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5110B1 - 덮개용 셔터 - Google Patents

덮개용 셔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5110B1
KR100465110B1 KR10-2002-0035302A KR20020035302A KR100465110B1 KR 100465110 B1 KR100465110 B1 KR 100465110B1 KR 20020035302 A KR20020035302 A KR 20020035302A KR 100465110 B1 KR100465110 B1 KR 100465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guide groove
main body
opening
f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5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5164A (ko
Inventor
후쿠오미치히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30025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5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5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51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21S8/08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with lighting device attached sideways of the standard, e.g. for roads and highw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6Rotors
    • F03D3/061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aerodynamic shape, e.g. aerofoil prof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21S9/037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the solar unit and the lighting unit being located within or on the same ho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4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generator
    • F21S9/04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generator driven by wind power, e.g. by wind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0Pendants, arms, or standards; Fixing lighting devices to pendants, arms, or standards
    • F21V21/116Fixing lighting devices to arms or stand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2PV systems with concent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4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과제) 가이드홈의 곡률이 커지는 상태라도, 셔터의 강성, 외관특성, 슬라이드성 등을 보다 최량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셔터가 세로배치인 경우라도 임의위치에서 유지되도록 하여 적용용도를 확대가능케 한다.
(해결수단) 슬라이드방향으로 굴곡가능하게 형성된 수지성형품으로 이루어지며, 장치측 수용부의 개구의 양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형성된 만곡부를 가지는 가이드홈(6)에 끼워맞춰지며,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서 슬라이드되어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덮개용 셔터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발명의 셔터(10)는, 복수의 박육부(12)를 통해서 굴곡되는 본체(11) 및 이 본체의 양측에 형성되며 가이드홈(6)에 끼워맞춰지는 다수의 돌기(13)로 구성됨과 아울러, 돌기(13)가 본체(11)의 측면에 단차를 가지고 본체보다 하측에 형성되며, 또한 상기 단차가 상기 만곡부에서 굴곡될 때의 상기 본체(11)의 굴곡 라인(R2)이 상기 가이드홈(6)의 홈폭보다 위로 벗어나도록 설정되어 있다.

Description

덮개용 셔터{Shutter for cover}
본 발명은 슬라이드방향으로 굴곡가능한 덮개용 셔터에 관한 것이다.
덮개용 셔터는, 도 9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장치측 수용부의 개구(開口)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형성된 가이드홈으로 안내되면서 슬라이드되어 수용부의 개구를 개폐하는 것이다. 도 9(a)는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소54-33442호의 것으로서, 장치(50)의 상측개구를 셔터(53)로 개폐하는 구조이다. 즉, 장치(50)는, 상측으로 개구된 수용부(51a)를 형성하고 있는 용기체(51)와, 용기체(51)를 위에서 덮는 개구(52a)를 가지는 커버(52) 등으로 이루어지며, 용기체(51) 및 커버(52)와의 사이에 셔터(53)의 슬라이드를 안내하는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있다. 셔터(53)는, 두께가 얇은 부분(54a)을 통해서 굴곡가능하게 형성된 본체(54)와, 본체(54)의 양측에 돌출된 다수의 돌기(55)를 가지며, 이 돌기(55)가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맞춰져서 수용부(51a)의 상측개구를 막는 폐쇄위치에서, 수용부(51a)에 방해가 되지 않는 도면의 좌하측으로 슬라이드되어 열림위치가 된다. 도 9(b)는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7-82967호의 것으로서, 장치(56)의 앞측 개구를 셔터(58)로 개폐하는 구조이다. 즉, 장치(56)는, 앞측을 개구시킨 수용체(57)로서, 개구 양 가장자리부에 상하방향의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있다. 셔터(58)는, 상하면을 복수의 연결편으로 연결하여 판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면 또는 하면에 다수의 절결홈을 형성함으로써 굴곡가능하게 한 구성으로서, 양측이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맞춰져서 용기체(57)의 전면(前面)개구를 막는 폐쇄위치에서 상측내면측으로 슬라이드되어 열림위치가 된다. 도 9(c)는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8-192685호의 것으로서, 장치(59)의 상측 개구를 셔터(61)에 의해서 개폐하는 구조이다. 이 장치(59)는, 상측이 개구된 용기체(60)로서, 개구의 양 가장자리부에 가이드홈(62)을 형성하고 있다. 셔터(61)는, 하측 심재 및 상측 표피의 2층으로 이루어지며, 양측에 다수의 돌기 및 젖혀짐방지편(61a)을 가지며, 이 돌기 및 젖혀짐방지편(61a)이 가이드홈(62)에 끼워맞춰져서 용기체(60)의 상측 개구를 막은 폐쇄위치에서, 용기체(60)에 방해가 되지 않는 도면의 우하측으로 슬라이드되어 개방위치가 된다.
