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4587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4587B1
KR100504587B1 KR10-1998-0036062A KR19980036062A KR100504587B1 KR 100504587 B1 KR100504587 B1 KR 100504587B1 KR 19980036062 A KR19980036062 A KR 19980036062A KR 100504587 B1 KR100504587 B1 KR 100504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temperature
swing
indoor unit
fl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6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9450A (ko
Inventor
마나부 이시하라
도모히데 후나고시
히로시 가나이
마사토 와타나베
미키야스 신시
가즈노부 호소가이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29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9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4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45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과제)
피공조실내의 소정의 영역을 효율적으로 공조한다.
(해결수단)
체감 모드로 설정되어 기류제어가 개시되면, 이니셜위치와 함께 스윙범위가 설정된다(스텝(200∼204)). 그 다음, 이니셜 스윙, 왼쪽 중시 스윙 및 오른쪽 중시 스윙을 차례로 행하면서, 메인 리모콘 및 서브 리모콘에 의해서 온도를 측정한다(스텝(206∼226)). 이 온도의 측정결과에 의해서, 좌우 플랩의 알맞은 스윙 모드가 선택되면(스텝(212, 220, 228)), 선택된 스윙 모드에서 공조가 행해진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CONDITIONER}
본 발명은 실내 유니트가 설치되는 피공조실내의 공기조화를 꾀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상세히는 분출구에 설치한 좌우 플랩의 왕복이동에 의해서 수평방향에 따른 소정의 범위로 향하여 공조풍을 내뿜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이하「에어콘」이라고 한다)는 피공조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실내 유니트)의 열교환기를 통과함으로써 온도조절된 공기를 피공조실내에 내뿜음으로써, 피공조실내의 공기조화를 꾀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에어콘에서는 에어콘의 운전조작을 행하는 리모콘스위치에 온도 센서를 설치하여 주로 이 온도 센서(리모콘 센서에 설치한 온도 센서)에 의해서 검출한 온도가 설정온도가 되도록 공조제어함으로써, 피공조실내에 있는 사람의 주위가 설정온도가 되도록 하고 있다. 즉, 리모콘스위치는 피공조실내에 있는 사람이 조작하는 것이고, 이 리모콘스위치의 온도가 피공조실내에 있는 사람의 체감온도에 가깝다. 따라서, 리모콘스위치의 온도 센서에 의해서 검출한 온도를 설정온도로 함으로써, 피공조실내가 쾌적한 공조상태로 느껴진다.
그런데, 에어콘의 실내 유니트의 설치위치는 피공조실내의 전역에 향하여 공조풍을 내뿜을 수 있는 위치가 바람직하고, 이에 따라, 실내의 전역을 쾌적한 공조상태로 할 수 있다.
최근, 에어콘에 의해서 공조하는 피공조실은 넓어지고 있고, 또한, L 자형상 등으로 형성되는 등, 형상도 다양화하고 있다. 한편, 실내 유니트의 설치위치는 창문이나 문, 대들보 등을 피할 필요가 있어 제약을 받는 것이 많다. 이 때문에 1 대의 실내기로 넓은 실내의 전역을 균일하게 공조하기위해서는 공조능력이 높은 에어콘이 필요해진다.
그러나, 에너지 절약의 관점에서는 넓은 피공조실내의 전역을 균일하게 공조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즉, 피공조실내가 넓더라도 사람이 있는 스페이스는 한정되고 있는 것이 많고, 넓은 피공조실내의 전역을 공조하는 것은 사람이 없는 스페이스에도 온도조절한 공기를 널리 퍼지게 하는 것으로 되고, 그만큼, 공조능력을 높게 할 필요가 생기게 된다.
이러한 공조시의 에너지 절약을 생각할 경우, 사람이 있는 영역을 중점적으로 공조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여기에서, 사람이 있는 영역마다 온도 센서를 배치하고, 각각의 온도 센서의 검출온도에 따라서 공조능력을 제어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렇지만, 실내 유니트에는 풍향을 제어하기위해서 상하 플랩과 함께 좌우 플랩이 설치되지만, 그것들은 모두 일정한 속도로 스윙하도록 되어있다.
한편, 공조하고 싶은 영역은 반드시 실내 유니트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있는 것에 한하지 않고, 또한, 공조하고 싶은 영역에 향하여 범위를 제한하여 좌우 플랩을 스윙시키려고 해도 공조하고 싶은 영역을 정확히 판단하는 것은 곤란하도록 되어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실에 감안하여 행해진 것으로서, 각각 온도 센서를 배치한 복수의 영역을 효율적으로 공조하기위한 공기조화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은 실내 유니트의 분출구에 설치한 플랩을 좌우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킴으로써 수평방향에 따른 소정의 범위로 향하여 공조풍을 내뿜어 피공조실내를 공조하는 공기조화기로서, 상기 플랩의 왕복이동시에 소정의 위치로 상기 플랩의 이동속도를 변경하는 복수의 이동패턴을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피공조실내의 적어도 2개소에 배치되는 온도검출수단과,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복수의 이동패턴으로 상기 플랩을 차례로 이동하면서 각각의 이동패턴에 있어서의 상기 온도검출수단의 검출온도를 측정하여, 해당 측정한 온도의 온도차가 적어지는 패턴을 선택하는 선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평방향에 따른 풍향을 변경하는 플랩을 왕복이동시킬 때에 소정의 위치로 이동속도를 변경한 복수의 패턴을 기억하고 있고, 각각의 패턴마다, 적어도 2개소에 배치한 온도검출수단에 의해서 온도를 측정한다. 이 측정결과로부터 온도차가 가장 작은 패턴을 선택한다. 이 선택한 패턴에 따라서 플랩을 제어함으로써, 온도검출수단을 설치하고 있는 적어도 2개소를 원하는 공조상태로 할 수 있다.
