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0389A -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 - Google Patents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90389A KR20170090389A KR1020170094718A KR20170094718A KR20170090389A KR 20170090389 A KR20170090389 A KR 20170090389A KR 1020170094718 A KR1020170094718 A KR 1020170094718A KR 20170094718 A KR20170094718 A KR 20170094718A KR 20170090389 A KR20170090389 A KR 2017009038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ervical
- user
- shoulder
- cervical vertebra
- receiv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rs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는,경사지게 형성되어 경추를 지지하는 경추지지부; 사용자의 후두부와 접하는 압박빗변이 형성되고, 상기 경추지지부의 경사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제4뇌실 확장돌기가 형성되고, 사용자의 후두부를 수용하는 후두부수용부; 및 사용자의 어깨와 마주하는 곳에 사용자의 어깨를 하측으로 누르도록 전방하측과 마주하는 경사진 어깨누름면을 형성하는 측면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2a는 굴곡주기일때 뇌척수액의 흐름 및 두개골과 요추의 이동을 표현한 것이고, 도2b는 신전주기일때 뇌척수액의 흐름 및 두개골과 요추의 이동을 표현한 것이다.
도3a는 굴곡주기일때 후두부의 이완 및 뇌척수액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고, 도3b는 신전주기일때 후두부의 수축 및 뇌척수액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도4a는 제 4뇌실 압박법(CV4)의 시술방법을 표현한 것이고, 도4b는 제 4뇌실 확장법(EV4)의 시술방법을 표현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의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의 정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의 배면도이다.
도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의 평면도이다.
도8b는 도8a에 능선들과 가상의 수평선을 표현한 것이다.
도9a 내지 도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의 형상을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의 제4뇌실 확장돌기의 자극 지점을 표현한 것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의 측면도이다.
도12는 도8a의 A-A 단면도이다.
도13은 도8a의 K-K 단면도이다.
도14는 도8a의 E-E 단면도이다.
도15는 도8a의 G-G 단면도이다.
도1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에서 사용자가 정면을 보고 누워있을 때 후두부의 위치를 표시한 것이고, 도16b는 사용자가 옆으로 누워있을 때, 측두부의 위치를 표시한 것이다.
도17a는 도16a에서 후두부의 위치를 도8a에서의 A-A 단면도 상에 표시한 것이고, 도17b는 도16b에서 후두부의 위치를 도8a에서의 P-P 단면도 상에 표시한 것이다.
도18a 내지 1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의 신연효과를 표현한 것이다.
도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와 동일한 신연효과를 얻기 위한 물리치료사의 시술 모습이다.
도20은 사용자가 정면을 보고 누워있을 때 후두부 수용부에 의해 지지되는 후두부 및 그 무게중심과 사용자가 측면을 보고 누워있을 때 측면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측두부 및 그 무게중심의 변화를 표현한 것이다.
11: 제4뇌실 확장돌기
11s: 압박빗변
13: 제4뇌실 압박돌기
20: 경추지지부
23: 경추수용홈
30: 측면지지부
31: 어깨누름면
33: 측두부수용부
S1: 어깨누름면의 상단선
S2: 어깨누름면의 하단선
H: 수평선
H1: 제1수평선
H2: 제2수평선
b: 후두기저능선
j: 아래턱 지지능선
G1: 후두부수용부의 중심 부분
G2: 측면지지부의 상면의 가장 낮은 부분
Claims (15)
- 경사지게 형성되어 경추를 지지하는 경추지지부;
사용자의 후두부와 접하는 압박빗변이 형성되고, 상기 경추지지부의 경사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제4뇌실 확장돌기가 형성되고, 사용자의 후두부를 수용하는 후두부수용부; 및
사용자의 어깨와 마주하는 곳에 사용자의 어깨를 하측으로 누르도록 전방하측과 마주하는 경사진 어깨누름면을 형성하는 측면지지부를 포함하는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추지지부는 사용자의 하부경추에서 상부경추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하고,
상기 압박빗변은 후방 상측과 마주하도록 경사진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추지지부는 전방 상측과 마주하도록 경사진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지지부는 사용자가 옆으로 누울 때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도록 상면이 넓게 형성되고,
상기 측면지지부의 상면의 가장 낮은 부분은 상기 제4뇌실 압박돌기의 가장 낮은 부분 보다 전방에 형성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뇌실 확장돌기는 사용자의 외후두 융기와 접하는 면에 형성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누름면은,
가장 낮은 지점이 상기 경추지지부의 가장 낮은 지점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빗변은,
좌우방향길이는 사용자의 외후두융기의 크기를 넘지 않고, 상기 경추지지부로부터 사용자의 외후두융기를 지나 후방으로 연장형성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누름면은,
상기 경추지지부로부터 좌우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경추지지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수평면을 기준으로 기울기가 점점 감소하고,
