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4623B1 - 자동 이륜차의 에어 클리너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 이륜차의 에어 클리너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4623B1
KR100504623B1 KR10-2002-0012851A KR20020012851A KR100504623B1 KR 100504623 B1 KR100504623 B1 KR 100504623B1 KR 20020012851 A KR20020012851 A KR 20020012851A KR 100504623 B1 KR100504623 B1 KR 100504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leaner
air
cover
intake duct
mai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2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6854A (ko
Inventor
다카다야스히로
사토쇼이치로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96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6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4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46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6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in vehicles
    • F02M35/162Motorcycles; All-terrain vehicles, e.g. quads, snowmobiles; Small vehicles, e.g. forkli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4Air cleaners using filters, e.g. moistened
    • F02M35/02475Air cleaners using filters, e.g. moistened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filter element
    • F02M35/02483Cylindrical, conical, oval, spherical or the like filter elements; wounded filte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자동 이륜차의 에어 클리너의 흡기 덕트를, 에어 클리너의 상부에 좌우 1쌍 설치하고, 에어 클리너를 차체 후부로부터 보았을 때 메인 프레임을 사이에 두고 거의 V자가 되도록 흡기 덕트를 기울어지게 한다. 이에 의해, 에어 클리너의 높이를 작게 할 수 있어, 에어 클리너를 소형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에어 클리너를 메인 프레임과 엔진 사이로부터, 예를 들면 카뷰레터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 차체로의 에어 클리너의 배치의 자유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차체에 장착하기 전의 보관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반송시의 취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에어 클리너의 상방에 배치한 차체 커버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어, 승차자의 승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 이륜차의 에어 클리너 구조{AIR CLEANER STRUCTURE OF MOTORCYCLE}
본 발명은 에어 클리너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데 바람직한 자동 이륜차의 에어 클리너 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동 이륜차의 에어 클리너 구조로는, 예를 들면 일본국 실용신안등록 제 2513803호 공보 "자동 이륜차용 엔진의 에어 클리너"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에어 클리너는 메인 프레임의 하방, 또한 엔진의 전방 상방에 배치한 것이며, 이 에어 클리너를 전반부와 후반부로 구성하고, 후반부의 상부에 덕트부를 돌출시켜, 덕트부의 상단에 공기 흡입구를 형성하고, 이 공기 흡입구를 메인 프레임에 부착한 보강 카세트 내에 면하게 하고 있다.
상기 기술과 같이, 덕트부를 상방으로 돌출시키면 에어 클리너가 대형이 되어, 덕트부를 메인 프레임에 간섭하지 않도록 메인 프레임의 측방에 배치하게 되어, 차체에 에어 클리너를 장착하기 힘들어짐과 동시에, 에어 클리너의 배치 위치가 제한된다. 또, 에어 클리너가 대형이 되면, 차체로의 장착 전의 보관 장소의 확보, 반송시의 취급면에서 불리해진다.
또, 덕트부를 상방으로 돌출시키면, 덕트부와 프론트 커버가 간섭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덕트부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프론트 커버를 높게 할 필요가 있는데, 이 경우 승차자의 승강시에 승차자의 발이 프론트 커버에 간섭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 이륜차의 에어 클리너 구조에 있어서, 에어 클리너의 소형화를 도모함으로써, 차체로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고 배치의 자유도를 증가시키고, 게다가 장착 전의 보관 장소의 확보나 반송시의 취급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방에 배치한 차체 커버의 높이를 낮게 하여 승차자의 승강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하면, 헤드 파이프로부터 후측 하방으로 메인 프레임을 이어지게 하고, 이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 엔진을 부착하고, 이 엔진의 상방에 에어 클리너를 배치한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 에어 클리너의 흡기 덕트를, 에어 클리너의 상부에 좌우 1쌍 설치하고, 에어 클리너를 차체 후부로부터 보았을 때 메인 프레임을 사이에 두고 거의 V자형이 되도록 흡입 덕트를 기울어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제1 발명은, 에어 클리너를 차체 후부로부터 보았을 때 메인 프레임을 사이에 두고 거의 V자형이 되도록 흡기 덕트를 기울어지게 한다. 