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5385B1 - 동결건조된티오크산테논항종양제 - Google Patents

동결건조된티오크산테논항종양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5385B1
KR100475385B1 KR1019980701983A KR19980701983A KR100475385B1 KR 100475385 B1 KR100475385 B1 KR 100475385B1 KR 1019980701983 A KR1019980701983 A KR 1019980701983A KR 19980701983 A KR19980701983 A KR 19980701983A KR 100475385 B1 KR100475385 B1 KR 100475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ino
ethyl
methyl
diethylamino
alk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1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5741A (ko
Inventor
스티븐 브라운
구르디알 신프 산두
Original Assignee
사노피-신쎄라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노피-신쎄라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사노피-신쎄라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19990045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5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5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53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6Phosphorus compounds
    • A61K31/67Phosphorus compounds having sulfur as a ring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8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sulfur as a ring hetero atom
    • A61K31/38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sulfur as a ring hetero atom having six-membered rings, e.g. thioxanthe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2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6Carbohydrates, e.g. sugar alcohols, amino sugars, nucleic acids, mono-, di- or oligo-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sorbitan fatty acid esters or glycyrrhiz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9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lyophilised, i.e. freeze-dried, solutions or disper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2In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Food Preservation Except Freezing, Refrigeration, And Drying (AREA)

Abstract

락트산염 완충제중에서 안정화제로서의 만니톨 또는 수크로즈와 함께 티오크산테논 항종양제를 포함하는 포유동물의 종양 치료를 위한 재구성된 동결건조 제제가 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동결건조된 티오크산테논 항종양제{LYOPHILIZED THIOXANTHENONE ANTITUMOR AGENTS}
본 발명은 동결건조된 비경구용 항종양제 수용액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동결건조된 수성 티오크산테논 항종양제에 관한 것이다.
치료 또는 진단용으로 정해진 많은 종래의 약제 및 단백질은 수용액중에서는 불안정하여 고상 제품으로의 전환을 필요로 한다. 약학 제품에 있어서, 동결건조는 필요한 안정성을 얻는데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가공 방법들 중 하나이다.
여러 이유로 생물활성 약제는 좀처럼 순수한 형태로 동결건조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다른 화학 성분들이 pH 완충, 용해도 증진 또는 삼투성 균형 등의 특별한 목적으로 첨가된다. 동결건조 공정을 계획할 때, 제제 전체는 싸이클의 변수들을 대부분 좌우한다. 따라서, 제제에 어떠한 변화가 있으면(활성 약제 자체의 농도 변화는 아님) 공정 싸이클을 추가로 변경하여야 할 것이다. 동결건조는, 상기 이유로 첨가되는 부형제 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동결건조 공정 자체를 보조하거나 후속 보관 및 운송중 동결건조된 플러그(plug)에 기계적 강도를 제공하기 위해 또 다른 첨가제의 혼입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부형제는 해동방지제(lyoprotectant) 또는 안정화제로 지칭한다. 안정화제의 사용은 하기 참조문헌들에 예시되어 있다.
국제 특허출원 제 PCT/US89/04099 호(공개공보 제 WO 90/03784 호)에는 β- 및 γ-시클로덱스트린의 히드록시프로필, 히드록시에틸, 글루코실, 말토실 및 말토트리오실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안정화/가용화 양의 시클로덱스트린 및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동결건조 조성물이 기술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 4,983,586 호에는, 약제가 비경구적으로 투여될 때 주사 부위에서 일어나는 친유성 약제 및/또는 물에 불안정한 약제의 침전 빈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 방법은 약 20% 내지 50%의 히드록시프로필-β-시클로덱스트린을 함유하는 수용액중의 약제를 투여함을 포함한다. 항종양제, 진정제, 신경안정제, 항경련제, 항우울제, 최면제, 근육이완제, 진경제, 항염증제, 항응고제, 강심제, 혈관확장제 및 항부정맥제를 비롯한 다수의 약제가 청구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 5,298,410 호에는, 생물활성 물질(안정화제는 시클로덱스트린 유도체이다)과 완충제(예: 인산나트륨, 아세트산나트륨 및 탄산나트륨)로 이루어진 동결건조 제제가 개시되어 있다.
동결건조의 출발물질은 일반적으로 불포화된 수용액이며, 최종 생성물은 고체이다. 완전한 공정은 물을 99%보다 많이 제거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냉각하는 동안, 수용액은 동결농축되며, 물은 얼음으로서 제거된다. 전체 공정은 액상-고상 및 고상-기상과 같은 몇몇 상 전이를 수반하는데, 이는 효율적인 가공 및 안정한 생성물을 확보하는데 중요하다.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얼음 핵형성이 자발적으로 일어나기 전에 용액은 처음에는 과냉각(즉, 평형 동결온도 미만으로 냉각되는 것)될 것이다. 얼음 핵형성 및 결정 성장은 냉각속도, 용액, 농도 및 그밖의 요인에 의해 좌우되는 속도와 관계되는 복합 과정이다. 이러한 단계는 대부분 최종의 건조된 생성물의 조직을 결정한다. 동결중에, 용질은 점차 농축된 형태로 잔여 액상에 남게 되며, 농축 정도는 평형 상태도에 의해 결정된다. 결국 용액은 포화될 것이고, 이 때 용질의 고상이 형성될 것이다. 이 계는 얼음과 용질 결정의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주로 동결건조를 보조하기 위해 첨가되는 부형제는 일반적으로 두 기능 중 하나를 담당한다. 벌크제(bulking agent)는 기계적으로 더 단단한 건조 생성물을 획득하기 위해, 단지 총 고형분의 함량을 증가시키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부형제는 생성물 안정성에 중립적인 효과를 갖는 별개의 상으로서만 존재하므로, 동결건조 과정중에, 바람직하게는 동결 단계중에 용액으로부터 결정화되어야 한다. 한편, 안정화제는 동결농축 과정동안 화학적 보호를 제공하고, 유리질 상태의 형성을 도와, 건조된 플러그에 물리적 강도를 제공한다. 유리전이온도는 전체 고체 물질의 화학 조성의 함수이다.
동결건조할 생성물의 올바른 제형화에 대한 물리화학적 기초는 선행기술(예를 들어, 프랭크스(Franks, F.)의 문헌[Freeze-drying: a combination of physics, chemistry, engineering and economics, Jap. J. Freeze Drying, 38, 5-16(1992)]을 참조)에서 충분히 관심을 받았지만, 물리화학적 기초는 당분야의 숙련자가 목적하는 바를 만족시키는 최종 생성물을 제조할 수 있기에는 불충분하다. 본 발명의 설명이 진행함에 따라 분명해지는 바와 같이, 정성을 기울인 연구 및/또는 놀라운 발견은 여전히 실질적인 기초이며 이로 인해 적절한 생성물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정성을 기울여 연구한 결과, 티오크산테논 항종양 화합물이 경구 투여용 정제 및 캡슐과 같은 통상의 약학 비히클내에 제공될 때, 효과적인 생성물의 요건은 만족시키지 않지만, 재구성하면 주사할 수 있는 동결건조된 약학 제제로 제조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동결건조 제제는 장기간 보존하는 동안 변질/변화 없이 안정한 것으로 밝혀졌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에 따라 하기 a) 내지 c)를 포함하고 약 3.0 내지 약 4.5의 pH를 갖는, 포유동물의 종양을 치료하기 위한 재구성된 동결건조 제제가 제공된다:
a) 이후 정의되는 티오크산테논 항종양제 약 1 내지 약 50㎎/㎖,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20㎎/㎖;
b) 만니톨 및 수크로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안정화제 약 10㎎/㎖ 내지 약 125㎎/㎖, 바람직하게는 약 30㎎/㎖ 내지 100㎎/㎖; 및
c) 약 0.025 내지 약 0.25M의 락트산염 완충제, 바람직하게는 락트산나트륨 완충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제는 항종양제 N-[[1-[[2-(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9-옥소티오크산텐-4-일]메틸]-메탄설폰아미드 및 수크로즈(안정화제로서)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재구성된 동결건조 제제는 종양의 치료를 위해 포유동물에게 투여된다.
본 발명의 동결건조 제제는 티오크산테논 항종양제 및 수성 비히클을 포함한다.
항종양제
본 발명의 항종양제는, 본원에 그 전체가 참조로 인용된 미국 특허 제 5,346,917 호에 따른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산-부가염 또는 용매화물로 표현된다:
상기 식에서,
n은 2 또는 3이고;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저급-알킬이고;
Q는 CH2NHR3, CH2N(R4)SO2R7, CH2NHCHO, CH=N-Ar, C(O)NR5R6, CH2N(R4)C(O)R7, CH2N(C2H5)CHO, CH2N(R4)P(O)(O-저급-알킬)2, CH2N=CH-N(R9)(R10), CH2N(R4)C(O)CF3 및 CH2N(R4)C(O)OR7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잔기이고;
R3은 수소 또는 저급-알킬이고;
R4는 수소, 저급-알킬 또는 Ar이고;
R5는 수소, 저급-알킬 또는 Ar이고;
R6은 수소 또는 저급-알킬이고;
R7은 저급-알킬 또는 Ar이고;
R8은 수소, 저급-알킬, 저급알콕시 또는 히드록시이고;
Ar은 페닐, 또는 메틸, 메톡시, 히드록시, 할로겐 또는 니트로로 치환된 페닐이나, 단, n이 2이고, R1 및 R2가 에틸이고, R8이 수소이고, Q가 CH2NHSO2Ar일 때, Ar 기는 메틸 또는 할로겐에 의해 4-일치환될 수 없다;
R9 및 R10은 독립적으로 저급-알킬이다.
이 화합물은 포유동물의 종양 치료에 유용하다.
바람직한 항종양제는 하기 화학식 II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산-부가염 또는 용매화물로 표현된다:
상기 식에서,
n은 2 또는 3이고;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저급-알킬이고;
Q는 CH2NHR3, CH2NHCHO, CH=N-Ar, C(O)NR5R6, CH2N(R4)C(O)R7, CH2N(C2H5)CHO, CH2N(R4)P(O)(O-저급-알킬)2, CH2N=CH-N(R9)(R10), CH2N(R4)C(O)CF3 및 CH2N(R4)C(O)OR7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잔기이고;
R3은 수소 또는 저급-알킬이고;
R4는 수소, 저급-알킬 또는 Ar이고;
R5는 수소, 저급-알킬 또는 Ar이고;
R6은 수소 또는 저급-알킬이고;
R7은 저급-알킬 또는 Ar이고;
R8은 수소, 저급-알킬, 저급알콕시 또는 히드록시이고;
Ar은 페닐, 또는 메틸, 메톡시, 히드록시, 할로겐 또는 니트로로 치환된 페닐이고;
R9 및 R10은 독립적으로 저급-알킬이다.
대표적인 화합물을 하기 실시예에 나타낸다.
실시예 1
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4-(N-페닐포름이미도일)티오크산텐-9-온
(I: R1=R2=Et; Q=CH=N-C6H5; R8=H; n=2)
톨루엔 100㎖중 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9-옥소-티오크산텐-4-카복시알데히드 17.7g(50mmol) 및 아닐린 15.1g(150mmol)의 혼합물을 딘-스탁 트랩(Dean-Stark trap)으로 8시간동안 환류시켰다. 알루미나상에서 클로로포름/헥산/이소프로필아민(10:10:2)으로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LC)한 결과, 불완전한 반응이었다. 톨루엔을 증류하고, 아닐린 25㎖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4시간동안 환류시켰다. 크실렌 50㎖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3시간동안 다시 환류시켰다. 용매 및 과량의 아닐린을 진공에서 제거하고, 잔류물을 벤젠으로부터 재결정화하여 조질의 생성물 19.9g을 수득하였다. 이를 헥산 약 1.5ℓ로부터 재결정화하여, 생성물(융점 125-126℃) 15.8g(86%)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N-[[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9-옥소티오크산텐-4-일]메틸]포름아미드
(I: R1=R2=Et; Q=CH2NHCHO; R8=H; n=2)
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9-옥소-티오크산텐-4-카복시알데히드 35.4g(0.1mol), 포름아미드 420㎖ 및 포름산 50㎖(1mol)의 용액을 160℃에서 1시간동안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냉각시키고, 물 2ℓ에 붓고, 35% 수산화나트륨 용액 약 50㎖로 염기성으로 만들었다. 고무질의 침전물을 증류하고, 진공에서 건조시켰다. 건조된 침전물을 고온의 에틸 아세테이트 약 1.5ℓ에 용해시키고, 목탄으로 처리하고, 냉각하여 결정화하였다. 생성물을 증류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생성물(융점 154-155℃) 29.0g(75%)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
N-[[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9-옥소티오크산텐-4-일]메틸]-N-메틸포름아미드
(IV: R1=R2=Et; R4=Me; R8=H; n=2)
실시예 2와 유사한 과정에 의해, 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9-옥소-티오크산텐-4-카복시알데히드 35.4g(0.1mol), N-메틸포름아미드 394g 및 포름산 50㎖로부터 N-메틸포름아미드 24.6g를 제조하였다. 생성물을 아세톤 150㎖로부터 재결정화하였다(융점 127-130℃).
