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2034B1 - 방적기에서의 섬유속 집속장치 - Google Patents

방적기에서의 섬유속 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2034B1
KR100462034B1 KR10-2002-0055800A KR20020055800A KR100462034B1 KR 100462034 B1 KR100462034 B1 KR 100462034B1 KR 20020055800 A KR20020055800 A KR 20020055800A KR 100462034 B1 KR100462034 B1 KR 100462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fiber bundle
roller
spinning machine
tigh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5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9015A (ko
Inventor
나까노쯔또무
사노아끼또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ublication of KR20030029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9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2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20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1/00Spinning or twisting machines in which the product is wound-up continuously
    • D01H1/14Details
    • D01H1/20Driving or stopping arrangements
    • D01H1/22Driving or stopping arrangements for rollers of drafting machines; Roller speed control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5/00Drafting machines or arrangements ; Threading of roving into drafting machine
    • D01H5/18Drafting machines or arrangements without fallers or like pinned bar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5/00Drafting machines or arrangements ; Threading of roving into drafting machine
    • D01H5/18Drafting machines or arrangements without fallers or like pinned bars
    • D01H5/70Constructional features of drafting elements
    • D01H5/72Fibre-condensing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Abstract

(과제) 구동 롤러 및 흡인부를 소정 수의 복수개 추마다 유닛화시켜 부착이나 보전 또는 통기 에이프런의 교환을 간단히 하고, 기존 방적기의 간단한 개조로 실현할 수 있는 섬유속 집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수단) 회전축(34)은 4개의 추와 대응하는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중앙에 형성된 기어(40)에 중간기어(42)를 통해 프론트 하부 롤러(12)의 회전력이 전달된다. 회전축(34)은 각 추와 대응하는 지점에 통기 에이프런(33)의 일부가 감겨 있는 하부 조임 롤러(34a)를 구비한다. 흡인부(32)는 회전축(34)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흡인구멍(44a,45a)을 각 추에 대응하여 구비하는 동시에, 흡인구멍(44a,45a)을 덮은 상태에서 통기 에이프런(33)의 일부가 감겨 있는 슬라이딩 안내면(44b,45b)을 갖는 흡인파이프(44,45)를 구비하고 있다. 흡인구멍(44a,45a)은 조임 롤러쌍의 조임점을 사이에 두고 상류측 및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방적기에서의 섬유속 집속장치{FIBER BUNDLE COLLECTING DEVICE IN A SPINNING MACHINE}
본 발명은 섬유속(纖維束) 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예컨대 정밀 방적기의 드래프트 장치(드래프트 파트)의 하류에 배치되고, 드래프트 장치에서 드래프트된 섬유속을 집속시키는 방적기에서의 섬유속 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섬유속 집속장치로서 독일 특허출원 공개 DE19708410A1에는, 도 10 및 도 11(a),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래프트 장치를 구성하는 최종 롤러쌍(71)의 하류에 섬유속 반송면을 형성하는 다공 에이프런(72)을 구비한 송출 롤러쌍(73)을 설치하고, 이 다공 에이프런(72)의 반송면에 흡인기류를 작용시키는 공기흡인장치(74)를 설치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 장치에서는 다공 에이프런(72)을 가이드하는 에이프런 가이드(75)에 형성된 홈구멍을 통해 다공 에이프런(72)의 반송면에 흡인기류가 작용한다.
다공 에이프런(72)이 감긴 한쌍의 각 송출 롤러(73a)는 지지부(76)에 지지축(77)을 통해 외팔보 상태로 지지되고, 프론트 하부 롤러(71a)와 평행하게 배치된 회전축(78)의 마찰 롤러부(78a)의 마찰에 의해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마찰 롤러부(78a)에 대한 마찰력은 웨이팅 아암에 지지되고 다공 에이프런(72)에 대하여 송출 롤러(73a)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가압되는 송출 롤러(73b)의 가압력에 의해 확보된다.
상기 섬유속 집속장치를 드래프트 장치의 전방측에 추가함으로써, 즉 드래프트 장치의 섬유속 이동방향의 하류측에서 비틀어 걸기 전의 섬유속을 집속함으로써 보풀이 적은 고품질 실을 방출(紡出)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 장치에서는 상기 송출 롤러쌍(73)을 구동시키기 위해서, 프론트 하부 롤러(71a)와 평행하게 배치된 회전축(78)에 설치된 마찰 롤러부(78a)에 대하여 송출 롤러(73a)를 가압하는 힘이 필요해진다. 그리고, 송출 롤러(73a)는 외팔보 상태로 지지축(77)에 지지되고 있기 때문에, 송출 롤러(73a)에 가압력이 작용할 때에 지지축(77)에 굽힘 응력이 작용한다.