상기 셔터는 모두 수지성형품으로서, 셔터를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전환하는 경우, 셔터를 장치측의 방해가 되지 않는 개소로 슬라이드시켜 피하도록 하기 때문에, 가이드홈이 만곡부(만곡부에 상당하는 안내부를 포함한다)를 가지며, 셔터 본체가 상기 만곡부를 따르도록 굴곡가능하게 되어 있다. 설계상은, 외관특성이나 가공성과 아울러 셔터를 덜컹거림없이 슬라이드하거나, 가이드홈에 있어서의 만곡부에서의 굴곡성 및 양호한 슬라이드성을 어떻게 향상시킬까가 과제가 된다. 이것은, 가이드홈의 곡률이 커질수록 슬라이드시에 강한 힘을 필요로 하거나, 역으로,상기 가이드홈과 돌기와의 끼워맞춤을 느슨하게 설정하면 덜컹거림이 발생하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본 출원인은 이상의 배경으로부터, 종래 셔터의 작동특성에 대해서 검토해왔다. 도 5(b), 도 5(c)는 종래 셔터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에 대한 셔터 본체와 돌기의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부호 64는 장치측의 개구의 양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대략 ㄷ자형상의 가이드홈이다. 부호 65와 67은 셔터의 본체이다. 본체(65)는 상하면에 폭방향의 오목소를 통해서 두께가 얇은 부분(65a)(이하, 박육부라 한다)을 형성하고, 본체(67)는 상면에 폭방향의 오목소를 통해서 박육부(67a)를 형성하고 있다. 부호(66)는 본체(65)의 양측면에 돌출형성된 대략 반원형상의 돌기이며, 부호 68은 본체(67)의 양측면에 돌출형성된 원형상의 돌기이다. 각 도면은 가이드홈(64)이 만곡부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셔터의 슬라이드력은, 돌기(66) 또는 돌기(68)가 만곡부를 따를 때에 받는 반력과, 본체(65 또는 67)가 박육부(65a나 67a)를 통해서 굴곡될 때의 반력의 합에 비례한 크기가 된다. 종래 구조에서는, 돌기(66,68)를 본체(65,57)의 측면과 대략 평행하게 돌출시키고 있기 때문에 본체(65,67)가 가이드홈(64)의 ㄷ자형의 홈폭내에 거의 수납되어 있으며, 만곡부에서 굴곡될 때의 굴곡라인(R)이 모두 본체와 각 돌기에서 거의 일치하고 있다. 이 결과, 슬라이드성은, 본체(65,67)가 돌기(66,68)로부터 받는 응력에 의해서 굴곡되기 어렵거나, 본체(65,67)의 굴곡변형시의 반력을 돌기(66,68)가 받아들이기 쉬워지는 등의 요인에 의해서 나빠져 있었다. 또, 종래품은, 본체가 박육부를 포함하여 같은 재질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의 강성을 유지하면서 박육부의 굴곡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박육부에 대응하는 오목소가 커서 외관을 손상시키기 쉽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과 같은 과제를 해소하고, 가이드홈의 곡률이 커지는 상태라도, 셔터의 강성, 외관특성, 슬라이드성을 보다 최량으로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셔터가 세로배치인 경우라도 임의위치에서 유지되도록 하여 적용용도를 확대가능케 하는데에 있다. 다른 목적은 이하에 설명하는 내용중에 순차적으로 분명히 해 갈 것이다.
도 1은 형태예의 셔터에 대해서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셔터의 성형공정을 설명하는 모식 구성도
도 3은 도 1의 셔터를 확대한 부분 단면도
도 4는 도 1의 F부를 확대한 요부 사시도
도 5는 상기 셔터작동을 종래예와 함께 나타내는 모식 원리도
도 6은 상기 셔터를 장치에 적용한 예를 나타내는 개략 외관도
도 7은 도 6의 셔터를 폐쇄위치까지 슬라이드시킨 외관도
도 8은 도 6의 장치를 단면한 모식 단면도
도 9는 종래 셔터의 3가지 예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장치(2는 수용부, 5a는 개구 가장자리부, 6은 가이드홈)
10 - 셔터 11 - 본체(12는 박육부)
13 - 돌기 15, 16 - 맞닿음부
15a - L형의 수평부 15b - L형의 수직부
17 - 소 볼록부 R, R1, R2 - 굴곡라인
HP - 경질 수지부 SP - 연질 수지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의 발명은, 도 1이나 도 5 등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방향으로 굴곡가능하게 형성된 수지성형품으로 이루어지며, 장치측 수용부의 개구의 양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형성된 만곡부를 가지는 가이드홈(6)에 끼워맞춰지며,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서 슬라이드되어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덮개용 셔터에 있어서, 상기 셔터(10)는, 복수의 박육부(12)를 통해서 굴곡되는 본체(11) 및 이 본체의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6)에 끼워맞춰지는 다수의 돌기(13)로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돌기(13)가 상기 본체(11)의 측면에 단차를 가지고 본체보다 하측에 형성되며, 또한 상기 단차가 상기 만곡부에서 굴곡될 때의 상기 본체(11)의 굴곡라인(R2)이 상기 가이드홈(6)의 홈폭보다 위로 벗어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청구항 2의 발명은, 도 1에서 도 3 등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발명의 전제요건을 구비한 덮개용 셔터에 있어서, 상기 셔터(10)는, 복수의 박육부(12)를 통해서 굴곡되는 본체(11) 및 