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0389A -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 - Google Patents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0389A
KR20170090389A KR1020170094718A KR20170094718A KR20170090389A KR 20170090389 A KR20170090389 A KR 20170090389A KR 1020170094718 A KR1020170094718 A KR 1020170094718A KR 20170094718 A KR20170094718 A KR 20170094718A KR 20170090389 A KR20170090389 A KR 201700903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ervical
shoulder
cervical vertebra
occip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4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4813B1 (ko
Inventor
김희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앤아이
김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5014053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780277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앤아이, 김희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앤아이
Priority to KR1020170094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4813B1/ko
Publication of KR20170090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03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4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4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rs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는,경사지게 형성되어 경추를 지지하는 경추지지부; 사용자의 후두부와 접하는 압박빗변이 형성되고, 상기 경추지지부의 경사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제4뇌실 확장돌기가 형성되고, 사용자의 후두부를 수용하는 후두부수용부; 및 사용자의 어깨와 마주하는 곳에 사용자의 어깨를 하측으로 누르도록 전방하측과 마주하는 경사진 어깨누름면을 형성하는 측면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PILLOW FOR CERVICAL VERTEBRAE ADJUSTMENT USING DISTRACTION TECHNIC}
본 발명은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에 관한 것이다.
경추는 척주 중 두개골과 등뼈(흉추) 사이의 부분으로 목 부분을 형성하는 뼈 구조물이다. 사람은 7개의 척추뼈로 구성되어 있다. 경추는 뇌로 가는 수많은 신경들이 잘 지나갈 수 있도록 해주며 무거운 두개골을 지탱해 준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가장 안정적인 구조는 C자형 커브인데 부적절한 자세로 인해 경추가 일자형태가 되면 고혈압, 만성두통, 경추디스크, 척추통증 등의 문제를 야기 한다. 왜냐하면, 경추구조가 일자형태이면 경추에 머리의 무게가 집중되고 디스크 간격이 점점 좁아지면서 쉽게 신경을 압박하게 된다.
그러나 현대인들은 PC와 모바일 디바이스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해 쉽게 경추의 변형이 올 수 있다. 따라서 현대인들은 주기적으로 경추 교정과 경추 주변의 긴장된 근육을 풀어주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인체는 ‘뇌척수액이 생성되며 두개골이 팽창하는 굴곡주기’와 ‘뇌척수액의 생성이 멈추며 수축하는 신전주기’를 갖는데, 이때 신전주기 또는 굴곡주기의 움직임을 저지하여 뇌척수액 순환을 초기화(이하 “스틸포인트”라 함)함으로써 두개골과 천골 사이를 순환하는 뇌척수액의 흐름을 정상화 하는 것을 두개천골요법이라 한다.
그러나 경추의 교정과 두개천골요법의 시술은 전문 물리치료사의 시술이 필요한 영역이므로, 일반인의 자가치료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스스로 경추 교정 및 스틸포인트 상태로 유도되도록 하는 것이다.
둘째, 경추교정과 스틸포인트 유도기능을 갖는 베개를 제공하여 수면 중 자연스럽게 시술받도록 하는 것이다.
셋째, 1회 구입으로 반복 치료가 가능한 반 영구적인 기능성 베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넷째, 어깨와 경추와 머리에 각각 다른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여 신연효과를 얻을 수 있는 기능성 베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는,경사지게 형성되어 경추를 지지하는 경추지지부; 사용자의 후두부와 접하는 압박빗변이 형성되고, 상기 경추지지부의 경사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제4뇌실 확장돌기가 형성되고, 사용자의 후두부를 수용하는 후두부수용부; 및 사용자의 어깨와 마주하는 곳에 사용자의 어깨를 하측으로 누르도록 전방하측과 마주하는 경사진 어깨누름면을 형성하는 측면지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는, 후두부를 수용 및 지지하는 후두부수용부; 경사지게 형성되어 경추를 지지하는 경추지지부; 및 상기 경추지지부와 상기 후두부수용부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어 사용자가 옆으로 누울 때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고, 사용자의 어깨와 마주하는 곳에 사용자의 어깨를 누르도록 경사진 어깨누름면이 형성된 측면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두부수용부 내에는, 상기 경추지지부의 경사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져 사용자의 외후두 융기와 접하는 압박빗변이 형성되고, 상기 경추지지부는 사용자의 하부경추에서 상부경추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하고, 상기 압박빗변은 후방 상측과 마주하도록 경사지고, 상기 어깨누름면은 전방 하측과 마주하도록 경사지고, 상기 경추지지부는 전방 상측과 마주하도록 경사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경추를 지지하는 경추지지부; 사용자의 후두부와 접하는 압박빗변이 형성되고, 상기 경추지지부의 경사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제4뇌실 확장돌기가 형성되고, 사용자의 후두부를 수용하는 후두부수용부; 및 상기 경추지지부와 상기 후두부수용부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어 사용자의 어깨와 마주하는 곳에 사용자의 어깨를 하측으로 누르도록 전방하측과 마주하는 경사진 어깨누름면을 형성하는 측면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추지지부는, 사용자의 하부경추에서 상부경추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하고, 상기 압박빗변은 후방 상측과 마주하도록 경사지고, 상기 어깨누름면은 가장 낮은 지점이 상기 경추지지부의 가장 낮은 지점보다 후방에 위치한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스스로 경추 교정 및 스틸포인트 상태로 유도될 수 있다.
