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5106B1 - 수납상자의 개폐구조 및 수납상자 유닛 - Google Patents

수납상자의 개폐구조 및 수납상자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5106B1
KR100715106B1 KR1020060022791A KR20060022791A KR100715106B1 KR 100715106 B1 KR100715106 B1 KR 100715106B1 KR 1020060022791 A KR1020060022791 A KR 1020060022791A KR 20060022791 A KR20060022791 A KR 20060022791A KR 100715106 B1 KR100715106 B1 KR 100715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box
opening
belt
shaped material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2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8336A (ko
Inventor
노리마사 나가사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60098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83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5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5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20Non-removable lids or covers linearly slid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과제) 개폐덮개의 외관 향상을 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수납방향에 있어서의 사용공간의 길이를 최대한 작게 할 수 있는 수납상자 유닛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띠형상재 수납상자부(6)의 개구부(15)에 면하는 영역에 제 2 가이드부재(32)가 존재하지 않도록 하고, 리드(34)를 제 1 가이드부재(26)(25,25)와 이것보다도 후방측에 있는 제 2 가이드부재(32)(11aa,11bb,30a,30b)에 의해서 띠형상재 수납상자부(6)의 개구부(15)의 전방까지 안내하고, 그 후, 상기 리드(34)를 코일스프링(47)의 탄지력에 저항하면서 띠형상재 수납상자부(6)의 내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서, 리드(34)를 그 표면이 개구부(15)의 외측을 향하도록 하면서 겹쳐진 상태로 수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수납방향의 길이를 짧게 함과 아울러, 폭이 넓은 리드(34)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게 하여 완전폐쇄시에 인접하는 리드(34)간의 구획선의 수를 적게 한다.

Description

수납상자의 개폐구조 및 수납상자 유닛{SWITCHING STRUCTURE OF COLLECTING BOX AND COLLECTING BOX UNIT}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소품 수납상자 유닛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완전폐쇄상태의 소품 수납상자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소품 수납상자 유닛을 나타낸 일부 단면 측면도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수납상자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수납상자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수납상자를 나타낸 좌측면도
도 7은 도 4의 Z7-Z7선 단면도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리드(lid)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최하위에 위치하는 리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0은 도 9의 측면도
도 1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최상위에 위치하는 리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평면도
도 13은 리드의 수납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14는 도 13의 연속상태를 설명하는 동작 상태도
도 15는 도 14의 연속상태를 설명하는 동작 상태도
도 16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완전개방상태의 소품 수납상자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소품 수납상자 유닛 4 - 수납상자
5 - 소품 수납상자부 6 - 띠형상재 수납상자부
7 - 소품 수납상자부의 내부공간 8 - 소품 수납상자부의 개구부
10 - 소품 수납상자부의 하판부
11aa - 소품 수납상자부의 측판부의 개구부측 단면(제 2 가이드부재)
11bb - 소품 수납상자부의 측판부의 개구부측 단면(제 2 가이드부재)
14 - 띠형상재 수납상자부의 내부공간
15 - 띠형상재 수납상자부의 개구부
16 - 띠형상재 수납상자부의 하판부
18a,18b - 띠형상재 수납상자부의 상판부(안내벽)
23 - 부착판 24 - 부착판의 개구부
25 - 부착판의 개구부의 측연부(側緣部)(제 1 가이드부재)
26 - 제 1 가이드부재 29 - 제 1 안내홈(안내홈)
30a - 가이드판(제 2 가이드부재) 30b - 가이드판(제 2 가이드부재)
31 - 제 2 안내홈(안내홈) 32 - 제 2 가이드부재
33 - 안내홈 34 - 리드(띠형상재)
35 - 리드의 연장단부 38 - 제 1 걸림부
39 - 제 2 걸림부 40 - 제 1 맞닿음면
41 - 제 1 걸림면 42 - 제 2 맞닿음면
43 - 제 2 걸림면 44 - 중앙본체부
45 - 중앙본체부의 경사면 46 - 중앙본체부의 경사면
47 - 코일스프링(탄지수단)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 제3370885호
본 발명은 수납상자의 개폐구조 및 수납상자 유닛에 관한 것이다.
수납상자의 개폐구조로서는, 특허문헌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띠형상재를 그 폭방향으로 인접하게 구성하여 이루어진 개폐덮개를 슬라이드시킴에 의해서 수납상자체(콘솔박스)의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한 것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요성 시트에 복수의 띠형상재를 그 폭방향으로 인접하게 부 착하여 개폐덮개를 형성하는 한편, 이 개폐덮개의 슬라이드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재를 형성하고, 수납상자의 개구부를 개방할 때에는 가이드부재에 의해서 개폐덮개를 수납방향(하측)으로 루프형상으로 돌아 들어가게 하여 수납하는 것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수납상자의 개폐구조는 개폐덮개의 수납시에 이 개폐덮개를 수납방향으로 루프형상으로 돌아 들어가게 하는 것이기 때문에, 개폐덮개에 있어서의 각 띠형상재의 폭을 작게 하여 수납방향으로 루프형상으로 돌아 들어갈 때의 곡율반경을 작게 하더라도, 수납방향에 있어서의 사용공간의 길이를 작게 하는 것에는 한도가 있었다(적어도 1개의 띠형상재의 폭 이상의 길이가 상하방향으로 필요). 따라서, 개폐덮개를 수납하는 수납방향의 길이가 짧게 제한된 공간(수납공간이 얕은 것) 하에서는 상기한 구조를 적용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많다.
또한, 개폐덮개의 띠형상재로서 폭이 넓은 것을 사용한 경우에는 이 개폐덮개를 수납방향으로 루프형상으로 돌아 들어가게 할 때에 가이드부재와 간섭하게(안내홈을 통과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개폐덮개의 띠형상재로서 폭이 좁은 것을 많이 사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수납상자체의 개구부를 폭이 좁은 띠형상재로 이루어진 개폐덮개로 덮을 때에는 인접하는 띠형상재를 구획하는 구획선이 일정 간격(띠형상재의 폭)마다 나타나게 됨으로써 외관상 바람직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제 1 기술적 과제는 개폐덮개의 외관 향상을 꾀할 수 있음과 아울러, 개폐덮개를 수납하는 수납방 향에 있어서의 사용공간의 길이를 최대한 작게 할 수 있는 수납상자의 개폐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제 2 기술적 과제는 개폐덮개의 외관 향상을 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수납방향에 있어서의 사용공간의 길이를 최대한 작게 할 수 있는 수납상자 유닛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제 1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는, 내부공간을 외부로 개방하는 개구부를 가지는 수납상자체에 이 수납상자체의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서 1쌍의 가이드부재가 부착되고, 상기 각 가이드부재가 제 1 가이드부재와 이 제 1 가이드부재보다도 상기 수납상자체의 내측방향 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가이드부재와 협동하여 안내홈을 형성하는 제 2 가이드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가이드부재를 이루는 상기 제 1, 제 2 가이드부재 사이에 복수의 띠형상재가 그 각 연장단부에 의해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되고, 상기 수납상자체의 개구부의 폐쇄시에 상기 복수의 띠형상재가 개폐덮개로서 그 각 폭방향에서 서로 인접한 상태로 상기 수납상자체의 개구부를 덮도록 설정되어 있는 수납상자의 개폐구조에 있어서,
상기 각 띠형상재가 서로 이간(離間) 가능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각 제 2 가이드부재가, 상기 띠형상재가 상기 수납상자체의 개구부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측에 있어서, 이 각 제 2 가이드부재의 연장단부의 위치를, 상기 띠형상재가 상기 수납상자체의 개구부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측에 있어서의 상기 개구부의 개구단부에서 상기 띠형상재의 폭방향을 이 띠형상재의 슬라이드방향으로 향하게 한 상태로 상기 띠형상재를 상기 수납상자체의 내측으로 이동하더라도 상기 띠형상재가 상기 제 2 가이드부재에 의해서 이동규제를 받지 않는 길이만큼 확보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각 제 1 가이드부재가, 상기 띠형상재가 상기 수납상자체의 개구부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측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이드부재보다도 길게 연장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수납상자체의 내부공간에, 상기 1쌍의 가이드부재의 병설방향에 있어서의 길이에 관하여, 상기 개구단부에서 상기 제 2 가이드부재의 연장단부까지의 범위에 있어서, 상기 띠형상재가 이 띠형상재의 폭방향을 이 띠형상재의 슬라이드방향으로 향하게 한 상태로 상기 수납상자체의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길이가 확보되고, 상기 복수의 띠형상재 중의 1개의 띠형상재가, 이 띠형상재의 표면이 상기 수납상자체의 개구부의 외측을 향하도록 하면서 상기 개구단부와 상기 제 2 가이드부재의 연장단부와의 사이의 범위에 위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탄지수단에 의해서 상기 제 1 가이드부재에 맞닿는 방향으로 탄지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청구항 1의 바람직한 태양으로서는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8에 기재된 바와 같이 된다.
