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7736B1 - 미백파우더 - Google Patents

미백파우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7736B1
KR100497736B1 KR10-1998-0001091A KR19980001091A KR100497736B1 KR 100497736 B1 KR100497736 B1 KR 100497736B1 KR 19980001091 A KR19980001091 A KR 19980001091A KR 100497736 B1 KR100497736 B1 KR 100497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weight
whitening
powder
whitening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1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0544A (ko
Inventor
요이치로 다나카
준이치로 에가와
Original Assignee
코세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세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코세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19980070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0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7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77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mammals or bird
    • A61K8/982Reproductive organs; Embryos, Eg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Zo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하기 성분 (A)∼(D);
(A) 비표면적이 80 m2/g 이상이고, 소수화율 50% 이상의 트리메틸실록실화 무수 규산 1∼7 중량%
(B) C3-9 글리세린 유도체, C2-6 알킬렌글리콜, C5-6 당유도체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가알코올 5∼40 중량%
(C) 물 50∼93.99 중량%
(D) 미백성분 0.01∼5 중량%
를 함유하고, 실질적으로 불소 화합물로 피복처리한 분체를 함유하지 않고, 성분 (A)에 대한 성분(B)의 중량비가 1 이상이며, 또한 성분(B)와 성분(C)의 합계량이 80중량% 이상이고, 사용할 때 도포하여 문지름으로서 액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 파우더.

Description

미백 파우더
본 발명은 스킨 케어용의 외용 조성물인 미백 파우더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미백 성분의 안정성이 양호하고, 분말상의 형태를 가지면서, 사용할 때에 바르고 문지르면 액화하여 스킨 로션 상태 또는 화장 에멀젼 상태로 되며, 또한, 사용성 및 사용감이 우수한 미백 파우더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자외선에 의한 주근깨나 기미를 방지, 개선하기 위하여 각종 미백성분을 피부에 적용하는 시도가 되어왔으며, 미백성분을 함유한 화장료나 의약 등이 보고되어 있다[예를 들면, C. Fox, Cosmetics & Toiletries, 103, 31-35(1988; S. S. Bleehen, J. Soc. Cosmet. Chem., 28, 407-412(1977); Herman E. Jass, Cosmetics & Toiletries, 94, 52-53(1979) 등]. 여기서, "미백 성분"이란 멜라닌의 생성작용을 저해함으로서 피부를 탈색소화(dipigmenting)하는 작용, 구체적으로는 피부의 주근깨나 기미 등을 사라지도록 작용한다든지 옅게 하는 물질이다.
그러나, 미백성분은 물과 접촉하면 분해하거나, 변질해버리는 것이 있으며, 그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미백성분을 함유한 분말형태의 조성물이 제품화되어 있다. 특히, 일본에서, 이와 같은 분말상 조성물은 "비하쿠 파우더 (미백 파우더)"의 명칭으로 시판되고 있다[Water Luckewicz 등, J. Soc. Cosmet. Chem., 41, 359-367(1990) 참조].
그러나, 종래의 미백 파우더는 사용할 때, 물이나 스킨 로션 등에 용해 또는 분산시켜 사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들 미백 파우더는 사용성이 간편하지 않고, 또한 물과의 혼합비율에 따라서 유효성분이 거의 용해되지 않게 되던가, 역으로 물을 지나치게 가하는 경우에는 사용성에 지장을 일으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피부에 도포하였을 때에 엉기는 감이 있으며, 양호한 감촉이 얻어지는 것이 어려운 것이 현상이다.
상기의 사용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소수화 무수 규산 및 불소 화합물로 피복처리한 분체를 사용하여 유성 성분이나 수성성분 등을 분말화한 분말상 조성물을 발견하고, 특허출원하였다(일본국 특허출원 평4-46752호, 동 4-321946호, 동5-19232호), 여기서 사용되는 불소-화합물-피복처리한 분체는 화장료 분체를 퍼플루오로알킬 포스페이트 · 디에탄올아민이나 퍼플루오로알킬실란 등의 불소화합물로 피복처리하여 발수성 및 발유성을 부여한 것이다. 그리하여 이 분말상 조성물을 도포하여 문지르면 용이하게 액화하여 사용성이 비약적으로 향상되고, 또한 유효성분의 안정성이 우수하여 미백 파우더로서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유성성분과 불소화합물로 피복처리한 분체를 사용하기 때문에, 피부에 도포하는 경우 엉기는 감이 있거나, 퍼짐성이 나쁜 관능적이 문제가 남는다.