둘째, 경추교정과 스틸포인트 유도기능을 갖는 베개를 제공하여 수면 중 자연스럽게 시술받을 수 있다.
셋째, 1회 구입으로 반복 치료가 가능하므로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넷째, 어깨와 경추와 머리에 각각 다른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여 신연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뇌척수액의 순환을 간략히 표현한 것이다.
도2a는 굴곡주기일때 뇌척수액의 흐름 및 두개골과 요추의 이동을 표현한 것이고, 도2b는 신전주기일때 뇌척수액의 흐름 및 두개골과 요추의 이동을 표현한 것이다.
도3a는 굴곡주기일때 후두부의 이완 및 뇌척수액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고, 도3b는 신전주기일때 후두부의 수축 및 뇌척수액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도4a는 제 4뇌실 압박법(CV4)의 시술방법을 표현한 것이고, 도4b는 제 4뇌실 확장법(EV4)의 시술방법을 표현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의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의 정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의 배면도이다.
도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의 평면도이다.
도8b는 도8a에 능선들과 가상의 수평선을 표현한 것이다.
도9a 내지 도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의 형상을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의 제4뇌실 확장돌기의 자극 지점을 표현한 것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의 측면도이다.
도12는 도8a의 A-A 단면도이다.
도13은 도8a의 K-K 단면도이다.
도14는 도8a의 E-E 단면도이다.
도15는 도8a의 G-G 단면도이다.
도1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에서 사용자가 정면을 보고 누워있을 때 후두부의 위치를 표시한 것이고, 도16b는 사용자가 옆으로 누워있을 때, 측두부의 위치를 표시한 것이다.
도17a는 도16a에서 후두부의 위치를 도8a에서의 A-A 단면도 상에 표시한 것이고, 도17b는 도16b에서 후두부의 위치를 도8a에서의 P-P 단면도 상에 표시한 것이다.
도18a 내지 1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의 신연효과를 표현한 것이다.
도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와 동일한 신연효과를 얻기 위한 물리치료사의 시술 모습이다.
도20은 사용자가 정면을 보고 누워있을 때 후두부 수용부에 의해 지지되는 후두부 및 그 무게중심과 사용자가 측면을 보고 누워있을 때 측면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측두부 및 그 무게중심의 변화를 표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의하여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1은 뇌척수액의 순환을 간략히 표현한 것이다. 도2a는 굴곡주기일때 뇌척수액의 흐름 및 두개골과 요추의 이동을 표현한 것이고, 도2b는 신전주기일때 뇌척수액의 흐름 및 두개골과 요추의 이동을 표현한 것이다. 도3a는 굴곡주기일때 후두부의 이완 및 뇌척수액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고, 도3b는 신전주기일때 후두부의 수축 및 뇌척수액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도4a는 제 4뇌실 압박법(CV4)의 시술방법을 표현한 것이고, 도4b는 제 4뇌실 확장법(EV4)의 시술방법을 표현한 것이다.
도1내지 도4를 참조하면, 두정골(51)(parietal bone)은 뇌가 들어있는 뇌두개의 뒤쪽 위를 덮고 있는, 사각형의 편평한 뼈이다. 두정골(51)은 모두 2개이며 바깥쪽으로 각각 튀어나와 있다. 2개의 두정골(51)은 시상봉합(56)으로 접해있다. 두정골(51)은 인자봉합(55)으로 후두골(53)에 연결된다. 측두골(52)은 측두부에 배치된다. 두개골(45)은 굴곡주기일 때에 수축하고, 신전주기일 때에 팽창하는 유연성을 갖는 조직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두개골(45)은 수축과 이완을 반복할 수 있다. 두개천골 리듬(Craniosacral rhythm)은 스트레스나 면역력 등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건강한 사람의 두개천골 움직임은 굴곡과 신전이 8-12회 주기로 매우 안정되어 있다.
굴곡(flexion, expansion)은 확장 혹은 팽창에 해당한다. 두개천골 리듬은 손으로 감지할 수 있다. 손에 전달되는 굴곡의 느낌은 '부풀어 오르는 느낌' 또는 '몸전체가 바깥으로 회전하며 넓어진 느낌'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외회전' 이라고도 불린다.
신전(extension, compression)은 굴곡과 반대의 개념 혹은 반대의 느낌이다. 신전은 수축으로 이해될 수 있다. 신전은 '깊숙이 빨려들어 가는 느낌'으로 이해될 수 있다. 신전은 몸 전체가 안쪽으로 회전하며 좁아지는 느낌으로 설명되기도 한다. 신전은 '내회전' 이라고도 불린다.
