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8263B1 - 반도체 제조 장치에서의 소자 분리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제조 장치에서의 소자 분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8263B1
KR100478263B1 KR10-2003-0006881A KR20030006881A KR100478263B1 KR 100478263 B1 KR100478263 B1 KR 100478263B1 KR 20030006881 A KR20030006881 A KR 20030006881A KR 100478263 B1 KR100478263 B1 KR 100478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ide film
film
polysilicon
forming
nitrid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6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0701A (ko
Inventor
이계훈
Original Assignee
동부아남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아남반도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아남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6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8263B1/ko
Publication of KR20040070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0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8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82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Making of isolation regions between components
    • H01L21/762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 H01L21/76224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using trench refilling with dielectric materials
    • H01L21/76237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using trench refilling with dielectric materials introducing impurities in trench side or bottom walls, e.g. for forming channel stoppers or alter isolation behavi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225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 H01L21/022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 H01L21/02263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deposition from the gas or vapour phase
    • H01L21/02271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deposition from the gas or vapour phase deposition by decomposition or reaction of gaseous or vapour phase compounds,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6Bombardment with radiation
    • H01L21/263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 H01L21/265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producing ion implantation
    • H01L21/26506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producing ion implantation in group IV semiconductors
    • H01L21/26513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producing ion implantation in group IV semiconductors of electrically active spec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H01L21/8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 H01L21/82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using silicon technology
    • H01L21/8232Field-effect technology
    • H01L21/8234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 H01L21/8238Complementary field-effect transistors, e.g. CMOS
    • H01L21/823892Complementary field-effect transistors, e.g. CMOS with a particula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wells or tubs, e.g. twin tubs, high energy well implants, buried implanted layers for lateral isolation [BILL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lement Separation (AREA)

Abstract

반도체 제조 장치에서의 소자 분리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자 분리 방법은, 반도체 소자 분리 형성 방법으로서, 반도체 기판에 패드 산화막과 폴리 실리콘, 감광막 패터닝을 순차적으로 형성한 후 소자 분리 영역만 남기고 폴리 실리콘을 식각하여 에슁 및 세정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와; APCVD로 산화막을 증착시켜 산화막 에치백을 수행하는 단계와; 웰 형성을 위한 패터닝 공정을 수행하여 이온 주입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와; NP 웰을 형성시키고 도펀트를 확산시키기 위한 RTA(Rapid Thermal Annealing)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와; 질화막을 증착한 후 CMP 기법을 사용하여 평탄화하는 단계와; 질화막을 마스크로 하여 폴리 실리콘과 패드 산화막, 실리콘 기판을 순차적으로 식각하는 단계와; 내부 산화막(라이너 산화막)을 증착시키고 트렌치 내부를 TEOS(TetraEthylOrthoSilicate) 산화막으로 채운 후, 질화막이 일정 두께 남도록 CMP 기법을 사용하여 평탄화하는 단계와; 인산을 이용하여 질화막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트렌치를 형성하기 전에 스페이스를 형성하여 활성화 영역과 소자 분리 영역의 산화막을 보호함으로써 게이트 산화막이 형성되었을 때 소자의 신뢰성과 수율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며, 트렌치 후에 진행하는 이온 주입 공정에 의한 결함 발생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반도체 제조 장치에서의 소자 분리 방법{ISOLATION METHOD IN A SEMICONDUCTOR MANUFACTURING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 분리 및 소자 형성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웰(well) 부분을 증가시키고 트렌치를 형성하는데 적합한 반도체 제조 장치에서의 소자 분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소자의 고집적화가 진행되면서 반도체 소자 분리 기술은 보다 복잡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도 1a 내지 도 1g는 종래의 반도체 제조 장치에서의 소자 분리 과정을 도시한 공정 단면도이다.
먼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으로서 실리콘 기판(100)을 열산화하여 패드 산화막(pad oxide)(102)을 100Å∼200Å 성장시키고, 그 위에 하드 마스크(hard mask)막으로서 질화막(104)을 1500Å∼2000Å 형성한다.
그런 다음, 이 질화막(104) 상부에 감광막(photo resist)(106)를 도포하고 반도체 소자분리용 마스크를 이용하여 감광막(106)을 노광 및 현상하여 반도체 소자의 활성 영역(active region)과 소자분리 영역(isolation region)을 정의하는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한다.
