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8340B1 - 조명 부하를 원격으로 감시 및 제어하기 위한 원격 감시및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조명 부하를 원격으로 감시 및 제어하기 위한 원격 감시및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8340B1
KR100488340B1 KR10-2002-0014670A KR20020014670A KR100488340B1 KR 100488340 B1 KR100488340 B1 KR 100488340B1 KR 20020014670 A KR20020014670 A KR 20020014670A KR 100488340 B1 KR100488340 B1 KR 100488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trast
control
data
lighting loa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4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5241A (ko
Inventor
사카세가와신지
가와마타모토쓰구
도키자네도시아키
Original Assignee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75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52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8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83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8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data-bus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20Responsive to malfunctions or to light source life; for protection
    • H05B47/21Responsive to malfunctions or to light source life; for protection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connected in parallel
    • H05B47/22Responsive to malfunctions or to light source life; for protection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connected in parallel with communication between the lamps and a central unit

Abstract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에서 선택 스위치 유닛은 설정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조명 부하의 일괄 제어, 분리 제어 작동 및 조명 로드를 위한 작동에 관계된 제어 요청 신호를 신호 라인에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를 설정한다.
데이터 메모리는 그 안에 각각의 조명 부하에 설정된 작동 상태 및 명암(dimming) 레벨을 저장하여 작동 상태들과 명암 레벨들이 서로간에 연관되어 있도록 한다.
데이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어 요청 신호는 터미널 유닛으로 전송된다. 터미널 유닛은 선택 스위치 유닛으로부터의 명암 레벨 제어 요청 신호에 근거하여 해당 명암 터미널 유닛으로 명암 레벨 명령 신호를 전송하고, 선택 스위치 유닛에 명암 레벨 표시 명령 신호를 보냄으로써, 현재의 명암 레벨을 표시한다.

Description

조명 부하를 원격으로 감시 및 제어하기 위한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REMOTE MONITORING AND CONTROLLING SYSTEM FOR REMOTELY MONITORING AND CONTROLLING ILLUMINATION LOADS}
본 발명은 원격으로 조명 부하들을 감시하고 제어하는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감시가 가능하고, 조명 부하들을 위한 작동 명령들이 제공되며, 하나의 스위치 유닛을 가지고 복수의 조명 부하를 일괄 제어할 수 있는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에서는 도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복수의 터미널 유닛(42, 43)이 두 가닥의 신호 라인(44)을 거쳐서 전송 유닛(41)에 연결되어 있었고, 조명 부하(L)는 터미널 유닛(43, 이하 제어 터미널 유닛이라 한다.)에 부착된 릴레이(45)를 거쳐서 터미널 유닛(42, 이하 작동 터미널 유닛이라 한다.)에 부착된 스위치(SW)의 작동에 의해 제어되었다. 상기 터미널 유닛(42)과 터미널 유닛(43)에는 각각 자기 자신의 주소가 설정되어 있다. 스위치(SW)의 작동에 의해 발생한 감시 데이터는 작동 터미널 유닛(42)에 입력되고, 상기 감시 데이터는 상기 전송 유닛(41)에 전송된다. 상기 감시 데이터를 수신하자마자 상기 전송 유닛(41)은 감시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어 데이터를, 주소에 의하여 상기 작동 터미널 유닛과 대응되도록 설정된 제어 터미널 유닛(43)에 전송하여 조명 부하(L)를 제어한다. 전송 유닛(41), 작동 터미널 유닛(42), 제어 터미널 유닛(43) 각각은 주 구성요소로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있다.
외부 인터페이스 터미널 유닛(47)과 패턴-설정 터미널 유닛(48)도 신호라인(44)에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에 외부 인터페이스 터미널 유닛(47)은 외부 제어 유닛(47a)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고, 패턴 설정 유닛(48)은 데이터 입력부(48a)로부터 입력된 패턴 제어 데이터를 전송 유닛(41)에 전송하는 터미널 유닛이다. 배전반(46) 또는 릴레이 제어판(46a)의 내부에 배치된 작동 터미널 유닛들(42)과 제어 터미널 유닛들(43)은 배전반의 크기에 맞도록 그 크기가 정해짐에 주의해야 한다.
전송 유닛(41)은 도 14(a)와 도 14(b)에 나타난 것과 같은 형태의 전송 신호 (Vs)를 신호 라인(44)에 전송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전송 신호 (Vs)는 신호전송의 시작을 알리는 시작 펄스 신호 SY, 신호의 모드를 나타내는 모드 데이터 신호 MD, 작동 터미널 유닛(42) 또는 제어 터미널 유닛(43)을 별개로 호출하는데 사용하는 주소 데이터를 전송하는 주소 데이터 신호 AD, 조명 부하들을 제어하는데 사용하는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 신호 CD, 전송 에러를 검출하기 위한 체크 섬(CHECK SUM) 데이터 신호 CS 및 작동 터미널 유닛(42) 또는 제어 터미널 유닛(43)으로부터 돌아오는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시간 슬롯인 신호 반송 시간 간격 WT로 구성되는 양극성(±24V) 시분할 다중방식(time divisional multiplexed) 신호이며 데이터는 펄스 폭 변조 방식으로 전송된다.
작동 터미널 유닛(42)과 제어 터미널 유닛(43) 각각에서 만약 신호 라인(44)을 거쳐서 수신한 전송 신호 (Vs)의 주소 데이터가 상기 유닛들에 설정된 주소 데이터와 각각 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유닛은 전송 신호 (Vs)로부터 오는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고, 전송 신호 (Vs)의 반송 시간 간격 WT에 동기되어 감시 데이터를 현재모드 신호(적당히 작은 크기의 임피던스를 거쳐서 신호라인(44)을 단락시켜 전송되는 신호)로서 반송한다.
또한, 상기 전송 유닛(41)은 전송 신호 (Vs)에 포함된 주소 데이터가 연속적으로 순환하며 변하게 하여 작동 터미널 유닛들(42)과 제어 터미널 유닛들(43)에 연속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연속적인 폴링(polling) 수단을 갖추고 있다. 연속 폴링에 있어서, 전송 신호 (Vs)에 포함된 주소 데이터와 일치하는 작동 터미널 유닛(42) 또는 제어 터미널 유닛(43)은 전송 신호 (Vs)에 포함된 제어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전송 유닛(41)은 인터럽트 폴링 수단을 갖추고 있는데, 이는 도 14(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어떤 작동 터미널 유닛(42)에서 생성된 인터럽트 신호 (Vi)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인터럽트 폴링 수단은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킨 작동 터미널 유닛(42)을 포착하고, 상기 작동 터미널 유닛(42)에 접근하여 상기 유닛이 감시 데이터를 반송하도록 한다.
