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6061U - 휴대형 컴퓨터 - Google Patents

휴대형 컴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6061U
KR19990016061U KR2019970029445U KR19970029445U KR19990016061U KR 19990016061 U KR19990016061 U KR 19990016061U KR 2019970029445 U KR2019970029445 U KR 2019970029445U KR 19970029445 U KR19970029445 U KR 19970029445U KR 19990016061 U KR19990016061 U KR 1999001606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iness card
label
portable computer
main bod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94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294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6061U/ko
Publication of KR199900160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6061U/ko

Links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휴대형 컴퓨터는, 컴퓨터 시스템을 내장하며, 그 몸체의 소정 부위에는 ID-라벨부가 마련되어 있는 주몸체부와, 상기 주몸체부에 오픈/클로스 가능하게 설치되며, 입력된 명령에 따라 결과를 화면에 출력하는 LCD 패널과, 상기 주몸체부에 마련되며 임의의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키를 가지는 키보드를 구비하는 휴대형 컴퓨터에 있어서, 상기 ID-라벨부에는 명함을 꽂아 비치할 수 있는 명함꽂이부가 마련되어 있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명함을 비치하기 위한 홈이 주몸체부의 바닥면에 마련되되, ID-라벨이 부착되어 있는 영역내의 ID-라벨의 하부에 마련되므로, 종래와 같은 홈으로 인한 외관상의 문제는 발생되지 않게 되며, 따라서 제품의 경쟁력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휴대형 컴퓨터
본 고안은 휴대형 컴퓨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체 하우징 바닥면의 ID (identification) 라벨(label)부위에 명함꽂이부가 마련된 휴대형 컴퓨터에 관한 것이다.
통상 노트북 컴퓨터로 지칭되는 휴대형 컴퓨터는 일반 데스크 탑형 컴퓨터에 비해 무게가 가볍고 부피가 작으며, 쉽게 휴대할 수 있어 일반 데스크 탑형 컴퓨터에서는 얻을 수 없는 많은 편리함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 사용에 있어서 장소의 제약을 거의 받지 않아 컴퓨터의 활용 범위를 한층 확장시키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노트북 컴퓨터의 일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노트북 컴퓨터는 컴퓨터 시스템을 내장하고 있는 주몸체부(10)와, 주몸체부(10)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부(11)와, 상기 주몸체부(10) 상에 마련되는 입력장치로서의 키보드(12)를 갖춘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노트북 컴퓨터의 주몸체부(10)의 바닥면에 ID(IDentification)-라벨부(20)와 명함꽂이부(21)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상기 ID-라벨부(20)에는 제품에 관한 정보, 예를 들어 제작회사, 제작일자, 제품고유번호 등의 정보가 기록된 스티커가 부착되고, 상기 명함꽂이부(21)에는 개인 명함이 설치된다.
도 3과 도 4는 상기 명함꽂이부의 단면도로서, 도 3은 도 2의 A-A' 선단면도이고, 도 4는 도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명함꽂이부(21)는 명함이 삽입될 수 있는 정도의 면적을 가지는 홈(22)과 홈(22)의 바닥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도록 상기 홈의 상방에 위치하는 투명한 평판부재(23)을 갖춤으로서, 상기 홈(22)의 바닥과 상기 평판부재(23) 사이의 공간(22s)에 명함이 삽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종래 노트북 컴퓨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주몸체부(10)의 바닥면에 ID-라벨부(20)와 명함꽂이부(21)가 별도로 위치해 있어서, 외관상 보기 좋지 않고 따라서 상품의 경쟁력이 낮아지게 된다. 또한, 명함이 단순히 상기 평판부재(23)에 의해서만 지지되므로 명함이 쉽게 이탈되어 분실될 수 있고, 그로 인해 노트북 컴퓨터의 분실 시, 되찾기가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미국특허 5,592,361호에는, 노트북 컴퓨터의 바닥에 명함을 비치하기 위한 별도의 트레이가 서랍식으로 설치되어 있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이를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를 참조하면, 주몸체부(95)의 바닥에 장방형의 요입부(97)가 형성되어 있고, 요입부(97)의 왼쪽에 ID-라벨부(99)가 마련되고, 오른쪽에 명함(91)의 수용하는 트레이(90)를 삽입되는 명함꽂이부(97)가 마련되어 있다. 명함꽂이부(97)는 트레이(90)가 진출입하는 주몸체부(95)의 평면방향의 출입구(98)와 트레이(90)에 수용된 명함(91)의 내용을 투시하기 위한 투명부재(93)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트레이(90)의 일측에는 트레이(90)의 조작을 위한 손잡이부(94)가 마련되어 있고, 중앙부분에는 명함(91)이 수용되는 장방형의 명함장착홈(9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명함장착홈(92)은 명함(91)의 두께에 준하는 두께를 가진다.
