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4629B1 - 높은 판정 정밀도의 복조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fm복조회로 - Google Patents

높은 판정 정밀도의 복조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fm복조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4629B1
KR100464629B1 KR10-2002-0022187A KR20020022187A KR100464629B1 KR 100464629 B1 KR100464629 B1 KR 100464629B1 KR 20020022187 A KR20020022187 A KR 20020022187A KR 100464629 B1 KR100464629 B1 KR 100464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l
data
input data
current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2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2775A (ko
Inventor
스즈키다케오
이쿠라아키히사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82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2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4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46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9/00Demodulating pulses which have been modulated with a continuously-variable signal
    • H03K9/06Demodulating pulses which have been modulated with a continuously-variable signal of frequency- or rate-modulated puls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DDEMODULATION OR 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 H03D3/00Demodulation of angle-, frequency- or phase- modulated oscill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0Frequency-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frequency-shift keying
    • H04L27/14Demodulator circuits; Receiver circuits
    • H04L27/144Demodulator circuits; Receiver circuits with demodulation using spectral properties of the received signal, e.g. by using frequency selective- or frequency sensitive elements
    • H04L27/148Demodulator circuits; Receiver circuits with demodulation using spectral properties of the received signal, e.g. by using frequency selective- or frequency sensitive elements using filters, including PLL-type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수단에 의해 복조한 데이터의 고(H)레벨 또는 저(L)레벨을 판정하여 높은 판정 정밀도의 복조 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FM 복조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수신한 브루투스형태의 전송방식의 고주파신호를 FM 복조하여 데이터를 재생하는 주파수 변별부(1)와 레벨판정부(2)를 구비한 FM 복조회로로서, 주파수 변별부(1)는 고주파신호의 주파수 변별출력을 디지털변환한 데이터를 출력하고, 레벨판정부(2)는 최신의 클록기간에 주파수 변별부(1)로부터 공급된 현 입력데이터와 1 클록 전의 클록기간에 주파수 변별부로부터 공급된 직전 입력데이터를 레벨 비교하고 그 레벨 비교결과에 의거하여 현 입력데이터의 논리상태를 판정하고, 판정한 논리상태에 따른 데이터의 재생을 행한다.

Description

높은 판정 정밀도의 복조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FM 복조회로{FM DEMODULATION CIRCUIT OBTAINING DEMODULATED DATA WITH HIGH DECISION ACCURACY}
본 발명은 FM(주파수 변조)복조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신한 브루투스형태의 무선신호를 FM 복조할 때에 현 입력데이터와 직전 입력데이터와의 레벨비교에 의하여 현 입력데이터의 논리레벨을 판정하고, 그 판정에 의거하여 데이터의 재생을 행하는 FM 복조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FM 신호를 재생하는 무선신호 수신기는 수신신호를 FM 복조하는 FM 복조회로로서, 공진회로의 S자 커브특성을 이용하여 복조하는 타입의 것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 타입의 FM 복조회로에 있어서, 수신신호가 S자 커브특성을 가지는 공진회로에 공급되었을 때, S자 커브특성을 가지는 공진회로로부터는 FM 신호반송 주파수로부터의 주파수 변이방향 및 주파수 변이량에 대응하여 기준레벨로부터 양(正)방향 또는 음(負)방향으로 레벨 시프트한 FM 복조신호가 출력된다. 그리고 FM 복조신호가 2치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는, S자 커브특성을 가지는 공진회로로부터 출력된 양(正)레벨 또는 음(負)레벨의 FM 복조신호를 레벨 판정부에 공급한다. 이 때 레벨 판정부는 공급된 양레벨 또는 음레벨의 FM 복조신호와 그때까지의 FM 복조신호의 평균 적분레벨을 레벨비교하고, 그 레벨비교의 결과, 현FM 복조신호 레벨이 그때까지의 FM 복조신호의 평균 적분레벨보다도 클 때, 데이터로서 고(H)레벨의 복조출력을 발생하고, 한편 복조신호 레벨이 평균 적분레벨보다도 작을 때, 데이터로서 저(L)레벨의 복조출력을 발생한다.