즉, 상기 전송 유닛(41)은 신호 라인(44)에 주소 데이터가 연속 폴링 수단에 의해 연속적으로 순환하며 바뀌는 데이터전송 신호 (Vs)를 연속적으로 전송한다. 작동 터미널 유닛(42)에 발생한 인터럽트 신호 (Vi)가 전송 신호 (Vs)의 시작 펄스 신호 SY와 동기되어 탐지되는 경우에는 모드 데이터 신호 MD가 인터럽트 폴링으로 설정된 전송 신호 (Vs)가 전송 유닛(41)으로부터 인터럽트 폴링 수단에 의하여 전송된다. 인터럽트 신호 (Vi)를 발생시킨 작동 터미널 유닛(42)은 그 주소가 인터럽트 폴링 모드의 전송 신호 (Vs)의 주소 데이터의 상위 비트들과 일치하는 경우에, 반송 데이터로서 작동 터미널 유닛(42)에 설정된 주소 데이터의 하위 비트들을 전송 신호 (Vs)의 반송 시간 간격 WT에 동기시켜 반송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송 유닛(41)은 인터럽트 신호 (Vi)를 발생시킨 작동 터미널 유닛(42)의 주소를 얻게되고, 상기에서 얻은 주소를 가지고 작동 터미널 유닛(42)에 접근하여 응답 데이터로서 작동 터미널 유닛(42)에 연결된 스위치(SW)의 작동 상태에 해당하는 작동 데이터를 수신한다. 반면에 하위의 주소(low-order address)가 인터럽트 신호 (Vi)를 발생시킨 작동 터미널 유닛(42)에서 돌아오지 않는 경우에는 전송 유닛(41)의 인터럽트 폴링 수단은 상위 주소(high-order address)를 변화시켜 인터럽트 폴링 모드의 전송 신호 (Vs)를 다시 전송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송 유닛(41)이 인터럽트 신호 (Vi)를 발생시킨 작동 터미널 유닛(42)의 주소를 얻었을 때, 전송 유닛(41)은 작동 터미널 유닛(42)이 감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요청하는 신호 (Vs)를 전송하고, 작동 터미널 유닛(42)은 전송 유닛(41)에게 스위치(SW)의 작동에 대응하는 감시 데이터를 전송한다. 감시 데이터를 수신한 전송 유닛(41)은 주소들의 대응에 의해서 작동 터미널 유닛(42)에 설정된 제어 터미널 유닛(43)을 위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고, 제어 터미널 유닛(43)에 의해 조명 부하(L)를 제어하기 위하여 신호 라인(44)에 이 제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송 신호 (Vs)를 전송한다. 여기서 작동 터미널 유닛들(42)과 제어 터미널 유닛들(43)의 주소는 터미널 유닛을 구별하는 채널, 스위치(SW)의 회로와 조명 부하(L)를 구별하는 조명 부하 번호로 구성되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현재의 제품들에서는 64 채널이 제공되고, 매 채널마다 4개의 조명 부하 회로가 설정된다. 즉, 작동 터미널 유닛(42)과 제어 터미널 유닛(43) 각각마다 하나의 채널이 설정되고, 작동 터미널 유닛(42)과 제어 터미널 유닛(43) 각각에는 네 개까지의 스위치(SW) 회로 또는 조명 부하(L)를 연결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전체 256개의 조명 부하(L) 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에서는 복수의 조명 부하(L)가 하나의 스위치(SW)에 의하여 일괄 제어될 수 있도록 복수의 조명 부하(L)가 하나의 스위치 (SW)와 결합하도록 하는 일괄 제어도 가능할 뿐만 아니라, 스위치(SW)와 조명 부하(L)가 일대일로 대응하는 개별 제어도 가능하다. 또한, 제어 터미널 유닛들(43)에 의하여 조명 부하(L)의 명암(DIMMING) 제어가 가능한 경우에, 작동 터미널 유닛들(42)의 작동에 의하여 조명 부하(L)를 제어할 수 있다. 일괄 제어에 관하여, 복수의 조명 부하(L)가 미리 설정된 제어 상태에 각각 별개로 설정되는 패턴 제어뿐만 아니라 복수의 조명 부하(L)가 동일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그룹 제어가 가능하다. 따라서, 스위치(SW)는 개별 제어, 그룹 제어, 패턴 제어 방법들 중 하나의 제어 방법에 의하여 조명 부하(L)를 제어한다. 작동 터미널 유닛(42)과 제어 터미널 유닛(43)간의 주소(채널 + 조명 부하 번호)들의 대응 관계는 개별 제어에서는 일대일 대응, 그룹 제어와 패턴 제어에서는 일대다 대응이 된다. 또한, 개별 제어나 일괄 제어에서의 명암제어도 마찬가지이다.
각각의 제어 터미널 유닛(43)에는 개개의 주소가 주어지고, 이 주소는 채널 번호와 부하 번호로 구성된다. 제어의 형태(개별 제어, 패턴 제어, 그룹 제어)에 따라 각 작동 터미널 유닛(42)에는 주소가 부여된다. 개별 제어에서는 제어 터미널 유닛(43)에서와 비슷한 방법으로 채널 번호와 부하 번호가 주어진다. 패턴 제어에서는 패턴 번호의 주소(Px)가 주어지고, 그룹 제어에서는 그룹 번호의 주소(Gx)가 주어진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개별 제어 또는 일괄 제어에서 스위치 (SW)와 조명 부하 (L)간의 대응 관계는 전송 유닛(41)의 메모리에 제공되는 대응 관계 데이터 저장부분에 설정된다. 즉, 설치 작업 시에 스위치(SW)와 조명 부하(L)간의 대응 관계는 작동 터미널 유닛(42)과 제어 터미널 유닛(43) 각각의 주소가 모두 정해진 다음에 설정되고, 스위치(SW)의 작동에 대응하여 원하는 조명 부하(L)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런 경우에, 개별 제어 방식에서 스위치(SW)와 조명 부하(L)간의 대응 관계는 동일한 주소들의 대응 관계가 되고, 작동 터미널 유닛(42)과 제어 터미널 유닛(43)의 주소를 설정하면 스위치(SW)와 조명 부하 (L)간의 대응 관계가 자동적으로 설정된다. 여기서 작동 터미널 유닛(42)과 제어 터미널 유닛(43)은 터미널 유닛 형식에 대한 데이터에 의하여 구별됨에 주목해야 한다. 반면에 일괄 제어 방식에서 스위치(SW)를 사용하여 스위치(SW)와 조명 부하 (L)사이의 대응 관계를 설정하는 일은 복잡하므로, 일괄 제어 방식에서 스위치(SW)와 조명 부하(L)간의 대응 관계를 대응 관계 데이터 저장부에 설정하는 작업을 수월하게 하기 위하여 도 15와 같은 선택 스위치 유닛(50)을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도 15에 나타난 선택 스위치 유닛(50)은 전송 유닛(41)에 의하여 관리될 수 있는 많은 수의 회로에 대응하는 스위치(SW)에 할당할 수 있는 선택 스위치(SS)를 갖추고 있다.(즉, 대응 관계 데이터 저장부에 등록할 수 있다.). 그러나, 작동 유닛(41)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위치들(SW)의 256개 회로를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256개의 선택 스위치(SS)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선택 스위치 유닛(50)이 충분히 확장되어야 한다. 그래서, 도 15의 선택 스위치 유닛(50)에서 채널 당 네 개의 선택 스위치(SS), 16개의 채널에 64개의 선택 스위치(SS)가 제공되며 여기서 각 선택 스위치(SS)는 네 개의 회로에 해당한다. 각 선택 스위치(SS)는 LD1, LD2 두 개의 LED로 구성되는 작동 표시부(51)에 대응하여 설정된다. 또한, 하나의 채널 표시부(52)가 채널 하나를 위한 네 개의 선택 스위치(SS)마다 제공된다. 각 채널 표시부(52)에는 네 개의 숫자가 제공되고, 이들 숫자 각각은 하나를 선택함에 따라 교대로 켜진다. 이 경우에, 채널 표시부(52)는 각 숫자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평면 LED로 구성되어 있다. 이런 방식으로, 하나의 선택 스위치(SS)는 네 개의 채널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네 개의 채널 중에 어느 채널이 선택 스위치(SS)에 대응하는 지는 선택 스위치 유닛(50)의 몸체(60)의 앞쪽에 있는 문(61)안에 설치된 채널 선택 스위치 유닛(S21)에 의해서 결정된다. 즉, 채널 선택 스위치 유닛(S21)을 한 번씩 누를 때마다, 0에서 15, 16에서 31, 32에서 47, 48에서 63의 숫자들이 채널 표시부(52)에 순서대로 켜지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배열에서 256개의 스위치(SW) 회로와 동일한 기능을 64개의 선택 스위치(SS)를 가지고 구현할 수 있다.
선택 스위치 유닛(50)에 있는 모든 선택 스위치(SS)는 개별 제어를 위한 스위치(SW)로서의 역할을 하지만, 선택 스위치(SS)를 사용해서는 패턴 제어나 그룹 제어와 같은 일괄 제어를 수행할 수 없다. 즉, 신호 라인(44)에 연결된 작동 터미널 유닛(42)에 감시 데이터를 주는 스위치(SW)가 패턴 제어나 그룹 제어를 수행하는 스위치(SW)로서 사용된다. 어느 스위치들(SW)이 패턴 제어나 그룹 제어를 위하여 사용되는지를 선택하기 위해서 주소 선택 스위치(S22)가 몸체(60)의 문(61)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주소 선택 스위치(S22)는 숫자별로 3개의 숫자의 주소를 선택하는 기능을 하고, 선택된 주소는 7-세그먼트 LED로 구성된 표시부(53)에 표시된다.
또한 패턴 제어나 그룹 제어의 선택은 패턴 선택 스위치(S23) 또는 그룹 선택 스위치(S24)의 작동에 의해서 수행된다. 즉, 패턴 제어나 그룹 제어를 통해 일괄 제어할 조명 부하(L)들을 스위치(SW)에 대응하여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패턴 선택 스위치(S23) 또는 그룹 선택 스위치(S24)를 작동하여 패턴 제어 또는 그룹 제어를 구별하고, 패턴 주소나 그룹 주소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주소 선택 스위치(S22)에서 주소를 선택한다. 그 다음에 일괄 제어를 할 조명 부하(L)들은 선택 스위치(SS)로 선택한다.
또한 선택 스위치 유닛(50)에는 ALL-ON 스위치(S12), ALL-OFF 스위치(S13) 및 ALL-OUTSIDE-AREA 스위치(S14)가 부가되어 있다. ALL-ON 스위치(S12)는 모든 조명 부하(L)를 켜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패턴 제어시에 많은 수의 조명 부하(L)를 켜야 하는 경우에는 꺼야할 조명 부하(L)들만 선택하기 위하여 선택 스위치들(SS)을 작동시키기 전에 ALL-ON 스위치(S12)를 작동시킴으로써 선택 스위치(SS)의 조작 회수가 줄어들게 된다. ALL-ON 스위치(S12)는 그룹 제어 설정시에도 사용할 수 있다. ALL-OFF 스위치(S13)는 모든 조명 부하(L)를 끄는 기능을 하고, 패턴 제어 설정시 많은 조명 부하(L)를 꺼야 하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ALL-OUTSIDE-AREA 스위치(S14)는 그룹 제어 설정시 모든 조명 부하들(L)을 그룹 제어의 제어 객체로부터 제외시키는 역할을 한다.
