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구항1에 관한 발명은, 실내 유니트가 설치된 피공조실내를 실내 유니트의 분출구에서 내뿜는 공조풍에 의해서 공조하는 공기조화기로서, 실내 유니트에 설치되는 내부온도검출수단과, 상기 분출구에서 공조풍을 내뿜는 범위를 상기 피공조실내의 제1 영역의 공조시와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공조시로 변경하는 변경수단과, 상기 제1 영역의 실온을 검출하는 제1 온도검출수단과, 상기 제2 영역의 실온을 검출하는 제2 온도검출수단과, 상기 변경수단에 의해서 상기 제1 및 제2 영역에 공조풍의 분출범위가 변환됐을 때에 상기 내부온도검출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 온도검출수단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상기 피공조실내를 공조하는 공조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피공조실내의 제1 및 제2 영역을 공조할 때에는, 실내 유니트에 설치된 내부온도검출수단과, 제1 영역에 설치한 제1 온도검출수단과, 제2 영역에 설치한 제2 온도검출수단을 이용하여 운전능력을 제어한다.
제1 영역을 공조할 때에는, 내부온도검출수단 또는, 제1 영역에 설치한 제1 온도검출수단과 내부온도검출수단을 이용하여 공조를 행하지만,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공조할 때에, 내부온도검출수단과 제1 온도검출수단을 사용하는 것 만으로는, 공조영역의 일부 온도밖에 검출할 수 없다.
이것에 대하여, 제2 영역에 제2 영역내의 온도를 검출하는 제2 온도검출수단을 따로 설치하여 놓고, 이 제2 온도검출수단도 사용함으로써, 공조하는 영역의 공조상태의 균일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공조하는 영역내에 복수의 온도검출수단을 배치함으로써, 공조하는 영역내를 효율적으로 쾌적한 공조상태로 할 수 있다.
청구항2에 관한 발명은, 상기 제1 온도검출수단이 설정온도를 포함하는 운전조건의 설정에 사용되는 리모콘스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온도검출수단이 운전조건을 설정하기위한 리모콘스위치에 설치된다. 이 운전조건을 설정하는 리모콘스위치는, 실내 유니트로 주로 공조되는 영역에서 사용된다. 즉, 제1 영역이 통상 공조되는 영역이고, 제2 영역이 필요에 따라서 공조되는 영역이 된다.
청구항3에 관한 발명은, 상기 변경수단에 의해서 분출풍의 분출범위가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영역으로 변경되어 있을 때에, 상기 공조제어수단이 상기 제1 온도검출수단의 검출결과가 입력되어 있을 때만 상기 제2 온도검출수단의 검출결과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공조할 때, 제2 온도검출수단에 의해서 검출한 실온은, 제1 온도검출수단에 의해서 검출한 실온이 입력되어 있을 때만 사용한다. 즉, 제1 온도검출수단이 검출하는 실온이 입력되지 않을 때에는, 제2 온도검출수단이 검출하는 실온이 입력되더라도, 이 실온을 사용한 공조능력의 제어는 행하지 않는다.
실내 유니트는, 통상 제1 영역을 주로 공조하도록 설치되기때문에, 동일한 조건으로 제1 및 제2 영역을 공조하더라도, 제2 영역의 공조효율은 낮다. 이 때, 제1 영역을 제2 영역의 실온에 따라서 공조하면, 제1 영역이 적절한 공조상태가 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즉, 제1 영역에 냉방시의 과냉방이나 난방시의 과난방이 생긴다.
이것에 대하여,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공조할 때에, 제1 온도검출수단이 적절한 온도를 검출하지 않을 때 등에는, 제2 온도검출수단이 검출하는 온도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제1 영역이 적절한 공조상태가 되지 않게 돼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4 및 5에 관한 발명은, 상기 제2 온도검출수단이, 상기 제2 영역내의 사람의 유무를 검출하는 사람 검지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변경수단이 해당 사람 검지수단의 검지결과에 따라서 공조풍의 분출범위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람 검지수단이 제2 검출수단을 설치한 위치에 사람이 있는 것을 검출하고 있을 때만, 제2 영역이 쾌적해지도록 공조한다.
이것에 의해서, 제2 검출수단이 설치되고 있는 영역에 사람이 없는 상태로 불필요하게 공조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효율적인 공조와 함께 에너지 절약을 꾀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에 본 발명의 1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을 적용한 공기조화기(이하「에어콘(10)」이라고 한다)의 냉동사이클을 나타내고 있다. 이 에어콘(10)은, 피공조실에 설치되는 실내 유니트(12)와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 유니트(14)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고, 실내 유니트(12)와 실외 유니트(14)는, 냉매를 순환시키는 굵은 관의 냉매배관(16A)과, 가는 관의 냉매배관(16B)으로 접속되어 있다.
실내 유니트(12)에는, 열교환기(18)가 설치되고 있고, 냉매배관(16A,16B)의 각각의 일단이 이 열교환기(18)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냉매배관(16A)의 타단은, 실외 유니트(14)의 밸브(20A)에 접속되어 있다. 이 밸브(20A)는, 머플러(22A)를 통해 4방향밸브(24)에 접속되어 있다. 이 4방향밸브(24)는, 어큐뮬레이터(28)를 통해서 및 머플러(22B)를 통해 콤프레서(26)에 접속되어 있다.
또,실외 유니트(14)에는, 열교환기(30)가 설치된다. 이 열교환기(30)는, 한 쪽이 4방향밸브(24)에 접속되고, 다른 쪽이 모세관(32), 스트레이너(34), 모듈레이터(38)를 통해 밸브(20B)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스트레이너(34)와 모듈레이터(38)의 사이에는, 전동팽창밸브(36)가 설치되고, 밸브(20B)에는, 냉매배관(16B)의 타단이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실내 유니트(12)와 실외 유니트(14)의 사이에 냉동사이클을 형성하는 냉매의 밀폐된 순환로가 구성되어 있다.
