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6525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6525B1
KR100536525B1 KR1019980036064A KR19980036064A KR100536525B1 KR 100536525 B1 KR100536525 B1 KR 100536525B1 KR 1019980036064 A KR1019980036064 A KR 1019980036064A KR 19980036064 A KR19980036064 A KR 19980036064A KR 100536525 B1 KR100536525 B1 KR 100536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room temperature
air
main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6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9452A (ko
Inventor
마나부 이시하라
마사토 와타나베
도모히데 후나고시
히로시 가나이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29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9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6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65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6Improving electric energy efficiency or sa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과제) 복수의 온도검출수단을 사용하여 피공조실내의 실온을 측정하면서 효율적인 공조를 행한다.
(해결수단) 메인 리모콘으로부터 소정의 인터벌로 송출되는 실온신호를 수신할 때마다, 실온신호로부터 실온(Trtp)을 판독입력한다(스텝210, 212). 이것과 함께, 서브 리모콘에 의해서 검출한 실온(Trts)에서 현재의 실온(Trtt)을 예측하고, 실온(Trtp)과 실온(Trtt)의 차이로부터 설정온도(TSET)를 보정한다(스텝214, 216). 이 보정한 설정온도(Ts)에 따라서 공조를 행함으로써(스텝218), 간단하고도 효율적으로 피공조실내의 공조를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공조시의 에너지 절약화를 꾀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CONDITIONER}
본 발명은, 실내 유니트가 설치되는 피공조실내의 공기조화를 꾀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이하「에어콘」이라고 한다)는, 피공조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실내 유니트)의 열교환기를 통과함으로써 온도조절된 공기를 피공조실내로 내뿜음으로써, 피공조실내의 공기조화를 꾀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에어콘에서는, 에어콘의 운전조작을 행하는 리모콘스위치에 온도 센서를 설치하여, 주로 이 온도 센서(리모콘 센서에 설치한 온도 센서)에 의해서 검출한 온도가 설정온도가 되도록 공조제어함으로써, 피공조실내에 있는 사람의 주위가 설정온도가 되도록 하고 있다. 즉, 리모콘스위치는, 피공조실내에 있는 사람이 조작하는 것이고, 이 리모콘스위치의 온도가 피공조실내에 있는 사람의 체감온도에 가깝다. 따라서, 리모콘스위치의 온도 센서에 의해서 검출한 온도를 설정온도로 함으로써, 피공조실내가 쾌적한 공조상태라고 느껴진다.
그런데 에어콘의 실내 유니트의 설치위치는, 피공조실내의 전역을 향하여 공조풍을 내뿜을 수 있는 위치가 바람직하고, 이에 따라, 실내의 전역을 쾌적한 공조상태로 할 수 있다.
최근, 에어콘에 의해서 공조하는 피공조실은 넓게 되고 있고, 또한, L자 형상 등으로 형성되는 등, 형상도 다양화하고 있다. 한편, 실내 유니트의 설치위치는, 창이나 문, 대들보 등을 피할 필요가 있어, 제약을 받는 것이 많다. 이 때문에, 1대의 실내기로 넓은 실내의 전역을 균일하게 공조하기 위해서는, 공조능력이 높은 에어콘이 필요해진다.
그러나, 에너지 절약의 관점에서는, 넓은 피공조실내의 전역을 균일하게 공조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즉, 피공조실내가 넓더라도, 사람이 있는 스페이스는 한정되고 있는 것이 많고, 넓은 피공조실내의 전역을 공조하는 것은 사람이 없는 스페이스에도 온도조절한 공기를 널리 퍼지게 하게 되고, 그만큼, 공조능력을 높게 할 필요가 생기게 된다.
이러한 공조시의 에너지 절약을 생각한 경우, 사람이 있는 스페이스를 중점적으로 공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실내 유니트는, 사람이 있는 시간이 가장 긴 영역을 공조하도록 설치된다.
그런데, 넓은 실내에서 사람이 있는 시간이 긴 영역을 주로 공조하도록 실내 유니트를 설치한 경우, 실내 유니트가 넓은 실내의 전역을 바라볼 수 있는 위치(예컨대 중앙부)가 아니고, 사람이 오래 있는 영역(또는 항상 사람이 있는 영역)을 향하여 설치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이 실내 유니트를 설치한 경우라도, 때때로 그 실내 유니트에 의해서 넓은 실내의 전체를 공조하거나, 실내 유니트가 향해져 있는 영역 이외의 영역을 공조할 필요가 있다. 이 때, 사람이 있는 것이 많은 영역만을 공조할 때와 같이 공조운전을 하더라도, 실내 유니트의 설치장소가 치우치고 있기 때문에, 넓은 실내전체는 물론, 실내 유니트에 의해서 주로 공조하고 있는 영역 이외의 영역을 쾌적한 온도로 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즉, 공조할 때의 실내온도는, 실내 유니트에 설치되는 온도 센서나 리모콘스위치에 설치되는 온도 센서가 사용된다. 또한, 실내 유니트는, 사람이 있는 시간이 긴 영역에 설치되기 때문에, 이 영역의 공조효율은 높지만, 이 영역을 벗어나는 공조효율이 낮게 되기 때문에, 리모콘스위치의 온도 센서만으로 검출한 온도를 사용하여 공조하더라도, 원하는 영역을 한결같이 공조하는 것은 어렵다.
