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3126B1 - 디티올란 유도체 - Google Patents

디티올란 유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3126B1
KR970003126B1 KR1019890011821A KR890011821A KR970003126B1 KR 970003126 B1 KR970003126 B1 KR 970003126B1 KR 1019890011821 A KR1019890011821 A KR 1019890011821A KR 890011821 A KR890011821 A KR 890011821A KR 970003126 B1 KR970003126 B1 KR 970003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dithiolane
compound
formula
ylid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1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4595A (ko
Inventor
슈헤이 쿠보따
구니까즈 히라가
게이스께 나까야마
마따자에몬 우찌다
Original Assignee
니혼 노야꾸 가부시끼가이샤
고다이라 타스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3045350A external-priority patent/JPH01221375A/ja
Application filed by 니혼 노야꾸 가부시끼가이샤, 고다이라 타스꾸 filed Critical 니혼 노야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04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3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1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3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rings having two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339/02Five-membered rings
    • C07D339/06Five-membered rings having the hetero atoms in positions 1 and 3, e.g. cyclic dithiocarbon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8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sulfur as a ring hetero atom
    • A61K31/38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sulfur as a ring hetero atom having two or more sulfur atoms in the same 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디티올란 유도체
본 발명은 간 또는 간 질환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효과적인 신규한 디티올란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의 제조방법 및 유효성분으로서 유도체를 함유하는 간 질환을 위한 치료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하기 제시된 사이클로헥사디온 유도체가 간 손상의 치료에 효과적임은 이미 밝혀져 있다.
1. 하기 일반식
Figure kpo00001
에 의해 표시되는 1,3-디티올-2-일리덴 유도체는 미합중국 특허 제4, 668,799호에 기술되어 있으며,
2. 하기 일반식
Figure kpo00002
에 의해 표시되는 디티올란 유도체는 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제63-60983호에 기술되어 있다; 상기 문헌에는 이들 화합물이 간 손상에 유용함이 언급되어 있다.
하지만, 인간 및 동물 모두를 치료하기 위한 안전 한계(satety margin)가 크고 상당히 적은 용량으로도 간 질환을 치료 및/또는 예방할 수 있는 화합물은 여전히 요구되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 기능 활성화작용을 지닌 신규한 디티올란 유도체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무독성 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언급한 디티올란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간 질환을 치료 및/ 또는 예방하기 위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이들 디티올란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디티올란 유도체는 일반식(I)로 표시되어진다.
Figure kpo00003
상기식에서, X는 C2내지 C7알킬카보닐 그룹; 벤조일 그룹; 또는 할로겐 원자, C1내지 C4알킬 그룹 및 C1내지 C4알콕시 그룹중에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그룹으로 치환된 벤조일 그룹이고; Y는 C2내지 C7알킬카보닐 그룹; C2내지 C7알콕시카보닐 그룹 또는 시아노 그룹이며; R은 디(C1내지 C4알킬)아미노 그룹, 모르폴리노 그룹, 4-C1내지 C4알킬피페라지노 그룹 또는 피페리디노 그룹이다.
일반식(I)의 디티올란 유도체는 선행 문헌에 밝혀져 있지 않는 신규한 화합물이다. 디티올란 유도체는, 예를들어 간기능에 대해 활성화 작용을 나타내고, 따라서 인간 및 동물의 간 질환에 대해 간 기능 활성화제 또는 치료제로서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일반식(I)의 디티올란 유도체를 위한 바람직한 치환체는, X에 대해서는, C2내지 C5알킬카보닐 그룹; 벤조일 그룹; 또는 할로겐 원자, C1내지 C4알콕시 그룹 또는 C1내지 C4알킬 그룹으로 치환된 벤조일 그룹, 특히 바람직하게는 벤조일 그룹 또는 염소원자로 치환된 벤조일 그룹을 포함하여; Y에 대해서는 C2내지 C5알킬카보닐 그룹; C2내지 C5알콕시카보닐 그룹 또는 시아노 그룹, 특히 바람직하게는 아세틸 그룹, 에톡시카보닐 그룹 또는 이소프로폭시카보닐 그룹을 포함하고; R에 대해서는, 디(C1내지 C4알킬)아미노 그룹 또는 모르폴리노 그룹, 특히 바람직하게는 디메틸아미노 그룹 또는 모르폴리노 그룹을 포함한다.
