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144080A1 - 경추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경추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144080A1
WO2016144080A1 PCT/KR2016/002289 KR2016002289W WO2016144080A1 WO 2016144080 A1 WO2016144080 A1 WO 2016144080A1 KR 2016002289 W KR2016002289 W KR 2016002289W WO 2016144080 A1 WO2016144080 A1 WO 201614408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earer
cervical spine
cervical
upper support
low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228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안범모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US15/556,423 priority Critical patent/US11413182B2/en
Publication of WO201614408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14408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5Cervical coll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A61F5/048Traction spl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83Splints for the neck or head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rvical spine assist device.
  • the cervical spine consists of seven nodes of the cervical spine that support the head from the spine to the upper part of the thoracic spine.
  • the cervical vertebra is curved slightly forward from the upper thoracic spine, and is the part that receives the most head load, especially when sitting on a chair and working for a long time.
  • the cervical vertebra is in a normal position due to poor posture, lifestyle, and lack of exercise. Displacement or dislocation can squeeze the intervertebral cartilage between each cervical spine, causing pain and a bad symptom that is derived from other parts of the body connected to the nervous system.
  • the cervical spine of the human body refers to the vertebrae in the upper part of the spine and the cervical part of the human body, and consists of seven vertebrae, unlike the lumbar and thoracic vertebrae. Rotational movements, flexion and extension movements are possible.
  • cervical sprains Existing cervical diseases include cervical sprains, cervical disc herniation, cervical spine fractures, cervical spinal canal stenosis, posterior ligamentosclerosis, spinal tumors, and the most common diseases are cervical sprain and cervical herniation.
  • the whiplash injury is associated with the neck and cervical vertebrae when the muscles or ligaments surrounding the cervical spine are abnormally tensioned or relaxed, or when the cervical spine is overextended or overflexed by external force, or when the torsion or axis is compressed. Wrapping muscles, ligaments, etc. are stretched or torn, swollen and painful symptoms.
  • ruptured cervacal disk also known as a neck disk, is a disease caused by degenerative changes in the intervertebral discs.
  • Cervical intervertebral disc herniation may be caused by trauma or chronic stimulation, and may develop degeneratively as aging progresses, or may occur acutely when the body is fixed for a long time in an inappropriate position in daily life.
  • Stiffness or relaxation of the neck muscles in the above case is preferably treated using a physical therapy means that delivers a physical stimulus.
  • the cervical spine auxiliary device has a problem that the gear wear and damage by the load generated when the clearance between the gears and the height adjustment in the gear transmission method by the knob operation.
  •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rvical spine assist device that can be easily adjusted to fit the wearer's body to increase the fit.
  • the upper support portion that surrounds the wearer's chin portion, the lower support portion that is suppor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shoulder around the neck of the wearer, the upper support portion and the lower support portion in the rear A rear support part positioned to support the rear part of the wearer's neck, and a body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upper support part, a connection member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lower support part to the body, and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body to allow the connection member to pass through
  • a height adjusting part including a rotating member which rotates in both directions about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body of the height adjusting part is raised and lowered along th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ting member, thereby allowing the upper support part to rise relative to the lower support part.
  • a descending cervical spine assist device positioned to support the rear part of the wearer's neck, and a body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upper support part, a connection member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lower support part to the body, and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body to allow the connection
  • the body of the height adjustment portion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upper support portion
  • the upper support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fixing member fixed to the body is coupled.
  • the other side of the body is detachably installed angle adjustment member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upper support portion with respect to the wearer's jaw
  • the angle adjustment member may be coupled to the fixed member sliding.
  • the angle adjusting member may be screwed to the body.
  • the cross section of the angle adjusting member may be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 the fixing member may be formed with a guide groove of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angle adjusting member.
  • the body is formed with a receiving portion which is open to one side so that the rotating member is accommodated, a pair of through holes through which the connection member may be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receiving portion.
  • a coupling member coupled to the connection member may be disposed on the rotating member through which the connection member passes.
  • a mounting groove in which the coupling member is seated may be formed in the rotating member on which the coupling member is disposed.
  • the mounting groove is formed on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rotating member, respectively, the coupling member is provided in a pair may be respectively seated in a pair of mounting grooves formed on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rotating member.
  • the coupling member is formed in the shape of a nut, the connection member may be threa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o be coupled to the coupling member.
  • one surface of the lower support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support member for fixing the connection member.
  • the cervical spine assisting apparatus is connected to the lower support portion on one side of the upper support portion supporting the wearer's chin, so that the height adjusting portion and the angle adjusting member are provid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upper support portion, thereby to the wearer's body shape.
  • the height and angle of the upper base portion can be easily adjusted to increase the fit.
