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7372B1 - 낚시용리일 - Google Patents

낚시용리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7372B1
KR100467372B1 KR10-1998-0025580A KR19980025580A KR100467372B1 KR 100467372 B1 KR100467372 B1 KR 100467372B1 KR 19980025580 A KR19980025580 A KR 19980025580A KR 100467372 B1 KR100467372 B1 KR 100467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way clutch
outer ring
rolling
f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5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7486A (ko
Inventor
마사토시 가타야마
Original Assignee
다이와 세이꼬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와 세이꼬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와 세이꼬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07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7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7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73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7Anti-reverse mechanisms
    • A01K89/0118Anti-reverse mechanisms defining home position of reel par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55Antibacklash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21Frame details
    • A01K89/011223Frame details with bearing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7Anti-revers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83Drive mechanism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83Drive mechanism details
    • A01K89/0186Drive mechanism details with disengageable positive drive components, e.g. a clutch
    • A01K89/01901Reengageable responsive to drive rot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리일본체의 지지부에대한 일방향 클리치의 외륜에 위치 결정부착부에 부담을 걸지 않고 별도의 회전방지부재로 일방향 클러치의 외륜의 회전방지을 행하고, 맞붙임의 정확도를 높이고, 작업성을 향상하고, 더욱더 고정밀도의 역전방지기능을 이루도록 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핸들(11)로 회전조작되는 구동통축(6)과 리일본체(1)와의 사이에 일방향의 회전을 허용하고 타방의 회전을 저지하는 구름식 일방향 클러치(4)를 설치하여 상기 구동통축(6)의 역전을 방지하도록 한 낚시용 리일에 있어서, 구름식 일방향 클러치(4)의 외륜(4a)에 회전방지부재용 걸음홈(4g)을 설치하고, 이 걸음홈(4g)에 회전방지부재(5)을 걸어붙임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방지부재(5)를 상기 리일본체(1)에 고정하고, 상기 회전방지부재(5b)를 통하여 상기 일방향클러치(4)의 외륜(4a)를 리일본체(1)에 대하여 회전방지 고정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낚시용 리일
본 발명은 일방향 클러치를 부착시켜서 회전구동축의 역전방지기능을 갖게한 낚시용 리일에 관한 것이며, 특히 리일본체에 대한 일방향 클러치의 부착구조에 착안한 낚시용 리일에 관한 것이다.
낚시용 리일에 있어서는 핸들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구동축통의 역전방지장치가 조립되어 있다. 이 역전방지장치로서 낚시조작시의 역전헐거움을 적게하여 훅킹조작의 확실성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구름식의 일방향 클러치를 채용한 것이 일본 실개평 7-13161호공보, 일본실개평 7-18568호공보, 및 일본실개평 6-5467호 공보등에 제안되어 있다.
일본실개평 7-13161호공보, 및 일본실개평 7-18568호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낚시용 리일에 있어서의 일방향 클러치는 리일본체에 대한 부착구조로서 일방향 클러치를 구성하는 외륜의 외주를 단면 비원형상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이 외륜을 끼워넣는 리일본체의 지지부 내주도 동형상의 단면 비원형상으로 형성하고, 지지부내주에 외륜을 끼워넣으므로서 리일본체의 지지부에 일방향 클러치를 회전방지 끼워맞추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 회전방지 끼워맞춤방식의 부착구조에 있어서, 다른 형상으로 형성한 외륜의 외주와 지지부의 내주를 구동축에 대한 동심도를 확보하면서 덜컹거림 없이 굳게 부착하는 것은, 일방향 클러치의 외륜의 외주부분 및 리일본체에 있어서 지지부의 내주의 비원형부분을 각각 고정밀도로 가공하여야하므로, 고정밀도의 가공이 요구된다. 그러나 그 가공이 곤란하다. 또 제품코스트가 높아지는 원인으로 되어 있었다. 또, 실제에는 끼워맞춤부분에는 덜컹거림이 발생하기 쉽고, 구름식 일방향클러치의 쐐기작용에 의한 역전 헐거움이 적은 역전방지 기능이 얻기 어려웠다.