이에 의해, 에어 클리너의 높이를 작게 할 수 있어, 에어 클리너를 소형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에어 클리너를 메인 프레임과 엔진 사이로부터, 예를 들면 카뷰레터측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 차체로의 에어 클리너의 배치의 자유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차체에 장착하기 전의 보관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반송시의 취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에어 클리너의 높이가 작아져, 에어 클리너의 상방에 배치한 차체 커버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어, 승차자의 승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흡기 덕트를, 에어 클리너 케이스에 형성한 오목부와, 에어 클리너 케이스의 개구부를 덮는 에어 클리너 커버에 형성한 오목부를 어긋나게 한 상태로 에어 클리너 케이스에 에어 클리너 커버를 맞춤으로써 단면 S자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본 발명은, 에어 클리너 케이스측의 오목부와 에어 클리너 커버측의 오목부로 단면 S자형의 흡기 덕트를 형성한다. 이에 의해, 흡기 덕트를 에어 클리너 케이스 및 에어 클리너 커버와 별체로 하는 것에 비해 부품 수를 줄일 수 있음과 동시에 흡기 덕트의 장착 작업수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에어 클리너의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흡기 덕트를 에어 클리너 케이스 또는 에어 클리너 커버에 일체로 한 경우에 비해, 성형 틀의 형상을 간소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흡기 덕트를 단면 S자형으로 형성함으로써, 흡기 덕트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어, 엔진의 흡기 소음을 쉽게 저감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에어 클리너 커버를 에어 클리너 케이스로부터 상방으로 연출(延出)시켜 연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연출부의 거의 대각선 상에 흡기 덕트의 개구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본 발명은, 연출부의 거의 대각선 상에 흡기 덕트의 개구부를 형성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카뷰레터에 접속하는 커넥팅 튜브를 에어 클리너 케이스에 설치하면, 흡기 덕트의 길이를 에어 클리너 커버부터 에어 클리너 케이스측까지 크게 설정할 수 있어, 흡기 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흡기 덕트 길이의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연출부에 의해 방수성을 높임과 동시에 개구부를 보강할 수 있고, 또한 연출부의 거의 대각선 상에 개구부를 형성함으로써, 개구부의 소정의 개구 면적을 확보하면서 연출부를 소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흡기 덕트를 에어 클리너의 메인 프레임으로의 부착부보다도 하방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본 발명은, 에어 클리너의 부착부보다도 하방에 흡기 덕트를 형성한다. 이에 의해, 부착부보다도 상방으로 흡기 덕트가 돌출되지 않으므로, 메인 프레임에 부착하는 차체 커버 등의 부품이 흡기 덕트에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흡기 덕트의 개구부 가장자리에 기립벽을 설치하여 빗물이 흡기 덕트 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본 발명은, 흡기 덕트 개구부의 기립벽으로 빗물이 흡기 덕트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에어 클리너 커버에 기립벽을 일체 성형하는 간단한 구조로 에어 클리너 내의 에어 필터 엘러먼트의 교환 시기를 더욱 뒤로 연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에어 클리너 구조를 채용한 자동 이륜차의 측면도이다. 자동 이륜차(10)는 메인 프레임(11)과 이 메인 프레임(11)의 후부에 부착한 후부 프레임(12)으로 이루어지는 차체 프레임(13)을 구비하고, 메인 프레임(11)의 전부에 헤드 파이프(15)를 설치하고, 이 헤드 파이프(15)에 조타 가능하도록 전부 포크(16)를 부착하고, 이 전부 포크(16)의 하단에 전륜(17)을 부착하고, 동일하게 전부 포크(16)의 상단에 핸들(18)을 부착하고, 메인 프레임(11)의 후부에 엔진(21)을 부착함과 동시에 스윙 암(22)을 스윙 가능하게 부착하고, 이 스윙 암(22)의 후단에 후륜(23)을 부착함과 동시에 1쌍의 후부 쿠션 유닛(24, 24)(안쪽의 부호 24는 도시 생략)의 하단을 부착하고, 이들 후부 쿠션 유닛(24, 24)의 상단을 후부 프레임(12)에 부착하고, 후부 푸레임(12)에 연료 탱크(25) 및 시트(26)를 부착하고, 상술한 엔진(21)의 상방에 본 발명의 에어 클리너(27)를 배치한 차량이다.
여기서 31은 헤드 램프, 32는 전부 커버, 33은 레그 실드, 34는 전부 펜더, 35는 사이드 커버, 36은 사이드 스탠드, 37은 메인 스탠드, 38은 테일 램프, 41은 후부 펜더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에어 클리너 구조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며, 메인 프레임(11)에 볼트(51, 51)(안쪽의 부호 51은 도시 생략)로 에어 클리너(27)의 상부를 부착하고, 에어 클리너(27)의 하부에 커넥팅 튜브(후술한다)를 통해 카뷰레터(52)를 부착하고, 이 카뷰레터(52)를 흡기관(53)을 통해 엔진(21)(도 1 참조)에 접속한 것을 나타낸다.
