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8060B1 - 도난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도난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8060B1
KR100498060B1 KR10-2002-7016905A KR20027016905A KR100498060B1 KR 100498060 B1 KR100498060 B1 KR 100498060B1 KR 20027016905 A KR20027016905 A KR 20027016905A KR 100498060 B1 KR100498060 B1 KR 100498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truder
state
seat
the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6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0687A (ko
Inventor
다나카신이치
Original Assignee
후지쓰 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쓰 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쓰 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10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0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8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80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1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comprising means for locking the seat or parts thereof in a driving prevention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18Thief tr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 B60R25/02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04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e.g. current 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1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human presence inside or outside the vehic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5/00Identifying, scaring or incapacitating burglars, thieves or intruders, e.g. by explo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20Communication devices for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205Mobile 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도난을 일삼으려는 자를 붙잡을 수가 있어, 차량이나 차량에 장비(裝備)되어 있는 전장품(電裝品) 및 자동차 안에 놓여 있는 금품 등의 도난에 대한 방범성능의 향상이 도모된 도난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자동차 안에 있어서의 소정의 공간 부분에서, 침입자의 움직임을 봉쇄하는 팽창체(膨脹體)를 팽창시키는 팽창체 시스템을 구비하고, 자동차 안에 침입자가 존재하는 것이 검출되면, 자동차 안에 발포 스티롤의 원료가 되는 물질을 배출하여, 그 물건에 증기를 쏘여 발포 스티롤에 의해 침입자의 움직임을 봉쇄하도록 한다.

Description

도난방지장치{Antitheft device}
본 발명은 도난방지장치에 관하여,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이나 그 차량에 장비(裝備)되어 있는 전장품(電裝品) 및 자동차 안에 놓여 있는 금품 등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도난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본에서는 차량의 도난이나 차량털이 등의 도난사건의 발생건수 및 발생률 모두가 유럽과 미국에 비하여 낮지만, 증가하는 경향이기 때문에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근년에 들어 차량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다종다양한 도난방지장치가 고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의 도어로크(Door Lock)가 부서지거나 프런트 윈드실드(Front Windshield), 리어 윈드실드(Rear Windshield), 사이드 윈도우 글라스(Side Window Glass) 등의 창유리가 깨졌을 때 사이렌 등의 경보를 울리거나 램프 등을 깜박이게 하는 것이 있다.
이렇게 경보를 울리거나 램프를 깜박이게 함으로써, 차량의 도난이 행하여지고 있는 것을 주위에 알릴 수 있기 때문에, 그 피해를 최소한도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것으로 생각된다.
그렇지만, 주위에 아무도 없다거나, 혹은 차량에 침입한 자가 사이렌이 울리고 있거나 램프가 깜박이고 있는 것을 전혀 개의치 않으면, 차량 자체의 도난에 대해서는 막을 수 있었다 하더라도, 차량에 장비(裝備)되어 있는 전장품(電裝品)이나 자동차 안에 놓여 있던 금품에 대해서는 도둑을 맞아버릴 위험성이 높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의 하나로써, 차량의 도난을 일삼으려는 자에 대해서, 어떠한 공격을 가하여 도난 행위를 행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생각되고 있지만, 차량의 도난에는 매우 악질적인 것을 비롯하여 경범죄적인 것까지 그 수준이 각양각색이기 때문에, 도난을 일삼으려 하고 있다 하더라도 일률적으로 같은 공격을 가한다는 것은, 경우에 따라서는 문제가 될 우려가 있다. 또한, 지나친 공격은 오히려 상대를 자극해 버릴 우려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를 이용한 도난방지 시스템의 요부(要部)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제1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를 이용한 도난방지 시스템에 있어서의 마이크로컴퓨터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3은, 제2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를 이용한 도난방지 시스템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4는, 제2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를 이용한 도난방지 시스템에 있어서의 마이크로컴퓨터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5는, 제3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를 이용한 도난방지 시스템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6은, 제3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를 이용한 도난방지 시스템에 있어서의 마이크로컴퓨터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7은, 제4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를 이용한 도난방지 시스템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8은, 제4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를 이용한 도난방지 시스템에 있어서의 마이크로컴퓨터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9는, 제5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를 이용한 도난방지 시스템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0은, 제5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를 이용한 도난방지 시스템에 있어서의 마이크로컴퓨터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11은, 제6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를 이용한 도난방지 시스템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2는, 제6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를 이용한 도난방지 시스템에 있어서의 마이크로컴퓨터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13은, 제7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를 이용한 도난방지 시스템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4는, 제7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를 이용한 도난방지 시스템에 있어서의 마이크로컴퓨터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15는, 제7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를 이용한 도난방지 시스템에 있어서의 시트나 스티어링휠의 위치 변경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模式的) 설명도이다.
도 16은, 제8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를 이용한 도난방지 시스템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7은, 제8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를 이용한 도난방지 시스템에 있어서의 마이크로컴퓨터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18은, 제9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를 이용한 도난방지 시스템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9는, 제9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를 이용한 도난방지 시스템에 있어서의 마이크로컴퓨터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해서 안출된 것으로, 차량의 도난을 일삼으려는 자를 붙잡을 수 있거나 차량으로부터 내쫓을 수 있기 때문에, 그 차량이나 그 차량에 장비(裝備)되어 있는 전장품(電裝品) 및 자동차 안에 놓여 있는 금품 등의 도난에 대한 방범성능의 향상이 도모된 도난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1)는, 차량이나 차량에 장비되어 있는 전장품 및 자동차 안에 놓여 있는 금품 등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도난방지장치에 있어서,
자동차 안에 있어서의 소정의 공간 부분에서 팽창체(膨脹體)를 팽창시키는 팽창체 시스템과, 자동차 안으로의 침입자를 검출하는 침입자 검출수단과, 그 침입자 검출수단에 의해, 자동차 안에 침입자가 존재하는 것이 검출되면, 상기 팽창체를 팽창시키도록 상기 팽창체 시스템의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제1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2)는, 상기 도난방지장치(1)에 있어서, 상기 침입자 검출수단이, 탑승자의 착석을 검출하는 것이고, 상기 제1제어수단이, 보안 시스템이 설정되어 있는 등 제1소정조건이 성립하고 있을 때 탑승자의 착석이 검출되면, 침입자가 착석해 있다고 간주하여, 상기 팽창체를 팽창시키도록 상기 팽창체 시스템의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도난방지장치(1) 또는 도난방지장치(2)에 의하면, 자동차 안에 있어서의 소정의 공간 부분에서 팽창체를 팽창시키는 팽창체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에 장비되는 도난방지장치로서, 자동차 안에 침입자가 존재하는 것이 검출되면, 상기 팽창체를 팽창시켜 침입자의 움직임을 봉쇄함으로써 침입자를 잡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방범성능의 향상이 도모된 도난방지장치를 실현할 수가 있다.
더욱이, 상기한 도난방지장치(2)에 의하면, 단순히 침입자의 존재뿐만이 아니라 침입자가 운전석 등에 앉아 있는 것이 검출되면, 상기 팽창체를 팽창시키기 때문에, 침입자의 움직임을 보다 확실하게 봉쇄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3)는, 차량이나 차량에 장비되어 있는 전장품 및 자동차 안에 놓여 있는 금품 등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도난방지장치에 있어서,
자동차 안에 있어서의 소정의 공간 부분에서 팽창체를 팽창시키는 팽창체 시스템과, 자동차 안으로 침입하려고 하고 있는 자를 검출하는 침입 전 검출수단과, 그 침입 전 검출수단에 의해, 자동차 안으로 침입하려고 하고 있는 자가 검출되고 나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팽창체를 팽창시키도록 상기 팽창체 시스템의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제2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도난방지장치(3)에 의하면, 자동차 안으로 침입하려고 하고 있는 자(예를 들면, 차량으로 접근해온 자)가 검출되고 나서, 상기 소정의 시간(예를 들면, 차량의 도난을 일삼으려고 하는 자가 상기 차량에 접근한 후, 운전석이나 조수석에 착석하기까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는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팽창체를 팽창시킨다.
즉, 차량의 도난을 일삼으려고 하는 자가 운전석이나 조수석에 착석했을 무렵을 가늠하여, 상기 팽창체를 팽창시켜 침입자의 움직임을 봉쇄함으로써 침입자를 잡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방범성능의 향상이 도모된 도난방지장치를 실현할 수가 있다.
그런데, 상기한 도난방지장치(1)는, 자동차 안에 침입자가 존재하는 것이 검출되면, 상기 팽창체를 팽창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한 도난방지장치(1)의 방범기능을 정상적으로 가동시키기 위해서는, 해당 장치를 장비하는 차량에 설치된 자동차 안으로의 침입자를 검출하는 센서로부터의 신호 등을 취득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센서는, 수법이 교묘한 침입자에 의해 부서질 위험성이 있어, 만에 하나 센서가 침입자의 존재를 검출하기 전에 부서져 버린다면, 상기 팽창체를 팽창시킬 수가 없기 때문에, 침입자의 움직임을 봉쇄할 수가 없게 된다는 문제를 일으킨다.
그런데 상기한 도난방지장치(3)는, 자동차 안에 침입자가 존재하는 것이 검출되면, 상기 팽창체를 팽창시키는 것이 아니라 자동차 안으로 침입하려고 하고 있는 자(예를 들면, 차량으로 접근해온 자)가 검출되고 나서, 상기 소정의 시간(예를 들면, 차량의 도난을 일삼으려고 하는 자가 상기 차량에 접근한 후, 운전석이나 조수석에 착석하기까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는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팽창체를 팽창시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한 도난방지장치(3)의 방범기능을 정상적으로 가동시키기 위해서는, 해당 장치를 장비하는 차량에 설치된 그 차량으로 접근해온 자를 검출하는 센서로부터의 신호 등을 취득할 수가 있으면 좋다.
물론, 이러한 센서에 대해서도 수법이 교묘한 침입자에 의해 부서질 위험성은 있지만, 상기 센서는 자동차 안에 침입자가 존재하는 것을 검출하는 것이 아니라 차량으로 접근해온 자(즉, 자동차 안으로 침입하려고 하고 있는 자)를 검출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센서가 차량으로의 접근자를 검출하기 전에 부서져 버리는 일은 거의 생각할 수 없다.
