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2815B1 - 차량용 복합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복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2815B1
KR100472815B1 KR10-2001-7003964A KR20017003964A KR100472815B1 KR 100472815 B1 KR100472815 B1 KR 100472815B1 KR 20017003964 A KR20017003964 A KR 20017003964A KR 100472815 B1 KR100472815 B1 KR 100472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obstacle
meter
detecting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3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5429A (ko
Inventor
곤도신지
아오키나오유키
세토다츠야
미야가와도모유키
사사키다카노부
구와무라신고
야마다야스히로
구로카와게이이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ublication of KR20010075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5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2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28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60Q9/002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parking purposes, e.g. for warning the driver that his vehicle has contacted or is about to contact an obstacle
    • B60Q9/007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parking purposes, e.g. for warning the driver that his vehicle has contacted or is about to contact an obstacle providing information about the distance to an obstacle, e.g. varying s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8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video entertainment or vehicle dynamics information;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for attracting the attention of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park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6Type of output information
    • B60K2360/179Distances to obstacles or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88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5/93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01S15/931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of land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93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01S13/931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of land vehicles
    • G01S2013/9317Driving backw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메터 및 장해물 경보장치의 각 구성수단 중 공통의 구성수단을 공용화하는 복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메터 및 버저 구동회로(40) 및 버저(50)는 장해물 경보장치에 의해 공용화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복합장치{COMPOSITE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메터(meter) 및 차량용 장해물 경보장치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구성수단을 공용화하여, 메터와 장해물 경보장치를 복합화한 복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차량 등에 탑재된 메터 및 장해물 경보장치는, 서로 별개의 독립적인 회로구성을 가진다.
그런데, 상기한 메터 및 장해물 경보장치는 모두 공통의 회로를 가진다. 예를 들어, 차량의 자동변속기를 리버스 레인지(reverse range)로 조작해서 차량을 후진시킬 경우에 경보(alarm)를 위해 메터에는 버저(buzzer)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차량이 후진할 때 장해물이 있으면, 그것을 경보하기 위해 장해물 경보장치에는 버저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버저는 메터 및 장해물 경보장치에 모두 설치되어 있다는 점에서, 회로 구성이 유사하다.
또한, 차량의 주행거리를 표시하기 위해 메터에는 표시기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차량이 후진할 때에 장해물이 있으면, 그것을 경보하기 위해 장해물 경보장치에는 표시기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표시기가 메터 및 장해물 경보장치에 모두 설치되어 있다는 점에서, 회로 구성이 유사하다.
또한, 메터에는, 전원, 인터페이스 회로 및 마이크로 컴퓨터가 설치되어 있고, 장해물 경보장치에도 동일한 전원, 인터페이스 회로 및 마이크로 컴퓨터가 설치되어 있다는 점에서 유사하다.
이상과 같이, 공통되는 회로구성을 메터 및 장해물 경보장치가 각각 가지고 있는 종래의 설계는, 회로구성이 낭비적이고, 큰 공간을 사용하며, 비용을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메터의 부분 파단(破斷)정면도.
도 3은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장해물 센서의 차량 후부에 대한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장해물 센서의 차량 후부에 대한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도 1의 마이크로 컴퓨터(21)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6(a) 내지 6(c)는,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방 범퍼의 장해물로의 접근에 따라 변화하는 버저의 울림패턴(sounding pattern)을 나타내는 타이밍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8은 도 7의 마이크로 컴퓨터(21)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9(a) 내지 도 9(c)는 오도-트립 메터(odo-trip meter)(90)의 오도-트립 표시, 트립 표시 및 오도-표시의 예를 각각 나타내는 예시도.
도 10(a) 내지 도 10(d)는 상기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방 범퍼의 장해물로의 접근에 따라 변화하는 오도-트립 메터(90)의 액정패널(91) 표시패턴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도11(a) 내지 도 11(d)는 상기 제3 실시예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액정패널(91)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13은 상기 제3 실시예에 따른 장해물 센서의 차량 전후부에 대한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4는 상기 제3 실시예에 따른 장해물 센서의 차량 전후부에 대한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5는 도 14의 장해물 경보장치 제어회로(20A)인 마이크로 컴퓨터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17은 본 발명의 도 16의 메터/장해물 경보장치 제어회로(250)인 마이크로 컴퓨터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의 요부를 나타내는 블록도.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용 메터 및 장해물 경보장치의 각 구성수단 중 공통의 구성수단을 공용화하는 복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복합장치는, 메터(10, 10a, 60, 70, 80, 90)와, 이 메터의 일부 구성수단(10, 20, 20A, 40, 50, 91, 92, 220, 200a, 230 내지 230b)을 공동으로 사용하도록 복합화한 장해물 경보장치(20, 21, 30, 30a, 240, 240a)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메터의 일부 구성수단을 장해물 경보장치에서 공동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장해물 경보장치에 별도로 설치되어 있는 상기 구성수단과 같은 구성수단들이 필요하지 않다.
또한, 상기 구성수단은, 전원수단(220, 220a), 인터페이스 수단(230 내지 230b), 제어수단(10, 20, 20A), 보고수단(91, 92) 중 적어도 하나로 할 수가 있어서,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구체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고수단은 울림수단(sounding means)(40, 50)일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복합장치는 차량의 속도를 검출해서 인터페이스 수단에 입력하는 차속(車速)검출수단(130)과, 차량에 장착된 변속기의 리버스 레인지를 검출해서 인터페이스 수단에 입력하는 리버스 레인지 검출수단(142)을 포함한다. 장해물 경보장치는 차량 후부의 장해물과의 접근을 검출하는 장해물 검출수단(30)을 가진다. 전원수단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었을 때, 인터페이스 수단으로부터의 차속 출력과 장해물 검출수단으로부터의 검출 출력에 따라, 제어수단은 울림수단이 울리도록 한다.
이와 같이, 메터와 장해물 경보장치를 공용화함으로써, 자동 변속기를 리버스 레인지로 후진시키는 조작을 했을 때 울림수단은 통상의 경보를 울리게 되고, 또한 차량이 후진했을 때 장해물의 접근에 대한 경보도 울림수단이 울리게 된다.
보고수단은 표시수단(91, 92)일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차량용 복합장치는 차량의 차속을 검출하여 인터페이스 수단에 입력하는 차속검출수단(130)과, 차량에 장착된 변속기의 주행레인지(travel range)를 검출해서 인터페이스 수단에 입력하는 주행레인지 검출수단(142, 144, 145, 146)을 포함한다. 장해물 경보장치는 차량과 장해물과의 접근을 검출하는 장해물 검출수단(30, 30a)을 포함하며, 표시수단은 주행거리 표시수단(90)이다. 전원수단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었을 때, 제어수단은 인터페이스 수단으로부터의 차속출력에 따라 주행거리 표시수단에 차량의 주행거리를 표시하게 하고, 또한, 인터페이스 수단으로부터의 차속출력 및 장해물 검출수단의 검출출력에 따라 주행거리 표시수단에 차량의 장해물과의 접근을 표시하게 한다.