본체(11)의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6)에 끼워맞춰지는 다수의 돌기(13)로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11) 및 상기 돌기(13)가 폭방향으로 연장되며 슬라이드방향으로 간격을 유지하여 배치된 다수의 대략 편형상의 경질 수지부(HP)와, 상기 각 경질 수지부(HP)의 의장면을 덮은 상태로 경질 수지부끼리를 접속하고 또한 경질 수지부간의 사이에 상기 박육부(12)를 형성하고 있는 연질 수지부(SP)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상의 셔터구조에 있어서, 전자의 발명은, 도 5(a)와 (b), (c)와의 대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체(11) 및 돌기(13)의 상대적인 위치관계를 생각하여, 돌기(13)를 본체(11)의 측면에 단차를 가지고 하측에 위치시키고, 또한, 가이드홈(6)의 만곡부에서 굴곡될 때의 본체(11)의 굴곡라인(R2)이 상기 단차에 의해서 가이드홈(6)의 홈폭보다 위로 벗어나도록 하였기 때문에 가이드홈(6)의 만곡부의 곡률이 커져도 슬라이드특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것은, 본체(11)의 굴곡라인(R2)을 돌기(13)끼리 그리는 굴곡라인(R1)보다 크게 하고, 동시에 돌기(13)와 본체(11) 및 인접하는 박육부(12)와의 사이의 거리를 확보하는 것등에 의해서, 본체(11)가 대응돌기(13)를 지점으로 굴곡되기 쉬워져서 돌기(13)가 본체(11)의 굴곡변형시의 반력을 받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이것에 반해서, 후자의 발명은, 종래 셔터가 경질수지구성, 연질수지구성, 내면이 경질이고 외면이 연질인 2층구성인 것중의 하나로서, 본체강성과 굴곡성이라는 상반되는 특성을 만족시키기 어려웠던 것에 반해, 폭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슬라이드방향으로 간격을유지하여 배치된 다수의 대략 편형상의 경질 수지부(HP)끼리를 접속시키고 또한 경질 수지부간의 사이에 박육부(12)를 형성하고 있는 연질 수지부(SP)로 구성함으로써, 본체강성 및 돌기강성, 굴곡특성을 만족시키고, 또한 박육부(12)에 대응한 오목소(노치나 홈과 같음)를 작게 하여 외관특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이상의 각 발명은 청구항 3에서 청구항 5와 같이 구체화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ㆍ첫째, 상기 돌기(13)가 대략 L형을 이루며, 이 L형의 수평부(15b)의 상하면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6)의 대략 ㄷ자형의 대향내면에 각각 접하는 대략 호형상의 맞닿음부(15,16)를 가지고 있는 구성이다. 이것은, 돌기(13)가 상하면 모두 대략 원호형상의 맞닿음부(15,15)를 통해서 가이드홈(6) 내에 접함으로써, 슬라이드시의 마찰력을 줄이거나 안정된 움직임을 유지하기 쉽게 한다.
ㆍ둘째, 상기 맞닿음부 중, 상기 돌기(13)의 상면측의 맞닿음부(15)가 공동 또는 절결된 상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가이드홈(6)을 따라서 슬라이드되는 셔터(10)를 임의의 위치에서 유지가능하게 하고 있는 구성이다. 이것은, 가이드홈(6)과 돌기(13) 등과의 끼워맞춤도를 강하게 해서 임의의 위치에서 유지가능토록 하면 슬라이드특성이 나빠지기 때문에 궁리된 것으로서, 공동 또는 절결된 탄성부(15)의 존재에 의해서 슬라이드특성을 유지하면서 실현을 용이하게 한 점에 의의가 있다.
ㆍ셋째, 상기 돌기(13)는, 선단면으로 돌출형성된 소 볼록부(17)를 가지며, 상기 대응하는 가이드홈(6)에 끼워맞춰진 상태에서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있는 ㄷ자형의 중간내면에 상기 소 볼록부(17)를 통해서 점접(点接)가능하게 되어 있는 구성이다. 이것은, 돌기(13)가 소 볼록부(17)에 의해서 ㄷ자형의 중간내면에 점접되도록 하여, 본체폭방향의 덜컹거림을 방지하고, 또한 슬라이드시의 마찰저항을 줄여서 슬라이드특성을 유지하기 쉽게 한 것이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셔텨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a)는 위에서 본 상면 반체도, (b)는 측면도, (c)는 이면에서 본 하면 반체도이다. 도 2는 상기 셔터의 성형방법에 있어서 경질 수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 1에 대응한 도면으로서, (a)는 상면 반체도, (b)는 측면도, (c)는 하면 반체도이다. 도 3은 상기 셔터의 세부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a)는 도 1(a)의 A-A선에 따른 좌측의 확대단면도, (b)는 도 1(b)의 B-B선 단면도, 도 3(c)는 도 1(b)의 C-C선 단면도, (d)는 도 1(b)의 D-D선 단면도, (e)는 도 1(b)의 E-E선 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1(a)의 F부를 가이드홈과 아울러 확대한 요부확대도, 도 4(b)는 도 4(a)의 상태를 이면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5(a)는 상기 셔터작동을 종래예와 비교하여 나타내는 원리모식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상기 셔터를 적용한 장치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6은 셔터를 개방위치로 하여 나타내는 개략외관도, 도 7은 셔터를 폐쇄위치로 하여 나타내는 개략 외관도, 도 8은 셔터작동을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우선, 형태예의 셔터구조 및 그 주작동을 상술한 후, 상기 셔터의 적용예 및 세부작동에 대해서 언급할 것이다.