상기한 제 2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청구항 9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는, 내부공간을 외부로 개방하는 개구부를 가지는 수납상자와, 상기 수납상자에 상기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서 부착되는 1쌍의 가이드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각 가이드부재가 제 1 가이드부재와 이 제 1 가이드부재보다도 상기 수납상자의 내 측방향 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가이드부재와 협동하여 안내홈을 형성하는 제 2 가이드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가이드부재를 이루는 상기 제 1, 제 2 가이드부재 사이에 복수의 띠형상재가 그 각 연장단부에 의해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되고, 상기 수납상자의 개구부의 폐쇄시에 상기 복수의 띠형상재가 개폐덮개로서 그 각 폭방향에서 서로 인접한 상태로 상기 수납상자의 개구부를 덮도록 설정되어 있는 수납상자 유닛에 있어서,
상기 각 띠형상재가 서로 이간 가능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수납상자 내가 소품 수납상자부와 띠형상재 수납상자부로 구획되되, 상기 띠형상재가 상기 수납상자의 개구부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측에 상기 띠형상재 수납상자부를 배치한 상태로 구획되고, 상기 띠형상재 수납상자부가 상기 각 띠형상재를 그 표면측이 상기 띠형상재 수납상자부의 개구부의 외측을 향하도록 하면서 1개씩 상기 띠형상재 수납상자부의 개구부를 통해서 상기 띠형상재 수납상자부의 내부로 집어넣을 수 있는 크기로 설정되고, 상기 각 제 1 가이드부재가, 상기 띠형상재가 상기 수납상자의 개구부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측에 있어서, 상기 소품 수납상자부의 개구부를 지나서 상기 띠형상재 수납상자부의 개구부를 가로지르도록 연장되고, 상기 각 제 2 가이드부재가, 상기 띠형상재가 상기 수납상자의 개구부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측에 있어서, 상기 띠형상재 수납상자부에 이르기까지 연장되어 상기 안내홈이 상기 띠형상재 수납상자부의 개구부 측을 향해서 개구되고, 상기 띠형상재 수납상자부의 개구부 영역에, 상기 제 1 가이드부재보다도 상기 띠형상재 수납상자부의 내측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띠형상재 중의 1개의 띠형상재가 이 띠형상재의 표면이 상기 띠형상재 수납상자부의 개구부의 외측을 향하도록 하면서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띠형상재 수납상자부 내에 상기 띠형상재를 항시 상기 제 1 가이드부재를 향해서 탄지하는 탄지수단이 수납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청구항 9의 바람직한 태양으로서는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5에 기재된 바와 같이 된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부호 1은 본 발명에 관한 수납상자의 개폐구조가 적용된 수납상자 유닛으로서의 소품(小品) 수납상자 유닛을 나타내며, 이 소품 수납상자 유닛(1)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동차의 인스트러먼트 패널(2)에 시프트 레버 관통구멍(3)에 인접하도록 하여 조립되어 있다.
상기 소품 수납상자 유닛(1)은 도 2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납상자(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수납상자(4)는 소품 수납상자부(5)와 그 하측에 위치하는 띠형상재 수납상자부(6)를 가지고 있으며, 이것들은 합성수지재료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소품 수납상자부(5)는 도 4, 도 5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공간(7)과 이 내부공간(7)을 외부(전방측)로 개방하는 장방형(사각형)의 개구부(8)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내부공간(7)은 개구부(8)를 통해서 소품을 수납하기 위한 소품 수납공간으로서 이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내부공간(7)은 상판부(9)와 하판부(10)와 좌우 1쌍의 측판부(11a,11b)에 의해서 구획되어 있으며, 상판부(9)와 하판부(10) 및 측판부(11a)와 측판부(11b)는 적어도 개구부(8)측의 단면이 개구부(8)의 장방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평행한 배치상태로 되어 있다. 이들 상판부(9)와 하판부(10)와 좌우 1쌍의 측판부(11a,11b)의 후방측에는 후판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후판부(12)에 의해서 내부공간(7)의 후방측이 폐색되어 있다. 또, 상기 상판부(9)의 상면에는 그 전방측에 플랜지부(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플랜지부(13)의 전면(前面)도 수납상자(4){소품 수납상자부(5)}의 개구부(8)측의 단면을 구성하고 있다.
상기 띠형상재 수납상자부(6)도 도 4, 도 5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공간(14)과 이 내부공간(14)을 외부(전방측)로 개방하는 개구부(15)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내부공간(14)은 개구부(15)를 통해서 후술하는 리드(띠형상재)(34)를 수납하기 위한 띠형상재 수납공간으로서 이용되게 되어 있다. 상기 내부공간(14)의 개구부(15)는 상기 소품 수납상자부(5)의 개구부(8)와 같은 방향(전방측)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부(8)와 개구부(15)는 상하로 인접한 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 띠형상재 수납상자부(6)의 개구부(15)는 상기 소품 수납상자부(5)의 개구부(8)보다도 좌우 양측(가로방향)으로 확장되어 있으며, 내부공간(14)은 그 개구상태(단면형상)를 거의 유지한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7)의 깊이의 대략 1/2 깊이까지 후방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내부공간(14)은 하판부(16)와 좌우 1쌍의 측판부(17a,17b)와 좌우 1쌍의 상판부(18a,18b)에 의해서 구획되어 있다. 상기 하판부(16)는 상기 소품 수납상 자부(5)의 하판부(10)에서 대략 일정 거리만큼 떨어진 하측에 상기 하판부(10)보다도 좌우 양측(가로방향)으로 확장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좌우 1쌍의 측판부(17a,17b)는 상기 하판부(16)의 좌우 양측에서 각각 세워지되 그 각각의 상단이 상기 소품 수납상자부(5)의 좌우 1쌍의 측판부(11a,11b)의 하부의 높이까지 이르고 있다. 상기 좌우 1쌍의 상판부(18a,18b)는 상기 측판부(17a,17b)의 각 상단과 상기 소품 수납상자부(5)의 측판부(11a,11b)의 하부를 연결하고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소품 수납상자부(5)의 하판부(10)는 상기 띠형상재 수납상자부(6)의 상판부의 일부로서 이용되고 있다.
또, 상기 좌우 1쌍의 측판부(17a,17b)의 후단과 하판부(16)의 후단이 형성하는 후단면에는 후판부(19)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이 후판부(19)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공간(14)의 개구부(15)의 반대측이 되는 후방측 개구부를 폐색할 수 있게 되어 있다(도 6, 도 7에서는 도시생략). 이 내부공간(14)의 후방측 개구부는 후술하는 리드(34) 및 코일스프링(47)을 수납상자(4){띠형상재 수납상자부(6)} 내로 집어넣을 때에 이용되게 되어 있으며, 이것들을 집어넣은 후에 후판부(19)가 부착되게 되어 있다.
또한, 부호 20, 21은 후판부(19)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구멍, 고정구 삽입부를 각각 나타내며, 부호 22는 후술하는 리드(34)의 후방이동을 규제하는 스토퍼를 나타낸다.
