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7348B1 - 인쇄기 광주사시스템의 이미지주사 개시시기 조정방법 - Google Patents

인쇄기 광주사시스템의 이미지주사 개시시기 조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7348B1
KR100497348B1 KR1019980031430A KR19980031430A KR100497348B1 KR 100497348 B1 KR100497348 B1 KR 100497348B1 KR 1019980031430 A KR1019980031430 A KR 1019980031430A KR 19980031430 A KR19980031430 A KR 19980031430A KR 100497348 B1 KR100497348 B1 KR 100497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dth
pulse
value
detected
expected pul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1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3293A (ko
Inventor
김남룡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19990023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3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7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73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50Picture reproducers
    • H04N1/506Reproducing the colour component signals picture-sequentially, e.g. with reproducing heads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in the subscanning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Laser Beam Printer (AREA)
  • Color, Gradation (AREA)
  • Mechanical Optical Scanning Systems (AREA)

Abstract

인쇄기 광주사시스템의 이미지주사 개시시기 조정방법이 개시된다. 이미지주사 개시시기 조정방법은 광주사유니트로부터 출사되어 감광벨트의 가장자리까지 도달하는 일부의 광을 수광하는 광검출기로부터 수광에 대응하여 검출된 펄스의 폭과 세팅된 예상펄스의 폭과 비교하여 검출된 펄스의 폭이 예상 펄스 폭보다 작으면, 검출된 펄스신호를 주가개시 동기용 에지펄스신호로 세팅하여 검출된 펄스신호종료시점으로부터 설정된 시간이후에 이미지 주사가 개시되도록 하고, 검출된 펄스 폭이 현재 예상 펄스 폭보다 크거나 같으면, 현재 예상 펄스의 폭을 에지펄스신호로 세팅하고, 에상펄스의 종료시점으로부터 설정된 시간이후에 이미지 주사가 개시되도록 하고, 예상펄스의 폭과 검출된 펄스의 폭의 차이값에 따라 현재 예상펄스의 폭에 단위 값만큼 증감하여 얻은 값 또는 현재 예상펄스의 폭 그대로를 다음 예상펄스의 폭 값으로 세팅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광검출기로부터 주사광의 감광벨트의 가장자리 도착까지에 대응하여 검출된 펄스의 폭과 예상 펄스 폭을 상호 비교/분석하여 검출된 펄스의 폭과 예상펄스의 폭중 어느 하나를 이미지 주사개시 동기용 에지신호로 결정하고, 비교/분석 결과에 따라 다음 예상 펄스 폭의 값을 가변시킴으로써, 주주사방향의 화상기입에러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인쇄기 광주사시스템의 이미지주사 개시시기 조정방법
본 발명은 인쇄기 광주사시스템의 이미지주사 개시시기 조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감광벨트 가장자리의 결함에 의한 주주사방향에서의 이미지 선단 기입오류를 억제하기 위해 이미지 개시시기를 조정하는 인쇄기 광주사시스템의 이미지주사 개시시기 조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자사진방식 인쇄기를 나타내보인 단면도이다.
일반적인 인쇄기를 나타내보인 도 1을 참조하면, 3개의 롤러(11)(12)(13)들에 의해 순환운동하는 감광매체인 감광벨트(14)의 순환경로에 인접하여 리셋장치(15), 광주사유니트(30)들, 광검출기(18)들, 현상기(16)들, 건조장치(19), 전사장치(20)가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인쇄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리셋장치(15)를 거쳐 순환하는 감광벨트(14)에 대해 광주사유니트(30)가 광을 주사한다. 주사된 광에 의해 감광벨트(14)에는 정전잠상이 형성되고, 이 정전잠상은 현상기(16)로부터 공급된 현상액에 의해 현상된다. 상호 다른 색상정보의 광을 주사하고, 그에 대응하는 색상의 현상물질로 현상하는 광주사유니트(30)들과 현상기(16)들에 의해 감광벨트(14)상에는 컬러화상이 형성된다. 감광벨트(14)상에 현상물질로 형성된 컬러 화상은 감광벨트(14)의 계속적인 이동에 의해 건조장치(19)를 거쳐 상기 감광벨트(14)와 그 일부가 맞물려 회전되는 전사롤러(21)에 1차 전사된다. 계속해서, 전사롤러(21)와 정착롤러(22)의 회전에 의해 전사롤러(21)상의 화상이 용지(23)로 2차 전사된다.