일반식(I)의 화합물은 예를들어 하기 경로(방법 A 및 방법)에 의해 합성될 수 있다.
방법 A :
Figure kpo00004
Figure kpo00005
(여기서, R, X 및 Y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M은 알칼리 금속 원자이다.
즉, 일반식(I)의 화합물은, 상기 구조식(I)의 글리옥살 중아황산 나트륨 부가물을 물 또는 물과 유기용매의 혼합물중에서 냉각하의 온도내지 약 80℃의 온도에서 일반식(Ⅱ) 화합물과 반응시킨후,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약 -20 내지 약 60℃의 온도에서 일반식(Ⅲ)의 화합물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방법에서 물과 혼합되는 용매의 예로는, 알코올, 아세토니트릴,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설폭사이드, 헥사메틸포스포아미드, N,N'-디메틸에틸렌우레아 등, 및 이들 유기용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반응시간은 반응온도 및 반응 규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글리옥살 또는 이의 글리옥살 중아황산 나트륨 부가물 및 일반식(Ⅱ)의 화합물간의 반응에 있어서, 반응 시간은 10분 내지 6시간의 범위내에서 적당히 선택된다. 또한, 반응 생성물을 일반식(Ⅲ)의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단계에서 반응시간은 20분 내지 20시간의 범위내에서 선택된다.
각 반응은 화학량톤적으로 진행되어 시약은 등몰의 양을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시약중 어느 것은, 물론 과량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일반식(Ⅲ)의 화합물은 하기에 제시된 바와 같이 염기의 존재하에, 예를들어 -20 내지 60℃의 온도에서 일반식(Ⅳ)의 화합물을 이황화탄소와 반응시킴으로써 반응용액에서 수득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경우 일반식(Ⅲ)의 화합물은 이를 함유하는 용액의 형태로 반응을 위해 제공되어진다.
Figure kpo00006
(여기서, X, Y 및 M은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일반식(Ⅲ)의 화합물을 합성하는데 사용하는 염기의 예로는, 수산화물(예 : 수산화 나트륨, 수산화 칼륨 등) 및 탄산염(예 : 탄산 나트륨, 탄산 칼륨 등)이 포함된다. 용매의 예로는, 디메틸로름아미드, 디메틸설폭사이드, 헥사메틸포스포아미드, N-N'-디메틸에틸렌우레아 등; 이들 유기용매중에서 선택되는 용매의 혼합물; 및 상기 유기용매와 물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하기 제시된 바와 같이, 글리옥살 중아황산 나트륨은, 글리옥살을 중아황산 나트륨에 등목 또는 약간 과량의 물로 가하고 이를 냉각하의 온도 내지 약 80℃의 온도에서 수성 용매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Figure kpo00007
방법 B :
Figure kpo00008
(여기서, R, X 및 Y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즉, 일반식(I)의 화합물은, 물 또는 물과 유기용매의 혼합물중에서 예를들어 실온 내지 60℃의 온도에서 글리옥살을 일반식(Ⅱ)의 화합물과 반응시키고, 예를 들어 냉각하의 온도 내지 80℃의 온도에서 일반식(Ⅲ)의 화합물과 추가로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반응에서 사용되는 유기용매의 예로는,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설폭사이드, 헥사메틸포스아미드, N,N'-디메틸에틸렌우레아 등; 및 이들 유기용매로부터 선택되는 혼합물을 포함한다. 반응시간은 반응온도 및 반응 규모에 따라 달라지나, 1 내지 24시간의 범위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각 반응은 화학량톤적으로 진행되어 시약은 등몰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시약중 어느 것은 물론 과량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일반식(I)의 화합물을 산과 추가로 반응시킴으로써, 상응하는 염을 수득할 수 있다.
일반식(I)의 화합물의 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어느 염으로 존재할 수 있다. 염을 형성하기 위해 일반식(I)의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산의 예로는, 무기산(예 : 염산, 황산 인산 등), 유기 카복실산(예 : 아세트산, 석신산, 푸마르산, 타르타르산), 알칸설폰산(예 : 메탄-설폰산, 헵탄설폰산 등) 및 아릴설폰산(예 : 벤젠설폰산, 톨루엔설폰산 등)이 포함된다.
일반식(I)의 화합물의 염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용매로서는, 예를들어 물, 알코올,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아세톤,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렌 디클로라이드, 클로로포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반응 완료후, 반응 혼합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처리하여 일반식(I)의 화합물 및 이의 염을 수득한다.