상기 어깨누름면의 기울기는 89도에서 75도 사이인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빗변의 수평성분길이는 80미리미터에서 120미리미터 사이이고,
상기 제4뇌실 확장돌기의 각도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25도에서 36도 사이이며,
상기 어깨누름면의 각도와 상기 제4뇌실 확장돌기의 각도의 비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1:1.3 내지 1:5.5 사이이고,
상기 제4뇌실 확장돌기는 상기 경추지지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4뇌실 확장돌기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복수의 수평선들 중, 상기 제4뇌실 확장돌기의 시작지점과 만나는 제1수평선과 상기 어깨누름면의 상단선과 접하는 제2수평선 사이의 폭은 80미리미터에서 130미리미터 사이인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뇌실 확장돌기는 상기 경추지지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4뇌실 확장돌기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복수의 수평선들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어깨누름면 사이의 각도는 상기 어깨누름면의 하단선에서 상기 어깨누름면의 상단선으로 갈수록 점점 증가하는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누름면의 하단선과 상기 수평선 사이의 각도는 1도 내지 7도 이고, 상기 어깨누름면의 상단선과 상기 제1수평선 사이의 각도는 8도 내지 15도인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추지지부는,
사용자의 경추를 수용하는 경추수용홈을 형성하고,
상기 경추수용홈과 상기 측면지지부 사이에서 경계를 이루는 아래턱 지지능선이 형성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뇌실 확장돌기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복수의 수평선들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아래턱 지지능선 사이의 각도는 40도 내지 65도인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 - 후두부를 수용 및 지지하는 후두부수용부;
경사지게 형성되어 경추를 지지하는 경추지지부; 및
상기 경추지지부와 상기 후두부수용부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어 사용자가 옆으로 누울 때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고, 사용자의 어깨와 마주하는 곳에 사용자의 어깨를 누르도록 경사진 어깨누름면이 형성된 측면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두부수용부 내에는, 상기 경추지지부의 경사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져 사용자의 외후두 융기와 접하는 압박빗변이 형성되고,
상기 경추지지부는 사용자의 하부경추에서 상부경추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하고,
상기 압박빗변은 후방 상측과 마주하도록 경사지고,
상기 어깨누름면은 전방 하측과 마주하도록 경사지고,
상기 경추지지부는 전방 상측과 마주하도록 경사진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 - 경사지게 형성되어 경추를 지지하는 경추지지부;
사용자의 후두부와 접하는 압박빗변이 형성되고, 상기 경추지지부의 경사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제4뇌실 확장돌기가 형성되고, 사용자의 후두부를 수용하는 후두부수용부; 및
상기 경추지지부와 상기 후두부수용부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어 사용자의 어깨와 마주하는 곳에 사용자의 어깨를 하측으로 누르도록 전방하측과 마주하는 경사진 어깨누름면을 형성하는 측면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추지지부는 사용자의 하부경추에서 상부경추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하고,
상기 압박빗변은 후방 상측과 마주하도록 경사지고,
상기 어깨누름면은 가장 낮은 지점이 상기 경추지지부의 가장 낮은 지점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94718A KR102284813B1 (ko) | 2015-10-06 | 2017-07-26 |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40532A KR101780277B1 (ko) | 2015-10-06 | 2015-10-06 |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 |
KR1020170094718A KR102284813B1 (ko) | 2015-10-06 | 2017-07-26 |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40532A Division KR101780277B1 (ko) | 2015-10-06 | 2015-10-06 |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90389A true KR20170090389A (ko) | 2017-08-07 |
KR102284813B1 KR102284813B1 (ko) | 2021-08-02 |
Family
ID=59654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94718A Active KR102284813B1 (ko) | 2015-10-06 | 2017-07-26 |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84813B1 (ko)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538019A (zh) * | 2019-09-03 | 2019-12-06 | 明丽健康产业(浙江)有限公司 | 一种颈椎牵引枕 |
KR20200056193A (ko) | 2018-11-14 | 2020-05-22 | 박성하 | 베개 및 그의 조작 방법 |
KR102426061B1 (ko) * | 2021-08-18 | 2022-07-29 | 백영진 | 기능성 베개 |
KR20220145091A (ko) * | 2021-04-21 | 2022-10-28 | 주식회사 어썸랩 | 척추보호를 위한 반려동물용 기능성 쿠션 |
KR20220145092A (ko) * | 2021-04-21 | 2022-10-28 | 주식회사 어썸랩 | 반려동물용 다목적 쿠션 |
