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8530Y1 - 운전자의 오작동에 의한 급가속 및 차량결함에 의한 급발진사고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운전자의 오작동에 의한 급가속 및 차량결함에 의한 급발진사고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8530Y1
KR200458530Y1 KR2020110007586U KR20110007586U KR200458530Y1 KR 200458530 Y1 KR200458530 Y1 KR 200458530Y1 KR 2020110007586 U KR2020110007586 U KR 2020110007586U KR 20110007586 U KR20110007586 U KR 20110007586U KR 200458530 Y1 KR200458530 Y1 KR 2004585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accelerator pedal
pedal
electronic control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75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경의
Original Assignee
홍경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경의 filed Critical 홍경의
Priority to KR20201100075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5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5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53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60K26/021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with means for providing feel, e.g. by changing pedal force characteri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1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 B60K28/14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responsive to accident or emergency, e.g. deceleration, til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1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 B60K28/1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responsive to, or preventing, skidding of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운전자의 오작동에 의한 급가속 및 차량결함에 의한 급발진사고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자의 실수 또는 운전 미숙으로 인하여 급가속이 발생하거나 차량의 결함으로 인하여 급발진이 발생하였을 때, 운전자가 페달을 강하게 누르는 압력에 의해 가속페달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는 완충수단이 압축되면서 제2차단스위치에 의해 연료공급모터에 전원이 차단되어 엔진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브레이크의 작동에 의해 차량을 정지시킴으로써 운전자의 오작동에 의한 급가속 및 차량의 결함에 의한 급발진으로 인한 대형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휴즈박스(2)와 전자제어유닛(7)이 전선(23)에 의해 연결되며 브레이크페달(10)과 가속페달(19)이 설치되어 있는 통상의 차량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페달(10)이 설치되는 전방의 스위치 설치구조물에는 전자제어유닛(7)을 통하여 연료공급모터(8)와 점화플러그(9)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는 제1차단스위치(4)가 설치되며,
상기 가속페달(19)이 설치되는 전방의 스위치 설치구조물에는 전자제어유닛(7)을 통하여 연료공급모터(8)와 점화플러그(9)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는 제2차단스위치(5)가 설치되고,
상기 제1차단스위치(4)와 제2차단스위치(5)는 휴즈박스(2)와 전자제어유닛(7)에 연결되어 있는 전선(23) 중간에 연결 설치되어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되되,
상기 가속페달(19)의 하측 전방 선단부에는 가속페달(19)을 정상적으로 천천히 밟으면 가속페달(19)이 끝까지 깊숙이 밟히지 않고, 가속페달(19)을 브레이크페달(10)로 오인하여 급작스럽게 강하게 밟았을 때 강하게 밟히는 압력에 의하여 가속페달(19)이 끝까지 깊숙이 밟히게 됨에 따라 스프링(28)이 압축되어 제2차단스위치(5)를 누른 후 원위치로 원상 복구하는 완충수단(27)이 설치되며,
상기 완충수단(27)은 스프링(28)과, 스프링(28)의 좌우측에 위치하는 상부판(29)과 절곡부(32)가 형성된 하부캡(30)이 볼트(33)와 너트에 의해 체결되며,
상기 브레이크페달(10)과 가속페달(19)은 20~25kg/㎠의 높은 압력으로 강하게 밟을 때 상기 제1차단스위치(4) 또는 제2차단스위치(5)의 접촉돌기부(25)를 각각 눌러줌으로써 접촉편(24)과 접점(22)이 분리됨에 따라 휴즈박스(2)와 전자제어유닛(7) 사이의 전원을 차단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운전자의 오작동에 의한 급가속 및 차량결함에 의한 급발진사고 방지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sudden acceleration of vehicle by driver's misoperation or vehicle defect}
본 고안은 운전자의 오작동에 의한 급가속 및 차량결함에 의한 급발진 사고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자의 실수 또는 운전 미숙으로 인하여 급가속이 발생하거나 차량의 결함으로 인하여 급발진이 발생하였을 때, 운전자가 페달을 강하게 누르는 압력에 의해 가속페달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는 완충수단이 압축되면서 제2차단스위치에 의해 연료공급모터에 전원이 차단되어 엔진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브레이크의 작동에 의해 차량을 정지시킴으로써 운전자의 오작동에 의한 급가속 및 차량의 결함에 의한 급발진으로 인한 대형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밟으면 스로틀밸브가 개방되면서 엔진으로 공기가 공급되고, 공급되는 공기의 양만큼 연료의 공급량이 증대됨으로써 엔진의 회전수(rpm)가 증가하여 그 힘으로 발진하게 된다.
