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4058Y1 - 지압용 베개 - Google Patents

지압용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4058Y1
KR200384058Y1 KR20-2005-0003715U KR20050003715U KR200384058Y1 KR 200384058 Y1 KR200384058 Y1 KR 200384058Y1 KR 20050003715 U KR20050003715 U KR 20050003715U KR 200384058 Y1 KR200384058 Y1 KR 2003840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cervical
mitral
acupressure
pi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37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창준
유우준
Original Assignee
(주)이헬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헬스테크 filed Critical (주)이헬스테크
Priority to KR20-2005-00037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40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40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40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09Rigid frame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압용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누워서 휴식을 취할 때 베개에 비치된 경추자극수단과 승모근자극수단에 의해, 목의 경추부분과 어깨뼈의 승모근부위를 자극하여 근육을 이완시켜 주며, 경추부분과 승모근부위에 집중된 피로를 풀어주는 지압용 베개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목 부위의 경추와 어깨뼈 부위의 승모근에 편심된 회전체를 두어 목부위를 견인 및 이완함과 동시에 승모근을 자극하여 근육의 피로를 풀어주며, 혈액순환 장애를 해소하면서, 목디스크의 예방 및 기혈 흐름의 원활함을 창출하는 유용한 고안이다.
또한 본 고안은 승모근부위부터 그 근육을 지압하며 밀어내고, 이를 받은 경추자극수단을 통해 경추를 자극하여 연속된 지압을 하기에 인체에 유익한 추나 요법을 사람의 손을 빌지 않고 자동으로 실시할 수 있는 고안이다.

Description

지압용 베개{A pillow for the finger-pressure treatment}
본 고안은 지압용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누워서 휴식을 취할 때 베개에 비치된 경추자극수단과 승모근자극수단에 의해, 목의 경추부분과 어깨뼈의 승모근부위를 자극하여 근육을 이완시켜 주며, 경추부분과 승모근부위에 집중된 피로를 풀어주는 지압용 베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베개란 누워서 편히 수면을 들어가기 위해 목과 머리를 올려놓는 필수적인 도구이다.
그런데 요즘 들어 이 베개를 보다 기능적으로 제조하여, 잘못된 생활습관으로 인하여 삐틀어지고 통증을 유발하는 뼈와 관절 및 근육을 풀어 주기 위한 한방의 추나 요법을 접목시킨 베개가 이용되는 추세에 있다.
즉, 이 추나 요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추나(推拿)의 사전적 의미는 밀고 당기는 다양한 기술로 형체(形體)를 바르게 하는 방법을 말하며, 전통적으로 여러 가지의 추나 기법이 있지만 크게 추법과 나법으로 구분이 된다.
추법은 '밀어서' 해부학적 구조를 제자리로 돌아가게 하는 방법으로 경락(經絡)과 기(氣)를 잘 통하게 하며 어혈 등을 푸는 데 효과적이며, 나법은 두 손이나 한손으로 환부를 잡고 '당겨서' 서서히 해부학적 구조를 제자리로 복원시키는 방법으로 주로 목이나 허리에 시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추나 요법은 내과질환에서부터 마취법에 이르기까지 적용범위가 아주 광범위하지만 주로 통증과 마비증을 호소하는 근골격계 질환의 치료 효과가 크다.
결론적으로 통증 그 자체에 대한 직접적인 치료만이 가능했던 기존의 치료와는 근본적으로 다른 치료법으로서 통증을 일으키는 질환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에 목적을 두고 있는 것이다.
즉, 수기요법의 파동이 일종의 에너지로 전환돼 인체내 심부로 침투, 관련 계통의 조직과 기관을 조절해 척추질환과 관련된 전신 혹은 내장 질환을 치료하게 되는 것이다.
현재 실제적인 추나 요법은 척추질환인 요추와 경추에 대부분 활용되고 있는데. 한약, 침구와 함께 추나를 복합적으로 활용해 치료효과를 높이고 있으며. 약물의 부작용 등이 없는 것도 추나 요법의 장점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추나 요법으로 치료가 가능한 질병은, 척추에 발생하는 질환으로는 경추 및 요추의 추간판 탈출증(디스크), 퇴행성 척추염, 척추관 협착증, 척추 측만증 또는 후만증, 일자목, 척추의 화농성 질환(척추 결핵 포함), 척추의 종양, 외상에 의한 척추의 골절 및 탈구, 골다공증 등을 들 수 있다.