즉, 분출구에서 내뿜어지는 풍량이 일정하면, 플랩을 일정한 속도로 이동(스윙)시킴으로써 균일하게 공조할 수 있고, 또한, 플랩의 이동속도(스윙속도)를 낮게 함으로써, 그 방향에 중점을 두고 공조할 수 있다. 여기에서, 분출구에 대하여 어느 방향에 중점을 두고 공조할지를 플랩의 이동패턴으로 바꾸고 기억하여, 기억한 이동패턴으로부터 최적의 패턴을 선택함으로써, 피공조실내의 적어도 2개소의 영역을 효율적으로 공조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은 상기 선택수단이 상기 온도검출수단의 각각이 상기 이동패턴마다 검출하는 온도의 변화로부터 해당 이동패턴의 적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온도검출수단에 의해서 검출하는 온도변화로부터 해당하는 이동패턴의 적부를 판정한다. 예컨대, 난방시에 각각의 온도검출수단에 의해서 검출되는 온도가 내려 가면 그 이동패턴은 부적당하다고 판단할 수 있고, 또한, 설정온도에 달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적어도 한 쪽의 온도가 상승하면 그 이동패턴을 선택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은 상기 기억수단이 복수의 왕복이동범위와 각각의 이동범위마다의 이동패턴을 기억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플랩의 왕복이동범위를 복수설정하고 있다. 즉, 플랩의 이동범위가 공조하는 범위이고, 이 플랩의 이동범위를 벗어난 영역은 공조효율이 저하한다. 즉, 플랩의 왕복이동범위를 바꾸므로써, 중점적으로 공조하는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각각의 이동범위마다 이동패턴을 설정함으로써, 보다 세밀한 영역으로 분할하여 공조를 행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은 상기 온도검출수단의 한 쪽이 상기 실내 유니트에 대한 상대위치를 설정하는 위치설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선택수단이 상기 위치설정수단에 의해서 설정되는 위치에 따라서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플랩의 이동범위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적어도 한 쪽의 온도검출수단에 실내 유니트에 대한 해당 온도검출수단을 배치한 영역의 상대위치(방향)를 설정하는 위치설정수단을 설치하고 있고, 이 위치설정수단에 의해서 설정된 방향이 공조되도록 플랩의 이동범위가 선택되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서 원하는 영역을 보다 효율적으로 공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에 본 발명의 1실시의 형태를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을 적용한 공기조화기(이하「에어콘(10)」이라고 한다)의 냉동사이클을 나타내고 있다. 이 에어콘(10)은 피공조실에 설치되는 실내 유니트(12)와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 유니트(14)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고, 실내 유니트(12)와 실외 유니트(14)는 냉매를 순환시키는 굵은 관의 냉매배관(16A)과, 가는 관의 냉매배관(16B)으로 접속되어 있다.
실내 유니트(12)에는 열교환기(18)가 설치되어 있고, 냉매배관(16A,16B)의 각각의 일단이 이 열교환기(18)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냉매배관(16A)의 타단은 실외 유니트(14)의 밸브(20A)에 접속되어 있다. 이 밸브(20A)는 머플러(22A)를 통해 4방향밸브(24)에 접속되어 있다. 이 4방향밸브(24)는 어큐뮬레이터(28)를 통해서 및 머플러(22B)를 통해 콤프레서(26)에 접속되어 있다.
또,실외 유니트(14)에는 열교환기(30)가 설치된다. 이 열교환기(30)는 한 쪽이 4방향밸브(24)에 접속되고, 다른 쪽이 모세관(32), 스트레이너(34), 모듈레이터(38)를 통해 밸브(20B)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스트레이너(34)와 모듈레이터(38)의 사이에는 전동(電動)팽창밸브(36)가 설치되고, 밸브(20B)에는 냉매배관(16B)의 타단이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실내 유니트(12)와 실외 유니트(14)의 사이에 냉동사이클을 형성하는 냉매의 밀폐된 순환로가 구성되어 있다.
에어콘(10)은 콤프레서(26)의 운전에 의해서 이 냉동사이클내를 냉매가 순환됨으로써 냉방 또는 난방운전이 가능해지고 있다.
즉, 냉방 모드에서는 콤프레서(26)에 의해서 압축된 냉매가 열교환기(30)로 공급됨으로써 액화되어 이 액화된 냉매가 실내 유니트(12)의 열교환기(18)에서 기화함으로써, 열교환기(18)를 통과하는 공기를 냉각한다. 또한, 난방 모드에서는 반대로, 콤프레서(26)에 의해서 압축된 냉매가 실내 유니트(12)의 열교환기(18)에서 응축됨으로써 방열하고, 이 냉매가 방열한 열로 열교환기(18)를 통과하는 공기가 가열된다.
도 1에서는 화살표에 의해서 난방운전시(난방 모드)와 냉방운전시(냉방 모드 또는 드라이 모드를 포함함)의 냉매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고, 4방향밸브(24)의 전환에 의해서, 운전 모드가 냉방 모드(드라이 모드를 포함함)와 난방 모드가 전환되고, 전동팽창밸브(36)의 밸브개방도를 제어함으로써, 냉매의 증발온도가 조정된다. 또, 본 발명은 임의의 구성의 공기조화기에 적용할 수 있고, 에어콘(10)은 그 일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유니트(12)는 흡입구(48)와 분출구(50)가 형성된 케이싱(42)내에 열교환기(18)가 설치된다. 이 케이싱(42)은 베이스판(40)에 의해서 실내의 벽면등에 고정된다.
이 케이싱(42)내에는 열교환기(18)와 흡입구(48)의 사이에 크로스 플로우팬(44)과 필터(46)가 배치되어 있고, 크로스 플로우팬(44)의 작동에 의해서 실내의 공기가 케이싱(42)내에 흡인되고, 필터(46) 및 열교환기(18)를 통과한 후, 분출구(50)로부터 실내로 내뿜어진다. 이 때, 실내에 내뿜어지는 공기가 열교환기(18)를 통과함으로써 열교환기(18)내를 순환되는 냉매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이 행해져서 실내를 공조하는 온도조절된 공기로 된다.
실내 유니트(12)의 분출구(50)에는 좌우 플랩(52)과 함께 상하 플랩(54)이 설치되어 있고, 좌우 플랩(52) 및 상하 플랩(54)에 의해서, 분출구(50)로부터 내뿜어지는 공조풍(온도조절된 공기)의 방향이 바뀌어지도록 되어 있다. 즉, 분출구(50)로부터 실내로 내뿜어지는 공기는 상하 플랩(54)에 의해서 상하방향에 따라 풍향이 바뀌어진다. 또한, 좌우 플랩(52)은 분출구(50)로부터 내뿜는 공기의 방향을 좌우방향(수평방향)에 따라서 바꾸게 되어 있다. 에어콘(10)은 상하 플랩(54)및 좌우 플랩(52)에 의해 분출구(50)로부터 내뿜어지는 공기의 풍향을 임의로 바꿀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유니트(12)에는 전원기판(56), 컨트롤기판(58) 및 파워 릴레이기판(60)이 설치된다. 에어콘(10)을 운전하기위한 전력이 공급되는 전원기판(56)에는 모터전원(62), 제어회로전원(64), 직렬전원(66) 및 구동회로(68)가 설치된다. 또한, 컨트롤기판(58)에는 직렬회로(70), 구동회로(72) 및 마이크로컴퓨터(74)가 설치된다.
