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0420B1 - 승객 컨베이어 장치 - Google Patents

승객 컨베이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0420B1
KR100510420B1 KR10-2002-0078987A KR20020078987A KR100510420B1 KR 100510420 B1 KR100510420 B1 KR 100510420B1 KR 20020078987 A KR20020078987 A KR 20020078987A KR 100510420 B1 KR100510420 B1 KR 100510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enger
tread
hatch
detection device
control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8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1280A (ko
Inventor
시바히로유키
고바야시기요시
Original Assignee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51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1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0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04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5/00Control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5/003Methods or algorithm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객에게 불쾌감, 억제감이나 위화감 등을 주는 일이 없고, 또한 무의미한 작동이나 오작동이 적은 승객 컨베이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동하는 복수의 디딤판(14)의 양측부에 설치된 난간 기대부(12)의, 디딤판(14)의 이동 방향 양단의 승강구(11)의 정면에 배치되는 원적외선을 감지하는 제 1 승객 검출 장치(16, 18)와, 난간 기대부(12)의 승강구(11)의 빗살(13) 양측의 상부의 측면에 배치되는 원적외선을 감지하는 제 2 승객 검출 장치(18, 19)와, 제 1 승객 검출 장치(16, 17)에 의해 상기 승강구(11)로의 사람의 진입을 감지하여 디딤판(14)의 이동을 가속하고, 제 2 승객 검출 장치(17, 19)를 횡단함으로써 승차를 확인하는 디딤판 이동 제어 수단(110)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승객 컨베이어 장치{PASSENGER CONVEYOR APPARATUS}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나 전동 보(步)도로 등의 승객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승객을 검출해 운전의 제어를 하는 승객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사람을 상층 또는 하층에 혹은 수평으로 이동하는 에스컬레이터나 전동 보도로 등의 승객 컨베이어에는 승객의 유무를 검출하여, 그 운전 혹은 운전 정지를 자동적으로 행하는 일이 있다.
종래의 이들 자동적 운전을 하는 승객 컨베이어에 이용되는 승객 검출 장치에서는 광선 또는 초음파를 방사하고, 사람에 의한 차단 또는 반사파를 검출해 승객의 유무를 검지하는 방식의 것이다. 이 때문에, 종래의 승객 자동 검출을 행하는 승객 컨베이어에서는, 이것 등의 승객 검출 장치를 설치하는 경우에, 통상 광전폴 혹은 진입책(柵)이 설치된다.
도 5는 종래의 승객 검출 장치를 설치한 자동 운전을 하는 에스컬레이터를 측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내는 에스컬레이터에서는, 하층 플로어의 승강구(52)로부터 상층 플로어의 승강구(58)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통상 설치되는 승객 검출 장치(55a, 55b, 57a, 57b)는 에스컬레이터 본체(51)의 상기 승강구(52) 및 승강구(58)의 앞의 위치에 세워진 광전 폴(53a, 53b, 59a, 59b)의 상부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승객 검출 장치가 상기 승강구의 앞의 위치에 설치되는 것은 승객의 통과를 검출하고서 에스컬레이터의 운전 제어를 행하는 소정의 상태에 달하는데 필요할 시간을, 승객이 전진해 에스컬레이터의 디딤판에 도달하기까지의 시간에 맞추기 위해서이다. 또, 상기 광전 폴의 상부에 장착되는 것은 아이나 애완 동물 등의 단독의 승강을 피해 작동을 억제하기 위해서이다. 통상 사용되는 광전식 또는 초음파식의 승객 검출 장치는 발광측(송신측) 및 수광측(수신측)의 1쌍으로 사용되므로, 승강구(52, 58) 각각의 좌우에 설치된다. 승강구(52)와 광전 폴(53a, 53b) 사이 및 승강구(58)와 광전 폴(59a, 59b) 사이로부터 진입해 광전 폴(53, 59)을 통과하지 않고 승강구(52, 58)에 도달할 수 없도록, 침입 방지책(54a, 54b)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에 설명한 종래의 승객 컨베이어에서는, 승객 검출 장치는 발광측과 수광측의 1쌍이 되는 2개의 기기의 설치를 필요하고, 차광방식에서는 감지 에리어가 좁고, 반사 방식에서는 다른 광원에 감응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 이 한쌍의 기기 사이에는 신호 검출의 장해가 되는 물건, 예를 들면 안내 표시판을 둘 수 없기 때문에, 설치상의 제약을 받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승강구(52, 58) 부근에 설치한 광전 폴(53a, 53b, 59a, 59b) 혹은 침입 방지책(54)은 통행시에, 억압감 및 위화감을 느끼기 때문에 디자인상 바람직하지 않다.