리일본체의 지지부내에 일방향 클러치의 외륜을 강하게 가압하여 끼워맞춤하면, 서로 끼워맞춤하는 내외주면이 단면 비원형상인 것으로부터 이상한 변형을 초래하고 게다가 그 끼워맞춤부간에 가공오차가 있으면, 강하게 가압할수록 그 오차에 추종하여 크게 편심하는 결과, 리일본체의 지지부에 맞붙여지는 일방향 클러치의 중심이 어긋나는 경향이 있고, 구동축에 대한 동심도가 손상되기 쉽다. 이로서 구동축의 회전이 겹쳐지게되거나 일방향 클러치의 쐐기작용이 손상되버리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종래, 리일본체는 경량화를 위하여 수지로 형성되는 일이 많지만, 그 경우에는 그 끼워맞춤 받이부가 부드럽기 때문에, 역전방지시의 강한 부하, 충격에 의하여 끼워맞춤부분에 변형이나 마모가 생겨, 소위 덜컹거림이 생겨 역전방지장치가 조기에 기능하지 않게되는 염려가 있었다. 이 회전방지 걸어맞춤부분의 보강을 위하여 일방향 클러치의 외륜 등을 대경화하면 리일전체도 대형화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일본 실개평 6-5467호공보의 낚시용 리일에 있어서는 구름식 일방향 클러치의 리일본체로의 끼워맞춤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일방향 클러치의 외륜외주를 단면원형상으로 형성하는 한편, 이 일방향 클러치의 외륜의 단면에 형성한 볼록부나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걸음부를 리일본체의 맞부딪침 단면에 형성한 걸음부 받이에 걸어맞추어서 외륜의 회전방지기능을 갖게한 것이다. 이 방식에서는 구름식 일방향 클러치의 리일본체로의 중심내기 정밀도의 향상은 기대할 수 있지만 일방향 클러치의 원통상 외륜의 단면에 형성한 볼록부나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걸음부분에는 역전방지시의 강한 부하, 충격이 직접 가해지므로 그 걸어맞춤하는 부분의 양자에는 변경이나 파손 및 마모등이 일어나기 쉽고, 조기에 헐거움이 생겨, 구름식 일방향 클러치의 소위 쐐기 작용에 의한 역전 헐거움이 적은 역전방지기능이 얻어지기 어렵게 된다. 이 경우, 특히 리일본체를 경량화 시키기 위하여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그의 걸어맞춤부분도 연하게 되어 그의 걸어맞춤부분의 변형이나 마모가 한층, 현저하게, 역전방지장치가 상당히 조기에 기능하지 못하게될 염려가 있다. 또, 이 회전방지 걸어맞춤부분의 보강을 위하여 일방향 클러치 부품을 대경화하면, 리일전체도 대형화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의 목적으로 하는 바는 리일본체의 지지부에 대한 일방향 클러치의 외륜에 위치 결정 부착부에 부담을 주지않고 별도의 회전방지부재로 일방향 클러치의 외륜의 회전방지를 행하고, 맞붙임의 정확도를 높혀 작업성을 향상하고, 더욱더 고정밀도의 역전방지 기능을 이루도록 한 낚시용 리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핸들로 회전조작되는 회전구동축과 리일본체와의 사이에 일방향의 회전을 허용하고 타방의 회전을 저지하는 구름식 일방향 클러치를 설치하여 상기 회전구동축의 역전을 방지하도록한 낚시용 리일에 있어서, 구름식 일방향 클러치의외륜에 회전방지부재 걸어붙임용 걸음부를 설치하고, 이 걸음부에 회전방지부재를 걸어붙임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방지부재를 상기 리일본체에 고정하고 상기 회전방지부재를 통하여 상기 일방향 클러치의 외륜을 리일본체에 대하여 회전방지고정 하도록 한 것이다.
또, 상기 구름식 일방향 클러치는 구름부재를 수용유지하는 유지기를 상기 외륜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리일본체에 설치한 전환조작부재에 의하여 이에 연계하여 상기 유지기를 회전운동시켜 상기 구름식 일방향 클러치를 일방향의 회전을 허용하고 타방향의 회전을 저지하는 상태와 양방향의 회전을 허용하는 양방향회전 상태로 전환가능하게 한 것이다.