최근에는 전자제어유닛(ECU)에 의한 전자제어방식이 자동차에 광범위하게 채택되기 시작하면서 자동변속기가 장착된 차량에서 급가속 및 급발진 현상이 종종 발생하고 있는데, 전자제어유닛은 연료분사나 점화시기, 혼합기의 공급과 같은 엔진제어에서부터 브레이크 계통과 변속기 등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적용되고 있다.
상기 전자 제어엔진에서는 유입되는 공기량을 기준으로 적당한 공연비가 되도록 연료를 분사함으로써 원하는 엔진출력을 얻게 되고, 또한 연료절감과 배기가스의 저감을 달성하고 있다.
그리고 전자제어 엔진 및 전자제어 자동변속기가 장착되면서 발생되고 있는 급발진의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고 있으나, 이는 전자제어유닛(ECU)과 자동변속기 제어유닛(TCU)간의 신호 전달과정 중 오작동(흔히 전자파나 점화시 2차 전압의 잡음 등이 유입됨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것으로 추정됨)으로 시동 초기나 주행 또는 후진 위치에서 가속페달을 밟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자동차 엔진의 회전수(rpm)가 급상승하면서 운전자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급발진되고 있다.
이와 같은 차량 급발진을 방지하기 위한 많은 시도가 이루어졌으나 아직까지 이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은 제시되지 못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막대한 인명 및 재산의 피해가 생기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운전자의 실수 또는 운전미숙으로 가속페달을 브레이크페달로 착각하여 가속페달을 밟으므로 인하여 급가속이 발생하여 대형 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의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브레이크페달과 가속페달의 전방에 전자제어유닛을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제1, 제2차단스위치와, 가속페달의 제2차단스위치가 일정한 압력 이상의 강한 압력에 의해 동작되게 하는 완충수단을 가속페달의 하측에 설치한다. 이렇게 하여 운전자의 실수 또는 운전미숙으로 가속페달을 급작스럽게 밟아서 급가속이 발생하거나, 차량의 결함으로 인하여 급발진이 발생하게 되는 경우에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급작스럽게 밟는 강한 압력에 의해 가속페달에 설치된 완충수단이 압축되면서 가속페달이 깊게 눌러지게 됨으로써 제2차단스위치를 거쳐서 연료공급모터로 흐르는 전류를 차단시켜 엔진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브레이크 작동에 의해 차량을 정지시킴으로써 운전자의 오작동에 의한 급가속 및 차량의 결함에 의한 급발진으로 인한 대형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정상적인 운행시에는 가속페달을 깊게 밟더라도 가속페달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는 완충수단에 의하여 제2차단스위치가 작동되지 않도록 하며, 가속페달을 강하게 깊게 밟아 제2차단스위치를 작동시켜 사고를 예방한 후에는 제2차단스위치를 원상복구시켜 재차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휴즈박스(2)와 전자제어유닛(7)이 전선(23)에 의해 연결되며 브레이크페달(10)과 가속페달(19)이 설치되어 있는 통상의 차량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페달(10)이 설치되는 전방의 스위치 설치구조물에는 전자제어유닛(7)을 통하여 연료공급모터(8)와 점화플러그(9)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는 제1차단스위치(4)가 설치되며,
상기 가속페달(19)이 설치되는 전방의 스위치 설치구조물에는 전자제어유닛(7)을 통하여 연료공급모터(8)와 점화플러그(9)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는 제2차단스위치(5)가 설치되고,
상기 제1차단스위치(4)와 제2차단스위치(5)는 휴즈박스(2)와 전자제어유닛(7)에 연결되어 있는 전선(23) 중간에 연결 설치되어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되되,
상기 가속페달(19)의 하측 전방 선단부에는 가속페달(19)을 정상적으로 천천히 밟으면 가속페달(19)이 끝까지 깊숙이 밟히지 않고, 가속페달(19)을 브레이크페달(10)로 오인하여 급작스럽게 강하게 밟았을 때 강하게 밟히는 압력에 의하여 가속페달(19)이 끝까지 깊숙이 밟히게 됨에 따라 스프링(28)이 압축되어 제2차단스위치(5)를 누른 후 원위치로 원상 복구하는 완충수단(27)이 설치되며,
상기 완충수단(27)은 스프링(28)과, 스프링(28)의 좌우측에 위치하는 상부판(29)과 절곡부(32)가 형성된 하부캡(30)이 볼트(33)와 너트에 의해 체결되며,
