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6561B1 - 경사궤적 결정방법, 렌즈가공방법 및 렌즈가공장치 - Google Patents

경사궤적 결정방법, 렌즈가공방법 및 렌즈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6561B1
KR100496561B1 KR10-2003-0016107A KR20030016107A KR100496561B1 KR 100496561 B1 KR100496561 B1 KR 100496561B1 KR 20030016107 A KR20030016107 A KR 20030016107A KR 100496561 B1 KR100496561 B1 KR 100496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lination
lens
curve
determining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6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1026A (ko
Inventor
진보마사히로
다이마루다카시
Original Assignee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81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1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6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65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1/00Processes of grinding or polishing; Use of auxiliary equipment in connection with such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13/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or polishing optical surfaces on lenses or surfaces of similar shape on other work;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19/00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particular grind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ny other main group
    • B24B19/02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particular grind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ny other main group for grinding grooves, e.g. on shafts, in casings, in tubes, homokinetic joint elements
    • B24B19/03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particular grind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ny other main group for grinding grooves, e.g. on shafts, in casings, in tubes, homokinetic joint elements for grinding grooves in glass workpieces, e.g. decorative gro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7/0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 B24B47/22Equipment for exact control of the position of the grinding tool or work at the start of the grinding operation
    • B24B47/225Equipment for exact control of the position of the grinding tool or work at the start of the grinding operation for bevelling optical work, e.g.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9/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 B24B9/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 B24B9/06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 B24B9/08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of glass
    • B24B9/14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of glass of optical work, e.g. lenses, prisms
    • B24B9/148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of glass of optical work, e.g. lenses, prisms electrically, e.g. numerically, controlle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6Nc in input of data, input key till input tape
    • G05B2219/36221Entry of chamfer, beveling, rounding of corner shap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45Nc applications
    • G05B2219/45157Grind optical l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yeglasses (AREA)
  • Grinding And Polishing Of Tertiary Curved Surfaces And Surfaces With Complex Sh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EX 렌즈와 같은 특수렌즈에 적합한 경사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EX 렌즈에 경사를 형성하는 경우, 그 오목면의 곡선값에 근거하여 경사 곡선값을 결정하고(S711), 그 오목면의 곡률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경사곡선 기준축을 결정하며(S712), 그 수직방향 하측에서의 최소 두께부의 두께에 따라서 최소 두께부에서의 주연상의 기준위치를 결정하고(S713), 그 수직방향 상측에서의 최대 두께부와 최소 두께부의 두께비에 따라서 초기의 경사곡선 기준축의 보정값을 구하고(S714), 그 보정값에 근거하여 초기의 경사곡선 기준축의 축방향으로부터 축 경사시킨 각도를 구하며(S715), 경사 곡선값, 기준위치 및 축 경사각도에 따라서 경사궤적을 결정한다(S716).

Description

경사궤적 결정방법, 렌즈가공방법 및 렌즈가공장치{ METHOD FOR DECIDING A LOCUS OF A BEVEL, METHOD FOR PROCESSING A LENS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LENS }
본 발명은, 경사(bevel)곡선 결정방법, 경사궤적 결정방법 및 렌즈가공방법과 그들 방법의 실시에 사용하는 렌즈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안경프레임의 렌즈프레임에 적합하도록 피가공렌즈를 가공하는 데 있어서, 렌즈가공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렌즈가공장치로서는, 소위 자동 경사 가공기능을 갖는 것도 제공되고 있다. 이 종류의 렌즈가공장치에서는, 피가공렌즈로서 표준 렌즈를 사용하는 경우에, 렌즈프레임의 형상데이터를 포함하는 피가공렌즈의 가공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 후에는, 장치측에서 해당 렌즈에 최적의 경사궤적을 자동적으로 산출하여, 그 궤적에 따라서 경사가 형성된다.
한편, 이러한 종류의 렌즈가공장치에서도, 피가공렌즈로서 특수렌즈를 사용하는 경우에, 조작자가 시뮬레이션 화면을 보면서 강제적으로 수동으로 경사정점의 위치, 경사곡선 또는 경사비율을 설정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수동에 의한 경사궤적의 설정은, 조작자의 감과 경험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숙련자에 의하지 않으면, 반드시 적정한 위치에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고 말하기 어렵다.
특히, 마이너스강도 렌즈, 플러스강도 렌즈, EX 렌즈(별명 : E-line multifocal 렌즈라고도 함) 또는 렌티큘러(lenticular) 등의 특수렌즈에 대해서는, 균형 잡힌 최적의 경사를 만드는 것이 곤란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완성된 렌즈를 안경프레임에 넣은 경우에, 렌즈의 주연이 림(rim)으로부터 불균등하게 돌출하고, 안경 전체의 볼품이 없어져 버리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최근, 렌즈가공의 숙련자가 감소하고 있다는 배경도 있어,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특수렌즈에 알맞은 경사를 형성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특수렌즈에 알맞은 경사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제 1 국면은, EX 렌즈에서의 경사궤적 결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EX 렌즈의 오목면의 곡선값에 따라서, 경사 곡선값을 결정하는 경사 곡선값 결정공정과, 상기 EX 렌즈의 수직방향 하측에서의 최소 두께부의 두께값에 따라서, 상기 최소 두께부에서의 주연상의 제 1 기준위치를 결정하는 제 1 기준위치 결정공정과, 상기 EX 렌즈의 수직방향 상측에서의 최대 두께부와, 상기 최소 두께부와의 두께비 및 EX 렌즈의 가공형상데이터에 따라서, 상기 최대 두께부에서의 주연상의 제 2 기준위치를 결정하는 제 2 기준위치 결정공정과, 상기 경사 곡선값, 상기 제 1 기준위치 및 상기 제 2 기준위치에 따라서 경사궤적을 결정하는 경사궤적 결정공정을 포함하는 경사궤적 결정방법이다.
또한, 제 2 국면은, EX 렌즈에서의 경사궤적 결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EX 렌즈의 오목면의 곡선값에 따라서 경사 곡선값을 결정하는 경사 곡선값 결정공정과, 상기 EX 렌즈의 오목면의 곡률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초기의 경사곡선 기준축을 결정하는 초기 경사곡선 기준축 결정공정과, 상기 EX 렌즈의 수직방향 하측에서 최소 두께부의 두께값에 따라서 상기 최소 두께부에서의 주연상의 경사기준위치를 결정하는 경사기준위치 결정공정과, 상기 EX 렌즈의 수직방향 상측에서의 최대 두께부와, 상기 최소 두께부와의 두께비에 따라서, 상기 초기의 경사곡선 기준축의 보정값을 구하는 초기 경사곡선 기준축 보정값 산출공정과, 상기 경사곡선 기준축의 보정값과, EX 렌즈의 가공형상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초기의 경사곡선 기준축의 축방향으로부터 축 경사시키는 각도를 구하는 축 경사각도 산출공정과, 상기 경사 곡선값, 상기 경사기준위치 및 상기 축 경사각도에 따라서 경사궤적을 결정하는 경사궤적 결정공정을 포함하는 경사궤적 결정방법이다.