에어콘(10)은, 콤프레서(26)의 운전에 의해서 이 냉동사이클내를 냉매가 순환됨으로써 냉방 또는 난방운전이 가능해지고 있다.
즉, 냉방 모드에서는, 콤프레서(26)에 의해서 압축된 냉매가 열교환기(30)에 공급됨으로써 액화되어, 이 액화된 냉매가 실내 유니트(12)의 열교환기(18)로 기화함으로써, 열교환기(18)를 통과하는 공기를 냉각한다. 또한, 난방 모드에서는, 반대로, 콤프레서(26)에 의해서 압축된 냉매가, 실내 유니트(12)의 열교환기(18)로 응축됨으로써 방열하여, 이 냉매가 방열한 열로 열교환기(18)를 통과하는 공기가 가열된다.
도 1에서는 화살표에 의해서 난방운전시(난방 모드)와 냉방운전시(냉방 모드 또는 드라이 모드)의 냉매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고, 4방향밸브(24)의 전환에 의해서, 운전 모드가 냉방 모드(드라이 모드를 포함)와 난방 모드로 전환되고, 전동팽창밸브(36)의 밸브개방도를 제어함으로써, 냉매의 증발온도가 조정된다. 또, 본 발명은, 임의 구성의 공기조화기에 적용할 수 있고, 에어콘(10)은 그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유니트(12)는, 흡입구(48)와 분출구(50)가 형성된 케이싱(42)내에 열교환기(18)가 설치된다. 이 케이싱(42)은, 베이스판(40)에 의해서 실내의 벽면 등에 고정된다.
이 케이싱(42)내에는, 열교환기(18)와 흡입구(48)의 사이에 크로스 플로우팬(44)과 필터(46)가 배치되어 있고, 크로스 플로우팬(44)의 작동에 의해서 실내의 공기가 케이싱(42)내에 흡인되어, 필터(46) 및 열교환기(18)를 통과한 후, 분출구(50)로부터 실내에 내뿜어진다. 이 때, 실내에 내뿜어지는 공기가 열교환기(18)를 통과함으로써 열교환기(18)내를 순환되는 냉매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이 행해져, 실내를 공조하는 온도조절된 공기가 된다.
실내 유니트(12)의 분출구(50)에는, 좌우 플랩(52)과 함께 상하 플랩(54)이 설치되어 있고, 좌우 플랩(52)및 상하 플랩(54)에 의해서, 분출구(50)로부터 내뿜어지는 공조풍(온도조절된 공기)의 방향이 바뀌어지도록 되어 있다. 즉, 분출구(50)로부터 실내에 내뿜어지는 공기는, 상하 플랩(54)에 의해서 상하방향에 따라 풍향이 바뀌어진다. 또한, 좌우 플랩(52)은 분출구(50)로부터 내뿜는 공기의 방향을 좌우방향(수평방향)에 따라서 바꾸도록 되어 있다. 에어콘(10)은, 상하 플랩(54)및 좌우 플랩(52)에 의해 분출구(50)로부터 내뿜어지는 공기의 풍향를 임의로 바꿀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유니트(12)에는, 전원기판(56), 컨트롤기판(58) 및 파워 릴레이 기판(60)이 설치된다. 에어콘(10)을 운전하기위한 전력이 공급되는 전원기판(56)에는, 모터전원(62), 제어회로전원(64), 직렬전원(66) 및 구동회로(68)가 설치된다. 또한, 컨트롤기판(58)에는, 직렬회로(70), 구동회로(72) 및 마이크로컴퓨터(74)가 설치된다.
전원기판(56)의 구동회로(68)에는, 크로스 플로우팬(44)을 구동하는 팬모터(76)(예컨대 DC 브러시레스 모터)가 접속되어 있고, 컨트롤기판(58)에 설치되는 마이크로컴퓨터(74)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모터전원(62)으로부터 구동전력을 공급한다. 이 때, 마이크로컴퓨터(74)는, 구동회로(68)로부터의 출력전압을 12V∼36V의 범위에서 256스텝으로 변화시키도록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서, 실내 유니트(12)의 분출구(50)로부터 내뿜어지는 공조풍의 풍량이 조정된다.
컨트롤기판(58)의 구동회로(72)에는, 파워 릴레이기판(60), 좌우 플랩(52)을 조작하는 좌우 플랩모터(77) 및 상하 플랩(54)을 조작하는 상하 플랩모터(78)가 접속되어 있다. 파워 릴레이기판(60)에는, 파워 릴레이(80)와 온도 퓨즈 등이 설치되고 있고, 마이크로컴퓨터(74)로부터의 신호에 의해서, 파워 릴레이(80)를 조작하여, 실외 유니트(14)에 전력을 공급하기위한 접점(80A)을 개폐한다. 에어콘(10)은, 접점(80A)이 닫혀짐으로써, 실외 유니트(14)로의 전력의 공급이 가능해진다.
좌우 플랩모터(77) 및 상하 플랩모터(78)는, 마이크로컴퓨터(74)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제어되어, 좌우 플랩(52) 및 상하 플랩(54)의 각각을 조작한다. 좌우 플랩(52)이 좌우방향으로 스윙됨으로써, 분출구(50)로부터 내뿜어지는 공기(공조풍)의 분출방향이 좌우방향으로 바뀌어지고, 상하 플랩(54)이 상하방향으로 스윙됨으로써, 실내 유니트(12)의 분출구(50)로부터 내뿜어지는 공기(공조풍)의 분출방향이 상하방향으로 바뀌어진다. 좌우 플랩(52) 및 상하 플랩(54)의 조작은, 분출풍이 임의의 방향으로 향하게 되도록 고정할 수 있고, 또한, 풍향이 임의로 변화하도록 설정 할 수 있다.