이에 따라, 주행거리 표시수단이 메터와 장해물 경보장치에 공동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자동 변속기의 변속레인지를 주행 레인지로 변환하여 차량을 주행시킬 때의 주행거리 표시와, 차량의 장해물로의 접근에 대한 경보표시 모두를, 주행거리 표시수단의 표시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관련된 차량용 복합장치의 한 실시형태를 나타내며, 이 복합장치는 메터 및 장해물 경보장치를 복합화한 것이다.
상기 복합장치는, 메터를 단독으로 구성하는 메터 본체(M) 및 메터 제어회로(10)와, 장해물 경보장치를 단독으로 구성하는 장해물 경보장치 제어회로(20) 및 장해물 센서(30)와, 메터 및 장해물 경보장치에 공통인 버저 구동회로(40) 및 버저(50)로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터 본체는, 스피드 메터(speed meter)(60), 타코 메터(tachometer)(70), 지시계(indicator)(80), 및 오도-트립(odo-trip) 메터(90)를 포함하고 있다. 스피드 메터(60)는 문자판(dial)(100)의 개구부에 설치된 눈금판(a graduated scale)(61) 위를 따라 회전(pivot)하는 바늘(pointer)(62)에 의해 차량의 차속을 지시한다. 여기서, 바늘(62)은 문자판(100)의 뒷면에 설치된 구동부에 의해 구동된다.
타코 메터(70)는, 문자판(100)의 개구부에 설치된 눈금판(71) 위를 따라 회전하는 바늘(72)에 의해 차량의 엔진 회전수를 지시한다. 여기서, 바늘(72)은 문자판(100)의 뒷면에 설치된 구동부에 의해 구동된다.
지시계(80)는 차량의 자동변속기의 변속 레인지를 표시한다. 이 자동변속기의 각 변속 레인지, 즉, 파킹 레인지(parking range), 리버스 레인지(reverse range), 뉴트럴 레인지(neutral range), 드라이브 레인지(drive range), 2-스피드 레인지(two-speed range) 및 로우 레인지(row range)는 각각 "P","R", "N", "D", "2" 및 "L"로 표시된다. 각 변속 레인지는, 문자판(100)의 뒷면에 설치된 각 램프의 점등에 의해 표시된다.
오도-트립 메터(90)는, 눈금판(61)의 개구부에 그 뒷면에 장착된 액정패널(91)에, 차량의 전체 주행거리 및 구간별 주행거리를 함께 혹은 선택적으로 표시한다. 여기서, 액정패널(91)은 액정패널 구동회로에 의해 구동되어 표시를 한다. 도 2에서, 부호 110 및 120은 각각 후면판(back plate) 및 전면판(front panel)을 나타낸다.
메터 제어회로(10)는, 스피드 메터(60)의 구동부, 타코 메터(70)의 구동부, 지시계(80)의 각 램프, 및 오도-트립 메터(90)의 액정패널 구동회로 등을 포함하고, 차속 센서(130)의 검출출력에 따라 스피드 메터(60)와 타코 메터(70)의 구동부를 구동한다. 또한 메터 제어회로(10)는 변속 스위치 기구(speed change switching mechanism)(140)의 다수의 변속 스위치(141 내지 146) 중 어느 하나가 온(on)됨에 의해, 지시계(80)의 각 램프의 점화를 제어한다.
차속 센서(130)는 차량의 차속을 검출한다. 또한, 각 변속 스위치(141 내지 146)는, 자동변속기의 변속 레인지가 파킹 레인지, 리버스 레인지, 뉴트럴 레인지, 2-스피드 레인지, 및 로우 레인지일 때 각각 온(on) 된다. 도 1에서 부호 IG는 차량의 점화 스위치(ignition switch)를 표시하고, 부호 B는 배터리를 표시한다.
또한, 변속 스위치(142)가 온(on) 될 때, 차량의 후진을 경보하기 위해, 메터 제어회로(10)는 버저 구동회로(40)를 통해 버저(50)가 울리게 한다.
장해물 경보장치 제어회로(20)는, 그 내부에 설치된 마이크로 컴퓨터(21)에 의해 제어되면서, 변속 스위치(142)가 온(on) 될 때, 차속 센서(130)의 검출 출력 및 장해물 센서(30)의 검출출력에 따라, 차량의 좌측후부 또는 우측후부 중 어느 것의 근방에 장해물이 있다는 것을 경보하기 위해, 버저 구동회로(40)를 통해 버저(50)를 울린다.
단, 마이크로 컴퓨터(21)는, 도 5에 표시한 흐름도에 따라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제어를 위한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장해물 센서(30)는, 차량의 후방 범퍼의 좌우 양단부(도 3 및 도 4 참조)에 설치되어 있고, 각 장해물 센서(30)는 장해물 경보장치 제어회로(20)에 의해 제어되면서, 초음파를 각 장해물을 향해 송신하고, 이들 각 장해물의 반사 초음파를 검출출력으로 하여 장해물 경보장치 제어회로에 입력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제1 실시예에서, 점화 스위치(IG)를 온(on) 하면, 메터 제어회로(10) 및 장해물 경보장치 제어회로(20)가 모두 동작 상태로 된다. 이 때, 해당 자동차는 주행상태에 있게 된다.
결국, 메터 제어회로(10)는 차속 센서(130)의 검출출력에 따라서 스피드 메터(60), 타코 메터(70), 및 오도-트립 메터(90)의 표시제어를 실행하고, 변속 스위치 기구(140)의 각 변속 스위치(141 내지 146) 중 어느 하나가 온(on)됨에 따라 지시계(80)의 표시 제어를 실행한다.
한편, 장해물 경보장치 제어회로(20)에서는, 도 5의 흐름도에 따라 마이크로 컴퓨터(21)가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을 개시한다. 처음에 도 5의 단계 150에서 상기 자동변속기의 변속 레인지가 리버스 레인지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만일 변속 스위치 기구(140)의 변속 스위치(142)가 오프(off) 되면, 단계 150에서의 판정은 NO가 된다. 이에 따라, 단계 151에서 버저(50)의 정지 처리가 실행된다.
한편, 차량을 후진시키기 위해 변속 스위치(142)가 온(on) 된다면, 단계 150에서의 판정은 YES가 된다. 이 때, 단계 160에서, 차량의 후방 범퍼와 그 후방 장해물(G)과의 실제 거리 A(도 3 및 도 4 참조)는, 장해물의 존재에 대해 경보가 필요 없는 거리 중 최단거리 a와 비교하여 판정된다.
거리 A가 최단거리 a 이상이면, 단계 160에서의 판정은 NO가 되고, 단계 161에서, 제1 울림패턴(sounding pattern)(도 6(a) 참조)에 따라 버저(50)를 구동하는 처리를 마이크로 컴퓨터(21)가 실행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울림 패턴은, 도 6(a)에서와 같이, 1초 간격으로 버저(50)가 1초 동안 울리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 제1 울림패턴은 차량이 후진할 때에 그 후방의 장해물의 존재 유무를 고려할 필요가 없는 경우를 대상으로 한다.
