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8967B1 - 선박 및 그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선박 및 그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8967B1
KR100498967B1 KR10-2003-0003866A KR20030003866A KR100498967B1 KR 100498967 B1 KR100498967 B1 KR 100498967B1 KR 20030003866 A KR20030003866 A KR 20030003866A KR 100498967 B1 KR100498967 B1 KR 100498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pod
propeller
key
ship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3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3214A (ko
Inventor
사까모또도시노부
이시까와사또루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63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3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8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89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3/00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42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propulsive elements; 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propellers used therefor only; 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rudders carrying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02Initiating means for steering, for slowing 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or for dynamic anchoring
    • B63H25/04Initiating means for steering, for slowing 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or for dynamic anchoring automatic, e.g. reacting to comp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125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movably mounted with respect to hull, e.g. adjustable in direction, e.g. podded azimuthing thru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125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movably mounted with respect to hull, e.g. adjustable in direction, e.g. podded azimuthing thrusters
    • B63H2005/1254Podded azimuthing thrusters, i.e. podded thruster units arranged inboard for rotation about vertic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Feedback Control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 프로펠러와는 별도로 설치한 POD 추진기의 지지 기구나 선회 기구 등을 간략화할 수 있는 동시에,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는 선박 및 그 운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정전 및 역전 혹은 피치각을 변경함으로써 선체를 전진 및 후진시킬 수 있는 메인 프로펠러(2)와, 상기 메인 프로펠러(2)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기관과, 상기 선체의 침로 방향을 변경시키기 위한 키(3)와, 적어도 하나의 POD 추진기(10A, 10B)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박 및 그 운용 방법 {SHIP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메인 프로펠러에다가 POD 추진기를 구비하고 있는 선박 및 그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선박의 추진 장치에 있어서는 메인 프로펠러에서 발생하는 추진력이 부족한 경우에 가세하여 추진력을 가산할 목적으로, 메인 프로펠러의 후방 혹은 전방에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POD 추진기를 병설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도9에 도시한 종래의 기술(도9의 것은 일본 특허 출원 2001-199418호에 기재된 기술임)에 있어서, 도면 중 부호 1은 선박의 선체 후방부, 부호 2는 선박을 주행시키는 주된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메인 프로펠러, 부호 10은 POD 추진기이다. 또, 메인 프로펠러(2)는 디젤 엔진 등 도시하지 않은 구동 기관(일반적으로 메인 엔진이라 함)으로부터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도9에 도시한 것은, 당소로부터 이미 출원되어 있는 것이므로(출원인 : 미쯔비시 쥬고교), 종래 기술로서도 문제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여기서 사용하는 POD 추진기(10)는 케이싱(11), POD 프로펠러(12), 스트럿(13) 및 지지 기둥(14)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케이싱(11)은 대략 원통형으로 한 후방부(도5 참조) 또는 전방부(도6 참조), 혹은 전후부의 양 쪽(도시하지 않음)에 POD 프로펠러(12)를 구비하고 있다. POD 프로펠러(12)는 회전함으로써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갖고, 상기 POD 프로펠러(12)를 구동시키는 전동기(도시 생략)는 케이싱(1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케이싱(11)의 상부에는 날개형 단면의 스트럿(13)이 설치되어 있다. 스트럿(13)의 상단부에는 POD 추진기(10) 전체의 회전축이 되는 지지 기둥(14)이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 기둥(14)은 선체측에 설치한 도시하지 않은 구동 기구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POD 추진기(10)는 지지 기둥(14)을 거쳐서 전체가 선체 후방부(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선박은 메인 프로펠러(2)를 단독으로, POD 프로펠러(12)를 단독으로, 혹은 메인 프로펠러(2) 및 POD 프로펠러(12)를 모두 회전시킴으로써 추진력을 얻는다. 또한, 지지 기둥(14)을 중심으로 하여 POD 추진기(10)를 회전시킴으로써, 스트럿(13)이 키의 기능을 발휘하여 조타력을 얻을 수 있어, 선박을 선회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술한 종래의 선박에 있어서는 POD 추진기(10)만을 단독으로 장비한 선박보다도 고속으로 항행 가능해진다. 또한, POD 추진기(10)의 스트럿(13)의 부분이 키로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특히 고속 항행(약 20 노트를 넘는 항행)시에 키를 잡으면, 스트럿(13)에 과대한 유체력이 작용하여 지지 기둥(14)에 매우 큰 힘이 가해진다. 그로 인해, 지지 기둥(14)을 지지하는 지지 기구나 POD 추진기(10)를 선회시키는 선회 기구 등을 충분한 강도를 갖는 것, 즉 대규모인 기구를 갖는 것으로 해야만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메인 프로펠러의 후방에 설치한 POD 추진기의 지지 기구나 선회 기구 등을 간략화할 수 있는 동시에,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는 선박 및 그 운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선박 및 그 운용 방법에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하의 수단을 채용하였다.
