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4149B1 - 안정화된 플라스티졸을 포함하는 액체 잉크 - Google Patents

안정화된 플라스티졸을 포함하는 액체 잉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4149B1
KR100484149B1 KR10-2002-0044627A KR20020044627A KR100484149B1 KR 100484149 B1 KR100484149 B1 KR 100484149B1 KR 20020044627 A KR20020044627 A KR 20020044627A KR 100484149 B1 KR100484149 B1 KR 100484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group
plastisol
liquid ink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4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4578A (ko
Inventor
모리슨에릭디.
로우캠더블유.
퀴안줄리에유.
베이커제임스에이.
울터스크리스토퍼제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30014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4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4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41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30Inkjet printing inks
    • C09D11/36Inkjet printing inks based on non-aqueous solv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0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0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 C09D11/03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characterised by the solv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10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 C09D11/101Inks specially adapted for printing processes involving curing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e.g. with UV-curing following the print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12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in liquid developer mixtu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quid Developers In Electrophotography (AREA)
  • Wet Develop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사진적인 화상 현상용 액체 잉크를 제공한다. 상기 액체 잉크는 a) 카우리 부탄올 수치가 30 이하인 캐리어 액체; b) 플라스티졸; c) 분산제; 및 d) 전하디렉터를 포함하며, 1) 상기 전하디렉터가 포지티브 전하디렉터인 경우, 상기 분산제는 아민그룹을 갖고 있고, 상기 플라스티졸은 산그룹을 갖고 있고, 그의 산값(acid value)이 30-150 mg KOH/g이며, 상기 산 그룹과 아민 그룹의 몰비가 1:0.075 내지 1:0.3인 폴리머 입자를 포함하며, 2) 상기 전하디렉터가 네거티브 전하디렉터인 경우, 상기 플라스티졸은 아민값(amine value)이 5-200 mg KOH/g인 폴리머를 포함하며, 상기 분산제는 산 그룹을 갖고 있고, 상기 산 그룹과 아민 그룹의 혼합 몰비가 0.075:1 내지 0.3: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정화된 플라스티졸을 포함하는 액체 잉크{Liquid inks comprising stabilizing plastisols}
본 발명은 전하 디렉터, 산 그룹 또는 아민 그룹을 갖고 있는 플라스티졸 및 분산제를 포함하는 액체 잉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기로는 잉크 전사 공정, 이오노그래프(ionograph), 일렉트로그래프(electrograph) 및 전자사진 칼라 프린팅 및 프루핑(proofing) 공정을 포함한 화상 형성공정에 사용되어 분산 안정성 및 전하 형성 능력(chargeability)이 개선된 액체 잉크에 관한 것이다.
액체 잉크는 예를 들어, 오프셋트(offset), 버블 제트(bubble jet), 잉크 제트, 조각 요판 인쇄(intaglio), 윤전 그라비아 인쇄(rotogravure), 일렉트로그래피 및 전자사진 프린팅과 같은 화상 형성 및 인쇄 공정에서 널리 사용된다. 비록 최종적인 잉크 조성물이 실질적으로 상이하다고 하더라도, 액체 잉크용 안료 분산액으로서 요구되는 모든 특성들이 개개의 공정에서도 대부분 동일하게 바람직한 특성들이다. 예를 들어, 전단 변형 조건(shear condition) 및 고전압 전계하에서 사용되지 않는 안료 분산액의 안정성은 액체 잉크의 최종적인 용도에 무관하게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 안정성이 개선된 안료 분산액의 개발로 잉크 조성을 좀 더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인쇄 공정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폐기물양을 감소시키기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사진복사기(photocopier), 레이저 프린터, 팩시밀리기 등과 같은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사진 분야에서, 액체 잉크는 액체 토너 또는 현상액을 말한다.
전자사진공정은, 일반적으로 대전된 광도전체를 화상 패턴 방향에 따라 광을 조사하여 노광함으로써 대전된 광도전체상에 정전기적 이미지 잠상을 형성하는 단계, 광도전체를 액체 잉크와 접촉하여 임시 화상을 현상하는 단계 및 마지막으로 임시 화상을 수용체에 전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최종적인 전사단계는 광도전체로부터 직접적으로 또는 중간 수송체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형성한다. 현상된 화상에는 일반적으로 열 및/또는 압력을 가하여 화상을 수용체에 영구적으로 정착(fuse)시킨다.
액체 잉크는 일반적으로 "토너 입자"라고 알려진 대전 입자를 분산시키기 위한 캐리어 역할을 하는 절연성 액체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토너 입자는, 일반적으로 적어도 착색제(예를 들어, 안료 또는 염료) 및 폴리머 바인더로 이루어진다.
전하조절제(charge control agent)는 액체 현상액 성분으로서 종종 토너 입자의 전하의 극성 및 크기를 조절한다.
액체 잉크는 두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다. 편의상, 이는 오가노졸 잉크와 플라스티졸 잉크로 나눌 수 있다.
오가노졸 잉크는 열가소성 수지 코아와 코폴리머 입체 안정제를 포함하는 그래프트 코폴리머를 포함하는데 반하여, 플라스티졸 잉크는 미세하게 분쇄된 폴리머 입자를 폴리머가 불용성인 액체 매질에 분산하여 얻은 분산액 상태의 플라스티졸을 포함한다.
액체 잉크 제조시, 분산 안정성이 우수한 액체 잉크를 얻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분산 안정성이 우수한 액체 잉크 조성물에 대한 개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액체 잉크 제조시 액체 잉크의 전하 형성 능력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 액체 잉크는 전계하에서 충분한 양의 전하가 감광체의 화상 형성영역으로 이동하여 그 상부에 도포될 수 있도록 전하 형성 능력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액체 잉크의 전하형성능력은 전도도와 이동도에 의하여 평가되며, 액체 잉크는 일반적으로 잉크 전도도와 잉크 이동도가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미국 특허 제4,623,558호(Lin)는 본 특허에서 참조로서 통합되며, 열경화성 플라스티졸 분산액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고, 상기 조성물은 (1) 분말 형태이고, 실온에서 반응성 가소제에 녹지 않고 플럭싱 온도(fluxing temperature) 이상의 온도에서 가소성을 갖는 폴리(페닐렌 옥사이드), (2) (a) 분자내에 평균 하나 이상의 에폭사이드 그룹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에폭시 수지 (b) 에틸렌성 불포화 그룹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액체 모노머, 올리고머 또는 프리폴리머 적어도 하나 (c) (a)와 (b)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플럭싱 온도에서 폴리(페닐렌 옥사이드)를 솔베이션(solvation)할 수 있고 폴리(페닐렌 옥사이드)(1)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2000 중량부의 액체 반응성 가소제; 및 (3) 상기 (2)의 0.01 내지 10 중량%으로 사용되고 조성물에 존재하는 가소제용 열 개시제 또는 광개시제를 포함한다. 플럭싱(fluxing)후 플라스티졸 분산액은 가교반응후 열경화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분산 안정성과 전하 형성 능력이 개선된 신규한 조성의 플라스티졸을 포함하는 안정한 액체 잉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a) 카우리-부탄올 수치가 30 이하인 캐리어 액체; b) 플라스티졸; c) 분산제; 및 d) 전하디렉터를 포함하며,
상기 전하디렉터로서 포지티브 전하디렉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분산제를 아민 그룹을 갖고 있고, 상기 플라스티졸은 산 그룹을 갖고 있고 산값이 30 내지 150mg KOH/g인 폴리머 입자를 포함하고 있어 상기 산 그룹과 아민 그룹의 혼합몰비는 1:0.075 내지 1:0.3이며;
상기 전하디렉터로서, 네거티브 전하디렉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플라스티졸은 아민값이 5 내지 200mg KOH/g인 폴리머 입자를 포함하며, 상기 분산제는 산 그룹을 갖고 있고 상기 산 그룹과 아민 그룹의 혼합몰비가 0.075:1 내지 0.3:1인 전자사진적인 방법에 따라 화상을 현상하기 위한 액체 잉크를 제공한다.
다른 일태양에 의하면, 본 발명은 a) 카우리-부탄올 수치가 30 이하인 캐리어 액체; b) 산 그룹을 갖고 있고 산값이 30 내지 150mg KOH/g인 플라스틱 입자 성분을 포함하는 플라스티졸; c) 아민 그룹을 갖고 있고 상기 산 그룹과 아민 그룹의 혼합몰비가 1:0.075 내지 1:0.3인 분산제; 및 d) 포지티브 전하디렉터를 포함하는 플라스티졸 액체 잉크를 제공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라스티졸의 산값은 50 내지 120 mg KOH/g이고, 상기 산 그룹과 아민 그룹의 혼합몰비는 1:0.09 내지 1:0.2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지티브 전하디렉터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산 금속염을 포함하며, 특히 지르코늄 옥타노에이트(zirconium octanoate)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산제는 폴리올레핀,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 메틸에테르, 폴리비닐 에틸에테르,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젤라틴, 메틸 셀룰로오즈, 메틸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즈, 에틸 셀룰로오즈,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즈의 소듐염, 스타치(starch), 질소 함유 폴리머 및 산 함유 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질소 함유 폴리머는,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아민, 폴리에틸렌이민, 아민 그룹 함유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아민 그룹 함유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와 (메타)아크릴레이트의 코폴리머 및 이들의 탄화수소 용해성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산제는 특히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로부터 파생된 탄화수소 용해성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액체 잉크는 적어도 하나의 착색제를 더 포함하기도 한다.
