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9262B1 - 자동차용 엔진 마운팅 브래킷의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엔진 마운팅 브래킷의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9262B1
KR100489262B1 KR10-2003-0040749A KR20030040749A KR100489262B1 KR 100489262 B1 KR100489262 B1 KR 100489262B1 KR 20030040749 A KR20030040749 A KR 20030040749A KR 100489262 B1 KR100489262 B1 KR 100489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bracket
engine
lower side
engine mounting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0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0159A (ko
Inventor
채기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0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9262B1/ko
Publication of KR20050000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0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9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92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을 지지하는 환형의 부시 파이프와, 이 부시 파이프의 하단 양측에 용접되고, 하측이 크로스 멤버의 상면에 결합되는 써포터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엔진 마운팅 브래킷에 있어서, 상기 써포터의 하측은 일정 두께를 갖으며 웰드 너트가 용접 결합된 상면과, 상기 상면의 하측으로 일정 두께 보강된 레인포스와, 상기 레인포스의 양측에 상기 웰드 너트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크로스 멤버와 결합하기 위해 삽입되는 볼트를 가이드하는 볼트 파이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엔진 마운팅 브래킷의 체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차량의 길이 방향인 X축, 폭방향인 Y축, 수직 방향인 Z축으로의 입력점 동강성이 진동수가 상승함에 따라 종래에 비해 큰 폭으로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엔진 마운팅 브래킷의 체결구조{Combining structure of engine mounting bracket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엔진을 마운팅하는 엔진 마운팅 브래킷과 크로스 멤버를 마운팅시 진동수에 따른 X, Y, 및 Z축 방향으로의 입력점 동강성을 향상시킨 자동차용 엔진 마운팅 브래킷의 체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은 지지방식에 따라 다르지만, 엔진 좌측 마운팅, 엔진 우측 마운팅 및 엔진 리어 마운팅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각 마운팅에서의 입력점 동강성은 엔진에서 차체로 전달되는 진동량을 제어하는 대표값으로 간주될 수 있다. 여기서, 입력점 동강성은 특정 위치에 동적힘(unit dynamic force)을 부여했을 때의 동적 속도(dynamic velocity)의 값을 의미하며, 작을수록 좋은 것으로 판단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크로스 멤버(1)의 상단에 설치되어 엔진을 마운팅하는 엔진 마운팅 브래킷(20)은 주물품이나 프레스 용접품으로 제작하여, 일반적인 프레스 용접품의 경우, 몇 개의 프레스 부품을 용접하여 제작한다. 일반적으로, 주물품이 프레스 용접품에 비하여 작은 입력점 동강성을 가지나 같은 재질이라면, 무게가 많이 나가거나, 이 때문에 고가의 경량 소재 부품을 적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주물품은 차량 충돌시 변형이 되지 않아서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지 못하고 차량의 실내로 침투하는 악영향이 생기기도 한다. 이런 점에서 주물품에 비해서 유사한 입력점 동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설계라면, 프레스 용접품의 경우가 선호되기도 한다.
일반적인 프레스 용접품의 경우, 도1과 같이, 상기 엔진 마운팅 브래킷(20)은 환형의 부시 파이프(21)와, 이 부시 파이프(21)의 하단 양측에 용접되고, 하단플렌지면(24a)은 상기 크로스 멤버(1)의 상면에 볼트(22) 및 웰드 너트(23)로 결합되는 써포터(24)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엔진 마운팅 브래킷(20)의 써포터(24)는 그 하단 플렌지부(24a)가 상기 크로스 멤버(1)에 직접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입력점 동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엔진을 마운팅하는 엔진 마운팅 브래킷과 크로스 멤버를 마운팅시 진동수에 따른 X, Y, 및 Z축 방향으로의 입력점 동강성을 향상시킨 자동차용 엔진 마운팅 브래킷의 체결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엔진 마운팅 브래킷의 체결 구조는, 엔진을 지지하는 환형의 부시 파이프와, 이 부시 파이프의 하단 양측에 용접되고, 하측이 크로스 멤버의 상면에 결합되는 써포터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엔진 마운팅 브래킷에 있어서, 상기 써포터의 하측은 일정 두께를 갖으며 웰드 너트가 용접 결합된 상면과, 상기 상면의 하측으로 일정 두께 보강된 레인포스와, 상기 레인포스의 양측에 상기 웰드 너트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크로스 멤버와 결합하기 위해 삽입되는 볼트를 가이드하는 볼트 파이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리어 엔진 마운팅 브래킷의 체결 구조를 상세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4a, 도4b 및 도4c는 본 발명과 종래의 자동차용 리어 엔진 마운팅 브래킷의 X, Y, Z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진동수에 따른 입력점 동강성 개선 결과를 도시한 비교 그래프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엔진 마운팅 브래킷의 체결 구조에 의하면, 엔진을 지지하는 환형의 부시 파이프(21)와, 이 부시 파이프(21)의 하단 양측에 용접되고, 하측이 크로스 멤버(1)의 상면에 결합되는 써포터(50)로 이루어지고, 상기 써포터(50)의 하측은 일정 두께를 갖으며 웰드 너트(23)가 용접 결합된 상면(51)과, 상기 상면(51)의 하측으로 일정 두께 보강된 레인포스(52)와, 상기 레인포스(52)의 양측에 상기 웰드 너트(23)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크로스 멤버(1)와 결합하기 위해 삽입되는 볼트(22)를 가이드하는 볼트 파이프(53)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엔진 마운팅 브래킷(20)의 하측 플렌지부를 웰드 너트(23)가 결합된 상면(51)과, 상면(51)의 하측을 보강하고, 상기 웰드 너트(23)의 하측으로 볼팅되는 볼트(22)를 가이드하는 볼트 파이프(53)를 삽입 설치하여 상기 엔진 마운팅 브래킷(20)을 크로스 멤버(1)에 결합함으로써, 도4a, 도4b 및 도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길이 방향인 X축, 폭방향인 Y축, 수직 방향인 Z축으로의 입력점 동강성이 진동수가 상승함에 따라 종래(점선)에 비해 큰 폭으로 향상되는 것을 볼 수 있다(실선으로 표시됨). 도4c에서 보는 바와 같이, Z축 방향 입력점 동강성은 고주파수 성분(500Hz)에서 약간 악영향이 있으나, 기본적으로 X축 방향 입력점 동강성은 600Hz 이하에서 성능의 대폭적인 향상을 보이고 있으며, Y축 방향의 경우에는 300Hz 이상에서 대폭적인 성능향상을 보이고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엔진 마운팅 브래킷의 체결 구조에 의하면, 상기 엔진 마운팅 브래킷의 하측 플렌지부를 웰드 너트(23)가 결합된 상면(51)과, 상면(51)의 하측을 보강하고, 상기 웰드 너트(23)의 하측으로 볼팅되는 볼트(22)를 가이드하는 볼트 파이프(53)를 삽입 설치하여 상기 엔진 마운팅 브래킷(20)을 크로스 멤버(1)에 결합함으로써, 차량의 길이 방향인 X축, 폭방향인 Y축, 수직 방향인 Z축으로의 입력점 동강성이 진동수가 상승함에 따라 종래에 비해 큰 폭으로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자동차용 엔진 마운팅 브래킷의 장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종래의 자동차용 엔진 마운팅 브래킷의 체결 구조를 상세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엔진 마운팅 브래킷의 체결 구조를 상세 도시한 사시도,
도4a, 도4b 및 도4c는 본 발명과 종래의 자동차용 엔진 마운팅 브래킷의 X, Y, Z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진동수에 따른 입력점 동강성 개선 결과를 도시한 비교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엔진 마운팅 브래킷 21 : 부시 파이프
22 : 볼트 23 : 웰드 너트
50 : 써포터 51 : 상면
52 : 레인포스 53 : 볼트 파이프