이 때문에 피공조실내에 복수의 온도 센서를 배치하고, 각각의 온도 센서의 검출온도에 따라서 공조능력을 제어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렇지만, 공조효율이 다른 2개의 영역의 온도를 측정하면서 공조를 행하더라도, 공조효율이 다르면 공조상태를 한결같이 하는 것은 곤란하고, 예컨대 난방시에 장소에 따라서는, 난방부족의 영역이나 난방의 지나친 작용 등에 의해서 불쾌감이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실에 감안하여 행해진 것으로서, 피공조실내에 복수의 온도 센서를 배치했을 때에, 효율적으로 공조하여 각각의 온도 센서를 배치한 영역이 쾌적한 공조상태가 되도록 하는 공기조화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은, 실내 유니트가 설치되는 피공조실내를 설정온도를 포함하는 운전조건과 실온에 따라서 공조하는 공기조화기로서, 상기 공조실내에 설치되는 주온도검출수단과, 상기공조실내에 설치되는 부온도검출수단과, 상기 주온도검출수단에 의해서 검출한 주실온과 상기 부온도 센서에 의해서 검출한 부실온의 온도차에 따라서 상기 설정온도를 보정하는 보정수단과, 상기 온도차에 미리 설정한 정수를 곱하는 것에 의해 상기 보정수단에 의한 상기 설정온도의 보정량을 소정범위로 제한하는 보정제한수단과, 상기 보정수단에 의해서 보정된 설정온도에 따라서 공조능력을 제어하는 공조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온도검출수단에 의해서 검출하는 주온도와 부온도검출수단에 의해서 검출하는 부실온의 온도차에 따라서 설정온도를 보정함과 동시에, 미리 설정한 정수를 이용하여 온도를 보정할 때의 보정량을 제한하여, 보정한 설정온도와 주실온 또는 부실온에 따라서 공조능력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보정한 설정온도와 어느 한 쪽의 실온을 사용하여 공조능력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공지의 제어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주실온과 부실온중 한 쪽을 설정온도에 가까이 하면서 다른 쪽을 서서히 설정온도에 가까이 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서는, 설정온도를 보정할 때의 보정량을 제한하고 있다. 예컨대, 주실온과 부실온의 온도가 크기 때문에 설정온도의 보정량이 커지면, 한 쪽이 설정온도에 달하고 있지 않을 때에, 다른 쪽이 설정온도를 크게 넘어버리거나, 온도차가 더욱 크게 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것에 대하여, 보정제한수단에 의해 설정온도의 보정량을 제한함으로써, 주실온과 부실온 사이에 큰 온도차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설정온도에 대하여 주실온과 부실온중 한 쪽이 지나치게 높아지거나, 지나치게 낮게 되는 것을 억제해, 효율적인 공조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주온도와 부온도의 온도차에 미리 설정한 정수를 곱하는 것에 의해 설정온도의 보정량을 제한하고 있으므로, 온도차와 보정량의 변화의 비율에는 상관관계가 생겨, 세밀한 조정이 가능하다.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은, 상기 부실온의 변화이력을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기억수단에 의해서 기억한 변화이력에 따라서 상기 부실온을 예측하는 예측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보정수단이 상기 예측수단에 의해서 예측한 부실온과 상기 주온도검출수단에 의해서 검출한 주실온에 따라서 상기 설정온도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부온도검출수단이 검출하는 부실온의 이력을 기억하여, 기억한 이력으로부터 부실온의 변화를 예측하여 설정온도를 보정한다. 일반적으로, 복수의 온도검출수단이 개개로 온도를 검출하는 타이밍은 다른 것이 많다. 타이밍이 다르면, 온도차는 실제의 온도차와 다른 것이 된다. 이 때문에, 기억수단에 기억한 부실온의 이력으로부터 주실온을 검출하였을 때의 부실온을 예측함으로써, 실제의 주실온과 부실온의 차가 크게 다른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설정온도를 적절히 보정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은, 상기 주온도검출수단이 상기 운전조건을 설정하는 리모콘스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리모콘스위치는, 공조되는 실내에 있는 사람이 조작하기 때문에, 리모콘스위치에 설치한 온도검출수단을 주실온으로 함으로써, 쾌적한 공조상태로 체감시킬 수 있어, 효과적인 공조가 가능해진다.
(발명의 실시 형태)
이하에 본 발명의 1 실시의 형태를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을 적용한 공기조화기(이하「에어콘(10)」이라고 한다)의 냉동사이클을 나타내고 있다. 이 에어콘(10)은, 피공조실에 설치되는 실내 유니트(12)와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 유니트(14)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고, 실내 유니트(12)와 실외 유니트(14)는, 냉매를 순환시키는 굵은 관의 냉매배관(16A)과, 가는 관의 냉매배관(16B)으로 접속되어 있다.
실내 유니트(12)에는, 열교환기(18)가 설치되어 있고, 냉매배관(16A, 16B)의 각각의 일단이 이 열교환기(18)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냉매배관(16A)의 타단은, 실외 유니트(14)의 밸브(20A)에 접속되어 있다. 이 밸브(20A)는, 머플러(22A)를 통해 4방향 밸브(24)에 접속되어 있다. 이 4방향 밸브(24)는, 어큐뮬레이터(28)를 통해서 및 머플러(22B)를 통해 콤프레서(26)에 접속되어 있다.
또, 실외 유니트(14)에는, 열교환기(30)가 설치된다. 이 열교환기(30)는, 한 쪽이 4방향 밸브(24)에 접속되고, 다른 쪽이 모세관(32), 스트레이너(34), 모듈레이터(38)를 통해 밸브(20B)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스트레이너(34)와 모듈레이터(38)의 사이에는, 전동팽창밸브(36)가 설치되고, 밸브(20B)에는, 냉매배관(16B)의 타단이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실내 유니트(12)와 실외 유니트(14)의 사이에 냉동사이클을 형성하는 냉매의 밀폐된 순환로가 구성되어 있다.
에어콘(10)은, 콤프레서(26)의 운전에 의해서 이 냉동사이클내를 냉매가 순환됨으로써 냉방 또는 난방운전이 가능해지고 있다.
즉, 냉방 모드에서는, 콤프레서(26)에 의해서 압축된 냉매가 열교환기(30)에 공급됨으로써 액화되고, 이 액화된 냉매가 실내 유니트(12)의 열교환기(18)에서 기화함으로써, 열교환기(18)를 통과하는 공기를 냉각한다. 또한, 난방 모드에서는, 반대로, 콤프레서(26)에 의해서 압축된 냉매가, 실내 유니트(12)의 열교환기(18)에서 응축됨으로써 방열하고, 이 냉매가 방열한 열로 열교환기(18)를 통과하는 공기가 가열된다.
도 1에서는 화살표에 의해서 난방운전시(난방 모드)와 냉방운전시(냉방 모드 또는 드라이 모드)의 냉매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고, 4방향 밸브(24)의 전환에 의해서, 운전 모드가 냉방 모드(드라이 모드를 포함함)와 난방 모드로 전환되고, 전동팽창밸브(36)의 밸브개방도를 제어함으로써, 냉매의 증발온도가 조정된다. 또, 본 발명은, 임의 구성의 공기조화기에 적용할 수 있고, 에어콘(10)은 그 일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유니트(12)는, 흡입구(48)와 분출구(50)가 형성된 케이싱(42)내에 열교환기(18)가 설치된다. 이 케이싱(42)은, 베이스판(40)에 의해서 실내의 벽면 등에 고정된다.
이 케이싱(42)내에는, 열교환기(18)와 흡입구(48)의 사이에 크로스 플로우팬(44)과 필터(46)가 배치되어 있고, 크로스 플로우팬(44)의 작동에 의해서 실내의 공기가 케이싱(42)내에 흡인되고, 필터(46) 및 열교환기(18)를 통과한 후, 분출구(50)로부터 실내로 내뿜어진다. 이 때, 실내에 내뿜어지는 공기가 열교환기(18)를 통과함으로써 열교환기(18)내를 순환되는 냉매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이 행해져, 실내를 공조하는 온도조절된 공기로 된다.