그런 본 고안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목의 경추부와 어깨의 승모근부를 추나 요법으로 풀어주는 방식을 설명하면, 수작업을 통해 전문가인 한의사에 의해 약 15분∼30분 정도의 손가락 시술을 통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추나 요법은 손가락으로 머리 뒤의 경추를 들어올려 자극을 통하여 경추근육을 이완시키며, 목부위에 손바닥이나 손가락을 이용하여 목 관절의 경사면을 따라 목 관절을 이완 자극시키는 방법으로 시행한다.
여기서 본 고안이 안출될 수밖에 없었던, 그간의 침구도구 중 베개의 문제점을 살펴본다.
일반적으로 베개는 외피 내부를 쿠션재로 충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수면을 취하거나 휴식을 취할 때 머리 뒷부분을 받쳐주는데, 이는 머리부위가 목부위보다 높은 위치에 있어 목의 경추가 역으로 휘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즉, 경추에 부담을 주면서 장시간 동안 베개를 사용할 경우에는 뒷목의 근육이 경직되어 목이 뻐근하게 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요즈음에는 메모리폼 베개가 사용되어 " C" 자 형태로 된 목의 경추가 역으로 휘어지는 현상을 완화시키는 베개가 사용되고 있기는 하지만, 경직된 근육을 풀어주는 역할은 하지 못하고 있다.
한편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베개의 내부에 마사지 및 지압기능을 갖는 목베개를 제작하여 사용하는 방식도 종래에 안출된 바 있다.
그럼 이러한 지압이나 마사지용 베개를 대한민국 특허청에서 등록번호 20-326094호로 등록된 고안을 통해 그 문제점을 살펴본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종래 고안은 구동모터(120)가 설치되고, 상기 베개 몸체(110)의 양단 측벽에 소정의 거리를 두고 다수의 회전축(130,140,150)을 설치한 다음, 상기 회전축(130,140,150)을 체인과 같은 연결벨트(125)로 상호 연결하여 사용한다.
또한 상기 회전축(130,140,150)중 어느 하나에 종동기어(144)를 설치하여 구동모터(120)의 구동기어(122)를 연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한편, 상기 회전축(130,140,150)에 두부의 여러 적소를 마사지 할 수 있게 일측방으로 돌출부를 가진 다수개의 지압캠(132,140,143,152)을 설치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돌출부의 돌출된 방향이 각기 다르도록 지압캠(132,140,143,152)을 설치하고 상기 베개 몸체(110)의 개구된 상부에는 다소 유연한 쿠션이 있는 재질의 베개 커버(160)를 설치한다.
이 종래 고안의 베개의 경우 머리만을 지압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어 어깨와 목부위에 응축된 혈과 근육을 풀어 주기에는 미약하다.
그리고 캠의 형태로 지압해 주기에 머리가 아플 소지가 많다.
또한 기운행의 측면에서 보면, 종래고안은 인체의 기혈은 등판을 거쳐 어깨와 머리의 백회 부위를 지나서 이마와 코 및 입으로 내려가는 소주천과 대주천의 기혈의 운행에 전혀 도움을 주지 못한다.