선택 스위치 유닛(50)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괄 제어를 설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선택 스위치들(SS)은 또한 개별 제어시에도 사용할 수 있다. 설정 모드와 제어 모드간의 변경은 슬라이드 스위치인 모드 선택 스위치(S26)에 의해 이루어진다.
선택 스위치 유닛(50)에 의해 설정된 일괄 제어의 정보는 선택 스위치 유닛(50)에 있는 메모리에 저장된다. 그러나 조명 부하(L)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정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정보를 전송 유닛(41)의 대응 관계 데이터 저장부로 전송해야 한다. 그러므로, 설정 데이터를 전송 유닛(41)으로 보내기 위한 전송 명령을 위한 출력 스위치(S27)는 선택 스위치 유닛(50)에 제공된다. 예를 들어, 대응 관계 저장부의 설정 정보를 바꾸기 위해서는 전송 유닛(41)의 대응 관계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던 데이터를 포착하여 수정하면 설정 작업이 수월해진다. 그러므로, 대응 관계 저장부로부터 선택 스위치 유닛(50)에 데이터 전송을 명령하기 위한 입력 스위치(S28)도 제공된다. 오 연결 또는 오 작동으로 인해서 에러가 표시부(53)에 나타나는 경우에는 선택 스위치 유닛(50)의 내부 상태를 리셋 스위치(S29)를 작동시켜서 초기화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패턴 선택 스위치(S23), 그룹 선택 스위치(S24), 출력 스위치(S27) 및 입력 스위치(S28)에는 이들의 작동에 의해서 선택된 상태가 계속되고 있음을 나타내기 위하여 켜지는 LED로 구성된 표시부(54)가 부가되어 있다.
위에서 설명한 선택 스위치 유닛(50)은 벽이나 기타 장소에 고정시켜서 사용하는 고정형이다. 몸체(60)의 정면은 크기가 크고 많은 수의 선택 스위치(SS), 복수의 작동 표시부(51) 및 채널 표시부(52)들이 배치되어 있다. 그래서, 패턴 제어 또는 그룹 제어에서 설정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최근에는 좀더 안락한 내부 조명 환경을 만들거나 조명을 가지고 내부 분위기를 바꾸기 위해서 조명 부하의 광 출력을 제어하고자 하는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결국 패턴 제어나 그룹 제어뿐만 아니라 조명의 명암 레벨을 설정하고 제어하고자 하는 수요가 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선택 스위치 유닛(50)에서는 각각의 선택 스위치(SS)는 각각의 회로(주소)를 위한 스위치(SW)로서의 기능만 가지고 있어서 명암 레벨을 설정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명암 제어를 포함하는 패턴 제어나 그룹 제어는 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명암 제어를 포함하는 개별 제어 또는 일괄 제어를 위하여 설정 및 제어가 가능한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나의 선택 스위치 유닛을 가지고 복수개의 회로를 쉽게 설정하고 조명 부하들의 제어를 집중시킬 수 있는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에는 신호 라인에 연결된 선택 스위치 유닛이 부가되어 있다. 선택 스위치 유닛은 미리 정해진 주소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선택 스위치 유닛은 일괄 제어를 위한 데이터를 설정하고 복수의 조명 부하들의 작동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며, 설정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복수의 조명 부하들의 작동에 관련된 제어 요청 신호를 신호 라인에 전송한다. 전송 유닛은 신호 라인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선택 스위치 유닛으로부터 얻은 제어 요청 신호에 근거하여 작동 터미널 유닛과 명암 터미널 유닛간에 미리 설정된 주소들의 대응 관계에 의하여 복수의 명암 터미널 유닛과 전송 신호를 주고받는다. 복수의 명암 터미널 유닛은 각각 전송 유닛으로부터 얻은 전송 신호에 응답하여 명암 터미널 유닛에 연결된 조명 부하들의 명암을 제어한다.
선택 스위치 유닛에는 제1 내지 제3 작동 유닛이 부가되어있다. 제1 작동 유닛은 복수의 조명 부하들에 대응하여 제공되며 복수의 조명 부하들의 작동을 입력하거나 설정하기 위한 복수의 스위치들을 갖추고 있다. 제2 작동 유닛은 복수의 스위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와 적어도 하나의 조명 부하간에 대응 관계를 입력하거나 설정하기 위해서 제공된다. 제3 작동 유닛은 제1 및 제2 작동 유닛에 의하여 작동 및 대응 관계가 설정된 조명 부하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조명 부하의 단위로 조명 부하들의 명암 레벨을 입력하고 설정하기 위해서 제공된다.
표시부는 제1 내지 제3 작동 유닛들에 의해서 설정된 설정 정보와 명암 레벨을 표시한다. 데이터 메모리는 제1 및 제2 작동 유닛에 의하여 설정된 각각의 조명 부하들의 작동 상태와 제3 작동 유닛에 의하여 설정된 각각의 조명 부하들의 명암 레벨을 저장하여 작동 상태들과 명암 레벨들이 그 안에서 대응하여 결합되도록 한다. 전송 유닛은 데이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어 요청 신호를 터미널 유닛으로 전송한다.
터미널 유닛은 선택 스위치 유닛으로부터 얻은 명암 레벨 제어 요청 신호에 근거하여 명암 레벨 명령을 대응하는 명암 터미널 유닛으로 전송하고, 명암 레벨 표시 명령 신호를 선택 스위치 유닛에 전송하여 표시부에 현재의 명암 레벨을 표시한다.
전술한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단계로 된 명암 레벨을 가지고 있고 서로 이웃하는 단계에서 조명 부하의 광 출력의 변화는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을 정도로 설정되어야 한다.
전술한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의 선택 스위치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전송 유닛에서 명암 터미널 유닛으로 전송된 전송 신호에 포함된 명암 레벨을 수신하고 데이터 메모리에 저장한다.
전술한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의 복수의 조명 부하의 작동 상태는 바람직하게는 데이터 메모리에 저장되어 설정되어 있고, 전송 신호에 근거하여 복수의 조명 부하의 명암 레벨을 제어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선택 스위치 유닛은 전송 신호로부터 데이터 메모리에 작동 상태가 ON으로 설정된 각각의 조명 부하의 명암 레벨을 수신하고 데이터 메모리에 명암 레벨을 저장하기 위한 제1 상황(scene) 저장 유닛을 더 포함한다.
전술한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에서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조명 부하의 작동 상태는 데이터 메모리에 저장되어 설정되어 있고, 전송 신호에 근거하여 복수의 조명 부하의 명암 레벨을 제어하고 있는 상태에서 선택 스위치 유닛은 전송 신호로부터 데이터 메모리에 작동 상태가 ON으로 설정된 각각의 조명 부하의 작동 상태와 명암 레벨을 수신하고 데이터 메모리에 작동 상태 및 명암 레벨을 저장하기 위한 제2 상황(scene) 저장 유닛을 더 포함한다.
전술한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에서 바람직하게는 제2 작동 유닛은 시간 지연에 따라서 각 조명 부하로부터의 광 출력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페이드 작동 모드를 선택하거나 설정하기 위한 선택 유닛을 더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페이드 모드에서 단위 시간당 광 출력의 변화율을 나타내는 페이드 시간을 더 기록한다. 전송 유닛은 선택 스위치 유닛으로부터 얻은 저장된 페이드 시간을 포함한 명암 레벨 제어 요청 신호에 근거하여 대응하는 명암 터미널 유닛으로 명암 레벨 명령 신호를 보내서 대응하는 조명 부하가 페이드 작동을 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은 명암 제어를 포함하는 개별 제어 또는 일괄 제어를 위한 설정과 제어를 가능케 하고 복수의 회로에 대한 설정을 용이하게 하며, 무엇보다도 하나의 선택 스위치를 가지고 모든 조명 부하들에 대한 집중적인 제어를 가능케 하는데, 이는 설정 정보의 작동 확인에 편리하다.
상기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은 명암 레벨 설정시 필요이상의 스위칭 가능성을 제거하고,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을 정도로 명암 레벨을 조정하는 것을 가능케 하여, 실제적인 사용에 부응하고 명암 레벨 설정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특히, 명암 레벨을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 다단계(multi step) 방식을 사용하면 원하는 명암 레벨에 도달할 때까지 시간과 노력이 드는 반면에, 한 번 누르면 여러 개의 작은 명암 레벨 단계들이 한 번에 변하는 작동부를 사용함으로써 명암 레벨을 설정하는 단계를 줄여 원하는 명암 레벨에 이를 때까지의 시간과 노력을 절약할 수 있다.