또 최근에 와서 휴대전화기나 퍼스널컴퓨터 등의 조작기기 사이를 코드로 접속하지 않고, 무선신호를 전송시키는 새로운 전송방식으로서 브루투스형태의 무선신호 전송방식이 주목을 모으고 있다. 이 브루투스형태의 무선신호 전송방식은 사용주파수대로서 2.4GHz 대가 할당되어 무선신호의 유효 전달거리가 10미터 정도의 매우 짧은 거리이나, 강고하고, 단순하며, 또한 저소비전력 및 저비용으로 데이터전송을 행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이 경우, 브루투스형태의 무선신호 전송방식은 정보신호의 변조방식으로서 FM 방식이 채용되어 있는 것으로, 무선신호의 유효 전달거리가 10미터 정도의 근거리이기 때문에, 사무실내의 1개의 방내에 있는 조작기기를 무코드로 접속하는 경우에 유효한 것으로, 예를 들면 퍼스널컴퓨터 본체와 마우스나 키보드 등의 주변기기와의 사이의 접속, 휴대전화기와 노트북형 퍼스널컴퓨터와의 접속, 스테레오장치와 헤드폰과의 접속 등의 이용이 생각된다. 이 밖에도 서로 근거리에 있다는 조건이 기본이면 휴대전화기와 자동판매기와의 접속, 휴대전화기와 주차장의 주차계와의 접속 등의 이용이 생각되어지고 있다.
그런데, 브루투스형태의 무선신호 전송방식은 그 시스템을 기존의 기기에 조립하여 그 시스템을 조립한 기기 사이에서 사용하는 것을 전제로서 개발한 전송방식 이기 때문에, 시스템의 구성을 저렴하게 제공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브루투스형태의 무선신호 전송방식의 사양은 반송파나 변조파에 대한 주파수 허용정밀도가 매우 완만한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완만한 사양에 따라 수신기의 FM 복조회로를 상기한 바와 같은 S자 커브특성을 가지는 공진회로 및 레벨 판정부로 구성한 경우에는, FM 신호를 S자 커브특성을 가지는 공진회로에 공급하여 양레벨 또는 음레벨의 복조출력을 얻은 후, 레벨 판정부에서 그 복조출력 레벨과 절대값 레벨을 레벨비교하고, 그 레벨 비교결과에 의하여 출력데이터의 고(H)레벨 또는 저(L)레벨의 판정을 행하면, 그 판정결과와 현 데이터에 있어서의 고(H)레벨 또는 저(L)레벨 사이에 상위를 일으키고 있는 일이 있어 높은 판정 정밀도에 의해 복조신호(복조 데이터)를 형성할 수 없다.
이와 같은 사태에 대처할 수 있도록 브루투스형태의 무선신호 전송방식은 복조 데이터와 그 데이터에 인접하는 데이터의 상대 레벨을 판정함으로써, 복조 데이터의 고(H)레벨 또는 저(L)레벨을 판정할 수 있는 방식이 채용되고 있어, 그 때문에 무선신호에 의해 전송되는 데이터는 주파수 시프트키잉(GFSK)에 의해 데이터의 고(H)레벨 또는 저(L)레벨수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나타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간단한 구성수단에 의해 복조한 데이터의 고(H) 레벨 또는 저(L)레벨을 판정하여 높은 판정 정밀도의 복조 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FM 복조회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FM 복조회로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그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FM 복조회로의 레벨판정부에서 실행되는 주요한 동작경위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파수 변별부 2 : 레벨 판정부
3 : 변별회로 4 : 아날로그-디지털변환부(A/D)
5 : 신호 입력단자 6 : 신호 출력단자
7 : 현 데이터 레지스터
8 : 1 클록 전 데이터 레지스터 9 : 비교기(COMP)
10 : 논리회로부 101: 제 1 인버터
1O2 : 제 1 앤드 게이트 103 : 제 2 앤드 게이트
104 : 제 2 인버터 1O5 : 오어 게이트
1O6 : 제 3 앤드 게이트 11 : 현 레벨 플립플롭
12 : 제어 플립플롭 13 : 제어증폭기(AMP)
14 : 클록발생부 15 : 신호 입력단자