상기 수납상자{소품 수납상자부(5) 및 띠형상재 수납상자부(6)}(4)의 개구부{개구부(8) 및 개구부(15)}의 단면에는 도 2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착판 (23)이 일체적으로 부착되어 있다. 이 부착판(23)은 수납상자(4)의 개구부(8,15)의 외측으로 플랜지형상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그 외형은 수납상자(4)의 전면측을 에워싸도록 정면에서 보았을 때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5 참조).
상기 부착판(23)에는 손바닥이 놓일 정도의 개구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24)는 수납상자(4)의 개구부(8,15)를 외부로 개방하는 기능을 가지며, 이 개구부(24)의 양 측연부(側緣部)(25)는 상기 소품 수납상자부(5)에 있어서의 측판부(11a,11b)의 단면의 내측 가장자리 상에 일치하도록 하여 평행하게 연장됨과 아울러, 상기 띠형상재 수납상자부(6)의 개구부(15)의 좌우부분을 덮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부착판(23)의 개구부(24)의 양 측연부(25)가 각각 제 1 가이드부재(26)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부착판(23)의 개구부(24)의 상연부(上緣部)는 상기 소품 수납상자부(5)의 플랜지부(13)의 전면 위를 가로지르도록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그 가로방향의 중앙에 걸어맞춤 돌기부(27)가 형성되어 있다. 또, 부착판(23)의 개구부(24)의 하연부(下緣部)는 상기 띠형상재 수납상자부(6)에 있어서의 하판부(16)보다 약간 상측이 되는 위치에서 가로지르도록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부호 28은 부착판(23)의 이면(裏面)에 형성된 고정나사 삽입부를 나타낸다.
상기 소품 수납상자부(5)의 각 측판부(11a,11b)와 부착판(23)과의 사이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폭이 좁은 제 1 안내홈(29)이 상하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 안내홈(29)은 상기 부착판(23)의 개구부(24)의 양 측연 부(25)의 이면에서 상기 소품 수납상자부(5)의 각 측판부(11a,11b)의 개구부측 단면(11aa,11bb)을 약간 이간(離間)시킴에 의해서 각각 형성되며, 각 제 1 안내홈(29)은 상기 소품 수납상자부(5)의 측방에서 이 소품 수납상자부(5)의 내외를 연통시킴과 아울러, 그 하단이 띠형상재 수납상자부(6)의 내부공간(14)에 각각 개구되도록 되어 있다(도 7 참조). 또, 각 제 1 안내홈(29)의 상단은 상기 플랜지부(13)의 전면의 도중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이 연장부분을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플랜지부(13)의 전면은 상기 소품 수납상자부(5)의 상판부(9)에서 상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상판부(9)의 단면과 면(面)일치되도록 형성(박육화)되어 있다.
상기 소품 수납상자부(5)에 있어서의 각 측판부(11a,11b)에는 도 3,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판(30a,30b)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각 가이드판(30a,30b)은 그 가이드면이 상기 부착판(23)의 이면에서 상기 제 1 안내홈(29)의 홈폭보다도 긴 일정 간격만큼 이간되면서 상기 플랜지부(13)의 측방에서 상기 띠형상재 수납상자부(6)의 상판부(18a,18b)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이들 가이드판(30a,30b)과 부착판(23)은 제 2 안내홈(31)을 형성하고 있다. 이 제 2 안내홈(31)은 제 1 안내홈(29)에 인접한 상태로 이 제 1 안내홈(29)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으며, 그 하단은 띠형상재 수납상자부(6)의 내부공간(14)에 개구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소품 수납상자부(5)의 각 측판부(11a,11b)의 개구부측 단면(11aa,11bb) 및 각 가이드판(30a,30b)이 각 제 2 가이드부재(32)를 구성하고, 제 1, 제 2 안내홈(29,31)이 안내홈(33)을 구성한다.
또한, 부호 52는 가이드판(30a,30b)을 보강하는 리브를 나타낸다.
상기 부착판(23)의 개구부(24)는, 이것의 완전폐쇄시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폐덮개를 구성하는 복수의 리드(띠형상재)(34)에 의해서, 이것들의 각 폭방향에서 서로 인접한 상태를 이루면서 덮여져 있다. 리드(34)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일정한 폭을 가지고서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밴드형상을 이루며(그 기본적인 구성은 같게 되어 있다), 이것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단부(35)는 제 1 가이드부재(26){부착판(23)의 개구부(24)의 양 측연부(25)}와 제 2 가이드부재(32){소품 수납상자부(5)에 있어서의 각 측판부(11a,11b)의 개구부측 단면(11aa,11bb) 및 각 가이드판(30a,30b)}와의 사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최하위에 위치하는 리드(34d)를 예로 하여 도 8 내지 도 10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상기 리드(34)의 연장단부(35)는 상기 제 1 안내홈(29)을 통과하는 통과부(36)와 이 통과부(36)의 외측에 연이어 형성되어 제 2 안내홈(31)에 위치하는 걸림부(37)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통과부(36)는 상기 제 1 안내홈(29)을 통과할 수 있는 일정한 두께로 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안내홈(29)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통과한다.
상기 걸림부(37)에는, 상기 부착판(23)의 개구부(24)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측(도 2, 도 8 내지 도 10에서의 하측)의 단부인 폭방향의 일측 단부에는 제 1 걸림부(38)가 형성되고, 그 폭방향의 타측 단부에는 제 2 걸림부(39)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걸림부(38)에는 제 1 맞닿음면(40)과 제 1 걸림면(41)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맞닿음면(40)은 리드(34)의 표면측에서 이면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이 리드(34)의 폭방향의 일측 단면이 이 리드(34)의 폭방향의 내측을 향해서 들어가도록 경사져 있고, 제 1 걸림면(41)은 제 1 맞닿음면(40)에 연속하여 표면측을 향해서 구부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걸림부(39)에는 제 2 맞닿음면(42)과 제 2 걸림면(43)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맞닿음면(42)은 리드(34)의 표면측에서 이면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이 리드(34)의 폭방향의 타측 단면이 이 리드(34)의 폭방향의 타측을 향해서 나아가도록 경사져 있으며, 이 제 2 맞닿음면(42)에 대해서 인접하는 리드(34)의 제 1 맞닿음면(40)이 맞닿도록 되어 있다. 제 2 걸림면(43)은 제 2 맞닿음면(42)보다도 리드(34)의 폭방향의 타측에서 이 리드(34)의 표면측으로 세워져 있으며, 이 제 2 걸림면(43)에 대해서 인접하는 리드(34)의 제 1 걸림면(41)이 맞닿게 되어 있다.
또, 리드(34)의 양 연장단부(35,35) 사이에 형성되는 중앙본체부(44)는 그 표면(외면)의 높이가 양 연장단부(35)의 표면의 높이에 비해서 높게 되어 있으며, 리드(34)의 연장단부(35)가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제 2 가이드부재(26,32) 사이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 있을 때에는, 리드(34)의 중앙본체부(44)의 표면과 부착판(23)의 개구부(24)의 주연부의 표면(외면)이 면(面)일치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음(세련된 느낌)과 아울러, 리드(34)의 표면 및 부착판(23)의 표면 전체를 평탄면으로 하고, 이것을 수평면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등에는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리드(34)의 중앙본체부(44)에는 그 폭방향의 일측 단부에 경사면(45)이 형성되고, 그 폭방향의 타측 단부에는 경사면(46)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45)은 상기 제 1 맞닿음면(40)의 경사에 대응한 경사로 되어 있고, 경사면(46)은 상기 제 2 맞닿음면(42)의 경사에 대응한 경사로 되어 있다. 인접하는 리드(34)끼리는 경사면(46) 위에 경사면(45)이 겹쳐지게 되어 있고, 복수의 리드(34)의 중앙본체부(44)는 전체를 통해서 부착판(23)의 두께와 같은 두께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복수의 리드(34) 중에서 최하위의 리드(34d)는 도 2, 도 3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띠형상재 수납상자부(6)의 내부공간(14) 영역에 있어서의 부착판(23)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띠형상재 수납상자부(6)의 내부공간(14)에는 탄지수단으로서의 코일스프링(47)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최하위의 리드(34d)는 그 표면이 띠형상재 수납상자부(6)의 개구부(15)의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그 이면에는 스프링 가이드(48)가 형성되어 있다. 이 스프링 가이드(48)는 최하위의 리드(34d)에만 형성되고 그 외의 리드(34)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코일스프링(47)은 그 일단이 최하위의 리드(34d)의 스프링 가이드(48) 내에 삽입되고, 그 타단이 띠형상재 수납상자부(6)의 후판부(19)에 지지되어 있으며, 이 코일스프링(47)에 의해서 그 최하위의 리드(34d)가 항시 부착판(23)에 있어서의 개구부(24)의 양 측연부(25){제 1 가이드부재(26)}를 향해서 탄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복수의 리드(34) 중에서 최상위의 리드(34u)는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폭방향의 타측 단부에 상기한 경사면(46)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상기 최상위의 리드(34u)의 폭방향의 타측 단면이 상기 부착판(23)의 개구부(24)의 상연부에 맞닿았을 때에는, 이 최상위의 리드(34u)의 표면과 상기 부착판(23)의 개구부(24)의 상연부의 상면(표면)이 면일치되게 되어 있다.