두개천골 움직임의 주기는 '굴곡'과 '신전' 또는 '확장' 과 '수축' 의 두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굴곡과 신전 사이는 '중립지점' 이라 할 수 있다. 인체는 중립지점에서 정지되는 느낌과 더불어 긴장이 풀리게 되는 '이완' 의 상태에 놓이게 된다. 굴곡과 신전의 주기는 일정하며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굴곡과 신전의 주기가 다르거나 불일치하면 신체에 이상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굴곡주기와 신전주기는 뇌척수액(CSF; cerebrospinal fluid)의 순환으로 비롯된다. 뇌척수액은 뇌실(ventricular)에서 만들어진다. 뇌실은 인간의 뇌 내부에 있는 공간을 말하며 뇌실막에 싸여있다. 뇌실은 측뇌실, 제3뇌실, 제4뇌실(60)의 세 가지가 있다. 측뇌실은 좌우 2개가 있으며, 제3뇌실과 제4뇌실(60)은 각각 하나씩 있어 모두 4개의 뇌실이 뇌실계를 구성한다.
두개천골요법 중 피시술자의 후두부에 테크닉을 적용함으로써 스틸포인트를 발생시키는 것을 CV4 및 EV4테크닉이라 한다.
제4뇌실압박법 즉, CV4테크닉(4th Ventricular Compression Variation, CV-4 Technique)은 후두부의 외후두 융기(54) 양 옆을 압박해주는 방법이다. CV4는 스틸포인트 촉진을 위한 한 방법으로, 뇌실의 압박 또는 좁힘을 말한다.
CV4테크닉은 굴곡주기에서 리듬을 저항하여 스틸포인트를 유도하는 방법으로 척수의 압력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후두린의 능력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두개골(45)내 척추의 압력은 증가되며 뇌척수액은 모든 다른 가능한 경로로 방향을 돌린다. 이로인해 CV4테크닉은 뇌척수액의 움직임을 촉진하며 교환한다.
제4뇌실확장법 즉, EV4테크닉(Expansion of 4th Ventricle)은 신전주기에서 스틸포인트를 유도하는 방법이다. 제4뇌실확장법은 후두부의 외후두 융기(54)를 압박해주는 방법이다. 외후두 융기(54)(external occipital protuberance)는 후두골(53)의 뒤쪽을 차지하는 커다란 후두린(squama)의 한가운데서 가장 돌출한 부위이다. EV4는 신전주기에 해당하며, 내회전을 통해 손가락으로 외후두 융기(54)가 돌출되는 것을 압박을 통해 저항하여 두개골(45) 내의 제4뇌실(60)을 확장시킨다.
제4뇌실압박법 및/또는 제4뇌실확장법을 통해 전체적 두개천골계의 움직임은 없어져 완전히 정지된 상태가 된다. 이것을 스틸포인트(still-point)라고 한다. 스틸포인트는 제4뇌실(60)의 압박 및/또는 확장에 의해 반강제적으로 이루어진다.
두개천골계는 경련이나 박동 또는 흔들리는 움직임을 나타낼 수 있는데, 제4뇌실(60)의 압박 및/또는 확장에 의해 저항을 시도하면 두개천골계의 활동은 결국 순간적으로 중지한다. 이때 스틸포인트가 발생한 것이다.
스틸포인트 과정 중에는 인체는 이완되기 시작한다. 이때부터 앞에서 발생한 통증은 서서히 사라진다. 그리고 허리와 골반부위의 천장골 체성 기능장애는 자연스럽게 교정되기 시작한다. 이어서 피시술자의 호흡도 안정되고 긴장된 근육들은 이완되기 시작한다. 이 스틸포인트는 짧으면 몇 초에서 길면 몇 분까지 유지된다. 스틸포인트 현상이 끝나면 두개천골계의 움직임이 다시 시작된다. 일반적으로 관찰하여 보면 대칭적으로 그리고 증가된 움직임의 진폭이 감지된다. 스틸포인트가 끝나고 두개천골계의 활동이 호전되고 움직임이 대칭적으로 복원된다. 스틸포인트는 두개천골계 활동을 원활히 조절하는데 효과적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의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의 정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의 배면도이다.
도5 내지 도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는 후두부를 수용 및 지지하는 후두부수용부(10); 경사지게 형성되어 경추를 지지하는 경추지지부(20); 및 경추지지부(20)와 후두부수용부(10)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어 사용자가 옆으로 누울 때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측면지지부(30)를 포함한다.
후두부수용부(10)는 움푹 파인 형상이다. 후두부수용부(10)는 사용자의 후두부를 수용한다. 경추지지부(20)는 사용자의 경추가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경추지지부(20)는 적절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어 경추를 지지한다.
측면지지부(30)는 경추지지부(20)와 후두부수용부(10)의 좌우에 각각 형성된다. 사용자는 수면 중 자세를 수시로 바꿀 수 있다. 경추지지부(20)와 후두부수용부(10)는 사용자가 정 자세로 수면 중일 때 경추와 후두부를 지지한다. 측면지지부(30)는 사용자가 옆으로 누운 자세일 때 사용자의 두정골(51)과 측두골(52)(이하, '측두부' 라 한다)을 지지한다.
경추지지부(20)는, 사용자의 하부경추에서 상부경추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하도록 후방으로 경사진 형상이고, 측면지지부(30)는, 사용자의 어깨와 마주하는 곳에 전방으로 경사진 어깨누름면(31)이 형성된다.
경추지지부(20)는 사용자가 누웠을 때, 사용자의 상부경추가 하부경추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측면지지부(30)는 어깨누름면(31)이 형성된다. 측면지지부(30)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사용자의 어깨가 지면을 향해 힘을 받도록 한다.
