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7792A - 차량 급발진 발생시 비상정지를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급발진 발생시 비상정지를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7792A
KR20190047792A KR1020170142037A KR20170142037A KR20190047792A KR 20190047792 A KR20190047792 A KR 20190047792A KR 1020170142037 A KR1020170142037 A KR 1020170142037A KR 20170142037 A KR20170142037 A KR 20170142037A KR 20190047792 A KR20190047792 A KR 201900477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emergency
auxiliary control
control device
sudd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2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홍
Original Assignee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위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2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7792A/ko
Publication of KR20190047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77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1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 B60K28/14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responsive to accident or emergency, e.g. deceleration, til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emergenc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13Failsafe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급발진 발생시 운전자가 차량 내 비상정지버튼을 누르면 차량ECU와 연결된 차랭배터리를 차단한 다음 보조제어장치에 배터리를 연결하여 브레이크와 핸들에는 전원을 공급함으로서 차량의 급발진 발생시에도 차량을 안전한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 급발진 발생시 비상정지를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급발진 발생시 비상정지를 위한 시스템은 차량의 각종 전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차량ECU장치; 상기 차량ECU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차량배터리; 상기 차량배터리와 상기 차량ECU장치 사이에 연결되는 제 1스위칭장치; 상기 차량ECU장치와 상기 전자장치 사이에 연결되는 제 2스위칭장치; 상기 차량배터리와 상기 차량ECU장치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끊어질 경우 상기 전자장치들의 동작을 예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차량배터리와 상기 전자장치 사이에 연결되는 보조제어장치; 상기 보조제어장치와 상기 전자장치 사이에 연결되는 제 3스위칭장치; 및 급발진상황 발생시 상기 차량의 운전자가 동작시킬수 있도록 상기 차량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운전자의 동작에 의해 급발진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보조제어장치로 전송하는 급발진비상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차량 급발진 발생시 비상정지를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emergency stop in case of sudden automobile emergence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 급발진 발생시 비상정지를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급발진 발생시 운전자가 차량 내 비상정지버튼을 누르면 차량ECU와 연결된 차랭배터리를 차단한 다음 보조제어장치에 배터리를 연결하여 브레이크와 핸들에는 전원을 공급함으로서 차량의 급발진 발생시에도 차량을 안전한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 급발진 발생시 비상정지를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 20-0458530호는 운전자의 오작동에 의한 급가속 및 차량결함에 의한 급발진사고 방지장치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한국등록실용신안 제 20-0458530호에 개시된 종래의 급가속 및 차량결함에 의한 급발진사고 방지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급가속 및 차량결함에 의한 급발진사고 방지장치는 휴즈박스(2)와 전자제어유닛(7)이 전선(23)에 의해 연결되며 브레이크페달(10)과 가속페달(19)이 설치되어 있는 통상의 차량에 있어서,상기 브레이크페달(10)이 설치되는 전방의 스위치 설치구조물에는 전자제어유닛(7)을 통하여 연료공급모터(8)와 점화플러그(9)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는 제1차단스위치(4)가 설치되어, 상기 브레이크페달(10)과 가속페달(19)은 20~25kg/㎠의 높은 압력으로 강하게 밟을 때 상기 제1차단스위치(4) 또는 제2차단스위치(5)의 접촉돌기부(25)를 각각 눌러줌으로써 접촉편(24)과 접점(22)이 분리됨에 따라 휴즈박스(2)와 전자제어유닛(7) 사이의 전원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차량의 급발진 사고 발생시 배터리를 원천적으로 분리하여 차량이 더 이상 가속되지 않고 추가적인 급발진이 되지 않도록 하고 있기는 하지만 차량의 동력이 없어지는 순간 브레이크와 핸들 및 안전장치들 역시 그 동작이 