그리고, 송출 롤러(73b)의 가압력으로 송출 롤러(73a)와 마찰 롤러부(78a)의 마찰력을 효율적으로 확보하기 위해서는, 송출 롤러(73b), 송출 롤러(73a) 및 마찰롤러부(78a)는 그 회전 중심이 일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할 필요가 있다. 그 결과, 송출 롤러(73a,73b) 및 회전축(78)의 배치 위치의 자유도가 작아진다.
또, 회전축(78)은 기대(機臺)의 기어 단부에 설치된 모터에 의해 기어열을 통해 구동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종래기의 개조 수준으로는 방적기를 제조하기 어려워 새로이 드래프트 장치의 배치 등 방적기 기대 전체의 구성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 송출 롤러쌍(73) 중 다공 에이프런(72)이 감겨 있는 송출 롤러(73a)를 회전축(78)에 형성하면 섬유속 집속장치의 배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다공 에이프런(72)은 드래프트 장치의 미들 에이프런과 비교하여 잘 마모되어 교환 주기가 비교적 짧아진다. 그래서, 기대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는 회전축(78)에 삽입 통과된 상태에서 다공 에이프런(72)을 배치하면, 다공 에이프런(72)을 교환하는 데에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제 1 목적은 섬유속 집속장치를 구성하는 구동 롤러 및 흡인부를 소정 수의 복수개 추마다 유닛화시켜 부착이나 보전 또는 통기 에이프런의 교환을 간단히 할 수 있는 섬유속 집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제 2 목적은 종래의 드래프트 장치를 구비한 방적기의 간단한 개조로 실현할 수 있는 방적기에서의 섬유속 집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의 일부 파단 개략 측면도이다.
도 2는 흡인부와 하부 조임 롤러의 관계를 나타내는 부분 개략도이다.
도 3(a)는 섬유속 집속장치를 섬유속 이동방향의 전방에서 본 부분 개략도이고, 도 3(b)는 회전축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엔드 플러그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6(a)는 롤러 스탠드의 지지부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고, 도 6(b)는 롤러 스탠드의 중간에 배치되는 지지부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7은 흡인부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a)에 대응하는 접속관을 제거한 상태의 부분 개략도이다.
도 9(a)는 작용을 나타내는 부분 모식도이고, 도 9(b)는 하류측의 흡인파이프가 없는 경우의 작용을 나타내는 부분 모식도이다.
도 10은 종래 기술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11(a)는 종래 기술의 정면도이고, 도 11(b)는 11(a)의 B-B를 자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2: 구동원으로서의 프론트 하부 롤러 15a,37a: 지지부
30: 섬유속 집속장치 31: 송출부로서의 조임 롤러쌍
31a: 조임 롤러로서의 상부 조임 롤러 32: 흡인수단으로서의 흡인부
33: 통기 에이프런 34: 회전축
34a: 조임 롤러로서의 하부 조임 롤러 38: 베어링
39: 피지지부로서의 엔드 플러그 40: 회전력 전달부로서의 기어
43: 흡인덕트 44,45: 흡인파이프
44a,45a: 흡인구멍 46: 접속관
F: 섬유속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 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장치는 방적기의 드래프트 파트의 최종 송출 롤러쌍의 하류측에 설치되고 조임 롤러를 구비한송출부, 상기 송출부의 조임점에 대하여 적어도 섬유속 이동방향의 상류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흡인구멍을 구비한 흡인부 및 상기 송출부를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흡인부를 따라 회전되는 통기 에이프런을 구비하고 있다. 회전축은 구동원의 회전력이 전달되는 회전력 전달부를 가지고, 복수개 추와 대응하는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각 추와 대응하는 지점에 상기 통기 에이프런의 일부가 감겨 있는 구동 롤러부를 가지며, 기대 프레임에 설치된 지지부에 지지되는 피지지부를 복수 지점에 갖는다. 흡인수단은 상기 회전축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흡인구멍을 각 추에 대응하여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흡인구멍을 덮은 상태에서 상기 통기 에이프런의 일부가 감겨 있는 슬라이딩면을 갖는 흡인파이프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조임 롤러를 회전시키는 회전축과 드래프트된 섬유속에 흡인작용을 미치게 하는 흡인수단이 복수개 추마다의 유닛에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부착이나 보전 또는 통기 에이프런의 교환을 간단히 할 수 있다. 회전축은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회전력 전달부를 통해 구동원의 회전력이 전달된다. 회전축은 복수개 피지지부에서 지지되기 때문에, 구동 롤러부가 통기 에이프런을 통해 피동측의 조임 롤러에 의해 가압되어도 회전축에 무리한 굽힘 응력이 작용하지 않는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서 상기 회전력 전달부는 마찰 롤러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회전력 전달부를 기어로 한 경우와 비교하여 구성이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해진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서 상기 회전력 전달부는 기어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회전력 전달부를 마찰 롤러로 한 경우와 비교하여 회전력 전달부를 구동원측으로 큰 힘으로 압접할 필요가 없어 배치 위치의 자유도가 높아지고 구조가 간단해진다. 또, 회전력 전달부를 감기전동기구로 한 경우와 비교하여 구조가 간단해진다.