그리고, 도 1b에서는, 감광막 패턴(106)을 사용한 건식 식각(dry etch) 공정으로 적층된 질화막(104)과 패드 산화막(102) 및 실리콘 기판(100)을 소정 깊이, 예컨대, 3000Å∼5000Å로 식각한 후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함으로써 셸로우 트렌치 소자 분리막(STI : Shallow Trench Isolation)이 형성될 부위인 트렌치를 형성하게 된다.
계속해서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과물에 트렌치가 매립되도록 갭필 절연막으로서 실리콘 산화막(SiO2)(108) 및 APCVD로 형성된 TEOS(TetraEthylOrthoSilicate)(110)를 증착한다.
그런 후, 도 1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질화막(104)이 드러날 때까지 갭필 절연막(110)을 화학적 기계적 연마(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 CMP)로 식각하여 그 표면을 평탄화한다. 그리고 나서, 인산 용액 등으로 질화막(104)을 제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셸로우 트렌치 소자 분리막을 완성한다.
이때, 도 1d의 과정에서는,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렌치 상단의 양 부분이 평탄화의 영향으로 인해 리키지(leakage)(112)가 발생될 수 있다.
한편, 비활성 영역에 STI 패턴이 형성되면, 도 1e에서와 같이, 활성 영역에 보론(Boron) 이온 주입 공정을 이용하여 반도체 소자의 문턱 전압을 조절하기 위한 이온(VTN 이온)을 주입하여 VTN 이온 주입층을 형성한다.
그리고, 도 1f에서는 활성 영역에 포스포러스(Phosphorus) 이온 주입 공정을 이용하여 반도체 소자의 문턱 전압을 조절하기 위한 이온(VTP 이온)을 주입하여 VTP 이온 주입층을 형성한다.
끝으로, 도 1g에서는 포스트 임플란트(Post Implant) 세정 후 RTA(Rapid Thermal Annealing) 공정을 수행하여 이온 주입에 의한 데미지를 완화시킨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STI 공정은 도 1d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산화막(110)과 질화막(104)을 세정하면서 활성화 영역과 소자 분리 영역의 경계면이 취약해져 게이트 산화막에 영향을 주어 다이오드 리키지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특히, 최근에 이용되는 셸로우 트렌치 분리 공정에서도 소자 분리시 리키지 문제가 매우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세정시 손실되는 산화막을 보호하여 활성화 영역과 소자 분리 영역을 보호하고 이온 주입 공정을 STI 공정 이전에 함으로써, 기존의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온 주입에 의한 결함을 줄일 수 있고 어닐링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원가 절감과 소자를 보호하고 수율을 높이도록 한 반도체 제조 장치에서의 소자 분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반도체 소자 분리 형성 방법에 있어서, 반도체 기판에 패드 산화막과 폴리 실리콘, 감광막 패터닝을 순차적으로 형성한 후 소자 분리 영역만 남기고 폴리 실리콘을 식각하여 에슁 및 세정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와; APCVD로 산화막을 증착시켜 산화막 에치백을 수행하는 단계와; 웰 형성을 위한 패터닝 공정을 수행하여 이온 주입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와; NP 웰을 형성시키고 도펀트를 확산시키기 위한 RTA(Rapid Thermal Annealing)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와; 질화막을 증착한 후 CMP 기법을 사용하여 평탄화하는 단계와; 질화막을 마스크로 하여 폴리 실리콘과 패드 산화막, 실리콘 기판을 순차적으로 식각하는 단계와; 내부 산화막(라이너 산화막)을 증착시키고 트렌치 내부를 TEOS 산화막으로 채운 후, 질화막이 일정 두께 남도록 CMP 기법을 사용하여 평탄화하는 단계와; 인산을 이용하여 질화막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제조 장치에서의 소자 분리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 2a 내지 도 2n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제조 장치에서의 소자 분리 과정을 도시한 공정 단면도이다.
먼저,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으로서 실리콘 기판(200)을 열산화하여 제 1 산화막, 예컨대, 패드 산화막(202)을 성장시킨다.
그런 다음, 도 2b에서는 이 패드 산화막(202) 상부에 폴리 실리콘(204)을 증착하여 패터닝한 후, 소자 분리를 위한 영역만을 남긴 나머지 부분을 식각하고 에슁 및 세정 공정을 진행한다. 이때, 이러한 폴리 실리콘(204)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3500Å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2b의 공정 진행 후, 도 2c에서는 PECVD 또는 APCVD 기법을 이용하여 200 내지 3000Å 두께의 제 2 산화막(206)을 증착한다.