16 : 데이터 출력단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FM 복조회로는 수신한 브루투스형태의 전송방식의 고주파신호를 FM 복조하여 데이터를 재생하는 주파수 변별부와 레벨 판정부를 구비한 것으로서, 주파수 변별부는 고주파신호의 주파수 변별출력을 디지털 변환한 데이터를 출력하고, 레벨 판정부는 최신의 클록기간에 주파수 변별부로부터 공급된 현 입력데이터와 1 클록 전의 클록기간에 주파수 변별부로부터 공급된 직전 입력데이터를 레벨비교하고, 그 레벨 비교결과에 의거하여 현 입력데이터의 논리상태를 판정하고, 판정한 논리상태에 따른 데이터의 재생을 행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수단에 의하면 새로운 클록기간이 될 때마다 주파수 변별부로부터 공급되는 현 입력데이터와, 그 클록기간의 1 클록 전의 기간에 주파수 변별부로부터 공급되고 있는 직전 입력데이터를 레벨 비교함으로써, 공급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직전의 데이터와의 상대 레벨을 판정하고, 그 판정결과에 의거하여 현 데이터의 논리 레벨을 구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복조한 2치 데이터를 높은 판정 정밀도에 의해 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단에 있어서의 현 입력데이터와 직전 입력데이터와의 비교는 현 입력데이터를 유지하는 현 데이터 레지스터 및 직전 입력데이터를 유지하는 1 클록 전 데이터 레지스터와, 2개의 레지스터의 출력상태를 비교하는 비교기에 의해 행하여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현 입력데이터와 직전 입력데이터의 레벨비교를 행하는 경우에, 2개의 레지스터와 1개의 비교기를 사용하고 있을 뿐이므로, 간단한 구성수단에 의해 레벨비교를 행할 수 있다.
또 상기 수단에 있어서의 현 입력데이터의 논리 레벨의 판정은, 현 입력데이터와 직전 입력데이터와의 레벨 비교결과에 의해 서로 출력상태를 달리하는 현 레벨 플립플롭 및 출력제어 플립플롭과, 2개의 플립플롭의 각 출력상태에 따라 출력논리값이 제어되는 가제어 증폭기에 의해 행하여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현 입력데이터의 논리레벨을 판정하는 경우에, 2개의 플립플롭과 1개의 가제어 증폭기를 사용하고 있을 뿐이므로, 간단한 구성수단에 의해 논리레벨을 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FM 복조회로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그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 의한 FM 복조회로는 주파수 변별부 (1)와 레벨판정부(2)로 이루어져 있다. 이 경우, 주파수 변별부(1)는 S자 커브특성을 가지는 변별회로(공진회로)(3)와, 아날로그-디지털변환부(A/D)(4)와, 신호입력단자(5)와, 신호출력단자(6)를 구비하고 있다. 또 레벨판정부(2)는 현 데이터 레지스터(7)와, 1 클록 전 데이터 레지스터(8)와, 비교기(COMP)(9)와, 논리회로부(10)와, 현 레벨 플립플롭(11)과, 제어 플립플롭(12)과, 제어증폭기(AMP)(13)와, 클록발생부 (14)와, 신호입력단자(15)와, 데이터출력단자(1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논리회로부(10)는 제 1 인버터(101)와,제 1 앤드게이트(102)와, 제 2 앤드게이트(103)와, 제 2 인버터(104)와, 오어게이트(105)와, 제 3 앤드게이트(106)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주파수 변별부(1)에 있어서, 변별회로(3)는 입력단이 신호입력단자 (5)에 접속되고, 출력단이 아날로그-디지털변환부(4)의 입력단에 접속된다. 아날로그-디지털변환부(4)는 출력단이 신호출력단자(6)에 접속된다. 신호출력단자(6)는 다음에 이어지는 레벨 판정부(2)의 신호입력단자(15)에 접속된다.