일반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의 대표적 실시예를 하기 표 1에 제시하였다.
[표 1]
Figure kpo00009
Figure kpo00010
Figure kpo00011
Figure kpo00012
Figure kpo00013
다음은,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를 참조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시키기 위한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n-프로필-2-(4,5-비스디메틸아미노-1,3-디티올란-2-일리덴)아세토아세테이트(화합물 번호 3)
n-프로필 아세토아세테이트 2.88g(0.020몰)을 디메틸포름아미드 20ml에 용해시키고, 이 용액에 이황화탄소 1.82g(0.024몰) 및 무수 탄산 칼륨 분말 3.60g(0.026몰)을 가한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동안 교반하여 디티올레이트 용액을 제조한다. 다른 한편으로, 글리옥살 중아황산 나트륨 부가물 6.84g(0.024몰)을 다른 플라스크내의 물 30ml중에 현탁시키고, 이 현탁애에 디메틸아민(50% 수용액) 5.4g(0.060몰)을 0℃ 이하로 냉각시키면서 적가한다. 혼합물이 균일한 용액이 될 때까지 교반한다. 미리 제조한 디티올레이트 용액을 생성된 용액에 적가한다. 그후, 혼합물을 0℃ 이하에서 30분간 교반한다. 그다음에, 반응 액체를 빙수중에 붓고, 침전된 결정을 여과하여 수거하며, 공기 건조시킨다. 조 결정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한후, 에테르-n-헥산으로부터 재결정시켜 융점이 74.5℃인 목적하는 생성물 0.84g을 수득한다(수율 : 12.6%)
실시예 2
이소프로필 2-(4,5-디모르폴리노-1,3-디티올란-2-일리덴)아세토아세테이트(화합물 번호 8)
이소프로필 아세토아세테이트 2.88g(0.020몰)을 디메틸설폭사이드 20ml에 용해시키고, 이 용액에 이황화탄소 2.0g(0.026몰) 및 무수 탄산 칼륨 분말 3.60g(0.026몰)을 가한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동안 교반하여 디티올레이트 용액을 제조한다. 다른 한편으로, 글리옥살 중아황산 나트륨 부가물 6.84g(0.024몰)을 다른 플라스크내의 물 30ml중에 현탁시킨다. 그후, 이 현탁액에 모르폴린 6.26g(0.072몰)을 적가한다. 혼합물이 균일한 용액이 될 때까지 실온에서 교반한다. 그다음, 미리 제조한 디티올레이트 용액을 생성된 용액에 냉각제로 냉각시키면서 적가한다. 30분간 교반한다. 반응 액체를 빙수중에 붓고, 침전된 결정을 여과하여 수거하며, 공기 건조시킨다. 조 결정을 에틸 아세테이트에 용해시킨다. 불용성 물질을 제거한후, 에테르-n-헥산으로부터 재결정시켜 융점이 134내지 137℃인 목적하는 생성물 1.90g을 수득한다(수율 : 23.0%).
실시예 3
2-(4,5-비스디메틸아미노-1,3-디티올란-2-일리덴)-페닐부탄-1,3-디온(화합물 번호 10)
벤조일 아세톤 1.65g(0.10몰)을 디메틸설폭사이드 50ml에 용해시킨다. 빙냉하에, 무수 탄산 칼륨 분말 14.5g(0.11몰)을 용액에 가한다. 빙욕을 치우고, 이황화탄소 7.6g(0.10몰)을 20 내지 25℃에서 혼합물에 적가한다. 혼합물을 1시간동안 교반하여 디티올레이트 용액을 제조한다. 다른 한편으로, 글리옥살 중아황산 나트륨 부가물 34g(0.12몰)을 다른 플라스크내에 취하고, 물 125ml에 현탁시킨다. 현탁액을 0℃ 이하로 냉각시키고, 40% 디메틸아민 수용액 33g(0.36몰)을 현탁액에 적가하고, 계속해서 15분간 교반한다. 미리 제조한 디티올레이트 용액을 생성된 용액에 적가한다. 혼합물을 30분간 교반한다. 물 100ml를 여기에 가한후, 반응혼합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한다. 추출물을 무수 황산 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킨 후, 용매를 증류시켜 갈색의 점성 물질을 수득한다. 점성 물질을 실라카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n-헥산으로부터 재결정화시켜 융점이 123 내지 125℃인 목적하는 생성물 7.8g을 수득한다(수율 : 22%).