레그 실드(33)는 승차한 운전자의 양 발의 전방에 배치함과 동시에, 에어 클리너(27)의 상방 및 메인 프레임(11)의 상방에 배치한 것이다. 또한, 54는 레그 실드(33)의 메인 프레임(11)으로의 부착부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에어 클리너 구조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에어 클리너(27)는, 에어 클리너 케이스(55)와, 이 에어 클리너 케이스(55)의 차체 전방(도면중의 흰색 화살표(front)가 나타내는 방향이 차체 전방이다. 이하 동일.)측에 형성한 개구부(56)를 덮는 에어 클리너 커버(57)와, 이들 에어 클리너 케이스(55) 및 에어 클리너 커버(57)의 각각의 사이에 개재시킨 에어 필터 엘러먼트(58)와, 에어 클리너 커버(57)의 둘레가장자리부와 에어 필터 엘러먼트(58)의 둘레가장자리부 사이를 시일하는 제1 시일 부재(61)와, 에어 필터 엘러먼트(58)의 둘레가장자리부와 에어 클리너 케이스(55)의 둘레가장자리부 사이를 시일하는 제2 시일 부재(62)와, 에어 클리너(27) 내에서 에어로부터 분리한 수분을 배출시키는 제1 드레인 튜브(64) 및 제2 드레인 튜브(65)로 이루어진다. 또한, 67, 68은 제1·제2 드레인 튜브(64, 65)의 각각의 빠짐방지 부재, 71…(…는 복수개를 나타낸다. 이하 동일)는 에어 클리너 케이스(55)에 에어 클리너 커버(57)를 고정하는 비스, 72는 에어 클리너 케이스(55) 내와 카뷰레터(52)(도 2 참조) 내를 연통시키는 커넥팅 튜브, 73은 카뷰레터(52)에 커넥팅 튜브(72)를 고정하기 위한 밴드 부재, 74, 75는 밴드 부재(73)를 체결하기 위한 볼트 및 너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에어 클리너 구조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며, 에어 클리너(27)를 에어 클리너 케이스(55)측에서 본 도면이다.
에어 클리너(27)는 에어 클리너 커버(57)의 배면 상부에 좌우 1쌍의 연출부(77, 78)를 형성하고, 이들 연출부(77, 78)에 각각 개구부(81, 82)를 형성한 것이며, 이들 개구부(81, 82)는 후술하는 흡기 덕트의 개구부이다. 개구부(81, 82)는 가장자리에 기립벽(83, 84)을 설치한 부분이다.
연출부(77, 78)는 개구부(81, 82)보다도 크게 형성한 것이며, 연출부(77, 78)의 거의 대각선 상에 개구부(81, 82)를 형성했다.
이렇게 연출부(77, 78)를 개구부(81, 82)보다도 크게 형성했으므로, 개구부(81, 82)로의 차체 전방으로부터의 빗물 등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86은 에어 클리너(27)로부터 엔진의 배기 통로로 2차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연출부(77) 후방의 에어 클리너 케이스(55)에 형성한 2차 공기 토출구, 87은 엔진으로부터 에어 클리너(27) 내로 블로바이 가스를 도입하기 위한 블우바이 가스 흡입구, 88은 카뷰레터(52)(도 2 참조)의 분출계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취출구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에어 클리너 구조를 설명하는 배면도이며, 에어 클리너 커버(57)의 개구부(81, 82)(형상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개구부(81, 82)에 크로스 해칭을 실시했다)를 포함하는 좌우의 흡기 덕트(121, 122)(상세한 것은 후술한다)를 연직선(82)에 대해 각각 각도 θ만큼 기울인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도면에서는 에어 클리너(27)의 부착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메인 프레임(11), 볼트(51, 51) 및 레그 실드(33)를 기재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에어 클리너(27) 내에 에어를 흡입하는 좌우의 흡기 덕트(121, 122)를 기울어지게 함으로써, 에어 클리너 커버(57)의 높이, 나아가서는 에어 클리너(27)의 높이를 작게 할 수 있다.
또, 에어 클리너 커버(57)의 높이를 더욱 작게 하기 위해, 좌·우 흡기 덕트를 수평이 될 때까지 기울이는 것도 생각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는 에어 클리너 커버의 폭이 커진다. 이에 대해, 본 발명에서는 좌·우 흡기 덕트(121, 122)를 수평이 될 때까지 기울이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θ=45°∼ 75°의 범위에서 기울어지게 함으로써, 에어 클리너 커버(57)의 높이를 작게 함과 동시에, 에어 클리너의 폭의 증가를 억제하고, 게다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좌·우 흡기 덕트(121, 1220의 길이를 크게 할 수 있다.
도 6은 도 3의 6표시 방향도이며, 에어 클리너 커버(57)의 내측을 본 도면(배면도)을 나타낸다.
에어 클리너 커버(57)는 상방으로 연출시킨 연출부(77, 78)와, 이들 연출부(77, 78)의 거의 대각선 상에 형성한 개구부(81, 82)와, 이들 개구부(81, 82)로부터 이어지는 커버측 오목부(92, 93)와, 이들 커버측 오목부(92, 93) 사이의 벽으로부터 돌출시킨 원기둥부(94)와, 제1 시일 부재(61)(도 3 참조)를 끼우기 위한 고리형상의 제1 시일 홈(95)을 구비한다. 또한, 96은 제1 드레인 튜브(64)(도 3 참조)를 부착하는 제1 드레인관, 97, 98은 기립벽(83, 84)에 연속시켜 형성함과 동시에 기립벽(83, 84)보다도 낮게 한 상부 볼록부이다.