전송 유닛으로부터 제어 터미널 유닛에 전송된 전송 신호에 포함된 명암 레벨은 데이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조명 부하의 실제 광 출력을 확인하여 명암 레벨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일괄 제어 목표의 ON/OFF 상태는 미리 결정된 상태에서, ON으로 설정된 조명 부하들의 광 출력은 실제로 ON 상태의 조명 부하들의 명암 레벨들을 전송 신호로부터 얻어서 데이터 메모리에 저장하기 전에 조정된다. 따라서, 실제 밝기를 확인할 수 있는 명암 제어를 포함하는 일괄 제어를 위한 데이터 준비가 가능하다.
본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일괄 제어 목표인 조명 부하들이 미리 결정된 상태에서, 전송 신호로부터 조명 부하들의 ON/OFF 데이터 및 제어 목표인 조명 부하들만의 명암 레벨 데이터를 전송 신호로부터 얻어서 데이터 메모리에 저장하기 전에 각 조명 부하들은 ON/OFF 되거나 광 출력이 조정된다. 따라서, 제어 정보를 확인하면서 명암 제어를 포함하는 일괄 제어를 위한 데이터를 준비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페이드 제어를 포함하는 일괄 제어도 가능해진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의 선택 스위치 유닛(1)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선택 스위치 유닛(1)은 LCD 형식의 표시 유닛(11)에 종래 기술에 따른 실시예에서 선택 스위치 유닛(50)의 문(61) 내부에 배치된 여러 가지 종류의 스위치들에 대응하는 표시부들(표시부 53, 표시부 54)의 내용을 표시할 뿐만 아니라, 종래 기술에 따른 실시예의 작동 표시부(51)와 채널 표시부(52)의 내용도 표시한다. 이 경우에 표시 유닛(12)은 채널마다 제공되는데, 전체 16개의 표시 유닛(12)이 제공된다. 표시 유닛들(11, 12)은 모두 도트 매트릭스 형식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ALL-ON 스위치 (S12), ALL-OFF 스위치(S13), ALL-OUTSIDE-AREA 스위치(S14), 출력 스위치(S27), 입력 스위치(S28) 및 리셋 스위치 (S29)는 제공되지 않는 반면에, 열 개의 키(K11)가 주소 선택 스위치(S22)대신에 제공된다. 또한 모드 선택 스위치(S26)는 슬라이드 형식이 아닌 누르는 형식의 모드 키(K12)로 대체되었다. ALL-ON 스위치(S12), ALL-OFF 스위치(S13), ALL-OUTSIDE-AREA 스위치(S14), 출력 스위치(S27) 및 입력 스위치(S28)에 의해 구현되던 기능들은 표시 유닛(11)의 스크린 상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여기서 종래 기술에서는 구현되지 않던 기능들 또한 표시 유닛(11)의 스크린 상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명암 터미널 유닛들과 호환되는데, 이 유닛들은 명암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 터미널 유닛(43)들이다.
모드 키(K12)를 누르면 표시 유닛(11)에 복수의 선택사항들이 순환하며 표시된다. 이 경우에, 선택사항들 중의 하나는 반전되어 표시된다. 위, 아래 화살표 키(K13)는 표시 유닛(11)의 옆에 제공된다. 화살표 키(K13)를 누르면 반전된 선택부분이 위 아래로 움직인다. 또한 표시 유닛(11) 옆에는 백(BACK) 키(K14)와 실행(EXECUTION) 키(K15)가 배치되어있다. 원하는 선택사항이 반전되어 표시된 상태에서 실행 키(K15)를 누르면 반전된 선택사항을 선택하게 된다. 패턴 제어 또는 그룹 제어를 설정하는 기능들은 하나의 화면에 집중되어 있는데, 그 화면에 종래 기술에서의 패턴 선택 스위치(S23)와 그룹 선택 스위치(S24)등의 기능들이 열 개의 키(K11)의 위에 배열된 선택 키(K16)를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구현되어 있으며, 종래 기술에서의 주소 선택 스위치(S22)의 기능과 동일한 기타의 기능들은 열 개의 키(K11)를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구현되어 있다. 기능 선택 키들(K16)은 패턴 제어 및 그룹 제어뿐만 아니라 개별 제어 및 명암 제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또 다른 스크린은 "ALL ON", "ALL OFF", "ALL OUTSIDE AREA" 또는 기타를 그 위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 스크린은 ALL-ON 스위치(S12), ALL-OFF 스위치(S13), ALL-OUTSIDE-AREA 스위치(S14)의 기능들을 수행한다. 표시 유닛(11)의 스크린 내용들은 계층화되어서 백 키(K14)를 한 번 누를 때마다, 스크린이 한 단계 상위의 내용을 표시한다. 즉, 키 K11 내지 K16은 제1 작동 유닛과 제3 작동 유닛의 역할을 한다.
반면에 각 표시 유닛(12)은 네 개의 선택 키들(K17)에 대응하여 설정되는데, 표시 유닛(12)은 네 개의 선택 키들로 이루어진 한 세트에 대응하는 채널들을 표시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선택 키들(K17)은 종래 기술에서 선택 스위치들(SS)과 동일한 제1 작동 유닛의 기능을 한다. 표시 유닛(12)이 숫자로는 16개이지만 각각의 표시 유닛(12)이 64 채널까지 표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4개의 채널을 교대로 하나씩 표시한다. 몸체(60)의 정면에 표시 유닛(12)이 배열된 아래에는 각 표시 유닛(12)에 표시되는 네 개의 채널 중에서 선택하기 위한 페이지 키(K18)가 있다. 즉, 표시 유닛(12)에 표시되는 채널은 페이지 키(K18)를 눌러서 선택할 수 있다. 각 표시 유닛(12)은 네 개의 선택 키(K17)에 대응하여 "O"와 "X"를 표시할 영역을 가지고 있는데, "O"는 조명 부하가 켜진(ON) 상태를, "X"는 조명 부하가 꺼진 상태(ON)를 나타낸다. 즉, 이 표시들은 종래기술의 작동 표시부(51)의 기능을 구현한 것이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의 작동 표시부(51) 및 채널 표시부(52)는 표시 유닛(12)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표시 유닛들(11,12)은 표시 유닛으로서의 기능을 한다.
도 1로부터 명백하듯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선택 키들(K17)은 가로로 직선 상에 배열되어있지 않고, 위아래로 번갈아 가며 배치되어있다. 즉, 왼쪽 끝에 있는 선택 키(K17)를 기준으로 그 오른쪽에 이웃해 있는 선택키(K17)는 왼쪽의 선택 키(K17)보다 위에 배치되어 있고, 그보다 하나 더 오른쪽에 있는 선택 키(K17)는 처음 키와 같은 높이에 있으며, 제일 오른쪽에 있는 선택 키(K17)는 왼쪽 끝의 키보다 위에 있다. 다시 말하면, 선택 키들(K17)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어있다. 이런 식으로 배치하면 키들을 일직선상에 배치하는 경우보다 왼쪽과 오른쪽간의 폭을 유지한 채, 이웃하는 두 키들간의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키들이 제한된 폭 안에 배치되어있지만 키를 잘못 누를 가능성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선택 키(K17)들은 간격을 크게 하기 위하여 크기를 작게 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사용하기 위한 K11 내지 K18의 여러 가지 키들은 몸체(60)의 정면에 부착된 이름표로 사용되는 막(membrane sheet)과 결합되어 있다.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막은 합성 수지 재질이며 앞으로 튀어나온 부분이 성형되어있고 그 부분에 대응하는 스위치 역할을 하는 전극이 접촉하도록 되어있다. 막은 두 개의 막을 함께 박형으로 만들어서 성형하는데, 불연속 지점을 가진 고정된 전극들은 하나의 막에 부착되고, 움직일 수 있는 전극들은 다른 막에 있는 튀어나온 부분에 부착된다. 따라서, 각각의 튀어나온 부분을 누르면 각각의 움직일 수 있는 전극이 고정된 전극의 불연속 지점을 이어준다. 이하에서는 막을 갖춘 키들(K11-K18)을 막 스위치(30)라고 한다.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선택 스위치 유닛(1)은 도 2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다. 선택 스위치 유닛(1)은 기본적으로 위에서 설명한 기능들을 구현한 프로세서(71), 신호 라인(44)에 연결되어 전송 유닛(41)과의 사이에서 전송 신호(Vs)를 주고받는 기능을 구현하는 프로세서(72) 및 두 프로세서(71, 72) 사이에서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이중 포트 메모리(RAM)(73)를 포함하고 있다. 이들 구성요소는 서로 데이터 버스 DB와 주소 버스 AR을 거쳐서 연결되어 있다. 프로세서(72)에는 클록 신호를 발생시키는 발진회로(76)뿐만 아니라 프로세서(72)의 작업 중에 사용할 램(75)이 부가되어있다. 프로세서(71)에는 리셋회로(77)와 클록 신호를 발생시키는 발진회로(78)가 부가되어있다. 선택 스위치 유닛(1)을 위한 전력은 상용 전원에서 공급되고, 상기 상용 전원의 전압은 변압기(79)에 의하여 낮아지며 전원 회로(70)에 의하여 안정화되는데, 이는 내부 전력 공급장치로 연결된다.