또, 눈에 띄는 위치에 검출 장치, 특히 수광기가 배치되어 있으면, 광을 차단함으로써 검출 장치를 고의로 작동시키는 장난이 용이하고, 또 밖으로부터의 빛이 우연히 수광기로 들어가는 일도 있어, 오작동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이미 승객이 타고 있을 때에, 전술한 바와 같이 수광기의 입사광의 유무에 의해서, 승객 컨베이어가 급하게 정지하거나 이동 방향이 바뀌거나 하면, 승객에게 불쾌감을 주거나, 안전상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승객 컨베이어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승객에게 불쾌감, 억제감이나 위화감 등을 주는 일이 없고, 또한 무의미한 작동이나 오작동이 적은 승객 컨베이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의하면, 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복수의 디딤판의 양측부에 설치된 난간 기대부의 승강구에 설치되어 원적외선을 검지하는 승객 검출 장치와, 이 승객 검출 장치에 의해 상기 승강구로의 승객의 진입을 검지하여 상기 디딤판의 이동을 제어하는 이동 제어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의하면, 이동하는 복수의 디딤판의 양측부에 설치된 난간 기대부의, 상기 디딤판의 이동 방향 양단의 승강구의 정면에 배치되어 원적외선을 검지하는 제 1 승객 검출 장치와, 상기 난간 기대부의 상기 승강구의 빗살 양측의 상부의 측면에 배치된 제 2 승객 검출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승객 검출 장치 및 상기 제 2 승객 검출 장치에 의해서, 승객의 진입을 검지하여 상기 디딤판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의하면, 이동하는 복수의 디딤판의 양측부에 설치된 난간 기대부의, 상기 디딤판의 이동 방향 양단의 승강구의 정면에 배치되어 원적외선을 검지하는 제 1 승객 검출 장치와, 상기 난간 기대부의 상기 승강구의 빗살 양측의 상부의 측면에 배치되어 원적외선을 검지하는 제 2 승객 검출 장치와, 상기 제 1 승객 검출 장치에 의해 상기 승강구로의 사람의 진입을 검지하여 상기 디딤판의 이동을 가속하고, 상기 제 2 승객 검출 장치를 횡단함으로써 승차를 확인하는 디딤판 이동 제어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의하면, 상기 원적외선은 약 7~14㎛의 파장의 원적외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승객 컨베이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의하면, 상기 디딤판 이동 제어 수단은 상기 제 1 승객 검출 장치에서 승객의 진입 검지 전에, 상기 디딤판의 정상 이동 속도보다도 느린 대기 속도로 주행하고, 상기 제 1 승객 검출 장치에서 진입을 검지한 후에는 상기 디딤판이 정상 이동 속도로 가속하는 주행 제어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기재된 승객 컨베이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의하면, 상기 디딤판 이동 제어 수단은 상기 제 2 승객 검출 장치에서 승객의 통과를 검지하여, 상기 디딤판의 이동을 정상 속도로 소정의 시간까지 운전 계속하고, 상기 소정 시간 