도 7은 도 3의 7표시 방향도이다. 에어 필터 엘러먼드(58)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필터(101)와, 이 필터(101)를 지지하는 프레임(102)으로 이루어지고, 프레임(102)의 가장자리에 상술한 제1 시일 부재(61)(도 3 참조)에 맞닿는 제1 고리형상 볼록부(103) 및 제2 시일 부재(62)(도 3 참조)에 맞닿는 제2 고리형상 볼록부(104)(프레임(102)의 뒷면측에 돌출시킨 것이다)를 형성하고, 프레임(102)의 상부에 에어 통로가 되는 에어 통로구멍(105, 106)을 형성한 상부 다이형상부(102a)를 형성한 부재이다. 또한, 107은 프레임(102)의 뒷면, 또한 필터(101)의 하방으로부터 돌출시킨 버플 플레이트(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108은 프레임(102) 뒷면의 중앙부 상단에 수평으로 형성한 직선형상 볼록부, 109는 에어 통로구멍(105, 106) 사이에 형성한 연결 부재이다.
도 8은 도 3의 8표시 방향도이며, 에어 클리너 케이스(55)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에어 클리너 케이스(55)는 상부에 형성한 좌우 1쌍의 케이스측 오목부(111, 112)와, 상술한 제2 시일 부재(62)(도 3 참조)를 끼우기 위한 고리형상의 제2 시일 홈(113)과, 블로바이 가스 흡입구(87)로부터 흡입한 블로바이 가스로부터 오일분을 분리하기 위해 미로 구성으로 한 오일 분리부(114)와, 커넥팅 튜브(72)(도 4 참조)를 부착하는 튜브 부착구멍(115)을 구비한다.
여기서, 116은 오일 분리부(114)의 블우바이 가스 토출구멍, 117은 제2 드레인 튜브(65)(도 3 참조)를 부착하는 제2 드레인관, 118은 에어 클리너 커버(57)(도 6 참조)의 상부 볼록부(97, 98)(도 6 참조) 및 에어 필터 엘러먼트(58)(도 7 참조)의 직선형상 볼록부(108)(도 7 참조)를 삽입하는 상부 홈, 119, 120은 메인 프레임(11)(도 2 참조)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이다.
이상에 기술한 에어 클리너 구조의 작용을 다음에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에어 클리너 구조의 작용을 설명하는 제1 작용도이며, 에어 클리너의 조립 요령, 특히 에어 클리너 케이스(55)에 제2 시일 부재(62)를 통해 에어 필터 엘러먼트(58)를 장착하는 요령을 나타낸다.
먼저, 에어 클리너 케이스(55)의 제2 시일 홈(113)에 제2 시일 부재(62)를 끼우고, 이어서 제2 시일 부재(62)에 에어 필터 엘러먼드(58)의 제2 고리형상 볼록부(104)를 맞닿도록 하여, 제2 시일 홈(113) 내에 제2 고리형상 볼록부(104)를 삽입한다.
제2 시일 부재(62)의 상부는 에어 클리너 케이스(55)의 케이스측 오목부(111, 112)의 하방에서, 또한 에어 필터 엘러먼트(58)의 에어 통로구멍(105, 106)의 하방을 시일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에어 클리너 구조의 작용을 설명하는 제2 작용도이며, 에어 클리너의 조립 요령, 특히 도 9에서 설명한 에어 필터 엘러먼트(58)를 장착한 에어 클리너 케이스(55)에, 도 10에 나타낸 제1 시일 부재(61)를 통해 에어 클리너 커버(57)를 장착하는 요령을 나타낸다.
먼저, 에어 클리너 커버(57)의 제1 시일 홈(95)에 제1 시일 부재(61)를 끼우고, 이어서 에어 필터 엘러먼트(58)의 제1 고리형상 볼록부(103)에 제1 시일 부재(61)를 맞닿도록 하여, 에어 클리너 케이스(55)(도 9 참조)에 에어 클리너 커버(57)를 장착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에어 클리너 구조의 작용을 설명하는 제3 작용도이며, 에어 클리너(27) 내의 에어가 흐르는 경로를 순서대로 설명한다. 또한, 에어의 흐름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에어 클리너(27)를 분해한 상태로 설명한다. 에어는 좌우의 개구부(81, 82)로부터 에어 클리너(27) 내로 유입하는데, 그 에어의 흐름은 좌우 대칭이므로, 좌측의 개구부(81)로부터 취입한 에어의 흐름만을 설명한다(이하 동일).