또, 제 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서 상기 구동원은 프론트 하부 롤러이다. 본 발명에서는 구동원이 프론트 하부 롤러이기 때문에, 회전축을 구동시키는 구동원을 방적기 기대에 새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 구조가 간단해지는 동시에, 제조 비용도 저렴해진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서 상기 흡인수단은 방적기 기대에 설치된 흡인덕트에 연결되어 마이너스압을 상기 흡인파이프에 작용시키는 접속관을 구비하고, 상기 흡인파이프는 상기 접속관에 대하여 착탈이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회전축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흡인파이프를, 흡인덕트에 연결되어 마이너스압을 상기 흡인파이프에 작용시키는 접속관에서 분리시키기 위해서, 통기 에이프런의 교환 작업이나 흡인파이프 등의 보전이 보다 쉬워진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서 상기 피지지부는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원터치로 끼워맞출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회전축의 착탈이 보다 쉬워진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발명에서 상기 피지지부는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피지지부를 회전축 도중에 설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피지지부의 부착이 쉬워진다. 또, 인접하는 회전축이 대향하는 피지지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공용함으로써 지지부의 수를 줄일 수 있어 제조 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7 항에 기재된 발명에서 상기 피지지부는 베어링을 통해 상기 회전축에 장착되는 동시에, 상기 흡인파이프의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로서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회전축에 형성된 구동 롤러부와 흡인파이프에 형성된 흡인구멍의 위치관계를 적정한 위치로 위치 결정하는 것이 쉬워진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서 상기 피지지부는 상기 흡인파이프의 개방된 단부를 폐쇄하는 엔드 플러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흡인파이프의 마이너스압원에 먼 쪽의 단부를, 흡인파이프 제조시에 폐쇄하지 않아도, 피지지부로서의 엔드 플러그에 의해 폐쇄되기 때문에 흡인파이프의 제조가 간단해진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서 상기 흡인수단의 일부가 상기 회전력 전달부의 커버 역할을 하도록 상기 회전력 전달부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회전력 전달부에 풍면(風綿) 등이 잘 퇴적되지 않는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서 상기 흡인부는 상기 흡인구멍이 상기 조임점을 사이에 두고 이 조임점의 상류측 및 하류측 양쪽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드래프트 파트에서 드래프트된 섬유속에는 송출부의 조임점을 사이에 두고 섬유속 이동방향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 배치된 흡인구멍으로부터 통기 에이프런을 통해 흡인작용이 미친다. 그리고, 섬유속이 흡인구멍과 대응하는 위치에 흡인 집속된 상태에서 이동한다. 따라서 섬유속이 조임점을 통과한 후에도 흡인작용을 받으며 집속된 상태에서 이동하기 때문에, 조임 롤러의 출구에 플리스 트라이앵글이 거의 형성되지 않는다. 그 결과, 보풀 발생이나 낙면(洛綿)이 억제되어 실 품질의 개선 효과가 대폭 향상된다.
발명의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을 4개의 추 단위로 정밀 방적기에 장착된 섬유속 집속장치에 구체화된 일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9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은 드래프트 장치의 일측을 나타내는 일부 파단 개략 측면도, 도 2는 드래프트 장치의 하부 롤러와 섬유속 집속장치의 흡인부 및 하부 조임 롤러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상부 롤러측을 생략한 부분 개략도이다. 도 3(a)는 섬유속 집속장치를 조임점에서의 섬유속 인출방향(드래프트 장치에서의 섬유속 이동방향의 전방)에서 본 개략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래프트 파트로서의 드래프트 장치(11)는 프론트 하부 롤러(12), 미들 하부 롤러(13) 및 백 하부 롤러(14)를 구비한 3선식 구성으로 되어 있다. 프론트 하부 롤러(12)는 롤러 스탠드(15)에 대하여 소정 위치에 지지되고, 미들 및 백의 각 하부 롤러(13,14)는 롤러 스탠드(15)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위치 조정이 가능하게 고정된 지지브래킷(13a,14a)을 통해 지지되고 있다. 지지브래킷(13a,14a)은 롤러 스탠드(15)에 형성된 긴 구멍을 관통하는 볼트 및 너트(둘다 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소정 위치에 조임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하부 에이프런(16)은 하부 텐서(17)와 미들 하부 롤러(13)에 감겨 있다.