에어콘(10)의 실내 유니트(12)에서는, 크로스 플로우팬(44)의 회전과 좌우 플랩(52)및 상하 플랩(54)의 조작이 제어됨으로써, 원하는 풍량 및 원하는 풍향 또는, 실내를 쾌적히 하기위해서 제어된 풍량 및 풍향으로 공조된 공기를 실내에 내뿜는다.
또,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플랩(52)은, 실내 유니트(12)의 정면을 중심으로 좌우방향에 각도 θ0(전체로서 각도 2θ0)의 범위로 풍향를 변화하도록 제어된다. 또, 이 각도 2θ0는, 예컨대, 종래 약 90°의 범위이던 것에 대하여 100° ∼ 120°로 넓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컴퓨터(74) 및 전원회로(56)의 직렬전원(66)에 접속되어 있는 직렬회로(70)는, 실외 유니트(14)에 접속되어 있고, 마이크로컴퓨터(74)는, 이 직렬회로(70)를 통해 실외 유니트(14)와의 사이에서 직렬통신을 행하여, 실외 유니트(14)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되어있다.
또한, 실내 유니트(12)에는, 리모콘스위치(120)(도 1 참조)로부터의 조작신호를 수신하는 수신회로 및 운전표시용의 표시 LED 등을 구비한 표시기판(82)이 설치되어 있고, 이 표시기판(82)이 마이크로컴퓨터(74)에 접속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기판(82)의 표시부(82A)는, 케이싱(42)의 전면에 배치되어 있고, 이 표시부(82A)에 리모콘스위치(120)로부터 송출되는 조작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리모콘스위치(120)를 표시부(82A)로 향하여 조작함으로써, 리모콘스위치(120)로부터의 조작신호가 마이크로컴퓨터(74)에 입력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컴퓨터(74)에는, 실내온도를 검출하는 실온 센서(84) 및 열교환기(18)의 코일온도를 검출하는 열교환온도 센서(86)가 접속되고, 또, 컨트롤기판(58)에 설치되는 서비스 LED 및 운전전환스위치(88)가 접속되어 있다. 운전전환스위치(88)는,「통상운전」과 유지보수시 등에 행하는「시험운전」과의 전환 및, 전원스위치(88A)의 접점을 개방하여 에어콘(10)으로의 운전전력의 공급을 차단하는「정지」로 전환된다. 통상, 이 운전전환 스위치(88)는,「통상운전」으로 설정되어 전원스위치(88A)의 접점이 닫혀지고 있다. 또, 서비스 LED는, 유지보수시에 점등조작함으로써, 서비스 맨에게 자기진단결과를 알리도록 되어 있다.
실내 유니트(12)에는, 실외 유니트(14)와의 문의 배선이 접속되는 단자대(90)가 설치된다. 이 단자대(90)의 터미널(90A, 90B, 90C)에는, 실내 유니트(12)로부터 실외 유니트(14)에 공급되는 전원용의 배선과, 실내 유니트(12)와 실외 유니트(14) 사이로 직렬통신을 행하기 위한 배선이 접속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 유니트(14)에는, 단자대(92)가 설치되고 있고, 이 단자대(92)의 터미널(92A, 92B, 92C)이 각각 실내 유니트(12)의 단자대(90)의 터미널(90A, 90B, 90C)에 접속된다.
이 실외 유니트(14)에는, 정류기판(94), 컨트롤기판(96)이 설치된다. 컨트롤기판(96)에는, 마이크로컴퓨터(98), 노이즈 필터(100A, 100B, 100C), 직렬회로(102) 및 스위칭전원(104) 등이 설치된다.
정류기판(94)에는, 노이즈 필터(100A)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배전압정류하여, 노이즈 필터(100B, 100C)를 통해 평활화한 직류전력을 스위칭전원(104)에 출력한다. 스위칭전원(104)은, 마이크로컴퓨터(98)와 함께 인버터회로(106)에 접속되어 있고, 이 인버터회로(106)가 콤프레서모터(108)에 접속되어 있다. 인버터회로(106)는, 마이크로컴퓨터(98)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른 주파수의 전력을 콤프레서모터(108)에 출력하여, 콤프레서(26)를 회전구동한다.
또, 마이크로컴퓨터(98)는, 인버터회로(106)로부터 출력되는 전력의 주파수가, 오프 또는 14Hz 이상(상한은 운전전류의 상한에 의한)의 범위가 되도록 제어하고 있어, 이것에 의해서, 콤프레서모터(108), 즉 콤프레서(26)의 회전수가 바뀌어지고, 콤프레서(26)의 운전능력(에어콘(10)의 냉난방능력)이 제어된다.
이 컨트롤기판(96)에는, 4방향밸브(24) 및 열교환기(30)를 냉각하기 위한 송풍팬(도시생략)을 구동하는 팬모터(110), 팬모터 컨덴서(110A)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실외 유니트(14)에는, 외기온도를 검출하는 외기온도 센서(112), 열교환기(30)의 냉매코일의 온도를 검출하는 코일 온도센서(114) 및 콤프레서(26)의 온도를 검출하는 콤프레서 온도센서(116)가 설치되어 있고, 이것들이 마이크로컴퓨터(98)에 접속되어 있다.
마이크로컴퓨터(98)는, 운전 모드에 따라서 4방향밸브(24)를 전환함과 동시에, 실내 유니트(12)로부터의 제어신호, 외기온도 센서(112), 코일 온도센서(114) 및 콤프레서 온도센서(116)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팬모터(110)의 온/오프 및 콤프레서모터(108)의 운전주파수(콤프레서(26)의 능력) 등을 제어하도록 되어있다.
