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3665B1 - 광학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광학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3665B1
KR100473665B1 KR10-1999-7012214A KR19997012214A KR100473665B1 KR 100473665 B1 KR100473665 B1 KR 100473665B1 KR 19997012214 A KR19997012214 A KR 19997012214A KR 100473665 B1 KR100473665 B1 KR 100473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aromatic polycarbonate
solvent
support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12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4148A (ko
Inventor
호소이마사히로
나고시다미아끼
Original Assignee
데이진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진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데이진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14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4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3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36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1/00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 B29C41/24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14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39/148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7/00Producing 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D7/01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9/00Use of PC, i.e. polycarbonat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carbonates;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의 양 쪽 표면의 오목볼록에 관한 품질을 특정한 것으로 하는 것, 및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용액의 유연제막법에 있어서, 용액으로부터의 캐스트 후의 건조공정에 있어서 특정한 건조조건을 채용함으로써, 광학용도용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의 제조공정 및 가공공정에 있어서의 스크랫치, 주름, 흠 등의 결점을 해소하고, 광학용도에 유용한 투명성과 표면평탄성이 우수하며 또 양호한 미끄럼성을 갖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학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OPTICAL FILM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본원발명은 광학용 필름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광학적으로 투명하며 미끄럼성이 우수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 이루어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은 그 내열성, 투명성 및 광학탄성계수 등이 높기 때문에 액정표시장치의 전극기판 및 위상차판용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유연법(流延法)으로 제막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이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있다.
표면이 평탄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필름과 같이, 미끄럼성이 떨어지는 필름을 제막할 경우에 있어서는, 제막필름이 반송롤계를 주행할 때에 스크랫치(scratch)를 발생시켜 미소한 표면흠을 발생시키거나, 제막필름이 감김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감길 때에 필름에 주름이 발생하거나, 너무 강하게 감으면 필름간의 마찰로 흠이 생기는 등 실용상 중대한 문제가 있었다. 그 때문에, 미끄럼성이 떨어지는 필름에 대해서는 활재(滑材)를 혼입시키거나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 8-334607 호), 미끄럼성이 양호한 표면보호필름을 접착시키거나, 스페이서(spacer)를 개재시켜 감는 등의 대책을 강구하고 있는 것이 현상태이다. 그러나, 활재를 혼입시키면 얻어지는 필름의 투명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광학적 용도에는 치명적인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표면보호필름스페이서를 사용하는 방식에서는, 생산공정이 복잡해짐과 동시에 필요부재가 증가되는 생산상의 문제가 수반되게 된다.
이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 8-175708 호에는, 활재를 함유하지 않은 필름의 감김에 있어서, 필름의 양단부의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오목볼록부를 형성하여 볼록부의 높이를 해당 필름의 평균높이보다 높게 한 후, 감기장치에 의해 롤형상으로 감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방법은 용융법으로 형성된 연신필름에 내부가열된 거친면가공롤을 가압함으로써 필름 양단부에 오목볼록을 형성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 얻어지는 필름은 열열화물(熱劣化物), 탄화물 등의 이물질이라는 용융법에 수반되는 고유의 결점을 갖고 있어 광학용도로서는 바람직하지 못하고, 또 거친면가공롤을 적극적으로 가열하기 때문에 에너지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양단부에 오목볼록이 형성된 감기필름을 감아서 가공할 경우, 예를 들면 반송롤면상에서 필름면의 접촉이 불균일해지는 경우가 일어나기 때문에 오목볼록을 부여한 양단부를 가공 전에 잘라버릴 필요가 있을 경우도 있다. 또한, 양단의 오목볼록 부여부분은 정상적인 품질의 필름으로서는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낭비가 되는 부분이 많아진다.
이와 같이, 종래의 기술인 필름에 활재를 첨가하여 미끄럼성을 개선하여 본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방법 및 필름의 단부에 오목볼록을 부여하여 감는 방법에는 문제가 남아 있다.
본원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광학용도용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의 제조공정 및 가공공정에 있어서의 스크랫치, 주름, 흠 등의 결점을 해소하고, 광학용도에 유용한 투명성과 표면평탄성이 우수하며 양호한 미끄럼성을 갖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원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검토한 결과,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용액의 유연제막법에 있어서, 용액으로부터의 캐스트 후의 건조공정에 있어서 특정의 조건하에서 표면에 오목볼록을 부여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원발명에 도달한 것이다.
즉, 본원발명에 의하면, 이하의 광학용도에 유용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및 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1. 용액유연법에 의해 제막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에 있어서 하기 요건 (a) ∼ (d) 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용 필름.
(a) 필름이 연신되어 있지 않을 것.
(b) 필름의 헤이즈(haze)값이 1.0 % 이하일 것.
(c) 필름의 한 쪽 표면의 중심선 평균표면조도가 3 ㎚ 이하이며, 다른 쪽 표면의 중심선 평균표면조도가 3 ∼ 10 ㎚ 일 것.
(d) 필름의 어느 표면에 대해서도, 그 표면돌기 중에서 돌기의 원에 상당하는 지름이 30 ㎛ 이상, 그 최대 높이가 3 ㎛ 이상인 것이 3 개/㎡ 이상 존재하지 않을 것.
2. 상기 1 항에 있어서, 필름에 활재가 첨가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용 필름.
3.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를 용매에 용해시켜 얻어진 용액을 지지체상에 유연시켜 필름을 형성하고 이것을 건조시켜 필름을 제작함에 있어서, 유연에 의한 필름형성 후, (Y+5) ℃ 이하의 분위기온도에 따른 건조에 의해 필름 중의 용매농도 (X) 를 25 중량 % < X ≤45 중량 % 의 상태로 하는 공정과, 이에 이어서 그 필름을, 분위기온도가 (Y+5) ℃ 를 초과하여 (Y+35) ℃ 이하의 온도로, 필름 중의 용매농도가 25 중량 % 가 될 때까지 지지체에 접촉시킨 상태로 유지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또 해당 (Y+5) ℃ 를 초과하여 (Y+35) ℃ 이하의 온도로 처리하는 공정에 있어서의 해당 필름의 유지시간이 3 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연신 광학용 필름의 제조방법 (여기서 Y 는 섭씨단위로 표시한 용매의 비점이다.).
여기서, 본원명세서를 통하여 「용매의 비점」 라고 말할 때는, 해당 용매가 하나의 화합물로 이루어진 경우는 그 비점을 의미하고, 해당 용매가 하나의 주용매를 구성하는 화합물과 부용매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해당 주용매를 구성하는 화합물의 비점을 의미하고, 해당 용매 (주용매와 부용매로 이루어진 경우는 해당 용매 중의 주용매) 가 복수화합물의 혼합물인 경우는, 그들 화합물의 전체에 대한 비율이 10 중량 % 를 초과하는 화합물 중에서 가장 낮은 비점을 갖는 화합물의 비점을 의미한다.
또한, 해당 (Y+5) ℃ 를 초과하여 (Y+35) ℃ 이하 (바람직하게는 (Y+5) ℃ 를 초과하여 (Y+25) ℃ 이하) 의 온도로 처리하는 공정은 8 분 이하, 길어도 15 분 이하로 이 공정을 끝내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사용되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로서는 점도 평균분자량이 3 ×104 ∼ 7 ×104 인 것이 바람직하고, 점도 평균분자량이 3 ×104 ∼ 7 ×104 인 비스페놀 A 폴리카보네이트 중합체가 보다 바람직하다.
4. 상기 3 항에 있어서, 용매가 메틸렌클로라이드를 95 중량 % 이상 함유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미연신 광학용 필름의 제조방법.
이 경우, 메틸렌클로라이드의 비점은 40 ℃ 이기 때문에, (Y+5) ℃ = 45 ℃, (Y+35) ℃ = 75 ℃ 이다.
5. 상기 3 항 또는 4 항에 있어서, 용매가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또는 프로필알코올 중의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전체로서 5 중량 % 이하 함유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미연신 광학용 필름의 제조방법.
또한,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또는 프로필알코올 중의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함유하는 경우의 그 전체의 함유량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 5 중량 % 이다.
6. 상기 3 항 내지 5 항에 있어서, 용매에 용해시켜 얻어진 용액을 지지체상에 유연시키기 전에, 간격이 0.3 ∼ 30 ㎛ 인 필터로 여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연신 광학용 필름의 제조방법.
7. 상기 3 항 내지 6 항에 있어서, 지지체의 표면이 중심선 평균표면조도 1.0 ∼ 3.0 ㎚ 이며 최대 길이 50 ㎛ 이상, 최대 깊이 5 ㎛ 이상의 흠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연신 광학용 필름의 제조방법.
8.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의 용액유연법에 의한 제막방법으로, 해당 용액이 지지체상에 필름으로서 캐스트되어 건조되는 공정을 포함하고, 해당 필름의 표면상태가 하기 요건 (e) 및 (f) 를 동시에 만족시킬 때까지, 해당 필름의 표면 중에서 해당 지지체와 접촉하고 있는 표면을 해당 지지체와 접촉한 채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미연신 필름의 용액유연법에 의한 제막방법.