도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의 평면도이다. 도8b는 도8a에 능선들과 가상의 수평선(H)을 표현한 것이다. 도9a 내지 도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의 형상을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도8내지 도9를 참조하면, 어깨누름면(31)은, 경추지지부(20)로부터 좌우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경추지지부(20)로부터 멀어질수록 수평면을 기준으로 기울기가 점점 감소한다. 어깨누름면(31)의 기울기(Θ3, Θ4, Θ5)는 90도에서 75도 사이일 수 있다.
어깨누름면(31)은 사용자의 경추로부터 멀어질 수록 경사도가 감소한다. 일 예로, 사용자의 목과 근접한 어깨누름면(31)은 기울기(Θ5)가 89도 내지 90도이고, 사용자의 어깨 끝쪽으로 가면 기울기(Θ3)가 75도 정도로 감소할 수 있다.
제4뇌실 확장돌기(11)는 경추지지부(20)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제4뇌실 확장돌기(11)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복수의 수평선(H)들 중, 제4뇌실 확장돌기(11)의 시작지점과 만나는 제1수평선(H1)과 어깨누름면(31)의 상단선(S1)과 접하는 제2수평선(H2) 사이의 폭(d1)은 80미리미터에서 120미리미터 사이일 수 있다.
어깨누름면(31)의 상단선(S1)은 경사의 방향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변경되는 지점일 수 있다. 어깨누름면(31)의 하단선(S2)은 지면과 경계를 부분일 수 있다.
제1수평선(H1)과 제2수평선(H2) 사이의 거리가 너무 좁으면 측면지지부(30)의 주요 기능인 측두부 지지 기능이 저하된다. 또한 제1수평선(H1)과 제2수평선(H2) 사이의 거리가 너무 넓으면 어깨가 너무 전방에 있게되어 상부경추가 후두기저능선b에 위치하지 못한다. 또한 제4뇌실 확장돌기(11)도 외후두융기(54)를 충분히 자극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다만 어깨는 목 부분에서 어깨 끝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낮아지게 기울어져 있으므로 제1수평선(H1)과 제2수평선(H2) 사이에는 어느정도 오차가 존재할 수 있다. 제4뇌실 확장돌기(11)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제4뇌실 확장돌기(11)는 경추지지부(20)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제4뇌실 확장돌기(11)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복수의 수평선(H)들 중 어느 하나와 어깨누름면(31) 사이의 각도(Θ1,Θ2)는 어깨누름면(31)의 하단선(S2)에서 어깨누름면(31)의 상단선(S1)으로 갈수록 점점 증가한다.
상기와 같은 형상으로 인해, 사용자의 어깨를 전방 및 지면을 향해 누를 수 있다. 따라서 어깨를 고정하게 되어 경추 신연으로 인한 교정효과가 발생한다.
어깨누름면(31)의 하단선(S2)과 수평선(H) 사이의 각도는 1도 내지 7도 이고, 어깨누름면(31)의 상단선(S1)과 제1수평선(H1) 사이의 각도는 8도 내지 15도 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으로 인해 사용자의 턱 에 대한 간섭을 줄일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수면 중 자세를 변경할 때에서 어깨와 간섭을 피할 수 있다. 따라서 자연스러운 자세 변경을 방해하지 않게 되어 수면방해가 줄어든다. 또한 이와 같은 형상은 상술한 바와 같은 어깨 고정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경추지지부(20)는 사용자의 경추를 수용하는 경추수용홈(23)을 형성하고, 경추수용홈(23)과 측면지지부(30) 사이에서 경계를 이루는 아래턱 지지능선(j)이 형성된다.
경추수용홈(23)은 완만한 계곡의 형태로 사용자의 경추를 지지한다. 경추수용홈(23)의 상측 단부는 후두기저능선b이 형성되고, 후두기저능선b을 넘으면 후두부수용부(10)가 위치한다. 후두기저능선b을 경계로 전방에는 경추수용홈(23)이 형성되고, 후방에는 제4뇌실 확장돌기(11)가 형성된다.
아래턱 지지능선(j)은 측면지지부(30)에 형성된다. 측면지지부(30)는 사용자의 귀가 수용되도록 함몰된 귀 수용홈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돌출된 능선이다. 아래턱 지지능선(j)은 제1수평선(H1)을 기준으로 기울어져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는 경추지지부(20)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후두부수용부(10)에 돌출 형성되며, 경추지지부(20)의 경사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제4뇌실 확장돌기(11)를 포함하고, 제4뇌실 확장돌기(11)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복수의 수평선(H)들 중 어느 하나와 아래턱 지지능선(j) 사이의 각도(Θ6)는 40도 내지 65도 일 수 있다.
이러한 각도로 인해 사용자가 정 자세로 취침 중 옆으로 눕더라도 베개의 형상으로 인한 간섭을 받지 않게 된다. 즉 어깨와 어깨누름면(31)의 간섭 방지, 전방으로 돌출된 턱의 안정적 지지, 귀 수용홈의 형상으로 인한 귀의 지나친 압박 방지, 자세 변경 중 목과 측면지지부(30)의 간섭 방지 효과가 존재한다.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의 제4뇌실 압박돌기(13)의 자극 지점을 표현한 것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의 측면도이다. 도12는 도8a의 A-A 단면도이다. 도13은 도8a의 K-K 단면도이다. 도14는 도8a의 E-E 단면도이다. 도15는 도8a의 G-G 단면도이다.
