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7236B1 -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7236B1
KR100187236B1 KR1019960001138A KR19960001138A KR100187236B1 KR 100187236 B1 KR100187236 B1 KR 100187236B1 KR 1019960001138 A KR1019960001138 A KR 1019960001138A KR 19960001138 A KR19960001138 A KR 19960001138A KR 100187236 B1 KR100187236 B1 KR 100187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uver
temperature
discharge port
vertical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1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9626A (ko
Inventor
김영국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01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87236B1/ko
Publication of KR970059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9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7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72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4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g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하면, 토출구의 일측에 설치한 수직 루버와 토출구의 타측에 설치한 수직 루버를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함으로써 실내 공기의 온도 분포를 균일하게 할 수 있고, 냉방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실내기의 외관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실내기의 종단면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실내기에 있어서, 수평 루버와 수직 루버의 구동 구조를 나타낸 수평 루버와 수직 루버의 외관 사시도.
제4a도는 제1도에 도시된 실내기에 있어서, 좌측의 수직 루버가 중립 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좌측의 수직 루버의 정면도.
제4b도는 제1도에 도시된 실내기에 있어서, 좌측의 수직 루버가 좌측 방향으로 향하였을 경우 상기 좌측의 수직 루버의 외관 사시도.
제5a도는 제1도에 도시된 실내기에 있어서, 우측의 수직 루버가 중립 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우측의 수직 루버의 정면도.
제5b도는 제1도에 도시된 실내기에 있어서, 우측의 수직 루버가 우측 방향으로 향하였을 경우 상기 우측의 수직 루버의 외관 사시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기 조화기의 제어 회로 블록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의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 흡입구 8 : 토출구
10 : 수광부 14 : 운전 선택 스위치
20 : 제1온도 센서 22 : 제2온도 센서
24 : 제3온도 센서 28,30 : 수직 루버
36 : 제1랙 42 : 제2피니언
44 : 제1루버 모터 46 : 제2랙
52 : 제4피니언 54 : 제2루버 모터
60 : 제3루버 모터 68 : 제어 수단
70 : 전원 공급 수단 76 : 온도 검출 수단
88 : 제1루버 모터 구동 회로 90 : 제2루버 모터 구동 회로
92 : 제3루버 모터 구동 회로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토출구의 일측에 설치한 수직 루버와 토출구의 타측에 설치한 수직 루버를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 조화기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도록 실내기의 앞 패널에 형성된 흡입구와, 실내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와, 열교환된 실내 공기를 실내로 토출하도록 상기 앞 패널에 형성된 토출구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토출구에는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좌우 방향을 제어하는 수직 루버와,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상하 방향을 제어하는 수평 루버가 설치되어 있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실내기 안으로 실내 공기가 흡입되면, 상기 실내기 안으로 흡입된 실내 공기는 상기 실내기 안의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다. 다음에 상기 열교환된 공기가 상기 토출구로부터 실내로 토출된다. 그러면 실내는 예를 들면, 냉방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 조화기에서는 상기 토출구의 좌측에 설치된 좌측 수직 루버와 상기 토출구의 우측에 설치된 우측 수직 루버가 항상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실내에서 실내 공기의 전체적인 균형을 꾀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 공기의 온도 분포를 균일하게 할 수 있고, 냉방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제어 수단과, 외부의 교류 전원으로부터 교류 전압을 받아서 상기 제어 수단에 전압을 공급하는 전압 공급 수단과, 상기 제어 수단에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입력하는 키 입력 수단과, 흡입구의 일측과 중앙 및 타측의 실내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 수단과, 상기 온도 검출 수단에서 검출한 실내 온도에 따라 토출구의 일측의 수직 루버를 구동하는 제1루버 구동부와, 상기 온도 검출 수단에서 검출한 온도에 따라 상기 토출구의 타측의 수직 루버를 구동하는 제2루버 구동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흡입구의 일측의 실내 온도(TH1)와, 상기 흡입구의 중앙의 실내 온도(TH2)와, 상기 흡입구와 타측의 실내 온도(TH3)를 검출하고, 상기 흡입구의 일측의 실내 온도(TH1)가 상기 흡입구의 중앙의 실내 온도보다 큰 가를 판별하며, 상기 흡입구의 일측의 실내 온도(TH1)가 상기 흡입구의 중앙의 실내 온도(TH2)보다 크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 상기 토출구의 일측에 설치된 수직 루버의 방향을 상기 토출구의 일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흡입구의 타측의 실내 온도(TH3)가 상기 흡입구의 중앙의 실내 온도(TH2)보다 큰 가를 판별하며, 상기 흡입구의 타측의 실내 온도(TH3)가 상기 흡입구의 중앙의 실내 온도(TH3)보다 크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 상기 토출구의 타측에 설치된 수직 루버의 방향을 상기 토출구의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에는 실내 공기를 흡입함과 동시에 실내 공기를 토출하도록 앞 패널(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앞 패널(4)에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도록 흡입구(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앞 패널(4)의 아랫 부분에는 상기 하우징(2)의 내부로부터 실내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앞 패널(4)의 아랫부분에는 도시되지 않은 리모트 콘트롤러로부터 전송된 빛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수광부(1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광부(10) 하측의 앞 패널(4)에는 후술하는 제어 수단으로부터 공기 조화의 상태를 받아서 '운전', '예약' 및 '송풍' 중 하나의 공기 조화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표시부(12) 하측의 앞 패널(4)에는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를 사용하지 않고 수동으로 공기 조화 동작을 선택하는 운전 선택 스위치(1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와 수광부(10) 및 상기 운전 선택 스위치(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후술하는 제어 수단에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입력하는 키 입력 수단을 구성한다.