또한, 제 3 국면은, 마이너스강도 렌즈에서의 경사궤적 결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이너스강도 렌즈의 볼록면의 곡선값에 따라서, 경사 곡선값을 결정하는 경사 곡선값 결정공정과, 상기 마이너스강도 렌즈를 착용한 경우에 착용자의 코측 위치에서의 상기 렌즈의 최소 두께부의 두께값에 따라서, 상기 최소 두께부에서의 주연상의 제 1 기준위치를 결정하는 제 1 기준위치 결정공정과, 상기 마이너스강도 렌즈를 착용한 경우에 착용자의 귀측위치에서의 최대 두께부와, 상기 최소 두께부와의 두께비 및 상기 렌즈의 가공형상데이터에 따라서, 상기 최대 두께부에서의 주연상의 제 2 기준위치를 결정하는 제 2 기준위치 결정공정과, 상기 경사 곡선값, 상기 제 1 기준위치 및 상기 제 2 기준위치에 따라서 경사궤적을 결정하는 경사궤적 결정공정을 포함하는 경사궤적 결정방법이다.
제 4 국면은, 마이너스강도 렌즈에서의 경사궤적 결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이너스강도 렌즈의 볼록면의 곡선값에 따라서, 경사 곡선값을 결정하는 경사 곡선값 결정공정과, 상기 마이너스강도 렌즈의 볼록면의 곡률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초기의 경사곡선 기준축을 결정하는 초기 경사곡선 기준축 결정공정과, 상기 마이너스강도 렌즈를 착용한 경우에 착용자의 코측 위치에서의 최소 두께부의 두께값에 따라서, 상기 최소 두께부에서의 주연상의 경사기준위치를 결정하는 경사기준위치 결정공정과, 상기 마이너스강도 렌즈를 착용한 경우에 착용자의 귀측에서의 최대 두께부와, 상기 최소 두께부와의 두께비에 따라서, 상기 초기의 경사곡선 기준축의 보정값을 구하는 초기 경사곡선 기준축 보정값 산출공정과, 상기 경사곡선 기준축의 보정값과, 상기 마이너스강도 렌즈의 가공형상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초기의 경사곡선 기준축의 축방향으로부터 축 경사시키는 각도를 구하는 축 경사각도 산출공정과, 상기 경사 곡선값, 상기 경사기준위치 및 상기 축 경사각도에 따라서 경사궤적을 결정하는 경사궤적 결정공정을 포함하는 경사궤적 결정방법이다.
제 5 국면은, 렌티큘러 렌즈에서의 경사궤적 결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렌티큘러 렌즈의 오목면의 곡선값에 따라서, 경사 곡선값을 결정하는 경사 곡선값 결정공정과, 상기 렌티큘러 렌즈를 착용한 경우에 착용자의 코측 또는 귀측에서의 렌즈의 최소 두께부의 두께값에 따라서, 상기 최소 두께부에서의 주연상의 경사기준위치를 결정하는 경사기준위치 결정공정과, 상기 렌티큘러 렌즈의 코측 또는 귀측에서의 최소 두께부와, 이 렌티큘러 렌즈의 수직방향에서의 최대 두께부와의 두께비에 따라서, 곡선 보정값을 결정하는 곡선 보정값 결정공정과, 상기 곡선 보정값을 상기 경사 곡선값에 가산하여 얻는 곡선값을 가지고, 또한 상기 경사기준위치를 지나는 경사궤적을 결정하는 경사궤적 결정공정을 포함한 경사궤적 결정방법이다.
제 6 국면은, 플러스강도 렌즈에서의 경사궤적 결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플러스강도 렌즈의 오목면의 곡선값에 따라서, 경사 곡선값을 결정하는 경사 곡선값 결정공정과, 상기 플러스강도 렌즈의 최소 두께부의 두께값에 따라서, 상기 최소 두께부에서의 주연상의 경사기준위치를 결정하는 경사기준위치 결정공정과, 상기 플러스강도 렌즈의 오목면의 곡선값과 볼록면의 곡선값과의 비, 또는 볼록면의 곡선값에만 근거하여, 곡선 보정값을 결정하는 곡선 보정값 결정공정과, 상기 곡선 보정값을 상기 경사 곡선값에 가산하여 얻는 곡선값을 가지며, 또한 상기 경사기준위치를 지나는 경사궤적을 결정하는 경사궤적 결정공정을 포함하는 경사궤적 결정방법이다.
[발명의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렌즈가공장치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해서 모식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 렌즈가공장치(1)는, 피가공렌즈를 안경프레임의 렌즈프레임에 적합한 형상으로 가공하는 렌즈 가공부(2), 조작패널(3) 및 기억부(5)를 구비한다.
렌즈 가공부(2)는, 렌즈 지지 유니트(21), 렌즈 측정부(22), 거친 가공부(23), 경사/평연삭 가공부(24), 연마 가공부(25), 홈 파기 가공부(26) 및 모따기 가공부(27)를 구비한다.
렌즈 지지 유니트(21)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가공렌즈(L)의 광축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렌즈 지지축(211, 212)을 구비하고, 이들 렌즈 지지축(211, 212)에 의해서 피가공렌즈(L)의 양면을 끼워 두는 것에 의해 피가공렌즈(L)를 지지함과 동시에, 렌즈 둘레방향의 가공위치나 측정위치 등을 이동시키기 위해서, 피가공렌즈(L)를 렌즈중심 주위에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일단 렌즈 지지 유니트(21)에 의해서 피가공렌즈(L)를 지지하게 되면, 측정으로부터 가공까지 척킹(chucking)을 해제하지 않고, 단일 척(chuck)의 작업이 실현된다.
렌즈 측정부(22)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가공렌즈(L)를 끼워 마주보는 한 쌍의 스타일러스(221, 222)를 구비하고, 이들 스타일러스(221, 222)를 각각 피가공렌즈(L)의 오목면 및 볼록면에 접촉시킴으로써, 그 접촉위치(렌즈면 위치)나 해당 위치에서의 렌즈두께 등을 측정한다.
거친 가공부(23)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라스틱 렌즈용 거친 연삭기(231) 및 유리렌즈용 거친 연삭기(232)를 구비한다.
경사/평연삭 가공부(24)는, 연삭면에 경사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된 경사가공부와, 연삭면이 평평하게 형성된 평연삭 가공부로 이루어진 경사/평연삭 가공용 연삭기(241)를 구비한다.
연마 가공부(25)는, 연마용 연삭기(251)를 구비한다.
이들 연삭기(231, 232. 241, 251)는, 동일한 회전축에 부착되어 있고, 이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해당 각 연삭기 중 어느 하나에, 렌즈 지지 유니트(21)에 의해서 지지된 피가공렌즈(L)를 가압함으로써, 그 선택된 연삭기에 따른 가공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홈 파기 가공부(26)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엔드 밀을 갖는 홈 파기 가공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소정의 주면(peripheral face)형상으로 가공된 렌즈(L)의 둘레의 면을 이 엔드 밀에 의해서 소정깊이로 파면서, 해당 렌즈(L)를 회전시킴으로써, 홈을 연속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모따기 가공부(27)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대략 반구형으로 형성된 연삭부를 가지는 모따기 가공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평연삭 가공 또는 경사가공된 렌즈(L)에서의 둘레의 면과 렌즈면과의 경계의 가장자리를 이 반구형 연삭부로 연삭처리하면서 해당 렌즈(L)를 회전시킴으로써, 연속적으로 모따기를 행할 수 있다.
조작패널(3)은, 가공 후의 렌즈의 예상형상이나 각종 설정값 등이 표시되어 있는 표시부(31)와, 피가공렌즈(L)의 가공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함과 동시에 원하는 가공지정을 행하기 위한 입력부(32)로 이루어진다.
제어부(4)는, CPU 등을 구비하고 있고, 기억부(5)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프로그램의 실행 등에 따라서, 이 렌즈가공장치(1)의 동작을 주관한다.
기억부(5)는, R0M이나 RAM 등으로부터 구성되어 있고, 이 렌즈가공장치(1)의 제어프로그램이나 렌즈의 화상 데이터 등을 기억한다.