한편, 이와 같이 작동되는 인쇄기에 채용된 종래의 광주사시스템을 나타내보인 도 2를 참조하면, 광주사시스템은 광주사유니트(30)와, 광검출기(18) 및 광주사 제어부(35)를 갖는다. 화살표방향으로 전진되는 감광벨트(14)의 폭방향인 주주사방향으로 광을 주사하는 광주사유니트(30)는 광원(31), 회전다면경(32), 렌즈유니트(33)를 갖는다. 여기서, 감광벨트(14)의 진행방향에 수직한 방향 즉, 감광벨트(14)의 폭방향을 주주사방향, 그리고, 주주사방향에 수직인방향 즉, 감광벨트(14)의 진행방향을 부주사방향이라 한다.
광주사유니트(30)로부터 감광벨트(14)의 가장자리 부근으로 주사된 광을 검출하도록 광검출기(18)가 설치되어 있다. 광주사제어부(35)는 감광벨트(14) 내에 설정된 화상 기입영역(D)으로 실질적인 이미지정보에 해당하는 광주사의 개시를 동기시키는데 광검출기(18)에서 광검출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펄스를 이용한다. 즉, 광주사제어부(35)는 광검출기(18)로부터 수신된 펄스신호의 하강시점을 광주사유니트(30)로부터 주사된 광이 감광벨트(14)의 가장자리에 도착한 시기로 판정한다. 그리고, 광주사제어부(35)는 펄스신호의 하강시점부터 설정된 지연시간 이후에 이미지 정보에 대응되는 광원(31)으로부터의 광출사가 개시되도록 광주사유니트(30)를 제어하였다.
그러나, 광검출기(18)로부터 출력된 펄스신호의 하강시점을 기준으로 설정된 지연시간 이후에 이미지 정보에 대응하는 광원(31)으로부터 광신호가 출사되기 때문에 감광벨트(14)의 가장자리에 일부가 패여진 결함부분이 있을 경우에는 화상 기입영역(D)에 주사된 광의 선단들이 부주사방향을 따라 나란하지 않게 즉, 들쭉날쭉 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창안된 것으로서, 감광벨트 가장자리 라인의 결함 및 직진성에 영향을 크게 받지않고, 감광벨트의 부주사방향을 따라 화상정보 기입선단을 일치시킬 수 있는 인쇄기 광주사시스템의 이미지주사 개시시기 조정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쇄기 광주사시스템의 이미지주사 개시시기 조정방법은 순환운동하는 감광벨트에 대해 광을 주사하도록 설치된 광주사유니트와, 상기 광주사유니트로부터 상기 감광벨트를 소정거리 벗어난 위치에서부터 상기 감광벨트의 가장자리까지 주사된 광을 수광할 수 있도록 설치된 광검출기를 구비하는 인쇄기 광주사시스템의 이미지주사 개시시기 조정방법에 있어서, (a) 상기 광검출기로부터 수광에 대응하여 검출된 펄스의 폭이 세팅된 예상펄스의 폭보다 작은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검출된 펄스의 폭이 상기 예상 펄스 폭보다 작으면, 검출된 펄스신호를 에지펄스신호로 세팅하고, 현재의 예상 펄스의 폭에서 소정의 단위값을 뺀 값을 다음 예상 펄스의 폭으로 세팅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a)에서 검출된 펄스 폭이 상기 예상 펄스 폭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예상 펄스의 폭을 에지펄스신호로 세팅하고, 다음 예상 펄스 폭의 세팅을 위해 검출된 펄스의 폭과 예상 펄스의 폭의 차이값이 상기 광검출기의 장착오차에 의해 야기된 오프셋값 보다 작은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차이값이 상기 오프셋 값보다 작으면, 현재의 상기 예상 펄스 폭에서 소정의 단위값을 뺀 값을 다음 예상 펄스 폭으로 세팅하는 단계; (e)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차이값이 상기 오프셋 값보다 크면 