(e) 해당 필름의 표면 중에서 해당 지지체와 접촉하고 있지 않은 표면이, 그 중심선 평균표면조도가 3 ㎚ 이하이며, 필름의 표면돌기 중에서 그 원에 상당하는 지름이 30 ㎛ 이상, 그 최대 높이가 3 ㎛ 이상인 것이 3 개/㎡ 이상 존재하지 않는 상태일 것.
(f) 해당 필름의 표면 중에서 해당 지지체와 접촉하고 있는 표면이, 그 중심선 평균표면조도가 3 ∼ 10 ㎚ 이하이며, 필름의 표면돌기 중에서 그 원에 상당하는 지름이 30 ㎛ 이상, 그 최대 높이가 3 ㎛ 이상인 것이 3 개/㎡ 이상 존재하지 않는 상태일 것.
9. 용액유연법에 의해 제막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으로, 상기 3 항 내지 8 항의 제조방법에 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연신 광학용 필름.
10. 용액유연법에 의해 제막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으로, 상기 1 항, 2 항 또는 9 항에 기재된 미연신 필름을 일축연신시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용 필름.
11. 상기 10 항에 있어서, 일축연신시키는 조건이 연신온도 (Tg-5) ℃ ∼ (Tg+30) ℃ 에 있어서, 연신배율이 1.05 ∼ 3.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용 필름.
여기서, Tg 란 상기 필름을 형성하는 폴리카보네이트의 유리전이온도를 의미하고, 구체적으로는 일축연신 직전의 미연신 필름에 대하여 측정한 값이다. 해당 필름의 용매가 잔존하고 있는 경우는 그 용매를 포함한 채로 측정한다.
일축연신의 온도조건을 (Tg-5) ℃ ∼ (Tg+30) ℃ 로 하는 이유는, 일축연신의 온도조건이 (Tg-5) ℃ 보다 낮은 경우는 연신된 필름이 백탁되는 경향이 있고, 투명성을 잃기 때문에 광학용도의 필름으로서는 사용할 수 없기 때문이고, 또 일축연신의 온도조건이 (Tg+30) ℃ 를 초과하는 경우는 플로연신상태가 되어 폴리머의 배향이 방해되고, 균일한 광학특성 (리타데이션 등) 을 갖는 필름을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일축연신의 온도조건은 Tg ℃ ∼ (Tg+30) ℃ 이다.
연신배율이 1.05 ∼ 3.2 일 것이 필요한 것은, 광학용도에 필요한 리타데이션값인 100 ∼ 1000 ㎚ 을 얻기 위해서는 이 범위의 연신배율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12. 용액유연법에 의해 제막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에 있어서, 하기 요건 (g) ∼ (j) 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 광학용 필름.
(g) 필름이 일축방향으로 연신되어 있을 것.
(h) 필름의 헤이즈값이 0.1 ∼ 8.0 % 일 것.
(i) 필름의 한 쪽 표면의 중심선 평균표면조도가 5 ㎚ 이하이며, 다른 쪽 표면의 중심선 평균표면조도가 5 ∼ 40 ㎚ 일 것.
(j) 필름의 어느 한 쪽 표면에 대해서도, 그 표면돌기 중에서 돌기의 원에 상당하는 지름이 30 ㎛ 이상, 그 최대 높이가 3 ㎛ 이상인 것이 3 개/㎡ 이상 존재하지 않을 것.
또한, 해당 제막 후의 필름의 헤이즈값은, 0.1 % 이상이라도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의 제막 후의 필름의 해당 지지체와 접촉하지 않는 표면의 중심선 평균표면조도는, 미연신 필름에 대해서는 1 ∼ 3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연신 필름에 대해서는 1 ∼ 5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제막건조 후의 미연신 필름의 두께로서는 30 ∼ 20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70 ∼ 150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연신 필름의 두께로서는 20 ∼ 14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 6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필름의 헤이즈값이 0.1 % 이상이라도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지지체와 접촉한 필름면 근방에 있어서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결정화 (헤이즈의 상승원인이 된다.) 에 의한다고 생각되는 필름표면의 오목볼록 부여가 어느 정도 필요하기 때문이고, 상기 3 항에서 (Y+5) ℃ 를 초과하여 (Y+35) ℃ 이하 (바람직하게는 (Y+5) ℃ 를 초과하여 (Y+25) ℃ 이하) 의 온도로 처리하는 공정이 8 분 이하, 길어도 15 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한 것은, 이 공정을 너무 길게 하면 다른 생성기구에 의한다고 생각되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결정이, 해당 필름이 지지체와 접촉하고 있는 근방뿐 아니라 그 외의 부분에도 다발하여 쓸데없이 필름 헤이즈를 상승시키게 되기 때문이다. 또 상기 5 항에서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또는 프로필알코올 중의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함유하는 경우의 그 전체의 함유량이 0.1 중량 % 이상이라도 있는 것이 바람직한 것은, 이들 알코올에 의해, 후술하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결정촉진효과를 확보하기 때문이다. 또 상기 필름의 표면 중에서 해당 지지체와 접촉하고 있지 않은 표면의 중심선 평균표면조도 (Ra) 가, 미연신 필름에 대해서는 1 ∼ 3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연신 필름에 대해서는 1 ∼ 5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한 것은, 해당 Ra 가 너무 커지면 광학적 투명성이 불충분해 지는 경우가 있는 것, 해당 Ra 가 너무 작아지면 미끄럼성이 불충분해 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3 항 및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 「분위기온도」 란 지지체 하부 및 필름 상부로부터 부는 온풍의 온도를 의미한다.
또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 필름의 헤이즈값, 중심선 평균표면조도 (Ra), 표면돌기의 원에 상당하는 지름 및 표면돌기 최대 높이의 측정은 하기 ① ∼ ④ 의 방법에 의한 것이다.
① 필름의 헤이즈값
JIS-K7105 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② 중심선 평균표면조도 (Ra)
JIS-B0601 에 준했다.
③ 표면돌기의 원에 상당하는 지름
측정대상 필름의 측정해야 할 표면과 반대 표면을 콜로디온으로 청정한 슬라이드 글라스에 접착하고, 이것을 하루 건조시킨 후, 측정대상의 표면을 알루미늄 증착처리하고, 이 증착면을 광학현미경에 의해 낙사암시야법(落射暗視野法)으로 546 ㎚ 의 파장을 이용하여 관찰하고, 나타나는 돌기부분 (명암의 차로 나타남) 의 영역의 원에 상당하는 지름을 구한다.
④ 표면돌기 최대 높이
상기 ③ 의 알루미늄 증착샘플의 증착면을, 다중간섭(多重干涉)현미경 또는 이광속(二光束)간섭현미경으로 546 ㎚ 의 파장을 이용하여 관찰하고, 개개의 표면돌기에 의해 나타나는 간섭줄무늬의 겹침 중에서 가장 높은 부분 (즉, 돌기를 나타내는 간섭줄무늬의 겹침 중에서 가장 작은 간섭줄무늬 부분) 과 가장 낮은 부분 (즉, 돌기를 나타내는 간섭줄무늬의 겹침 중에서 가장 큰 간섭줄무늬 부분) 과의 사이에 나타나는 간섭줄무늬 부분의 수 (n) (상기 가장 높은 부분과 가장 낮은 부분에 해당하는 것도 포함한다.) 를 세어 (n) * 0.27 ㎛ 을 그 표면돌기에 대한 최대 높이로 한다.
이하에 본원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a)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및 점도 평균분자량
본원발명에서 사용되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는 희망하는 필름의 모든 특성이 얻어지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라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일반적으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로 총칭되는 고분자재료는, 페놀 유도체와 포스겐, 디페닐카보네이트 등으로부터의 중축합으로 얻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통상, 비스페놀 A 로 총칭되고 있는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을 비스페놀 성분으로 하는 반복단위로 나타나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는, 이 비스페놀 A 를 비스페놀 성분으로 하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를 비스페놀 A 폴리카보네이트로 칭한다.) 가 바람직하게 선택되지만,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과 함께 적절히 다른 각종 비스페놀 유도체를 선택함으로써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공중합 성분으로서는, 비스(4히드록시페닐)메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비스페놀-Z 라고도 불리운다.), 9,9-비스(4-히드록시페닐)플루오렌 (비스페놀 FL 라고도 불리운다.), 1,1-비스(4-히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2,2-비스(4-히드록시-3-메틸페닐)-2-페닐에탄, 2,2-비스(4-히드록시페닐)-1,1,1,3,3,3-헥사플로로프로판, 비스(4-히드록시페닐)디페닐메탄, 비스(4-히드록시페닐)술파이드, 비스(4-히드록시페닐)술파이드, 비스(4-히드록시페닐)술폰 등을 들 수 있다. 또 탄산 성분에 대하여 그 일부에 테레프탈산 및/또는 이소프탈산 성분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비스페놀 A 와 탄산 성분의 일부를 다른 구조단위로 치환시킴으로써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성질, 예를 들면 내열성, 용해성을 개량할 수 있다.