또 다른 일태양에 의하면, 본 발명은 a) 카우리-부탄올 수치가 30 이하인 캐리어 액체; b) 아민값이 5 내지 200mg KOH/g인 플라스틱 입자 성분을 포함하는 플라스티졸; c) 산 그룹을 갖고 있고 상기 산 그룹과 아민 그룹의 혼합몰비가 0.075:1 내지 0.3:1인 분산제; 및 d) 네거티브 전하디렉터를 포함하는 플라스티졸 액체 잉크를 제공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라스티졸의 아민값은 30 내지 120 mg KOH/g이고, 상기 산 그룹과 아민 그룹간의 혼합몰비가 0.09:1 내지 0.2:1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네거티브 전하디렉터는, 질소 함유 모노머, 4급 암모늄 블록 코폴리머, 레시틴, 염기성 바륨 페트로네이트(basic barium petronate), 염기성 칼슘 페트로네이트, 염기성 소듐 페트로네이트, 금속 나프테네이트(metal naphthenate) 화합물 및 폴리이소부틸렌 숙신이미드(polyisobutylene succinimd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산제는, 폴리아크릴산, 폴리메타크릴산, 폴리스티렌술폰산, 폴리비닐술폰산, 스티렌/말레산 코폴리머, 비닐 메틸 에테르/말레산 코폴리머 또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스티렌술폰산, 비닐술폰산 및 이들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모노머로부터 파생된 탄화수소 용해성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체 잉크는 적어도 하나의 착색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플라스티졸이 평균 입경은 0.5 내지 3.5 미크론, 바람직하게는 0.6 내지 3.0 미크론, 보다 바람직하게는 0.75 내지 2.5 미크론인 입자를 포함한다.
또 다른 일태양에 의하면, 본 발명은 표면상에 전하 분포를 제공하고, 잉크가 전하의 분포에 따라 차이나게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표면상에 상술한 액체 잉크를 제공하여 표면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형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하 분포는 표면상에 균일한 전하를 제공한 다음, 전하를 이미지 방향 분포대로 분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플라스티졸 액체 잉크는 전자사진 오피스 인쇄에 주로 사용된다.그러나 이러한 액체 토너들이 이러한 용도로만 한정되게 사용되는 것은 아니며, 고속 인쇄 프레스, 포토카피 장치, 마이크로필름 재생 장치, 팩시밀리 인쇄, 잉크 제트 인쇄기, 장치 기록장치와 같은 그밖의 화상 형성 공정, 인쇄 공정 또는 잉크 전사 공정에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플라스티졸 액체 잉크는 착색제, 전하조절제, 분산제 및 카우리-부탄올(KB) 수치가 30 이하인 액체에 분산되어 있는 폴리머 입자를 포함하는 플라스티졸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카우리-부탄올"은 ASTM 테스트법 D1133-54T를 인용한다. 상기 카우리-부탄올(KB) 수치는 표준용액인 카우리(kauri) 수지의 1-부탄올 용액에서의 탄화수소 희석액의 부가 허용도(tolerance)를 측정하는 것으로서, 표준 카우리-1-부탄올 용액 20g에 부가되어 소정의 혼탁도를 얻을 수 있는 25℃에서의 용매의 부피(ml)로 나타낸다.
참고로, KB 표준치에 대하여 살펴보면, 톨루엔의 KB 수치는 105이고, 헵탄 75% 및 톨루엔 25%로 이루어진 혼합물의 KB 수치는 40이다. 두가지 성분 폴리머 입자와 카우리 부탄올 수치가 30 이하인 액체가 잉크에 플라스티졸로서 첨가되거나 전체적인 물질들과 조합된 상태로 혼합되어 플라스티졸 방식을 형성하거나 이와 같이 거동함에 따라, 당해기술분야에서 잉크는 "플라스티졸 잉크"로 명명된다.
용어 "플라스티졸"은 전자사진공정 및 전자사진공정에 적용되는 잉크 분야에서 특정 의미로 이해되어져야 한다. 용어 "플라스티졸"은 폴리머 입자(비제한적인 예: 아크릴산 폴리머 및 코폴리머, 아크릴아미드 폴리머, 산 그룹 변형된 아크릴산 폴리머, 산 변형된 아크릴아미드 폴리머, 염기 그룹 변형된 아크릴산 폴리머, 염기 그룹 변형된 아크릴아미드 폴리머 및 코폴리(페닐렌 옥사이드))가 분말 형태로 포함된 열경화성 플라스티졸 입자 분산액과 같은 입자 분산액을 나타낸다.
플라스티졸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입자는 실온에서 가소제에 불용성이거나 또는 용해력이 있어서 플럭스 온도 이상 또는 폴리머 입자가 다른 물질과 결합하는 온도에서 가소화되어 분산액을 형성한다. 형성(formation) 또는 플럭싱후에 플라스티졸 분산액은 가교 반응후 열경화될 수 있다.
캐리어 액체는 당해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다양한 물질로부터 선택되지만, 카우리 부탄올 수치가 30 이하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캐리어 액체는 일반적으로 친유성으로서,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절연성을 갖는다. 여기에서 "절연성을 갖는 액체"란 저유전상수와 높은 전기적 저항률을 갖는 액체를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액체는 유전상수가 5 이하,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유전상수가 1 내지 3이다. 이 때 캐리어 액체의 전기적 저항률은 109Ω-cm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0Ω-cm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010 내지 1016Ω-cm이다.
또한, 캐리어 액체는 바람직하게는 비교적 점성이 없어서 현상시 대전 입자가 이동하도록 하며, 휘발성이 충분해서 최종적인 화상이 형성된 기판으로부터 적절하게 제거된다. 그러나, 캐리어 액체는 비휘발성도 갖고 있어서 저장된 현상액으로부터 캐리어 액체가 증발됨으로 인한 손실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캐리어 액체는 액체 전자사진공정에서 사용되는 물질 또는 장치, 특히 감광체 및 그 이형 표면에 대하여 화학적으로 불활성이어야 한다.
캐리어 유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지방족 탄화수소(n-펜탄, 헥산, 헵탄 등), 지환족 탄화수소(사이클로펜탄, 사이클로헥산 등), 방향족 탄화수소(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 할로겐화된 탄화수소 용매(염소화된 알칸류, 불소화된 알칸류, 클로로플루오로카본류 등), 실리콘 오일류 및 이들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캐리어 유체로는 특히 상품명 이소파르 G(Isopar G), 이소파르 H, 이소파르 K, 이소파르 L, 이소파르 M 및 이소파르 V(Exxon Corporation)와 같은 분지형 파라핀 용매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한 캐리어 유체로는 상품명 노르파르 12, 노르파르 13 및 노르파르 15(Exxon Corporation)와 같은 지방족 탄화수소 용매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결합제는 착색제 입자와 강하게 상호작용할 수 있는 산 그룹 또는 아민 그룹을 포함하는 플라스티졸이라면 모두 다 사용가능하다. 이와 같이 강한 상호작용을 나타내면 잉크 분산액의 안정성이 우수하다.
잉크 분산액의 안정성 및 전하 형성 능력은 플라스티졸의 산도 및 염기도에 대하여 반대의 산도 및 염기도를 갖는 분산제를 부가하여 더욱 개선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포지티브 전하 디렉터가 사용된다면 산 그룹을 포함하는 플라스티졸과 염기 그룹을 갖는 분산액이 선택되어 본 발명의 포지티브 잉크를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만약 네거티브 전하 디렉터가 사용되면 염기 그룹을 포함하는 플라스티졸과 산 그룹을 갖는 분산액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네거티브 잉크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라스티졸은 상품명 엘바사이트 레진(Elvacite resins)(Ineos Acrylics사), 상품명 네오크릴 레진(Neocryl resins)(Neoresins사), 상품명 존크릴 레진(Joncryl resins)(Johnson Polymer사), 상품명 플리오라이트 레진(Pliolite resins)(Goodyear Tire and Rubber Company)과 같은 아크릴계 코폴리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한 플라스티졸로는 엘바사이트 2776 레진(Elvacite 2776 resins)(Ineos Acrylics사), 상품명 존크릴 835 & 611 레진(Joncryl 835 & 611 resins)(Johnson Polymer)와 같은 산 그룹을 포함하는 플라스티졸과, 상품명 엘바사이트 EDP 296(Elvacite 296)(Ineos Acrylics사)과 같은 염기 그룹을 포함하는 플라스티졸을 들 수 있다.
입자 크기는 잉크 및 플라스티졸의 성능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입자 크기는 쉽게 조절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광도전성 잉크업계 범위내에서 통상적이지 않은 입자 크기 범위를 갖는 입자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상업적 제품에서의 입자 크기의 표준 범위는 4 내지 6 미크론이다.
입자 크기가 큰 입자는 입자에 대한 밀링 활성을 줄임으로써 보다 쉽게 얻을 수 있고, 10, 12 및 15 미크론 크기를 갖는 입자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입자 크기를 갖는 입자를 사용하면 보다 불투명한 화상이 얻어지는데, 이러한 사항이 다층/멀티칼라 화상을 제공하는 경우 반드시 잇점을 제공하는 것은 아니다.