먼저, 화살표 ①처럼 개구부(81)로부터 에어 클리너 내로 들어간 에어는, 화살표 ②처럼 커버측 오목부(92)에서 U턴하여 에어 필터 엘러먼트(58)의 상부 다이형상부(102a)의 측방을 통과하여, 화살표 ③처럼 케이스측 오목부(111)에서 U턴하여, 에어 필터 엘러먼트(58)의 에어 통로구멍(105)을 통과하여, 화살표 ④처럼 에어 클리너 커버(57)의 내면을 따라 하강하면서 U턴하여, 화살표 ⑤처럼 에어 필터 엘러먼트(58)의 필터(101)를 통과하여, 화살표 ⑥처럼 에어 클리너 케이스(55) 내를 흘러, 튜브 부착구멍(115)에 부착한 커넥팅 튜브로부터 에어 클리너(27) 밖으로 흘러나간다.
도 12는 도 5의 12-12선 단면도이며, 일단 각 부의 구성을 설명한다. 에어 클리너 커버(57)의 개구부(81) 및 커버측 오목부(92)와, 에어 클리너 케이스(55)의 케이스측 오목부(111)와, 에어 필터 엘러먼트(58)의 에어 통로구멍(105)은 좌측 흡기 덕트(121)를 구성하는 것이다.
또, 에어 클리너 커버(57)의 개구부(82)(도 6 참조) 및 커버측 오목부(93)(도 6 참조)와, 에어 클리너 케이스(55)의 케이스측 오목부(112)(도 8 참조)와, 에어 필터 엘러먼트(58)(도 7 참조)의 에어 통로구멍(106)(도 7 참조)는, 우측 흡기 덕트(122)(도 11 참조)를 구성하는 것이다.
에어 클리너 커버(57)의 원기둥부(94)는 선단으로 에어 필터 엘러먼트(58)의 프레임(102)을 누르는 부분이다.
124는 에어 클리너 커버(57)의 외면에 설치한 단면 L자형의 L자벽, 125는 에어 클리너(27)의 더티 사이드(즉, 정화하기 전의 에어가 흐르는 방), 126은 에어 클리너(127)의 크린 사이드(즉, 정화한 후의 에어가 흐르는 방)이다.
이어서 도 12에서 각 부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도 11에 이어서, 에어의 흐름을 설명한다. 도면 중의 화살표에 붙인 번호는 도 11의 번호에 대응시켰다.
먼저 화살표 ①처럼 개구부(81)로부터 에어 클리너 내로 들어간 에어는, 화살표 ②, ③처럼 좌측 흡기 덕트(121) 내를 S자형상으로 나아가고, 화살표 ④처럼 에어 클리너 커버(57)의 내면을 따라 하강하면서 U턴하여, 화살표 ⑤처럼 에어 필터 엘러먼트(58)의 필터(101)를 통과하여, 화살표 ⑥처럼 에어 클리너 케이스(55) 내를 흘러, 화살표 ⑦처럼 커넥팅 튜브(72) 내를 통과하여 에어 클리너(27) 밖으로 배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경로로 에어가 흐를 때, 에어 중의 수분(티끌이나 먼지 등을 포함한다)은, 더티 사이드(125)에서는 화살표 ⑧처럼 에어 클리너 커버(57) 내를 낙하하여 하단에 설치한 제1 드레인관(96)으로부터 외부로 유출하고, 크린 사이드(126)에서는 화살표 ⑨처럼 에어 클리너 케이스(55) 내를 낙하하여 하단에 설치한 제2 드레인관(117)으로부터 유출한다.
다음으로, 개구부(81)의 기립벽(83) 및 L자벽(124)에 대해 설명한다.
에어 클리너 커버(57)의 개구부(81)에 기립벽(83)을 설치함으로써, 빗물(128)이 상방으로부터 떨어져 들어왔을 때, 이 빗물(128)이 직접 개구부(81)로부터 좌측 흡기 덕트(121) 내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빗물(128)은 에어 클리너 케이스(55)의 외면을 따라 흐른다.