  • the coupling member of the height adjustment portion is formed in the shape of a nut, the coupling member is made of a structure in which the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o be coupled to the coupling member, the manufacturing cost and assembly cost of the product is reduced because the components are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Can be reduced.
  • the coupling member of the height adjustment portion is formed in the shape of a nut
  • the connection member is made of a structure in which the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o be coupled to the coupling memb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ear phenomeno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ervical spine assi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lower support and the support member of the cervical spine assi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cervical spine assi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3.
  •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tating member and the coupling member of the cervical spine auxiliar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bination of FIG.
  • FIG. 7 is a view showing the angular cut-off member of the cervical spine assi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7.
  •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operating method of FIG. 8.
  •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ing member of the cervical spine assi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ngle adjust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fixing member of the cervical spine auxiliar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ervical spine assi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lower support and the support member of the cervical spine assi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ervical spine assisting device 1 includes an upper support 10 supporting the wearer's chin as if it surrounds the wearer's chin, a lower support 20 that is closely attached to the shoulder of the wearer's neck, and an upper support.
  • the rear support part 30 positioned behind the part 10 and the lower support part 20 to support the back of the neck of the wearer, and the height adjusting part which raises and lowers the upper support part 10 with respect to the lower support part 20 ( 100).
  • the upper support 10 is to support the wearer's chin from the bottom, the supporter's neck, that is, the cervical spine can be erected by supporting the wearer's chin upward.
  • the upper support portion 10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entire section of the wearer's jaw when worn as it has a curved shape to fit the contour of the wearer's jawline and the bottom, thereby providing a comfortable fit.
  • both sides of the upper support 10 may be provided with a fixing member 140 that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height adjustment unit 100.
  • the fixing member 140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0.
  • the lower support portion 20 serves as a base for supporting the entire cervical vertebrae assisting device 1, and extends to the front and both shoulder portions and the rear portion of the shoulder along the periphery of the wearer's neck and is covered to fit the body flexion. It may be made of a curved plate body of the form.
  • the lower support portion 20 is placed in the form of close contact around the neck when worn, and supports the entire cervical vertebrae correction device 1 and the rear is open so that the wearer can easily wear or take off.
  • a support member 22 for supporting the connection member 130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lower support portion 20, and specifically, the support member 22 may include a lower support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height adjuster 100. 20)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 the support member 22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s shown in Figure 2, the connection member 130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100 to be described later on the cylindrical support member 22 can be fixedly coupled Alternatively, the connection member 130 may be inserted into the support member 22 and fixedly coupled thereto.
  • connection structure of the support member 22 and the lower support 20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shown and described in FIG.
  • the support member 22 may be freely configured in any shape as long as the support member 22 may fix the connection member 130 to the lower support 20.
  • the rear support 30 is to support the back of the wearer's neck, paired with the front upper support 10 can be balanced to hold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wearer's neck.
  • the height adjusting unit 10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3 to 11.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cervical spine assi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3
  • Figure 5 is a rotating member of the cervical spine assi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upling member and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upling of FIG. 5.
  • the height adjusting part 200 may be installed to adjust the height between the lower support part 20 and the upper support part 10 so that the cervical spine assisting device 1 fits the wearer's body shape. Can be.
  • Height adjusting unit 100 is the body 11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pport 10, the rotating member 120 rotatable in both directions on one side of the body 110, the rotating member 120 It may include a connecting member 130 is fixedly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22 of the lower support 20 corresponding to the penetrating member installed through the rotating member 120.
  • the body 110 may include an accommodation part 112 that is open to one side to accommodate the rotation member 120.
  • the body 110 may be formed in a "c" shape to contact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rotating member 120.
  • a pair of through holes 114 may be formed in the body 110 in contact wit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rotating member 120. That is, through-holes 114 may be formed in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receiving portion 112 of the body 110, respectively.
  • the body 110 is shown and described as being formed in a "c" shape, but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any shape can be freely configured as long as a part of the body is opened to allow the wearer to rotate the rotating member.
  • the rotating member 120 is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upper support part 10 along the connecting member 130, and may be rotated in both directions about the connecting member 130.
  • the rotating member 120 may b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112, and as shown in Figure 5, the mounting groove 122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rotating member 120, respectively. have.
  • a pair of seating grooves 122 are mounted with a coupling member 124, and a rotation member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114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receiving part 112. It may b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120.
  • the shape of the mounting groove 122 may b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oupling member 124, the nut may be used as the coupling member 124.
  • a center through hole 126 through which the connection member 130 may be formed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mounting groove 122 and the center of the coupling member 124.
  • the connecting member 130 has a cylindrical shape, one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130 may be extended to face the upper support part 10 by being coupled to the supporting member 22 and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member 130. Threads can be formed that can be engaged with the member 124.