불투명 잉크층은 하부층 화상과 칼라를 지나치게 불투명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특정 물질을 밀링하는 경우, 입자 크기는 0.5 내지 15 미크론 범위로 조절한다. 보다 중요하게는, 여기에서 기재된 물질 및 방법들을 사용하면 폴리머 및 분산액 입자 크기를 0.50-15 미크론, 0.5-5.0 미크론, 0.5-4.0 미크론, 0.5-3.5 미크론, 0.5-3.0 미크론, 0.5-2.5 미크론, 0.6-4.0 미크론, 0.6-3.5 미크론, 0.6-3.0 미크론, 0.6-2.5 미크론, 0.75-4.0 미크론, 0.75-3.5 미크론, 0.75-3.0 미크론 및 0.75-2.5 미크론 범위로 조절할 수 있다.
플라스티졸 액체 잉크 제조시 플라스티졸의 입자 크기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경우, 통상적인 분산 방법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분산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고전단 균질화, 볼밀, 마쇄기(attritor) 밀링, 고에너지 비드(샌드) 밀링 또는 당해기술분야에서 알려진 다른 수단들을 이용한 방법이 있다.
상술한 플라스티졸을 이용한 액체 잉크는 플라스티졸 수지에 함유되어 있는 착색제를 포함한다.
상기 착색제로는 당해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착색제라면 모두 다 유용하며, 염료, 스테인(stain), 안료와 같은 물질을 포함한다.
플라스티졸 수지에 도입하는 바람직한 착색제 및 안료는, 명목상으로 캐리어 액체에 불용성이고 반응성을 갖지 않아야 하며, 정전기적 잠상을 가시화시키는데 유용하며 효과적이다. 이와 같은 착색제의 비제한적인 예로서, 프탈로시아닌 블루(C.I. Pigment Blue 15:1, 15:2, 15:3 및 15:4), 모노아릴리드 옐로우(monoarylide yellow)(C.I. Pigment Yellow 1, 3, 65, 73 및 74), 디아릴리드 옐로우(C.I. Pigment Yellow 12, 13, 14, 17 및 83), 아릴아미드(Hansa) 옐로우(C.I. Pigment Yellow 10, 97, 138 및 111), 아조 레드(C.I. Pigment Red 3, 17, 22, 23, 38, 48:1, 48:2, 52:1, 81 81:4 및 179), 퀴나크리돈(quinacridone) 마젠타((C.I. Pigment Red 122, 202 및 209), 미분화된 카본(Cabot Monarch 120, Cabot Regal 300R, Cabot Regal 350R, Vulcan X72)과 같은 블랙 안료 등이 있다.
플라스티 액체 잉크 제조시 착색제 입자의 입자 크기를 줄이는데 있어서 통상적인 분산법이 사용된다. 분산법의 비제한적인 예로서, 고전단 균질화, 볼밀, 마쇄기 밀링, 고에너지 비드(샌드) 밀링 또는 당해기술분야에서 알려진 다른 수단들을 이용한 방법이 있다.
토너 입자에서 수지와 착색제의 최적중량비는 1:1 내지 20:1이고, 바람직하게는 3:1 내지 10:1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5:1 내지 8:1이다.
캐리어 유체에서의 총 분산물질의 함량은 일반적으로 총 액체 현상액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0.5 내지 70 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5 중량%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2 중량%이다.
한편, 전자사진 액체 토너는 분산제를 액체 잉크에 도입하여 만든다. 분산제는 토너 입자와 캐리어 액체에 대하여 친화력이 우수한 폴리머이다. 분산제는 캐리어 액체내에서 완전하게 또는 부분적으로 용해되거나 또는 캐리어 액체내에서 스웰링된다.
상술한 폴리머들은 특별하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올레핀,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 메틸에테르, 폴리비닐 에틸에테르,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젤라틴, 메틸 셀룰로오즈, 메틸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즈, 에틸 셀룰로오즈,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즈의 소듐염, 스타치(starch), 질소 함유 폴리머 및 산 함유 폴리머를 들 수 있다. 상기 분산제는 특히 질소 함유 폴리머 및 산 함유 폴리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산 함유 폴리머 분산제의 비제한적인 예로서, 폴리아크릴산 및 그 탄화수소 용해성 코폴리머; 폴리메타크릴산 및 그 탄화수소 용해성 코폴리머; 폴리스티렌술폰산 및 그 탄화수소 용해성 코폴리머; 폴리비닐술폰산 및 그 탄화수소 용해성 코폴리머; 스티렌/말레산 코폴리머 및 그 탄화수소 용해성 유도체; 및 비닐 메틸 에테르/말레산 코폴리머 및 그 탄화수소 용해성 유도체가 있다.
상기 폴리머 분산제들은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 내지 100,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산 폴리머 분산제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또는 그 조합물을 포함하는 탄화수소 용해성 코폴리머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용한 상업적인 분산제로는 상품명 솔스버스 36600(Solsperse 36600), 상품명 솔스버스 34750(Solsperse 34750), 상품명 솔스버스 41000(Solsperse 41000) 및 상품명 솔스버스 28,000(Avecia Pigments and Additive Group)이 있다.
질소 함유 분산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아민, 폴리에틸렌이민, 아민 그룹 함유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아민 그룹 함유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와 (메타)아크릴레이트의 코폴리머 및 이들의 탄화수소 용해성 유도체들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분산제로는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삼급 아민 모노머로부터 파생된 탄화수소 용해성 코폴리머들이다. 본 발명에서 유용한 분산제로는, 상품명 솔스퍼스 13940(Solsperse 13940)(Avercia Pigments and Additives Group) 및 상품명 디스퍼바이크 116(Disperbyk 116)(Byk Chemie-USA Inc.)이 있다.
분산제는 바람직하게는 0.01-20% 함량으로 캐리어 액체에 부가되어 분산성을 개선시키고 분산제의 부가로 인하여 캐리어 액체의 점도가 상승하는 것을 억제한다. 분산제의 함량은 특히 0.1-10 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토너, 전하디렉터 및 분산제와 같은 고체 성분의 총함량은 액체 현상제의 총중량에 대하여 1-9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현상시 액체 현상제의 총함량을 줄여서 취급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고체 성분의 함량을 2-50 중량% 범위가 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전자사진 액체 토너는 액체 잉크에 전하조절제를 도입하여 제조할 수 있다. 전하조절제, 일명 전하디렉터는 토너 입자에 개선된 전하 극성 즉, 보다 균일한 전하 극성을 제공한다. 전하 디렉터는, 전하디렉터와 토너 입자를 화학적으로 반응시키는 방법, 토너 입자(수지 또는 안료)상에 전하디렉터를 화학적 또는 물리적으로 흡착시키는 방법 또는 전하디렉터를 토너 입자에 도입된 작용기에 킬레이팅하는 방법과 같은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토너 입자에 도입된다. 전하디렉터를 토너 입자에 도입하는 방법으로는 특히 작용기를 이용하여 결합시켜 그래프트 안정제를 만드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전하디렉터는 토너 입자상에 소정 극성의 전하를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포지티브 전하디렉터 및 네거티브 전하디렉터는 당해기술분야에서의 통상적인 포지티브 전하디렉터와 네거티브 전하디렉터라면 모두 다 사용가능하다.
포지티브 전하디렉터는 다가 금속 이온 및 카운터이온으로서 유기 음이온으로 구성된 유기산 금속염이다.
상기 금속 이온으로는 Ba(II), Ca(II), Mn(II), Zn(II), Zr(IV), Cu(II), Al(III), Cr(III), Fe(II), Fe(III), Sb(III), Bi(III), Co(II), La(III), Pb(II), Mg(II), Mo(III), Ni(II), Ag(I), Sr(II), Sn(IV), V(V), Y(III), Ti(IV) 등이 적당하며, 상기 유기 음이온으로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카르복실산 또는 술폰산으로부터 파생된 카르복실레이트 또는 술포네이트가 있고, 특히 스테아르산, 베헨산(behenic acid), 네오데칸산(neodecanoic acid), 디이소프로필살리실산, 옥탄산, 아비에틴산(abietic acid), 나프텐산, 옥타논산(octanoic acid), 라우린산(lauric acid), 탈린산(tallic acid)과 같은 지방족 지방산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포지티브 디렉터로는, 본 특허에서 참조로서 통합된 미국 특허 3,411,936호에 기술된 금속 카르복실레이트(비누)(soaps)가 있고, 이는 적어도 탄소수 6-7의 지방산의 알칼리 토금속 및 중금속염, 나프텐산 함유 고리 지방족산; 보다 바람직하게는 지르코늄 및 알루미늄의 다가 금속 비누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지르코늄 옥타노에이트(zirconium octonate)(Zirconium HEX-CEM, Mooney Chemicals사)이다.
