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0074B1 - 선박용 추진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용 추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0074B1
KR102090074B1 KR1020180142307A KR20180142307A KR102090074B1 KR 102090074 B1 KR102090074 B1 KR 102090074B1 KR 1020180142307 A KR1020180142307 A KR 1020180142307A KR 20180142307 A KR20180142307 A KR 20180142307A KR 102090074 B1 KR102090074 B1 KR 102090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propulsion device
stern
propulsion
driv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2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창섭
Original Assignee
심창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창섭 filed Critical 심창섭
Priority to KR1020180142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00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0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0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12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 B63H21/165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by hydraulic fluid motor, i.e. wherein a liquid under pressure is utilised to rotate the propel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3/00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 B63H23/02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with mechanical gearing
    • B63H23/06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with mechanical gearing for transmitting drive from a single propulsion power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B63J3/02Driving of auxiliaries from propulsion power pl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B63J2003/001Driving of auxiliaries characterised by type of power supply, or power transmission, e.g. by using electric power or steam
    • B63J2003/006Driving of auxiliaries characterised by type of power supply, or power transmission, e.g. by using electric power or steam by using hydraulic power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동력이 필요한 다양한 장치들의 위치에 상관없이 단일의 구동부에서 발생되는 동력의 전달이 용이한 추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추진장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구동축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유압펌프들, 상기 유압펌프들 각각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유압모터들 및 상기 유압모터들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유압을 통해 구동하는 스턴 스라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스턴 스라스터는 상기 구동부와 서로 다른 공간에 분리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유압펌프들의 구동을 통해 상기 유압모터들이 구동한다.

Description

선박용 추진장치{PROPULSION APPARATUS FOR SHIP}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추진장치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구동부의 동력을 유압을 통해 분배 및 전달하는 선박용 추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선박용 추진장치는 메인 스라스터(Thruster)(추진 프로펠러)나 스턴 스라스터(Stern Thruster)가 엔진의 구동축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형태로 배치되어 엔진과 연결하여 선박에 설치하기 위해서 장시간의 설치과정이 필요하다.
또한, 중량이 높고 엔진들 및 구동축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부품의 비용이 높아 유지비용이 높고, 구동되는 과정에서 해양오염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어, 설치가 용이하고 유지비용이 낮은 기술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되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78427호는 선박용 추진장치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24967호는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발명들은 설치가 용이하고 유지비용절감이 가능한 선박용 추진장치 관련 기술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동력이 필요한 다양한 장치들의 위치에 상관없이 단일의 구동부에서 발생되는 동력의 전달이 용이한 추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추진장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구동축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유압펌프들, 상기 유압펌프들 각각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유압모터들 및 상기 유압모터들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유압을 통해 구동하는 스턴 스라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스턴 스라스터는 상기 구동부와 서로 다른 공간에 분리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유압펌프들의 구동을 통해 상기 유압모터들이 구동한다.
또한, 추진장치는 상기 유압모터들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유압을 통해 구동하고, 상기 구동부와 서로 다른 공간에 분리되도록 배치되는 추진 프로펠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부에 형성된 엔진에서 전달되는 동력을 상기 유압모터들 각각에 분배하도록 형성되는 기어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상기 스턴 스라스터들 각각은 상기 기어박스와 연결되어 선미를 향해 연장되는 리드스크류와 맞물리는 웜기어들 각각과 연결된 복수의 유압펌프들 각각의 구동으로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추진장치는 상기 유압모터들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유압을 통해 구동하는 발전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전기는 상기 구동부 및 추진 프로펠러와 분리된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추진장치는 화석연료로 구동하는 엔진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유압펌프들을 통해 동력이 필요한 곳에 배치되는 유압모터들에 전달할 수 있어 설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추진장치는 스턴 스라스터, 추진 프로펠러 및 발전기와 연결되는 유압모터들을 다양한 위치에 설치가 가능하고 격벽을 통해 분리가 가능하여 방수성 및 설치용이성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추진장치는 유압을 통해 동력을 전달하므로 발전기 및 스턴 스라스터의 배치가 용이하여 선박의 구조에 따라 설치위치가 달라질 수 있는 발전기 및 스턴 스라스터의 설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추진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진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추진장치를 다른 위치에서 주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추진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추진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추진장치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추진장치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추진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추진장치는 일반적으로 선박(1)의 선미의 내부에 배치되는 엔진(2), 엔진(2)의 구동축(3), 구동축(3)과 연결되어 동력을 분배하는 구동장치(4), 구동장치(4)와 연결된 발전기(5), 구동축(3)의 동력을 추진 스라스터(8)에 전달하는 구동전달장치(7) 및 추진 프로펠러(8)를 포함한다.