  • the connecting member 130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nd specifically, the predetermined length of the connecting member 130 is the height of the upper supporting part 10 at the bottom of the supporting member 22 of the lower supporting part 20. It may be formed longer than the length between the adjusting unit (100).
  • connection member 130 may be installed to penetrate through one surface of the lower support portion 20 and the rotating member 120 corresponding to the rotating member 120.
  • connection member 130 may be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22 installed on one surface of the lower support portion 20,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member 130 is formed in the receiving portion 112 It may be installed to pass through a pair of through holes 114 and the central through hole 126.
  • connection member 130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22 of the lower support portion 20 has a through hole 114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112 of the body 110, and a central hole of the rotation member 120. 126 and the through hole 114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112 of the body 110 can be sequentially passed.
  • the coupling member 124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122 of the rotary member 120 is the connection member 130.
  • the upper support 10 can be raised accordingly (see arrow B).
  • the coupling member 124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122 of the rotating member 120 may be lowered along the connection member 130, and thus the upper support Part 10 may be lowered.
  • the wearer can easily adjust the position of the upper support 10 relative to the lower support 20 in accordance with the jaw.
  • the body 110 of the height adjusting unit 100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may be installed detachably from the upper support 10, the body 110 is coupled to and fixed to the upper support 10
  • the fixing member 140 may be installed.
  • FIG. 7 is a view showing the angular cut-off member of the cervical spine assi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7
  •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ng method of Figure 8
  •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ing member of the cervical spine auxiliar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ngle adjust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fixing member of the cervical spine auxiliar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n angle adjustment member 150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upper support 10 with respect to the wearer's chin.
  • Angle adjustment member 150 may be formed so that the cross section has a trapezoidal shape, it may be screwed to the other side of the body (110).
  •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angle adjusting member 150 in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body 110 may be formed to gradually increase in the outward direction.
  • the angle adjusting member 150 may be provided with a hole 154 through which the screw 152 may pass, and the other of the body 110 corresponding to the hole 154.
  • a coupling groove 116 may be formed at the side to which the thread of the screw 152 is inserted and coupled thereto.
  • the angle adjusting member 150 may be rotated about a horizontal line L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gravity to be inclined with a rotation angle ⁇ .
  • the angle adjusting member 150 may be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body 110 in an inclined state at a rotation angle.
  • angle adjusting member 150 inclined at a rotation angle may be fixed while sliding to the fixing member 140 installed on the upper support 10.
  • the fixing member 140 may be formed with a guide groove 142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angle adjustment member 150.
  • the guide groove 142 may be formed to have a trapezoidal shape in cross section similar to the angle adjustment member 150.
  • the wearer loosely inserts the angle adjusting member 150 into the coupling groove 116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110 by using the screw 152, so that the angle adjusting member 150 may be temporarily fixed to the body 110. have.
  • the angle adjustment member 150 may be rotated about a horizontal line L formed at right angles to the direction of gravity.
  • the angle adjusting member 150 inclined at a predetermined rotation angle can be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body 110 through the screw 152.
  • the fixing member 140 may be installed in the upper support portion 10 horizontally with the horizontal surface (L), the angle adjusting member 150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42 of the fixing member 140 is a horizontal surface ( By being fixed to the body 110 in an inclined state at L, the body 110 is inclined by the rotation angle ⁇ of the angle adjusting member 150.
  • the upper support 10 since the body 110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42 of the fixing member 140 in an inclined state by the rotation angle ⁇ , the upper support 10 also rotates the angle of the angle adjusting member 150 ( ⁇ ) can be tilted.
  • the position of the upper support portion 10 can be matched to the wearer's body shape, the fit of the cervical spine assisting device 1 can be increased.
  • Cervical vertebrae assisting device 1 since the body 110 and the angle adjusting member 150 of the height adjusting unit 100 is removable, the angle of the upper support portion 10 is adjusted by the angle adjusting member 15. After that, the height of the upper support 10 may be adjusted by the rotation member 120 and the connection member 140.
  • the height adjusting part and the angle adjusting member which are connected to the lower support part on one side of the upper supporting part supporting the wearer's chin to adjust the height of the upper supporting part are provided, so that the height and angle of the upper supporting part can be adjusted to suit the wearer's body shape. It can be raised easily.
  • the coupling member of the height adjustment portion is formed in the shape of a nut, the coupling member is made of a structure in which the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o be coupled to the coupling member, the manufacturing cost and assembly cost of the product is reduced because the components are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Can be reduced.
  • the coupling member of the height adjustment portion is formed in the shape of a nut
  • the connection member is made of a structure in which the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o be coupled to the coupling memb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ear phenomenon.

