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8131B1 - 물침대식맛사지기 - Google Patents

물침대식맛사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8131B1
KR100508131B1 KR1019980706272A KR19980706272A KR100508131B1 KR 100508131 B1 KR100508131 B1 KR 100508131B1 KR 1019980706272 A KR1019980706272 A KR 1019980706272A KR 19980706272 A KR19980706272 A KR 19980706272A KR 100508131 B1 KR100508131 B1 KR 100508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nozzle
massage
water
massa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6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2536A (ko
Inventor
테츠야 코레나가
Original Assignee
셀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셀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셀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82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2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8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81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61H9/0021Hydraulic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61H9/0021Hydraulic massage
    • A61H2009/0042Hydraulic massage with water re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2B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4Layer between the skin and massage elements, e.g. fluid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57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 A61H2201/1664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linear
    • A61H2201/1669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linear moving along the body in a reciprocating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43Position of the patient substantially horizontal
    • A61H2203/0456Su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6Arms
    • A61H2205/062Shoul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1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4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hydraulic or pneumatic drive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피맛사지자의 등뼈를 중심으로 어깨폭 방향으로 좌우대칭인 여러 가지 위치를 적온으로 자극하는 것이 가능한 맛사지기를 제공한다. 상부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상자형의 수조 내에 물 또는 뜨거운 물을 충진하는 것과 같이, 개구부에 유연성 시트를 수밀상태로 장설하여, 시트의 상면에 피맛사지자가 누울 수 있는 물침대를 구성하고, 수조 내부에, 시트 이면을 향하여 물 또는 뜨거운 물을 분출 가능하게 한 좌우의 노즐을 배설하고, 더욱이 상기 좌우의 노즐은 피맛사지자의 신장방향 및 어깨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하고, 노즐을 회동을 포함하는 변위 이동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물침대식 맛사지기
본 발명은 전신을 맛사지 가능하게 하는 맛사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 또는 뜨거운 물을 충진한 물침대를 형성하고, 이러한 물침대 상에 가로누운 피맛사지자의 전신을 맛사지 하는 것이 가능한 맛자지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신을 맛사지 가능하게 하는 맛사지기로서, 국제출원 PCT/US90/ 03505(국제 공개번호 WO90/15585)호에 개시되어 있는 침대식의 것이 있다.
이것은, 내부에 맛사지실을 형성한 상방 개구의 하우징과, 상기 개구에 장설하고, 가로 누운 사람을 유지하는 유연성막과, 상기 맛사지실 내에 설치되고, 유연성막을 향하여 제트분류를 분사하는 유체제트장치와, 상기 유체제트장치에 가압유체를 공급하는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유체 제트장치는, 맛사지실 내부를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하고 있고, 유체제트장치를 슬라이드시키면서, 제트분류를 유연성막의 이면에서 누운 사람에게 분사하는 것에 의하여 전신을 맛사지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국제출원 PCT/US90/03505(국제공개번호 WO90/15585)에 개시되어 있는 종래의 맛사지기에 있어서는 유체제트장치가 맛사지실 내부의 길이 방향만을 따라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일반적으로 인체의 맛사지를 행하는 경우에는, 인체의 등뼈를 중심으로하여 어깨폭 방향으로 좌우 대칭인 위치를 적온으로 자극하는 것에 의하여, 보다 높은 맛사지 효과가 얻어지기 때문에, 유체제트장치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한 맛사지 효과를 얻을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맛사지기에 있어서는, 피맛사지자를 유연성막 만으로 유지하기 때문에, 강도상의 문제에서 유연성막은 어느 정도 두께를 가지도록 하지 않으면 안되고, 더욱이 이러한 두께를 통하여 제트분류압을 인체에 전달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유체제트장치 및 상기 유체제트장치에 가압유체를 공급하는 장치, 예를 들면 펌프 등이 대형화되지 않으면 안되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두께를 가지는 유연성막에서는, 사용자의 누운 상태가 나쁘기 때문에, 신체의 형상에 적합하지 않다.
또한 일반적으로 맛사지는 신체를 따뜻하게 하면서 행하는 것이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유연성막이 차거나, 예를 들면 유체를 가열하여도 맛사지 효과는 반감하고 마는 단점이 있다.
또한 수조 내의 뜨거운 물 등의 온도를 강제적으로 냉각하는 장치를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맛사지기를 연속 사용하는 경우에는 뜨거운 물 등의 마찰에 의하여 수조 내의 온수 등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고, 적온에서의 맛사지를 장시간 연속하여 행하는 것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도 1은 본 실시에에 의한 물침대식 맛사지기를 보인 측면설명도.
도 2는 같은 평면도.
도 3은 분류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분류장치의 일부 절취 정면도.
도 5는 분류장치를 이동하는 기구를 보인 정면도.
도 6은 도 4의 I-I선 단면도.
도 7은 시트의 부착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8은 다른 실시예로서의 분류장치를 보인 평면도.
도 9는 다른 실시예로서의 분류장치를 이동하는 기구를 보인 평면도.
도 10은 다른 실시예로서의 분류장치를 보인 평면도.
도 11은 다른 실시예로서의 분류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12는 다른 실시예로서의 분류장치를 보인 평면도.
도 13은 다른 실시예로서의 분류장치를 이동하는 기구를 보인 평면도.
도 14는 다른 실시예로서의 분류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15는 다른 실시예로서의 분류장치를 이동하는 기구를 보인 평면도.
도 16은 다른 실시예로서으 물침대식 맛사지기를 보인 측면 설명도.
도 17은 같은 평면 설명도.
도 18은 다른 실시예로서의 분류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19는 다른 실시예로서의 물침대식 맛사지기를 보인 평면 설명도.
도 20은 다른 실시예로서의 분류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21은 노즐을 피맛사지자의 신장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키는 경우의 맛사지부위의 궤적을 보인 설명도.
도 22는 노즐을 피맛사지자의 어깨폭 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키는 경우의 맛사지부위의 궤적을 보인 설명도.
도 23은 노즐을 회동시킨 경우의 맛사지부위의 궤적을 보인 설명도.
도 24는 노즐을 회동시키면서 피맛사지자의 신장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의 맛자지부위의 궤적을 보인 설명도.
도 25는 노즐을 피맛사지자의 어깨폭 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면서신장방향으로도 이동시킨 경우의 맛자지부위의 궤적을 보인 설명도.
도 26은 노즐을 피맛사지자의 신장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노즐에서 분류를 간헐적으로 분사하는 경우의 맛사지부위의 궤적을 보인 설명도.
도 27은 노즐을 피맛사지자의 신장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면서 어깨폭 방향으로도 이동시킨 경우의 맛사지부위의 궤적을 보인 설명도.
도 28은 피맛사지자의 상반신에 대하여 노즐을 어깨폭방향으로 왕복이동시켜, 피맛사지자의 하반신에 대하여 노즐을 신장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킨 경우의 마삿지부위의 궤적을 보인 설명도.
도 29는 피맛사지자의 상반신에 대하여 노즐을 회동시키면서 신장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피맛사지자의 하반신에 대하여 노즐을 어깨폭 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킨 경우의 맛사지부위의 궤적을 보인 설명도.
도 30은 피맛사지자의 우반신에 대해서는 노즐을 회동시키면서 신장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피맛사지자의 좌반신에 대해서는 노즐을 어깨폭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킨 경우의 맛사지부위의 궤적을 보인 설명도.