레벨 판정부(2)에 있어서, 현 데이터 레지스터(7)는 입력단이 신호입력단자 (15)에 접속되고, 출력단이 1 클록 전 데이터 레지스터(8)의 입력단과 비교기(9)의 제 1 입력단에 각각 접속되고, 클록 입력단이 클록 발생부(14)의 클록 출력단(CP1)에 접속되고, 리세트단이 클록 발생부(14)의 리세트 펄스 출력단(R)에 접속된다. 1 클록 전 데이터레지스터(8)는 출력단이 비교기(9)의 제 2 입력단에 접속되고, 클록 입력단이 클록 발생부(14)의 클록 출력단(CP4)에 접속되고, 리세트단이 클록 발생부(14)의 리세트 펄스 출력단(R)에 접속된다. 비교기(9)는 판정 출력단(O1)이 제 2 앤드게이트(103)의 제 1 입력단과 제 2 인버터(104)의 입력단에 각각 접속되고, 유의차(有意差) 출력단(O2)이 제 1 인버터(101)의 입력단과 제 2 앤드게이트(103)의 제 2 입력단과 제 3 앤드게이트(106)의 제 2 입력단에 각각 접속되고, 클록 입력단이 클록발생부(14)의 클록 출력단(CP2)에 접속된다.
논리회로부(10)에 있어서, 제 1 인버터(101)는 출력단이 제 1 앤드게이트(1O2)의 제 2 입력단에 접속된다. 제 1 앤드게이트(1O2)는 제 1 입력단이 현 레벨 플립플롭(11)의 출력단에 접속되고, 출력단이 오어게이트(105)의 제 1 입력단에 접속된다. 제 2 앤드게이트(103)는 출력단이 오어게이트(105)의 제 2 입력단에 접속된다. 제 2 인버터(104)는 출력단이 제 3 앤드게이트(106)의 제 1 입력단에 접속된다. 오어게이트(1O5)는 출력단이 현 레벨 플립플롭(11)의 데이터 입력단(D)에 접속된다. 제 3 앤드게이트(106)는 출력단이 제어 플립플롭(12)의 제어단(S)에 접속된다.
현 레벨 플립플롭(11)은 출력단이 제어 증폭기(13)의 입력단에 접속되고, 클록 입력단이 클록 발생부(14)의 클록 출력단(CP3)에 접속되고, 리세트단이 클록 발생부(14)의 리세트 펄스 출력단(R)에 접속된다. 제어 플립플롭(12)은 출력단이 제어 증폭기(13)의 제어단에 접속되고, 리세트단이 클록 발생부(14)의 리세트 펄스 출력단(R)에 접속된다. 제어증폭기(13)는 출력단이 데이터 출력단자(16)에 접속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FM 복조회로는 개략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주파수 변별부(1)에 있어서, 신호입력단자(5)를 통하여 변별회로(3)에 FM 신호가 공급되면 변별회로(3)는 공진회로의 S자 커브특성에 따라 FM 신호의 주파수변위에 대응한 양레벨 또는 음레벨 전압을 출력하고, 그 전압을 아날로그-디지털변환부(4)에 공급한다. 아날로그-디지털변환부(4)는 공급된 아날로그전압을 디지털변환하여 2치 데이터를 출력하고, 그 2치 데이터를 신호출력단자(6)를 통하여 레벨판정부(2)의 신호입력단자(15)에 공급한다.
레벨판정부(2)에 있어서, 현 데이터레지스터(7)는 신호입력단자(15)로부터 2치 데이터가 입력되면 클록발생부(14)로부터 공급되는 최신의 클록기간에 입력된 2치 데이터를 현 데이터로서 유지한다. 또 1 클록 전 데이터레지스터(8)는 1 클록 전의 클록기간에 신호입력단자(15)에 입력되고, 현 데이터 레지스터(7)로부터 전송되어 온 2치 데이터를 1 클록 전 데이터로서 유지한다. 비교기(9)는 현 데이터 레지스터(7)에 유지되어 있는 현재의 2치 데이터와 1 클록 전 데이터 레지스터(8)에 유지되어 있는 1 클록 전의 2치 데이터를 판독하여 판독한 2개의 데이터의 레벨을 비교한다. 그리고 비교기(9)는 레벨비교의 결과, 현재의 2치 데이터가 1 클록 전의 2치 데이터보다도 레벨이 클 때, 판정출력단(O1)에 1를 출력하고, 현재의 2치 데이터가 1 클록 전의 2치 데이터보다도 레벨이 작을 때, 판정출력단(O1)에 0를 출력한다. 또 비교기(9)는 레벨비교의 결과, 현재의 2치 데이터와 1 클록 전의 2치 데이터 사이에 유의 레벨차가 생겨 있다고 판단하였을 때, 즉 그들의 2치 데이터에 레벨변화가 생겼다고 보여지는 변화를 확인하였을 때, 유의차 출력단(O2)에 1을 출력하고, 현재의 2치 데이터와 1 클록 전의 2치 데이터 사이에 유의 레벨차가 생기고 있다고 판단할 수 없을 때, 유의차 출력단(O2)에 0을 출력한다. 논리회로부(10)는 비교기(9)의 판정출력단(O1)으로부터 출력되는 1 또는 0, 유의차 출력단(O2)로부터 출력되는 1 또는 0을 논리연산하여 그 연산결과를 현 레벨 플립플롭(11) 및 제어 플립플롭(12)에 공급한다.