또한, 컨트롤기판(96)에는, 전동팽창밸브(36)를 개폐구동하는 모터(118)가 접속되어 있다. 마이크로컴퓨터(98)는, 모터(118)에 의해서 전동팽창밸브(36)의 개방도를 제어한다.
도 6a 및 도 6b에는, 에어콘(10)의 운전조작을 행하기위한 리모콘스위치(120)(이하「메인 리모콘」이라고 한다)가 표시되고 있다. 메인 리모콘(120)에는, 표시부(122)가 설치된다. 이 표시부(122)에는, 운전 모드, 설정온도, 실내온도(실온), 시간에 더하여 풍향, 풍량 등의 에어콘(10)을 운전할 때의 운전조건이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메인 리모콘(120)에는, 운전/정지버튼(124), 온도설정버튼(126A, 126 B)과 함께, 체감버튼(128) 및 풍향버튼(130)이 설치된다. 에어콘(10)은, 운전/정지버튼(124)의 조작에 의해서 운전/정지된다. 또한, 온도설정버튼(126A, 126B)에 의해서 표시부(122)에 표시되는 설정온도(공조할 때의 목표온도)가 바뀌어지도록 되어 있다.
메인 리모콘(120)에는, 내부에 온도 센서(도시생략)가 설치되고 있고, 이 메인 리모콘(120)에 의해서 메인 리모콘(120) 주위의 실온을 측정하여 실내 유니트(12)에 송출하도록 되어있다. 또한, 후술하는 서브 리모콘(140)에도 온도 센서가 설정되고 있고, 서브 리모콘(140) 주위의 실온을 측정하여 실내 유니트(12)에 송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실내 유니트(12)의 마이크로컴퓨터(74)는, 실내 유니트(12)에 설치하고 있는 실온 센서(84), 메인 리모콘(120) 및 서브 리모콘(140)에 의해서 실내의 온도를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체감버튼(128)은, 실온을 측정하는 온도 센서의 전환용으로 되어 있고, 이 체감버튼(128)을 조작함으로써, 실내 유니트(12)의 실온 센서(84)를 사용하여 실온을 측정하는 통상모드와, 이 실온 센서(84)에 더하여 메인 리모콘(120) (통상 체감 모드) 또는 메인 리모콘(120)과 서브 리모콘(140)(멀티체감 모드)을 사용하여 실온을 측정하는 체감 모드로 전환된다.
또한, 풍향버튼(130)의 조작에 의해서, 좌우 플랩(52)이 자동적으로 미리 설정된 범위내에서 스윙되는 자동 모드가 선택된다. 또한, 이 풍향버튼(130)의 조작에 의해서, 좌우 플랩(52)을 임의의 위치로 향하여 고정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로서는, 비자동 모드로 좌우 플랩(52)을 임의의 위치에 고정하도록 설명하지만, 스윙범위를 임의로 선택하여 선택한 스윙범위내에서 스윙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즉, 좌우 플랩(52)을 스윙시킬 때의 중심위치를 풍향버튼(130)에 의해서 선택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메인 리모콘(120)에는, 슬라이드커버(130)가 설치되고 있고, 이 슬라이드커버(134)의 슬라이드조작에 의해서, 여러가지 조작버튼을 가지는 조작패널(132)이 노출되도록 되어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커버(134)내에 은폐되어 있는 조작패널(132)의 운전전환버튼(136)에 의해서, 에어콘(10)의 운전 모드가 자동, 난방, 드라이, 냉방, 공기청정, 건조순으로 차례로 전환된다. 또한, 조작패널(132)내의 스위치조작에 의해, 분출구(50)로부터 내뿜는 풍량, 풍향(상하방향)의 전환이 가능하고, 또한, 하이파워 및 능력세이브 등의 공조능력의 선택이 가능해지고 있다. 또, 조작패널(132)상의 스위치조작에 의해서 운전개시시간, 운전정지시간 등의 타이머설정이 가능해지고 있다.
이 메인 리모콘(120)은, 각 조작버튼이 조작될 때마다, 조작내용에 따른 조작신호를 실내 유니트(12)의 표시부(82A)로 향하여 송출함과 동시에, 온도 센서에 의해서 검출한 실내온도를 송출한다. 또한, 메인 리모콘(120)은, 이 실온은, 조작버튼의 조작에 관계되지 않고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송출하도록 되어있다.
에어콘(10)은, 메인 리모콘(120)에 의해서 검출되어 보내지는 실온에 따라서 공조운전을 행할 수 있다. 즉, 메인 리모콘(120)은, 에어콘(10)에 의해서 공조되는 실내의 메인 에리어로 조작됨으로써, 이 메인 에리어의 공조상태(주로 온도)를 검출할 수 있고, 메인 리모콘(120)에 의해서 검출한 온도가 설정온도가 되도록 공조운전이 행해진다.
그런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콘(10)의 표시부(82A)는, 메인 리모콘(120)과는 따로 설정되는 리모콘 센서스위치(이하「서브 리모콘(140)」이라고 한다)로부터의 신호도 합쳐서 수신하도록 되어있다.
도 7, 도 8a 및 도 8b에는, 서브 리모콘(140)의 개략이 표시되고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리모콘(140)은, 서브 리모콘(140) 주위의 온도를 검출하여, 검출한 온도에 따른 신호(예컨대 전압)를 출력하는 온도검출부(142)와 함께, 사람 검지부(144) 및 위치설정스위치(146)를 구비하고 있고, 각각이 변환부(148)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 변환부(148)는, 통신부(150)에 접속되어 있다.
