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7099B1 - 롤로드 마운팅 브래킷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롤로드 마운팅 브래킷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7099B1
KR100507099B1 KR10-2002-0076299A KR20020076299A KR100507099B1 KR 100507099 B1 KR100507099 B1 KR 100507099B1 KR 20020076299 A KR20020076299 A KR 20020076299A KR 100507099 B1 KR100507099 B1 KR 100507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pad
elastic bush
current
mount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6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9079A (ko
Inventor
박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6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7099B1/ko
Publication of KR20040049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9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7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70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0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method or circui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23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fluid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롤로드 마운팅 브래킷은 엔진 시동 온 시 및 대변위 발생 시 발생되는 쇽크를 저감시켜 승차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인슐레이터를 개재하여 차체에 장착되는 엔진과 변속기의 후방에 제공되어 변속기와 차체 사이를 상호 연결하도록 변속기에 연결되는 제1 보스(13)와 차체에 연결되는 제2 보스(15)로 구성되며, 제2 보스의 내측 파이프(17)와 외측 파이프(19)에 충진되는 탄성부시(21), 이 탄성부시의 일측에 제공되어 탄성부시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패드(23), 이 패드의 탄성부시를 엔진 온 시 및 대변위 발생 시 가압하도록 패드의 일측에 로드(29)로 연결되는 액츄에이터(27)로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롤로드 마운팅 브래킷 및 그 제어방법 {ROLL-ROD MOUNTING BRACKET AND CONTROLLING METHOD}
본 발명은 롤로드 마운팅 브래킷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엔진 시동 온 시 및 엔진 대변위 발생 시 발생되는 쇽크를 저감시켜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롤로드 마운팅 브래킷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진과 변속기는 일체로 조립되어 마운팅 브래킷을 개재하여 차체에 3 또는 4점 지지방식으로 장착된다.
도 1은 3점 지지방식으로 마운팅 브래킷 중 하나는 엔진(1) 전면에 설치되어 그 무게를 지지하고 또 하나는 변속기의 끝 부분을 고정 지지한다. 이 마운팅 브래킷이 러버 인슐레이터이다. 그리고 나머지 하나는 변속기(3)가 좌우로 흔들리는 롤링을 지지하게 된다. 이 롤링을 지지하는 마운팅 브래킷이 롤로드 마운팅 브래킷(5)이다.
이 롤로드 마운팅 브래킷(5)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5a)에 러버 인슐레이터(5b)가 장착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롤로드 마운팅 브래킷(5)은 주행 시 엔진을 제어할 수 있으나, 엔진 시동 온 시 또는 급속한 가속 및 감속으로 엔진 대변위 발생 시 엔진의 거동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특히, 3점 마운트 시스템의 경우 롤로드 마운팅 브래킷이 엔진 거동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제어하느냐가 차량의 상품성에 큰 차이를 가져오므로 이를 개선하는 방법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소 및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동 온 시 및 대변위 발생 시 발생되는 쇽크를 저감시켜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롤로드 마운팅 브래킷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 롤로드 마운팅 브래킷은 인슐레이터를 개재하여 차체에 장착되는 엔진과 변속기의 후방에 제공되어 변속기와 차체 사이를 상호 연결하도록 변속기에 연결되는 제1 보스와 차체에 연결되는 제2 보스로 구성되며,
제2 보스의 내측 파이프와 외측 파이프에 충진되는 탄성부시,
이 탄성부시의 일측에 제공되어 탄성부시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패드,
이 패드의 탄성부시를 엔진 온 시 및 대변위 발생 시 가압하도록 패드의 일측에 로드로 연결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고 있다.
탄성부시는 패드 대향 측에 평면 홈을 구비하고 있다.