본 발명은, 상부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상자형의 수조 내에 물 또는 뜨거운 물을 충진하는 것과 함께, 개구부에 유연성의 시트를 수밀상태로 장설하여, 상기 시트 상면에 피맛사지자가 가로 누울 수 있는 물침대를 구성하고, 수조 내부에, 시트 이면을 향하여 물 또는 뜨거운 물을 분사 사능하게 하는 좌우의 노즐을 설치하고, 더욱이 좌우의 노즐은, 피맛사지자의 신장 방향 및 어깨폭방향으로 각각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며, 노즐의 회동을 포함하는 변위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한다.
또한 상부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상자형의 수조 내에 물 또는 뜨거운 물을 충진함과 같이, 개구부에 유연성 시트를 수밀 상태로 장설하여, 시트 상면에 피맛사지자가 가로 누울 수 있는 물침대를 구성하고, 수조내부에 시트 이면을 향하여 물 또는 온수를 분출 가능한 좌우 한쌍의 누즐을 피맛사지자의 어깨폭 방향으로 배치하는 구성을 가지고, 더욱이 좌우 한쌍의 노즐은 피맛사지자의 신장 방향으로 이동할 있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피맛사지자의 어깨 방향을 향하여 좌우 대칭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하며, 한쌍의 노즐을 회동을 포함하는 변위이동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상기 수조 내부에 캐리어를 피맛사지자의 신장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설하는 것과 같이 상기 캐리어의 상부에 한쌍의 노즐을 이동용 치차를 치합시킨 상태에서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하고, 상기 한쌍의 노즐 이동용 치차에 상기 노즐을 배설하여, 한쌍의 노즐을 회동을 포함하는 변위 이동 가능하게 구성한다.
또한 상기 수조내부에 충진한 물 또는 온수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도면을 따라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물침대식 맛사지기의 사용상태를 모식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물침대식 맛사지기(A)는, 상부에 개구부(2a)를 구비하는 상자체 형상의 수조(2)의 내부에 물 또는 뜨거운물(탕)을 충진함과 같이(함께), 개구부(2a)에 유연성시트(3)을 수밀 상태로 장설하여 물침대를 구성하고 있다. 더욱이 수조(2)의 저면(2b)에는 분류(噴流)장치(1)를, 시트(3) 상에 누운 피맛사지자(P)의 신장방향 및 어깨폭방향을 향하여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물침대식 맛사지기(A)의 각 부분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수조(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면(2b)에 흡수구(10)를 형성함과 같이, 측벽(2c)에 분출구(9)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흡수구(10)과 분출구(9)의 사이에는, 순환펌프(11)를 설치한다. 또한 분출구(9)에, 분류장치(1)에 배설된 노즐(5,5)를 연동, 연결하고 있다. 도면중 8a는 분류장치(1)의 왕복이동에 추종할 수 있는 유연성을 구비하는 분출호스이고, 선단을 두 개로 분기하여 노즐(5,5)에 접속하고 있다. 또한 8b는 연결파이프이다.
그리고 순환펌프(11)를 구동하는 것에 의하여, 수조(2) 내의 뜨거운 물 등을 흡수구(10)에서 흡입하고, 노즐(5,5)을 통하여 분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수조(2)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면(2b)의 길이방향 양단에 구동풀리(24)와 종동풀리(23)을 각각 설치하고, 양 풀리(23,24) 사이에 분류장치 이동용 벨트(25)를 설치하는 것과 같이(함께) 분류장치 이동용 벨트(25)의 측방에, 노즐(5,5)을 어깨폭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스플라인축(22)을 분류장치이동용 벨트(25)에 설치하고 있다.
다음에 분류장치(1)의 구성에 대하여 노즐(5,5)을 피맛사지자(P)의 신장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과, 어깨폭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을 나누어 설명한다.
우선, 노즐(5,5)을 피맛사지자(P)의 신장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분류장치(1)의 구성을 살펴본다.
분류장치(1)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리어(7)의 상부에 한쌍의 노즐이동용치차(6,6)를 설치하고, 캐리어(7)의 하부에 전동륜(30,30)을 설치하고 있다.
캐리어(7)은, 평판상의 기본대(7b)의 하면에 전동륜지지체(7d,7d)를 수직 설치하고, 상기 전동륜지지체(7d,7d)에 전동륜(30,30)을 축지지하고 있다. 도면중 31은 회동축이다.
또한 캐리어(7)은, 기본대(7b) 상면에 벨트지지체(7a,7a)를 입설하고, 양 벨트지지체(7a,7a)에 의하여 분류장치 이동용벨트(25)를 협지하고 있다. 34,35는 고정용 볼트 및 너트이다.
분류장치 이용용벨트(25)를 회동시키는 기구에 대하여 도 5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분류장치 이동용벨트(25)는, 수조(2)의 하부에 설치된 벨트 구동용모터(16)에 구동풀리(24)를 통하여 연동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즉 벨트 구동용모터(16) 풀리축(47)을 연동 연결함과 같이(함께), 풀리축(47)의 선단에 구동풀리(24)를 부착하고, 상기 구동풀리(24)에 분류장치 이동용벨트(25)를 장착하고 있다. 풀리축(47)은, 수조(2)의 저면(2b)에 형성한 관통공(2e)에 부착된 풀리축 지지원통(5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면중 48은 벨트구동용모터(16)의 출력축(56)에 부착되는 구동 베벨기어, 49는 구동베벨기어(48)과 치합하는 종동 베벨기어, 51은 패킹재, 52는 베어링, 53은 부착용 너트, 64는 오일실이다.
그리고 벨트 구동용모터(16)를 구동하는 것에 의하여 분류장치 이동용벨트(25)가 회동하여, 벨트(25)에 연결된 분류장치(1)를 레일(19)을 따라 수조(2)의 길이방향, 즉 시트(3) 상으로 누운 피맛사지자(P)의 신장방향으로 왕복이동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풀리축(47)의 하단부에는, 로터리엔코더(54)를 설치하고, 풀리축(47)의 회전량을 측정하는 것에 의하여 분류장치(1)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도면중 55는 풀리축(47)의 하단부에 부착된 검출원판이다.
다음에 노즐(5,5)를 피맛사지자(P)의 어깨폭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분류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분류장치(1)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리어(7)의 상부에 한쌍의 노즐이동용치차(6,6)을 치합시킨 상태로 축지지하고 있다. 즉 캐리어(7)의 기본대(7b)의 상면에 축지지원통(36,36)을 입설하고, 상기 축지지원통(36,36)의 중공부에 노즐이동용치차(6,6)의 회동축(29,29)를 삽입하고 있다. 노즐이동용치차(6,6)의 상면에는, 노즐(5,5)을 회동축(5b)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부착한다. 도면중 5a는 노즐(5)의 분출구이다.