웨이팅 아암(18)에는 프론트 상부 롤러(19), 미들 상부 롤러(20) 및 백 상부 롤러(21)가 각각 프론트 하부 롤러(12), 미들 하부 롤러(13) 및 백 하부 롤러(14)와 대응하는 위치에 상부 롤러 지지부재를 통해 각각 지지되고 있다. 각 상부 롤러(19~21)는 2개추 1세트로 지지되고 있다. 프론트 하부 롤러(12) 및 프론트 상부 롤러(19)가 드래프트 장치(11)의 최종 송출 롤러쌍을 구성한다.
웨이팅 아암(18)에는 레버(18a)가 가압위치와 해방위치로 회전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레버(18a)가 도 1에 나타내는 웨이팅 아암(18)의 프레임(18b)과 맞닿는 가압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웨이팅 아암(18)에 지지된 각 상부 롤러(19∼21)를 하부 롤러(12,13,14)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위치(방출위치)에 록 상태에서 유지된다. 또, 레버(18a)가 도 1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상측의 해방위치로 회전 이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록 상태가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래프트 장치(11)의 최종 송출 롤러쌍의 하류측에 섬유속 집속장치(30)가 배치되어 있다. 섬유속 집속장치(30)는 조임 롤러쌍(31), 흡인수단으로서의 흡인부(32) 및 통기 에이프런(33)을 구비하고 있다. 조임 롤러쌍(31)은 프론트 하부 롤러(12)와 평행하게 배치된 회전축(34)에 형성된구동 롤러부로서의 하부 조임 롤러(34a)와 하부 조임 롤러(34a)에 통기 에이프런(33)을 통해 가압되는 상부 조임 롤러(31a)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섬유속 집속장치(30)는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조임 롤러(31a)가 드래프트 장치(11)의 각 상부 롤러(19∼21)와 마찬가지로 2개추마다 지지부재(35: 도 1에만 도시함)를 통해 웨이팅 아암(18)에 지지되고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지부재(35)는 프론트 상부 롤러(19)의 지지부재와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섬유속 집속장치(30)의 하부측은 드래프트 장치(11)의 롤러 스탠드(15) 사이에 배치되는 추의 절반, 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추 분을 1 유닛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대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 배치된 롤러 스탠드(15)의 중간위치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빔(36)에 기단(基端)측이 지지된 상태에서 지지아암(37)이 배치되고 롤러 스탠드(15)와 지지아암(37) 사이에 회전축(34)이 지지되고 있다.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축(34)은 복수개 추(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추)와 대응하는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그 양단에 베어링(38)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베어링(38)이 피지지부로서의 엔드 플러그(39)에 끼워맞춰지고,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드 플러그(39)가 끼워맞춤부(39a)에서 롤러 스탠드(15) 및 지지아암(37)에 설치된 지지부(15a,37a)에 지지됨으로써, 회전축(34)은 롤러 스탠드(15)와 지지아암(37)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지지부(15a,17a)는 엔드 플러그(39)를 2개 지지 가능하게 형성되고, 인접하는 회전축(34)의 단부에 장착된 엔드 플러그(39)를 지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지지부(15a)는 롤러 스탠드(15) 상에 고정된 블록으로 구성되고,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대 전방측 비스듬히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어맞춤 오목부(15b,15c)를 갖고 있다.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부(37a)도 기대 전방측 비스듬히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끼워맞춤 오목부(37b)를 갖고 있다. 그리고, 피지지부(엔드 플러그(39))는 끼워맞춤 오목부(15b,37b)와 끼워맞출 수 있는 끼워맞춤부(39a)를 가지고, 끼워맞춤부(39a)에서 지지부(15a,37a)에 대하여 원터치로 끼워맞출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또, 지지부(15a)의 끼워맞춤 오목부(15c)는 프론트 하부 롤러(12)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회전축(34)에는 길이방향의 중앙에 구동원의 회전력이 전달되는 회전력 전달부로서의 기어(40)가 형성되어 있다. 기어(40)는 회전축(34)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회전축(34)의 구동원으로 프론트 하부 롤러(12)가 사용되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론트 하부 롤러(12)에는 기어(40)와 대향하는 위치에 기어부(12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아암(37)과 마찬가지로 기단측이 지지빔(36)에 고정된 지지아암(41)에 기어부(12a) 및 기어(40)에 맞물리는 중간기어(42)가 회전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즉, 프론트 하부 롤러(12)의 회전력은 기어부(12a), 중간기어(42) 및 기어(40)를 통해 회전축(34)에 전달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밀 방적기에는 그 길이방향(도 1의 지면과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흡인덕트(43)가 배치되어 있다. 