따라서, 우수한 사용성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관능적인 사용감이 보다 우수한 미백 파우더의 제공이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특정의 소수화 무수 규산과 다가알코올을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서, 유성 성분이나, 불소 화합물로 피복처리한 분체를 사용하지 않고도 사용성 및 사용감이 양호한 미백 파우더가 얻어짐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즉, 본 발명은 하기 성분 (A)∼(D);
(A) 비표면적이 80 m2/g 이상이고, 소수화율 50% 이상의
트리메틸실록시화 무수 규산 0.1∼7 중량%
(B) 다가 알코올 5∼40 중량%
(C) 물 50∼94 중량%
(D) 미백성분 0.01∼5 중량%
를 함유하고, 실질적으로 불소 화합물로 피복처리한 분체를 함유하지 않고, 성분 (A)에 대한 성분(B)의 중량비가 1 이상이며, 또한 성분(B)와 성분(C)의 합계량이 80중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 파우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미백 파우더는 분말상의 형태를 가지면서 사용할 때에 도포하여 문지름으로서 액화되는 것이며, 다량의 수성 성분을 함유하여도 양호한 분말 형태 및 액화성을 갖는 것이다. 따라서, 물의 양을 미리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미백파우더와 같이 사용할 때에 수성 성분을 첨가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사용성이 대단히 간편하다. 더욱이 신선감이나 습윤감을 가지며,사용감촉이 대단히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미백 파우더는 실질적으로 불소 화합물을 피복처리한 분체를 함유하지 않기 때문에 피부에 도포하는 경우에 엉기는 감이라든지 뭉치는 감 등의 관능적인 문제가 발생하는 문제가 없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성분(A)는 그의 비표면적이 80 m2/g 이상이고, 또한 소수화율이 50% 이상, 바람직하기로는 55% 이상인 트리메틸실록실화 무수 규산이다. 이와 같은 트리메틸실록실화 무수 규산은 미립자 무수 규산의 표면에 트리메틸실록시화를 행할 수 있는 실릴화제, 예를 들면, 트리메틸클로로실란, 트리메톡시실란, 트리메틸에톡시실란, 헥사메틸디실라잔 등으로 처리함으로서 조제되는 것이다.
이 성분(A)의 비표면적이 80 m2/g 미만이면, 소수화된 무수 규산의 입자경이 지나치게 크게 되기 때문에, 소수화된 무수 규산이 수성 성분의 표면에 다량으로 배향할 수 없게 되어, 수성 성분을 안정하게 분말화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이 트리메틸실록시화 무수 규산의 소수화율이 50%미만이면, 트리메틸실록시화 무수규산의 수성 성분에 대한 친화성이 지나치게 높게 되기 때문에 역시 수성성분을 안정하게 분말화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트리메틸실록시화 무수규산의 효과는 특유의 것이며, 다른 소수화 무수 규산에 비하여 특히 우수하다. 예를 들면, 소수화 무수 규산에 비해 특히 우수하다. 예를 들면, 소수화 무수 규산에 유사한 디메틸실록실화 무수 규산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 (즉, 전기 불소화합물로 피복처리한 분체를 배합하지 않은 경우), 만족스러운 분말화가 이루어질 수 없다.
트리메틸실록실화 무수규산의 소수화율은 하기 방법에 따라 측정하고 산출한 값이다.
즉, 우선 트리메틸실록실화 무수 규산 0.2 g을 500 ㎖ 비커에 채취하고, 정제수 50 ㎖를 첨가한다. 다음에 이것을 전자 교반하면서, 뷰렛을 사용하여 액면하에 메탄올을 첨가하고, 액면상에 트리메틸실록실화 무수 규산이 부유하지 않게 된 시점을 종점으로 한다. 첨가한 메탄올량(X ㎖)에서 하기 식에 의해 소수화율을 산출한다.