노즐이동용치차(6,6)를 회동시키는 기구에 대하여 도 4 및 도 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노즐이동용치차(6,6)는, 수조(2)의 측벽(2d)의 이면에 설치된 노즐이동용모터(17)에 스플라인축(22)을 통하여 연동 연결되어 있다. 즉 노즐이동용모터(17)에 스플라인축(22)을 연동 연결함과 같이(함께), 스플라인축(22)에 구동베벨기어(40)를 스플라인 결합하고, 상기 구동베벨기어(40)에 노즐이동용치차(6,6)을 연동 연결하고 있다. 도면중 32는 노즐이동용치차(6)에 치합하는 중간치차, 41은 중간치차(32)와 일체로 형성되는 종동베벨기어, 44는 노즐이동용 모터(17)의 출력축(57)에 부착된 구동치차, 43은 구동치차(44)에 치합하는 종동치차, 45는 구동베벨기어(40)와 스플라인축(22)을 스플라인 결합하기 위한 키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노즐이동용모터(17)를 구동하는 것에 의하여, 스플라인축(22)을 회동시키고, 구동베벨기어(40)를 회동시킴과 동시에, 한쌍의 노즐이동용치차(6,6)를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동시켜서, 한쌍의 노즐(5,5)을 근접 또는 이격되는 방향, 즉 시트(3) 상에 누운 피맛사지자(P)의 어깨방향으로, 더욱이 좌우대칭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도 6에 있어서 46은 스플라인축(22)의 일단에 부착된 포텐셔메터(potentiometer)이고, 스플라인축(22)의 회동량을 측정하는 것에 의하여, 노즐(5,5)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물침대식 맛사지기(A)는, 시트(3) 상에 누운 피맛사지자(P)의 신장방향 및 어깨폭방향으로, 더욱이 좌우대칭으로 노즐을 왕복이동시키는 것에 가능하기 때문에, 피맛사지자(P)의 등뼈를 중심으로 하여 어깨폭방향으로 좌우대칭인 여러 가지 위치를 자극하는 것이 가능하고, 보다 높은 마사지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크기가 같은 2개의 노즐이동용치차(6,6)를 사용하고 있어서, 분류장치(1)를 간단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동일한 노즐이동용치차(6,6)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분류장치(1)를 간단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며, 제조가 용이하면서도 유지성이 우수한 물침대식 맛사지기(A)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유연성시트(3)의 부착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시트(3)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조(2)의 개구부(2a)의 주연에 장설되어 있다. 즉 수조(2)의 개구부(2a)의 주연에 플랜지(58)를 형성하고, 상기 플랜지(58)에 형성된 주연홈(59)에 시트(3)의 단부를 일단 접어넣음과 동시에 상기 주연홈(59)에 실링용프레임(60)을 삽입결합하고, 실링용프레임(60)을 멈춤판(62)으로 압입하고 있다. 멈춤판(62)는 플랜지(58) 및 프레임(4)에 볼트(61)로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수조(2) 내의 뜨거운물 등을 수밀상태로 유지하고, 수조(2) 외부로 흘러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시트(3)는, 신체의 형상에 꼭 접합하도록, 얇으면서도 탄력성을 구비하는 유연성고무를 소재로 하고 있고, 수조(2) 내의 뜨거운 물 등과 같이 인체를 지지하게 된다.
이 때문에 시트(3)에 누운 경우, 누운상태가 편하고, 분류장치(1)에서의 분류압력을 충분하게 피맛사지자(P)에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며, 쾌적한 맛사지를 실현할 수 있다.
다음에 수조(2) 내의 뜨거운 물 등을 적온으로 유지하기 위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조(2)의 측벽(2d)에 흡인구(12)와 토출구(13)를 형성함과 같이 흡인구(12)와 토출구(13)의 사이에 흡인펌프(14)와 라디에이터(15)를 설치하고 있다. 라디에이터(15)에는, 냉각팬(63)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수조(2)의 측벽(2c)에 히터(18)를 설치한다. 도면중 33은 연결파이프이다.
그리고 흡인펌프(14)에 의하여 흡인구(12)에서 수조(2)내로 뜨거운 물 등을 흡인하고, 라디에이터(15) 및 냉각팬(63)에 의하여 뜨거운 물 등을 강제적으로 냉각하며, 다시 토출구(13)에서 수조(2) 내로 토출되는 것에 의하여 수조(2)내의 뜨거운 물 등을 냉각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히터(18)에 의하여 수조(2) 내의 뜨거운 물 등을 가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문에, 수조(2) 내에 수온센서를 설치하고, 수온센서에 의하여 수조(2) 내의 뜨거운 물 등의 온도를 측정하며, 뜨거운 물 등을 가열 또는 냉각하는 것에 의하여 항상 수조(2) 내의 수온을 적온을 유지할 수 있고, 맛사지 효과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수조(2) 내의 수온에 의하여 시트(3)도 적온으로 유지될 수 있어서, 시트(3) 상에 누운 피맛사지자(P)도, 시트(3)가 뜨거워지거나 냉각되는 일 없이 불쾌감을 받지 않게 된다.
또한 분류장치(1)에서 분출하는 분류에 의하여 수조(2) 내에서 뜨거운 물 등이 마찰하는 것에 의하여 수조(2) 내의 수온이 상승하여도 수조(2) 내의 뜨거운 물 등을 냉각하는 것이 가능하고, 물침대식 맛사지기(A)를 장시간 연속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라디에이터(15) 및 냉각팬(63)을 사용하여 수조(2) 내의 뜨거운 물 등을 냉각 가능하게 하고 있으나, 수조(2) 내부에 파이프를 배관하고 상기 파이프에 냉각수를 흘리는 것에 의하여서도 뜨거운 물 등을 냉각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물침대식의 맛사지기(A)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순환펌프(11), 벨트구동용모터(16), 노즐이동용모터(17), 흡인펌프(14) 및 히터(18)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20) 및 그 조작을 수행하는 조작부(26)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노즐(5,5)에서 분출되는 수압, 노즐(5,5)의 위치, 수조(2) 내의 수온 등의 각종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특히 노즐(5,5)에서 분출되는 분류의 강도를 빨리 그리고 램덤하게 변화시키는 것에 의하여 피맛사지자(P)에 대하여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자극이 부여되기 때문에, 단조로운 자극이 부여되는 것에 의하여 생기는 자극에 대한 만성 등이 생기지 않고, 보다 높은 맛사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때문에 물침대식 맛사지기(A)는, 피맛사지자(P)에 따라서 적절한 각종 맛사지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도 21 ~ 도 27 참조).
도 21은 노즐(5,5)를 피맛사지자(P)의 신장 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킨 경우의 맛사지 부위의 궤적(S)을 보이고 있다. 이 경우에는 캐리어(7)만을 피맛사지자(P)의 신장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킨다. 그리고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5,5)에서 분출되는 분류에 의하여 피맛사지자(P)의 머리부분에서 다리부분에 걸쳐 연속적으로 존재하고 있는 각종의 급소 또는 혈을 자극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22는 노즐(5,5)을 피맛사지자(P)의 어깨폭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킨 경우의 맛사지 부위의 궤적(S)를 보이고 있다. 이 경우에는, 노즐이동용치차(6,6)의 회동에 의하여 원호상으로 이동하는 노즐(5,5)을 피맛자지자(P)의 어깨폭방향으로 직선형으로 왕복운동시키는 캐리어(7)를 피맛사지자(P)의 신장방향으로 적절하게 이동시키고 있다. 그리고 도 22와 같이 노즐(5,5)에서 분출되는 분류에 의하여 피맛사지자(P)의 등뼈를 중심으로 하여 좌우양측으로 연속적으로 존재하고 있는 각종 급소를 자극할 수 있다.