현재의 예상 펄스 폭에 소정의 단위값을 더한 값을 다음 예상 펄스 폭으로 세팅하는 단계; (f) 상기 단계 (b) 또는 상기 단계 (c)에서 세팅된 에지펄스신호의 종료시점으로부터 설정된 시간후에 상기 광주사유니트로부터 이미지주사를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쇄기 광주사시스템의 이미지주사 개시시기 조정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미지 주사개시시기 조정방법이 적용되는 광주사시스템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앞서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광주사시스템은 순환운동하는 감광벨트(14)에 대해 광을 주사하도록 설치된 광주사유니트(30)와, 광주사유니트(30)로부터 주사된 광중 감광벨트(14)를 소정거리 벗어난 위치에서부터 감광벨트(14)에 의해 차단될 때까지의 광을 수광하여 그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도록 설치된 광검출기(18)와, 광검출기(18)의 출력신호를 이용하여 감광벨트(14)내에 설정된 화상기입영역(D)으로의 광주사유니트(30)의 광출사개시시기를 제어하는 광주사제어부(45)를 구비한다. 상기 광주사제어부(45)내에는 광검출기(18)로부터 입력되는 펄스를 카운트 하는 카운터(미도시), 카운터용 클럭을 발생시키는 클럭발생기(미도시) 및, 에지신호 결정 알고리즘이 기록된 메모리(미도시)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인쇄기의 광주사시스템에서 상기 광주제어부(45)의 광주사유니트(30)에 대한 본 발명의 주사개시시기 조정방법을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먼저, 초기화 과정으로서, 초기 예상 펄스의 폭(PWE)값 및 오프셋(offset)값을 세팅한다(단계 100). 여기서 초기 예상 펄스의 폭(PWE)은 인쇄기에 전원이 투입될 때, 초기값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결함이 없는 감광벨트(14)와 광검출기(18)가 설정된 궤도상에 각각 위치될 때, 광주사유니트(30)로부터 출사된 광의 수광에 대응되어 광검출기(18)로부터 출력되는 펄스의 폭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검출기(18)가 설정된 위치로부터 주주사방향으로 소정거리 벗어나 장착될 경우 감광벨트(14)가 설정된 궤도상에 위치하여도 광주사유니트(30)로부터 출사된 광의 수광에 대응되어 광검출기(18)로부터 출력되는 펄스의 폭이 상기 초기 예상펄스폭(PWE)과 다르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의 각각 다른 색상 이미지 정보를 주사하는 광주사유니트(30)들과 각각 짝을 이루어 배치된 엘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용 광검출기(18)들이 설정된 장착선단 위치(P)로부터 감광벨트(14) 진행방향에 수직한 주주사방향으로 소정거리 벗어나 장착되게 되면, 감광벨트(14)가 설정된 궤도를 따라 진행하여도 각 광검출기(18)가 설정된 장착초기위치(P)로부터 벗어난 정도에 따라 광주사유니트(30)로부터 출사된 광이 감광벨트(14)를 벗어난 위치에서부터 편향되어 감광벨트(14)의 가장자리에 도착시까지의 수광에 대응되는 펄스의 폭이 각각 다르게 출력된다.
오프셋값은 결함이 없는 감광벨트(14)가 정상궤도에 위치된 상태에서 광검출기(18)의 장착오차에 의해 야기되는 상기 초기 예상펄스폭(PWE)과 검출된 펄스폭과의 차이값에 해당한다.