상기 브레이크페달(10)과 가속페달(19)은 20~25kg/㎠의 높은 압력으로 강하게 밟을 때 상기 제1차단스위치(4) 또는 제2차단스위치(5)의 접촉돌기부(25)를 각각 눌러줌으로써 접촉편(24)과 접점(22)이 분리됨에 따라 휴즈박스(2)와 전자제어유닛(7) 사이의 전원을 차단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운전자의 오작동에 의한 급가속 및 차량결함에 의한 급발진 사고방지장치는 디지털방식이 아닌 아날로그 방식을 채택하여 잔고장이 나지 않으며, 저렴한 비용으로 복잡하지 않고 아주 간단하게 스위치 설치구조물에 차단스위치만을 설치함으로써, 변속레버가 어느 위치(P, N, R, D)에 있더라도 운전자의 오작동이나 조작 미숙, 그리고 차량결함에 의한 급발진이 발생되었을 때 운전자가 당황하여 어느 하나의 페달 즉, 브레이크페달 또는 가속페달을 급작스럽게 밟는 강한 압력에 의하여 브레이크페달 또는 가속페달이 깊게 눌러지면서 차단스위치 설치구조물에 설치되어 있는 제1차단스위치 또는 제2차단스위치가 작동되어 점화플러그와 연료공급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켜 엔진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브레이크 작동에 의해 차량을 신속, 정확하게 정지시킴으로써 차량 결함 또는 운전자의 오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급가속 및 급발진으로 인한 대형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정상적인 운행시에는 가속페달을 깊게 밟더라도 가속페달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는 완충수단에 의하여 제2차단스위치가 작동되지 않도록 하며, 가속페달을 강하게 깊게 밟아 제2차단스위치를 작동시켜 사고를 예방한 후에는 제2차단스위치를 원상복구시켜 재차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차단스위치가 설치되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회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차단스위치가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브레이크페달을 밟기 전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차단스위치가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브레이크페달이 깊게 눌러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차단스위치 및 완충수단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가속페달을 밟기 전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차단스위치 및 완충수단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가속페달이 깊게 눌러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가속페달 및 브레이크페달에 설치되는 차단스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가속페달에 설치되는 완충수단을 나타내는 분해단면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운전자의 오작동에 의한 급가속 및 차량결함에 의한 급발진 사고방지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이 설치되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회로도이며,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이 설치된 유압제동장치(100)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2는 브레이크페달(10)을 밟기 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브레이크페달(10)이 깊게 밟힌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본 고안의 요부가 되는 제1차단스위치(4)가 브레이크페달(10)에 의해 눌려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유압제동장치(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달 마운팅 브래킷(11)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운전자의 발조작에 의해 발생되는 답력을 전달하는 브레이크페달(10)과 이 브레이크페달(10)의 소정위치에 형성된 삽통공에 핀(12)을 매개로 체결되는 클레비스(13)와 이 클레비스(13)에 연결되어 상기 브레이크페달(10)로부터의 답력을 전달받아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푸시로드(14)와 이 푸시로드(14)를 통해 전달된 답력을 흡기다기관(intake manifold)의 흡입압력에 의해 발생되는 부압 또는 진공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진공압(부압)을 이용해 배력하는 브레이크부스터(15)와 이 브레이크부스터(15)에서 배력된 답력을 유압으로 변환하여 각 바퀴의 휠실린더로 전달하는 마스터실린더(16)로 구성된다.