도 23은, 노즐(5,5)을 회동시킨 경우의 맛사지부위의 궤적(S)을 보이고 있다. 이 경우에는, 노즐이동용치차(6,6) 만을 피맛사지자(P)의 소정 개소에 있어서 회동시키고 있다. 그리고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5,5)에서 분출하는 분류에 의하여 피맛사지자(P)의 등에 존재하는 혈(급소) 등의 주변을, 손으로 맛사지 하는 것과 동일하게 자극할 수 있다.
도 24는 노즐(5,5)을 회동시키면서 피맛사지자(P)의 신장방향으로 이동시킨 경우의 맛사지부위의 궤적(S)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노즐이동용치차(6,6)를 회동시키면서 캐리어(7)를 피맛사지자(P)의 신장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있다. 그리고 도 24에서와 같이, 노즐(5,5)에서 분출하는 분류에 의하여, 피맛사지자(P)의 등에 있는 각종 부분을 전체적으로 자극할 수 있다.
도 25는, 노즐(5,5)을 피맛사지자(P)의 어깨폭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면서 신장방향으로 이동시킨 경우의 맛사지부위의 궤적(S)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노즐이동용치차(6,6)의 회동에 의하여 원호상으로 이동하는 노즐(5,5)을 피맛사지자(P)의 어깨폭방향으로 직선상으로 왕복이동시키는 것과 같이 신장방향으로도 이동시키는 캐리어(7)를 피맛사지자(P)의 신장방향으로 적절하게 이동시킨다. 도 25에서와 같이, 노즐(5,5)에서 분출하는 분류에 의하여 피맛사지자(P)의 등뼈를 중심으로 하여 좌우양측에 연속적으로 존재하고 있는 각종의 급소를 전체적으로 자극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6은, 노즐(5,5)를 피맛사지자(P)의 신장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노즐(5,5)에서 분류를 간헐적으로 분출시키는 경우의 맛사지부위의 궤적(S)을 보인다. 이 경우에는, 캐리어(7)만을 피맛사지자(P)의 신장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순환펌프(11)를 간헐적으로 작동시키고 있다. 그리고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5,5)에서 분출되는 분류에 의하여 피맛사지자(P)의 머리부분에서 다리부분에 걸쳐 존재하는 각종 급소를 직접 그리고 집중적으로 자극할 수 있다.
또한 피맛사지자(P)에 단조로운 자극이 연속적으로 부여되면, 자극에 대하여 익숙해져 버리는 것이 있지만, 이와 같이 피맛사지자(P)에 간헐적인 자극을 부여하는 것에 의하여 자극에 대하여 익숙해져 버리는 현상의 발생을 방지한다. 더욱이 노즐(5,5)에서 분출되는 분류의 강도나 분류를 분출시키는 시간 간격을 램덤하게 변환시키는 것에 의하여 피맛사지자(P)에 대하여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자극이 부여되기 때문에 자극에 대한 만성이 생기지 않고 보다 높은 맛사지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27은, 노즐(5,5)을 피맛사지자(P)의 신장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면서 어깨폭향향으로도 이동시킨 경우의 맛사지부위의 궤적(S)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캐리어(7)를 피맛사지자(P)의 신장방향을 이동시킨 후에, 노즐 이동용치차(6,6)를 회동시키고, 더욱이 치차(7)를 신장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있다. 그리고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5,5)에서 분출되는 분류에 의하여, 피맛사지자(P)의 등에 있는 각종 급소를 전체적으로 자극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물침대식 맛사지기(A)는, 노즐(5,5)에서 분출되는 분류에 의하여 피맛사지자(P)의 등에 있는 각종의 급소를 자극하는 것이 가능하고, 더욱이 피맛사지자(P)의 등뼈를 중심으로 어깨폭방향으로 좌우 대칭으로 자극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보다 높은 맛사지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분류장치(1)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8 및 도 9에는, 분류장치의 제2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분류장치(1)는 캐리어(7)의 상부에 노즐이동축(71)을 회동 가능하게 배설하고 있고, 노즐이동축(71)의 좌측외주면에는 우나사산(71a)를 형성함과 같이(함께) 좌측 외주면에는 좌나사산(71b)를 형성하며, 각각에 노즐(5,5)를 고정한 노즐이동체(74,74)를 나사결합하고 있다. 도면중 72는 노즐이동축(71)을 회동 가능하게 삽입관통하는 축지지체, 73은 부착용 피스이다.
그리고 노즐이동축(71)의 일단부에는, 유연성을 가지는 플렉시블샤프트(70)를 연동 연결한다. 플렉시블샤프트(7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조(2)의 측벽(2d)의 이측에 배치된 노즐이동용모터(17)에 연동 연결되어 있고, 수조(2)의 내부에 있어서, 노즐이동용모터(17)의 동력을 분류장치(1)에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노즐이동용 모터(17)를 구동하는 것에 의하여, 플렉시블샤프트(70)를 통하여 노즐이동축(71)이 회동하고 한쌍의 노즐(5,5)을 근접 또는 이격하는 방향 즉 시트(3) 상에 누운 피맛사지자(P)의 어깨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있다.
도 10은 분류장치의 제3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분류장치(1)는 캐리어(7)의 상부에 노즐이동축(71)을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고, 노즐이동축(71)의 외주면에는 우나사산(71a)를 형성하고, 상기 우나사산(71a)에 이동체(76)를 나사결합한다. 그리고 캐리어(7)의 단부에 고착된 축지지체(72)와 이동체(76)를, 노즐(5,5)을 고착한 노즐이동체(74)를 통하여 좌우 한쌍의 연결부재(77,77)에 의하여 연결하고 있다. 또한 노즐이동축(71)의 단부에는 상기 제2실시예와 동일하게 플렉시블샤프트(70)를 연동 연결한다. 도면중 72는 노즐이동축(71)을 회동 가능하게 관통한 축지지체, 73은 부착용피스, 75는 연결핀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노즐이동용모터(17)를 구동하는 것에 의하여 플렉시블샤프트(70)를 통하여 노즐이동축(71)이 회동하고, 이동체(76)가 노즐이동축(71)을 따라 이동하며, 연결부재(77,77)를 통하여 한쌍의 노즐이동체(74,74) 및 노즐(5,5)을 근접 또는 이격하는 방향, 즉 시트(3) 상에 누운 피맛사지자(P)의 어깨폭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있다.
도 11은, 분류장치의 제4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분류장치(1)는 캐리어(7)의 상부에 축지지체(7e)를 입설하고, 상기 축지지체(7e)에 상기 제2실시예와 동일한 플렉시블샤프트(70)를 삽입,관통하며, 플렉시블샤프트(70)의 선단에 피니언기어(80)를 연동 연결하고 있다. 그리고 캐리어(7)의 상부에 피니언기어(80)에 한쌍의 랙기어(78,78)를 연동 연결하고, 상기 랙기어(78,78)에 노즐(5,5)을 부착하고 있다. 도면중 79는 한쌍의 노즐(5,5)의 높이를 동일하게 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보조지지체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노즐이동용모터(17)를 구동하는 것에 의하여 플렉시블샤프트(70)를 통하여 피니언기어(80)가 회동하고, 랙기어(78)가 좌우로 이동하며 한쌍의 노즐(5,5)을 근접 또는 이격하는 방향, 즉 시트(3) 상에 누운 피맛사지자(P)의 어깨폭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하고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분류장치의 제5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분류장치(1)는 캐리어(7) 상부에 노즐이동용 종동풀리(81)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함과 같이, 노즐이동용 종동풀리(81)의 상방에 피니언기어(89)를 상기 축상태로 연동 연결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피니언기어(89)에, 선단에 노즐(5,5)을 부착한 노즐이동체(83,83)를 연동 연결한다. 즉 피니언기어(89)에 랙기어(82a)를 치합하고, 랙기어(82a)의 선단에 연결체(82)를 연결하며, 상기 연결체(82)에 가이드공(82b,82b)를 수평방향을 향하여 형성하고, 강기 가이드공(82b,82b)에 노즐이동체(83,83)의 기단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상기 노즐이동체(83,83)는 도중에서 교착되는 것과 같이 선단에 노즐(5,5)을 부착하고 있다. 도면중 86은 지지축, 87은 연결핀이다.