또한, 도 1에서, 부호 F는, 렌즈가공장치(1)에 통신가능하게 외부 부착된 프레임 트레이서이다. 프레임 트레이서(F)는, 이것에 세트된 원하는 안경프레임을 측정하여, 그 렌즈프레임의 3차원형상을 나타낸 렌즈 프레임 형상 데이터를 렌즈가공장치(1)로 송신한다. 따라서, 렌즈가공장치(1)는, 그것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이때, 프레임 트레이서(F)는 렌즈가공장치(1)의 구성요소가 아니지만, 렌즈가공장치(1)가 프레임 트레이서(F)의 기능을 가지도록 하여도 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렌즈가공장치(1)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S1] 우선, 프레임 트레이서(F)로부터 안경프레임의 렌즈 프레임 형상 데이터를 취득한다.
[S2] 계속해서, 조작자는, 피가공렌즈(L)를 렌즈 지지 유니트(21)에 세트함과 함께, 입력부(32)를 사용하여 렌즈의 지지를 지정한다. 이에 따라, 피가공렌즈(L)가 렌즈 지지 유니트(21)에 의해서 척된 상태로 지지된다. 이때, 그 가공렌즈(L)의 광학중심은, 렌즈 지지 유니트(21)의 지지축(221, 222)의 축방향에 있도록 한다.
[S3] 이때, 표시부(31)에는,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은 레이아웃화면(91)이 표시된다. 이 레이아웃화면(91)에서, 조작자는, 입력부(32)를 사용하여 가공하고자 하는 렌즈가 좌안용인지 우안용인지를 지정함과 동시에, 칼럼(911)에서 가공타입으로서 경사가공을 지정한다. 또한, 조작자는, 입력부(32)를 사용하여 칼럼(912)에 착용자의 처방 데이터와 기하학 중심간 거리데이터를 포함하는 레이아웃정보를 입력한다. 그러면, 제어부(3)는, 그 입력된 데이터에 근거한 연산에 의해 피가공렌즈(L)의 거친 연삭가공 후의 렌즈형상을 나타낸 가공형상데이터를 구한다.
이때, 조작자는, 입력부(32)를 사용하여 마무리 가공의 옵션으로서 모따기 가공 및/또는 홈 파기 가공을 지정할 수도 있다.
상술한 처방데이터로서는, 동공중심간 거리(PD; pupillary distance), 프레임의 기하학중심에 대한 아이포인트 높이 등을 포함하는 아이포인트 정보 및 난시축(AX) 등을 나타낸 데이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기하학중심간 거리데이터로서는, 렌즈프레임의 기하학중심간 거리를 나타낸 프레임 PD(FPD)나, 렌즈간 거리(소위 코폭)을 나타낸 DBL(Distance Between Lenses) 등의 데이터를 들 수 있다.
[S4] 또한, 조작자는, 입력부(32)를 사용하여 피가공렌즈의 렌즈데이터를 입력한다.
여기서, 렌즈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로서는, 피가공렌즈의 볼록면 곡선값 또는 축방향마다의 곡선값, 피가공렌즈의 오목면 곡선값 또는 축방향마다의 곡선값, 피가공렌즈의 중심두께(광학중심 또는 기하학중심), 렌즈의 지름(A사이즈나 B사이즈 등을 포함한다), 렌즈형상(근용부 형상) 및 광학중심과 기하학중심과의 변위량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곡선값은 근사값이어도 된다. 또한, 렌즈데이터로서 반드시 이들 모든 데이터가 필요하다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데이터만을 선택적으로 포함시켜도 된다.
또한, 이러한 렌즈데이터는, 조작자의 입력조작에 의하지 않고, 데이터통신에 의해서 렌즈가공장치(1)에 주어도 괜찮다.
[S5] 이어서, 조작자는, 입력부(32)를 사용하여 입력화면(91) 칼럼(913)에서 피가공렌즈(L)의 렌즈타입을 지정한다. 상세하게는, 입력부(32)에는 렌즈타입 선택버튼이 설치되어 있고, 이 렌즈타입 선택버튼을 누름으로써, 렌즈타입으로서, EX, 마이너스강도, 렌티큘러, 플러스강도, 표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5에서는, 일례로서, EX 렌즈가 지정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조작자가 입력부(32)를 사용하여 피가공렌즈의 렌즈타입을 지정함에 의해, 그 렌즈타입을 나타낸 렌즈타입정보가 제어부(4)에 의해서 취득된다 (렌즈타입 정보취득공정). 또한, 렌즈타입정보는, 조작자의 입력조작에 의하지 않고, 통신 외의 방법에 의해 외부로부터 렌즈가공장치(1)에 주어도 괜찮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마이너스강도 렌즈 혹은 플러스강도 렌즈란, 마무리형태에서의 최대 주연두께가 5mm 이상이 되는 렌즈를 가리킨다. 이러한 렌즈는, 프레임에 넣은 경우에, 림으로부터 돌출하는 량이 크기 때문에, 최적의 위치에 경사를 형성하는 것이 요구된다.
[S6] 그 후, 조작자는, 입력부(32)의 스타트스위치를 누른다. 그렇게 하면 제어부(3)는, 우선, 스텝 S3에서 구한 가공형상데이터에 따라서 피가공렌즈(L)의 형상을 측정시킨다. 이에 따라, 피가공렌즈(L)의 양면상에서 스타일러스(221, 222)의 접촉위치가 정확히 마무리된 렌즈의 주연위치와 대략 동일한 궤적을 그리도록, 지지축(211, 212)에 의해서 지지된 피가공렌즈(L)와 스타일러스(221, 222)가 서로 대향이동하면서, 그 접촉위치(렌즈면 위치)나 해당 위치에서의 렌즈두께 등이 측정된다.
[S7] 이어서, 제어부(4)는, 스텝 S5에서 취득한 렌즈타입정보에 따라서, 해당 렌즈타입에 따른 경사궤적을 산출하고(경사궤적 산출공정), 경사궤적 데이터(자동 경사 곡선데이터)를 생성한다.
이 스텝 S7은, 렌즈타입으로서 EX를 선택한 경우(스텝 S71), 마이너스강도를 선택한 경우(스텝 S72), 렌티큘러를 선택한 경우(스텝 S73), 플러스강도를 선택한 경우(스텝 S74) 및 표준을 선택한 경우(스텝 S75)로 각각 나뉜다. 각 스텝의 상세내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단, 표준을 선택한 경우(스텝 S75)에 대해서는, 공지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S8] 이어서, 제어부(4)는, 산출한 경사궤적 데이터에 따라서, 표시부(31)에 경사설정상태를 샘플 표시시킨다. 여기서 조작자는, 입력부(32)를 사용하여 자동적으로 설정된 경사설정상태(경사위치나 기울기 등을 포함한다)를 변경 또는 조정할 수 있다. 그 경우는, 경사궤적데이터가 변경되게 된다.
[S9] 그 후, 조작자는, 입력부(32)를 사용하여 가공개시를 지시한다. 제어부(3)는, 가공개시의 지시를 검지하면, 우선 스텝 S3에서 구한 가공형상데이터에 따라서 거친 가공 데이터를 구한다. 여기서, 이 거친 가공 데이터에는, 거친 가공에서의 연삭 마진을 나타낸 데이터 등이 포함된다. 그리고, 제어부(4)는, 구한 거친 가공 데이터에 따라서 피가공렌즈를 거친 가공하도록 렌즈 가공부(2)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플라스틱 렌즈용 거친 연삭기(231) 또는 유리 렌즈용 거친 연삭기(232)에 의해, 피가공렌즈(L)의 주연이 연삭가공된다.