그런 후, 도 2d에서는 이 PECVD 또는 APCVD로 증착된 산화막(206)을 에치백하여 폴리 실리콘(204) 측면에 스페이스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이러한 스페이스는 폴리 실리콘(204) 높이의 20 내지 100%가 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2e에서는 VTN 패터닝을 수행하여 N 채널에 보론 펀치 쓰루(Boron punch through) 이온 주입과 채널 스톱 이온 주입, P 웰 이온 주입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P 웰을 형성한다.
또한, 도 2f에서는 VTP 패터닝을 수행하여 P 채널에 포스포러스 펀치 쓰루(Phosphrous punch through) 이온 주입과 채널 스톱 이온 주입, N 웰 이온 주입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N 웰을 형성한다.
이러한 N/P 웰을 형성한 후, 도 2g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결함을 줄이기 위한 RTA(Rapid Thermal Annealing) 공정을 수행한다.
즉, 본 발명은 후속되는 STI 공정 이전에 이온 주입 공정이 선행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한편, 도 2h 및 도 2i에서는 이러한 RTA 공정 수행 후 그 상부에 질화막(208)을, 예컨대, 500 내지 3000Å 두께로 증착하고, CMP 기법을 이용하여 상부층을 평탄화함으로써, 질화막(208)의 두께가 200Å을 유지하도록 한다.
도 2j에서는 이러한 잔여 질화막(208)을 마스크로 하여 폴리 실리콘(204)과 그 하부의 산화막(202), 그리고 실리콘 기판(200)을 소정 깊이, 예컨대, 1000Å∼5000Å로 순차적으로 식각한 후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함으로써 셸로우 트렌치 소자 분리막(STI 막)이 형성될 부위인 트렌치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도 2k에서는 도 2j 공정 수행 후, 트렌치 하부의 코너 부분의 리키지 감소를 위하여 트렌치 내부와 질화막 외부에 노(furnace)를 이용하여 50 내지 500Å 두께의 제 3 산화막(210)을 형성한다.
그런 다음, 도 2l 및 도 2m에서는 APCVD 기법을 이용하여 5500 내지 10000Å 깊이의 제 4 산화막, 예컨대, TEOS(TetraEthylOrthoSilicate) 산화막 또는 NSG(Nondoped Silica Glass) 산화막(212)으로 트렌치 내부를 충진시키고, CMP 기법을 이용하여 질화막(208)을 노출시킨다.
끝으로, 도 2n에서는, 인산을 이용하여 질화막(208)을 제거함으로써, 소자 분리 영역과 활성화 영역을 형성한다.
도 2n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게이트 산화막 형성 후 트렌치 상단 양쪽 끝부분의 모양이 종래와 같은 버드 비이크(Bird's beak) 형상이 아니기 때문에, 리키지가 발생되지 않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트렌치를 형성하기 전에 스페이스를 형성하여 활성화 영역과 소자 분리 영역의 산화막을 보호함으로써 게이트 산화막이 형성되었을 때 소자의 신뢰성과 수율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며, 트렌치 후에 진행하는 이온 주입 공정에 의한 결함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또한, STI 내에 하이 도펀트(high dopant)를 웰에 유지시킬 수 있어, N/P 분리 내압을 유지시킬 수 있으며, STI 형성 후에 웰 이온 주입에 의한 결함을 없애기 위한 열처리 공정이 필요없기 때문에 실리콘 기판의 결함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예에 근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도 1a 내지 도 1g는 종래의 반도체 제조 장치에서의 소자 분리 과정을 도시한 공정 단면도,
도 2a 내지 도 2n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제조 장치에서의 소자 분리 과정을 도시한 공정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기판 202, 206, 210, 212 : 산화막
204 : 폴리실리콘 208 : 질화막

Claims (8)

  1. 반도체 소자 분리 형성 방법에 있어서,
    실리콘 기판 상부에 제 1 산화막을 형성한 후 폴리 실리콘을 증착하는 제 1 단계와;
    감광막으로 패터닝하여 상기 폴리 실리콘을 소자 분리 영역만 남도록 식각한 다음, 상기 감광막을 에슁하고 세정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 수행 후, 제 2 산화막을 증착시킨 다음 에치백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산화막을 식각함으로써, 상기 폴리 실리콘 양측면에 스페이스를 형성하는 제 3 단계와;
    N/P 웰을 형성하기 위한 감광막으로 패터닝하고, 각 채널을 이온 주입하고 어닐링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제 4 단계 수행 후, 질화막을 증착하여 소자 분리 영역을 형성하고, 1차 CMP 평탄화 공정을 수행하는 제 5 단계와;
    상기 질화막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폴리 실리콘과 상기 제 1 산화막, 상기 실리콘 기판을 순차 식각한 후 트랜치 내부의 제 3 산화막을 형성하고, 상기 트렌치 내부를 제 4 산화막으로 충진하는 제 6 단계와;