Abstract

본 발명은 경추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보조장치는 착용자의 턱부위를 감싸듯이 받쳐주는 상부 받침부, 착용자의 목주변 어깨부위에 밀착되어 지지되는 하부 지지부, 상부 받침부와 하부 지지부 후방에 위치되어 착용자의 목 뒷부분을 지지하는 후방 지지부, 및 상부 받침부의 일 측면에 설치되는 몸체와, 하부 지지부의 일 면에서 몸체로 연장형성되는 연결부재와, 연결부재가 관통되게 몸체의 일측에 설치되고, 연결부재를 축으로 양 방향 회전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며, 회전부재의 회전 방향에 따라 높이조절부의 몸체가 연결부재를 따라 상승 및 하강됨으로써, 상부 받침부가 하부 지지부에 대하여 상승 및 하강될 수 있다.

Description

경추 보조장치
본 발명은 경추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추는 척추에서 흉추 윗부분으로 머리를 지지하는 일곱마디의 경추골로 구성되어 있다.
경추골은 흉추상부에서 앞쪽으로 약간 휘어지게 만곡되어 있어서 서서 있거나, 특히 의자에 앉아서 장시간 근무할 때 머리의 하중을 가장 많이 받는 부분으로서, 잘못된 자세 및 생활습관 그리고 운동부족 등으로 경추골이 정상위치에서 변위하거나 이탈되면서 각 경추골 사이의 추간연골을 압박하여 통증과 함께 신경계통으로 연결된 다른 신체부분까지 파생되는 나쁜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이렇게 비정상적으로 변형이 된 경추를 교정하기 위하여 지금까지 한의원에서는 지압, 안마, 침, 뜸 등으로 치료하였고, 병원에서는 물리치료, 견인치료 (Traction)와 함께 척추조정요법(Chiropractic), 튜나요법 등으로 치료하였으나, 치료환자를 관찰한 결과 한방치료 및 척추조정요법, 튜나요법은 주로 경추의 굳어진 근육을 부드럽게 풀어주고 경추의 횡돌기를 교정시키는 정도이고, 견인치료는 흉추에서 경추로 이어지는 일곱마디의 기본적인 경추골의 만곡진 정상상태를 고려하지 않고 일직선상으로만 견인함으로 인해 통증만 유발시키고, 변위, 이탈진 경추골이 정상위치로 교정되지못하여 계속 재발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면, 인체부위 중 경추(頸椎)는 척추의 상단 부위, 인체의 경부(頸部)에 있는 추골을 의미하는 것으로, 7개의 척추뼈로 이루어지고 요추(腰椎)와 흉추(胸椎)와는 달리 회전운동이나 굴곡 및 신전 운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기존 경추 질환으로는 경추부염좌, 경추추간판 탈출증, 경추골절, 경추척추관 협착증, 후종인대골화증, 척추종양 등이 있으며, 이중 흔한 질환은 경추부염좌 및 경추추간판 탈출증이다.
그 경추부염좌(whiplash injury)는 경추를 지지해주는 주위의 근육이나 인대 등이 비정상적으로 긴장 또는 이완되어 있거나 경추부가 외력에 의하여 과신전 혹은 과굴곡되거나, 비틀림 또는 축으로 압박될 때 목근육과 경추 주위를 싸고 있는 근육, 인대등이 늘어나거나 찢어져 붓고 아픈 증세를 갖는 것이다.
또한, 경추추간판 탈출증(ruptured cervacal disk)은 일명 목디스크 라고도 지칭되며, 추간판의 퇴행성 변화에 의해 발생되는 질환이다.
경추추간판 탈출증은 외상 또는 만성 자극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퇴행성으로 발생되거나, 일상생활에서 부적절한 자세로 장시간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할 경우, 급성으로 발생될 수 있다.