그리고 브레이크페달(10)과 브레이크부스터(15)의 사이에는 엔진실과 승객실을 구획하는 대시패널(17)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대시패널(17)과 브레이크부스터(15)의 사이에는 브레이크부스터(15)를 대시패널(17)에 고정하는 브레이크부스터 고정 브래킷(18)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요부는 각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통상의 차량 내부에 브레이크페달(10)과 가속페달(19)[이하 각각의 페달(10,19)이라 한다] 전방의 스위치 설치구조물[예: 페달마운팅 브래킷(11) 또는 대시패널(17)]에는 끝까지 깊숙이 밟히게 되는 각각의 페달(10,19)의 작동에 의해 엔진을 정지시키기 위하여 전자제어유닛(7)을 통하여 연료공급모터(8)와 점화플러그(9)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기 위하여 브레이크페달(10)측에 제1차단스위치(4)가 설치되며, 가속페달(19)측에는 제2차단스위치(5)가 설치되며, 상기 제1차단스위치(4)와 제2차단스위치(5)는 휴즈박스(2)와 전자제어유닛(7)에 연결되는 전선(23)의 중간에 연결 설치된다.
상기 가속페달(19)의 하측 전방 선단부에는 가속페달(19)을 정상적으로 천천히 밟으면 가속페달(19)이 끝까지 깊숙이 밟히지 않고, 가속페달(19)을 브레이크페달(10)로 오인하여 급작스럽게 강하게 밟았을 때 강하게 밟히는 압력에 의하여 가속페달(19)이 끝까지 깊숙이 밟히게 됨에 따라 스프링(28)이 압축되어 제2차단스위치(5)를 누른 후 원위치로 원상복구하는 가속페달(19)의 하측 전방 선단부에는 페달체결나사(31)에 의해 결합되는 완충수단(27)이 설치된다.
상기 완충수단(27)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속페달(19)의 하측 전방 선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스프링(28)과, 스프링(28)의 좌우측에 위치하는 상부판(29)과 절곡부(32)가 형성된 하부캡(30)이 볼트(33)와 너트에 의해 체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램프 스위치(3), 제1차단스위치(4) 및 제2차단스위치(5)[이하 각각의 스위치(3,4,5)라 한다]는 통상적으로 브레이크 페달(10)에 설치되는 스톱스위치와 동종 내지는 유사한 것으로 일측에 통공(21)을 형성한 케이스(20)의 일측 내벽에 전선(23)이 개별적으로 연결되는 접점(22)이 설치되며, 그 케이스(20)의 내부에는 선단 접촉돌기부(25)가 통공(21)을 통하여 외향 돌출되고 후방의 접촉편(24)은 상기 접점(22)과 탄성체(예 : 스프링 등)의 탄력으로 접촉하는 스위치부(26)가 탄성체에 의해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각각의 스위치(3,4,5)는 위에서 페달마운팅 브래킷(11)에 설치된다고 하였으나, 차량의 종류에 따라 상기 각각의 스위치(3,4,5)가 대시패널(17)에도 설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스위치(3,4,5)가 설치되는 페달마운팅 브래킷(11)과 대시패널(17)에 각각의 스위치(3,4,5)가 설치되는 부분을 스위치 설치구조물이라고 칭한다.