즉, 청구항 1에 기재된 선박에 따르면, 정전 및 역전 혹은 피치각을 변경함으로써 선체를 전진 및 후진시킬 수 있는 메인 프로펠러와, 상기 메인 프로펠러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기관과, 상기 선체의 침로 방향을 변경시키기 위한 키와, 적어도 하나의 POD 추진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선박에 있어서는, 메인 프로펠러 및/또는 POD 추진기에 의해 추진력을 얻을 수 있고, 키 및/또는 POD 추진기에 의해 키를 조종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선박에 따르면, 청구항 1에 기재된 선박에 있어서, 상기 선체의 선속을 측정하는 선속 측정 장치와, 상기 선속 측정 장치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상기 POD 추진기의 타각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선박에 있어서는, 선체의 선속을 측정하는 선속 측정 장치로부터의 신호, 즉 선속에 따라서 POD 추진기의 타각이 제어되게 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선박에 따르면, 청구항 2에 기재된 선박에 있어서 상기 선속 측정 장치에 의해 얻게 된 선속이 소정치를 넘으면,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 상기 POD 추진기의 타각이 0°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선박에 있어서는, 선속이 소정치를 넘으면 POD 추진기의 타각이 0°로 고정되게 된다.
즉, 선속이 소정치를 넘은 경우에는 키만으로 키를 조종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선박에 따르면, 청구항 2에 기재된 선박에 있어서 상기 선속 측정 장치에 의해 얻게 된 선속이 소정치 이하인 경우, 상기 POD 추진기의 타각은 상기 키의 타각과 연동하여 조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선박에 있어서는, POD 추진기의 타각이 키의 타각과 연동하여 조종할 수 있게 된다.
즉, 키의 타각에 따라서 POD 추진기의 타각을 조종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선박에 따르면, 청구항 1에 기재된 선박에 있어서 상기 POD 추진기는 절환 장치에 의해 0°, +90°, -90°의 타각 위치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선박에 있어서는, POD 추진기가 절환 장치에 의해 예를 들어 0°, +90°, -90°등 수 개의 타각 위치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절환 장치를 0°, +90°, -90°의 위치에 설정함으로써, POD 추진기의 타각도 0°, +90°, -90°의 위치에 설정되게 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선박에 따르면, 청구항 1에 기재된 선박에 있어서 상기 키의 타각을 바꾸는 조타 장치와, 상기 POD 추진기의 타각을 바꾸는 선회 구동 기구는 동일한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선박에 있어서는, 키의 타각을 바꾸는 조타 장치와, POD 추진기의 타각을 바꾸는 선회 구동 기구가 동일한 구동원, 예를 들어 하나의 유압 펌프에 의해 구동되게 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선박의 운용 방법에 따르면, 정전 및 역전 혹은 피치각을 변경함으로써 선체를 전진 및 후진시킬 수 있는 메인 프로펠러와, 상기 메인 프로펠러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기관과, 상기 선체의 침로 방향을 변경시키기 위한 키와, 적어도 하나의 POD 추진기와, 선속을 측정하는 선속 측정 장치와, 상기 선속 측정 장치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상기 POD 추진기의 타각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선박의 운용 방법이며, 상기 선속 측정 장치에 의해 얻게 된 선속이 소정치를 넘는 경우에는, 상기 키의 타각만을 변화시켜 상기 선체의 침로 방향을 변화시키고, 상기 선속이 소정치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키와 상기 POD 추진기를 병용, 혹은 상기 POD 추진기만을 사용하여 상기 선체의 침로 방향 및/또는 진행 방향을 변화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선박의 운용 방법에 따르면, 선체의 침로 방향 및/또는 진행 방향을 변화시키는 데 선속이 소정치를 넘는 경우에는 키만이 사용되고, 선속이 소정치 이하의 경우에는 키와 POD 추진기가 병용되게 된다.
여기서 말하는,「침로 방향」이라 함은 뱃머리가 가리키는 컨퍼스 방위인 것이다. 또한,「진행 방향」이라 함은 선체가 실제로 진행되고 있는 방향을 말한다.
청구항 8에 기재된 선박의 운용 방법에 따르면, 청구항 7에 기재된 선박의 추진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POD 추진기의 타각은 상기 선속 측정 장치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선박의 운용 방법에 따르면, 선체의 선속을 측정하는 선속 측정 장치로부터의 신호, 즉 선속에 따라서 POD 추진기의 타각이 제어되게 된다.