상기 최상위의 리드(34u)의 폭방향의 타측 단부의 이면에는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중앙에 부착구멍(49)이 형성되어 있다. 이 부착구멍(49)에는 걸어맞춤편(50)이 끼워져서 유지되도록 되어 있으며, 이 걸어맞춤편(50)은 최상위의 리드(34u)의 폭방향의 타측 단면이 부착판(23)의 개구부(24)의 상연부에 맞닿았을 때에는, 소품 수납상자부(5)의 플랜지부(13)의 전면에 형성된 걸어맞춤 돌기부(27)에 끼워맞춰지도록 되어 있으며, 이것들의 끼워맞춤의 관계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일정 이상의 슬라이드시키는 조작력(이하, '슬라이드 조작력'이라 한다)이 필요하게 되어 있다. 또, 상기 최상위의 리드(34u)는 다른 리드(34)보다도 폭방향의 길이가 약간 크게 형성되며, 그 표면에는 가느다란 요철을 형성함에 의해서 미끄럼방지부(51)가 형성되어 있다. 이 미끄럼방지부(51)는 부착판(23)의 개구부(24)를 개방하는 방향을 나타내기 위해서, 슬라이드 방향을 나타내는 역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제 1 가이드부재(26)와 제 2 가이드부재(32)의 사이에 리드(34)의 연장단부(35)가 존재할 때에는, 어느 하나의 리드(34)를 부착판(23)의 개구부(24)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인접하는 리드(34)끼리에 있어서의 제 1 맞닿음면(40)과 제 2 맞닿음면(42)의 맞닿음 관계 및 제 1 걸림면(41)과 제 2 걸림면(43)의 걸림 관계에 의거하여, 슬라이드 조작력이 가해진 리드(34)의 상측에 위치하는 리드(34)에는 압압력이 작용함과 동시에 슬라이드 조작력이 가해진 리드(34)의 하측에 위치하는 리드(34)에는 인장력(견인력)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다른 리드(34)도 상기한 슬라이드방향으로 일체적으로 슬라이드하게 되며, 이것들은 전체로서 개폐덮개로서 기능하게 된다(도 13 참조).
한편, 어느 하나의 리드(34)를 부착판(23)의 개구부(24)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인접하는 리드(34)끼리에 있어서의 제 1 맞닿음면(40)과 제 2 맞닿음면(42)의 맞닿음 관계 및 제 1 걸림면(41)과 제 2 걸림면(43)의 걸림 관계에 의거하여, 다른 리드(34)도 상기한 슬라이드방향으로 일체적으로 슬라이드하게 되며, 이 경우에도 이것들은 전체로서 개폐덮개로서 기능하게 된다(도 13 참조).
이 경우, 최하위의 리드(34d)는 띠형상재 수납상자부(6)의 하판부(16)에 의해서 하측으로의 슬라이드가 규제되기 때문에,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하위의 리드(34d)의 제 2 맞닿음면(42)과 그 상측에 위치하는 리드(34)의 제 1 맞닿음면(40)의 경사진 맞닿음 관계에 의거하여 슬라이드 조작력의 방향이 변경되게 됨으로써, 최하위의 리드(34d)는 그 표면이 띠형상재 수납상자부(6)의 개구부(15)의 외측을 향하도록 하면서 후방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작용은 그 후에 계속해서 잇따르는 리드(34)에 대해서도 슬라이드 조작력이 작용하는 한 계속되게 되며, 띠형상재 수납상자부(6)의 내부공간(14) 내로 각 리드(34)가 그 표면이 띠형상재 수납상자부(6)의 개구부(15)의 외측을 향하도록 하면서 겹쳐진 상태로 수납되게 된다.
최상위의 리드(34u)는 그 폭방향의 길이가 띠형상재 수납상자부(6)의 개구부(15)의 상하 길이보다도 길게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띠형상재 수납상자부(6)의 내부공간(14) 내로 집어넣을 수 없으며, 또한 부착판(23)의 개구부(24)의 완전개방시에는 상기 최상위의 리드(34u)가 상기 띠형상재 수납상자부(6)의 내부공간(14) 내에 겹쳐진 상태로 수납된 다른 리드(34)를 통해서 코일스프링(47)의 탄지력을 받게 됨으로써, 제 1 가이드부재(26)인 부착판(23)의 개구부(24)의 측연부(25)에 눌려 붙여진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반대로, 부착판(23)의 개구부(24)의 완전개방상태에서 이 부착판(23)의 개구부(24)를 폐쇄할 때에는, 최상위의 리드(34u)를 제 1, 제 2 가이드부재(26,32)에 안내시키면서 상기 개구부(24)의 폐쇄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상기 최상위의 리드(34u)의 제 1 걸림면(41)이 그 하측에 위치하는 리드(34)의 제 2 걸림면(43)에 맞닿게 됨으로써 이 리드(34)가 끌어 올려지게 되며, 이 작용에 의해서 띠형상재 수납상자부(6) 내에 겹쳐진 상태로 수납된 다른 리드(34)가 순차적으로 개구부(24) 위로 인출되게 된다(도 13 내지 도 15 참조).
따라서, 이와 같은 소품 수납상자 유닛(1)을 부착한 경우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완전폐쇄상태의 복수의 리드(34) 위에 가볍게 손을 얹어놓고서 가볍게 하측을 향해서 어느 하나의 리드(34)에 슬라이드 조작력을 부여하면,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착판(23)의 개구부(24)가 개방되게 되며, 이 개구부(24)를 통해서 소품 수납상자부(5)의 내부공간(7)이 외부로 개방되게 된다. 따라서, 소품 수납상자부(5)의 내부공간(7)을 소품 수납공간으로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리드(34)는 띠형상재 수납상자부(6)의 내부공간(14) 내로 그 표면 이 띠형상재 수납상자부(6)의 개구부(15)의 외측을 향하도록 하면서 겹쳐진 상태로 수납되고, 또한 이때 코일스프링(47)의 배치공간 중의 단축된 부분을 이용하는 것이므로, 리드(34)의 수납을 위한 수납방향{띠형상재 수납상자부(6)의 내부공간(14)의 내측방향}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각 리드(34)의 폭방향의 길이를 짧게 하면, 띠형상재 수납상자부(6)의 상하 길이도 짧게 할 수 있는 한편, 각 리드(34)의 폭방향의 길이를 길게 하더라도 각 리드(34)의 이동은 상하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이동과 수납방향으로의 이동뿐이므로, 슬라이드 이동 도중에 회동하는 등에 의해서 다른 부재와 간섭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는 일도 없다. 따라서, 리드(34)로서 폭방향의 길이가 긴 것을 사용하여, 개구부(24)의 완전폐쇄시에 인접하는 리드(34)간의 구획선의 수를 줄임으로써 외관을 향상시킬 수도 있게 된다.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소품 수납상자 유닛(1)으로서 설명하였으나, 이 소품 수납상자 유닛(1)에 적용한 개폐구조를 기존의 수납상자체(예를 들면, 콘솔박스) 등에 적용하여도 된다.