상기 제1차단스위치(4) 또는 제2차단스위치(5)[이하"제 1,2차단스위치(4,5)"라 한다]는 브레이크페달(10) 또는 가속페달(19)이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접점(22)이 접촉편(24)에 의해 접촉되어 배터리(1)의 전류가 전자제어유닛(7)에 공급되어 엔진이 가동되는 상태가 되고, 브레이크페달(10) 또는 가속페달(19)을 강하게 밟아 비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제1, 2 스위치(4,5)의 접점(22)이 접촉편(24)과 분리되면 접점(22)이 단락되어 전자제어유닛(7)으로 공급되는 배터리(1)의 전원이 차단되어 작동 중인 엔진이 정지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이 설치되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회로도로서, 배터리(1)와 휴즈박스(2)가 전선으로 연결되고 휴즈박스(2)에서 분기되는 한 가닥의 전선에는 브레이크램프 스위치(3)와 브레이크램프(6)가 설치되어 브레이크페달(10)을 밟았을 때, 브레이크램프 스위치(3)가 온되면서 브레이크램프(6)가 점등되게 하고, 휴즈박스(2)에 분기되어 전자제어유닛(7)에 연결되는 다른 가닥의 전선 사이에 제1, 2차단스위치(4,5)를 설치하여, 브레이크페달(10) 또는 가속페달(19)을 급작스럽게 깊숙이 밟았을 때 상기 제1, 2차단스위치(4,5)의 접점(22)이 단락되어 전자제어유닛(7)을 통하여 연료공급모터(8)와 점화플러그(9)에 공급되는 배터리(1)의 전원을 차단하여 엔진이 정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고안의 작용관계를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자동차가 정상적으로 운행할 때에는 도 2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의 페달(10,19)이 그 각각의 페달(10,19) 전방에 설치된 제1, 2차단스위치(4,5)를 접촉하지 않게 된다.
상기 가속페달(19)의 전방에 설치되어 있는 제2차단스위치(5)와 브레이크페달(10)의 전방에 설치되어 있는 제1차단스위치(4)는 각각의 페달(10,19)이 누르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각각의 제1, 2차단스위치(4,5) 내측에 설치된 스위치부(26)는 탄성체의 탄력에 의해 통공(21) 측으로 밀리게 되어 도체로 된 접촉편(24)이 접점(22)과 접촉되게 된다.
이렇게 접촉편(24)과 접점(22)이 접촉됨에 따라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배터리(1)의 전류가 휴즈박스(2)를 거쳐 전자제어유닛(7)과 연료공급모터(8), 점화코일(9)에 공급되어 시동이 걸려 엔진이 가동하게 되며, 자동차를 운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가속페달(19)의 하측 전방 선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완충수단(27)은 가속페달(19)이 정상적인 압력을 가해질 때에는 하부캡(30)이 바닥에 닿더라도 스프링(28)이 압축되지 않으므로 가속페달(19)은 제2차단스위치(5)의 접촉돌기부(25)를 눌리지 않으므로 정상 운행을 하게 된다.
위와 같이 자동차를 운행하는 과정에서 운전자는 가속페달(19)과 브레이크페달(10)를 필요에 따라 밟게 되는데, 정상적으로 운행을 할 때는 가속페달(19) 또는 브레이크페달(10)을 급작스럽게 밟지 않고 통상적으로 3~7kg/㎠ 정도의 압력으로 천천히 밟으면서 운전을 하게 되며, 가속페달(19)의 하측 전방 선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완충수단(27)은 20kg/㎠ 정도의 압력이 가해질 경우에 스프링(28)이 압축되도록 설정되기 때문에 통상적인 3~7kg/㎠ 정도의 압력으로 천천히 밟을 경우에는 제2차단스위치(5)의 접촉돌기부(25)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는 스프링(28)은 압축이 되지 않으므로 제2차단스위치(5)의 접촉돌기부(25)를 누르지 않게 된다.