전원기판(56)의 구동회로(68)에는 크로스 플로우팬(44)을 구동하는 팬모터(76)(예컨대 DC브러시레스 모터)가 접속되어 있고, 컨트롤기판(58)에 설치되는 마이크로컴퓨터(74)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모터전원(62)으로부터 구동전력을 공급한다. 이 때, 마이크로컴퓨터(74)는 구동회로(68)로부터의 출력전압을 12V∼36V의 범위에서 256스텝으로 변화시키도록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서, 실내 유니트(12)의 분출구(50)로부터 내뿜어지는 공조풍의 풍량이 조정된다.
컨트롤기판(58)의 구동회로(72)에는 파워 릴레이기판(60), 좌우 플랩(52)을 조작하는 좌우 플랩모터(77) 및 상하 플랩(54)을 조작하는 상하 플랩모터(78)가 접속되어 있다. 파워 릴레이기판(60)에는 파워 릴레이(80)와 온도 퓨즈 등이 설치되어 있고, 마이크로컴퓨터(74)로부터의 신호에 의해서, 파워 릴레이(80)를 조작하여 실외 유니트(14)에 전력을 공급하기위한 접점(80A)를 개폐한다. 에어콘(10)은 접점(80A)이 닫혀짐으로써, 실외 유니트(14)로의 전력의 공급이 가능해진다.
좌우 플랩모터(77) 및 상하 플랩모터(78)는 마이크로컴퓨터(74)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제어되어 좌우 플랩(52) 및 상하 플랩(54)의 각각을 조작한다. 좌우 플랩(52)이 좌우방향으로 스윙됨으로써, 분출구(50)로부터 내뿜어지는 공기(공조풍)의 분출구방향이 좌우방향으로 바뀌어지고, 상하 플랩(54)이 상하방향으로 스윙됨으로써, 실내 유니트(12)의 분출구(50)로부터 내뿜어지는 공기(공조풍)의 분출방향이 상하방향으로 바뀌어진다. 좌우 플랩(52) 및 상하 플랩(54)의 조작은 분출풍이 임의의 방향으로 향하게 되도록 고정할 수 있고, 또한, 풍향이 임의로 변화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에어콘(10)의 실내 유니트(12)에서는 크로스 플로우팬(44)의 회전과 좌우 플랩(52) 및 상하 플랩(54)의 조작이 제어됨으로써, 원하는 풍량 및 풍향 또는 실내를 쾌적히 하기위해서 제어된 풍량 및 풍향으로 공조된 공기를 실내로 내뿜는다.
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플랩(52)은 실내 유니트(12)의 정면을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 각도 θ0(전체로서 각도 2θ0)의 범위로 풍향을 변화하도록 제어된다. 또, 이 각도 2θ0는 예컨대, 종래 약 90°의 범위였던 것에 대하여 100°∼120°로 널리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컴퓨터(74) 및 전원회로(56)의 직렬전원(66)에 접속되어 있는 직렬회로(70)는 실외 유니트(14)에 접속되어 있고, 마이크로컴퓨터(74)는 이 직렬회로(70)를 통해 실외 유니트(14)와의 사이에서 직렬통신을 행하여 실외 유니트(14)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되어있다.
또한, 실내 유니트(12)에는 리모콘스위치(120)(도 1참조)로부터의 조작신호를 수신하는 수신회로 및 운전표시용의 표시 LED 등을 구비한 표시기판(82)이 설치되어 있고, 이 표시기판(82)이 마이크로컴퓨터(74)에 접속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기판(82)의 표시부(82A)는 케이싱(42)의 전면에 배치되어 있고, 이 표시부(82A)에 리모콘스위치(120)로부터 송출되는 조작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리모콘스위치(120)를 표시부(82A)로 향하여 조작함으로써, 리모콘스위치(120)로부터의 조작신호가 마이크로컴퓨터(74)에 입력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컴퓨터(74)에는 실내온도를 검출하는 실온 센서(84)및 열교환기(18)의 코일온도를 검출하는 열교환온도 센서(86)가 접속되고, 또, 컨트롤기판(58)에 설치되는 서비스 LED 및 운전전환스위치(88)가 접속되어 있다. 운전전환스위치(88)는「통상운전」과 유지보수시 등에 행하는「시험운전」과의 전환 및, 전원스위치(88A)의 접점을 개방하여 에어콘(10)으로의 운전전력의 공급을 차단하는「정지」로 전환된다. 통상, 이 운전전환스위치(88)는「통상운전」으로 설정되어 전원스위치(88A)의 접점이 닫혀지고 있다. 또, 서비스 LED는 유지보수시에 점등조작함으로써, 서비스 맨에게 자기진단결과를 알리도록 되어 있다.
실내 유니트(12)에는 실외 유니트(14)와의 사이의 배선이 접속되는 단자대(90)가 설치된다. 이 단자대(90)의 터미널(90A, 90B, 90C)에는 실내 유니트(12)로부터 실외 유니트(14)에 공급하는 전원용의 배선과, 실내 유니트(12)와 실외 유니트(14)의 사이에서 직렬통신을 행하기 위한 배선이 접속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 유니트(14)에는 단자대(92)가 설치되어 있고, 이 단자대(92)의 터미널(92A, 92B, 92C)이 각각 실내 유니트(12)의 단자대(90)의 터미널(90A, 90B, 90C)에 접속된다.
이 실외 유니트(14)에는 정류기판(94), 컨트롤기판(96)이 설치된다. 컨트롤기판(96)에는 마이크로컴퓨터(98), 노이즈 필터(100A, 100B, 100C), 직렬회로(102) 및 스위칭전원(104) 등이 설치된다.
정류기판(94)에는 노이즈 필터(100A)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배전압정류하고, 노이즈 필터(100B, 100C)를 통해 평활화한 직류전력을 스위칭전원(104)에 출력한다. 스위칭전원(104)은 마이크로컴퓨터(98)와 함께 인버터회로(106)에 접속되어 있고, 이 인버터회로(106)가 콤프레서모터(108)에 접속되어 있다. 인버터회로(106)는 마이크로컴퓨터(98)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른 주파수의 전력을 콤프레서모터(108)에 출력하여 콤프레서(26)를 회전구동한다.
또, 마이크로컴퓨터(98)는 인버터회로(106)로부터 출력되는 전력의 주파수가 오프 또는 14Hz 이상(상한은 운전전류의 상한에 따름)의 범위가 되도록 제어하고 있어 이것에 의해서, 콤프레서모터(108), 즉 콤프레서(26)의 회전수가 바뀌어지고, 콤프레서(26)의 운전능력(에어콘(10)의 냉난방능력)이 제어된다.