(발명의 실시 형태)
이하, 도시의 실시형태에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형태에 관한 낚시용 스피닝 리일을 도시하는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낚시용 스피닝 리일의 리일본체(1)는 상방으로 뻗은 로드 부착다리(1a)를 구비하여 이루고, 리일본체(1)의 하부중앙에는 전측에 위치하여 원통상의 지지부(1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부(1b)내에는 구름베어링으로 이루어지는 베어링(3)과 구름식 일방향 클러치(4)가 동축적으로 축방향으로 나열하여 끼워져 있다.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베어링(3)의 외륜(3a)과 구름식 일방향 클러치(4)의 외륜(4a)과는 그들의 외주면부(3b,4b)를 지지부(1b)의 내주면에 접합시키므로서 지지부(1b)에 끼워맞춤고정되어 있다. 베어링(3)의 외륜(3a)과 내륜(3c)사이에는 구름볼(3d)이 끼워져 있다. 베어링(3)은 메탈베어링이나 합성수지 베어링으로 하여도 좋다. 또 후술하는 바와같이 베어링(3)에 있어서 외륜(3a)의 후단은 지지부(1b)의 후단에 형성한 맞닿음부(1c)에 맞닿고 이로서 베어링(3)의 후방으로의 빠짐방지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 베어링(3)과 일방향 클러치(4)의 전방으로의 빠짐방지는 후에 설명하는 회전방지부재(5)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지지부(1b)에는 그의 베어링(3)과 일방향 클러치(4)를 개재하여 구동통축(회전구동축)(6)이 회전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이 구동통축(6)의 기단부 부근에 있어서 전측부분에는 일체적으로 기어부(6a)와 맞닿음부(6b)가 형성되고, 맞닿음부(6b)에는 베어링(3)의 내륜(3c)의 단면이 맞닿음 되어 있다. 구동통축(6)의 전단부 외주에는 베어링(3)의 내륜(3c)의 전측에 일방향 클러치(4)의 내륜(4c)이, 예를들면 스플라인 끼워맞춤에 의하여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회전방지 끼움되어,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더욱이 구동통축(6)의 일방향 클러치(4)보다도 전단측 외주에는 로터(7)의 중심통부(7a)가 회전방지 끼워맞춤되어 있고, 중심통부(7a)는 구동통축(6)의 회전단부에 체결된 너트(8)로 부착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통축(6)의 맞닿음부(6b)와 너트(8)의 사이에서 베어링(3)의 내륜(3c)과, 일방향 클러치(4)의 내륜(4c)과, 로터(7)의 중심통부(7a)의 보스부분과를 축방향으로 끼워넣고 이들을 끼워지지하도록 하고 있다.
구동통축(6)의 기어부(6a)에는 구동기어(9)가 맞물려 있다. 구동기어(9)는 리일본체(1)에 축받이된 핸들(11)에 의하여 회전조작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구동통축(6)의 중심구멍에는 구동통축(6)으로부터 움직임이 독립한 스푸울축(12)이 전후왕복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이 스푸울축(12)의 선단부에는 권취용 스푸울(13)이 부착되어 있다. 권취용 스푸울(13)은 드래그기구(14)을 통하여 스푸울축(12)에연결되어 있다. 권취용 스푸울(13)은 통상, 드래그기구(14)의 마찰력으로 스푸울축(12)에 마찰결합되어 회전하지 않지만, 스푸울(13)에 소정 이상의 권취부하가 가해지면 스푸울(13)이 공전하도록 되어 있다.
스푸울축(12)의 후단부에는 그의 스푸울축(12)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왕복운동 장치부(15)가 연결되어 있다. 이 왕복운동장치(15)는 낚싯줄 권취시에 있어서 상술한 구동기어(9)에 연이어 설치한 작은기어(9a)의 회전을 받아 연동하고, 스푸울축(12)을 스푸울(13)과 함께 전후로 왕복운동시켜,낚싯줄 권취시에 있어서의 소위 오실레이팅 동작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더우기, 리일본체(1)의 후부는 캡(16)에 의하여 덮혀 있다.
상기 로터(7)에는 한쌍의 벨 지지아암(7b,7c)이 설치되어 있고, 한편의 벨지지아암(7b)의 선단부에는 벨지지부재(17)가 설치되고, 다른편의 벨지지아암(7c)에는 또 하나의 벨지지부재(18)가 설치되어 있다. 벨지지부재(17,18)에는 벨(19)이 가설되어 있다. 그리고 벨지지부재(17,18)는 벨(19)과 일체적으로 회전운동하고, 벨(19)을 낚싯줄 권취위치와 낚싯줄 방출위치중 어느것에 든지 반전자유로이 축이음되어 있다. 한편의 벨지지부재(17)에는 낚싯줄 안내용 롤러(21)를 회전자유로이 지지하는 롤러부착부(22)가 지지되어 있다.
다음에 구름식 일방향 클러치(4)의 구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 일방향 클러치(4)는 외륜(4a)과 내륜(4c)과, 이 내륜(4c)의 외주에 실려진 복수개의 봉형상의 구름부재(4d)와 이 구름부재(4d)를 유지하는 환상유지부재(유지기)(4e)와, 도시하지 않는 스프링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환상유지부재(4e)는 복수개의 관통구멍(도시하지 않음)을 갖고, 이들의 관통구멍내에 상기 구름부재(4d)를 삽입유지한다. 스프링은 구름부재(4d)를 걸어맞춤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이다. 또 도 5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외륜(4a)의 내주면에는 봉형상 구름부재(4d)의 자유회전구역(α)과 봉상의 구름부재(4d)가 맞닿음되어 회전이 저지되는 저지면(β)이 구성되어 있다. 환상유지부재(4e)는 봉형상 구름부재(4d)를 자유회전구역(α)에 위치시켜서 정역회전 허용상태와, 봉형상 구름부재(4d)를 저지면(β)의 영역에 위치시켜 역회전 방지상태와를 전환하는 것이고, 환상유지부재(4e)에는 전환용 레버(4f)가 설치되어 있다.