따라서, 만에 하나 상기 센서가 부서지는 일이 있다 하더라도, 상기 팽창체를 팽창시켜 침입자의 움직임을 봉쇄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4)는, 상기한 도난방지장치(1) 내지 도난방지장치(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팽창체 시스템의 구동장치가 자동차 안에 발포 스티롤의 원료가 되는 물질을 배출하여, 배출한 상기 물질에 증기를 쏘인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도난방지장치(4)에 의하면, 상기 팽창체 시스템의 구동장치가 자동차 안에 발포 스티롤의 원료가 되는 물질을 배출하여, 배출한 상기 물질에 증기를 쏘이는 것이다. 따라서, 자동차 안으로의 침입자가 검출되거나 하면, 발포 스티롤(기포를 포함한 폴리스티렌)로 침입자의 움직임을 봉쇄하기 때문에, 침입자라는 이유 하나로 중상(重傷)을 입히는 일 없이 침입자의 움직임을 봉쇄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5)는, 상기한 도난방지장치(1) 내지 도난방지장치(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팽창체 시스템이 에어백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도난방지장치(5)에 의하면, 상기 팽창체 시스템이 에어백 시스템이기 때문에, 자동차 안으로의 침입자가 검출되거나 하면, 에어백을 부풀림으로써 침입자의 움직임을 봉쇄할 수가 있다. 또한, 에어백 시스템에 대해서는, 차량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해서 차량에 새롭게 장비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코스트의 삭감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6)는, 상기한 도난방지장치(1) 내지 도난방지장치(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장비된 자동차 안에 증기나 냉기 등의 가스를 분출시키는 가스분출 시스템의 구동장치에 접속되어, 상기 팽창체를 팽창시키는 조건이 성립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는 등 제2소정조건이 성립하면, 자동차 안에 가스를 분출시키도록 상기 가스분출 시스템의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제3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도난방지장치(6)에 의하면, 상기 팽창체를 팽창시키는 조건이 성립한 후, 상기 제2소정조건이 성립하면(예를 들면, 상기 팽창체의 팽창을 개시시키고 나서, 어느 정도의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차 안으로 증기나 냉기 등의 가스를 분출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만에 하나 상기 팽창체를 팽창시켰는데도 불구하고 침입자를 봉쇄할 수가 없었다 하더라도, 가스를 분출시킴으로써 침입자를 내쫓을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7)는, 상기한 도난방지장치(1) 내지 도난방지장치(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외부로의 통보를 행하는 통보수단과, 상기 팽창체를 팽창시키는 조건이 성립하면, 외부로의 통보를 행하도록 상기 통보수단을 제어하는 제1통보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도난방지장치(7)에 의하면, 상기 팽창체를 팽창시켜 침입자의 움직임을 봉쇄하려고 할 뿐만 아니라 외부(예를 들면, 경찰 등)로의 통보를 행하기 때문에, 침입자를 신속하게 붙잡을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8)는, 차량이나 차량에 장비되어 있는 전장품 및 자동차 안에 놓여 있는 금품 등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도난방지장치에 있어서,
자동차 안에 증기나 냉기 등의 가스를 분출시키는 가스분출 시스템과, 자동차 안으로의 침입자를 검출하는 침입자 검출수단과, 그 침입자 검출수단에 의해 자동차 안에 침입자가 존재하는 것이 검출되면, 자동차 안에 가스를 분출시키도록 상기 가스분출 시스템의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제4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9)는, 상기 도난방지장치(8)에 있어서, 상기 침입자 검출수단이, 탑승자의 착석을 검출하는 것이고, 상기 제4제어수단이, 보안 시스템이 설정되어 있는 등 제1소정조건이 성립하고 있을 때 탑승자의 착석이 검출되면, 침입자가 착석해 있다고 간주하여 자동차 안에 가스를 분출시키도록 상기 가스분출 시스템의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도난방지장치(8) 또는 도난방지장치(9)에 의하면, 자동차 안에 가스를 분출시키는 가스분출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에 장비되는 도난방지장치로서, 자동차 안에 침입자가 존재하는 것이 검출되면, 자동차 안에 가스를 분출시켜 침입자의 시야를 차단하거나 침입자를 놀라게 함으로써, 침입자의 움직임을 봉쇄하거나 침입자를 차량으로부터 내쫓을 수가 있기 때문에, 방범성능의 향상이 도모된 도난방지장치를 실현할 수가 있다.
더욱이, 상기한 도난방지장치(9)에 의하면, 단순히 침입자의 존재뿐만이 아니라 침입자가 운전석 등에 앉아 있는 것이 검출되면, 자동차 안에 가스를 분출시키기 때문에, 침입자의 시야를 보다 확실하게 차단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10)는, 차량이나 차량에 장비되어 있는 전장품 및 자동차 안에 놓여 있는 금품 등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도난방지장치에 있어서,
자동차 안에 증기나 냉기 등의 가스를 분출시키는 가스분출 시스템과, 자동차 안으로 침입하려고 하고 있는 자를 검출하는 침입 전 검출수단과, 그 침입 전 검출수단에 의해 자동차 안으로 침입하려고 하고 있는 자가 검출되고 나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차 안에 가스를 분출시키도록 상기 가스분출 시스템의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제5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도난방지장치(10)에 의하면, 자동차 안으로 침입하려고 하고 있는 자(예를 들면, 차량으로 접근해온 자)가 검출되고 나서, 상기 소정의 시간(예를 들면, 차량의 도난을 일삼으려고 하는 자가 상기 차량에 접근한 후, 운전석이나 조수석에 착석하기까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는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차 안에 가스를 분출시킨다.
즉, 차량의 도난을 일삼으려고 하는 자가 운전석이나 조수석에 착석했을 무렵을 가늠하여, 자동차 안에 가스를 분출시켜 침입자의 시야를 차단하거나 침입자를 놀라게 함으로써, 침입자의 움직임을 봉쇄하거나 침입자를 차량으로부터 내쫓을 수가 있기 때문에, 방범성능의 향상이 도모된 도난방지장치를 실현할 수가 있다.
그런데, 상기한 도난방지장치(8)는, 자동차 안에 침입자가 존재하는 것이 검출되면, 자동차 안에 가스를 분출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한 도난방지장치(8)의 방범기능을 정상적으로 가동시키기 위해서는, 해당 장치를 장비하는 차량에 설치된 자동차 안으로의 침입자를 검출하는 센서로부터의 신호 등을 취득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센서는, 수법이 교묘한 침입자에 의해 부서질 위험성이 있어, 만에 하나 센서가 침입자의 존재를 검출하기 전에 부서져 버린다면, 자동차 안에 가스를 분출시킬 수가 없기 때문에, 침입자의 움직임을 봉쇄할 수가 없게 된다는 문제를 일으킨다.
그런데, 상기한 도난방지장치(10)는, 자동차 안에 침입자가 존재하는 것이 검출되면, 가스를 분출시키는 것이 아니라 자동차 안으로 침입하려고 하고 있는 자(예를 들면, 차량으로 접근해온 자)가 검출되고 나서, 상기 소정의 시간(예를 들면, 차량의 도난을 일삼으려고 하는 자가 상기 차량에 접근한 후, 운전석이나 조수석에 착석하기까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는 시간)이 경과하면, 가스를 분출시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한 도난방지장치(10)의 방범기능을 정상적으로 가동시키기 위해서는, 해당 장치를 장비하는 차량에 설치된 그 차량으로 접근해온 자를 검출하는 센서로부터의 신호 등을 취득할 수가 있으면 좋다.
물론, 이러한 센서에 대해서도 수법이 교묘한 침입자에 의해 부서질 위험성은 있지만, 상기 센서는 자동차 안에 침입자가 존재하는 것을 검출하는 것이 아니라 차량으로 접근해온 자(즉, 자동차 안으로 침입하려고 하고 있는 자)를 검출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센서가 차량으로의 접근자를 검출하기 전에 부서져 버리는 일은 거의 생각할 수 없다.
따라서, 만에 하나 상기 센서가 부서지는 일이 있다 하더라도 자동차 안에 가스를 분출시켜 침입자를 내쫓을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11)는, 차량이나 차량에 장비되어 있는 전장품 및 자동차 안에 놓여 있는 금품 등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도난방지장치에 있어서,
자동차 안에 설치된 시트의 상태를 변경하는 시트상태 변경 시스템과, 자동차 안으로의 침입자를 검출하는 침입자 검출수단과, 그 침입자 검출수단에 의해 자동차 안에 침입자가 존재하는 것이 검출되면, 침입자의 움직임을 봉쇄하도록, 상기 시트의 상태를 제1소정상태로 변경시키도록 상기 시트상태 변경 시스템의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제6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12)는, 상기 도난방지장치(11)에 있어서, 상기 침입자 검출수단이 탑승자의 착석을 검출하는 것이고, 상기 제6제어수단이, 보안 시스템이 설정되어 있는 등 제1소정조건이 성립하고 있을 때 탑승자의 착석이 검출되면, 침입자가 착석해 있다고 간주하여 침입자의 움직임을 봉쇄하도록, 상기 시트의 상태를 제1소정상태로 변경시키도록 상기 시트상태 변경 시스템의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도난방지장치(11) 또는 도난방지장치(12)에 의하면, 자동차 안에 설치된 시트의 상태를 변경하는 시트상태 변경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에 장비되는 도난방지장치로서, 자동차 안에 침입자가 존재하는 것이 검출되면, 상기 시트의 상태를 상기 제1소정상태(예를 들면, 차량의 앞쪽으로 슬라이드 이동한 상태)로 변경시켜, 침입자의 움직임을 봉쇄함으로써 침입자를 잡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방범성능의 향상이 도모된 도난방지장치를 실현할 수가 있다.
더욱이, 상기한 도난방지장치(12)에 의하면, 단순히 침입자의 존재뿐만이 아니라 침입자가 운전석 등에 앉아 있는 것이 검출되면, 상기 시트의 상태를 상기 제1소정상태로 변경시키기 때문에, 침입자의 움직임을 보다 확실하게 봉쇄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13)는, 차량이나 차량에 장비되어 있는 전장품 및 자동차 안에 놓여 있는 금품 등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도난방지장치에 있어서,
자동차 안에 설치된 시트의 상태를 조정하는 시트상태 변경 시스템과, 자동차 안으로 침입하려고 하고 있는 자를 검출하는 침입 전 검출수단과, 그 침입 전 검출수단에 의해, 자동차 안으로 침입하려고 하고 있는 자가 검출되고 나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침입자의 움직임을 봉쇄하도록, 상기 시트의 상태를 제1소정상태로 변경시키도록 상기 시트상태 변경 시스템의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제7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도난방지장치(13)에 의하면, 자동차 안에 설치된 시트의 상태를 변경하는 시트상태 변경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에 장비되는 도난방지장치로서, 자동차 안으로 침입하려고 하고 있는 자(예를 들면, 차량으로 접근해온 자)가 검출되고 나서, 상기 소정의 시간(예를 들면, 차량의 도난을 일삼으려고 하는 자가 상기 차량에 접근한 후, 운전석이나 조수석에 착석하기까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는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시트의 상태를 상기 제1소정상태(예를 들면, 차량의 앞쪽으로 슬라이드 이동한 상태)로 변경시킨다.
즉, 차량의 도난을 일삼으려고 하는 자가 운전석이나 조수석에 착석했을 무렵을 가늠하여, 상기 시트의 상태를 상기 제1소정상태로 변경시켜 침입자의 움직임을 봉쇄함으로써 침입자를 잡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방범성능의 향상이 도모된 도난방지장치를 실현할 수가 있다.
그런데, 상기한 도난방지장치(11)는, 자동차 안에 침입자가 존재하는 것이 검출되면, 상기 시트의 상태를 상기 제1소정상태로 변경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한 도난방지장치(11)의 방범기능을 정상적으로 가동시키기 위해서는, 해당 장치를 장비하는 차량에 설치된 자동차 안으로의 침입자를 검출하는 센서로부터의 신호 등을 취득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센서는, 수법이 교묘한 침입자에 의해 부서질 위험성이 있어, 만에 하나 센서가 침입자의 존재를 검출하기 전에 부서져 버린다면, 상기 시트의 상태를 상기 제1소정상태로 변경시킬 수가 없기 때문에, 침입자의 움직임을 봉쇄할 수가 없게 된다는 문제를 일으킨다.
그런데, 상기한 도난방지장치(13)는, 자동차 안에 침입자가 존재하는 것이 검출되면, 상기 시트의 상태를 상기 제1소정상태로 변경시키는 것이 아니라 자동차 안으로 침입하려고 하고 있는 자(예를 들면, 차량으로 접근해온 자)가 검출되고 나서, 상기 소정의 시간(예를 들면, 차량의 도난을 일삼으려고 하는 자가 상기 차량에 접근한 후, 운전석이나 조수석에 착석하기까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는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시트의 상태를 상기 제1소정상태로 변경시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한 도난방지장치(13)의 방범기능을 정상적으로 가동시키기 위해서는, 해당 장치를 장비하는 차량에 설치된 그 차량으로 접근해온 자를 검출하는 센서로부터의 신호 등을 취득할 수가 있으면 좋다.