후술하는 실외기의 압축기와 실외 팬을 구동하도록 상기 하우징(2)의 아랫부분에는 전선을 보호하는 전선 배관(16)이 설치되어 있다. 후술하는 압축기와 도시되지 않은 응축기로부터 상기 하우징(2)내의 실내 열교환기로 냉매를 순환시키도록 상기 하우징(2)의 아랫부분에는 상기 냉매 배관(18)이 설치되어 있다.
제1도 내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온도 센서(20)는 상기 흡입구(6)의 일측에서 흡입되는 실내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도록 상기 앞 패널(4)의 내측 표면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흡입구(6)의 일측은 상기 흡입구(6)의 좌측을 의미한다.
제2온도 센서(22)는 상기 흡입구(6)의 중앙에는 흡입되는 실내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도록 상기 앞 패널(4)의 내측 표면에 설치되어 있다.
제3온도 센서(24)는 상기 흡입구(6)의 타측에서 흡입되는 실내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도록 상기 앞 패널(4)의 내측 표면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흡입구(6)의 타측은 상기 흡입구(6)의 우측을 의미한다.
상기 토출구(8)에는 상기 하우징(2)의 내부로부터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상하 방향을 제어하는 수평 루버(26)와, 상기 하우징(2)의 내부로부터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좌우 방향을 제어하는 수직 루버(28,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직 루버(28,30)와 수평 루버(26)의 방향이 이동될 경우 상기 수직 루버(28,30)와 상기 수평 루버(26)가 서로 충돌하지 않도록 상기 수평 루버(26)는 상기 수직 루버(28,30)의 앞쪽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앞 패널(4)과 상기 하우징(2)은 실내 공기를 조화시키는 실내기(31)를 구성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열교환기(32)는 상기 앞 패널(4)의 흡입구(6)를 통해 실내로부터 실내기(31) 안으로 들어온 공기를 열 교환시키도록 상기 실내기(31) 안에 설치되어 있다. 실내 팬(34)은 실내 공기를 상기 흡입구(6) 안으로 흡입함과 동시에 상기 실내 열교환기(32)의 표면을 통과함으로써 열교환된 실내 공기를 실내로 토출시키도록 상기 실내 열교환기(32)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다.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실내기에 있어서, 수평 루버(26)와 수직 루버(28,30)의 분해 사시도이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출구(8)의 일측의 수직 루버(28)는 제1랙(36)의 이동에 따라 상기 토출구(8)의 일측 방향(제4b도)과 중앙 방향(제4a도)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중심 축(38)과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토출구(8)의 일측은 상기 토출구(8)의 좌측을 의미한다. 상기 중심축(38)은 좌우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2)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중심축(38)을 상기 제1랙(36)의 직선 운동에 따라 좌우로 회전 운동시키도록 상기 중심축(38)에는 상기 제1피니언(4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랙(36)은 후술하는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일측의 수직 루버(28)를 구동하도록 제2피니언(42)과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2피니언(42)은 후술하는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일측의 수직 루버(28)를 구동하도록 제1루버 모터(44)의 회전축(44a)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토출구(8)의 타측의 수직 루버(30)는 제2랙(46)의 이동에 따라 상기 토출구(8)의 중앙 방향(제5a도)과 타측 방향(제5b도)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중심 축(48)과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토출구(8)의 타측은 상기 토출구(8)의 우측을 의미한다. 상기 중심축(48)은 좌우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2)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중심축(48)을 상기 제2랙(46)의 직선 운동에 따라 좌우로 회전 운동시키도록 상기 중심축(48)에는 상기 제3피니언(5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랙(46)은 후술하는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타측의 수직 루버(30)를 구동하도록 제4피니언(52)과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4피니언(52)은 후술하는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타측의 수직 루버(30)를 구동하도록 제2루버 모터(54)의 회전축(54a)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수평 루버(26)는 상기 수평 루버(26)의 방향을 이동시키도록 제2중심축(56)과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2중심축(56)은 상기 수평 루버(26)의 방향을 이동시키도록 하우징(2)의 결합 구멍(58)에 끼워져 있다. 후술하는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수평 루버(26)을 구동하도록 상기 하우징(2) 내에는 제3루버 모터(6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3루버 모터(6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수평 루버(26)을 구동하도록 제3루버 모터(60)의 회전축(60a)에는 상측과 하측의 수평 루버(26)를 각각 구동하도록 제1웜(62)과 제2웜(6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웜(62)과 상기 제2웜(64)의 회전에 따라 상기 수평 루버(26)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2중심축(56)에는 웜 기어(66)가 형성되어 있다.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수단(6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기 조화 동작과 상기 수직 루버(28,30)의 방향을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이다.