또, 주행중에 차량 전방으로부터 에어 클리너 커버(57)의 상면을 따라 빗물(131)이 흘러 들어온 경우, 에어 클리너 커버(57)에 설치한 L자벽(124)으로 이 빗물을 저지할 수 있어, 개구부(81)측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기립벽(83) 및 L자벽(124) 양쪽에서, 에어 클리너(27) 내로의 빗물의 침입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도 1 및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첫째로, 헤드 파이프(15)로부터 후측 하방으로 메인 프레임(11)을 이어지게 하고, 이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 엔진(21)을 부착하고, 이 엔진(21)의 상방에 에어 클리너(27)를 배치한 자동 이륜차(10)에 있어서, 에어 클리너(27)의 흡기 덕트(121, 122)를, 에어 클리너(27)의 상부에 좌우 1쌍 설치하고, 에어 클리너(27)를 차체 후부로부터 보았을 때 메인 프레임(11)을 사이에 두고 거의 V자형이 되도록 좌·우 흡기 덕트(121, 122)를 기울어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에어 클리너(27)를 차체 후부로부터 보았을 때 거의 V자가 되도록 좌·우 흡기 덕트(121, 122)를 기울어지게 함으로써, 에어 클리너(27)의 높이를 작게 할 수 있어, 에어 클리너(27)를 소형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에어 클리너(27)를 메인 프레임(11)과 엔진(21) 사이로부터, 예를 들면 카뷰레터(52)(도 2 참조)에 커넥팅 튜브(도 12 참조)를 통하여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 차체로의 에어 클리너(27)의 배치의 자유도를 증가시킬 수 있어, 다른 부품과 간섭하지 않고 무리없이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차체에 장착하기 전의 보관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반송시의 취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에어 클리너(27)의 높이가 작아져, 에어 클리너(27)의 상방에 배치한 차체 커버, 예를 들면 레그 실드(33)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어 승차자의 승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둘째로, 도 11 및 도 1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흡기 덕트(121, 122)를, 에어 클리너 케이스(55)에 형성한 케이스측 오목부(111, 112)와, 에어 클리너 케이스(55)의 개구부(56)를 덮는 에어 클리너 커버(57)에 형성한 커버측 오목부(92, 93)를 어긋나게 한 상태로 에어 클리너 케이스(55)에 에어 클리너 커버(57)를 맞춤으로써 단면 S자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면, 흡기 덕트를 에어 클리너 케이스 및 에어 클리너 커버와 별체로 하는 것에 비해 부품 수를 줄일 수 있음과 동시에 흡기 덕트(121, 122)의 장착 공수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에어 클리너(27)의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흡기 덕트를 에어 클리너 케이스 또는 에어 클리너 커버에 일체로 한 경우에는 에어 클리너 케이스 또는 에어 클리너 커버의 성형틀에 흡기 덕트의 구멍이 되는 부분을 성형해야만 해 성형틀의 형상이 번잡해지나, 본 발명에서는 에어 클리너 케이스(55) 및 에어 클리너 커버(57)의 각각의 성형틀에 흡기 덕트(121, 122)가 되는 볼록부를 성형하면 되어, 성형틀의 형상을 간소하게 할 수 있어, 틀 비용을 낮출 수 있다.
또한, 흡기 덕트(121, 122)를 단면 S자형으로 형성함으로써, 흡기 덕트(121, 122)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어, 엔진(21)(도 1 참조)의 흡기 소음을 쉽게 저감하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셋째로, 도 4 및 도 1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에어 클리너 커버(57)를 에어 클리너 케이스(55)로부터 상방으로 연출시켜 연출부(77, 78)를 형성하고,이 연출부(77, 78)의 거의 대각선 상에 흡기 덕트(121, 122)의 개구부(81, 82)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다.
연출부(77, 78)의 거의 대각선 상에 흡기 덕트(121, 122)의 개구부(81, 82)를 형성함으로써, 예를 들면 카뷰레터(52)(도 2 참조)에 접속하는 커넥팅 튜브(72)를 에어 클리너 케이스(55)에 설치하면, 좌·우 흡기 덕트(121, 122)의 길이를 에어 클리너 커버(57)로부터 에어 클리너 케이스(55)측까지 크게 설정할 수 있어, 흡기 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흡기 덕트 길이의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연출부(77, 78)에 의해 차체 측방으로부터 흘러 들어오는 빗물 등을 차단할 수 있어 개구부(81, 82)로의 침수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방수성을 높일 수 있음과 동시에, 연출부(77, 78)로 개구부(81, 82)를 보강할 수 있다.
또한, 연출부(77, 78)의 거의 대각선 상에 개구부(81, 82)를 형성함으로써, 개구부(81, 82)의 소정의 개구 면적을 확보하면서 연출부(77, 78)를 소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넷째로,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흡기 덕트(121, 122)를, 에어 클리너(27)의 메인 프레임(11)으로의 부착부(119, 120)보다도 하방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부착부(119, 120)보다도 상방으로 흡기 덕트(121, 122)가 돌출되지 않으므로,메인 프레임(11)에 부착하는 차체 커버(여기서는 레그 실드(33)) 등의 부품이 흡기 덕트(121, 122)에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섯째로, 도 4, 도 5 및 도 1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좌·우 흡기 덕트(121, 122)의 개구부(81, 82) 가장자리에 각각 기립벽(83, 84)을 설치하여 빗물이 좌·우 흡기 덕트(121, 122) 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좌·우 흡기 덕트(121, 122)의 개구부(81, 82)의 기립벽(83, 84)으로 빗물이 흡기 덕트(121, 122)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에어 클리너 커버(57)에 기립벽(83, 84)를 일체 성형하는 간단한 구조로 에어 클리너(27) 내의 에어 필터 엘러먼트(58)의 교환 시기를 더욱 뒤로 연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좌우의 흡기 덕트를 차체 후부로부터 보았을 때 거의 V자가 되도록 흡기 덕트를 기울어지게 했는데, 또한 흡기 덕트의 개구부 및 이 개구부의 기립벽을 차체 후방 비스듬한 하방으로 기울어지게 해도 된다.