물론, 이러한 센서에 대해서도 수법이 교묘한 침입자에 의해 부서질 위험성은 있지만, 상기 센서는 자동차 안에 침입자가 존재하는 것을 검출하는 것이 아니라 차량으로 접근해온 자(즉, 자동차 안으로 침입하려고 하고 있는 자)를 검출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센서가 차량으로의 접근자를 검출하기 전에 부서져 버리는 일은 거의 생각할 수 없다.
따라서, 만에 하나 상기 센서가 부서지는 일이 있다 하더라도, 상기 시트의 상태를 상기 제1소정상태로 변경시켜 침입자의 움직임을 봉쇄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14)는, 상기 도난방지장치(11) 내지 도난방지장치(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소정상태가 상기 시트를 상기 차량의 앞쪽으로 이동시킨 상태 및/또는 상기 시트의 등받이 부분을 상기 차량의 앞쪽으로 기울여 넘어뜨린〔경도(傾倒)시킨〕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도난방지장치(14)에 의하면, 상기 제1소정상태가 상기 시트를 상기 차량의 앞쪽으로 이동시킨 상태 및/또는 상기 시트의 등받이 부분을 상기 차량의 앞쪽으로 기울여 넘어뜨린 상태이다. 따라서 예를 들면, 침입자가 운전석에 앉거나 하면, 운전석의 시트를 앞쪽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거나 시트의 등받이 부분을 앞쪽으로 기울여 넘어뜨리기 때문에, 침입자라는 이유 하나로 중상을 입히는 일 없이 침입자의 움직임을 확실하게 봉쇄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15)는, 상기 도난방지장치(11) 내지 도난방지장치(1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장비되었던 스티어링(Steering)의 상태를 변경하는 스티어링 상태변경 시스템의 구동장치에 접속되어, 상기 시트의 상태를 상기 제1소정상태로 변경시키는 조건이 성립하면, 침입자의 움직임을 봉쇄하도록, 상기 스티어링의 상태를 제2소정상태로 변경시키도록 상기 스티어링 상태변경 시스템의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제8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도난방지장치(15)에 의하면, 상기 시트의 상태를 상기 제1소정상태로 변경시키는 조건이 성립하면, 상기 시트의 상태를 상기 제1소정상태로 변경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스티어링의 상태를 상기 제2소정상태(예를 들면, 아래쪽으로 기울여 쓰러뜨린 상태)로 변경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상기 시트의 상태 변경만으로는 침입자를 충분히 봉쇄할 수가 없었다 하더라도, 상기 스티어링의 상태를 변경시킴으로써, 침입자를 보다 확실하게 봉쇄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16)는, 상기 도난방지장치(15)에 있어서, 상기 제2소정상태가 상기 스티어링을 아래쪽으로 기울여 쓰러뜨린 상태 및/또는 상기 차량의 뒤쪽으로 쑥 내민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도난방지장치(16)에 의하면, 상기 제2소정상태가 상기 스티어링을 아래쪽으로 기울여 쓰러뜨린 상태 및/또는 상기 차량의 뒤쪽으로 쑥 내민 상태이다. 따라서 예를 들면, 침입자가 운전석에 앉거나 하면, 상기 스티어링을 아래쪽으로 기울여 넘어뜨리거나 상기 스티어링을 침입자를 향해 쑥 내밀게 하거나 하기 때문에, 침입자라는 이유 하나로 중상을 입히는 일 없이 침입자의 움직임을 확실하게 봉쇄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17)는, 상기 도난방지장치(11) 내지 도난방지장치(1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장비된 자동차 안에 있어서의 소정의 공간 부분에서 팽창체를 팽창시키는 팽창체 시스템의 구동장치에 접속되어, 상기 시트의 상태를 상기 제1소정상태로 변경시키는 조건이 성립하면, 상기 팽창체를 팽창시키도록 상기 팽창체 시스템의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제9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18)는, 상기 도난방지장치(17)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공간 부분이 상기 시트의 부근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도난방지장치(17) 또는 도난방지장치(18)에 의하면, 상기 시트의 상태를 상기 제1소정상태로 변경시키는 조건이 성립하면, 상기 시트의 상태를 상기 제1소정상태로 변경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팽창체를 팽창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상기 시트의 상태 변경만으로는 침입자를 충분히 봉쇄할 수가 없었다 하더라도, 상기 팽창체를 팽창시킴으로써, 침입자를 보다 확실하게 봉쇄할 수가 있다.
더욱이, 상기한 도난방지장치(18)에 의하면, 상기 시트의 부근에서 상기 팽창체를 팽창시키기 때문에, 특히 상기 시트에 앉아 있는 침입자에 대해서는 확실하게 봉쇄하여 붙잡을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19)는, 상기 도난방지장치(17) 또는 도난방지장치(18)에 있어서, 상기 팽창체 시스템의 구동장치가 자동차 안에 발포 스티롤의 원료가 되는 물질을 배출하여, 배출한 상기 물질에 증기를 쏘인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도난방지장치(19)에 의하면, 상기 팽창체 시스템의 구동장치가 자동차 안에 발포 스티롤의 원료가 되는 물질을 배출하여, 배출한 상기 물질에 증기를 쏘이는 것이다. 따라서, 자동차 안으로의 침입자가 검출되거나 하면, 발포 스티롤(기포를 포함한 폴리스티렌)로 침입자의 움직임을 봉쇄하기 때문에, 침입자라는 이유 하나로 중상을 입히는 일 없이 침입자의 움직임을 봉쇄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20)는, 상기 도난방지장치(17) 또는 도난방지장치(18)에 있어서, 상기 팽창체 시스템이 에어백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도난방지장치(20)에 의하면, 상기 팽창체 시스템이 에어백 시스템이기 때문에, 자동차 안으로의 침입자가 검출되거나 하면, 에어백을 부풀림으로써 침입자의 움직임 등을 봉쇄할 수가 있다. 또한, 에어백 시스템에 대해서는, 차량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해서 차량에 새롭게 장비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코스트의 삭감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21)는, 상기 도난방지장치(11) 내지 도난방지장치(2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장비된 자동차 안에 증기나 냉기 등의 가스를 분출시키는 가스분출 시스템의 구동장치에 접속되어, 상기 시트의 상태를 상기 제1소정상태로 변경시키는 조건이 성립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는 등 제3소정조건이 성립하면, 자동차 안에 가스를 분출시키도록 상기 가스분출 시스템의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제10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도난방지장치(21)에 의하면, 상기 시트의 상태를 상기 제1소정상태로 변경시키는 조건이 성립한 후, 상기 제3소정조건이 성립하면(예를 들면, 상기 시트의 상태를 변경시키고 나서 어느 정도의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차 안으로 증기나 냉기 등의 가스를 분출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만에 하나 상기 시트의 상태를 변경시켰는데도 불구하고 침입자를 봉쇄할 수가 없었다 하더라도, 가스를 분출시킴으로써 침입자를 내쫓을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22)는, 상기한 도난방지장치(11) 내지 도난방지장치(2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외부로의 통보를 행하는 통보수단과, 상기 시트의 상태를 상기 제1소정상태로 변경시키는 조건이 성립하면, 외부로의 통보를 행하도록 상기 통보수단을 제어하는 제2통보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도난방지장치(22)에 의하면, 상기 시트의 상태를 변경시켜 침입자의 움직임을 봉쇄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외부(예를 들면, 경찰 등)로의 통보를 행하기 때문에, 침입자를 신속하게 붙잡을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제1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를 채용한 도난방지 시스템의 요부(要部)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면 중 (11)은 송신기를 나타내고 있고, 송신기(11)는 마이크로컴퓨터(12), 로크 스위치(13), 언로크 스위치(14), 송신회로(15), 안테나(16) 및 ID코드를 기억하는 EEPROM(17)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로크 스위치(13) 및 언로크 스위치(14)는 마이크로컴퓨터(12)의 입력단자에 접속되고, 로크 스위치(13) 또는 언로크 스위치(14)가 푸시(Push)되면, 마이크로컴퓨터(12)는 각 스위치에 대응하는 도어로크 지령코드를 ROM(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받아들여, ID코드에 상기 도어로크 지령코드를 부가한 신호를 송신회로(15)를 통해서 안테나(16)로부터 송신하도록 되어 있다.
도난방지 시스템의 본체를 구성하는 마이크로컴퓨터(21)는, 안테나(23) 및 수신회로(22)를 통해서 수신된 신호(ID코드+도어로크 지령코드)에 포함되는 ID코드가 EEPROM(24)에 기억된 ID코드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일치할 경우에는 상기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도어로크 지령코드와, 도어의 개폐상태를 검출하는 도어 커티시 스위치(25)로부터의 신호에 따른 처리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도어로크 지령코드가 도어의 로크를 나타내는 것이며, 더욱이 도어 커티시 스위치(25)로부터의 검출 신호가 도어가 닫힌 상태이면, 도어를 잠그도록 도어로크 액츄에이터(26)를 제어함과 동시에, 아밍 모드(즉, 보안 시스템의 설정상태)로 설정한다. 또한, 상기 도어로크 지령코드가 도어의 언로크를 나타내는 것이면, 도어를 언로크하도록 도어로크 액츄에이터(26)를 제어함과 동시에, 아밍 모드를 해제하여, 디스아밍 모드〔Disarming Mode(즉, 보안 시스템을 리셋)〕로 한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21)는, 아밍 모드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 자동차 안으로의 침입자를 검출하는 침입자 검출수단으로서의 침입자 검출센서(27)로부터의 신호를 받아들여, 받아들인 신호에 의거하여, 운전석이나 조수석 주변에 발포 스티롤의 원료가 되는 물질(예를 들면, 직경 5㎜만한 알갱이)을 다수 배출하여, 배출한 상기 물질에 증기를 쏘이는 기능을 시동시키는 구동장치(28)(이들 발포 스티롤의 원료, 증기를 닿게 하는 기능 및 구동장치(28)를 포함하여 팽창체 시스템이 구성되어 있다)를 제어하거나, 침입자의 시계를 차단할 수 있을 정도의 대량의 증기(또는 냉기)를 분출하는 수단(도시하지 않음)을 구동시키는 구동장치(29)(이들 분출수단 및 구동장치(29)를 포함하여 가스분출 시스템이 구성되어 있다)를 제어하거나, 자동차전화(30)를 제어하여 경찰에게 통보하도록 되어 있고, 이 마이크로컴퓨터(21)에 의하여 제1 제어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더욱이, 침입자 검출센서(27)로써는, 자동차 안에 침입한 사람의 움직임을 초음파로 검출하는 방법 등을 들 수가 있다.
다음은, 제1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를 채용한 도난방지 시스템에 있어서의 마이크로컴퓨터(21)가 행하는 처리동작①을 도 2에 나타낸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자동차 안에 침입자가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f1)가 1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1)〕, 플래그(f1)가 1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아밍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2)〕, 아밍 모드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침입자 검출센서(27)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자동차 안에 침입자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3)〕. 한편, 아밍 모드로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처리동작①을 종료한다.