전원 공급 수단(70)은 외부의 교류 전원으로부터 교류 전압을 받아서 후술하는 압축기 구동 회로와 팬 모터 구동 회로에 220V의 교류 전압을 공급함과 동시에 후술하는 제1루버 모터 구동 회로와 제2루버 모터 구동 회로 및 제3루버 모터 구동 회로에 12V의 직류 전압을 공급하고, 상기 제어 수단(68)에 5V의 직류 전압을 공급하는 변압, 정류 및 전압 조정 회로이다.
초기화 회로(72)는 외부의 교류 전원으로부터 상기 전원 공급 수단(70)에 220V의 교류 전압이 공급될 경우 상기 전원 공급 수단(70)으로부터 5V의 직류 전압을 받아서 상기 제어 수단(68)에 초기화 명령을 출력하는 커패시터이다.
상기 수광부(10)는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로부터 적외선으로 이루어진 운전모드 및 운전 조건의 제어 신호를 받아서 상기 제어 수단(68)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빛 수신 모듈이다.
상기 운전 선택 스위치(14)는 '냉방', '자동', '리모트 콘트롤러' 중 하나의 동작 명령을 상기 제어 수단(68)에 입력하도록 사용자가 '냉방', '자동', '리모트 콘트롤러' 중 하나의 동작 명령을 수동으로 선택하는 스위치이다.
실내 공기의 습도를 검출하는 실내 습도 검출 수단(74)은 실내 공기의 습도를 상기 제어 수단(68)에 입력하는 습도 센서이다.
흡입구(6)의 일측과 중앙 및 타측의 실내 온도를 상기 제어 수단(68)에 입력하도록 상기 흡입구(6)의 일측과 중앙 및 타측의 실내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 수단(76)은 상기 제1온도 센서(20)와 상기 제2온도 센서(22) 및 제3온도 센서(24)로 이루어져 있다.
팬 모터 구동 회로(78)는 상기 제어 수단(68)으로부터 출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다양한 크기 중 하나의 크기의 교류 전압을 팬 모터(80)에 인가하도록 상기 전원 공급 수단(70)과 상기 팬 모터(80)의 사이에 접속된 스위칭 회로이다. 상기 팬 모터(80)는 상기 실내 팬(34)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실내 팬(34)에 연결되어 있다.
압축기 구동 회로(82)는 상기 제어 수단(68)에서 출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220V의 교류 전압을 압축기(84)에 인가하도록 상기 전원 공급 수단(70)과 상기 압축기(84) 사이에 접속된 스위치이다.
상기 표시부(86)는 상기 제어 수단(68)으로부터 공기 조화의 상태를 받아서 '운전', '예약' 및 '송풍' 중 하나의 공기 조화의 상태를 표시하는 발광 다이오드이다.
제1루버 모터 구동 회로(88)는 상기 제어 수단(68)으로부터 출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다양한 크기 및 방향의 직류 전압 중 하나의 크기 및 방향의 직류 전압을 출력하도록 상기 전원 공급 수단(70)과 상기 제어 수단(68)에 접속된 스위칭 회로이다. 상기 제1루버 모터(44)는 상기 제1루버 모터 구동 회로(88)로부터 직류 전압을 받아서 상기 토출구(8)의 일측의 수직 루버(28)를 회전시키는 스테핑 모터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제1루버 모터 구동 회로(88)와 상기 루버 모터(44)는 상기 온도 검출 수단(76)에서 검출한 실내 온도에 따라 상기 토출구(8)의 일측의 수직 루버(28)를 구동하는 제1루버 구동부를 구성한다.