액츄에이터는 일정한 전류를 가해질 때 팽창하는 성질을 가지고 전류를 차단하면 이전의 상태로 수축하는 성질을 가진 ER오일로 충진된 실린더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는 엔진 시동 온 및 엔진 대변위 신호를 받은 엔진제어유닛(이하 ECU라 함)에 의하여 제어되는 솔레노이드 스위치를 경유한 전류에 의하여 작동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롤로드 마운팅 브래킷 제어방법은 시동스위치가 온 되거나 엔진 대변위가 발생되었는지 또는 아이들 상태인지는 감지하는 단계,
상기 신호가 감지되면 ECU는 컨트롤 유닛에 시동 온 또는 대변위 발생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신호를 받은 컨트롤 유닛이 솔레노이드 스위치를 작동시켜 배터리의 전류를 액츄에이터의 +극, -극에 인가시키는 단계,
상기 전류의 인가로 인하여 ER오일이 급속히 팽창하면서 로드를 전진 작동시키는 단계,
상기 로드의 작동으로 패드가 탄성부시에 가압하여 엔진 시동 온으로 발생되는 대변위에 저항하는 단계,
상기 시동스위치가 온 된 후, 엔진이 아이들 상태 신호가 감지되면 ECU는 컨트롤 유닛에 아이들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신호를 받은 컨트롤 유닛이 솔레노이드 스위치를 작동시켜 액츄에이터의 +극, -극에 인가되던 전류를 차단시키는 단계,
상기 전류의 차단으로 인하여 ER오일이 원상 복귀하면서 로드를 후퇴 작동시키는 단계,
상기 로드의 작동으로 패드가 탄성부시에 가하던 가압력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점과 장점은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함으로서 보다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롤로드 마운팅 브래킷의 일반 주행 모드시의 구성도로서, 롤로드 마운팅 브래킷(11)은 그 양단에 제1, 2 보스(13, 15)를 구비하고 있으며, 일체로 연결된 엔진과 변속기의 후방에 제공되어 변속기에 제1 보스(13)가 연결되고, 차체에 제2 보스(15)가 연결되어, 엔진 및 변속기의 롤링을 지지하게 된다.
이 제2 보스(15)는 내측 파이프(17)와 외측 파이프(19) 그리고 이 내측 파이프(17)와 외측 파이프(19) 사이에 충진되는 탄성부시(21)로 구성되어 있다.
이 탄성부시(21)의 일측에 패드(23)가 위치하고 있다. 이 패드(23)는 탄성부시(21)의 일측을 선택적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패드(23)의 대향 측 탄성부시(21)에는 평면 홈(25)이 구비되어 패드(23)의 가압력이 탄성부시(21)에 정확히 전달되게 한다.
이 패드(23)에는 롤로드 마운팅 브래킷(11)에 내장 형성되는 액츄에이터(27)가 로드(29)로 연결되어 있다. 이 액츄에이터(27)는 엔진 온 시 또는 급격한 가속 및 감속으로 엔진의 변위가 클 때 작동되어 패드(23)로 탄성부시(21)를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액츄에이터(27)는 실린더 타입으로 형성되며, 이 실린더 내에 충진된 물질은 일정한 전류를 받으면 팽창하게 되고 전류를 차단하면 이전의 상태로 수축하는 성질을 가진 ER오일(31)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 액츄에이터(27)의 ER오일(31)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33)에 연결되는 +극(35) 및 -극(37)이 구비되어 있다.
이 액츄에이터(27)의 +극(35) 및 -극(37)에는 솔레노이드 스위치(39)를 개재한 컨트롤 유닛(41), ECU(43), 및 시동스위치(45)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ECU(43)는 엔진 시동 온이거나 급격한 가속 및 감속으로 엔진의 대변위 신호를 받게 되면 컨트롤 유닛(41)을 통하여 솔레노이드 스위치(39)를 제어하게 된다.
이 제어로 인하여 배터리(33)의 전류는 +극(35)과 -극(37)을 통하여 ER오일(31)에 인가되어 스파크를 발생시키면서 ER오일(31)을 팽창시키게 된다. 이 ER오일(31)의 팽창으로 인하여 로드(29)가 패드(23)를 탄성부시(21)에 가압하여 엔진의 대변위(a)에 저항하게(b) 된다.
이 롤로드 마운팅 브래킷(11)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시동스위치(45)가 온 되거나 엔진 대변위가 발생되면 ECU(43)는 이를 감지하여 컨트롤 유닛(41)에 시동 온 또는 대변위 발생 신호를 전송한다.
이 신호를 받은 컨트롤 유닛(41)은 솔레노이드 스위치(39)를 작동시켜 배터리(33)의 전류를 액츄에이터(27)의 +극(25), -극(27)에 인가시킨다.
이 전류의 인가로 인하여 ER오일(31)이 급속히 팽창하면서 로드(29)를 도 4의 상태로 전진시킨다.