흡인부(32)는회전축(34)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흡인파이프(44,45)와 흡인덕트(43)에 연결되어 마이너스압을 흡인파이프(44,45)에 작용시키는 접속관(46)을 구비하고 있다. 접속관(46)은 일부가 기어(40) 및 중간기어(42)의 커버 역할을 하도록 기어(40)의 전방측에 배치되고, 기단측에서 아코디언 형상의 연결관(47)을 통해 흡인덕트(43)에 접속되고 있다. 도 8은 도 3(a)에서 접속관(46)을 제거한 상태에서 접속관(46)과 대응하는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및 도 8에서 접속관(46)이 기어(40) 및 중간기어(42)의 커버 역할을 하도록 배치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연결관(47)은 일직선이 아니라 굴곡된 상태로 설치되고, 접속관(46)에 대하여 그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힘을 부여하도록 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관(46)의 선단부에는 흡인파이프(44,45)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걸어맞춤 구멍(46a,46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접속관(46)의 좌우 양측에는 각각 흡인파이프(44,45)의 제 1 단부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흡인파이프(44,45)의 제 2 단부는 엔드 플러그(39)에 끼워맞춰져 있다. 또, 도 7은 접속관(46)의 일측에 흡인파이프(44,45)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인파이프(44)는 하부 조임 롤러(34a)의 조임점을 사이에 두고 섬유속(플리스: F) 이동방향의 상류측으로 연장되는 슬릿형상의 흡인구멍(44a)이 형성된 슬라이딩 안내면(44b)을 갖는다. 흡인파이프(45)는 하류측으로 연장되는 슬릿형상의 흡인구멍(45a)이 형성된 슬라이딩 안내면(45b)을 갖는다. 그리고,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인파이프(44)는 하부 조임롤러(34a)의 조임점보다 섬유속 이동방향의 상류측에, 흡인파이프(45)는 하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도 2에서는 흡인구멍(44a,45a)을 보기 쉽게 하기 위해서 통기 에이프런(33)을 쇄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또,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인파이프(45)의 슬라이딩 안내면(45b)에는 통기 에이프런(33)의 사이드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한 규제가이드(45c)가 통기 에이프런(33)의 엔드 플러그(39) 또는 접속관(46)과 대향하는 측과 반대측과 대향하는 위치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드 플러그(39)에는 베어링(38)이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 구멍(39b) 이외에 흡인파이프(44) 및 흡인파이프(45)가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 오목부(39c,39d)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흡인파이프(44) 및 흡인파이프(45)의 제 2 단부가 끼워맞춤 오목부(39c,39d)에 끼워맞춰짐으로써, 두 흡인파이프(44,45)를 적정한 위치관계로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흡인파이프(44)는 통기 에이프런(33)을 프론트 하부 롤러(12)와 프론트 상부 롤러(19)의 조임점 근방에 도달하도록 안내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흡인파이프(45)는 통기 에이프런(33)에서 송출되는 섬유속(F)이 어느 정도의 플리스 각도로 전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플리스 각도란 섬유속(플리스: F)의 조임점을 통과한 후 섬유속(F)을 인출위치까지 안내하는 원호면의 곡률중심과 조임점을 잇는 선분과 상기 곡률중심과 섬유속(F)의 인출점을 잇는 선분을 이루는 각도를 의미한다. 통기 에이프런(33)은 일부가 흡인파이프(44,45)에, 일부가 하부 조임 롤러(34a)에 접촉하도록 감겨 있고, 하부 조임 롤러(34a)의 회전에 따라 슬라이딩 안내면(44b,45b)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기 에이프런(33)은 적당한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직포로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임점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흡인구멍(44a) 폭이 하류측에 위치하는 흡인구멍(45a)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다. 하류측의 흡인구멍(45a)은 그 폭이 하류측일수록 좁아지게 형성되어 있다.
흡인구멍(44a,45a) 중 상류측의 흡인구멍(44a)은 통기 에이프런(33)의 이동방향(도 2에서 상하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하류측의 흡인구멍(45a)은 통기 에이프런(33)의 이동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3(a)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인파이프(45)의 하측 근방에는, 실이 끊어질 때에 드래프트 장치(11)에서 송출되는 섬유속(F)을 흡인하는 작용을 행하는 싱글타입의 유압장치의 흡인노즐(48)의 선단이 각각 배치되어 있다. 흡인노즐(48)의 기단은 흡인덕트(43)에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정밀 방적기를 운전하면 섬유속(F)은 드래프트 장치(11)의 하부 롤러(12∼14)와 상부 롤러(19∼21) 사이를 통과함으로써 드래프트된 후 섬유속 집속장치(30)로 안내된다. 조임 롤러쌍(31)은 두 프론트 롤러(12,19)의 표면속도보다 약간 빠르게 회전되고, 섬유속(F)은 적당한 긴장상태에서 조임 롤러쌍(31)의 조임점을 통과한 후 전향하며 비틀어 감겨지면서 하류측으로 이동한다.