즉, 사실상 사람이 누운 상태에서는 머리만의 피곤을 풀어주어서는 안되며, 등에서 머리까지 혈이 잘 흐르고 응어리진 근육을 전체적으로 풀어 주어야만 피로가 잘 풀릴 소지가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보면, 종래의 마사지용 흔들베개는 머리만을 풀어 주기 위한 것이므로 추나 요법을 실시함에 있어서 효율적이지 못한 것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한 본 고안은, 사용자가 누워서 휴식을 취할 때 베개에 비치된 경추자극수단과 승모근자극수단에 의해, 목의 경추부분과 어깨뼈의 승모근부위를 자극하여 근육을 이완시켜 주며, 경추부분과 승모근부위에 집중된 피로를 풀어주는 지압용 베개를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일정간격을 두고 상하로 관통된 장형의 다수개 위치고정공을 형성한 판형체의 프레임판과, 유연한 재질로 부착되는 머리받침부재와, 목을 수용하는 라운드홈이 형성된 목받침대와, 목의 경추를 자극하는 경추자극수단과, 승모근을 자극하는 승모근자극수단과, 상기 경추자극수단과 승모근자극수단을 컨트롤러의 제어된 동작으로 회전시키는 동력전달수단으로 구성되어 어께에서부터 목과 머리까지 순차적으로 밀어 지압함으로 기혈의 흐름을 원활하게 시키는 지압용 베개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요부인 경추자극수단은, 상기 프레임판에 고정되는 회전베어링을 내장한 샤프트지그와, 지그에 끼워진 경추부샤프트 및 상기 경추부샤프트의 좌우측에 편심된 상태로 고정되는 원형의 경추부편심회전체로 구성되어 목의 경추부를 가압하고 풀어주는 지압용 베개를 제공하고자 한다.
더불어 본 고안의 요부인 상기 승모근자극수단은, 상기 프레임판에 고정되는 회전베어링을 내장한 샤프트지그와, 상기 샤프트지그에 끼워진 승모근부샤프트 및 상기 승모근부샤프트의 좌우측에 편심된 상태로 고정되는 원형의 승모근부편심회전체로 구성되어 어깨뼈의 승모근을 가압하고 풀어주는 지압용 베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베개의 몸체와, 그 몸체 내부에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편심된 지압캠과, 지압캠의 회전을 위한 회전축 과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고정된 구동기어와 종동기어 및 베개 몸체 상부를 덮는 유연한 재질의 베개커버로 구성된 지압용 베개란 점에서는 종래의 지압용 베개와 유사하다.
그러나 베개가 어깨뼈의 승모근과 목의 경추부를 순차적으로 풀어주기 위한 구성에 있어서 특이하고, 이를 위한 구성간의 상관관계 및 그 발생되는 효과면에서 현저하기에 도시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내지 9에 도시된 것처럼, 본 고안은 일정간격을 두고 상하로 관통된 장형의 다수개 위치고정공(11)을 형성한 판형체의 프레임판(10)이 있고, 상기 프레임판(10) 후면에 유연한 재질로 부착되는 머리받침부재(2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머리받침부재(20)의 전면에 볼트(B) 고정되며, 인체의 목을 수용하는 라운드홈(32)이 형성된 목받침대(30)가 있고, 상기 목받침대(30) 전면으로 편심된 회전체로 목의 경추를 자극하는 경추자극수단(40)을 비치한다.
더불어 상기 경추자극수단(40) 전면으로 편심된 회전체로 어깨뼈의 승모근을 자극하는 승모근자극수단(50)을 가지며, 상기 경추자극수단(40)과 승모근자극수단(50)을 컨트롤러(60)의 제어된 동작으로 회전시키는 동력전달수단(70)도 비치한다.
물론 본 고안은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의 구성요소들을 모두 상부에서 덮는 유연한 재질의 커버부재(80)도 갖추고 있다.
즉, 본 고안은 상기 각각의 구성요건(소)들이 프레임판(10)과 그 위치고정공(11)에 조립시 위치 이동 가능한 형태로 볼트(B) 결합되어 동력전달수단(70)의 컨트롤러(60)의 제어된 작동으로 어깨에서부터 목과 머리까지 순차적으로 밀어 지압과 기혈의 흐름을 원활하게 시키는 지압용 베개이다.
또한 상기 본 고안의 요부인 경추자극수단(40)은, 상기 프레임판(10) 좌우측의 위치고정공(11)에 볼트(B) 고정되는 회전베어링(41)을 내장한 샤프트지그(42)가 있고, 상기 샤프트지그(42)를 관통한 장형의 경추부샤프트(43)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경추부샤프트(43)의 좌우측에 편심된 상태로 고정되는 원형의 경추부편심회전체(44)를 구성한다.
즉, 상기 경추부샤프트(43)의 회전에 따라 경추부편심회전체(44)가 편심된 상태로 회전하여 목의 경추부를 가압하고 풀어주는 것이다.