본원발명에서 사용되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점도 평균분자량은 20,000 이상 200,000 이하이면 적합하게 사용된다. 점도 평균분자량이 20,000 이하의 경우는, 용액의 점도가 너무 낮아 막두께의 제어가 곤란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 점도 평균분자량이 200,000 이상의 경우에는, 용액점도가 너무 높아져 막두께의 제어가 곤란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특히 바람직한 점도 평균분자량은 30,000 이상 70,000 이하이다.
b) 용해용 용제
본원발명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용해에 사용하는 용매는, 유연가능한 용액점도가 얻어지는 용해성, 얻어지는 용액의 결정석출에 대한 안정성 (결정이 석출되기 어려울 것) 및 용액조제시의 안정성 (인체에 대한 위생성) 의 면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된다.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용해용 용제로서는, 메틸렌클로라이드, 1,3-디옥솔란, 클로로포름,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테트라클로로에탄, 및 1,2-디클로로에탄의 단독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또 바람직하게는,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1,3-디옥솔란의 단독물 또는 혼합물에,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프로필알코올 (n-프로필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 부틸알코올 (n-부틸알코올, 이소부틸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의 부용매를 단독 또는 둘 이상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의 상기 알코올의 양은, 5 중량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 5 중량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는, 상기 알코올 또는 이들 혼합물을 사용할 경우에는, 이들 알코올 또는 이들 혼합물을 부용매로 칭하고, 이들 부용매와 함께 사용할 경우에는, 이들 부용매 이외의 상기 용매를 주용매로 칭하고 있다.
c) 용액의 작성
본원발명의 용액의 제작에 있어서는, 용매가 단독인 경우에는 용매를 교반하면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인 펠릿을 투입하여 용해시킨다. 용매가 주용매와 부용매로 이루어진 혼합용매인 경우, 예를 들면 메틸렌클로라이드 (주용매) 와 에틸알코올 (부용매) 과의 혼합용매인 경우는, 미리 혼합용매를 준비해 두어 교반하면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인 펠릿을 투입하여 용해시킨다.
이 경우 알코올은, 본래의 용매로서의 기능보다도, 유연된 필름의 건조 중의 결정화를 촉진시키고, 필름의 형상유지성을 확보하기 때문에 사용되는 것이고,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용해성이 낮기 때문에, 예를 들면 주용매인 메틸렌클로라이드에 방향족 폴리카보네이드를 용해시킨 후에 첨가하면 방향족 폴리카보네이드가 결정화되어 백탁되기 쉽고, 이와 같이 용액이 백탁될 때까지 알코올을 첨가하면 캐스트 후의 건조된 필름의 헤이즈가 너무 높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와 같은 의미에서 주용매와 부용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해당 혼합용매에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인 펠릿을 투입하여 용해시키는 편이 바람직하고, 또 주용매에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를 용해시킨 후에 부용매를 첨가하거나 주용매와 부용매의 혼합용매에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를 첨가하여 용해시키거나 하더라도, 그 부용매 첨가량은 용액을 백탁시키지 않을 정도의 양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용매에 첨가하는 부용매의 양은 용액의 결정화 거동 (용액의 백탁도) 을 조사하여 시행착오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의 알코올의 첨가비율은 5 중량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알코올의 혼합비율이 5 중량 % 를 초과하는 경우는 필름의 헤이즈가 너무 높아지기 때문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 이상 5 중량 % 이하이다. 알코올의 혼합비율이 0.1 중량 % 보다도 적은 경우에는, 본원발명에서 기대하는 건조 중의 결정화가 일어나기 어려워져서 제막조건에 제약을 받을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부용매로서 사용되는 알코올은 상기와 같이 유연된 필름의 건조 중의 결정화를 촉진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그 휘발속도가 주용매의 그것보다 큰 경우는 본래의 목적을 달성하기가 곤란해진다. 게다가, 사용되는 알코올의 비점은, 적어도 주용매의 비점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고, 해당 주용매가 혼합물인 경우는, 사용되는 알코올의 비점은, 해당 주용매를 구성하는 화합물의 전체에 대한 비율이 10 중량 % 를 초과하는 화합물 중에서 가장 낮은 비점을 갖는 화합물의 비점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각종 실험의 결과, 주용매 (해당 주용매가 혼합물인 경우는, 해당 주용매를 구성하는 화합물의 전체에 대한 비율이 10 중량 % 를 초과하는 화합물 중에서 가장 낮은 비점을 갖는 화합물) 의 비점과 부용매의 비점과의 차가 2 ℃ 이상인 것,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이상인 것이 본원발명의 목적인 석출분석에 의한다고 생각되는 필름표면의 오목볼록 부여에 적합한 것임이 판명되었다.
유연제막에 사용되는 용액 중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농도는 10 ∼ 25 중량 % 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액 중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농도가 10 중량 % 미만인 경우는 유연필름의 건조부담이 너무 커서 평탄성이 양호한 필름을 얻는 것이 매우 곤란해지고, 25 중량 % 를 초과하면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분자량이 큰 경우에는 용액점도가 너무 높아져 막두께의 제어가 곤란해지고,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분자량이 작은 경우에는 초기 용매의 증발시에 그 증발의 영향이 필름의 표면평탄성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기 때문에 곤란하다. 보다 바람직한 농도는 15 ∼ 20 중량 % 이다.
용액은 쓰레기 및 겔형상물 등을 제거하기 위해 시판하는 필터를 사용하여 여과한다. 필터 엘리먼트의 평균간격은 0.3 ∼ 30 ㎛ 인 것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음이 발견되었다. 또 평균간격이 다른 것을 몇 개정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캐스트 직전의 용액은, 그 후의 용매의 휘산(揮散) 거동의 변동을 최소로 억제하기 위해서는, 그 변동폭은 가능한 한 작게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15 ℃ 설정의 경우, 통상은 ±0.5 ℃ 에서 가온 (또는 냉각) 제어하는 것이 적당한 것임이 발견되었다.
d) 캐스트 및 건조
캐스트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용액의 온도는, 액막 또는 필름으로부터의 용매의 급속한 증발을 방지하기 위해, 건조 당초는 용매의 비점보다 높은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고, 용매의 비점을 Y 로 나타낸 경우, 본원발명에 있어서는 (Y+5 ℃) 이하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5 ℃ ∼ (Y+5 ℃) 의 온도로 온도조절된 분위기 하의 지지체상에 다이(die)를 통하여 캐스트된다. 이 온도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Y ℃)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 (Y ℃) 의 온도이다.
지지체로서는, 유리, 스테인레스, 페로타입판 또는 경우에 따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등의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공업적으로는 일반적으로, 엔드리스 금속판의 지지체가 사용된다. 본원발명의 목적을 위해서는 엔드리스 금속판의 지지체가, 안정된 필름면의 오목볼록을 얻기에 바람직하다. 필름의 막두께는 상기 다이의 개도(開度)에 의해 조정된다. 또 닥터블레이드(doctor blade) 로 쓸어내는 방법, 리버스롤코트법 등 통상의 두껍게 도포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가장 바람직한 방법은 압출다이에서 용액을 엔드리스 금속벨트 지지체상에 유연시키는 방법이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 「필름」 이란, 다이에서 캐스트된 액막상태인 것으로부터 용매의 제거로 인한 소위 통상의 고체로서의 필름의 형상을 갖는 것까지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용액이 캐스트되는 지지체로서는, 중심선 평균표면조도 (Ra) 가 1.0 ∼ 3.0 ㎚ 이며 최대 길이 50 ㎛ 이상, 최대 깊이 5 ㎛ 이상의 흠이 없는 특성을 갖는 경면(鏡面)연마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함이 판명되었다. 이들의 범위를 벗어나면, 지지체표면이 보다 평탄하게 되는 경우에는 필름의 미끄럼성을 충분히 얻을 수 없게 되고, 반대로 지지체표면이 거친면이 되는 경우에는 결정화에 의한다고 생각되는 필름표면의 오목볼록 부여에 더하여 해당 지지체표면의 거칠기에 기인하는 필름표면의 거칠기가 일어나고, 전체로서의 필름표면의 거칠기가 원하는 정도를 초과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여기서, 지지체표면이 평탄하게 되는 경우에 필름의 미끄럼성이 충분하지 않게 되는 것은 필름 결정화의 최초의 동기가 되는 종정(種晶)의 발생이 억제되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되어 진다.
통상, 캐스트 후의 필름 건조의 목적은, 필름의 형태를 변화시키지 않고 단시간에 다량의 용매를 증발시키는 것에 있다. 급격하게 용매를 증발시키면 액막면 또는 필름면에서 발포되거나, 필름이 변형을 받아 두께불균일이 악화되는 등 바람직하지 못한 현상 (이러한 현상을 레벨링 불량이라고 한다.) 을 나타내기 때문에, 건조온도, 풍량 등 건조속도를 제어하는 요인에는 세심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통상, 건조의 초기에는 사용하는 용매의 비점보다도 아래이거나 또는 그보다 너무 높지 않은 온도에서 건조시켜, 어느 정도 용매가 휘산한 후, 건조온도를 상승시키고 최종적으로 용매농도가 20 중량 % 이하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 이하가 될 때까지 가열건조를 실시하여 지지체에서 반건조된 필름을 벗겨낸다.