(셔터구조) 상기 셔터(10)는, 도 6 내지 도 8의 장치(1)의 수용부(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립되며 수용부(2)의 개구를 개폐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예로서, 전체가 대략 직사각형의 판형상의 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져 있다. 구조적으로는, 도 1과 같이 박육부(12)를 통해서 슬라이드방향으로 굴곡되는 본체(11)와, 이 본체(11)의 양측에 형성된 다수의 돌기(13)와, 돌기(13)의 상하면 또는 표면에 형성된 맞닿음부(15 및 16)와, 돌기(13)의 단면(端面)에 형성된 소 볼록부(17)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본체(11)는, 판폭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박육부(12)를 통해서 굴곡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도 6과 같이 수용부(2)의 개구의 위에서부터 내측 바닥면(21)의 약간 위까지를 거의 덮는 길이의 치수이고, 또한, 판폭이 양 가이드홈(6)을 형성하고 있는 양측의 개구 가장자리부(5a) 사이의 치수보다 약간 작게 설정되어 있다. 본체(11)에는, 선단측에 있어서 외면측으로 1단(段) 돌출된 손잡이부(11a)와, 내면측에 있어서 양측의 돌기(13)와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된 보강리브(11b)와, 손잡이부(11a)와 반대측으로 1단 돌출된 스토퍼(11c) 등이 형성되어 있다.
돌기(13)는, 본체(11)의 양측에 있어서, 박육부(12)간의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돌기(13)는, 도 4와 같이 본체(11)의 내면에 연결된 대략 L형을 이루는 것이며, L형의 수직부(15a)에 상당하는 분만큼 본체(11)에 대해서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L형의 수평부(15b)에는, 홈(14)이 형성되며, 이 홈(14)보다 선단측이 가이드홈(6)과 끼워맞춤되는 부분이다. 이 부분에는, 상하면에 맞닿음부(15,16)가 형성되어 있다. 맞닿음부(15)는, 외측에 배치되는 상면에 형성되며 내부 공동(空洞)의 돔형상을 이루므로 탄성변형이 풍부하다. 맞닿음부(16)는, 내측에 배치되는 하면에 형성되며 원호형상으로 되어 있다. 소 볼록부(17)는, 수평부(15b)의 단면(端面)에 있어서 전후 중간에 형성되며, 높이적으로 맞닿음부(15)와 맞닿음부(16)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각 돌기(13)가 맞닿음부(15,16)를 통해서 가이드홈(6)의 ㄷ자형의 홈 내에 끼워맞춰져서 배치되면, 소 볼록부(17)가 가이드홈(6)의 ㄷ자형의 중간 내면에 점접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각 돌기(13)는, 도 1의 좌측의 돌기(13)를 제외하고 거의 같은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2개소가 돌기(13)를 대신하여 혀형상의 입벽부(立壁部)(18)가 형성되어 있다. 이 입벽부(18)에는 부착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양측의 입벽부(18)에는, 보강리브용 샤프트(19)가 장착되어 있다. 단, 입벽부(18) 및 샤프트(19)는 생략하고 돌기(13)로 형성되는 경우도 있다.
이상의 셔터(10)는, 2색성형법에 의해서 작성된 것으로서, 재질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경질 수지에 의해서 1차성형시에 형성된 부분이고, 도 1과 도 3은 도 2의 상태에서 연질 수지에 의해서 2차성형된 것이다. 도 3에서는 점이 찍힌 부분이 일차성형의 경질 수지부(HP)를 나타내는 것이며, 점이 찍히지 않은 부분이 2차성형의 연질 수지부(SP)를 나타내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1차성형에서는, ABS(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중합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경질 수지소재가 이용되며, 보강리브(11b) 및 돌기(13)에 대응하는 예비돌기(13a)를 형성하고 있는 복수(13개)의 대략 편형상의 경질 수지부(HP1), 보강리브(11b) 및 입벽부(18)에 대응하는(2개의) 대략 편형상의 경질 수지부(HP2), 손잡이부(11a)에 대응하는 예비 손잡이부(11d) 및 스토퍼(11c)에 대응하는 대략 편형상의 경질 수지부(HP3)가 형성된다. 이 경우, 도 2와 도 1의 비교에서 알수 있듯이, 경질 수지부(HP1)에서는, 보강리브(11b)를 얇고 긴 심판(芯板)위에 돌출시키고, 이 심판의 양측에 대략 L형의 예비돌기(13a)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경질 수지부(HP2)에서는, 보강리브(11b)를 얇고 긴 심판위에 돌출시키고, 이 심판의 양측에 부착구멍을 가지는 입벽부(18)를 일체로 돌출시키고 있다. 경질 수지부(HP3)에서는, 예비 손잡이부(11d) 및 스토퍼(11c), 선단의 보강리브(11b) 및 예비 돌기(13a)를 얇고 상대적으로 넓은 심판의 상하와 선단측에 일체로 돌출시키고 있다.