실내 유니트(12)의 분출구(50)에는, 좌우 플랩(52)과 함께 상하 플랩(54)이 설치되어 있고, 좌우 플랩(52)및 상하 플랩(54)에 의해서, 분출구(50)로부터 내뿜어지는 공조풍(온도조절된 공기)의 방향이 바뀌어지도록 되어 있다. 즉, 분출구(50)로부터 실내로 내뿜어지는 공기는, 상하 플랩(54)에 의해서 상하방향에 따라 풍향이 바뀌어진다. 또한, 좌우 플랩(52)은 분출구(50)로부터 내뿜는 공기의 방향을 좌우방향(수평방향)에 따라서 바꾸도록 되어 있다. 에어콘(10)은, 상하 플랩(54)및 좌우 플랩(52)에 의해 분출구(50)로부터 내뿜어지는 공기의 풍향을 임의로 바꿀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유니트(12)에는, 전원기판(56), 컨트롤기판(58) 및 파워 릴레이 기판(60)이 설치된다. 에어콘(10)을 운전하기 위한 전력이 공급되는 전원기판(56)에는, 모터전원(62), 제어회로전원(64), 직렬전원(66) 및 구동회로(68)가 설치된다. 또한, 컨트롤기판(58)에는, 직렬회로(70), 구동회로(72) 및 마이크로컴퓨터(74)가 설치된다.
전원기판(56)의 구동회로(68)에는, 크로스 플로우팬(44)을 구동하는 팬모터(76)(예컨대 DC 브러시레스 모터)가 접속되어 있고, 컨트롤기판(58)에 설치되는 마이크로컴퓨터(74)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모터전원(62)으로부터 구동전력을 공급한다. 이 때, 마이크로컴퓨터(74)는, 구동회로(68)로부터의 출력전압을 12V∼36V의 범위에서 256스텝으로 변화시키도록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서, 실내 유니트(12)의 분출구(50)로부터 내뿜어지는 공조풍의 풍량이 조정된다.
컨트롤기판(58)의 구동회로(72)에는, 파워 릴레이기판(60), 좌우 플랩(52)을 조작하는 좌우 플랩모터(77) 및 상하 플랩(54)을 조작하는 상하 플랩모터(78)가 접속되어 있다. 파워 릴레이기판(60)에는, 파워 릴레이(80)와 온도 퓨즈 등이 설치되어 있고, 마이크로컴퓨터(74)로부터의 신호에 의해서, 파워 릴레이(80)를 조작하여, 실외 유니트(14)에 전력을 공급하기위한 접점(80A)을 개폐한다. 에어콘(10)은, 접점(80A)이 닫혀짐으로써, 실외 유니트(14)로의 전력의 공급이 가능해진다.
좌우 플랩모터(77) 및 상하 플랩모터(78)는, 마이크로컴퓨터(74)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제어되어, 좌우 플랩(52) 및 상하 플랩(54)의 각각을 조작한다. 좌우 플랩(52)이 좌우방향으로 스윙됨으로써, 분출구(50)로부터 내뿜어지는 공기(공조풍)의 분출방향이 좌우방향으로 바뀌어지고, 상하 플랩(54)이 상하방향으로 스윙됨으로써, 실내 유니트(12)의 분출구(50)로부터 내뿜어지는 공기(공조풍)의 분출방향이 상하방향으로 바뀌어진다. 좌우 플랩(52) 및 상하 플랩(54)의 조작은, 분출풍이 임의의 방향으로 향하게 되도록 고정할 수 있고, 또한, 풍향이 임의로 변화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에어콘(10)의 실내 유니트(12)에서는, 크로스 플로우팬(44)의 회전과 좌우 플랩(52) 및 상하 플랩(54)의 조작이 제어됨으로써, 원하는 풍량 및 풍향 또는, 실내를 쾌적히 하기위해서 제어된 풍량 및 풍향으로 공조된 공기를 실내로 내뿜는다.
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플랩(52)은, 실내 유니트(12)의 정면을 중심으로 좌우방향에 각도 θ0(전체로서 각도 2θ0)의 범위로 풍향을 변화시키도록 제어된다. 또, 이 각도 2θ0는, 예컨대, 종래 약 90°의 범위이던 것에 대하여 100°∼ 120°로 넓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컴퓨터(74) 및 전원회로(56)의 직렬전원(66)에 접속되어 있는 직렬회로(70)는, 실외 유니트(14)에 접속되어 있고, 마이크로컴퓨터(74)는, 이 직렬회로(70)를 통해 실외 유니트(14)와의 사이에서 직렬통신을 행하여, 실외 유니트(14)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실내 유니트(12)에는, 리모콘스위치(120)(도 1 참조)로부터의 조작신호를 수신하는 수신회로 및 운전표시용의 표시 LED 등을 구비한 표시기판(82)이 설치되어 있고, 이 표시기판(82)이 마이크로컴퓨터(74)에 접속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기판(82)의 표시부(82A)는, 케이싱(42)의 전면에 배치되어 있고, 이 표시부(82A)에 리모콘스위치(120)로부터 송출되는 조작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리모콘스위치(120)를 표시부(82A)를 향하여 조작함으로써, 리모콘스위치(120)로부터의 조작신호가 마이크로컴퓨터(74)에 입력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컴퓨터(74)에는, 실내온도를 검출하는 실온 센서(84) 및 열교환기(18)의 코일온도를 검출하는 열교환온도 센서(86)가 접속되고, 또, 컨트롤기판(58)에 설치되는 서비스 LED 및 운전전환스위치(88)가 접속되어 있다. 운전전환스위치(88)는, 「통상운전」과 유지보수 등에 행하는 「시험운전」과의 전환 및, 전원스위치(88A)의 접점을 개방하여 에어콘(10)으로의 운전전력의 공급을 차단하는 「정지」로 전환된다. 통상, 이 운전전환스위치(88)는, 「통상운전」으로 설정되어 전원스위치(88A)의 접점이 닫혀지고 있다. 또, 서비스 LED는, 유지보수시에 점등조작함으로써, 서비스 맨에게 자기진단결과를 알리도록 되어 있다.
실내 유니트(12)에는, 실외 유니트(14)와의 사이의 배선이 접속되는 단자대(90)가 설치된다. 이 단자대(90)의 터미널(90A, 90B, 90C)에는, 실내 유니트(12)로부터 실외 유니트(14)로 공급하는 전원용의 배선과, 실내 유니트(12)와 실외 유니트(14) 사이에서 직렬통신을 행하기 위한 배선이 접속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 유니트(14)에는, 단자대(92)가 설치되어 있고, 이 단자대(92)의 터미널(92A, 92B, 92C)이 각각 실내 유니트(12)의 단자대(90)의 터미널(90A, 90B, 90C)에 접속된다.
이 실외 유니트(14)에는, 정류기판(94), 컨트롤기판(96)이 설치된다. 컨트롤기판(96)에는, 마이크로컴퓨터(98), 노이즈 필터(100A, 100B, 100C), 직렬회로(102) 및 스위칭전원(104) 등이 설치된다.