실시예 4
4-(아미노메틸)-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티오크산텐-9-온
(I: R1=R2=Et; Q=CH2NH2; R8=H; n=2)
2N 염산 240㎖중 실시예 2의 포름아미드 24.4g(64mmol)의 용액을 증기욕에서 1시간동안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35% 수성 수산화나트륨으로 염기성으로 만들고, 생성된 황색 침전물을 여과에 의해 수거하였다. 생성물을 벤젠에 용해시키고, 목탄으로 처리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공비하여 미량의 물을 제거하였다. 건조된 잔류물을 에테르성 염화수소를 첨가하여 메탄올 및 이소프로판올로부터 결정화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메탄올로부터 수개의 분획으로 재결정화하여, 이염산염으로서 생성물(융점 270-272℃) 10.6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5
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4-[(메틸아미노)-메틸]티오크산텐-9-온
(I: R1=R2=Et; Q=CH2NHCH3; R8=H; n=2)
실시예 4와 매우 유사한 과정에 의해, 실시예 3의 N-메틸포름아미드 14.6g(37mmol) 및 2N 염산 150㎖로부터 이염산염 육수화물로서 메틸아민 10.5g을 수득하였다. 생성물은 241 내지 243℃에서 용융하였다.
실시예 6
N-[[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9-옥소티오크산텐-4-일]메틸]메탄설폰아미드
(I: R1=R2=Et; Q=CH2NHSO2CH3; R8=H; n=2)
피리딘 100㎖중 실시예 4의 아민의 유리 염기 10.65g(30mmol)의 용액을 얼음욕중에서 냉각하고, 메탄설포닐클로라이드 4g(35mmol)를 한번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동안 교반하고, 수산화나트륨 2g을 함유한 물 750㎖에 부었다. 어두운 황색의 침전물을 수거하고, 물로 세척하고, 진공에서 밤새 건조시켰다. 여액에 과량의 수산화나트륨을 첨가하고, 생성된 고체를 여과함으로써 두번째 침전물을 수득하였다. 건조시킨 후, 침전물들을 합하여 벤젠으로부터 재결정화하여, 메탄설폰아미드(융점 169-170℃) 6.4g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7
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9-옥소티오크산텐-4-카복스아미드
(I: R1=R2=Et; Q=CONH2; R8=H; n=2)
피리딘 400㎖ 및 에탄올 400㎖중 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9-옥소티오크산텐-4-카복스알데히드 74g(0.23mol) 및 하이드록실아민 염산염 74g(1.06mol)의 현탁액을 0.5시간동안 환류시키고, 물 70㎖를 첨가하여 균질 용액으로 만들었다. 용액을 추가로 2시간동안 가열하고, 실온에서 14시간동안 놔두었다. 생성된 결정질의 옥심을 증류하여, 정량의 생성물(융점 215-218℃)을 얻었다.
증기욕중에서 아세트산 무수물 180㎖중 옥심 123g을 잠시 가열하여 용액을 얻었다. 용액을 냉각시키고, 에테르중 1.8M HCl 100㎖를 첨가하고, 생성된 현탁액을 에테르 500㎖로 희석하였다. 현탁액을 0℃에서 14시간동안 놔두고 여과하였다. 잔류물(123g, 융점 109-112℃)을 크실렌 250㎖중에 슬러리화시키고, 20분동안 환류시켰다. 혼합물을 냉각하고, 니트릴 71.3g을 증류하였다(융점 265℃).
니트릴 10g을 실온에서 3일동안 진한 H2SO4 200㎖중에서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진한 NH4OH로 중화시키고, 잔류물을 증류하였다. 잔류물을 따뜻한 EtOAc/EtOH중에서 분해시키고, 여과하고, 생성물(융점 241-243℃)을 급냉된 용액으로부터 결정화하였다. 이를 에탄올중에 용해시키고, 에탄올중 1당량의 HCl을 첨가하였다. 아미드 염산염(융점 271-272℃) 6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8
N-[[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9-옥소티오크산텐-4-일]메틸]N-메틸메탄설폰아미드
(I: R1=R2=Et; Q=CH2N(CH3)SO2CH3; R8=H; n=2)
THF(60㎖)중 실시예 6의 메탄설폰아미드 1.5g(3.5mmol)의 용액을 얼음욕중에서 0℃로 냉각하고, NaH 0.16g(4.0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10분동안 교반한 다음, 요오드화메틸 0.25㎖(4.0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4시간동안 교반하고,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상에서 클로로포름(100%)에 이어서 1% 이소프로필아민/클로로포름으로 용리시키면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황색 분말로서 N-메틸메탄설폰아미드(융점 175-177℃) 1.15g(74%)를 수득하였다. 이 유리 염기를 또한 메탄올중 메탄설폰산으로 처리하여, 메탄설폰산 염(융점 194-195.5℃)을 수득하였다(이후 실시예 8a로 부른다).
실시예 9
N-[[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9-옥소티오크산텐-4-일]메틸]페닐설폰아미드
(I: R1=R2=Et; Q=CH2NHSO2Ph; R8=H; n=2)
실시예 6과 실질적인 유사한 과정을 따라, 실시예 4의 아민의 유리 염기 2.54g(7.15mmol), 피리딘(50㎖) 및 벤젠설포닐 클로라이드(1.1㎖, 8.62mmol)로부터 메탄설폰산 염으로서 페닐설폰아미드 2.4g(57%)를 수득한 후, 이를 메탄올중 메탄설폰산으로 처리하였다. 생성물은 에탄올로부터 재결정화되었다.
실시예 10
N-[[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9-옥소티오크산텐-4-일]메틸]아세트아미드
(I: R1=R2=Et; Q=CH2NHC(O)CH3; R8=H; n=2)
실시예 6에 기술된 것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과정을 따라, 실시예 4의 아민의 유리 염기 4.15g(11.7mmol), 피리딘(60㎖) 및 아세틸 클로라이드(0.82㎖, 11.53mmol)로부터 오렌지색 고체로서 아세트아미드 2.3g(52%)를 수득하였다. 생성물은 아세톤으로부터 재결정화되었고, 182 내지 183℃에서 용융되었다.
실시예 11
N-[[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9-옥소티오크산텐-4-일]메틸]벤즈아미드
(I: R1=R2=Et; Q=CH2NHC(O)Ph; R8=H; n=2)
실시예 6에 기술된 것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과정을 따라, 실시예 4의 아민의 유리 염기 1.17g(3.29mmol), 피리딘(25㎖) 및 염화벤조일(0.42㎖, 3.62mmol)로부터 황색 분말로서 벤즈아미드 1.02g(68%)를 수득하였다. 생성물은 실리카상에서 클로로포름(100%) 내지 1% 이소프로필아민/클로로포름으로 용출시키면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부터 재결정화하였다. 생성물은 161 내지 163℃에서 용융되었다.
실시예 12
N-[[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9-옥소티오크산텐-4-일]디에틸 포스포르아미드
(I: R1=R2=Et; Q=CH2NHP(O)(OEt)2; R8=H; n=2)
실시예 4의 아민의 유리 염기 2.28g(6.41mmol), CH2Cl2(50㎖) 및 트리에틸아민(2㎖)의 0℃ 용액을 디에틸 포스포로클로리데이트(1.0㎖, 6.9mmol)로 처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2시간동안 교반한 다음, 실온에서 1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고, 잔류물을 실리카상에서 에틸 아세테이트(100%)에 이어서 5% 메탄올/에틸 아세테이트, 마지막으로 메탄올/이소프로필아민/에틸 아세테이트(5/5/90)로 용리시키면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부터 재결정화하면, 황색 고체로서 디에틸 포스포로아미드(융점 108-110℃) 2.28g(72%)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13
N-[[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9-옥소티오크산텐-4-일]메틸]-N-에틸포름아미드
(IV: R1=R2=Et; R4=Et; R8=H; n=2)
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9-옥소티오크산텐-4-카복스알데히드 2.0g (5.6mmol), N-에틸포름아미드(24.0㎖) 및 포름산(3.0㎖, 79.5mmol)의 용액을 170℃에서 4시간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하고, 물에 붓고, 10% 수산화나트륨으로 염기성으로 만들었다. 고체를 수득하고, 이를 여과에 의해 수거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고체 잔류물을 클로로포름/물에 넣고, 유기층을 분리하여 Na2SO4상에서 건조시켰다.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고, 잔류물을 이소프로필아민/메탄올/에틸 아세테이트(0.5/1/98.5)로 용리시키면서 방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오렌지색 고체로서 N-에틸포름아미드(융점 75-77℃) 1.32g(57%)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14
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4-[(에틸아미노)-메틸]티오크산텐-9-온
(I: R1=R2=Et; Q=CH2NHC2H5; R8=H; n=2)
실시예 4에 기술된 것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과정에 의해, 실시예 13의 N-에틸포름아미드 1.3g(3.2mmol) 및 2N 염산 10.8㎖로부터 이염산염으로서 에틸아민 1.29g(92%)을 수득하였다. 생성물은 에탄올/테트라히드로푸란으로부터 재결정화되었고, 160℃(분해)에서 용융되었다.
실시예 15
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4-(디메틸아미노메틸렌-아미노메틸)-티오크산텐-9-온 삼염산염
(I: R1=R2=Et; Q=CH2N=CHN(Me)2; R8=H; n=2)
N-[[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9-옥소티오크산텐-4-일]메틸]포름아미드(3g)를 2N HCl 50㎖로 희석하고, 용액을 증기욕에서 90분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냉각하고, 35%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pH 10으로 염기성화하고,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K2CO3을 통해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하고, 생성된 조질의 생성물을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탈과 60℃에서 밤새 반응시켰다. 과량의 DMF-디메틸 아세탈을 진공에서 제거하고, 목적하는 표제 화합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클로로포름/iPrNH2/MeOH(98:1:1))에 의해 정제하였다. 이 생성물을 2.5M HCl/EtOH(100㎖)에 용해시키고, 얼음욕중에서 냉각하고, 건조시켜, 오렌지색 고체로서 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4-(디메틸아미노메틸렌아미노메틸)-티오크산텐-9-온 삼염산염(융점 258-260℃) 2.38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6
N-[[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9-옥소티오크산텐-4-일]메틸]-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
(I: R1=R2=Et; Q=CH2NHC(O)CF3; R8=H; n=2)
염화메틸렌 80㎖중 4-(아미노메틸)-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티오크산텐-9-온(2.91g, 8.19mmol)의 0℃ 용액을 트리플루오로아세틸 클로라이드(톨루엔내 0.61M 용액 14.75㎖, 9.0mmol)로 처리하고, 반응 혼합물을 0℃에서 90분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하고,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EtOAc(100%)에 이어서 2% 이소프로필아민/EtOAc)에 의해 정제한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로부터 재결정화하여, 유리 염기로서 생성물(융점 189-190℃) 2.52g(68%)을 수득하였다(실시예 16). 유리 염기를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메탄설폰산(0.55g, 5.72mmol)으로 처리하여, 아세톤으로부터 재결정화한 후 메탄설폰산 염(융점 152-154℃)을 수득하였다(실시예 16a).