스텝(S3)에 있어서의 판단으로, 자동차 안에 침입자가 있다고 판단하면, 플래그(f1)를 1로 하고〔스텝(S4)〕, 타이머(t)를 시동시켜〔스텝(S5)〕, 운전석이나 조수석 주변에 발포 스티롤의 원료가 되는 물질을 배출시켜, 상기 물질에 증기를 쏘이게 하도록 구동장치(28)를 제어하고〔스텝(S6)〕, 더욱이 자동차전화(30)를 사용하여 경찰에게 통보를 행하고〔스텝(S7)〕, 그 후 스텝(S8)으로 진행한다. 한편, 자동차 안에 침입자가 없다고 판단하면, 발포 스티롤의 원료가 되는 상기 물질을 배출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그대로 처리동작①을 종료한다.
스텝(S8)에서는, 타이머(t)가 소정의 시간〔t1(예를 들면, 20초)〕이 경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8)〕, 타이머(t)가 소정의 시간(t1)이 경과하고 있다, 즉, 발포 스티롤의 형성을 개시시키고 나서 소정의 시간(t1)이 경과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대량의 증기(또는 냉기)를 분출시키도록 구동장치(29)를 제어하여〔스텝(S9)〕, 플래그(f1)를 0으로 되돌린다〔스텝(S10)〕. 한편, 타이머(t)가 소정의 시간(t1)이 경과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그대로 처리동작①을 종료한다.
그런데, 스텝(S1)에 있어서의 판단 처리로, 플래그(f1)가 1이라고 판단하면, 발포 스티롤에 대해서는 이미 형성을 끝낸 상태이고 경찰에게도 통보를 끝낸 상태이기 때문에, 스텝(S2) 내지 스텝(S7)을 건너뛰고, 스텝(S8)으로 진행한다.
상기 제1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에 의하면, 자동차 안으로의 침입자가 검출되면, 운전석이나 조수석 주변에 발포 스티롤의 원료가 되는 물질을 배출하여, 그 물질에 증기를 쏘여 팽창시키고(예를 들면, 약 30배 내지 80배), 팽창시킨 발포 스티롤로 침입자의 움직임을 봉쇄함으로써, 침입자를 붙잡을 수가 있다.
또한, 발포 스티롤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자동차 안에 대량의 증기(또는 냉기)를 분출시키기 때문에, 만에 하나 발포 스티롤에 의해 침입자를 봉쇄할 수가 없었다 하더라도, 가스에 의해 침입자를 내쫓을 수가 있다. 더욱이, 발포 스티롤이나 가스에 의해 침입자의 움직임을 봉쇄할 뿐만 아니라 외부(예를 들면, 경찰 등)로의 통보를 행하기 때문에, 침입자를 신속하게 잡는 것도 가능해진다.
도 3은, 제2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를 채용한 도난방지 시스템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단, 도 1에 나타낸 도난방지 시스템과 동일한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기하고, 여기에서는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난방지 시스템의 본체를 구성하는 마이크로컴퓨터(31)는, 안테나(23) 및 수신회로(22)를 통해서 수신된 신호(ID코드+도어로크 지령코드)에 포함되는 ID코드가 EEPROM(24)에 기억된 ID코드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일치할 경우에는 상기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도어로크 지령코드와, 도어의 개폐상태를 검출하는 도어 커티시 스위치(25)로부터의 신호에 따른 처리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31)는, 자동차 안으로 침입하려고 하고 있는 자(여기에서는, 차량에 접근한 자)를 검출하는 침입 전 검출수단으로서의 접근자 검출센서(32)로부터의 신호를 받아들이도록 되어 있어, 접근자 검출센서(32)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구동장치(28), 구동장치(29), 자동차전화(30) 및 경보장치(33)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고, 이 마이크로컴퓨터(31)에 의하여 제2 제어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더욱이, 접근자 검출센서(32)로써는, 차량에 접근한 자의 움직임을 초음파로 검출하는 방법 등을 들 수가 있다.
다음은, 제2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를 채용한 도난방지 시스템에 있어서의 마이크로컴퓨터(31)가 행하는 처리동작②을 도 4에 나타낸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자동차 안에 침입자가 존재한다고 간주한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f2)〔뒤에 기술하는 스텝(S29)을 참조〕가 1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21)〕, 플래그(f2)가 1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차량으로의 접근자가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f3)가 1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22)〕.
플래그(f3)가 1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접근자 검출센서(32)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차량에 접근하고 있는 자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23)〕, 접근자가 존재한다고 판단하면, 아밍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24)〕. 한편, 접근자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처리동작②을 종료한다.
스텝(S24)에 있어서의 판단으로, 아밍 모드가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플래그(f3)를 1로 하고〔스텝(S25)〕, 타이머(t)를 시동시켜〔스텝(S26)〕, 경보 부저를 울리도록 경보장치(33)를 제어하고〔스텝(S27)〕, 이어서 타이머(t)가 소정의 시간〔t2(예를 들면, 10초)〕이 경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28)〕. 한편, 아밍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처리동작②을 종료한다.
스텝(S28)에 있어서의 판단으로, 타이머(t)가 소정의 시간(t2)이 경과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차량에 접근해온 자가 자동차 안에 침입하여 운전석이나 조수석에 앉아 있다고 간주하여, 플래그(f2)를 1로 하고〔스텝(S29)〕, 운전석이나 조수석 주변에 발포 스티롤의 원료가 되는 물질을 배출시켜, 상기 물질에 증기를 쏘이게 하도록 구동장치(28)를 제어하고〔스텝(S30)〕, 더욱이 자동차전화(30)를 사용하여 경찰에게 통보를 행하고〔스텝(S31)〕, 그 후 스텝(S32)으로 진행한다.
스텝(S32)에서는, 타이머(t)가 소정의 시간〔t3(예를 들면, 30초)〕이 경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32)〕, 타이머(t)가 소정의 시간(t3)이 경과하고 있다, 즉, 발포 스티롤의 형성을 개시시키고 나서 소정의 시간〔t1(=t3-t2 )〕이 경과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대량의 증기(또는 냉기)를 분출시키도록 구동장치(29)를 제어하고〔스텝(S33)〕, 플래그(f2) 및 플래그(f3)를 0으로 되돌린다〔스텝(S34)〕. 한편, 타이머(t)가 소정의 시간(t3)이 경과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그대로 처리동작②을 종료한다.
그런데, 스텝(S28)에 있어서의 판단 처리로, 타이머(t)가 소정의 시간(t2)이 경과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접근자 검출센서(32)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차량에 접근해온 자가 상기 차량으로부터 떠났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35)〕. 상기 접근자가 상기 차량으로부터 떠났다고 판단하면, 자동차 안에 발포 스티롤의 원료가 되는 상기 물질을 배출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플래그(f3)를 0으로 되돌린다〔스텝(S36)〕. 한편, 상기 접근자가 상기 차량으로부터 떠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그대로 처리동작②을 종료한다.
또한, 스텝(S22)에 있어서의 판단 처리로, 플래그(f3)가 1이라고 판단하면, 상기 차량으로의 접근자에 대해서는 검출을 끝낸 상태이고 경보 부저도 울리고 있기 때문에, 스텝(S23) 내지 스텝(S27)을 건너뛰고, 스텝(S28)으로 진행한다. 또한, 스텝(S21)에 있어서의 판단 처리로, 플래그(f2)가 1이라고 판단하면, 발포 스티롤에 대해서는 이미 형성을 끝낸 상태이고 경찰에게도 통보를 끝낸 상태이기 때문에, 스텝(S22) 내지 스텝(S31)을 건너뛰고, 스텝(S32)으로 진행한다.
상기 제2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에 의하면, 아밍 모드가 설정되어 있을 때 자동차 안으로 침입하려고 하고 있는 자(예를 들면, 차량으로 접근해온 자)가 검출되고 나서, 소정의 시간〔t2(예를 들면, 차량의 도난을 일삼으려고 하는 자가 상기 차량에 접근한 후, 운전석이나 조수석에 착석하기까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는 시간)〕이 경과하면, 운전석이나 조수석 주변에 발포 스티롤의 원료가 되는 물질을 배출하여, 그 물질에 증기를 쏘여 팽창시키고(예를 들면, 약 30배 내지 80배), 팽창시킨 발포 스티롤로 침입자의 움직임을 봉쇄함으로써, 침입자를 붙잡을 수가 있다.
즉, 차량의 도난을 일삼으려고 하는 자가 운전석이나 조수석에 착석했을 무렵을 가늠하여, 발포 스티롤을 형성하여 침입자의 움직임을 봉쇄함으로써 침입자를 잡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방범성능의 향상이 도모된 도난방지장치를 실현할 수가 있다.
또한, 발포 스티롤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자동차 안에 대량의 증기(또는 냉기)를 분출시키기 때문에, 만에 하나 발포 스티롤에 의해 침입자를 봉쇄할 수가 없었다 하더라도, 가스에 의해 침입자를 내쫓을 수가 있다. 더욱이, 발포 스티롤이나 가스에 의해 침입자의 움직임을 봉쇄할 뿐만 아니라 외부(예를 들면, 경찰 등)로의 통보를 행하기 때문에, 침입자를 신속하게 잡는 것도 가능해진다.
더욱이, 여기에서는 자동차 안으로 침입하려고 하고 있는 자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으로써, 차량에 접근한 자를 초음파로 검출하는 접근자 검출센서(32)를 이용하는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있지만, 다른 검출 방법으로써는 도어가 정당한 수단으로 열렸는지의 여부를, 키 실린더의 회전을 검출하는 스위치, 키 실린더의 유무를 검출하는 스위치 및 도어의 개폐를 검출하는 스위치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논리적으로 판단하는 방법이나 창유리가 깨어진 것을 진동 센서로 검출하는 방법 등을 들 수가 있다.
도 5는, 제3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를 채용한 도난방지 시스템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단, 도 1에 나타낸 도난방지 시스템과 동일한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기하고, 여기에서는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난방지 시스템의 본체를 구성하는 마이크로컴퓨터(34)는, 안테나(23) 및 수신회로(22)를 통해서 수신된 신호(ID코드+도어로크 지령코드)에 포함되는 ID코드가 EEPROM(24)에 기억된 ID코드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일치할 경우에는 상기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도어로크 지령코드와, 도어의 개폐상태를 검출하는 도어 커티시 스위치(25)로부터의 신호에 따른 처리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34)는, 운전석 및 조수석으로의 착석을 검출하는 착석 검출센서(35)로부터의 신호를 받아들이도록 되어 있어, 착석 검출센서(35)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구동장치(28)와 구동장치(29) 및 자동차전화(30)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더욱이, 착석 검출센서(35)로써는, 운전석 등에 내장(內藏)하는 중량 센서로 검출하는 방법 등을 들 수가 있다.
다음은, 제3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를 채용한 도난방지 시스템에 있어서의 마이크로컴퓨터(34)가 행하는 처리동작③을 도 6에 나타낸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자동차 안에 침입자가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f1)가 1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41)〕, 플래그(f1)가 1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착석 검출센서(35)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운전석 또는 조수석으로의 착석이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42)〕, 착석이 있었다고 판단하면, 아밍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43)〕. 한편, 착석이 없다고 판단하면, 처리동작③을 종료한다.