멈추기 때문에 급발진을 방지하였다고 하더라고 차량이 더 이상 움직일 수 없는 상태가 됨에 따라 차량을 안전한 장소로 정차한다거나 하는 등의 추가적인 운행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추가로 이어지는 2차사고 발생 등에 전혀 대비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 20-0458530호 : 운전자의 오작동에 의한 급가속 및 차량결함에 의한 급발진사고 방지장치 한국등록특허 제 10-1684135호 :SCR 시스템의 고장진단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급발진사고 발생시에도 차량의 스타트모터, 점화플러그, 연료공급모터 및 브레이크와 핸들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장치와 같은 전자장치에 전원을 공급해줌으로써 차량의 급발진 발생시에도 차량을 안전한 장소로 이동시켜 정차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급발진 발생시 비상정지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급발진 발생시 비상정지를 위한 시스템은 차량의 각종 전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차량ECU장치; 상기 차량ECU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차량배터리; 상기 차량배터리와 상기 차량ECU장치 사이에 연결되는 제 1스위칭장치; 상기 차량ECU장치와 상기 전자장치 사이에 연결되는 제 2스위칭장치; 상기 차량배터리와 상기 차량ECU장치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끊어질 경우 상기 전자장치들의 동작을 예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차량배터리와 상기 전자장치 사이에 연결되는 보조제어장치; 상기 보조제어장치와 상기 전자장치 사이에 연결되는 제 3스위칭장치; 및 급발진상황 발생시 상기 차량의 운전자가 동작시킬수 있도록 상기 차량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운전자의 동작에 의해 급발진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보조제어장치로 전송하는 급발진비상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보조제어장치는 상기 급발진비상버튼에 의해 생성된 급발진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제 1스위칭장치를 동작시켜 상기 차량배터리로부터 상기 차량용ECU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는 차량의 시동을 거는데 필요한 스타트모터, 점화플러그 및 연료공급모터 및 브레이크와 핸들에 전원을 공급해주는 전원공급장치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급발진비상버튼은 상기 운전자가 상기 급발진비상버튼을 3초 이상 누르고 있을 경우 상기 급발진신호를 생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조제어장치는 상기 급발진비상버튼으로부터 상기 급발진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소정시간 동안 상기 차량의 응급상황을 상기 차량 주변에 알린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조제어장치는 상기 급발진비상버튼으로부터 상기 급발진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경적음 또는 라이트점멸을 통해 상기 차량의 응급상황을 상기 차량 주변에 알린다.
상기 보조제어장치는 상기 소정시간 동안 차량의 응급상황을 알린 후 상기 제 3스위칭장치를 동작시켜 상기 보조제어장치와 상기 전자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차량에 시동이 걸리도록 제어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조제어장치는 차량에 시동이 걸리도록 제어할 때 상기 차량의 자동변속 최대 기어는 2단으로 제어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조제어장치는 차량에 시동이 걸리도록 제어할 때 상기 차량의 엔진의 회전수가 1500rpm이하가 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급발진 발생시 비상정지를 위한 방법은 차량에 급발진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차량 운전자의 급발진신호 입력에 의해 급발진신호가 생성되는 급발진신호생성단계; 상기 급발진신호가 차량 내 보조제어장치로 전송되는 급발진신호전송단계; 차량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공급을 받는 상기 보조제어장치가 상기 차량배터리로부터 차량ECU장치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차량ECU전원차단단계; 소정시간 동안 차량의 응급상황을 상기 차량 주변에 알리는 응급상황알림단계; 상기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차량배터리로부터 차량ECU장치로 전원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제어장치가 상기 차량의 시동을 거는데 필요한 전자장치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시동전원공급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동전원공급단계에서 상기 시동을 거는데 필요한 전자장치들은 스타트모터, 점화플러그 및 연료공급모터 및 및 브레이크와 핸들에 전원을 공급해주는 전원공급장치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동전원공급단계에서 상기 차량의 자동변속 최대 기어는 2단으로 제어되고 상기 시동전원공급단계에서 상기 차량의 엔진의 회전은 1500rpm이하로 제어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응급상황알림단계에서 소정시간동안 경적음 또는 라이트점멸을 통해 차량의 응급상황을 상기 차량 주변에 알리며, 상기 소정시간은 3~7초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급발진신호생성단계에서 상기 차량의 운전자가 차량에 구비되어 있는 비상버튼을 누르는 동작에 의해 상기 급발진신호가 