위의 경우에 해당되는 목 근육의 경직이나 이완 현상은 물리적 자극을 전달하는 물리 치료수단을 이용하여 치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경추에 이상이 있는 환자의 경우 물리치료시를 제외한 일상생활 중에서도 경추의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종래의 경추 교정기나 경추 보호대의 경우에는 단순히 목 주변을 감싸는 형태로 목의 움직임만을 제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경추 보조장치는 노브 조작에 의한 기어전동방식으로 기어 간의 유격 및 높이조절 시 발생되는 하중에 의해 기어의 마모 및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착용자의 체형에 적합하게 조절이 용이하여 착용감을 상승시킬 수 있는 경추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착용자의 턱부위를 감싸듯이 받쳐주는 상부 받침부, 착용자의 목주변 어깨부위에 밀착되어 지지되는 하부 지지부, 상부 받침부와 하부 지지부 후방에 위치되어 착용자의 목 뒷부분을 지지하는 후방 지지부, 및 상부 받침부의 일 측면에 설치되는 몸체와, 하부 지지부의 일 면에서 몸체로 연장형성되는 연결부재와, 연결부재가 관통되게 몸체의 일측에 설치되고, 연결부재를 축으로 양 방향 회전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며, 회전부재의 회전 방향에 따라 높이조절부의 몸체가 연결부재를 따라 상승 및 하강됨으로써, 상부 받침부가 하부 지지부에 대하여 상승 및 하강되는 경추 보조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높이조절부의 몸체는 상부 받침부에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 받침부에는 몸체가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몸체의 타 측에는 착용자의 턱에 대하여 상부 받침부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각도조절부재는 고정부재에 슬라이딩하며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각도조절부재는 몸체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때, 각도조절부재의 단면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재는 각도조절부재에 대응하는 형상의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몸체는 회전부재가 수용되도록 일 측으로 개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며, 수용부의 상부 및 하부에는 연결부재가 관통되는 한 쌍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재가 관통되는 회전부재에는 연결부재와 결합되는 결합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재가 배치되는 회전부재에는 결합부재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안착홈은 회전부재의 일면과 타면에 각각 형성되며, 결합부재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회전부재의 일면과 타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안착홈에 각각 안착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재는 너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연결부재는 결합부재에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부 지지부의 일 면에는 연결부재가 고정되는 지지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보조장치는 착용자의 턱을 받쳐주는 상부 받침부의 일측에 하부 지지부와 연결되어 상부 받침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와 각도조절부재가 구비됨으로써, 착용자의 체형에 적합하게 상부 받침부의 높이와 각도 조절이 용이하여 착용감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높이조절부의 결합부재는 너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연결부재는 결합부재에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종래에 비하여 부품이 현저히 줄어들기 때문에 제품의 제조 단가 및 조립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높이조절부의 결합부재는 너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연결부재는 결합부재에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마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보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보조장치의 하부 지지부와 지지부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보조장치의 높이조절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보조장치의 회전부재와 결합부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보조장치의 각조도절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는 도 7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작동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보조장치의 고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보조장치의 고정부재에 각도조절부재가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보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보조장치의 하부 지지부와 지지부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추 보조장치(1)는 착용자의 턱부위를 감싸듯이 받쳐주는 상부 받침부(10), 착용자의 목주변 어깨부위에 밀착되어 지지되는 하부 지지부(20), 상부 받침부(10)와 하부 지지부(20) 후방에 위치되어 착용자의 목 뒷부분을 지지하는 후방 지지부(30), 및 하부 지지부(20)에 대하여 상부 받침부(10)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높이조절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받침부(10)는 착용자의 턱 부분을 아래쪽에서 받쳐주는 것으로서, 착용자의 턱부분을 위쪽으로 가압하면서 받쳐줌에 따라 착용자의 목, 즉 경추가 바로 세워질 수 있다.
이러한 상부 받침부(10)는 착용자의 턱선 및 그 아래쪽의 윤곽에 맞게 굴곡된 형태를 가짐에 따라 착용시 착용자의 턱부분 전체 구간에 밀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해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부 받침부(10)의 양 측에는 높이조절부(10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고정부재(140)가 설치될 수 있다.
고정부재(140)에 대해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자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하부 지지부(20)는 경추 보조장치(1) 전체를 지지하는 베이스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착용자 목주변의 둘레를 따라가면서 앞쪽과 양쪽 어깨부분 및 어깨 뒤쪽 일부까지 연장형성되어 신체의 굴곡에 맞게 덮혀지는 형태의 굴곡형 판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하부 지지부(20)는 착용시 목 주변의 둘레에 밀착되는 형태로 놓여지며 경추 교정장치(1) 전체를 지지하게 되고 뒤쪽은 개방되어 있어 착용자가 용이하게 착용하거나 벗을 수 있다.
또한, 하부 지지부(20)의 일 면에는 연결부재(13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22)가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지지부재(22)는 높이조절부(100)에 대응하는 하부 지지부(20)의 일 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재(22)는 도 2에서와 같이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원기둥 형상의 지지부재(22) 상부에 후술되는 높이조절부(100)의 연결부재(130)가 고정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연결부재(130)가 지지부재(22)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결합될 수 있다.
한편, 지지부재(22)와 하부 지지부(20)의 연결 구조는 도 2에 도시 및 설명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하부 지지부(20)에 대하여 지지부재(22)가 연결부재(130)를 고정결합 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이든 자유롭게 구성될 수 있다.