사람 검지부(144)에는, 프레이넬렌즈에 의해서 집광한 원적외선을 검출하는 초전도소자를 구비한 사람 검지 센서(152)가 설치된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사람 검지 센서(152)는, 서브 리모콘(140)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반구형상의 돔커버(154)내에 배치되어 있고, 돔커버(154)를 투과한 주위의 원적외선을 검출하도록 되어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사람 검지 센서(152)는, 검지회로(156)에 접속되어 있다. 사람 검지부(144)는, 검지회로(156)가 사람 검지 센서(152)에 의해서 검출한 원적외선의 변화의 유무로부터 서브 리모콘(140) 주위의 사람의 유무를 검출하는 일반적인 사람 검지의 구성으로 되어있다.
또, 검지회로(156)에는, 감도조정기(158)가 접속되어 있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리모콘(140)에는, 감도조정기(158)의 조정손잡이(158A)가 설치되고 있고, 이 조정손잡이(158A)에 의해서 사람감지 센서(152)의 감도, 즉, 검출거리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리모콘(140)의 슬라이드커버(140 A)를 아래쪽으로 슬라이드조작함으로써, 위치설정스위치(146)가 개방된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설정스위치(146)는, 서브 리모콘(140)에 대한 실내 유니트(12)의 위치에 따라서, 조작 노브(146A)를「우」,「중앙」및「좌」의 3단계의 표시위치로 슬라이드조작하도록 되어있다. 또, 상기한 조정손잡이(158A)도, 통상, 슬라이드커버(140A)에 의해서 숨겨지고 있다.
변환부(148)는, 온도검출부(142), 사람 검지부(144) 및 위치설정스위치(146)로부터의 입력신호를, 각각의 신호를 미리 설정된 코드에 따라서 변환하여, 통신부(150)에 출력한다.
통신부(150)는, 변환부(148)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실내 유니트(12)로 향하여 송출한다. 또한,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같이, 서브 리모콘(140)에는, 서브 리모콘(140)을 온/오프하는 전원스위치(160)가 설치된다. 통신부(150)는, 전원스위치(160)가 온조작됨으로써, 온신호를 송출함과 동시에, 온도검출부(142), 사람 검지부(144) 및 위치설정스위치(146)로부터의 입력에 따라서 신호의 송출을 행한다.
서브 리모콘(140)은, 전원스위치(160)가 온조작됨으로써, 온도검출부(142)에 의한 실온의 측정 및 사람 검지부(144)에 의한 사람의 유무 검출을 행하여, 사람 검지부(144)로 사람을 검지하고 있는 사이는,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측정한 실온과 함께 위치설정스위치(146)에 의해서 설정되어 있는 위치신호를 송출한다.
한편, 실내 유니트(12)의 마이크로컴퓨터(74)는, 메인 리모콘(120)의 풍향버튼(130)의 조작에 의해서 자동 모드가 선택됨으로써, 서브 리모콘(140)으로부터 위치설정신호에 따라서 서브 리모콘(140)의 위치를 판정하여 이니셜위치를 설정하고, 이 이니셜위치를 중심으로 좌우 플랩(52)을 소정의 범위로 스윙시킨다. 또한, 실내 유니트(12)의 마이크로컴퓨터(74)는, 서브 리모콘(140)으로부터 사람을 검지한 것을 나타내는 신호가 정지되면, 이니셜위치를 중심으로한 좌우 플랩(52)의 스윙을 정지하고, 다시, 사람을 검출한 신호가 입력됨으로써 이니셜위치를 중심으로한 좌우 플랩(52)의 스윙을 재개한다. 이 때, 마이크로컴퓨터(74)는, 메인 리모콘(120)의 체감버튼(128)이 조작되어 체감 모드일 때에는, 서브 리모콘(140)으로부터 송출되는 실온을 사용하여 공조풍의 온도 및 풍량을 제어하도록 되어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콘(10)의 실내 유니트(12)는, 통상 공조되는 피공조실(162)내의 메인 에리어(162A)로 향하여 공조풍을 내뿜도록 설치된다. 또한, 좌우 플랩(52)은, 분출구(50)로부터 내뿜어지는 공조풍이 메인 에리어(162A)로 향하도록 방향이 설정된다(예컨대 메인 리모콘(120)의 풍향버튼(130)의 조작에 의해서 설정). 즉, 실내 유니트(12)는, 정면이 피공조실내의 메인 에리어(162A)로 향해지게 설치되고, 통상 이 메인 에리어(162A)가 쾌적한 공조상태가 되도록 운전된다.
서브 리모콘(140)은, 피공조실(162)내에서 메인 에리어(162A)와 다른 위치에서 공조를 행하고 싶은 에리어 (이하「서브 에리어(162B)」라고 한다)에 설치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콘(10)은, 좌우 플랩(52)에 의해서 내뿜어지는 공조풍의 방향이, 통상 실내 유니트(12)의 정면이 이니셜위치(이하 이니셜위치 (C)」라고 한다)로 되어 있고, 좌우 플랩(52)은, 이 이니셜위치(C)를 중심으로 각도(θ0)의 범위로 좌우로 스윙된다(예컨대 좌우로 50°의 범위로 스윙). 또한, 서브 리모콘(140)의 위치설정스위치(146)가, 「중」으로 설정되고 있을 때에는, 이 이니셜위치(C)를 중심으로 마찬가지로 좌우 플랩(52)이 스윙된다.
한편, 서브 리모콘(140)의 위치설정스위치(146)가「좌」또는「우」로 설정되면, 실내 유니트(12)의 이니셜위치(R, L)가 각각 각도(θR, θL)로 변경되고, 각각 좌우에 각도 θ1(예컨대 약 30˚)의 범위로 스윙된다. 즉, 좌우 플랩(52)의 스윙이 서브 리모콘(140)의 위치설정스위치(146)에 의해서, 우측 또는 좌측으로 기울도록 되어 있다.