제2루버 모터 구동 회로(90)는 상기 제어 수단(68)으로부터 출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다양한 크기 및 방향의 직류 전압 중 하나의 크기 및 방향의 직류 전압을 출력하도록 상기 전원 공급 수단(70)과 상기 제어 수단(68)에 접속된 스위칭 회로이다. 제2루버 모터(54)는 상기 제2루버 모터 구동 회로(90)로부터 출력된 직류 전압을 받아서 상기 토출구(8)의 타측의 수직 루버(30)를 회전시키는 스테핑 모터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제2루버 모터 구동 회로(90)와 상기 제2루버 모터(54)는 상기 온도 검출 수단(76)에서 검출한 온도에 따라 상기 토출구(8)의 타측의 수직 루버(30)를 구동하는 제2루버 구동부를 구성한다.
제3루버 모터 구동 회로(92)는 상기 제어 수단(68)으로부터 출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다양한 크기 및 방향의 직류 전압 중 하나의 크기 및 방향의 직류 전압을 출력하도록 상기 전원 공급 수단(70)과 상기 제어 수단(68)에 접속된 스위칭 회로이다. 제3루버 모터(60)는 상기 제3루버 모터 구동 회로(92)로부터 출력된 직류 전압을 받아서 상기 토출구(8)의 타측의 수직 루버(30)를 회전시키는 스테핑 모터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기 조화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제7도에 있어서, S는 스텝(STEP)을 표시한다.
먼저 동작 설명을 위한 초기 조건으로서, 상기 토출구(8)의 일측의 수직 루버(28)는 제1도 및 제4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출구(8)의 중앙 방향을 향하고 있고, 상기 토출구(8)의 타측의 수직 루버(30)는 제1도 및 제5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출구(8)의 중앙 방향을 향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한편, 상기 토출구(8)의 수평 루버(26)는 수평면으로부터 60° 경사진 방향을 향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먼저, 스텝 S1에서 사용자가 상기 전원 공급 수단(70)에 접속된 플러그를 콘센트에 삽입하면, 외부의 교류 전원으로부터 상기 전원 공급 수단(70)에 220V의 교류 전압이 출력된다. 다음에 상기 전원 공급 수단(70)으로부터 상기 압축기 구동 회로(82) 및 상기 팬 모터 구동 회로(78)에 220V의 교류 전압이 출력됨과 동시에 상기 전원 공급 수단(70)으로부터 상기 제1루버 모터 구동 회로(88)와 상기 제2루버 모터 구동회로(90) 및 제3루버 모터 구동회로(92)에 12V의 직류 전압이 출력된다. 동시에 상기 전원 공급 수단(70)의 출력단자(VDD)으로부터 상기 초기화 회로(72), 상기 제어 수단(68), 상기 온도 검출 수단(76)의 제1온도 센서(20), 제2온도 센서(22) 및 제3온도 센서(24)에 5V의 직류 전압이 출력된다.
다음에 상기 초기화 회로(72)로부터 상기 제어 수단(68)으로 하이 레벨의 초기화 명령이 출력된다. 그러면 상기 제어 수단(68)은 실내 공기를 조화시키는 공기 조화 동작과 상기 수직 루버(28,30)의 방향을 제어하도록 상기 제어 수단(68)의 메모리에 지정되어 있는 변수들을 초기화시킨다.
다음에 스텝 S2에서 사용자는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에 운전 모드 및 운전 조건을 입력한다. 그러면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로부터 상기 수광부(10)에 적외선의 제어 신호가 출력된다. 다음에 상기 수광부(10)로부터 상기 제어 수단(68)에 '자동', '냉방', '제습', 및 '송풍' 중 하나의 운전 모드 및 풍향, 풍량 및 실내 온도에 대한 운전 조건의 제어 신호가 출력된다.
다음에 스텝 S3에서 상기 제어 수단(68)은 상기 수광부(10) 혹은 상기 운전 선택 스위치(14)로부터 운전 개시 명령이 입력되었는가를 판별한다. 이 판별 결과, 상기 수광부(10) 혹은 상기 운전 선택 스위치(14)로부터 상기 제어 수단(68)에 운전 개시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YES일 경우에는) 스텝 S4로 진행한다.