도 13은 노즐이동용 종동풀리(81)를 회동시키는 기구를 도시하고 있고, 수조(2)의 저면(2b)의 우단부에 노즐이동용 구동풀리(90)를 설치하고, 상기 노즐이동용 구동풀리(90)과 노즐이동용 종동풀리(81)를 핀(92)를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연결부재(85)에 의하여 연결하고 있다. 그리고 핀(92)에 텐션풀리(91)를 회동 가능하게 부착하고, 텐션풀리(91), 노즐이동용 구동풀리(90) 및 노즐이동용 종동풀리(81)에 엔드리스 타이밍벨트(84)를 권취하고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노즐이동용 구동풀리(90)에는, 수조(2)의 하부에 노즐이동용 모터(17)를 연동 연결하고 있다. 이 때문에 수조(2) 내에 있어서, 노즐이동용 모터(17)의 동력을 분류장치(1)에 전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노즐이동용모터(17)를 구동하는 것에 의하여, 타이밍 벨트(84)를 통하여 노즐이동용 종동풀리(81)가 회동하고, 한쌍의 노즐(5,5)을 근접 또는 이격하는 방향, 즉 시트(3) 상에서 누운 피맛사지자(P)의 어깨폭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14 및 도 15는, 분류장치의 제6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분류장치(1)는 캐리어(7) 상부에 축지지체(7e,7e)를 입설하고, 상기 축지지체(7e,7e)에, 노즐(5,5)을 고정한 한쌍의 노즐이동체치차(93,93)을 치합한 상태로 축지지하고 있다. 또한 캐리어(7)의 상부에 노즐이동용 종동풀리(81)를 회동 가능하게 배치함과 같이 상기 노즐이동용 종동풀리(81)에 축상태로 연동 연결한 노즐이동용 기어(94)에 노즐이동용치차(93)와 치합하고 있다. 도면중 88은 회동축이다.
도 15는, 노즐이동용 종동풀리(81)를 회동하는 기구를 도시하고 있다. 수조(2)의 저면(2b)의 우단부에 노즐이동용 구동풀리(90)를 배치함과 같이(함께), 좌단부에 종동풀리(97)를 배치하고, 양풀리(90,97) 사이에 엔드리스 타이밍벨트(84)를 권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타이밍벨트(84)에 상기 노즐이동용 종동풀리(81)를 연동 연결한다. 상기 노즐이동용 구동풀리(90)는, 수조(2)의 하부에 노즐이동용모터(17)를 연동 연결한다. 따라서 수조(2)의 내부에 있어서, 노즐이동용모터(17)의 동력을 분류장치(1)에 전달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도면중 96은 텐션풀리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노즐이동용모터(17)를 구동하는 것에 의하여, 타이밍벨트(84)를 통하여 노즐이동용 종동풀리(81)가 회동하고, 한쌍의 노즐(5,5)를 근접 또는 이격하는 방향, 즉 시트(3) 상에 누운 피맛사지자(P)의 어깨폭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도 16~도 18은, 분류장치의 제7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분류장치를 상반신용의 분류장치(1U)와 하반신용의 분류장치(1D)로 구성한다. 이 때문에 수조(2)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면(2b)의 길이 방향 양단에 구동풀리(24U,24D)와 종동풀리(23U,23D)를 각각 설치하고, 양풀리(23U,23D,24U,24D) 사이에 분류장치이동용벨트(25U,25D)를 각각 권취하고 있다. 그리고 분류장치이동용벨트(25U,25D)의 하방에 상하반신 공통의 레일(19)를 분류장치 이동용벨트(25U,25D)를 따라 설치함과 같이 분류장치이동용벨트(25U,25D)의 측방에 스플라인축(22U,22D)를 분류장치이동용벨트(25U,25D)를 따라 각각 설치한다. 도면중 9U,9D는 분출구, 10U,10D는 흡수구, 11U,11D는 순환펌프, 17U,17D는 노즐이동용모터, 19a,19b,19c는 레일홈이다.
상반신용의 분류장치(1U)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치차(7U)에 분류장치 이동용벨트(25U)를 연동연결하고 있다. 한편, 하반신용의 분류장치(1D)는, 상반신용의 분류장치(1U)와 조우대칭으로 구성되어 있고, 캐리어(7D)에 분류장치이동용벨트(25D)를 연동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벨트구동용모터(16U,16D)를 구동하는 것에 의하여 분류장치이동용벨트(25U,25D)가 회동하여 상기 벨트(25U,25D)에 연결된 분류장치(1U,1D)를 각각 독립시켜서 레일(19)을 따라 수조(2)의 길이방향, 즉 시트(3) 상에 누운 피맛사지자(P)의 신장방향으로 왕복운동하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물침대식 맛사지기(A)는, 피맛사지자(P)의 상반신 및 하반신 각각에 대하여 적절한 각종의 맛사지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도 28 및 도 29 참조)
도 28은, 피맛사지자(P)의 상반신에 대하여 노즐(5,5)을 어깨폭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고, 피맛사지자(P)의 하반신에 대하여 노즐(5,5)을 신장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킨 경우의 맛사지부위의 궤적(S)를 보이고 있다.
도 29는, 피맛사지자(P)의 산반신에 대해서 노즐(5,5)을 회동시키면서 신장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피맛사지자(P)의 하반신에 대해서 노즐(5,5)을 어깨폭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킨 경우의 맛사지부위의 궤적(S)를 보인다.
이와 같이 도 21 내지 도 27에 도시한 각종의 맛사지를 적절하게 조합하여, 피맛사지자(P)의 부위에 따라 각종의 맛사지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은, 분류장치의 제8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분류장치를 좌반신용의 분류장치(1L)과 우반신용의 분류장치(1R)로 구성한다. 이 때문에 수조(2)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면(2b)의 길이방향 양단에 구동풀리(24L,24R)과 종동풀리(23L,23R)을 각각 설치하고, 양 풀리(23L,23R,24L,24R) 사이에 분류장치이동용벨트(25L,25R)를 각각 권취하고 있다. 그리고 분류장치이동용벨트(25L,25R)의 하방에 레일(19L,19R)을 분류장치이동용벨트(25L,25R)의 측방에 스플라인축(22L,22R)을 분류장치 이동용벨트(25L,25R)을 따라 각각 배치하고 있다. 도면중 9L,9R은 분출구, 10L,10R은 흡수구, 11L,11R은 순환펌프, 17L,17R은 노즐이동용모터이다.