경과 후에는 상기 이동 속도를 상기 정상 속도보다도 느린 대기 속도로 감속하는 주행 제어 수단과, 이미 정상 속도로 운전중에 상기 제 2 승객 검출 장치에서 후속하는 승객의 통과를 검지했을 때, 운전 계속의 상기 소정 시간의 개시가 상기 후속하는 승객의 통과 검지에 의해 갱신되는 시간 설정 제어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기재된 승객 컨베이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7에 의하면, 상기 디딤판 이동 제어 수단은 상기 제 1 승객 검출 장치에서 사람의 진입을 검지하여 상기 디딤판의 이동 속도를 가속한 후, 상기 제 2 승객 검출 장치에서 승차 확인이 소정의 시간 내에 불가능한 경우에는 상기 디딤판의 이동 속도를 상기 대기 속도로 감속하는 주행 제어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기재된 승객 컨베이어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에스컬레이터에 적용한 경우의 실시예를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에스컬레이터를 나타내는 전체 구성도로서, 승객이 하층 플로어에서 상층 플로어로 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의 구성을 더 상세히 이해하기 위해서, 승차측이 되는 하층 플로어의 승강구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하층 상에 있는 승차측이 되는 한쪽의 승강구(11a)와, 상층 플로어에 있는 하차구측이 되는 다른 쪽의 승강구(11b)를 구비한 승객 컨베이어 본체(10)는 상기 2개의 승강구(11a, 11b) 사이에 설치된 복수의 디딤판(14)을 연결하여 이동시키고 있다. 디딤판(14)은 좌우의 난간 기대부(12a, 12b)에 끼워져서 이동하고 있고, 승강구(11a, 11b)의 디딤판(14)이 밀려나는 부분에는 빗살부(13a)가 설치되어 디딤판(14)과 승강구(11a, 11b)와의 사이의 갭을 작게 하고 있다. 또, 난간 기대부(12a, 12b)에는 난간(15a, 15b)이 설치되고, 그 상부를 난간 벨트가 이동한다.
하층 플로어의 승강구(11a)측의 난간 기대부(12a, 12b)의 정면 하부로 승객이 접근한 것을 검지하는 제 1 승객 검출 장치(16a, 16b)가 장착되고, 또, 빗살부(13a)가 설치된 부근의 난간 기대부(12a, 12b)의 측면 하부에 승객을 검지하는 제 2 승객 검출 장치(17a, 17b)가 장착된다.
제 1 승객 검출 장치(16a, 16b) 및 제 2 승객 검출 장치(17a, 17b)는 인체로부터 방사되는, 예를 들면 파장 7∼14㎛의 원적외선을 검출하는 소자로 구성된다. 또, 제 1 승객 검출 장치(16a, 16b)는 승객의 접근을 검지하기 위해서 설치되고, 제 2 승객 검출 장치(17a, 17b)는 승객이 빗살(13a)을 통과하여 디딤판(14)에 승차하는, "승객의 승차"를 검지하기 위해서 설치된다.
또한, 여기서는 승객 컨베이어 본체(10)는 상방향으로의 운전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통상의 승객 컨베이어 본체(10)는 상하 양방향의 운전이 가능하고, 상술한 것과는 반대의 하방향으로의 운전시에도 승객을 검지할 수 있도록 상층 플로어의 승강구(11b)측에도 마찬가지의 제 1 승객 검출 장치(18a, 18b) 및 제 2 승객 검출 장치(19a, 19b)가 난간 기대부(12a, 12b)의 해당 개소에 장착되어 있다.