이 컨트롤기판(96)에는 4방향밸브(24) 및 열교환기(30)를 냉각하기위한 송풍팬(도시생략)을 구동하는 팬모터(110), 팬모터컨덴서(110A)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실외 유니트(14)에는 외기온도를 검출하는 외기온도 센서(112), 열교환기(30)의 냉매코일의 온도를 검출하는 코일온도 센서(114)및 콤프레서(26)의 온도를 검출하는 콤프레서온도 센서(116)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이 마이크로컴퓨터(98)에 접속되어 있다.
마이크로컴퓨터(98)는 운전 모드에 따라서 4방향밸브(24)를 전환함과 동시에 실내 유니트(12)로부터의 제어신호, 외기온도 센서(112), 코일온도 센서(114) 및 콤프레서온도 센서(116)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팬모터(110)의 온/오프 및 콤프레서모터(108)의 운전주파수(콤프레서(26)의 능력) 등을 제어하도록 되어있다.
또한, 컨트롤기판(96)에는 전동팽창밸브(36)를 개폐구동하는 모터(118)가 접속되어 있다. 마이크로컴퓨터(98)는 모터(118)에 의해서 전동팽창밸브(36)의 개방도를 제어한다.
도 6a 및 도 도 6b에는 에어콘(10)의 운전조작을 행하기 위한 리모콘스위치(120)(이하「메인 리모콘」이라고 한다)가 표시되고 있다. 메인 리모콘(120)에는 표시부(122)가 설치되어 있다. 이 표시부(122)에는 운전 모드, 설정온도, 실내온도(실온), 시간에 더하여 풍향, 풍량 등의 에어콘(10)을 운전할 때의 운전조건이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메인 리모콘(120)에는 운전/정지버튼(124), 온도설정버튼(126A, 126B)과 함께 체감버튼(128) 및 풍향버튼(130)이 설치된다. 에어콘(10)은 운전/정지버튼(124)의 조작에 의해서 운전/정지된다. 또한, 온도설정버튼(126A, 126B)에 의해서 표시부(122)에 표시되는 설정온도(공조할 때의 목표온도)가 바뀌어지도록 되어 있다.
메인 리모콘(120)에는 내부에 온도 센서(도시생략)가 설치되어 있고, 이 메인 리모콘(120)에 의해서 메인 리모콘(120)의 주위의 실온을 측정하여 실내 유니트(12)에 송출하도록 되어있다. 또한, 후술하는 서브 리모콘(140)에도 온도 센서가 설치되어 있고, 서브 리모콘(140)의 주위의 실온을 측정하여 실내 유니트(12)에 송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실내 유니트(12)의 마이크로컴퓨터(74)는 실내 유니트(12)에 설치하고 있는 실온 센서(84), 메인 리모콘(120) 및 서브 리모콘(140)에 의해서 실내의 온도를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체감버튼(128)은 실온을 측정하는 온도 센서의 전환용으로 되어 있고, 이 체감버튼(128)을 조작함으로써, 실내 유니트(12)의 실온 센서(84)를 사용하여 실온을 측정하는 통상모드와, 이 실온 센서(84)에 더하여 메인 리모콘(120)(통상 체감 모드) 또는 메인 리모콘(120)과 서브 리모콘(140)(멀티체감 모드)을 사용하여 실온을 측정하는 체감 모드로 전환된다.
또한, 풍향버튼(130)의 조작에 의해서, 분출구(50)로부터 내뿜어지는 공기의 방향(풍향)이 서브 리모콘(140)으로부터의 신호에 따라서 좌우방향에 편향된다.
메인 리모콘(120)에는 슬라이드커버(134)가 설치되어 있고, 이 슬라이드커버(134)의 슬라이드조작에 의해서, 여러가지 조작버튼을 가지는 조작패널(132)이 노출되도록 되어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커버(134)내에 은폐되어 있는 조작패널(132)의 운전전환버튼(136)에 의해서, 에어콘(10)의 운전 모드가 자동, 난방, 드라이, 냉방, 공기청정, 건조로 차례로 전환된다. 또한, 조작패널(132)내의 스위치조작에 의해, 분출구(50)로부터 내뿜는 풍량, 풍향(상하방향)의 전환이 가능하고, 하이파워 및 능력세이브 등의 공조능력의 선택이 가능하게되어 있다. 또, 조작패널(132)상의 스위치조작에 의해서 운전개시시간, 운전정지시간 등의 타이머설정이 가능하게되어 있다.
이 메인 리모콘(120)은 각 조작버튼이 조작될 때 마다, 조작내용에 따른 조작신호를 실내 유니트(12)의 표시부(82A)를 향하여 송출함과 동시에 온도 센서에 의해서 검출한 메인 리모콘(120)의 주위의 온도를 송출한다. 또한, 메인 리모콘(120)은 조작버튼의 조작에 구속되지 않고 에어콘(10)의 운전중은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송출하도록 되어있다.
그런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콘(10)의 표시부(82A)는 메인 리모콘(120)과는 별도로 설치되는 리모콘 센서스위치(이하「서브 리모콘(140)」이라고 한다)로부터의 신호도 합쳐서 수신하도록 되어있다.
도 7 및 도 8a 및 도 8b에는 서브 리모콘(140)의 개략이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리모콘(140)은 서브 리모콘(140)의 주위의 온도를 검출하여 검출한 온도에 따른 신호(예컨대 전압)를 출력하는 온도검출부(142)와 함께 사람검지부(144) 및 위치설정스위치(146)를 구비하고 있고, 각각이 변환부(148)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 변환부(148)는 통신부(150)에 접속되어 있다.
사람검지부(144)에는 프레이넬렌즈에 의해서 집광한 원적외선을 검출하는 초전도소자를 구비한 사람검지 센서(152)가 설치된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사람검지 센서(152)는 서브 리모콘(140)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반구형상의 돔커버(154)내에 배치되어 있고, 돔커버(154)를 투과한 주위의 원적외선을 검출하도록 되어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사람검지 센서(152)는 검지회로(156)에 접속되어 있다. 사람검지부(144)는 검지회로(156)가 사람검지 센서(152)에 의해서 검출한 원적외선의 변화의 유무로부터 서브 리모콘(140)의 주위의 사람의 유무를 검출하는 일반적인 사람검지의 구성으로 되어있다.
또, 검지회로(156)에는 감도조정기(158)가 접속되어 있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리모콘(140)에는 감도조정기(158)의 조정손잡이(158A)가 설치되어 있고, 이 조정손잡이(158A)에 의해서 사람감지 센서(152)의 감도, 즉, 검출거리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리모콘(140)의 슬라이드커버(140A)를 아래 쪽에 슬라이드 조작함으로써, 위치설정스위치(146)가 개방된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설정스위치(146)는 서브 리모콘(140)에 대한 실내 유니트(12)의 위치에 따라서, 조작 노브(146A)를「우」,「중앙」및「좌」의 3단계의 표시위치에 슬라이드 조작하도록 되어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서브 리모콘(140)으로 향해서 실내 유니트(12)의 상대위치가 오른쪽에 있을 때에는 위치설정스위치(146)를「우」로 슬라이드 조작하면 좋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한 조정손잡이(158A)도 통상, 슬라이드커버(140A)에 의해서 은폐되어 있다.