이와 같은 초기 예상 펄스의 폭(PWE)값 및 오프셋값의 세팅과정은 제품조립완료 이후에 수행되고, 세팅이후에 인쇄기가 가동될 때는 세팅된 초기 예상 펄스의 폭(PWE)값 및 오프셋값을 후속되는 과정의 연산용 값으로 사용하게 된다.
단계 100에서 초기 예상 펄스의 폭(PWE)값 및 오프셋값을 광주사제어부(45)내의 메모리에 세팅한 이후, 이미지정보를 감광벨트(14)의 화상기입영역(D)내에 기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요구되는 이미지주사개시 동기용 에지펄스신호의 결정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광주사유니트(30)로부터 주사된 광이 감광벨트(14) 가장자리에 도달할 때까지의 수광에 대응하여 광검출기(18)로부터 검출된 펄스의 폭(PWD)을 카운트 한다(단계210).
이때 펄스의 폭 카운트용 클럭의 발생주기는 적용하는 주주사방향의 해상도에 따라 결정되는 도트 사이 간격 즉, 감광벨트(14)상에서의 픽셀 사이의 간격에 대한 주사간격시간 보다 적게, 바람직하게는 주사간격시간의 1/5 이하가 되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데, 픽셀간 주사간격시간이 50ns일 경우 클럭발생 주기는 10ns이하가 되도록 한다.
광검출기(18)로부터 출력되어 검출된 상기 펄스의 폭(PWD)은 카운트된 클럭수로 저장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예상펄스의 폭(PWE)값도 클럭수로 저장되어 있다.
다음은, 감광 벨트(14)의 에지에 대해 검출된 펄스 폭(PWD)이 예상 펄스 폭(PWE)보다 작은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단계220). 즉, 광검출기(18)로부터 수광에 대응되는 출력되는 펄스의 상승시점부터 하강시점까지의 클럭수를 카운트 하여, 예상펄스의 폭(PWE)에 해당하는 클럭수값보다 작은지를 판별한다.
광검출기(18)로부터 출력되는 펄스의 카운트값이 예상펄스의 폭(PWE)에 해당하는 클럭수값에 도달하기 이전에 종료되면, 즉, 검출된 펄스 폭(PWD)이 예상 펄스 폭(PWE)보다 작으면, 검출된 펄스 폭(PWD) 그대로를 이미지주사개시 동기용 에지펄스신호로 세팅한다(단계 230). 상기 에지펄스신호는 인쇄를 위한 이미지정보 주사개시 동기용 신호로 이용된다. 그리고, 검출된 펄스 폭(PWD)이 예상 펄스 폭(PWE)보다 작으면, 현재의 예상 펄스 폭(PWE)에 해당하는 클럭수값에서 소정의 단위값 예컨데, 1을 뺀 값의 클럭수를 다음 예상 펄스 폭(PWE)으로 세팅한다(단계 240).
한편, 상기 단계 220에서 검출된 펄스 폭(PWD)이 예상 펄스 폭(PWE)보다 크거나 같으면, 예상 펄스 폭(PWE)을 그대로 이미지주사개시 동기용 에지펄스신호로 세팅하고(단계 250), 다음 예상펄스 폭(PWE)의 세팅을 위한 이후의 과정을 수행한다.
먼저, 검출된 펄스 폭(PWD)이 예상 펄스 폭(PWE)과 같으면, 현재의 예상 펄스 폭(PWE)에 해당하는 클럭수값을 그대로 다음 예상 펄스 폭(PWE)의 값으로 세팅한다(단계 270).
단계 220과 260을 거치는 과정을 통해 검출된 펄스 폭(PWD)이 예상 펄스 폭(PWE)과 같지 않고, 크게 판별된 경우에는 현재 예상펄스의 폭(PWE)과 검출된 펄스의 폭(PWD)의 차이값(PWD - PWE)을 구하고, 이 차이값(PWD - PWE)이 오프셋 값 보다 작은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280).