생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급발진사고 발생시 일차적으로는 차량에 공급되는 공급을 차단하여 줌으로써 차량이 가속되거나 추가적인 급발진으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차량이 급발진 상태에서 벗어나 차량이 멈춘 상태에서는 다시 차량의 일부 장치들에는 전원을 공급해줌으로써 차량을 안전한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2차사고를 방지하여 추가적인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급발진시 차량의 브레이크, 핸들 및 점멸등에 전원을 공급해주는 전원공급장치에 차량배터리를 연결하여 줌으로써 주변의 차량 또는 사고차량을 뒤따르는 차량에 비상상황을 알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급발진 차량으로 인한 다른 차량의 추가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한국등록실용신안 제 20-0458530호에 개시된 종래의 급가속 및 차량결함에 의한 급발진사고 방지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급발진 발생시 비상정지를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급발진 발생시 비상정지를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들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급발진 발생시 비상정지를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급발진 발생시 비상정지를 위한 시스템은 차량ECU장치(200), 차량배터리(100), 제 1스위칭장치(310), 제 2스위칭장치(320), 제 3스위칭장치(330), 보조제어장치(400), 및 급발진비상버튼(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차량ECU장치(200)는 차량의 각종 전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차량배터리(100)는 상기 차량ECU장치(2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전자장치는 차량의 시동을 거는데 필요한 스타트모터, 점화플러그 및 연료공급모터 및 브레이크와 핸들에 전원을 공급해주는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하여 차량의 운행에 필요한 차량 내의 각종 장치들이며, 이들 전자장치들에는 전원이 공급되어야 하는데 상기 차량배터리(100)는 이러한 전자장치들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제 1스위칭장치(310)는 상기 차량배터리(100)와 상기 차량ECU장치(200)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 2스위칭장치(320)는 상기 차량ECU장치(200)와 상기 전자장치 사이에 연결된다.
상기 보조제어장치(400)는 상기 차량배터리(100)와 상기 차량ECU장치(20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끊어질 경우 상기 전자장치들의 동작을 예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차량배터리(100)와 상기 전자장치 사이에 연결된다.
상기 제 3스위칭장치(330)는 상기 보조제어장치(400)와 상기 전자장치 사이에 연결된다.
상기 급발진비상버튼(600)은 급발진상황 발생시 상기 차량의 운전자가 동작시킬수 있도록 상기 차량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운전자의 동작에 의해 급발진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보조제어장치(400)로 전송한다. 상기 급발진비상버튼(600)은 상기 운전자가 상기 급발진비상버튼(600)을 3초 이상 누르고 있을 경우 상기 급발진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보조제어장치(400)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보조제어장치(400)는 상기 급발진비상버튼(600)에 의해 생성된 급발진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제 1스위칭장치(310)를 동작시켜 상기 차량배터리(100)로부터 상기 차량용ECU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또한, 상기 보조제어장치(400)는 상기 급발진비상버튼(600)으로부터 상기 급발진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경적음 또는 라이트점멸을 통해 소정시간 동안 상기 차량의 응급상황을 상기 차량 주변에 알린다.
상기 보조제어장치(400)는 이처럼 상기 소정시간 동안 차량의 응급상황을 알린 후 상기 제 3스위칭장치를 동작시켜 상기 보조제어장치(400)와 상기 전자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차량에 시동이 걸리도록 제어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제어장치(400)는 차량에 시동이 걸리도록 제어할 때 상기 차량의 자동변속 최대 기어는 2단으로 제어하고, 상기 차량에 시동이 걸리도록 제어할 때 상기 차량의 엔진의 회전수가 1500rpm이하가 되도록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차량 급발진 발생시 비상정지를 위한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급발진 발생시 비상정지를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급발진 발생시 비상정지를 위한 방법은 급발진신호생성단계(S100), 급발진신호전송단계(S200), 차량ECU전원차단단계(S300), 응급상황알림단계(S400) 및 시동전원공급단계(S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차량에 급발진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상기 차량의 운전자가 차량에 구비되어 있는 비상버튼을 누르는 동작에 의해 급발진신호가 생성되고(S100), 이렇게 생성된 급발진신호는 차량 내 보조제어장치(400)로 전송된다(S200).
상기 급발진신호생성단계에서 상기 급발진신호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급발진 발생시 비상정지를 위한 방법.