스텝 S4에서는 상기 수광부(10)로부터 상기 제어 수단(68)에 입력된 운전 모드 및 운전 조건에 따라 상기 제어 수단(68)으로부터 상기 팬 모터 구동 회로(78)와 압축기 구동 회로(82) 및 제3루버 모터 구동 회로(92)에 제어 신호가 출력된다. 동시에 상기 제어 수단(68)으로부터 상기 표시부(12)에 현재의 공기 조화의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 신호가 출력된다. 다음에 상기 제3루버 모터 구동 회로(92)로부터 상기 제3루버 모터(60)에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팬 모터 구동 회로(78)로부터 상기 팬 모터(80)에 전압이 인가되며, 상기 압축기 구동 회로(82)로부터 상기 압축기(84)에 전압이 인가된다.
그러면 상기 제3루버 모터(6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수평 루버(26)는 사용자가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에 입력한 풍향에 대응하는 방향을 향한다. 동시에 상기 팬 모터(8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실내 팬(34)이 회전한다. 동시에 상기 압축기(84)가 동작하여 냉매를 압축한다.
상기 실내 팬(34)이 회전하면, 흡입구(6)를 통하여 실내 공기가 상기 실내기(31) 안으로 흡입된다. 이어서 실내의 공기가 상기 실내 열교환기(32)에서 열 교환되어 실내의 공기가 조화된다. 그러면 예를 들면, 실내가 냉방된다.
다음에 스텝 S5에서 상기 제1온도 센서(20)로부터 상기 흡입구(6)의 일측의 실내 공기의 온도인 제1실내 온도(TH1)가 검출됨과 동시에 상기 제2온도 센서(22)로부터 상기 흡입구(6)의 중앙의 실내 공기의 온도인 제2실내 온도(TH2)가 검출된다. 동시에 상기 제3온도 센서(24)로부터 상기 흡입구(6)의 타측의 실내 공기의 온도인 제3실내 온도(TH3)가 검출된다. 다음에 상기 제1온도 센서(20)로부터 상기 제어 수단(68)으로 상기 제1실내 온도(TH1)가 출력됨과 동시에 상기 제2온도 센서(22)로부터 상기 제어 수단(68)으로 상기 제2실내 온도(TH2)가 출력된다. 다음에 상기 제3온도 센서(24)로부터 상기 제어 수단(68)으로 상기 제3실내 온도(TH3)가 출력된다.
다음에 스텝 S6에서 상기 제1실내 온도(TH1)가 상기 제2실내 온도(TH2)보다 큰 가를 판별한다. 이 판별 결과, 상기 제1실내 온도(TH1)가 제2실내 온도(TH2)보다 크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YES일 경우에는) 스텝 S7로 진행한다.
스텝 S7에서는 상기 제어 수단(68)으로부터 상기 제1루버 모터 구동 회로(88)에 제어 신호가 출력된다. 이어서 상기 제1루버 모터 구동 회로(88)로부터 상기 제1루버 모터(44)에 전압이 인가된다. 그러면 상기 제1루버 모터(44)가 회전한다. 이어서 상기 제1루버 모터(44)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2피니언(42)이 회전한다. 그러면 상기 제1랙(36)이 이동한다. 이어서 상기 제1랙(36)에 의해 상기 제1피니언(40)이 회전한다. 그러면 상기 제1피니언(40)과 일체로 결합된 상기 중심축(38)이 회전함으로써 제4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출구(8)의 일측의 수직 루버(28)가 상기 토출구(8)의 일측(제3도의 좌측) 방향을 향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토출구(8)로부터 상기 토출구(8)의 일측 방향의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양이 상기 토출구(8)로부터 상기 토출구(8)의 중앙 방향의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양보다 많아서 상기 토출구(8)의 일측 방향의 실내 온도가 상기 토출구(8)의 중앙 방향의 실내 온도보다 빠르게 낮아진다.
다음에 스텝 S8에서는 상기 제3실내 온도(TH3)가 상기 제2실내 온도(TH2)보다 큰 가를 판별한다. 이 판별 결과, 상기 제3실내 온도(TH3)가 제2실내 온도(TH2)보다 크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YES일 경우에는) 스텝 S9로 진행한다.