또,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소품 수납상자 유닛(1)을 경사진 세로벽에 조립하였나, 부착판(23)의 개구부(24)가 상측을 향하는 수평한 부착벽에 부착하여도 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띠형상재가 수납상자체의 개구부를 개방 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측에 있어서의 개구단부와 제 2 가이드부재의 연장단부와의 사이에 공간이 확보되어, 띠형상재를 수납상자체의 내측으로 이동하여도 상기 띠형상재가 상기 제 2 가이드부재에 의해서 이동규제를 받지 않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수납상자체의 개구부를 개방상태로 할 때에, 제 1 가이드부재를 향해서 탄지되어 있는 띠형상재를 탄지수단에 저항하면서 수납상자체 내로 압입하면, 이것에 연이어서 제 1, 제 2가이드부재에 유지되어 있는 띠형상재가 압입된 띠형상재의 본래의 위치로 안내됨으로써 이것을 수납상자체 내로 압입할 수 있게 되고, 이와 같이 제 1, 제 2 가이드부재에 유지되어 있는 나머지 띠형상재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행하면, 띠형상재를 수납상자체 내에 수납방향으로 겹쳐진 상태로 수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경우에는 각 띠형상재를 연결부재(예를 들면, 가연성 시트)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하거나 각 띠형상재에 대해서 가공처리를 하는 것이 하등 필요없게 된다. 따라서, 매우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수납방향에 있어서의 사용공간의 길이를 최대한 작게 할 수 있게 된다.
또, 각 띠형상재는, 슬라이드시에는 각 띠형상재가 거의 곧게 연장되는 가이드부재를 따라서 이동하고, 수납시에는 각 띠형상재의 판면이 수납방향을 향하도록 하면서 곧게 이동하기 때문에, 즉 각 띠형상재는 거의 직선적인 이동에 한정되기 때문에, 각 띠형상재가 회동하는 것 같은 일이 없게 된다. 따라서, 각 띠형상재의 폭방향의 길이가 각 띠형상재의 이동시에 영향을 주는 일이 없으므로, 각 띠형상재의 폭방향의 길이를 길게 할 수도 있게 된다. 이것에 의해서, 수납상자체의 개구부를 띠형상재로 덮었을 때에 인접하는 띠형상재를 구획하는 구획선(서로 맞닿는 선) 을 줄임으로써 개폐덮개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수납상자체의 개구부의 주연부가 1쌍의 가이드부재에 있어서의 제 1 가이드부재를 겸하고 있기 때문에, 수납상자체의 개구부의 주연부를 유효하게 이용함으로써 부품수의 저감을 꾀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각 띠형상재가, 그 연장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중앙본체부가 이 연장단부의 표면의 높이에 비해서 높게 형성되고, 각 띠형상재의 연장단부가 제 1, 제 2 가이드부재 사이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 있을 때, 각 띠형상재에 있어서의 중앙본체부의 표면의 높이와 수납상자체의 개구부의 주연부의 표면이 면(面)일치되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수납상자체의 개구부가 복수의 띠형상재에 의해서 덮여졌을 때, 이 수납상자체의 띠형상재가 존재하는 면은 띠형상재가 존재하더라도 평탄하게 되므로, 수납상자체의 띠형상재가 존재하는 면의 외관(세련된 느낌), 사용의 편리성(물건을 얹어놓는 받침대로서)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띠형상재는 슬라이드시에 그 길이방향 외측으로의 이동이 각 제 1 가이드부재에 의해서 규제되기 때문에, 각 띠형상재는 슬라이드시에 그 길이방향으로 어긋나는 일 없이 적정하게 슬라이드하게 된다. 따라서, 수납상자체의 개구부의 개폐를 띠형상재를 사용하여 정확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각 띠형상재는, 인접하는 띠형상재끼리의 관계에 있어서 슬라이드방향에서 일체화됨과 아울러 상기 수납상자체의 내측방향에서 이간되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시에는 복수의 띠형상재가 일체적인 개폐덮개로 되어 수납상자체의 개구부를 개폐하게 되고, 각 띠형상재의 수납시에는 각 띠형상재가 단독으로 이동하여 수납상자체 내에 겹쳐지게 된다. 따라서, 수납방향에 있어서의 사용공간의 길이를 짧게 취하면서, 수납상자체의 개구부의 개폐조작을 간단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각 띠형상재에, 수납상자체의 개구부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측의 단부인 폭방향의 일측 단부에 있어서 제 1 걸림부가 각각 형성되고, 각 띠형상재에, 수납상자체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측의 단부인 폭방향의 타측 단부에 있어서 제 2 걸림부가 각각 형성되고, 제 1 걸림부에, 띠형상재의 표면측에서 이면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상기 띠형상재의 폭방향의 일측 단면이 상기 띠형상재의 폭방향의 내측을 향해서 들어가도록 경사지는 제 1 맞닿음면과 이 제 1 맞닿음면에 연속하여 표면측을 향해서 구부러지는 제 1 걸림면이 구비되고, 제 2 걸림부에, 띠형상재의 표면측에서 이면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상기 띠형상재의 폭방향의 타측 단면이 상기 띠형상재의 폭방향의 타측을 향해서 나아가도록 경사지며 인접하는 띠형상재의 제 1 맞닿음면에 맞닿는 제 2 맞닿음면과 이 제 2 맞닿음면보다도 상기 띠형상재의 폭방향의 타측에서 상기 띠형상재의 표면측으로 세워지며 인접하는 띠형상재의 제 1 걸림면과 맞닿는 제 2 걸림면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띠형상재를 수납상자체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인접하는 띠형상재끼리의 제 1, 제 2 맞닿음면의 맞닿음 관계 및 제 1, 제 2 걸림면의 맞닿음 관계에 의거하여 다른 띠형상재도 상기 슬라이드방향으로 일체적으로 슬라이드하게 된다.
한편, 어느 하나의 띠형상재를 수납상자체의 개구부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인접하는 띠형상재끼리의 제 1, 제 2 맞닿음면의 맞닿음 관계 및 제 1, 제 2 걸림면의 맞닿음 관계에 의거하여 다른 띠형상재도 상기 슬라이드방향으로 일체적으로 슬라이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상자체의 개구부를 개방할 때에 있어서, 띠형상재를 수납할 때에는 수납위치에 있는 띠형상재의 제 2 맞닿음면과 그 상측에 있는 띠형상재의 제 1 맞닿음과의 경사진 맞닿음 관계에 의거하여 슬라이드 조작력의 방향이 변경되게 됨으로써, 수납위치에 있는 띠형상재는 그 표면이 수납상자체의 개구부의 외측을 향하도록 한 상태로 수납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청구항 4와 같은 작용효과를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제 1, 제 2 걸림부가 각 띠형상재의 연장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각 띠형상재가, 그 연장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중앙본체부가 이 연장단부의 표면의 높이에 비해서 높게 형성되고, 각 띠형상재의 연장단부가 제 1, 제 2 가이드부재 사이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 있을 때, 각 띠형상재에 있어서의 중앙본체부의 표면의 높이와 제 1 가이드부재의 표면이 면일치되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청구항 5와 같은 작용효과를 얻으면서, 수납상자체의 개구부가 복수의 띠형상재에 의해서 덮여졌을 때, 1쌍의 가이드부재(제 1 가이드부재)와 복수의 띠형상재가 형성하는 면은 띠형상재가 존재하더라도 평탄하게 되므로, 그 면의 외관(세련된 느낌), 사용의 편리성(물건을 얹어놓는 받침대로서)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띠형상재는 슬라이드시에 그 길이방향 외측으로의 이동이 각 제 1 가이드부재에 의해서 규제되기 때문에, 각 띠형상재는 슬라이드시에 그 길이방향으로 어긋나는 일 없이 적정하게 슬라이드하게 된다. 따라서, 수납상자체의 개구부의 개폐를 띠형상재를 사용하여 정확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수납상자체 내에, 띠형상재의 슬라이드방향에 있어서, 개구단부에서 제 2 가이드부재의 연장단부까지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기 제 2 가이드부재보다도 내측을 향해서 연장되는 안내벽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납상자체 내로의 띠형상재의 수납시에, 띠형상재가 안내벽에 의해서 안내되면서 수납방향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띠형상재의 수납상자체 내로의 수납을 정확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탄지수단이 수납상자체 내에 수납되며 그 신축방향을 상기 수납상자체의 내외방향으로 한 코일스프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 신축성을 이용하여 띠형상재를 순차적으로 수납방향으로 겹쳐진 상태로 집어넣을 수 있어, 띠형상재를 정확하게 수납상자체 내에 수납할 수 있게 된다.