다음 차량배터리(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공급을 받는 상기 보조제어장치(400)가 상기 차량배터리(100)로부터 차량ECU장치(20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 후(S300), 소정시간 동안 차량의 응급상황을 상기 차량 주변에 알린다.(S400)
상기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차량배터리(100)로부터 차량ECU장치(200)로 전원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제어장치(400)가 상기 차량의 시동을 거는데 필요한 전자장치들에 전원을 공급한다.(S500)
상기 시동전원공급단계(S500)에서 상기 시동을 거는데 필요한 전자장치들은 스타트모터, 점화플러그 및 연료공급모터 및 및 브레이크와 핸들에 전원을 공급해주는 전원공급장치이다. 상기 시동전원공급단계(S500)에서 상기 차량의 자동변속 최대 기어는 2단으로 제어되고, 상기 차량의 엔진의 회전은 1500rpm이하로 제어된다.
상기 응급상황알림단계(S400)에서는 소정시간 동안 경적음 또는 라이트점멸을 통해 차량의 응급상황을 상기 차량 주변에 알리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정시간은 3~7초 사이이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5초 동안 경적음 또는 라이트점멸을 통해 응급상황을 알린다.

Claims (15)

  1. 차량의 각종 전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차량ECU장치;
    상기 차량ECU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차량배터리;
    상기 차량배터리와 상기 차량ECU장치 사이에 연결되는 제 1스위칭장치;
    상기 차량ECU장치와 상기 전자장치 사이에 연결되는 제 2스위칭장치;
    상기 차량배터리와 상기 차량ECU장치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끊어질 경우 상기 전자장치들의 동작을 예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차량배터리와 상기 전자장치 사이에 연결되는 보조제어장치;
    상기 보조제어장치와 상기 전자장치 사이에 연결되는 제 3스위칭장치; 및
    급발진상황 발생시 상기 차량의 운전자가 동작시킬수 있도록 상기 차량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운전자의 동작에 의해 급발진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보조제어장치로 전송하는 급발진비상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보조제어장치는 상기 급발진비상버튼에 의해 생성된 급발진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제 1스위칭장치를 동작시켜 상기 차량배터리로부터 상기 차량용ECU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급발진 발생시 비상정지를 위한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는 차량의 시동을 거는데 필요한 스타트모터, 점화플러그 및 연료공급모터 및 브레이크와 핸들에 전원을 공급해주는 전원공급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급발진 발생시 비상정지를 위한 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급발진비상버튼은 상기 운전자가 상기 급발진비상버튼을 3초 이상 누르고 있을 경우 상기 급발진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급발진 발생시 비상정지를 위한 시스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제어장치는 상기 급발진비상버튼으로부터 상기 급발진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소정시간 동안 상기 차량의 응급상황을 상기 차량 주변에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급발진 발생시 비상정지를 위한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제어장치는 상기 급발진비상버튼으로부터 상기 급발진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경적음 또는 라이트점멸을 통해 상기 차량의 응급상황을 상기 차량 주변에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급발진 발생시 비상정지를 위한 시스템.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제어장치는 상기 소정시간 동안 차량의 응급상황을 알린 후 상기 제 3스위칭장치를 동작시켜 상기 보조제어장치와 상기 전자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차량에 시동이 걸리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급발진 발생시 비상정지를 위한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제어장치는 차량에 시동이 걸리도록 제어할 때 상기 차량의 자동변속 최대 기어는 2단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급발진 발생시 비상정지를 위한 시스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제어장치는 차량에 시동이 걸리도록 제어할 때 상기 차량의 엔진의 회전수가 1500rpm이하가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급발진 발생시 비상정지를 위한 시스템.
  9. 차량에 급발진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차량 운전자의 급발진신호 입력에 의해 급발진신호가 생성되는 급발진신호생성단계;
    상기 급발진신호가 차량 내 보조제어장치로 전송되는 급발진신호전송단계;
    차량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공급을 받는 상기 보조제어장치가 상기 차량배터리로부터 차량ECU장치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차량ECU전원차단단계;
    소정시간 동안 차량의 응급상황을 상기 차량 주변에 알리는 응급상황알림단계;
    상기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차량배터리로부터 차량ECU장치로 전원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제어장치가 상기 차량의 시동을 거는데 필요한 전자장치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시동전원공급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급발진 발생시 비상정지를 위한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전원공급단계에서 상기 시동을 거는데 필요한 전자장치들은 스타트모터, 점화플러그 및 연료공급모터 및 및 브레이크와 핸들에 전원을 공급해주는 전원공급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급발진 발생시 비상정지를 위한 방법.