실시예 4
2-(4,5-디모르폴리노-1,3-디티올란-2-일리덴)-1-(4-클로로페닐)부탄-1,3-디온(화합물번호 16)
4-클로로벤조일아세톤 4.42g 및 이황화탄소 1.60g(0.021몰)을 디메틸설폭사이드 15ml에 용해시킨다. 빙냉하에, 무수 탄산 칼륨 분말 3.0g을 용액에 가한다. 빙욕을 치우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동안 교반한다. 생성된 용액을 글리옥살 중아황산 나트륨 부가물 5.72g(0.014몰), 모르폴린 3.90g(0.044몰) 및 물 20ml로부터 제조된 균일한 용액에 0℃에서 적가한다. 1시간동안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한다. 추출물을 무수 황산 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켜 갈색의 점성 물질을 수즉한다. 점성 물질을 에테르로부터 재결정화시켜 융점이 121 내지 132℃인 목적하는 생성물 2.7g을 수득한다(수율 : 31%).
실시예 5
1-(4,5-디모르폴리노-1,3-디티올란-2-일리덴)-1-(4-메톡시벤조일)-아세토니트릴(화합물 번호 27)
(4-메톡시벤조일아세토니트릴 1.75g(0.010몰), 이황화탄소 0.90g(0.012몰), 30% 수산화 칼륨 수용액 4.85g 및 아세톤 10ml로부터 제조한 용액을 글리옥살 중아황산 나트륨 부가물 2.84g(0.010몰), 모르폴린 1.91g(0.022몰) 및 10ml로부터 제조한 용액에 빙냉하에 적가한다. 혼합물을 20분간 교반한다. 그후, 반응 혼합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후처리하여 융점이 170 내지 174℃(클로로포름-에테르)인 목적하는 생성물 1.70g을 수득한다(수율 : 38%)
실시예 6
이소프로필-2-(4,5-비스디메틸아미노-1,3-디티올란-2-일리덴)아세토아세테이트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화합물 번호 18)
이소프로필 2-(4,5-비스디메틸아미노-1,3-디티올란-2-일리덴)아세토아세테이트 3.0g(0.008몰)을 아세트산 20ml에 용해시킨다. 건조 염화수소 기체를 실온에서 포화될 때까지 용액에 완만하게 불어 넣는다. 반응 혼합물을 빙냉시키고, 침전된 결정을 여과에 의해 수거한다. 결정을 에틸 아세테이트 및 에테르로 완전하게 세척하여 융점이 152 내지 154.5℃인 목적하는 생성물 2.8g을 수득한다.(수율 : 78%)
일반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낮은 독성을 가진다. 즉, 이들 화합물을 마우스에게 연속적으로 수일간 300㎎/㎏/일(日)의 용량으로 투여하였을 경우에도, 마우스는 독성 증후를 나타내거나 죽지 않았다.
일반식(I)의 화합물 및 이의 염은 간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약제로서 유용하다. 예를들어, 간 질환이 실험동물에 있어서 다양한 화학물질(예:사염화 탄소 등)을 투여함으로써 유발될 수 있음이 공지되어 있다[참조:일본국 특허공개 공보 제18579/1981호]. 일반식(I)의 화합물 및 이의 염은, 경구 또는 비경구(예:주사) 투여시, 다양한 병적 모델의 실험적 간 장애를
Figure kpo00014
은 동물에서의 감소된 간기능에 대해 뚜렷한 억제 또는 개선된 효과를 나타냄이 밝혀졌다. 따라서 일반식(I)의 화합물 및 이의 염은 간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해 인간 및 동물에 적용시키는 약제로서 유용하다. 즉 화합물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인간 또는 동물에서 유발되는 급성 또는 만성 간 질환(예:지방간, 알코올-유도성 간염, 간염, 중독성 간 질환, 간의 울혈, 담즙 울혈성 간 장애 또는 이들 질환의 최종 형태인 간 경화증)을 위한 약제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간 질환 치료용 약제"란 용어는, 간에서 나타내는 상기 언급한 간기능 활성화 작용 및 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적 작용 등과 같은 약리학적 작용을 이용하여 간 질환의 치료 또는/및 예방하기 위한 약제를 의미한다.