승강구(11b) 밑의 기계실 내에 설치되어 있는 운전 제어 장치(110)는 제 1 승객 검출 장치(16a, 16b, 18a, 18b) 및 제 2 승객 검출 장치(17a, 17b, 19a, 19b)의 출력 신호를 받아 승객 컨베이어 본체(10)의 운전을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의한 승객 컨베이어의 운전 제어를 행하는 운전 제어 장치(110)의 구성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승객 컨베이어 본체(10)의 디딤판(14)의 운전 속도를 제어하는 운전 제어 장치(110)는 운전 제어 본체 장치(31)와, 이 본체 장치에 접속되는 전원(32)과, 구동 모터(33)와, 2개의 승객 검출 장치에 의해 작동하는 제 1 스위치(34)와 제 2 스위치(35)와, 승차 대기 타이머(37)와 운전 시간 타이머(39)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동작에 대해서 도 2,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승객의 통과와 운전 속도의 타이밍도에 의해 설명한다. 승객이 도 2에 나타내는 승차구가 되는 승강구(11a)를 향해 걸어 오면, 난간 기대부(12a, 12b)의 정면 하부에 설치된 제 1 승객 검출 장치(16a, 16b)는 정면의 진입 방향으로부터 접근하는 승객을 검지한다. 제 1 승객 검출 장치(16a, 16b)의 검지 신호(36)로서, 도 3(a)에 나타내는 운전 제어 본체 장치(31)에 접속된 제 1 스위치(34)가 작동되어, 이 장치(31)는 "승객의 도착"으로 인식하여, 도 4의 t1에 나타내는 시점으로부터 승객 컨베이어의 디딤판(14)을 대기 속도로부터 정상 속도로 가속하는 제어 신호를 디딤판 구동용 모터 장치(33)에 보낸다. 이 때, 승차 대기 타이머(37)도 기동시킨다.
다음에, 승객이 더욱 전진하여, 상기 승강구(11)의 빗살부(13)의 양측의 상부의 상기 난간 기대부(12a, 12b)의 측면 하부에 설치된 제 2 승객 검출 장치(17a, 17b)를 통과하면 승객의 승차가 검지된다(시점 t2). 그래서, 제 2 승객 검출 장치(17a, 17b)의 검지 신호(38)에 의해서, 동일하게 도 3에 나타내는 운전 제어 본체 장치(31)에 접속된 스위치(35)가 작동하여, 운전 제어 본체 장치(31)는 "승객의 승차"를 인식해서, 상기 승차 대기 타이머(37)를 강제 리세트한다. 이 시점에서 승객이 내릴때까지 걸리는 시간(설정 시간(42))만, 운전 시간 타이머(39)를 기동하여, 정상 속도로서의 운전을 계속시키는 제어 신호를 디딤판 구동용 모터 장치(33)에 보낸다.
상기 운전 시간 타이머(39)의 설정 시간(41)이 경과된 시점 t3에는 승객이 상층 플로어에 도달했다고 추정하여, 운전 제어 장치(31)는 대기 속도로 감속하는 제어 신호를 디딤판 구동용 모터 장치(33)에 보낸다. 그리고, 대기 속도가 된 시점 t4로부터는 감속을 중지해 대기 속도를 유지하고, 다음의 스위치(34)의 작동, 즉 다음의 승객의 도착을 기다리는 상태가 된다.
또한, 승객이 승차로 이동하는 중에, 제 2 승객이 승강구(11a)에 도착한 경우는 제 1 승객 검출 장치(16a, 16b)의 검지 신호(36)로서 스위치(34)가 작동되어, 운전 제어 장치(31)는 "승객의 도착"을 인식하지만, 승객 컨베이어는 정상 속도로 운전중이므로, 이 속도를 유지한 채로 승차 대기 타이머(37)는 재기동된다. 또한, 제 2 승객이 제 2 승객 검출 장치(17a, 17b)를 통과하면 승객의 승차가 검지되어,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검지 신호(38)로 스위치(35)가 작동되어, 운전 제어 장치(31)는 "승객의 승차"를 인식하고, 상기 승차 대기 타이머(37)의 리세트와 운전 시간 타이머(39)를 재기동하여, 정상 속도에서의 운전을 계속시키는 제어 신호를 보낸다. 그 후, 마지막에 승차한 승객의 제 2 승객 검출 장치(17a, 17b)의 통과 검지 신호(38)에 의해 재기동된 운전 시간 타이머(39)의 설정 시간이 경과되면, 승객이 상층 플로어에 도달했다고 추정하여 정상 운전을 종료하고, 감속한다.