변환부(148)는 온도검출부(142), 사람검지부(144) 및 위치설정스위치(146)로부터의 입력신호를 각각의 신호를 미리 설정된 코드에 따라서 변환하여 통신부(150)로 출력한다.
통신부(150)는 변환부(148)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실내 유니트(12)로 향하여 송출한다. 또한, 도 8a 및 도 8b에 도시한 바와같이, 서브 리모콘(140)에는 서브 리모콘(140)을 온/오프하는 전원스위치(160)가 설치된다. 통신부(150)는 전원스위치(160)가 온조작됨으로써, 온신호를 송출함과 동시에 온도검출부(142), 사람검지부(144) 및 위치설정스위치(146)로부터의 입력에 따라서 신호의 송출을 행한다.
서브 리모콘(140)은 전원스위치(160)가 온조작됨으로써, 온도검출부(142)에 의한 실온의 측정 및 사람검지부(144)에 의한 사람의 유무 검출을 행하여, 사람검지부(144)에서 사람을 검지하고 있는 사이는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측정한 실온과 함께 위치설정스위치(146)에 의해서 설정되어 있는 위치신호를 송출한다.
한편, 실내 유니트(12)의 마이크로컴퓨터(74)는 서브 리모콘(140)으로부터의 위치설정신호에 의해서, 서브 리모콘(140)의 위치를 판정하고, 이 위치로 분출구(50)로부터의 공조풍이 내뿜어지도록 좌우 플랩(52)을 스윙시킨다. 또한, 실내 유니트(12)의 마이크로컴퓨터(74)는 서브 리모콘(140)으로부터 사람을 검지한 것을 나타내는 신호가 정지되면 이 좌우 플랩(52)의 스윙을 정지하고, 다시, 사람을 검출한 신호가 입력됨으로써 좌우 플랩(52)의 스윙을 개시한다. 이 때, 마이크로컴퓨터(74)는 메인 리모콘(120)의 체감버튼(128)이 조작되어 체감 모드일 때는 서브 리모콘(140)으로부터 송출되는 실온을 사용하여 공조풍의 온도 및 풍량을 제어하도록 되어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콘(10)의 실내 유니트(12)는 통상, 공조되는 피공조실(162)내의 메인 에리어(162A)를 향하여 공조풍을 내뿜도록 설치된다. 즉, 실내 유니트(12)는 정면이 피공조실내의 메인 에리어를 향해서 설치되고, 통상, 이 메인 에리어가 쾌적한 공조상태가 되도록 운전된다.
서브 리모콘(140)은 피공조실(162)내에서 메인 에리어(162A)와 다른 위치에서 공조를 행하고 싶은 에리어(이하「서브 에리어(162B)」라고 한다)에 설치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콘(10)은 좌우 플랩(52)에 의해서 내뿜어지는 공조풍의 방향이 통상, 실내 유니트(12)의 정면이 이니셜위치(이하 이니셜위치(C)」라고 한다)로 되어 있고, 좌우 플랩(52)은 이 이니셜위치(C)를 중심으로 각도 θ0의 범위에서 좌우로 스윙된다(예컨대 좌우로 50°의 범위로 스윙). 또한, 서브 리모콘(140)의 위치설정스위치(146)가「중」으로 설정되고 있을 때에는 이 이니셜위치(C)를 중심으로 마찬가지로 좌우 플랩(52)이 스윙된다.
한편, 서브 리모콘(140)의 위치설정스위치(146)가「좌」또는「우」로 설정되면 실내 유니트(12)의 이니셜위치(R, L)가 각각 각도(θR, θL)로 변경되고, 각각 좌우에 각도 θ1 (예컨대 약30°)의 범위로 스윙된다. 즉, 좌우 플랩(52)은 서브 리모콘(140)의 위치설정스위치(146)에 의해서, 스윙할 때의 중심이 되는 이니셜위치가 변경되고, 이것과 함께 스윙폭이 변경된다.
실내 유니트(12)에 설치하고 있는 마이크로컴퓨터(74)는 메인 리모콘(120)의 체감버튼(128)이 조작되면 설정온도, 메인 리모콘(120)에 의해서 검출하는 실온 및 서브 리모콘(140)에 의해서 검출하는 실온에 따라서 공조운전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 마이크로컴퓨터(74)는 메인 리모콘(120)에 의해서 검출하는 실온(Trtp)과 서브 리모콘(140)에 의해서 검출하는 실온(Trts)이 대략 같게 하기위해서, 좌우 플랩(52)의 스윙속도를 변경하도록 하고 있다.
표1에는 서브 리모콘(140)의 위치설정스위치(146)의 설정에 대한 좌우 플랩(52)의 스윙 모드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좌우 플랩(52)의 스윙속도는 고속, 중속 및 저속의 3단계로 변경가능해져 있고, 이니셜 스윙에서는 일정속도(예컨대 중속 내지 저속)로 좌우 플랩(52)을 스윙시켜, 왼쪽 중시 및 오른쪽 중시에서는 실내 유니트(12)로 향해서 이니셜위치보다도 좌측 및 우측에서의 스윙속도가 저속이 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일시정지는 좌우 플랩(52)의 스윙을 일정시간 정지시킨다.
위치설정 SW 우위치 중앙위치 좌위치
스윙범위 40°∼100° 0°∼100° 0°∼60°
이니셜스윙 전범위(중속)좌단에서 일시정지 전범위(중속)일단정지없음 전범위(중속)우단에서 일시정지
좌중시 좌측저속우측고속좌단에서 일시정지 좌측저속우측고속일시정지없음 좌측저속우측고속일시정지없음
우중시 좌측고속우측저속일시정지없음 좌측고속우측저속일시정지없음 좌측고속우측저속우단에서 일시정지
좌우 플랩(52)의 스윙속도가 변화됨으로써, 분출구(50)로부터 뿜어 나오게 되는 풍량이 변경된다. 즉, 좌우 플랩(52)의 스윙속도가 낮게 됨으로써, 그 풍향으로 향하여 내뿜는 풍량이 증가됨으로써, 난방시에는 보다 온도상승이 도모되고, 냉방시에는 보다 온도저하가 도모된다.