본원발명 방법에 있어서의 캐스트 후의 건조공정에 있어서, 본원발명의 목적인 광학적으로 투명하며 미끄럼성이 우수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을 얻기 위해서는, 캐스트된 필름표면의 내지지체에 접촉하는 쪽의 표면부분에 있어서 결정화 (용액으로부터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가 결정화하는 현상이라고 현재 추정하고 있다.) 가 일어나, 이로 인해 표면이 거칠어지는 것이라고 추측되고 있기 때문에, 이 미세한 표면 오목볼록을 적당히 형성하도록 건조조건을 제어하는 것이 매우 유효함이 발견되었다. 즉, 일반적으로는 건조에 의해 용매가 감소하면, 필름 중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농도가 상승하여 일정농도 이상이 되면 그 결정화가 시작되는 것이다. 그러나, 지지체상에서 필름을 건조시킨 결과, 의외로 필름 헤이즈를 별로 올리지 않고, 지지체와 접촉하는 필름표면상에는 미세한 오목볼록을 부여하며 또 지지체와 접촉하지 않은 필름표면은 평탄하게 유지할 수 있는 건조조건이 존재하는 것이 발견되었다.
현 단계에 있어서는, 이 필름표면의 오목볼록은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결정화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되고 있지만, 이와 같이 지지체에 접촉하는 필름표면이기 때문에 용매의 휘산이 억제되는 조건에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결정화가 촉진되는 점 및 이 결정화가 필름두께에 별로 영향을 받지 않는 점을 보면, 지지체와의 접촉자체가, (그 지지체가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결정의 종정을 발생시키기 쉽다는 의미에서), 표면에서의 결정발생, 나아가서는 오목볼록 형성에 기여하고 있는 가능성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알코올을 부용매로서 사용한 경우에는, 지지체와 접촉하고 있지 않은 필름면에 비해 지지체와 접촉하고 있는 필름면은 부용매의 휘발이 없기 때문에, 주용매가 감소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부용매농도가 상승하는 것도 도움이 되고 있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이 결정화에 의한다고 생각되는 표면 오목볼록이 캐스트 후의 건조공정에서 일어나기 위해서는, 그 필름표면 부분에 있어서의 용매 중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농도, 부용매농도, 결정화시의 온도 및 그 온도에 쬐이는 시간 (체류시간) 이 영향을 부여하는 것이라고 생각되지만, 본 발명자들은 캐스트된 필름을 건조시킬 때의 필름면의 결정화 거동에 대하여 검토한 결과, 방향족 폴리 카보네이트를 용매에 용해시켜 얻어진 용액을 지지체상에 유연시켜 이것을 건조시켜 필름을 제작할 경우에는, 용매의 비점을 Y 로 했을 경우, 유연에 의한 필름 형성 후, 제 1 단계로서 (Y+5) ℃ 이하 (바람직하게는 Y ℃ 이하) 의 분위기온도에 따른 건조에 의해 필름 중의 용매농도 (X) 를 25 중량 % < X ≤45 중량 % 의 상태로 하는 공정과, 여기에 이어서, 제 2 단계로서 그 필름을 분위기온도가 (Y+5) ℃ 를 초과하여 (Y+35) ℃ 이하 (바람직하게는 (Y+5) ℃ 를 초과하여 (Y+25) ℃ 이하) 의 온도로 필름 중의 용매온도가 25 중량 % 가 될 때까지 지지체에 접촉시킨 상태로 유지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또 해당 (Y+5) ℃ 를 초과하여 (Y+35) ℃ 이하 (바람직하게는 (Y+5) ℃ 를 초과하여 (Y+25) ℃ 이하) 의 온도로 처리하는 공정에 있어서의 해당 필름의 유지시간이 3 분 이상이면, 본원발명의 광학적으로 투명하며 미끄럼성이 우수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으로서 적합한 필름표면을 얻을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즉, 얻어진 용액을 지지체상에 유연시켜 필름을 형성한 후, 분위기온도를 (Y+5) ℃ (바람직하게는 Y ℃ 이하) 이하로 유지하고, 필름 중의 용매온도 (X) 가 25 중량 % < X ≤45 중량 % 의 상태가 될 때까지 건조시킨 경우에는, 필름 중의 용매의 발포 등으로 인한 결점은 생기지 않고, 또 지지체와 접촉한 필름면도 포함하여 필름 중에는 실질적으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결정화는 일어나지 않고, 또 그 후 그 필름을 분위기온도가 (Y+5) ℃ 를 초과하여 (Y+35) ℃ 이하 (바람직하게는 (Y+5) ℃ 를 초과하여 (Y+25) ℃ 이하) 의 온도로 필름 중의 용매온도가 25 중량 % 가 될 때까지 지지체에 접촉시킨 상태로 유지하는 공정에 해당 필름을 3 분 이상 유지할 수 있으면, 해당 지지체와 접촉하는 필름면 근방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결정화에 의한다고 생각되는 필름표면의 오목볼록 부여를 실현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필름 내부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결정화에 의한 헤이즈 상승의 문제를 회피하면서 해당 필름표면에 양호한 미끄럼성을 부여하기 위한 오목볼록을 부여할 수 있고, 또 이와 같이 함으로써 그 후의 건조공정에서는 결국 필름 중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로 결정화는 실질적으로 진행하지 않고, 따라서 그 이상의 헤이즈 증대의 문제도 없는 것을 발견하였던 것이다. 예를 들면, 97 중량 % 의 메틸렌클로라이드와 3 중량 % 의 에틸알코올을 사용한 경우에는, 메틸렌클로라이드의 비점이 40 ℃ 이기 때문에, 제 1 단계에서는 45 ℃ (바람직하게는 40 ℃), 제 2 단계에서는 45 ℃ 를 초과하여 75 ℃ 이하 (바람직하게는 45 ℃ 를 초과하여 65 ℃ 이하) 의 온도로 처리하게 된다.
또한, 이 경우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점도 평균분자량이 3 ×104 ∼ 7 ×104 인 것이 바람직한 것도 발견되었다. 점도 평균분자량이 7 ×104 를 초과하면 아마 그 높은 점도 때문에 결정화 속도가 저하되고, 3 ×104 를 밑돌경우에는 그 낮은 점도 때문에 레벨링 불량의 문제가 발생하기 쉬워지기 때문일 것이라고 생각되고 있다.
또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로서 비스페놀 A 폴리카보네이트 중합체를 사용한 경우에는 본원발명의 광학적으로 투명하며 미끄럼성이 우수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을 보다 단시간에 안정된 품질로 얻어지는 것도 판명되었다. 이것은 아마 비스페놀 A 폴리카보네이트 중합체의 대칭성이 좋은 화학구조와 상기 점도의 영향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되고 있다.
그 후, 이 필름은 제 3 단계로서 적당한 온도로 냉각시키고, 제 4 단계의 박리공정으로 이행시킨다. 통상은, 용매제거효율 및 작업효율을 고려하여 용매농도 (X) 가 15 중량 % ≤X < 25 중량 % 가 될 때까지 이 제 3 단계에서 더욱 건조가 진행된다.
e) 박리공정 및 그 후의 공정
상기와 같이 냉각된 필름은 제 4 단계의 박리공정에서 지지체로부터 박리된다. 이어서 해당 필름을 통상 용매함유량이 수중량 % 이하가 될 때까지 본 건조시킨다. 이 때, 통상은 연속적으로 처리되지만, 일단 필름을 감은 후 이것을 본 건조공정에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박리공정과 본 건조공정은 종래 공지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고, 핀텐터 방식 건조기, 롤현수형(懸垂型) 건조기, 공기유유식(乳遊式) 건조기 등을 사용하여 필름의 광학특성 (리타데이션, 굴절률 등) 을 제어하여 액정용 기판 등에 적합한 필름을 이룰 수 있다. 말하자면 이렇게 얻어진 필름을 일축 또는 이축 연신시켜 액정표시장치용의 위상차 필름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의 처리로 얻어지는 필름표면의 특성에 대하여 상세히 검토한 결과, 본원발명의 용도로 하는 광학용 필름으로서는,
(a) 필름이 연신되어 있지 않을 것.
(b) 필름의 헤이즈값이 1.0 % 이하일 것.
(c) 필름의 한 쪽 표면의 중심선 평균표면조도가 3 ㎚ 이하이며 다른 쪽 표면의 중심선 평균표면조도가 3 ∼ 10 ㎚ 일 것.
(d) 필름의 어느 한 쪽 표면에 대해서도, 그 표면돌기 중에서 돌기의 원에 상당하는 지름이 30 ㎛ 이상, 그 최대 높이가 3 ㎛ 인 것이 3 개/㎡ 이상 존재하지 않을 것,
을 모두 충족시키고 또는,
(g) 필름이 일축방향으로 연신되어 있을 것.
(h) 필름의 헤이즈값이 0.1 ∼ 8.0 % 일 것.
(i) 필름의 한 쪽 표면의 중심선 평균표면조도가 5 ㎚ 이하이며 다른 쪽 표면의 중심선 평균표면조도가 5 ∼ 40 ㎚ 일 것.
(j) 필름의 어느 한 쪽 표면에 대해서도, 그 표면돌기 중에서 돌기의 원에 상당하는 지름이 30 ㎛ 이상, 그 최대 높이가 3 ㎛ 인 것이 3 개/㎡ 이상 존재하지 않을 것,
을 모두 충족시키면 좋은 것, 필름의 헤이즈값은 0.1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함이 판명되었다.