스텝(S42)에 있어서의 판단으로, 아밍 모드가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운전석 또는 조수석에 앉아 있는 자가 자동차 안으로의 침입자(즉, 정규 사용자가 아닌 자)인 것으로 간주하여, 플래그(f1)를 1로 하고〔스텝(S44)〕, 타이머(t)를 시동시켜〔스텝(S45)〕, 운전석이나 조수석 주변에 발포 스티롤의 원료가 되는 물질을 배출시켜, 상기 물질에 증기를 쏘이게 하도록 구동장치(28)를 제어하고〔스텝(S46)〕, 더욱이 자동차전화(30)를 사용하여 경찰에게 통보를 행하고〔스텝(S47)〕, 그 후 스텝(S48)으로 진행한다. 한편, 아밍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운전석 또는 조수석에 앉아 있는 자가 정규 사용자인 것으로 간주하여, 발포 스티롤의 원료가 되는 상기 물질을 배출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그대로 처리동작③을 종료한다.
스텝(S48)에서는, 타이머(t)가 소정의 시간〔t1(예를 들면, 10초)〕이 경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48)〕, 타이머(t)가 소정의 시간(t1)이 경과하고 있다, 즉, 발포 스티롤의 형성을 개시시키고 나서 소정의 시간(t1)이 경과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대량의 증기(또는 냉기)를 분출시키도록 구동장치(29)를 제어하고〔스텝(S49)〕, 플래그(f1)를 0으로 되돌린다〔스텝(S50)〕. 한편, 타이머(t)가 소정의 시간(t1)이 경과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그대로 처리동작②을 종료한다.
그런데, 스텝(S41)에 있어서의 판단 처리로, 플래그(f1)가 1이라고 판단하면, 발포 스티롤에 대해서는 이미 형성을 끝낸 상태이고 경찰에게도 통보를 끝낸 상태이기 때문에, 스텝(S42) 내지 스텝(S47)을 건너뛰고, 스텝(S48)으로 진행한다.
상기 제3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에 의하면, 아밍 모드가 설정되어 있을 때 운전석 또는 조수석의 착석이 검출되면, 운전석이나 조수석 주변에 발포 스티롤의 원료가 되는 물질을 배출하여, 그 물질에 증기를 쏘여 팽창시키고(예를 들면, 약 30배 내지 80배), 팽창시킨 발포 스티롤로 침입자의 움직임을 봉쇄함으로써, 침입자를 붙잡을 수가 있다.
또한, 침입자가 운전석 또는 조수석에 앉았을 때, 즉 침입자가 소정의 장소에 존재할 때 발포 스티롤로 움직임을 봉쇄하기 때문에, 보다 확실하게 침입자를 붙잡을 수가 있다.
또한, 발포 스티롤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자동차 안에 대량의 증기(또는 냉기)를 분출시키기 때문에, 만에 하나 발포 스티롤에 의해 침입자를 봉쇄할 수가 없었다 하더라도, 가스에 의해 침입자를 내쫓을 수가 있다. 더욱이, 발포 스티롤이나 가스에 의해 침입자의 움직임을 봉쇄할 뿐만 아니라 외부(예를 들면, 경찰 등)로의 통보를 행하기 때문에, 침입자를 신속하게 잡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로는, 자동차 안에 침입자가 있거나 침입자가 운전석 등에 앉아 있거나 하면, 운전석이나 조수석 주변에 발포 스티롤의 원료가 되는 물질을 배출하여, 상기 물질에 증기를 쏘여 발포 스티롤에 의해 침입자의 움직임을 봉쇄하도록 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로는, 발포 스티롤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에어백 등을 부풀리게 하도록 해도 좋다.
도 7은, 제4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를 채용한 도난방지 시스템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단, 도 1에 나타낸 도난방지 시스템과 동일한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기하고, 여기에서는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난방지 시스템의 본체를 구성하는 마이크로컴퓨터(36)는, 안테나(23) 및 수신회로(22)를 통해서 수신된 신호(ID코드+도어로크 지령코드)에 포함되는 ID코드가 EEPROM(24)에 기억된 ID코드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일치할 경우에는 상기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도어로크 지령코드와, 도어의 개폐상태를 검출하는 도어 커티시 스위치(25)로부터의 신호에 따른 처리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36)는, 아밍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자동차 안으로의 침입자를 검출하는 침입자 검출센서(27)로부터의 신호를 받아들여, 받아들인 신호에 의거하여, 침입자의 시야를 차단할 수 있을 정도의 대량의 증기(또는 냉기)를 분출하는 기능을 구동시키는 구동장치(29)를 제어하거나 자동차전화(30)를 제어하여 경찰에게 통보하도록 되어 있다. 더욱이, 침입자 검출센서(27)로써는, 자동차 안에 침입한 사람의 움직임을 초음파로 검출하는 방법 등을 들 수가 있다.
다음은, 제4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를 채용한 도난방지 시스템에 있어서의 마이크로컴퓨터(36)가 행하는 처리동작④을 도 8에 나타낸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아밍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51)〕, 아밍 모드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침입자 검출센서(27)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자동차 안에 침입자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52)〕. 한편, 아밍 모드로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처리동작④을 종료한다.
스텝(S52)에 있어서의 판단으로, 자동차 안에 침입자가 있다고 판단하면, 대량의 증기(또는 냉기)를 분출시키도록 구동장치(29)를 제어하고〔스텝(S53)〕, 더욱이 자동차전화(30)를 사용하여 경찰에게 통보를 행한다〔스텝(S54)〕. 한편, 자동차 안에 침입자가 없다고 판단하면, 증기(또는 냉기)를 분출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그대로 처리동작④을 종료한다.
상기 제4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에 의하면, 자동차 안으로의 침입자가 검출되면, 자동차 안에 대량의 증기(또는 냉기)를 분출시켜 침입자의 시야를 차단하거나 침입자를 놀라게 함으로써, 침입자의 움직임을 봉쇄하거나 침입자를 차량으로부터 내쫓을 수가 있다. 더욱이, 가스에 의해 침입자의 시야를 차단할 뿐만 아니라 외부(예를 들면, 경찰 등)로의 통보를 행하기 때문에, 침입자를 신속하게 잡는 것도 가능해진다.
도 9는, 제5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를 채용한 도난방지 시스템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단, 도 1에 나타낸 도난방지 시스템과 동일한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기하고, 여기에서는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난방지 시스템의 본체를 구성하는 마이크로컴퓨터(37)는, 안테나(23) 및 수신회로(22)를 통해서 수신된 신호(ID코드+도어로크 지령코드)에 포함되는 ID코드가 EEPROM(24)에 기억된 ID코드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일치할 경우에는 상기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도어로크 지령코드와, 도어의 개폐상태를 검출하는 도어 커티시 스위치(25)로부터의 신호에 따른 처리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37)는, 자동차 안으로 침입하려고 하고 있는 자(여기에서는, 차량에 접근한 자)를 검출하는 접근자 검출센서(32)로부터의 신호를 받아들이도록 되어 있어, 접근자 검출센서(32)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구동장치(29)와 자동차전화(30) 및 경보장치(33)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더욱이, 접근자 검출센서(32)로써는, 차량에 접근한 자의 움직임을 초음파로 검출하는 방법 등을 들 수가 있다.
다음은, 제5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를 채용한 도난방지 시스템에 있어서의 마이크로컴퓨터(37)가 행하는 처리동작⑤을 도 10에 나타낸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차량으로의 접근자가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f3)가 1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61)〕, 플래그(f3)가 1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접근자 검출센서(32)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차량에 접근하고 있는 자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62)〕, 접근자가 존재한다고 판단하면, 아밍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63)〕. 한편, 접근자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처리동작⑤을 종료한다.
스텝(S63)에 있어서의 판단으로, 아밍 모드가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플래그(f3)를 1로 하고〔스텝(S64)〕, 타이머(t)를 시동시켜〔스텝(S65)〕, 경보 부저를 울리도록 경보장치(33)를 제어하고〔스텝(S66)〕, 이어서 타이머(t)가 소정의 시간〔t2(예를 들면, 10초)〕이 경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67)〕. 한편, 아밍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처리동작⑤을 종료한다.
스텝(S67)에 있어서의 판단으로, 타이머(t)가 소정의 시간(t2)이 경과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차량에 접근해온 자가 자동차 안에 침입하여 운전석이나 조수석에 앉아 있다고 간주하여, 대량의 증기(또는 냉기)를 분출시키도록 구동장치(29)를 제어하고〔스텝(S68)〕, 더욱이 자동차전화(30)를 사용하여 경찰에게 통보를 행하고〔스텝(S69)〕, 플래그(f3)를 0으로 되돌린다〔스텝(S70)〕.
그런데, 스텝(S67)에 있어서의 판단 처리로, 타이머(t)가 소정의 시간(t2)이 경과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접근자 검출센서(32)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차량에 접근해온 자가 상기 차량으로부터 떠났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71)〕, 상기 접근자가 상기 차량으로부터 떠났다고 판단하면, 증기(또는 냉기)를 분출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플래그(f3)를 0으로 되돌린다〔스텝(S70)〕. 한편, 상기 접근자가 상기 차량으로부터 떠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그대로 처리동작⑤을 종료한다.
또한, 스텝(S61)에 있어서의 판단 처리로, 플래그(f3)가 1이라고 판단하면, 상기 차량으로의 접근자에 대해서는 검출을 끝낸 상태이고 경보 부저도 울리고 있기 때문에, 스텝(S62) 내지 스텝(S66)을 건너뛰고, 스텝(S67)으로 진행한다.
상기 제5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에 의하면, 아밍 모드가 설정되어 있을 때 자동차 안으로 침입하려고 하고 있는 자(예를 들면, 차량으로 접근해온 자)가 검출되고 나서, 소정의 시간〔t2(예를 들면, 차량의 도난을 일삼으려고 하는 자가 상기 차량에 접근한 후, 운전석이나 조수석에 착석하기까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는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차 안에 대량의 증기(또는 냉기)를 분출시켜 침입자의 시야를 차단함으로써, 그 침입자를 내쫓을 수가 있다.
즉, 차량의 도난을 일삼으려고 하는 자가 운전석이나 조수석에 착석했을 무렵을 가늠하여, 자동차 안에 증기(또는 냉기)를 분출하여 침입자의 시야를 차단하거나 침입자를 놀라게 함으로써, 침입자의 움직임을 봉쇄하거나 침입자를 차량으로부터 쫓아버리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방범성능의 향상이 도모된 도난방지장치를 실현할 수가 있다. 더욱이, 가스에 의해 침입자의 움직임을 봉쇄할 뿐만 아니라 외부(예를 들면, 경찰 등)로의 통보를 행하기 때문에, 침입자를 신속하게 잡는 것도 가능해진다.
도 11은, 제6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를 채용한 도난방지 시스템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단, 도 1에 나타낸 도난방지 시스템과 동일한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기하고, 여기에서는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난방지 시스템의 본체를 구성하는 마이크로컴퓨터(38)는, 안테나(23) 및 수신회로(22)를 통해서 수신된 신호(ID코드+도어로크 지령코드)에 포함되는 ID코드가 EEPROM(24)에 기억된 ID코드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일치할 경우에는 상기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도어로크 지령코드와, 도어의 개폐상태를 검출하는 도어 커티시 스위치(25)로부터의 신호에 따른 처리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38)는, 운전석 및 조수석으로의 착석을 검출하는 착석 검출센서(35)로부터의 신호를 받아들이도록 되어 있어, 착석 검출센서(35)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구동장치(29) 및 자동차전화(30)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더욱이, 착석 검출센서(35)로써는, 운전석 등에 내장하는 중량 센서로 검출하는 방법 등을 들 수가 있다.
다음은, 제6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를 채용한 도난방지 시스템에 있어서의 마이크로컴퓨터(38)가 행하는 처리동작⑥을 도 12에 나타낸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착석 검출센서(35)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운전석 또는 조수석으로의 착석이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81)〕, 착석이 있었다고 판단하면, 아밍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82)〕. 한편, 착석이 없다고 판단하면, 처리동작⑥을 종료한다.