이 레버(4f)는 외륜(4a)에 절결하여 형성한 관통구멍(4h)을 통하여 외륜(4a)의 외측으로 밀어내고, 더욱이 지지부(1b)의 상외측부분까지 밀어내고 있다. 레버(4f)의 돌출단부에는 긴구멍으로 이루어지는 걸어맞춤부(4i)가 형성되어 있다. 이 레버(4f)의 걸어맞춤부(4i)에는 회전운동하는 원판상의 전환부재(25)에 고정된 핀으로 이루어지는 작동부(26)가 끼워넣어 걸어맞춤되어 있다. 전환부재(25)는 데드포인트를 만들어내는 토글스프링을 연결하는 등에 의하여 2개의 전환위치의 일방을 택일적으로 선택하도록 되어 있다. 또 전환부재(25)의 위치를 선택하는 조작은 상기 리일본체(1)의 배면부에 부착된 조작노브(27)에 의하여 회전운동 조작되는 조작로드(28)을 통하여 전환부재(25)를 회전하여 행해지고, 상기 일방향 클러치(4)의 동작상태를 역전방지위치인가 정역회전 허용위치인가로 전환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리일본체(1)의 지지부(1b)에 구름식 일방향 클러치를 부착하는 구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리일본체(1)의 통상의 지지부(1b)에는 그 외측단에 위치하여 상기 구름식 일방향 클러치를 끼워넣는 제 1의 끼워맞춤구멍(31)이 형성되고, 그 깊숙한 곳에는 상기 베어링(3)을 끼워넣는 제 2의 끼워맞춤구멍(32)이 형성되어 있다. 제 1의 끼워맞춤구멍(31)과 제 2의 끼워맞춤구멍(32)은 동축적으로 축방향으로 나열하여 형성됨과 동시에 제 1의 끼워맞춤구멍(31)의 직경은 제 2의 끼워맞춤구멍(3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제 1의 끼워맞춤구멍(31)내에 끼워지는 일방향 클러치(4)의 외륜(4a)은 금속제이고, 후단(깊숙한 끝)에 플랜지부를 형성한 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단(외단)이 구멍(5c)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방지부재(5)는 예를들면 금속제 판부재를 펀칭하여 판상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일방향 클러치(4)의 외륜(4a)의 개구끝가장자리에는 그의 회전방지부재(5)의 부착편(5b)에 각각 대응하여 그의 부착편(5b)을 끼워넣어 걸어맞춤하는 복수의 걸음홈(4g)이 형성되어 있다. 걸음홈(4g)은 부착편(5b)의 폭에 맞추어서 형성되고, 부착편(5b)을 빽빽하게 끼워넣어 걸어맞춤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의 걸음홈(4g)은 회전방지부재(5)의 부착편(5b)을 걸어붙임하는 걸어맞춤부를 구성하고 있다.
일방향 클러치(4)의 외륜(4a)의 외주가장자리부의 축방향 외방으로부터 그의 전단개구부내에 회전방지부재(5)의 링부(5a)를 끼워넣음과 동시에, 부착편(5b)을 걸음홈(4g)에 끼워넣고, 부착편(5b)의 선단부를 지지부(1b)의 전단면에 접합한다. 그리고, 부착구멍(5c)에 고정나사(29)를 통하고 이 고정나사(29)를 지지부(1b)의 부분에 나사박고 고정나사(29)의 두부로 부착편(5b)을 눌러서 지지부(1b)에 회전방지부재(5)를 부착고정함으로서 일방향 클러치(4)의 빠짐방지와 외륜(4a)의 회전방지의 양방을 확실히 행하도록 되어 있다. 지지부(1b)의 전단부분에는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장치편(5b)의 선단부를 맞닿음하는 2개의 받이부(30)가 형성되어 있다. 받이부(30)는 부착편(5b)의 선단부를 빽빽하게 끼워넣는 걸어맞춤홈도 좋지만, 여기서는 회전방지부재(5)가 역전방지시에 일방향 클러치(4)의 외륜(4a)으로부터 받는 회전력의 방향측에 위치하여 회전방지용 돌기(30a)를 돌출설치하고, 부착 편(5b)의 선단부를 막아내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부(1b)에 부착고정된 회전방지부재(5)에 의하여 일방향 클러치(4)의 외륜(4a)의 회전방지가 확실히 이루어진다. 또,제 1의 끼워맞춤구멍(31)으로부터의 일방향 클러치(4)의 외륜(4a)의 빠짐방지가 이루어지고, 지지부(1b)의 제 1의 끼워맞춤구멍(31)내에 끼워지는 일방향 클러치(4)의 외륜(4a)의 끼워맞춤력이 작더라도 빠지는 일은 없다.