더불어 본 고안의 또 다른 요부인 상기 승모근자극수단(50)은, 상기 경추부자극수단(50)의 전면에, 프레임판(10) 좌우측의 위치고정공(11)에 볼트(B) 고정되는 회전베어링(51)을 내장한 샤프트지그(52)가 있고, 상기 샤프트지그(52)를 관통한 장형의 승모근부샤프트(53)가 비치된다.
물론 상기 승모근부샤프트(53)의 좌우측에 편심된 상태로 고정되는 원형의 승모근부편심회전체(54)가 도 6에서 처럼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승모근부샤프트(53)의 회전에 따라 승모근부편심회전체(54)가 편심된 상태로 회전하여 어깨뼈의 승모근을 가압하고 풀어주는 것이다.
그럼 상기 경추부자극수단과 승모근자극수단을 작동시키는 본 고안의 동력전달수단(70)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컨트롤러(60)에 연결되고 그 축에 감속기(61)를 결합한 구동모터(62)가 있다.
또한 상기 감속기(61) 출력축과 경추부샤프트(43)간을 결합시키는 커플러(64)가 있고, 상기 경추부샤프트(43)에 축결합된 제1타이밍풀리(65)와, 상기 승모근부샤프트(53)에 축결합된 제2타이밍풀리(66)가 구성된다.
한편 상기 타이밍풀리(65,66)간을 연결시키는 고무재질의 타이밍밸트(67)가 형성된다.
즉, 모터(62)의 회전으로 상기 타이밍밸트(67)를 통해 타이밍풀리(65,66)를 회전시키고, 상기 경추부샤프트(43)와 승모근부샤프트(53)를 동일방향으로 회전시켜 경추부와 승모근을 지압해주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경추자극수단(40)과 승모근자극수단(50)의 위치상 구조적 특징은, 그 프레임판(10)에 설치시 경추자극수단(40)이 승모근자극수단(50)에 비하여 2.5~3.5 cm 더 높게 체결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경추부편심회전체(44)와 승모근부편심회전체(54)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그 경추부샤프트(43)와 승모근부샤프트(53)에 체결시 회전각에 의한 위상차가 승모근부편심회전체(54)가 경추부편심회전체(44) 보다 30도가 빠르게 결합되는 것이 특징이다.
그 이유는 승모근편심회전체가 약 30도 먼저 돌아 승모근을 풀어주며, 승모근 주위에 응어리진 기혈을 경추부 쪽으로 밀어 올리게 되면, 이를 받아 경추부편심회전체는 회전하여 다시 정수리 부위인 백회로 밀어 올리는 것을 자연스럽게 하기위해 위상차를 준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동력전달수단(70)의 컨트롤러(60)가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입력된 시간의 2/3 동안은 구동모터(62)의 회전수를 12RPM에서 6RPM까지 순차적으로 감속시키고, 잔여시간인 1/3동안은 6RPM을 계속유지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처음에는 활발히 회전하며 움직이다가 점점 속도를 줄여 편안하게 근육의 긴장을 풀고,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본 고안을 작동시키고, 잠을 편안히 자기 위해 후반부에는 속도를 떨어트리도록 작동시키기 위한 목적도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타이밍벨트(67)에는, 볼트(B)로 프레임판(10)에 결합된 클램프부(71)가 형성된 지그(72)와, 상기 지그(72)에 축(73)을 끼우고 그 축(73)을 힌지로 회전하는 롤러(74)로 구성된 장력조절수단(75)이 타이밍벨트(67)의 간격을 벌려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장력조절수단(75)은 타이밍벨트(67)가 잦은 사용에 의해 느슨해 진 경우나, 사용자가 적당한 장력을 조절해야 할 경우에 타이밍벨트(67)의 간격을 벌리고 좁히는 방식으로 그 장력을 조절한다.
그럼 여기서 본 고안의 작용을 도시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전기에 의해 본 고안의 컨트롤러(60)의 제어를 받는 구동모터(62)가 작동하게 되면, 그 회전축은 감속기(61)를 통해 속도가 떨어진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물론 감속기(61)의 출력축에는 도시된 경추부샤프트(43)가 커플러(64)를 통해 결합된 상태이기에 동일 방향, 동일 회전속도로 회전한다.