예컨대,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니셜위치(R)로 설정되고 있을 때에는 오른쪽 중시로 좌우 플랩(52)을 스윙시킴으로써, 실내 유니트(12)의 정면측(이니셜위치(C) 측)의 풍량이 증가되고,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니셜위치(L)로 설정되고 있을 때에는 실내 유니트(12)의 좌측으로 향해지는 풍량이 증가된다. 즉, 소정의 스윙폭내에서 좌측에 중점을 두고 공조되게 된다. 또한,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니셜위치(C)로 설정되고 있을 때에 이니셜 스윙이 행하여짐으로써, 분출구(50)의 분출구 영역내의 전역에 균일한 풍량으로 공조풍이 뿜어 나오게 된다.
마이크로컴퓨터(74)는 메인 리모콘(120)과 서브 리모콘(140)의 실내 유니트(12)에 대한 상대위치가 명확하지 않기때문에 스윙속도를 변경하면서 메인 리모콘(120)및 서브 리모콘(140)에 의해서 검출하는 실온 내지 실온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좌우 플랩(52)의 알맞은 스윙상태(스윙 모드)를 판정하여 이 판정결과에 따라서 좌우 플랩(52)을 제어하도록 하고 있다.
이하에 본 실시의 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에어콘(10)에서는 메인 리모콘(120)의 스위치조작에 의해서 냉방운전, 드라이운전 및 난방운전등 어느 하나에 설정된 상태로 운전/정지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면 설정된 운전 모드에 의한 운전을 개시한다.
에어콘(10)은 운전조작이 이루어져 공조운전을 개시하면 설정온도와 실내온도를 측정하여 이 측정결과에 따라서, 콤프레서(26)의 운전주파수, 풍량(크로스 플로우팬의 회전수) 등을 설정하여 이 설정결과에 따라서 공조운전을 행한다.
또한, 실외 유니트(14)에서는 설정된 운전 모드에 따라서 4방향밸브(24)를 전환한다. 예컨대, 냉방 내지 드라이 모드로 설정되면 콤프레서(26)에 의해서 압축된 냉매가 실외 유니트(14)의 열교환기(30)에 공급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콤프레서(26)에 의해서 압축된 냉매는 열교환기(30)를 통과함으로써 액화되어 이 액화된 냉매가 실내 유니트(12)의 열교환기(18)에 공급된다. 실내 유니트(12)의 열교환기(18)에 공급된 냉매는 열교환기(18)를 통과할 때에 기화하여 열교환기(18)를 통과하는 공기를 냉각한다.
한편, 난방운전시에는 콤프레서(26)에 의해서 압축한 고압의 냉매가 실내 유니트(12)의 열교환기(18)에 공급되도록 4방향밸브(24)를 전환한다. 이에 따라, 콤프레서(26)로 압축된 고압의 냉매가 열교환기(18)로 액화될 때에 열교환기(18)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한다. 이 열교환기(18)로 가열된 공기가 분출구(50)로부터 실내에 내뿜어짐으로써 실내가 난방된다.
그런데, 에어콘(10)에서는 통상, 실내온도를 실내 유니트(12)의 실온 센서(84)에 의해서 측정하고 있지만, 메인 리모콘(120)의 체감버튼(128)이 조작되면 실온 센서(84)로 측정한 실온에 더하여 메인 리모콘(120)에 의해서 측정한 실온을 사용한 체감 모드에서의 운전을 행한다. 이 때, 서브 리모콘(140)이 온되어 서브 리모콘(140)의 온도검출부(142)로 측정한 실온을 수신하고 있을 때에는 실온 센서(84), 메인 리모콘(120) 및 서브 리모콘(140)의 각각에서 검출한 실온에 따라서 공조운전을 행하는 멀티체감 모드에서의 운전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 체감 모드는 냉방, 난방, 드라이 등의 풍향 및 풍량이 자동으로 설정된 자동운전시로 실행가능해진다.
한편, 실내 유니트(12)의 마이크로컴퓨터(74)는 체감 모드로 설정되면 메인 리모콘(120)에 의해서 검출되는 실온(Trtp)과 서브 리모콘(140)에 의해서 검출되는 실온(Trts)이 대략 일치(온도차가 소정범위내)하도록, 좌우 플랩(52)을 제어하도록 되어있다. 즉, 메인 리모콘(120) 및 서브 리모콘(140)의 개략위치는 알고 있지만 정확한 위치가 명확하지 않기때문에 좌우 플랩(52)의 스윙속도를 조정하여 알맞은 스윙상태를 선택하도록 되어있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좌우 플랩(52)이 50pps(펄스/초)로 풍향이 2°/초 변화할 때에 고속에서는 60pps, 중속에서는 30pps,저속에서는 15pps로 하고 있고, 일시정지에서는 30초간 좌우 플랩(52)의 스윙이 정지하도록 하고 있다.
도 12에는 좌우 플랩(52)에 의한 풍량제어의 개략을 나타내고 있고, 이 플로우 챠트는 최초의 스텝(200)에서, 기류제어의 조건이 성립하여 기류제어가 개시하는 것을 확인(긍정판정)한 후에 실행된다. 또, 기류제어의 개시조건은 적어도 자동운전(냉난방 및 드라이) 및 체감 모드로 설정되고 있는 상태에서, 메인 리모콘(120) 및 서브 리모콘(140)의 각각으로부터 실온신호가 송출되는 상태로 되어있다.
기류제어가 개시되면 스텝(202)에서는 서브 리모콘(140)으로부터 송출되는 위치설정스위치(146)의 설정상태를 판독입력하여 좌우 플랩(52)의 이니셜위치를 설정한다(스텝(204)).
이에 따라, 예컨대, 설정스위치(146)가「우」로 설정되고 있을 때에는 이니셜위치(R)로 설정되고(도 9 및 도 11a 참조), 「중앙」일 때에는 이니셜위치(C)로 설정된다(도 9 및 도 11c 참조). 또한, 위치설정스위치(146)가「좌」일 때는 이니셜위치(L)로 설정된다(도 9 및 도 11b 참조).
이 다음, 우선 스텝(206)에서는 이니셜 스윙을 개시한다. 이 이니셜 스윙은 일정시간(예컨대 약 10분간) 계속된다. 이 이니셜 스윙중에 스텝(208)에서는 온도차 판정을 행한다.
도 13에는 온도차 판정의 개략이 표시되고 있다. 또, 도 13에서는 난방운전시를 나타내고 있고, 냉방운전시에는 온도변화의 판정이 반대로 된다.
이 플로우 챠트에서는 최초의 스텝(240)에서 스윙개시 시의 메인 리모콘(120)이 검출하는 실온(Trtp)과 실온(Trts)을 판독입력한다. 이 다음, 스텝(242)에서는 일정시간(예컨대 약10분) 스윙이 행해졌는지 아닌지를 확인하여 일정시간 스윙이 행해지면(긍정판정), 스텝(244)으로 이행하여 스윙후의 메인 리모콘(120)과 서브 리모콘(140)이 검출하고 있는 실온(Trtp, Trts)을 판독입력한다.