청구항 9에 기재된 선박의 운용 방법에 따르면, 청구항 8에 기재된 선박의 운용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선속 측정 장치에 의해 얻게 된 선속이 소정치를 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 POD 추진기의 타각이 0°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선박의 운용 방법에 따르면, 선속이 소정치를 넘으면 POD 추진기의 타각이 0°로 고정되게 된다.
즉, 선속이 소정치를 넘은 경우에는 키만으로 키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선박의 일실시 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 상술한 종래 기술과 같은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1의 (a)는 선체 후방부의 개략 우측면도, 도1의 (b)는 도1의 (a)를 화살표 A 방향으로 본 도면이다.
도1에 도시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부호 1은 선박의 선체 후방부, 부호 2는 메인 프로펠러, 부호 3은 키, 부호 4는 지지 기둥, 부호 10A, 10B는 POD 추진기, 부호 11A, 11B는 케이싱, 부호 12A, 12B는 POD 프로펠러, 부호 13A, 13B는 스트럿, 부호 14A, 14B는 지지 기둥이다.
이 선박은 메인 프로펠러(2)와, 그 후방에 위치하여 지지 기둥(4)을 거쳐서 선체 후방부(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키(3)와, 이 키(3)의 양측에 위치하는 2개의 POD 추진기(10A, 10B)를 구비하고 있다.
키(3)는 단면이 유선형을 갖는 판형 부재이다. 또한, 키(3)의 상부에는 수직 방향의 지지 기둥(4)이 부착되고, 이 지지 기둥(4)의 상단부측이 선체측에 설치된 조타 장치(도시 생략)에 연결되고, 키(3) 및 지지 기둥(4)을 일체적으로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POD 추진기(10A, 10B)는 각각, 지지 기둥(14A, 14B)을 거쳐서, 선체 후방부(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POD 추진기(10A, 10B)는 추진력을 발휘하는 POD 프로펠러(12A, 12B)를 후방 또는 전방(도시한 예에서는 전방)에 구비하고, 내부에 전동기 등의 프로펠러 구동 기구(도시하지 않음)를 내장한 케이싱(11A, 11B)과, 이 케이싱(11A, 11B)의 상부에 일체로 고정 부착되고, 날개형 단면의 스트럿(13A, 13B)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스트럿(13A, 13B)의 상부에는 수직 방향의 지지 기둥(14A, 14B)이 부착되고, 이 지지 기둥(14A, 14B)의 상단부측이 선체측에 설치된 선회 구동 기구(도시 생략)에 연결되고, 지지 기둥(14A, 14B), 스트럿(13A, 13B), 케이싱(11A, 11B) 및 POD 프로펠러(12A, 12B)를 일체적으로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POD 추진기(10A, 10B)에서는, POD 프로펠러(12A, 12B)의 회전에 의해 추진력이 발생하여 선박을 항행시키고, 선체 후방부(1)에 대해 추진기 전체를 회전시킴으로써 조타 기능을 얻을 수 있어, 선박의 진행 방향을 변환할 수 있다.
또, POD 추진기(10A, 10B)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POD 프로펠러(12A, 12B)의 구동력을 출력하는 전동기가 케이싱(11A, 11B) 내에 설치된 타입과, 선체측에 설치된 전동기 등의 구동원(도시 생략)으로부터 구동력을 받는 타입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선박은 메인 프로펠러(2)를 단독으로 회전시키거나, POD 프로펠러(12A, 12B) 중 어느 한 쪽 또는 양 쪽을 회전시키거나, 혹은 메인 프로펠러(2) 및 POD 프로펠러(12A, 12B) 중 어느 한 쪽 또는 양 쪽을 모두 회전시킴으로써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선체의 침로 방향 및/또는 진행 방향을 변경시키기 위해, 지지 기둥(4)을 중심으로 하여 키(3)를 회전시키거나, 지지 기둥(14A, 14B)을 중심으로 하여 POD 추진기(10A, 10B) 중 어느 한 쪽 또는 양 쪽을 회전시키거나, 혹은 키(3) 및 POD 추진기(10A, 10B) 중 어느 한 쪽 또는 양 쪽을 회전하게 되도록 되어 있다.
선체의 침로 방향 및/또는 진행 방향의 변경이 주로 키(3)에 의해 행해지는 경우에는, POD 추진기(10A, 10B)의 스트럿(13A, 13B)의 부분을 종래인 것에 비해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POD 추진기(10A, 10B)의 지지 기구나 선회 기구에 가해지는 하중을 작게 하여, 이들 기구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고속(예를 들어, 20 노트 이상에서의) 항행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메인 프로펠러(2)와 양방의 POD 프로펠러(12A, 12B)를 모두 회전시킴으로써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항로 항행시 등 중속(예를 들어, 12 노트 정도에서의) 항행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메인 프로펠러(2)를 단독으로 회전시키거나, 양방의 POD 프로펠러(12A, 12B)만을 회전시킴으로써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출입항시 등 저속(예를 들어, 5 노트 이하에서의) 항행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양방의 POD 프로펠러(12A, 12B)만을 회전시킴으로써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에서는 이들 구성 외에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속을 측정하는 선속 측정 장치(21)와, 이 선속 측정 장치(21)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전술한 POD 추진기(10A, 10B)의 타각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장치(22)를 설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이들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예를 들어 도3 또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은 POD 추진기(10A, 10B)의 타각 제어를 행할 수 있게 된다.