현 레벨 플립플롭(11)은 비교기(9)의 유의차 출력단(O2)으로부터 0이 출력되고 있는 동안, 현 레벨 플립플롭(11)에 설정되어 있는 2치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고, 비교기(9)의 유의차 출력단(O2)으로부터 1이 출력되면 비교기(9)의 판정 출력단 (O1)의 출력 1 또는 O이 공급되고, 현 레벨 플립플롭(11)의 출력상태가 고레벨(H) 또는 저레벨(L)이 된다. 제어 플립플롭(12)은 비교기(9)의 유의차 출력단(O2)이 1 이고, 또한 비교기(9)의 판정출력단(01)이 O일 때에 입력단에 1이 공급되어 세트되고, 그 출력단이 고레벨(H)이 된다. 제어증폭기(13)는 제어 플립플롭(12)으로부터 고레벨(H)이 공급되어 있을 때, 현 레벨 플립플롭(11)의 출력상태가 그대로 전송되어 데이터출력단자(16)에 고레벨(H) 또는 저레벨(L)이 공급된다. 한편 제어 증폭기(13)는 제어 플립플롭(12)으로부터 저레벨(L)이 공급되게 되면 현 레벨 플립플롭(11)의 출력상태의 전송이 저지되어 고임피던스상태가 되어, 데이터출력단자 (16)에 그 고 임피던스상태가 공급된다.
다음에 도 2는 도 1에 나타낸 FM 복조회로의 레벨판정부(2)에서 실행되는 주요한 동작경위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플로우차트를 사용하여 레벨판정부(2)에서 실행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단계(S1)에 있어서, 이 처리는 레벨판정부(2)의 초기화처리에 관한 것으로 클록발생부(14)의 리세트 펄스 출력단(R)으로부터 리세트 펄스를 발생하여 현 데이터 레지스터(7), 1 클록 전 데이터 레지스터(8), 현 레벨 플립플롭(11), 제어 플립플롭(12)에 공급하여 그들의 출력상태를 0으로 한다.
다음에 단계(S2)에 있어서, 레벨판정부(2)는 신호입력단자(15)로부터 2치 데이터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2치 데이터가 입력되었다고 판단하였을(Y) 때는 다음 단계(S3)로 이행하고, 한편 2치 데이터가 아직 입력되어 있지 않았다고 판단하였을 (N)때는 이 단계(S2)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이어서 단계(S3)에 있어서 레벨 판정부(2)는 신호입력단자(15)에 입력된 2치 데이터를 현 데이터 레지스터(7)에 전송하고, 그 2치 데이터를 현 데이터 레지스터 (7)에 보존한다.
계속되는 단계(S4)에 있어서, 비교부(9)는 현 데이터 레지스터(7)에 보존되어 있는 현재의 2치 데이터와 1 클록 전 데이터 레지스터(8)에 유지되어 있는 1 클록 전의 2치 데이터를 각각 판독하고, 판독한 현재의 2치 데이터와 1 클록 전의 2치 데이터를 레벨비교한다. 그리고 그 레벨비교의 결과, 현재의 2치 데이터가 1 클록 전의 2치 데이터보다도 레벨이 크다고 판단하였을 (H)때는 다음 단계(S5)로 이행하여 현재의 2치 데이터가 1 클록 전의 2치 데이터보다도 레벨이 작다고 판단하였을 (L)때는 다른 단계(S6)로 이행하여 현재의 2치 데이터가 1 클록 전의 2치 데이터의 레벨과 변함이 없다고 판단하였을 (0)때는 다시 다른 단계(S8)로 이행한다.