좌반신용의 분류장치(1L)은,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리어(7L)의 상부에 한 개의 노즐이동용치차(6)를 축지지하고, 상기 노즐이동용치차(6)의 상면에 노즐(5)을 회동축(5b)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부착하고 있다. 또한 캐리어(7L)에 분류장치이동용벨트(35L)을 연동 연결하고 있다. 한편 우반신용의 분류장치(1R)은, 좌반신용의 분류장치(1L)과 좌우대칭으로 구성되고, 캐리어(7R)에 분류장치이동용벨트(25R)을 연동 연결하고 있다.
그리고 벨트구동용모터(16L,16R)을 구동하는 것에 의하여 분류장치 이동용 벨트(25L,25R)이 회동하여 상기 벨트(25L,25R)에 연결된 분류장치(1L,1R)을 각각 독립시켜 레일(19L,19R)을 따라 수조(2)의 길이방향, 즉 시트(3) 상에 누운 피맛사지자(P)의 신장방향으로 좌우 반신이 독립하여 왕복 이동하도록 한다.
이 때문에 물침대식 맛사지기(A)는, 피맛사지자(P)의 좌반식 및 우반식 각각에 대하여 적절한 각종의 맛사지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도 30 참조)
도 30은 피맛사지자(P)의 우반신에 대해서 노즐(5,5)을 회동시키면서 신장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피맛사지자(P)의 좌반신에 대해서는 노즐(5,5)을 어깨폭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킨 경우의 맛사지부위의 궤적(S)을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이 도 21 내지 도 27에 도시한 각종의 맛사지를 적절하게 조합하는 것에 의하여 피맛사지자(P)의 부위에 따라 각종 맛사지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은 형태로 실시되고,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즉, 상부에 개구부를 가지는 상자형의 수조 내에 물 또는 뜨거운 물을 충진함과 동시에 개구부에 유연성 시트를 수밀상태로 장설하여, 시트의 상면에 피맛사지자가 누울 수 있는 물침대를 구성하고, 수조 내부에 시트 표면을 향하여 물 또는 뜨거운 물을 분출 가능한 좌우의 노즐을 배치하고, 더욱이 좌우의 노즐은 피맛사지자의 신장방향 및 어깨폭 방향을 각각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기 때문에, 노즐을 회동을 포함하는 변위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시트 상에 피맛사지자가 누울 수 있는 상태에서 전신을 분류로 자극하는 것에 의하여 전신 맛사지가 수행되고, 피맛사지자의 피로회복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국부적으로는 근육의 경직을 풀 수 있다.
또한 상부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상자형의 수조 내에 물 또는 뜨거운 물을 충진하는 것과 같이 개구부에 유연성 시트를 수밀 상태로 장설하여, 시트의 상면에 피맛사지자가 누울 수 있는 물침대를 구성하고, 수조 내부에 시트 이면을 향하여 물 또는 뜨거운 물을 분출할 수 있는 좌우 한쌍의 노즐을 피맛사지자의 어깨방향을 따라 배설하고, 동시에 좌우 한쌍의 노즐은 피맛사지자의 신장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함과 같이, 피맛사지자의 어깨폭방향을 향하여 좌우 대칭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기 때문에, 한쌍의 노즐을 회동을 포함하는 변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피맛사지자의 등뼈를 중심으로 어깨폭 방향으로 좌우 대칭의 여러 가지 위치를 자극하는 것이 가능하고, 보다 높은 맛사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조 내부에 캐리어를 피맛사지자의 신장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함과 같이 캐리어의 상부에 한쌍의 노즐 이동용치차를 치합시킨 상태로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하고, 상기 한쌍의 노즐이동용 치차에 상기 노즐을 배치하기 때문에, 한쌍의 노즐을 회동을 포함하는 변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분류장치를 간단한 구성으로 할 수 있고, 제조가 용이하면서도 유지성이 우수한 물침대형 맛사지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수조 내부에 충진된 물 또는 뜨거운 물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수단을 구비하기 때문에, 수조 내의 뜨거운 물 등을 가열 또는 냉각하는 것에 의하여 항상 수조 내의 뜨거운 물 등의 온도를 적온으로 유지할 수 있고, 시트도 적온으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맛사지효과를 높일 수 있음과 같이, 시트 상에 누운 피맛사지자도 시트가 뜨겁게 되거나 냉각되는 것이 없어서, 불쾌감을 받지 않는다.
또한 뜨거운 물의 마찰에 의하여 수조 내의 뜨거운 물 등의 온도가 상승하여도, 수조내의 뜨거운 물 등을 냉각하는 것이 가능하겨 맛사지기을 연속 사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상부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상자형의 수조 내에 물 또는 뜨거운 물을 충진함과 함께, 개구부에 유연성 시트를 수밀상태로 장설하여 시트의 상면에 피맛사지자가 누울 수 있는 물침대를 구성하고, 수조 내부에, 시트 이면을 향하여 물 또는 뜨거운 물이 분출 가능한 좌우의 노즐을 설치하여 이루어진 물침대식 맛사지기에 있어서,
    좌우의 노즐을 피맛사지자의 신장방향을 향하여 이동시키면서 좌우대칭으로 회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맛사지를 수행하기 위하여,
    수조저면의 길이방향 양단에 구동풀리와 종동풀리를 각각의 풀리축이 베어링에 의한 축지지되도록 설치하고, 양 풀리 사이에 분류장치이동용벨트를 권회함과 같이 분류장치이동용벨트의 하방에 레일을 설치하고, 하부에 전동륜을 배설하고 상부에 분류장치이동용벨트를 협지하는 벨트지지체를 설치한 캐리어를, 분류장치이동용 벨트의 회동에 따라서 레일을 따라 퍼맛사지자의 신장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고,
    상면에 노즐을 부착함과 같이 상기 노즐에 급수호스를 직접 부착한 평치차로 구성되는 좌우의 노즐이동용치차를 상호 치합시킨 상태로 상기 캐리어 상면에 축지지하고, 어느 일측의 노즐이동용 치차에 중간치차를 치합시키고 상기 중간치차와 일체로 종동베벨기어를 설치하며, 더욱이 상기 종동베벨기어와 치합시킨 구동베벨기어를 설치하며, 상기 구동베벨기어를 상기 분류장치이동용 벨트와 동일한 방향으로 배설한 스프라인축에 스프라인결합하고, 상기 스프라인축을 노즐이동용 모터로 회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좌우의 노즐이동용 치차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동시켜서, 좌우의 노즐을 피맛사지자의 어깨폭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하고,
    상기 좌우의 노즐에서 분출하는 분류의 강도를 경시적으로 변화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침대식 맛사지기.