또, 승객이 시점 t5에서 승강구(11a)에 도착했지만, 승객 컨베이어의 이용을 멈추고, "승차 대기 설정 시간(41)" 내에 제 2 승객 검출 장치(17a, 17b)에 의해 승객이 검지되지 않았던 경우에는 상기 승차 대기 타이머(37)가 "설정 시간 경과"로 리세트되어(시점t6), 운전 제어 장치(31)는 감속하는 제어 신호를 보내고, 대기 속도에 도달한 후(시점t7)에는 대기 속도를 유지한다. 단, 운전 시간 타이머(39)의 작동중에는 운전 시간 타이머(39)가 우선되어 운전이 유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 의한 승객 컨베이어는 제 1 승객 검출 장치(16a, 16b)가 원적외선에 의한 검지 소자로 구성되어 있어, 승객이 진입해 오는 승강구(11)의 넓은 범위를 커버해 검출할 수 있고, 수신측과 송신측을 조합해 설치할 필요도 없기 때문에, 광전 폴 같은 검출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부대 설비를 필요하지 않고 설치할 수 있으며, 또한 진입 방지책 등의 부대 설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 승객 검출 장치가 눈에 띄지 않는 방법, 위치에서 설치될 수 있으므로, 승강의 의지가 없는 짓궂은 장난을 유인하기 어려워, 무의미한 운전이 회피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 제 2 승객 검출 장치는 눈에 띄지 않는 빗살의 가로의 난간 기대부(12a, 12b)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발광측(송신측)과 수광측(수신측)으로 구성되는 광전식 또는 초음파식 등에 의한 검출 장치를 제 2 승객 검지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제 1 승객 검출 장치(16a, 16b)만을 설치하고, 도 3(b)에 나타내는 상기 제 1 승객 검출 장치(16a, 16b)로부터의 검지 신호(36)에 의해 제 2 스위치(35)가 작동되고, "승객의 승차"에 필요할 시간과 "설정 운전 시간"과의 합계 T2a를 "제 2 설정 운전 시간"으로 한 운전 시간 타이머(39a)를 기동하는 운전 제어 본체 장치(31a)를 가진 승객 컨베이어는 부대 설비를 불필요하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 1 승객 검출 장치 및 제 2 승객 검출 장치를 가져서 2단계로 승객을 검지하고 있었다. 이와 같이 승객을 2단계의 검지 장치에 의해 검지하면, 승객 컨베이어의 작동의 준비를 미리 행함과 동시에, 실제로 승객이 승객 컨베이어를 타지 않는 경우에는 동작하지 않게 할 수 있어, 효율적인 동시에 무의미한 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 원적외선에 의한 검지 장치를 반드시 2개 이상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고, 1개에 의해 승객의 검지를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원적외선에 의한 승객 검지 장치를 승강구 각각에 좌우 2개소(즉, 16a, 16b 및 18a, 18b)에 설치하고 있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검지 소자의 감지 커버 에리어를 보완할 수 있고, 그 합 또는 곱에 의해 검지 범위를 확대 또는 제한하는 것도 가능해져서, 승객의 검지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그러나, 물론, 16a와 18a 같이, 1개의 검지 장치에 의해 승객을 검지하도록 해도 좋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에스컬레이터에 한정되지 않고, 단차가 없는 전동 보행로에도 이용할 수도 있고, 일반적으로 승객 컨베이어에 적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승객의 검지를 원적외선에 의해 검지하는 승객 컨베이어로서,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원적외선에 의해 승객을 검지하므로, 부대 설비를 필요로 하지 않고도 오작동이 적은 승객 컨베이어가 얻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전체 구성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하층 플로어의 승강구 부근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운전 제어 장치의 구성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승객의 통과와 운전 속도의 타이밍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종래의 승객 검출 장치를 설치한 자동 운전을 하는 에스컬레이터의 예를 측면쪽에서 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승객 컨베이어 본체
11, 11a, 11b 승강구
12a, 12b 난간 기대부
13a, 13b 빗살부
14 디딤판
15 난간
16a, 16b, 18a, 18b 제 1 승객 검출 장치
17a, 17b, 19a, 19b 제 2 승객 검출 장치
110 운전 제어 장치
31, 31a 운전 제어 본체 장치
32 전원
33 구동 모터
34 제 1 스위치
35 제 2 스위치
36 제 1 승객 검출 장치의 검지 신호
37 승차 대기 타이머
38 제 2 승객 검출 장치의 검지 신호
39, 39a 운전 시간 타이머
41 설정 운전 시간
42 리세트된 대기 설정 시간
43 대기 설정 시간

Claims (7)

  1. 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복수의 디딤판의 양측부에 설치된 난간 기대부(基臺部)의 상기 디딤판의 이동방향 양단의 승강구 정면에 배치되어 원적외선을 검지하는 승객 검출 장치와,
    이 승객 검출 장치에 의해 상기 승강구로의 승객의 진입을 검지하여 상기 디딤판의 이동을 제어하는 이동 제어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 장치.
