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8062B1 - 인증 마크가 있는 라벨을 가진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인증 마크가 있는 라벨을 가진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8062B1
KR100478062B1 KR10-2002-0045181A KR20020045181A KR100478062B1 KR 100478062 B1 KR100478062 B1 KR 100478062B1 KR 20020045181 A KR20020045181 A KR 20020045181A KR 100478062 B1 KR100478062 B1 KR 100478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ptacle
label
electronic device
main body
electronic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5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9860A (ko
Inventor
미나구치히로유키
호리이야스유키
다지마노부야스
도코로마사타카
아리사카다카유키
스즈키야스유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30019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9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8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80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integrated loudspeakers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부품(36)을 내장한 본체(2)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1)에 관한 것이다. 본체(2)는 기능성 부품(19)이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리셉터클(18c)과, 전자 부품(36)이 설치된 전자 장치가 인증되었음을 표시하는 라벨(38)을 포함한다. 라벨(38)은 기능성 부품(19)이 리셉터클(18c)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그 리셉터클(18c)을 통하여 본체(2)의 외부로 노출된다.

Description

인증 마크가 있는 라벨을 가진 전자 장치{ELECTRONIC APPARATUS HAVING LABEL WITH CERTIFICATION MARKS}
본 발명은 예컨대,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진 전자 부품이 설치된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 장치가 관련 전파 법령에 의해 인증되었음을 나타내는 라벨을 그 전자 장치에 부착하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컴퓨터와 같은 전자 장치는 상품성으로서의 그들의 가치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휴대성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최근의 휴대용 컴퓨터는 얇고 소형으로 설계된다. 따라서, 그들 본체의 내부 공간이 점점 좁아지는 경향이 있다. 그리하여, CPU를 구비하는 회로 기판,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배터리 등의 많은 부품들이 본체 내에 조밀하게 내장되어 있다.
반면에, 무선 LAN과 같은 무선 통신 모듈이 설치된 각종 휴대용 컴퓨터가 현재 이용가능하다. 이러한 휴대용 컴퓨터는 무선 장치가 고려되기 때문에 판매 지역 또는 국가의 관계 법령에 의해 인증될 필요가 있다. 또한, 그 제조자는 컴퓨터가 인증되었음을 제시하여야 한다. 특정의 국가 또는 지역에서는 각각의 컴퓨터가 인증된 것임을 표시하는 마크 또는 기호를 갖는 라벨을 각 컴퓨터에 부착하고 그 라벨이 보일 수 있게 하여야 한다.
현재의 휴대용 컴퓨터에서는 상기 라벨이 본체의 오목부 내에 장착된 모뎀 장치에 부착되고, 제거가능한 뚜껑(나사로 고정할 수 있음)이 상기 오목부를 덮도록 상기 오목부 내의 모뎀 장치 위에 직접 배치되어 있다. 뚜껑을 제거하였을 때, 마크 또는 기호가 형성된 라벨은 본체의 외부에서 볼 수 있는 상태로 된다.
본체 내에 설치된 무선 통신 모듈에 대응하게 또는 인접하게 표시 라벨을 배치할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하면, 그 위치가 제한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부품들이 본체 내에 조밀하게 내장된다. 따라서, 라벨 및 확인창을 위한 공간 확보가 매우 곤란하고, 그에 따라 레이아웃이 어려워진다. 확인창의 배치에 따라서, 라벨을 보기가 매우 어려워질 수도 있다.
더욱이, 종래의 휴대용 컴퓨터에 있어서는 본체가 개폐 가능한 뚜껑을 지지하기 위한 그러한 구성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구성이 복잡하게 되고 다수의 부품들을 요구하게 된다. 결국, 관련 비용이 증가한다.