일반식(I)의 화합물 및 이의 염은 그자체로서 간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약제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들을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희석제 및/또는 약제학적인 통례에 따른 기타 약리학적 활성 성분과의 혼합물로 제제화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을 용량단위 제형으로 제제화할 수도 있다. 약제로서 사용될 수 있는 제형에는 산제, 과립제, 정제, 당의정제, 캅셀제, 환제, 현탁제, 액제, 유제, 앰플제, 주사제, 등장성 액제 등이 포함된다.
의약적 조성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을 제제화함에 있어서, 일반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희석제와의 혼합물 형태로 조성물중에 도입시키는 양태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희석제"란 용어는 일반식(I)의 화합물 및 이의 염과는 다른 물질을 말한다. 희석제는 고체, 반고체, 액체 및 내복성 캅셀중 어느 것일 수 있으며, 다양한 물질(예:부형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활택제, 분산제, 완충제, 향미제, 악취제거제, 착색물, 방향제, 보존제, 용해, 보조제, 용매, 제피제, 당의제 등)이 포함된다. 하지만 희석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물질을 단독 또는 이의 혼합물로서 사용한다. 이러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희석제는, 몇몇 경우에 기타의 약리학적 활성 성분과의 혼합물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사용한 의약적 조성물은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예를들어, 활성성분은 희석제와 혼합하여 예를들어 과립을 수득한후, 따라서 수득된 조성물을 예를들어 정제로 만든다. 의약적 조성물을 비경구 약제로서 사용하는 경우, 멸균시켜야 한다. 필요한 경우, 혈액에 대해 등장성으로 만들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일반식(I)의 화합물 및 이의 염을 간 질환 치료용 약제로서 그 자체를 적용시킬 수 있으므로, 활성 성분을 통상적으로 조성물내에 0.01 내지 100중량%의 양으로 함유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은 용량단위 제제로 제형화시키는 경우, 상기 제제를 구성하는 약제학적 부분은 상이한 형태 또는 동일한 형태일 수 있으며, 때때로 예를 들어 정제, 과립제, 환제, 산제, 당의제, 캅셀제 및 앰플제의 형태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간 질환 치료용 약제는 간 질환의 예방 및 치료 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간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해 인간 및 동물에 적용시킬 수 있다. 이들은 경구 또는 비경구적으로 투여된다. 경구투여는 설하투여를 포함한다. 비경구 투여는 주사(예를들어, 피하, 근육내, 정맥내 투여 및 적주를 포함)에 의한 투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제의 용량은 다양한 인자(예:동물 또는 인간, 민감성의 상이성, 연령, 성별 및 체중, 투여 경로, 시간 및 투여 간격, 질병 상태, 환자의 신체적 조건, 약제학적 제제의 성질, 제제의 종류, 활성 성분의 종류 등)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몇몇 경우에, 하기 언급한 최소 용량보다 적은 용량으로도 충분하고, 또 다른 경우에는 하기 언급한 최대 용량보다 많은 용량을 필요로 한다.
고 용량의 경우, 하루에 여러번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물에 대해 효과적인 결과를 수득하기 위해, 활성 성분의 용량은 경구 투여하는 경우 1일당 체중 ㎏당 유리하게는 0.1 내지 300㎎,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0㎎인 반면에, 비경구투여하는 경우 1일당 체중 ㎏당 유리하게는 0.1 내지 250㎎,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5㎎이다.
인간에 대해 효과적인 결과를 수득하기 위해, 동물에 대한 유효량을 기준으로 하여 민감성의 상이성, 안전성 등을 고려한 인간에 대한 용량은 예를들어 하기 범위내의 것이 유리한 것으로 추정된다:경구투여의 경우 1일당 체중 ㎏당 0.1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0㎎이고, 비경구토여의 경우 1일당 체중 ㎏당 0.01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5㎎이다.
이제부터, 다수의 의약적 제제 실시예를 하기에 제시하겠지만, 단 이로 인해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하기 제제 실시예에서, 모든 부는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제제 실시예 1
화합물 2 10부
중(heavy) 산화 마그네슘 10부
유당 80부
산제 또는 미세 과립제를 상기 성분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산제화하거나 미세하게 과립화함으로써 제조한다.
제제 실시예 2
화합물 10 10부
합성 규산 알루미늄 10부
수소인산 칼슘 5부
유당 75부
산제를 상기 성분을 사용하여 제제 실시예 1에 따라 제조한다.