[S10] 계속하여, 제어부(4)는, 스텝 S6에서의 측정결과와 스텝 S7에서 구한 경사궤적 데이터(스텝 S8에서 변경한 경우는, 그 변경후의 경사궤적 데이터)와 스텝 S3에서 구한 가공형상데이터에 따라서 경사가공 데이터를 구한다. 그리고, 제어부(4)는, 구한 경사가공 데이터에 따라서 경사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경사/평연삭가공용 연삭기(241)의 마무리가공용 연삭기 및 마무리 가공용 연삭기에 의해 형성된 경사 홈에 의해서 거친 가공 렌즈의 주연이 경사 가공된다.
이상의 스텝에 따라 우안렌즈를 얻는다. 그 후, 다시 스텝 S2로 되돌아가 좌안렌즈용 피가공렌즈를 척하고, 아래와 같은 공정을 거쳐서 좌안렌즈를 얻는다.
이하, 상기 스텝 S7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EX 렌즈의 경우]
EX 렌즈를 지정한 경우(스텝 S71)에 대해서, 도 10의 설명도를 참조하면서, 도 5의 흐름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S711] 상기 스텝 S4에서 취득한 렌즈데이터에 포함되는 EX 렌즈의 오목면의 곡선값에 따라서, 경사 곡선값K1을 결정한다(경사 곡선값 결정공정). 구체적으로는, EX 렌즈가 플러스렌즈일 경우와 마이너스렌즈일 경우로 나누어, 각각 다음식에 의해서 경사 곡선값K1을 구한다.
플러스렌즈의 경우,
K1=오목면측의 평균 곡선값×조정계수e+로 한다.
마이너스렌즈의 경우,
K1=오목면측의 평균 곡선값×조정계수e-로 한다.
여기서, 조정계수e+는 1 이상의 값이며, 조정계수e-는 1 이하의 값이다.
또한, 구한 경사 곡선값K1과 경사 곡선의 곡률반경r1과의 사이에는, 렌즈재료의 굴절률이 1.523인 경우, 다음 관계식이 성립한다.
K1≒523/r1
여기서, 공기의 굴절률을 1.0으로 한다.
[S712] 이때, 경사곡선의 기준축(이하, 초기 경사곡선 기준축이라고 함)은, EX 렌즈의 오목면의 곡률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결정한다(초기 경사곡선 기준축 결정공정).
[S713] 다음에, EX 렌즈의 수직방향 하측에서의 최소 두께부의 두께값t1에 따라서, 최소 두께부에서의 주연상의 제 1 기준위치(경사기준위치)m을 결정한다 (제 1 기준위치 결정방법). 여기서는, 제 1 기준위치m을, 최소 두께부에서의 주연상의 볼록면측의 끝에서부터 이 제 1 기준위치m까지의 거리P1으로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P1은 다음과 같이 최소 두께부의 두께값t1로 나눠서 결정한다.
t1=2.4mm 이하인 경우, P1=t1/2로 한다.
t1=2.4∼4.0mm인 경우, P1=1.2로 한다.
t1=4.0mm 이상인 경우, P1=3×t1/10으로 한다.
[S714] 다음에, EX 렌즈의 수직방향 상측에서의 최대 두께부의 두께값t2와, 최소 두께부의 두께값t1의 비(t2/t1)에 따라서, 최대 두께부에서의 주연상의 제 2 기준위치n을 결정한다(제 2 기준위치 결정공정). 여기서는, 제 2 기준위치n을, 최대 두께부에서의 주연상의 상기 제 1 기준위치m에 대응하는 위치m과 이 제 2 기준위치n과의 사이의 거리H(이하, 곡선기준축 보정값이라고 함)로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곡선 기준축 보정값H는 다음식에 의해서 구한다.
H=a×(t2/t1)×(t1-P1)-(t1-P1)
여기서, a는 조정계수이다. 또한, (t2/t1)은 1 이상으로 하며, a×(t2/t1)가 1 이하가 되는 경우에는 전부 a×(t2/t1)=1로 한다.
[S715] 다음으로, 곡선 기준축 보정값H와, 렌즈데이터에 포함되는 B사이즈(렌즈형 수직축)B에 근거하여, 초기 경사곡선 기준축의 축방향으로부터 축 경사시키는 각도θ를 산출한다(축 경사각도 산출공정). 구체적으로는, 다음 식에 의해 축 경사각도θ를 산출한다.
θ=arctan(H/B)
[S716] 다음에, 경사 곡선값K1과, 제 1 기준위치m과, 축 경사각도θ에 따라서 경사궤적을 결정한다(경사궤적 결정공정). 구체적으로는, 경사 곡선값K1을 가지며, 또한 초기 경사곡선 기준축을 도 10에서, 반시계방향으로 축 경사각도θ만큼 경사시킨 축을 곡선 기준축으로 하는 경사궤적을 결정한다. 결정된 경사궤적은, 경사 곡선값K1을 가지며, 또한 제 1 기준위치m 및 제 2 기준위치n을 통과한다.
이상의 과정에 의해, 프레임에 넣은 경우에 EX 렌즈의 전면이 림으로부터 극단적으로 돌출하지 않고 균형잡힌 알맞은 경사궤적을 구할 수 있다.
[마이너스강도 렌즈의 경우]
마이너스강도 렌즈를 지정한 경우(스텝 S72)에 대해서, 도 11의 설명도를 참조하면서, 도 6의 흐름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S721] 상기 렌즈데이터에 포함되는 마이너스강도 렌즈의 볼록면의 곡선값에 따라서 경사 곡선값K1을 결정한다(경사 곡선값 결정공정).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마이너스강도 렌즈의 볼록면의 곡선값C에 의해서 경사 곡선값K1을 구한다.
볼록면의 곡선값C가 2.0이하인 경우,
K1=3.0으로 한다.
볼록면의 곡선값C가 2.0∼4.0인 경우,
K1=(C-2.0)/2+3.0으로 한다.
볼록면의 곡선값C가 4.0∼7.0인 경우,
K1=C로 한다.
볼록면의 곡선값C가 7.0 이상인 경우,
K1=7.0으로 한다.
이때, 구한 경사 곡선값K1과 그 곡률반경r1과의 사이에는, 렌즈재료의 굴절률이 1.523인 경우, 다음 관계식이 성립한다.
K1≒523/r1
단, 공기의 굴절률을 1.0으로 한다.
[S722] 이때, 경사곡선의 기준축(이하, 초기 경사곡선 기준축이라고 함)은, 마이너스강도 렌즈의 볼록면의 곡률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결정한다(초기 경사곡선 기준축 결정공정).
[S723] 다음에, 마이너스강도 렌즈를 착용한 경우에, 착용자의 코측 위치에서의 최소 두께부의 두께값t1에 따라서, 이 최소 두께부에서의 주연상의 제 1 기준위치(경사기준위치)m을 결정한다(제 1 기준위치결정공정). 여기서는, 제 1 기준위치m을, 최소 두께부에서의 주연상의 볼록면측의 끝에서부터 이 제 1 기준위치m까지의 거리P1로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P1은 다음과 같이 최소 두께부의 두께값t1로 나눠서 결정한다.
t1=2.4mm 이하인 경우, P1=t1/2로 한다.
t1=2.4∼4.0mm인 경우는, P1=1.2로 한다.
t1=4.0mm 이상인 경우는, P1=3×t1/10으로 한다.