표시 유닛들(11, 12)은 각각 LCD 구동 회로들(31,32)을 거쳐서 프로세서(71)에 연결되어 있고, 막 스위치(30)의 작동들은 스위치 입력 회로(34)를 통해서 프로세서(71)에 입력된다. 프로세서(71)의 작동을 결정하는 프로그램들은 플래시메모리 형태의 프로그램 메모리(35)에 저장되어 있고, 준비된 데이터는 플래시메모리 형태의 데이터 메모리(36)에 저장된다. 작업 도중에 사용할 램(37)도 프로세서(71)와 연결되어 있다. 이외에 키들(K11-K18)의 작동시에 소리를 내는 피에조 버저(38), 피에조 버저(38)를 구동하기 위한 버저회로(38a), PC 카드 드라이버 회로(39b) 및 데이터 메모리(36)를 백업하기 위해 사용할 PC 카드(39)를 연결할 PC 카드 커넥터(39a)가 제공된다.
그런데, 본 발명은 명암 레벨 설정이 가능하고 복수의 회로들의 상태를 한 번에 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도3에 보는 바와 같이 데이터 메모리(36)는 선택 키들(K17)에 의하여 각 회로에 설정된 조명 부하의 ON/OFF 데이터를 저장할 ON/OFF 데이터 저장 영역(D1) 뿐만 아니라 각 회로의 명암 레벨을 저장할 레벨 데이터 저장 영역(D2)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각 회로에 대하여 ON/OFF 데이터와 레벨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회로들의 개수는 256개이고, 각 회로를 위한 레벨 데이터는 128단계로 설정할 수 있다.
다음에는 본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의 선택 스위치 유닛(1)에서의 설정 작업을 설명한다. 일괄 제어에서 각각의 회로를 위한 명암 레벨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우선, 기능 선택 키(K16)를 가지고 일괄 제어의 종류를 선택하고, 열 개의 키(K11)를 가지고 패턴 번호 또는 그룹 번호를 입력한다. 그 다음에는 원하는 회로에 대응하는 선택 키(K17)를 누르면 해당 회로의 조명 부하(L)가 ON 또는 OFF로 설정된다. 이 경우에 명암 제어 가능한 회로 중에서 ON으로 설정된 회로들에 대해서는 명암 레벨을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명암 레벨 설정을 위해서 기능 선택 키들 (K16)로부터 명암 제어를 선택하면, 원하는 명암 레벨이 화살표 키들(K13)의 작동에 의하여 표시 유닛(12)에 표시된다. 따라서, 이 작업을 통해서 명암 레벨들이 표시 유닛(12)에서 선택 키들(K17)에 의해 ON이 선택된 회로들에 대응하는 위치에 표시된다. 화살 키들(K13)은 업(UP) 키, 다운(DOWN) 키 두 개의 키로 구성되어 있으며, 업 키를 한 번 누르면 레벨 데이터가 한 단계 올라가고, 다운 키를 한 번 누르면 레벨 데이터가 한 단계 내려간다. 이런 종류의 작업에서 널리 채택되는 것처럼, 업 키와 다운 키는 이들 키를 일정시간(몇 초) 이상 누르면 레벨 데이터가 계속 변한다. 열 개의 키(K11)는 명암 레벨을 직접 숫자로 입력하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선택 키(K17)를 사용하여 명암 레벨을 설정한 후에 실행 키(K15)를 누르면 ON/OFF 데이터와 레벨 데이터가 데이터 메모리(36)에 저장된다. 이러한 키들의 작동은 하나의 예시이며, 명암 제어가 빈번히 수행되는 경우에는 기능 키들(K16)과 화살표 키들(K13)이외에도 명암 레벨 설정을 명령하는 키들이나 명암 레벨을 바꾸는 명령을 하는 키들을 사용하여 조작성을 높일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비록 각각의 회로에 대하여 명암 레벨을 128 단계로 설정할 수 있더라도, 조명 부하의 명암 범위를 128 단계로 나누게 되면 한 단계의 변화에 따른 광 출력의 변화를 시각적으로 거의 인식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실제로, 위와 같이 여러 단계로 명암 레벨을 설정할 수 있는 경우에 페이드-인, 페이드-아웃과 같이 시간 지연에 따라 조명 부하의 광 출력이 연속적으로 변하면, 개개의 단계의 변화에서는 광 출력의 변화를 느끼지 못하고 광 출력이 연속적으로 변하는 것처럼 만들 수 있다. 그러나, 만일 광 출력이 시간에 따라서 연속적으로 변하게 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광 출력의 단계를 그토록 많이 둘 필요가 없다. 따라서, 그러한 경우에는 단계마다의 변화를 인식할 수 있을 정도의 작은 수의 단계만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128 단계로 나누어진 명암 레벨이 7 단계로 되는 경우에 만일 화살표 키(K13)를 가지고 명암 레벨을 설정한다면 이를 위한 키 조작 회수가 줄어들며, 더구나 시각적인 특성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실용적인 명암 레벨 설정이 가능해진다. 이런 경우에, 비록 128단계와 7단계 사이의 대응을 균등한 간격(예를 들어, 128단계에서 18단계 단위로 나누면 7단계가 된다.)을 가지고 만들 수 있더라도, 균등하게 나누어진 7단계에서 단계마다의 변화가 일반적으로는 같게 느껴진다는 시각적인 특성의 측면에서 보면 불균등하게 대응관계를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에서 설명한 절차를 통해서 패턴 제어나 그룹 제어와 같은 일괄 제어에서도 명암 레벨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비록 설정시에 명암 레벨을 입력하였더라도 전송 유닛(41)에 전송되기 전까지는 설정된 데이터가 조명 부하의 광 출력에 반영되지 않으므로 설정 당시에는 설정한 명암 레벨의 밝기가 실제로 어느 정도인지 알 수 없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명암 레벨에 대응하는 밝기를 확인하면서 명암 레벨을 설정하는 기술을 설명한다.
이 경우에, 전송 유닛(41)이 ON/OFF 정보와 각 회로의 조명 부하의 명암 레벨을 명암 터미널 유닛에 전송한다는 사실을 이용하면, 일괄 제어를 위한 명암 레벨은 전송 신호(Vs)로부터 명암 레벨을 수신하고, 조명 부하의 현재의 명암 레벨을 사용함으로써 설정되어서, 조명 부하의 실제 밝기를 확인하여 명암 레벨을 설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송 신호(Vs)에 포함된 ON/OFF 데이터와 명암 레벨 데이터를 합쳐서 "회로 상태 데이터"라고 한다. 비록 패턴 제어를 위한 설정을 아래에서 설명하지만 유사한 기술을 이용하여 그룹 제어를 위한 설정을 할 수 있다. 그룹 제어에서는 모든 조명 부하들의 명암 레벨이 같으므로 패턴 제어보다는 그룹 제어에서의 설정이 보다 쉽다. 구체적으로, 아래의 두 기술들을 이용하면 전송 신호(Vs)로부터 회로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여 패턴 제어를 위한 설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첫 번째 기술에서는, 패턴 제어를 위한 설정시에 각 회로의 ON 또는 OFF 상태는 선택 키(K17)를 사용함으로써 우선 설정된다. 이 설정에서, "ON", "OFF" 또는 "OUTSIDE AREA"에 해당하는 정보가 도 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회로에 설정된다. 비록 도 5a에서 특정 명암 레벨들이 설정되어 있으나, 이 경우에는 어떤 명암 레벨을 가정해도 된다. 패턴 제어에서 어느 조명 부하가 "ON"인지에 대한 데이터가 설정된 후에 이 데이터는 전송 유닛(41)에 전송되고, 이어서 패턴 제어가 수행된다. 이 단계에서 도 5b와 같이 조명 부하들의 명암 레벨을 포함하고 있는 회로 상태 데이터는 전송 신호(Vs)에 의하여 전송 유닛(41)으로부터 명암 터미널 유닛으로 전송된다.
다음으로는, 명암 제어를 사용하기 위한 벽(wall) 스위치를 사용하거나 전술한 명암 레벨 설정에서와 같은 작동(선택 키들(K17)을 가지고 수행하는 선택, 기능 선택 키들(K16)에 의한 명암 제어 선택 및 화살표 키(K13)을 가지고 수행하는 명암 레벨 설정 등을 포함하는 작동)을 수행함으로써, 조명 부하들의 실제 밝기가 변하도록 조명 부하들의 명암 레벨들을 설정한다. 이 경우에 도 5c에 보는 바와 같이 조명 부하들의 명암 레벨들을 포함하는 회로 상태 데이터는 전송 신호 (Vs)에 의해서 전송 유닛(41)으로부터 명암 터미널 유닛으로 전송된다. 그리고 나서 원하는 조명 부하가 원하는 밝기에 있는 상태에서 표시 유닛(11)을 가지고 "SCENE STORAGE" 기능을 선택한 후에(즉, 표시 유닛(11)에 선택된 항목이 "scene storage unit "인 경우) 패턴 제어를 위해 사용되는 각각의 조명 부하들의 ON/OFF 상태에 관한 데이터와, 전송 유닛(41)에 의해서 개개의 명암 터미널 유닛으로 전송된 회로 상태 데이터 사이에서 확인을 한다. 이 경우에, 패턴 제어(도. 5a) 데이터에서 ON 상태가 선택된 회로에 대하여 명암 레벨은 회로 상태 데이터에서 얻을 수 있고(도 5c), 패턴 제어를 위한 데이터는 도 5d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두 데이터를 결합하여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준비된 패턴 제어를 위한 데이터는 패턴 제어를 위한 원래의 데이터와 같은 패턴 번호를 갖고(즉, 덮어 쓰여진다.) 데이터 메모리(36)에 저장된다. 이러한 절차로 패턴 제어를 위한 명암 레벨을 설정함으로써, 패턴 제어 데이터는 사용자가 명암 레벨에 해당하는 밝기를 확인한 후에 설정될 수 있다.