또, 서브 리모콘(140)으로부터의 신호에 의해서 좌우 플랩(52)을 스윙시킬 때에는, 분출구(50)로부터 내뿜어지는 풍량을 증가시키도록 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서, 서브 리모콘(140)이 나타내는 서브 에리어(162B)에 공조풍이 확실하게 도달하도록 하고 있다.
이하에 본 실시 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에어콘(10)에서는, 메인 리모콘(120)의 스위치조작에 의해서 냉방운전, 드라이운전 및 난방운전등 어느 하나에 설정된 상태로 운전/정지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면, 설정된 운전 모드에 의한 운전을 개시한다.
에어콘(10)은 운전조작이 이루어져 공조운전을 개시하면, 설정온도와 실내온도를 측정하고, 이 측정결과에 따라서, 콤프레서(26)의 운전주파수, 풍량(크로스 플로우팬의 회전수) 등을 설정하고, 이 설정결과에 따라서 공조운전을 행한다.
또한, 실외 유니트(14)에서는, 설정된 운전 모드에 따라서 4방향밸브(24)를 전환한다. 예컨대, 냉방 내지 드라이 모드로 설정되면, 콤프레서(26)에 의해서 압축된 냉매가, 실외 유니트(14)의 열교환기(30)에 공급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콤프레서(26)에 의해서 압축된 냉매는, 열교환기(30)를 통과함으로써 액화되어, 이 액화된 냉매가 실내 유니트(12)의 열교환기(18)에 공급된다. 실내 유니트(12)의 열교환기(18)에 공급된 냉매는, 열교환기(18)를 통과할 때에 기화하여, 열교환기(18)를 통과하는 공기를 냉각한다.
한편, 난방운전시에는, 콤프레서(26)에 의해서 압축한 고압의 냉매가 실내 유니트(12)의 열교환기(18)에 공급되도록 4방향밸브(24)를 전환한다. 이에 따라, 콤프레서(26)로 압축된 고압의 냉매가, 열교환기(18)로 액화될 때에, 열교환기(18)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한다. 이 열교환기(18)로 가열된 공기가 분출구(50)로부터 실내로 내뿜어짐으로써 실내가 난방된다.
그런데, 에어콘(10)에서는, 통상 메인 에리어(162A)로 향하여 공조풍이 내뿜어지도록 좌우 플랩(52)의 방향(내지 스윙범위)이 설정되어, 실내온도를 실내 유니트(12)의 실온 센서(84)에 의해서 측정하고 있지만, 메인 리모콘(120)의 체감버튼(128)이 조작되면, 실온 센서(84)로 측정한 실온에 더하여 메인 리모콘(120)에 의해서 측정한 실온을 이용한 체감 모드에서의 공조운전을 행한다. 이 때, 서브 리모콘(140)이 온되어, 서브 리모콘(140)의 온도검출부(142)로 측정한 실온을 수신하고 있을 때에는, 실온 센서(84), 메인 리모콘(120) 및 서브 리모콘(140)의 각각에서 검출한 실온에 따라서 공조운전을 행하는 멀티 체감 모드에서의 운전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 체감 모드는, 냉방, 난방, 드라이 등의 풍향 및 풍량이 자동으로 설정된 자동운전시에 실행가능해져, 풍향 (주로 좌우 플랩(52)에 의한 풍향)이 자동 모드로 설정된다(풍향버튼(130)의 조작에 의해서 설정하더라도 좋다).
도 11에는, 서브 리모콘(140)의 동작의 개략을 나타내고 있다. 이 서브 리모콘(140)에서는, 전원스위치(160)가 온조작됨으로써, 온도검출부(142)에 의해서 서브 리모콘(140) 주위의 실온의 계측을 개시함과 동시에, 사람검지 센서(152)에 의해서 사람의 유무의 검출을 행한다.
사람의 유무 검출은, 사람 검지 센서(152)가 소정시간 이상(예컨대 15분) 온하지않으면 무인으로 설정되고, 단속적이더라도 소정시간 이내에 사람 검지 센서(152)가 사람을 검출하기를 계속하면, 유인으로 설정된다.
한편, 도 11의 플로우 챠트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리모콘(140)은, 전원스위치(160)가 온조작됨으로써 최초의 스텝(200)에서 위치설정스위치(146)의 설정상태와 함께, 온도검출부(142)로 측정한 실온을 송출한다. 이것과 함께, 다음 스텝(202)에서는, 신호를 송출하기위한 인터벌을 계측하는 타이머를 리셋/스타트시킨다.
다음 스텝(204)에서는, 타이머에 의해서 계측하고 있는 시간이 소정시간에 달했는지 아닌지를 확인하여, 소정시간에 달하였을 때(스텝(204)에서 긍정판정)에는, 스텝(206)으로 이행하여, 사람 검지부(144)가 유인으로 판정(유인으로 설정)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확인한다.
여기서, 유인판정되어 있을 때에는, 스텝(206)에서 긍정판정되어 스텝(200)으로 이행한다. 이것에 의해서, 소정의 인터벌 (예컨대 시간(t2)이 약 10분)마다, 서브 리모콘(140)으로부터 서브 리모콘(140)의 주위의 실온이 송출된다.
또한, 무인으로 설정되고 있을 때(스텝(206)에서 부정판정)에는, 사람 검지부(144)가 서브 리모콘(140) 주위의 사람을 검지할 때까지는, 대기상태가 되어, 사람을 검지함으로써 스텝(200)에서 긍정판정되고, 이 플로우 챠트의 실행이 재개된다.