스텝(S82)에 있어서의 판단으로, 아밍 모드가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운전석 또는 조수석에 앉아 있는 자가 자동차 안으로의 침입자(즉, 정규 사용자가 아닌 자)인 것으로 간주하여, 대량의 증기(또는 냉기)를 분출시키도록 구동장치(29)를 제어하고〔스텝(S83)〕, 더욱이 자동차전화(30)를 사용하여 경찰에게 통보를 행한다〔스텝(S84)〕. 한편, 아밍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운전석 또는 조수석에 앉아 있는 자가 정규 사용자인 것으로 간주하여, 증기(또는 냉기)를 분출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그대로 처리동작⑥을 종료한다.
상기 제6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에 의하면, 아밍 모드가 설정되어 있을 때 운전석 또는 조수석의 착석이 검출되면, 자동차 안에 대량의 증기(또는 냉기)를 분출시켜 침입자의 시야를 차단하거나 침입자를 놀라게 함으로써, 침입자의 움직임을 봉쇄하거나 침입자를 차량으로부터 내쫓을 수가 있다. 더욱이, 가스에 의해 침입자의 움직임을 봉쇄할 뿐만 아니라 외부(예를 들면, 경찰 등)로의 통보를 행하기 때문에, 침입자를 신속하게 잡는 것도 가능해진다.
도 13은, 제7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를 채용한 도난방지 시스템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단, 도 1에 나타낸 도난방지 시스템과 동일한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기하고, 여기에서는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난방지 시스템의 본체를 구성하는 마이크로컴퓨터(39)는, 안테나(23) 및 수신회로(22)를 통해서 수신된 신호(ID코드+도어로크 지령코드)에 포함되는 ID코드가 EEPROM(24)에 기억된 ID코드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일치할 경우에는 상기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도어로크 지령코드와, 도어의 개폐상태를 검출하는 도어 커티시 스위치(25)로부터의 신호에 따른 처리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39)는, 아밍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자동차 안으로의 침입자를 검출하는 침입자 검출센서(27)로부터의 신호를 받아들여, 받아들인 신호에 의거하여, 구동장치(29), 자동차전화(30), 시트위치 조정수단(40), 리클라이닝 조정수단(41) 및 틸트&텔레스코픽 조정수단(42)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더욱이, 침입자 검출센서(27)로써는, 자동차 안에 침입한 사람의 움직임을 초음파로 검출하는 방법 등을 들 수가 있다.
시트위치 조정수단(40)은, 시트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것이고, 리클라이닝 조정수단(41)은, 시트의 등받이 부분의 경사 각도를 조정하는 것이며, 틸트 & 텔레스코픽 조정수단(42)은, 스티어링휠(Steering Wheel)의 각도나 길이(즉, 운전석에 앉아 있는 사람과의 거리)를 조정하는 것이다.
다음은, 제7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를 채용한 도난방지 시스템에 있어서의 마이크로컴퓨터(39)가 행하는 처리동작⑦을 도 14에 나타낸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자동차 안에 침입자가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f1)가 1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91)〕, 플래그(f1)가 1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아밍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92)〕, 아밍 모드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침입자 검출센서(27)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자동차 안에 침입자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93)〕. 한편, 아밍 모드로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처리동작⑦을 종료한다.
스텝(S93)에 있어서의 판단으로, 자동차 안에 침입자가 있다고 판단하면, 플래그(f1)를 1로 하고〔스텝(S94)〕, 타이머(t)를 시동시켜〔스텝(S95)〕, 시트위치 조정수단(41)을 제어하여, 도 15에 나타낸 것처럼 시트(51)가 스티어링휠(52)에 제일 근접하도록 시트(51)를 앞쪽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고〔스텝(S96)〕, 또한 리클라이닝 조정수단(41)을 제어하여, 시트(51)의 등받이 부분(51a)을 제일 앞쪽으로 기울여 넘어뜨려〔스텝(S97)〕, 틸트&텔레스코픽 조정수단(42)을 제어하여, 스티어링휠(52)을 제일 아래쪽으로 기울여 넘어뜨리고, 게다가 시트(51)와의 거리를 짧게 시킨다〔스텝(S98), 스텝(S99)〕.
더욱이, 자동차전화(30)를 사용하여 경찰에게 통보를 행하고〔스텝(S100)〕, 그 후 스텝(S101)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S93)에 있어서의 판단 처리로, 자동차 안에 침입자가 없다고 판단하면, 시트(51)의 위치 등을 변경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그대로 처리동작⑦을 종료한다.
스텝(S101)에서는, 타이머(t)가 소정의 시간〔t1(예를 들면, 20초)〕이 경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101)〕, 타이머(t)가 소정의 시간(t1)이 경과하고 있다, 즉, 시트(51)의 위치 조정을 개시하고 나서, 소정의 시간(t1)이 경과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대량의 증기(또는 냉기)를 분출시키도록 구동장치(29)를 제어하고〔스텝(S102)〕, 플래그(f1)를 0으로 되돌린다〔스텝(S103)〕. 한편, 타이머(t)가 소정의 시간(t1)이 경과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그대로 처리동작⑦을 종료한다.
그런데, 스텝(S91)에 있어서의 판단 처리로, 플래그(f1)가 1이라고 판단하면, 시트(51)나 스티어링휠(52)의 위치에 대해서는 이미 변경을 끝낸 상태이고 경찰에게도 통보를 끝낸 상태이기 때문에, 스텝(S92) 내지 스텝(S100)을 건너뛰고, 스텝(S101)으로 진행한다.
상기 제7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에 의하면, 자동차 안으로의 침입자가 검출되면, 시트(51)를 앞쪽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등받이 부분(51a)을 앞쪽으로 기울여 넘어뜨려, 스티어링휠(52)을 아래쪽으로 기울여 넘어뜨리고, 게다가 시트(51)와의 거리를 짧게 하여 침입자의 움직임을 봉쇄함으로써 침입자를 잡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방범성능의 향상이 도모된 도난방지장치를 실현할 수가 있다.
또한, 시트(51)나 스티어링휠(52)의 위치를 변경할 뿐만 아니라 자동차 안에 대량의 증기(또는 냉기)를 분출시키기 때문에, 만에 하나 시트(51) 등의 위치 변경에 의해 침입자를 봉쇄할 수가 없었다 하더라도, 가스에 의해 침입자를 내쫓을 수가 있다. 더욱이, 시트위치 등의 변경이나 가스에 의해 침입자의 움직임을 봉쇄할 뿐만 아니라 외부(예를 들면, 경찰 등)로의 통보를 행하기 때문에, 침입자를 신속하게 잡는 것도 가능해진다.
도 16은, 제8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를 채용한 도난방지 시스템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단, 도 13에 나타낸 도난방지 시스템과 동일한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기하고, 여기에서는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난방지 시스템의 본체를 구성하는 마이크로컴퓨터(43)는, 안테나(23) 및 수신회로(22)를 통해서 수신된 신호(ID코드+도어로크 지령코드)에 포함되는 ID코드가 EEPROM(24)에 기억된 ID코드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일치할 경우에는 상기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도어로크 지령코드와, 도어의 개폐상태를 검출하는 도어 커티시 스위치(25)로부터의 신호에 따른 처리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43)는, 자동차 안으로 침입하려고 하고 있는 자(여기에서는, 차량에 접근한 자)를 검출하는 접근자 검출센서(32)로부터의 신호를 받아들이도록 되어 있어, 접근자 검출센서(32)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구동장치(29), 자동차전화(30), 경보장치(33), 시트위치 조정수단(40), 리클라이닝 조정수단(41) 및 틸트 & 텔레스코픽 조정수단(42)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더욱이, 접근자 검출센서(32)로써는, 차량에 접근한 자의 움직임을 초음파로 검출하는 방법 등을 들 수가 있다.
다음은, 제8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를 채용한 도난방지 시스템에 있어서의 마이크로컴퓨터(43)가 행하는 처리동작⑧을 도 17에 나타낸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자동차 안에 침입자가 존재한다고 간주한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f2)〔뒤에 기술하는 스텝(S119)을 참조〕가 1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111)〕, 플래그(f2)가 1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차량으로의 접근자가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f3)가 1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112)〕.
플래그(f3)가 1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접근자 검출센서(32)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차량에 접근하고 있는 자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113)〕, 접근자가 존재한다고 판단하면, 아밍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114)〕. 한편, 접근자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처리동작⑧을 종료한다.
스텝(S114)에 있어서의 판단으로, 아밍 모드가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플래그(f3)를 1로 하고〔스텝(S115)〕, 타이머(t)를 시동시켜〔스텝(S116)〕, 경보 부저를 울리도록 경보장치(33)를 제어하고〔스텝(S117)〕, 이어서 타이머(t)가 소정의 시간〔t2(예를 들면, 10초)〕이 경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118)〕. 한편, 아밍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처리동작⑧을 종료한다.
스텝(S118)에 있어서의 판단으로, 타이머(t)가 소정의 시간(t2)이 경과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차량에 접근해온 자가 자동차 안에 침입하여 운전석이나 조수석에 앉아 있다고 간주하여, 플래그(f2)를 1로 하고〔스텝(S119)〕, 시트위치 조정수단(41)을 제어하여, 도 15에 나타낸 것처럼 시트(51)가 스티어링휠(52)에 제일 근접하도록 시트(51)를 앞쪽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고〔스텝(S120)〕, 또한 리클라이닝 조정수단(41)을 제어하여, 시트(51)의 등받이 부분(51a)을 제일 앞쪽으로 기울여 넘어뜨리고〔스텝(S121)〕, 틸트&텔레스코픽 조정수단(42)을 제어하여, 스티어링휠(52)을 제일 아래쪽으로 기울여 넘어뜨리고, 게다가 시트(51)와의 거리를 짧게 시키고〔스텝(S122), 스텝(S123)〕, 더욱이 자동차전화(30)를 사용하여 경찰에게 통보를 행하고〔스텝(S124)〕, 그 후 스텝(S125)으로 진행한다.
스텝(S125)에서는, 타이머(t)가 소정의 시간〔t3(예를 들면, 30초)〕이 경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125)〕, 타이머(t)가 소정의 시간(t3)이 경과하고 있다, 즉, 시트위치의 조정을 개시하고 나서, 소정의 시간〔t1(=t3-t2 )〕이 경과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대량의 증기(또는 냉기)를 분출시키도록 구동장치(29)를 제어하고〔스텝(S126)〕, 플래그(f2) 및 플래그(f3)를 0으로 되돌린다〔스텝(S127)〕. 한편, 타이머(t)가 소정의 시간(t3)이 경과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그대로 처리동작⑧을 종료한다.
그런데, 스텝(S118)에 있어서의 판단 처리로, 타이머(t)가 소정의 시간(t2)이 경과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접근자 검출센서(32)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차량에 접근해온 자가 상기 차량으로부터 떠났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128)〕. 상기 접근자가 상기 차량으로부터 떠났다고 판단하면, 시트의 위치 등을 변경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플래그(f3)를 0으로 되돌린다〔스텝(S129)〕. 한편, 상기 접근자가 상기 차량으로부터 떠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그대로 처리동작⑧을 종료한다.