실시예 17(a)
DMSO(500㎖)중 티오졸리사이클산(50.14g, 0.33mmol) 및 아세트산구리(5.0g)의 혼합물을 환류시키고, 탄산칼륨(54.3g)을 분량으로 첨가하였다. 그 다음, 3-브로모클로로벤젠(42㎖, 0.36mol)을 주사기에 의해 첨가하고, 혼합물을 3시간동안 환류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물에 붓고, 목탄으로 처리하고,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한 HCl로 산성화하고,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에 의해 수거하고, 물로 세척하고, 60℃의 진공에서 건조시켜, 2-[(3-클로로페닐)티오]벤조산 75.01g(85%)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7(b)
진한 H2SO4의 교반중인 0℃ 용액에 1시간에 걸쳐 2-[(3-클로로페닐)티오]벤조산(75.00g, 0.28mol)을 나누어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시간동안 교반하고, 물(2.5ℓ)중 진한 NH4OH(500㎖)에 붓고,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에 의해 수거하고, 물로 세척하고, 60℃의 진공에서 건조시켜, 1-클로로티오크산텐-9-온과 3-클로로티오크산텐-9-온의 혼합물 65.9g(95%)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7(c)
1-클로로티오크산텐-9-온과 3-클로로티오크산텐-9-온(14.01g, 56.8mmol), 피리딘(20㎖) 및 디에틸아미노프로필아민(5.13g, 39.4mmol)의 혼합물을 반응이 완료할 때까지 환류시켰다. 열원을 제거하고,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고, 잔류물을 클로로포름에 넣고, 실리카상에서 클로로포름으로 용리시키면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 반응하지 않은 3-클로로 이성질체를 제거한 다음, 5% 이소프로필아미노/클로로포름으로 용리시키면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 오렌지색 고무질로서 1-[[3-(디에틸아미노)프로필]아미노]-티오크산텐-9-온 5.10g(54%)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7(d)
1-[[3-(디에틸아미노)프로필]아미노]-티오크산텐-9-온(5.10g, 15.0mmol), 포르말린(160㎖) 및 5N 아세트산(0.8㎖)의 혼합물을 16시간동안 90℃로 가열하고, 추가의 5N 아세트산(0.20㎖)에 이어서 포르말린(50㎖)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90℃에서 약 57시간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5N NaOH로 염기성화하고,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Na2SO4상에서 건조시키고, 2% 메탄올/클로로포름에 이어서 이소프로필아민/메탄올/클로로포름(2/2/96)으로 용리시키면서 실리카 칼럼을 통과시켜, 오렌지색/갈색 고무질로서 1-[[3-(디에틸아미노)프로필]아미노]-4-(히드록시메틸)-티오크산텐-9-온 3.82g(69%)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7(e)
1-[[3-(디에틸아미노)프로필]아미노]-9-옥소티오크산텐-4-카복스알데히드
(II: R1=R2=Et; R8=H; n=3)
1-[[3-(디에틸아미노)프로필]아미노]-4-(히드록시메틸)-티오크산텐-9-온(3.82g), 톨루엔(60㎖) 및 산화망간(7.5g)의 혼합물을 6.5시간동안 환류시켰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셀라이트를 통하여 여과시키고, 여액을 진공에서 농축하여, 갈색 오일로서 1-[[3-(디에틸아미노)프로필]아미노]-9-옥소티오크산텐-4-카복스알데히드 3.3g(87%)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17(f)
1-[[3-(디에틸아미노)프로필]아미노]-4-(메틸아미노메틸)티오크산텐-9-온 이염산염·3/2 수화물
(I: R1=R2=Et; Q=CH2NHMe; R8=H; n=3)
N-메틸포름아미드 50㎖중 1-[[3-(디에틸아미노)프로필]아미노]-9-옥소티오크산텐-4-카복스알데히드(3.3g, 8.96mmol) 및 포름산 3g의 용액을 2시간동안 환류시켰다. 혼합물을 5N 수산화나트륨 용액 5㎖으로 염기성화하고, 클로로포름(3×150㎖)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농축하고, 조질의 오일을 3N HCl 수용액(50㎖)에 용해시키고, 증기욕에서 3시간동안 가열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냉각하고, 35% NaOH 30㎖로 염기성화하고, 클로로포름(3×150㎖)으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농축하여, 갈색 오일을 수득하였다. 갈색 오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5% 트리에틸아민/Et2O, 5% Et3N/EtOAc에 이어서 트리에틸아민/메탄올/EtOAc(5:5:90))에 의해 정제하여, 투명한 오렌지색 고무질로서 1-[[3-(디에틸아미노)-프로필]아미노]-4-(메틸아미노메틸]티오크산텐-9-온 1.1g을 수득하였다. 이 고무질을 에테르중 6N HCl로 처리하여 상응하는 이염산염으로 전환하여, 황색 분말로서 이염산염·3/2 수화물(융점 222-224℃) 1.04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8(a)
4-(아미노메틸)-1-[[2-(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9-옥소티오크산텐-9-온 이염산염·1/2 수화물
(I: R1=R2=Me; Q=CH2NH2; R8=H; n=2)
N-[[1-[[2-(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9-옥소티오크산텐-4-일]메틸]포름아미드(6.2g) 및 2N HCl(52㎖)의 혼합물을 100℃로 1.5 내지 2시간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얼음물에 붓고, 35% NaOH로 염기성화하고,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물(2×)에 이어 염수(1×)로 세척하고, Na2SO4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상에서 에틸 아세테이트, 0.5% 트리에틸아민/EtOAc, 2% 트리에틸아민/EtOAc에 이어서 CHCl3/1-2% 이소프로필아민, 마지막으로 CHCl3/1-2% 이소프로필아민/2% MeOH로 용리시키면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유리 염기로서 생성물 3.3g(58%)을 수득하였다. 분량의 유리 염기(1.25g)를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MeOH(6㎖)중 진한 HCl(3.3㎖)로 처리하여, 이염산염·1/2 수화물로서 생성물(융점 213℃, 분해) 1.2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8(b)
N-[[1-[[2-(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9-옥소티오크산텐-4-일]메틸]메탄설폰아미드 메탄설포네이트
(I: R1=R2=Me; Q=CH2NHSO2Me; R8=H; n=2)
질소 분위기하의 무수 피리딘 30㎖중 4-(아미노메틸)-1-[[2-(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티오크산텐-9-온(2g, 6mmol)을 용액이 완성될 때까지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용액을 얼음욕에서 급냉하고, 급냉된 피리딘중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 0.52㎖(6.7mmol)를 적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수산화나트륨 0.51g을 함유한 물 500㎖에 붓고,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물(2회) 및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켰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2.5g)을 에테르중에서 교반하고, 여과하고, 건조시켜, N-[[1-[[2-(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9-옥소티오크산텐-4-일]메틸]메탄설폰아미드(융점 126-127℃) 2g를 수득하였다. 유리 염기를 MeOH에 용해시키고, 메탄설폰산(0.48g)으로 처리하여, 메탄설폰산 염으로서 생성물(융점 168℃, 분해) 2.0g(67%)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8(c)
톨루엔(322㎖)중 1-[[2-(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4-(히드록시메틸)-티오크산텐-9-온(9.2g, 0.028mol)의 혼합물을 약 60℃로 가열한 다음, 산화망간(MnO2, 16g)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60℃에서 1시간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액을 진공에서 농축하여, 1-[[2-(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9-옥소티오크산텐-4-카복스알데히드(화학식 II: R1=R2=Me; R8=H; n=2) 7.9g(87%)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18(d)
N-[[1-[[2-(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9-옥소티오크산텐-4-일]메틸]포름아미드
(I: R1=R2=Me; Q=CH2NHCHO; R8=H; n=2)
1-[[2-(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9-옥소티오크산텐-4-카복스알데히드(4.75g), 포름아미드(66.5㎖) 및 포름산(7.6㎖)의 혼합물을 170℃에서 4시간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얼음물(250㎖)에 붓고, 35% NaOH로 염기성화하고,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물(2회)에 이어 염수(1회)로 세척하고, 용매를 Na2SO4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농축하여, N-[[1-[[2-(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9-옥소티오크산텐-4-일]메틸]포름아미드 6.3g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18(e)
4-(아미노메틸)-1-[[2-(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9-옥소티오크산텐-9-온 이염산염·1/2 수화물
(I: R1=R2=Me; Q=CH2NH2; R8=H; n=2)
N-[[1-[[2-(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9-옥소티오크산텐-4-일]메틸]포름아미드(6.2g) 및 2N HCl(52㎖)의 혼합물을 1.5 내지 2시간동안 100℃로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얼음물에 붓고, 35% NaOH로 염기성화하고,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물(2회)에 이어 염수(1회)로 세척하고, Na2SO4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상에서 에틸 아세테이트, 0.5% 트리에틸아민/EtOAc, 2% 트리에틸아민/EtOAc에 이어서 CHCl3/1-2% 이소프로필아민, 마지막으로 CHCl3/1-2% 이소프로필아민/2% MeOH로 용리시키면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유리 염기로서 생성물 3.3g(58%)을 수득하였다. 분량의 유리 염기(1.25g)를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MeOH(6㎖)중 진한 HCl(3.3㎖)로 처리하여, 이염산염·1/2 수화물로서 생성물(융점 213℃, 분해) 1.2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8(f)
N-[[1-[[2-(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9-옥소티오크산텐-4-일]메틸]메탄설폰아미드 메탄설포네이트
(I: R1=R2=Me; Q=CH2NHSO2Me; R8=H; n=2)
질소 분위기하의 무수 피리딘 30㎖중 4-(아미노메틸)-1-[[2-(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티오크산텐-9-온(2g, 6mmol)을 용액이 완성될 때까지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용액을 얼음욕에서 급냉하고, 급냉된 피리딘중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 0.52㎖(6.7mmol)를 적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수산화나트륨 0.51g을 함유한 물 500㎖에 붓고,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물(2회) 및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켰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2.5g)을 에테르중에서 교반하고, 여과하고, 건조시켜, N-[[1-[[2-(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9-옥소티오크산텐-4-일]메틸]메탄설폰아미드(융점 126-127℃) 2g를 수득하였다. 유리 염기를 MeOH중에 용해시키고, 메탄 설폰산(0.48g)으로 처리하여, 메탄설폰산 염으로서 생성물(융점 168℃, 분해) 2.0g(67%)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9(a)
실시예 17(c)에 기술된 것과 유사한 과정을 따라, 1-클로로티오크산텐-9-온과 3-클로로티오크산텐-9-온(15.15g, 61.4mmol), 피리딘(20㎖) 및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민(6.01g, 58.7mmol)의 혼합물로부터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노]티오크산텐-9-온 6.83g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9(b)
실시예 17(d)에 기술한 바와 유사한 절차에 따라,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노]-티오크산텐-9-온(6.8g, 21.8mmol), 포르말린(175㎖) 및 빙초산(0.75㎖)로부터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노]-4-(히드록시메틸)티오크산텐-9-온 6.74g(90%)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9(c)
실시예 17(e)에 기술한 바와 유사한 절차에 따라,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노]-4-(히드록시메틸)티오크산텐-9-온(6.7g), 톨루엔(80㎖) 및 MnO2(12.15g)로부터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노]-9-옥소티오크산텐-4-카복스알데히드(화학식 II: R1 = R2 = Me; R8 = H; n = 3) 4.2g를 수득하였다. 생성물을 실리카상에서 CHCl3(1.00%) 내지 1% 이소프로필아민/CHCl3로 용리하면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실시예 19(d)
N-메틸포름아미드(50㎖), 포름산(5.2g) 및 1-[[3-(디메틸아민)프로필]아미노]-9-옥소티오크산텐-4-카복스알데히드(4.14g, 12.16mmol)의 혼합물을 3시간동안 환류하였다. 혼합물을 물(250 ㎖)로 희석시키고 35% NaOH로 염기성화하고 CHCl3(3×150 ㎖)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Na2SO4상에서 건조시키고, CHCl3(100%), 이어서 2% 이소프로필아민/CHCl3으로 용리히면서 실리카 충전물을 통과시켜 N-[[1-[[3-(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노]-9-옥소티오크산텐-4-일]메틸]-N-메틸포름아미드(화학식 IV: R1 = R2 = Me; R4 = Me; R8 = H; n =3) 3.93g(84%)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9(e)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노]-4-[메틸아미노메틸]티오크산텐-9-온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일수화물(R1 = R2 = Me; Q = CH2NHMe; R8 = H; n = 3)
3N HCl 40㎖중 상기 N-메틸포름아미드(3.83g; 10mmol)의 용액을 4시간동안 증기욕에서 가열하였고; 35% NaOH 용액으로 중성화하고 얼음상에서 1시간동안 급냉하였다. 액체층을 경사분리하고 조질의 생성물을 클로로포름중에 용해시키고 실리카겔(클로로포름; 1% 이소프로필아민/클로로포름)을 통해 여과하여 목적하는 아민 2.38g를 오렌지색 고무질로서 수득하였다. 생성물을 MeOH중에 용해시키고 진한 HCl로 처리함으로써 상응하는 염화수소염으로 전환시켜 이염화수소 일수화물(융점: 228 - 229℃) 0.98g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20(a)