  2. 상부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상자형의 수조 내에 물 또는 뜨거운 물을 충진함과 같이, 개구부에 유연성 시트를 수밀상태로 장설하여, 시트의 상면에 피맛사지자가 누울 수 있는 물침대를 구성하고, 수조 내부에, 시트 이면을 향하여 물 또는 뜨거운 물이 분출 가능한 좌우의 노즐을 설치하여 이루어진 물침대식 맛사지기에 있어서,
    좌우의 노즐을 피맛사지자의 신장방향을 향하여 이동시키면서 좌우대칭으로 회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맛사지를 수행하기 위하여,
    수조저면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구동풀리와 종동풀리를 각각 풀리축이 베어링에 의하여 축지지되도록 설치하고, 양 풀리 사이에 분류장치이동용벨트를 권회함과 같이 상기 분류장치이동용 벨트의 하방에 레일을 배설하고, 하부에 전동륜을 배설함과 같이 상부에 분류장치이동용벨트를 협지하는 벨트지지체를 설치한 캐리어를, 분류장치이동용벨트의 회동에 따라서 레일을 따라 피맛사지자의 신장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하고,
    상면에 노즐을 부착함과 같이 상기 노즐에 급수호스를 직접 부착한 평치차로 구성되는 좌우의 노즐이동용치차를 서로 치합시킨 상태로 상기 치차 상면에 축지지하고, 어느 일측의 노즐이동용치차에 중간치차를 치합시키고, 상기 중간치차와 일체로 종동베벨기어를 설치하고, 더욱이 상기 종동베벨기어와 치합시킨 구동베벨기어를 설치하며, 상기 구동베벨기어를 상기 분류장치이동용벨트와 동일한 방향으로 배설한 스플라인축에 스플라인결합하고, 상기 스플라인축을 노즐이동용모터로 회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좌우의 노즐이동용치차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동시켜서, 좌우의 노즐을 피맛사지자의 어깨폭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상기 좌우의 노즐로부터 분출하는 분류의 강도나 분류를 분출시키는 시간간격을 램덤하게 변화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침대식 맛사지기.
KR1019980706272A 1996-02-14 1997-02-13 물침대식맛사지기 KR1005081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701196 1996-02-14
JP8-27011 1996-02-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2536A KR19990082536A (ko) 1999-11-25
KR100508131B1 true KR100508131B1 (ko) 2006-10-04

Family

ID=12209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6272A KR100508131B1 (ko) 1996-02-14 1997-02-13 물침대식맛사지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210351B1 (ko)
EP (1) EP0880958B1 (ko)
KR (1) KR100508131B1 (ko)
CA (1) CA2245819A1 (ko)
DE (1) DE69732286T2 (ko)
TW (1) TW377294B (ko)
WO (1) WO199702972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65012A (zh) * 2016-09-05 2017-01-04 成都朵猫文化传播有限公司 电动水压按摩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8292A (ja) * 1997-10-31 1999-05-18 Sanyo Electric Co Ltd 椅子式マッサージ機
US6770043B1 (en) * 2000-04-28 2004-08-03 Rocky Kahn Hydrotherapy system with translating jets
FR2826259B1 (fr) * 2001-06-26 2003-09-26 Jacques Mas Appareil de massage par jets d'eau sans contact direct des faces dorsales et ventrales d'un patient allonge
JP4103982B2 (ja) * 2001-11-01 2008-06-18 オージー技研株式会社 安全ノズル付き水圧マッサージ機
KR100550592B1 (ko) * 2002-04-19 2006-02-20 김철훈 물 분사형 전신마사지장치
US7138047B2 (en) * 2002-07-03 2006-11-21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rocess for steam cracking heavy hydrocarbon feedstocks
US7097758B2 (en) * 2002-07-03 2006-08-29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Converting mist flow to annular flow in thermal cracking application
US7090765B2 (en) * 2002-07-03 2006-08-15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rocess for cracking hydrocarbon feed with water substitution
JP2005000651A (ja) * 2003-05-19 2005-01-06 Toto Ltd 下肢水浴装置
KR100571531B1 (ko) * 2003-07-03 2006-04-26 김철훈 물 분사형 전신마사지기
US6913572B2 (en) * 2003-09-17 2005-07-05 Allen Licht Spa capsule
DE20319734U1 (de) * 2003-12-19 2004-03-11 Henrichs, Hermann B. Gerät zur trockenen Wasserstrahlmassage
WO2005065622A1 (en) * 2004-01-08 2005-07-21 Dae-Hwang Kim Therapy unit using hydraulic pressure
US7540847B2 (en) * 2004-01-16 2009-06-02 Klein Charles W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vely transmitting vibrations to an individual situated on a support surface
WO2005095548A1 (en) * 2004-03-22 2005-10-13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rocess for steam cracking heavy hydrocarbon feedstocks
US7488459B2 (en) * 2004-05-21 2009-02-10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Apparatus and process f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heated feed directed to a flash drum whose overhead provides feed for cracking
US7358413B2 (en) * 2004-07-14 2008-04-15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rocess for reducing fouling from flash/separation apparatus during cracking of hydrocarbon feedstocks
US7235705B2 (en) * 2004-05-21 2007-06-26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rocess for reducing vapor condensation in flash/separation apparatus overhead during steam cracking of hydrocarbon feedstocks
US7312371B2 (en) * 2004-05-21 2007-12-25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Steam cracking of hydrocarbon feedstocks containing non-volatile components and/or coke precursors
US7402237B2 (en) * 2004-10-28 2008-07-22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Steam cracking of hydrocarbon feedstocks containing salt and/or particulate matter
US7351872B2 (en) * 2004-05-21 2008-04-01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rocess and draft control system for use in cracking a heavy hydrocarbon feedstock in a pyrolysis furnace
US7220887B2 (en) * 2004-05-21 2007-05-22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rocess and apparatus for cracking hydrocarbon feedstock containing resid
US7244871B2 (en) * 2004-05-21 2007-07-17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rocess and apparatus for removing coke formed during steam cracking of hydrocarbon feedstocks containing resids
US7247765B2 (en) * 2004-05-21 2007-07-24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Cracking hydrocarbon feedstock containing resid utilizing partial condensation of vapor phase from vapor/liquid separation to mitigate fouling in a flash/separation vessel
US7193123B2 (en) * 2004-05-21 2007-03-20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rocess and apparatus for cracking hydrocarbon feedstock containing resid to improve vapor yield from vapor/liquid separation
US7297833B2 (en) * 2004-05-21 2007-11-20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Steam cracking of light hydrocarbon feedstocks containing non-volatile components and/or coke precursors
US7408093B2 (en) * 2004-07-14 2008-08-05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rocess for reducing fouling from flash/separation apparatus during cracking of hydrocarbon feedstocks
US7311746B2 (en) * 2004-05-21 2007-12-25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Vapor/liquid separation apparatus for use in cracking hydrocarbon feedstock containing resid
US7285697B2 (en) * 2004-07-16 2007-10-23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Reduction of total sulfur in crude and condensate cracking