본 발명은 본체에 내장된 라벨을 쉽게 인식할 수 있고, 상기 본체는 간단한 구조이면서 소수의 부품들로 형성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 및 장점들은 이하의 설명에서 나타나고, 부분적으로는 그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거나 또는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이후 특별히 지적되는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하여 실현되고 얻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 통합되어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전술한 일반론 및 이하에서 기재되는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데 기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전자 장치로서의 휴대용 컴퓨터(1)를 도시한 것이다. 휴대용 컴퓨터(1)는 본체(2)와 디스플레이 유닛(3)을 포함한다. 본체(2)는 평평한 박스형 하우징(4)을 포함한다. 하우징(4)은 바닥(4a), 상부벽(4b), 좌측벽 및 우측벽(4c), 전방벽(4b) 및 후방벽(4e)을 갖는다. 상부벽(4b)은 손바닥 받침(palm rest)(5)과 키보드 장착부(6)를 갖는다. 손바닥 받침(5)은 하우징(4)의 상부벽(4b)의 전방부에 형성되고 하우징(4)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키보드 장착부(6)는 손바닥 받침(5) 뒤에 배치되며 키보드(7)를 갖는다.
디스플레이 유닛(3)은 디스플레이 하우징(10)과 액정 표시부(11)를 포함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하우징(10)은 평평하고 박스형으로 되어 있으며, 그 앞쪽에 개구(12)를 갖고 있다. 액정 표시부(11)는 문자와 이미지 등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화면(11a)을 갖는다. 표시 화면(11a)은 개구(12)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하우징(10)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디스플레이 하우징(10)은 그 일단부에 다리부(13)를 갖는다. 다리부(13)는 디스플레이 하우징(10)의 길이방향의 중간 부분에 배치되며, 하우징(4)의 후단부에 힌지 유닛(도시 생략)에 의해 결합되는 돌기를 형성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유닛(3)은 손바닥 받침(5) 및 키보드(7) 위에 접혀지는 폐쇄 위치와, 똑바로 서서 손바닥 받침(5), 키보드(7) 및 표시 화면(11a)을 노출시키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선회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 박스(15a, 15b)는 하우징(4)의 상부벽(4b)의 후방 코너부에 분리되어 설치되고 상향으로 돌출하여 있다. 디스플레이 하우징(10)의 다리부(13)는 상기 스피커 박스(15a, 15b) 사이에 배치된다.
스피커 박스(15a, 15b)는 후방벽(4e)에 결합된 각각 아치형인 스피커 커버(16a, 16b)를 갖는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부(13)는 아치형의 뒷면을 가지며, 디스플레이 하우징(10)은 아치형의 뒷면을 갖는다. 디스플레이 유닛(3)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다리부(13)의 아치형 뒷면과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10)의 아치형 뒷면은 스피커 커버(16a, 16b)의 아치형 윗면과 인접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는 하우징(4)의 바닥(4a)과 평행한 인쇄 회로 기판(17)을 포함한다. 인쇄 회로 기판(17)은 손바닥 받침(5) 아래에 배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는 제1 내지 제3 리셉터클(18a, 18b, 18c)을 포함한다. 제1 리셉터클(18a)은 배터리 팩(도시 생략)을 수용한다. 제2 리셉터클(18b)은 DVD 드라이브 유닛(도시 생략)을 수용한다. 제3 리셉터클(18c)은 기능성 부품으로서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19)을 수용한다. 제1 및 제3 리셉터클(18a, 18c)은 손바닥 받침(5) 아래에서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본체가 뒤집혀진 상태, 즉 바닥(4a)이 상부벽(4b) 위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4 및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3 리셉터클(18c)은 오목부(21)를 갖는다. 오목부(21)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19)이 그 내부에 고정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 오목부(21)는 하우징(4)의 바닥(4a)에 형성된 직사각형 개구(22)와 이 개구(22)에 대향하는 바닥(21a)을 구비한다. 바닥(21a)의 더 큰 부분은 인쇄 회로 기판(17)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인쇄 회로 기판(17)은 제3 리셉터클(18c)을 통하여 노출되며, 그 노출된 부분은 투명 절연 시트(23)로 덮여진다.