정류기판(94)에는, 노이즈 필터(100A)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배전압정류하고, 노이즈 필터(100B, 100C)를 통해 평활화한 직류전력을 스위칭전원(104)에 출력한다. 스위칭전원(104)은, 마이크로컴퓨터(98)와 함께 인버터회로(106)에 접속되어 있고, 이 인버터회로(106)가 콤프레서모터(108)에 접속되어 있다. 인버터회로(106)는, 마이크로컴퓨터(98)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른 주파수의 전력을 콤프레서모터(108)에 출력하여, 콤프레서(26)를 회전구동한다.
또, 마이크로컴퓨터(98)는, 인버터회로(106)로부터 출력되는 전력의 주파수가, 오프 또는 14Hz 이상(상한은 운전전류의 상한에 따름)의 범위가 되도록 제어하고 있어, 이것에 의해서, 콤프레서모터(108), 즉 콤프레서(26)의 회전수가 바뀌어지고, 콤프레서(26)의 운전능력(에어콘(10)의 냉난방능력)이 제어된다.
이 컨트롤기판(96)에는, 4방향 밸브(24) 및 열교환기(30)를 냉각하기 위한 송풍팬(도시생략)을 구동하는 팬모터(110), 팬모터컨덴서(110A)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실외 유니트(14)에는, 외기온도를 검출하는 외기온도 센서(112), 열교환기(30)의 냉매코일의 온도를 검출하는 코일온도 센서(114) 및 콤프레서(26)의 온도를 검출하는 콤프레서온도 센서(116)가 설치되어 있고, 이것들이 마이크로컴퓨터(98)에 접속되어 있다.
마이크로컴퓨터(98)는, 운전 모드에 따라서 4방향 밸브(24)를 전환함과 동시에, 실내 유니트(12)로부터의 제어신호, 외기온도 센서(112), 코일온도 센서(114) 및 콤프레서온도 센서(116)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팬모터(110)의 온/오프 및 콤프레서모터(108)의 운전주파수(콤프레서(26)의 능력) 등을 제어하도록 되어있다.
또한, 컨트롤기판(96)에는, 전동팽창밸브(36)를 개폐구동하는 모터(118)가 접속되어 있다. 마이크로컴퓨터(98)는, 모터(118)에 의해서 전동팽창밸브(36)의 개방도를 제어한다.
도 6a 및 도 6b에는, 에어콘(10)의 운전조작을 행하기 위한 리모콘스위치(120)(이하「메인 리모콘」이라고 한다)가 표시되고 있다. 메인 리모콘(120)에는, 표시부(122)가 설치되어 있다. 이 표시부(122)에는, 운전 모드, 설정온도, 실내온도(실온), 시간에 더하여 풍향, 풍량 등의 에어콘(10)을 운전할 때의 운전조건이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메인 리모콘(120)에는, 운전/정지버튼(124), 온도설정버튼(126A, 126B)과 함께, 체감버튼(128) 및 풍향버튼(130)이 설치된다. 에어콘(10)은, 운전/정지버튼(124)의 조작에 의해서 운전/정지된다. 또한, 온도설정버튼(126A, 126B)에 의해서 표시부(122)에 표시되는 설정온도(공조할 때의 목표온도)가 바뀌어지도록 되어 있다.
메인 리모콘(120)에는, 내부에 온도 센서(도시생략)가 설치되어 있고, 이 메인 리모콘(120)에 의해서 메인 리모콘(120) 주위의 실온을 측정하여 실내 유니트(12)에 송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후술하는 서브 리모콘(140)에도 온도 센서가 설치되어 있고, 서브 리모콘(140) 주위의 실온을 측정하여 실내 유니트(12)에 송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실내 유니트(12)의 마이크로컴퓨터(74)는, 실내 유니트(12)에 설치하고 있는 실온 센서(84), 메인 리모콘(120) 및 서브 리모콘(140)에 의해서 실내의 온도를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체감버튼(128)은, 실온을 측정하는 온도 센서의 전환용으로 되어 있고, 이 체감버튼(128)을 조작함으로써, 실내 유니트(12)의 실온 센서(84)를 사용하여 실온을 측정하는 통상모드와, 이 실온 센서(84)에 더하여 메인 리모콘(120)(통상 체감 모드) 또는 메인 리모콘(120)과 서브 리모콘(140)(멀티체감 모드)를 사용하여 실온을 측정하는 체감 모드로 전환된다.
또한, 풍향버튼(130)의 조작에 의해서, 좌우 플랩(52)이 미리 설정된 범위내에서 자동적으로 스윙되는 자동 모드가 선택된다. 또한, 이 풍향버튼(130)에 의해서, 좌우 플랩(52)을 임의의 방향을 향하여 고정할 수 있다(비자동 모드).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비자동 모드에서 좌우 플랩(52)을 임의의 방향을 향해서 고정하도록 설명하지만, 스윙범위를 임의로 선택하여 선택한 스윙범위내에서 스윙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메인 리모콘(120)에는, 슬라이드커버(130)가 설치되어 있고, 이 슬라이드커버(134)의 슬라이드조작에 의해서, 여러가지 조작버튼을 가지는 조작패널(132)이 노출되도록 되어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커버(134)내에 은폐되어 있는 조작패널(132)의 운전전환버튼(136)에 의해서, 에어콘(10)의 운전 모드가 자동, 난방, 드라이, 냉방, 공기청정, 건조로 차례로 전환된다. 또한, 조작패널(132)내의 스위치조작에 의해, 분출구(50)로부터 내뿜는 풍량, 풍향(상하방향)의 전환이 가능하고, 또한, 하이파워 및 능력세이브 등의 공조능력의 선택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조작패널(132)상의 스위치조작에 의해서 운전개시시간, 운전정지시간 등의 타이머설정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메인 리모콘(120)은, 각 조작버튼이 조작될 때마다, 조작내용에 따른 조작신호를 실내 유니트(12)의 표시부(82A)를 향하여 송출함과 동시에, 온도 센서에 의해서 검출한 실내온도를 송출한다. 또한, 메인 리모콘(120)은, 이 실온을, 조작버튼의 조작에 구속되지 않고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송출하도록 되어있다.
에어콘(10)은, 메인 리모콘(120)에 의해서 검출되어 보내지는 실내온도에 따라서 공조운전을 행할 수 있다. 즉, 메인 리모콘(120)은, 에어콘(10)에 의해서 공조되는 실내의 메인 에리어로 조작됨으로써, 이 메인 에리어의 공조상태(주로 온도)를 검출할 수 있고, 메인 리모콘(120)에 의해서 검출한 온도가 설정온도가 되도록 공조운전이 행해진다.
그런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콘(10)의 표시부(82A)는, 메인 리모콘(120)과는 별도로 설치되는 리모콘 센서스위치(이하「서브 리모콘(140)」이라고 한다)로부터의 신호도 합쳐서 수신하도록 되어 있다.