상기 경질 수지부(HP1∼HP3)는 금형 내에서 형성된 후 2차성형된다. 2차성형에서는,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또는 폴리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 등의 연질수지소재가 이용되며, 연질 수지부(SP)에 의해서 각 경질 수지부(HP1∼HP3)의 의장면(意匠面)(상면측)을 덮은 상태로 경질 수지부(HP1∼HP3)를 접속시키고, 또한, 경질 수지부(HP1∼HP3)간의 사이에 박육부(12)를 형성하게 된다. 이 때문에, 상기 셔터(10)는, 도 3과 같이 상기한 경질 수지부(HP1∼HP3)를 제외한 부분, 구체적으로는 본체(11)의 상면(표면)측 및 각 박육부(12)를 형성하고 있는 부분, 돌기(13)의 상면(표면) 및 양측면과 선단면부분, 맞닿음부(15) 및 소 볼록부(17)가 연질 수지로 형성된 연질 수지부(SP)를 이룬다.
(주작동) 이상의 셔터(10)는, 도 4와 5(a)와 같이 가이드홈(6)에 대해서 각 돌기(13)의 맞닿음부(15,16)가 ㄷ자형의 대향면에 각각 점접하고, 소 볼록부(17)가 ㄷ자형의 중간 내면에 점접한다. 이 때문에, 본 구조에서는, 가이드홈(6)이 도5(a)와 같이 만곡되어 있더라도 종래품에 비해서 부드럽게 슬라이드되므로 슬라이드특성이 우수하다. 이유는, 박육부(12)가 굴곡성이 풍부한 힌지구조인 것과, 돌기(13)가 본체(11)에 대해서 L형의 수직부(14a)에 상당하는 분만큼 단차를 가지고 있는 단차구조인 것과, 맞닿음부(15)가 변형작용이 풍부한 돔구조인 것 등에 기인하고 있다. 즉, 힌지구조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본체(11)의 구성으로서 연질 수지부(SP)가 다수의 편형상의 경질 수지부(HP)의 상면측을 덮어서 접속시키고, 또한 경질 수지부(HP)간의 사이에 박육부(12)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전체의 강성을 경질 수지부(HP)에 의해서 충족시키면서 박육부(12)의 굴곡성을 연질 수지부(SP)의 개소에 의해서 설계대로 얻어지도록 한다. 단차구조는, 도 5(a)와 같이 돌기(13)가 대략 L형으로 형성되며, 가이드홈(6)에 끼워맞춰지는 L형의 수평부(15b)가 본체(11)에 대해서 단차 즉 본체(11)의 하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가이드홈(6)의 만곡부에서 굴곡될 때의 본체(11)의 굴곡라인(R2)이 상기 단차에 비례하여 가이드홈(6)의 홈폭보다 위(도 5의 외측)로 벗어나도록 한다. 요는, 본체(11)의 굴곡라인(R2)이 각 돌기(13){맞닿음부(15,16)}의 굴곡라인(R1)보다 커(R2>R1)지도록 하고, 또한, 돌기(13){맞닿음부(15,16)}와 본체(11) 및 인접하는 박육부(12)와의 사이의 거리를 확보하는 것등에 의해서, 본체(11)를 인접하는 돌기(13)를 지점으로 하여 굴곡되기 쉽게 하고, 또한 본체(11)의 굴곡변형시의 반력을 돌기(13){맞닿음부(15,16)}에 부가하기 어렵게 했기 때문이다. 돔구조는, 맞닿음부(15)가 연질 수지부(SP)로 형성되며, 게다가 내부공동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홈(14)에 의해서 구획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변위가 풍부하며, 가이드홈(6)의 곡률이 커져도맞닿음부(15)의 돔형상의 탄성변위에 의해서 슬라이드저항을 줄이기 쉽게 한다.