단계 280에서 현재 예상펄스의 폭(PWE)과 검출된 펄스의 폭(PWD)의 차이값(PWD - PWE)이 오프셋 값보다 작으면, 단계 240을 거쳐 현재의 예상 펄스 폭(PWE)에 해당하는 클럭수값에서 1을 뺀 값을 다음 예상 펄스 폭(PWE)으로 세팅한다.
단계 280에서 현재 예상펄스의 폭(PWE)과 검출된 펄스의 폭(PWD)의 차이값(PWD - PWE)이 오프셋 값이 보다 작지 않으면, 단계 290을 통해 현재 예상펄스의 폭(PWE)과 검출된 펄스의 폭(PWD)의 차이값(PWD - PWE)이 오프셋값과 같은지를 판별한다. 단계 290에서 현재 예상펄스의 폭(PWE)과 검출된 펄스의 폭(PWD)의 차이값(PWD - PWE)이 오프셋값과 같으면 단계 270을 거쳐 현재의 예상 펄스 폭(PWE)에 해당하는 클럭수값을 그대로 다음 예상 펄스 폭(PWE)의 클럭수 값으로 세팅한다.
단계 280과 단계 290을 거쳐 현재 예상펄스의 폭(PWE)과 검출된 펄스의 폭(PWD)의 차이값(PWD - PWE)이 오프셋 값 보다 큰 것으로 판별되면 현재의 예상 펄스 폭(PWE)에 해당하는 클럭수값에다 1을 더한 값을 다음 예상 펄스 폭(PWE)의 값으로 세팅한다(단계 300).
상기에서 설명된 결정과정을 통해 단계 220이후에는 단계 240, 단계 270, 단계 300중 어느 하나의 단계를 거쳐, 다음 예상 펄스의 폭(PWE)이 결정된다. 결정된 다음 예상펄스의 폭(PWE)은 후속되는 광검출기(18)로부터 검출된 펄스의 폭(PWD)과 비교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과정은 광주사유니트(30)로부터 주사가 반복될 때마다 반복된다.
이상과 같은 일련의 과정에 의해 상기 예상 펄스 폭(PWE)이 검출된 펄스 폭(PWD)과 같아지도록 자동적으로 보정되고, 그에 따라 이미지정보 주사개시시기가 감광벨트(14)상에 설정해 놓은 화상기입영역(D)의 선단에서부터 시작될 수 있는 주사시기 조정이 가능해 진다.
한편, 이러한 반복과정에서 단계 210과 220이후에 단계 230 또는 단계 250중 어느 하나로 결정되어 세팅되는 에지펄스신호는 감광벨트(14)상에 이미지를 기입하고자 할 때의 이미지 주사개시 동기신호로 이용된다. 즉, 단계 220과정을 거쳐 단계 230 또는 단계 250중 어느 하나로 선택되어 결정된 에지펄스신호의 종료시점으로부터 설정된 시간(T)이후에 이미지정보에 대응하는 광출사를 개시한다. 인쇄과정에서는 단계 210 및 단계 220이 반복될 때마다 단계 400이 수행된다.
이러한 광주사개시 동기용 에지펄스신호 생성 알고리즘에 의해 광검출기(18)로부터 검출된 펄스의 폭(PWD) 또는 현재 적용되는 예상펄스의 폭(PWE)중 어느 하나가 에지펄스신호로 선택되고, 에지펄스신호로 선택된 펄스의 종료시점을 기준으로 설정된 시간(T) 이후에 라인 이미지주사가 개시된다. 이를 좀더 상세하게 살펴보면, 인쇄과정에서는 단계 210이 완료되면, 광주사제어부(45)가 광원(31)의 광출사를 임시 멈춘다. 즉, 광검출기(18)로부터 출력되는 펄스가 종료되면, 광원(31)의 구동을 멈춘다. 단계 210을 수행 완료하는 시점에서 후속되는 단계 220의 판별결과를 얻을 수 있다. 즉, 광검출기(18)로부터 출력되는 펄스(PWD)의 카운트값이 예상펄스의 폭(PWE)에 해당하는 클럭수값에 도달하기 이전에 종료되면, 단계 230 및 단계 400을 거쳐 검출된 펄스종료시점부터 설정된 시간 T이후에 광원(31)을 구동하여 이미지주사를 개시한다.