  11.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전원공급단계에서 상기 차량의 자동변속 최대 기어는 2단으로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급발진 발생시 비상정지를 위한 방법.
  12.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전원공급단계에서 상기 차량의 엔진의 회전은 1500rpm이하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급발진 발생시 비상정지를 위한 방법.
  13.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상황알림단계에서 경적음 또는 라이트점멸을 통해 차량의 응급상황을 상기 차량 주변에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급발진 발생시 비상정지를 위한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상황알림단계에서 상기 소정시간은 3~7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급발진 발생시 비상정지를 위한 방법.
  15.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급발진신호생성단계에서 상기 차량의 운전자가 차량에 구비되어 있는 비상버튼을 누르는 동작에 의해 상기 급발진신호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급발진 발생시 비상정지를 위한 방법.


KR1020170142037A 2017-10-30 2017-10-30 차량 급발진 발생시 비상정지를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477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2037A KR20190047792A (ko) 2017-10-30 2017-10-30 차량 급발진 발생시 비상정지를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2037A KR20190047792A (ko) 2017-10-30 2017-10-30 차량 급발진 발생시 비상정지를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7792A true KR20190047792A (ko) 2019-05-09

Family

ID=66545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2037A KR20190047792A (ko) 2017-10-30 2017-10-30 차량 급발진 발생시 비상정지를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4779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5667A (ko) * 2021-02-08 2022-08-18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차량의 급발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0497780Y1 (ko) * 2023-05-31 2024-02-27 박훈근 차량 동력 차단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530Y1 (ko) 2011-08-22 2012-02-27 홍경의 운전자의 오작동에 의한 급가속 및 차량결함에 의한 급발진사고 방지장치
KR101684135B1 (ko) 2015-06-26 2016-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cr 시스템의 고장진단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530Y1 (ko) 2011-08-22 2012-02-27 홍경의 운전자의 오작동에 의한 급가속 및 차량결함에 의한 급발진사고 방지장치
KR101684135B1 (ko) 2015-06-26 2016-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cr 시스템의 고장진단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5667A (ko) * 2021-02-08 2022-08-18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차량의 급발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0497780Y1 (ko) * 2023-05-31 2024-02-27 박훈근 차량 동력 차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860125B (zh) 一种紧急制动控制方法、装置和ecu
JP4070258B2 (ja) “シフトロック”及び“キーロック”機能を有する作動論理を備えた変速機を装備した自動車
KR20190047792A (ko) 차량 급발진 발생시 비상정지를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US7525449B1 (en) Status light for switch on boat steering wheel
CN104760502A (zh) 油门误操作保护系统及车辆
WO2005007448A2 (en) System and method of automatically activating vehicle hazard light in the event of engine stall
KR100352072B1 (ko) 자동변속 차량의 급발진 제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2500554B1 (en) Vehicle starting control device
JP2017074898A (ja) ストップランプの故障検出装置
JP2004359224A (ja) 自動車の駐車ブレーキ
CN110920800B (zh) 一种超控系统
JP4759340B2 (ja) 電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KR102631936B1 (ko) 자동차 급발진 방지 장치
CN205601617U (zh) 一种应急停车装置及系统
JP6375969B2 (ja) 車両
US20020175565A1 (en) Automotive anti-theft device
KR200190509Y1 (ko) 시동시 경보장치
KR960004324Y1 (ko) 기어걸림 경고장치
KR20040003823A (ko) 상용차량의 틸팅 안전회로
NL1041473B1 (en) Emergency safety drive for vehicles.
KR200236483Y1 (ko) 경고음발생장치내장된자동차용키박스
KR200201168Y1 (ko) 수동기어 자동차의 안전장치
KR20060067558A (ko) 시동의 꺼짐을 알리는 차량
WO2019101706A1 (en) Method to stop the engine of a vehicle
CN114789660A (zh) 一种电动车辆的控制方法、装置及电动车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