도3에 도시한 것은, 선속이 5 노트 이하인 경우에는 POD 추진기(10A, 10B)의 타각을 ±90°(여기서 말하는 0°는 뱃머리 방향을 가리킴)의 범위 내에서 조종할 수 있고, 선속이 20 노트를 넘는 경우에는 타각이 0°로 고정되어 타각을 조종할 수 없도록 제어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즉, 도2에 도시한 선속 측정 장치(21)에서 얻게 된 선속 정보가 신호로서 제어 장치(22)로 이송되고, 그 신호에 의거하여 제어 장치(22)가 POD 추진기(10A, 10B)를 조종할 수 있는 최대 타각을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도4에 도시한 것은 선속이 5 노트 이하인 경우에는 POD 추진기(10A, 10B)의 타각을 ±90°(여기서 말하는 0°는 뱃머리 방향을 가리킴)의 범위 내에서 조종할 수 있고, 선속이 5 노트를 넘어 10 노트 이하인 경우에는 POD 추진기(10A, 10B)의 타각을 ±70°의 범위 내에서 조종할 수 있고, 선속이 10 노트를 넘어 15 노트 이하인 경우에는 POD 추진기(10A, 10B)의 타각을 ±50°의 범위 내에서 조종할 수 있고, 선속이 15 노트를 넘어 20 노트 이하인 경우에는 ±30°의 범위 내에서 조종할 수 있고, 선속이 20 노트를 넘는 경우에는 타각이 0°로 고정되어 타각을 조종할 수 없도록 제어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3 또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속이 예를 들어 20 노트를 넘는 경우에 POD 추진기(10A, 10B)의 타각을 0°로 고정하여, 키(3)만으로 침로를 변경하도록 함으로써, 스트럿(13A, 13B)에 과대한 유체력이 작용하는 일 없이, 지지 기둥(14A, 14B)에 과대한 하중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 기둥(14A, 14B)을 지지하는 지지 기구나 POD 추진기(10A, 10B)를 선회시키는 선회 기구 등의 강도를 감소시킬 수 있어, 이들의 기구를 간략화할 수 있어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해 온, 메인 프로펠러(2)와, 그 후방에 위치하여 지지 기둥(4)을 거쳐서 선체 후방부(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키(3)와, 이 키(3)의 양측에 위치하는 2개의 POD 추진기(10A, 10B)와, 선속을 측정하는 선속 측정 장치(21)와, 이 선속 측정 장치(21)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전술한 POD 추진기(10A, 10B)의 타각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장치(22)를 구비하는 선박은,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이 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속 20 노트를 넘는 고속으로 선체를 항행시키는 경우, 메인 프로펠러(2)와 양방의 POD 프로펠러(12A, 12B)를 모두 회전시킴으로써 추진력을 얻는 동시에, POD 추진기(10A, 10B)의 타각을 0°로 고정하고, 침로 변경은 키(3)만으로 행하도록 한다.
이어서, 5 노트를 넘어 20 노트 이하로 항행시키는 경우, 메인 프로펠러(2)를 단독으로 회전시키거나, 양방의 POD 프로펠러(12A, 12B)만을 회전시킴으로써 추진력을 얻는 동시에, 조종할 수 있는 최대 타각이 선속에 따라서 제어된 POD 추진기(10A, 10B)와 키(3)를 병용함으로써 침로 변경을 행하도록 한다.
또한, 출입항시 등 저속(예를 들어, 5 노트 이하에서의) 항행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양방의 POD 프로펠러(12A, 12B)만을 회전시킴으로써 추진력을 얻는 동시에, POD 추진기(10A, 10B)와 키(3)를 병용함으로써 침로 방향의 변경 및/또는 진행 방향의 변경을 행하도록 한다.
특히, 5 노트 이하에서 POD 추진기(10A, 10B)의 타각을 ±90°조종할 수 있으므로, POD 추진기(10A, 10B)를 스턴ㆍ스러스터로서 기능시킬 수 있으므로, 이착안을 용이한 것으로 할 수 있는 동시에, 출입항에 필요로 하는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POD 추진기(10A, 10B)의 조작 가능 타각을 ±90°(도3 및 도4 참조)로서 설명하여 왔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360°로 할 수도 있다.