네거티브 전하디렉터의 구체적인 예로는, 질소 함유 모노머, 4급 암모늄 블록 코폴리머, 레시틴, 염기성 바륨 페트로네이트(basic barium petronate), 염기성 칼슘 페트로네이트, 염기성 소듐 페트로네이트와 같은 염기성 금속 페트로네이트류, 금속 나프테네이트(metal naphthenate) 화합물 및 폴리이소부틸렌 숙신이미드(polyisobutylene succinimde)(상품명: OLOA 1200, Chevron Oronite Company LLC)가 있다. 네거티브 전하디렉터는 특히 레시틴, 염기성 금속 페트로네이트 및 폴리이소부틸렌 숙신이미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질소 함유 모노머의 구체적인 예로는, 지방족 아미노그룹을 갖고 있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질소 함유 헤테로고리환을 갖고 있는 비닐 모노머계, N-비닐 치환기를 갖는 고리 아미드 모노머, (메타)아크릴아미드계, 질소 함유 그룹을 갖는 방향족 치환된 에틸렌성 모노머 또는 질소 함유 비닐 에테르 모노머가 있다. 캐리어 액체에 용해되고 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노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도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 (메타)아크릴레이트, 비닐 라우릴레이트, 비닐 스테아레이트, 벤질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페닐 (메타)아크릴레이트와 같은 모노머를 포함하는 코폴리머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토너 조성물에 사용되는 바람직한 전하 디렉션 레벨은 플라스티졸의 조성, 플라스티졸의 분자량, 플라스티졸의 입자 크기, 토너 제조용 안료, 플라스티졸과 안료의 비율을 포함한 여러가지 인자에 의하여 달라진다. 또한 바람직한 전하 디렉션 레벨은 전자사진 화상 형성 과정의 본질 특히, 현상 하드웨어 및 감광성 요소의 설계에 따라 달라진다. 그러나, 당해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리스트된 변수에 토대를 둔 전하디렉션의 레벨을 조절하여 각각의 용도에서 소망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캐리어 액체, 플라스티졸, 분산제, 전하디렉터 및 착색제를 포함하는 액체 토너는 여러가지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산 그룹을 갖고 있고 산값이 30 내지 150 mg KOH/g인 플라스티졸, 아민 그룹을 갖고 있고 상기 산 그룹과 아민 그룹간의 혼합몰비가 1:0.075 내지 1:0.3인 분산제 및 포지티브 전하디렉터를 포함하는 포지티브 액체 토너가 예기치 못한 분산안정성과 전하 형성능력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산 그룹과 아민 그룹의 바람직한 혼합몰비는 1:0.09 내지 1:0.2이다. 게다가, 아민값이 20 내지 200 mg KOH/g인 플라스티졸, 산 그룹을 갖고 있고 산 그룹과 아민 그룹의 혼합몰비가 0.075:1 내지 0.3:1인 분산제 및 네거티브 전하디렉터를 포함하는 네거티브 액체 토너가 예기치 못한 분산 안정성과 전하 형성 능력을 나타낸다. 산 그룹과 아민 그룹의 혼합몰비는 0.09:1 내지 0.2:1인 것이 바람직하다.
산값은 JIS(Japanese Industial Standard) K0070법에 의하여 측정된다. 특히 분산제 또는 플라스티졸을 양호한 용매에 용해시킨 다음, 여기에 페놀프탈레인을 지시자로서 부가한다. 그 후, 0.1 M(mol/liter) 수산화칼륨의 에탄올 용액을 이용하여 적정을 실시한다. 산값이 5 미만, 5 이상, 15 미만, 15 이상 및 30 미만, 30 이상, 100 미만 및 100 이상인 경우, 시료로서 분산제 또는 플라스티졸의 함량은 각각 20g, 10g, 5g, 2g 및 1g이다. 산값은 상술한 적정과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계산된다.
상기식중, B는 적정에 필요한 0.1mol/liter 수산화칼륨의 에탄올 용액의 함량(ml)을 나타내고, F는 0.1mol/liter 수산화칼륨의 에탄올 용액의 계수(factor)를 나타내고, S는 시료의 중량(g)을 나타낸다.
아민값은 JIS K 7237법에 의하여 측정된다. 특히 아세트산 500ml와 아세트산 무수물 30ml를 미리 혼합시켜 얻은 용액에 과염소산 8.5ml를 부가한 다음, 이를 혼합한다. 또한, 상기 혼합물에 아세트산을 부가하여 총 함량이 1000㎖가 되도록 한다. 상기 혼합물을 하루동안 방치하여 적정 용액을 준비한다. 염기성 질소 2-3mmol에 대응하여 시료에 o-니트로톨루엔 900ml와 아세트산 200ml의 혼합물 용액 100㎖를 부가한 다음, 이를 용해시킨다. 그리고 나서 상기 혼합물에 크리스탈 바이올릿(Crystal Violet)의 아세트산 용액 0.1g/100ml의 몇몇 방울을 부가한다. 그 후, 청색 칼라가 녹색으로 변하기 시작할 때까지 상술한 과염소산을 이용하여 적정을 실시한다. 아민값은 상술한 적정과 하기 수학식 2에 의하여 계산된다.
상기식중, V3는 적정에 필요한 0.1mol/liter 과염소산 용액의 함량(ml)을 나타내고, V4는 블랭크 테스트에 필요한 0.1mol/liter 과염소산 용액의 함량(ml)을 나타내고, F는 0.1mol/liter 과염소산 용액의 계수(factor)를 나타내고, M은 시료의 중량(g)을 나타낸다.
액체 토너의 전도도는 당해기술분야에서 전자사진 화상의 현상시 토너의 효율성 측정 기준으로 잘 확립되어 있었다. 여기에서 전도도 범위는 1.0×10-11 내지 10.0×10-10mho/cm인 것이 유용하다.
액체 토너의 전도도가 높다는 것은 토너 입자상에 전하가 비효율적으로 군집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현상시 전류밀도와 토너간의 상호관계가 작다는 것으로부터 알 수 있다. 그리고 액체 토너의 전도도가 낮다는 것은 토너 입자의 대전이 없거나 거의 없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로 인하여 현상속도가 매우 느려진다. 각 입자의 대전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전하 디렉터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은 일반적인 사항이다. 최근에는 전하디렉터를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캐리어 유체에서의 용액의 대전종(species)상에 불필요한 전하가 많이 존재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와 같이 불필요한 전하로 인하여 현상이 비효율적, 불안정적 및 일관성이 없게 이루어진다.
토너 입자상에 전하를 국부적으로 존재하게 하고 이러한 입자로부터 전하가 액체로 이동되는 것을 실질적으로 막고, 다른 불필요한 전하 성분이 액체에 존재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술한 문제점들이 실질적으로 많이 개선되었다. 요구 특성의 측정 기준으로서, 본 연구자들은 액체 토너에서 나타나는 캐리어 액체의 전도도와 전반적인 액체 토너의 전도도(완전히 구성된 토너 분산액)사이의 비율을 사용한다. 이 비율은 0.6 이하, 바람직하게는 0.4 이하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0.3 이하 특히 0.01 내지 0.3이다. 대부분의 종래기술에 따른 토너들은 상기 비율보다 큰 범위 0.95 정도를 나타낸다.
전자사진법에서, (1) 감광성 요소를 인가 전압으로 균일하게 대전시키는 단계, (2) 감광성 요소의 일부분을 조사 공급원(radiation source)으로 노광 및 비대전시켜서 잠상 이미지를 형성하는 단계, (3) 잠상에 토너를 가하여 색상 이미지(toned image)를 형성하는 단계 및 (4) 상기 색상 이미지를 하나 이상의 단계를 통하여 최종 수용체 쉬트상에 전사하는 단계를 거침으로써 정전기적 화상은 일반적으로 감광성 요소가 코팅된 쉬트, 드럼 또는 벨트상에 형성된다. 어떤 적용 분야에서는, 색상 이미지를 가열된 압력 롤러 또는 당해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다른 고정 방법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토너 입자 또는 감광성 요소중의 하나의 정전기적 전하는 양(+)전하 또는 음(-)전하이고, 본 발명에서 사용된 전자사진공정은 바람직하게는 양(+)전하로 대전된 감광성 요소상에 전하를 분산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리고 나서, 양전하로 대전된 토너는 액체 토너 투입 현상 기술을 사용하여 양전하가 분산된 영역에 가해진다. 이 현상과정은 감광성 요소 표면 근처에 위치해있는 현상 전극에 의하여 형성된 균일한 전계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바이어스 전압은 초기 대전 표면 전압과 노광 표면 전압 레벨의 중간 크기로 전극에 인가된다.
전압은 요구되는 최대 밀도 레벨과 축적되는 백그라운드(background) 없이 반조부(halftone) 도트용 톤 재생 스케일을 얻을 수 있도록 조절된다. 그리고 나서, 액체 토너는 전극과 감광성 요소 사이를 흐르게 된다. 대전된 토너 입자는 전계에서 유동적이고, 감광성 요소의 비대전 영역(discharged area)에 부착되며, 대전된 화상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는 부착되지 않는다. 감광성 요소에 잔류하는 과량의 액체 토너는 당해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제거된다.
그 후, 감광성 요소 표면은 건조시키거나 또는 실온 조건하에서 건조되도록 한다.
감광성 요소로부터 화상을 수용하는 기판은 종이, 코팅 종이, 폴리머 필름 및 프라임드(primed) 또는 코팅된 폴리머 필름과 같이 일반적인 수용체 물질이면 모두 다 사용가능하다. 또한, 특별하게 코팅된 또는 처리된 금속 또는 금속으로 피복된 표면도 수용체로서 사용가능하다. 폴리머 필름은 가소화된 및 콤파운드된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아크릴산계, 폴리우레탄계, 폴리에틸렌/아크릴산 코폴리머 및 폴리비닐부티랄을 포함한다. 또한, 상품명 스토치칼(Scotchcal), 스코칠라이트(Scotchlite), 파나플렉스(Panaflex)와 같은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복합물이 기판 제조시 유용하다.
대전 표면으로부터 형성된 화상을 최종적인 수용체 또는 전사 매질에 전사시키는 것은 화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한 분산입자내에 이형 촉진 물질을 도입함으로써 향상된다. 실리콘 함유 물질 또는 불소 함유 물질을 입자의 외부(쉘)층에 도입하면 화상의 효과적인 전사를 촉진시킨다.