이와 같이, 마이크로 컴퓨터(21)의 제어에 따라, 버저(50)는 버저 구동회로(40)에 의해 구동되어 1초 경과할 때마다 1초간 울린다. 따라서, 차량은 안심하고 후진할 수 있다.
또한, 단계 160에서의 판정이 YES일 경우, 단계 170에서, 차량이 장해물(G)로 어느 정도 접근했을 때의 장해물(G)과 해당 차량의 후방 범퍼 사이의 접근 거리 b와, 실제거리 A를 비교하여 판정한다.
거리 A가 접근 거리 b 이상이면, 단계 170에서의 판정이 NO가 되고, 단계 171에서, 제2 울림패턴(도 6(b) 참조)에 따라 버저(50)를 구동하는 처리가 마이크로 컴퓨터(21)에 의해 실행된다.
여기서, 도 6(b)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울림패턴은 0.7초 간격으로 버저(50)를 0.7초 동안 울리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버저(50)는 마이크로 컴퓨터(21)에 의한 제어 상태에서, 버저 구동회로(40)에 의해 구동되어 0.7초가 경과할 때마다 0.7초 동안 울린다. 따라서, 해당 차량이 후진했을 때 장해물(G)과 어느 정도 접근하고 있다는 것에 대해 경보한다.
또한, 단계 170에서의 판정이 YES로 되는 경우에는, 단계 172에서, 제2 울림패턴(도 6(c) 참조)에서와 같이, 0.3초 간격으로 버저를 0.3초 동안 울리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마이크로 컴퓨터(21)의 제어 상태에서, 버저(50)는 버저 구동회로(40)에 의해 구동되어, 0.3초 경과할 때 마다 0.3초 동안 울린다. 따라서, 차량이 후진할 때에 차량이 장해물(G)에 더욱 접근하고 있다는 것에 대해 경보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제1 실시예에서, 버저 구동회로(40) 및 버저(50)는 메터 및 장해물 경보장치에 공동으로 사용되는 구성소자로 되어 있어서, 상기 자동변속기를 리버스 레인지로 조작하여 차량을 후진시킬 경우의 통상 경보와, 해당 차량이 후진할 때의 후방의 장해물(G)과의 접근에 대한 경보 둘 다를 실행하게 된다. 따라서, 메터 및 장해물 경보장치에 각각 별도로 버저 구동회로 및 버저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서, 구성소자의 감소에 의한 비용 및 공간이 절약될 수 있다.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버저(50)를 제1 내지 제3 중 어느 하나의 울림패턴에 의해 간헐적으로 울리게 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다른 방법으로는, 버저(50)의 음량을, 차량의 장해물(G)에 대한 접근에 따라 순차 또는 단계적으로 증대하거나, 버저(50)의 음성주파수를 해당 차량의 장해물(G)에 대한 접근에 따라 순차 혹은 단계적으로 높이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제1 내지 제3 울림패턴 중 어느 하나에 따라 버저(50)의 소리를 내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제1 내지 제3 울림패턴의 울림 간격 및 울림 시간을 적절히 변경해서 실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제1 내지 제3 울림패턴에 따른 버저(50)의 울림 처리가 마이크로 컴퓨터(21)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제1 울림패턴에 따른 버저(50)의 울림처리는 메터 제어회로(10)의 마이크로 컴퓨터에서 실행하고, 제2 및 제3 울림패턴에 따른 버저(50)의 울림처리는 장해물 경보장치 제어회로(20)의 마이크로 컴퓨터(210)에서 실행할 수도 있다.
(제2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해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오도-트립 메터(90)를 구성하는 액정패널(91) 및 그 액정패널 구동회로(이하, 액정패널 구동회로(92)라 함)가, 버저 구동회로(40) 및 버저(50)를 대신하여 메터 및 장해물 경보장치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구성소자가 된다. 제2 실시예에서, 버저 구동회로(40) 및 버저(50)는 메터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제2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마이크로 컴퓨터(21)는 도 5의 흐름도 대신에 도 8에 나타낸 흐름도에 의해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상기 제1 실시예와는 달리, 메터 제어회로(10) 및 장해물 경보장치 제어회로(20)는, 점화 스위치(IG)로부터의 전력에 추가로 배터리(B)로부터 직접 전력을 공급 받는다. 그 외의 다른 구성은 상기 제1 실시예에서와 같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2 실시예에서, 메터 제어회로(10) 및 장해물 경보장치 제어회로(20)는 배터리(B)로부터 직접 전력을 공급 받아서 작동 상태로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마이크로 컴퓨터(21)가 도 8의 흐름도에 따라, 단계 220에서 NO라고 판정하면, 단계 201에서 액정패널(91)의 표시정지 처리를 실행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점화 스위치(IG)를 온(on) 하면, 마이크로 컴퓨터(21)가 단계 200에서 YES로 판정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자동변속기가 리버스 레인지로 조작되고 있는지의 여부가 단계 210에서 판정된다.
여기서, 변속 스위치 기구(140)의 변속 스위치(142)가 오프(off) 이면, 단계 210에서의 판정은 NO가 된다. 이에 따라, 단계 211에서 마이크로 컴퓨터(21)에 의해, 액정패널(92)에 의한 주행거리 표시처리가 실행된다.
따라서, 오도-트립 메터(90)는 마이크로 컴퓨터(21)의 액정패널 구동회로(92)에 대한 제어 상태에서, 액정 패널(91)에 오도-트립 표시, 트립 표시 또는 오도 표시를 한다.
예를 들어, 오도-트립 표시는, 도 9(a)에 나타낸 전체 주행거리와 도 9(b)에 나타낸 구간별 주행거리의 표시에 대응된다. 또한, 트립 표시는 도 9(b)에 나타낸 구간별 주행거리의 표시에 대응하고, 오도 표시는 도 9(c)에 나타낸 전체 주행거리의 표시에 대응한다.
한편, 변속 스위치(142)가 온(on) 되어 단계 210에서의 판정이 YES로 되면, 해당 차량이 후진한다는 점을 고려해서, 단계 212에서 장해물 접근 표시처리가 실행된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 컴퓨터(21)의 액정패널 구동회로(92)에 대한 제어 상태에서, 오도-트립 메터(90)는 장해물(G)에 대해 차량의 후방 범퍼가 접근한다는 것을 경보하는 표시를 액정패널(91)에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차량의 후방 범퍼가 장해물(G)에 대해 접근함에 따라서, 액정패널(91)은 도 10(a) 내지 10(d)에서와 같이, "1"의 표시 세그먼트(display segment) 수를 순차적으로 증가시킨다.