또한, 스텝(S112)에 있어서의 판단 처리로, 플래그(f3)가 1이라고 판단하면, 상기 차량으로의 접근자에 대해서는 검출을 끝낸 상태이고 경보 부저도 울리고 있기 때문에, 스텝(S113) 내지 스텝(S117)을 건너뛰고, 스텝(S118)으로 진행한다. 또한, 스텝(S111)에 있어서의 판단 처리로, 플래그(f2)가 1이라고 판단하면, 시트나 스티어링휠의 위치에 대해서는 이미 변경을 끝낸 상태이고 경찰에게도 통보를 끝낸 상태이기 때문에, 스텝(S112) 내지 스텝(S124)을 건너뛰고, 스텝(S125)으로 진행한다.
상기 제8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에 의하면, 아밍 모드가 설정되어 있을 때 자동차 안으로 침입하려고 하고 있는 자(예를 들면, 차량으로 접근해온 자)가 검출되고 나서, 소정의 시간〔t2(예를 들면, 차량의 도난을 일삼으려고 하는 자가 상기 차량에 접근한 후, 운전석이나 조수석에 착석하기까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는 시간)〕이 경과하면, 시트(51)를 앞쪽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등받이 부분(51a)을 앞쪽으로 기울여 넘어뜨려, 스티어링휠(52)을 아래쪽으로 기울여 넘어뜨리고, 게다가 시트(51)와의 거리를 짧게 하여 침입자의 움직임을 봉쇄함으로써, 침입자를 붙잡을 수가 있다.
즉, 차량의 도난을 일삼으려고 하는 자가 운전석이나 조수석에 착석했을 무렵을 가늠하여, 시트(51)나 스티어링휠(52)의 위치를 변경하여 침입자의 움직임을 봉쇄함으로써 침입자를 잡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방범성능의 향상이 도모된 도난방지장치를 실현할 수가 있다.
또한, 시트(51)나 스티어링휠(52)의 위치를 변경할 뿐만 아니라 자동차 안에 대량의 증기(또는 냉기)를 분출시키기 때문에, 만에 하나 시트(51) 등의 위치 변경에 의해 침입자를 봉쇄할 수가 없었다 하더라도, 가스에 의해 침입자를 내쫓을 수가 있다. 더욱이, 시트위치 등의 변경이나 가스에 의해 침입자의 움직임을 봉쇄할 뿐만 아니라 외부(예를 들면, 경찰 등)로의 통보를 행하기 때문에, 침입자를 신속하게 잡는 것도 가능해진다.
도 18은, 제9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를 채용한 도난방지 시스템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단, 도 13에 나타낸 도난방지 시스템과 동일한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기하고, 여기에서는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난방지 시스템의 본체를 구성하는 마이크로컴퓨터(44)는, 안테나(23) 및 수신회로(22)를 통해서 수신된 신호(ID코드+도어로크 지령코드)에 포함되는 ID코드가 EEPROM(24)에 기억된 ID코드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일치할 경우에는 상기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도어로크 지령코드와, 도어의 개폐상태를 검출하는 도어 커티시 스위치(25)로부터의 신호에 따른 처리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44)는, 운전석 및 조수석으로의 착석을 검출하는 착석 검출센서(35)로부터의 신호를 받아들이도록 되어 있어, 착석 검출센서(35)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구동장치(29), 자동차전화(30), 시트위치 조정수단(40), 리클라이닝 조정수단(41) 및 틸트&텔레스코픽 조정수단(42)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더욱이, 착석 검출센서(35)로써는, 운전석 등에 내장하는 중량 센서로 검출하는 방법 등을 들 수가 있다.
다음은, 제9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를 채용한 도난방지 시스템에 있어서의 마이크로컴퓨터(44)가 행하는 처리동작⑨을 도 19에 나타낸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자동차 안에 침입자가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f1)가 1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131)〕, 플래그(f1)가 1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착석 검출센서(35)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운전석 또는 조수석으로의 착석이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132)〕, 착석이 있었다고 판단하면, 아밍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133)〕. 한편, 착석이 없다고 판단하면, 처리동작⑨을 종료한다.
스텝(S133)에 있어서의 판단으로, 아밍 모드가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운전석 또는 조수석에 앉아 있는 자가 자동차 안으로의 침입자(즉, 정규 사용자가 아닌 자)인 것으로 간주하여, 플래그(f1)를 1로 하고〔스텝(S134)〕, 타이머(t)를 시동시켜〔스텝(S135)〕, 시트위치 조정수단(41)을 제어하여, 도 15에 나타낸 것처럼 시트(51)가 스티어링휠(52)에 제일 근접하도록 시트(51)를 앞쪽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고〔스텝(S136)〕, 또한 리클라이닝 조정수단(41)을 제어하여, 시트(51)의 등받이 부분(51a)을 제일 앞쪽으로 기울여 넘어뜨리고〔스텝(S137)〕, 틸트&텔레스코픽 조정수단(42)을 제어하여, 스티어링휠(52)을 제일 아래쪽으로 기울여 넘어뜨리고, 게다가 시트(51)와의 거리를 짧게 시킨다〔스텝(S138, S139)〕.
더욱이, 자동차전화(30)를 사용하여 경찰에게 통보를 행하고〔스텝(S140)〕, 그 후 스텝(S141)으로 진행한다. 한편, 아밍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운전석 또는 조수석에 앉아 있는 자가 정규 사용자인 것으로 간주하여 시트의 위치 등을 변경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그대로 처리동작⑧을 종료한다.
스텝(S141)에서는, 타이머(t)가 소정의 시간〔(t1(예를 들면, 10초)〕이 경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141)〕, 타이머(t)가 소정의 시간(t1)이 경과하고 있다, 즉, 시트위치의 조정을 개시하고 나서 소정의 시간(t1)이 경과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대량의 증기(또는 냉기)를 분출시키도록 구동장치(29)를 제어하고〔스텝(S142)〕, 플래그(f1)를 0으로 되돌린다〔스텝(S143)〕. 한편, 타이머(t)가 소정의 시간(t1)이 경과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그대로 처리동작⑧을 종료한다.
그런데, 스텝(S131)에 있어서의 판단 처리로, 플래그(f1)가 1이라고 판단하면, 시트나 스티어링휠의 위치에 대해서는 이미 변경을 끝낸 상태이고 경찰에게도 통보를 끝낸 상태이기 때문에, 스텝(S132) 내지 스텝(S140)을 건너뛰고, 스텝(S141)으로 진행한다.
상기 제9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에 의하면, 아밍 모드가 설정되어 있을 때 운전석 또는 조수석의 착석이 검출되면, 시트(51)를 앞쪽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등받이 부분(51a)을 앞쪽으로 기울여 넘어뜨려, 스티어링휠(52)을 아래쪽으로 기울여 넘어뜨리고, 게다가 시트(51)와의 거리를 짧게 하여 침입자의 움직임을 봉쇄함으로써 침입자를 잡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방범성능의 향상이 도모된 도난방지장치를 실현할 수가 있다. 또한, 침입자가 운전석 등에 앉았을 때 시트(51)나 스티어링휠(52)의 위치를 변경하기 때문에, 보다 확실하게 침입자를 붙잡을 수가 있다.
또한, 시트(51)나 스티어링휠(52)의 위치를 변경할 뿐만 아니라 자동차 안에 대량의 증기(또는 냉기)를 분출시키기 때문에, 만에 하나 시트(51) 등의 위치 변경에 의해 침입자를 봉쇄할 수가 없었다 하더라도, 가스에 의해 침입자를 내쫓을 수가 있다. 더욱이, 시트위치 등의 변경이나 가스에 의해 침입자의 움직임을 봉쇄할 뿐만 아니라 외부(예를 들면, 경찰 등)로의 통보를 행하기 때문에, 침입자를 신속하게 잡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제7실시예 내지 제9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에서는, 자동차 안에 침입자가 있거나 침입자가 운전석 등에 앉아 있거나 하면, 시트(51)나 스티어링휠(52)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가스를 분출시키거나 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에서는, 이들 방범기능 이외에 시트(51)의 주변에 발포 스티롤의 원료가 되는 물질을 배출하여, 상기 물질에 증기를 쏘이게 하는 기능이나 에어백 등을 팽창시키는 기능을 편성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에서는, 마이크로컴퓨터(21), 마이크로컴퓨터(31), 마이크로컴퓨터(34), 마이크로컴퓨터(36) 내지 마이크로컴퓨터(39), 마이크로컴퓨터(43), 마이크로컴퓨터(44)에 선택 스위치를 접속하여, 상기한 것과 같은 방범기능을 작동시킬지의 여부를 사용자가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에게 매우 사용하기 편리한 시스템을 이룰 수가 있다.
더욱이 다른 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난방지장치에서는, 이들 방범기능 중 적어도 두 기능을 편성하도록 하여, 이들 복수로 장비되어 있는 기능에서 사용자가 이용하고 싶은 기능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본 발명은 도난방지장치에 관하여, 차량이나 그 차량에 장비(裝備)되어 있는 전장품(電裝品) 및 자동차 안에 놓여 있는 금품 등의 도난을 방지할 수가 있으며, 주로 자동차 산업에 있어서 이용할 수가 있다.

Claims (22)

  1. 차량이나 차량에 장비(裝備)되어 있는 전장품(電裝品) 및 자동차 안에 놓여 있는 금품 등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도난방지장치에 있어서,
    자동차 안에 있어서의 소정의 공간 부분에서, 팽창체를 팽창시키는 팽창체 시스템과,
    자동차 안으로의 침입자를 검출하는 침입자 검출수단과,
    그 침입자 검출수단에 의해, 자동차 안에 침입자가 존재하는 것이 검출되면, 상기 팽창체를 팽창시키도록 상기 팽창체 시스템의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제1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입자 검출수단이, 탑승자의 착석을 검출하는 것이고,
    상기 제1제어수단이, 보안 시스템이 설정되어 있는 등 제1소정조건이 성립하고 있을 때 탑승자의 착석이 검출되면, 침입자가 착석해 있다고 간주하여, 상기 팽창체를 팽창시키도록 상기 팽창체 시스템의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장치.
  3. 차량이나 차량에 장비되어 있는 전장품 및 자동차 안에 놓여 있는 금품 등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도난방지장치에 있어서,
    자동차 안에 있어서의 소정의 공간 부분에서, 팽창체를 팽창시키는 팽창체 시스템과,
    자동차 안으로 침입하려고 하고 있는 자를 검출하는 침입 전 검출수단과,
    그 침입 전 검출수단에 의해, 자동차 안으로 침입하려고 하고 있는 자가 검출되고 나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팽창체를 팽창시키도록 상기 팽창체 시스템의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제2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체 시스템의 구동장치가 자동차 안에 발포 스티롤의 원료가 되는 물질을 배출하여, 배출한 상기 물질에 증기를 쏘인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장치.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체 시스템이 에어백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장치.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장비된 자동차 안에 증기나 냉기 등의 가스를 분출시키는 가스분출 시스템의 구동장치에 접속되어,
    상기 팽창체를 팽창시키는 조건이 성립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는 등 제2소정조건이 성립하면, 자동차 안에 가스를 분출시키도록 상기 가스분출 시스템의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제3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장치.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외부로의 통보를 행하는 통보수단과,
    상기 팽창체를 팽창시키는 조건이 성립하면, 외부로의 통보를 행하도록 상기 통보수단을 제어하는 제1통보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장치.