이 로드(29)의 전방에 구비된 패드(23)가 탄성부시(21)에 가압하여(b) 엔진 시동 온으로 발생되는 대변위(a)에 저항한다. 따라서 엔진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저감된다.
시동스위치(45)가 온 된 후, 엔진이 아이들 상태가 되면 ECU(43)는 이를 감지하여 컨트롤 유닛(41)에 아이들 신호를 전송한다.
이 신호를 받은 컨트롤 유닛(41)은 솔레노이드 스위치(39)를 작동시켜 액츄에이터(27)의 +극(25), -극(27)에 인가되던 전류를 차단시킨다.
이 전류의 차단으로 인하여 ER오일(31)이 원상 복귀하면서 로드(29)를 도 3의 상태로 후퇴시킨다.
이 로드(29)의 전방에 구비된 패드(23)가 탄성부시(21)에 가하던 가압력(b)을 제거하게 된다. 따라서 패드(23)와 탄성부지(21)는 일정 간극(c)을 유지하면서 주행 소음을 줄이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롤로드 마운팅 브래킷은 액츄에이터에 의하여 작동되는 패드를 탄성부시 대향 측에 구비하여 엔진 온 시 및 엔진 대변위 발생 시 패드로 탄성부시를 가압하게 구성함으로서, 내측 파이프와 외측 파이프 사이에 러버를 충진한 종래의 롤로드 마운팅 브래킷에 비하여, 엔진 온 및 대변위 발생 시 발생되는 쇽크를 저감시켜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롤로드 마운팅 브래킷이 적용되는 엔진룸의 구성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롤로드 마운팅 브래킷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롤로드 마운팅 브래킷의 일반 주행 모드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롤로드 마운팅 브래킷의 엔진 시동 온 시의 작동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롤로드 마운팅 브래킷 13, 15 : 제1, 2 보스
17 : 내측 파이프 19 : 외측 파이프
21 : 탄성부시 23 : 패드
25 : 평면 홈 27 : 액츄에이터
29 : 로드 31 : ER오일
33 : 배터리 35 : +극
37 : -극 39 : 솔레노이드 스위치
41 : 컨트롤 유닛 43 : ECU
45 : 시동스위치

Claims (5)

  1. 삭제
  2. 인슐레이터를 개재하여 차체에 장착되는 엔진과 변속기의 후방에 제공되어 변속기와 차체 사이를 상호 연결하도록 변속기에 연결되는 제1 보스와 차체에 연결되는 제2 보스를 구비하며, 상기 제2 보스의 내측 파이프와 외측 파이프에는 탄성부시가 충진되며, 상기 탄성부시의 일측에는 탄성부시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패드가 구성되며, 상기 탄성부시를 엔진 온 시 및 대변위 발생 시 가압하도록 패드의 일측에 로드로 연결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롤로드 마운팅 브래킷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시는 패드 대향 측에 평면 홈을 구비하고,
    상기 액츄에이터는 일정한 전류를 가해질 때 팽창하는 성질을 가지고 전류를 차단하면 이전의 상태로 수축하는 성질을 가진 ER오일로 충진된 실린더로 구성되어 엔진 시동 온 및 엔진 대변위 신호를 받은 엔진제어유닛(ECU)에 의하여 제어되는 솔레노이드 스위치를 경유한 전류에 의하여 작동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로드 마운팅 브래킷.
  3. 삭제
  4. 삭제
  5. 시동스위치가 온 되거나 엔진 대변위가 발생되었는지 또는 아이들 상태인지는 감지하는 단계,
    상기 신호가 감지되면 ECU는 컨트롤 유닛에 시동 온 또는 대변위 발생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신호를 받은 컨트롤 유닛이 솔레노이드 스위치를 작동시켜 배터리의 전류를 액츄에이터의 +극, -극에 인가시키는 단계,
    상기 전류의 인가로 인하여 ER오일이 급속히 팽창하면서 로드를 전진 작동시키는 단계,
    상기 로드의 작동으로 패드가 탄성부시에 가압하여 엔진 시동 온으로 발생되는 대변위에 저항하는 단계,
    상기 시동스위치가 온 된 후, 엔진이 아이들 상태 신호가 감지되면 ECU는 컨트롤 유닛에 아이들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신호를 받은 컨트롤 유닛이 솔레노이드 스위치를 작동시켜 액츄에이터의 +극, -극에 인가되던 전류를 차단시키는 단계,
    상기 전류의 차단으로 인하여 ER오일이 원상 복귀하면서 로드를 후퇴 작동시키는 단계,
    상기 로드의 작동으로 패드가 탄성부시에 가하던 가압력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롤로드 마운팅 브래킷 제어방법.