따라서, 차량이 후진할 경우 차량이 장해물(G)에 더욱 접근하고 있다는 것이 액정패널(91)에 의해 경보 표시된다. 메터 제어회로(10)는, 변속 스위치(142)의 온(on)에 의해 차량이 후진할 때에는, 상기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버저(50)를 버저 구동회로(40)를 통해 울리게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상기 제2 실시예에서는, 액정패널 구동회로(92) 및 액정패널(91)을 메터 및 장해물 경보장치에 공동으로 사용하는 구동소자로 함으로써, 오도-트립 메터(90)에 의한 주행거리 표시와 더불어, 차량을 후진시키는 경우의 후방 장해물(G)과의 접근에 대한 경보표시도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메터 외에 장해물 경보장치에 별도로, 액정패널 구동회로 및 액정패널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서, 구성소자가 감소되어 비용 및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메터 및 장해물 경보장치의 그 외의 작동 및 작용 효과는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제2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후방 범퍼의 후방 장해물(G)에 대한 접근 정도를 액정패널(91) 상에, 도 10(a) 내지 도 10(d)에서 표시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와 달리, 차량의 후방 범퍼의 좌단부 및 우단부의 후방 장해물(G)에 대한 각 접근 정도를, 액정패널(91) 상에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후방 범퍼의 좌단부 및 우단부와 후방 장해물(G)과의 각각의 거리가 충분히 확보되는 경우에, 액정패널(91)은 도 11(a)에서 표시한 바와 같이, 좌우 양단에 떨어져 있는 두 개의 "1" 세그먼트로 표시된다.
상기 후방 범퍼의 좌단부가 해당 후방 범퍼의 우단부보다 장해물(G)에 접근해 있는 경우에는, 도 11(b)에서와 같이, 액정패널(91)은 좌측의 "1" 표시 세그먼터의 수를, 우측의 표시 세그먼트 수 보다 증가시켜 표시한다.
상기 후방 범퍼의 좌단부가 해당 후방 범퍼의 우단부보다 장해물(G)에 더욱 접근한 경우에는, 도 11(c)에서와 같이, 액정패널(91)은 좌측의 "1" 표시 세그먼트의 수를, 우측의 표시 세그먼트의 수 보다 더 증가시켜 표시한다.
또한, 상기 후방 범퍼의 좌단부가 해당 후방 범퍼의 우단부보다 장해물(G)에 더욱 접근하고 있고, 해당 후방 범퍼의 좌단부도 장해물에(G)에 접근하고 있는 경우에는, 도 11(d)에서와 같이, 액정패널(91)은 우측의 표시 세그먼트의 수도 증가시켜 표시한다.
또한, 상기 제2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장해물(G)과의 접근을 액정패널(91)에 의해 표시하도록 되어 있지만, 차량의 후방 범퍼와 장해물(G) 사이의 거리가 일정거리 이하로 되는 경우에는, 액정패널(91)의 표시색을 변경하거나, 혹은, 버저(50)를 울려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후방 범퍼가 장해물(G)과 접근함에 따라, 도 10 (a) 내지 10(d)에 표시한 바와 같이 액정패널(91)의 표시 형태를 변화시키고 있지만, 이와는 달리, 예를 들어 액정패널(91)의 "ㅡ" 표시 세그먼트를 상기 후방 범퍼의 장해물(G)로의 접근에 따라 흐르는 것처럼 이동시켜 표시하거나, "8" 표시 세그먼트를 상기 후방 범퍼의 장해물(G)로의 접근에 따라 흐르는 것처럼 이동시켜 회전하도록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액정패널(91)을 대신하여, 형광표시관(fluoresecent character display tube) 또는 전기장 발광 패널(electroluminesecence panel)을 사용해서 실행할 수도 있다.
(제3 실시예)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장치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다.
상기 복합장치는, 도 12에서 표시한 바와 같이, 5V 전원(220) 및 8V 전원(220a)을 갖추고 있으며, 이 5V 전원(220) 및 9V 전원(220a)은 상기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배터리(B)에 점화 스위치(IG)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5V 전원(220) 및 8V 전원(220a)은 점화 스위치(IG)의 온(on)에 의해, 각각 배터리(B)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아서 5V 및 8V의 정전압을 발생한다.
또한, 상기 복합장치는 각 인터페이스 회로(230, 230a 및 230b)(이하, I/F 회로 230, 230a 및 230b라고 함)을 갖추고 있다.
I/F 회로(230)는 상기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차속 센서(130)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I/F 회로(230)는 차속 센서(130)의 각 출력 펄스를 파형 형성(waveform shaping)하여, 파형 형성 펄스를 발생한다.
I/F 회로(230a 및 230b)는 상기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자동변속기의 각 변속 스위치(141, 142)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I/F 회로(230a)는 변속 스위치(141)의 검출출력에 따라 파킹 레인지 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I/F 회로(230b)는 변속 스위치(142)의 검출출력에 따라 리버스 레인지 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상기 복합장치는, 상기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메터 제어회로(10)와, 상기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장해물 경보장치 제어회로(20)를 대신하는 장해물 경보장치 제어회로(20A)를 갖추고 있다.
메터 제어회로(10)는 상기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기능 외에, 상기 자동변속기의 리버스 레인지 조작(변속 스위치 142의 온(on))에 따라 상기 차량이 후진할 때에, 버저 구동회로(40)를 통해 버저(50)를 울린다.
메터 제어회로(10)는 상기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기능을 달성하기도 하고, 상기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스피드 메터(60) 및 타코 메터(70)의 각 구동부에 해당하는 게이지(gauge) 구동회로(10a)를 통해 상기 스피드 메터(60) 및 타코 메터(70)의 표시제어를 실행한다. 또한, 상기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지시계(80) 및 액정패널 구동회로(92)를 통해 액정패널(91)의 표시제어를 실행한다. 게이지 구동회로(10a) 및 액정패널 구동회로(92)에는, 5V 전원(220) 및 8V 전원(220a)의 정전압이 각각 인가된다. 배터리(B)의 전력 공급이 되면 5V 전원(220b)으로부터 메터 제어회로(10)가 5V의 정전압을 받아서 동작되고, 상기 정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8V 전원(220a)을 동작 상태 또는 동작 정지 상태로 설정한다.
장해물 경보장치 제어회로(20A)는 마이크로 컴퓨터로서, 5V 전원(220)으로부터 정전압을 인가받아 동작하고, 각 I/F 회로(230, 230b)로부터의 출력신호 및 후술하는 각 송신회로(240, 240a)의 수신출력에 따라 버저 구동회로(40)를 통해 버저(50)를 울린다.
또한, 장해물 경보장치 제어회로(20)는, 각 I/F 회로(230, 230a 및 230b)의 출력신호에 따라 버저 구동회로(40)를 통해 버저(50)를 울린다.
단, 제3 실시예에서, 장해물 경보장치 제어회로(20A)인 마이크로 컴퓨터는, 도 5의 흐름도를 대신하여, 도 15에 나타낸 흐름도에 따라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송수신 회로(240)는, 장해물 경보장치 제어회로(20A)에 의해 제어되어 초음파 송신신호를 상기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두 개의 장해물 센서(30)에 출력한다.