도 7, 도 8a 및 도 8b에는, 서브 리모콘(140)의 개략이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리모콘(140)은, 서브 리모콘(140) 주위의 온도를 검출하고, 검출한 온도에 따른 신호(예컨대 전압)를 출력하는 온도검출부(142)와 함께, 사람 검지부(144) 및 위치설정스위치(146)를 구비하고 있고, 각각이 변환부(148)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 변환부(148)는, 통신부(150)에 접속되어 있다.
사람 검지부(144)에는, 프레이넬렌즈에 의해서 집광한 원적외선을 검출하는 초전소자를 구비한 사람 검지 센서(152)가 설치된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사람 검지 센서(152)는, 서브 리모콘(140)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반구형상의 돔커버(154)내에 배치되어 있고, 돔커버(154)를 투과한 주위의 원적외선을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사람 검지 센서(152)는, 검지회로(156)에 접속되어 있다. 사람 검지부(144)는, 검지회로(156)가 사람 검지 센서(152)에 의해서 검출한 원적외선의 변화의 유무로부터 서브 리모콘(140) 주위의 사람의 유무를 검출하는 일반적인 사람 검지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검지회로(156)에는, 감도조정기(158)가 접속되어 있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리모콘(140)에는, 감도조정기(158)의 조정손잡이(158A)가 설치되어 있고, 이 조정손잡이(158A)에 의해서 사람감지 센서(152)의 감도, 즉, 검출거리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리모콘(140)의 슬라이드커버(140A)를 아래 쪽으로 슬라이드조작함으로써, 위치설정스위치(146)가 개방된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설정스위치(146)는, 서브 리모콘(140)에 대한 실내 유니트(12)의 위치에 따라서, 조작 노브(146A)를「우」,「중」및「좌」의 3단계의 표시위치로 슬라이드조작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한 조정손잡이(158A)도, 통상, 슬라이드커버(140A)에 의해서 숨겨져 있다.
변환부(148)는, 온도검출부(142), 사람 검지부(144) 및 위치설정스위치(146)로부터의 입력신호를, 각각의 신호에 미리 설정된 코드에 따라서 변환하여, 통신부(150)에 출력한다.
통신부(150)는, 변환부(148)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실내 유니트(12)를 향하여 송출한다. 또한, 도 8a 및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 리모콘(140)에는, 서브 리모콘(140)을 온/오프하는 전원스위치(160)가 설치된다. 통신부(150)는, 전원스위치(160)가 온조작됨으로써, 온신호를 송출함과 동시에, 온도검출부(142), 사람 검지부(144) 및 위치설정스위치(146)로부터의 입력에 따라서 신호의 송출을 행한다.
서브 리모콘(140)은, 전원스위치(160)가 온조작됨으로써, 온도검출부(142)에 의한 실온의 측정 및사람 검지부(144)에 의한 사람의 유무 검출을 행하여, 사람 검지부(144)로 사람을 검지하고 있는 사이는,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측정한 실온과 함께 위치설치스위치(146)에 의해서 설정되어 있는 위치신호를 송출한다.
한편, 실내 유니트(12)의 마이크로컴퓨터(74)는, 서브 리모콘(140)으로부터 위치설정신호에 의해 서브 리모콘(140)의 위치를 판정하고, 이 위치로 분출구(50)로부터의 공조풍이 분출되도록 좌우 플랩(52)을 스윙시킨다. 또한, 실내 유니트(12)의 마이크로컴퓨터(74)는, 서브 리모콘(140)으로부터 사람을 검지한 것을 나타내는 신호가 정지되면, 이 좌우 플랩(52)의 스윙을 정지하고, 다시, 사람을 검출한 신호가 입력됨으로써 좌우 플랩(52)의 스윙을 재개한다. 이 때, 마이크로컴퓨터(74)는, 메인 리모콘(120)의 체감버튼(128)이 조작되어 체감 모드일 때에는, 서브 리모콘(140)으로부터 송출되는 실온을 이용하여 공조풍의 온도 및 풍량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콘(10)의 실내 유니트(12)는, 통상, 공조되는 피공조실(162)내의 메인 에리어(162A)를 향하여 공조풍을 내뿜도록 설치된다. 즉, 실내 유니트(12)는, 정면이 피공조실내의 메인 에리어를 향해지게 설치되고, 통상, 이 메인 에리어가 쾌적한 공조상태가 되도록 운전된다.
서브 리모콘(140)은, 피공조실(162)내에서 메인 에리어(162A)와 다른 위치에서 공조를 행하고 싶은 에리어 (이하「서브 에리어(162B)」라고 한다)에 설치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콘(10)은, 좌우 플랩(52)에 의해서 내뿜어지는 공조풍의 방향이, 통상, 실내 유니트(12)의 정면이 이니셜위치(이하 이니셜위치 C」라고 한다)로 되어 있고, 좌우 플랩(52)은, 이 이니셜위치(C)를 중심으로 각도 θ0의 범위에서 좌우로 스윙된다(예컨대 좌우에 50°의 범위에서 스윙). 또한, 서브 리모콘(140)의 위치설정스위치(146)가, 「중」으로 설치되어 있을 때에는, 이 이니셜위치(C)를 중심으로 마찬가지로 좌우 플랩(52)이 스윙된다.
한편, 서브 리모콘(140)의 위치설정스위치(146)가「좌」 또는「우」로 설정되면, 실내 유니트(12)의 이니셜위치(R, L)가 각각 각도(θR, θL)로 변경되고, 각각 좌우로 각도 θ1(예컨대 약 30°)의 범위에서 스윙된다. 즉, 좌우 플랩(52)의 스윙이 서브 리모콘(140)의 위치설정스위치(146)에 의해서, 오른쪽 또는 좌측으로 기울도록 되어 있다.
또, 서브 리모콘(140)으로부터의 신호에 의해서 좌우 플랩(52)을 스윙시킬 때에는, 분출구(50)로부터 내뿜어지는 풍량을 증가시키는 등으로 하여, 서브 리모콘(140)이 나타내는 서브 에리어(162B)로 공조풍이 확실하게 도달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실내 유니트(12)에 설치하고 있는 마이크로컴퓨터(74)는, 메인 리모콘(120)의 체감버튼(128)이 조작되면, 메인 리모콘(120)에 의해서 검출하는 실온 및 서브 리모콘(140)에 의해서 검출하는 실온과 설정온도에 따라서 공조능력을 제어하여, 피공조실(162) 내의 공조를 행한다. 이 때, 서브 리모콘(140)에 의해서 검출하여 보내진 실온을 도시하지않은 메모리에 기억하고, 메인 리모콘(120)에 의해서 검출한 실온을 판독입력할 때마다, 서브 리모콘(140) 주위의 실온을 예측하여, 메인 리모콘(120)에 의해서 검출한 실온과의 차이로부터 설정온도를 보정한다.
이 때, 설정온도의 보정량이 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설정온도의 보정량이 소정치(예컨대 수℃,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1℃) 이내로 제한하고 있다.