반대의 경우로 광검출기(18)로부터 출력되는 펄스(PWD)의 카운트값이 예상펄스의 폭(PWE)에 해당하는 클럭수값에 도달하면, 단계 250 및 단계 400을 거쳐 예상펄스의 폭(PWE)에 해당하는 클럭수값부터 설정된 시간 T이후에 설정된 시간 T이후에 광원(31)을 구동하여 이미지주사를 개시한다.
이러한 주사개시 동기조정방법에 의하면 감광벨트(14)의 가장자리영역 일부가 소정깊이 패인 결함이 있는 경우에도 감광벨트(14)상에 설정해놓은 화상기입영역(D)의 선단으로부터 하나의 클럭발생시간에 해당하는 폭 또는 그 수배정도에 대응하는 주사거리 이내에서부터 이미지정보가 기입되기 때문에 수 픽셀간격 보다 더 깊게 패인 감광벨트(14) 가장자리의 결함에 대해서도 화상기입에러가 픽셀 간격 이내로 훨씬 저감된다.
지금까지의 설명은 하나의 광주사유니트(30)와 광검출기(18) 및 광주사제어부(45)에 대해 설명되었지만, 도 1에서와 같은 컬러 인쇄기의 경우, 각 광주사유니트(30)의 주사개시시기 조정용 초기 예상펄스 폭은 동일한 값으로 설정해놓고, 각 광주사유니트(30)에 대응하는 광검출기(18)들의 장착오차에 따른 오프셋값들을 각각 설정하는 과정을 거친다음, 상기 에지펄스신호 결정 알고리즘 및 결정된 에지펄스신호에 동기시켜 이미지주사를 개시하는 과정을 각 광주사유니트(30)별로 독립적으로 제어하면된다. 컬러 인쇄기에 있어서는 상기 방법에 의해 각 색상별로 기입된 이미지정보의 선단이 픽셀간격 이내범위에서 어긋남이 조정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쇄기 광주사시스템의 이미지주사 개시시기 조정방법에 의하면, 광검출기로부터 주사광의 감광벨트의 가장자리 도착까지에 대응하여 검출된 펄스의 폭과 예상 펄스 폭을 상호 비교/분석하여 검출된 펄스의 폭과 예상펄스의 폭중 어느 하나를 이미지 주사개시 동기용 에지신호로 결정하고, 비교/분석 결과에 따라 다음 예상 펄스 폭의 값을 가변시킴으로써, 주주사방향의 화상기입에러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컬러 인쇄기를 나타내보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컬러 인쇄기 광주사시스템의 종래 이미지주사 개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발췌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주사개시조정방법이 적용되는 인쇄기 광주사시스템을 나타내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주가 개시시기 조정방법의 실행과정을 나타내보인 플로우도이고,
도 5는 도 1의 컬러 인쇄기 광주사시스템에서 상호 비정렬 장착된 광검출기들의 배치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12, 13: 롤러 14: 감광벨트
15: 리셋장치 16: 현상기
18: 광검출기 19: 건조장치
20: 전사장치 21: 전사롤러
22: 정착롤러 23: 용지
30: 광주사유니트 31: 광원
32: 회전다면경 33: 렌즈유니트
35, 45: 광주사제어부

Claims (5)

  1. 순환운동하는 감광벨트에 대해 광을 주사하도록 설치된 광주사유니트와, 상기 광주사유니트로부터 상기 감광벨트를 소정거리 벗어난 위치에서부터 상기 감광벨트의 가장자리까지 주사된 광을 수광할 수 있도록 설치된 광검출기를 구비하는 인쇄기의 광주사시스템에서 이미지주사 개시시기 조정방법에 있어서,
    (a) 상기 광검출기로부터 수광에 대응하여 검출된 펄스의 폭이 세팅된 예상펄스의 폭보다 작은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검출된 펄스의 폭이 상기 예상 펄스 폭보다 작으면, 검출된 펄스신호를 에지펄스신호로 세팅하고, 현재의 예상 펄스의 폭에서 소정의 단위값을 뺀 값을 다음 예상 펄스의 폭으로 세팅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a)에서 검출된 펄스 폭이 상기 예상 펄스 폭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예상 펄스의 폭을 에지펄스신호로 세팅하고, 다음 예상 펄스 폭의 세팅을 위해 검출된 펄스의 폭과 예상 펄스의 폭의 차이값이 상기 광검출기의 장착오차에 의해 야기된 오프셋값 보다 작은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차이값이 상기 오프셋 값보다 작으면, 현재의 예상 펄스 폭에서 소정의 단위값을 뺀 값을 다음 예상 펄스 폭으로 세팅하는 단계;
    (e)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차이값이 상기 오프셋 값보다 크면 현재의 예상 펄스 폭에 소정의 단위값을 더한 값을 다음 예상 펄스 폭으로 세팅하는 단계; 및
    (f) 세팅된 상기 에지펄스신호의 종료시점으로부터 설정된 시간후에 상기 광주사유니트로부터 이미지주사를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 광주사시스템의 이미지주사 개시시기 조정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g) 상기 단계 (a)에서 검출된 펄스 폭이 상기 예상 펄스 폭과 같으면, 상기 예상 펄스의 폭을 다음 예상 펄스의 폭으로 세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 광주사시스템의 이미지주사 개시시기 조정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 (d), (e), (g) 각각에서의 상기 단위 값들은 동일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 광주사시스템의 이미지주사 개시시기 조정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값은 상기 광주사유니트로부터의 픽셀간 주사시간 보다 적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 광주사시스템의 이미지주사 개시시기 조정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값은 픽셀간 주사시간의 1/5정도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 광주사시스템의 이미지주사 개시시기 조정방법.