기존의 스턴 스라스터(thruster)(6)는 별도의 엔진을 통해 작동하거나 엔진(2)과 연결되어 구동하도록 제작되어 구동장치(4)를 통한 연결 및 설치를 위해 장시간 및 높은 비용이 소요되었다.
또한, 추진 프로펠러(8)에 설치된 프로펠러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가변피치 프로펠러로 제작될 수 있는데, 가변피치 프로펠러를 설치하는데 필요한 복잡한 장치들로 인해 설치 비용이 높은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단일의 엔진(2)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효과적이고 안정적으로 스턴 스라스터(6) 및 추진 프로펠러(8) 등에 분배하면서 낮은 비용으로 선박(1)에 설치될 수 있는 추진장치 기술이 필요하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진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2의 추진장치를 다른 위치에서 주시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 및 3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진장치(100)는 구동부(200), 제1 내지 제3 유압펌프(310, 320, 330)들, 제1 내지 제3 유압모터(410, 420, 430)들, 스턴 스라스터(500)(Stern Thruster), 발전기(520) 및 추진 프로펠러(600)들을 포함한다.
추진장치(100)는 화석연료를 통해 구동하는 구동부(200)의 동력으로 제1 내지 제3 유압펌프(310, 320, 330)들을 구동시키고, 제1 내지 제3 유압펌프(310, 320, 330)들 각각의 유압으로 스턴 스라스터(500), 발전기(520) 및 추진 프로펠러(600)를 구동시킨다.
구동부(200)는 엔진(210) 및 기어박스(220)들을 포함한다.
구동부(200)는 선박의 선미의 내부에서 하부데크(10)의 하부에 배치되고, 화석연료 또는 전기를 통해 구동하여 동력을 발생시키며, 발생 된 동력은 제1 내지 제3 유압펌프(310, 320, 330)를 구동시켜 다양한 위치에 배치되는 스턴 스라스터(500), 발전기(520) 및 추진 프로펠러(600)를 구동시킨다.
구체적으로, 엔진(210)은 선박의 선미 내부에 형성되는 하부 데크(10)의 하부에 배치되고, 엔진(210)의 구동축은 선미를 향해 연장되어 커플링을 통해 동력을 분배하는 기어박스(220)와 연결된다.
기어박스(220)는 엔진(210)의 구동축과 연결되어 엔진(210)의 구동에 의해 전달되는 동력을 선미를 향해 돌출되는 복수의 회전축들과 각각 연결된 제1 내지 제3 유압펌프(310, 320, 330)들 각각에 전달하도록 형성된다.
제1 유압펌프(310)는 하부데크(10)의 하부에서 기어박스(220)의 상기 회전축들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여 제1 유압펌프(310)에 연결된 제1 유압모터(410)를 구동시킨다.
제1 유압모터(410)는 하부데크(10)의 하부의 분리된 공간에 배치되고, 제1 유압펌프(310)에서 방출되는 고압의 오일이 이동하는 케이블 또는 파이프는 하부데크(10)를 관통하여 제1 유압모터(410)와 연결된다.
제2 유압펌프(320)는 하부데크(10)의 하부에서 기어박스(220)의 상기 회전축들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여 제2 유압펌프(320)에 연결된 제2 유압모터(420)를 구동시킨다.