다음에 스텝(246)에서는 스윙후의 실온(Trtp)과 실온(Trts)의 온도차를 확인한다. 여기서, 스윙후의 실온(Trtp)과 실온(Trts)의 온도차가 소정 범위내(예컨대 2℃ 이내)이면 서브 에리어(162B)와 메인 에리어(162A)의 체감온도가 대략 같고, 현재의 스윙패턴에서의 계속이 가능하므로, 스텝(246)에서 긍정판정되고, 스텝(248)으로 이행하여 현재의 스윙패턴을 계속하도록 설정한다(0K판정).
한편, 스텝(246)에서 부정판정되었을때에는, 스텝(250)으로 이행하여 메인 리모콘(120)으로 검출하고 있는 실온(Trtp)의 온도변화를 판정한다. 여기서, 또, 이 판정에서는 예컨대 스윙개시 시의 실온과 스윙종료시의 실온의 온도차가 소정치 이내(예컨대 0.5℃)이면 같다고 판정하고, 소정치이상이면 온도가 하강하고 있던지 또는 상승하고 있다고 판정한다.
메인 리모콘(120)에 의해서 검출하고 있는 실온(Trtp)이 하강하고 있으면 스텝(248)으로 이행하여 현재의 스윙패턴을 계속하도록 설정한다. 또, 실온(Trtp)이 같던지 상승하고 있을 때에는 스텝(252)으로 이행하여 서브 리모콘(140)이 측정한 실온(Trts)이 상승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확인한다.
이 때, 서브 리모콘(140)에 의해서 검출하고 있는 실온(Trts)이 상승하고 있을 때(스텝(252)에서 긍정판정)에는 스텝(248)으로 이행하여 현재의 스윙패턴이 계속하도록 설정한다. 또한, 서브 리모콘(140)에 의해서 검출하고 있는 실온(Trts)이 같던지 내려가고 있을 때에는 스텝(252)에서 부정판정되고, 스텝(254)에 이행하여 스윙패턴을 변경하도록 설정한다.
한편, 도 12에 표시되는 플로우 챠트에서는 온도차 판정이 종료하면 스텝(210)으로 이행하여 판정결과의 확인을 행하고, 현재의 스윙패턴이 계속(0K)으로 판정되어 있을 때에는 스텝(212)으로 이행하여 현재의 스윙패턴인 이니셜 스윙으로 설정한다.
한편, 스윙패턴의 변경으로 판정되어 있을 때에는 스텝(210)에서 부정판정되어 스텝(214)으로 이행한다. 이 스텝(214)에서는 스윙패턴을 이니셜 스윙으로부터 왼쪽 중시 스윙으로 변경하여 좌우 플랩(52)의 스윙을 개시하고, 온도차판정을 행한다(스텝(216)).
이 다음, 일정시간, 왼쪽 중시의 스윙 모드로 일정시간 스윙하여 온도차판정이 이루어지면, 스텝(218)에서는 이 온도차판정의 판정결과를 확인하고, 현재의 스윙패턴의 계속으로 판정되어 있을 때에는(스텝(218)에서 긍정판정), 스텝(220)으로 이행하여 현재의 스윙패턴인 왼쪽 중시 모드로 설정한다.
한편, 스윙패턴의 변경으로 판정되었을때에는 스텝(218)에서 부정판정되어, 스텝(222)으로 이행한다. 이 스텝(222)에서는 오른쪽 중시 스윙을 개시하여 오른쪽 중시 스윙에 의한 온도차 판정을 행한다(스텝(224)). 이 결과, 스윙 모드의 계속으로 판정되면(스텝(226)에서 긍정판정), 스텝(228)으로 이행하여 좌우 플랩(52)의 스윙 모드를 오른쪽 중시로 설정한다.
한편, 오른쪽 중시 스윙을 행하더라도 스윙패턴의 변경으로 판정(스텝(226)에서 부정판정)되었을때에는, 스텝(230)으로 이행하여 상하 플랩(54)의 위치를 변경하는지 아닌지를 확인한다.
에어콘(10)의 냉난방시의 자동운전에서는 상하 플랩(54)이 소정 위치에 정지(고정)되어 있기때문에 이 상하플랩(54)의 정지위치를 예컨대 1단계 변경할 때에는 스텝(230)에서 긍정판정된다. 이에 따라, 예컨대 난방시에는 아랫쪽으로 향해져 있는 상하 플랩(54)을 1 단계 윗쪽으로 향하여 스텝(206)의 이니셜 스윙을 개시한다.
또한, 상하 플랩(54)의 변경을 행할 때, 또는 상하 플랩(54)의 변경도 종료했을 때에는(스텝(230)에서 부정판정), 스텝(232)으로 이행하여 이니셜 스윙으로 설정한다. 또, 설정된 좌우 플랩(52)의 스윙 모드는 온도변화가 생겼을 때나 스텝(232)에서 이니셜 스윙이 설정되어 소정시간 경과했을 때에 다시 조정된다. 또한, 설정된 좌우 플랩(52)의 스윙 모드는 체감 모드의 해제, 서브 리모콘(140)의 정지(실온측정의 정지) 등에 의해서 해제된다.
이와 같이, 좌우 플랩의 스윙 모드를 변경함으로써, 중점적으로 공조를 행하는 영역을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기때문에 메인 리모콘(120)은 서브 리모콘(140)의 위치가 명확해져 있지 않더라도 피공조실(162)내의 메인 에리어(162A)와 서브 에리어(162B)가 최적으로 되기위한 풍향 내지 좌우 플랩(52)의 스윙상태를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기때문에 효율적인 공조가 가능해진다.
한편, 서브 리모콘(140)은 일정한 인터벌로 사람검지 센서(152)가 서브 에리어(162B) 내의 사람의 유무를 검출하고 있고, 에어콘(10)은 서브 리모콘(140)이 사람을 검출하지않게 되면 메인 에리어(162A)와 서브 에리어(162B)의 쌍방을 공조하기위한 좌우 플랩(52)의 제어가 해제되므로, 사람이 없는 서브 에리어(162B)를 불필요하게 공조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에어콘(10)을 사용하여 피공조실(162)내를 공조함으로써, 원하는 영역만 쾌적해지도록 효율적으로 공조할 수 있기때문에 에어콘(10)에 의해서 피공조실(162)내를 공조할 때의 에너지 절약을 꾀할 수 있다. 이 때 좌우 플랩(52)의 스윙상태를 선택하기때문에, 공조하는 영역이 명확하지 않더라도 해당하는 영역의 적절한 공조가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1대의 실내 유니트(12)에 대하여 1대씩의 메인 리모콘(120)과 서브 리모콘(140)을 사용하여 설명하였지만, 서브 리모콘(140)은 복수대 설치하더라도 좋다. 이에 따라, 넓은 실내를 다수의 에리어로 분할하여 각각 중 특정한 에리어만을 효율적으로 공조할 수 있다.