또한 현재의 단계에서는 1 클록 전 데이터 레지스터(8)에 2치 데이터가 유지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단계(S4)에 있어서의 레벨비교의 결과는, 현재의 2치 데이터가 1 클록 전의 2치 데이터보다도 레벨이 크다고 판단되어 자동적으로 다음 단계 (S5)로 이행한다.
계속해서 단계(S5)에 있어서, 레벨 판정부(2)는 비교부(9)의 판정 출력단 (O1) 및 유의차 출력단(O2)의 출력이 모두 1이 되므로 현 레벨 플립플롭(11)의 출력상태를 고레벨(H)에 설정한다.
다음에 단계(S9)에 있어서, 레벨 판정부(2)는 현 데이터 레지스터(7)에 유지되어 있는 현재의 2치 데이터를 1 클록 전 데이터 레지스터(8)에 전송하고, 그 2치 데이터를 1 클록 전 데이터 레지스터(8)에 유지시킨다. 이 처리가 종료하였을 때 단계(S2)로 되돌아가고, 다시 단계(S2) 이후의 동작이 반복하여 실행된다. 또한 지금까지 설명한 단계(S1) 내지 단계(S5), 단계(S9)의 처리는 이니셜(초기시)동작에 관한 것으로, 이 이니셜동작이 종료하면, 통상의 데이터판별동작으로 이행한다.
그런데 통상의 데이터판별동작은, 단계(S2) 내지 단계(S4)의 동작은 이미 설명한 이니셜동작과 동일하고, 단계(S4)의 판단결과에 따라 단계(S4)로부터 단계 (S5)로의 이행, 단계(S4)로부터 단계(S6)로의 이행, 단계(S4)로부터 단계(S8)로의 이행으로 나누어진다.
먼저 단계(S4)에 있어서, 현재의 2치 데이터가 1 클록 전의 2치 데이터보다도 레벨이 크다고 판단하였을 (H)때는 상기한 바와 같이 다음 단계(S5)로 이행하고, 단계(S5)에 있어서 현 레벨 플립플롭(11)의 출력상태를 고레벨(H)에 설정한다. 이후 상기한 바와 같이 현 데이터 레지스터(7)에 유지되어 있는 현재의 2치 데이터를 1 클록 전 데이터 레지스터(8)에 전송하고, 그 2치 데이터를 1 클록 전 데이터 레지스터(8)에 유지시켜 이 처리가 종료하였을 때 단계(S2)로 되돌아가 다시 단계(S2) 이후의 동작이 반복하여 실행된다.
또 단계(S4)에 있어서, 현재의 2치 데이터가 1 클록 전의 2치 데이터보다도 레벨이 작다고 판단하였을 (L)때는, 다른 단계(S6)로 이행한다.
다음에 단계(S6)에 있어서, 레벨 판정부(2)는 비교부(9)의 판정출력단(O1)의 출력이 0, 유의차 출력단(O2)의 출력이 1이 되므로, 현 레벨 플립플롭(11)의 출력상태를 저레벨(L)에 설정한다.
이어서 단계(S7)에 있어서, 레벨 판정부(2)는 비교부(9)의 판정출력단(O1)의 출력이 0, 유의차 출력단(O2)의 출력이 1이 되므로, 제어 플립플롭(12)의 출력상태를 고레벨(H)로 설정한다.
이후, 단계(S9)에 있어서 상기한 바와 같이 현 데이터 레지스터(7)에 유지되어 있는 현재의 2치 데이터를 1 클록 전 데이터 레지스터(8)에 전송하고, 그 2치 데이터를 1 클록 전 데이터 레지스터(8)에 유지시키고, 이 처리가 종료하였을 때, 단계(S2)로 되돌아가 다시 단계(S2) 이후의 동작이 반복하여 실행된다.
또한 단계(S4)에 있어서, 현재의 2치 데이터와 1 클록 전의 2치 데이터와의 레벨차가 없다고 판단하였을 (0)때는, 다시 다른 단계(S8)로 이행한다.