멀티칼라 화상 형성 과정에 있어서, 토너는 유전성 요소 또는 감광성 요소의 표면에 제공될 때, 그 부가순서가 특별하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착색적인 이유로 인하여 전사시 반전(inversion)이 일어나는 점을 감안하여 칼라의 투명도 및 세기에 따라 특별한 순서로 화상을 가하는 것이 때때로 바람직하다. 직접적인 화상 형성 과정 또는 더블 전사과정에서 바람직한 순서는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의 순이다; 단일 전사 공정에서 바람직한 순서는 블랙, 시안, 마젠타 및 옐로우이다. 옐로우 화상은, 일반적으로 다른 토너로부터의 오염을 피하기 위하여 화상이 먼저 형성되고 전사시 최상부 칼라층으로서 형성된다. 블랙 화상은 일반적으로 블랙 토너가 조사 공급원의 필터로서 작용하므로 마지막으로 형성하여 전사후 최하부층으로 형성된다.
액체 잉크를 가장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이의 전도도는 50 내지 1200 pico mho-cm-1의 범위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액체 토너는 2.5중량%의 고체를 함유하는 분산액의 경우, 전도도가 100 내지 500 pico mho-cm-1를 나타낸다.
전사된 화상을 오버코팅하는 과정은 화상을 물리적 손상 및/또는 화학선 손상을 보호하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실시한다. 오버코팅 조성물은 당해기술분야에서 잘 공지되어 있고, 일반적으로 휘발성 용매에 용해되거나 또는 부유된 폴리머 필름 형성용 폴리머를 포함한다. 자외선 광흡수제는 상기 코팅 조성물에 선택적으로 부가될 수 있다. 또한 화상이 형성된 표면에 화상 보호층을 라미네이션하는 방법은 또한 당해기술분야에서 널리 공지되어 있고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여 화상 보호층을 형성한다.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테스트법
하기 테스트 방법들은 하기 실시예들에서의 폴리머 및 잉크의 특성 평가시 사용된다.
액체 잉크에서의 고체 함량
플라스티졸 용액 및 잉크 분산액에서의 고체 함량은, 정밀 분석 저울(Mettler Instruments Inc.)이 장착된 할로겐 램프 건조 오븐을 사용하여 중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시료 드라이다운법(drydown method)을 사용하여 시료 약 2g에서의 고체 함량을 각각 측정하였다.
입자 크기
토너 입자 크기 분포는 호리바 LA-900 레이저 회절 입자 크기 분석기(Horiba LA-900 laser diffraction particle size analyzer)(Horiba Instruments, Inc.)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토너 시료들은 약 1/500 부피비로 희석되었고, 측정전에 150W 및 20kHz에서 1분동안 초음파 처리되었다. 토너 입자 크기는 잉크 입자의 기초(일차) 입자 크기의 지표로서 수평균 베이스로 표현된다.
토너 전도도
액체 토너 전도도(벌크 전도도, kb)는 사이언티피카 모델 627 전도도 측정장치(Scientifica model 627 conductivity meter)(Scientifica Instruments, Inc.)를 사용하여 약 18Hz에서 측정되었다. 또한, 토너 입자의 부재하에서 프리(분산제) 페이스 전도도(kf)가 측정하였다. 토너 입자는 주안(Jouan) MR1822 원심분리기(Jouan Inc.)에서 6,000rpm(6,110 상대원심력), 5℃ 1-2시간동안 원심분리시킴으로써 액체(liquid milieu)로부터 분리되었다.
부유 액체는 조심스럽게 데칸트내고 이 액체의 전도도는 사이언티피카 모델 627 콘덕턴스 측정장치(Scientifica Model 627 Conductance 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벌크 토너 전도도(kb)에 대한 프리 페이스 전도도(kf) 즉, 100%(kf/kb)를 측정하였다.
입자 이동도
토너 입자 전기영동 이동도(동적 이동도)는 매테크 MBS-8000 일렉트로키네틱 소닉 진폭 분석장치(Matec MBS-8000 Electrokinetics Sonic Amplitude Analyzer)(Matec Applied Sciences, Inc.)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미세전기이동에 기초한 동전기학적 측정과는 달리, MBS-8000 분석장치는 이동도값을 얻기 위한 토너 시료의 희석이 불필요하다는 잇점이 있다. 그래서, 인쇄시 실제적으로 바람직한 고체 농도에서 토너 입자의 동적 이동도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MBS-8000 분석장치는 고주파수(1.2MHz) 교류(AC) 전계에서의 대전 입자의 반응을 측정한다. 고주파수 AC 전계에서는, 대전 토너 입자와 주위 분산매질(카운터 이온 함유)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으로 인하여 인가 전계의 동일한 주파수에서 초음파가 생성된다. 1.2MHz에서의 초음파의 진폭은 압전성 석영 변환기(piezoelectric quartz transducer)를 이용하여 측정가능하다; 이 동전기학적 초음파 진폭(ESA)은 입자의 저전계 AC 전기영동 이동도에 정비례한다. 그리고 나서 입자 제타 포텐셜은 상기 장치에 의하여 동적 이동도 측정치 및 공지의 토너 입자 크기, 분산제 액체 점도 및 액체 유전상수로부터 계산된다.
실시예
비교예 A
0.5 리터 버티칼 비드 밀(Model 6 TSG-1/4, Aimex Co. Ltd.)에 1.3mm 직경 포터스 글래스 비드(Potters Industires, Inc.) 390g, 상품명 엘바사이트 2776 레진(Elvacite 2776 resin)(Ineos Acrylics) 60g, 6.15 wt% Zr 헥셈 용액(OMG Americas, Inc.) 2.71g, 상품명 노르파르 12(Exxon) 227g, 카보트 모나크 120 블랙 피그먼트(Carbot Monarch 120 black pigment)(Cabot Corporation) 10g을 채웠다.
상품명 엘바사이트 2776 레진은 유리전이온도(Tg)가 45℃인 n-부틸 메타크릴레이트/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로서, 산값이 80 mg KOH/g인 폴리머이다. 상기 밀을 1,000rpm으로 2시간동안 동작시키고 셀 재킷 주위에는 70℃로 유지되는 물/글리콜 혼합물을 회전시켰다. 물/글리콜 혼합물의 온도를 35℃로 줄이고, 밀의 속도는 2,000rpm으로 높이고 밀링을 2시간동안 더 계속하여 블랙의 17.2 중량%의 비휘발성 성분을 함유하는 액체 전자사진 토너를 얻었다. 이와 같이 얻어진 토너의 전도도는 0.9pmho/cm이고 부피 평균 입자 크기는 3.6 미크론이었다.
이와 같은 실험 결과로부터, 상품명 솔스포스 하이퍼디스퍼젼트(Solsperse hyperdispersant)가 없는 상태로 제조된 액체 잉크는 본질적으로 비전도성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비교예 B
버티칼 비드 밀에, 상품명 엘바사이트 2927 레진(Elvacite 2927 resin)(Ineos Acrylics) 60g, 6.15 wt% Zr 헥셈 용액(OMG Americas, Inc.) 8.14g, 상품명 노르파르 12(Exxon) 216.9g, 카보트 모나크 120 블랙 피그먼트 10g 및 40%(w/w) 상품명 솔스퍼스 13940 하이퍼디스퍼젼트의 석유 증류액(Avecia사) 15.0g을 채운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A와 동일한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상품명 엘바사이트 2927은 유리전이온도(Tg)가 50℃인 n-부틸 메타크릴레이트/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로서, 산값이 3.5 mg KOH/g인 폴리머이다.
상기 과정에 따라 얻어진 토너는 비휘발성 성분이 25.26중량%로 포함되어 있고, 전도도가 373 pmho/cm이다. 토너의 부피 평균 입자 크기는 4.860 미크론이었다.
비휘발성 성분의 함량이 3%(w/w)로 희석되면, 토너 시료는 전도도가 42 pmho/cm이고 입자 이동도가 0.592E-10㎡/V·sec이다. 시료를 5℃에서 7500rpm으로 60분동안 원심분리하고 부유 액체의 전도도를 측정한 결과, 41.7pmho/cm로 나타났다(3%(w/w) 토너 시료의 전도도의 99%는 용해상에서 기인된다).
이와 같은 실험 결과로부터, 카르복실산 그룹을 갖고 있지 않은 결합제 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토너에서의 토너 입자들은 대전되지 않는다는 것과, 잉크 시료에서의 전기 전도도는 본질적으로 토너 입자로부터 기인된 것이 아니라 용해된 종에서 전적으로 기인된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C
버티칼 비드 밀에, 상품명 엘바사이트 2776 레진(Elvacite 2776 resin)(Ineos Acrylics) 60.0g, 상품명 엘바사이트 2923 레진 60.0g을 채우고, 밀을 셀 재킷 주위에 물/글리콜 혼합물을 회전시키지 않는 상태에서 1,000rpm으로 2시간동안 동작시킨 다음, 셀 재킷 주위에 물/글리콜 혼합물을 회전시키지 않는 상태에 2,000rpm에서 2시간동안 동작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B와 동일한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밀링시 도달되는 최대온도는 약 50℃였다. 이와 같은 과정에 따라 얻어진 토너는 비휘발성 성분의 함량이 24.74중량%로 포함되어 있고, 전도도가 7430 pmho/cm이다. 토너의 부피 평균 입자 크기는 1.798 미크론이었다.