이러한 트레이를 구비하는 종래 명함꽂이의 경우, 명함지지를 위한 트레이가 별도 부품으로 포함하기 때문에 제작단가 상승을 불러 일으키며, 특히 트레이가 명함보다 훨씬 두꺼운 두께를 가지기 때문에 이를 수용하는 수용부의 깊이가 깊어지고, 따라서, 노트북 컴퓨터의 저부에서 차지하는 수용부의 차지 공간이 증대되고, 나아가서는 노트북 컴퓨터의 두께 상승을 불러 일으킨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 명함을 안전하게 비치할 수 있는 명함꽂이부를 구비하는 휴대형 컴퓨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노트북 컴퓨터의 외관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노트북 컴퓨터의 바닥면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B-B'선에 따른 절단면도.
도 4는 도 2의 A-A'선에 따른 절단면도.
도 5는 종래 다른 휴대형 컴퓨터의 바닥면을 보인 평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종래 휴대형 컴퓨터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명함비치용 트레이의 발췌 평면도.
도 7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형 컴퓨터의 바닥면을 나타내 보인 평면도.
도 8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형 컴퓨터에 있어서, 명함꽂이부 및 그 입구에 형성된 절개부를 나타내 보인 부분 발췌 평면도.
도 9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형 컴퓨터에 있어서, ID-라벨부 영역 내에 형성된 명함꽂이부를 나타내 보인 부분 발췌 확대 사시도.
도 10은 도 7의 C-C선에 따른 절단면도.
도 11은 도 7의 D-D선에 따른 절단면도.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휴대형 컴퓨터는, 컴퓨터 시스템을 내장하며, 그 몸체의 소정 부위에는 ID-라벨부가 마련되어 있는 주몸체부와, 상기 주몸체부에 오픈/클로스 가능하게 설치되며, 입력된 명령에 따라 결과를 화면에 출력하는 LCD 패널과, 상기 주몸체부에 마련되며 임의의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키를 가지는 키보드를 구비하는 휴대형 컴퓨터에 있어서, 상기 ID-라벨부에는 명함을 꽂아 비치할 수 있는 명함꽂이부가 마련되어 있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명함꽂이부는 상기 ID-라벨부의 영역 내의 일측에 마련되되, ID-라벨이 부착된 부위의 하부에 소정 폭 및 깊이를 가지는 홈이 마련되고, 상기 ID-라벨의 일정 부위가 상기 홈에 안치된 명함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로 사용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명함을 비치하기 위한 홈이 주몸체부의 바닥면에 마련되되, ID-라벨이 부착되어 있는 영역내의 ID-라벨의 하부에 마련되므로, 종래와 같은 홈으로 인한 외관상의 문제는 발생되지 않게 되며, 따라서 제품의 경쟁력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휴대형 컴퓨터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형 컴퓨터는 종래의 휴대형 컴퓨터(노트북 컴퓨터)와 그 구성에 있어서, 근본적으로는 동일하다. 따라서, 컴퓨터를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특별히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7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형 컴퓨터의 바닥면을 나타내 보인 평면도이다.
도 7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휴대형 컴퓨터의 주몸체부(50) 바닥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의 요입부(51)가 소정깊이로 형성되고, 그 왼쪽에는 본 고안을 특징지우는 명함꽂이부(53)가, 그리고 오른쪽에는 ID-라벨이 부착된 ID-라벨부(52)가 마련된다. 상기 ID-라벨부(52)에는 제품 정보 등의 시스템 정보가 기록된 스티커가 부착되고, 상기 명함꽂이부(53)에는 사용자의 개인 명함(54)이 꽂힌다. 이때에 상기 요입부(51)의 깊이를 결정함에 있어서, 상기 ID-라벨의 두께가 고려되어야 하는데, ID-라벨이 주몸체부(50)의 바닥면 보다는 돌출되지 않을 정도로 그 깊이는 ID-라벨의 두께와 같거나 커야한다.
본 고안을 특징지우는 상기 명함꽂이부(53)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입부(51)의 왼쪽에 명함(54)이 수용되는 명함수용홈(55)이 형성되고, 명함수용홈(55)의 우측, 즉 명함의 입구측에 명함(52)의 인출입을 안내하는 경사면(56)을 갖는 안내턱(5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턱(57)의 정상면은 도 7의 C - C 선 단면을 도시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몸체부(50)의 바닥면과 일치되도록, 즉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명함수용홈(55)에는 투명판(58)이 고정된다. 이때에 투명판(58)은 명함수용홈(55)의 바닥으로부터 적어도 한 장의 명함의 두께에 해당하는 높이로 고정된다. 상기 투명판(58)의 고정은 도 7의 D - D 선단면을 도시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판(58)의 가장자리에 돌출형성되어 있는 돌출턱(58a)이 상기 명함수용홈(55)의 측벽에 형성되는 고정홈(55a)에 끼워짐으로써 이루어 진다. 한편, 상기 안내턱(57)을 향하는 투명판(58)의 일측 가장자리 중앙에 명함(54)의 취출을 용이하게 하게 위한 반원형의 절결부(58b)가 형성되어 있다.