즉, 헤이즈값이 8.0 % 를 초과하면 본원발명품의 용도인 광학용 필름으로서는 투명성이 부족한 한편, 헤이즈값은 작으면 작을수록 좋으며, 광학적 용도로서는 특히 1 % 이하인 필름이 크게 요구되고, 적당한 필름표면의 오목볼록을 얻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결정화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되는 오목볼록 부여가 필요하고, 그에 따른 헤이즈 상승이 있기 때문에, 실용적으로는 헤이즈가 0.1 % 이상 있는 것이, 필요한 표면 오목볼록의 정도를 확보하기 때문에 바람직함을 알았다. 또 필름의 한 쪽 표면의 중심선 평균표면조도 (Ra) 와 다른 쪽 표면의 중심선 평균표면조도 (Ra) 에 대하여 각각 특정의 범위 내에 있을 것이 필요해지는 것은, 해당 필름에 적당한 미끄럼성을 부여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 크기의 Ra 가 필요한 한편, 이 값이 너무 크면 필름표면이 너무 거친 면이 되어 필름의 헤이즈가 광학용 필름으로서는 너무 높아지기 때문이다. 해당 거친면이 아닌 쪽의 필름면에 대해서는 광학용 용도의 본래의 목적을 위해서는 평탄하면 할수록 바람직하지만, 필름끼리의 미끄럼을 확보하기에는 이 면도 어느 정도의 거친면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미끄럼성의 확보와 광학용도로서의 평탄성의 요구로부터, 미연신 필름과 연신 필름과의 각각에 대해서 검토한 결과, 상기의 범위가 광학적용 필름으로서 우수한 것이 발견된 것이다.
또한, 필름의 표면돌기 중에서 그 원에 상당하는 지름이 30 ㎛ 이상, 그 최대 높이가 3 ㎛ 인 것이 3 개/㎡ 이상 존재하지 않을 것이 필요한 것은, 이것이 존재하면 예를 들면 액정표시장치용 기판필름으로서 사용할 경우에, 박막상의 전극을 필름면상에 형성시킨 경우에 이 전극박막이 이 큰 돌기 부분에서 불연속되어 전극기판으로서의 움직임이 손실되는 일이 있기 때문이다.
본원발명에 있어서의 검토 결과, 이와 같은 필름표면은, 그 제막방법이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의 용액유연법에 의한 제막방법으로 해당 용액이 지지체상에 필름으로서 캐스트되어 건조되는 공정을 포함하여 해당 필름의 표면상태가 하기 요건 (e) 및 (f) 를 동시에 만족시킬 때까지, 해당 필름표면 중 해당 지지체와 접촉하고 있는 표면을 해당 지지체와 접촉한 채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족 미연신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의 용액유연법에 의한 제막방법인 경우에 얻어짐이 판명되었다.
(e) 해당 필름표면 중 해당 지지체와 접촉하고 있지 않은 표면이, 그 중심선 평균표면조도가 3 ㎚ 이하이며 필름의 표면돌기 중에서 그 원에 상당하는 지름이 30 ㎛ 이상, 그 최대 높이가 3 ㎛ 이상인 것이 3 개/㎡ 이상 존재하지 않은 상태일 것.
(f) 해당 필름표면 중 그 지지체와 접촉하고 있는 표면이, 그 중심선 평균표면조도가 3 ∼ 10 ㎚ 이며 필름의 표면돌기 중에서 그 원에 상당하는 지름이 30 ㎛ 이상, 그 최대 높이가 3 ㎛ 인 것이 3 개/㎡ 이상 존재하지 않은 상태일 것.
즉, 본원발명의 미끄럼성이 좋은 필름표면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이 필름과 지지체가 접촉하고 있는 상태하에 있어서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결정화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되는 오목볼록에 의해 크게 좌우되는 것이다. 또한, 여기서 해당 지지체와 접촉하고 있는 필름면의 중심선 평균표면조도 (Ra) 는 해당 필름을 그 지지체로부터 박리시켜 측정한 값이다.
본원발명에 관계하는 필름은 무연신 (미연신이라고도 말한다.) 필름 또는 연신 필름에 있어서 그 어느 한 쪽 면이 적당한 정도로 미세하게 거칠어져 있기 때문에, 특히 필름을 반송롤로 주행시킬 때 및 연신 전의 각종 처리시에 반송롤을 통과시킬 때 등, 그 롤면의 전사 및 롤면상에서 필름이 간혹 불균일 미끄럼 때문에 발생하는 스크랫치 등이 매우 일어나기 어려워진다. 또 필름이 비교적 두꺼운 경우에는 널링(knurling)이나, 마스킹(masking)필름 동시감기 등의 롤감기를 위한 보조수단을 사용하지 않아도 감기가 가능하다.
본원발명의 필름은 이와 같이, 미연신 필름뿐만 아니라 연신필름에도 사용할 수 있다. 이 결과 연신시킨 필름에서는 두께가 얇음에도 불구하고 미끄럼성이 우수하여 반송롤에서 흠이 생기거나 주름이 생기거나 하지 않는다는 큰 이점을 갖고 있다.
이하에 실시예에 의해 본원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본원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 중 및 본원명세서 중의 각 특성치는 이하의 측정법에 의한 것이다.
1) 표면조도 (Ra) 의 측정
중심선 평균조도 (Ra) 란 JIS-B0601 로 정의된 값으로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의 수치는, (주) 코사카켄큐우쇼의 접촉식 표면조도계 (Surfcorder, SE-30C)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필름표면과 지지체표면과의 Ra 를 이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측정조건은 하기와 같다.
ㆍ촉침선단반경 : 2 ㎛
ㆍ측정압력 : 30 ㎎
ㆍ컷오프 : 0.08 ㎜
ㆍ측정 길이 : 1.0 ㎜
ㆍ데이터의 정리방법 : 동일 시료에 대해서 5 회 반복 측정한 측정치 (㎛ 단위에 의한 소수점 이하 4 자리까지의 값) 에 대해서, 가장 큰 값 하나를 제외하여 남은 4 개의 데이터 평균치의 소수점 이하 5 자리째를 사사오입하여 소수점 이하 4 자리째까지를 ㎚ 단위로 표시하였다.
2) 점도 평균분자량
20 ℃ 인 메틸렌클로라이드 용액의 고유점도 [η] (g/㎗) 을 우벨로오데(Ubbellohde) 점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다음식을 사용하여 (Schnell 의 방법) 점도 평균분자량 (Mv) 을 계산하였다. [η] = 1.23 ×Mv0.83.
3) 용매농도
약 5 g 의 필름샘플을 화학저울로 중량 측정하고, 이어서 170 ℃ 의 열풍건조로에서 1 시간 건조시킨 후, 실온까지 냉각시켜 이것을 중량 측정하고, (건조 전 중량 - 건조 후 중량) × 100/(건조 전 중량) 을 용매농도 (중량 %) 로 하였다. 또한, 본원명세서에 있어서는, 특별히 별다른 사항이 없는 한 이 농도는 샘플의 단면상에 있어서의 구배를 무시한 평균치를 의미한다.
또한, 본원명세서 중에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농도란, (100 - 상기 용매농도) (중량 %) 를 의미하는 것이다.
4) 헤이즈
필름의 헤이즈는 닛뽄덴쇼쿠코오교 (주) 제조의 탁도 측정기 (모델 COH-300A)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5) 필름 돌기의 관찰 및 계측
필름으로부터 A-4 판 사이즈의 컷시트를 무작위로 10 매 잘라내고, 표면돌기에 대해서 표면돌기의 원에 상당하는 지름과 표면돌기 최대 높이를 본원명세서에서 상기한 방법으로 계측하였다. 또한, 표면돌기 최대 높이의 계측에는 이광속 간섭현미경을 사용하였다. 표면돌기의 수는 ㎡ 당으로 표시하였다.
6) 필름면의 마찰흠 (스크랫치) 의 관찰
다 감은 롤필름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길이 1.5 m 의 샘플을 채취하였다. 검사는 검은 막이 부착된 스크랫치 검사대에 필름을 접착하고, 비스듬한 방향으로부터 카드니카(Cadnica) 라이트로 비추어 반사광으로 스크랫치의 유무를 조사함으로써 실시하였다.
실시예 1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데이진카세이 (주) 제조의 상품명 「판라이트 (등록상표) 그레이드 C-1400QJ, 점도 평균분자량 38,000」) 를 메틸렌클로라이드에 용해시켜 18 중량 % 의 용액을 작성하였다.
이 용액을 필터 (어드반테크 (주) 제조의 필터, 상품명 뎁스카트리지필터, TCPD-05A, 평균 구멍지름 0.5 ㎛) 를 통과시켜 이물질을 제거하였다. 또한, 이 용액의 온도를 15 ±0.5 ℃ 로 조절하여 500 ㎜ 폭의 코트헹거다이로 도입시켰다. 이어서, 중심선 평균조도 (Ra) 가 1.8 ㎚ 이며 또 최대 길이 50 ㎛ 이상, 최대 깊이 5 ㎛ 이상의 흠이 없는 표면을 갖는 스테인레스 제품의 지지체상에 약 780 ㎛ 의 필름으로서 유연시켰다. 유연을 개시하기 직전의 지지체의 표면온도를 5 ℃ 로 설정하였다. 유연된 필름은 다음과 같이 하여 건조시켰다. 또한, 지지체 자신에는 온도조절기능은 없고, 상기 5 ℃ 는 해당 지지체를 외부로부터 부는 온풍 또는 냉풍의 온도조절에 의해 설정한 것이다.