비휘발성 성분의 함량이 3%(w/w)로 희석되면, 토너 시료는 전도도가 1165 pmho/cm이고 입자 이동도가 0.244E-10㎡/V·sec이다. 시료를 5℃에서 7500rpm으로 60분동안 원심분리시키고 부유 액체의 전도도를 측정한 결과, 1015pmho/cm로 나타났다(3%(w/w) 토너 시료의 전도도의 87%는 용해상에서 기인된다).
이와 같은 실험 결과로부터, 카르복실산 그룹을 포함하는 결합제 수지와 아민 관능성 분산제를 이용하고 가열없이 밀링하여 얻은 토너에서의 토너 입자는 대전되지 않는다는 것과, 잉크 시료의 전기전도도는 본질적으로 토너 입자가 아니라용해된 종에서 전적으로 기인된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
0.5 리터 버티칼 비드 밀(Model 6 TSG-1/4, Aimex Co. Ltd.)에 1.3mm 직경 포터스 글래스 비드(Potters Industires, Inc.) 390g, 상품명 엘바사이트 2776 레진(Elvacite 2776 resin)(Ineos Acrylics) 60.0g, 6.15 wt% Zr 헥셈 용액(OMG Americas, Inc.) 8.14g, 상품명 노르파르 12(Exxon) 217g, 카보트 모나크 120 블랙 피그먼트(Carbot Monarch 120 black pigment)(Cabot Corporation) 10.0g, 40%(w/w) 상품명 솔스퍼스 13940 하이퍼디스퍼젼트의 석유 증류액 15.0g을 채웠다.
상기 밀을 1,000rpm으로 2시간동안 동작시키고 셀 재킷 주위에는 70℃로 유지되는 물/글리콜 혼합물을 회전시켰다. 물/글리콜 혼합물의 온도를 35℃로 줄이고, 밀 속도는 2,000rpm으로 높이고 밀링을 2시간동안 더 계속하여 블랙의 액체 전자사진 토너를 얻었다. 이와 같이 얻어진 토너는 비휘발성 성분이 25.09중량% 함유되어 있고, 전도도는 391pmho/cm이고 부피 평균 입자 크기가 1.38 미크론이었다.
비휘발성 성분의 함량이 3%(w/w)로 희석되면, 토너 시료는 전도도가 20 pmho/cm이고 입자 이동도가 1.51E-10㎡/V·sec이다. 시료를 5℃에서 7500rpm으로 60분동안 원심분리시키고 부유 액체의 전도도를 측정한 결과, 4 pmho/cm로 나타났다(3%(w/w) 토너 시료의 전도도의 20%는 용해상에서 기인된다).
3%(w/w) 워킹 강도 토너(working strength tomer)를 상술한 인쇄 장치를 사용하여 테스트하였다. 반사 광학 밀도(ROD)는 플레이팅 전압 600V에서 1.04이었다.
실시예 2
상품명 엘바사이트 2776 레진 대신 상품명 존크릴 835 레진(Joncryl 835 resin)(Tg가 50℃이고 산값이 53 mg KOH/g인 스티렌-아크릴 코폴리머, Johnson Polymer사)이 사용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농축된 잉크는 비휘발성 성분이 23.17 중량%로 함유하고 있고, 전도도가 606 pmho/cm이다. 토너의 부피 평균 입자 크기는 2.04 미크론이다. 비휘발성 성분의 함량이 3%(w/w)로 희석되면, 토너 시료의 전도도는 38 pmho/cm이고, 입자 이동도는 1.82E-10㎡/V·sec이다. 시료를 5℃에서 7500rpm으로 60분동안 원심분리시키고 부유 액체의 전도도를 측정한 결과, 1.6pmho/cm이다(3%(w/w) 토너 시료의 전도도의 4%는 용해상에서 기인된 것이다).
3%(w/w) 워킹 강도 토너를 상술한 인쇄 장치를 이용하여 테스트하였다. 플레팅 전압 600V에서 반사 광학 밀도(ROD)는 1.14였다.
실시예 3
상품명 엘바사이트 2776 레진 대신 상품명 존크릴 611 레진(Joncryl 611 resin)(Tg가 50℃이고 산값이 52 mg KOH/g인 스티렌-아크릴 코폴리머, Johnson Polymer사)이 사용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농축된 잉크는 비휘발성 성분이 23.70 중량%로 함유하고 있고, 전도도가 763 pmho/cm이다. 토너의 부피 평균 입자 크기는 2.10 미크론이다.
비휘발성 성분의 함량이 3%(w/w)로 희석되면, 토너 시료의 전도도는 55 pmho/cm이고, 입자 이동도는 1.58E-10㎡/V·sec이다. 시료를 5℃에서 7500rpm으로 60분동안 원심분리시키고 부유 액체의 전도도를 측정한 결과, 4.8pmho/cm이다(3%(w/w) 토너 시료의 전도도의 9%는 용해상에서 기인된 것이다).
실시예 4
0.5 리터 버티칼 비드 밀(Model 6 TSG-1/4, Aimex Co. Ltd.)에 1.3mm 직경 포터스 글래스 비드(Potters Industires, Inc.) 390g, 상품명 엘바사이트 EDP 296 레진(Elvacite EDP 296 resin)(Ineos Acrylics) 60.0g, 4.69 wt% 소이 레시틴 용액(soy lecithin solution)(in 상품명 Norpar 12) 40.3g, 상품명 노르파르 12(Exxon) 196g, 카보트 모우걸 L 블랙 피그먼트(Carbot Mogul L black pigment) 10.0g, 40%(w/w) 상품명 솔스퍼스 28,000 하이퍼디스퍼젼트(Avecia사)의 석유 증류액 3.75g을 채웠다.
상기 밀을 1,000rpm으로 2시간동안 동작시키고 셀 재킷 주위에는 70℃로 유지되는 물/글리콜 혼합물을 회전시켰다. 물/글리콜 혼합물의 온도를 35℃로 줄이고, 밀 속도는 2,000rpm으로 높이고 2.5시간동안 더 밀링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이 얻어진 토너는 비휘발성 성분이 24.1 중량% 함유되어 있고, 전도도는 804 pmho/cm이고 부피 평균 입자 크기가 12.5 미크론이었다.
비휘발성 성분의 함량이 3%(w/w)로 희석되면, 토너 시료는 전도도(Kb)가 91 pmho/cm이고 입자 이동도가 -4.37E-11㎡/V·sec이다. 시료는 7500rpm으로 5℃에서 60분동안 원심분리처리하고 부유 액체의 전도도(Kf)를 측정한 결과, 80 pmho/cm로 나타났다(Kf/Kb=0.88, 즉 3%(w/w) 토너 시료의 전도도의 88%는 프리페이스에서 기인된다).
상기 실시예 4로부터, 아민그룹을 갖는 플라스티졸 바인더 수지와 카르복실산 관능성 분산제를 이용하여 제조된 잉크에서의 토너 입자는 유용한 전기영동 이동도값을 갖고 있고 음전하로 대전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액체 잉크는 산 그룹 또는 아민 그룹을 갖고 있는 플라스티졸 및 분산제를 포함하며, 전자사진적인 화상 형성공정에 사용되어 분산 안정성 및 전하 형성 능력(chargeability)이 개선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1)

  1. a) 카우리 부탄올 수치가 30 이하인 캐리어 액체;
    b) 플라스티졸;
    c) 분산제; 및
    d) 전하디렉터를 포함하며,
    1) 상기 전하디렉터가 포지티브 전하디렉터인 경우,
    상기 분산제는 아민그룹을 갖고 있고, 상기 플라스티졸은 산그룹을 갖고 있고, 그의 산값(acid value)이 30-150 mg KOH/g이며, 상기 산 그룹과 아민 그룹의 몰비가 1:0.075 내지 1:0.3인 폴리머 입자를 포함하며,
    상기 분산제는 폴리올레핀,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 메틸에테르, 폴리비닐 에틸에테르,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젤라틴, 메틸 셀룰로오즈, 메틸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즈, 에틸 셀룰로오즈,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즈의 소듐염, 스타치(starch), 질소 함유 폴리머 및 산 함유 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고,
    상기 포지티브 전하디렉터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산 금속염을 포함하며,
    2) 상기 전하디렉터가 네거티브 전하디렉터인 경우,
    상기 플라스티졸은 아민값(amine value)이 5-200 mg KOH/g인 폴리머를 포함하며, 상기 분산제는 산 그룹을 갖고 있고, 상기 산 그룹과 아민 그룹의 혼합몰비가 0.075:1 내지 0.3:1이고,
    상기 분산제는 폴리아크릴산, 폴리메타크릴산, 폴리스티렌술폰산, 폴리비닐술폰산, 스티렌/말레산 코폴리머, 비닐 메틸 에테르/말레산 코폴리머 또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스티렌술폰산, 비닐술폰산 및 이들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모노머로부터 파생된 탄화수소 용해성 코폴리머를 포함하고,
    상기 네거티브 전하디렉터는 질소 함유 모노머, 4급 암모늄 블록 코폴리머, 레시틴, 염기성 바륨 페트로네이트(basic barium petronate), 염기성 칼슘 페트로네이트, 염기성 소듐 페트로네이트, 금속 나프테네이트(metal naphthenate) 화합물 및 폴리이소부틸렌 숙신이미드(polyisobutylene succinimd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고,
    상기 플라스티졸은 폴리입자 (아크릴산 폴리머 및 코폴리머, 아크릴아미드 폴리머, 산 그룹 변형된 아크릴산 폴리머, 산 변형된 아크릴아미드 폴리머, 염기 그룹 변형된 아크릴산 폴리머, 또는 염기 그룹 변형된 아크릴아미드 폴리머 및 코폴리(페닐렌 옥사이드)가 분말 형태로 포함된 열경화성 플라스티졸 입자 분산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잉크.