두 번째 기술에서는, 첫 번째 기술에서와 같이 패턴 제어를 위한 설정을 수행하기보다는 우선 도 6a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선택 키(K17)를 가지고 각 회로에 대하여 "선택"과 "비선택" 중에서 하나를 미리 선택해야 한다. 즉, 전송 신호(Vs)의 회로 상태 데이터가 패턴 제어를 위한 데이터로서 사용되는지 여부를 미리 결정해야 한다. 요약하자면, 각 회로가 패턴 제어의 목표가 되는 지를 결정해야 한다. 이 경우에, 선택키(K17)의 작동과 "선택"과 "비선택"의 선택 사이의 관계를 설정하기 위하여, 표시 유닛(11)의 스크린 안에서 모드가 미리 선택된다. 선택 키(K17)를 가지고 작업을 끝마친 후에, 회로 상태 데이터는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송 신호 (Vs)로부터 얻어지고, 이에 의해서 "선택" 회로들에 대하여 현재의 ON/OFF 상태와 조명 부하의 명암 레벨을 알 수 있다. 즉, 벽 스위치 등에 의하여 원하는 조명 부하들이 원하는 밝기로 설정된 상태에서, 조명 부하의 ON/OFF 상태와 명암 레벨 데이터는 선택 스위치 유닛(1)안으로 포착된다. 이 경우에 표시 유닛(11)을 가지고 "SCENE STORAGE"를 선택하면 "선택" 회로들에 대하여 전송 신호(Vs)에 포함된 회로 상태 데이터를 추출하게 되고, 패턴 제어를 위한 데이터는 도6c에 보는 바와 같이 준비된다. 이러한 절차로 패턴 제어를 위한 명암 레벨을 설정함으로써 패턴 제어 데이터를 명암 레벨에 대응하는 밝기를 확인하여 설정할 수 있다.
명암 제어를 끝낸 직후, 페이드-인(시간에 따라서 광 출력이 증가하는 작동) 또는 페이드-아웃(시간에 따라서 광 출력이 감소하는 작동)이 수행되는 경우가 있다. 이하에서는 페이드-인, 페이드-아웃을 함께 "페이드"라 한다. 페이드와 관련하여 광 출력의 변화의 방향은 전송 유닛(41)에 설정된 ON/OFF 정보에 의해 결정되고, 변화 시간은 전송 유닛(41)에 설정된 페이드 시간에 의하여 결정된다. 페이드 시간은 시간 축에 대한 광 출력의 기울기에 해당한다. 이는 페이드 시간을 변화시키면 광 출력의 변화율이 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괄 제어에서 페이드 시간은 각 조명 부하들 간에 다르지 않고, 일괄 제어 목표로 정해진 조명 부하들의 페이드 시간은 모두 같다. 따라서, 일괄 제어에서 페이드 시간은 조명 부하의 수에 관계없이 하나로 결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선택 스위치 유닛(1)에서 그러한 페이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해서 도7에 보는 바와 같이 페이드 시간을 저장하기 위한 페이드 시간 저장 영역(D3)이 데이터 메모리(36)에 부가적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페이드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페이드 시간 저장 영역(D3)에 페이드 시간 데이터를 설정하는 것은 ON/OFF 데이터와 레벨 데이터를 위에 설명한 절차에 따라 일괄 제어를 위한 데이터로 설정하고, 표시 유닛(11)의 스크린에서 페이드 기능사용을 선택한 후에 페이드 시간을 입력하여 이루어진다. 이 경우에 비록 열 개의 키(K11)는 페이드 시간을 입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을 지라도, 표시 유닛(11)을 가지고 페이드를 선택하면 페이드 시간에 관한 복수의 선택사항이 표시 유닛(1)에 표시되고 페이드 시간을 그 선택 사항 중에서 선택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에서 선택 스위치 유닛(1)에서 전송 유닛(41)으로의 데이터 전송을 설명한다. 위에서 설명한 방식으로 일괄 제어에서 사용할 데이터가 선택 스위치 유닛(1)의 데이터 메모리(36)에 설정된 후에, 이들 데이터는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전송 유닛(1)으로 전송된다. 전송 유닛(41)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신호 라인(44)에 연결된 작동 터미널 유닛(42)에서처럼 전송 유닛(41)이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인터럽트 신호(Vi)가 출력되어야 한다. 즉, 선택 스위치 유닛(1)으로부터 전송 유닛(41)으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 어떤 특별한 모드가 선택되는 것이 아니라 조명 부하들(L)이 제어되는 일반 작동중의 유휴 시간(idle time)을 사용한다.
이런 목적을 위하여, 전처리, 전송, 후처리등 세 단계의 과정이 데이터 전송을 위해 수행된다. 도 8을 참고하면 전송 유닛(41)은 전원을 켤 때 우선 데이터 전송 상태를 "NO-TRANSFER" 상태로 설정하고(S1), 전처리단계로서 인터럽트 신호(Vi)의 유무를 판단한다(S2). 만일 인터럽트 신호(Vi)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인터럽트 신호(Vi)가 선택 스위치 유닛(1)으로부터 노멀(NORMAL) 인터럽트 폴링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얻은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신호가 일괄 제어를 위한 데이터 전송인지 여부를 결정한다(S4). 만일 데이터 전송 요청 신호라면 데이터 전송이 "요청"되었는지를 결정하고 메모리에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256바이트의 데이터 영역을 마련한다(S5). 본 실시예에서 256 바이트의 데이터는 데이터(25개의 회로를 위한) 유지를 위한 단위로서 간주되며, 256 바이트의 데이터는 하나의 페이지로 간주된다. 하나의 페이지가 마련되었으므로 전송 유닛(41)은 선택 스위치 유닛(1)에 데이터 전송의 시작을 알린다. 부가하여, 만일 상기 신호가 데이터 전송 요청 신호가 아니라면 신호가 조명 부하 제어가 수행되는 작동 터미널 유닛(42)으로부터 온 노멀 인터럽트 신호(Vi)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6).
선택 스위치 유닛(1)으로부터 전송 유닛(41)으로의 데이터 전송에서 사용되는 신호의 데이터 포맷은 도 9와 같다. 참조 문자 BC는 전송된 데이터를 세는 바이트 카운터를 나타내고, HD는 데이터 구분을 위한 헤더를 나타내며, SA는 출발지 주소를 나타내며, DA는 목적지 주소를 나타낸다. DT1 내지 DTn은 전송될 데이터를 타내고 SUM은 전송 에러를 찾기 위한 체크 섬을 나타낸다. 데이터는 일 바이트 단위로 처리되며 주소가 낮은 부분의 데이터가 데이터 머리 부분에 해당한다.
그러므로, 도8의 S7단계에 보는 바와 같이 전송 절차에서 전송된 데이터는 하나의 단계(한 바이트) 단위로 처리되고(S6) 메모리에 저장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었을 때에는(S8), 데이터 전송 상태가 "NO-TRANSFER"로 설정된다(S9). 데이터 전송 도중에는(S10),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데이터를 일 바이트 단위로 분할하고 등록(segmenting and registering)하는 절차가 수행된다. 또한 선택 스위치 유닛(1)으로부터 전송 유닛(41)으로의 데이터 전송이 한 번의 전송으로 완료되지 않는 경우에, 선택 스위치 유닛(1)은 인터럽트 신호(Vi)를 다시 생성하고 같은 절차를 수행한다. 이런 방식으로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었을 때, 프로그램 플로우는 연속 폴링(S11)으로 이동한다. 단계 S8과 S9는 후처리과정을 나타낸다.
위의 처리과정에 대한 데이터 플로우는 도 10에 나타나 있다. 이러한 작동들을 통해서 일괄 제어를 위한 데이터 전송 처리는 작동을 변경하지 않고 조명 부하를 제어하는 작업 중의 유휴 시간동안에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선택 스위치 유닛(1)으로부터 전송 유닛(41)으로 전송되는 많은 양의 데이터가 신호 라인(Ls)에 지체를 발생시켜 조명 부하들을 제어하는데 장애가 될 수 있지만, 적절하게 데이터를 나누어 여러 번에 걸쳐 이들을 전송하면 이러한 문제를 극복할 수 있다. 또한 이런 경우에, 데이터 전송 처리 작업은 조명 부하들을 제어하는 작업보다 우선 순위가 낮아서 조명 부하들을 제어하는 것과 관련된 인터럽트 신호(Vi)가 발생하면 조명 부하들에 대한 제어 작업이 우선적으로 수행된다.