특히, 선속이 5 노트 이하인 경우에, POD 추진기(10A, 10B)의 조작 가능 타각을 ±360°로 할 수 있으면, 이착안시에 많이 이용되는 후방 방향으로의 추진력(후진력)을 POD 추진기(10A, 10B)에 의해 얻을 수 있게 되므로, 후진력을 얻기 위해서 메인 프로펠러(2)를 회전시키는 구동 장치(일반적으로 메인 엔진이라 함)를 기동시킬 필요는 없어진다.
또한, POD 추진기(10A, 10B)의 타각이 키(3)의 타각 및 선속과 연동하여 조종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예를 들어 선속이 20 노트를 넘는 경우에는 POD 추진기(10A, 10B)의 타각을 전술한 제어 장치(22)에 의해 0°로 고정한다. 그리고, 선속이 5 노트를 넘어 20 노트 이하인 경우에는, 키(3)의 타각에 비례하여 POD 추진기(10A, 10B)의 타각이 조종되도록[예를 들어, 키(3)의 타각 +35°에서 POD 추진기(10A, 10B)가 타각 +14°를 조종하고, 키(3)의 타각 +10°에서 POD 추진기(10A, 10B)가 타각 +4°를 조종함] 한다. 또한, 선속이 5 노트 이하인 경우에는, 키(3)의 타각 +35°에서 POD 추진기(10A, 10B)가 타각 +90°를 조종하고, 키(3)의 타각 +10°에서 POD 추진기(10A, 10B)가 타각 +45°를 조종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조타수는 키(3)의 타각만을 지령함으로써, 키(3) 및 POD 추진기(10A, 10B)의 타각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고, 조타가 대폭으로 간략화된다.
또한, POD 추진기(10A, 10B)의 타각을, 예를 들어 +90° 및 -90°의 위치에서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보통의 항행시는 POD 추진기의 타각을 0°로 고정하여 키만으로 조타를 행하고, 이착안시에 POD 추진기(10A, 10B)의 타각을, 예를 들어 +90°혹은 -90°의 위치로 하여, 스탠 슬라스터로서 기능시킬 수 있으므로, 이착안을 용이한 것으로 할 수 있는 동시에, 출입항에 필요로 하는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 타각 위치의 절환은 별도 설치된 절환 장치에 의해 행해진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POD 추진기(10A, 10B)를 위한 조타 장치를 없앨 수 있어, 비용 저감을 한층 더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키(3)의 조타 장치로 만들어 낸 유압을, POD 추진기(10A, 10B)의 타각을 바꾸는 선회 구동 기구에도 이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키(3)의 조타 장치에 설치된 유압 펌프(구동원)에 의해 만들어 낸 유압을, POD 추진기(10A, 10B)의 타각을 바꾸는 선회 구동 기구에 사용함으로써, 선회 구동 기구로부터 유압 펌프 등을 생략할 수 있어, 선회 구동 기구의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는 동시에,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이상 설명해 온 실시 형태에서는 POD 추진기를 2개 설치한 것을 설명해 왔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싱(11)의 후방부에 POD 프로펠러(12)를 구비한 하나의 POD 추진기(10)를 뱃머리측으로부터 메인 프로펠러(2), 키(3), POD 추진기(10) 순서로 키르선 상에 일직선이 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싱(11)의 후방부에 POD 프로펠러(12)를 구비한 하나의 POD 추진기(10)를 뱃머리측으로부터 메인 프로펠러(2), POD 추진기(10), 키(3)의 순서로 키르선 상에 일직선이 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싱(11)의 전방부에 POD 프로펠러(12)를 구비한 하나의 POD 추진기(10)를 뱃머리측으로부터 메인 프로펠러(2), POD 추진기(10), 키(3)의 순서로 키르선 상에 일직선이 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선박 및 그 운용 방법에 따르면, 이하의 효과를 발휘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선박에 따르면, 메인 프로펠러 및/또는 POD 추진기에 의해 추진력을 얻을 수 있고, 키 및/또는POD 추진기에 의해 키가 조종되게 되므로, 선속을 올릴 수 있는 동시에 조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를 발휘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선박에 따르면, 선체의 선속을 측정하는 선속 측정 장치로부터의 신호, 즉 선속에 따라서 POD 추진기의 타각이 제어되게 되므로, POD 추진기의 지지 기구나 선회 기구에 과대한 하중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들의 기구를 간략화할 수 있어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선박에 따르면, 선속이 소정치를 넘으면 POD 추진기의 타각이 0°로 고정되게 되므로, POD 추진기의 지지 기구나 선회 기구에 과대한 하중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들의 기구를 간략화할 수 있어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발휘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선박에 따르면, 키의 타각에 따라서 POD 추진기의 타각이 조종되게 되므로, 조타수는 키의 타각만을 지령(조적)하는 것만으로, 키 및 POD 추진기의 타각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으므로, 조타를 대폭으로 간략화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발휘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선박에 따르면, 절환 장치를 0°, +90°, -90°의 위치에 설정함으로써, POD 추진기의 타각이 0°, +90°, -90°의 위치에 설정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장치 전체의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
즉, POD 추진기를 위한 조타 장치를 없앨 수 있어, 비용 저감을 한층 더 도모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발휘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선박에 따르면, 키의 타각을 바꾸는 조타 장치와, POD 추진기의 타각을 바꾸는 선회 구동 기구가 동일한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게 되므로, 이들 조타 장치 및 선회 구동 기구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원의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어, 비용을 더욱 저감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를 발휘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선박의 운용 방법에 따르면, 선체의 침로 방향 및/또는 진행 방향을 변화시키는 데, 선속이 소정치를 넘는 경우에는 키만이 사용되고, 선속이 소정치 이하인 경우에는 키와 POD 추진기가 병용되게 되므로, 선속이 소정치를 넘는 경우에는 POD 추진기의 지지 기구나 선회 기구에 과대한 하중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선속이 소정치 이하인 경우에는 조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를 발휘한다.