마이크로컴퓨터(74)는, 보정한 설정온도와 메인 리모콘(120)에 의해서 검출하는 실온에 따라서 공조능력을 제어함으로써, 메인 에리어(162A)와 서브 에리어(162B)의 체감온도(실온)가 대략 같게 되도록 공조능력을 제어하도록 되어있다.
이하에 본 실시 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에어콘(10)에서는, 메인 리모콘(120)의 스위치조작에 의해서 냉방운전, 드라이운전 및 난방운전 등 어느 하나에 설정된 상태로 운전/정지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면, 설정된 운전 모드에 의한 운전을 개시한다.
에어콘(10)은 운전조작이 이루어져 공조운전을 개시하면, 설정온도와 실내온도를 측정하고, 이 측정결과에 따라서, 콤프레서(26)의 운전주파수, 풍량(크로스 플로우팬의 회전수) 등을 설정하고, 이 설정결과에 따라서 공조운전을 행한다.
또한, 실외 유니트(14)에서는, 설정된 운전 모드에 따라서 4방향 밸브(24)를 전환한다. 예컨대, 냉방 내지 드라이 모드로 설정되면, 콤프레서(26)에 의해서 압축된 냉매가, 실외 유니트(14)의 열교환기(30)에 공급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콤프레서(26)에 의해서 압축된 냉매는, 열교환기(30)를 통과함으로써 액화되고, 이 액화된 냉매가 실내 유니트(12)의 열교환기(18)에 공급된다. 실내 유니트(12)의 열교환기(18)에 공급된 냉매는, 열교환기(18)를 통과할 때에 기화하여, 열교환기(18)를 통과하는 공기를 냉각한다.
한편, 난방운전시에는, 콤프레서(26)에 의해서 압축한 고압의 냉매가 실내 유니트(12)의 열교환기(18)에 공급되도록 4방향 밸브(24)를 전환한다. 이에 따라, 콤프레서(26)로 압축된 고압의 냉매가, 열교환기(18)에서 액화될 때에, 열교환기(18)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한다. 이 열교환기(18)로 가열된 공기가 분출구(50)로부터 실내로 내뿜어짐으로써 실내로 난방된다.
그런데, 에어콘(10)에서는, 통상, 실내온도를 실내 유니트(12)의 실온 센서(84)에 의해서 측정하고 있지만, 메인 리모콘(120)의 체감버튼(128)이 조작되면, 실온 센서(84)로 측정한 실온에 더하여 메인 리모콘(120)에 의해서 측정한 실온을 이용한 체감 모드에서의 운전을 행한다. 이 때, 서브 리모콘(140)이 온되어, 서브 리모콘(140)의 온도검출부(142)로 측정한 실온을 수신하고 있을 때에는, 실온 센서(84), 메인 리모콘(120) 및 서브 리모콘(140)의 각각에서 검출한 실온에 따라서 공조운전을 행하는 멀티체감 모드에서의 운전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 체감 모드는, 냉방, 난방, 드라이 등의 풍향 및 풍량이 자동으로 설정된 자동운전시에 실행가능해진다.
도 11에는, 서브 리모콘(140)의 동작의 개략을 나타내고 있다. 이 서브 리모콘(140)에서는, 전원스위치(160)가 온조작됨으로써, 온도검출부(142)에 의해서 서브 리모콘(140) 주위의 실온의 계측을 개시함과 동시에, 사람검지 센서(152)에 의해서 사람의 유무 검출을 행한다.
사람의 유무 검출은, 사람 검지 센서(152)가 소정시간 이상(예컨대 15분) 온하지 않으면 무인으로 설정되어, 단속적이더라도 소정시간 이내에 사람 검지 센서(152)가 사람을 검출하기를 계속하면, 유인(사람이 있는 것)으로 설정된다.
한편, 도 11의 플로우 챠트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리모콘(140)은, 전원스위치(160)가 온조작됨으로써 최초의 스텝(200)에서 위치설정스위치(146)의 설정상태와 함께, 온도검출부(142)로 측정한 실온을 송출한다. 이것과 함께, 다음 스텝(202)에서는,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인터벌을 계측하는 타이머를 리셋/스타트시킨다.
다음 스텝(204)에서는, 타이머에 의해서 계측하고 있는 시간이 소정시간에 달했는지 아닌지를 확인하여, 소정시간에 달하였을 때(스텝(204)에서 긍정판정)에는, 스텝(206)으로 이행하여, 사람 검지부(144)가 유인으로 판정(유인으로 설정)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확인한다.
여기서, 유인판정되어 있을 때에는, 스텝(206)에서 긍정판정되어 스텝(200)으로 이행한다. 이것에 의해서, 소정의 인터벌(예컨대 시간(t2)이 약 10분)마다, 서브 리모콘(140)으로부터 서브 리모콘(140)의 주위의 실온이 송출된다.
또한, 무인으로 설정되어 있을 때(스텝(206)에서 부정판정)에는, 사람 검지부(144)가 서브 리모콘(140) 주위의 사람을 검지할 때까지는, 대기상태가 되고, 사람을 검지함으로써 스텝(200)에서 긍정판정되고, 이 플로우 챠트의 실행이 재개된다.
한편, 에어콘(10)은, 메인 리모콘(120)으로부터 체감모드로 이행하는 신호가 입력됨으로써, 메인 리모콘(120)과 서브 리모콘(140)에 의해서 검출한 실온을 이용한 체감 모드(멀티체감 모드)가 실행된다. 이 때, 메인 리모콘(120)에 의해서 검출한 실온과 서브 리모콘(140)에 의해서 검출한 실온에 따라서, 설정온도를 보정하고, 보정한 설정온도에 따라서 피공조실(162)내의 공조를 행한다. 또한, 서브 리모콘(140)으로부터 위치설정신호(위치설정스위치(146)의 조작상태에 따른 신호)가 입력됨으로써, 실내 유니트(12)는, 좌우 플랩(52)의 이니셜위치를 설정하고, 이 이니셜위치에 따른 스윙을 행한다. 또, 체감 모드가 종료하였을 때, 또는, 서브 리모콘(140)의 동작이 정지하였을 때(온도신호의 송출을 정지하였을 때 등)에는, 좌우 플랩(52)의 이니셜위치가 복귀되어, 메인 에리어(162A)의 공조가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메인 리모콘(120)은, 서브 리모콘(140)과 인터벌로 검출한 실온을 송출하게 되어 있고, 실내 유니트(12)의 마이크로컴퓨터(74)는, 서브 리모콘(140)으로부터 송출된 실온을 차례로 기억하고, 메인 리모콘(120)으로부터 송출되어 실온(Trtp)을 판독입력할 때마다, 기억하고 있는 실온으로부터 현재의 실온(Trts)을 예측하고 있다.