또한 도 3,4,6에 도시된 것처럼, 경추부샤프트(43)는 회전베어링(41)을 내장한 샤프트지그(42)를 이용하여 좌우측이 지지되는 상태이기에 원활한 회전을 한다.
따라서 이 회전은 편심되게 경추부샤프트(43)에 고정된 경추부편심회전체(44)를 회전시키는 것이다.
물론 상기 경추부편심회전체(44)는 도시된 도 5와 6에서 처럼, 경추부샤프트(43)가 중심을 통과하지 않고, 일측방에 치우진 상태이기에 누운 사람의 경추부를 목에서 머리방향으로 밀어 주며 회전을 한다.
이때 상기 경추부샤프트(43)에는 제1타이밍풀리(65)가 축결합된 상태이고, 도시된 승모근부샤프트(53)에 고정된 제2타이밍풀리(66)와 타이밍벨트(67)를 통해 연결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경추부샤프트(43)의 회전은 승모근부샤프트(53)의 회전운동도 가져온다.
따라서 승모근자극수단(50)도 전술된 경추자극수단(40)의 작동의 흐름과 동일하게 운동하며 승모근 부위를 지압하여 풀어주는 것이다.
그런데 승모근자극수단(50)의 승모근부편심회전체(54)는 경추자극수단(40)의 경추부편심회전체(44)에 비하여 다소 넓은 간격을 두고 좌우로 각각 1개씩이 결합되어 있다.
이유는 승모근부위가 어깨뼈 부근이기에 목부위에 위치하는 경추부보다 더 넓기 때문이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경추자극수단(40)의 경추부편심회전체(44)는 일측이 약간 테이퍼지게 외주면을 깍은 상태로 비치함이 바람직하다.
이유는 목부위를 자극하기 위해 회전시 목에 가하는 부하를 적게 하기 위함이고, 보다 부드럽게 회전할 수 있게 하게 위함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목 부위의 경추와 어깨뼈 부위의 승모근에 편심된 회전체를 두어 목부위를 견인 및 이완함과 동시에 승모근을 자극하여 근육의 피로를 풀어주며, 혈액순환 장애를 해소하면서, 목디스크의 예방 및 기혈 흐름의 원활함을 창출하는 유용한 고안이다.
또한 본 고안은 승모근부위부터 그 근육을 지압하며 밀어내고, 이를 받은 경추자극수단을 통해 경추를 자극하여 연속된 지압을 하여 인체에 유익한 추나 요법을 사람의 손을 빌지 않고 자동으로 실시할 수 있는 고안이다.
더불어 본 고안은 경추와 목근육의 이상 및 목디스크등 여러 가지 질환을 예방하고 또한 치료를 할 수 있는 기능을 한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등록된 종래 고안의 모습을 도시한 일부절개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지압용 베개의 내부 평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지압용 베개의 내부 정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지압용 베개의 내부 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지압용 베개의 편심된 경추부편심회전체와 승모근부편심회전체간의 위상차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지압용 베개의 내부의 구조를 사시도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커버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고안의 요부를 일부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고안의 컨트롤러에서 조절되는 샤프트의 시간당 RPM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프레임판 11; 위치고정공
20; 머리받침부재 30; 목받침대
32; 라운드홈 40; 경추자극수단
41; 회전베어링 42; 샤프트지그
43; 경추부샤프트 44; 경추부편심회전체
50; 승모근자극수단 51; 회전베어링
52; 회전샤프트 53; 승모근부샤프트
54; 승모근부편심회전체 60; 컨트롤러
61; 감속기 62; 구동모터
64; 커플러 65; 제1타이밍풀리
66; 제2타이밍풀리 67; 타이밍벨트
70; 동력전달수단 100; 베개
B: 볼트

Claims (8)

  1. 베개의 몸체와, 그 몸체 내부에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편심된 지압캠과, 지압캠의 회전을 위한 회전축 과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고정된 구동기어와 종동기어 및 베개 몸체 상부를 덮는 유연한 재질의 베개커버로 구성된 지압용 베개에 있어서,