청구항 8에 기재된 선박의 운용 방법에 따르면, 선체의 선속을 측정하는 선속 측정 장치로부터의 신호, 즉 선속에 따라서 POD 추진기의 타각이 제어되게 되므로, POD 추진기의 지지 기구나 선회 기구에 과대한 하중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들의 기구를 간략화할 수 있어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발휘한다.
청구항 9에 기재된 선박의 운용 방법에 따르면, 선속이 소정치를 넘으면 POD 추진기의 타각이 0°로 고정되게 되므로, 소정치를 넘는 선속에서의 항행에 있어서의 POD 추진기의 지지 기구나 선회 기구에 과대한 하중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선박의 일실시 형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a)는 선체 후방부의 개략 우측면도, (b)는 (a)를 화살표 A 방향으로 본 도면.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선박에 설치되는 POD 추진기의 타각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을 도시한 개략 블럭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선박의 제어 장치가 POD 추진기의 타각을 제어하는 일예를 도시한 조작 가능 타각과 선속과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선박의 제어 장치가 POD 추진기의 타각을 제어하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조작 가능 타각과 선속과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선박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개략 우측면도.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선박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개략 우측면도.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선박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개략 우측면도.
도8은 종래의 메인 프로펠러에다가 POD 추진기를 구비하고 있는 선박의 일예를 도시한 선체 후방부의 개략 우측면도.
도9는 종래의 메인 프로펠러에다가 POD 추진기를 구비하고 있는 선박의 다른 예를 도시한 선체 후방부의 개략 우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메인 프로펠러
3 : 키
10, 10A, 10B : POD 추진기
11, 11A, 11B : 케이싱
12, 12A, 12B : POD 프로펠러
13, 13A, 13B : 스트럿
21 : 선속 측정 장치
22 : 제어 장치

Claims (9)

  1. 정전 및 역전 혹은 피치각을 변경함으로써 선체를 전진 및 후진시킬 수 있는 메인 프로펠러와, 상기 메인 프로펠러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기관과, 상기 선체의 진로방향을 변경시키기 위한 키와, 키로서의 기능이 있는 스트럿를 갖춘 POD 추진기를 적어도 하나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의 선속을 측정하는 선속 측정 장치와, 상기 선속 측정 장치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상기 POD 추진기의 타각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속 측정 장치에 의해 얻게 된 선속이 소정치를 넘으면,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 상기 POD 추진기의 타각이 0°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속 측정 장치에 의해 얻게 된 선속이 소정치 이하인 경우, 상기 POD 추진기의 타각은 상기 키의 타각과 연동하여 조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OD 추진기의 타각을 임의로 바꾸는 선회 구동 기구를 생략하고, 예를 들어 0°, +90°, -90°등 수 개의 타각 위치에서 사용할 수 있는 타각 절환(切換)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의 타각을 바꾸는 조타 장치와, 상기 POD 추진기의 타각을 바꾸는 선회 구동 기구는, 동일한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7. 정전 및 역전 혹은 피치각을 변경함으로써 선체를 전진 및 후진시킬 수 있는 메인 프로펠러와, 상기 메인 프로펠러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기관과, 상기 선체의 침로 방향을 변경시키기 위한 키와, 적어도 하나의 POD 추진기와, 선속을 측정하는 선속 측정 장치와, 상기 선속 측정 장치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상기 POD 추진기의 타각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선박의 운용 방법이며,
    상기 선속 측정 장치에 의해 얻게 된 선속이 소정치를 넘는 경우에는, 상기 키의 타각만을 변화시켜 상기 선체의 침로 방향을 변화시키고, 상기 선속이 소정치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키와 상기 POD 추진기를 병용, 혹은 상기 POD 추진기만을 사용하여 상기 선체의 침로 방향 및/또는 진행 방향을 변화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운용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POD 추진기의 타각은 상기 선속 측정 장치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운용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선속 측정 장치에 의해 얻게 된 선속이 소정치를 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 POD 추진기의 타각이 0°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운용 방법.