위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안내턱(57)은 상기 명함수용부(55)에 일단 삽입된 후에는 자발적으로 빠져 나오지 못하록 하는 명함이탈 방지기능과, 강제적으로 명함을 취출하거나 아니면 명함을 명함수용부(55)에 삽입할때에 명함(54)이 용이하게 취출 또는 인입이되도록 안내해주는 기능을 같이 가진다. 한편, 상기 투명판(58)은 명함수용부(55)에 삽입되어 있는 명함(54)을 보호하는 기능과 명함(54)의 내용이 투시되도록 하는 투시창의 역할를 갖는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형 컴퓨터는 명함을 비치하기 위한 요입부가 주몸체부의 바닥면에 소정깊이로 형성되되, 이 요입부에 ID-라벨과 명함이 같이 마련되고, 특히 명함이 별도의 트레이등에 의존하지 않은 채 수용될 수 있다. 나아가서는 명함이 수용되는 수용부의 전방에 명함의 자연이탈을 억제함과 아울러 명함의 삽입 및 취출을 용이하게 하는 안내턱이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ID-라벨의 부착 및 명함을 수용하기 위한 명함꽂이가 휴대형 컴퓨터의 외관을 크게 손상시키지 않고 오히려 정돈감을 풍김으로써 제품의 상품적 가치도 높힌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한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컴퓨터 시스템을 내장하며, 일측에 디스프레이 장치가 결합되며, 몸체의 일측에 ID-라벨이 부착되는 ID-라벨부와 명함이 수용되는 명함꽂이부가 마련된 휴대형 컴퓨터에 있어서,
    상기 ID-라벨부와 명함꽂이부는 소정면적을 가진 것으로 상기 몸체의 일측에 소정깊이로 형성된 요입부의 바닥에 마련되고,
    상기 명함꽂이부는 상기 요입부의 바닥의 일부분에 소정면적으로 요입된 명함수용부와, 명함수용부의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위에 고정되어 명함수용부에 상기 명함이 수용되는 소정 체적의 공간을 마련하는 투명판을 구비하고, 상기 명함수용부의 일측에는 상기 명함의 취출입을 허용하는 입구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입구의 전방에는 상기 명함의 이탈을 방지하는 안내턱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컴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턱의 일측에는 상기 입구로 향하는 경사부가 마련되어 상기 명함의 취출이 안내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컴퓨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턱의 정상면이 상기 몸체의 바닥명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컴퓨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판의 일측 가장자리에 상기 명함의 삽입 및 취출을 위한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컴퓨터.
KR2019970029445U 1997-10-23 1997-10-23 휴대형 컴퓨터 KR1999001606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9445U KR19990016061U (ko) 1997-10-23 1997-10-23 휴대형 컴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9445U KR19990016061U (ko) 1997-10-23 1997-10-23 휴대형 컴퓨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061U true KR19990016061U (ko) 1999-05-15

Family

ID=69690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9445U KR19990016061U (ko) 1997-10-23 1997-10-23 휴대형 컴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606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062B1 (ko) * 2001-08-30 2005-03-22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인증 마크가 있는 라벨을 가진 전자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062B1 (ko) * 2001-08-30 2005-03-22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인증 마크가 있는 라벨을 가진 전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4576B2 (en) PDA carrying device
US6155410A (en) Credit card case
US4252007A (en) Portable appliance security apparatus
US9049283B1 (en) Case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for electronic devices
US5260884A (en) Brief case having integral computer
EP0254889A2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EP0404164A2 (en) Compact electronic apparatus
CA2282690C (en) Card, in particular chip card, reading device
US5701230A (en) Portable computer with thin compartment for receiving a flat article therein
KR101191867B1 (ko) 휴대폰 케이스
US5717571A (en) Mechanism locking removable module into computer
US6795305B2 (en) Battery pack for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EP0947836B1 (en) Instrument with installation-evident accessory modules
US6040979A (en) Computer having module bay with variable insertion opening size
KR19990016061U (ko) 휴대형 컴퓨터
JPH10307642A (ja) 電子機器
JPS60209989A (ja) メモリカ−ドの装着機構
US20050259071A1 (en) Secure enclosure for portable electronic display device operated by push buttons
CN107874421B (zh) 一种多功能钥匙卡套
JP3394841B2 (ja) 携帯型電子機器
JPH0337081Y2 (ko)
JP4353566B2 (ja) Oa機器収納パネル
JP3063723U (ja) ケ―ス付きカ―ド型電子機器
US4760918A (en) Pocketbook type electronic apparatus
JPH031380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