KR1019980031430A 1997-08-01 1998-08-01 인쇄기 광주사시스템의 이미지주사 개시시기 조정방법 KR1004973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6871 1997-08-01
KR97-36871 1997-08-01
KR1019970036871A KR19990015003A (ko) 1997-08-01 1997-08-01 화상형성장치에서의 칼라 레지스트레이션 조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3293A KR19990023293A (ko) 1999-03-25
KR100497348B1 true KR100497348B1 (ko) 2005-09-02

Family

ID=1951667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6871A KR19990015003A (ko) 1997-08-01 1997-08-01 화상형성장치에서의 칼라 레지스트레이션 조정방법
KR1019980031430A KR100497348B1 (ko) 1997-08-01 1998-08-01 인쇄기 광주사시스템의 이미지주사 개시시기 조정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6871A KR19990015003A (ko) 1997-08-01 1997-08-01 화상형성장치에서의 칼라 레지스트레이션 조정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064499A (ko)
EP (1) EP0895407B1 (ko)
JP (1) JPH1158830A (ko)
KR (2) KR19990015003A (ko)
CN (1) CN1164077C (ko)
DE (1) DE69806698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85604B1 (en) * 1999-08-04 2002-05-07 Hyperroll, Israel Limited 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 having integrated non-relational multi-dimensional data store of aggregated data elements
US20020029207A1 (en) * 2000-02-28 2002-03-07 Hyperroll, Inc. Data aggregation server for managing a multi-dimensional database and database management system having data aggregation server integrated therein
EP2469850A3 (en) * 2001-02-21 2013-07-10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ve program guides with personal video recording features
KR100425310B1 (ko) * 2001-11-23 2004-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 화상형성 장치의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보정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보정 방법
US8572221B2 (en) * 2004-05-26 2013-10-29 Facebook,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n online social network
KR100644657B1 (ko) 2004-12-02 2006-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칼라레지스트레이션 보정장치 및방법
WO2006080950A1 (en) * 2005-01-27 2006-08-03 Thomson Licensing Edge based cmy automatic picture registration
KR101093065B1 (ko) 2007-01-05 2011-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 색상 정합을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방법
KR101043342B1 (ko) * 2007-01-11 2011-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 컬러 정렬의 제어가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자동 컬러 정렬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9975A (ja) * 1990-04-27 1992-01-14 Konica Corp 光書込み装置