  2. a) 카우리 부탄올 수치가 30 이하인 캐리어 액체;
    b) 산 그룹을 갖고 있고 산값이 30 내지 150 mg KOH/g인 플라스티졸;
    c) 아민 그룹을 갖고 있고, 상기 산 그룹과 아민 그룹간의 혼합몰비가 1:0.075 내지 1:0.3인 분산제; 및
    d) 포지티브 전하 디렉터를 포함하며,
    상기 분산제는 폴리올레핀,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 메틸에테르, 폴리비닐 에틸에테르,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젤라틴, 메틸 셀룰로오즈, 메틸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즈, 에틸 셀룰로오즈,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즈의 소듐염, 스타치(starch), 질소 함유 폴리머 및 산 함유 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고,
    상기 포지티브 전하디렉터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산 금속염을 포함하며,
    상기 플라스티졸은 폴리입자 (아크릴산 폴리머 및 코폴리머, 아크릴아미드 폴리머, 산 그룹 변형된 아크릴산 폴리머, 산 변형된 아크릴아미드 폴리머, 염기 그룹 변형된 아크릴산 폴리머, 또는 염기 그룹 변형된 아크릴아미드 폴리머 및 코폴리(페닐렌 옥사이드)가 분말 형태로 포함된 열경화성 플라스티졸 입자 분산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잉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티졸의 산값이 50 내지 120 mg KOH/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잉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산 그룹과 아민 그룹의 혼합몰비가 1:0.09 내지 1:0.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잉크.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티브 전하디렉터가 지르코늄 옥타노에이트(zirconium octanoa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잉크.
  7. 삭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질소 함유 폴리머는,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아민, 폴리에틸렌이민, 아민 그룹 함유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아민 그룹 함유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와 (메타)아크릴레이트의 코폴리머 및 이들의 탄화수소 용해성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잉크.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제가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로부터 파생된 탄화수소 용해성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잉크.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착색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잉크.
  11. a) 카우리 부탄올 수치가 30 이하인 캐리어 액체;
    e) 아민값이 5 내지 200 mg KOH/g인 플라스티졸;
    f) 산 그룹을 갖고 있고, 상기 산 그룹과 아민 그룹간의 혼합몰비가 0.075:1 내지 0.3:1인 분산제; 및
    g) 네거티브 전하 디렉터를 포함하며,
    상기 분산제는 폴리아크릴산, 폴리메타크릴산, 폴리스티렌술폰산, 폴리비닐술폰산, 스티렌/말레산 코폴리머, 비닐 메틸 에테르/말레산 코폴리머 또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스티렌술폰산, 비닐술폰산 및 이들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모노머로부터 파생된 탄화수소 용해성 코폴리머를 포함하고,
    상기 네거티브 전하디렉터는 질소 함유 모노머, 4급 암모늄 블록 코폴리머, 레시틴, 염기성 바륨 페트로네이트(basic barium petronate), 염기성 칼슘 페트로네이트, 염기성 소듐 페트로네이트, 금속 나프테네이트(metal naphthenate) 화합물 및 폴리이소부틸렌 숙신이미드(polyisobutylene succinimd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고,
    상기 플라스티졸은 폴리입자 (아크릴산 폴리머 및 코폴리머, 아크릴아미드 폴리머, 산 그룹 변형된 아크릴산 폴리머, 산 변형된 아크릴아미드 폴리머, 염기 그룹 변형된 아크릴산 폴리머, 또는 염기 그룹 변형된 아크릴아미드 폴리머 및 코폴리(페닐렌 옥사이드)가 분말 형태로 포함된 열경화성 플라스티졸 입자 분산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잉크.
  12. 제1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티졸의 아민값이 30 내지 120 mg KOH/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잉크.
  13. 제1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산 그룹과 아민 그룹간의 혼합몰비가 0.09:1 내지 0.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잉크.
  14. 삭제
  15. 삭제
  16. 제1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착색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잉크.
  17. 제1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티졸이 평균 입경이 0.5 내지 3.5 미크론인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잉크.
  18. 제1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티졸이 평균 입경이 0.6 내지 3.0 미크론인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잉크.
  19. 제1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티졸이 평균 입경이 0.75 내지 2.5 미크론인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잉크.
  20. 표면상에 전하 분포를 제공하고, 잉크가 전하의 분포에 따라 차이나게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표면상에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제8항 내지 제13항, 제16항 내지 제19항중 어느 한 항의 액체 잉크를 제공하여 표면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형성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전하 분포가 표면상에 균일한 전하를 제공한 다음, 전하를 이미지 방향 분포대로 분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2-0044627A 2001-08-10 2002-07-29 안정화된 플라스티졸을 포함하는 액체 잉크 KR1004841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1164501P 2001-08-10 2001-08-10
US60/311,645 2001-08-10
US33811301P 2001-11-09 2001-11-09
US60/338,113 2001-11-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4578A KR20030014578A (ko) 2003-02-19
KR100484149B1 true KR100484149B1 (ko) 2005-04-18

Family

ID=26977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4627A KR100484149B1 (ko) 2001-08-10 2002-07-29 안정화된 플라스티졸을 포함하는 액체 잉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806013B2 (ko)
EP (1) EP1285952B1 (ko)
JP (1) JP2003176435A (ko)
KR (1) KR100484149B1 (ko)
CN (2) CN1324097C (ko)
DE (1) DE60200817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03614B2 (en) * 2003-12-05 2007-12-04 Fujifilm Corporation Ink composition and inkjet recording method
JP2006077206A (ja) * 2004-09-13 2006-03-23 Fuji Photo Film Co Ltd 液体インク組成物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US7611755B2 (en) * 2004-12-23 2009-1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phoretic stylus array printing with liquid ink
US7748748B2 (en) * 2005-04-12 2010-07-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nd authenticating documents having stored electrostatic pattern information
JP2007041163A (ja) * 2005-08-01 2007-02-15 Seiko Epson Corp 液体現像剤
JP4846324B2 (ja) * 2005-09-30 2011-12-2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平版印刷版の作製方法
CN101384630B (zh) * 2006-02-23 2013-05-15 三菱丽阳株式会社 (甲基)丙烯酸系聚合物粒子、其制造方法、增塑溶胶及物品
JP2007246692A (ja) * 2006-03-16 2007-09-27 Fujifilm Corp 混合物、インク組成物の保存方法、インク容器及び画像形成方法
US7976606B1 (en) * 2007-09-07 2011-07-12 GTL, Inc. Filter assembly with integral adhesive structural framework
JP5003455B2 (ja) * 2007-12-13 2012-08-15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湿式現像剤
JP5277800B2 (ja) * 2008-09-03 2013-08-2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現像剤
CN105068391B (zh) * 2008-11-05 2020-04-17 惠普开发有限公司 具有电荷引导剂体系的液体电子照相油墨
CN102272671B (zh) * 2008-12-30 2015-07-29 惠普开发有限公司 电子油墨和显示器以及图像显示方法
JP5434165B2 (ja) * 2009-03-16 2014-03-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現像剤および画像形成方法
JP5310202B2 (ja) * 2009-04-02 2013-10-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現像剤および画像形成方法
JP5609286B2 (ja) * 2009-08-20 2014-10-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現像剤および画像形成装置
WO2011046562A1 (en) * 2009-10-16 2011-04-2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Electronic inks
JP5521566B2 (ja) * 2010-01-19 2014-06-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現像剤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521567B2 (ja) * 2010-01-19 2014-06-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現像剤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521569B2 (ja) * 2010-01-20 2014-06-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現像剤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10632740B2 (en) 2010-04-23 2020-04-28 Landa Corporation Ltd. Digital printing process
BR112013004060A2 (pt) 2010-10-04 2016-07-05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toner liquido de elevado nvs, sitema de impressão e método para produzir um toner de elevado nvs para impressão eletrofotográfica líquida
US8926079B2 (en) * 2011-07-13 2015-01-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nk set
US10642198B2 (en) 2012-03-05 2020-05-05 Landa Corporation Ltd. Intermediate transfer members for use with indirect printing systems and protonatable intermediate transfer members for use with indirect printing systems
US9643400B2 (en) 2012-03-05 2017-05-09 Landa Corporation Ltd. Treatment of release layer
US9381736B2 (en) 2012-03-05 2016-07-05 Landa Corporation Ltd. Digital printing process
US9902147B2 (en) 2012-03-05 2018-02-27 Landa Corporation Ltd. Digital printing system
US10190012B2 (en) 2012-03-05 2019-01-29 Landa Corporation Ltd. Treatment of release layer and inkjet ink formulations
US9498946B2 (en) 2012-03-05 2016-11-22 Landa Corporation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 or monitoring of a printing system
CN104271687B (zh) 2012-03-05 2016-11-02 兰达公司 油墨膜构造