제2 유압모터(420)는 구동부(200)의 후방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하부데크(10)의 상부에 위치하고, 격벽(11)의 후방에 배치되며, 제2 유압펌프(320)에서 방출되는 고압의 오일이 이동하는 케이블 또는 파이프는 격벽(11)을 관통하여 제2 유압모터(420)와 연결된다.
제3 유압펌프(330)는 하부데크(10)의 하부에서 기어박스(220)의 상기 회전축들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여 제3 유압펌프(330)에 연결된 제3 유압모터(430)를 구동시킨다.
제3 유압모터(430)는 격벽(11)의 전방에 해당하는 공간에서 구동부(200) 및 격벽(11) 사이에 배치되고, 제3 유압펌프(330)에서 방출되는 고압의 오일이 이동하는 케이블 또는 파이프를 통해 제3 유압펌프(330)와 연결된다.
스턴 스라스터(500)(Stern Thruster)는 하부데크(10)의 하부에 형성되고, 제1 유압모터(410)의 구동축과 연결되어 제1 유압모터(410)의 구동을 통해 양측에 연결된 프로펠러들이 회전한다.
스턴 스라스터(500)는 선미의 해수에 노출되어 프로펠러들이 회전하므로 하부데크(10)의 하부 공간에 배치되어 구동부(200)가 배치되는 공간과 차단되고, 이를 통해 해수가 구동부(300)로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또한, 제1 유압모터(410)가 하부데크(10)의 하부에 배치된 상태에서도 제1 유압펌프(310)를 통해 효과적으로 동력이 전달되므로 설치가 용이하고, 제1 유압펌프(310)의 구동 제어를 통해 스턴 스라스터(500)에 설치된 프로펠러의 회전방향 또한 용이하게 전환시킬 수 있다.
발전기(520)는 하부데크(10)의 상부에서 제3 유압모터(430)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구동되고, 격벽(11)의 전방에 배치되어 해수의 유입이 발생될 수 있는 공간에 배치되는 제2 유압모터(420)와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해수 또는 습기에 의해 오작동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변속기(540)는 격벽(11)의 후방에 해당하는 공간에서 제2 유압모터(420)의 구동축과 연결되어 제2 유압모터(420)에 의해 전달받은 동력을 속도에 따라 필요한 회전력으로 전환한다.
구동전달장치(542)는 변속기(540)와 연결되어 작동하고, 변속기(540)에서 전달되는 동력을 하부를 향해 이동시켜 하부에 연결된 추진 프로펠러(600)의 프로펠러에 동력을 전달한다.
구동전달장치(542)는 추진 프로펠러(600)와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변속기(540)에서 전달되는 동력의 일부를 통해 추진 프로펠러(600)를 약 45도 회전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방향타 없이 선박의 방향 조절이 가능하다.
하부데크(10)와 해수에 노출되는 선박의 선미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해수가 격벽(11)의 후방에 해당하는 공간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격벽(11)은 구동부(200)에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이중으로 차단하므로 추진장치(100)의 안정적인 구동이 가능하다.