본 발명의 성분(A)는 전기한 바와 같이 80 m2/g 이상의 비표면적을 갖는 미립자 무수 규산의 표면을 실릴화제로 소수화율이 50% 이상 되도록 처리함으로서 조제되나, 예를 들면 "CAB-O-SEAL TS-530"(Cabot Corporation 제품), "AEROSIL R-812" (Degusa A.G.제품) 등의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는 트리메틸실록실화 무수 규산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성분(A)로서는 상기 특성을 갖는 트리메틸실록실화 무수 규산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의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성분(B)의 다가알코올로서는 화장료나 OTC(Over the Counter Drugs) 등의 외용 조성물 (이하, 단순히 "외용 조성물"이라 한다.)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면 특히 한정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글리세린;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트리글리세린에서 유도된 글리세린 유도체;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로 대표되는 알킬렌글리콜; 소르비톨, 크실리톨로 대표되는 당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이 성분(B)도 상기에서 예시한 다가알코올의 단독 또는 2종이상을 적의 선택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성분(C)의 물은 상기성분(B)와 함께 미백 파우더로 액화성을 부여하고, 수용성 성분의 용매로서 기능함과 동시에 미백 파우더에 신선감 및 습윤감 등의 양호한 사용감을 부여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성분(D)의 미백성분으로서는 생체내의 멜라닌 생성과정의 반응저해작용을 갖는 물질 또는 생체내의 흑색 멜라닌을 표백하는 작용을 갖는 물질이며, 또한 외용 조성물에 배합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면 특히 한정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성분(D)로서는 예를 들면, 태반추출물이나 마그네슘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소디움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아스코르빌 디팔미테이트, 글루코피라노실 아스코르베이트로 대표되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마그네슘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및 소디움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와 같은 수용성 아스코르브산 유도체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 성분(D)로서는 상기에 예시한 미백물질의 단독 또는 2종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 미백 파우더의 성분(A)∼(D)의 배합량은 아래와 같다.
우선, 성분(A)의 함유량은 0.1∼7중량% (이하, 간단히 "%"라 기재한다)이 바람직하며, 0.5∼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성분(A)의 함유량이 0.1% 미만에서는 수용성 성분을 충분히 분말화할 수 없으며, 안정한 분말형태를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7%를 초과하여 성분(A)를 배합하면, 사용할 할 때에 미백 파우더로 도포하고 문질러도 충분히 액화되지 않고, 사용성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
한편, 성분(B)의 함유량은 5∼40%가 바람직하고, 10∼3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5%미만이면, 성분(A)에 기인한 엉김이 강하게 되어 양호한 습윤감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으며, 역으로 40%를 초과하여 배합하면 끈적거리는 감촉이 생기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더욱이, 성분(A)에 대한 성분(B)의 중량비가 적어도 1 이상인 것이 요구되나, 가능하면 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C)의 물은 그의 함유량이 50∼94%인 것이 바람직하다. 50% 미만에서는 사용할 때에 도포하고 문질러도 충분히 액화할 수 없는 경우가 있으며, 또한, 94%를 넘으면 분말화가 곤란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더욱이 성분(B)와 (C)의 합계량이 8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0%를 넘으면 더 바람직하다. 성분(B)와 (C)의 합계량이 80% 이상의 경우는 미백 파우더는 피부에서 액화가 스무스하고, 촉촉하며, 분말화나 엉김이 적게 되며, 90%를 넘으면 그의 효과가 한층 높게 된다.
성분(D)의 함유량은 0.01∼5%인 것이 바람직하다. 0.01% 미만에서는 충분한 미백효과가 얻어지지 않으며, 또한 5%를 넘게 배합하면 피부에 대한 자극이나 부작용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미백 파우더에는 발명의 효과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성분(A)∼(D)에 가하고, 통상의 외용 조성물에 사용되는 각종의 임의 성분, 예를 들면, 계면활성제, 수용성 고분자, 저급알코올, 백색안료, 유색안료, 향료, 방부제, 자외선 흡수제, 킬레이트제, 산화방지제 등을 배합할 수 있다.
또, 외용 조성물용 오일을 본 발명의 특징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소량 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외용 조성물용 오일을 배합하는 경우, 그의 종류에 따라 적당한 수단, 예를 들면 적절한 계면활성제나 수용성 고분자의 배합 등의 수단을 강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미백 파우더는 각 성분의 조성 및 배합량, 미백성분의 종류 등을 고려하여 제조할 수 있으나, 그의 일례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i) : 성분(A)를 헨셀 믹서 등을 사용하여 균일하게 혼합한다.
(ii) : 성분(B)∼(D)를 균일하게 용해한다.
(iii) : (i)을 교반하면서 (ii)를 천천히 주입하여 분말화하여 미백 파우더를 얻는다.