다음으로 본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의 제어 작동을 설명한다. 본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조명 부하들의 개개의 회로들에 대한 명암 제어시에는 도 11에 보는 바와 같이 선택 스위치 유닛(1)으로부터 전송 유닛(41)으로의 명암 레벨 제어 요청이 먼저 수행된다. 노멀 모드는 모드 키(K12)를 가지고 선택하고, 개별 제어는 개별 제어, 구(old) 명암 제어 및 그룹 제어로 구성되는 제어 형식들 중에서 화살표 키(K13)를 가지고 선택한다. 제어할 각각의 회로들은 선택 키(K17)에 의해서 선택되고, 화살표 키(K13)를 가지고 제어를 위한 명암 레벨을 입력한다. 이 경우에, 제어를 위한 입력은 화살표 키(K13)를 누르고 있는 중에도 효력이 발생하는데, 업 키를 누르고 있는 중에는 레벨-업 입력이 요청되고, 다운 키를 누르고 있는 중에는 레벨-다운 입력이 요청된다. 이들 요청을 받으면 전송 유닛(41)은 주소 설정에 의하여 종전에 결합된 제어 목표 명암 터미널 유닛(80)을 확인하고, 이 명암 터미널 유닛에 명암 레벨 변경 제어를 위한 명령을 보낸다. 상기 명령을 받은 명암 터미널 유닛은 명령에 따라 명암 레벨을 바꾼다. 전송 유닛(41)은 선택 스위치 유닛(1)에 레벨 변경 표시 명령을 전송하여 현재 제어되는 조명 부하의 명암 레벨이 표시 유닛(11)에 표시되도록 한다.
운영자는 제어되고 있는 조명 부하를 보면서 제어 요청을 수행하며, 원하는 명암 레벨에 도달했으면 화살표 키(K13)를 놓아서 선택 스위치 유닛(1)에서 명암 레벨 정지 제어 요청이 발생하도록 한다. 상기 정지 제어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전송 유닛(41)은 명암 레벨 변경 정지 제어를 위한 명령을 명암 터미널 유닛으로 전송하고, 선택 스위치 유닛(1)으로는 레벨 변경 표시 명령을 중지한다. 이후에, 전송 유닛(41)은 조명 부하의 명암 제어를 담당하던 명암 터미널 유닛(80)의 상태를 확인하고 표시 유닛(11)에 조명 부하의 현재의 명암 레벨을 표시한다.
다음으로, 복수의 조명 부하들의 명암을 일괄 제어하는 것을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개별 제어에 있어서의 명암 제어와 마찬가지로 명암 레벨 제어 요청은 우선 선택 스위치 유닛(1)으로부터 전송 유닛(41)으로 이루어진다. 모드 키(K12)를 가지고 노멀 모드를 선택하고 개별 제어, 구 명암 제어 및 그룹 제어를 포함하는 제어 형식들 중에서 화살표 키(K13)를 가지고 그룹 제어를 선택한다. 그리고 나서, 기능 선택 키(K16)를 가지고 일괄 제어의 형식을 선택하고 열 개의 키(K11)를 가지고 그룹 번호를 입력한다. 레벨-업 또는 레벨-다운을 위한 제어 요청은 화살표 키(K13)를 누르면 수행된다. 이 요청을 받으면 전송 유닛(41)은 주소 설정에 의하여 미리 결합된 제어 목적지인 명암 터미널 유닛(80)에 명암 레벨 변경 제어를 위한 명령을 전송한다. 이 명령을 받은 명암 터미널 유닛(80)들은 미리 그룹으로 설정된 블록에 있는 조명 부하들의 명암 레벨을 명령에 따라 모두 변경한다. 전송 유닛(41)은 레벨 변경 표시를 위한 명령을 선택 스위치 유닛(1)에 전송하여 현재 일괄 제어되고 있는 조명 부하들의 명암 레벨이 표시 유닛(11)에 표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개별 제어 및 일괄 제어에서 명암 제어를 위한 설정과 제어가 가능해진다. 또한, 복수의 회로들을 위한 제어를 하나의 선택 스위치 유닛을 가지고 수행할 수 있어서 설정하는 항목에 대한 작동 중의 확인이 편리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비록 모든 조명 부하들이 선택 스위치 유닛(1)을 통해서 제어되더라도,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것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선택 스위치 유닛(1)은 오직 작업중의 설정항목에 대한 확인을 위해서만 사용되고, 개별 제어, 패턴 제어 또는 그룹 제어를 위한 스위치들이 별도로 벽(wall)에 제공되어 조명 부하들을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비록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가지고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들에게 명백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하다. 그러한 변화는 청구항의 내용에서 벗어나지 않는다면 청구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은 명암 제어를 포함하는 개별 제어 및 일괄 제어를 위한 설정 및 제어를 가능케 하고, 복수의 회로들에 대한 설정을 용이하게 하고, 하나의 선택 스위치 유닛을 가지고 모든 조명 부하들에 대한 집중화된 제어를 가능케 하는데 이는 설정항목들을 작업 중에 확인하기에 용이하다.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은 명암 레벨 설정시 필요이상의 다단계의 스위칭 가능성을 없애고,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을 정도의 명암 레벨 변화를 가능케 하여, 실제적인 사용에 도움에 되고 명암 레벨 설정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특히 원하는 명암 레벨에 도달할 때까지 다단계 스위칭은 시간과 노력이 드는 반면에, 명암 레벨 설정시에 한 번 누르면 명암 레벨이 한 단계 변하도록 되어있는 작동부를 사용하여 명암 레벨을 설정하기 위한 단계를 줄임으로써 원하는 명암 레벨을 얻기 위한 시간과 노력을 절약할 수 있다.
전송 유닛으로부터 제어 터미널 유닛에 전송되는 전송 신호에 포함된 명암 레벨이 데이터 메모리에 저장되므로 조명 부하의 실제 광 출력을 확인하면서 명암 레벨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에서는 일괄 제어 목표들의 ON/OFF 상태들이 미리 결정된 상태에서, ON으로 설정된 조명 부하들의 광 출력은 ON 조명 부하들의 명암 레벨을 전송 신호로부터 얻어서 데이터 메모리에 저장하기 전에 조정된다. 따라서 실제 밝기를 확인하며 설정할 수 있는 명암 제어를 포함하는 일괄 제어를 위한 데이터를 준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에서, 일괄 제어 목표들인 조명 부하들이 미리 결정된 상태에서, 제어 대상인 조명 부하들의 ON/OFF 및 명암 레벨 데이터들을 전송 신호로부터 얻어서 데이터 메모리에 저장하기 전에, 개개의 조명 부하들이 ON/OFF 되거나 광 출력이 조절된다. 따라서 제어 항목들을 실제로 확인하면서 명암 제어를 포함하는 일괄 제어를 위한 데이터를 준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페이드 제어를 포함하는 일괄 제어도 구현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인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의 선택 스위치 유닛(1)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인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의 선택 스위치 유닛(1)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인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의 선택 스위치 유닛(1)에서 사용하기 위한 데이터 메모리(36)의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인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의 선택 스위치 유닛(1)에서의 명암 레벨을 보여주는 개념도.
도 5a, 5b, 5c 및 5d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인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의 선택 스위치 유닛(1)의 작동을 보여주는 설명도.
도 6a, 6b 및 6c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인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의 선택 스위치 유닛(1)의 작동을 보여주는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인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의 선택 스위치 유닛(1)의 데이터 메모리(36)를 보여주는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인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의 선택 스위치 유닛(1)의 작동을 보여주는 플로우챠트.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인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의 선택 스위치 유닛(1)에서 사용하기 위한 데이터 포맷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인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의 선택 스위치 유닛(1)의 작동을 보여주는 타이밍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인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의 제어 작동을 보여주는 신호 흐름의 타이밍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인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의 변경된 제어 작동의 변경을 보여주는 신호 흐름의 타이밍도.
도 13은 종래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인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의 구성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
도 14는 종래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인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의 작동을 보여주는 신호들의 타이밍도.
