에 직접적인 자극을 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또한, 인체의 경추 부위는 만곡지게 휘어진 구조적 특성을 갖고 있으므로, 이를 고려한 물리 치료기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신체의 목 경추의 양외측에 접촉되어 주기적인 압박 동작에 의한 물리 치료의 기능을 갖도록 된 경추용 교정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신체 목 부위의 양측으로 서로 대칭되게 마련되며 이동수단에 의해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양측 가압구와, 상기 양측 가압구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고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복귀가능하게 설치되는 링크부재와, 상기 링크부재의 단부와 접촉되고 모터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회전동작되어 상기 양측 가압구를 상기 목부위의 양측에 간헐적으로 접촉시키기 위한 캠부재를 구비하여 된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본 고안의 캠부재는 그 외주면에 서로 다른 외경을 갖는 대경부와 소경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이다.
또, 본 고안은 양측 가압구의 서로 이격된 간격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조정수단은 상기 캠부재가 전,후 경사각을 갖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상기 캠부재가 설치된 베이스의 중앙부위가 이동수단에 의해 전,후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이동수단은 상기 캠부재가 설치된 베이스의 중앙에 양측 부와 분할되는 이동플레이트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의 이동플레이트 하측이 바닥면과 이격되도록 바닥면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에 안착되어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이동수단은 상기 분할된 베이스의 이동플레이트가 양측부와 선택적으로 록킹되도록 록킹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록킹부는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측면 테두리에 마련되고 내부에 내장된 스프링부재에 의해 외측으로 탄성 지지되는 록킹 볼과, 상기 베이스의 양측부위 테두리에 상기 록킹 볼의 외주연 일부가 수용되도록 요홈 형태로 형성되고 다수개가 일방향으로 형성되는 록킹 홈을 구비하여 된 것이다.
삭제
삭제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경추용 교정기의 일 실시예는, 도 5 내지 도 7를 참조하면, 그 구조는 신체 목 부위의 양측으로 서로 대칭되게 마련되며 목부위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양측 가압구(100A)(100B)와, 그 양측 가압구(100A)(100B)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고 스프링(250A)(250B)의 탄성력에 의해 복귀가능하게 설치되는 링크부재(200A)(200B)와, 링크부재(200A)(200B)의 단부와 접촉되고 모터(400)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회전동작되어 양측 가압구(100A)(100B)를 목부위의 양측에 주기적으로 접촉시키기 위한 캠부재(300)를 구비하여 된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그 링크부재(200A)(200B)는 일단부가 양측 가압구(100A)(100B)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캠부재(300)의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결합되며, 중간 부위에 연결축(210A)(210B)으로 축 결합되어 브라켓(500A)(500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링크부재(200A)(200B)는 회전 동작시 복원력을 갖도록 연결축(210A)(210B) 부위에 스프링(250A)(250B)이 권회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 스프링(250A)(250B)은 일예로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채용할 수 있으며, 그 스프링(250A)(250B)의 단부는 링크부재(200A)(200B)에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 모터(400)는 하부의 베이스(600)에 지지되어 외부의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회전이 가능한 것을 채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캠부재(300)는 중심 부위가 모터(400)의 모터축(450)과 축결합되도록 일체로 결합되어 연동 회전되는 구조를 가지며, 그 외주면에 서로 다른 외경의 대경부(310)와 소경부(320)가 형성되고 그 대,소경부(310)(320)의 경계부위가 라운드지게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즉, 캠부재(300)는 대경부(310)가 위치하는 구간에서는 링크부재(200A) (200B)의 단부와 접촉되어 양측 가압구(100A)(100B)가 목 부위측으로 접촉되어 가압되고, 링크부재(200A)(200B)가 소경부(320) 위치에 있을 구간에서는 스프링(250A)(250B)의 복원력에 의해 링크부재(200A)(200B)가 다시 원래의 위치대로 회전되어 경추 부위로 전달되는 가압력을 해제시키도록 형성된 것이다.