KR10-2003-0003866A 2002-01-22 2003-01-21 선박 및 그 운용 방법 KR1004989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13034A JP3958051B2 (ja) 2002-01-22 2002-01-22 船舶およびその運用方法
JPJP-P-2002-00013034 2002-01-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3214A KR20030063214A (ko) 2003-07-28
KR100498967B1 true KR100498967B1 (ko) 2005-07-04

Family

ID=19191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3866A KR100498967B1 (ko) 2002-01-22 2003-01-21 선박 및 그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013820B2 (ko)
EP (1) EP1329379B1 (ko)
JP (1) JP3958051B2 (ko)
KR (1) KR100498967B1 (ko)
CN (1) CN100457547C (ko)
AT (1) ATE340735T1 (ko)
DE (1) DE60308563T2 (ko)
NO (1) NO3355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0101008D1 (de) * 2001-10-05 2003-12-24 Peter Meyer Fahranlage für Schiffe, insbesondere für Kreuzfahrtschiffe
FI20030556A0 (fi) * 2003-04-11 2003-04-11 Abb Oy Menetelmä ja laitteisto laivan ohjaamiseksi
US7070468B2 (en) * 2004-07-01 2006-07-04 Lockheed Martin Corporation Multi-hull watercraft with amidships-mounted propellers
DE102004054061B4 (de) * 2004-11-05 2017-10-12 Siemens Aktiengesellschaft Seegehendes Schiff
JP4667993B2 (ja) * 2005-07-26 2011-04-13 横河電子機器株式会社 操舵装置
JP4699282B2 (ja) * 2006-05-23 2011-06-0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船舶
FR2902403B1 (fr) * 2006-06-20 2008-09-19 Aker Yards Sa Systeme de propulsion electrique de navire et navire ainsi equipe
FI122324B (fi) * 2007-07-06 2011-11-30 Aker Arctic Technology Oy Menetelmä vesialuksen jäänmurtamisominaisuuksien parantamiseksi ja menetelmän mukaan valmistettu vesialus
JP5247669B2 (ja) * 2009-12-22 2013-07-24 ジャパンマリンユナイテッド株式会社 複合型推進装置および船舶
FI123164B (fi) * 2010-12-21 2012-11-30 Waertsilae Finland Oy Vesialus
EP2626290B1 (en) * 2012-02-09 2015-09-23 ABB Oy Propulsion arrangement in a ship
JP5972711B2 (ja) * 2012-08-22 2016-08-1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二重反転プロペラ推進方式の船舶
WO2014046608A1 (en) * 2012-09-24 2014-03-27 Rolls-Royce Ab Counter rotating pod with flap
CN102963517A (zh) * 2012-12-06 2013-03-13 王军辉 具有双侧双向助力制动螺旋桨的船舶
CN103121504B (zh) * 2013-03-11 2015-09-09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三研究所 一种加速四桨驱动船舶转弯的协控装置及其协控方法
CN104417739A (zh) * 2013-09-05 2015-03-18 上海市南洋模范中学 一种水华防控机器人运动系统
CN103482032B (zh) * 2013-09-23 2016-07-27 浙江海洋学院 一种小型工程船
CN103482037A (zh) * 2013-09-23 2014-01-01 浙江海洋学院 一种小型拖船
JP2017509527A (ja) * 2014-03-12 2017-04-06 ボン ソン、キル 遠心力推進装置及びこれを含む船舶
CN103921921B (zh) * 2014-04-07 2017-08-25 深圳市云洲创新科技有限公司 吊舱式全回转泵喷射矢量推进器
US10969787B2 (en) 2016-08-05 2021-04-06 Zf Friedrichshafen Ag Sailboat steering system and method for steering a sailboat
JP6618869B2 (ja) * 2016-08-19 2019-12-11 ジャパンマリンユナイテッド株式会社 船舶の推進システム
KR102090074B1 (ko) * 2018-11-19 2020-03-17 심창섭 선박용 추진장치
DE102019214772A1 (de) * 2019-09-26 2021-04-01 Siemens Aktiengesellschaft Gondelantriebssystem und dessen Betrieb
CN110624261A (zh) * 2019-10-18 2019-12-31 东莞市环宇文化科技有限公司 一种无人驾驶道具船装置
CN113565665A (zh) * 2021-08-11 2021-10-29 哈尔滨工程大学 一种可利用潮流能发电的拖式吊舱推进器