후방 지지부(30)는 착용자의 목 뒷부분을 받쳐주는 것으로서, 앞쪽의 상부 받침부(10)와 함께 짝을 이루어 착용자의 목 부분 둘레 전체를 균형 있도록 잡아줄 수 있다.
높이조절부(100)는 도 3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보조장치의 높이조절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보조장치의 회전부재와 결합부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조절부(200)는 경추 보조장치(1)가 착용자의 체형에 맞출 수 있도록 하부 지지부(20)와 상부 받침부(10) 사이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설치될 수 있다.
높이조절부(100)는 상부 받침부(10)의 일측 면에 설치되는 몸체(110)와, 몸체(110)의 일 측에 양 방향으로 회전가능한 회전부재(120)와, 회전부재(120)에 대응하는 하부 지지부(20)의 지지부재(22)에 고정결합되어 회전부재(120)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연결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120)가 수용되도록 일 측으로 개방되는 수용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몸체(110)는 회전부재(12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접하도록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회전부재(12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접하는 몸체(110)에는 한 쌍의 관통홀(114)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몸체(110)의 수용부(112)의 상부 및 하부에 관통홀(114)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몸체(110)는 "ㄷ"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 및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구성이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착용자가 회전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몸체의 일부를 개방시킨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든 자유롭게 구성될 수 있다.
회전부재(120)는 연결부재(130)를 따라 상부 받침부(10)를 상승 및 하강 시키기 위한 것으로, 연결부재(130)를 축으로 양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부재(120)는 수용부(112)에 수용될 수 있으며, 회전부재(12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홈(122)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안착홈(122)에는 결합부재(124)가 안착되는 것으로, 수용부(112)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는 관통홀(114)에 대응하여 회전부재(120)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안착홈(122)의 형상은 결합부재(124)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부재(124)로 너트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안착홈(122)의 중심과 결합부재(124)의 중심에는 연결부재(130)가 관통될 수 있는 중앙 관통홀(126)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130)는 원통형상으로, 연결부재(130)의 일단은 지지부재(22)에 결합되어 상부 받침부(10)를 향하도록 연장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부재(130)의 외주면에는 결합부재(124)와 결합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재(130)는 일정 길이를 가지고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연결부재(130)의 일정 길이는 하부 지지부(20)의 지지부재(22) 저면에서 상부 받침부(10)의 높이조절부(100) 사이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130)는 회전부재(120)에 대응하는 하부 지지부(20)의 일 면과 회전부재(120)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재(130)의 일측은 하부 지지부(20)의 일 면에 설치되는 지지부재(22)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으며, 연결부재(130)의 타측은 수용부(112)에 형성되는 한 쌍의 관통홀(114) 및 중앙 관통홀(126)을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하부 지지부(20)의 지지부재(22)에 결합되는 연결부재(130)는 몸체(110)의 수용부(112) 하부에 형성되는 관통홀(114), 회전부재(120)의 중앙홀(126), 및 몸체(110)의 수용부(112) 상부에 형성되는 관통홀(114)을 순차적으로 관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상부 받침부(10)의 높이 조절 방법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회전부재(120)를 회전시키면, 회전부재(120)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안착되는 한 쌍의 결합부재(124)가 연결부재(130)의 나사산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착용자가 양 방향 회전 가능한 회전부재(120)를 일 방향(화살표 A 참조)으로 회전시키면, 회전부재(120)의 안착홈(122)에 안착된 결합부재(124)는 연결부재(130)를 따라 상승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부 받침부(10)가 상승될 수 있다(화살표 B 참조).
반대로, 회전부재(120)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부재(120)의 안착홈(122)에 안착된 결합부재(124)는 연결부재(130)를 따라 하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부 받침부(10)가 하강될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는 자기 턱에 맞춰서 하부 지지부(20)에 대한 상부 받침부(10)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높이조절부(100)의 몸체(110)는 상부 받침부(10)에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상부 받침부(10)에는 몸체(110)가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부재(140)가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 내지 도 11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보조장치의 각조도절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는 도 7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은 도 8의 작동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보조장치의 고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보조장치의 고정부재에 각도조절부재가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타 측에는 착용자의 턱에 대하여 상부 받침부(1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재(150)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각도조절부재(150)는 그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몸체(110)의 타 측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즉, 몸체(110)의 타 측에 접하는 각도조절부재(150)의 일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점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조절부재(150)에는 나사(152)가 관통될 수 있는 홀(154)이 형성될 수 있으며, 홀(154)에 대응하는 몸체(110)의 타 측에는 나사(152)의 나사산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116)이 형성될 수 있다.
각도조절부재(15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력의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수평선(L)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회전각(θ)을 가지고 경사질 수 있다.