(셔터의 용도예) 이어서, 이상의 셔터(10)를 장치(1)에 조립한 사용장치에서의 이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장치(1)는, 도 6 내지 도 8과 같이 상측 및 전측을 개구시킨 수용부(2)를 가지며, 이 수용부(2)의 개구를 상기 셔터(10)에 의해서 개폐하는 구조로서, 차실내의 실내벽이나 도어의 내측 돌출부분, 콘솔 등의 기립벽에 부착된다. 구성부재는, 수용부(2)를 형성하고 있는 상하반체(3,4)와, 양측판부(5)와, 셔터(10)로 이루어져 있다. 수용부(2)는, 상하반체(3,4)에 의해서 배면 및 내측면을 형성하고 있음과 아울러, 상하반체(3,4)와 양측판부(5)에 의해서 소정크기의 수용공간을 구획하고, 앞측 및 상측을 개구한 상태로 되어 있으며, 양측판부(5)의 개구 가장자리부(5a)(판폭방향의 전측 및 하측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형성되는 가이드홈(6)을 가지고 있다. 부호 3c는 가로홈형상의 투시구멍으로서, 이 투시구멍(3c)은 이면측에 부설되는 유니트 램프의 빛을 받아들인다. 부호 3d는 상반체(3)의 하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하반체(4)와 접속하기 위한 플랜지부이다. 하반체(4)는 하측에 형성된 유지부(7)를 가지고 있다. 이 유지부(7)는, 수용부(2)의 내저면을 형성하고 있는 평탄벽(21)과, 평탄벽(21)에 개구된 상태로 형성된 2개의 바닥을 가지는 통형상부(22) 등으로 이루어진다. 평탄부(21)는, 앞측이 배면측보다 약간 아래에 변위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각 통형상부(22)는 원통형상을 이루며, 양 통형상부(22)의 사이는 절결부를 통해서 연이어 통하게 되어 있다. 각 통형상부(22)의 통내 하측에는, 도 8(b)와 같이 제 1 및 제 2 바닥받이부(25,26)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바닥받이부(25)는, 통형상부(22)의 내경보다 작은 원형이며통내의 최하면, 즉 수평형 받이면을 형성하고 있다. 제 2 바닥받이부(26)는, 통형상부(22)의 내경과 거의 같은 원형이며 또한 배면측에서 전측을 향해서 하향이 되도록 경사진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반해, 양 측판부(5)는, 좌우대칭형상으로, 앞측 및 하측이 만곡형상으로 되어 있음과 아울러, 개구 가장자리부(5a)에 가이드홈(6)을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각 측판부(5)의 상하치수는, 상기 상하에 접속되는 상하반체(3,4)의 대응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이어 형성되는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가이드홈(6)은, 단면 대략 ㄷ자형을 이루며, 개구 가장자리부(5a)에 맞춰서 만곡되며, 또한, 상단측이 배면측으로 연장되며 상측홈단이 규제벽(6a)에 의해서 폐쇄되며, 하단측이 배면측으로 연장되고 하측홈단이 개방되어 있다. 가이드홈(6) 중, 규제벽(6a)의 약간 앞에는 규제 볼록부(6b)가 홈내로 돌출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사용예 및 작동) 이상의 장치(1)는, 수용부(2)가 셔터(10)의 슬라이드조작에 의해서 개폐된다. 셔터(10)는, 도 6과 도 8(a)와 같이 최대개방위치(모두 개방된 상태의 것)로부터 도 7의 폐쇄위치까지 슬라이드되며, 또한, 도 8(b)와 같이 최대개방위치와 폐쇄위치와의 사이의 임의의 개소(임의의 위치)에서 유지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최대개방위치에서는, 스토퍼(11c)가 평탄벽(21)에 맞닿아서 셔터(10)의 하측이동을 규제한다. 또, 셔터(10)는, 가이드홈(6)에 대해 각 돌기(13)의 맞닿음부(15,16)가 ㄷ자형의 대향면에 각각 접하고, 또한 소 볼록부(17)가 ㄷ자형의 중간 내면에 점접하고 있기 때문에, 가이드홈(6)이 만곡되고 있더라도 상기한 박육부(12)의 힌지구조와 상기한 맞닿음부(15)의 돔구조의 작동 등에 따라서 부드럽게 슬라이드되며, 또한 진동을 받아도 덜컹거림이 없다. 이 경우, 셔터(10)는, 사람이 손잡이부(11a)로 임의의 위치까지 슬라이드조작한 후, 손잡이부(11a)에서 손을 떼도, 맞닿음부(15,16)가 ㄷ자형의 대향면에 각각 접하고, 또한 맞닿음부(15)의 돔구조에 의해서 탄성변위가 풍부하기 때문에, 가이드홈(6)에 탄성적으로 유지된다. 셔터(10)는, 도 8(b)로부터 다시 상측으로 슬라이드되면, 대응돌기(13){셔터(10)의 선단측에 있는 돌기(13)}가 가이드홈(6)의 규제 볼록부(6b)를 탄성변위하면서 통과한 후, 규제벽(6a)에 닿아서 걸리며, 수용부(2)의 개구를 완전히 폐쇄한 폐쇄위치로 유지된다. 이 유지력은, 규제 볼록부(6b)와 아울러 맞닿음부(15)의 탄성력도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과대한 진동을 받아도 셔터(10)의 부주의한 하측이동이 확실하게 저지된다. 그리고, 본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셔터(10)를 임의의 위치 또는 최대열림위치로 하고, 작은 물건이나 휴대전화 등을 통형상부(22)에 넣어두면 언제라도 편하게 꺼낼 수 있으며, 도 8(a)와 같이 종이컵(K1)이나 소형캔류(K2) 등을 제 1 바닥받이부(25)위에 얹어놓거나, 도 8(b)의 예와 같이 대형캔류(K3)나 병(K4) 등을 제 2 바닥받이부(26) 위에 얹어놓을 수 있다. 