  2. 이동하는 복수의 디딤판의 양측부에 설치된 난간 기대부의, 상기 디딤판의 이동 방향 양단의 승강구의 정면에 배치되어 원적외선을 검지하는 제 1 승객 검출 장치와, 상기 난간 기대부의 상기 승강구의 빗살 양측 상부의 측면에 배치된 제 2 승객 검출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승객 검출 장치 및 상기 제 2 승객 검출 장치에 의해서 승객의 진입을 검지하여 상기 디딤판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 장치.
  3. 이동하는 복수의 디딤판의 양측부에 설치된 난간 기대부의, 상기 디딤판의 이동 방향 양단의 승강구의 정면에 배치되어 원적외선을 검지하는 제 1 승객 검출 장치와,
    상기 난간 기대부의 상기 승강구의 빗살 양측 상부의 측면에 배치되어 원적외선을 검지하는 제 2 승객 검출 장치와,
    상기 제 1 승객 검출 장치에 의해 상기 승강구로의 사람의 진입을 검지하여 상기 디딤판의 이동을 가속하고, 상기 제 2 승객 검출 장치를 횡단함으로써 승차를 확인하는 디딤판 이동 제어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은 약 7∼14㎛ 파장의 원적외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딤판 이동 제어 수단은 상기 제 1 승객 검출 장치에서 승객의 진입 검지 전에, 상기 디딤판의 정상 이동 속도보다도 느린 대기 속도로 주행하고, 상기 제 1 승객 검출 장치에서 진입을 검지한 후에는 상기 디딤판이 정상 이동 속도로 가속하는 주행 제어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딤판 이동 제어 수단은 상기 제 2 승객 검출 장치에서 승객의 통과를 검지하여, 상기 디딤판의 이동을 정상 속도로 소정의 시간까지 운전 계속하고, 상기 소정 시간 경과 후에는 상기 이동 속도를 상기 정상 속도보다도 느린 대기 속도로 감속하는 주행 제어 수단과, 이미 정상 속도로 운전중에 상기 제 2 승객 검출 장치에서 후속하는 승객의 통과를 검지했을 때, 운전 계속의 상기 소정 시간의 개시가 상기 후속하는 승객의 통과의 검지에 의해 갱신되는 시간 설정 제어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딤판 이동 제어 수단은 상기 제 1 승객 검출 장치에서 사람의 진입을 검지하여 상기 디딤판의 이동 속도를 가속한 후, 상기 제 2 승객 검출 장치에서 승차 확인이 소정의 시간 내에 불가능한 경우에는 상기 디딤판의 이동 속도를 상기 대기 속도로 감속하는 주행 제어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 장치.