인쇄 회로 기판(17)은 커넥터(25)를 가지며, 이 커넥터(25)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19)이 오목부(21)에 수용되었을 때 상기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19)의 말단부에 형성된 커넥터 리셉터클(26)에 대향하게 상기 오목부(21) 내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19)이 오목부(21) 내에 삽입된 후 커넥터(25)로 미끄러지면 상기 커넥터(25)는 리셉터클(26)에 고정된다. 그 결과,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19)은 인쇄 회로 기판(17)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19)은 손잡이 탭(27)을 갖는다. 손잡이 탭(27)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19)을 오목부(21)로부터 떼어내기 위하여 붙잡는 곳이다. 손잡이 탭(27)은 커넥터 리셉터클(26)과 관련하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19)의 반대쪽 단부에 고정된다. 따라서, 손잡이 탭(27)을 붙잡고 커넥터(25)로부터 뽑아냄으로써 커넥터 리셉터클(26)이 커넥터(25)로부터 분리된다. 그 결과,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19)은 인쇄 회로 기판(17)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제3 리셉터클(18c)의 개구(22)는 하우징(4)의 바닥(4a)에 2개의 나사(29)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 뚜껑(28)으로 덮여진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 회로 기판(17)은 제3 리셉터클(18c)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전술한 절연 시트(23)로 덮여지는 직사각형 관통홀(31)을 갖는다. 절연 시트(23)는 관통홀(31)에 대응하는 위치에 절개부(32)를 갖는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부(32)는 제1 내지 제3 직선(32a, 32b, 32c)에 의해 한정된다. 제1 및 제2 직선(32a, 32b)은 그 사이에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연장한다. 제3 직선(32c)은 제1 직선 및 제2 직선(32a, 32b)을 접속한다. 절연 시트(23)를 제1 내지 제3 직선(32a, 32b, 32c)을 따라 절개하여 얻어진 부분은 관통홀(31)을 노출시키도록 뒤로 휘어질 수 있는 커버부(33)로써 사용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 회로 기판(17)은 제3 리셉터클(18c)의 반대쪽에 위치된 장착면(17a)을 포함한다. 전자 장치로서의 MDC(Mobile audio/modem Daughter Card) 유닛(36)은 복수개의 스터드 볼트(35)에 의해 장착면(17a) 상에 장착된다. 스터드 볼트(35)는 관통홀(31) 주변에 위치하며 장착면(17a)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한다. 따라서, MDC 유닛(36)은 스터드 볼트(35)의 길이만큼 상기 장착면(17a) 위에 위치된다. 또한, MDC 유닛(36)은 관통홀(31)에 대면하며, 이것에 의해 그 사이에 저장 공간(37)을 형성한다.
MDC 유닛(36)은 무선 통신 기능을 갖고 있다. MDC 유닛(36)이 설치된 휴대용 컴퓨터(1)는 일종의 무선 유닛(radio unit)이다. 그러므로, 휴대용 컴퓨터(1)를 판매할 때, 그 컴퓨터는 그 판매 국가 또는 지역의 관계 법령에 의해 인증될 필요가 있다. 또한, 휴대용 컴퓨터(1)의 제조자는 그 모델이 인증 시험에 통과되었음을 제시해야 하고, 또 특정의 국가 또는 지역에서는 상기 인증 시험 통과를 표시하는 가시적인 라벨을 만들어야 한다.
이점에 비추어, 이 실시예에서는 휴대용 컴퓨터(1)가 모델 인증 시험에 통과되었음을 표시하는 라벨(38)을 저장 공간(37)에 수용한다. 라벨(38)은 띠(strip) 형상으로 되어 있고, 휴대용 컴퓨터(1)가 미리 정해진 규격을 만족시키고 있음을 인증하는 복수개의 마크(39) 및 기호(40)가 인쇄되어 있다. 라벨(38)의 폭방향의 일단부는 MDC 유닛(36)에 고정되어 있다. 라벨(38)은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접는선(41)을 갖고 있으며, 그 선에서 라벨(38)이 접혀질 수 있다. 접혀진 라벨(38)은 절연 시트(23)의 커버부(33)에 의해 저장 공간(37)에 유지된다.