스텝 S9에서는 상기 제어 수단(68)으로부터 상기 제2루버 모터 구동 회로(90)에 제어 신호가 출력된다. 이어서 상기 제2루버 모터 구동 회로(90)로부터 상기 제2루버 모터(54)에 전압이 인가된다. 그러면 상기 제2루버 모터(54)가 회전한다. 이어서 상기 제2루버 모터(54)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4피니언(52)이 회전한다. 그러면 상기 제2랙(46)이 제3도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한다. 이어서 상기 제2랙(46)에 의해 상기 제3피니언(50)이 회전한다. 그러면 상기 제2피니언(42)과 일체로 결합된 상기 수직 루버(30)의 중심축(48)이 회전함으로써 제5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출구(8)의 타측의 수직 루버(30)가 상기 토출구(8)의 타측(제3도의 우측) 방향을 향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토출구(8)로부터 상기 토출구(8)의 타측 방향의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양이 상기 토출구(8)로부터 상기 토출구(8)의 중앙 방향의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양보다 많아서 상기 토출구(8)의 타측 방향의 실내 온도가 상기 토출구(8)의 중앙 방향의 실내 온도보다 빠르게 낮아진다.
다음에 스텝 S10에서 상기 제어 수단(68)은 상기 수광부(10)로부터 상기 제어 수단(68)에 운전 정지 명령이 입력되었는가를 판별한다. 이 판별 결과, 상기 수광부(10)로부터 상기 제어 수단(68)에 운전 정지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YES일 경우에는) 스텝 S11로 진행한다.
스텝 S11에서는 상기 제어 수단(68)으로부터 상기 팬 모터 구동 회로(78) 및 상기 압축기 구동 회로(82)에 구동 정지 신호가 출력된다. 동시에 상기 제어 수단(68)으로부터 제1루버 모터 구동 회로(88)와 상기 제2루버 모터 구동 회로(90)에 제어 신호가 출력된다.
이어서 상기 팬 모터 구동 회로(78)로부터 상기 팬 모터(80)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아 상기 팬 모터(80)의 회전이 정지하여서 상기 실내 팬(34)의 회전이 정지한다. 동시에 상기 압축기 구동 회로(82)로부터 상기 압축기(84)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아 상기 압축기(84)의 동작이 정지한다. 그러면 상기 압축기(84)에서 냉매가 압축되지 않고 실내 공기가 순환되지 않아서 실내 공기가 조화되지 않는다.
동시에 상기 제1루버 모터(44)를 초기 위치에 있게 하도록 상기 제1루버 모터 구동 회로(88)로부터 상기 제1루버 모터(44)에 전압이 인가된다. 그러면 상기 제1루버 모터(44)가 초기 위치에 있게 된다. 상기 제1루버 모터(44)가 초기 위치에 있게 되면 상기 토출구(8)의 일측의 수직 루버(28)는 초기 위치에 있게 된다. 그러면 제4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출구(8)의 일측의 수직 루버(28)는 상기 토출구(8)의 중앙 방향을 향한다.
동시에 상기 제2루버 모터(54)를 초기 위치에 있게 하도록 상기 제2루버 모터 구동 회로(90)로부터 상기 제2루버 모터(54)에 전압이 인가된다. 그러면 상기 제2루버 모터(54)가 초기 위치에 있게 된다. 상기 제2루버 모터(54)가 초기 위치에 있게 되면 상기 토출구(8)의 타측의 수직 루버(30)는 초기 위치에 있게 된다. 그러면 제5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출구(8)의 타측의 수직 루버(30)는 상기 토출구(8)의 중앙 방향을 향한다.
동시에 상기 제3루버 모터(60)를 초기 위치에 있게 하도록 상기 제3루버 모터 구동 회로(92)로부터 상기 제3루버 모터(60)에 전압이 인가된다. 그러면 상기 제3루버 모터(60)가 초기 위치에 있게 된다. 상기 제3루버 모터(60)가 초기 위치에 있게 되면 상기 토출구(8)의 수평 루버(26)는 초기 위치에 있게 된다. 그러면 상기 토출구(8)의 수평 루버(26)는 수평면으로부터 60° 경사진 방향을 향한다.
다음에 스텝 S12에서 상기 제어 수단(68)은 현재 외부의 교류 전원으로부터 상기 전원 공급 수단(70)으로 220V의 교류 전압이 공급되고 있는가를 판별한다. 이 판별 결과, 상기 전원 공급 수단(70)으로부터 상기 제어 수단(68)에 공급되는 전압의 레벨이 상기 제어 수단(68)에 미리 설정된 레벨보다 작아서 현재 외부의 교류 전원으로부터 상기 전원 공급 수단(70)으로 220V의 교류 전압이 공급되고 있지 않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NO일 경우에는) 공기 조화 동작 및 상기 수직 루버(28,30)의 방향에 대한 제어 동작을 종료한다.
한편, 상기 스텝 S6에서 상기 제1실내 온도(TH1)가 제2실내 온도(TH2)보다 크지 않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NO일 경우에는) 상기 스텝 S13으로 진행한다.