KR10-2002-0076299A 2002-12-03 2002-12-03 롤로드 마운팅 브래킷 및 그 제어방법 KR100507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6299A KR100507099B1 (ko) 2002-12-03 2002-12-03 롤로드 마운팅 브래킷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6299A KR100507099B1 (ko) 2002-12-03 2002-12-03 롤로드 마운팅 브래킷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9079A KR20040049079A (ko) 2004-06-11
KR100507099B1 true KR100507099B1 (ko) 2005-08-09

Family

ID=37343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6299A KR100507099B1 (ko) 2002-12-03 2002-12-03 롤로드 마운팅 브래킷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70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8297A (ko) * 2015-12-09 2017-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 리어마운트 구조를 갖는 차량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8127A (ja) * 1982-08-27 1984-03-01 Mazda Motor Corp エンジンのマウント装置
KR0142545B1 (ko) * 1993-12-14 1998-08-01 전성원 자동차 엔진의 롤 스톱퍼 마운팅 구조
KR19980044952A (ko) * 1996-12-09 1998-09-15 박병재 자동차의 능동 엔진마운트
KR20030092276A (ko) * 2002-05-29 2003-1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오일을 이용한 엔진지지용 롤로드
KR20040029741A (ko) * 2002-10-02 2004-04-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엔진의 롤 로드 마운팅 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8127A (ja) * 1982-08-27 1984-03-01 Mazda Motor Corp エンジンのマウント装置
KR0142545B1 (ko) * 1993-12-14 1998-08-01 전성원 자동차 엔진의 롤 스톱퍼 마운팅 구조
KR19980044952A (ko) * 1996-12-09 1998-09-15 박병재 자동차의 능동 엔진마운트
KR20030092276A (ko) * 2002-05-29 2003-1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오일을 이용한 엔진지지용 롤로드
KR20040029741A (ko) * 2002-10-02 2004-04-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엔진의 롤 로드 마운팅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8297A (ko) * 2015-12-09 2017-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 리어마운트 구조를 갖는 차량
KR102237070B1 (ko) 2015-12-09 2021-04-06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엔진 리어마운트 구조를 갖는 차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9079A (ko) 2004-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7099B1 (ko) 롤로드 마운팅 브래킷 및 그 제어방법
KR200458530Y1 (ko) 운전자의 오작동에 의한 급가속 및 차량결함에 의한 급발진사고 방지장치
JP2003502555A (ja) 車両の好ましくない前後方向振動の制御
KR100471858B1 (ko) 자동차 엔진의 롤 로드 마운팅 구조
KR100507112B1 (ko) 엔진 마운팅용 토크로드
KR20050117910A (ko) 브레이크 페달 충격 방지구조
JPS62200034A (ja) クラツチコントロ−ル系統の振動防止装置
JP2010537118A (ja) 自動車両の内燃機関の一時的なトルクリザーブを見越した方法および車載電源網
JP3721797B2 (ja) 車両用制動制御装置
KR100528218B1 (ko) 머플러 행거의 대변위 제어용 스톱퍼
JP2002200970A (ja) 制動力保持装置
CN202712080U (zh) 车辆起动机及其电磁开关
KR20010093486A (ko) 자동차 페달류의 작동력 전달 시스템
KR100471776B1 (ko) 트럭의 캡 틸트 실린더의 구조
KR100387788B1 (ko) 자동차 후면 추돌에 대응한 브레이크 오일압 조절 장치
KR100199758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 길이 가변장치
JP2005510648A (ja) 車両内の駆動装置を発進工程中に制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対応する制御システム
US6429545B1 (en) Automobile power supply system for preventing uncontrolled acceleration
JP2761499B2 (ja) 自動車用制御装置の安全装置
KR19980047149A (ko) 전자가속장치의 안전장치
KR20030006001A (ko) 차량의 가변 롤링 인슐레이터
KR100514884B1 (ko) 차량의 클러치 장치
JPH05294248A (ja)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0110189A (ja) 振動式アタッチメント取付装置
KR200153387Y1 (ko) 타이어 파손시 제동력 발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