이처럼 가속페달(19) 또는 브레이크페달(10)을 천천히 밟을 때에는 각각의 페달(10,19)이 깊게 밟지 않음에 따라 제1, 2차단스위치(4,5)의 케이스(20)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접촉돌기부(25)가 눌리지 않게 되는 상태에서 정상적으로 운행을 하게 되며, 또한 가속페달(19)을 정상적으로 밟는 경우에는 가속페달(19)의 전방 하측에 설치되어 있는 완충수단(27)은 도4에서와 같이 스위치 설치구조물인 대시패널(17)에서 많이 떨어져 있어 접촉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각각의 페달(10,19)의 전면은 각각의 제1, 2차단스위치(4,5)를 누르지 않기 때문에 위에서 도 1을 참고로 설명한 바와 같이 배터리(1)의 전류가 전자제어유닛(7)를 거쳐 연료공급모터(8)와 점화플러그(9)에 공급되어 정상적으로 엔진을 가동되고 있게 됨에 따라 브레이크페달(10) 또는 가속페달(19)을 천천히 밟을 때에는 시동이 꺼지지 않게 되어 평상시처럼 안전하게 운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운전을 하거나, 또는 시동을 걸어 운전을 시작하는 과정에서 예상하지 못한 상황에 의해 급발진이 발생하거나, 운전자의 오작동에 의하여 급가속이 발생하는 경우에 운전자가 당황하여 급작스럽게 브레이크페달(10) 또는 가속페달(19)을 20~25Kg/㎠ 정도의 높은 압력으로 강하게 밟을 경우에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브레이크페달(10)은 순식간에 스위치 설치구조물에 근접되게 접근하면서 제1차단스위치(4)의 접촉돌기부(25)를 눌러주게 되며, 가속페달(19)은 완충수단(27)의 하부캡(30)이 스위치 설치구조물에 순간적으로 부딪쳐 접촉되는 동시에 볼트(33)의 몸체가 하부캡(30)에 형성되어 있는 절곡부(32) 속으로 밀려들어 가면서 스프링(28)이 압축되어 스위치 설치구조물에 근접되게 접근되면서 제2차단스위치(5)의 접촉돌기부(25)를 눌러주게 된다.
위와 같이 브레이크페달(10) 또는 가속페달(19)이 스위치 설치구조물에 근접되게 접근되면서 제1차단스위치(4) 또는 제2차단스위치(5)의 접촉돌기부(25)를 눌러주게 되면, 접촉돌기부(25)를 형성한 스위치부(26)가 케이스(20)의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면서 스위치부(26) 후방의 접촉편(24)이 케이스(20) 내에 설치된 접점(22)과 분리되게 되고, 도체로 된 접촉편(24)과 접점(22)이 분리됨에 따라 휴즈박스(2)와 전자제어유닛(7) 사이의 전원을 차단시키게 된다.
위와 같이 휴즈박스(2)와 전자제어유닛(7)에 연결되어 있는 전선(23)의 중간에 설치되어 있는 제1차단스위치(4) 또는 제2차단스위치(5)의 작동에 의해 전원이 차단됨에 따라 전자제어유닛(7)을 통하여 연료공급모터(8)와 점화코일(9)에 공급되는 배터리(1)의 전원도 차단되어 작동중인 차량의 엔진이 정지되므로 운전자의 오작동에 의한 급가속 또는 차량의 결함에 의한 급발진 사고에 즉각적으로 대처하여 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급발진 사고에 즉각적으로 대처하여 사고를 예방한 후에는 브레이크페달(10) 또는 가속페달(19)이 원상으로 복귀하게 되면 제1, 2차단스위치(4,5)의 접점(22)이 접촉편(24)에 의해 접촉되어 배터리(1)의 전류가 전자제어유닛(7)에 공급되어 엔진이 가동되는 정상적인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운전자는 차량의 시동을 걸면 처음 상태와 동일하게 시동이 걸려 운전자는 처음과 같이 운전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부판(29)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구멍(34)를 통하여 페달체결나사(31)에 의하여 가속페달(19)의 하측 전방 선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완충수단(27)은 가속페달(19)을 정상적인 압력을 가해질 때에는 스프링(28)이 압축되지 않으므로 가속페달(19)을 정상적으로 사용하게 되며, 가속페달(19)을 비정상적인 강한 압력으로 급작스럽게 밟았을 때에는 가속페달(19)이 전방으로 밀려가다가 좌측의 하부캡(30)이 대시패널(17)에 순간적으로 부딪치면서 볼트(33)의 몸체가 하부캡(30)에 형성되어 있는 절곡부(32) 속으로 밀려들어 가면서 스프링(28)이 압축되어 가속페달(19)이 전방측으로 깊숙이 들어가 제2차단스위치(5)의 접촉돌기부(25)를 눌러주어 전원을 차단시켜 작동중인 차량의 엔진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브레이크(10)를 밟아서 차량을 정지시킴으로써 급가속 및 급발진에 즉각적으로 대처하여 사고를 예방하게 된다.