제제 실시예 3
화합물 12 50부
전분 10부
유당 15부
결정성 셀룰로우즈 20부
폴리비닐 알코올 5부
물 30부
과립제를 상기 성분을 함께 균일하게 반죽하고, 제분하며, 과립화하고, 생성물을 건조한후, 체로 쳐서 제조한다.
제제 실시예 4
직경이 10㎜인 정제를 제제 실시예 3에서 수득된 과립제 99부를 칼슘 스테아레이트 1부와 혼합하고, 생성 혼합물을 압축-성형함으로써 제조한다.
제제 실시예 5
화합물 19 78부
폴리비닐 알코올 2 부
유당 20부
물 30부
과립제를 제제 실시예 3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단 상기 성분을 사용한다. 수득된 과립제 90부에 결정성 셀룰로우즈 10부를 가하고, 생성 혼합물을 직경이 8㎜인 정제로 압축-성형한다. 그후, 정제를 적당한 양의 시럽, 젤라틴 및 침강 탄산 칼슘의 혼합된 현탁액 및 착색제를 사용하여 당의정제로 만든다.
제제 실시예 6
화합물 27 0.5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2.5부
생리식염수 97부
주사제를 상기 성분을 가열하여 혼합하고, 멸균함으로써 제조한다.
제제 실시예 7
캅셀제를 제제 실시예 1에서 수득된 산제를 시판되는 캅셀 용기에 충진시킴으로써 제조한다.
다음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유효성을 시험하기 위해, 실험 실시예를 하기와 같이 제시하였다.
실험 실시예 1
사염화탄소-유도성 간 질환에 대한 억제 효과 방법:
실험 화합물을 올리브 오일에 용해 또는 현탁시키고, 생성된 용액 또는 현탁액을 30㎎/㎏용량으로 dd주의 숫컷 마우스(나이:6주)에게 경구 투여한다. 투여후 6시간후, 사염화 탄소를 0.05ml/㎏의 용량으로 마우스에게 경구 투여한다. 마우스를 사염화 탄소 투여후 24시간후에 죽인다. 간 질환의 정도를 육안으로 실험한다.
다른 한편으로, 이들을 죽인 후 혈액을 수거하고, 원심분리기에 의해 혈장을 수득한다. 혈장 글루타민-피루브산 트랜스아미나제(GPT) 활성을 라이트만-프란
Figure kpo00015
(Reitman-Frankel)법에 따라 측정하고, 활성을 카르멘 단위(Karmen Unit)(K.U.)에 의해 표시된다. 간 질환 지수는 하기와 같이 산정된다.
Figure kpo00016
5마리의 마우스를 각 그룹으로 사용하고, 결과를 평균값으로 표시한다. 또한 GPT 활성에 있어서, 2,100 단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측정을 더이상 수행하지 않으며, 단 간결하게 2,100 단위로서 산정한다.
그 결과는 표 2에 제시되어 있다.
사염화 탄소-유도성 간 질환에 대한 활성
[표 2]
Figure kpo00017
하기 구조식의 기준 화합물 A는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63-60983호에 기술된 화합물이다:
Figure kpo00018
상기 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합물은 간 기능에 대한 활성화 작용을 나타내며, 따라서 인간 또는 동물에서의 간 질환에 대한 간 기능 활성화제 또는 치료제로서 효과적이다.
본 발명이 상세하게, 이의 특정 양태를 참조로 하여 기술되어 있지만, 당해 기술 분야의 전문가에게는 본 발명의 취지 및 관점을 벗어나지 않는 한에서 변화 및 변경될 수 있음이 명백할 것이다.