송수신 회로(240)는, 두 장해물 센서(30)로부터의 각 초음파 수신신호에 따라 각 수신출력을 발생한다.
또한, 송수신 회로(240a)는, 장해물 경보장치 제어회로(20A)에 의해 제어되어 초음파 송신신호를 두 장해물 센서(30a)(도 13 및 도 14 참조)에 출력한다. 이 송수신 회로(240a)는 두 장해물 센서(30a)로부터의 각 초음파 수신신호에 따라 각 수신출력을 발생한다.
여기서, 두 장해물 센서(30a) 중 하나는 상기 차량의 전방 범퍼(front bumper)의 좌단부에 설치되어 있고, 다른 하나는 우단부에 설치되어 있어서, 두 장해물 센서(30a)는 차량의 전방 범퍼의 전방 장해물을 향해 초음파를 송신하고, 상기 전방 장해물의 반사 초음파를 수신하여 송수신 회로(240a)에 출력한다. 두 송수신 회로(240, 240a)는 8V 전원(220a)으로부터 정전압을 인가받는다.
이 제3 실시예에서는, 5V 전원(220), 8V 전원(220a), 각 I/F 회로(230, 230a 및 230b), 버저 구동회로(40) 및 버저(50)가, 메터 및 장해물 경보장치의 공통회로 소자로 된다. 또한, 장해물 경보장치 제어회로(20A), 송수신 회로(240, 240a)가 장해물 경보장치 단독의 회로소자가 되고, 메터 제어회로(10), 게이지 구동회로(10a), 메터 본체(M)가 메터의 단독 회로소자가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3 실시예에서, 점화 스위치(IG)를 온(on)하면, 메터 제어회로(10) 및 장해물 경보장치 제어회로(20A)는, 5V 전원(220)으로부터 정전압을 인가받아서 작동 상태로 되고, 게이지 구동회로(10a) 및 두 송수신 회로(240, 240a)는 8V 전원(220a)으로부터 정전압을 인가받아서 작동상태로 된다. 즉, 차량은 주행상태로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메터 제어회로(10)는, 차속 센서(130)의 검출출력에 따라서 게이지 구동회로(10a), 액정패널 구동회로(92) 및 버저 구동회로(40)의 구동을 제어한다. 따라서, 스피드 메터(60) 및 타코 메터(70)는 게이지 구동회로(10a)에 의해 구동되어 차속 및 회전수를 표시한다.
또한, 액정패널 구동회로(92)에 의한 액정패널(91)의 구동에 의해, 오도-트립 메터(90)가 주행 거리의 누적값을 표시한다. 메터 제어회로(10)는 상기 자동변속기의 변속조작에 따라, 지시계(80)에서 변속 레인지를 표시하고, 상기 자동 변속기가 리버스 레인지로 조작됨에 따라, 버저 구동회로(40)를 통해 버저(50)를 울린다.
한편, 장해물 경보장치 제어회로(20A)는, 5V 전원(220)의 정전압에 의해, 도 15의 흐름도에 따라서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을 개시한다.
다음으로, 단계 300에서 상기 자동변속기의 변속 레인지가 리버스 레인지인지의 여부에 대해 판정한다.
여기서, 변속 스위치 기구(140)의 변속 스위치(142)가 오프(off) 이면, 컴퓨터 프로그램은 단계 320으로 간다.
한편, 차량을 후진시키기 위해 변속 스위치(142)가 온(on) 되면, 단계 300에서의 판정이 YES가 된다. 이 때, 단계 311에서, 차량의 후방 장해물과의 접근경보 처리가 다음과 같이 실행된다.
즉, 장해물 경보장치 제어회로(20A)가 초음파 송신 명령을 송수신 회로(240)에 출력하면, 이 송수신 회로(240)가 각 장해물 센서(30)에 초음파 송신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각 장해물 센서(30)가 후방의 장해물(G)을 향해 초음파를 송신하면, 장해물(G)의 반사 초음파가 각 장해물 센서(3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수신되어서 송수신 회로(240)에 수신신호로서 출력된다.
그러므로, 송수신 회로(240)가 장해물 경보장치 제어회로(20A)에 수신출력을 주면, 이 장해물 경보장치 제어회로(20A)는 버저 구동회로(40)를 통해 버저(50)를 울린다. 따라서, 차량의 후방 범퍼가 후방의 장해물(G)에 접근하고 있다는 것이 경보된다. 단계 311에서의 최종 처리는, 변속 스위치(142)가 오프되는 것이다. 이것은 차량의 후진이 종료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단계 311에서의 처리가 종료되면, 다음 단계 320에서, 상기 자동변속기가 파킹 레인지로 조작되었는 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여기서, I/F 회로(230a)가 파킹 레인지 신호를 발생하지 않으면, 단계 320에서의 판정은 NO가 된다.
즉, 상기 차량이 주행상태에 있다는 판정에 따라, 단계 321에서, I/F 회로(230)로부터의 파형 형성 신호에 따라, 장해물 경보장치 제어회로(20A)는 상기 차량의 차속을 계산한다.
상기 계산 차속이 소정의 저속도(Vs) 이하 이면, 단계 330에서 판정이 NO로 된다. 이에 따라, 단계 331에서, 전방 장해물 접근 경보처리가 다음과 같이 실행된다.
즉, 장해물 경보장치 제어회로(20A)가 초음파 송신명령을 송수신 회로(240a)에 출력하면, 이 송수신회로(240a)는 각 장해물 센서(30a)에 초음파 송신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각 장해물 센서(30a)가 전방의 장해물을 향해 초음파를 송신하면, 이 장해물의 반사 초음파가 각 장해물 센서(30a)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수신되어 송수신 회로(240a)에 수신신호로서 출력된다.
이에 따라, 송수신 회로(240a)가 장해물 경보장치 제어회로(20A)에 수신출력을 인가하면, 장해물 경보장치 제어회로(20A)가 버저 구동회로(40)를 통해 버저(50)를 울린다. 따라서, 상기 차량의 전방 범퍼가 전방의 장해물에 접근하고 있다는 것을 경보한다.
상기 설명과 같이, 제3 실시예에서는, 5V 전원(220), 8V 전원(220a), I/F 회로(230, 230a, 230b), 버저 구동회로(40), 및 버저(50)를, 메터 및 장해물 경보장치에 공통으로 사용하는 회로소자로 하여, 상기 차량이 후진할 경우의 통상 경보와, 상기 차량이 후진 또는 전진할 때의 후방 또는 전방 장해물과의 접근에 대한 경보를 모두 실행한다.
따라서, 메터 및 장해물 경보장치에, 전원, I/F 회로, 버저 구동회로 및 버저를 각각 설치할 필요가 없어서, 구성소자의 감소에 의한 비용 및 공간 절약할 수 있음은 물론, 메터 및 장해물 경보장치에 사용된 배선 하니스(wire harness)도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장해물 경보장치 중 장해물 센서 이외의 회로는 메터 측에 설치함으로써, 장해물 경보장치에 전용의 케이싱(casing)을 할 필요도 없다.