또, 조임 롤러 운전시 흡인덕트(43)의 흡인작용이 연결관(47) 및 접속관(46)을 통해 흡인파이프(44,45)에 미치고, 슬라이딩 안내면(44b,45b)에 형성된 흡인구멍(44a,45a)의 흡인작용이 통기 에이프런(33)을 통해 섬유속(F)에 미친다. 그리고, 섬유속(F)이 흡인구멍(44a,45a)과 대응하는 위치에 흡인 집속된 상태에서 이동한다.
종래 장치와 같이 흡인구멍(슬릿)이 조임점의 상류측에만 배치되어 있는 구성에서는, 조임점에 도달할 때까지 한번 집속된 섬유속(F)이 조임점을 통과한 후에 확산되어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임 롤러쌍(31)의 출구에 플리스 트라이앵글(T)이 형성된다. 그래서, 조임점 통과 후 섬유속(F)의 양단으로부터의 섬유 유리를 억제하는 효과가 약해져 보풀이 발생한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임 롤러쌍(31)의 조임점을 사이에 두고 상류측 및 하류측에 흡인구멍(44a,45a)이 존재하기 때문에, 섬유속(F)은 조임점 통과 후에도 흡인작용을 받으며 집속된 상태에서 이동한다. 그리고,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임 롤러쌍(31)의 출구에 플리스 트라이앵글이 거의 형성되지 않는다. 그 결과, 조임점 통과 후 섬유속(F)의 양단으로부터 섬유 유리가 억제되고 보풀 발생이나 낙면이 억제되어 실 품질의 개선 효과가 대폭 향상된다.
또, 조임점보다 하류측에 형성된 흡인구멍(45a)에 의한 집속 효과는 조임점보다 상류측에도 어느 정도 전파되어 조임점 도달까지의 섬유속(F) 확산을 억제한다.
본 실시형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1) 하부 조임 롤러(34a)를 회전시키는 회전축(34)과 드래프트된 섬유속(F)에 흡인작용을 행하는 흡인부(32)가 복수개 추마다의 유닛으로 구성되고, 회전축(34)은 복수개 피지지부(엔드 플러그(39))에서 지지된다. 따라서, 부착이나 보전 또는 통기 에이프런(33)의 교환을 간단히 할 수 있다. 또, 하부 조임 롤러(34a)가 통기 에이프런(33)을 통해 피동측의 조임 롤러(상부 조임 롤러(31a))에 의해 가압되어도 회전축(34)에 무리한 굽힘 응력이 작용하지 않는다.
(2) 회전축(34)에 구동원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력 전달부가 기어(40)이다. 따라서, 회전력 전달부를 마찰 롤러로 한 경우와 비교하여 회전력 전달부를 구동원측에 큰 힘으로 압접할 필요가 없어 배치 위치의 자유도가 높아지고 구조가 간단해진다. 또, 회전력 전달부를 감기전동기구로 한 경우와 비교하여 구조가 간단해진다.
(3) 회전축(34)을 회전시키는 구동원이 프론트 하부 롤러(12)이다. 따라서, 회전축(34)을 구동시키는 구동원을 방적기 기대에 새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 구조가 간단해지는 동시에, 제조 비용도 저렴해진다.
(4) 흡인수단(흡인부(32))은 방적기 기대에 설치된 흡인덕트(43)에 연결되어 마이너스압을 흡인파이프(44)에 작용시키는 접속관(46)을 구비하고, 흡인파이프(44,45)는 접속관(46)에 대하여 착탈이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축(34)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흡인파이프(44,45)를 접속관(46)에서 분리시키기 때문에, 통기 에이프런(33)의 교환 작업이나 흡인파이프(44,45) 등의 보전 작업이 보다 쉬워진다. 또, 통기 에이프런(33)과의 마찰에 의해흡인파이프(44,45)가 마모되었을 때에 흡인파이프(44,45)를 교환할 필요가 있지만, 흡인부(32) 전체를 교환하지 않고 마모된 흡인파이프(44,45)만 교환하면 되므로 교환 작업이 간단하고 비용도 저렴해진다.
(5) 피지지부(엔드 플러그(39))는 지지부(15a,37a)에 대하여 원터치로 끼워맞출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축(34)의 착탈이 보다 쉬워진다. 또, 지지부(15a,37a)가 기대 전방측 비스듬히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끼워맞춤 오목부(15b,37b)를 갖고 있기 때문에, 회전축(34)은 피지지부(엔드 플러그(39))가 끼워맞춤 오목부(15b,37b)에 끼어맞춰진 상태에서 지지부(15a,37a)에 확실히 유지되기 때문에, 회전축(34) 및 흡인부(32)의 방적기 기대에 대한 장착이 보다 간단해진다.