    일정간격을 두고 상하로 관통된 장형의 다수개 위치고정공(11)을 형성한 판형체의 프레임판(10)과;
    상기 프레임판(10) 후면에 유연한 재질로 부착되는 머리받침부재(20)와;
    상기 머리받침부재(20)의 전면에 볼트(B) 고정되며, 인체의 목을 수용하는 라운드홈(32)이 형성된 목받침대(30)와;
    상기 목받침대(30) 전면으로 편심된 회전체로 목의 경추를 자극하는 경추자극수단(40)과;
    상기 경추자극수단(40) 전면으로 편심된 회전체로 어깨뼈의 승모근을 자극하는 승모근자극수단(50)과;
    상기 경추자극수단(40)과 승모근자극수단(50)을 컨트롤러(60)의 제어된 동작으로 회전시키는 동력전달수단(70)과;
    상기의 구성요소들을 모두 상부에서 덮는 유연한 재질의 커버부재(80)가;
    상기 각각의 구성요건(소)들이 프레임판(10)과 그 위치고정공(11)에 조립시 위치 이동 가능한 형태로 볼트(B) 결합되어 동력전달수단(70)의 컨트롤러(60)의 제어된 작동으로 어께에서부터 목과 머리까지 순차적으로 밀어 지압과 기혈의 흐름을 원활하게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용 베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추자극수단(40)은,
    상기 프레임판(10) 좌우측의 위치고정공(11)에 볼트(B) 고정되는 회전베어링(41)을 내장한 샤프트지그(42)와;
    상기 샤프트지그(42)를 관통한 장형의 경추부샤프트(43)와;
    상기 경추부샤프트(43)의 좌우측에 편심된 상태로 고정되는 원형의 경추부편심회전체(44)가;
    상기 경추부샤프트(43)의 회전에 따라 경추부편심회전체(44)가 편심된 상태로 회전하여 목의 경추부를 가압하고 풀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용 베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모근자극수단(50)은,
    상기 경추부자극수단(50)의 전면에, 프레임판(10) 좌우측의 위치고정공(11)에 볼트(B) 고정되는 회전베어링(51)을 내장한 샤프트지그(52)와;
    상기 샤프트지그(52)를 관통한 장형의 승모근부샤프트(53)와;
    상기 승모근부샤프트(53)의 좌우측에 편심된 상태로 고정되는 원형의 승모근부편심회전체(54)가;
    상기 승모근부샤프트(53)의 회전에 따라 승모근부편심회전체(54)가 편심된 상태로 회전하여 어깨뼈의 승모근을 가압하고 풀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용 베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70)은,
    컨트롤러(60)에 연결되고 그 축에 감속기(61)를 결합한 구동모터(62)와;
    상기 감속기(61) 출력축과 경추부샤프트(43)간을 결합시키는 커플러(64)와;
    상기 경추부샤프트(43)에 축결합된 제1타이밍풀리(65)와;
    상기 승모근부샤프트(53)에 축결합된 제2타이밍풀리(66)와;
    상기 타이밍풀리(65,66)간을 연결시키는 고무재질의 타이밍밸트(67)가;
    모터(62)의 회전으로 상기 타이밍밸트(67)를 통해 타이밍풀리(65,66)를 회전시키고, 상기 경추부샤프트(43)와 승모근부샤프트(53)를 동일방향으로 회전시켜 경추부와 승모근을 지압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용 베개.
  5. 제 1항 내지 3항 중 어느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추자극수단(40)과 승모근자극수단(50)은,
    그 프레임판(10)에 설치시 경추자극수단(40)이 승모근자극수단(50)에 비하여 2.5∼3.5cm 더 높게 체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용 베개.
  6. 제 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경추부편심회전체(44)와 승모근부편심회전체(54)는,
    그 경추부샤프트(43)와 승모근부샤프트(53)에 체결시 회전각에 의한 위상차가 승모근부편심회전체(54)가 경추부편심회전체(44) 보다 30도가 빠르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용 베개.