[S724] 다음에, 마이너스강도 렌즈를 착용한 경우에, 착용자의 귀측위치에서의 최대 두께부의 두께t2와, 최소 두께부의 두께t1과의 비(t2/t1)에 따라서, 최대 두께부에서의 주연상의 제 2 기준위치n을 결정한다(제 2 기준위치 결정공정). 여기서는, 제 2 기준위치n을, 최대 두께부에서의 주연상의 상기 제 1 기준위치m에 대응하는 위치m이 제 2 기준위치n과의 사이의 거리H(이하, 곡선 기준축 보정값이라고 함)에 의해서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곡선 기준축 보정값H는 다음식에 의해서 구한다.
H=P1×a×(t2/t1)-P1
여기서, a는 조정계수이다. 또한, (t2/t1)은 1 이상으로 하고, a×(t2/t1)가 1 이하가 되는 경우에는 전부 a×(t2/t1)=1로 한다.
[S725] 다음에, 곡선 기준축 보정값H와, 렌즈데이터에 포함되는 A사이즈(렌즈형의 수평축)A에 근거하여, 초기 경사곡선 기준축의 축방향으로부터 축 경사시키는 축 경사각도θ를 산출한다(축 경사각도 산출공정). 구체적으로는, 다음식에 의해 축 경사각도θ를 산출한다.
θ=arctan(H/A)
[S726] 다음에, 경사 곡선값K1과, 제 1 기준위치m과, 축 경사각도θ에 따라서 경사궤적을 결정한다(경사궤적 결정공정). 구체적으로는, 경사 곡선값K1을 가지며, 또한 초기 경사곡선 기준축을 도 11에서, 시계방향으로 축 경사각도θ만큼 경사시킨 축을 곡선 기준축으로 하는 경사궤적을 결정한다. 그 결정된 경사궤적은, 경사 곡선값K1을 가지며, 또한 제 1 기준위치m 및 제 2 기준위치n을 통과한다.
이상의 과정에 의해, 프레임에 넣은 경우에 마이너스강도 렌즈의 후면이 림으로부터 극단적으로 돌출하지 않고 균형 잡힌 알맞은 경사궤적을 구할 수 있다.
[렌티큘러 렌즈의 경우]
렌티큘러 렌즈를 지정한 경우(스텝 S73)에 대해서, 도 12의 설명도를 참조하면서, 도 7의 흐름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S731] 상기 렌즈데이터에 포함되는 렌티큘러 렌즈의 오목면의 곡선값에 따라서, 경사 곡선값K1을 결정한다(경사 곡선값 결정공정). 구체적으로는, 다음식에 의해서 경사 곡선값K1을 구한다.
K1=오목면측의 평균 곡선값×조정계수e
여기서, 조정계수e는 1 이상의 값으로 한다.
또한, 구한 경사 곡선값K1과 그 곡률반경r1과의 사이에는, 렌즈재료의 굴절률이 1.523인 경우, 다음 관계식이 성립한다.
K1≒523/r1
단, 공기의 굴절률을 1.0으로 한다.
[S732] 다음에, 렌티큘러 렌즈를 착용한 경우에, 착용자의 코측 또는 귀측에서의 렌즈의 최소 두께부의 두께값t1에 따라서, 이 최소 두께부에서의 주연상의 경사기준위치m을 결정한다(경사기준위치 결정공정). 여기서는, 경사기준위치m을, 최소 두께부에서의 주연상의 볼록면측의 끝에서부터 이 제 1 기준위치m까지의 거리P1로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P1은 다음과 같이 최소 두께부의 두께값t1로 나눠 결정한다.
t1=2.4mm 이하인 경우, P1=t1/2로 한다.
t1=2.4∼4.0mm인 경우는, P1=1.2로 한다.
t1=4.0mm 이상인 경우는, P1=3×t1/10으로 한다.
[S733] 다음에, 렌티큘러 렌즈의 코측 또는 귀측에서의 최소 두께부의 두께값 t1과, 이 렌티큘러 렌즈의 수직방향에서의 최대 두께부의 두께값t2와의 두께비(t2/t1)에 따라서, 곡선 보정값S를 결정한다(곡선 보정값 결정공정). 구체적으로는, 다음 식에 의해서 곡선 보정값S를 구한다.
S=a×(t2/t1)-1
단, a는 조정계수이다. 또한, (t2/t1)은 1 이상으로 하고, a×(t2/t1)가 1 이하가 되는 경우에는 전부 a×(t2/t1)=1로 한다.
[S734] 다음에, 곡선 보정값S를 경사 곡선값K1에 가산하여 얻는 곡선값K2(=S+K1)를 가지며, 또한 경사기준위치m을 지나는 경사궤적을 결정한다(경사궤적 결정공정).
이상의 과정에 의해, 프레임에 넣은 경우에 렌티큘러 렌즈의 작은 렌즈가 극단적으로 전방면측으로 돌출하지 않는 균형 잡힌 알맞은 경사궤적을 구할 수 있다.
[플러스강도 렌즈의 경우]
플러스강도 렌즈를 지정한 경우(스텝 S74)에 대해서, 도 13의 설명도를 참조하면서, 도 8의 흐름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S741] 상기 렌즈데이터에 포함되는 플러스강도 렌즈의 오목면의 곡선값에 따라서, 경사 곡선값K1을 결정한다(경사 곡선값 결정공정). 구체적으로는, 다음식에 의해서 경사 곡선값K1을 구한다.
K1=오목면측의 평균 곡선값×조정계수e
단, 조정계수e는 1 이상의 값으로 한다.
또한, 구한 경사 곡선값K1과 그 곡률반경r1과의 사이에는, 렌즈재료의 굴절률이 1.523일 경우, 다음 관계식이 성립한다.
K1≒523/r1
단, 공기의 굴절률을 1.0으로 한다.
[S742] 다음에, 플러스강도 렌즈의 최소 두께부의 두께값t1에 따라서, 이 최소 두께부에서의 주연상의 경사기준위치m을 결정한다(경사기준위치 결정공정). 여기서는, 경사기준위치m을, 최소 두께부에서의 주연상의 볼록면측의 끝에서부터 이 제 1 기준위치m까지의 거리P1로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P1은 다음과 같이 최소 두께부의 두께값t1로 나눠서 결정한다.
t1=2.4mm 이하인 경우, P1=t1/2로 한다.
t1=2.4∼4.0mm인 경우는, P1=1.2로 한다.
t1=4.0mm 이상인 경우는, P1=3×t1/10으로 한다.
[S743] 다음으로, 플러스강도 렌즈의 오목면의 곡선값C1과 볼록면의 곡선값C2와의 비(C2/C1), 또는 볼록면의 곡선값C2에만 근거하여, 곡선 보정값S를 결정한다(곡선 보정값 결정공정). 구체적으로는, 다음 식에 의해서 곡선 보정값S를 구한다.
S=a×(C2/C1)-1
단, a는 조정계수이다. 또한, (C2/C1)은 1 이상으로 하고, a×(C2/C1)가 1 이하가 되는 경우에는 전부 a×(C2/C1)=1로 한다.
[S744] 다음에, 곡선 보정값S를 경사 곡선값K1에 가산하여 얻는 곡선값K2(=S+K1)를 가지며, 또한 경사기준위치m을 지나는 경사궤적을 결정한다(경사궤적 결정공정).