이제, 라벨(38) 위의 마크(39) 및 기호(40)를 시각적으로 확인하는 절차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뚜껑(28)을 고정하는 나사(29)를 풀어서 제거함으로써 뚜껑(28)을 하우징(4)의 바닥(4a)으로부터 분리한다. 그 결과,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19)이 제3 리셉터클(18c)의 개구(22)를 통하여 노출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19)의 손잡이 탭(27)을 잡아서 커넥터(25)로부터 뽑아낸다. 이 때,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19)은 커넥터(25)로부터 미끄러져 빠져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19)이 커넥터 리셉터클(26)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19)은 인쇄 회로 기판(17)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제3 리셉터클(18c)로부터 제거된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19)이 제3 리셉터클(18c)로부터 제거되고 나면, 오목부(21)의 바닥(21a) 위의 절연 시트(23)가 노출된다. 절연 시트(23)는 투명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이 절연 시트(23)를 통하여 인쇄 회로 기판(17)의 관통홀(31) 및 저장 공간(37)을 볼 수 있다.
그 후에, 사용자는 절연 시트(23)의 커버부(33)를 뒤로 구부려서, 이제 저장 공간(37)으로부터 회수될 수 있게 된 라벨(38)까지, 관통홀(31)을 통하여, 입구를 확보한다. 그 결과, 라벨(38)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띠모양으로 펼쳐져서 그 위에 형성된 마크(39) 및 기호(40)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조에서, 저장 공간(37)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19)을 저장하기 위한 제3 리셉터클(18c)의 바닥(21a) 내에 형성되고, 라벨(38)은 그 공간(37) 내에 저장된다. 따라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19)이 제3 리셉터클(18c)에 있지 않는 경우에는 저장 공간(37)에 저장된 라벨(38)을 제3 리셉터클(18c)에서 인출하여 그 위에 있는 마크(39) 및 기호(40)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라벨(38)은 제3 리셉터클(18c)과 MDC 유닛(36) 사이의 무효 공간에 제공될 수 있다. 이 구성은 라벨(38) 전용의 공간을 하우징(4) 내에 설치하거나 라벨(38)을 노출시키기 위한 확인창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하우징(4)의 구성이 단순화되고, 휴대용 컴퓨터(1)에 필요한 부품 개수를 줄여서 컴퓨터(1)의 가격을 낮출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술한 구조에서, 라벨(38)과 관통홀(31)은 평상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19)을 덮고 있는 뚜껑(28)에 의해 가려진다. 따라서, 라벨(38)은 그것을 볼 필요가 있을 때를 제외하고 외부에서 볼 수 없다. 이 구성은 휴대용 컴퓨터(1)의 외관을 더 좋게 한다.
또, 라벨(38)을 회수하기 위한 관통홀(31)은 절연 시트(23)의 커버부(33)에 의해 덮여진다. 절연 시트(23)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19)과 라벨(38) 사이에 삽입 배치되기 때문에 그들 사이에 장애물이 없고, 이로써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19)이 반복적으로 탈/부착되는 경우에도 라벨(38)이 손상될 염려는 없다.
비록 상기 실시예에서는 관통홀이 제3 리셉터클의 바닥에 형성되고 라벨이 바닥 아래에 배치되지만, 본 발명이 이 구조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관통홀을 제1 리셉터클 또는 제2 리셉터클의 바닥에 형성하고, 라벨을 제1 리셉터클 또는 제2 리셉터클의 바닥 아래에 배치하여도 좋다.
또한, 라벨을 인출하기 위하여 제3 리셉터클의 바닥에 형성된 관통홀 대신에, 라벨이 보여질 수 있게 하는 투명창을 제공하여도 좋다.
사용되는 전자 부품도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진 MDC 유닛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보여질 필요가 있는 임의의 다른 부품, 표준 또는 명세서 등이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전자 장치는 휴대용 컴퓨터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임의의 다른 휴대용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이 기술에 숙련된 사람이라면 추가적인 잇점 및 변형예를 쉽게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넓은 개념에서의 본 발명은 여기에서 도시하고 기술하는 상세한 설명 및 대표적인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한정하는 발명 개념의 정신 또는 범위 및 그 등가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형예가 만들어질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본체에 내장된 라벨을 쉽게 인식할 수 있고 본체를 간단한 구조이면서 소수의 부품으로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디스플레이 유닛이 개방 위치로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의 사시도.
도 2는 디스플레이 유닛이 폐쇄 위치로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의 사시도.
도 3은 동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의 저면도.