1-[[2-(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9-옥소티오크산텐-4-카복사알데히드(4.75g, 0.15 mol), N-메틸포름아미드(48 ㎖) 및 포름산(3.9 ㎖)의 혼합물을 170℃에서 4.5시간동안 가열하고 이어서 실온에서 약 64시간동안 정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250㎖)에 부어 넣고 35% NaOH로 염기성화하고, CHCl3(3회)로 추출하여 유기층을 분리하고 물(2회)로 세척한 후 염수(1회)로 세척하고 Na2SO4상에서 건조시켰다.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여 N-[[1-[[2-(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9-옥소티오크산텐-4-일]메틸]-N-메틸 포름아미드[화학식 IV: R1 = R2 = Me; R4 = Me; R8 = H; n = 3) 5.75g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20(b)
1-[[2-(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4-[(메틸아미노)-메틸]티오크산텐-9-온 이염화수소·5/4 수화물
(I: R1 = R2 = Me; Q = CH2NHMe; R8 = H; n = 2)
실시예 19(e)와 유사한 절차에 따라,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클로로포름; 이어서 0.5% 이소프로필아민/클로로포름; 이어서 1% 이소프로필아민/클로로포름)에 의해 유리 염기의 정제 후, 실시예 20(a)의 상응하는 N-메틸포름아미드 5.7g(15.4mmol) 및 2N HCl 50㎖로부터 1-[[2-(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4-[(메틸아미노)메틸]티오크산텐-9-온 1.8g를 수득하였다. 유리 염기를 메탄올중에서 진한 HCl로 처리하여 상응하는 이염화수소·5/4 수화물 염으로 전환시켜 생성물(융점: 177℃(분해)) 1.8g(30%)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21(a)
포름산 3.6g를 함유하는 포름아미드 50㎖중 [[3-(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노]-9-옥소티오크산텐-4-카복스알데히드(3.6g; 10.57mmol)의 용액을 1.5시간동안 환류하고 이어서 실온에서 밤새 정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400㎖)로 희석하고 5N NaOH 용액 3㎖로 염기성화하고 30분동안 신속하게 교반하고 침전된 고체를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N-[[1-[[3-(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노]-9-옥소티오크산텐-4-일]메틸]-N-메틸 포름아미드(화학식 I; R1 = R2 = Me; Q = CH2NHCHO; R8 = H; n = 3) 3.1g(79%)를 황색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실시예 21(b)
3N HCl 40 ㎖중 실시예 21(a)의 포름아미드(2.98g, 8.07mmol)의 용액을 증기욕에서 4시간동안 가열하고, 실온까지 냉각하고 얼음위에서 급냉하고 pH 8까지 5N NaOH 용액으로 중성화하였다. 생성된 비균질상 혼합물을 클로로포름(5회×100 ㎖)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키고 실리카겔 충전물(우선 5% 트리에틸아민/에테르, 이어서 1 내지 5% 이소프로필아민/클로로포름)을 통해 여과시켜 4-(아미노메틸)-1-[[3-(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노]티오크산텐-9-온(화학식 I; R1 = R2 = Me; Q=CH2N, H2; R8=H; n=3) 2.3g(83%)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1(c)
N-[[1-[[3-(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노]-9-옥소티오크산텐-4-일]메틸]메탄설폰아미드 메탄설포네이트·1/2 수화물
(I: R1 = R2 = Me; Q = CH2NHSO2Me; R8 = H; n = 3)
피리딘중 실시예 21(b)의 아민(2.2g, 6.44mmol)의 빙냉 용액에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0.51 ㎖, 6.59mmol)를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클로로포름으로 희석하고 5% 트리에틸아민/EtOAc로 용리하면서 다량의 실리카겔 충전물을 통과시켜 N-[[1-[[3-(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노]-9-옥소티오크산텐-4-일]메틸]-메탄설폰아미드 1.32g를 황색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유리 염기를 메탄올(10 ㎖)중에 용해시키고 메탄올중 메탄설폰산(0.31g, 1 당량)으로 처리하여 메탄설폰산·1/2 수화물 염 1.38g를 오렌지색 고체(융점: > 107℃)로서 수득하였다.
실시예 22
N-[[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9-옥소티오크산텐-4-일]메틸]-N-메틸-에탄설폰아미드 메탄설포네이트
(I: R1 = R2 = Et; Q = CH2N(CH3)SO2Et; R8 = H; n = 2)
염화메틸렌 45㎖중 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4-[(메틸아미노)메틸]티오크산텐-9-온(실시예 5에 기술된 방법에 의해 제조됨) 2.03g(5.49mmol) 및 트리에틸 아민의 용액을 0℃까지 냉각시키고 에탄설포닐 클로라이드(0.74g, 5.76mmol)로 처리하였다. 0℃에서 15분 후,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7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중에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클로로포름중에 용해시키고 실리카겔 충전물(클로로포름; 이어서 1% 트리에틸아민/클로로포름)에 통과시켜 정제하고 N-[[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9-옥소티오크산텐-4-일]메틸-N-메틸에탄설폰아미드 2.43g(96%)을 수득하였다. 설폰아미드를 에틸 아세테이트로부터 재결정화하고 이소프로판올중 메탄설폰산으로 처리하여 메탄설포네이트 염으로서 생성물(융점: 159-161 ℃)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3
N-[[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9-옥소티오크산텐-4-일]메틸](p-메톡시)벤젠설폰아미드 메탄설포네이트
(I: R1 = R2 = Et; Q = CH2NHSO2C6H4-p-OMe; R8 = H; n = 2)
트리에틸아민 1.5㎖를 함유하는 클로로포름 30㎖중 4-(아미노메틸)-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티오크산텐-9-온(실시예 4에 기술된 방법에 의해 제조됨) 1.40g(3.94mmol)의 용액을 0℃까지 냉각시키고 p-메톡시벤젠설포닐 클로라이드(0.83g, 4.02mmol)로 처리하였다. 0℃에서 10분 후,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클로로포름을 진공중에 제거하고, 잔류물을 트리에틸아민 1 ㎖을 함유하는 염화메틸렌 100㎖중에 용해시키고 추가의 p-메톡시벤젠설포닐 클로라이드(0.85g)로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진공중에 농축하고, 잔류물을 실리카겔 충전물(1% 트리에틸아민/클로로포름)에 통과시켜 정제하고 N-[[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9-옥소티오크산텐-4-일]메틸]-p-메톡시-벤젠설폰아미드 1.57g를 수득하였다. 설폰아미드를 이소프로판올/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메탄올중 메탄설폰산(0.3g)으로 처리하여 메탄설폰산 염(융점: 133-137 ℃) 1.07g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24
N-[[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9-옥소티오크산텐-4-일]메틸]에탄설폰아미드 메탄설포네이트
(I: R1 = R2 = Et; Q = CH2NHSO2Et; R8 = H; n = 2)
피리딘 30㎖중 4-(아미노메틸)-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티오크산텐-9-온(실시예 4에 기술된 방법에 의해 제조됨) 2.5g의 용액을 얼음욕에서 15분 동안 냉각시키고 피리딘 5㎖중 에탄설포닐 클로라이드 0.95g를 신속하게 적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NaOH 0.75g를 함유하는 물 75 ㎖에 부어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물(2회) 및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켰다. 혼합물을 진공중에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에테르중에서 교반하고 건조시켜(40℃/0.1mm) N-[[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9-옥소티오크산텐-4-일]메틸]에탄설폰아미드(융점: 105℃(분해)) 1.7g를 수득하였다. 설폰아미드를 메탄올중에 용해시키고 메탄올중 메탄설폰산으로 처리하고 메탄설폰산 염(융점: 135℃(분해)) 1.61g(42%)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5
N-[[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9-옥소티오크산텐-4-일]메틸]-N-에틸-메탄설폰아미드
(I: R1 = R2 = Et; Q = CH2N(Et)SO2Me; R8 = H; n = 2)
염화메틸렌 30㎖중 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4-[(에틸아미노)메틸]티오크산텐-9-온(실시예 14의 방법에 의해 제조됨) 2.10g(5.48mmol)의 용액을 0℃까지 냉각하고 트리에틸아민 2㎖ 및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0.7㎖)로 처리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6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중에 제거하고, 잔류물을 클로로포름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실리카겔 충전물(클로로포름에 이어서 2% 트리에틸아민/클로로포름으로 용리함)에 통과시켜 정제하였다. 단리된 황색 고체를 에틸 아세테이트로부터 재결정화하고 건조시켜 N-[[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9-옥소티오크산텐-4-일]메틸]-N-에틸메탄설폰아미드(융점: 172-176℃) 1.11g(44%)을 황색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실시예 26
N-[[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9-옥소티오크산텐-4-일]메틸]-3,4-디클로로벤젠설폰아미드 메탄설포네이트·1/2수화물
(I: R1 = R2 = Et; Q = CH2NHSO2C6H3-3,4-디클로로; R8 = H; n = 2)
무수 피리딘 35㎖중 3,4-디클로로벤젠설포닐 클로라이드(1.84g, 7.5mmol)의 용액에 4-(아미노메틸)-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티오크산텐-9-온(실시예 4에 기술된 방법에 의해 제조됨) 2.5g(7mmol)을 질소 분위기하에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5분 동안 교반하고 약 72시간동안 정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NaOH 0.75g를 함유하는 물 75㎖에 부어 넣고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물(2회) 및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켰다. 클로로포름을 진공중에 제거하고, 잔류물을 에탄올로부터 재결정화하여 N-[[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9-옥소티오크산텐-4-일]메틸]-3,4-디클로로벤젠설폰아미드(융점: 95℃(분해)) 1.24g를 수득하였다. 유리 염기를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메탄올중 메탄설폰산으로 처리하여 메탄설포네이트·1/2수화물(융점: 55℃(분해))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7
N-[[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9-옥소티오크산텐-4-일]메틸]-2-플루오로벤젠설폰아미드
(I: R1 = R2 = Et; Q = CH2NHSO2C6H4-2-F; R8 = H; n = 2)
트리에틸아민 1㎖를 함유하는 염화메틸렌 25㎖중 4-(아미노메틸)-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티오크산텐-9-온(실시예 4에 기술된 방법에 의해 제조됨) 1.36g(3.83mmol)의 용액을 0℃까지 냉각시키고 2-플루오로벤젠설포닐 클로라이드(0.84g, 4.32mmol)로 처리하고 반응 혼합물을 몇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중에 제거하고 잔류물을 클로로포름에 용해시키고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클로로포름에 이어서 1% 트리에틸아민/클로로포름)에 의해 정제하였다.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고 생성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부터 재결정화하여 N-[[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9-옥소티오크산텐-4-일]메틸]-2-플루오로벤젠설폰아미드(융점: 125-127℃) 1.08g(55%)을 오렌지색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실시예 28
N-[[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9-옥소티오크산텐-4-일]메틸]-N-프로필-메탄설폰아미드
(I: R1 = R2 = Et; Q = CH2N(C3H7)SO2Me; R8 = H; n = 2)
펜탄(4회)으로 연마함으로써 광유중 수소화나트륨의 60% 분산액 0.2g로부터 오일을 제거하였다. 무수 DMF(40㎖)를 질소 분위기하에 수소화나트륨에 교반하면서 첨가하고, N-[[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9-옥소티오크산텐-4-일]메틸]메탄설폰아미드(실시예 6) 2g를 반응 혼합물에 질소 분위기하에 교반하면서 첨가하고 혼합물을 50℃까지 2시간동안 가열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15분 동안 얼음욕에서 급냉시키고, 소량의 DMF중 프로필 요오다이드 0.87g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 35㎖로 교반하고 여과하고 잔류물을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켜서(50℃/0.1 mm/P2O5) N-[[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9-옥소티오크산텐-4-일]메틸]-N-프로필메탄설폰아미드(융점: 142-143 ℃) 2.17g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29
N-[[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9-옥소티오크산텐-4-일]메틸]-N-메틸-벤젠설폰아미드 메탄설포네이트
(I: R1 = R2 = Et; Q = CH2N(Me)SO2C6H5; R8 = H; n = 2)
염화메틸렌 100㎖중 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4-[(메틸아미노)메틸]티오크산텐-9-온(실시예 5에 기술된 방법에 의해 제조됨) 5.32g(14.4mmol)의 용액을 0℃까지 냉각시키고 트리에틸아민(5㎖) 및 벤젠설포닐 클로라이드(2㎖, 15.67mmol)로 처리하고 반응 혼합물을 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중에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실리카겔 충전물(클로로포름, 이어서 1/2%-1% 이소프로필아민/클로로포름으로 용리)에 통과시켜 정제하여 황색 고무질 6.24g를 수득하였다. 생성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에 용해시키고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여 N-[[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9-옥소티오크산텐-4-일]메틸]-N-메틸벤젠설폰아미드 6.06g(83%)을 수득하였다. 설폰아미드(2.5g)를 이소프로판올에 현탁시키고 메탄설폰산(0.51g)으로 처리하여 메탄설폰산 염(융점: 171-174 ℃) 2.63g을 수득한다.