CN116620492B (zh) * 2023-07-25 2023-10-24 自然资源部第一海洋研究所 一种可变形无人船及变形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46776C (de) * 1952-04-13 1956-08-02 Adolf Friederichs Schiffsantrieb, bestehend aus einer Hauptschraube und einer hinter dieser angeordneten, als Steuerschraube ausgebildeten Zusatzschraube
US3596625A (en) * 1969-02-24 1971-08-03 Manfred H Guenther Trolling attachment for outboard motors
DE2438147C2 (de) * 1974-08-08 1983-03-24 Schottel-Werft Josef Becker Gmbh & Co Kg, 5401 Spay Antriebseinrichtung für Schiffe
JPS6030598B2 (ja) * 1979-04-24 1985-07-1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船尾整流装置
DE3207398C2 (de) * 1982-03-02 1986-03-06 Licentia Patent-Verwaltungs-Gmbh, 6000 Frankfurt Schiffspropulsionsanlage mit einem Haupt- und einem Kontrapropeller
JPS58211994A (ja) * 1982-06-02 1983-12-09 Mitsubishi Heavy Ind Ltd 二重反転プロペラ船
JPS59211994A (ja) * 1983-05-14 1984-11-30 松下電工株式会社 放電灯点灯装置
KR890000311A (ko) * 1987-06-24 1989-03-13 이나바 고오사꾸 아이들 프로펠러장치
SE459249B (sv) * 1987-12-09 1989-06-19 Kamewa Ab Kombinerad roder- och propelleranordning
JPH07121717B2 (ja) * 1992-08-07 1995-12-25 川崎重工業株式会社 舶用二重反転プロペラ
SE506926C2 (sv) 1996-06-06 1998-03-02 Kamewa Ab Marint framdrivnings- och styraggregat
DE19654511C2 (de) 1996-12-27 1999-02-18 Raytheon Anschuetz Gmbh Verfahren zum Begrenzen der Drehgeschwindigkeit eines Wasserfahrzeuges
US6446311B1 (en) 2000-01-06 2002-09-10 Kotec's Co., Ltd. Loop p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140836A1 (en) 2003-07-31
KR20030063214A (ko) 2003-07-28
DE60308563D1 (de) 2006-11-09
CN100457547C (zh) 2009-02-04
NO335549B1 (no) 2014-12-29
JP3958051B2 (ja) 2007-08-15
US7013820B2 (en) 2006-03-21
NO20026137D0 (no) 2002-12-19
EP1329379B1 (en) 2006-09-27
NO20026137L (no) 2003-07-23
DE60308563T2 (de) 2007-06-21
CN1433926A (zh) 2003-08-06
EP1329379A1 (en) 2003-07-23
JP2003212189A (ja) 2003-07-30
ATE340735T1 (de) 2006-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8967B1 (ko) 선박 및 그 운용 방법
US7131385B1 (en) Method for braking a vessel with two marine propulsion devices
US7267587B2 (en) Steering system of outboard motor
JP2007083795A (ja) 多機掛け推進機型小型船舶
JP2005254849A (ja) 船舶の操舵装置
KR20040087874A (ko) 선박의 추진 유니트
EP1013544A2 (en) Azimuth propeller apparatus and ship equipped with the apparatus
JPS5970291A (ja) 舟艇プロペラ駆動装置
KR101261867B1 (ko) 포드형 추진기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JP2000177694A (ja) 舵付きアジマスプロペラを備えた船舶
JPH04368295A (ja) 船舶用推進機の支持角度調整装置
JP4206339B2 (ja) 船舶の操舵構造
JP4119934B2 (ja) 船舶及び船舶の運用方法
US3919965A (en) Boat propeller mounting and steering mechanism
JP6618869B2 (ja) 船舶の推進システム
JP2011088540A (ja) 水中翼を設けた船舶
RU2112694C1 (ru) Высокоманевренный автономный необитаемый подводный аппарат
KR20090065648A (ko) 조향이 용이한 선박
US20240132191A1 (en) Watercraft propulsion system, and watercraft
JP2006306174A (ja) 船舶推進機の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US20230415871A1 (en) Propulsion device for marine vessel and outboard motor
US20230133897A1 (en) Marine propulsion system and marine vessel
JP3527043B2 (ja) Z形推進機の制御装置
KR20100005903U (ko) 선박용 방향전환 장치
JP2006182043A (ja) ポッドプロペラ付き船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