또한, 추진장치(100)는 제1 내지 제3 유압펌프(310, 320, 330)들 각각과 제1 내지 제3 유압모터(410, 420, 430)들 각각을 연결하는 케이블 또는 파이프의 조정을 통해 다양한 위치에 제1 내지 제3 유압모터(410, 420, 430)들을 배치할 수 있어 선박의 종류 또는 구조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추진장치(100)는 엔진(210)의 구동축이 직접적으로 구동전달장치(542) 또는 변속기(540)와 연결되는 기존의 추진장치와 달리, 격벽(11) 및 추가적인 격벽의 설치가 가능하여 해수의 유입 또는 냉각을 위한 공간 구획이 유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추진장치(100)는 제1 내지 제3 유압모터(410, 420, 430)들의 특성상 제1 내지 제3 유압모터(410, 420, 430)들 각각의 구동축의 회전수 조절이 용이하고 동력의 구동 또는 정지가 용이하며, 역회전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추진장치(100)는 엔진(210)과 연결되어 발전하는 기존의 고가의 샤프트 제너레이터(엔진축 발전기) 대신에 엔진(210)과 연결된 제3 유압모터(430)를 통해 발전기(520)를 구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추진장치(100)는 제1 내지 제3 유압모터(410, 420, 430)들의 특성상 정회전 또는 역회전이 가능하므로, 선박의 급제동 또는 후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추진장치(100)의 제1 내지 제3 유압모터(410, 420, 430)들 각각을 탄소나노튜브, 탄소섬유 또는 백금-금 합금(백금 90%, 금 10%)으로 제작되거나, 제1 내지 제3 유압모터(410, 420, 430)들 각각의 부품을 상기 백금-금 합금으로 코팅하여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추진장치(100)는 제1 내지 제3 유압펌프(310, 320, 330)들이 제1 내지 제3 유압모터(410, 420, 430)들로 인해 변속기(540), 스턴 스라스터(500) 및 추진 프로펠러(600)들 각각으로 이어지는 단순한 구조를 통해 기존의 축이나 베어링 같은 부품들이 불필요하고, 설치가 용이하며 공사기간이 단축되며, 운전이 용이하며 기능이 극대화 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발전기(520)는 엔진(210)에 연결되는 유압펌프 또는 유압모터의 추가적인 결합을 통해, 2개 이상의 복수의 발전기(520)들이 설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추진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추진장치(120)는 제3 유압모터(430) 및 발전기(520)의 위치와 격벽(12)을 제외하면, 도 2 및 3들의 추진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진장치(120)는 격벽(12)을 더 포함하고, 제3 유압모터(430) 및 발전기(520)는 구동부(200)의 전방에 배치된다.
격벽(12)은 하부데크(10)의 상부에서 엔진(210)의 전방에 형성되어 구동부(200) 및 제1 내지 제3 유압펌프(310, 320, 330)들이 배치되는 공간과 격벽(12)의 전방에 해당하는 공간을 서로 분리시킨다.
추진장치(120)는 격벽(11)을 통해 구동부(200)에 대한 해수의 유입을 방지하면서, 격벽(12)을 통해 격벽(12)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3 유압모터(430) 및 발전기(520)에 대한 해수 또는 해수에 의한 습기 유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따라서, 발전기(520)는 제3 유압펌프(330)와 연결되는 제3 유압모터(430)의 설치 가능한 위치의 용이성을 통해 격벽(12)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고, 격벽(11, 12)들을 통해 해수 또는 해수의 습기가 효과적으로 차단되는 공간에 배치되어 오작동이 현저히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추진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추진장치(130)는 상부데크(13), 제1 유압펌프(310)를 대신하여 배치되는 리드스크류(315), 제4 내지 제6 유압펌프(340, 350, 360)들, 제4 내지 제6 유압모터(440, 450, 460)들 및 스턴 스라스터(545, 550, 560)들을 제외하면, 도 2 및 3들의 추진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진장치(130)는 격벽(11)의 상부에 해당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격벽(11)의 전후방에 해당하는 공간들을 밀폐하도록 형성되는 상부데크(13)를 더 포함한다.
제3 유압모터(430) 및 발전기(520)들은 상부데크(13)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3 유압모터(430)는 상부데크(13)를 관통하여 제3 유압펌프(330)에서 고압의 오일을 전달하는 케이블 또는 파이프를 통해 제3 유압펌프(330)와 연결된다.
발전기(520)는 상부데크(13)에 배치되어 하부데크(10)의 상부에 해당하는 공간에 유입되어 오작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해수 또는 습기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발전기(520)의 위치가 상부에 위치하는 갑판실의 위치와 인접하여 전력 공급과 관련한 전기시설물의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전력의 공급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추진장치(130)는 리드스크류(315), 제4 내지 제6 유압펌프(340, 350, 360)들, 제4 내지 제6 유압모터(440, 450, 460)들 및 스턴 스라스터(545, 550, 560)들을 포함한다.