또, 이상 설명한 실시의 형태는 본 발명의 구성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실내 유니트가 설정되는 피공조실을 공조하는 임의 구성의 공기조화기에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미리 설정하고 있는 복수의 이동패턴에 의해서 순차 플랩을 이동시키면서, 공조되는 실내의 여러 개소의 온도를 검출함으로써, 각각의 온도검출수단이 설치되는 영역이 명확하지 않더라도 온도검출수단을 설치한 영역을 효율적으로 공조할 수 있는 플랩의 이동패턴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피공조실내의 전역은 물론, 피공조실내의 원하는 영역을 효율적으로 공조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의 형태에 적용한 실내 유니트와 리모콘스위치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의 형태에 적용한 에어콘의 냉동사이클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실내 유니트의 내부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이다.
도 4는 실내 유니트내의 기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블럭도이다.
도 5는 실외 유니트의 기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블럭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각각 메인 리모콘을 나타내는 개략평면도이고, 도 6a는 슬라이드커버를 연 상태를 나타내고, 도 6b는 슬라이드커버를 닫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서브 리모콘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각각 본 발명에 관한 서브 리모콘을 나타내는 개략평면도이고, 도 8a는 슬라이드커버를 연 상태를 나타내고, 도 8b는 슬라이드커버를 닫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9는 서브 리모콘에 의해서 지정된 위치에 대한 실내 유니트의 좌우 플랩의 스윙영역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0은 실내 유니트로부터 공조풍을 내뿜는 영역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메인 에리어와 서브 에리어의 쌍방을 공조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a 내지 도 11c의 각각은 위치설정스위치의 설정에 따른 이니셜위치와 스윙범위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2는 좌우 플랩에 의한 기류제어의 개략을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13은 좌우 플랩에 의한 최적의 기류위치를 선택하기위한 온도차에 기초를 둔 적부 판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에어콘(공기조화기) 12: 실내 유니트
14: 실외 유니트 18: 열교환기
26: 콤프레서 50: 분출구
52: 좌우 플랩(플랩)
74: 마이크로컴퓨터(선택수단, 기억수단)
77: 좌우 플랩모터 82: 표시기판
120: 메인 리모콘(온도검출수단) 128: 체감버튼
140: 서브 리모콘(온도검출수단) 142: 온도검출부(온도검출수단)
144: 사람검지부 146: 위치설정스위치(위치설정수단)
150: 통신부 152: 사람 검지 센서
160: 전원스위치 162: 피공조실
162A: 메인 에리어 162B: 서브 에리어

Claims (4)

  1. 실내 유니트의 분출구에 설치한 플랩을 좌우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킴으로써 수평방향에 따른 소정의 범위로 향하여 공조풍을 내뿜어 피공조실내를 공조하는 공기조화기로서, 상기 플랩의 왕복이동시에 소정의 위치로 상기 플랩의 이동속도를 변경하는 복수의 이동패턴을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피공조실내의 적어도 2개소에 배치되는 온도검출수단과,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복수의 이동패턴으로 상기 플랩을 차례로 이동하면서 각각의 이동패턴에 있어서의 상기 온도검출수단의 검출온도를 측정하여, 해당 측정한 온도의 온도차가 적어지는 패턴을 선택하는 선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수단이 상기 온도검출수단의 각각이 상기 이동패턴마다 검출하는 온도의 변화로부터 해당 이동패턴의 적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수단이 복수의 왕복이동범위와 각각의 이동범위마다의 이동패턴을 기억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검출수단의 한 쪽이 상기 실내 유니트에 대한 상대위치를 설정하는 위치설정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선택수단이 상기 위치설정수단에 의해서 설정되는 위치에 따라서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플랩의 이동범위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1998-0036062A 1997-09-03 1998-09-02 공기조화기 KR1005045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238664 1997-09-03
JP9238664A JPH1183121A (ja) 1997-09-03 1997-09-03 空気調和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450A KR19990029450A (ko) 1999-04-26
KR100504587B1 true KR100504587B1 (ko) 2005-09-26

Family

ID=17033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6062A KR100504587B1 (ko) 1997-09-03 1998-09-02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1183121A (ko)
KR (1) KR100504587B1 (ko)
CN (1) CN1111685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9227A (ja) * 2005-11-15 2007-06-07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機
JP2009002601A (ja) * 2007-06-22 2009-01-08 Panasonic Corp 空気調和機
CN101694322B (zh) * 2009-10-20 2012-08-22 广东美的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针对不同人群的空调器控制方法
JP2014126295A (ja) * 2012-12-26 2014-07-07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CN103912962A (zh) * 2013-01-08 2014-07-09 海信科龙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调整风量及风摆结构的空调器及其控制方法
CN103900209B (zh) * 2014-03-25 2016-12-07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以及空调
CN104279718A (zh) * 2014-11-06 2015-01-1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控制方法、装置及空调器
CN104930662B (zh) * 2015-06-25 2017-08-01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一种空调精准送风控制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1685C (zh) 2003-06-18
JPH1183121A (ja) 1999-03-26
KR19990029450A (ko) 1999-04-26
CN1210230A (zh) 1999-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36733A (ko) 사람검지의 판정방법 및 공기조화기
KR100443479B1 (ko) 공기조화기
KR100536525B1 (ko) 공기조화기
CN110709645B (zh) 空调机的室内机
KR19990081790A (ko) 공기조화기
KR100504588B1 (ko) 공기조화기
KR100504587B1 (ko) 공기조화기
KR100536526B1 (ko) 공기조화기
JP2001254990A (ja) 空気調和機
JP4130047B2 (ja) 空気調和機
JP4259668B2 (ja) 空気調和機
KR19990037002A (ko) 공기조화기
JP2001264163A (ja) 赤外線検知センサ
KR100561943B1 (ko) 전동팽창밸브의 제어방법
JP2000179919A (ja) 空気調和機
JPH05296548A (ja) 空気調和装置
JP2001254986A (ja) 空気調和機
KR100274702B1 (ko) 공기조화기
JP3118372B2 (ja) 空気調和機
JPH042330Y2 (ko)
KR100357163B1 (ko) 공기조화기의기류제어방법
JPS6233228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ツト
KR100187236B1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JP2000240999A (ja) 空気調和機
JPH06313575A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