도 4는 컴퓨터의 본체의 제3 리셉터클과,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과, MDC(Mobile audio/modem Daughter Card) 유닛 및 라벨 사이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의 단면도.
도 5는 라벨이 홀을 통하여 제3 리셉터클로 회수된 상태를 나타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의 단면도.
도 6은 라벨이 홀을 통하여 제3 리셉터클로 회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휴대용 컴퓨터
2 : 본체
3 : 디스플레이 유닛
4 : 하우징
5 : 손바닥 받침
6 : 키보드 장착부
7 : 키보드
10 : 디스플레이 하우징
18a ∼ 18c : 제1 내지 제3 리셉터클
19 :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
21 : 오목부
23 : 절연 시트
38 : 라벨

Claims (18)

  1. 전자 부품(36)을 내장하는 본체(2)와;
    기능성 부품(19)이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도록 상기 본체(2) 내에 형성된 리셉터클(18c)과;
    전자 부품(36)이 설치된 전자 장치가 인증된 것임을 표시하는 라벨(28)을 포함하고,
    상기 라벨(38)은 상기 기능성 부품(19)이 상기 리셉터클(18c) 내에 수용되어 있을 때 상기 기능성 부품(19)에 의해 덮혀 있고, 상기 기능성 부품(19)이 상기 리셉터클(18c)로부터 제거되어 있을 때, 상기 리셉터클(18c)을 통하여 상기 본체(2) 외부로 노출되는 것인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는 바닥(4a)을 가지며, 상기 리셉터클(18c)은 상기 바닥(4a)에 형성된 오목부(21)를 구비하고, 상기 라벨(38)은 상기 오목부(21)의 바닥(21a)에 위치되는 것인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21)는 상기 바닥(21)에 형성된 관통홀(31)을 가지며, 상기 라벨(38)은 상기 관통홀(31)에 대응하는 위치에 놓여지는 것인 전자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21)는 본체(2)의 바닥(4a)에 형성된 개구(22)를 가지며, 상기 개구(22)는 착탈 가능한 뚜껑(28)으로 덮여지는 것인 전자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21)의 바닥(21a)은 절연 시트(23)로 덮여지고, 상기 절연 시트(23)는 상기 관통홀(31)에 대응하여 위치된 커버부(33)를 가지며, 상기 커버부(33)는 관통홀(31)을 노출시키도록 접어질 수 있는 것인 전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시트(23)는 투명한 것인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38)은 접혀진 채로 저장되고 펼쳐질 수 있는 것인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본체(2)에 내장된 인쇄 회로 기판(17)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17)은 리셉터클(18c)에 노출되며 전자 부품(36)이 장착되는 것인 전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부품(36)은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며, 상기 라벨(38)은 전자 장치가 전파 법령에 관계된 모델 인증 시험에 통과되었음을 표시하는 마크(39) 및 기호(40)를 그 위에 표시하는 것인 전자 장치.
  10. 외벽(4a)을 구비하는 본체(2)와;
    상기 본체(2) 내에 포함되고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진 전자 부품(36)이 장착되는 인쇄 회로 기판(17)과;
    기능성 부품(19)이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본체(2)의 외벽(4a)에 형성된 오목부(21)를 가지며, 인쇄 회로 기판(17)이 상기 오목부(21)의 바닥(21a)에 배치되어지는 리셉터클(18c)과;
    전자 장치에 제공된 전자 부품(36)이 인증되었음을 표시하는 라벨(38)을 포함하고,
    상기 라벨(38)은 상기 오목부(21)의 바닥(21a)에 위치하고 상기 기능성 부품(19)이 상기 리셉터클(18c) 내에 수용되어 있을 때 상기 기능성 부품(19)에 의해 덮혀 있고, 상기 기능성 부품(19)이 상기 리셉터클(18c)로부터 제거되어 있을 때, 상기 리셉터클(18c)을 통하여 상기 본체(2) 외부로 노출되는 것인 전자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부품(36)은 리셉터클(18c)과 대향하고 그 사이에 인쇄 회로 기판(17)이 삽입되며, 상기 인쇄 회로 기판(17)은 상기 전자 부품(36)에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홀(31)을 가지며, 상기 관통홀(31)은 리셉터클(18c)과 통하고, 라벨(38)이 상기 관통홀(31)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전자 부품(36)에 의해 지지되는 것인 전자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회로 기판(17)은 절연 시트(23)로 덮여지고, 상기 절연 시트(23)는 상기 관통홀(31)에 대응하여 위치된 커버부(33)를 가지며, 상기 커버부(33)는 상기 관통홀(31)을 노출시키도록 접혀질 수 있는 것인 전자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38)은 유연성있게 접혀지는 것인 전자 장치.