이상과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미백 파우더는 분말상의 형태를 가지면서 도포하고 문지르면 액화하여 스킨 로션 상태 또는 화장 에멀젼상태로 된다. 즉, 본 발명 미백 파우더는 분말상의 형태를 갖는 외용 조성물이나, 사용할 때에 도포하고 문지름에 의해 용이하게 액화하는 것이며, 사용중에는 촉촉하며, 스무스하며, 사용 후에도 가루가 생기지 않고, 습윤감을 부여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실시예 및 비교예중의 %는 중량%를 나타낸다.
실시예 1∼4 및 비교예 1∼4
하기 표에 나타낸 조성의 미백 파우더를 하기 방법에 의해 각각 조제하고, 분말화 가부 및 사용감촉에 대하여 하기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표 1]
주: 숫자는 %를 나타낸다
[표 2]
(조제방법)
A: 성분 1∼6 및 9를 실온하에서 헨셀 믹서를 사용하여 교반한다.
B: 성분 7∼9 및 10∼12를 실온하에서 혼합 용해한다.
C: A에서 얻은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B에서 얻은 용액을 천천히 첨가하여 미백 파우더를 얻는다.
(평가방법)
1. 분말화 가부
얻어진 미백 파우더의 제조 직후의 상태를 목시로 관찰하고, 하기의 기준에 의해 평가한다.
A: 대단히 균질하게 분말화되어 있음.
B: 약간 불균질한 부분이 있으나, 분말화되어 있음.
C: 하부에 분말화되어 있지 않은 수성성분이 관찰됨.
D: 소수화 무수 규산이 수성 성분 중에 분산되어 있으며, 분말화가 전혀 이루어져 있지 않음.
2. 사용성 및 사용감
여성 패널러 20명으로 구성된 평가 패널에 의해 매일 1회, 연속 10일간 사용 테스트를 하였다. 양호하게 분말화가 된 실시예 1∼4 및 비교예 3을 샘플로서 사용하였다. 샘플을 적량 한쪽 손바닥에 취하여 양손바닥으로 문질러서 액화한 후, 이를 안면에 도포했다. 도포했을 때의 "액화성", 사용중의 "촉촉함" 및 "스무스한 퍼짐성", 사용후의 "빈약한 퍼짐성의 없음" 및 "습윤감"에 대하여 하기 기준에 의해 5단계로 평가하고, 다시 이를 평균하여 특성을 판정하였다.
평가 기준
5: 매우 양호.
4: 양호
3: 보통
2: 약간 불량
1: 불량
판정
A: 평균점 ≥4.5
B: 4.5〉 평균점 ≥3.5
C: 3.5〉 평균점 ≥2.5
D: 2.5〉평균점
얻어진 결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 1∼4는 양호한 분말화를 나타내고, 도포하고 문지름에 의해 용이하게 액화하여 사용성이 우수하고, 또한 우수한 사용감을 갖는 것이었다. 이에 대하여 비교예에서는 모든 항목을 만족할 수 있는 것은 얻어지지 않았다.
실시예 5
미백 파우더 (모이스춰라이징 타잎)
(성분) (%)
1. 트리메틸실록실화 무수 규산 5.0
(비표면적; 250 m2/g, 소수화율; 98%)
2. 1,3-부티렌글리콜 10.0
3. 글리세린 15.0
4. 소디움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1.0
5. 방부제 0.5
6. 정제수 68.5
(제조방법)
A: 성분 2∼6을 실온하에서 혼합 용해한다.
B: 헨셀 믹서를 사용하여 성분 1을 교반하면서, 여기에 A에서 조제한 용액을 천천히 첨가 주입하여 미백 파우더를 얻는다.
얻어진 미백 파우더는 균질한 분말 형태를 가지며, 도포하여 문질렀을 때의 액화성도 양호하고, 사용감이 우수하며, 특히 사용후의 습윤감, 보습효과가 우수하다.
실시예 6
미백 파우더 (에모리엔트 타잎)
(성분) (%)
1. 트리메틸실록실화 무수 규산 3.0
(비표면적; 280 m2/g, 소수화율; 60%)
2. 프로필렌글리콜 10.0
3. 디글리세린 15.0
4. 글루코피라노실 아스코르베이트 1.0
5. 정제수 71.9
6. 방부제 0.1
7. 스쿠알렌 0.5
8. 수소첨가 대두 포스포리피드 0.5
(제조방법)
A: 성분 2∼8을 70℃에서 교반 혼합한 후, 냉각한다.