KR20220145090A (ko) * | 2021-04-21 | 2022-10-28 | 주식회사 어썸랩 | 관절 보호를 위한 반려동물용 기능성 쿠션 |
KR20220149033A (ko) | 2021-04-30 | 2022-11-08 | 김문희 | 경추 교정 장치 |
KR102475466B1 (ko) * | 2022-06-22 | 2022-12-06 | 이건희 | 교정용 경추베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86522B1 (ko) | 2021-09-02 | 2023-10-10 | 이육훈 | 기능성 베개 |
KR102680765B1 (ko) | 2022-09-07 | 2024-07-03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경추정렬베개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74820B1 (ko) * | 2013-08-16 | 2014-12-19 | 주식회사 티앤아이 | 뇌척수액 순환을 유도하는 기능성 베개 |
KR20150073838A (ko) * | 2013-12-23 | 2015-07-01 | 시-웬 호릉 | 머리 이완용 베개 |
-
2017
- 2017-07-26 KR KR1020170094718A patent/KR102284813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74820B1 (ko) * | 2013-08-16 | 2014-12-19 | 주식회사 티앤아이 | 뇌척수액 순환을 유도하는 기능성 베개 |
KR20150073838A (ko) * | 2013-12-23 | 2015-07-01 | 시-웬 호릉 | 머리 이완용 베개 |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56193A (ko) | 2018-11-14 | 2020-05-22 | 박성하 | 베개 및 그의 조작 방법 |
CN110538019A (zh) * | 2019-09-03 | 2019-12-06 | 明丽健康产业(浙江)有限公司 | 一种颈椎牵引枕 |
KR20220145091A (ko) * | 2021-04-21 | 2022-10-28 | 주식회사 어썸랩 | 척추보호를 위한 반려동물용 기능성 쿠션 |
KR20220145092A (ko) * | 2021-04-21 | 2022-10-28 | 주식회사 어썸랩 | 반려동물용 다목적 쿠션 |
KR20220145090A (ko) * | 2021-04-21 | 2022-10-28 | 주식회사 어썸랩 | 관절 보호를 위한 반려동물용 기능성 쿠션 |
KR20220149033A (ko) | 2021-04-30 | 2022-11-08 | 김문희 | 경추 교정 장치 |
KR102426061B1 (ko) * | 2021-08-18 | 2022-07-29 | 백영진 | 기능성 베개 |
WO2023022426A1 (ko) * | 2021-08-18 | 2023-02-23 | 백영진 | 기능성 베개 |
CN117597053A (zh) * | 2021-08-18 | 2024-02-23 | 白永真 | 功能性枕头 |
US12035833B1 (en) | 2021-08-18 | 2024-07-16 | Young Jin Baek | Functional pillow |
KR102475466B1 (ko) * | 2022-06-22 | 2022-12-06 | 이건희 | 교정용 경추베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84813B1 (ko) | 2021-08-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80277B1 (ko) |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 | |
KR20170090389A (ko) |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 | |
US10561561B2 (en) | Functional pillow for manipulation therapy | |
KR102079421B1 (ko) | 뇌척수액 순환유도베개 | |
KR101630386B1 (ko) |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착석용 목베개 | |
US20170112702A1 (en) | Spinal column support | |
KR101649416B1 (ko) | 머리 이완용 베개 | |
KR101904119B1 (ko) | 목 받침 기능성 경추 이완장치 | |
KR101849884B1 (ko) | 척추 교정대 | |
KR20170096992A (ko) | 물리치료용 척추교정기 | |
KR101616087B1 (ko) |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착석용 목베개 | |
KR101664462B1 (ko) | 두개천골 요법이 적용된 착석용 골반베개 | |
KR101955369B1 (ko) | 기능성 골반교정기기 | |
KR101848645B1 (ko) | 기능성 경추 이완 장치 | |
KR100718661B1 (ko) | 물리치료용 헤드레스터 | |
RU172207U1 (ru) | Подушка ортопедическая функциональная | |
KR101913098B1 (ko) | 물리치료용 골반 교정베개 | |
KR20160077014A (ko) |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착석용 목 베개 | |
TWI583364B (zh) | 用於物理治療之顱薦椎治療與整脊治療用的肌筋膜鬆弛器 | |
KR102380480B1 (ko) | 경추견인이 가능한 두개천골요법 적용 베개 | |
KR200474245Y1 (ko) | 척추 교정과 허리 통증 완화용 받침대 | |
KR102540821B1 (ko) | 두개천골 요법이 적용된 코어-쉘 구조의 베개 | |
KR102540819B1 (ko) | 뇌척수액 순환유도효과 강화 베개 | |
KR102710176B1 (ko) | 친환경 소재로 제조된 척추 교정 및 전신 지압을 위한 지압기 | |
TWI778635B (zh) | 釋壓擺位輔具結構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726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51006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5014053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0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4I Patent event date: 20170726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2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7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7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7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