다음에 구름식의 일방향 클러치(4)의 일반적인 동작은 다음과 같다.
조작노브(27)에 의하여 조작로드(28)와 전환부재(25)가 회전운동조작 되어 작동부(26)가, 도 4의 실선으로 도시되는 위치로 회전운동되면 환상유지부재(4e)의 레버(4f)가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되어 봉형상 구름부재(4d)가 자유회전구역(α)에 위치하여 쐐기작용하지 않는 비작동상태로 되므로 구동통축(6)과 로터(7)와의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또, 조작노브(27)와 조작로드(28)와 전환부재(25)가 회전운동조작되어 작동부(26)가 도 4의 2점쇄선으로 도시되는 위치로 회전운동되면, 환상유지부재(4e)의 레버(4f)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되어 봉형상 구름부재(4d)가 회전이 저지되는 저지면(β)에 위치하여 쐐기작용하는 작동상태로 된다. 그래서, 구동통축(6)과 로터(7)의 정회전에서는 스프링에 맞서서 봉형상 구름부재(4d)가 시계방향으로 이동가능하므로 정회전이 가능하지만, 역회전으로 봉형상 구름부재(4d)가 저지면(β)에 맞닿음하여 쐐기 작용으로 역회전이 불가능하게 된다.
상기 낚시용 스피닝 리일의 동작은 조작노브(27)와 조작로드(28)와 전환부재(25)와 환상유지부재(4e)가 회전운동조작되어 도 4에서 실선의 상태, 즉 봉형상 구름부재(4d)가 자유회전구역(α)으로 쐐기작용하지 않는 비작동 상태로 된다. 낚싯줄이 스푸울(13)에 감아회전되는 방향으로 핸들(11)이 회전되면, 구동기어(9)가 회전되어 구동통축(6)과 로터(7)가 정회전된다. 더욱이, 작은기어(9a)를 통하여 왕복운동장치부(15)가 조작되고, 스푸울축(12)과 스푸울(13)이 전후로 왕복운동된다.
낚싯줄이 스푸울(13)에 감아회전될때에는 한쪽의 벨지지부재(17)에 설치된 낚싯줄 안내부의 롤러(21)로 안내되어 낚싯줄이 전후로 왕복운동되는 스푸울(13)에 평행으로 감아회전된다.
로터(7)의 역회전이 방지될때에는 조작노브(27)와 조작로드(28)와 전환부재(25)와 환상유지부재(4e)가 회전운동 조작되어 도 3에서 2점쇄선의 봉형상 구름부재(4d)가 맞닿음되어 회전이 저지되는 저지면(β)에 위치하여 쐐기작용하는 작동상태로 전환된다. 획득물의 당김으로 낚싯줄이 풀어내려져서 로터(7)가 반시계방향으로 역회전되면, 구동통축(6)과 로터(7)가 역회전되게 되지만, 봉형상 구름부재(4d)가 맞닿음되어 회전이 저지되는 저지면(β)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쐐기작용으로 그 역회전이 저지된다.
상기 구름식 일방향 클러치(4)의 구름부재(4d)를 유지하는 환상유지부재(4e)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여 환상유지부재(4e)에 설치한 레버(4f)에 리일본체(1)에 지지한 전환부재(25)의 작동부(26)를 걸어맞춤하게하여, 구름식 일방향 클러치(4)를 쐐기작용하는 작동상태와 쐐기작용하지 않는 비작동상태로 전환가능하게 하였으므로, 봉형상 구름부재(4d)의 쐐기작용에 의한 역전시의 클리어런스가 더욱더 적게 되는 것으로부터 극히 신속하게 로터(7)의 역회전이 정지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형태에 관한 낚시용 스피닝 리일을 도시하는 것이다.
이 실시형태는 상기 베어링(3) 및 일방향 클러치(4)외에 제 2의 베어링(35)을 설치하고 일방향 클러치(4)의 전후에 제 1의 베어링(3)과 제 2의 베어링(35)을 배치하고, 이 양 베어링(3,35)에 의하여 구동통축(6)을 지지한다. 더욱이 제 2의 베어링(35)은 지지부(1b)와는 별도의 부재의 링형상의 유지부재(36)내에 끼워져서 유지 고정되어 있다. 이 유지부재(36)는 지지부(1b)와 내경과 외경이 대략동일의 통상부재로 이루어지고, 이 둘레부의 일부에 형성한 돌출둘레부(38)에 형성한 복수의 구멍(39)내에 고정나사(41)를 각각 끼워넣음과 동시에, 이 고정나사(41)를 상기 지지부(1b)의 전단벽에 나사로 고정함으로서 유지부재(36)는 지지부(1b)에 고정된다. 40은 맞닿음부(6b)와 기어부(6a)의 끝사이에 개재되는 링이다.