또한, 급가속 및 급발진 사고에 즉각적으로 대처하여 사고를 예방한 후에 가속페달(19)이 스위치 설치구조물에서 떨어져 원상으로 복귀하게 되면 가속페달(19)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는 완충수단(27)은 하부캡(30)의 절곡부(32) 속으로 밀려 들어가 있던 볼트(33)의 몸체가 스프링(28)의 팽창력에 의해 절곡부(32) 속에서 밀려 나오면서 처음의 상태로 원상복구시켜 차단스위치를 재차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 : 배터리 2 : 휴즈박스 3 : 브레이크램프 스위치
4 : 제1차단스위치 5 : 제2차단스위치 6 : 브레이크램프
7 : 전자제어유닛 8 : 연료공급모터 9 : 점화플러그
10 : 브레이크페달 17 : 대시패널 19 : 가속페달
20 : 케이스 21 : 통공 22 : 접점
23 : 전선 24 : 접촉편 25 : 접촉돌기부
26 : 스위치부 27 : 완충수단 28 : 스프링
29 : 상부판 30 : 하부캡 31 : 페달체결나사
32 : 절곡부 33 : 볼트 34 : 나사구멍

Claims (1)

  1. 휴즈박스(2)와 전자제어유닛(7)이 전선(23)에 의해 연결되며 브레이크페달(10)과 가속페달(19)이 설치되어 있는 통상의 차량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페달(10)이 설치되는 전방의 스위치 설치구조물에는 전자제어유닛(7)을 통하여 연료공급모터(8)와 점화플러그(9)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는 제1차단스위치(4)가 설치되며,
    상기 가속페달(19)이 설치되는 전방의 스위치 설치구조물에는 전자제어유닛(7)을 통하여 연료공급모터(8)와 점화플러그(9)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는 제2차단스위치(5)가 설치되고,
    상기 제1차단스위치(4)와 제2차단스위치(5)는 휴즈박스(2)와 전자제어유닛(7)에 연결되어 있는 전선(23) 중간에 연결 설치되어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되되,
    상기 가속페달(19)의 하측 전방 선단부에는 가속페달(19)을 정상적으로 천천히 밟으면 가속페달(19)이 끝까지 깊숙이 밟히지 않고, 가속페달(19)을 브레이크페달(10)로 오인하여 급작스럽게 강하게 밟았을 때 강하게 밟히는 압력에 의하여 가속페달(19)이 끝까지 깊숙이 밟히게 됨에 따라 스프링(28)이 압축되어 제2차단스위치(5)를 누른 후 원위치로 원상 복구하는 완충수단(27)이 설치되며,
    상기 완충수단(27)은 스프링(28)과, 스프링(28)의 좌우측에 위치하는 상부판(29)과 절곡부(32)가 형성된 하부캡(30)이 볼트(33)와 너트에 의해 체결되며,
    상기 브레이크페달(10)과 가속페달(19)은 20~25kg/㎠의 높은 압력으로 강하게 밟을 때 상기 제1차단스위치(4) 또는 제2차단스위치(5)의 접촉돌기부(25)를 각각 눌러줌으로써 접촉편(24)과 접점(22)이 분리됨에 따라 휴즈박스(2)와 전자제어유닛(7) 사이의 전원을 차단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의 오작동에 의한 급가속 및 차량결함에 의한 급발진 사고방지장치.