B: 헨셀 믹서를 사용하여 성분 1을 교반하면서, 여기에 A에서 얻은 혼합물을 천천히 첨가 주입하여 미백 파우더를 얻는다.
얻어진 미백 파우더는 균질한 분말 형태를 가지며, 도포하고 문지를 때의 액화성도 양호하고, 사용감이 우수하며, 특히 사용 후에 피부를 유연화 시키는 에모리엔트 효과가 우수하다.
실시예 7 및 비교예 5, 6
하기 표에 나타난 조성의 미백 파우더를 하기 방법에 의해 각각 조제하고, 경시안정성, 충격강도 및 사용감촉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표 3]
*1 ; "CAB-O-SIL TS-530" (상품명, Cabot Corporation 제품)
*2 ; "ASAHI GUARD AC530"(상품명, Asahi Glass Co., Ltd. 제품)
5% 처리 마이카
*3 ; "ASAHI GUARD AC530"(상품명, Asahi Glass Co., Ltd. 제품)
5% 처리 폴리에틸렌 파우더
(조제방법)
A: 성분 8∼9를 실온하에서 혼합 분쇄한다.
B: 성분 10∼11와 A에서 조제한 분말 혼합물을 실온하에서 헨셀 믹서를 사용하여 혼합 교반한다.
C: 2∼7을 실온하에서 혼합 용해하여 용액으로 한다.
D: 성분 1을 헨셀 믹서를 사용하여 교반하면서 C에서 조제한 용액을 천천히 첨가하고, 다시 B에서 조제한 혼합물을 첨가하여 미백 파우더를 얻는다.
(평가방법)
1. 경시 안정성
얻어진 미백 파우더를 40℃, 6개월간 보존하고, 경시 안정성을 하기 기준에 의해 평가했다.
평가 기준
A: 외관 변화 없음.
B: 물방울 입자의 합일이 약간 보였다.
C: 하부에 수층의 분리가 보였다.
2. 충격강도
얻어진 미백 파우더를 내용량 10 ㎖의 수지 용기에 5 g 충전하고, 70㎝ 높이에서 콘크리트면에 낙하시켰을 때의 충격강도를 하기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A: 외관 변화 없음.
B: 물방을 입자의 합일이 약간 보였다.
C: 하부에 수층의 분리가 보였다.
3. 사용성 및 사용감
상기 실시예 1∼4와 동일하게 시험하고 판정했다.
얻어진 결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 7의 미백 파우더는 도포하고 문지름에 의해 용이하게 액화하여 사용성이 우수하고, 또한 우수한 사용감을 갖는 것이며, 비교예 5 및 6의 미백 파우더에 비하여 한층 우수한 특징을 갖춘 것이다.
이상과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미백 파우더는 분말상의 형태를 가지면서 도포하고 문지르면 액화하여 스킨 로션 상태 내지는 화장 에멀젼 상태로 된다. 즉, 본 발명 미백 파우더는 분말상의 형태를 갖는 외용 조성물이나, 사용할 때에 도포하고 문지름에 의해 용이하게 액화하는 것이며, 사용중에는 촉촉하며, 스무스하며, 사용 후에도 가루가 생기지 않고, 습윤감을 부여한다.

Claims (4)

  1. 하기 성분 (A)∼(D);
    (A) 비표면적이 80 m2/g 이상이고, 소수화율 50% 이상의 트리메틸실록실화 무수 규산 1∼7 중량%
    (B) C3-9 글리세린 유도체, C2-6 알킬렌글리콜, C5-6 당유도체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가알코올 5∼40 중량%
    (C) 물 50∼93.99 중량%
    (D) 미백성분 0.01∼5 중량%
    를 함유하고, 실질적으로 불소 화합물로 피복처리한 분체를 함유하지 않고, 성분 (A)에 대한 성분(B)의 중량비가 1 이상이며, 또한 성분(B)와 성분(C)의 합계량이 80중량% 이상이고, 사용할 때 도포하여 문지름으로서 액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 파우더.
  2. 제 1항에 있어서, 성분(D)가 수용성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 파우더.
  3. 제 1항에 있어서, 성분(B)와 성분(C)의 합계량이 90 중량%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 파우더.
  4. 제 3항에 있어서, 성분(D)가 수용성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 파우더.