또한, 양측 가압구(100A)(100B)의 서로 이격된 간격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수단을 더 구비하되, 그 조정수단은 캠부재(300)가 전,후부위가 동일 수평선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경사각을 갖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그 베이스(600)의 중앙부위가 전,후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즉, 캠부재(300)는 전방의 외경 둘레와 후방의 외경 둘레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대경부와 소경부의 지름 차이가 아닌 외경 둘레 자체가 상이하게 형성된 것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조정수단을 나타낸 것으로, 그 구조는 베이스(600)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베이스(600)의 중앙 부위가 양측부위와 분할되는 이동플레이트(650)가 마련되고, 그 이동플레이트(650)의 하부에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가이드 레일(612)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 이동플레이트(650)와 베이스(600)의 양측부위가 접촉되는 테두리 부위에는 이동플레이트(650)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록킹부(700)가 마련되어 있으며, 그 록킹부(700)는 이동플레이트(650)의 테두리 외측으로 외주연 일부위가 돌출되도록 록킹 볼(715)이 스프링부재(714)에 의해 탄성 지지되고, 그 록킹 볼(715)에 대응되는 다수개의 록킹 홈(720)이 베이스 양측 부위의 테두리에 각각 형성되어 그 이동플레이트(650)의 전,후 이동에 따라 상호 선택적으로 록킹 결합되는 것이다.
즉, 록킹 볼(715)은 이동플레이트(650)의 테두리에 형성된 수용홈(712)의 내부에 수용되고, 그 수용홈(712) 내부에 내장된 스프링부재(714)에 접촉 지지되는 구조를 갖는다.
더 바람직하게는, 그 이동플레이트(650)의 전면 부위에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해 손잡이(655)가 마련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고안 다른 실시예의 작용은, 모터(400)의 회전 구동시 캠부재(300)가 연동되어 회전하게 되고, 그 캠부재(300)의 회전에 따라 링크부재(200A)(200B)가 연결축(210A)(210B)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어서, 그 링크부재(200A)(200B)가 회전됨에 따라 링크부재(200A)(200B)의 일단부에 연결된 양측 가압구(100A)(100B)가 사용자의 목부위측으로 회전되면서 접촉되어 가압력을 갖게 된다.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캠부재(300)의 형상 및 모터(400)의 회전속도에 따라 양측 가압구(100A)(100B)의 회전 주기가 달라지게 되므로, 양측 가압구(100A)(100B)가 경추부위를 압박하도록 접촉되는 주기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그 양측 가압구(100A)(100B)는 링크부재(200A)(200B)와 접촉되지 않는 구간에서 스프링(250A)(250B)의 복원 탄성력에 의해 회전되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됨에 따라 상기한 경추부위와의 접촉 가압력을 해제하는 기능을 갖게 된다.
그리고, 목의 굵기등 신체 조건이 각각 다른 사용자들을 위해 양측 가압구(100A)(100B)의 폭을 조정할 수 있으며, 이는 베이스(600)의 중앙에 위치한 이동플레이트(650)가 전,후로 이동됨에 따라, 캠부재(300)의 외경에 접촉되는 링크부재(200A)(200B)의 간격이 달라지게 되어 양측 가압구(100A)(100B)의 폭이 가변된다.
이때, 캠부재(300)의 외경 둘레가 전,후 경사각을 갖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동플레이트(650)의 전,후 이동시 링크부재(200A)(200B)의 하단부가 접촉되는 위치가 달라지게 되어 양측 가압구(200A)(200B)의 폭이 가변되는 것이다.