이상의 과정에 의해, 프레임에 넣은 경우에 플러스강도 렌즈의 볼록면이 극단적으로 전면측으로 돌출하지 않는 균형 잡힌 알맞은 경사궤적을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숙련자의 감과 경험에 의지하여 구하였던 경사궤적을, 일정한 순서로 구할 수 있으므로,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알맞은 경사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렌즈가공장치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하여 모식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렌즈가공장치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사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렌즈가공장치의 렌즈 측정부 주위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렌즈가공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EX 렌즈의 경사궤적 결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마이너스강도 렌즈의 경사궤적 결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은 렌티큘러 렌즈의 경사궤적 결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은 플러스강도 렌즈의 경사궤적 결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렌즈가공장치의 표시부의 예시도,
도 10은 EX 렌즈의 경사궤적 결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1은 마이너스강도 렌즈의 경사궤적 결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2는 렌티큘러 렌즈의 경사궤적 결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3은 플러스강도 렌즈의 경사궤적 결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렌즈가공장치 2 : 렌즈 가공부(경사가공수단)
4 : 제어부 5 : 기억부
31 : 표시부 32 : 입력부

Claims (1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EX 렌즈에서의 경사궤적 결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EX 렌즈의 오목면의 곡선값에 따라서 경사 곡선값을 결정하는 경사 곡선값 결정공정과,
    상기 EX 렌즈의 수직방향 하측에서의 최소 두께부의 두께값에 따라서 상기 최소 두께부에서의 주연상의 제 1 기준위치를 결정하는 제 1 기준위치 결정공정과,
    상기 EX 렌즈의 수직방향 상측에서의 최대 두께부와 상기 최소 두께부와의 두께비 및 EX 렌즈의 가공형상데이터에 따라서, 상기 최대 두께부에서의 주연상의 제 2 기준위치를 결정하는 제 2 기준위치 결정공정과,
    상기 경사 곡선값, 상기 제 1 기준위치 및 상기 제 2 기준위치에 따라서 경사궤적을 결정하는 경사궤적 결정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궤적 결정방법.
  6. EX 렌즈에서의 경사궤적 결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EX 렌즈의 오목면의 곡선값에 따라서 경사 곡선값을 결정하는 경사 곡선값 결정공정과,
    상기 EX 렌즈의 오목면의 곡률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초기의 경사곡선 기준축을 결정하는 초기 경사곡선 기준축 결정공정과,
    상기 EX 렌즈의 수직방향 하측에서의 최소 두께부의 두께값에 따라서 상기 최소 두께부에서의 주연상의 경사기준위치를 결정하는 경사기준위치 결정공정과,
    상기 EX 렌즈의 수직방향 상측에서의 최대 두께부와, 상기 최소 두께부와의 두께비에 따라서, 상기 초기의 경사곡선 기준축의 보정값을 구하는 초기 경사곡선 기준축보정값 산출공정과,
    상기 경사곡선 기준축의 보정값과, EX 렌즈의 가공형상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초기의 경사곡선 기준축의 축방향으로부터 축 경사시키는 각도를 구하는 축 경사각도 산출공정과,
    상기 경사 곡선값, 상기 경사기준위치 및 상기 축 경사각도에 따라서 경사궤적을 결정하는 경사궤적 결정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궤적 결정방법.
  7. 마이너스강도 렌즈에서의 경사궤적 결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이너스강도 렌즈의 볼록면의 곡선값에 따라서 경사 곡선값을 결정하는 경사 곡선값 결정공정과,
    상기 마이너스강도 렌즈를 착용한 경우에 착용자의 코측 위치에서 상기 렌즈의 최소 두께부의 두께값에 따라서, 상기 최소 두께부에서의 주연상의 제 1 기준위치를 결정하는 제 1 기준위치 결정공정과,
    상기 마이너스강도 렌즈를 착용한 경우에 착용자의 귀측 위치에서 최대 두께부와, 상기 최소 두께부와의 두께비 및 상기 렌즈의 가공형상데이터에 따라서, 상기 최대 두께부에서의 주연상의 제 2 기준위치를 결정하는 제 2 기준위치 결정공정과,
    상기 경사 곡선값, 상기 제 1 기준위치 및 상기 제 2 기준위치에 따라서 경사궤적을 결정하는 경사궤적 결정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궤적 결정방법.
  8. 마이너스강도 렌즈에서의 경사궤적 결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이너스강도 렌즈의 볼록면의 곡선값에 따라서 경사 곡선값을 결정하는 경사 곡선값 결정공정과,
    상기 마이너스강도 렌즈의 볼록면의 곡률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초기의 경사곡선 기준축을 결정하는 초기 경사곡선 기준축 결정공정과,
    상기 마이너스강도 렌즈를 착용한 경우에 착용자의 코측 위치에서의 최소 두께부의 두께값에 따라서, 상기 최소 두께부에서의 주연상의 경사기준위치를 결정하는 경사기준위치 결정공정과,
    상기 마이너스강도 렌즈를 착용한 경우에 착용자의 귀측에서의 최대 두께부와, 상기 최소 두께부와의 두께비에 따라서, 상기 초기의 경사곡선 기준축의 보정값을 구하는 초기 경사곡선 기준축 보정값 산출공정과,
    상기 경사곡선 기준축의 보정값과, 상기 마이너스강도 렌즈의 가공형상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초기의 경사곡선 기준축의 축방향으로부터 축 경사시키는 각도를 구하는 축 경사각도 산출공정과,
    상기 경사 곡선값, 상기 경사기준위치 및 상기 축 경사각도에 따라서 경사궤적을 결정하는 경사궤적 결정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궤적 결정방법.
  9. 렌티큘러 렌즈에서의 경사궤적 결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렌티큘러 렌즈의 오목면의 곡선값에 따라서 경사 곡선값을 결정하는 경사 곡선값 결정공정과,
    상기 렌티큘러 렌즈를 착용한 경우에 착용자의 코측 또는 귀측에서의 렌즈의 최소 두께부의 두께값에 따라서, 상기 최소 두께부에서의 주연상의 경사기준위치를 결정하는 경사기준위치 결정공정과,
    상기 렌티큘러 렌즈의 코측 또는 귀측에서의 최소 두께부와, 이 렌티큘러 렌즈의 수직방향에서의 최대 두께부와의 두께비에 따라서, 곡선 보정값을 결정하는 곡선 보정값 결정공정과,
    상기 곡선 보정값을 상기 경사 곡선값에 가산하여 얻는 곡선값을 가지고, 상기 경사기준위치를 지나는 경사궤적을 결정하는 경사궤적 결정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궤적 결정방법.
  10. 플러스강도 렌즈에서의 경사궤적 결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플러스강도 렌즈의 오목면의 곡선값에 따라서 경사 곡선값을 결정하는 경사 곡선값 결정공정과,
    상기 플러스강도 렌즈의 최소 두께부의 두께값에 따라서 상기 최소 두께부에서의 주연상의 경사기준위치를 결정하는 경사기준위치 결정공정과,
    상기 플러스강도 렌즈의 오목면의 곡선값과 볼록면의 곡선값과의 비, 또는 볼록면의 곡선값에만 의거하여, 곡선 보정값을 결정하는 곡선 보정값 결정공정과,
    상기 곡선 보정값을 상기 경사 곡선값에 가산하여 얻는 곡선값을 가지고, 상기 경사기준위치를 지나는 경사궤적을 결정하는 경사궤적 결정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궤적 결정방법.
  11.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경사궤적 결정방법에 의해 결정한 경사궤적에 따라 경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공방법.