JPH04131874A (ja) * 1990-09-25 1992-05-06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H04198965A (ja) * 1990-11-29 1992-07-20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5208796A (en) * 1991-01-03 1993-05-04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verse image registration on photoreceptive belts
JPH04251874A (ja) * 1991-01-28 1992-09-08 Konica Corp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H04301661A (ja) * 1991-03-29 1992-10-26 Konica Corp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H04321066A (ja) * 1991-04-22 1992-11-11 Konica Corp カラー画像形成装置
US5444469A (en) * 1992-09-02 1995-08-22 Hewlett Packard Corporation Prin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dots
US5381165A (en) * 1992-11-04 1995-01-10 Xerox Corporation Raster output scanner with process direction registration
US5510877A (en) * 1994-04-20 1996-04-23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lateral registration control in color printing
JP3489595B2 (ja) * 1994-06-17 2004-01-1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多重画像形成装置の画像サンプリング及び色ずれ補正方式
EP0861458A1 (en) * 1995-11-17 1998-09-02 Imation Corp. System for registration of color separation images on a photoconductor bel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95407A3 (en) 1999-08-25
DE69806698T2 (de) 2002-11-28
KR19990015003A (ko) 1999-03-05
EP0895407B1 (en) 2002-07-24
CN1164077C (zh) 2004-08-25
US6064499A (en) 2000-05-16
EP0895407A2 (en) 1999-02-03
CN1207629A (zh) 1999-02-10
DE69806698D1 (de) 2002-08-29
JPH1158830A (ja) 1999-03-02
KR19990023293A (ko) 199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8744B1 (ko) 인쇄기및그컬러레지스트레이션에러보정방법
US6208367B1 (en) Light beam scann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664666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for maintaining a constant beam scanning state
KR100497348B1 (ko) 인쇄기 광주사시스템의 이미지주사 개시시기 조정방법
KR100523345B1 (ko) 화상형성장치
US6166749A (en) Optical scanning system for printer
KR100497349B1 (ko) 인쇄기의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보정방법
KR100219656B1 (ko) 인쇄기의 광주사장치 및 이를 적용한 컬러 인쇄기의 광주사시스템
KR100322585B1 (ko) 인쇄기의 광주사 시스템 및 그 이미지 주사 개시시기 조정방법
JPH1155472A (ja) 多色画像形成装置
KR100213117B1 (ko) 광주사유니트 및 이를 적용한 인쇄기의 광주사시스템
JP2003205645A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977156B2 (ja) 印刷機及びその走査同期データの算出方法
KR100343183B1 (ko) 인쇄기의 광주사시스템 및 그 페이지동기신호 조정방법
US648022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 process position of a scan line in an electrophotographic machine
JP2008076422A (ja) 画像形成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2267961A (ja) 画像形成装置
KR100230316B1 (ko) 인쇄기의 광주사시기 동기방법 및 그 장치
JP2023074686A (ja) 画像形成装置
KR19990040284A (ko) 인쇄기의 광주사 시스템
JPH04305670A (ja) 印字装置
KR20000032864A (ko) 인쇄기의 광주사시스템
JP2003266784A (ja) 評価パターン及び画像記録装置
KR19990045339A (ko) 인쇄기의 감광벨트와, 이를 채용한 광주사시스템 및 그 주사동기 데이터 산출방법
KR19990086035A (ko) 인쇄기의 광주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