그리고, 각도조절부재(150)는 회전각으로 경사진 상태로 몸체(110)에 밀착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회전각으로 경사진 각도조절부재(150)는 도 10에서와 같이, 상부 받침부(10)에 설치되는 고정부재(140)에 슬라이딩되며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재(140)는 각도조절부재(15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가이드홈(14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이드홈(142)은 각도조절부재(150)와 동일하게 그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경추 보조장치(1)의 상부 받침부(10)의 각도 조절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착용자는 나사(152)를 사용하여 각도조절부재(150)를 몸체(110)의 타 측에 결합홈(116)에 느슨하게 삽입함으로써, 각도조절부재(150)가 몸체(110)에 가고정될 수 있다.
이때, 각도조절부재(15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력의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수평선(L)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착용자는 각도조절부재(150)를 회전시킨 후, 일정한 회전 각도로 경사진 각도조절부재(150)를 몸체(110)의 타 측에 나사(152)를 통하여 밀착 고정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조절부재(150)를 고정부재(140)의 가이드홈(142)으로 삽입함으로써 고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각도조절부재(150)에 의해 상부 받침부(10)의 각도가 착용자의 체형에 맞게 맞출 수 있다.
이때, 고정부재(140)는 수평면(L)과 수평으로 상부 받침부(10)에 설치될 수 있으며, 고정부재(140)의 가이드 홈(142)에 삽입되는 각도조절부재(150)가 수평면(L)에서 경사진 상태로 몸체(110)에 고정됨으로, 몸체(110)는 각도조절부재(150)의 회전각(θ)만큼 기울어진다.
아울러, 몸체(110)는 회전각(θ)만큼 기울어진 상태로 고정부재(140)의 가이드 홈(142)에 삽입되기 때문에, 상부 받침부(10)도 각도조절부재(150)의 회전각(θ)만큼 기울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받침부(10)의 위치가 착용자의 체형에 맞춰질 수 있으므로, 경추 보조장치(1)의 착용감을 상승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경추 보조장치(1)는 높이조절부(100)의 몸체(110)와 각도조절부재(150)가 탈착 가능하므로 각도조절부재(15)로 상부 받침부(10)의 각도를 조절 한 후, 회전부재(120)와 연결부재(140)로 상부 받침부(10)의 높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따라서, 착용자의 턱을 받쳐주는 상부 받침부의 일측에 하부 지지부와 연결되어 상부 받침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와 각도조절부재가 구비됨으로써, 착용자의 체형에 적합하게 상부 받침부의 높이와 각도 조절이 용이하여 착용감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높이조절부의 결합부재는 너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연결부재는 결합부재에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종래에 비하여 부품이 현저히 줄어들기 때문에 제품의 제조 단가 및 조립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높이조절부의 결합부재는 너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연결부재는 결합부재에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마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Claims (12)

  1. 착용자의 턱부위를 감싸듯이 받쳐주는 상부 받침부;
    상기 착용자의 목주변 어깨부위에 밀착되어 지지되는 하부 지지부;
    상기 상부 받침부와 상기 하부 지지부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착용자의 목 뒷부분을 지지하는 후방 지지부; 및
    상기 상부 받침부의 일 측면에 설치되는 몸체와, 상기 하부 지지부의 일 면에서 상기 몸체로 연장형성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가 관통되게 상기 몸체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재를 축으로 양 방향 회전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부의 몸체가 상기 연결부재를 따라 상승 및 하강됨으로써, 상기 상부 받침부가 상기 하부 지지부에 대하여 상승 및 하강되는 경추 보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의 몸체는 상기 상부 받침부에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상부 받침부에는 상기 몸체가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부재가 설치되는 경추 보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타 측에는 상기 착용자의 턱에 대하여 상기 상부 받침부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각도조절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에 슬라이딩하며 결합되는 경추 보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재는 상기 몸체에 나사결합되는 경추 보조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단면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추 보조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각도조절부재에 대응하는 형상의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경추 보조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회전부재가 수용되도록 일 측으로 개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의 상부 및 하부에는 상기 연결부재가 관통되는 한 쌍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경추 보조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가 관통되는 상기 회전부재에는 상기 연결부재와 결합되는 결합부재가 배치되는 경추 보조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가 배치되는 상기 회전부재에는 상기 결합부재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경추 보조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은 상기 회전부재의 일면과 타면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재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일면과 타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상기 안착홈에 각각 안착되는 경추 보조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너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결합부재에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경추 보조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부의 일 면에는 상기 연결부재가 고정되는 지지부재가 설치되는 경추 보조장치.