상기 제3 실시예에서는, 장해물과의 접근을 버저(50)에 의해 경보하도록 되어 있지만, 이와 달리, 상기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오도-트립 메터(90)의 액정패널(91)로써 상기 경보를 표시하도록 하면, 액정패널(91) 및 그 액정패널 구동회로(92)를 메터 및 장해물 경보장치에 공용인 구성소자로 할 수 있어서, 상기 제3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4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3 실시예에서 설명한 메터 제어회로(10) 및 장해물 경보장치 제어회로(20A)를 대신하여, 메터/장해물 경보장치 제어회로(250)가 사용된다.
메터/장해물 경보장치 제어회로(250)는, 마이크로 컴퓨터로서, 상기 제3 실시예에서 설명한 메터 제어회로(10) 및 장해물 경보장치 제어회로(20A)의 각 기능을 합친 기능을 가진다.
이에 따라, 메터/장해물 경보장치 제어회로(250)인 마이크로 컴퓨터는, 도 17에 표시한 흐름도에 따라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제4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3 실시예에의 경우에 더해서, 메터/장해물 경보장치 제어회로(250)가 메터 및 장해물 경보장치에 공동으로 사용되는 구성소자로 되고, 그 외의 다른 구성은 상기 제3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4 실시예에서는, 점화 스위치(IG)를 온(on) 하면, 메터/장해물 경보장치 제어회로(250)는, 5V 전원(220)으로부터 정전압을 인가받아서 작동상태로 되고, 게이지 구동회로(10a) 및 양 송수신회로(240, 240a)는 8V 전원(220a)으로부터 정전압을 인가받아 작동상태로 된다. 즉, 상기 차량은 주행상태에 놓여지는 것이다.
결국, 메터/장해물 경보장치 제어회로(250)는, 도 17의 흐름도에 따라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을 개시한다. 이에 따라, 단계(400)에서 상기 자동변속기의 변속 레인지가 리버스 레인지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여기서, 변속 스위치 기구(140)의 변속 스위치(142)가 오프(off)되면, 컴퓨터 프로그램은 단계 410으로 간다.
한편, 상기 차량을 후진시키기 위해 변속 스위치(142)가 온(on) 되어 있으면, 단계 400에서의 판정이 YES가 된다. 이 때, 단계 401에서, 리버스 레인지 처리가 실행된다. 구체적으로는, 지시계(80)가 리버스 레인지를 표시한다.
그 다음, 단계 402에서, 도 15의 단계 311의 경우와 동일하게, 차량의 후방 장해물과의 접근경보 처리가 메터/장해물 경보장치 제어회로(250)에 의해 실행된다.
이 처리에 따라서, 메터/장해물 경보장치 제어회로(250)가 버저 구동회로(40)를 통해 버저(50)를 울린다. 이것에 의해, 차량의 후방 범퍼가 후방의 장해물(G)에 접근하고 있다는 것을 경보한다. 단계 401의 처리가 종료되면, 변속 스위치(142)가 오프(off)된다. 이것은 상기 차량의 후진이 종료되었음을 의미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단계 401에서 처리가 종료되면, 다음 단계 410에서, 도 15의 단계 321의 처리와 마찬가지로, 상기 차량의 차속이 계산된다. 단계 420에서, 차속표시 처리가 실행된다. 이에 따라, 스피드 메터(60)가 상기 제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차속을 지시한다.
다음으로, 단계 530에서, 도 15의 단계 32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자동변속기가 파킹 레인지로 조작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여기서, I/F 회로(230a)가 파킹 레인지 신호를 발생하고 있으면, 단계 430에서의 판정은 YES가 된다. 이에 따라, 단계 431에서, 파킹 레인지 표시 처리가 실행된다. 따라서, 지시계(80)가 파킹 레인지를 표시한다.
한편, 단계 430에서의 판정이 NO인 경우에는, 상기 차량은 주행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정되어서, 단계 441에서 단계 410의 차속이 소정의 저속도(Vs)와 비교된다.
이 계산된 차속이 소정의 저속도(Vs) 이하가 되면, 단계 440에서의 판정이 NO가 되어, 단계 441에서, 도 15의 단계 331과 마찬가지로 전방 장해물 접근 경보처리가 실행된다.
메터/장해물 경보장치 제어회로(250)가 버저 구동회로(40)를 통해 버저(50)를 울린다. 따라서, 상기 차량의 전방 범퍼가 전방의 장해물에 접근하고 있다는 것을 경보한다.
또한, 메터/장해물 경보장치 제어회로(250)는, 상기 제3 실시예에서 설명한 메터 제어회로(10)의 기능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차량이 후진할 때는, 상기 제3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버저(50)를 울려서, 통상 후진할 때의 경보를 실행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상기 제4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3 실시예의 경우에 부가해서, 메터 제어회로(10) 및 장해물 경보장치 제어회로(20A)에 해당하는 메터/장해물 경보장치 제어회로(250)도, 메터 및 장해물 경보장치에 공용되는 구성소자로 하고 있어서, 메터로서의 표시, 차량이 후진할 경우의 통상 경보 및 차량이 후진 또는 전진하는 경우의 후방 또는 전방 장해물과의 접근에 대한 경보를 모두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메터 및 장해물 경보장치에, 상기 제3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메터 제어회로(10) 및 장해물 경보장치 제어회로(20A)를 각각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서, 상기 제3 실시예에서 설명한 작용 및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장해물 경보장치 중 장해물 센서 이외의 회로는 메터 측에 설치함으로써, 장해물 경보장치에 전용으로 케이싱을 할 필요가 없다.
(제5 실시예)
도 1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5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3 실시예(도 12 참조)에서 설명한 두 개의 장해물 센서(30a) 중 하나를 사용하지 않고, 나머지 장해물 센서(30a)가 차량의 전방 범퍼 좌우 방향 중앙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5 실시예에서 장해물 센서의 배치 구성은 차량의 후부에 2개의 장해물 센서(30)를 배치하고 1개의 장해물 센서(30a)를 차량의 전부에 배치한 구성이다.