리드스크류(315)의 일단은 제1 유압펌프(310)를 대신하여 기어박스(220)의 회전축들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고, 타단은 선미를 향해 연장되어 제4 내지 제6 유압펌프(340, 350, 360)들 각각의 구동축과 결합된 웜기어들과 맞물린다.
제4 내지 제6 유압펌프(340, 350, 360)들 각각에서 방출되는 오일은 케이블 또는 파이프를 통해 격벽(11)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4 내지 제6 유압모터(440, 450, 460)들 각각으로 전달된다.
제4 내지 제6 유압모터(440, 450, 460)들 각각은 하부데크(10)에서 선미를 향해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각각의 하부에는 스턴 스라스터(545, 550, 560)들 각각이 연결된다.
따라서, 추진장치(130)는 하부데크(10)의 하부에 설치된 복수의 스턴 스라스터(545, 550, 560)들이 설치되는 경우, 리드스크류(315) 및 리드스크류(315)에 맞물린 제4 내지 제6 유압펌프(340, 350, 360)들의 구동을 통해 안정적으로 스턴 스라스터(545, 550, 560)들에 동력을 전달하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추진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추진장치(140)는 제4 유압펌프(340), 제4 유압모터(440), 변속기(544), 구동전달장치(546) 및 추진 프로펠러(620)를 제외하면, 도 2 및 3들의 추진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진장치(140)는 제4 유압펌프(340), 제4 유압모터(440), 변속기(544), 구동전달장치(546) 및 추진 프로펠러(620)를 더 포함한다.
제4 유압펌프(340)는 제1 유압펌프(310) 및 제3 유압펌프(330)의 사이에서 하부에 해당하는 기어박스(220)와 연결되어 엔진(210)의 구동력을 전달받고, 제4 유압펌프(340)는 제2 유압모터(420)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4 유압모터(440)와 연결된다.
따라서, 엔진(210)의 구동으로 제4 유압펌프(340)가 구동하면, 오일이 제4 유압모터(440)를 향해 이동하여 제4 유압모터(440)를 구동시키고, 제4 유압모터(440)의 구동축은 후방에 배치되는 변속기(544)와 연결된다.
변속기(544)는 제4 유압모터(440)의 구동축에서 전달받은 동력을 속도에 따라 필요한 회전력으로 전환하고, 전환된 회전력은 하부에 연결되는 추진 프로펠러(620)로 전달된다.
구동전달장치(546)는 추진 프로펠러(620)와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변속기(544)에서 전달되는 동력의 일부를 통해 추진 프로펠러(620)를 좌우 양측으로 45도 회전시킬 수 있어 총 90도의 회전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방향타 없이 선박의 방향 조절이 가능하다.