(제 1 단계)
건조의 초기 단계에 있어서는, 지지체 뒷면에 30 ℃ 의 온풍을 불어 가열하고, 필름의 분위기온도를 26 ℃ 로 하여 6 분간 건조시켰다. 본 공정은 본원발명에 관계하는 필름표면의 오목볼록을 발현시키기 위한 전(前) 처리에 해당하는 것이다. 이 공정의 종료점에 있어서의 용매농도는 38 중량 % 이였다. 또한, 상기 조건은 필름의 변형 (레벨링 불량) 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제 2 단계)
이어서, 지지체의 뒷면 및 필름을 온풍으로 인한 분위기온도 50 ℃ 에서 4 분, 그리고 이어서 60 ℃ 에서 3 분간 건조시키고, 필름 중의 용매농도를 25 중량 % 로 하였다. 본 공정은 본원발명에 이러한 필름표면의 오목볼록을 발현시키기 위한 것이다.
(제 3 단계)
이어서, 15 ℃ 의 공기 중에서 4 분간 냉각시켰다. 이 공정의 종료점에 있어서의 용매농도는 20 중량 % 이였다.
(제 4 단계)
상기 필름을 지지체로부터 박리시켰다. 박리시킨 필름을 더욱 핀텐터방식 건조기와 롤현수형 건조기로 본 건조시켜 필름을 롤형상으로 감았다. 본 건조 후의 필름 중의 용매농도는 0.5 중량 % 이였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필름의 특성치는, 필름의 두께가 140 ㎛, 해당 필름의 중심선 평균표면조도 (Ra) 에 대해서는, 지지체에 접촉한 쪽의 필름면이 8.0 ㎚, 지지체에 접촉하지 않았던 쪽의 필름면이 2.0 ㎚ 이고, 필름의 헤이즈값이 0.6 %, 표면돌기 중에서 원에 상당하는 지름이 30 ㎛ 이상으로 최대 높이가 3 ㎛ 이상인 것이 2 개/㎡ 이였다. 상기 공정에 있어서, 필름의 미끄럼 불량에 의한 마찰흠 (스크랫치), 주름의 발생은 없고, 또 그 후의 액정표시장치용 전극기판 및 위상차판으로서 사용될 때까지의 되감기, 감기 공정에 있어서 마찰흠, 주름의 발생은 거의 없었다.
이와 같이 본원발명에서 얻어진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은 광학적 투명성이 우수하며 감김성이 우수한 것으로, 특히 액정표시장치의 전극용 기판 또는 위상차판으로서 우수한 기능을 발휘하는 것이였다.
비교예 1
제 2 단계의 건조조건을 하기와 같이 바꾸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유연, 건조, 박리, 본 건조를 실시하여 140 ㎛ 두께의 필름을 제막하였다.
즉, 제 2 단계의 건조조건에 있어서, 온풍을 불어서 분위기온도 78 ℃ 에서 3 분간 건조시키고, 필름 중의 용매농도를 25 중량 % 로 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제 3 단계 종료점에서의 용매농도는 16 중량 % 이고, 최종 필름의 특성치는, 중심선 평균표면조도 (Ra) 는 지지체에 접촉한 쪽의 필름면이 2.3 ㎚, 지지체에 접촉하지 않았던 쪽의 필름면이 2.0 ㎚ 이였다. 또 필름의 헤이즈값은 0.3 %, 돌기는 2 개/㎡ 이였다. 이 결과는 건조속도가 너무 빨랐기 때문에 지지체에 접촉한 쪽의 필름면 근방에서 폴리카보네이트의 충분히 큰 결정이 생성되지 않았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이 필름에서는 미끄럼 불량에 의한 마찰흠이 발생하였다. 이것은 광학용도의 필름으로서는 품질이 떨어지는 것으로 액정표시장치의 전극용 기판 또는 위상차판으로서 사용할 수 없었다.
비교예 2
제 2 단계의 건조조건을 하기와 같이 바꾸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유연, 건조, 박리, 본 건조를 실시하여 140 ㎛ 두께의 필름을 제막하였다.
즉, 제 2 단계의 건조조건에 있어서, 온풍을 불어서 분위기온도 32 ℃ 에서 10 분, 그리고 이어서 42 ℃ 에서 3 분간 건조시키고, 필름 중의 용매농도를 25 중량 % 로 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제 3 단계 종료점에서의 용매농도는 18 중량 % 이고, 최종 필름의 특성치는, 중심선 평균표면조도 (Ra) 는 지지체에 접촉한 쪽의 필름면이 2.2 ㎚, 지지체에 접촉하지 않았던 쪽의 필름면이 2.0 ㎚ 이였다. 또 필름의 헤이즈값은 0.3 %, 돌기는 2 개/㎡ 이였다. 이 결과는 건조속도가 비교예 1 과는 반대로 너무 늦었기 때문에 지지체에 접촉한 쪽의 필름면 근방에서 폴리카보네이트의 충분한 결정이 발생하지 않았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이 필름에서는 미끄럼 불량에 의한 마찰흠이 발생하였다. 이것은 광학용도의 필름으로서는 품질이 떨어지는 것으로 액정표시장치의 전극용 기판 또는 위상차판으로서 사용할 수 없었다.
실시예 2
비스페놀 A 폴리카보네이트에 있어서, 점도 평균분자량이 60,000 인 것을 준비하고, 혼합용매로서 메틸렌클로라이드에 에틸알코올을 2.0 중량 % 첨가한 것을 준비하였다. 이 혼합용매 중에 각각의 폴리머를 용해시켜 용액농도 18 중량 % 의 용액을 작성하였다. 이 용액을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여과하고, 실시예 1 에 나타낸 것과 동일한 지지체상에 유연시켰다. 유연되는 필름의 두께는 690 ㎛ 로 하였다. 유연을 개시하기 직전의 지지체의 온도 (표면온도) 를 8 ℃ 로 설정하였다. 유연된 필름을 다음과 같이 하여 건조시켰다.
(제 1 단계)
건조의 초기 단계에 있어서는, 지지체 뒷면에 35 ℃ 의 온풍을 불어 가열하고, 필름의 분위기온도를 25 ℃ 로 하여 필름의 변형 (레벨링 불량) 이 일어나지 않도록 주의하여 필름의 변형이 일어나지 않을 때까지 4 분간 건조시켰다. 이 공정의 종료점에 있어서의 용매농도는 42 중량 % 이였다.
(제 2 단계)
온풍으로 인한 분위기온도 50 ℃ 에서 4 분, 그리고 이어서 60 ℃ 에서 2 분간 건조시키고, 필름 중의 용매농도를 25 중량 % 로 하였다.
(제 3 단계)
상기 필름을 15 ℃ 의 공기 중에서 2.5 분간 냉각시켰다. 이 공정의 종료점에 있어서의 용매농도는 20 중량 % 이였다.
(제 4 단계)
상기 필름을 지지체로부터 박리시켰다. 박리시킨 필름은 더욱 핀텐터방식 건조기와 롤현수형 건조기로 건조시켰다.
그 후, 이어서 공기유유식 가열장치로 해당 필름을 175 ℃ 로 예열하고, 이어서 연신온도 180 ℃ 에서 2.8 배로 주행방향으로 일축연신시킨 후, 롤형상으로 감았다. 필름의 두께는 45 ㎛ 이였다. 감은 후의 필름 중의 용매농도는 0.5 중량 % 이였다. 또한, 예열 직후, 연신 직전에 측정한 Tg 는 158 ℃ 이였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필름의 특성치는 하기의 표 1 과 같았다.
[표 1]
실시예및 비교예 점도평균분자량 중심선평균표면조도 (㎚) *1 중심선평균표면조도 (㎚) *2 표면결점마찰흠발생의 유무 표면돌기의 수(개/㎡) *3 헤이즈값(%)
실시예 2 60,000 2.5 7.0 1 1.0
실시예 3 38,000 2.5 5.0 1 0.4
(주) *1 지지체와 접촉하지 않은 쪽의 필름표면에 대한 값. *2 지지체와 접촉한 쪽의 필름표면에 대한 값. *3 필름의 표면돌기 중에서 해당 돌기의 원에 상당하는 지름이 30 ㎛ 이상, 그 최대 높이가 3 ㎛ 이상인 것의 수.
표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원발명에 관계하는 일축연신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은 광학적 투명성이 우수하고, 표면결점이 매우 적은, 제막의 롤계에 접촉하여도 미세한 스크랫치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감김성이 우수한 필름으로, 특히 액정표시장치의 위상차 필름으로서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는 것이였다.
실시예 3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데이진카세이 (주) 제조의 상품명 「판라이트 (등록상표) 그레이드 C-1400QJ」) 점도 평균분자량 38,000 을 에탄올과 메틸렌클로라이드의 혼합용매 (에탄올 3.0 중량 %, 메틸렌클로라이드 97.0 중량 %) 에 용해시켜 18 중량 % 의 용액을 작성하였다.