또한, 제5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3 실시예에서 설명한 두 개의 5V 전원(220)을 대신하여, 두 개의 5V 전원(220A, 220B)이 사용된다. 5V 전원 220A는, 배터리(B)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은 5V 레귤레이터(Rg: regulator)와 함께 5V의 메터용 정전압을 발생하고, 5V 전원 220B는 배터리(B)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은 5V 레귤레이터(Rg)와 함께 5V의 장해물 경보장치용 정전압을 발생한다. 상기 제3 실시예에서 설명된 5V 전원(220b)은 제5 실시예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또한, 제5 실시예에서, 메터 제어회로(260), 장해물 경보제어 장치(270) 및 버저 구동회로(280)는, 상기 제3 실시예에서 설명한 메터 제어회로(10), 장해물 경보장치 제어회로(20A) 및 버저 구동회로(40)에 대응한다. 제5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3 실시예에서 설명된 버저(50)가, 차량의 후부측에서의 장해물 경고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버저(50A) 및 그 구동회로(290)는 차량의 전부측에서의 장해물 경고용으로 사용된다. 메인 스위치(SW)는 차량의 후부에 2개의 장해물 센서(30)를 배치하고 1개의 장해물 센서(30a)를 차량의 전부에 배치한 구성(도 18에서 2점쇄선으로 둘러싼 양 회로부분을 포함하는 회로에 사용되는 장해물 센서의 배치 구성)의 경우와, 차량의 후부에 2개의 장해물 센서(30)를 배치하고 장해물 센서(30a)를 모두 사용하지 않은 구성(도 18에서 2점쇄선으로 둘러싼 양 회로부분을 제외한 회로에 사용되는 장해물 센서의 배치 구성)의 경우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조작 스위치이다. I/F 회로(230d)는 반전회로(230e)와 함께 메인 스위치(SW)의 출력을 장해물 경보제어 장치(270)에 인가한다. 그 외의 구성은 상기 제3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5 실시예에서는, 메인 스위치(SW), I/F 회로(230d) 및 반전회로(230e)를 부가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한 도 18에서 2점쇄선으로 둘러싼 두 회로부분을 포함한 회로에 사용되는 장해물 센서의 배치구성의 경우와, 도 18에서 2점쇄선으로 둘러싼 두 회로부분을 제외한 회로에 사용되는 장해물 센서의 배치구성의 경우에서, 메인 스위치(SW)의 조작출력으로 하나를 선택하여, 장해물 경보제어장치(270)에 의해 버저(50, 50A) 둘 다 또는 버저(50) 하나만을 울린다.
그 결과, 장해물 센서 수의 증가에 상관없이, 도 18에서 2점쇄선으로 둘러싸인 두 회로부분 이외의 회로구성을 공용으로 할 수 있다.
(제6 실시예)
도 1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6 실시예는, 상기 제4 실시예에서의 메터/장해물 경보장치 제어회로(250)(도 16 참조)를 대신하여, 메터/장해물 경보장치 제어회로(250A)가 사용된 구성이다. 메터/장해물 경보장치 제어회로(250A)는, 마이크로 컴퓨터(251)를 포함하고 있고, 이 마이크로 컴퓨터(251)는 그 전원 단자에서, 도 16의 5V 전원(220b)으로부터 5V의 정전압을 공급받아 작동하고, 상기 제4 실시예에서 설명한 도 17의 흐름도에 따라 메터/장해물 경보장치 제어회로(250)의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메터/장해물 경보장치 제어회로(250A)는 오픈-콜렉터형 트랜지스터 (open collector type transistor)(252, 254)와 저항(253, 255)을 갖추고 있다. 트랜지스터(252)의 베이스는, 송수신 회로(240)(도 16 및 도 19 참조)의 출력단자에 접속되어 있고, 이 트랜지스터(253)의 콜렉터는 저항(253)을 통해 5V 전원(220b)의 출력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254)의 베이스는 송수신 회로(240a)(도 16 및 도 19 참조)의 출력단자에 접속되어 있고, 트랜지스터(254)의 콜렉터는 저항(255)을 통해 5V 전원(220b)의 출력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상기 제4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러한 구성의 제6 실시예에서, 5V 전원(220b) 및 8V 전원(220a)은 점화스위치(IG)의 온(on)과 함께, 동시에 작동상태로 된다. 송수신 회로(240)와 마이크로 컴퓨터(251)와의 사이에는 오픈 콜렉터형 트랜지스터(252)가 접속되고, 또한, 송수신 회로(240a)와 마이크로 컴퓨터(251) 사이에는 오픈 콜렉터형 트랜지스터(254)가 접속되어, 8V 전원(220a)의 정전압에 의해 5V 전원(220)을 통해서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그 외의 동작 및 작용 효과는 상기 제4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실시예에서는 장해물 경보장치 제어회로(20A)에 의한 장해물 검출기능의 이상에 대한 경고, 차량의 후방 장해물과의 접근에 대한 경고, 자동변속기의 리버스 레인지로이 변속 처리, 및 그 외의 경고(예를 들어 연료부족 경고)의 순서로 버저(50)가 울리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버저(50)의 울림 원인에 우선순위를 정하고, 이에 따라 버저(50)를 울림으로써, 메터의 기능에 장해물 경보장치의 기능을 적용한 경우의 울림에 대한 운전자의 오인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승용차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버스 등 각종 다른 차량에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6)

  1. 차량에 사용되는 복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복합장치는
    메터와,
    전원수단(220, 220a), 인터페이스 수단(230 내지 230b), 제어수단(10, 20, 20A) 및 보고수단을 상기 메터와 공동으로 사용하도록, 상기 메터와 복합화되어 있는 장해물 경보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의 차속을 검출해서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에 입력하는 차속검출수단(130)과,
    상기 차량에 장착된 변속기의 리버스 레인지를 검출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에 입력하는 리버스 레인지 검출수단(142)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장해물 경보장치는 상기 차량의 후부가 상기 차량 후방의 장해물과 접근하는 것을 검출하는 장해물 검출수단(30)을 포함하고,
    상기 보고수단은 상기 메터에 설치된 울림수단(40, 50)이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전원수단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었을 때,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으로부터의 리버스 레인지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으로부터의 차속출력 및 상기 장해물 검출수단의 검출출력 중 하나에 따라, 상기 울림수단이 울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복합장치.
  2. 차량에 사용되는 복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복합장치는
    메터와,
    전원수단(220, 220a), 인터페이스 수단(230 내지 230b), 제어수단(10, 20, 20A) 및 보고수단을 상기 메터와 공동으로 사용하도록, 상기 메터와 복합화되어 있는 장해물 경보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의 차속을 검출해서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에 입력하는 차속검출수단(130)과,
    상기 차량에 장착된 변속기의 주행 레인지를 검출해서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에 입력하는 주행 레인지 검출수단(142, 144, 145, 146)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장해물 경보장치는 상기 차량의 장해물과의 접근을 검출하는 장해물 검출수단(30, 30a)을 포함하고,
    상기 보고수단은 상기 메터에 설치된 주행거리 표시수단(90)이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전원수단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었을 때,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으로부터의 차속 출력에 따라 상기 주행거리 표시수단에 상기 차량의 주행거리를 표시하고,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으로부터의 차속 출력 및 상기 장해물 검출수단의 검출출력에 따라 상기 주행거리 표시수단에 상기 차량의 상기 장해물과의 접근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복합장치.