  14. 기능성 부품(19)이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리셉터클(18c)을 구비하는 본체(2)와;
    상기 본체(2) 내에 포함되고, 상기 기능성 부품(19)이 상기 리셉터클(18c) 내에 수용되어 있을 때 상기 기능성 부품(19)에 의해 덮혀 있는 라벨(38)을 포함하는 것인 전자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에 내장되고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진 전자 부품(36)을 더 포함하며, 상기 라벨(38)은 상기 전자 부품(36)이 설치된 전자 장치가 미리 정해진 규격을 만족하고 있음을 표시하는 것인 전자 장치.
  16. 전자 부품(36)을 내장하는 본체(2)와;
    기능성 부품(19)이 착탈 가능하게 내부에 수용되도록 본체(2) 내에 형성된 리셉터클(18c)과;
    전자 부품(36)의 사양(specification)을 표시하는 것이고, 상기 기능성 부품(19)이 상기 리셉터클(18c) 내에 수용되어 있을 때 상기 기능성 부품(19)에 의해 덮혀 있고, 상기 기능성 부품(19)이 상기 리셉터클(18c)로부터 제거되어 있을 때, 상기 리셉터클(18c)을 통하여 상기 본체(2) 외부로 노출되는 것인 전자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38)은 접혀진 채로 저장되고 펼쳐질 수 있는 것인 전자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부품(36)은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것이고, 상기 라벨(38)은 전자 장치가 전파 법령에 관계되는 모델 인증 시험에 통과되었음을 표시하는 마크(39) 및 기호(40)를 그 위에 표시하는 것인 전자 장치.
KR10-2002-0045181A 2001-08-30 2002-07-31 인증 마크가 있는 라벨을 가진 전자 장치 KR1004780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62023 2001-08-30
JP2001262023A JP4634668B2 (ja) 2001-08-30 2001-08-30 情報処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9860A KR20030019860A (ko) 2003-03-07
KR100478062B1 true KR100478062B1 (ko) 2005-03-22

Family

ID=19088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5181A KR100478062B1 (ko) 2001-08-30 2002-07-31 인증 마크가 있는 라벨을 가진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102880B2 (ko)
JP (1) JP4634668B2 (ko)
KR (1) KR100478062B1 (ko)
CN (1) CN1217567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58579A (ja) * 2005-08-24 2007-03-08 Fujitsu Ltd 電子機器
JP2007057828A (ja) * 2005-08-24 2007-03-08 Sony Corp Popラベル及び電子機器
JP4921006B2 (ja) * 2006-03-20 2012-04-18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ユニット品
CN201302083Y (zh) * 2008-11-06 2009-09-02 惠阳帝宇工业有限公司 应急指示灯
US8593822B2 (en) 2010-09-22 2013-11-26 Panasonic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provided with a detachable electrical component
KR101927201B1 (ko) * 2012-01-11 2018-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지지판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US9721618B2 (en) * 2013-04-05 2017-08-01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Storage cartridge dock system
JP6185426B2 (ja) * 2014-04-23 2017-08-23 株式会社マキタ 電動工具
WO2016174836A1 (ja) * 2015-04-28 2016-11-03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機器
JP7159982B2 (ja) * 2019-06-10 2022-10-25 株式会社明電舎 筐体構造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311491A (ja) * 1988-06-08 1989-12-15 Hitachi Ltd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における記録媒体の登録方法
JPH03293178A (ja) * 1990-04-12 1991-12-24 Tokyo Electric Co Ltd プリンタの用紙案内装置
KR19990016061U (ko) * 1997-10-23 1999-05-15 윤종용 휴대형 컴퓨터
KR19990037358A (ko) * 1997-10-24 1999-05-25 밀스 메신저 플린트 마이크로폰
KR20000008313A (ko) * 1998-07-13 2000-02-07 구제병 흡입식 원심 송풍팬을 채용한 냉각탑