이 경우, 셔터(10)를 도 8(b)의 예와 같이 최대개방위치에서 조금 위로 슬라이드해 두면, 길이가 긴 캔류(K3)나 병(K4)일 경우에, 하측 주위가 통형상부(22)의 내측둘레에 의해서 지지될 뿐만 아니라, 상측 주위가 셔터(10)의 선단 가장자리부에 의해서 지지되므로 보다 안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사용상의 편리성은, 상측이 개구된 장치에 대해서 가로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물품을 출입할 수 있으므로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은, 이상의 형태예로 제약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범위에서 각종 변형가능한 것이다. 또, 용도적으로는, 예를 들어, 도 9의 각 장치, 또는 그와 유사한 장치라도 아무 지장이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덮개용 셔터에 의하면, 청구항 1에서는, 돌기가 본체에 단차를 가지고 하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가이드홈에서 굴곡될 때의 본체의 굴곡라인이 상기 단차에 의해서 가이드홈의 홈폭보다 외측둘레측으로 벗어나도록 하고, 돌기와 본체 및 인접하는 박육부와의 사이의 거리를 확보한 것 등에 의해서, 가이드홈의 만곡부의 곡률이 커져도 슬라이드특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청구항 2에서는, 본체강성 및 돌기강성을 만족시키면서, 박육부를 편형상의 경질 수지부간의 사이에 있는 연질 수지부의 부분에 형성했기 때문에, 본체의 굴곡특성을 양호하게 하고, 또한 박육부에 대응하는 오목소(노치나 홈과 같음)를 작게 하여 외관특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결과, 본 발명품은 이러한 종류의 셔터의 용도 즉 적용분야를 확대할 수 있다.

Claims (5)

  1. 슬라이드방향으로 굴곡가능하게 형성된 수지성형품으로 이루어지며, 장치측 수용부의 개구의 양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형성된 만곡부를 가지는 가이드홈에 끼워맞춰지고,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서 슬라이드되어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덮개용 셔터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복수의 박육부를 통해서 굴곡되는 본체 및 이 본체의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맞춰지는 다수의 돌기로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돌기가 상기 본체의 측면에 단차를 가지고 본체보다 하측에 형성되며, 또한 상기 단차가 상기 만곡부에서 굴곡될 때의 상기 본체의 굴곡라인이 상기 가이드홈의 홈폭보다 위로 벗어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용 셔터.
  2. 슬라이드방향으로 굴곡가능하게 형성된 수지성형품으로 이루어지며, 장치측 수용부의 개구의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형성된 만곡부를 가지는 가이드홈에 끼워맞춰지고,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서 슬라이드되어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덮개용 셔터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복수의 박육부를 통해서 굴곡되는 본체 및 이 본체의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맞춰지는 다수의 돌기로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 및 상기 돌기가 폭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슬라이드방향으로 간격을 유지하여 배치된 다수의 대략 편형상의 경질 수지부와, 상기 각 경질 수지부의 의장면을 덮은 상태로 경질 수지부끼리를 접속시키고 또한 경질 수지부간의 사이에 상기 박육부를 형성하고 있는 연질 수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용 셔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돌기가 대략 L자형을 이루며, 이 L자형의 수평부의 상하면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의 대략 ㄷ자형의 대향 내면에 각각 접하는 대략 호형상의 맞닿음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용 셔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부 중, 상기 L자형의 상면측의 맞닿음부가 공동 또는 절결상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서 슬라이드되는 셔터를 임의의 위치에서 유지가능하게 하고 있는 덮개용 셔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선단면에 돌출형성된 소 볼록부를 가지며, 상기 대응하는 가이드홈에 끼워맞춰진 상태에서 가이드홈을 형성되고 있는 ㄷ자형의 중간내면에 상기 소 볼록부를 통해서 점접(点接)가능하게 되어 있는 덮개용 셔터.