본 발명에서는, 에어 클리너의 흡기 덕트를, 에어 클리너 상부에 좌우 1쌍 설치하고, 에어 클리너를 차체 후부로부터 보았을 때 흡기 덕트를 거의 V자형이 되도록 기울어지게 한 구조이다. 그 때문에, 에어 클리너의 높이를 작게 할 수 있어, 에어 클리너를 소형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에어 클리너의 차체로의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배치의 자유도가 증가하고, 게다가 장착 전의 보관 장소의 확보나 반송시의 취급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또한 상방에 배치한 차체 커버의 높이를 낮게 하여 승차자의 승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자동 이륜차에서 유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에어 클리너 구조를 채용한 자동 이륜차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에어 클리너 구조를 설명하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에어 클리너 구조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에어 클리너 구조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에어 클리너 구조를 설명하는 배면도,
도 6은 도 3의 6표시 방향도,
도 7은 도 3의 7표시 방향도,
도 8은 도 3의 8표시 방향도,
도 9는 본 발명의 에어 클리너 구조의 작용을 설명하는 제1 작용도,
도 10은 본 발명의 에어 클리너 구조의 작용을 설명하는 제2 작용도,
도 11은 본 발명의 에어 클리너 구조의 작용을 설명하는 제3 작용도,
도 12는 도 5의 12-12선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자동 이륜차 11 : 메인 프레임
12 : 후부 프레임 13 : 차체 프레임
15 : 헤드 파이프 21 : 엔진
27 : 에어 클리너 55 : 에어 클리너 케이스
57 : 에어 클리너 커버 121, 122 : 흡기 덕트

Claims (9)

  1. 헤드 파이프로부터 후측 하방으로 메인 프레임을 이어지게 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 엔진을 부착하고, 상기 엔진의 상방에 에어 클리너를 배치한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 상기 에어 클리너의 흡기 덕트를, 에어 클리너의 상부에 좌우 1쌍 설치하고, 에어 클리너를 차체 후부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메인 프레임을 사이에 두고 거의 V자형이 되도록 상기 흡입 덕트를 기울어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의 에어 클리너 구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 덕트는, 상기 에어 클리너의 상기 메인 프레임으로의 부착부보다도 하방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의 에어 클리너 구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클리너는 에어 클리너 케이스와 에어 클리너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흡기 덕트는 상기 에어 클리너 케이스와 에어 클리너 커버를 결합시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의 에어 클리너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 덕트를, 에어 클리너 케이스에 형성한 오목부와, 상기 에어 클리너 케이스의 개구부를 덮는 에어 클리너 커버에 형성한 오목부를 어긋나게 한 상태로 에어 클리너 케이스에 에어 클리너 커버를 맞춤으로써 단면 S자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의 에어 클리너 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클리너 커버를 상기 에어 클리너 케이스로부터 상방으로 연출(延出)시켜 연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연출부의 거의 대각선 상에 상기 흡기 덕트의 개구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의 에어 클리너 구조.
  9. 제4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 덕트의 개구부 가장자리에 기립벽을 설치하여 빗물이 흡기 덕트 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의 에어 클리너 구조.