KR20000018703U (ko) * 1999-03-25 2000-10-25 채태일 휴대폰 덮개 이면 스티커 사진 부착용 향라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26030A (en) * 1971-12-17 1973-04-10 R Wilson Tape cartridge label
US4784408A (en) * 1986-09-29 1988-11-15 James Yasuda Disk label
JP3103157B2 (ja) * 1991-10-14 2000-10-23 株式会社東芝 携帯型電子機器
JPH05289776A (ja) * 1992-04-13 1993-11-05 Toshiba Corp 小型電子機器
JPH0772796A (ja) * 1993-09-03 1995-03-17 Sony Corp 情報表示ラベル
KR19990016061A (ko) 1997-08-12 1999-03-05 김용환 적외선 통신을 이용한 무선호출정보 표시 방법 및 문자정보입력 방법
JP2000039934A (ja) * 1998-07-24 2000-02-08 Toshiba Corp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JP2001119459A (ja) * 1999-10-20 2001-04-27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携帯端末
JP2001177268A (ja) * 1999-12-20 2001-06-29 Toshiba Corp 小型電子機器および小型電子器機用電池および銘板
DE10152348A1 (de) * 2001-10-24 2003-05-08 Siemens Ag Automatisierungsgerät mit Aussenanschlüssen
US6829851B2 (en) * 2001-10-31 2004-12-1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oldable label display system
US6877264B2 (en) * 2002-03-01 2005-04-12 Sun Microsystems, Inc. Universal snap-in-place customer label plat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311491A (ja) * 1988-06-08 1989-12-15 Hitachi Ltd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における記録媒体の登録方法
JPH03293178A (ja) * 1990-04-12 1991-12-24 Tokyo Electric Co Ltd プリンタの用紙案内装置
KR19990016061U (ko) * 1997-10-23 1999-05-15 윤종용 휴대형 컴퓨터
KR19990037358A (ko) * 1997-10-24 1999-05-25 밀스 메신저 플린트 마이크로폰
KR20000008313A (ko) * 1998-07-13 2000-02-07 구제병 흡입식 원심 송풍팬을 채용한 냉각탑
KR20000018703U (ko) * 1999-03-25 2000-10-25 채태일 휴대폰 덮개 이면 스티커 사진 부착용 향라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634668B2 (ja) 2011-02-16
CN1404356A (zh) 2003-03-19
US7102880B2 (en) 2006-09-05
CN1217567C (zh) 2005-08-31
KR20030019860A (ko) 2003-03-07
US20030043536A1 (en) 2003-03-06
JP2003076439A (ja) 2003-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53139A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having a detachable display unit and a socket lid
TW507516B (e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insulator for fixing wiring substrate
KR100478062B1 (ko) 인증 마크가 있는 라벨을 가진 전자 장치
US8184441B2 (en) Flash memory device with telescopic connector port and a casing of the flash memory device
US20070148537A1 (en) Electronic apparatus
JP2005157789A (ja) 電子機器
JPH09230961A (ja) 携帯形電子機器
US20090263994A1 (en) Electronic device
US20050111202A1 (e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storage device
JPH10133776A (ja) 携帯形電子機器
US7347700B2 (en) Electronic apparatus capable of mounting a plurality of modules
JP2004152116A (ja) 電子機器
JPH10307642A (ja) 電子機器
JPH1065357A (ja) 電子機器
JP5142834B2 (ja) 電子機器
JP2816318B2 (ja) 電子機器
US20050158617A1 (en) Portable terminal
JP2004126728A (ja) 電子機器
JP2004127596A (ja) 電子機器およびその組立方法
JP2000181574A (ja) 保護カバー及び保護カバーを有する電子機器
US20090141465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ircuit board
JPH09179658A (ja) 電子機器
JP4563961B2 (ja) 電子機器
JP2005190296A (ja) 電子機器
JP2003186572A (ja) 装着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