  12. 청구항 11에 기재된 렌즈가공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
  13. EX 렌즈의 오목면의 곡선값에 따라서 경사 곡선값을 결정하는 경사 곡선값 결정수단과,
    상기 EX 렌즈의 수직방향 하측에서의 최소 두께부의 두께값에 따라서, 상기 최소 두께부에서의 주연상의 제 1 기준위치를 결정하는 제 1 기준위치 결정수단과,
    상기 EX 렌즈의 수직방향 상측에서의 최대 두께부와 상기 최소 두께부와의 두께비 및 EX 렌즈의 가공형상데이터에 따라서, 상기 최대 두께부에서의 주연상의 제 2 기준위치를 결정하는 제 2 기준위치 결정수단과,
    상기 경사 곡선값, 상기 제 1 기준위치 및 상기 제 2 기준위치에 따라서 경사궤적을 결정하는 경사궤적 결정수단과,
    상기 경사궤적 결정수단에 의해서 결정된 경사궤적에 따라 경사를 형성하는 경사형성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공장치.
  14. EX 렌즈의 오목면의 곡선값에 따라서, 경사 곡선값을 결정하는 경사 곡선값 결정수단과,
    상기 EX 렌즈의 오목면의 곡률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초기의 경사곡선 기준축을 결정하는 초기 경사곡선 기준축 결정수단과,
    상기 EX 렌즈의 수직방향 하측에서의 최소 두께부의 두께값에 따라서, 상기 최소 두께부에서의 주연상의 경사기준위치를 결정하는 경사기준위치 결정수단과,
    상기 EX 렌즈의 수직방향 상측에서의 최대 두께부와, 상기 최소 두께부와의 두께비에 따라서, 상기 초기의 경사곡선 기준축의 보정값을 구하는 초기 경사곡선 기준축 보정값 산출수단과,
    상기 경사곡선 기준축의 보정값과, 상기 EX 렌즈의 가공형상데이터에 따라서, 상기초기의 경사곡선 기준축의 축방향으로부터 축 경사시키는 각도를 구하는 축 경사각도 산출수단과,
    상기 경사 곡선값, 상기 경사기준위치 및 상기 축 경사각도에 따라서 경사궤적을 결정하는 경사궤적 결정수단과,
    상기 경사궤적결정수단에 의해서 결정된 경사궤적을 따라 경사를 형성하는 경사형성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공장치.
  15. 마이너스강도 렌즈의 볼록면의 곡선값에 따라서, 경사 곡선값을 결정하는 경사 곡선값 결정수단과,
    상기 마이너스강도 렌즈를 착용한 경우에 착용자의 코측 위치에서의 상기 렌즈의 최소 두께부의 두께값에 따라서, 상기 최소 두께부에서의 주연상의 제 1 기준위치를 결정하는 제 1 기준위치 결정수단과,
    상기 마이너스강도 렌즈를 착용한 경우에 착용자의 귀측위치에서의 최대 두께부와, 상기 최소 두께부와의 두께비 및 상기 렌즈의 가공형상데이터에 따라서, 상기 최대 두께부에서의 주연상의 제 2 기준위치를 결정하는 제 2 기준위치 결정수단과,
    상기 경사 곡선값을 가지고, 상기 제 1 기준위치 및 상기 제 2 기준위치를 지나는 경사궤적을 결정하는 경사궤적 결정수단과,
    상기 경사궤적결정수단에 의해서 결정된 경사궤적을 따라 경사를 형성하는 경사형성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공장치.
  16. 마이너스강도 렌즈의 볼록면의 곡선값에 따라서, 경사 곡선값을 결정하는 경사 곡선값 결정수단과,
    상기 마이너스강도 렌즈의 볼록면의 곡률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초기의 경사곡선 기준축을 결정하는 초기 경사곡선 기준축 결정수단과,
    상기 마이너스강도 렌즈를 착용한 경우에 착용자의 코측 위치에서의 최소 두께부의 두께값에 따라서, 상기 최소 두께부에서의 주연상의 경사기준위치를 결정하는 경사기준위치 결정수단과,
    상기 마이너스강도 렌즈를 착용한 경우에 착용자의 귀측에서의 최대 두께부와, 상기 최소 두께부와의 두께비에 따라서, 상기 초기의 경사곡선 기준축의 보정값을 구하는 초기 경사곡선 기준축 보정값 산출수단과,
    상기 경사곡선 기준축의 보정값과 마이너스강도 렌즈의 가공형상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초기의 경사곡선 기준축의 축방향으로부터 축 경사시키는 각도를 구하는 축 경사각도 산출수단과,
    상기 경사 곡선값, 상기 경사기준위치 및 상기 축 경사각도에 따라서 경사궤적을 결정하는 경사궤적 결정수단과,
    상기 경사궤적 결정수단에 의해서 결정된 경사궤적을 따라 경사를 형성하는 경사형성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공장치.
  17. 렌티큘러 렌즈의 오목면의 곡선값에 따라서, 경사 곡선값을 결정하는 경사 곡선값 결정수단과,
    상기 렌티큘러 렌즈를 착용한 경우에 착용자의 코측 또는 귀측에서의 렌즈의 최소 두께부의 두께값에 따라서, 상기 최소 두께부에서의 주연상의 경사기준위치를 결정하는 경사기준위치 결정수단과,
    상기 렌티큘러 렌즈의 코측 또는 귀측에서의 최소 두께부와, 이 렌티큘러 렌즈의 수직방향에서의 최대 두께부와의 두께비에 따라서, 곡선 보정값을 결정하는 곡선 보정값 결정수단과,
    상기 곡선 보정값을 상기 경사 곡선값에 가산하여 얻는 곡선값을 가지며, 상기 기준위치를 지나는 경사궤적을 결정하는 경사궤적 결정수단과,
    상기 경사궤적 결정수단에 의해서 결정된 경사궤적을 따라 경사를 형성하는 경사형성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공장치.
  18. 플러스강도 렌즈의 오목면의 곡선값에 따라서, 경사 곡선값을 결정하는 경사 곡선값 결정수단과,
    상기 플러스강도 렌즈의 최소 두께부의 두께값에 따라서, 상기 최소 두께부에서의 주연상의 경사기준위치를 결정하는 경사기준위치 결정수단과,
    상기 플러스강도 렌즈의 오목면의 곡선값과 볼록면의 곡선값과의 비, 또는 볼록면의 곡선값에만 근거하여, 곡선 보정값을 결정하는 곡선 보정값 결정수단과,
    상기 곡선 보정값을 상기 경사 곡선값에 가산하여 얻는 곡선값을 가지고, 상기 경사기준위치를 지나는 경사궤적을 결정하는 경사궤적 결정수단과,
    상기 경사궤적 결정수단에 의해서 결정된 경사궤적을 따라 경사를 형성하는 경사형성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공장치.