  3. 차량에 사용되는 복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복합장치는
    메터와,
    전원수단(220, 220a), 인터페이스 수단(230 내지 230b), 제어수단(10, 20, 20A) 및 보고수단을 상기 메터와 공동으로 사용하도록, 상기 메터와 복합화되어 있는 장해물 경보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의 차속을 검출해서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에 입력하는 차속검출수단(130)과,
    상기 차량에 장착된 변속기의 리버스 레인지를 포함하는 주행 레인지를 검출해서,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에 입력하는 주행 레인지 검출수단(142, 144, 145, 146)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장해물 경보장치는 상기 차량의 후부가 상기 차량 후방의 장해물과 접근하는 것을 검출하는 장해물 검출수단(30)을 포함하고,
    상기 보고수단은 상기 메터에 설치된 울림수단(40, 50)과 주행거리 표시수단(90)이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전원수단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었을 때,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으로부터의 리버스 레인지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으로부터의 차속출력 및 상기 장해물 검출수단의 검출출력 중 하나에 따라, 상기 울림수단이 울리도록 하고,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으로부터의 차속 출력에 따라 상기 주행거리 표시수단에 상기 차량의 주행거리를 표시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으로부터의 차속 출력 및 상기 장해물 검출수단의 검출출력에 따라 상기 주행거리 표시수단에 상기 차량의 상기 장해물과의 접근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복합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1-7003964A 1998-09-29 1999-09-29 차량용 복합장치 KR1004728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276086 1998-09-29
JP27608698 1998-09-29
JP11257690A JP2000168476A (ja) 1998-09-29 1999-09-10 車両用複合装置
JP99-257690 1999-09-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5429A KR20010075429A (ko) 2001-08-09
KR100472815B1 true KR100472815B1 (ko) 2005-03-08

Family

ID=26543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3964A KR100472815B1 (ko) 1998-09-29 1999-09-29 차량용 복합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522245B1 (ko)
EP (1) EP1118506A4 (ko)
JP (1) JP2000168476A (ko)
KR (1) KR100472815B1 (ko)
WO (1) WO20000186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83697B2 (ja) * 2004-02-05 2009-06-24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障害物検知装置
JP2006160193A (ja) * 2004-12-10 2006-06-22 Alpine Electronics Inc 車両運転支援装置
US20070229235A1 (en) * 2006-03-30 2007-10-04 Yamaha Corporation Vehicle-mounted sounding device
JP2008302824A (ja) * 2007-06-07 2008-12-18 Denso Corp 車両用警告装置
US8446267B2 (en) * 2007-08-09 2013-05-21 Steven Schraga Vehicle-mounted transducer
US20100265100A1 (en) * 2009-04-20 2010-10-21 Lsi Industr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telligent lighting
JP5644478B2 (ja) * 2010-02-09 2014-12-2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警報音発生装置
JP2012011842A (ja) * 2010-06-30 2012-01-19 Nippon Seiki Co Ltd 車両用表示装置
CN107472141B (zh) * 2017-08-23 2020-07-14 南通纤麦家纺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型驾驶员视线增强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34349U (ko) * 1979-03-16 1980-09-24
JPS5842200Y2 (ja) * 1979-06-11 1983-09-24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後方監視装置
JPS57128868A (en) * 1981-02-03 1982-08-10 Nippon Soken Inc Display device for obstacle at back for car
JPS59230848A (ja) * 1983-06-14 1984-12-25 Nissan Motor Co Ltd 車両周辺監視装置
JPS60249077A (ja) * 1984-05-24 1985-12-09 Nippon Soken Inc 自動車用表示装置
JPS6299224A (ja) * 1985-10-28 1987-05-08 Yamaha Motor Co Ltd メ−タ装置
JPS62170581U (ko) * 1986-04-18 1987-10-29
JPS63206681A (ja) * 1987-02-23 1988-08-25 Fuji Heavy Ind Ltd 自動車用障害物検知装置の表示方法
JPS63208784A (ja) * 1987-02-25 1988-08-30 Fuji Heavy Ind Ltd コ−ナソナ−表示方法
JPS63208783A (ja) * 1987-02-25 1988-08-30 Fuji Heavy Ind Ltd コ−ナソナ−表示方法
JPH02123431U (ko) * 1989-03-20 1990-10-11
US5091726A (en) * 1990-08-23 1992-02-25 Industrial Technology Resarch Institute Vehicle anti-collision system
US5598164A (en) * 1992-08-10 1997-01-28 Reppas; George S. Vehicle obstacle avoidance system
JPH095120A (ja) * 1995-06-15 1997-01-10 Moriyama Kogyo Kk メータ表示切替装置
JPH09123848A (ja) * 1995-11-06 1997-05-13 Toyota Motor Corp 車両用情報表示装置
JP3414191B2 (ja) * 1997-04-18 2003-06-0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間距離警報装置
DE19737680B4 (de) * 1997-08-29 2004-02-12 Robert Bosch Gmbh Anordnung zur Ansteuerung und Auswertung von Abstandsmeß- und Warngeräten in Kraftfahrzeugen
JPH11301383A (ja) * 1998-04-20 1999-11-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車載用障害物検知システム
DE19843564A1 (de) * 1998-09-23 2000-03-30 Bosch Gmbh Robert Warn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US6289332B2 (en) * 1999-02-26 2001-09-11 Freightliner Corporation Integrated message display system for a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18506A4 (en) 2003-05-21
WO2000018615A8 (en) 2001-03-01
WO2000018615A1 (fr) 2000-04-06
EP1118506A1 (en) 2001-07-25
KR20010075429A (ko) 2001-08-09
WO2000018615A9 (fr) 2000-12-07
US6522245B1 (en) 2003-02-18
JP2000168476A (ja) 2000-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2818B2 (en) Warning apparatus for a motor vehicle
US6985073B1 (en) Apparatus for monitoring traffic signals and alerting drivers
US6894608B1 (en) System and method for warning of potential collisions
US5734336A (en) Collision avoidance system
US5754123A (en) Hybrid ultrasonic and radar based backup aid
US4349823A (en) Automotive radar monitor system
JP2007526842A (ja) 車両のハンドル切り込みを表示する方法および表示ユニット
KR100472815B1 (ko) 차량용 복합장치
WO2013027110A2 (en) Driving support device and driving support method
JPS6228524Y2 (ko)
US6366845B1 (en) Following distance alarming apparatus and following distance displaying apparatus that display difference between measured following distance and that at which warning is given
CN201047873Y (zh) 具有倒车雷达显示的汽车组合仪表和包括该仪表的汽车
US20060071764A1 (en) Merge Sensor Control System
JPH06331742A (ja) 車載用超音波センサ装置
GB2266369A (en) Vehicle manoeuvring aid
JPH09323567A (ja) 自動車用多重表示装置
JP3420337B2 (ja) 走行安全指示装置
RU34758U1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ый автомобильный компьютер
CN219312619U (zh) 车辆的倒车提醒系统及车辆
JPS6239903B2 (ko)
KR100204775B1 (ko) 자동차 후진시 장애물 경고장치
JPS63206681A (ja) 自動車用障害物検知装置の表示方法
JP2023114805A (ja) 車両用制御装置
KR100213754B1 (ko) 차간거리 및 장애물 위치가 표시되는 차량용 시계
JPS60249077A (ja) 自動車用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