그리고, 이 실시형태에서는 지지부(1b)의 전단벽에 부착되는 회전방지부재(5)의 부착편(5b)을 이 유지부재(35)로 눌러서 고정하도록 한 것이다. 회전방지부재(5)의 부착편(5b)이 위치결정 되는 지지부(1b)의 전단벽에는 그의 각 부착편(5b)이 빽빽하게 들어가는 홈형상의 오목부(37)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37)에 각 부착편(5b)를 끼워넣고, 그위에서 지지부재(36)의 돌출둘레부(38)를 오목부(37)내에 포개어 끼워넣어 부착편(5b)에 대고, 지지부(1b)와 유지부재(36)사이에 부착편(5b)을 끼워넣어 부착고정한다. 또, 상기 제 1실시형태와 꼭같이, 부착편(5b)의 부착구멍(5c)에 고정나사(41)를 삽입관통시키고 있다. 그러나, 부착편(5b)의 위치로 부터 떨어진 개소에 고정나사(41)를 삽입관통하여 오목부(37)내에 부착편(5b)을 위치시켜 지지부(1b)의 전단벽과 유지부재(36)사이에 끼워넣으므로서 그의 부착편(5b)을 고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부착편(5b)을 끼워넣고 위치시키는 별도의 홈형상의 걸음용 오목부를 지지부(1b)및 유지부재(3b)또는 그 한쪽에 형성한다. 통상은 지지부(1b)쪽에만 걸음용 오목부를 설치하는 것이 좋다.
또, 유지부재(3b)에서는 지지부(1b)에 설치한 걸음구멍(42)에 끼워지는 돌기(43)를 설치하고, 지지부(1b)에 유지부재(3b)를 포개어 맞추었을때, 걸음구멍(42)에 돌기를 끼워넣어 걸어맞추도록 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회전방지부재(5)의 부착편(5b)을 지지부(1b)의 전단벽과 유지부재(3b)사이에 끼워넣어 고정하기 때문에 회전방지부재(5)를 확실히 고정할 수가 있다. 또, 일방향 클러치(4)의 전후에 제 1의 베어링(3)과 제 2의 베어링(35)을 배치하는 2베어링 구조의 것이지만, 이 형식의 경우 일자라도 다른 조립부재의 방해도 되지 않고 콤팩트한 회전방지부재 고정구조로 할 수가 있다.
일방향 클러치(4)의 전후에 제 1의 베어링(3)과 제 2의 베어링(35)을 배치하는 2베어링 구조이므로, 구름식의 일방향 클러치(4)에 실제로 낚시할때의 권취시 또는 역전시에 로터(7)을 통하여 구동통축(6)에 작용하는 불규칙한 비트는 힘이 경감되고, 구동통축(6)의 지지 및 부착 정밀도가 안정 향상함과 동시에 내구성이 개선되고 구름식의 일방향 클러치(4)의 쐐기작용에 의한 고정밀도의 역전방지 기능을 안정하여 유지발휘 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형태에 관한 낚시용 스피닝 리일을 도시하는 것이다.
이 실시형태는 상기 제 3실시형태와 꼭같이 베어링(3) 및 일방향 클러치(4)외에 제 2의 베어링(35)을 설치하는 구조의 것이지만, 소경인 지지부(1b)의 것이고, 이 때문에 회전방지부재(5)의 부착편(5b)에는 고정나사를 관통하는 구멍을 형성하지 않고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부착편(5b)을 짧은 돌출편으로 하고, 제 2의 베어링(35)을 유지하는 유지부재(36)의 단면과 지지부(1b)의 단면사이에서 부착편(5b)을 끼워넣어 고정하도록 한 것이다. 이 경우에도 지지부(1b)의 단면에는 그 부착편(5b)을 빽빽하게 끼워넣는 홈형상의 오목부(37)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도 회전방지부재(5)의 부착편(5b)을 지지부(1b)의 전단벽과 유지부재(36)사이에 끼워넣어 고정하기 때문에, 회전방지부재(5)를 확실히 고정할 수가 있다. 또, 일방향 클러치(4)의 전후에 제 1의 베어링(3)과 제 2의 베어링(35)을 배치하는 2베어링 구조에 있어서, 다른 조립부재의 방해도 되지않고 콤팩트한 고정구조로 할 수가 있다.