또, 띠형상재의 수납시에는 코일스프링의 신장력을 이기는 압압력을 부여함에 의해서 비로소 새로운 띠형상재를 수납상자체 내에 수납할 수 있기 때문에, 수납상자체의 개구부는 그 수납된 띠형상재에 상당하는 개수만큼 개방상태로 되며, 그 이외의 경우에는 코일스프링의 신장력에 의거하여 띠형상재는 이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수납상자체의 개구부를 소망하는 개구상태(임의의 개구상태)로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띠형상재 수납상자부의 개구부 영역에서는 상기 띠형상재 수납상자부의 내측으로 띠형상재를 이동하여도 상기 띠형상재가 제 2 가이드부재에 의해서 이동규제를 받지 않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수납상자의 개구부를 개방상태로 할 때에, 제 1 가이드부재를 향해서 탄지되어 있는 띠형상재를 탄지수단에 저항하면서 띠형상재 수납상자부 내로 압입하면, 이 압입된 띠형상재의 본래의 공간이 비어지게 되고, 이 공간으로 제 1, 제 2 가이드부재에 유지되어 있는 띠형상재가 안내됨으로써 이것을 띠형상재 수납상자부 내로 압입할 수 있게 되고, 이와 같이 제 1, 제 2 가이드부재에 유지되어 있는 나머지 띠형상재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행하면, 띠형상재를 띠형상재 수납상자부 내에 수납방향으로 겹쳐진 상태로 수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경우에는 각 띠형상재를 연결부재(예를 들면, 가연성 시트)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하거나 각 띠형상재에 대해서 가공처리를 하는 것이 하등 필요없게 된다. 따라서, 매우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수납방향에 있어서의 사용공간의 길이를 최대한 작게 할 수 있게 된다.
또, 각 띠형상재는, 슬라이드시에는 각 띠형상재가 거의 곧게 연장되는 가이드부재를 따라서 이동하고, 수납시에는 각 띠형상재의 판면이 수납방향을 향하도록 하면서 곧게 이동하기 때문에, 즉 각 띠형상재는 거의 직선적인 이동에 한정되기 때문에, 각 띠형상재가 회동하는 것 같은 일이 없게 된다. 따라서, 각 띠형상재의 폭방향의 길이가 각 띠형상재의 이동시에 영향을 주는 일이 없으므로, 각 띠형상재의 폭방향의 길이를 길게 할 수도 있게 된다. 이것에 의해서, 수납상자의 개구부를 띠형상재로 덮었을 때에 인접하는 띠형상재를 구획하는 구획선(서로 맞닿는 선)을 줄임으로써 개폐덮개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수납상자의 개구부의 단면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착판이 부착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부착판에 상기 수납상자의 개구부를 외부로 개방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부착판의 개구부의 측연부가 상기 1쌍의 가이드부재에 있어서의 제 1 가이드부재를 겸하고 있기 때문에, 부착판을 사용하여 당해 수납상자 유닛을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음과 아울러, 이 부착판을 유효하게 이용함으로써 부품수의 저감을 꾀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각 띠형상재가, 그 연장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중앙본체부가 이 연장단부의 표면의 높이에 비해서 높게 형성되고, 각 띠형상재의 연장단부가 제 1, 제 2 가이드부재 사이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 있을 때, 각 띠형상재에 있어서의 중앙본체부의 표면의 높이와 부착판의 표면이 면일치되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의 띠형상재가 존재하더라도 이 복수의 띠형상재를 포함하는 부착판의 표면(외면) 전체가 평탄하게 되므로, 부착판의 표면의 외관(세련된 느낌), 사용의 편리성(물건을 얹어놓는 받침대로서)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띠형상재는 슬라이드시에 그 길이방향 외측으로의 이동이 각 제 1 가이드부재에 의해서 규제되기 때문에, 각 띠형상재는 슬라이드시에 그 길이방향으로 어긋나는 일 없이 적정하게 슬라이드하게 된다. 따라서, 수납상자의 개구부의 개폐를 띠형상재를 사용하여 정확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각 띠형상재는, 인접하는 띠형상재끼리의 관계에 있어서 슬라이드방향에서 일체화됨과 아울러 상기 띠형상재 수납상자부의 내측방향에서 이간되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시에는 복수의 띠형상재가 일체적인 개폐덮개로 되어 수납상자의 개구부를 개폐하게 되고, 각 띠형상재의 수납시에는 각 띠형상재가 단독으로 이동하여 띠형상재 수납상자부 내에 겹쳐지게 된다. 따라서, 수납방향에 있어서의 사용공간의 길이를 짧게 취하면서, 수납상자의 개구부의 개폐조작을 간단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어느 하나의 띠형상재를 수납상자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인접하는 띠형상재끼리의 제 1, 제 2 맞닿음면의 맞닿음 관계 및 제 1, 제 2 걸림면의 맞닿음 관계에 의거하여 다른 띠형상재도 상기 슬라이드방향으로 일체적으로 슬라이드하게 된다. 한편, 어느 하나의 띠형상재를 수납상자의 개구부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인접하는 띠형상재끼리의 제 1, 제 2 맞닿음면의 맞닿음 관계 및 제 1, 제 2 걸림면의 맞닿음 관계에 의거하여 다른 띠형상재도 상기 슬라이드방향으로 일체적으로 슬라이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상자의 개구부를 개방할 때에 있어서, 띠형상재를 수납할 때에는 수납위치(띠형상재 수납상자부의 개구부의 위치)에 있는 띠형상재의 제 2 맞닿음면과 그 상측에 있는 띠형상재의 제 1 맞닿음과의 경사진 맞닿음 관계에 의거하여 슬라이드 조작력의 방향이 변경되게 됨으로써, 수납위치에 있는 띠형상재는 그 표면이 띠형상재 수납상자부의 개구부의 외측을 향하도록 한 상태로 수납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청구항 12와 같은 작용효과를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13과 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수의 띠형상재가 존재하더라도 이 복수의 띠형상재와 1쌍의 제 1 가이드부재가 형성하는 표면이 평탄하게 되므로, 그 표면의 외관(세련된 느낌), 사용의 편리성(물건을 얹어놓는 받침대로서)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띠형상재는 슬라이드시에 그 길이방향 외측으로의 이동이 각 제 1 가이드부재에 의해서 규제되기 때문에, 각 띠형상재는 슬라이드시에 그 길이방향으로 어긋나는 일 없이 적정하게 슬라이드하게 된다. 따라서, 수납상자의 개구부의 개폐를 띠형상재를 사용하여 정확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탄지수단이 그 신축방향을 수납상자의 내외방향으로 한 코일스프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 신축성을 이용하여 띠형상재를 순차적으로 수납방향으로 겹쳐진 상태로 집어넣을 수 있어, 띠형상재를 정확하게 수납상자 내에 수납할 수 있게 된다.