따라서, 추진장치(140)는 복수의 추진 프로펠러(600, 620)들을 통해 추진 증가가 가능하여 추진 프로펠러(600, 620)들, 구동전달장치(542, 546), 제2 및 제4 유압모터(420, 440)들의 소형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복수의 추진 프로펠러들을 결합시켜 소형화가 가능하고, 추진 프로펠러(600, 620)들의 회동에 의해 방향타 없이 선박의 추진 방향 제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120, 130, 140: 추진장치
200: 구동부 310: 제1 유압펌프
320: 제2 유압펌프 330: 제3 유압펌프
410: 제1 유압모터 420: 제2 유압모터
430: 제3 유압모터 500: 스턴 스라스터
600: 추진 프로펠러

Claims (6)

  1.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구동축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유압펌프들;
    상기 유압펌프들 각각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유압모터들;
    상기 유압모터들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유압을 통해 구동하는 스턴 스라스터;
    상기 유압모터들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유압을 통해 구동하고, 상기 구동부와 서로 다른 공간에 분리되도록 배치되는 추진 프로펠러; 및
    상기 유압모터들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유압을 통해 구동하고, 상기 구동부 및 추진 프로펠러들보다 상대적으로 상부에 해당하는 공간에 분리되도록 배치되는 발전기;를 포함하고,
    상기 스턴 스라스터는 상기 구동부와 서로 다른 공간에 분리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유압펌프들 중 어느 하나의 구동을 통해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부에 형성된 엔진에서 전달되는 동력을 상기 유압모터들 각각에 분배하도록 형성되는 기어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스턴 스라스터들 각각은 상기 기어박스와 연결되어 선미를 향해 연장되는 리드스크류와 맞물리는 웜기어들 각각과 연결된 복수의 상기 유압펌프들 각각의 구동으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180142307A 2018-11-19 2018-11-19 선박용 추진장치 KR102090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2307A KR102090074B1 (ko) 2018-11-19 2018-11-19 선박용 추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2307A KR102090074B1 (ko) 2018-11-19 2018-11-19 선박용 추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0074B1 true KR102090074B1 (ko) 2020-03-17

Family

ID=70003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2307A KR102090074B1 (ko) 2018-11-19 2018-11-19 선박용 추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00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2681B1 (ko) 2022-10-20 2024-02-02 김현희 선박 추진용 동력 전달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7388A (ja) * 1994-09-06 1996-05-21 Yamaha Motor Co Ltd 作業船
KR970021545A (ko) * 1995-10-31 1997-05-28 유상부 유압식 건설기계의 전자제어장치
KR20030063214A (ko) * 2002-01-22 2003-07-28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선박 및 그 운용 방법
KR20110128178A (ko) * 2009-02-12 2011-11-28 트윈 디스크, 인코포레이티드 하이브리드 선박용 동력전달 시스템
KR20170000861U (ko) * 2015-08-28 2017-03-0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드릴십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7388A (ja) * 1994-09-06 1996-05-21 Yamaha Motor Co Ltd 作業船
KR970021545A (ko) * 1995-10-31 1997-05-28 유상부 유압식 건설기계의 전자제어장치
KR20030063214A (ko) * 2002-01-22 2003-07-28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선박 및 그 운용 방법
KR20110128178A (ko) * 2009-02-12 2011-11-28 트윈 디스크, 인코포레이티드 하이브리드 선박용 동력전달 시스템
KR20170000861U (ko) * 2015-08-28 2017-03-0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드릴십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2681B1 (ko) 2022-10-20 2024-02-02 김현희 선박 추진용 동력 전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10597B (fi) Lisävoimanlähde merialuksia varten
KR101068346B1 (ko) 선박의 추진 유니트
US9452815B2 (en) Contra-rotating propulsor for marine propulsion
US5494466A (en) Transmission for dual propellers driven by an inboard marine engine
EP4077123B1 (en) Marine propulsion unit and marine vessel
KR102090074B1 (ko) 선박용 추진장치
WO2012035914A1 (ja) 舶用推進装置
US20180022419A1 (en) Engine room arrangement for a marine vessel
KR20150133926A (ko) 선박용 추진장치
WO2020083494A1 (en) Transmission device and propulsion system comprising the transmission device
CN101445154B (zh) 一种双输入多输出并车离合船用齿轮箱
KR101225179B1 (ko) 추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1261867B1 (ko) 포드형 추진기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KR20170063124A (ko) 다중 동력입력 모듈을 갖는 해양 플랜트용 아지무스 스러스터
JP2003523868A (ja) 2エンジン船舶駆動設備
JP6663213B2 (ja) 船舶用動力伝達装置
JP2015514615A (ja) 船舶用のハイブリッド駆動装置
EP4169831A1 (en) A set of parts for marine vessel propulsion assemblies
KR101510966B1 (ko) 선박용 추진장치
KR102510678B1 (ko) 전방위 추진기
JP2005145308A (ja) 船外機
KR101510964B1 (ko) 선박용 추진장치
CN104816812A (zh) 一种应急推进系统及方法
RU2330788C1 (ru) Винторулевой комплекс
JPS622599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