도10 내지 도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는 후두부수용부(10)에 돌출 형성되고, 경추지지부(20)의 경사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제4뇌실 확장돌기(11)를 포함한다.
후두부수용부(10)는 내측에 복수의 산과 골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산 중 일부는 제4뇌실 확장돌기(11)이고, 다른 일부는 제4뇌실 압박돌기(13)이다.
제4뇌실 압박돌기(13)는 후두부수용부(10)에 형성된다. 제4뇌실 압박돌기(13)는 후두골의 좌우를 자극하여 굴곡주기를 저지한다. 제4뇌실 압박돌기(13)는 제4뇌실압박법을 구현한다.
제4뇌실 확장돌기(11)는 후두부수용부(10)에 형성된다. 제4뇌실 확장돌기(11)는 사용자의 외후두융기를 자극한다. 제4뇌실 확장돌기(11)는 사용자의 외후두융기와 대응되는 지점에 형성된다.
제4뇌실 확장돌기(11)는 신전주기를 저지한다. 제4뇌실 확장돌기(11)는 제4뇌실확장법을 구현한다.
제4뇌실 확장돌기(11)는 경사가 형성되어 있고, 경사는 경추지지부(20)로 부터 멀어질수록 낮게 형성된다. 제4뇌실 확장돌기(11)와 경추지지부(20)의 경사로 인해 사용자의 상부경추가 가장 높게 위치하고 사용자의 하부경추와 사용자의 후두부는 상부경추보다 낮게 위치한다.
경추지지부(20)의 끝단에는 후두부수용부(10)와 경계를 이루는 후두기저능선b이 형성된다. 후두기저능선b을 중심으로 일측에는 후두부 타측에는 경추가 위치한다. 하부경추는 몸통의 무게로 인해 하측으로 당겨지고, 상부경추는 후두부의 무게로 인해 후두부 쪽으로 당겨진다. 즉 사용자의 경추는 상부경추와 하부경추 양측으로 당겨지게 되므로 경추에 장력이 작용한다. 이를 물리치료용어로 신연(Distraction)이라 한다.
제4뇌실 확장돌기(11)는, 사용자의 외후두융기(54)와 접하는 압박빗변(11s)을 형성하고, 압박빗변(11s)의 수평성분길이(d2)는 85미리미터에서 115미리미터 사이일 수 있다.
압박빗변(11s)은 경사면을 형성한다. 압박빗변(11s)은 외후두융기(54)를 지지한다. 85미리미터에서 115미리미터는 외후두융기(54)에 대응하는 크기로 신전주기를 저지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이다. 제4뇌실 확장돌기(11)의 각도(Θ7)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25도에서 36도 사이일 수 있다.
압박빗변(11s)의 각도(Θ7)는 25도에서 36도 사이일 수 있다. 압박빗변(11s)의 각도(Θ7) 및 수평성분길이(d2)는 외후두융기(54)의 길이 및 후두골의 형상에 기초하여 정해진 것으로 압박빗변(11s)의 길이가 과도하게 길거나 짧은 경우, 또한 압박빗변(11s)의 각도가 과도하게 높거나 낮은 경우 신전주기 저지가 곤란할 수 있다. 측면지지부(30)는, 사용자의 어깨와 마주하는 곳에 사용자의 어깨를 하측으로 누르도록 경사진 어깨누름면(31)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는 후두부를 수용 및 지지하는 후두부수용부(10); 경사지게 형성되어 경추를 지지하는 경추지지부(20); 및 사용자의 어깨와 마주하는 곳에 사용자의 어깨를 하측으로 누르도록 경사진 어깨누름면(31)을 형성하고, 사용자가 옆으로 누울 때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측면지지부(30)를 포함한다.
어깨누름면(31)은 어깨를 지면 및 전방을 향해 누르므로 하부경추의 위치가 고정된다. 즉 후두부의 무게로 인해 상부경추가 후두부수용부(10) 쪽으로 당겨지더라도 어깨 고정으로 인해 하부경추는 고정된다. 따라서 경추에 장력이 가해지고, 경추는 신연된다. 측면지지부(30)는, 사용자의 어깨와 마주하는 곳에 사용자의 어깨를 하측으로 누르도록 경사진 어깨누름면(31)을 형성하고, 어깨누름면(31)의 각도(Θ3, Θ4, Θ5)와 제4뇌실 확장돌기(11)의 각도(Θ7)의 비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1:1.3 내지 1:5.5 사이일 수 있다.
제4뇌실 확장돌기(11)와 어깨누름면(31)의 각도 비가 너무 크거나 작을 경우, 어깨 고정력이 떨어지거나 사용자의 어깨가 불편하거나 신전주기 저지가 곤란할 수 있다.