US9643403B2 (en) 2012-03-05 2017-05-09 Landa Corporation Ltd. Printing system
US10434761B2 (en) 2012-03-05 2019-10-08 Landa Corporation Ltd. Digital printing process
CA2866204C (en) 2012-03-05 2020-04-14 Landa Corporation Ltd. Ink film constructions
CN104284850B (zh) 2012-03-15 2018-09-11 兰达公司 打印系统的环形柔性皮带
WO2013184507A1 (en) 2012-06-04 2013-12-12 Owen Research Corporation Electronic display ink having inert pigment particles
US9782993B2 (en) 2013-09-11 2017-10-10 Landa Corporation Ltd. Release layer treatment formulations
GB201401173D0 (en) 2013-09-11 2014-03-12 Landa Corp Ltd Ink formulations and film constructions thereof
US9921512B2 (en) 2014-01-30 2018-03-20 Hp Indigo B.V. Electrostatic ink compositions
EP3194512B1 (en) * 2014-09-18 2020-04-22 Markem-Imaje Corporation Ink compositions
GB2536489B (en) 2015-03-20 2018-08-29 Landa Corporation Ltd Indirect printing system
GB2537813A (en) 2015-04-14 2016-11-02 Landa Corp Ltd Apparatus for threading an intermediate transfer member of a printing system
DE112017002714T5 (de) 2016-05-30 2019-02-28 Landa Corporation Ltd. Digitales Druckverfahren
GB201609463D0 (en) 2016-05-30 2016-07-13 Landa Labs 2012 Ltd Method of manufacturing a multi-layer article
US10591839B2 (en) 2016-07-28 2020-03-17 Hp Indigo B.V. Liquid electrophotographic ink composition
JP7206268B2 (ja) 2017-10-19 2023-01-17 ランダ コーポレイション リミテッド 印刷システム用の無端可撓性ベルト
WO2019088246A1 (ja) * 2017-11-06 2019-05-09 キヤノン株式会社 硬化型液体現像剤及び該硬化型液体現像剤を用いた画像形成方法
JP7225230B2 (ja) 2017-11-19 2023-02-20 ランダ コーポレイション リミテッド デジタル印刷システム
WO2019102297A1 (en) 2017-11-27 2019-05-31 Landa Corporation Ltd. Digital printing system
US11707943B2 (en) 2017-12-06 2023-07-25 Landa Corporation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gital printing
WO2019111223A1 (en) 2017-12-07 2019-06-13 Landa Corporation Ltd. Digital printing process and method
CN112399918B (zh) 2018-06-26 2023-01-31 兰达公司 数字印刷系统的中间传输构件
US10994528B1 (en) 2018-08-02 2021-05-04 Landa Corporation Ltd. Digital printing system with flexible intermediate transfer member
WO2020075012A1 (en) 2018-10-08 2020-04-16 Landa Corporation Ltd. Friction reduction means for printing systems and method
CN113272144B (zh) 2018-12-24 2023-04-04 兰达公司 数字印刷系统和方法
EP4066064A4 (en) 2019-11-25 2024-01-10 Landa Corp Ltd INK DRYING IN DIGITAL PRINTING WITH INFRARED RADIATION ABSORBED BY PARTICLES EMBEDDED WITHIN AN ITM
US11321028B2 (en) 2019-12-11 2022-05-03 Landa Corporation Ltd. Correcting registration errors in digital printing
KR102599226B1 (ko) * 2020-12-18 2023-11-07 썬 케미칼 코포레이션 수성 안료 잉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3558A (en) * 1985-05-29 1986-11-18 W. R. Grace & Co. Reactive plastisol dispersion
JPH06340836A (ja) * 1993-05-31 1994-12-13 Sumitomo Chem Co Ltd ロータリースクリーン印刷用ペーストゾル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US5698616A (en) * 1995-09-29 1997-12-1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Liquid inks using a gel organosol
KR20020056822A (ko) * 2000-12-29 2002-07-10 윤종용 오가노졸 및 이를 포함하는 액체 잉크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77698A (en) 1988-05-23 1989-10-31 Xerox Corporation Electrophotographic process for generating two-color images using liquid developer
US4923778A (en) 1988-12-23 1990-05-08 D X Imaging Use of high percent solids for improved liquid toner preparation
US5108863A (en) 1989-06-08 1992-04-28 Xerox Corporatio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of encapsulated toner compositions
US5066559A (en) 1990-01-22 1991-11-1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Liquid electrophotographic toner
US4988602A (en) 1990-04-18 1991-01-2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 Liquid electrophotographic toner with acid containing polyester resins
DE69120157T2 (de) 1990-07-19 1997-02-06 Agfa Gevaert Nv Trockne elektrostatografische Entwicklerzusammensetzung
US6146803A (en) 1991-03-28 2000-11-14 Indigo N.V. Polymer blend liquid toner compositions
US5306590A (en) 1991-12-23 1994-04-26 Xerox Corporation High solids liquid developer containing carboxyl terminated polyester toner resin
JP2800558B2 (ja) 1992-04-22 1998-09-2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静電荷像現像用マイクロカプセルトナーおよびマイクロカプセルの形成法
US5629367A (en) 1992-05-26 1997-05-13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of making pigment concentrate particles and product of same
US5792584A (en) 1992-08-21 1998-08-11 Indigo N.V. Preparation of liquid toners containing charge directors and components for stabilizing their electrical properties
US5298355A (en) 1992-11-13 1994-03-29 Eastman Kodak Company Toner composition with semi-crystalline polyester wax and method of preparation
US5298356A (en) 1992-11-13 1994-03-29 Eastman Kodak Company Toner composition with elastomeric thermoplastic polymer and process of preparing
US5998081A (en) * 1992-12-04 1999-12-07 Xerox Corporation Development processes
JPH07160038A (ja) 1993-12-08 1995-06-23 Fuji Xerox Co Ltd 静電荷現像用トナ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718915B2 (ja) 1995-10-16 2005-11-24 味の素株式会社 顔料分散剤
US5679138A (en) * 1995-11-30 1997-10-21 Eastman Kodak Company Ink jet inks containing nanoparticles of organic pigments
US5908727A (en) 1996-07-25 1999-06-01 Kao Corporation Binder and toner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image containing the same
US6117607A (en) 1996-10-11 2000-09-12 Kao Corporation Full color toner for nonmagnetic one-component development
JPH10298472A (ja) * 1997-04-25 1998-11-10 Fuji Photo Film Co Ltd インクジェット式製版印刷版用油性インクおよびそれを用いた製版印刷版の作成方法
US6037090A (en) 1997-07-03 2000-03-14 Fuji Xerox Co., Ltd. Toner for electrophotography and method of preparation thereof
US5968702A (en) 1997-11-24 1999-10-19 Eastman Kodak Company Toner particles of controlled shape and method of preparation
US5998075A (en) 1998-06-19 1999-12-07 Minolta Co., Ltd. Liquid developer
US6053438A (en) * 1998-10-13 2000-04-25 Eastman Kodak Company Process for making an ink jet ink
JP2000313832A (ja) * 1998-10-30 2000-11-14 Fuji Photo Film Co Ltd 静電式インクジェット用油性インク
JP3065073B1 (ja) 1999-04-01 2000-07-12 花王株式会社 フルカラ―用トナ―
US6210474B1 (en) * 1999-06-04 2001-04-03 Eastman Kodak Company Process for preparing an ink jet in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3558A (en) * 1985-05-29 1986-11-18 W. R. Grace & Co. Reactive plastisol dispersion
JPH06340836A (ja) * 1993-05-31 1994-12-13 Sumitomo Chem Co Ltd ロータリースクリーン印刷用ペーストゾル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US5698616A (en) * 1995-09-29 1997-12-1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Liquid inks using a gel organosol
KR20020056822A (ko) * 2000-12-29 2002-07-10 윤종용 오가노졸 및 이를 포함하는 액체 잉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24097C (zh) 2007-07-04
KR20030014578A (ko) 2003-02-19
DE60200817T2 (de) 2005-01-05
JP2003176435A (ja) 2003-06-24
CN1676557A (zh) 2005-10-05
US6806013B2 (en) 2004-10-19
EP1285952B1 (en) 2004-07-28
DE60200817D1 (de) 2004-09-02
CN1226358C (zh) 2005-11-09
US20030032700A1 (en) 2003-02-13
CN1403510A (zh) 2003-03-19
EP1285952A1 (en) 2003-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4149B1 (ko) 안정화된 플라스티졸을 포함하는 액체 잉크
KR100514739B1 (ko) 안정화된 오가노졸을 포함하는 액체 잉크
JP3610037B2 (ja) 表面処理された着色剤を含む液体インキ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403606B1 (ko) 액체 전자사진용 상전이 현상제 및 이를 이용한전자사진적인 화상 형성방법
US7166405B2 (en) Organosol including high Tg amphipathic copolymeric binder and liquid toners for electrophotographic applications
KR100457514B1 (ko) 오가노졸 및 이를 포함하는 액체 잉크
US20050160938A1 (en) Liquid inks comprising stabilizing organosols
JP2004163954A (ja) 湿式電子写真用トナー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電子写真画像形成方法
US4966825A (en) Method for producing electrophotographic liquid developer
US4822710A (en) Liquid developer compositions
EP0278785B1 (en) Liquid developer compositions with high transfer efficiency
JP2614051B2 (ja) 電子写真用液体現像剤の製造法
US7008745B2 (en) Gel organosol including amphipathic copolymeric binder having selected molecular weight and liquid toners for electrophotographic applications
KR100520925B1 (ko) 액체 잉크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JPS6015063B2 (ja) 電子写真用混合液体ト−ナ−
JPS62231265A (ja) 静電写真用液体現像剤
JPS6156359A (ja) 静電写真用液体現像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