실시예 30(a)
아세트산(1ℓ)중 m-아니스산(250g, 1.67mol)의 혼합물에 브롬(85 ㎖) 및 이어서 물(1ℓ)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가열하면서 환류하고 얼음욕에서 냉각시키고 침전된 생성물을 여과에 의해 수거하고 물로 세척하여 2-브로모-5-메톡시벤조산(융점: 154-156℃) 305.7g(79%)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30(b)
3-클로로티오페놀(20g, 138mol), 및 아세트산구리(1.8g) 및 DMF(200㎖)의 혼합물에 K2CO3(23g)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50℃까지 15 내지 20분 동안 가열하고 2-브로모-5-메톡시벤조산(35.8g, 0.155 mol)을 일부분씩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밤새 가열하고, 물(600 ㎖)에 부어 여과하고, 여액을 목탄으로 처리하고 여과하고 HCl로 희석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에 의해 수거하고 물로 세척하고 50℃의 진공에서 P2O5상에서 건조시켜서 2-[(3-클로로페닐)티오]-5-메톡시벤조산 27.6g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30(c)
질소 분위기하의 냉각된 황산(89㎖)에 2-[(3-클로로페닐)티오-5-메톡시벤조산(27g, 0.092mol)을 나누어서 1.5 내지 2 시간에 걸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밤새 교반하고 진한 NH4OH(218㎖) 및 얼음을 함유하는 물(900㎖)에 부었다. 침전된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거하고 50℃의 진공에서 P2O5상에서 건조시켜 1-클로로-7-메톡시-티오크산텐-9-온 및 3-클로로-7-메톡시-티오크산텐-9-온의 혼합물 21g(42%)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0(d)
1-클로로-7-메톡시-티오크산텐-9-온 및 3-클로로-7-메톡시-티오크산텐-9-온(20.7g), 피리딘(69 ㎖) 및 디에틸아미노에틸아민(16.1g, 0.138 mol)의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하에 115℃로 20시간동안 가열하였다. 용매를 진공중에 제거하고 잔류물을 실리카상에서 CHCl3(100%) 및 이어서 1% 이소프로필아민/클로로포름으로 용리하면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7-메톡시티오크산텐-9-온 11.22g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30(e)
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7-메톡시티오크산텐-9-온(11.2g, 0.031mol), 37% 포름알데히드(277 ㎖) 및 5N 아세트산(4.6 ㎖)의 혼합물을 100℃에서 3시간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하고 여과하고 여액을 얼음물(600 ㎖)에 부어 넣고 35% NaOH로 염기성으로 만들었다. 혼합물을 클로로포름(3회)으로 추출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상에서 건조시켰다. 용매를 진공중에 제거하고 잔류물을 실리카상에서 25% CHCl3/헥산, 이어서 50% CHCl3/헥산, 이어서 75% CHCl3/헥산, 및 0.5% 이소프로필아민/CHCl3으로 용리하면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4-(히드록시메틸)-7-메톡시티오크산텐-9-온 8.8g(73%)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0(f)
톨루엔(268㎖)중 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4-(히드록시메틸)-7-메톡시티오크산텐-9-온(8.8g, 0.023 mol)의 용액을 질소 분위기하에 60℃까지 가열하고 이어서 MnO2(13.2g)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밤새 가열하고 여과하고 여액을 진공중에 농축하여 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7-메톡시-9-옥소티오크산텐-4-키복스알데히드(화학식 II: R1 = R2 = Et; R8 = 7 - OCH3; n = 2) 7.05g(81%)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0(g)
N-메틸포름아미드 25.5 ㎖중 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7-메톡시-9-옥소티오크산텐-4-카복스알데히드(3g, 7.8mmol) 및 포름산 1.5㎖의 용액을 170℃까지 8시간동안 질소 분위기하에 교반하면서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얼음/물 160㎖에 붓고, 35% NaOH 용액으로 염기성화하고, 클로로포름(3회)으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물(2회) 및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키고 용매를 진공중에 제거하여 목적하는 N-[[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7-메톡시-9-옥소티오크산텐-4-일]메틸]-N-메틸포름아미드(화학식 IV: R1 = R2 = Et; R4 = Me; R8 = 7 - OCH3; n = 2) 3g(89.9%)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0(h)
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4-[(메틸아미노)메틸]-7-메톡시-티오크산텐-9-온
(I: R1 = R2 = Et; Q = CH2NHMe; R8 = 7 - OMe; n = 2)
2N HCl 수용액(24 ㎖)중 실시예 30(g)의 N-메틸포름아미드(3.0g)을 100℃에서 2시간동안 질소 분위기하에 교반하면서 가열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125 ㎖ 얼음/물에 붓고 35% NaOH 용액으로 염기성화하고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고 물(2회), 이어서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중에 농축하여 조질의 생성물 3.1g를 수득하였다. 생성물을 에테르중에 연마하고 여액을 수회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칼럼(실리카겔; 50% 헥산/클로로포름, 이어서 클로로포름, 이어서 0.25-0.5% 이소프로필아민/클로로포름(칼럼 1); 클로로포름, 이어서 1% 이소프로필아민/1% MeOH/CHCl3(칼럼 2); 및 CHCl3, 이어서 0.5% 이소프로필아민/CHCl3(칼럼 3)으로 용리)에 의해 정제하여 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4-[(메틸아미노)메틸]-7-메톡시-티오크산텐-9-온 0.746g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31(a)
N-[[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7-메톡시-9-옥소티오크산텐-4-일]메틸]-N-메틸포름아미드
(I: R1 = R2 = Et; Q = CH2NHCHO; R8 = 7 - OMe; n = 2)
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7-메톡시-9-옥소티오크산텐-4-카복스알데히드(3.6g, 0.0094mol), 포름아미드(48㎖) 및 포름산(6㎖)의 혼합물을 170℃까지 8시간동안 질소 분위기하에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얼음/물에 붓고, 35% NaOH로 염기성화하고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물(2회) 및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중에 농축하여 N-[[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7-메톡시-9-옥소티오크산텐-4-일]메틸]-N-메틸포름아미드 3.88g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31(b)
4-(아미노에틸)-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7-메톡시-티오크산텐-9-온
(I: R1 = R2 = Et; Q = CH2NH2; R8 = 7 - OCH3; n = 2)
실시예 31(a)의 포름아미드(3.88g) 및 2N HCl(32 ㎖)의 혼합물을 100℃까지 2시간동안 질소 분위기하에 교반하면서 가열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물에 붓고 10% NaOH 용액으로 염기성화하고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중에 농축하여 조질의 생성물 3.6g를 수득하였다. 생성물을 클로로포름중에 용해시키고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헥산/클로로포름(50:50)으로, 이어서 헥산중 1% 이소프로필아민/클로로포름(50:50)으로 용리]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하는 생성물 1.75g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31(c)
N-[[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7-메톡시-9-옥소티오크산텐-4-일]메틸]-메탄설폰아미드
(I: R1 = R2 = Et; Q = CH2NHSO2Me; R8 = 7 - OMe; n = 2)
질소 분위기하에 얼음욕에서 냉각된 피리딘 22.5㎖중 실시예 31(b)의 아민 1.75g(0.0045 mol)의 용액에 소량의 피리딘중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 0.39㎖(0.005 mol)을 교반하면서 적가하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NaOH 0.38g를 함유하는 물 375㎖에 붓고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클로로포름층을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키고 용매를 진공중에 제거하고 잔류물을 진공중에 건조시켜 N-[[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7-메톡시-9-옥소티오크산텐-4-일]메틸]메탄설폰아미드(융점: 144℃(분해)) 1.61g(77%)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32(a)
3-클로로티오페놀(20g, 0.138 mol), 아세트산구리(1.75g) 및 DMF(199 ㎖)의 혼합물에 질소 분위기하에 K2CO3(23g)을 나누어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50℃까지 가열하고 이어서 2,5-디브로모벤조산(43.5g)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밤새 가열하고 물(600 ㎖)에 붓고 여과하고 여액을 목탄으로 처리하고 다시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한 HCl로 산성화하고 CHCl3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상에서 건조하였다. 용매를 진공중에 제거하여 2-[(3-클로로페닐)티오]-5-브로모벤조산 28.9g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32(b)
2-[(3-클로로페닐)티오]-5-브로모벤조산(28.4g) 및 진한 황산(80 ㎖)의 혼합물을 0℃에서 교반한 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한 NH4OH(199 ㎖)을 함유하는 얼음물(850㎖)에 붓고 침전된 생성물을 여과에 의해 수거하고 50℃에서 진공중에 건조시켜 1-클로로-7-브로모티오크산텐-9-온 및 3-클로로-7-브로모티오크산텐-9-온의 혼합물 15.0g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32(c)
1-클로로-7-브로모티오크산텐-9-온 및 3-클로로-7-브로모티오크산텐-9-온(13.6g), 피리딘(108㎖) 및 N,N-디에틸에틸렌디아민(16.3㎖)의 혼합물을 115℃에서 20시간동안 가열하였다. 용매를 진공중에 제거하고, 잔류물을 실리카상에서 CHCl3(100%), 이어서 1% 이소프로필아민/CHCl3로 용리하면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7-브로모티오크산텐-9-온 9.3g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32(d)
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7-브로모티오크산텐-9-온(9.3g, 22.9mmol), 37% 포름알데히드 용액 203㎖ 및 5N 아세트산 용액 3.4㎖의 혼합물을 100℃까지 질소 분위기하에 밤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형성된 고체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다. 여액을 물로 희석시키고 35% NaOH 용액으로 염기성화하고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키고 용매를 진공중에 제거하여 오일 10g를 수득하였다. 염화메틸렌중 상기 오일을 여과하고 용매를 진공중에 농축하고 조질의 히드록시메틸 동족체를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25% 클로로포름/헥산, 이어서 클로로포름/헥산(1:1), 이어서 25% 클로로포름/헥산, 이어서 CHCl3(100%), 이어서 0.5 내지 1% 이소프로필아민/클로로포름으로 용리)에 의해 정제하여 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4-(히드록시메틸)-7-브로모티오크산텐-9-온 3.2g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32(e)
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7-브로모-9-옥소티오크산텐-4-카복스알데히드
(II: R1 = R2 = Et; R8 = 7 - Br; n = 2)
톨루엔 85㎖중 실시예 32(d)의 알코올 3.2g(7.34mmol) 및 MnO2 4.3g의 혼합물을 60℃에서 1시간동안 질소 분위기하에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CHCl3로 세척하고 수거하고 여액을 진공중에 농축하여 황색 고체 3g를 수득하였다. 황색 고체를 에테르중에서 연마하고 여과하고 건조시켜 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7-브로모-9-옥소티오크산텐-4-카복스알데히드(융점:145-146℃) 2.7g(94.3%)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2(f)
N-[[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7-브로모-9-옥소티오크산텐-4-일]메틸]포름아미드
(I: R1 = R2 = Et; Q = CH2NHCHO; R8 = 7 - Br; n = 2)
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7-브로모-9-옥소티오크산텐-4-카복스알데히드 2.7g(6.2mmol), 포름아미드 31.7㎖ 및 포름산 3.6㎖의 혼합물을 170℃까지 질소 분위기하에 8시간동안 교반하면서 가열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72시간동안 정치하였다. 혼합물을 얼음/물 150㎖에 붓고 35% NaOH 용액으로 염기성화하고 고체 생성물을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고체 생성물을 클로로포름중에 용해시키고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키고 용매를 진공중에 농축하여 목적하는 포름아미드 2.85g를 황색/오렌지색 고체(융점: 132℃(분해))로서 수득하였다.