KR10-1998-0001091A 1997-01-24 1998-01-16 미백파우더 KR1004977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24544 1997-01-24
JP2454497 1997-01-24
JP24544/1997 1997-01-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0544A KR19980070544A (ko) 1998-10-26
KR100497736B1 true KR100497736B1 (ko) 2005-09-14

Family

ID=12141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1091A KR100497736B1 (ko) 1997-01-24 1998-01-16 미백파우더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126926A (ko)
EP (1) EP0855177B1 (ko)
KR (1) KR100497736B1 (ko)
CN (1) CN1140255C (ko)
CA (1) CA2226996C (ko)
DE (1) DE69826740T2 (ko)
HK (1) HK1012174A1 (ko)
TW (1) TW51331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5764B1 (ko) * 1999-08-14 2002-07-24 한국콜마 주식회사 기능성 성분이 함유된 워터인파우더 제조방법 및 장치
FR2798646B1 (fr) 1999-09-21 2001-12-28 Oreal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et d'application
US6290941B1 (en) 1999-11-23 2001-09-18 Color Access, Inc. Powder to liquid compositions
US6413548B1 (en) 2000-05-10 2002-07-02 Aveka, Inc. Particulate encapsulation of liquid beads
FR2808980B1 (fr) 2000-05-19 2002-12-20 Oreal Ensemble pour le conditionnement et l'application d'une poudre liquide
US6945723B1 (en) 2000-09-21 2005-09-20 L'oréal Packaging and application device
FR2814651B1 (fr) 2000-10-03 2003-08-15 Oreal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et d'application comportant un element d'application compressible servant a l' application du produit et un logement pour recevoir l' element d'application charge en produit
TWI314865B (ko) * 2001-01-18 2009-09-21 Shiseido Co Ltd
FR2823726B1 (fr) 2001-04-20 2003-06-27 Oreal Ensemble pour le conditionnement et l'application d'un produit notamment cosmetique ou de soin
KR20030045051A (ko) * 2001-07-05 2003-06-09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분말상 조성물
FR2829115B1 (fr) 2001-08-29 2004-11-05 Oreal Ensemble pour le conditionnement et l'application d'un produit, notamment cosmetique
GB0128210D0 (en) * 2001-11-24 2002-01-16 Sorex Ltd Compositions containing saccharide and hydrophobic silica
FR2832630B1 (fr) * 2001-11-28 2005-01-14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et/ou dermatologique contenant au moins un actif hydrophile sensible a l'oxydation stabilise par au moins un copolymere de n-vinylimidazole
KR100845731B1 (ko) * 2001-12-14 2008-07-11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미백 활성물질을 함유하는 분말형 화장료 조성물
ES2254885T3 (es) * 2002-06-20 2006-06-16 L'oreal Utilizacion cosmetica y/o dermatologica de una composicion que contiene al menos un agente hidrofilo sensible a la oxidacion por al menos un copolimero de anhidrido maleico.
KR100863233B1 (ko) * 2003-09-13 2008-10-15 이경록 기능성 워터인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FR2860435B1 (fr) * 2003-10-07 2008-08-01 Cosmetic Lab Concepts C L C Poudre d'eau a base de silice hydrophobe
US20060008485A1 (en) * 2004-07-12 2006-01-12 Ferone James J Packaged cosmetic compositions and related methods
US7341743B2 (en) * 2004-10-28 2008-03-11 Revlon Consumer Products Corporation Color cosmetic compositions
DE102004056862A1 (de) * 2004-11-25 2006-06-14 Degussa Ag Pulverförmige, kosmetische Zubereitung mit hohem Wassergehalt
US20060134036A1 (en) * 2004-12-20 2006-06-22 Scancarella Neil D Antiperspirant/deodorant compositions and methods
DE102005055226A1 (de) * 2004-12-24 2006-07-13 Degussa Ag Lagerung pulverförmiger Stoffe mit hohem Wassergehalt
KR20080025036A (ko) * 2005-03-23 2008-03-19 마리 케이 인코포레이티드 피부 미백 조성물
WO2006103879A1 (ja) * 2005-03-25 2006-10-05 Kose Corporation 含水粉末化粧料
US20070020209A1 (en) * 2005-07-20 2007-01-25 Tatyana Zamyatin Makeup compositions and methods