도 15는 도 13에 나타난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의 선택 스위치 유닛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선택 스위치 유닛 41: 전송 유닛
11: 표시 유닛 44: 신호 라인
12: 표시 유닛

Claims (6)

  1. 신호 라인에 연결되어 있고 미리 정해진 주소를 가지며, 복수의 조명 부하들의 작동을 일괄적으로 제어하거나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조명 부하들을 위한 작동에 관계된 제어 요청 신호를 상기 신호 라인에 전송하는 선택 스위치 유닛;
    상기 신호 라인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선택 스위치 유닛으로부터 얻은 제어 요청 신호에 근거하여 작동 터미널 유닛들과 명암 터미널 유닛들간에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를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명암 터미널 유닛들과 전송 신호를 주고받기 위한 전송 유닛; 및
    상기 신호라인에 연결되어 있고 각각 미리 정해진 주소를 가지며 상기 전송 유닛으로부터 얻은 전송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각각의 명암 터미널 유닛들에 대응하여 연결된 조명 부하들의 명암을 제어하는 복수의 명암 터미널 유닛으로 구성되며,
    상기 선택 스위치 유닛은 상기 복수의 조명 부하에 대응하여 제공되고 상기 복수의 조명 부하들의 작동을 입력하고 설정하기 위한 복수의 스위치들을 갖춘 제1 작동 유닛; 상기 복수의 스위치들 중 적어도 하나와 적어도 하나의 조명 부하와의 사이에서 관계를 입력하고 설정하기 위한 제2 작동 유닛; 상기 제1 및 제2 작동 유닛들에 의하여 작동과 대응관계가 설정된 상기 조명 부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조명 부하 단위로 조명 부하들의 명암 레벨을 입력하고 설정하기 위한 제3 작동 유닛; 상기 제1 내지 제3 작동 유닛들에 의하여 설정된 내용들과 명암 레벨들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유닛; 상기 제1 및 제2 작동 유닛들에 의하여 설정된 각각의 조명 부하들의 작동 상태들과 상기 제3 작동 유닛에 의해 설정된 각 조명 부하들의 명암 레벨들을 그 안에 저장하여 상기 작동 상태들과 상기 명암 레벨들이 서로 연관되도록 하는 데이터 메모리; 및 상기 데이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어 요청 신호를 상기 전송 유닛에 전송하기 위한 전송 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송 유닛은 상기 선택 스위치 유닛으로부터 얻은 명암 레벨 제어 요청 신호에 근거하여 명암 레벨 명령 신호를 대응하는 명암 터미널 유닛에 전송하고, 명암 레벨의 표시 명령 신호를 상기 선택 스위치 유닛에 전송하여 상기 표시 유닛에 현재의 명암 레벨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명암 레벨은 복수의 단계를 가지며 서로 이웃하는 단계들에서 조명 부하로부터의 광 출력의 변화는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을 정도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스위치 유닛은 상기 전송 유닛으로부터 상기 명암 터미널에 전송된 전송 신호에 포함된 명암 레벨을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메모리에 상기 명암 레벨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복수의 조명 부하의 작동 상태가 상기 데이터 메모리에 설정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전송 신호에 근거하여 복수의 조명 부하의 명암 레벨을 제어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전송 신호로부터 상기 데이터 메모리에 그 작동 상태가 ON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각각의 상기 조명 부하의 명암 레벨을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메모리에 상기 명암 레벨을 설정하기 위한 제1 상황(scene) 저장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작동 유닛에 의하여 복수의 조명 부하들의 작동 상태들이 입력되어 설정되고, 상기 전송 신호에 근거하여 복수의 조명 부하들의 명암 레벨을 제어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선택 스위치 유닛은 상기 전송 신호로부터 상기 데이터 메모리에 그 작동 상태가 ON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조명 부하들의 작동 상태와 명암 레벨을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메모리에 상기 작동 상태와 명암 레벨을 저장하기 위한 제2 상황(scene) 저장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작동 유닛은 시간지연에 따라 각각의 조명 부하로부터의 광 출력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페이드 작동 모드를 선택하여 설정하는 선택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 페이드 모드에서 단위 시간당 광 출력의 변화율을 나타내는 페이드 시간을 부가하여 저장하며, 상기 전송 유닛은 대응하는 조명 부하가 페이드 작동을 할 수 있도록 선택 스위치 유닛으로부터 얻은 상기 저장된 페이드 시간을 포함하는 명암 레벨의 제어 요청 신호에 근거하여 대응하는 명암 터미널 유닛에 명암 레벨 명령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
KR10-2002-0014670A 2001-03-23 2002-03-19 조명 부하를 원격으로 감시 및 제어하기 위한 원격 감시및 제어 시스템 KR1004883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85524A JP2002289368A (ja) 2001-03-23 2001-03-23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
JPJP-P-2001-00085524 2001-03-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5241A KR20020075241A (ko) 2002-10-04
KR100488340B1 true KR100488340B1 (ko) 2005-05-11

Family

ID=18941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4670A KR100488340B1 (ko) 2001-03-23 2002-03-19 조명 부하를 원격으로 감시 및 제어하기 위한 원격 감시및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20147504A1 (ko)
JP (1) JP2002289368A (ko)
KR (1) KR100488340B1 (ko)
CN (1) CN1287641C (ko)
CA (1) CA2375011C (ko)
TW (1) TWI28551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154B1 (ko) * 2007-10-19 2011-02-17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부하 제어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532387T1 (de) * 2005-12-22 2011-11-1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Benutzeroberfläche und verfahren zur steuerung von beleuchtungssystemen
CN101137260B (zh) * 2006-08-28 2011-01-12 徐佳义 一种应用于电照明分区控制系统的灯具控制功能单元
JP4990742B2 (ja) * 2007-11-26 2012-08-0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操作端末器
WO2009102192A1 (en) * 2008-02-15 2009-08-20 Eldolab Holding B.V. Illumination system comprising a light source and a control unit and an illumination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a light source by multiple user interface surfaces
CN101714187B (zh) * 2008-10-07 2011-09-28 中国科学院计算技术研究所 一种规模化蛋白质鉴定中的索引加速方法及相应的系统
CA2690585C (en) * 2009-01-21 2013-03-26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Monitoring and control device
CA2693930C (en) * 2009-02-23 2016-04-19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Monitoring and control device
JP4821875B2 (ja) * 2009-03-25 2011-11-24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負荷制御システム
JP4821874B2 (ja) * 2009-03-25 2011-11-24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負荷制御システム
RU2558623C2 (ru) * 2009-08-25 2015-08-10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Электроникс Н.В. Дистанционное управление множеством устройств
US8706310B2 (en) * 2010-06-15 2014-04-22 Redwood Systems, Inc. Goal-based control of lighting
JP5563974B2 (ja) * 2010-12-21 2014-07-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機器管理システム
CN103139971B (zh) * 2011-12-01 2016-09-14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定时控制电路及灯具
TW201528870A (zh) * 2014-01-08 2015-07-16 Eorex Corp 串接式控制電路及其控制方法
KR200492170Y1 (ko) 2016-05-27 2020-08-2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회동 플랫폼 시스템
CN107580402A (zh) * 2017-09-28 2018-01-12 深圳音浮光电股份有限公司 灯光控制方法、装置和系统
CN109215331A (zh) * 2018-08-13 2019-01-1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群控方法、被控方法及设备
CN115291555B (zh) * 2022-09-06 2023-06-09 深圳市彩生活网络服务有限公司 基于互联网的智能楼宇数字化信息管理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468A (ko) * 1998-06-25 2000-01-25 이마이 기요스케 원격감시제어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18295A (en) * 1980-02-25 1981-09-17 Toshiba Electric Equip Remote control device
US5530322A (en) * 1994-04-11 1996-06-25 Lutron Electronics Co., Inc. Multi-zone lighting control system
JP2000277270A (ja) * 1999-03-26 2000-10-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を用いた照明装置
JP2000358285A (ja) * 1999-06-15 2000-12-2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用の設定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468A (ko) * 1998-06-25 2000-01-25 이마이 기요스케 원격감시제어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154B1 (ko) * 2007-10-19 2011-02-17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부하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147504A1 (en) 2002-10-10
CN1287641C (zh) 2006-11-29
CA2375011A1 (en) 2002-09-23
CA2375011C (en) 2005-08-23
TWI285518B (en) 2007-08-11
CN1377213A (zh) 2002-10-30
JP2002289368A (ja) 2002-10-04
KR20020075241A (ko) 2002-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8340B1 (ko) 조명 부하를 원격으로 감시 및 제어하기 위한 원격 감시및 제어 시스템
US7701359B2 (en) Setting device of control system
JP3752852B2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
JP2010250991A (ja) 伝送制御装置、及びこの伝送制御装置を備えた遠隔制御監視システム
JP3988372B2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のセレクタスイッチ
JP3565005B2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用の設定器
JP3988423B2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
JPH08251675A (ja) 負荷制御システムの集中操作装置
JPH0311995Y2 (ko)
JP3261163B2 (ja) 照明制御システムの操作表示装置
JP3666417B2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の制御内容切替ユニット
JP3153600B2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のパターン設定用端末器
JP2000260575A (ja) 照明制御システム
JP2549402B2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用端末器
JP2607659Y2 (ja) 照明負荷制御装置
JP3713822B2 (ja) 制御権の切換方式
JP3496580B2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用の設定器
JP2002289366A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
JP2947477B2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
JP3669121B2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
JP3648595B2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のセレクタスイッチ
JP2003037876A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のセレクタスイッチ
JPH0235897A (ja) パターン設定用端末器
JPH0583776A (ja) 遠隔制御システム用のワイヤレス受信器
JPS5930000B2 (ja) 多重伝送遠隔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