또한, 서브 리모콘(140)이 실온을 송출하는 인터벌은, 시간(t2)(예컨대 약 10분 약)이고, 메인 리모콘(120)이 실온을 송출하는 인터벌은, 시간(t1)(예컨대, 약 5분 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서브 리모콘(140)으로부터의 실온의 송출이 정지함으로써 설정온도의 보정이 종료하도록 되어있다. 이 때는, 좌우 플랩(52)의 이니셜위치가 복귀되어, 메인 에리어(162A)를 향하여 공조풍이 내뿜어진다.
도 12에는, 메인 리모콘(120)과 서브 리모콘(140)에 의해서 검출한 실온에 근거하는 설정온도의 보정의 개략을 나타내고 있다. 이 플로우 챠트는 체감 모드로 설정되어, 메인 리모콘(120)과 서브 리모콘(140)으로부터의 실온이 송출됨으로써 실행된다.
도 12의 플로우 챠트의 최초의 스텝(210)에서는, 메인 리모콘(120)으로부터 송출된 실온신호를 수신했는지 아닌지의 확인을 행하고, 메인 리모콘(120)에서 송출된 실온신호를 수신하면(스텝(210)에서 긍정판정), 스텝(212)으로 이행하여, 수신한 실온신호로부터 실온(Trtp)을 판독입력한다.
이것과 함께, 스텝(214)에서는, 서브 리모콘(140)에 의해서 검출하는 실온을 예측하고 있다.
도 13에는, 서브 리모콘(140)에 의해서 검출하는 실온의 예측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서브 리모콘(140)으로부터 실온신호가 송출될 때마다, 서브 리모콘(140)으로부터 송출된 실온(Trts)을 판독하여, 최신의 2회 분의 실온(Trts1, Trts1)을 기억하여, 최후에 실온을 판독입력하였을 때의 경과시간으로부터 현재의 실온(Trtt)을 예측하고 있다.
이 플로우 챠트에서는, 최초의 스텝(220)에서, 서브 리모콘(140)으로부터 송출된 실온신호를 수신했는지 아닌지를 확인하고, 긍정판정됐을 때에는, 스텝(222)으로 이행하여 송출된 실온(Trts)을 판독입력한다. 이 다음, 실온(Trts1, Trts2)을 각각 갱신하여, 최신의 2개의 실온을 기억한다(스텝224).
다음에 스텝(226)에서는 타이머를 리셋/스타트시켜 경과시간의 계측을 개시함과 동시에, 스텝(228)에서는, 서브 리모콘(140)에 의해서 검출한 실온의 판독요구가 이루어졌는지 아닌지를 확인한다.
여기서, 서브 리모콘(140)에 의해서 계측한 실온이 요구되었을 때(스텝(228)에서 긍정판정)에는, 스텝(230)으로 이행하여 현재의 실온(Trtt)을 예측한다. 이 실온의 예측은, 타이머에 의해서 계측하고 있는 경과시간(t0)을 판독입력하고, 다음에, 판독입력한 경과시간(t0)과 기억하고 있는 실온(Trts1, Trts2) 및 서브 리모콘(140)이 실온을 측정하는 인터벌(시간t2)을 이용하여 행한다(다음식 참조).
Trtt = Trts1+(Trts1-Trts2)×t0/t2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서브 리모콘(140)에 의해서 검출하는 실온(Trts)의 변화의 기울기로부터 실온(Trtt)을 예측하였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퍼지연산에 의해서 실온(Trtt)을 예측하는 등, 임의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2에 표시되는 플로우 챠트에서는, 스텝(214)에서 예측된 실온(Trtt)을 판독입력하면, 스텝(216)으로 이행하여 설정온도의 보정을 행한다. 설정온도의 보정은, 메인 리모콘(120)에 의해서 검출한 실온(Trtp)의 차이를 연산하고, 설정온도(TSET)의 보정량(△TSET)을 산출한다. 이 때, 미리 설정한 정수(α)를 걸어 맞춤으로써, 보정량(△TSET)가 소정치를 넘지 않도록 하여, 보정한 설정온도(Ts)를 구한다(다음식 참조).
△TSET = (Trtp-Trtt)×α (-1℃≤△TSET≤1℃)
Ts = TSET+△TSET
마이크로컴퓨터(74)는, 이와 같이 하여 설정온도(Ts)를 보정하면, 보정한 설정온도(Ts)에 따라서 공조운전을 행한다(스텝218). 또, 설정온도에 따른 공조운전은, 종래 공지의 여러가지 방법을 적용할 수 있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 설정온도에 따른 공조제어로서는, 퍼지제어를 사용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고, 보다 효율적으로 공조를 행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여 설정온도(TSET)를 보정함으로써,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리모콘(120)에 의해서 검출하는 실온(Trtp)이 서서히 설정온도(TSET)에 근접함과 동시에, 서브 리모콘(140)에 의해서 검출하는 실온(Trts)도 서서히 설정온도(TSET)에 근접하고, 피공조실(162)내, 특히 메인 에리어(162A)와 서브 에리어(162B)가 쾌적한 체감온도의 공조상태가 된다. 또, 실온(Trtp)과 설정온도(TSET)의 편차가 소정 온도이내 (예컨대 1℃)로 됐을 때에는, 설정온도(TSET)의 보정을 종료한다.
한편, 서브 리모콘(140)는, 일정한 인터벌로 사람 검지 센서(152)가 서브 에리어(162B)내의 사람의 유무를 검출하고 있고, 에어콘(10)은, 서브 리모콘(140)이 사람을 검출하지 않게 되면, 서브 리모콘(140)에 의해서 검출하는 실온(Trts)을 사용한 설정온도(TSET)의 보정을 종료하기 때문에, 사람이 없는 서브 에리어(162B)를 불필요하게 공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에어콘(10)을 사용하여 피공조실(162)내를 공조함으로써, 원하는 영역만이 쾌적해지도록 효율적으로 공조할 수 있기 때문에, 에어콘(10)에 의해서 피공조실(162)내를 공조할 때의 에너지 절약을 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1대의 실내 유니트(12)에 대하여 1대씩의 메인 리모콘(120)과 서브 리모콘(140)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지만, 서브 리모콘(140)은, 복수대 설치하더라도 좋다. 이에 따라, 넓은 실내를 다수의 에리어로 분할하여, 각각의 특정한 에리어만을 효율적으로 공조할 수 있다.
또, 이상 설명한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구성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실내 유니트가 설치되는 피공조실을 공조하는 임의의 구성의 공기조화기에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주실온과 부실온의 온도차에 따라서 보정한 설정온도에 따라서 공조를 행하기 때문에, 주실온과 부실온의 각각을 설정온도에 가깝게 하기 위한 제어가 용이해진다. 또한, 주온도검출수단과 부온도검출수단에 의해서 실온을 검출하는 영역을 효과적으로 공조할 수 있어, 공조시의 에너지 절약을 꾀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적용한 실내 유니트와 리모콘스위치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적용한 에어콘의 냉동사이클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실내 유니트의 내부를 도시하는 개략단면도이다.