  8. 차량이나 차량에 장비되어 있는 전장품 및 자동차 안에 놓여 있는 금품 등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도난방지장치에 있어서,
    자동차 안에 증기나 냉기 등의 가스를 분출시키는 가스분출 시스템과,
    자동차 안으로의 침입자를 검출하는 침입자 검출수단과,
    그 침입자 검출수단에 의해, 자동차 안에 침입자가 존재하는 것이 검출되면, 자동차 안에 가스를 분출시키도록 상기 가스분출 시스템의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제4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침입자 검출수단이, 탑승자의 착석을 검출하는 것이고,
    상기 제4제어수단이, 보안 시스템이 설정되어 있는 등 제1소정조건이 성립하고 있을 때 탑승자의 착석이 검출되면, 침입자가 착석해 있다고 간주하여, 자동차 안에 가스를 분출시키도록 상기 가스분출 시스템의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장치.
  10. 차량이나 차량에 장비되어 있는 전장품 및 자동차 안에 놓여 있는 금품 등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도난방지장치에 있어서,
    자동차 안에 증기나 냉기 등의 가스를 분출시키는 가스분출 시스템과,
    자동차 안으로 침입하려고 하고 있는 자를 검출하는 침입 전 검출수단과,
    그 침입 전 검출수단에 의해, 자동차 안으로 침입하려고 하고 있는 자가 검출되고 나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차 안에 가스를 분출시키도록 상기 가스분출 시스템의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제5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장치.
  11. 차량이나 차량에 장비되어 있는 전장품 및 자동차 안에 놓여 있는 금품 등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도난방지장치에 있어서,
    자동차 안에 설치된 시트의 상태를 변경하는 시트상태 변경 시스템과,
    자동차 안으로의 침입자를 검출하는 침입자 검출수단과,
    그 침입자 검출수단에 의해, 자동차 안에 침입자가 존재하는 것이 검출되면, 침입자의 움직임을 봉쇄하도록 상기 시트의 상태를 제1소정상태로 변경시키도록 상기 시트상태 변경 시스템의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제6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침입자 검출수단이, 탑승자의 착석을 검출하는 것이고,
    상기 제6제어수단이, 보안 시스템이 설정되어 있는 등 제1소정조건이 성립하고 있을 때 탑승자의 착석이 검출되면, 침입자가 착석해 있다고 간주하여, 침입자의 움직임을 봉쇄하도록 상기 시트의 상태를 제1소정상태로 변경시키도록 상기 시트상태 변경 시스템의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장치.
  13. 차량이나 차량에 장비되어 있는 전장품 및 자동차 안에 놓여 있는 금품 등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도난방지장치에 있어서,
    자동차 안에 설치된 시트의 상태를 조정하는 시트상태 변경 시스템과,
    자동차 안으로 침입하려고 하고 있는 자를 검출하는 침입 전 검출수단과,
    그 침입 전 검출수단에 의해, 자동차 안으로 침입하려고 하고 있는 자가 검출되고 나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침입자의 움직임을 봉쇄하도록 상기 시트의 상태를 제1소정상태로 변경시키도록 상기 시트상태 변경 시스템의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제7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장치.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소정상태가, 상기 시트를 상기 차량의 앞쪽으로 이동시킨 상태 및/또는 상기 시트의 등받이 부분을 상기 차량의 앞쪽으로 기울여 넘어뜨린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장치.
  15.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장비되었던 스티어링의 상태를 변경하는 스티어링 상태변경 시스템의 구동장치에 접속되어,
    상기 시트의 상태를 상기 제1소정상태로 변경시키는 조건이 성립하면, 침입자의 움직임을 봉쇄하도록 상기 스티어링의 상태를 제2소정상태로 변경시키도록 상기 스티어링 상태변경 시스템의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제8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소정상태가 상기 스티어링을 아래쪽으로 기울여 쓰러뜨린 상태 및/또는 상기 차량의 뒤쪽으로 쑥 내민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장치.
  17.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장비된 자동차 안에 있어서의 소정의 공간 부분에서, 팽창체를 팽창시키는 팽창체 시스템의 구동장치에 접속되어,
    상기 시트의 상태를 상기 제1소정상태로 변경시키는 조건이 성립하면, 상기 팽창체를 팽창시키도록 상기 팽창체 시스템의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제9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공간 부분이, 상기 시트의 부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체 시스템의 구동장치가, 자동차 안에 발포 스티롤의 원료가 되는 물질을 배출하여, 배출한 상기 물질에 증기를 쏘인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체 시스템이 에어백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장치.
  21.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장비된 자동차 안에 증기나 냉기 등의 가스를 분출시키는 가스분출 시스템의 구동장치에 접속되어,
    상기 시트의 상태를 상기 제1소정상태로 변경시키는 조건이 성립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는 등 제3소정조건이 성립하면, 자동차 안에 가스를 분출시키도록 상기 가스분출 시스템의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제10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장치.
  22.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로의 통보를 행하는 통보수단과,
    상기 시트의 상태를 상기 제1소정상태로 변경시키는 조건이 성립하면, 외부로의 통보를 행하도록 상기 통보수단을 제어하는 제2통보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장치.
KR10-2002-7016905A 2001-04-12 2002-04-12 도난방지장치 KR1004980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13490 2001-04-12
JPJP-P-2001-00113490 2001-04-12
PCT/JP2002/003707 WO2002083465A1 (fr) 2001-04-12 2002-04-12 Dispositif antiv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0687A KR20030010687A (ko) 2003-02-05
KR100498060B1 true KR100498060B1 (ko) 2005-07-01

Family

ID=18964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6905A KR100498060B1 (ko) 2001-04-12 2002-04-12 도난방지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091834B2 (ko)
JP (1) JP3834551B2 (ko)
KR (1) KR100498060B1 (ko)
CN (1) CN1199815C (ko)
WO (1) WO20020834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44231B2 (ja) * 2002-09-26 2006-11-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盗難防止装置
WO2005095166A1 (fr) * 2004-03-30 2005-10-13 Boris Lipovich Gurevich Systeme de protection destine a empecher l'utilisation non autorisee d'un vehicule de transport
US20060279530A1 (en) * 2005-05-25 2006-12-14 Searete Llc, A Limited Liability Corpor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Physical interaction-sensitive user interface
US20060279531A1 (en) * 2005-05-25 2006-12-14 Jung Edward K Physical interaction-responsive user interface
CN102514541B (zh) * 2011-12-22 2013-06-19 深圳市赛格导航科技股份有限公司 车用烟雾气味防盗报警系统及防盗方法
US10229569B1 (en) * 2013-03-14 2019-03-12 John B. Adrain Burglar defense system
CN104709234A (zh) * 2015-02-09 2015-06-17 王仙君 车用盗抢防御装置
CN111223268B (zh) * 2019-10-10 2022-12-02 徐林娟 幼童爬窗反弹器
JP7342728B2 (ja) * 2020-02-07 2023-09-12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シート制御システム
US11794691B2 (en) * 2021-10-05 2023-10-24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Vehicles and vehicle systems for operating powered door locks in an alarm deterrent mode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98784A1 (fr) * 1981-01-28 1982-07-30 Fichet Bauche Installation de protection contre les effractions
FR2537070A1 (fr) * 1982-12-07 1984-06-08 Securaiglon Sa Coussin antivol plus specialement pour vehicules automobiles de tourisme
FR2553356A1 (fr) * 1983-10-18 1985-04-19 Gilbert Martos Dispositif de protection contre l'incendie, l'explosion et le vol des vehicules
JPS62454U (ko) * 1985-06-19 1987-01-06
JPS62454A (ja) 1985-06-27 1987-01-06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β−イミド化クロルフエニルヒドラジン系化合物の製造方法
FR2596554B1 (fr) * 1986-03-25 1988-11-10 Coenson International Dispositif pour la protection des vehicules et habitations contre le vol et l'agression
US4897630A (en) * 1987-01-21 1990-01-30 Electronic Security Products Of California, Inc. Programmable alarm system having proximity detection with vocal alarm and reporting features
GB2201820A (en) * 1987-03-04 1988-09-07 Kac Alarm Co Ltd Vehicle theft alarm
JPH0381164A (ja) 1989-08-24 1991-04-05 Nec Corp Ledアレイチップ
JPH0374443U (ko) * 1989-11-24 1991-07-26
JPH0381164U (ko) * 1989-12-08 1991-08-20
US4997053A (en) * 1990-02-15 1991-03-05 Clifford Electronics, Inc. Remote control vehicle seat and steering wheel positioning system
US5298878A (en) * 1992-11-02 1994-03-29 Smith Lorenzo L Anti-car jacking device
DE69326939T2 (de) * 1992-11-26 2000-03-30 Secom Co Ltd Anti-einbruchssystem und anti-diebstahlsvorrichtung
JPH07237526A (ja) * 1994-03-02 1995-09-12 Calsonic Corp 自動車用盗難防止装置
US5529372A (en) * 1994-04-20 1996-06-25 Cohen; Morris Automobile security seat system incorporating seat control mechanism
US5677668A (en) * 1994-06-10 1997-10-14 Winner International Royalty Corporation Vehicle accessory protection systems
US5912615A (en) * 1994-09-23 1999-06-15 Kretzmar; Allan J. Electrified theft/car-jack prevention device for use with motor vehicles and methods of use
US5796330A (en) * 1994-10-04 1998-08-18 Vinette; Richard H. Security system
FR2733194B1 (fr) * 1995-04-21 1997-07-04 Gatineau Jacques Gustave Andre Dispositif antivol de vehicule
FR2743920A1 (fr) * 1996-01-19 1997-07-25 Suntech Dispositif de protection contre le vol ou le vandalisme
JP3711610B2 (ja) 1996-03-01 2005-11-0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盗難判定装置及び車両盗難防止装置
CA2312627A1 (en) * 2000-06-28 2001-12-28 Chin-Chuan Tu Theftproof system for automobile
JP2002288768A (ja) * 2001-01-17 2002-10-04 Honda Motor Co Ltd 車輌の通報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113760A1 (en) 2004-06-17
JP3834551B2 (ja) 2006-10-18
JPWO2002083465A1 (ja) 2004-08-05
CN1199815C (zh) 2005-05-04
KR20030010687A (ko) 2003-02-05
WO2002083465A1 (fr) 2002-10-24
US7091834B2 (en) 2006-08-15
CN1460080A (zh) 2003-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8060B1 (ko) 도난방지장치
US7129826B2 (en) Localized accident notification
JPH0867227A (ja) 乗物搭乗者用拘束装置を展開させる展開信号を提供する方法及びその装置
WO2004089704A1 (en) A pedestrian detecting system
JPH09109818A (ja) 車両搭乗者拘束具用の展開扉組立体
WO2000040438A2 (en) Airbag actuation event discrimination system and method
US5892433A (en) Timing circuit for air bag disable switch
JP5381904B2 (ja) 盗難警報装置
JP3900943B2 (ja) 盗難防止装置、及び盗難防止システム
JP2006306394A (ja) 盗難防止装置
JP2007115115A (ja) 車両盗難防止装置
US6971468B2 (en) Antitheft apparatus and antitheft system
JP4110686B2 (ja) 車両用盗難防止装置
KR100789745B1 (ko) 국지적 사고 통지
US7649443B2 (en) Antitheft apparatus
KR100534304B1 (ko) 차량의 도난 및 충돌 감지시스템
JP2003095068A (ja) 車両用セキュリティ装置及び車両用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H07237526A (ja) 自動車用盗難防止装置
JPH08108820A (ja) エアーバック起動装置
JP2006236171A (ja) セキュリティ装置
KR200398232Y1 (ko) 차량용 헤드 레스트의 에어백 장치
CN112918429A (zh) 用于车辆的防盗和防破坏的报警方法、报警系统以及车辆
JPH07172262A (ja) 車両用エアーバッグ装置
KR0168023B1 (ko) 롤오버시의 승객 보호장치
JPH08258671A (ja) 車両盗難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