(6) 피지지부는 회전축(34)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피지지지부를 회전축(34) 도중에 설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피지지부의 부착이 쉬워진다. 또, 인접하는 회전축(34)이 대향하는 피지지부(엔드 플러그(39))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공용함으로써, 지지부(37a)의 수를 줄일 수 있어 섬유속 집속장치(30)의 제조 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다.
(7) 피지지부(엔드 플러그(39))는 베어링(38)을 통해 회전축에 장착되는 동시에, 흡인파이프(44,45)의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로서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회전축(34)에 형성된 구동 롤러부(하부 조임 롤러(34a))와 흡인파이프(44,45)에 형성된 흡인구멍(44a,45a)의 위치관계를 적정한 위치로 위치 결정하는 것이 쉬워진다.
(8) 피지지부는 흡인파이프(44,45)가 개방된 단부를 폐쇄하는 엔드 플러그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흡인파이프(44,45)의 마이너스압원에 먼 쪽의 단부를, 흡인파이프(44,45) 제조시에 폐쇄하지 않아도, 피지지부로서의 엔드 플러그(39)에 의해 폐쇄되기 때문에 흡인파이프(44,45)의 제조가 간단해진다.
(9) 흡입수단(흡입부(32))의 일부가 회전력 전달부(기어(40))의 커버 역할을 하도록 상기 회전력 전달부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력 전달부에 풍면 등이 잘 퇴적되지 않는다.
(10) 흡인부(32)는 흡인구멍(44a,45a)이 조임 롤러쌍(31)의 조임점을 사이에 두고 이 조임점의 상류측 및 하류측의 양쪽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섬유속이 조임점을 통과한 후에도 흡인작용을 받으며 집속된 상태에서 이동하기 때문에, 하부 조임 롤러(34a)의 출구에 플리스 트라이앵글이 거의 형성되지 않는다. 그 결과, 보풀 발생이나 낙면이 억제되어 실 품질의 개선 효과가 대폭 향상된다.
(11) 조임점보다 하류측에 형성된 흡인구멍(45a)에 의한 집속 효과가 조임점보다 상류측에도 어느 정도 전파되어 조임점 도달까지의 섬유속(F) 확대가 억제되어 집속 효과가 보다 향상된다.
(12) 통기 에이프런(33)은 직포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통기 에이프런(33)을 구성하는 벨트에 일부러 작은 구멍을 형성하지 않고도 적당한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직포를 선택함으로써 통기 에이프런(33)을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13) 엔드 플러그(39)는 걸어맞춤부(39a)가 지지부(15a,37a)의 끼워맞춤 오목부(15b,37b)에 끼워맞춰지고 연결관(47)으로부터 접속관(46)에 대하여 부여되는 탄성지지력에 의해 소정 위치로 유지된다. 따라서, 섬유속(F)은 흡인구멍(44a,45a)으로부터 안정된 상태에서 흡인작용을 받을 수 있어 실 품질이 안정된다.
실시형태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도 있다.
⊙ 회전축(34) 및 흡인부(32)는 4개추를 1 유닛으로 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롤러 스탠드(15) 사이의 추의 개수(예컨대 8개추)를 1 유닛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방적기 1대에 필요한 흡인부(32) 및 회전축(34)의 부품 점수가 적어지고 흡인덕트(43)와 흡인부(32)를 연결하는 연결관(47)의 개수를 줄일 수 있어 부착하는 수고가 적어진다. 또, 롤러 스탠드(15)는 일반적으로 방적기의 기대 프레임을 구성하는 스프링 피스의 설치 간격으로 배치되고, 흡인덕트(43) 등도 그 간격에 대응한 길이의 것을 연결하여 구성되는 것이 많다. 따라서, 흡인부(32) 및 회전축(34)도 그 길이에 대응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운반시 등에 짐을 꾸리기 쉬워진다.
⊙ 2개추를 1 유닛으로 한 구성으로 하거나, 반드시 전체 유닛을 동일 개수의 추로 하지 않고 롤러 스탠드(15) 사이의 추 개수를 상이한 수로 나눠(예컨대 6개추와 2개추) 이에 대응하여 2종류의 유닛을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회전축(34)이 롤러 스탠드(15)를 걸치도록 배치되는 추 개수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할 수도 있다.
⊙ 회전축(34)에 형성되는 피지지부의 위치는 회전축(34)의 양단에 한정되지 않고, 중간부에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양 단부에 형성한 것이 흡인파이프(44,45)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쉬워진다.