또, 띠형상재의 수납시에는 코일스프링의 신장력을 이기는 압압력을 부여함에 의해서 비로소 새로운 띠형상재를 띠형상재 수납상자부 내에 수납할 수 있기 때문에, 수납상자의 개구부는 그 수납된 띠형상재에 상당하는 개수만큼 개방상태로 되며, 그 이외의 경우에는 코일스프링의 신장력에 의거하여 띠형상재는 이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수납상자의 개구부를 소망하는 개구상태(임의의 개구상태)로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5)

  1. 내부공간을 외부로 개방하는 개구부를 가지는 수납상자체에 이 수납상자체의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서 1쌍의 가이드부재가 부착되고, 상기 각 가이드부재가 제 1 가이드부재(26)와 이 제 1 가이드부재(26)보다도 상기 수납상자체의 내측방향 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가이드부재(26)와 협동하여 안내홈(33)을 형성하는 제 2 가이드부재(32)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가이드부재를 이루는 상기 제 1, 제 2 가이드부재(26,32) 사이에 복수의 띠형상재(34)가 그 각 연장단부(35)에 의해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되고, 상기 수납상자체의 개구부의 폐쇄시에 상기 복수의 띠형상재(34)가 개폐덮개로서 그 각 폭방향에서 서로 인접한 상태로 상기 수납상자체의 개구부를 덮도록 설정되어 있는 수납상자의 개폐구조에 있어서,
    상기 각 띠형상재(34)가 서로 이간(離間) 가능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각 제 2 가이드부재(32)가, 상기 띠형상재(34)가 상기 수납상자체의 개구부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측에 있어서, 이 각 제 2 가이드부재(32)의 연장단부의 위치를, 상기 띠형상재(34)가 상기 수납상자체의 개구부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측에 있어서의 상기 개구부의 개구단부에서 상기 띠형상재(34)의 폭방향을 이 띠형상재(34)의 슬라이드방향으로 향하게 한 상태로 상기 띠형상재(34)를 상기 수납상자체의 내측으로 이동하더라도 상기 띠형상재(34)가 상기 제 2 가이드부재(32)에 의해서 이동규제를 받지 않는 길이만큼 확보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각 제 1 가이드부재(26)가, 상기 띠형상재(34)가 상기 수납상자체의 개구부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측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이드부재(32)보다도 길게 연장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수납상자체의 내부공간에, 상기 1쌍의 가이드부재의 병설방향에 있어서의 길이에 관하여, 상기 개구단부에서 상기 제 2 가이드부재(32)의 연장단부까지의 범위에 있어서, 상기 띠형상재(34)가 이 띠형상재(34)의 폭방향을 이 띠형상재(34)의 슬라이드방향으로 향하게 한 상태로 상기 수납상자체의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길이가 확보되고,
    상기 복수의 띠형상재(34) 중의 1개의 띠형상재(34d)가, 이 띠형상재(34d)의 표면이 상기 수납상자체의 개구부의 외측을 향하도록 하면서 상기 개구단부와 상기 제 2 가이드부재(32)의 연장단부와의 사이의 범위에 위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탄지수단에 의해서 상기 제 1 가이드부재(26)에 맞닿는 방향으로 탄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상자의 개폐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납상자체의 개구부의 주연부가 상기 1쌍의 가이드부재에 있어서의 제 1 가이드부재(26)를 겸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상자의 개폐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각 띠형상재(34)는 상기 연장단부(35) 사이에 형성되는 중앙본체부(44)가 상기 연장단부(35)의 표면의 높이에 비해서 높게 형성되고, 상기 각 띠형상재(34)의 연장단부(35)가 상기 제 1, 제 2 가이드부재(26,32) 사이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 있을 때, 상기 각 띠형상재(34)에 있어서의 중앙본체부(44)의 표면의 높이와 상기 수납상자체의 개구부의 주연부의 표면이 면(面)일치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상자의 개폐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띠형상재(34)는, 인접하는 띠형상재(34)끼리의 관계에 있어서 슬라이드방향에서 일체화됨과 아울러 상기 수납상자체의 내측방향에서 이간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상자의 개폐구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각 띠형상재(34)에, 상기 수납상자체의 개구부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측의 단부인 폭방향의 일측 단부에 있어서, 제 1 걸림부(38)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 띠형상재(34)에, 상기 수납상자체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측의 단부인 폭방향의 타측 단부에 있어서, 제 2 걸림부(39)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1 걸림부(38)에, 상기 띠형상재(34)의 표면측에서 이면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상기 띠형상재(34)의 폭방향의 일측 단면이 상기 띠형상재(34)의 폭방향의 내측을 향해서 들어가도록 경사지는 제 1 맞닿음면(40)과, 이 제 1 맞닿음면(40)에 연속하여 표면측을 향해서 구부러지는 제 1 걸림면(41)이 구비되고,
    상기 제 2 걸림부(39)에, 상기 띠형상재(34)의 표면측에서 이면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상기 띠형상재(34)의 폭방향의 타측 단면이 상기 띠형상재(34)의 폭방향의 타측을 향해서 나아가도록 경사지며 인접하는 띠형상재(34)의 상기 제 1 맞닿음면(40)에 맞닿는 제 2 맞닿음면(42)과, 이 제 2 맞닿음면(42)보다도 상기 띠형상재(34)의 폭방향의 타측에서 상기 띠형상재(34)의 표면측으로 세워지며 인접하는 띠형상재(34)의 상기 제 1 걸림면(41)과 맞닿는 제 2 걸림면(43)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상자의 개폐구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걸림부(38,39)가 상기 각 띠형상재(34)의 연장단부(35)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 띠형상재(34)는, 상기 연장단부(35) 사이에 형성되는 중앙본체부(44)가 상기 연장단부(35)의 표면의 높이에 비해서 높게 형성되고, 상기 각 띠형상재(34)의 연장단부(35)가 상기 제 1, 제 2 가이드부재(26,32) 사이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 있을 때, 상기 각 띠형상재(34)에 있어서의 중앙본체부(44)의 표면의 높이와 상기 제 1 가이드부재(26)의 표면이 면일치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상자의 개폐구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납상자체 내에, 상기 띠형상재(34)의 슬라이드방향에 있어서 상기 개구단부에서 상기 제 2 가이드부재(32)의 연장단부까지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기 제 2 가이드부재(32)보다도 내측을 향해서 연장되는 안내벽(18a18b)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상자의 개폐구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지수단은, 상기 수납상자체 내에 수납되며 그 신축방향을 상기 수납상자체의 내외방향으로 한 코일스프링(47)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상자의 개폐구조.