도 4는 실내 유니트내의 기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블럭도이다.
도 5는 실외 유니트의 기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럭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각각 메인 리모콘을 나타내는 개략평면도이고, 도 6a는 슬라이드커버를 연 상태를 나타내고, 도 6b는 슬라이드커버를 닫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서브 리모콘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각각 본 발명에 관한 서브 리모콘을 나타내는 개략평면도이고, 도 8a는 슬라이드커버를 연 상태를 나타내고, 도 8b는 슬라이드커버를 닫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9는 서브 리모콘에 의해서 지정된 위치에 대한 실내 유니트의 좌우 플랩의 스윙영역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0은 실내 유니트로부터 공조풍을 내뿜는 영역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메인 에리어와 서브 에리어의 쌍방을 공조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은 서브 리모콘의 작동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12는 설정온도의 보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13은 서브 리모콘에 의해서 검출하는 실온의 예측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14는 난방시의 메인 리모콘에 의해서 검출하는 실온과 서브 리모콘에 의해서 검출하는 실온의 시간에 대한 변화의 개략을 나타내는 선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에어콘(공기조화기) 12 : 실내 유니트
14 : 실외 유니트 18 : 열교환기
26 : 콤프레서 50 : 분출구
52 : 좌우 플랩
74 : 마이크로컴퓨터(공조제어수단, 보정수단, 보정제한수단, 예측수단, 기억수단)
77 : 좌우 플랩모터 82 : 표시기판
84 : 실온 센서(내부온도검출수단) 120 : 메인 리모콘(주온도검출수단)
128 : 체감버튼 140 : 서브 리모콘(부온도검출수단)
142 : 온도검출부(부온도검출수단) 144 : 사람 검지부(사람 검지수단)
146 : 위치설정 스위치 150 : 통신부
152 : 사람 검지 센서 160 : 전원스위치
162 : 피공조실 162A : 메인 에리어
162B : 서브 에리어

Claims (3)

  1. 실내 유니트가 설치되어 있는 피공조실내를 설정온도를 포함하는 운전조건과 실온에 따라서 공조하는 공기조화기로서, 상기 공조실내에 설치되는 주온도검출수단과, 상기 공조실내에 설치되는 부온도검출수단과, 상기 주온도검출수단에 의해서 검출한 주실온과 상기 부온도 센서에 의해서 검출한 부실온의 온도차에 따라서 상기 설정온도를 보정하는 보정수단과, 상기 온도차에 미리 설정한 정수를 곱하는 것에 의해 상기 보정수단에 의한 상기 설정온도의 보정량을 소정범위로 제한하는 보정제한수단과, 상기 보정수단에 의해서 보정된 설정온도에 따라서 공조능력을 제어하는 공조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실온의 변화이력을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기억수단에 의해서 기억한 변화이력에 따라서 상기 부실온을 예측하는 예측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보정수단이 상기 예측수단에 의해서 예측한 부실온과 상기 주온도검출수단에 의해서 검출한 주실온에 따라서 상기 설정온도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온도검출수단이 상기 운전조건을 설정하는 리모콘스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19980036064A 1997-09-03 1998-09-02 공기조화기 KR1005365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238681 1997-09-03
JP23868197A JP3443291B2 (ja) 1997-09-03 1997-09-03 空気調和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452A KR19990029452A (ko) 1999-04-26
KR100536525B1 true KR100536525B1 (ko) 2006-02-28

Family

ID=17033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6064A KR100536525B1 (ko) 1997-09-03 1998-09-02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443291B2 (ko)
KR (1) KR100536525B1 (ko)
CN (1) CN1121587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5918B1 (ko) * 2000-06-07 2003-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6071156A (ja) * 2004-09-01 2006-03-16 Kajima Corp 居住環境制御システム
CN100374788C (zh) * 2005-09-06 2008-03-12 大同股份有限公司 空调机温度控制装置
JP5125553B2 (ja) * 2008-02-01 2013-01-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2015055424A (ja) * 2013-09-12 2015-03-2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N104566843A (zh) * 2013-10-18 2015-04-29 宁夏先锋软件有限公司 一种空调温度智能控制装置
CN104879876B (zh) * 2014-02-27 2017-12-22 海尔集团公司 一种空调控制方法及空调
CN105202700B (zh) * 2015-09-30 2018-08-14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空调检测室温的方法及空调器
CN107631424B (zh) * 2017-08-18 2019-12-31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自动调温空调器控制方法及空调器
CN108344103B (zh) * 2017-12-25 2020-02-04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空调器配置方法和空调器
CN110410994A (zh) * 2019-07-01 2019-11-05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温度反馈方法、装置、温度控制系统及可读存储介质
CN110701737B (zh) * 2019-10-16 2020-11-2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温度补偿设置方法、计算机装置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895583A (zh) * 2020-08-14 2020-11-0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的控制方法及装置、空调器
EP4227592A4 (en) * 2020-10-07 2023-11-2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IR CONDITIONING DEVICE AND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7372A (ja) * 1991-09-30 1993-04-06 Toshiba Corp 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JPH05118614A (ja) * 1991-10-25 1993-05-14 Mitsubishi Heavy Ind Ltd 空気調和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7372A (ja) * 1991-09-30 1993-04-06 Toshiba Corp 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JPH05118614A (ja) * 1991-10-25 1993-05-14 Mitsubishi Heavy Ind Ltd 空気調和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452A (ko) 1999-04-26
JPH1183113A (ja) 1999-03-26
CN1210232A (zh) 1999-03-10
CN1121587C (zh) 2003-09-17
JP3443291B2 (ja) 2003-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48471B2 (ja) 人検知の判定方法及び空気調和機
KR100536525B1 (ko) 공기조화기
KR0145020B1 (ko) 온도변화에 따라 제어되는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제어방법
CN107305035B (zh) 空调机
KR100443479B1 (ko) 공기조화기
US6079219A (en) Air conditioner
KR100504588B1 (ko) 공기조화기
GB2527193A (en)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ing apparatus
JP2000097473A (ja) 空気調和機
KR100536526B1 (ko) 공기조화기
JP4130047B2 (ja) 空気調和機
KR100504587B1 (ko) 공기조화기
JP3448473B2 (ja) 空気調和機
JP3080179B2 (ja) 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JP3738091B2 (ja) 空気調和機
JP2000304329A (ja) 空気調和機
JPH05296548A (ja) 空気調和装置
JP2000205626A (ja) 空気調和機
JP3416471B2 (ja) 空気調和機
JPH09152180A (ja) 空気調和機の空気調和方法
JPH08166155A (ja) 空気調和機
JPH11173634A (ja) 空気調和装置
JPH08233345A (ja) 空気調和機のファン制御装置
JP2000240999A (ja) 空気調和機
JPH0828939A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