실시예 32(g)
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4-(아미노메틸)-7-브로모티오크산텐-9-온
(I: R1 = R2 = Et; Q = CH2NH2; R8 = 7 - Br; n = 2)
2N HCl 용액 26㎖중 상기 포름아미드(실시예 32(f)) 2.85g(6.6mmol)의 혼합물을 100℃까지 질소 분위기하에 2시간동안 가열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정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얼음/물 200㎖에 붓고 35% NaOH 용액으로 염기성화하고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중에 농축하여 어두운 색의 오일 2.67g를 수득하였다. 어두운 색의 오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헥산/클로로포름(1:1) 1250 ㎖, 이어서 헥산중 1% 이소프로필아민/클로로포름(1:1))에 의해 정제하여 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4-(아미노메틸)-7-브로모티오크산텐-9-온(융점:79-82℃) 1.87g(70%)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3
N-[[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7-브로모-9-옥소티오크산텐-4-일]메틸]메탄설폰아미드
(I: R1 = R2 = Et; Q = CH2NHSO2Me; R8 = 7 - Br; n = 2)
질소 분위기하에 무수 피리딘 11.5㎖중 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4-(아미노메틸)-7-브로모티오크산텐-9-온(1g, 2.3mmol)을 얼음욕에서 15분 동안 교반하고 급냉된 피리딘중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 0.2㎖(2.6mmol)을 적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 200 ㎖에 붓고 얼음/물중 수산화나트륨 0.19g를 첨가하고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물(2회) 및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켰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진공중에 농축하고 잔류물을 에테르중에 교반하고 여과하고 건조시켜 N-[[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7-브로모-9-옥소티오크산텐-4-일]메틸]-메탄설폰아미드(융점: 134-139℃) 1.02g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34
메틸 N-[[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9-옥소티오크산텐-4-일]메틸]카바메이트
(I: R1 = R2 = Et; Q = CH2NHCOOMe; R8 = H; n = 2)
0℃로 급냉된 트리에틸아민 5 ㎖를 함유하는 염화메틸렌 50 ㎖중 4-(아미노메틸)-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티오크산텐-9-온 2.94g(8.27mmol)의 용액에 메틸 클로로포르메이트 0.7㎖(9.06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2.5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중에 제거하고, 잔류물을 클로로포름에 현탁시키고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클로로포름, 이어서 1% 이소프로필아민/클로로포름)에 의해 정제하고 메틸 N-[[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9-옥소티오크산텐-4-일]메틸]-카바메이트(융점: 129-131℃) 2.36g(69%)를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실시예 35
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4-[(메틸아미노)메틸]-7-히드록시-티오크산텐-9-온
(I: R1 = R2 = Et; Q = CH2NHMe; R8 = 7-OH; n = 2)
48% HBr 용액 10㎖중 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4-[(메틸-아미노]메틸]-7-메톡시-티오크산텐-9-온(실시예 30(h)에 기술된 바와 같은 과정에 의해 제조됨) 1.6g(4mmol)의 용액을 110℃까지 5시간동안 가열하였다. 냉각 후, 반응 혼합물을 포화 중탄산나트륨으로 중성화하고 클로로포름(3회, 100㎖)으로 추출하였다. 수불용성 어두운 색의 고무질 또는 클로로포름을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클로로포름 용액과 결합하였다. 용매를 진공중에 농축하여 어두운 오렌지색 고체 1.67g를 수득하였다. 오렌지색 고체 생성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이소프로필아민/메탄올/클로로포름(1:1:98), 이어서 이소프로필아민/MeOH/CHCl3(2:2:96)으로 용리하면서 제 2 실리카 칼럼)에 의해 정제하여 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4-[(메틸아미노)메틸]-7-히드록시-티오크산텐-9-온(융점: 167-169℃) 0.56g(36%)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6
메틸 N-[[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7-메톡시-9-옥소티오크산텐-4-일]-메틸]카바메이트
(I: R1 = R2 = Et; Q = CH2NHCOOMe; R8 = 7-OMe; n = 2)
0℃로 급냉된 트리에틸아민 2㎖를 함유하는 클로로포름 40 ㎖중 4-(아미노메틸)-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7-메톡시티오크산텐-9-온 1.55g의 용액에 메틸 클로로포르메이트 0.45㎖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수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중에 제거하고,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클로로포름, 이어서 클로로포름중 1% 트리에틸아민/헥산(1:1)으로 용리함)에 의해 정제하여 메틸 N-[[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7-메톡시-9-옥소티오크산텐-4-일]-메틸]카바메이트 1.2g를 수득하였고, 이를 에틸 아세테이트로부터 재결정화하여 밝은 황색 고체(융점: 131-132℃) 0.79g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37
N-[[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7-히드록시-9-옥소티오크산텐-4-일]메틸]메탄설폰아미드·3/4 수화물
(I: R1 = R2 = Et; Q = CH2NHSO2CH3; R8 = 7-OH; n = 2)
CH2Cl2(45㎖)중 N-[[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7-메톡시-9-옥소티오크산텐-4-일]메틸]메탄설폰아미드의 용액(0.5g)에 -78℃에서 CH2Cl2(1.75 ㎖)중 1N BBr3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까지 가온하고 밤새 교반한 후 35% NaOH(8 ㎖)를 함유하는 얼음물(250 ㎖)에 부었다. 혼합물을 묽은 HCl로 산성화한 후 고체 Na2CO3로 염기성화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중에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상에서 5% MeOH/EtOAc로 용리하면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N-[[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7-히드록시-9-옥소티오크산텐-4-일]메탄설폰아미드·3/4 수화물(융점: 78℃(분해)) 0.28g(58%)을 수득하였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하기 절차에 따라 마우스에 있어서 항종양 활성에 대해 시험하였다.
동물을 풀링(pooling)하고, 30 내지 60 ㎎의 종양 단편으로 12-게이지 투관침(trocar)에 의해 피하이식하고, 각종 처리군 및 대조군에 대해 비선택적인 분배를 하기 전에 다시 풀링하였다. 초기 단계 처리에서, 종양 이식후 1 내지 5일내에 화학요법을 시작하며 세포수는 비교적 작았다(107 내지 108 세포). 진행 단계 처리에서, 화학요법을 종양이 비교적 커질 때까지 지연하였다(200 내지 300㎎ 크기). 300㎎의 종양은 약 3 × 108 총 세포를 함유한다. 소정의 진행 단계 시험에서 종양은 동물의 90%에 대해 2.5배 크기 이내였다. 종양을 캘리퍼로 매주(또는 더욱 빠르게 성장하는 종양에 대해서는 매주 2회) 측정하였다. 마우스는 그 종양이 1500㎎에 다다르면(즉 동물이 불편함을 느끼기 전에) 죽었다. 종양 중량은 2차원 측정으로 평가되었다.
처리군 및 대조군을 대조군 종양이 약 700 내지 1200㎎ 크기에 다다르면 측정하였다(군 평균). 각각의 군의 평균 종양 중량을 측정하였다(0을 포함). T/C 값(대조군 종양의 중량에 대한 처리된 종양의 중량) %는 항종양 효과의 지표이다: 암 치료과의 의약 평가 분류(the Drug Evaluation Branch of the Division of Cancer Treatment, NCI)에 의하면 42% 이하의 T/C는 상당한 항종양 활성으로 간주된다. 10% 미만의 T/C은 상당히 높은 항종양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20%보다 큰, 또는 20% 약물-치사보다 큰 체중 손실 최하점(군의 평균)은 과도하게 독성인 투여량으로 간주된다.
그 결과를 췌장관선암 03번에 대해 표 I에 나타내었고, 결장선암 38번에 대해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의 화합물은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의 다른 종양에 대해 정맥내 주입으로 시험하였고, 결장선암 38번에 대해 300㎎/㎏로 경구 투여할때 활성이었다.
실시예 6의 화합물을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의 다른 종양에 대해 환괴로 정맥내 주입하여 시험하였다.
실시예 8(a)의 화합물을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의 종양에 대해 시험하였다.
실시예 36의 화합물을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의 종양에 대해 시험하였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화합물을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방선암 16/C/RP에 대해 시험하였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화합물을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P388/아드리아마이신 내성 백혈병에 대해 시험하였다.
전술된 시험 수행중에 연구자들은 주입전에 새로이 만들어지지 않은 주입가능한 용액을 사용할 때 분해 문제점을 접하게 되었다. 그 다음에, 환자의 종양 치료를 위한 의학 분야에서 항종양제를 사용할 수 있도록 분해되지 않는 주입가능한 용액을 제공하기 위해 프로젝트가 이행되었다.
세포독성의 항종양 활성을 갖는 실시예 6의 화합물(화합물명 : N-[[1-[[2-(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9-옥소티오옥산텐-4-일]메틸]메탄설폰아미드, 구조식
)이 본 연구에서 사용되었다. 이후 이 화합물은 언급하기 쉽도록 종종 WIN 33377이라고 지칭할 것이다. 시트르산염 완충제중 2.5㎎/㎖의 농도로 앰플내에서 최종 안정화된 용액 제제(pH 5.5)를 사용하여 상기 화합물을 임상 연구에서 평가하였다. 허용가능한 보존 기간을 얻기 위하여, 제제를 냉장고(2 내지 8℃)에 보관하였다. 고온에서 보관하면, 저온에서 침전되는 매우 낮은 용해성의 이합체 물질의 제제가 된다. 주위 온도에서 보관되어 상업적으로 허용되는 제품을 제공하기 위해 동결 건조시킨 제제가 필요할 수 있다.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3개 제제를 사용하였다:
WIN 3377의 수성 제제는 안정화제를 첨가하기 전에 제조하였다.
3개의 안정화제를 각종 농도로 용액에 첨가하였다: 만니톨(Fison AR 등급 M/2405), 덱스트란(Sigma Chemical Co. Clinical 등급 D-4751) 및 수크로즈(Prolabo Normapur AR 등급 27480.294).
주위 온도 미만의 부속품을 갖는 퍼킨-엘머 DSC-II를 사용하였다. 자료를 모으고, DARES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델(Dell) 210 마이크로컴퓨터에서 분석하였다. 제품설명서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인듐과 물을 기준 물질로서 사용하여 온도 보정을 실시하였다. 분석용 액상 샘플을 커다란 스테인레스 강 팬내에 밀봉시켰다. 이들을 27℃에서 열량계내에 놓고, -53 내지 27℃에서 냉각/가열 주기를 거치게 하였다. 가열 및 냉각 속도는 5℃/분이었다. 또한, 동결 건조된 샘플을 무수 질소 대기하에서 커다란 스테인레스 강 팬내에 밀봉시켜서 건조된 케이크에 의한 수분 흡수 가능성을 감소시켰다. 임의의 신호 크기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53 내지 127℃의 온도 범위에 걸쳐 10℃/분의 가열 및 냉각 속도를 사용하였다. 동결 건조는 실험용 동결-건조기에서 수행하였다.
동결 건조된 샘플의 안정성 평가는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법을 사용하여 수행하여서 WIN 33377 또는 전체 크로마토그래피 불순물을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
HPLC 장치(콘트론(Kontron))를 사용하여 하기의 조건하에서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였다:
칼럼 : 파티실(Partisil) ODS-3,5㎛, 10 x 0.46㎝
이동상 : A : B (77:23 v/v)(A는 pH 4.8의 0.5M 아세트산 암모늄 완충제이고, B는 아세토니트릴이다.)