  9. 내부공간(7,14)을 외부로 개방하는 개구부(8,15)를 가지는 수납상자(4)와, 상기 수납상자(4)에 상기 개구부(8,15)를 사이에 두고서 부착되는 1쌍의 가이드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각 가이드부재가 제 1 가이드부재(26)와 이 제 1 가이드부재(26)보다도 상기 수납상자(4)의 내측방향 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가이드부재(26)와 협동하여 안내홈(33)을 형성하는 제 2 가이드부재(32)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가이드부재를 이루는 상기 제 1, 제 2 가이드부재(26,32) 사이에 복수의 띠형상재(34)가 그 각 연장단부(35)에 의해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되고, 상기 수납상자(4)의 개구부(8,15)의 폐쇄시에 상기 복수의 띠형상재(34)가 개폐덮개로서 그 각 폭방향에서 서로 인접한 상태로 상기 수납상자(4)의 개구부(8,15)를 덮도록 설정되어 있는 수납상자 유닛(1)에 있어서,
    상기 각 띠형상재(34)가 서로 이간 가능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수납상자(4) 내가 소품 수납상자부(5)와 띠형상재 수납상자부(6)로 구획되되, 상기 띠형상재(34)가 상기 수납상자(4)의 개구부(8,15)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측에 상기 띠형상재 수납상자부(6)를 배치한 상태로 구획되고,
    상기 띠형상재 수납상자부(6)가, 상기 각 띠형상재(34)를 그 표면측이 상기 띠형상재 수납상자부(6)의 개구부(15)의 외측을 향하도록 하면서 1개씩 상기 띠형상재 수납상자부(6)의 개구부(15)를 통해서 상기 띠형상재 수납상자부(6)의 내부로 집어넣을 수 있는 크기로 설정되고,
    상기 각 제 1 가이드부재(26)가, 상기 띠형상재(34)가 상기 수납상자(4)의 개구부(8,15)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측에 있어서, 상기 소품 수납상자부(5)의 개구부(8)를 지나서 상기 띠형상재 수납상자부(6)의 개구부(15)를 가로지르도록 연장되고,
    상기 각 제 2 가이드부재(32)가, 상기 띠형상재(34)가 상기 수납상자(4)의 개구부(8,15)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측에 있어서, 상기 띠형상재 수납상자부(6)에 이르기까지 연장되어 상기 안내홈(33)이 상기 띠형상재 수납상자부(6)의 개구부(15) 측을 향해서 개구되고,
    상기 띠형상재 수납상자부(6)의 개구부(15) 영역에, 상기 제 1 가이드부재(26)보다도 상기 띠형상재 수납상자부(6)의 내측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띠형상재(34) 중의 1개의 띠형상재(34d)가 이 띠형상재(34d)의 표면이 상기 띠형상재 수납t상자부(6)의 개구부(15)의 외측을 향하도록 하면서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띠형상재 수납상자부(6) 내에 상기 띠형상재(34d)를 항시 상기 제 1 가이드부재(26)를 향해서 탄지하는 탄지수단이 수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상자 유닛.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수납상자(4)의 개구부(8,15)의 단면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착판(23)이 부착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부착판(23)에 상기 수납상자(4)의 개구부(8,15)를 외부로 개방하는 개구부(24)가 형성되고,
    상기 부착판(23)의 개구부(24)의 측연부(25)가 상기 1쌍의 가이드부재에 있어서의 제 1 가이드부재(26)를 겸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상자 유닛.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각 띠형상재(34)는 상기 연장단부(35) 사이에 형성되는 중앙본체부(44)가 상기 연장단부(35)의 표면의 높이에 비해서 높게 형성되고, 상기 각 띠형상재(34)의 연장단부(35)가 상기 제 1, 제 2 가이드부재(26,32) 사이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 있을 때, 상기 각 띠형상재(34)에 있어서의 중앙본체부(44)의 표면의 높이와 상기 부착판(23)의 표면이 면일치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상자 유닛.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각 띠형상재(34)는, 인접하는 띠형상재(34)끼리의 관계에 있어서 슬라이드방향에서 일체화됨과 아울러 상기 띠형상재 수납상자부(6)의 내측방향에서 이간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상자 유닛.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각 띠형상재(34)에, 상기 수납상자(4)의 개구부(8,15)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측의 단부인 폭방향의 일측 단부에 있어서, 제 1 걸림부(38)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 띠형상재(34)에, 상기 수납상자(4)의 개구부(8,15)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측의 단부인 폭방향의 타측 단부에 있어서, 제 2 걸림부(39)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1 걸림부(38)에, 상기 띠형상재(34)의 표면측에서 이면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상기 띠형상재(34)의 폭방향의 일측 단면이 상기 띠형상재(34)의 폭방향의 내측을 향해서 들어가도록 경사지는 제 1 맞닿음면(40)과, 이 제 1 맞닿음면(40)에 연속하여 표면측을 향해서 구부러지는 제 1 걸림면(41)이 구비되고,
    상기 제 2 걸림부(39)에, 상기 띠형상재(34)의 표면측에서 이면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상기 띠형상재(34)의 폭방향의 타측 단면이 상기 띠형상재(34)의 폭방향의 타측을 향해서 나아가도록 경사지며 인접하는 띠형상재(34)의 상기 제 1 맞닿음면(40)에 맞닿는 제 2 맞닿음면(42)과, 이 제 2 맞닿음면(42)보다도 상기 띠형상재(34)의 폭방향의 타측에서 상기 띠형상재(34)의 표면측으로 세워지며 인접하는 띠형상재(34)의 상기 제 1 걸림면(41)과 맞닿는 제 2 걸림면(43)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상자 유닛.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걸림부(38,39)가 상기 각 띠형상재(34)의 연장단부(35)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 띠형상재(34)는, 상기 연장단부(35) 사이에 형성되는 중앙본체부(44)가 상기 연장단부(35)의 표면의 높이에 비해서 높게 형성되고, 상기 각 띠형상재(34)의 연장단부(35)가 상기 제 1, 제 2 가이드부재(26,32) 사이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 있을 때, 상기 각 띠형상재에(34) 있어서의 중앙본체부(44)의 표면의 높이와 상기 제 1 가이드부재(26)의 표면이 면일치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상자 유닛.
  15.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탄지수단이 그 신축방향을 상기 수납상자(4)의 내외방향으로 한 코일스프링(47)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상자 유닛.
KR1020060022791A 2005-03-11 2006-03-10 수납상자의 개폐구조 및 수납상자 유닛 KR1007151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69796 2005-03-11
JP2005069796A JP2006249834A (ja) 2005-03-11 2005-03-11 物入れ構造及び物入れユニ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8336A KR20060098336A (ko) 2006-09-18
KR100715106B1 true KR100715106B1 (ko) 2007-05-04

Family

ID=37090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2791A KR100715106B1 (ko) 2005-03-11 2006-03-10 수납상자의 개폐구조 및 수납상자 유닛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6249834A (ko)
KR (1) KR1007151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9834A (ja) * 2005-03-11 2006-09-21 Nifco Inc 物入れ構造及び物入れユニッ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3952A (ja) * 1996-01-18 1997-07-29 Kojima Press Co Ltd 入れ物の蓋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420768B1 (ko) * 2000-09-11 2004-03-02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글러브 컴파트먼트
KR100465121B1 (ko) * 2001-09-19 2005-01-06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물품수용장치
JP2006249834A (ja) * 2005-03-11 2006-09-21 Nifco Inc 物入れ構造及び物入れ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21801Y1 (ko) * 1970-12-30 1975-07-01
JP3370885B2 (ja) * 1997-01-31 2003-01-27 関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2003214063A (ja) * 2002-01-28 2003-07-3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扉開閉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3952A (ja) * 1996-01-18 1997-07-29 Kojima Press Co Ltd 入れ物の蓋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420768B1 (ko) * 2000-09-11 2004-03-02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글러브 컴파트먼트
KR100465121B1 (ko) * 2001-09-19 2005-01-06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물품수용장치
JP2006249834A (ja) * 2005-03-11 2006-09-21 Nifco Inc 物入れ構造及び物入れユニット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10-0420768호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10-046512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6-24983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9-193952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249834A (ja) 2006-09-21
KR20060098336A (ko) 2006-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11993A (en) Connector shield wire connection structure
US7540391B2 (en) Door shutter
KR101719144B1 (ko) 수납 케이스
US20120112490A1 (en) Mirror unit, and sun visor body having mirror unit
US7870862B2 (en) Vanity case
US20160273250A1 (en) Locking system, and opening and closing device
CN1152442C (zh) 用于便携式电子装置的电池储存结构
KR100465110B1 (ko) 덮개용 셔터
RU2298514C2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хранения и приведения в состояние готовности стапелированных пленочных или листовых материалов
KR100715106B1 (ko) 수납상자의 개폐구조 및 수납상자 유닛
JPH1028310A (ja) ケーブル類の移動案内装置
JP4954597B2 (ja) コンパクト容器
JPH07245839A (ja) プロテクタ
US11691502B2 (en) Fuel tank having built-in component with pillars
KR200481114Y1 (ko) 적층 조립식 공구함
JP4535593B2 (ja) 収納ケース
US20170241475A1 (en) Slide structure
JP5965604B2 (ja) コンパクト容器
KR960011297A (ko) 가스 히터
JP6783076B2 (ja) 収納用具
FI63518B (fi) Anordning vid foervaringslaodor vilka omfattar aotminstone en flyttbar mellanvaegg
RU175725U1 (ru) Держатель для мобильного телефона
JP3326684B2 (ja) 収納ケース
JP4037396B2 (ja) 液体貯留ポット
JP3723440B2 (ja) パック体を着脱可能な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