스텝 S13에서는 상기 제어 수단(68)으로부터 상기 제1루버 모터 구동 회로(88)에 제어 신호가 출력된다. 이어서 상기 제1루버 모터 구동 회로(88)로부터 상기 제1루버 모터(44)에 전압이 인가된다. 그러면 상기 제1루버 모터(44)가 회전한다. 이어서 상기 제1루버 모터(44)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2피니언(42)이 회전한다. 그러면 상기 제1랙(36)이 이동한다. 이어서 상기 제1랙(36)에 의해 상기 제1피니언(40)이 회전한다. 그러면 상기 제1피니언(40)과 일체로 결합된 상기 중심축(38)이 회전함으로써 제4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출구(8)의 일측의 수직 루버(28)가 상기 토출구(8)의 중앙 방향을 향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토출구(8)로부터 상기 토출구(8)의 중앙 방향의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양이 상기 토출구(8)로부터 상기 토출구(8)의 일측 방향의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양보다 많아서 상기 토출구(8)의 중앙 방향의 실내 온도가 상기 토출구(8)의 일측 방향의 실내 온도보다 빠르게 낮아진다.
다음에는 상기 스텝 S8로 진행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3실내 온도(TH3)가 상기 제2실내 온도(TH2)보다 큰 가를 판별한다.
한편, 상기 스텝 S8에서 상기 제3실내 온도(TH3)가 제2실내 온도(TH2)보다 크니 않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NO일 경우에는) 상기 스텝 S14로 진행한다.
스텝 S14에서는 상기 제어 수단(68)으로부터 상기 제2루버 모터 구동 회로(90)에 제어 신호가 출력된다, 이어서 상기 제2루버 모터 구동 회로(90)로부터 상기 제2루버 모터(54)에 전압이 인가된다. 그러면 상기 제2루버 모터(54)가 회전한다. 이어서 상기 제2루버 모터(54)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4피니언(52)이 회전한다. 그러면 상기 제2랙(34)이 이동한다. 이어서 상기 제2랙(46)에 의해 상기 제3피니언(50)이 회전한다. 그러면 상기 제3피니언(50)과 일체로 결합된 상기 중심축(48)이 회전함으로써 제5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출구(8)의 타측의 수직 루버(30)가 상기 토출구(8)의 중앙 방향을 향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토출구(8)로부터 상기 토출구(8)의 중앙 방향의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양이 상기 토출구(8)로부터 상기 토출구(8)의 타측 방향의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양보다 많아서 상기 토출구(8)의 중앙 방향의 실내 온도가 상기 토출구(8)의 타측 방향의 실내 온도보다 빠르게 낮아진다.
다음에는 상기 스텝 S10으로 진행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 수단(68)은 상기 수광부(10)로부터 상기 제어 수단(68)에 운전 정지 명령이 입력되었는가를 판별한다.
한편, 상기 스텝 S3에서 상기 수광부(10) 혹은 상기 운전 선택 스위치(14)로부터 상기 제어 수단(68)에 운전 개시 명령이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NO일 경우에는) 상기 스텝 S3에서 상기 수광부(10) 혹은 운전 선택 스위치(14)로부터 상기 제어 수단(68)에 운전 개시 명령이 입력되었는가를 계속 판별한다.
한편, 상기 스텝 S10에서 상기 수광부(10)로부터 운전 정지 명령이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NO일 경우에는) 상기 스텝 S4로 진행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계속 실내의 공기를 조화시킴과 동시에 상기 수직 루버(30)의 방향을 제어한다.