    상기 제 4 산화막과 상기 질화막의 일부를 2차 CMP하여 평탄화한 후 인산을 이용하여 상기 질화막을 제거하는 제 7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제조 장치에서의 소자 분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 실리콘의 두께는 500 내지 3500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제조 장치에서의 소자 분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산화막은 PECVD 또는 APCVD 기법에 의해 200 내지 3000Å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제조 장치에서의 소자 분리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스는 상기 폴리 실리콘 높이의 20 내지 100% 까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제조 장치에서의 소자 분리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웰 형성을 위해 상기 이온 주입과 어닐링을 STI(Shallow Trench Isolation)전에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제조 장치에서의 소자 분리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질화막을 500 내지 3000Å 두께로 증착하되, 상기 1차 CMP 후 상기 질화막의 두께가 200Å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제조 장치에서의 소자 분리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6 단계에서의 식각 깊이는 1000 내지 5000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제조 장치에서의 소자 분리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산화막의 두께는 50 내지 500Å이며, 상기 제 4 산화막의 충진 깊이는 5500 내지 10000Å이되, 상기 제 4 산화막은 APCVD 기법에 의한 NSG(Nondoped Silica Glass) 또는 TEOS(TetraEthylOrthoSlicate) 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제조 장치에서의 소자 분리 방법.
KR10-2003-0006881A 2003-02-04 2003-02-04 반도체 제조 장치에서의 소자 분리 방법 KR100478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6881A KR100478263B1 (ko) 2003-02-04 2003-02-04 반도체 제조 장치에서의 소자 분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6881A KR100478263B1 (ko) 2003-02-04 2003-02-04 반도체 제조 장치에서의 소자 분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0701A KR20040070701A (ko) 2004-08-11
KR100478263B1 true KR100478263B1 (ko) 2005-03-23

Family

ID=37358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6881A KR100478263B1 (ko) 2003-02-04 2003-02-04 반도체 제조 장치에서의 소자 분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826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0701A (ko) 2004-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3731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1821413B1 (ko) 소자분리구조물,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소자분리 구조물 제조 방법
US20020004285A1 (en) Stress-free shallow trench isolation
KR0157875B1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KR100355776B1 (ko) 평면 실리콘-온-절연 기판 및 그 형성 방법
KR100478263B1 (ko) 반도체 제조 장치에서의 소자 분리 방법
JP3719854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361764B1 (ko) 반도체소자의 소자분리막 형성방법
JP2004363121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268907B1 (ko) 반도체소자의격리막및이의형성방법
KR100875346B1 (ko) 셀로우 트렌치 소자분리막의 제조방법
KR100478266B1 (ko) 반도체 제조 장치에서의 소자 분리 방법
GB2368460A (en) Reducing dishing related issues during the formation of shallow trench isolation structures
KR100500943B1 (ko) 선택적 실리콘 리세스로 모우트를 방지한 반도체 소자의제조방법
KR100779398B1 (ko) 반도체 소자의 소자 분리막 형성 방법
KR100523606B1 (ko) 반도체 제조 장치에서의 소자 분리 방법
KR100519648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567872B1 (ko) 반도체 제조 장치에서의 소자 분리막 형성 방법
KR100520512B1 (ko) 질소 이온 주입 공정을 포함한 반도체 제조 방법
KR100277435B1 (ko) 반도체 장치의 트렌치 격리 형성 방법
KR100567027B1 (ko) 얕은 트렌치 아이솔레이션 구조를 사용하는 소자에서 험프특성을 최소화하는 방법
KR100849361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664794B1 (ko) Sti 제조 방법
KR20030001179A (ko) 반도체 소자의 소자 격리층 형성 방법
CN117293082A (zh) 半导体器件沟槽结构的制作方法及半导体器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