도1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에서 사용자가 정면을 보고 누워있을 때 후두부의 위치를 표시한 것이고, 도16b는 사용자가 옆으로 누워있을 때, 측두부의 위치를 표시한 것이다. 도17a는 도16a에서 후두부의 위치를 도8a에서의 A-A 단면도 상에 표시한 것이고, 도17b는 도16b에서 후두부의 위치를 도8a에서의 P-P 단면도 상에 표시한 것이다.
도16a내지 도17b을 참조하면, 측면지지부(30)의 상면의 가장 낮은 부분(G2)은 후두부수용부(10)의 중심 부분(G1) 보다 전방에 형성된다. 측면지지부(30)의 상면의 가장 낮은 부분(G2)은 제4뇌실 확장돌기(11)의 가장 낮은 부분(E1) 보다 전방에 형성된다.
후두부수용부(10)의 중심 부분(G1) 위치는 대략 제4뇌실 확장돌기(11)의 후방 단부이고, 측면지지부(30)의 중심 부분(G2) 위치는 측면지지부(30)의 상면에서 가장 낮은 부분이다. 후두부 수용부의 중심 부분(G1)은 사용자가 정면을 보고 누웠을 때 후두부의 무게중심과 마주하는 부분일 수 있다. 측면지지부(30)의 중심 부분(G2)는 사용자가 측면을 보고 누웠을 때 측두부의 무게중심과 마주하는 부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는 후두부를 수용 및 지지하는 후두부수용부(10); 경사지게 형성되어 경추를 지지하는 경추지지부(20); 및 사용자의 어깨와 마주하는 곳에 사용자의 어깨를 하측으로 누르도록 경사진 어깨누름면(31)을 형성하고, 사용자가 옆으로 누울 때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측면지지부(30)를 포함한다.
도18a 내지 도1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의 신연효과를 표현한 것이다. 도18a는 사용자가 정면을 바라보고 누웠을 때 인체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을 바닥면에 투영하여 표현한 것이고, 도18b는 사용자가 정면을 바라보고 누웠을 때 인체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을 측면에 투영하여 표현한 것이다. 도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와 동일한 신연효과를 얻기 위한 물리치료사의 시술 모습이다.
도18a와 도18b 및 도19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경추교정베개는 대략 총 3방향의 힘을 인체에 가하게 된다. 이 중 F1은 전방 하측으로 어깨를 누르는 힘이다. F2는 경추를 전방 상측으로 밀어내는 힘이다. F3은 후방 상측으로 후두부를 밀어내는 힘이다. 어깨누름면(31)은 탄성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의 어깨는 어깨누름면(31)에 밀착되고, 어깨누름면(31)은 사용자의 어깨에 탄성력을 가한다. 어깨누름면(31)의 탄성력과 사용자의 후두부의 자중과 경추의 자중으로 인해 F1, F2 및 F3이 발생한다.
F1 과 F2의 힘의 방향 차이는 상하방향으로 경추를 당겨 경추를 신연한다. 또한, F1, F2 와 F3의 힘의 방향 차이는 전후 방향으로 경추를 당겨 경추를 신연한다. 또한 F1은 신체를 지면 방향으로 누르기 때문에 올바를 자세로 수면을 취하도록 유도한다. 따라서 종래 물리치료사로부터 수기치료를 받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면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어께선이 Θ8의 각도만큼 기울어져 있고, 어깨누름면(31)의 상단선(S1)도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어께를 균일하게 누를 수 있다. 즉 어께에 가해지는 힘이 균일하게 작용한다. 또한 사용자가 옆으로 눕더라도 간섭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20은 사용자가 정면을 보고 누워있을 때 후두부 수용부에 의해 지지되는 후두부 및 그 무게중심과 사용자가 측면을 보고 누워있을 때 측면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측두부 및 그 무게중심의 변화를 표현한 것이다.
도20을 참조하면, 우선 사용자가 정면을 바라보고 누워 잠이 들면 사용자의 후두부는 후두부수용부(10)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4뇌실 확장돌기(11)는 사용자의 외후두융기를 자극하여 스틸포인트를 유도한다. 한편 경추지지부(20)와 제4뇌실 확장돌기(11)와 어깨누름면(3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신연에 의한 경추교정효과를 발생시킨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옆으로 누워 잘 수 있다. 사용자는 옆으로 누워 자는 자세를 선호하여 처음부터 옆으로 누워 잘 수도 있으나, 수면 중 무의식 중에 옆으로 누워 잘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머리를 기준으로 베개와 닿는 부분은 후두부에서 측두부로 변경된다. 후두부수용부(10)의 중심 부분(G1)과 측면지지부(30)의 중심 부분(G2)은 도면과 같이 이동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에 의하면, 후두부를 수용하도록 함몰된 후두부수용부(10)의 중심 부분(G1)과 측두부를 지지 하도록 함몰된 측면지지부(30)의 중심 부분(G2)의 위치가 동일선상에 존재하지 않는다. 즉 측두부수용부(33)는 후두부수용부(10)보다 전방에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게에 의하면 사용자가 수면 중 자세를 변경하더라도 사용자를 계속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턱이 각도를 갖고 경사지게 형성되더라도 사용자의 턱선에 대응하여 아래턱 지지능선(j)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의 자세 변환 중 턱과 베개 간 간섭이 최소화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통상의 기술자라면 사용자의 체구나 체형에 따라 적절한 변형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은 사용자의 연령, 사용자의 성별, 사용자의 인종 등에 따라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후두부수용부
11: 제4뇌실 확장돌기
11s: 압박빗변
13: 제4뇌실 압박돌기
20: 경추지지부
23: 경추수용홈
30: 측면지지부
31: 어깨누름면
33: 측두부수용부
S1: 어깨누름면의 상단선
S2: 어깨누름면의 하단선
H: 수평선
H1: 제1수평선
H2: 제2수평선
b: 후두기저능선
j: 아래턱 지지능선
G1: 후두부수용부의 중심 부분
G2: 측면지지부의 상면의 가장 낮은 부분

Claims (15)

  1. 경사지게 형성되어 경추를 지지하는 경추지지부;
    사용자의 후두부와 접하는 압박빗변이 형성되고, 상기 경추지지부의 경사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제4뇌실 확장돌기가 형성되고, 사용자의 후두부를 수용하는 후두부수용부; 및