유동 속도 : 2.0㎖/min
탐지기 파장 : 258㎚
온도 : 40℃
주입 부피 : 20㎕
전체 크로마토그래피 불순물 방법
전체 크로마토그래피 불순물을 측정하기 위해 하기의 조건하에서 구배 용리 HPLC법을 사용하였다:
칼럼 : 하이퍼실(Hypersil) BDS, C18, 5㎛, 25 x 0.46㎝ 내경
이동상 : A : 아세트산 암모늄 7.71g/ℓ + 빙초산 6.0㎖/ℓ + 트리에틸아민 10㎖/ℓ(pH 4.8로 조정됨), B : 아세토니트릴
구배 조건
제형화 전개
모든 동결-건조 공정의 전개에서 제 1 단계는, 동결 건조하기 위해 제형화시키기 전에 용액의 물리 화학적 특성을 완전히 특징화하는 것이다. 표 9에 제공된 바와 같이 3개 제제의 샘플을 전술된 절차에 따라 DSC로 분석하였다. 적절한 전이 온도를 표 10에 요약하였다.
3개 혼합물은 상이한 물리 화학적 양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아세트산염-함유 제제는 결정질인 것으로 밝혀졌고, 시트르산염-함유 제제는 부분 결정질인 동시에 나머지 부분이 유리를 형성하는 것으로 밝혀졌고, 락트산염-함유 제제는 유리를 형성한다.
이들 3 형태의 양태중에서, 부분 결정화는 동결 건조에 대해 가장 큰 문제점을 제공한다. 부분 결정화는 일반적으로 예측할 수 없고, 바이알 형태로 제조된 약제 경우에 바이알간의 동결된 생성물 구조를 매우 다르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는 바이알간의 건조 유효성에 편차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 최종 결과로 바이알마다 안정성, 재수화성 및 보존 기간과 같은 생성물 품질에서 배치내 편차가 있다. 바이알간의 수분 함량의 편차는 상기 문제의 가장 직접적인 지표이다.
시트르산염 제제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불완전 결정화는 혼합물에 적절한 유리-형성 부형제를 첨가하여서 방지할 수 있다. 이 부형제는 다른 물질(들)의 결정화를 방지하며 유리화를 발생시킨다. 첨가되는 유리 형성제의 양은 결정화되는 물질의 특성 및 결정화 속도에 따라 좌우된다. 본 연구에서는, 시트르산염 완충제중에서 약물이 초기 제조중에 용해되더라도 4℃ 또는 25℃로 보관중에 몇 시간내에 결정화된다는 사실을 주로 근거로하여 시트르산염을 사용하지 않는다. 동결 건조는 약물의 용해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시트르산염 제제가 사용 시점에서 재수화될 때 용해에서 약간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투여중에 산발적인 결정화가 발생할 수도 있다.
총 3개 제제중 전체 용질의 함량은 약 1 내지 2% w/w로 낮다. 이 함량은 적절한 플러그 구조를 유지하기에 부족하므로, 재제형화가 필요하다. 결정질 제제 1은 벌크제의 첨가를 필요로 한다. 반면에 제제 3(비결정질)은 유리 형성제의 첨가를 필요로 한다. 선택된 안정화제는 결정질의 경우에는 만니톨이고, 비결정질 제조물의 경우에는 수크로즈 또는 덱스트란이었다. 이들을 표 9에 기재된 용액에 50㎎/㎖의 농도로 첨가하였다. 그 다음에 제형화된 용액의 샘플을 DSC로 분석하였다.
DSC 측정은 3개 제조물에 대해 유리 전이 온도값을 제공하였다. 이들 온도는 붕괴 및 변질이 최소화되는 조건에서 최대 허용가능한 최고 일차 건조 온도를 나타낸다. 덱스트란-함유 시스템은 가장 높은 유리 전이 온도를 나타내며,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얼음의 승화 속도가 지수함수적으로 증가하면서 가장 짧은 건조 주기를 허용한다. 그러나, WIN 33377은 반복 투여를 필요로하며, 이러한 상황에서 덱스트란은 아나필락시 쇼크 반응(anaphylactic shock reaction)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제제는 임상적인 이유로 사용하지 않는다.
다른 2개의 제제의 경우에 하기의 내용이 밝혀졌다.
수크로즈/락트산염 제제의 경우에 일차 건조는 약 -40℃에서 수행되어야한다. 이는 건조기내에 온도 구배를 보충하기 위해 5℃의 안전역(safety margin)(실제 사용되는 건조기의 경우에 충분함)을 허용하는 것이다. 각 바이알은 약 1.63㎝의 내용물 깊이에서 생성물 10㎖을 함유하였다. 2.8㎝의 바이알 직경은 6.15㎠의 생성물 표면적을 제공하였다. 이들 샘플의 효과적인 승화 속도는 9.4g의 얼음으로 이루어진 전체 생성물 덩어리(나머지는 고형물 및 얼지않은 물로 구성됨)의 경우에 0.226g/바이알/h으로 예측되었다. 0.226g/h의 속도로 -40℃에서 얼음을 완전히 승화시키는데 약 42시간이 필요하다.
혼합된 만니톨/아세트산염 제제의 경우, 일차 건조는 아세트산염 제제에 대해 DSC로 탐지된 가장 낮은 열 전이온도(즉, -30℃) 미만에서 수행되어야 한다. 내용물 부피 및 바이알의 직경은 동일하나, 이제는 고온에서 승화를 수행할 수 있고, 이들 샘플에 있어서 예측된 효과적인 승화 속도는 0.670g/바이알/h이었다. 전과 같이, 얼음 9.4g이 승화되어야 하고, 일차 건조 시간은 이제 14시간으로 감소되었다.
상기와 같이 요약된 기간동안 추천 온도로 생성물을 유지하면 승화 개시점에서의 온도가 얼음 중심부의 온도와 동일하게 되어 일차 건조를 완료시킨다. 그 다음, 생성물에 잔류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생성물의 온도를 보존 온도로 점차 증가시켜야 한다.
동결 건조된 생성물의 제조
표 11은 만니톨 및 수크로즈로 각각 안정화된 아세트산염- 및 락트산염-완충된 용액의 선택적 동결 건조에 대한 공정 변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제는 하기의 공정을 사용하여 동결건조시킨다.
필요한 직경의 바이알을 선택하여 투여량 요건을 기준으로 제제로 채웠다. 투여량을 수용할 바이알 선택시에, 내용물의 부피는 바이알 부피의 일부 분획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예를 들면, 내용물 5㎖가 10㎖용 바이알보다 적은 곳에 도입되지 않아야 한다. 충전 후 바이알을 건조실에 넣고, 4℃로 미리 급냉시킨 냉장고 선반에 바로 놓는다. 다수의 바이알 내부에 열전쌍을 놓아서 동결건조 공정중에 제제의 온도를 관측하였다. 그 다음, 수크로즈 제제를 위해 -40℃ 및 만니톨 제제를 위해 -30℃로 선반의 온도를 낮추기 전에 바이알이 선반의 온도(4℃)에 평형화되도록 한다. 수크로즈 및 만니톨 제제를 위해 각각 -40℃ 및 -30℃에 다다르면, 바이알을 이 온도에서 약 2시간동안 유지하여서 제제를 완전 동결건조시킨다. (이 단계에서 만니톨 제제의 경우에는 어닐링 단계가 포함된다.) 이 기간후에 냉각기 코일을 -60℃로 급냉시키고, 진공 펌프를 켜서 냉각실을 배기시키고 일차 및 이차 건조 공정을 수행한다. 일차 건조 공정에서, 냉각실 및 건조실간의 밸브는 개방되어 있고, 건조실은 질소 가스 배기로 약 100 마이크론의 압력까지 배기시켰다. 동결건조 주기(일차 건조)중 이 부분은 약 40 내지 50시간을 필요로한다. 일차 건조 공정은 동결된 매트릭스로부터 얼음 전부가 사라질때에 완료된다. 이차 건조 공정에서, 이 온도를 -20 또는 -30℃로부터 +25℃까지 상승시켜서 일차 건조 공정중에 제거되지 않은 잔류 수분 전체를 제거한다. 이 이차 건조 기간은 약 15시간을 필요로한다.
이차 건조 공정을 완류한후, 주밸브를 닫고, 건조실내에 약간의 진공이 유지되도록 건조실을 질소로 채웠다. 그 다음, 스토퍼 램(stoppering ram)을 작동시키고, 덮개를 바이알에 밀어넣었다. 그 다음, 건조실을 주위압으로 평형화시키고, 건조실의 문을 개방하여 바이알을 꺼내어 권축 밀봉을 가한다. 그 다음, 바이알을 주사용 물로 재생할 때까지 전술된 온도에서 보관한다.
안정성 결과
30℃, 40℃ 및 50℃에서 4주 이하동안 보관시킨 후, 건조된 생성물의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상기 샘플에 대해 분석 및 크로마토그래피 불순물 연구를 완료하였다. 만니톨 제제의 결과는 50℃ 이하로 4주동안 생성물을 보관한후의 약물 분석에서 그다지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전체 크로마토그래피 불순물은 30℃에서 초기 0.35에서 0.54% w/w, 40℃에서 0.49% w/w 및 50℃에서 0.56% w/w로 증가하였다. 생성물의 수분 함량은 2.4% w/w이었고, 케이크의 외관은 만족스러워서 생성물의 분해가 관측되지 않았다. 그러나, 5개의 바이알중 2개는 투명한 황색 용액으로 재수화되지 않았다. 투명한 용액을 제공하도록 재생될 수 있는 바이알은 투명한 용액을 제공하지 않은 바이알(pH 5.6)보다 낮은 pH(5.0)를 가졌다. 이러한 pH의 이동은 동결건조중 아세트산의 증발에 기인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수크로즈 제제(5% 잔류 수분을 가짐)의 안정성 결과는 30℃ 및 40℃에서 4주 보관후에 분석물 또는 전체 크로마토그래피 불순물에서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50℃에서 보관된 바이알은 분석물에서 감소를 나타내었고, 전체 크로마토그래피 불순물에서 증가를 나타내었다. 동결건조된 케이크중 일부 붕괴가 2주 보관후에 모든 온도에서 관측되었다.
WIN 33377/만니톨 제제의 안정성을 표 12에 나타내었고, WIN 33377/수크로즈 제제의 안정성을 표 13에 나타내었다.
상기 연구에서는 적절한 동결건조 제제(락트산염-수크로즈)가 확인되었지만, 이 제제는 더 최적화될 수 있고 추가의 최종-용도 요건이 결합될 수 있다. 초기 용액중 약물의 농도는 20㎎/㎖까지 증가될 수 있으므로, 내용물의 부피를 반으로하고 일차 건조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음이 알려졌다. 또한, 염화나트륨을 첨가하여 등장성을 균형맞추는 것이 중요하였다. 염은 유리전이온도(Tg')에 영향을 미치므로, 변경된 제제(표 14)을 DSC로 검사한다. 표 15에 측정된 유리전이온도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염화나트륨의 첨가는 동결 농축물의 유리전이온도를 낮춘다. 염화나트륨은 수크로즈의 유리전이온도보다 훨씬 낮은 유리전이온도(-32℃에 비해 -87℃)를 갖는다. 따라서, 염화나트륨 분획물의 중량이 증가할수록(A 내지 D), 유리전이온도는 순수한 염화나트륨값쪽으로 감소한다. 표준 5% 수크로즈 제제에 염화나트륨을 첨가하면 유리전이온도를 2℃만큼 감소시킨다. 수크로즈 함량을 감소시키고 등장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염화나트륨 농도를 보충 증가시키면 유리전이온도가 더 낮아진다. 건조된 생성물의 유리전이온도는 생성물이 노출되어야 할 최고 온도로 간주될 수 있다. 유리전이온도를 초과하면 플러그가 결과적으로 붕괴되어 생성물이 유동성이 되며, 이때 상태 확산 속도가 신속하게 증가하여 활성 물질이 분해된다. 유리전이온도는 수분 함량에 따라 좌우되므로, 배치 내에서의 수분 함량의 변화는 유리전이온도를 변화시킨다. 따라서, 배치내의 안전한 최고 보관 온도내에서 변화를 허용하도록 5℃ 이상 및 유리전이온도 미만으로 생성물을 보관하는 것이 현명하다.