KR10-2002-0035302A 2001-09-19 2002-06-24 덮개용 셔터 KR1004651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84388 2001-09-19
JP2001284388A JP4680452B2 (ja) 2001-09-19 2001-09-19 扉用シャッタ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5164A KR20030025164A (ko) 2003-03-28
KR100465110B1 true KR100465110B1 (ko) 2005-01-06

Family

ID=19107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5302A KR100465110B1 (ko) 2001-09-19 2002-06-24 덮개용 셔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680452B2 (ko)
KR (1) KR1004651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26707B2 (en) 2017-06-27 2021-02-23 Shanghai Yanfeng Jinqiao Automotive Trim Systems Co. Ltd. Vehicle interior compon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94592B2 (ja) 2004-08-23 2008-06-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扉装置
JP2006140116A (ja) * 2004-11-15 2006-06-01 Ishiguro Seisakusho:Kk コンセントホルダ、カセット式コードストッパおよびコンセント装置
JP4498110B2 (ja) * 2004-11-29 2010-07-07 株式会社ニフコ 扉用シャッター
JP4566053B2 (ja) * 2005-04-07 2010-10-20 株式会社ニフコ シャッター及び小物入れ装置
JP4657092B2 (ja) * 2005-11-28 2011-03-23 株式会社ニフコ スライド型扉
JP4836698B2 (ja) * 2006-07-19 2011-12-14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蓋装置及び収納装置
JP5031331B2 (ja) * 2006-11-15 2012-09-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収納装置
JP5967123B2 (ja) * 2010-07-30 2016-08-10 豊田合成株式会社 シャッタ式物入れ
JP5561154B2 (ja) 2010-07-30 2014-07-30 豊田合成株式会社 シャッタ式物入れ
JP5706124B2 (ja) * 2010-09-29 2015-04-22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蓋装置及び収納装置
CN102561916B (zh) * 2010-12-10 2014-08-06 上海利富高塑料制品有限公司 门用卷帘门
KR200465899Y1 (ko) * 2011-10-17 2013-03-18 고훈종 교량의 강박스 점검구용 셔터식 출입장치
JP6366153B2 (ja) 2015-09-11 2018-08-01 株式会社ニフコ シャッタ
CN109501682A (zh) * 2018-12-25 2019-03-22 南方佛吉亚汽车部件有限公司 卷帘门导轨、汽车中控箱和卷帘门导轨的加工工艺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8517A (en) * 1977-05-24 1978-08-22 Roth American, Inc. Child's desk with slide-door and guideway therefor
US4681379A (en) * 1984-11-09 1987-07-21 Bruno Pillinini Sliding shutter door sectional wardrobe
JPH01182487A (ja) * 1988-01-14 1989-07-20 Kenzo Unno 開口構造および該構造に使用するパネル
JPH0243486A (ja) * 1988-07-31 1990-02-14 Suwan Shoji Kk パネルシャッターの開閉案内装置
JPH05280266A (ja) * 1992-03-31 1993-10-26 Sanwa Shutter Corp 建物用シヤツターカーテンのずれ止め構造
JPH0782967A (ja) * 1993-09-13 1995-03-28 San Puroto Kk シャッター扉付き収納体
JP2001107666A (ja) * 1999-10-05 2001-04-17 Hayashiguchi Kogyo Kk ロールスクリーン用のスクリーンおよびロールスクリーン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3655Y2 (ja) * 1993-04-06 1998-06-04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シャッタ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8517A (en) * 1977-05-24 1978-08-22 Roth American, Inc. Child's desk with slide-door and guideway therefor
US4681379A (en) * 1984-11-09 1987-07-21 Bruno Pillinini Sliding shutter door sectional wardrobe
JPH01182487A (ja) * 1988-01-14 1989-07-20 Kenzo Unno 開口構造および該構造に使用するパネル
JPH0243486A (ja) * 1988-07-31 1990-02-14 Suwan Shoji Kk パネルシャッターの開閉案内装置
JPH05280266A (ja) * 1992-03-31 1993-10-26 Sanwa Shutter Corp 建物用シヤツターカーテンのずれ止め構造
JPH0782967A (ja) * 1993-09-13 1995-03-28 San Puroto Kk シャッター扉付き収納体
JP2001107666A (ja) * 1999-10-05 2001-04-17 Hayashiguchi Kogyo Kk ロールスクリーン用のスクリーンおよびロールスクリーン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26707B2 (en) 2017-06-27 2021-02-23 Shanghai Yanfeng Jinqiao Automotive Trim Systems Co. Ltd. Vehicle interior compon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680452B2 (ja) 2011-05-11
KR20030025164A (ko) 2003-03-28
JP2003090186A (ja) 2003-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5110B1 (ko) 덮개용 셔터
KR100420768B1 (ko) 글러브 컴파트먼트
US20070045366A1 (en) Door shutter
US7758096B2 (en) Child seat anchor apparatus and partition trim
US10583726B2 (en) Glass run for automobile door
US7527166B2 (en) Storage apparatus
KR102052925B1 (ko) 차량용 컵홀더 장치의 커버
US11577593B2 (en) Glass run
US10434955B2 (en) Luggage compartment structure of vehicle
JP2006291510A (ja) シャッター及び小物入れ装置
KR100465121B1 (ko) 물품수용장치
US7066436B2 (en) Box device
JP2011001079A (ja) 容器用スライド式蓋構造
EP1201394A2 (en) Integral skin foam molded article
US11370362B2 (en) Vehicle storage device
KR20160128215A (ko) 용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구조
US20230008640A1 (en) Wing knob device for air vent
KR101987134B1 (ko) 물품 수용 장치 개폐용 셔터의 가이드 구조
JP2021104866A (ja) 容器の蓋体、及び容器の蓋体の組付け方法
JP3140096U (ja) ジッパースライダのカバー構造
JPH0634186Y2 (ja) ドアポケット構造
JP6371104B2 (ja) 組み付け構造及び車両用内装品
KR101987127B1 (ko) 물품 수용 장치 개폐용 셔터의 가이드 구조
KR100715106B1 (ko) 수납상자의 개폐구조 및 수납상자 유닛
JP2603526Y2 (ja) 開閉体の摺動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