다음에 단계(S8)에 있어서, 레벨판정부(2)는 비교부(9)의 판정출력단(O1)의 출력에 관계없이 유의차 출력단(O2)의 출력이 0이 되므로, 현 레벨 플립플롭 (11)의 출력상태를 현상 유지로 설정하고, 제어 플립플롭(12)의 출력상태를 저레벨 (L)에 설정한다.
이후 단계(S9)에 있어서, 상기한 바와 같이 현 데이터 레지스터(7)에 유지되어 있는 현재의 2치 데이터를 1 클록 전 데이터 레지스터(8)에 전송하고, 그 2치데이터를 1 클록 전 데이터 레지스터(8)에 유지시키고, 이 처리가 종료하였을 때 단계 (S2)로 되돌아가, 다시 단계(S2) 이후의 동작이 반복하여 실행된다.
이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 의한 FM 복조회로에 의하면, 제어 플립플롭(12)의 출력상태가 고레벨(H)로 설정되는 것은 현재의 2치 데이터의 레벨이 1 클록 전의 2치 데이터의 레벨보다도 작아졌을 때 뿐이므로, 이니셜동작이 종료한 후에 레벨 판정부(2)에 공급되는 2치 데이터의 논리상태에 관계없이 레벨판정부(2)는 정상으로 데이터재생을 행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주파수 변별부(1)가 변별회로(3)와 아날로그 -디지털변환부(4)에 의해 구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변별부(1)는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펄스카운트방식의 것이더라도 좋다.
이상과 같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새로운 클록기간이 될 때마다 주파수 변별부로부터 공급되는 현 입력데이터와, 그 클록기간의 1 클록 전의 기간에 주파수 변별부로부터 공급되고 있는 직전 입력데이터를 레벨비교함으로써 공급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직전의 데이터와의 상대 레벨을 판정하고, 그 판정결과에 의거하여 현 데이터의 논리레벨을 구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복조한 2치 데이터를 높은 판정 정밀도에 의해 재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현 입력데이터와 직전 입력데이터와의 레벨비교를 행하는 경우에, 2개의 레지스터와 1개의 비교기를 사용하고 있을 뿐이므로 간단한 구성수단에 의해 레벨비교를 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현 입력데이터의 논리레벨을 판정하는 경우에, 2개의 플립플롭과 1개의 가제어 증폭기를 사용하고 있을 뿐이므로, 간단한 구성수단에 의해 논리레벨을 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수신한 브루투스형태의 주파수 시프트 키잉 전송방식에 의한 고주파신호를 FM 복조하여 데이터를 재생하는 주파수 변별부와 레벨판정부를 구비한 FM 복조회로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변별부는, 상기 고주파신호의 주파수 변별출력을 디지털변환한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레벨판정부는 최신의 클록기간에 상기 주파수 변별부로부터 공급된 현 입력데이터와 1 클록 전의 클록기간에 상기 주파수 변별부로부터 공급된 직전 입력 데이터를 레벨비교하고, 상기 레벨비교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현 입력데이터의 논리상태를 판정하고, 판정한 논리상태에 따른 데이터의 재생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M 복조회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현 입력데이터와 상기 직전 입력데이터와의 레벨비교는 상기 현 입력데이터를 유지하는 현 데이터 레지스터 및 상기 직전 입력 데이터를 유지하는 1 클록전 데이터 레지스터와, 상기 2개의 레지스터의 출력상태를 비교하는 비교기에 따라행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M 복조회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현 입력데이터의 논리레벨의 판정은, 상기 현 입력데이터와 상기 직전입력 데이터와의 레벨 비교결과에 의해 서로 출력상태를 달리하는 현 레벨 플립플롭및 출력제어 플립플롭과, 상기 2개의 플립플롭의 각 출력상태에 의하여 출력논리값이 제어되는 가제어 증폭기에 의해 행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M 복조회로.