또, 이동플레이트(650)의 전,후 이동시 록킹부(700)의 록킹 볼(715)이 양측 테두리에 형성된 다수개의 록킹 홈(720)들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록킹 결합되어 그 이동을 제한하도록 되어 있으나, 그 록킹 결합력을 벗어나는 힘으로 이동플레이트(650)를 밀거나 당길 경우에 이동이 가능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고안은 목의 경추부위 양측으로 주기적이고 반복적인 가압력을 전달하여 경추부위를 압박하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것인 바,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단순구조로 이루어지며 양측 가압구가 목 경추부위를 양외측에서 주기적으로 압박하여 경추부위의 교정 및 효과적인 물리 치료의 기능을 갖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경추용 교정기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 다른 실시예에 커버가 각각 마감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7a는 본 고안 다른 실시예의 동작 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7b는 본 고안 다른 실시예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조정수단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
삭제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00A,100B : 양측 가압구 200A,200B : 링크부재
250A,250B : 스프링 300 : 캠부재
310 : 대경부 320 : 소경부
400 : 모터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베이스(600)의 상측에 설치되고 신체 목 부위의 양측으로 서로 대칭되게 마련되는 양측 가압구(100A)(100B)와,
    상기 양측 가압구(100A)(100B)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고 스프링(250A)(250B)의 탄성력에 의해 복귀동작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링크부재(200A)(200B)와,
    상기 링크부재(200A)(200B)의 단부와 접촉되고 모터(400)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회전동작되어 상기 양측 가압구(100A)(100B)를 상기 목부위의 양측에 주기적으로 접촉시키기 위한 캠부재(300)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용 교정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재(300)는 그 외주면에 서로 다른 외경을 갖는 대경부(310)와 소경부(320)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용 교정기.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가압구(100A)(100B)의 서로 이격된 간격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조정수단은 상기 캠부재(300)가 전,후 경사각을 갖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상기 캠부재(300)가 설치된 베이스(600)의 중앙부위가 이동수단에 의해 전,후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용 교정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캠부재(300)가 설치된 베이스(600)의 중앙에 양측 부와 분할되는 이동플레이트(650)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600)의 이동플레이트(650) 하측이 바닥면과 이격되도록 바닥면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612)에 안착되어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용 교정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분할된 베이스의 이동플레이트(650)가 양측부와 선택적으로 록킹되도록 록킹부(7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용 교정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700)는 상기 이동플레이트(650)의 측면 테두리에 마련되고 내부에 내장된 스프링부재(714)에 의해 외측으로 탄성 지지되는 록킹 볼(715)과,
    상기 베이스(600)의 양측부위 테두리에 상기 록킹 볼(715)의 외주연 일부가 수용되도록 요홈 형태로 형성되고 다수개가 일방향으로 형성되는 록킹 홈(720)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용 교정기.
  10. 삭제
  11. 삭제
KR20-2005-0022062U 2005-07-29 2005-07-29 경추용 교정기 KR2004028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2062U KR200402802Y1 (ko) 2005-07-29 2005-07-29 경추용 교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2062U KR200402802Y1 (ko) 2005-07-29 2005-07-29 경추용 교정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2040U Division KR200406852Y1 (ko) 2005-11-11 2005-11-11 경추용 교정기
KR2020050032041U Division KR200406853Y1 (ko) 2005-11-11 2005-11-11 경추용 교정기
KR1020060059560A Division KR100791028B1 (ko) 2006-06-29 2006-06-29 경추용 교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2802Y1 true KR200402802Y1 (ko) 2005-12-06

Family

ID=43703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2062U KR200402802Y1 (ko) 2005-07-29 2005-07-29 경추용 교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280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3727A (ko) * 2018-07-02 2020-01-10 김기온 경추교정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3727A (ko) * 2018-07-02 2020-01-10 김기온 경추교정기
KR102186814B1 (ko) 2018-07-02 2020-12-04 김기온 경추교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6084B1 (ko) 경추용 교정장치
KR101561005B1 (ko) 물리치료 기능을 구비한 마사지장치
KR100791028B1 (ko) 경추용 교정기
EP3320889B1 (en) Massage device for acting on the spinal muscles of three regions of the spine
KR101715519B1 (ko) 경부 교정 장치
KR20080042427A (ko) 척추 교정 및 스트레칭을 위한 장치
KR102186814B1 (ko) 경추교정기
WO2010050968A1 (en) Massage apparatus with spherical elements
KR102161696B1 (ko) 경추 안마기
US11020311B2 (en) Therapeutic device and method for stimulating the anatomy of the cervical spine and neck
KR20070078766A (ko) 경추용 교정기
KR101399744B1 (ko) 경추 교정용 안마기
KR20190016682A (ko) 경추 교정기
KR200402802Y1 (ko) 경추용 교정기
CN113018096A (zh) 一种刚柔耦合腰椎康复治疗器
KR200384058Y1 (ko) 지압용 베개
KR102031634B1 (ko) 가변식 마사지 롤러를 구비한 안마의자
KR200406852Y1 (ko) 경추용 교정기
CN105232200A (zh) 一种颈椎治疗仪及其工作方法
KR200406853Y1 (ko) 경추용 교정기
KR100966085B1 (ko) 경추용 교정장치
KR200292050Y1 (ko) 경부 물리 운동장치
KR20100096723A (ko) 경부용 마사지장치
KR20030097470A (ko) 경추 견인기의 보조 받침장치
CN109998894A (zh) 一种神经外科护理用穿戴式按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01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