더우기,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리일본체(1)의 지지부(1b)의 내주와 이에 끼워넣는 일방향 클러치(4)의 외륜(4a)의 각각을 단면 비원형상으로 형성하여 회전방향에 비교적 느슨하게 끼워맞춤하도록 구성하였지만, 각각을 단면 원형상으로 형성하여 회전가능한 상태로 끼워맞춤하고, 회전방지부재(5)만으로, 외륜(4a)의 회전방지를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스피닝리일에 적용한 예이지만, 양축리일 등의 다른 형식의 리일에도 적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리일본체의 지지부에 유지하는 일방향 클러치의 외륜의 회전방지를 별도의 회전방지부재로 행하도록 하였으므로, 일방향 클러치의 외륜의 위치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일방향 클러치의 맞붙임 상태가 안정하다. 또 리일본체의 지지부의 끼워맞춤부내에 일방향 클러치의 외륜을 끼워넣는 경우, 강력하게 밀어넣어 끼워맞춤시킬 필요성이 그다지 없고, 그 맞붙임이 간단하고 조립작업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리일본체의 지지부에 대한 일방향 클러치의 외륜을 강력하게 밀어넣어 끼워넣을 필요성이 그다지 없는 것으로 강력하게 밀어넣어 끼워넣는 경우에 생기기 쉬운 이상한 변형현상, 즉 끼워맞춤부간의 오차가 축심의 어긋남으로서 발생되어 나타나는 것을 극력 피할 수가 있다. 따라서, 고정밀도의 가공이 요구되지 않고 회전구동축에 대한 동심도가 손상되지 않고 구름식 일방향 클러치의 쐐기작용에 의한 역전클리언런스가 적은 역전 방지기구가 얻어진다.
또, 일방향 클러치의 외륜에 가해지는 역전시의 강한 부하나 충격력이, 회전방지부재를 통하여 일방향 클러치의 외륜 이외의 부분으로 분산되므로, 외륜의 부착부위에 대한 직접의 부하나 충격력이 완하되고, 외륜의 장지부분의 변형이나 마모가 방지된다. 따라서, 유지기를 회전이동시켜 구름식 일방향 클러치의 전환동작의 안정화 및 흔들림이 없는 고정밀도의 역전방지 기능을 항상, 장기로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리일본체의 지지부나 일방향 클러치의 외륜 등에 비교적 강도가 약한 수지 등의 재료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게되고, 부품제작이 염가로 됨과 동시에 리일전체의 경량화도 가능하다.
도 1은 제 1실시예에 관한 낚시용 스피닝리일의 좌측면도,
도 2는 도 1중 A-A선에 따르는 종 단면도,
도 3은 상기 낚시용 스피닝 리일의 주요부를 종단하여 좌측에서 본 확대단면도,
도 4는 도 3중 B-B선에 따라 본 구름식 일방향 클러치의 부착부분의 정면도,
도 5a는 상기 낚시용 스피닝 리일의 구름식 일방향 클러치의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정면도, b는 회전방지부재의 정면도,
도 6은 상기 낚시용 스피닝 리일의 분해사시도,
도 7은 제 2실시형태에 관한 낚시용 스피닝 리일의 주요부를 종단하여 좌측에서 본 확대단면도,
도 8은 상기 낚시용 스피닝 리일의 분해사시도,
도 9는 제 3실시형태에 관한 낚시용 스피닝 리일의 요부를 종단하여 좌측에서 본 확대단면도,
도 10은 도 9중 C-C선에 따라 본 구름식 일방향 클러치의 부착부분의 정면도,
도 11a는 상기 낚시용 스피닝 리일의 구름식 일방향 클러치의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정면도, b는 회전고정 부재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리일본체 1b:지지부
3:베어링 4:구름식 일방향 클러치
4a:외륜 4c:내륜
4e:환상유지부재 4g:걸음홈
5:회전방지부재 5b:부착편
6:구동통축 7:로터
11:핸들

Claims (2)

  1. 핸들로 회전조작되는 회전구동축과 리일본체와의 사이에 일방향의 회전을 허용하고 타방의 회전을 저지하는 구름식 일방향 클러치를 설치하여 상기 회전구동축의 역전을 방지하도록한 낚시용 리일에 있어서, 구름식 일방향 클러치의 외륜에 회전방지부재 걸어붙임용 걸음부를 설치하고, 이 걸음부에 회전방지부재를 걸어붙임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방지부재를 상기 리일본체에 고정하고 상기 회전방지부재를 통하여 상기 일방향 클러치의 외륜을 리일본체에 대하여 회전방지 고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리일.
  2. 제 1 항에 있어서, 구름식 일방향 클러치는 구름부재를 수용유지하는 유지기를 상기 외륜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리일본체에 설치한 전환조작부재에 의하여 이에 연계하여 상기 유지기를 회전운동시켜 상기 구름식 일방향 클러치를 일방향의 회전을 허용하고 타방향의 회전을 저지하는 상태와 양방향의 회전을 허용하는 양방향회전 상태로 전환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리일.