Claims (23)

  1. 일반식(I)의 디티올란 유도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
    Figure kpo00019
    상기 식에서, X는 C2내지 C7알킬카보닐 그룹; 벤조일 그룹; 또는 할로겐 원자, C1내지 C4알킬 그룹 및 C1내지 C4알콕시 그룹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 내지 3개의 그룹에 의해 치환된 벤조일 그룹이고; Y는 C2내지 C7알킬카보닐 그룹; C2내지 C7알콕시카보닐 그룹 또는 시아노 그룹이며; R은 디(C1내지 C4알킬)아미노 그룹으로, 모르폴리노 그룹, 4-C1내지 C4알킬피페라지노 그룹 또는 피페리디노 그룹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X가 C2내지 C5알킬카보닐 그룹이고; Y가 C2내지 C5알킬카보닐 그룹; C2내지 C5알콕시카보닐 그룹 또는 시아노 그룹이며; R은 디(C1내지 C4알킬)아미노 그룹 또는 모르폴리노 그룹인 디티올란 유도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
  3. 제1항에 있어서, X가 벤조일 그룹; 또는 할로겐 원자, C1내지 C4알킬 그룹 및 C1내지 C4알콕시 그룹에 의해 치환된 벤조일 그룹이고; Y가 C2내지 C|5알킬카보닐 그룹 또는 시아노 그룹이며; R이 디(C1내지 C4알킬)아미노 그룹으로, 모르폴리노 그룹인 디티올란 유도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X가 아세틸 그룹이고; Y가 에톡시카보닐 그룹 또는 모르폴리노 그룹인 디티올란 유도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X가 벤조일 그룹 또는 염소원자에 의해 치환된 벤조일 그룹이고; Y가 아세틸 또는 시아노 그룹이며; R이 디메틸아미노 그룹 또는 모르폴리노 그룹인 디티올란 유도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이소프로필 2-(4,5-비스디메틸아미노-1,3-디티올란-2-일리덴)아세토아세테이트인 디티올란 유도체.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이소프로필 2-(4,5-디모르폴리노-1,3-디티올란-2-일리덴)아세토아세테이트인 디티올란 유도체.
  8.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2-(4,5-디모르폴리노-1,3-디티올란-2-일리덴)-1-(4-클로로페닐)부탄-1,3-디온인 디티올란 유도체.
  9.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2-(4,5-디모르폴리노-1,3-디티올란-2-일리덴)-1-(2-클로로페닐)부탄-1,3-디온인 디티올란 유도체.
  10.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2-(4,5-비스디메틸아미노-1,3-디티올란-2-일리덴)-1-페닐-부탄-1,3-디온인 디티올란 유도체.
  11.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2-(4,5-디모르폴리노-1,3-디티올란-2-일리덴)-1-(4-메톡시벤조일)-아세토니트릴인 디티올란 유도체.
  12. 일반식(I)의 디티올란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간질환 치료용 조성물.
    Figure kpo00020
    상기식에서, X는 C2내지 C7알킬카보닐 그룹; 벤조일 그룹; 또는 할로겐 원자, C1내지 C4알킬 그룹 및 C1내지 C4알콕시 그룹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 내지 3개의 그룹에 의해 치환된 벤조일 그룹이고; Y는 C2내지 C7알킬카보닐 그룹, C2내지 C7알콕시카보닐 그룹 또는 시아노 그룹이며; R은 디(C1내지 C4알킬)아미노 그룹, 모르폴리노 그룹, 4-C1내지 C4알킬피페라지노 그룹 또는 피페리디노 그룹이다.
  13. 제12항에 있어서, X가 C2내지 C5알킬카보닐 그룹이고; Y가 C2내지 C5알킬카보닐 그룹; C2내지 C5알콕시카보닐 그룹 또는 시아노 그룹이며; R이 디(C1내지 C4알킬)아미노 그룹 또는 모르폴리노 그룹인 간질환 치료용 조성물.
  14. 제12항에 있어서, X가 벤조일 그룹; 또는 할로겐 원자, C1내지 C4알킬 그룹 및 C1내지 C4알콕시 그룹에 의해 치환된 벤조일 그룹이고; Y가 C2내지 C|5알킬카보닐 그룹 또는 시아노 그룹이며; R이 디(C1내지 C4알킬)아미노 그룹으로, 모르폴리노 그룹인 간질환 치료용 조성물.
  15.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X가 아세틸 그룹이고; Y가 에톡시카보닐 그룹 또는 이소프로폭시카보닐 그룹이며; R이 디메틸아미노 그룹 또는 모르폴리노 그룹인 간질환 치료용 조성물.
  16. 제12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X가 벤조일 그룹 또는 염소원자에 의해 치환된 벤조일 그룹이고; Y가 아세틸 또는 시아노 그룹이며; R이 디메틸아미노 그룹 또는 모르폴리노 그룹인 간질환 치료용 조성물.
  17.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일반식(I)의 화합물이 이소프로필 2-(4,5-비스디메틸아미노-1,3-디티올란-2-일리덴)아세토아세테이트인 약제 조성물.