US20070048238A1 (en) * 2005-08-30 2007-03-01 Sandewicz Ida M Color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DE102005060679A1 (de) * 2005-12-14 2007-06-21 Coty Deutschland Gmbh Verflüssigende kosmetische Zusammensetzung,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kosmetisches Produkt enthaltend die Zusammensetzung
US20070154426A1 (en) * 2006-01-05 2007-07-05 Hansen Angela M Powdered water cosmetic compositions and related methods
US20070218024A1 (en) * 2006-03-17 2007-09-20 Tatyana Zamyatin Dry water cosmetic compositions that change color upon application
US20070292373A1 (en) * 2006-06-19 2007-12-20 Julio Gans Russ Self Tanning or Sunscreen Cosmetic Compositions
DE102008057261A1 (de) * 2008-11-13 2010-05-20 Henkel Ag & Co. Kgaa Pulverförmige Stylingmittel
BR112012018812B1 (pt) 2009-12-26 2020-12-15 Evonik Operations Gmbh Composição pulverulenta, e seu processo de produção
WO2011101999A1 (en) 2010-02-18 2011-08-25 L'oreal Device for powdery cosmetic product
DE102011077298A1 (de) 2011-06-09 2012-12-13 Evonik Degussa Gmbh Kern-Hülle-Partikel mit einem hohen Gehalt an Glycerin, ihre Herstellung und Verwendung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2378A (en) * 1990-04-20 1992-11-10 Revlon Consumer Products Corporation Silicone containing water-in-oil microemulsions having increased salt content
JP3107891B2 (ja) * 1991-03-11 2000-11-13 株式会社コーセー 含水粉末化粧料
EP0545002A1 (en) * 1991-11-21 1993-06-09 Kose Corporation Silicone polymer, paste-like composition and water-in-oil type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JPH06166611A (ja) * 1992-12-01 1994-06-14 Kose Corp 粉末化粧料
NZ250609A (en) * 1992-12-28 1995-07-26 Sankyo Co Hexahydronaphthalene esters and ring closed lactones; preparation and medicaments
JP3219886B2 (ja) * 1993-01-12 2001-10-15 株式会社コーセー 粉末化粧料
US5540921A (en) * 1993-03-10 1996-07-30 Kose Corporation Solid o/w-type cosmetic composition
JP3105704B2 (ja) * 1993-07-16 2000-11-06 三菱鉛筆株式会社 液状化粧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55177B1 (en) 2004-10-06
CA2226996A1 (en) 1998-07-24
HK1012174A1 (en) 1999-07-30
KR19980070544A (ko) 1998-10-26
TW513312B (en) 2002-12-11
CN1194824A (zh) 1998-10-07
DE69826740D1 (de) 2004-11-11
EP0855177A3 (en) 2000-07-12
US6126926A (en) 2000-10-03
DE69826740T2 (de) 2005-10-06
CA2226996C (en) 2006-08-15
CN1140255C (zh) 2004-03-03
EP0855177A2 (en) 1998-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7736B1 (ko) 미백파우더
KR101100623B1 (ko) 분말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KR20000048522A (ko) 오일 및 합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액체 개인용 세정 조성물
JP2002501882A (ja) 低蒸気圧噴射剤を含有するエアゾールパーソナルクレンジングエマルション組成物
JP3352381B2 (ja) 美白パウダー
US20060153792A1 (en) Novel cosmetic formulations based on a gel-forming and/or thickening agent and applications of same
DE10028718A1 (de) Kosmetische Stifte
WO1998013436A1 (fr) Composition d'humectant, base la contenant, produit cosmetique ou preparation a usage externe la contenant
JP2005314366A (ja) 彩色非水系組成物
ITMI981895A1 (it) Composizione cosmetica e/o idratante
KR20170029619A (ko) 액상 피부 외용제
KR100425260B1 (ko) 파우더 성상의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CN106456467A (zh) 用于增强有色化妆品的局部施用的组合物和方法
KR102132614B1 (ko) 다층상 구조의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84125A (ko) 친유성 펩타이드를 가지는 스킨 케어 제제
JP3975060B2 (ja) 水層−油層からなる液−液系の二層型化粧料
JP3967017B2 (ja) 乳化型化粧料
KR20210124197A (ko) 입자 크기 분포를 갖는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화장 조성물
JP5133119B2 (ja) 化粧用粉体
JP6640556B2 (ja) 水中油型液体入浴剤及びその製造方法
JP2799600B2 (ja) 皮膚用油性化粧料
JP2001354543A (ja) 固形化粧料
JPS61257915A (ja) 粉末入り化粧水
JPH107521A (ja) 乳化化粧料
JP2002241211A (ja) 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