KR10-2002-0012851A 2001-06-20 2002-03-11 자동 이륜차의 에어 클리너 구조 KR1005046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WOPCT/JP2001/05253 2001-06-20
PCT/JP2001/005253 WO2003001048A1 (fr) 2001-06-20 2001-06-20 Structure filtre a air pour motocyclet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6854A KR20020096854A (ko) 2002-12-31
KR100504623B1 true KR100504623B1 (ko) 2005-08-01

Family

ID=11737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2851A KR100504623B1 (ko) 2001-06-20 2002-03-11 자동 이륜차의 에어 클리너 구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JP (1) JP3537817B2 (ko)
KR (1) KR100504623B1 (ko)
CN (1) CN1304750C (ko)
AR (1) AR034028A1 (ko)
BR (1) BR0117047B1 (ko)
GR (1) GR20020100263A (ko)
TW (1) TW568854B (ko)
WO (1) WO20030010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8895A (ja) 2004-09-24 2006-04-06 Yamaha Motor Co Ltd 鞍乗型車両
JP4773783B2 (ja) * 2005-09-15 2011-09-14 川崎重工業株式会社 車両のエアクリーナー装置
JP4592017B2 (ja) * 2005-12-20 2010-12-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2輪車用エアクリーナ装置
JP5004511B2 (ja) * 2006-06-09 2012-08-22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自動二輪車
JP4722791B2 (ja) * 2006-08-24 2011-07-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エアクリーナ構造
JP5020680B2 (ja) * 2007-03-29 2012-09-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エンジンの吸気装置
GB2518121B (en) * 2008-11-25 2016-03-30 Np Aerospace Ltd Combined vehicular armour
JP6459789B2 (ja) * 2015-06-12 2019-01-30 スズキ株式会社 エアクリーナ構造
CN107939563B (zh) * 2016-10-13 2022-04-05 光阳工业股份有限公司 空气滤清器
JP6625577B2 (ja) * 2017-02-15 2019-12-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アクリーナー装置
WO2019064965A1 (ja) * 2017-09-29 2019-04-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のカバー構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56245A (en) * 1979-05-22 1980-12-05 Yamaha Motor Co Ltd Air cleaner for motor cycle
JPS6181818A (ja) * 1984-09-17 1986-04-25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エアクリ−ナ装置
JPS61255259A (ja) * 1985-05-09 1986-11-12 Yamaha Motor Co Ltd エアクリ−ナ
JPS63101186A (ja) * 1987-09-21 1988-05-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における吸気装置
US6234531B1 (en) * 1998-09-11 2001-05-22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Fuel tank for a two-wheeled motor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39768Y2 (ko) * 1973-12-25 1978-09-27
JPS61275561A (ja) * 1985-05-29 1986-12-05 Honda Motor Co Ltd エアクリ−ナ
JPH0631060B2 (ja) * 1985-07-31 1994-04-27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エアクリーナ装置
JP2513803Y2 (ja) 1990-11-01 1996-10-09 川崎重工業株式会社 自動2輪車用エンジンのエアクリ―ナ
JP3344142B2 (ja) * 1995-02-15 2002-11-11 スズキ株式会社 自動2輪車のエアクリーナ
JP3786490B2 (ja) * 1997-02-17 2006-06-14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スクータ型車両用エアクリーナ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56245A (en) * 1979-05-22 1980-12-05 Yamaha Motor Co Ltd Air cleaner for motor cycle
JPS6181818A (ja) * 1984-09-17 1986-04-25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エアクリ−ナ装置
JPS61255259A (ja) * 1985-05-09 1986-11-12 Yamaha Motor Co Ltd エアクリ−ナ
JPS63101186A (ja) * 1987-09-21 1988-05-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における吸気装置
US6234531B1 (en) * 1998-09-11 2001-05-22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Fuel tank for a two-wheeled mot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68854B (en) 2004-01-01
CN1304750C (zh) 2007-03-14
CN1520492A (zh) 2004-08-11
JPWO2003001048A1 (ja) 2004-10-14
WO2003001048A1 (fr) 2003-01-03
GR20020100263A (el) 2003-03-28
AR034028A1 (es) 2004-01-21
JP3537817B2 (ja) 2004-06-14
BR0117047A (pt) 2006-04-11
BR0117047B1 (pt) 2009-12-01
KR20020096854A (ko) 2002-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48166A (en) Engine air cleaner and duct arrangement
KR100504623B1 (ko) 자동 이륜차의 에어 클리너 구조
US6478105B2 (en) Air cleaner fitting structure for motorcycle
US6290016B1 (en) Air cleaner
US20060064952A1 (en) Intake system
US7284629B2 (en) Intake system structure for vehicle
US6688274B2 (en) Motorcycle intake structure
US7263827B2 (en) Exhaust pipe insulator attaching structure for saddle-riding vehicle
US6306190B1 (en) Secondary air supply device
JPH1029581A (ja) スクータ型車両における吸入空気取入構造
JP3817659B2 (ja) 自動二・三輪車のレッグシールド装置
JP3395946B2 (ja) エアクリーナ装置及びユニットスイング式パワーユニットを備えたスクータ型車両
JP3569809B2 (ja) 自動2輪車のエアクリーナ
KR100795247B1 (ko) 에어크리너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3470388B2 (ja) 自動二輪車のエアクリーナ
JP2761117B2 (ja) スクータ型車両の吸気装置
US10914277B2 (en) Intake device for saddle riding vehicle
JPH11171075A (ja) 自動二輪車
US6289866B1 (en) Structure of an intake pipe cover
JP2529019Y2 (ja) 自動二輪車
JP7375090B2 (ja) 鞍乗型車両
JP5320553B2 (ja) エンジン式産業車両の空気導入装置
JPS6239993Y2 (ko)
JPS6312074Y2 (ko)
JPH031951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