KR10-1998-0025580A 1997-06-30 1998-06-30 낚시용리일 KR1004673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174466 1997-06-30
JP17446697A JP3515880B2 (ja) 1997-06-30 1997-06-30 魚釣用リー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486A KR19990007486A (ko) 1999-01-25
KR100467372B1 true KR100467372B1 (ko) 2005-05-20

Family

ID=15978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5580A KR100467372B1 (ko) 1997-06-30 1998-06-30 낚시용리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927630A (ko)
JP (1) JP3515880B2 (ko)
KR (1) KR1004673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40425B (en) 1999-07-14 2001-06-16 Shimano Kk Rotor drive for spinning reel and spinning reel
US6152389A (en) * 1999-12-10 2000-11-28 Brunswick Corporation Fishing reel clutch
US6568516B2 (en) 2000-08-03 2003-05-27 U.S. Reel - Missouri, L.L.C. Switchable clutch
JP5366642B2 (ja) * 2009-04-28 2013-12-11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JP6374643B2 (ja) * 2013-07-26 2018-08-15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6395383B2 (ja) * 2014-01-23 2018-09-26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
JP7049795B2 (ja) * 2017-09-29 2022-04-07 株式会社シマノ 魚釣用リール
JP2023149351A (ja) * 2022-03-31 2023-10-13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23149353A (ja) * 2022-03-31 2023-10-13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23149352A (ja) * 2022-03-31 2023-10-13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JP2024032092A (ja) * 2022-08-29 2024-03-12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及び、一方向クラッチ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199405A (en) * 1966-07-14 1970-07-22 Hyman Policansky Improvements in Fishing Reels.
US5570851A (en) * 1990-02-02 1996-11-05 Daiwa Seiko, Inc. Reverse rotation preventing mechanism in spinning reel for fishing
DE69126445T2 (de) * 1990-02-02 1997-09-25 Daiwa Seiko Inc Rücklaufsperre für Angelrollen
EP0573992B1 (en) * 1992-06-11 2000-03-15 Daiwa Seiko Inc. Reversal preventive device
JPH065467A (ja) * 1992-06-24 1994-01-14 Nec Corp 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
JP2585179Y2 (ja) * 1992-09-11 1998-11-11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
JP2544753Y2 (ja) * 1992-11-30 1997-08-20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の逆転防止装置
KR970000348B1 (ko) * 1993-06-16 1997-01-08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액정투영기용 액정패널
JPH0718568A (ja) * 1993-06-29 1995-01-20 Wako Giken Kk ポリエステル繊維編織物の減量加工法
JP3006528U (ja) 1994-07-11 1995-01-24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ルの逆転防止装置
US5779171A (en) * 1994-10-31 1998-07-14 Seitz Corporation Overriding clutch with reverse rotation prevention switch
JP3012344U (ja) 1994-12-13 1995-06-13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の逆転防止装置
US5605299A (en) * 1995-12-11 1997-02-25 Abu Ab Open-face fishing reel of the fixed-spool type having a disconnectible free-wheeling hub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18638A (ja) 1999-01-26
KR19990007486A (ko) 1999-01-25
JP3515880B2 (ja) 2004-04-05
US5927630A (en) 1999-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7372B1 (ko) 낚시용리일
JP4792033B2 (ja) 工具取付け部、アダプタおよび工具取付け部とアダプタとを備えたシステム
JPH0727082Y2 (ja) 回転式ハンドツールのラチェット機構収納構造
JP2008241044A (ja) ラチェットワンウェイクラッチ組立体
JPH0227082B2 (ko)
KR920001213B1 (ko) 스타터 모터의 피니언 스토퍼장치
EP1767296B1 (en) Locking drill chuck
US7637510B2 (en) Chuck with gripping mechanism stop
KR100671948B1 (ko) 양 베어링 릴의 제동장치
KR910001098Y1 (ko) 탭 호울더
GB2295347A (en) Hammer drill and/or percussion hammer
JP2002262733A (ja) 魚釣用リールの逆転防止装置
JPH0228893Y2 (ko)
JP2711948B2 (ja) 軸等の固定構造
JP4004225B2 (ja) 連結装置
US20060040750A1 (en) Shaft coupling assembly
US3454145A (en) Friction coupling device for a sewing machine
JPS6216297Y2 (ko)
JP2003089071A (ja) 回転工具のビット取付装置
JP4363583B2 (ja) リールシート
JPH08121560A (ja) 回転阻止機構およびこの機構を用いたアクチュエータ
JP3388701B2 (ja) 遊技球発射装置
JP2002320430A (ja) 魚釣用リール
US6662922B2 (en) Shaft-hub-connection
JP3233774B2 (ja) 溶接電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