이 용액을 실시예 1 의 경우와 동일한 필터를 통과시켜 이물질을 제거하였다. 또한, 이 용액의 온도를 15 ±0.5 ℃ 로 조절하여 1500 ㎜ 폭의 코트헹거다이로 도입시켰다. 이어서, 중심선 평균조도 (Ra) 가 1.8 ㎚ 이며 또 최대 길이 50 ㎛ 이상, 최대 깊이 5 ㎛ 이상의 흠이 없는 표면을 갖는 스테인레스 제품의 지지체상에 약 420 ㎛ 의 필름으로서 유연시켰다. 유연을 개시하기 직전의 지지체의 온도 (표면온도) 를 9 ℃ 로 설정하였다. 유연된 필름은 다음과 같이 하여 건조시켰다.
(제 1 단계)
건조의 초기 단계에 있어서는, 지지체 뒷면을 45 ℃ 의 온풍을 불어 가열하고, 필름의 분위기온도를 20 ℃ 로 하여 필름의 변형 (레벨링 불량) 이 일어나지 않도록 주의하여 필름의 변형이 일어나지 않을 때까지 4 분간 건조시켰다. 이 공정의 종료점에 있어서의 용매농도는 30 중량 % 이였다.
(제 2 단계)
이어서, 온풍으로 인한 분위기온도 50 ℃ 에서 2.8 분, 그리고 이어서 60 ℃ 에서 2 분간 건조시키고, 필름 중의 용매농도를 25 중량 % 로 하였다.
(제 3 단계)
상기 필름을 15 ℃ 의 공기 중에서 2.8 분간 냉각시켰다. 이 공정의 종료점에 있어서의 용매농도는 17 중량 % 이였다.
(제 4 단계)
상기 필름을 지지체로부터 박리시켰다. 박리시킨 필름은 더욱 핀텐터방식 건조기와 롤현수형 건조기에 의해 건조시켰다.
그 후, 이어서 공기유유식 가열장치로 그 필름을 155 ℃ 로 예열하고, 이어서 연신온도 160 ℃ 에서 1.28 배로 주행방향으로 일축연신시킨 후, 마스킹필름과 중첩시켜 롤형상으로 감았다. 필름의 두께는 58 ㎛ 이였다. 감은 후의 필름 중의 용매농도는 0.5 중량 % 이였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본 발명에 관계하는 필름의 특성치는 표 1 과 같고, 필름의 미끄럼 불량에 의한 마찰흠 (스크랫치) 은 없고, 광학적 투명성이 우수하며 감김성이 우수한 것이였다. 또한, 예열 직후, 연신 직전에 측정한 Tg 는 135 ℃ 이였다.
실시예 4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데이진카세이 (주) 제조의 상품명 「판라이트 (등록상표) 그레이드 C-1400QJ」) 점도 평균분자량 38,000 을 에탄올과 메틸렌클로라이드의 혼합용매 (에탄올 3.0 중량 %, 메틸렌클로라이드 97.0 중량 %) 에 용해시켜 18 중량 % 의 용액을 작성하였다.
이 용액을 실시예 1 의 경우와 동일한 필터를 통과시켜 이물질을 제거하였다. 또한, 이 용액의 온도를 15 ±0.5 ℃ 로 조절하여 1500 ㎜ 폭의 코트헹거다이로 도입시켰다. 이어서, 중심선 평균조도 (Ra) 가 1.8 ㎚ 이며 또 최대 길이 50 ㎛ 이상, 최대 깊이 5 ㎛ 이상의 흠이 없는 표면을 갖는 스테인레스 제품의 지지체상에 약 670 ㎛ 의 필름으로서 유연시켰다. 유연을 개시하기 직전의 지지체의 온도 (표면온도) 를 9 ℃ 로 설정하였다. 유연된 필름은 다음과 같이 하여 건조시켰다. 또한, 지지체 자신에는 온도조절기능은 없고, 상기 5 ℃ 는 해당 지지체를 외부로부터 부는 온풍 또는 냉풍의 온도조절에 의해 설정한 것이다.
(제 1 단계)
건조의 초기 단계에 있어서는, 지지체 뒷면에 30 ℃ 의 온풍을 불어 가열하고, 필름의 분위기온도를 26 ℃ 로 하여 6 분간 건조시켰다. 본 공정은 본원발명에 관계하는 필름표면의 오목볼록을 발현시키기 위한 전(前) 처리에 해당하는 것이다. 이 공정의 종료점에 있어서의 용매농도는 36 중량 % 이였다. 이때, 상기 조건은 필름의 변형 (레벨링 불량) 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제 2 단계)
이어서, 지지체의 뒷면 및 필름을 온풍으로 인한 분위기온도 48 ℃ 에서 4 분, 그리고 이어서 57 ℃ 에서 3 분간 건조시키고, 필름 중의 용매농도를 24 중량 % 로 하였다. 본 공정은 본원발명에 관계하는 필름표면의 오목볼록을 발현시키기 위한 것이다.
(제 3 단계)
이어서, 15 ℃ 의 공기 중에서 4 분간 냉각시켰다. 이 공정의 종료점에 있어서의 용매농도는 20 중량 % 이였다.
(제 4 단계)
상기 필름을 지지체로부터 박리시켰다. 박리시킨 필름은 더욱 핀텐터방식 건조기와 롤현수형 건조기로 본 건조시켰다. 본 건조 후의 필름 중의 용매농도는 1.6 중량 % 이였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필름의 특성치는, 필름의 두께가 120 ㎛, 해당 필름의 중심선 평균표면조도 (Ra) 에 대해서는, 지지체에 접촉한 쪽의 필름면이 3.2 ㎚, 지지체에 접촉하지 않았던 쪽의 필름면이 1.7 ㎚ 이고, 필름의 헤이즈값이 0.7 %, 표면돌기 중에서 원에 상당하는 지름이 30 ㎛ 이상으로 최대 높이가 3 ㎛ 이상인 것이 2 개/㎡ 이였다. 상기 공정에 있어서, 필름의 미끄럼 불량에 의한 마찰흠 (스크랫치), 주름의 발생은 없었다.
그 후, 이어서 공기유유식 가열장치로 해당 필름을 175 ℃ 로 예열하고, 이어서 연신온도 180 ℃ 로 2.75 배의 연신배율에서, 주행방향으로 일축연신시킨 후, 냉각롤에 접촉시켜 실온까지 냉각시켜 롤형상으로 감았다. 이때, 예열 직후, 연신 직전에 측정한 Tg 는 155 ℃ 이였다.
감긴 필름의 두께는 44 ㎛ 이고, 그 용매농도는 0.2 중량 % 이였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필름의 특성치는, 그 필름의 중심선 평균표면조도 (Ra) 에 대해서는, 지지체에 접촉한 쪽의 필름면이 28.0 ㎚, 지지체에 접촉하지 않았던 쪽의 필름면이 5.0 ㎚ 이고, 필름의 헤이즈값이 5.0 %, 표면돌기 중에서 원에 상당하는 지름이 30 ㎛ 이상으로 최대 높이가 3 ㎛ 이상인 것이 0.5 개/㎡ 이였다. 상기 공정에 있어서, 필름의 미끄럼 불량에 의한 마찰흠 (스크랫치), 주름의 발생은 없었다.
이 필름은 액정표시장치용 전극기판 및 위상차판으로서 사용될 때까지의 되감기, 감기 공정에 있어서 마찰흠, 주름의 발생은 거의 없었다.
이와 같이 본원발명에서 얻어진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은 광학적 투명성이 우수하며 감김성이 우수한 것으로, 특히 액정표시장치의 전극용 기판 또는 위상차판으로서 우수한 기능을 발휘하는 것이였다.
본원발명의 필름은 어느 한 쪽의 면에 필름의 투명성을 잃지 않고 양호한 미끄럼성을 부여하기 위한 미세한 오목볼록이 부여되고 있고, 광학용도로서 우수한 성능을 발휘한다. 전극기판용 필름, 연신시킨 위상차용 필름, 연신시키지 않고 그 위에 액정을 도포하여 사용하는 등의 각종의 베이스 필름으로서의 광학용 필름으로서 특히 유용하다.

Claims (12)

  1. 용액유연법에 의해 제막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에 있어서 하기 요건 (a) ∼ (d) 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용 필름:
    (a) 필름이 연신되어 있지 않을 것;
    (b) 필름의 헤이즈값이 1.0 % 이하일 것;
    (c) 필름의 한 쪽 표면의 중심선 평균표면조도가 3 ㎚ 이하이며, 다른 쪽 표면의 중심선 평균표면조도가 3 ∼ 10 ㎚ 일 것;
    (d) 필름의 어느 표면에 대해서도, 그 표면돌기 중에서 돌기의 원에 상당하는 지름이 30 ㎛ 이상, 그 최대 높이가 3 ㎛ 이상인 것이 3 개/㎡ 이상 존재하지 않을 것.
  2. 제 1 항에 있어서, 필름에 활재가 첨가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용 필름.
  3.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를 용매에 용해시켜 얻어진 용액을 지지체상에 유연시켜 필름을 형성하고 이것을 건조시켜 필름을 제작함에 있어서, 유연에 의한 필름형성 후, (Y+5) ℃ 이하의 분위기온도에 따른 건조에 의해 필름 중의 용매농도 (X) 를 25 중량 % < X ≤45 중량 % 의 상태로 하는 공정과, 이에 이어서 그 필름을, 분위기온도가 (Y+5) ℃ 를 초과하여 (Y+35) ℃ 이하의 온도로, 필름 중의 용매농도가 25 중량 % 가 될 때까지 지지체에 접촉시킨 상태로 유지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해당 상기 (Y+5) ℃ 를 초과하여 (Y+35) ℃ 이하의 온도로 처리하는 공정에 있어서의 해당 필름의 유지시간이 3 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연신 광학용 필름의 제조방법 (여기서 Y 는 섭씨단위로 표시한 용매의 비점이다.).