한편, 에어콘(10)은, 메인 리모콘(120)으로부터 체감모드로 이행하는 신호가 입력됨으로써, 서브 리모콘(140)에 의해서 검출한 실온을 이용한 체감 모드가 실행된다. 도 12의 플로우 챠트에는, 체감모드로의 변환 루틴의 개략이 표시되고 있다.
이 플로우 챠트는, 메인 리모콘(120)의 운전/정지버튼(124)의 조작에 의해서 운전이 개시되면 실행되고, 최초의 스텝(210)에서는, 체감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확인하고 있다. 메인 리모콘(120)은, 전회의 운전시에 체감 모드로 설정하고 있으면, 이 설정을 기억하고 있어, 다음에 에어콘(10)의 운전조작을 행했을 때에, 체감 모드로의 설정을 나타내는 조작신호를 송출한다.
여기서, 체감 모드로 설정되고 있지 않을 때(스텝(210)에서 부정판정)에는, 스텝(212)로 이행하고, 실내 유니트(12)내에 설치하고 있는 실온 센서(84)에 의해서 측정한 실온만을 이용한 통상제어로 설정한다. 또, 이 통상제어는, 종래 공지의 여러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체감 모드로 설정되었을 때 (스텝(210) 긍정판정)에는, 스텝(212)에서 메인 리모콘(120)으로부터 실온이 송출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확인하여, 스텝(214)에서 서브 리모콘(140)으로부터 실온이 송출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즉, 체감 모드를 실행하기위한 실온이 메인 리모콘(120) 및 서브 리모콘(140)의 각각으로부터 송출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확인하고 있다.
도 13a 및 도 13b에는, 스텝(212,214)에서 판정을 행하기위한 플로우 챠트가 표시되고 있다.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리모콘(120)의 동작판정 루틴에서는, 최초의 스텝(230)에서 메인 리모콘(120)으로부터 송출되는 온도신호를 수신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수신했을 때에는 긍정판정되어 스텝(232)으로 이행하고, 메인 리모콘(120)이 온도 센서로서 동작하고 있다고 판정한다.
이 다음, 스텝(234)에서는, 수신한 온도신호에 기초를 둔 온도를 메인 리모콘(120)에 의해서 검출한 실온(trtp)으로서 설정함과 동시에, 스텝(236)으로 이행하여 타이머를 리셋/스타트시킨다.
다음 스텝(238)에서는, 타이머가 타임업했는지 아닌지를 확인하고, 또한, 스텝(240)에서는, 메인 리모콘(120)으로부터 일정한 인터벌로 송출될 뿐인 온도신호를 수신했는지 아닌지를 확인한다.
여기서, 타이머가 타임업하기 전에 메인 리모콘(120)으로부터 송출되는 온도신호를 수신하였을 때(스텝(238)에서 부정판정, 스텝(240)에서 긍정판정)에는, 스텝(234)으로 이행하고, 수신한 온도신호에 따라서 실온(trtp)의 갱신을 행한다.
한편, 메인 리모콘(120)으로부터 송출되는 온도신호를 수신하기 전에 타이머가 타임업하였을 때(스텝(238)에서 긍정판정)에는, 스텝(242)으로 이행하고, 메인 리모콘(120)이 온도 센서로서 동작하지 않는다고 판정한다.
또, 타이머의 계측시간은, 메인 리모콘(120)이 온도신호를 송출하는 간격인 시간(t1)에 대하여 t1× 3 +β (예컨대 t1 을 약 5분, β를 약 2분으로 하면 , 약 17분)로 하고 있고, 메인 리모콘(120)으로부터의 온도신호의 송출이 3회 연속하여 정지하였을 때 또는 수신할 수 없었던 때에, 메인 리모콘(120)을 온도 센서로서 사용하는 것을 중지한다고 판정한다.
또한,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리모콘(140)의 동작판정 루틴에서는, 최초의 스텝(250)에서 서브 리모콘(140)으로부터 송출되는 온도신호를 수신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여, 수신했을 때에는 긍정판정되어 스텝(252)으로 이행하고, 서브 리모콘(140)이 온도 센서로서 동작하고 있다고 판정한다.
이 다음, 스텝(254)에서는, 수신한 온도신호에 기초를 둔 온도를 서브 리모콘(140)에 의해서 검출한 실온(trts)으로서 설정함과 동시에, 스텝(256)에 이행하여 타이머를 리셋/스타트시킨다.
다음 스텝(258)에서는, 타이머가 타임업했는지 아닌지를 확인하고, 또한, 스텝(260)에서는, 서브 리모콘(140)으로부터 일정한 인터벌로 송출될 뿐인 온도신호를 수신했는지 아닌지를 확인한다.
여기서, 타이머가 타임업하기 전에 서브 리모콘(140)으로부터 송출되는 온도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스텝(258)에서 부정판정, 스텝(260)에서 긍정판정)에는, 스텝(254)으로 이행하여, 실온(trts)의 갱신을 행한다.
한편, 서브 리모콘(140)으로부터 송출되는 온도신호를 수신하기 전에 타이머가 타임업하였을 때(스텝(258)에서 긍정판정)에는, 스텝(262)으로 이행하여, 서브 리모콘(140)이 온도 센서로서 동작하지않는다고 판정한다.
또, 타이머의 계측시간은, 서브 리모콘(140)이 온도신호를 송출하는 간격인 시간(t2)에 대하여 t2× 2 +β (t2를 약 10분으로 하면, 약 22분)로 하고 있고, 서브 리모콘(140)으로부터의 온도신호의 송출이 2회 연속하여 정지하였을 때 또는 수신할 수 없었던 때에, 서브 리모콘(140)을 온도 센서로서 사용하는 것을 중지한다고 판정한다.