    사용자의 어깨와 마주하는 곳에 사용자의 어깨를 하측으로 누르도록 전방하측과 마주하는 경사진 어깨누름면을 형성하는 측면지지부를 포함하는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추지지부는 사용자의 하부경추에서 상부경추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하고,
    상기 압박빗변은 후방 상측과 마주하도록 경사진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추지지부는 전방 상측과 마주하도록 경사진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지지부는 사용자가 옆으로 누울 때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도록 상면이 넓게 형성되고,
    상기 측면지지부의 상면의 가장 낮은 부분은 상기 제4뇌실 압박돌기의 가장 낮은 부분 보다 전방에 형성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뇌실 확장돌기는 사용자의 외후두 융기와 접하는 면에 형성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누름면은,
    가장 낮은 지점이 상기 경추지지부의 가장 낮은 지점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빗변은,
    좌우방향길이는 사용자의 외후두융기의 크기를 넘지 않고, 상기 경추지지부로부터 사용자의 외후두융기를 지나 후방으로 연장형성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누름면은,
    상기 경추지지부로부터 좌우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경추지지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수평면을 기준으로 기울기가 점점 감소하고,
    상기 어깨누름면의 기울기는 89도에서 75도 사이인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빗변의 수평성분길이는 80미리미터에서 120미리미터 사이이고,
    상기 제4뇌실 확장돌기의 각도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25도에서 36도 사이이며,
    상기 어깨누름면의 각도와 상기 제4뇌실 확장돌기의 각도의 비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1:1.3 내지 1:5.5 사이이고,
    상기 제4뇌실 확장돌기는 상기 경추지지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4뇌실 확장돌기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복수의 수평선들 중, 상기 제4뇌실 확장돌기의 시작지점과 만나는 제1수평선과 상기 어깨누름면의 상단선과 접하는 제2수평선 사이의 폭은 80미리미터에서 130미리미터 사이인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뇌실 확장돌기는 상기 경추지지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4뇌실 확장돌기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복수의 수평선들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어깨누름면 사이의 각도는 상기 어깨누름면의 하단선에서 상기 어깨누름면의 상단선으로 갈수록 점점 증가하는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누름면의 하단선과 상기 수평선 사이의 각도는 1도 내지 7도 이고, 상기 어깨누름면의 상단선과 상기 제1수평선 사이의 각도는 8도 내지 15도인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추지지부는,
    사용자의 경추를 수용하는 경추수용홈을 형성하고,
    상기 경추수용홈과 상기 측면지지부 사이에서 경계를 이루는 아래턱 지지능선이 형성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뇌실 확장돌기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복수의 수평선들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아래턱 지지능선 사이의 각도는 40도 내지 65도인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
  14. 후두부를 수용 및 지지하는 후두부수용부;
    경사지게 형성되어 경추를 지지하는 경추지지부; 및
    상기 경추지지부와 상기 후두부수용부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어 사용자가 옆으로 누울 때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고, 사용자의 어깨와 마주하는 곳에 사용자의 어깨를 누르도록 경사진 어깨누름면이 형성된 측면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두부수용부 내에는, 상기 경추지지부의 경사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져 사용자의 외후두 융기와 접하는 압박빗변이 형성되고,
    상기 경추지지부는 사용자의 하부경추에서 상부경추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하고,
    상기 압박빗변은 후방 상측과 마주하도록 경사지고,
    상기 어깨누름면은 전방 하측과 마주하도록 경사지고,
    상기 경추지지부는 전방 상측과 마주하도록 경사진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
  15. 경사지게 형성되어 경추를 지지하는 경추지지부;
    사용자의 후두부와 접하는 압박빗변이 형성되고, 상기 경추지지부의 경사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제4뇌실 확장돌기가 형성되고, 사용자의 후두부를 수용하는 후두부수용부; 및
    상기 경추지지부와 상기 후두부수용부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어 사용자의 어깨와 마주하는 곳에 사용자의 어깨를 하측으로 누르도록 전방하측과 마주하는 경사진 어깨누름면을 형성하는 측면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추지지부는 사용자의 하부경추에서 상부경추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하고,
    상기 압박빗변은 후방 상측과 마주하도록 경사지고,
    상기 어깨누름면은 가장 낮은 지점이 상기 경추지지부의 가장 낮은 지점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