Claims (1)

  1. 엔진을 지지하는 환형의 부시 파이프와, 이 부시 파이프의 하단 양측에 용접되고, 하측이 크로스 멤버의 상면에 결합되는 써포터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엔진 마운팅 브래킷에 있어서,
    상기 써포터(50)의 하측은 일정 두께를 갖으며 웰드 너트(23)가 용접결합된 상면(51)과, 상기 상면(51)의 하측으로 일정 두께 보강된 레인포스(52)와, 상기 레인포스(52)의 양측에 상기 웰드 너트(23)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크로스 멤버(1)와 결합하기 위해 삽입되는 볼트(22)를 가이드하는 볼트 파이프(5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엔진 마운팅 브래킷의 결합 구조.
KR10-2003-0040749A 2003-06-23 2003-06-23 자동차용 엔진 마운팅 브래킷의 체결구조 KR100489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0749A KR100489262B1 (ko) 2003-06-23 2003-06-23 자동차용 엔진 마운팅 브래킷의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0749A KR100489262B1 (ko) 2003-06-23 2003-06-23 자동차용 엔진 마운팅 브래킷의 체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0159A KR20050000159A (ko) 2005-01-03
KR100489262B1 true KR100489262B1 (ko) 2005-05-17

Family

ID=37216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0749A KR100489262B1 (ko) 2003-06-23 2003-06-23 자동차용 엔진 마운팅 브래킷의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92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72395A (zh) * 2018-12-18 2019-04-05 宁波泛德压铸有限公司 汽车发动机支架及其生产方法
CN112249162B (zh) * 2020-10-21 2023-04-28 安徽江田环卫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高缓冲安全型新能源车用车架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0159A (ko) 2005-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05412B2 (en) Vehicle front portion structure
JPS61150867A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支持構造
US7048325B1 (en) Adjustable vehicle cross beam
WO2012017747A1 (ja) エンジンマウント支持構造
CN108622205B (zh) 车辆前部结构
CN111746648A (zh) 车辆用副车架
US9744999B2 (en) Vehicle front portion structure
KR100489262B1 (ko) 자동차용 엔진 마운팅 브래킷의 체결구조
JP2000072029A (ja) 車両用サブフレーム
JP2000072032A (ja) 車両用フロントメンバ
JP2722954B2 (ja) 走行操作系補機部品の取付構造
JPH07267135A (ja) 車体の補強構造
JP3527420B2 (ja) 自動車のフロント部の構造
CN216709448U (zh) 一种仪表管梁安装结构及汽车
JP2010264774A (ja) 車体前部構造
KR100412516B1 (ko) 자동차용 카울 언더커버 패널 조립체
KR100569991B1 (ko) 자동차의 프론트스트러트 장착부 보강구조
KR100534399B1 (ko) 자동차의 카울사이드부의 보강구조
KR960006460Y1 (ko) 자동차의 조향 칼럼 설치용 브라켓 구조(An arrangement for steering wheel mounting bracket in a car)
KR100461397B1 (ko) 엔진 마운팅 브라켓
JP2000072031A (ja) 車両用サブフレーム
KR20230013758A (ko) 전방 차체 구조
KR200188442Y1 (ko) 자동차용 리어부 보강구조
JP2003312543A (ja) ステアリングサポートメンバの取付構造
KR100350799B1 (ko) 서브 프레임 마운팅 리어부 강성증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