이 판정결과에 따라서, 도 12에 표시되는 플로우 챠트에서는, 적어도 메인 리모콘(120)이 온도 센서로서 동작이 정지한 상태에 있을 때에는, 스텝(212)에서 부정판정되어, 스텝(216)으로 이행한다. 이에 따라, 에어콘(10)에서는, 실내 유니트(12)의 실온 센서(84)만을 사용한 공조제어가 행해진다.
또한, 메인 리모콘(120)만을 온도 센서로서 사용할 수 있을 때에는, 스텝(212)에서 긍정판정, 스텝(214)에서 부정판정됨으로써, 스텝(218)으로 이행하여, 메인 리모콘(120)을 사용한 통상의 체감 모드로 설정한다. 또, 이 체감 모드도 종래 공지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메인 리모콘(120) 및 서브 리모콘(140)의 쌍방이 적절히 동작하고 있다고 판정됐을 때(스텝(212,214)에서 긍정판정)에는, 스텝(220)으로 이행하여, 멀티체감 모드로 설정한다.
또, 좌우 플랩(52)은, 서브 리모콘(140)으로부터 위치설정신호 (위치설정스위치(146)의 조작위치에 따른 신호)가 입력됨으로써, 이 신호에 따라서 이니셜위치가 변경되어, 이 이니셜위치에 따른 스윙범위로 스윙된다. 이에 따라, 실내 유니트(12)의 분출구(50)로부터 내뿜어지는 공조풍에 의해서 메인 에리어(162A)와 서브 에리어(162B)가 공조가능해진다 (도 10 참조).
이 다음, 스텝(222)으로 이행하여, 일정시간(예컨대 약 5분) 대기한 후, 두 번째 스텝(210)으로 이행한다. 또, 스텝(222)에서의 대기중에 체감 모드가 해제됐을 때에는, 통상모드로 설정한다 (스텝(216)으로 이행).
이와 같이 하여 멀티 체감 모드로 설정되면 , 마이크로컴퓨터(74)는, 메인 리모콘(120)에 의해서 측정한 실온(trtp)과 서브 리모콘(140)에 의해서 측정한 실온 (trts)을 사용한 공조제어를 행한다.
이 멀티체감 모드에서는, 실온(trtp)과 실온(trts)이 대략 일치 (예컨대 온도차가 1℃ 이내)하도록, 분출구(50)로부터 내뿜는 공조풍의 풍량 및 온도를 제어하면서 좌우 플랩(52)을 소정의 속도로 스윙시킨다. 이 때, 설정온도를 주로 실온 (trtp) 및 실온(trts)에 따라서 보정함으로써, 메인 리모콘(120)이 놓여져 있는 메인 에리어(162A)의 체감온도와 서브 리모콘(140)이 설치되고 있는 서브 에리어(162B)의 체감온도를 대략 일치시켜, 피공조실(162)내가 쾌적한 실온으로 공조된다.
멀티체감 모드는, 메인 리모콘(120)과 서브 리모콘(140)에 의해서 실온 (trtp, trts)의 측정이 계속되고 있는 상태로, 메인 리모콘(120)에 의해서 측정되는 실온(trtp)과 설정온도의 온도가 대략 일치한 상태 (예컨대 편차가 1℃ 이내)가 일정시간 계속함과 동시에, 실온(trtp)과 실온(trts)의 온도가 소정 범위이내로 된 상태로 세트되어, 적어도 실온(trtp)과 실온(trts)의 온도가 소정범위를 넘으므로써 리셋된다.
서브 리모콘(140)은, 일정한 인터벌로 사람 검지 센서(152)가 서브 에리어(162B)내의 사람의 유무를 검출하고 있고, 에어콘(10)은, 서브 리모콘(140)이 사람을 검출하지 않게 되면, 서브 에리어(162B)에 향하여 공조풍을 내뿜는 것을 정지한다. 이것과 함께, 서브 리모콘(140)으로부터의 신호가 정지 또는 정지를 나타내는 신호가 송출됨으로써, 좌우 플랩(52)의 이니셜위치가 복귀되어, 메인 에리어(162A)를 중심으로 한 공조로 복귀된다. 이것에 의해서, 사람이 없는 서브 에리어(162B)를 불필요하게 공조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에어콘(10)에서는, 실내 유니트(12)가 설치되는 피공조실(162)의 소정의 에리어를 설정하는 서브 리모콘(140)을 설치하여, 이 서브 리모콘(140)에 의해서 설정한 위치로 향하여 분출풍을 편향시킴으로써, 피공조실(162)내의 특정의 에리어가 쾌적한 공조상태가 되도록 중점적으로 공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넓은 피공조실내의 원하는 영역만 또는 전역이 쾌적해지도록 효율적으로 공조할 수 있기때문에, 에어콘(10)에 의해서 피공조실(162)내를 공조할 때의 에너지 절약을 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1대의 실내 유니트(12)에 대하여 1대씩의 메인 리모콘(120)과 서브 리모콘(140)을 사용하여 설명하였지만, 서브 리모콘(140)은, 복수대 설치하더라도 좋다. 이에 따라, 넓은 실내를 다수의 에리어로 분할하여, 각각 특정한 에리어만을 효율적으로 공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각이 따로따로 기능을 구비한 메인 리모콘(120)과 서브 리모콘(140)을 사용하였지만, 쌍방의 기능을 합친 리모콘스위치를 사용하더라도 좋다. 즉, 메인 리모콘(120)에 서브 리모콘(140)의 위치설정기능을 합치도록해도 좋고 또, 사람 검지기능 및 리모콘스위치의 온/오프기능을 합쳐도 좋다.
이에 따라, 리모콘스위치에 의해서 설정한 피공조실내의 특정한 에리어를 원하는 공조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 이상 설명한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구성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실내 유니트가 설정되는 피공조실을 공조하는 임의 구성의 공기조화기에 적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