KR1020170094718A 2015-10-06 2017-07-26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 KR102284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718A KR102284813B1 (ko) 2015-10-06 2017-07-26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532A KR101780277B1 (ko) 2015-10-06 2015-10-06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
KR1020170094718A KR102284813B1 (ko) 2015-10-06 2017-07-26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0532A Division KR101780277B1 (ko) 2015-10-06 2015-10-06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0389A true KR20170090389A (ko) 2017-08-07
KR102284813B1 KR102284813B1 (ko) 2021-08-02

Family

ID=59654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4718A KR102284813B1 (ko) 2015-10-06 2017-07-26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4813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38019A (zh) * 2019-09-03 2019-12-06 明丽健康产业(浙江)有限公司 一种颈椎牵引枕
KR20200056193A (ko) 2018-11-14 2020-05-22 박성하 베개 및 그의 조작 방법
KR102426061B1 (ko) * 2021-08-18 2022-07-29 백영진 기능성 베개
KR20220145091A (ko) * 2021-04-21 2022-10-28 주식회사 어썸랩 척추보호를 위한 반려동물용 기능성 쿠션
KR20220145090A (ko) * 2021-04-21 2022-10-28 주식회사 어썸랩 관절 보호를 위한 반려동물용 기능성 쿠션
KR20220145092A (ko) * 2021-04-21 2022-10-28 주식회사 어썸랩 반려동물용 다목적 쿠션
KR20220149033A (ko) 2021-04-30 2022-11-08 김문희 경추 교정 장치
KR102475466B1 (ko) * 2022-06-22 2022-12-06 이건희 교정용 경추베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6522B1 (ko) 2021-09-02 2023-10-10 이육훈 기능성 베개
KR20240034369A (ko) 2022-09-07 2024-03-1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경추정렬베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4820B1 (ko) * 2013-08-16 2014-12-19 주식회사 티앤아이 뇌척수액 순환을 유도하는 기능성 베개
KR20150073838A (ko) * 2013-12-23 2015-07-01 시-웬 호릉 머리 이완용 베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4820B1 (ko) * 2013-08-16 2014-12-19 주식회사 티앤아이 뇌척수액 순환을 유도하는 기능성 베개
KR20150073838A (ko) * 2013-12-23 2015-07-01 시-웬 호릉 머리 이완용 베개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6193A (ko) 2018-11-14 2020-05-22 박성하 베개 및 그의 조작 방법
CN110538019A (zh) * 2019-09-03 2019-12-06 明丽健康产业(浙江)有限公司 一种颈椎牵引枕
KR20220145091A (ko) * 2021-04-21 2022-10-28 주식회사 어썸랩 척추보호를 위한 반려동물용 기능성 쿠션
KR20220145090A (ko) * 2021-04-21 2022-10-28 주식회사 어썸랩 관절 보호를 위한 반려동물용 기능성 쿠션
KR20220145092A (ko) * 2021-04-21 2022-10-28 주식회사 어썸랩 반려동물용 다목적 쿠션
KR20220149033A (ko) 2021-04-30 2022-11-08 김문희 경추 교정 장치
KR102426061B1 (ko) * 2021-08-18 2022-07-29 백영진 기능성 베개
WO2023022426A1 (ko) * 2021-08-18 2023-02-23 백영진 기능성 베개
CN117597053A (zh) * 2021-08-18 2024-02-23 白永真 功能性枕头
KR102475466B1 (ko) * 2022-06-22 2022-12-06 이건희 교정용 경추베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4813B1 (ko) 2021-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0277B1 (ko)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
KR20170090389A (ko)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
US10561561B2 (en) Functional pillow for manipulation therapy
KR101630386B1 (ko)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착석용 목베개
KR101474820B1 (ko) 뇌척수액 순환을 유도하는 기능성 베개
KR102079421B1 (ko) 뇌척수액 순환유도베개
KR101633910B1 (ko) 경추 보조장치
KR101649416B1 (ko) 머리 이완용 베개
KR101849884B1 (ko) 척추 교정대
KR100718661B1 (ko) 물리치료용 헤드레스터
KR101616087B1 (ko)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착석용 목베개
KR101604216B1 (ko) 인체공학적 복합경침
KR101955369B1 (ko) 기능성 골반교정기기
KR101848645B1 (ko) 기능성 경추 이완 장치
RU172207U1 (ru) Подушка ортопедическая функциональная
KR101664462B1 (ko) 두개천골 요법이 적용된 착석용 골반베개
KR20170096992A (ko) 물리치료용 척추교정기
KR101982524B1 (ko) 샴푸 목받침대 및 미용실용 샴푸장치
KR20160077014A (ko)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착석용 목 베개
KR101913098B1 (ko) 물리치료용 골반 교정베개
KR102380480B1 (ko) 경추견인이 가능한 두개천골요법 적용 베개
CN110537810A (zh) 一种使用颅骶疗法的矫形枕
TWI583364B (zh) 用於物理治療之顱薦椎治療與整脊治療用的肌筋膜鬆弛器
KR200474245Y1 (ko) 척추 교정과 허리 통증 완화용 받침대
KR102540821B1 (ko) 두개천골 요법이 적용된 코어-쉘 구조의 베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