EP1666017B1 (de) * 2004-12-03 2007-11-07 Henrichs & Hess Vertriebsgesellschaft mbh & Co.KG Gerät zur trockenen Wasserstrahlmassage
CN2785585Y (zh) * 2004-12-09 2006-06-07 王正宗 喷水按摩装置
KR200390961Y1 (ko) * 2005-05-10 2005-07-28 김대황 수압을 이용한 치료기
US8173854B2 (en) * 2005-06-30 2012-05-08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Steam cracking of partially desalted hydrocarbon feedstocks
US20070093737A1 (en) * 2005-10-25 2007-04-26 Wen-Ching Lee Water flush type massaging device
US20080039750A1 (en) * 2006-08-08 2008-02-14 Waleed Mustafa Mahmoud Dry hydro-massage recliner
US20080124509A1 (en) * 2006-11-27 2008-05-29 Wayne Scott Boise Mat, and Its Corresponding Components, Pieces, Objects, Software, Kits, Devices, Material, Apparatus, System, Machines, Displays, and Accessories
EP2108352A1 (en) 2008-04-10 2009-10-14 Aqualife S.r.l. Mattress for generating a dry massaging effect similar to shiatsu and combination of such a mattress with a hydromassage unit
US8348871B2 (en) 2008-06-11 2013-01-08 Jtl Enterprises Inc. Apparatus for dry hydro-therapy body massage of a user in a seated position
US8348872B2 (en) * 2008-06-11 2013-01-08 Jtl Enterprises Inc. Apparatus for dry hydro-therapy body massage with fluid spray control device
EP2327386B1 (de) * 2009-11-25 2012-08-15 Wellsystem GmbH Vorrichtung zur trockenen Massage mittels Wasserstrahlen
ITVI20100050A1 (it) * 2010-02-25 2011-08-26 I So Italia S P A Materasso ad acqua
US20110239371A1 (en) * 2010-03-30 2011-10-06 Chun-Fa Shao Swinging water massage bed
US20120016274A1 (en) * 2010-07-19 2012-01-19 Todd Howe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Multiple Therapies to a Reclined Human Subject
US20130071829A1 (en) * 2011-09-19 2013-03-21 Oleg Berezhkov Way of optimization of the psycho-physiological condition of the person and the training complex
JP6142313B2 (ja) * 2012-10-04 2017-06-07 オージー技研株式会社 液圧マッサージ装置
JP2014094185A (ja) * 2012-11-09 2014-05-22 Minato Ikagaku Kk 液圧マッサージ装置
CN103349604A (zh) * 2013-04-03 2013-10-16 洛阳熙康机械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干式水疗按摩的方法及按摩床
JP6361919B2 (ja) * 2014-01-20 2018-07-25 ミチル 是永 ウォーターベッド構造
US20160206506A1 (en) * 2015-01-15 2016-07-21 Tom Henkemans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Massage
CN104840327A (zh) * 2015-04-20 2015-08-19 肖中恩 自动按摩水床
CN104887470B (zh) * 2015-06-17 2017-03-15 安阳市翔宇医疗设备有限责任公司 一种水疗按摩床
DE202015005992U1 (de) 2015-08-28 2015-11-02 Unbescheiden Gmbh Düsenträgerantrieb für Aufwassermassagegeräte
US10357420B2 (en) * 2016-11-21 2019-07-23 Unbescheiden Gmbh Nozzle carrier drive arrangement for a water jet massaging apparatus
US10398620B2 (en) * 2016-11-21 2019-09-03 Unbescheiden Gmbh Water jet massaging apparatus with patient support sheet and support element
CN107307983A (zh) * 2017-06-06 2017-11-03 深圳市晓控通信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多功能按摩床
CN108888491B (zh) * 2018-05-21 2020-07-28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人工智能按摩水床
CN109199817B (zh) * 2018-07-26 2020-11-20 义乌市君胜科技有限公司 一种保健理疗按摩床
CN109043938B (zh) * 2018-07-26 2021-01-26 江西怡良实业有限公司 一种沙发
DE102018125146A1 (de) * 2018-10-11 2020-04-16 Jk-Holding Gmbh Vorrichtung zur trockenen Massage mittels Wasserstrahlen
CN109745185A (zh) * 2019-01-07 2019-05-14 狄秀婷 一种重症神经内科检查用具有自动消毒功能的检查床
US20200276076A1 (en) * 2019-02-28 2020-09-03 Jtl Enterprises, Inc. Apparatus for dry hydro-therapy body massage in a reclined position
CN113952218B (zh) * 2021-10-22 2023-07-07 常州纺织服装职业技术学院 一种梳头式按摩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3853A (en) * 1982-12-08 1987-12-22 Ricchio Dominic A Apparatus for improved water therapy
US4757808A (en) * 1986-06-20 1988-07-19 Effler Jr William T Liquid jet massage device
US4976256A (en) * 1989-06-20 1990-12-11 Marlin Dave B Body massage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07405A (en) * 1985-08-19 1986-08-26 Ellis Linda N Jet stream water bed
EP0299955B1 (en) 1987-01-12 1994-09-21 RICCHIO, Dominic A.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water massage
US4908016A (en) * 1987-02-20 1990-03-13 Thomsen Merlin E Water jet massage apparatus and method
DE3925620C1 (en) 1989-08-02 1991-04-18 Jk-Josef Kratz Gmbh, 5469 Windhagen, De Hydro-massage equipment for bath - comprises flexible film closing off bath with jet nozzle spray underneath connected to follower magnets
JPH04361752A (ja) * 1991-06-06 1992-12-15 Sato Tekkosho:Kk ベッド装置
DE9302024U1 (ko) 1993-02-12 1993-04-01 Jk-Josef Kratz Gmbh, 5469 Windhagen, De
JPH06319775A (ja) * 1993-05-14 1994-11-22 Nikoku Kikai Kogyo Kk マッサージ装置
US5713834A (en) * 1993-11-04 1998-02-03 Palmer; Sidney C. Hydro-massage table
US5540651A (en) * 1994-04-20 1996-07-30 Thomas M. Risch Waterproof hydrotherapy be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3853A (en) * 1982-12-08 1987-12-22 Ricchio Dominic A Apparatus for improved water therapy
US4757808A (en) * 1986-06-20 1988-07-19 Effler Jr William T Liquid jet massage device
US4976256A (en) * 1989-06-20 1990-12-11 Marlin Dave B Body massage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65012A (zh) * 2016-09-05 2017-01-04 成都朵猫文化传播有限公司 电动水压按摩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7029728A1 (fr) 1997-08-21
DE69732286D1 (de) 2005-02-24
KR19990082536A (ko) 1999-11-25
EP0880958A4 (en) 2003-01-29
DE69732286T2 (de) 2006-01-05
EP0880958A1 (en) 1998-12-02
TW377294B (en) 1999-12-21
US6210351B1 (en) 2001-04-03
CA2245819A1 (en) 1997-08-21
EP0880958B1 (en) 2005-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8131B1 (ko) 물침대식맛사지기
JP2934310B2 (ja) 人体マツサージ装置
JP2003260103A (ja) ウォーターベッド式マッサージ機のマッサージ方法
KR101267052B1 (ko) 의자형 안마기
JPH08252293A (ja) ウォーターベッド式マッサージ機
EP2299963B1 (en) Apparatus for dry hydro-therapy body massage of a user in a seated position
TWI827700B (zh) 用於藉由水柱進行乾式按摩的裝置以及非治療性地操作該裝置的方法
KR100994678B1 (ko) 마사지장치
JP2007313126A (ja) ノズル可変水圧マッサージ機
JP5348864B2 (ja) 椅子式マッサージ機
JP4644498B2 (ja) 上下半身ノズル水圧マッサージ機
KR100984683B1 (ko) 수압식 마사지장치
CN112515932A (zh) 引导式半自动按摩仪
KR200402903Y1 (ko) 투웨이 회전 분사식 수압을 이용한 마사지 베드
JP2006212100A (ja) 上下半身水圧マッサージ機
KR200286189Y1 (ko) 물 분사형 전신마사지기의 조작장치
JPS6213622Y2 (ko)
KR100550592B1 (ko) 물 분사형 전신마사지장치
KR100397816B1 (ko) 자동 온열치료매트용 직선왕복운동장치
KR200363566Y1 (ko) 수압을 이용한 치료기
CN109893412B (zh) 一种按摩器及水疗按摩装置
JP2004160018A (ja) ワンノズル式液圧マッサージ機
KR200286190Y1 (ko) 물 분사형 전신마사지기의 종횡 유동형 분사장치
KR100436592B1 (ko) 보조치료기가 구비된 자동 온열치료장치
JPS5927578B2 (ja) マツサ−ジ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