KR10-2002-0078987A 2001-12-18 2002-12-12 승객 컨베이어 장치 KR1005104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84522 2001-12-18
JP2001384522A JP4458733B2 (ja) 2001-12-18 2001-12-18 乗客コンベア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1280A KR20030051280A (ko) 2003-06-25
KR100510420B1 true KR100510420B1 (ko) 2005-08-26

Family

ID=19187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8987A KR100510420B1 (ko) 2001-12-18 2002-12-12 승객 컨베이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458733B2 (ko)
KR (1) KR100510420B1 (ko)
CN (1) CN1266024C (ko)
TW (1) TW55568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545B1 (ko) 2009-12-18 2014-04-17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용량성 센서를 갖는 승객 수송기에 관한 탑승객의 검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53763B2 (ja) * 2003-10-10 2009-10-28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自動運転方式マンコンベア
ZA200409385B (en) * 2003-12-08 2005-09-28 Inventio Ag Equipment for monitoring the space in front of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by high-frequency sensors
JP4317048B2 (ja) * 2004-02-05 2009-08-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乗客コンベア
JP4388416B2 (ja) * 2004-05-25 2009-12-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乗客コンベア装置
KR100971797B1 (ko) * 2009-09-17 2010-07-22 주혜정 투명장식물 및 그것의 제작방법
CN101934969A (zh) * 2010-03-26 2011-01-05 秦皇岛国安电力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扶梯入口人体感应器
JP5567101B2 (ja) * 2012-11-21 2014-08-06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乗客コンベア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764A (ja) * 1995-07-13 1997-02-04 Takenaka Komuten Co Ltd エスカレータ装置
KR20000037729A (ko) * 1998-12-02 2000-07-05 최선용 에스컬레이터 자동운행 온오프 스위치
KR200221319Y1 (ko) * 2000-11-23 2001-04-16 박흥열 에스컬레이터 운전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764A (ja) * 1995-07-13 1997-02-04 Takenaka Komuten Co Ltd エスカレータ装置
KR20000037729A (ko) * 1998-12-02 2000-07-05 최선용 에스컬레이터 자동운행 온오프 스위치
KR200221319Y1 (ko) * 2000-11-23 2001-04-16 박흥열 에스컬레이터 운전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545B1 (ko) 2009-12-18 2014-04-17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용량성 센서를 갖는 승객 수송기에 관한 탑승객의 검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29760A (zh) 2003-07-16
CN1266024C (zh) 2006-07-26
TW555683B (en) 2003-10-01
JP2003182962A (ja) 2003-07-03
KR20030051280A (ko) 2003-06-25
TW200301217A (en) 2003-07-01
JP4458733B2 (ja) 2010-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76497B2 (ja) 乗客コンベアの制御装置
JP6737048B2 (ja) 乗客コンベア
KR100510420B1 (ko) 승객 컨베이어 장치
JP2009166983A (ja) 乗客コンベアの安全装置および安全制御方法
JP2014169176A (ja) 乗客コンベア
JP6066774B2 (ja) 乗客コンベア
JP4771703B2 (ja) 乗客コンベア
JPH0687592A (ja) エスカレータの自動運転装置
CN109867193B (zh) 乘客输送机
JP2002068656A (ja) 乗客コンベア
JP7485474B1 (ja) 乗客コンベア及び乗客コンベアの制御方法
JP6505883B1 (ja) 乗客コンベアの制御装置及び乗客コンベアの点検運転方法
JP5676792B1 (ja) 乗客コンベア
JP3581020B2 (ja) 乗客コンベア
JP2009190864A (ja) 乗客コンベア
JP7035139B1 (ja) マンコンベアの長尺物監視システム
JP7400069B1 (ja) 乗客コンベア
JP7151809B2 (ja) 乗客コンベア
KR102308850B1 (ko)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의 안전운행 제어장치
JP7179917B1 (ja) 乗客コンベアの制御装置
JP2000007257A (ja) 可変速式乗客コンベア
JP4056806B2 (ja) 乗客コンベアの自動運転装置
CN115072536A (zh) 乘客输送机的安全装置
EP1403205B1 (en) Control apparatus for passenger conveyor and passenger detecting device
CN112744682A (zh) 乘客输送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