KR2020110007586U 2011-08-22 2011-08-22 운전자의 오작동에 의한 급가속 및 차량결함에 의한 급발진사고 방지장치 KR2004585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7586U KR200458530Y1 (ko) 2011-08-22 2011-08-22 운전자의 오작동에 의한 급가속 및 차량결함에 의한 급발진사고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7586U KR200458530Y1 (ko) 2011-08-22 2011-08-22 운전자의 오작동에 의한 급가속 및 차량결함에 의한 급발진사고 방지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0461 Division 2010-12-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8530Y1 true KR200458530Y1 (ko) 2012-02-27

Family

ID=45939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7586U KR200458530Y1 (ko) 2011-08-22 2011-08-22 운전자의 오작동에 의한 급가속 및 차량결함에 의한 급발진사고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53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50245A (zh) * 2018-09-20 2018-12-21 贵州新山地新能源汽车制造有限公司 一种电动观光车用的防错装置
KR20190047792A (ko) 2017-10-30 2019-05-09 현대위아 주식회사 차량 급발진 발생시 비상정지를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31936B1 (ko) * 2023-08-01 2024-01-31 이범규 자동차 급발진 방지 장치
KR20240017238A (ko) 2022-07-29 2024-02-07 한국교통안전공단 운전자 오조작에 의한 급발진 방지장치 및 급발진 방지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1096U (ko) * 1994-06-30 1996-01-17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 및 가속 페달 동시작동 방지장치
KR20080107040A (ko) * 2007-06-05 2008-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속페달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1096U (ko) * 1994-06-30 1996-01-17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 및 가속 페달 동시작동 방지장치
KR20080107040A (ko) * 2007-06-05 2008-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속페달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7792A (ko) 2017-10-30 2019-05-09 현대위아 주식회사 차량 급발진 발생시 비상정지를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9050245A (zh) * 2018-09-20 2018-12-21 贵州新山地新能源汽车制造有限公司 一种电动观光车用的防错装置
KR20240017238A (ko) 2022-07-29 2024-02-07 한국교통안전공단 운전자 오조작에 의한 급발진 방지장치 및 급발진 방지방법
KR102631936B1 (ko) * 2023-08-01 2024-01-31 이범규 자동차 급발진 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51820B (zh) 一种车辆用电子驻车自动释放控制方法
US8323152B2 (en) Method for automatic shutdown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8521386B2 (en) Automatic stop-and-start device for engine
JP5648117B2 (ja) 車両ブレーキ安全装置
US8308607B2 (en) Method for automatically restar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in a motor vehicle
KR200458530Y1 (ko) 운전자의 오작동에 의한 급가속 및 차량결함에 의한 급발진사고 방지장치
DE102008061791A1 (de) Verfahren zum automatischen Abschalten einer Brennkraftmaschine
DE102012217899B4 (de) Verfahren zum automatischen Abschalten und Starten einer Antriebsmaschine
WO2013088476A1 (ja) アイドリングストップ制御装置、車両、および、車両制御方法
JP2006342777A (ja) 車両制御装置
KR20160087095A (ko) 급발진 방지와 연료절감을 위한 엑셀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이 연계된 차량의 출력 제어 방법 및 그 장치들
KR101144430B1 (ko) 아이들 스탑 앤 고 적용 차량의 제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1462493A (zh) 机动车辆油门脚踏过位接触式智能控制及制动系统
CN104061079A (zh) 用于车辆的控制装置
KR101468872B1 (ko) 급발진 상황에서의 브레이크 제동시 엔진으로 공급되는 연료와 공기가 동시에 제어되는 제어시스템
KR101508937B1 (ko) 스마트 브레이크 오버라이드 시스템
KR102134356B1 (ko) 자동차의 내연기관 시동용 재시동 방법 및 재시동 어셈블리
US3506958A (en) Device for verifying hydraulic pressure in motor vehicle brake system
CN110462203B (zh) 用于引起机动车的内燃机的自动的关断和/或接通过程的起停装置
WO2002034562A1 (en) Back-up braking system and method for drive-by-wire vehicle
CN102030002B (zh) 内燃机运行模式的控制方法及实现装置
KR102631936B1 (ko) 자동차 급발진 방지 장치
KR200193347Y1 (ko) 오토차량의 급발진 방지 장치
KR101087278B1 (ko) 전자식 가속 페달용 페달 센서
KR20080110944A (ko) 차량의 급발진 방지 시스템 및 그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