KR10-2003-0016107A 2002-04-08 2003-03-14 경사궤적 결정방법, 렌즈가공방법 및 렌즈가공장치 KR1004965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05229A JP4562343B2 (ja) 2002-04-08 2002-04-08 Ex形多焦点レンズのヤゲン軌跡決定方法及びex形多焦点レンズ加工装置
JPJP-P-2002-00105229 2002-04-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1026A KR20030081026A (ko) 2003-10-17
KR100496561B1 true KR100496561B1 (ko) 2005-06-22

Family

ID=28449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6107A KR100496561B1 (ko) 2002-04-08 2003-03-14 경사궤적 결정방법, 렌즈가공방법 및 렌즈가공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5) US6935924B2 (ko)
EP (2) EP1352712B1 (ko)
JP (1) JP4562343B2 (ko)
KR (1) KR100496561B1 (ko)
CN (1) CN1283416C (ko)
AT (1) ATE535347T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74203B2 (ja) * 2004-10-01 2011-09-14 株式会社ニデック 眼鏡レンズ加工装置
FR2878970B1 (fr) * 2004-12-03 2007-04-06 Essilor Int Dispositif de preparation automatique au montage de lentilles ophtalmiques permettant la prise en charge de plusieurs lentilles simultanement
FR2878972B1 (fr) * 2004-12-03 2007-02-16 Essilor Int Procede et dispositif de preparation automatique au montage d'une lentille ophtalmique
FR2878971B1 (fr) * 2004-12-03 2007-04-20 Essilor Int Procede et dispositif de preparation automatique au montage d'une lentille ophtalmique
FR2878975B1 (fr) * 2004-12-03 2007-02-16 Essilor Int Procede et dispositif de preparation au montage d'un job de deux lentilles ophtalmiques d'une meme paire de lunettes
JP4446934B2 (ja) * 2005-06-30 2010-04-07 株式会社ニデック 眼鏡レンズ加工装置
JP2007203423A (ja) * 2006-02-03 2007-08-16 Nidek Co Ltd 眼鏡レンズ周縁加工装置
FR2904703B1 (fr) * 2006-08-04 2008-12-12 Essilor Int Paire de lunettes ophtalmiques et procede de formation d'une nervure peripherique d'emboitement sur le chant d'une lentille
US8216024B2 (en) * 2007-03-16 2012-07-10 Hoya Corporation Spectacle lens edging method
JP5073345B2 (ja) * 2007-03-30 2012-11-14 株式会社ニデック 眼鏡レンズ加工装置
JP5134346B2 (ja) * 2007-11-30 2013-01-30 株式会社ニデック 眼鏡レンズ周縁加工装置
JP5209358B2 (ja) * 2008-03-31 2013-06-12 株式会社ニデック ヤゲン軌跡設定方法及び眼鏡レンズ加工装置
US8944315B2 (en) * 2010-10-04 2015-02-03 Schneider Gmbh & Co. Kg Apparatus and method for working an optical lens and also an optical lens and a transporting container for optical lenses
WO2013085010A1 (ja) * 2011-12-08 2013-06-13 Hoya株式会社 眼鏡レンズの玉型加工システム、眼鏡レンズの製造方法、および玉型加工機
JP6127530B2 (ja) * 2013-01-17 2017-05-17 株式会社ニデック 眼鏡レンズ加工装置および加工制御データ作成プログラム
JP7052567B2 (ja) * 2018-05-31 2022-04-12 株式会社ニデック 眼鏡レンズ加工制御データ取得装置
US12000739B2 (en) 2021-04-22 2024-06-04 Analog Devices, Inc. Lever based differential capacitive strain gauge with acceleration rejection
CN116984958B (zh) * 2023-09-26 2023-12-22 南通蓬盛机械有限公司 一种光学瞄准镜精磨工艺控制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933A (en) * 1862-07-22 Improved can for preserving fruits, sgc
ES2017183A6 (es) * 1989-10-27 1991-01-01 Indo Int Sa Maquina biseladora para lentes.
EP0479683B1 (en) * 1990-10-05 1995-03-22 Kabushiki Kaisha TOPCON Lens grinding apparatus
JP4046789B2 (ja) * 1996-10-31 2008-02-13 株式会社ニデック 眼鏡レンズ研削加工機及び眼鏡レンズ研削加工方法
JPH10277903A (ja) 1997-03-31 1998-10-20 Nidek Co Ltd 眼鏡レンズレイアウト入力装置及びレンズ研削加工装置
EP0894568B1 (en) 1997-08-01 2008-09-10 Nidek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grinding eyeglass lenses
JP3679229B2 (ja) * 1997-08-29 2005-08-03 株式会社ニデック 眼鏡レンズ研削加工装置
DE19804542C5 (de) * 1998-02-05 2009-04-30 Wernicke & Co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arbeiten von Brillengläsern
JP3730406B2 (ja) 1998-04-30 2006-01-05 株式会社ニデック 眼鏡レンズ加工装置
US6328630B1 (en) * 1998-10-05 2001-12-11 Hoya Corporation Eyeglass lens end face machining method
JP4087526B2 (ja) * 1999-03-08 2008-05-21 株式会社トプコン 眼鏡レンズのヤゲン形状表示装置及びその表示装置によるレンズ周縁加工方法及びそのレンズ周縁加工装置
ES2304353T3 (es) 1999-08-06 2008-10-16 Hoya Corporation Dispositivo de fabricacion de lentes y metodo de fabricacion de lentes.
CN1153997C (zh) * 2000-02-01 2004-06-16 株式会社拓普康 镜片形状显示装置、镜片形状数据处理装置和具有这些装置的眼镜片边缘加工设备
JP2001277086A (ja) * 2000-03-31 2001-10-09 Topcon Corp レンズ周縁加工装置
JP3961196B2 (ja) 2000-06-15 2007-08-22 株式会社ニデック 眼鏡レンズ加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49892A (zh) 2003-10-22
CN1283416C (zh) 2006-11-08
US6935924B2 (en) 2005-08-30
EP1352712A3 (en) 2003-10-22
EP2052814B1 (en) 2013-09-11
US20050239373A1 (en) 2005-10-27
JP4562343B2 (ja) 2010-10-13
EP2052814A1 (en) 2009-04-29
US6887134B2 (en) 2005-05-03
US7125315B2 (en) 2006-10-24
EP1352712B1 (en) 2011-11-30
ATE535347T1 (de) 2011-12-15
US20050009455A1 (en) 2005-01-13
US7083499B2 (en) 2006-08-01
JP2003295133A (ja) 2003-10-15
US20050239374A1 (en) 2005-10-27
US7083498B2 (en) 2006-08-01
US20050239375A1 (en) 2005-10-27
US20030227690A1 (en) 2003-12-11
EP1352712A2 (en) 2003-10-15
KR20030081026A (ko) 2003-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6561B1 (ko) 경사궤적 결정방법, 렌즈가공방법 및 렌즈가공장치
EP1884333B1 (en) Eyeglass lens processing method
US7840294B2 (en) Layout setting device for processing eyeglass lens, eyeglass lens processing apparatus, eyeglass frame measuring device and cup attaching device, each having the same
JP3679229B2 (ja) 眼鏡レンズ研削加工装置
KR20090072999A (ko) 안경 렌즈 가공 장치
US6688944B2 (en) Spectacle lens chamfering data preparing method, spectacle lens chamfering method, spectacle lens chamfering data preparing apparatus, and spectacle lens chamfering apparatus
JPH0634923A (ja) 眼鏡レンズの供給システム
JP3602303B2 (ja) 眼鏡レンズ研削加工装置
JP2003295134A (ja) レンズ加工方法、レンズ加工装置、及び情報記録媒体
JP4651654B2 (ja) レンチキュラーレンズのヤゲン軌跡決定方法及びレンチキュラーレンズ加工装置
JP4656537B2 (ja) マイナス強度眼鏡レンズのヤゲン軌跡決定方法及びマイナス強度の眼鏡レンズ加工装置
JP4656538B2 (ja) プラス強度眼鏡レンズのヤゲン軌跡決定方法及びプラス強度眼鏡レンズ加工装置
JP2003300142A (ja) レンズ加工装置、及びレンズ加工方法
JP2002326146A (ja) 眼鏡レンズ周縁加工方法と、眼鏡レンズ研削機、及び眼鏡レンズ面取り砥石
JP4447257B2 (ja) 眼鏡レンズの溝掘加工方法及び溝掘加工装置
JP4585573B2 (ja) 眼鏡レンズの面取り加工方法及び面取り加工装置
JP4115874B2 (ja) 眼鏡レンズの面取り加工方法及び面取り加工装置
JP2022047437A (ja) ヤゲン形成データ設定装置、眼鏡レンズ加工装置並びにヤゲン形成データ設定プログラム
JP2003300138A (ja) レンズ加工方法及びレンズ加工装置並びに眼鏡レン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