KR10-2002-0022187A 2001-04-24 2002-04-23 높은 판정 정밀도의 복조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fm복조회로 KR1004646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26007 2001-04-24
JP2001126007A JP2002319825A (ja) 2001-04-24 2001-04-24 Fm復調回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2775A KR20020082775A (ko) 2002-10-31
KR100464629B1 true KR100464629B1 (ko) 2005-01-03

Family

ID=18975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2187A KR100464629B1 (ko) 2001-04-24 2002-04-23 높은 판정 정밀도의 복조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fm복조회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639458B2 (ko)
JP (1) JP2002319825A (ko)
KR (1) KR10046462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54410A (ja) * 1989-11-10 1991-07-02 Sharp Corp 狭帯域ディジタルfm復調装置
KR940010485A (ko) * 1992-10-13 1994-05-26 윤종용 쿼드래춰 주파수변조방식 검파기의 이상 중심주파수 제어회로
US5493713A (en) * 1993-09-29 1996-02-20 Sgs-Thomson Microelectronics Limited Demodulation of FM audio carrier
US5850164A (en) * 1995-01-13 1998-12-15 Sgs-Thomson Microelectronics S.A. FM demodulation and frequency tuning for a phase-locked loop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71712A (en) * 1969-07-30 1971-03-23 Ibm Digital fsk/psk detector
US5652541A (en) * 1993-11-23 1997-07-29 Motorola, Inc. Data demodulator employing decision feedback for reference parameter recovery and method used therin
US5436589A (en) * 1994-01-31 1995-07-25 Motorola, Inc. Demodulator for frequency shift keyed signals
JPH11317626A (ja) 1998-04-30 1999-11-16 Sharp Corp Fm復調器
JP4321959B2 (ja) * 2000-10-17 2009-08-26 Oki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信号補償回路及び復調回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54410A (ja) * 1989-11-10 1991-07-02 Sharp Corp 狭帯域ディジタルfm復調装置
KR940010485A (ko) * 1992-10-13 1994-05-26 윤종용 쿼드래춰 주파수변조방식 검파기의 이상 중심주파수 제어회로
US5493713A (en) * 1993-09-29 1996-02-20 Sgs-Thomson Microelectronics Limited Demodulation of FM audio carrier
US5850164A (en) * 1995-01-13 1998-12-15 Sgs-Thomson Microelectronics S.A. FM demodulation and frequency tuning for a phase-locked loo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319825A (ja) 2002-10-31
US6639458B2 (en) 2003-10-28
KR20020082775A (ko) 2002-10-31
US20020153945A1 (en) 2002-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55452A (en) Peak and valley signal measuring circuit using single digital-to-analog converter
JP5225816B2 (ja) 半導体装置
US5844943A (en) Method and converter for converting rectangular signals to phase signals
GB2336013A (en) Radio selective call receiver
JP3459339B2 (ja) Ppm方式を採用する変調回路、復調回路及び変復調回路システム
US20100014613A1 (en) Demodulation of a digitally frequency-modulated analog received signal by evaluation of the time intervals between the zero crossings
US726860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duty cycle distortion of an output signal
KR100464629B1 (ko) 높은 판정 정밀도의 복조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fm복조회로
JPH03137780A (ja) 非接触型icカード
US6088410A (en) False-synchronization detection device for bit-synchronous circuit of . .pi/4-shift DQPSK demodulator
JP3518330B2 (ja) データ通信方法及び受信装置
JP2000022670A (ja) アンテナ選択ダイバーシチ受信装置
JPH104436A (ja) クロック再生回路
JPH11341087A (ja) 4値fsk方式のクロック再生回路
JP2965448B2 (ja) デジタル復調回路の符号識別回路
JPH05153180A (ja) 位相変調信号の復調装置
JPH11288330A (ja) 設定機能付き集積回路
JPS6184122A (ja) 多値デイジタル信号判別回路
JP3519147B2 (ja) 情報記録媒体および情報記録媒体に対するデータ伝送方法
KR920007748Y1 (ko) Fsk 데이타 수신기
JPH04123550A (ja) データ信号のアナログ/デジタル変換方式
JPH03104319A (ja) 誤り検出回路
KR100555449B1 (ko) 고속 송/수신 레벨을 채용하는 클럭 포워딩 회로 및 그의 동작방법
JPH05110613A (ja) 角度変調信号復調回路
JPH05136714A (ja) データキヤリアのデータ復調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