  18.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일반식(I)의 화합물이 이소프로필 2-(4,5-디모르폴리노-1,3-디티올란-2-일리덴)아세토아세테이트인 약제 조성물.
  19. 제12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일반식(I)의 화합물이 2-(4,5-디모르폴리노-1,3-디티올란-2-일리덴)-1-(4-클로로페닐)부탄-1,3-디온인 약제 조성물.
  20. 제12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일반식(I)의 화합물이 2-(4,5-디모르폴리노-1,3-디티올란-2-일리덴)-1-(2-클로로페닐)부탄-1,3-디온인 약제 조성물.
  21. 제12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화합물이 2-(4,5-비스디메틸아미노-1,3-디티올란-2-일리덴)-1-페닐-부탄-1,3-디온인 약제 조성물.
  22. 제12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일반식(I)의 화합물이 2-(4,5-디모르폴리노-1,3-디티올란-2-일리덴)-1-(4-메톡시벤조일)-아세토니트릴인 약제 조성물.
  23. 구조식(1)의 글리옥살 중아황산나트륨 부가물을 일반식(Ⅲ)의 화합물과 반응시킨 후, 일반식(Ⅲ)의 화합물과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일반식(I)의 디티올란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021
    상기식에서, X는 C2내지 C7알킬카보닐 그룹; 벤조일 그룹; 또는 할로겐 원자, C1내지 C4알킬 그룹 및 C1내지 C4알콕시 그룹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 내지 3개의 그룹에 의해 치환된 벤조일 그룹이고; Y는 C2내지 C7알킬카보닐 그룹, C2내지 C7알콕시카보닐 그룹 또는 시아노 그룹이며; R은 디(C1내지 C4알킬)아미노 그룹, 모르폴리노 그룹, 4-C1내지 C4알킬피페라지노 그룹 또는 피페리디노 그룹이고, M은 알칼리 금속 원자이다.
KR1019890011821A 1988-02-27 1989-08-19 디티올란 유도체 KR9700031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45350 1988-02-27
JP63045350A JPH01221375A (ja) 1988-02-27 1988-02-27 ジチオラン誘導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4595A KR910004595A (ko) 1991-03-29
KR970003126B1 true KR970003126B1 (ko) 1997-03-14

Family

ID=12716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1821A KR970003126B1 (ko) 1988-02-27 1989-08-19 디티올란 유도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31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847B1 (ko) * 2006-01-27 2007-10-04 씨제이 주식회사 멀티플 유닛 타입 서방성 경구 제제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4595A (ko) 1991-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3159385A (ja) マロン酸誘導体及びその製法並びにその用途
EP1038868A2 (de) Sulfonamide als antivirale Mittel
KR970003126B1 (ko) 디티올란 유도체
US3767674A (en) Cyclohexeno thioxanthones
CS227012B2 (en) Method of preparing 2-amino-3-benzoyl-phenylacetamide
EP0413843B1 (en) Dithiolane derivatives
SK152095A3 (en) Crystalline (+) l-hydrogentartrate, preparation method thereof,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its and its use
KR890005204B1 (ko) 벤조티아진 디옥사이드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
US3502687A (en) Dioxinopiperidines
KR890004197B1 (ko) 티아디아졸 항비루스제
EP0572532B1 (en) Oxaza substituted phosphines
JPH0454666B2 (ko)
JPH01242580A (ja) ジチオラン誘導体
JP2825643B2 (ja) 新規アリールオキシーアルキルアミン、その製法及びこれを含有する心臓循環系疾患治療用の医薬品
JPS63183586A (ja) シクロヘキサンジオン誘導体及びその製法並びにその用途
JPH05148250A (ja) オキサジアジン誘導体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抗血栓剤
JPS59204187A (ja) ジチオラン誘導体およびその用途ならびにその製法
JPH01203391A (ja) ヘテロ環化合物及びその製法並びにその医薬用途
JPH0416473B2 (ko)
JPH0439470B2 (ko)
JPH07116180B2 (ja) ジチオ−ル誘導体及びその製法並びにその用途
JPH0427989B2 (ko)
JPS59148778A (ja) 1,3−ジチエタン誘導体およびその用途
JPH01221376A (ja) ジチオラン誘導体
JPS6360983A (ja) ジチオラン誘導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