WIN 33377 용액(100㎎) 및 수크로즈를 20㎖용 바이알에 함유한 제제
바람직한 수크로즈 제제의 안정성을 30℃ 및 40℃로 6달동안 보관하는 도중에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및 pH가 표 16에 제공되어 있다. 생성물은 1.3% w/w의 초기 수분 함량을 가졌다. 40℃에서 2주 보관후에 생성물의 붕괴가 관측되었다. 이 보관 온도는 이 배치에서의 유리전이온도(42℃)와 근사하므로 생성물의 붕괴는 예상되었다. 안정성 결과는 생성물이 화학적으로 안정하여 분석 또는 pH에서의 변화가 30℃ 또는 40℃에서 6달 보관후에 관측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안정성 증가는 생성물을 실온에서 보관할 수 있게 하고, 보존 기간을 증가시킨다. 이 동결건조된 생성물은 통상적인 유리 바이알 또는 미리충전되는 주사기에 포장하는데 적합하다. 제제는 지금까지 제공되지 않은, 종양 치료에서의 큰 효용성을 갖는다.

Claims (7)

  1. a) 하기 화학식 I을 갖는 항종양제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산-부가염 또는 수화물 1 내지 50㎎/㎖;
    화학식 I
    [상기 식에서,
    n은 2 또는 3이고,
    R1 및 R2은 독립적으로 (C1-C4)-알킬이고,
    Q는 CH2NHR3, CH2N(R4)SO2R7, CH2NHCHO, CH=N-Ar, C(O)NR5R6, CH2N(R4)C(O)R7, CH2N(C2H5)CHO, CH2N(R4)P(O)(O-(C1-C4)-알킬)2, CH2N=CH-N(R9)(R10), CH2N(R4)C(O)CF3 및 CH2N(R4)C(O)OR7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잔기이고,
    R3은 수소 또는 (C1-C4)-알킬이고,
    R4은 수소, (C1-C4)-알킬 또는 Ar이고,
    R5은 수소, (C1-C4)-알킬 또는 Ar이고,
    R6은 수소 또는 (C1-C4)-알킬이고,
    R7은 (C1-C4)-알킬 또는 Ar이고,
    R8은 수소, (C1-C4)-알킬, (C1-C4)-알콕시 또는 히드록시이고,
    Ar은 페닐, 또는 메틸, 메톡시, 히드록시, 할로겐 또는 니트로로 치환된 페닐이나, 단, n이 2이고, R1 및 R2이 에틸이고, R8이 수소이고, Q가 CH2NHSO2Ar일 때 Ar기는 메틸 또는 할로겐으로 4-일치환될 수 없고,
    R9 및 R10은 독립적으로 (C1-C4)-알킬이다.]
    b) 만니톨 및 수크로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안정화제 10 내지 125㎎/㎖; 및
    c) 0.025 내지 0.25M의 락트산염 완충제를 포함하며,
    3.0 내지 4.5의 pH를 갖는,
    포유동물의 종양을 치료하기 위한 재구성된 동결건조 제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염화나트륨 1.0 내지 10.0㎎/㎖을 추가로 포함하는, 재구성된 동결건조 제제.
  3. 제 1 항에 있어서,
    락트산염 완충제가 락트산 나트륨인, 재구성된 동결건조 제제.
  4. a) 하기 화학식 II를 갖는 항종양제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산-부가염 또는 수화물 1 내지 20㎎/㎖;
    화학식 II
    [상기 식에서,
    n은 2 또는 3이고,
    R1 및 R2은 독립적으로 (C1-C4)-알킬이고,
    Q는 CH2NHR3, CH2NHCHO, CH=N-Ar, C(O)NR5R6, CH2N(R4)C(O)R7, CH2N(C2H5)CHO, CH2N(R4)P(O)(O-(C1-C4)-알킬)2, CH2N=CH-N(R9)(R10), CH2N(R4)C(O)CF3 및 CH2N(R4)C(O)OR7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잔기이고,
    R3은 수소 또는 (C1-C4)-알킬이고,
    R4은 수소, (C1-C4)-알킬 또는 Ar이고,
    R5은 수소, (C1-C4)-알킬 또는 Ar이고,
    R6은 수소 또는 (C1-C4)-알킬이고,
    R7은 (C1-C4)-알킬 또는 Ar이고,
    R8은 수소, (C1-C4)-알킬, (C1-C4)-알콕시 또는 히드록시이고,
    Ar은 페닐, 또는 메틸, 메톡시, 히드록시, 할로겐 또는 니트로로 치환된 페닐이고,
    R9 및 R10은 독립적으로 (C1-C4)-알킬이다.]
    b) 만니톨 및 수크로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안정화제 30 내지 100㎎; 및
    c) 0.025 내지 0.25M의 락트산염 완충제를 포함하며,
    3.5 내지 4.5의 pH를 갖는,
    포유동물의 종양을 치료하기 위한 재구성된 동결건조 제제.
  5. 제 4 항에 있어서,
    염화나트륨 1.0 내지 10.0㎎/㎖을 추가로 포함하는, 재구성된 동결건조 제제.
  6. 제 4 항에 있어서,
    락트산염 완충제가 락트산 나트륨인, 재구성된 동결건조 제제.
  7. a) N-[[1-[[2-(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9-옥소티오크산텐-4-일]메틸]메탄설폰아미드 1 내지 50㎎;
    b) 0.025 내지 0.25M의 락트산 나트륨 완충제;
    c) 수크로즈 10 내지 125㎎;
    d) 염화나트륨 1.0 내지 10㎎; 및
    e) 1.0㎖이 되도록 하는 양의 물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의 종양을 치료하기 위한 재구성된 동결건조 제제.
KR1019980701983A 1995-09-18 1996-09-12 동결건조된티오크산테논항종양제 KR1004753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529,934 US5665760A (en) 1995-09-18 1995-09-18 Lyophilized thioxanthenone antitumor agents
US8/529,934 1995-09-18
US08/529,934 1995-09-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5741A KR19990045741A (ko) 1999-06-25
KR100475385B1 true KR100475385B1 (ko) 2006-03-23

Family

ID=24111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1983A KR100475385B1 (ko) 1995-09-18 1996-09-12 동결건조된티오크산테논항종양제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1) US5665760A (ko)
EP (1) EP0917458B1 (ko)
JP (1) JP2001503374A (ko)
KR (1) KR100475385B1 (ko)
CN (1) CN1178651C (ko)
AT (1) ATE235888T1 (ko)
AU (1) AU716782B2 (ko)
CA (1) CA2232444A1 (ko)
CZ (1) CZ293433B6 (ko)
DE (1) DE69627209T2 (ko)
DK (1) DK0917458T3 (ko)
ES (1) ES2196171T3 (ko)
HK (1) HK1016891A1 (ko)
HU (1) HUP9900246A3 (ko)
NO (1) NO320367B1 (ko)
NZ (1) NZ316609A (ko)
PL (1) PL185164B1 (ko)
PT (1) PT917458E (ko)
RU (1) RU2157189C2 (ko)
WO (1) WO19970108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52300A (en) * 1996-04-19 1999-09-14 Merck & Co., Inc. Antifungal compositions
US6407278B2 (en) * 1998-11-16 2002-06-18 Medimmune Oncology, Inc. Stable amorphous amifostin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preparation and use of the same
GB0115893D0 (en) * 2001-06-28 2001-08-22 Sanofi Synthelabo Formulations
US7378408B2 (en) * 2001-11-30 2008-05-27 Pfizer Inc. Methods of treatment and formulations of cephalosporin
JP2007526329A (ja) * 2004-03-04 2007-09-13 ワイス 賦形剤の結晶化を改善するための凍結乾燥法
WO2007075452A2 (en) * 2005-12-16 2007-07-05 Wyeth Lyophilized compositions of a triazolopyrimidine compound
TW201021855A (en) * 2008-11-13 2010-06-16 Taigen Biotechnology Co Ltd Lyophilization formulatio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82851A (en) * 1984-02-06 1986-04-15 Warner-Lambert Company Anti-bacterial 1,4-aminoalkylamino-9H-thioxanthen-9-one derivatives, compositions, and method of use therefor
US5091410A (en) * 1991-06-10 1992-02-25 Sterling Winthrop Inc. Thioxanthenone antitumor agents
AU642596B2 (en) * 1991-06-10 1993-10-21 Sanofi-Synthelabo Thioxanthenone antitumor agents
US5346917A (en) * 1991-06-10 1994-09-13 Sterling Winthrop Inc. Thioxanthenone antitumor ag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157189C2 (ru) 2000-10-10
DE69627209D1 (en) 2003-05-08
AU716782B2 (en) 2000-03-09
PT917458E (pt) 2003-08-29
EP0917458B1 (en) 2003-04-02
NO981205L (no) 1998-05-15
HUP9900246A3 (en) 2002-12-28
US5665760A (en) 1997-09-09
ATE235888T1 (de) 2003-04-15
CN1201387A (zh) 1998-12-09
HUP9900246A2 (hu) 2001-04-28
NZ316609A (en) 1999-05-28
MX9802143A (es) 1998-05-31
CA2232444A1 (en) 1997-03-27
DK0917458T3 (da) 2003-07-28
PL325603A1 (en) 1998-08-03
CN1178651C (zh) 2004-12-08
NO981205D0 (no) 1998-03-17
PL185164B1 (pl) 2003-03-31
HK1016891A1 (en) 1999-11-12
WO1997010809A1 (en) 1997-03-27
CZ79998A3 (cs) 1998-08-12
ES2196171T3 (es) 2003-12-16
EP0917458A1 (en) 1999-05-26
KR19990045741A (ko) 1999-06-25
AU6888096A (en) 1997-04-09
CZ293433B6 (cs) 2004-04-14
NO320367B1 (no) 2005-11-28
JP2001503374A (ja) 2001-03-13
DE69627209T2 (de) 2004-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06403T3 (es) Nueva forma cristalina de acido n-(4-(2-(2-amino-4,7dihidro-4.oxo-3h-pirrolo(2,3-d)pirimidin-5-il)etil(benzoil)-l-glutamico y procedimiento de preparacion.
KR100475385B1 (ko) 동결건조된티오크산테논항종양제
US4036954A (en) Stable prostaglandin E group-containing formulation
US6114313A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freeze drying
KR20110026311A (ko) 엔테카비어의 신규한 염
HU187626B (en) Process for preparing vincamine saccharinate
JP2022185009A (ja) 安定したアザシチジン含有医薬組成物の製造方法
US3767674A (en) Cyclohexeno thioxanthones
ES2385472T3 (es) Nueva sal de benzoilguanidina
US4322424A (en) Crystalline glucoconate salt of m-AMSA and compositions containing same
MXPA98002143A (es) Agentes antitumorales de tioxantenona liofilizados
JP3990728B2 (ja) N−[4−オキソ−2−(1h−テトラゾール−5−イル)−4h−1−ベンゾピラン−8−イル]−4−(4−フェニルブトキシ)ベンズアミドの塩
JP4662640B2 (ja) 5−クロロ−2−メトキシ−n−(2−(4−メトキシ−3−メチルアミノチオカルボニルアミノスルホニルフェニル)エチル)ベンズアミドナトリウム塩の結晶形
WO1993007873A1 (en) Lyophilized composition containing s(+)-4,4'-(1-methyl-1,2-ethanediyl)-bis(2,6-piperazinedione)
RU2096043C1 (ru) Антигипокс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JPH09183729A (ja) 凍結乾燥ウラシルを含有する抗腫瘍医薬組成物
KR970003126B1 (ko) 디티올란 유도체
KR840001357B1 (ko) 데카히드로퀴놀리놀 유도체의 제조방법
US5760039A (en) Lyophilized composition containing S(+)-4,4'-(1-methyl-1,2-ethanediyl)-bis(2,6-piperazinedione)
JPH0259575A (ja) ベンズオキサゾロン誘導体又はその塩類
MXPA03007192A (en) Novel benzoylguanidine sal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