  4. 제 3 항에 있어서, 용매가 메틸렌클로라이드를 95 중량 % 이상 함유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미연신 광학용 필름의 제조방법.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용매가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또는 프로필알코올 중의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전체로서 5 중량 % 이하 함유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미연신 광학용 필름의 제조방법.
  6.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용매에 용해시켜 얻어진 용액을 지지체상에 유연시키기 전에, 간격이 0.3 ∼ 30 ㎛ 인 필터로 여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연신 광학용 필름의 제조방법.
  7.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지지체의 표면이 중심선 평균표면조도 1.0 ∼ 3.0 ㎚ 이며 최대 길이 50 ㎛ 이상, 최대 깊이 5 ㎛ 이상의 흠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연신 광학용 필름의 제조방법.
  8.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의 용액유연법에 의한 제막방법으로, 해당 용액이 지지체상에 필름으로서 캐스트되어 건조되는 공정을 포함하고, 해당 필름의 표면상태가 하기 요건 (e) 및 (f) 를 동시에 만족시킬 때까지 해당 필름의 표면 중에서 해당 지지체와 접촉하고 있는 표면을 해당 지지체와 접촉한 채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미연신 필름의 용액유연법에 의한 제막방법.
    (e) 해당 필름의 표면 중에서 해당 지지체와 접촉하고 있지 않은 표면이, 그 중심선 평균표면조도가 3 ㎚ 이하이며, 필름의 표면돌기 중에서 그 원에 상당하는 지름이 30 ㎛ 이상, 그 최대 높이가 3 ㎛ 이상인 것이 3 개/㎡ 이상 존재하지 않는 상태일 것.
    (f) 해당 필름의 표면 중에서 해당 지지체와 접촉하고 있는 표면이, 그 중심선 평균표면조도가 3 ∼ 10 ㎚ 이하이며, 필름의 표면돌기 중에서 그 원에 상당하는 지름이 30 ㎛ 이상, 그 최대 높이가 3 ㎛ 이상인 것이 3 개/㎡ 이상 존재하지 않는 상태일 것.
  9. 용액유연법에 의해 제막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으로, 제 3 항, 제 4항, 및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연신 광학용 필름.
  10. 용액유연법에 의해 제막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으로,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미연신 필름을 일축연신시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용 필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일축연신시키는 조건이 연신온도 (Tg-5) ℃ ∼ (Tg+30) ℃ 에 있어서, 연신배율이 1.05 ∼ 3.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용 필름.
  12. 용액유연법에 의해 제막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에 있어서, 하기 요건 (g) ∼ (j) 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 광학용 필름 :
    (g) 필름이 일축방향으로 연신되어 있을 것;
    (h) 필름의 헤이즈값이 0.1 ∼ 8.0 % 일 것;
    (i) 필름의 한 쪽 표면의 중심선 평균표면조도가 5 ㎚ 이하이며, 다른 쪽 표면의 중심선 평균표면조도가 5 ∼ 40 ㎚ 일 것;
    (j) 필름의 어느 한 쪽 표면에 대해서도, 그 표면돌기 중에서 돌기의 원에 상당하는 지름이 30 ㎛ 이상, 그 최대 높이가 3 ㎛ 이상인 것이 3 개/㎡ 이상 존재하지 않을 것.
KR10-1999-7012214A 1997-06-23 1998-06-18 광학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04736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165899 1997-06-23
JP16589997 1997-06-23
PCT/JP1998/002718 WO1998058789A1 (fr) 1997-06-23 1998-06-18 Films optiques et leur procede de produ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4148A KR20010014148A (ko) 2001-02-26
KR100473665B1 true KR100473665B1 (ko) 2005-03-07

Family

ID=15821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12214A KR100473665B1 (ko) 1997-06-23 1998-06-18 광학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222003B1 (ko)
EP (1) EP0992331A4 (ko)
JP (1) JP3531835B2 (ko)
KR (1) KR100473665B1 (ko)
AU (1) AU744969B2 (ko)
CA (1) CA2295042A1 (ko)
WO (1) WO19980587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22003B1 (en) * 1997-06-23 2001-04-24 Masahiro Hosoi Optical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20030207050A1 (en) * 2002-04-29 2003-11-06 Grant Hay Polymeric substrate for display and light emitting devices
US20030209834A1 (en) * 2002-05-02 2003-11-13 Grant Hay Solvent cast films and process made thereby
US20030215583A1 (en) * 2002-05-20 2003-11-20 Eastman Kodak Company Sulfone films prepared by coating methods
US7048823B2 (en) 2002-05-20 2006-05-23 Eastman Kodak Company Acrylic films prepared by coating methods
US7163738B2 (en) * 2002-05-20 2007-01-16 Eastman Kodak Company Polyvinyl alcohol films prepared by coating methods
US20030215582A1 (en) * 2002-05-20 2003-11-20 Eastman Kodak Company Optical films prepared by coating methods
US20030215581A1 (en) * 2002-05-20 2003-11-20 Eastman Kodak Company Polycarbonate films prepared by coating methods
US7083752B2 (en) 2002-05-20 2006-08-01 Eastman Kodak Company Cellulose acetate films prepared by coating methods
US7012746B2 (en) 2002-05-20 2006-03-14 Eastman Kodak Company Polyvinyl butyral films prepared by coating methods
US7085444B2 (en) * 2003-02-25 2006-08-01 Eastman Kodak Company Porous optical switch films
JP4725046B2 (ja) * 2003-08-20 2011-07-13 東ソー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用プラスチック基板および表示素子
US7280170B2 (en) * 2004-05-25 2007-10-09 General Electric Company Optical film, light-diffusing film,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20060068128A1 (en) * 2004-09-30 2006-03-30 Eastman Kodak Company Optical films and process for making them
JP5034897B2 (ja) * 2007-11-27 2012-09-26 コニカミノルタアドバンストレイヤー株式会社 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フィルム、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用基板
JP5601944B2 (ja) * 2010-06-28 2014-10-08 帝人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デバイス、及びタッチパネルデバイス付表示装置
KR101926287B1 (ko) * 2014-11-12 2018-12-06 코니카 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및 광학 필름
CN109280195B (zh) * 2018-09-28 2021-05-11 张家港康得新光电材料有限公司 一种聚酰亚胺膜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37935A (en) * 1990-06-08 1991-08-06 The Dow Chemical Company Thermoplastic compositions with nonlinear optical activity
US5426170A (en) * 1992-12-02 1995-06-20 Mitsui Toatsu Chemicals, Inc. Method for preparing an aromatic polycarbonate
JP3062014B2 (ja) * 1993-10-04 2000-07-10 帝人株式会社 光学用ポリカーボネート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479662B2 (ja) 1994-12-26 2003-12-15 三菱化学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株式会社 フイルムの巻取り方法
JP3499974B2 (ja) * 1995-06-07 2004-02-23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偏光膜保護フイルム
US6222003B1 (en) * 1997-06-23 2001-04-24 Masahiro Hosoi Optical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92331A1 (en) 2000-04-12
CA2295042A1 (en) 1998-12-30
JP3531835B2 (ja) 2004-05-31
AU8035498A (en) 1999-01-04
WO1998058789A1 (fr) 1998-12-30
KR20010014148A (ko) 2001-02-26
EP0992331A4 (en) 2000-07-19
US6222003B1 (en) 2001-04-24
AU744969B2 (en) 2002-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3665B1 (ko) 광학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EP2026107A1 (en) Polycarbonate resin film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US5645766A (en) Film of aromatic polyethersulfone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and solution composition for the production thereof
KR0177850B1 (ko) 광학용 폴리카르보네이트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TWI467251B (zh) Phase difference film
US8815994B2 (en) Heat-shrinkable polyester-based single-layer film
JP4782549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
US20020106506A1 (en) Optical coating film
JP2000246855A (ja) 光学用易接着フィルム
JPH09141797A (ja) 二軸配向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1329078A (ja) 離型フィルム
JP5129875B2 (ja) 光学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10244587A (ja) ポリカーボネ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00246856A (ja) 光学用易接着フィルム
JP2010256913A (ja) 光学用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光学用フィルム
JP7151067B2 (ja) 検査支持体用着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検査支持体および遮光部材
JPH08302162A (ja) ポリアリレート系樹脂溶液組成物および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7095211B2 (ja) 光学用高透明フィルム
WO2021250904A1 (ja) 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ロール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0735079B1 (en) Film of aromatic polyethersulfone,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and solution composition for the production thereof
JPH08269214A (ja) 光学等方性ポリアリレート系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3014581B2 (ja) 位相差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3403851B2 (ja) 芳香族ポリカ−ボネ−ト溶液組成物および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H09169901A (ja) ポリカーボネート系樹脂溶液組成物および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20160117191A (ko) 형상 부여 롤러 및 장치, 필름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