한편, 상기 스텝 S12에서 상기 전원 공급 수단(70)으로부터 상기 제어 수단(68)에 공급되는 전압의 레벨이 상기 제어 수단(68)에 미리 설정된 레벨 이상이어서 현재 외부의 교류 전원으로부터 상기 전원 공급 수단(70)으로 220V의 교류 전압이 공급되고 있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YES일 경우에는) 상기 스텝 S2로 진행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나 혹은 상기 운전 선택 스위치(14)에 운전 모드, 운전 조건 및 운전 개시 명령을 입력하는 것을 기다린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하면,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토출구의 일측에 설치한 수직 루버와 토출구의 타측에 설치한 수직 루버를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함으로써 실내 공기의 온도 분포를 균일하게 할 수 있고, 냉방효율을 높일 수 있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실내를 난방하는 난방 모드의 기능을 갖춘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실내를 난방하는 난방 모드일 경우 상기 흡입구(6)의 일측의 실내 온도와 상기 흡입구(6)의 중앙의 실내 온도를 비교하여 상기 토출구(8)의 일측의 수직 루버(28)는 온도가 낮은 방향으로 향한다. 또한, 상기 흡입구(6)의 타측의 실내 온도와 상기 흡입구(6)의 중앙의 실내 온도를 비교하여 상기 토출구(8)의 타측의 수직 루버(30)는 온도가 낮은 방향으로 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하면, 실내를 난방시킬 경우 실내의 온도 분포를 고르게 할 수 있고, 난방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하면, 토출구의 일측에 설치한 수직 루버와 토출구의 타측에 설치한 수직 루버를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함으로써 실내 공기의 온도 분포를 균일하게 할 수 있고, 공기 조화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교류 전원단으로부터 교류 전압을 입력받아 전원을 공급하는 전압 공급 수단과, 사용자가 원하는 조작 명령을 입력하는 키 입력 수단과, 흡입구의 일측, 중앙 및 타측의 실내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 수단을 구비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온도 검출 수단에서 검출한 각 실내 온도의 비교결과에 따라 토출구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설치된 수직 루버를 독립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토출구의 일측에 설치된 제1수직 루버를 구동하는 제1루버 구동부와,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토출구의 타측에 설치된 제2수직 루버를 구동하는 제2루버 구동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루버 구동부는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전압 공급 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받아서 회전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의 회전에 따라 직선운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수직 루버의 방향을 이동시키는 랙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3. 흡입구의 일측, 중앙, 및 타측의 실내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 단계와, 상기 온도 검출 단계에서 검출한 상기 흡입구의 일측 실내 온도가 중앙 실내 온도보다 큰가를 판별하는 제1온도 판별 단계와, 상기 제1온도 판별 단계에서 일측 실내 온도가 중앙 실내 온도보다 크다고 판별되면 토출구의 일측에 설치된 제1수직 루버의 방향을 상기 토출구의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제1루버 일측 이동 단계와, 상기 제1온도 판별 단계에서 일측 실내 온도가 중앙 실내 온도보다 크지 않다고 판별되면 상기 제1수직 루버의 방향을 토출구의 중앙으로 이동시키는 제1루버 중앙 이동 단계와, 상기 온도 검출 단계에서 검출한 상기 흡입구의 타측 실내 온도가 중앙 실내 온도보다 큰가를 판별하는 제2온도 판별 단계와, 상기 제2온도 판별 단계에서 타측 실내 온도가 중앙 실내 온도보다 크다고 판별되면 토출구의 타측에 설치된 제2수직 루버의 방향을 상기 토출구의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제2루버 타측 이동 단계와, 상기 제2온도 판별 단계에서 타측 실내 온도가 중앙 실내 온도보다 크지 않다고 판별되면 상기 제2수직 루버의 방향을 토출구의 중앙으로 이동시키는 제2루버 중앙 이동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KR1019960001138A 1996-01-19 1996-01-19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187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1138A KR100187236B1 (ko) 1996-01-19 1996-01-19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1138A KR100187236B1 (ko) 1996-01-19 1996-01-19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9626A KR970059626A (ko) 1997-08-12
KR100187236B1 true KR100187236B1 (ko) 1999-05-01

Family

ID=19449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1138A KR100187236B1 (ko) 1996-01-19 1996-01-19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8723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9626A (ko) 1997-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87231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9990081790A (ko) 공기조화기
KR100187236B1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JPH1183121A (ja) 空気調和機
KR100187235B1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231049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308561B1 (ko) 공기조화기의덕트운전장치및그제어방법
KR100231048B1 (ko) 공기조화기의 제습운전 제어방법
KR100307226B1 (ko) 공기조화기의운전상태표시장치및그방법
KR100244331B1 (ko) 공기조화기의난방제어장치및그방법
KR100187250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0320882A (ja) 空気調和機
KR100275557B1 (ko)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239541B1 (ko) 공기조화기의 난방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244315B1 (ko) 공기조화기의 난방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187238B1 (ko) 공기 조화기의 온도 설정 장치 및 그 설정 방법
KR100324140B1 (ko) 공기조화기의흡입그릴열림감지장치
KR100239539B1 (ko) 공기조화기의 난방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281809B1 (ko) 공기조화기의 표시장치 및 그 표시방법
KR0168170B1 (ko) 공기조화기의 온도표시장치
KR100186832B1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기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357163B1 (ko) 공기조화기의기류제어방법
KR19990019471A (ko) 공기조화기의 난방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0168179B1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362926B1 (ko) 리모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