PCT/KR2016/002289 2015-03-09 2016-03-08 경추 보조장치 WO2016144080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556,423 US11413182B2 (en) 2015-03-09 2016-03-08 Cervical br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2621A KR101633910B1 (ko) 2015-03-09 2015-03-09 경추 보조장치
KR10-2015-0032621 2015-03-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44080A1 true WO2016144080A1 (ko) 2016-09-15

Family

ID=56344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2289 WO2016144080A1 (ko) 2015-03-09 2016-03-08 경추 보조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413182B2 (ko)
KR (1) KR101633910B1 (ko)
WO (1) WO20161440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26071B (zh) * 2017-02-16 2019-04-02 同济大学 一种智能颈部治疗装置
CN106923959A (zh) * 2017-03-24 2017-07-07 广东工贸职业技术学院 一种颈椎康复器
KR102159449B1 (ko) * 2019-04-03 2020-09-23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목디스크 치료용 병렬로봇형 웨어러블 장치
CN114222548A (zh) 2019-05-21 2022-03-22 Djo有限责任公司 颈托的高度、深度和周向调整机构
KR102079341B1 (ko) * 2019-11-11 2020-02-19 양정재 거북목 교정기
KR102079343B1 (ko) * 2019-11-11 2020-02-19 양정재 거북목 교정기
KR102174370B1 (ko) * 2020-04-08 2020-11-04 (주)위드넥 착용 가능한 능동 목 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목 부하 저감방법
KR102376452B1 (ko) * 2021-05-12 2022-03-18 황재호 경추 보조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3539A (ja) * 1994-05-27 1995-12-05 Toru Arimura 頸椎装具
KR20030084494A (ko) * 2002-04-27 2003-11-01 한정민 경추 견인장치
KR20030097470A (ko) * 2002-06-21 2003-12-31 한정민 경추 견인기의 보조 받침장치
KR20080090821A (ko) * 2007-04-06 2008-10-09 (주)태연메디칼 경추 교정기
KR20110130300A (ko) * 2010-05-27 2011-12-05 유실근 견인치료가 가능한 기능성 경추보조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5876A (en) * 1884-09-30 Belt-clamp
DE2124228C3 (de) * 1971-05-15 1975-07-03 Wilhelm Will Kg, Optisches Werk, 6331 Nauborn Schwalbenschwanzführung
KR100494073B1 (ko) 2002-03-22 2005-06-10 한정민 경추 견인장치
US7128724B2 (en) * 2003-04-14 2006-10-31 Ohana Medical Concepts, Llc Cervical spine brace and traction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3539A (ja) * 1994-05-27 1995-12-05 Toru Arimura 頸椎装具
KR20030084494A (ko) * 2002-04-27 2003-11-01 한정민 경추 견인장치
KR20030097470A (ko) * 2002-06-21 2003-12-31 한정민 경추 견인기의 보조 받침장치
KR20080090821A (ko) * 2007-04-06 2008-10-09 (주)태연메디칼 경추 교정기
KR20110130300A (ko) * 2010-05-27 2011-12-05 유실근 견인치료가 가능한 기능성 경추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3910B1 (ko) 2016-06-27
US11413182B2 (en) 2022-08-16
US20180042756A1 (en) 2018-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44080A1 (ko) 경추 보조장치
Lee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forward head posture and temporomandibular disorders.
US5376091A (en) Dynamic finger support
US5100403A (en) Dynamic elbow support
US5102411A (en) Dynamic elbow support
US8721641B2 (en) External orthopaedic fixator for the elbow joint
WO2013115615A1 (ko) 경추 견인치료기
WO2014137178A1 (ko) 지압볼을 구비한 기능성 의자
WO2011162503A2 (ko) 물리치료기용 골반지지구조 경추 견인용 머리고정장치
WO2013141613A1 (ko) 척추측만증 교정 운동치료기
WO2013162307A1 (ko) 척추교정기
KR101627231B1 (ko) 재활 치료용 신체 견인 장치
WO2019160314A1 (ko) 족하수 보조기
WO2016060470A1 (ko) 신체의 균형을 복원하는 하체 및 척추 관절 운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080248936A1 (en) Therapeutic Neutral Spine and Exercise Device and Method of Applying Same
WO2015142060A1 (ko) 척추 교정기
WO2017200335A1 (ko) 디스크 도수치료기
US20060135897A1 (en) Forward head posture correction collar
US6217538B1 (en) Cervical/upper thoracic relaxer
Heinrich The role of physical therapy in craniofacial pain disorders: an adjunct to dental pain management
KR101501635B1 (ko) 가변 외 고정 장치
WO2019135607A1 (ko) 기능성 베개
WO2011074718A1 (ko) 물리 치료용 근막 이완기
WO2019194329A1 (ko) 척추 교정대
WO2020101374A1 (ko) 반전 운동이 가능한 수동 거꾸리 운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76196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5556423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76196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