  7. 제 1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70)의 컨트롤러(60)는,
    입력된 시간의 2/3 동안은 구동모터(62)의 회전수를 12RPM에서 6RPM까지 순차적으로 감속시키고, 잔여시간인 1/3 동안은 6RPM을 계속유지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용 베개.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벨트(67)에는,
    볼트(B)로 프레임판(10)에 결합된 클램프부(71)가 형성된 지그(72)와, 상기 지그(72)에 축(73)을 끼우고 그 축(73)을 힌지로 회전하는 롤러(74)로 구성된 장력조절 수단(75)이 타이밍벨트(67)의 간격을 벌려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용 베개.
KR20-2005-0003715U 2005-02-11 2005-02-11 지압용 베개 KR2003840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715U KR200384058Y1 (ko) 2005-02-11 2005-02-11 지압용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715U KR200384058Y1 (ko) 2005-02-11 2005-02-11 지압용 베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1493 Division 2005-02-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4058Y1 true KR200384058Y1 (ko) 2005-05-11

Family

ID=43685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3715U KR200384058Y1 (ko) 2005-02-11 2005-02-11 지압용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4058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511B1 (ko) * 2005-09-23 2007-11-28 이우천 후두부 긴장 이완장치
KR101615993B1 (ko) 2016-01-29 2016-04-28 (주) 늘빛 지압구가 자유자재로 회동되는 신체 밀착형 마사지구 및 이를 이용한 지압 베개
KR102128575B1 (ko) * 2019-07-17 2020-06-30 주식회사 자평테크 기능성 베개
KR102298765B1 (ko) * 2021-01-13 2021-09-07 주식회사 제이앤오코퍼레이션 듀얼 서포트 경추 베개 및 사용 방법
KR20220072467A (ko) * 2020-11-25 2022-06-02 롤링필로우 주식회사 코골이 방지용 롤링 필로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511B1 (ko) * 2005-09-23 2007-11-28 이우천 후두부 긴장 이완장치
KR101615993B1 (ko) 2016-01-29 2016-04-28 (주) 늘빛 지압구가 자유자재로 회동되는 신체 밀착형 마사지구 및 이를 이용한 지압 베개
KR102128575B1 (ko) * 2019-07-17 2020-06-30 주식회사 자평테크 기능성 베개
KR20220072467A (ko) * 2020-11-25 2022-06-02 롤링필로우 주식회사 코골이 방지용 롤링 필로우
KR102506954B1 (ko) * 2020-11-25 2023-03-06 주식회사 루나슬립 코골이 방지용 롤링 필로우
KR102298765B1 (ko) * 2021-01-13 2021-09-07 주식회사 제이앤오코퍼레이션 듀얼 서포트 경추 베개 및 사용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54712B (zh) 温热治疗仪按摩方式设定方法及装置
US9125786B2 (en) Method and device to alleviate carpal tunnel syndrome and dysfunctions of other soft tissues
JP5731006B2 (ja) 腸の蠕動運動を具現するための蠕動装置
KR200384058Y1 (ko) 지압용 베개
KR20150029911A (ko) 큐브형 척추 교정용 마사지기
CN205569283U (zh) 一种腹部按摩器
CN109730916A (zh) 一种用于人体俯卧位的电动叩击按摩装置
JP3583005B2 (ja) 腰痛治療機
KR101615993B1 (ko) 지압구가 자유자재로 회동되는 신체 밀착형 마사지구 및 이를 이용한 지압 베개
KR200428734Y1 (ko) 신체교정용 침대
KR200417047Y1 (ko) 건강운동기구
KR20050041787A (ko) 다리 마사지기
KR20070078766A (ko) 경추용 교정기
CN200991326Y (zh) 弧形腰椎矫正机
KR101712522B1 (ko) 척추 교정용 파동 및 진동기
RU82120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нятия боли в мышцах
CN204798324U (zh) 颈椎按摩药枕
KR200389871Y1 (ko) 휴대용 지압 안마기
KR20220075520A (ko) 마사지볼을 통한 롤핑기법이 가능한 근막치료기
CN101375822A (zh) 按摩钳
KR200332738Y1 (ko) 지압용구
KR200402733Y1 (ko) 진동 경락 경혈 지압구
CN209808976U (zh) 一种用于人体俯卧位的电动叩击按摩装置
JPH0623293Y2 (ja) 指圧,マッサージ用ボール治療具
KR100811156B1 (ko) 광조사 롤링 복합 치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0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