⊙ 회전축(34)에 형성되는 피지지부는 2군데에 한정되지 않고, 3군데 이상 형성할 수도 있다. 회전축(34)의 길이를 롤러 스탠드(15)에 대응한 길이로 하는 경우에는, 롤러 스탠드(15)에 지지되는 피지지부를 양 단에 형성하고 중간부에도 피지지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피지지부(엔드 플러그(39))를 지지부(15a,37a)에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접속관(46)을 통해 피지지부(엔드 플러그(39))를 지지부(15a,37a)의 걸어맞춤 오목부(15b,37b)에 압접시키는 방법 대신에 나사 고정을 채택해도 된다. 또, 지지부(15a,37a) 및 피지지부(엔드 플러그(39))의 일측에 스냅부를 형성하고, 타측에 스냅부를 파지할 수 있는 형상의 걸어맞춤부를 형성하고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 흡인구멍(44a,45a)이 연장되는 방향은 상류측의 흡인구멍(44a)이 통기 에이프런(33)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연장되고, 하류측의 흡인구멍(45a)이 통기 에이프런(33)의 이동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두 흡인구멍(44a,45a) 모두 통기 에이프런(33)의 이동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할 수도 있다. 또, 두 흡인구멍(44a,45a) 모두 통기 에이프런(33)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할 수도 있다.
⊙ 흡인구멍(44a,45a)의 폭을 일정하게 할 수도 있다.
⊙ 흡인부(32)를 구성하는 흡인파이프(44,45)를 별도로 형성하지 않고 두 흡인파이프(44,45)가 일체화되는 동시에, 상부 조임 롤러(31a)와 대향하는 측이 개방된 원호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 흡인파이프(44,45)는 접속관(46)과 대향하는 측과 반대측의 단부가 폐쇄된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엔드 플러그(39)는 흡인파이프(44,45)의 단부를 밀폐시키는 배려를 하지 않고 베어링(38)이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 구멍(39b)과 흡인파이프(44,45)의 단부가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부(구멍)를 갖는 구성으로 하면 되기 때문에 제조가 간단해진다.
⊙ 통기 에이프런(33)을 직포로 형성하는 대신에 편지(編地)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직포와 마찬가지로 통기 에이프런(33)을 구성하는 벨트에 일부러 작은 구멍을 형성하는 수고를 들이지 않고도 적당한 통기성을 얻을 수 있어 통기 에이프런(33)을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편지의 신축성에 의해 텐션장치를 특별히 설치하지 않아도 통기 에이프런(33)이 적당한 장력상태에서 회전된다.
⊙ 통기 에이프런(33)을 직포나 편지로 형성하는 대신에 고무제나 탄성을 갖는 수지제 벨트에 다수개 구멍을 형성할 수도 있다.
⊙ 기어(40)는 회전축(34)에 새겨 일체 형성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별도로 형성한 기어를 회전축(34)에 끼워맞춰 고정시킬 수도 있다.
⊙ 회전력 전달부는 기어(40)에 한정되지 않고, 마찰 롤러로 하거나 감기전동장치를 구성하는 스프로킷이나 이(齒)가 형성된 풀리로 할 수도 있다. 회전력 전달부는 마찰 롤러로 한 경우, 중간기어(42) 대신에 예컨대 높은 마찰면을 갖는 고마찰 가압롤러를 설치한다. 마찰 롤러를 사용한 경우 기어를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구성이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해진다.
⊙ 흡인부(32)를 구성하는 흡인파이프(44,45)를 접속관(46)과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 흡인부(32)는 섬유속(F)의 조임점을 사이에 두고 상류측 및 하류측에 흡인구멍(44a,45a)을 갖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조임점을 사이에 두고 상류측에만 흡인구멍(44a)을 갖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 유압장치로서 싱글노즐 타입 대신에 플루트 타입의 구성을 채택할 수도 있다.
⊙ 유압장치의 흡인노즐(48)을 흡인덕트(43)에 접속시키는 대신에 접속관(46)에서 분기시키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 흡인부(32)의 마이너스압원(흡인덕트(43))과 유압장치의 마이너스압원을 독립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 구동원으로서 프론트 하부 롤러(12) 대신에 기대의 기어 단부에 설치된 모터에 의해 기어열을 통해 구동되는 구동축을 새로 설치할 수도 있다.
⊙ 정밀 방적기의 드래프트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방적기의 드래프트 장치에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파악되는 발명(기술적 사상)에 대해서 다음에 기재한다.
(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서, 상기 지지부는 방적기 기대의 전방측 비스듬히 상측으로 연장되는 끼워맞춤 오목부를 갖고 있다.
(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및 (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섬유속 집속장치를 구비한 링 정밀 방적기.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섬유속 집속장치를 구성하는 구동 롤러 및 흡인부를 소정 수의 복수개 추마다 유닛화시켜 부착이나 보전 또는 통기 에이프런의 교환을 간단히 할 수 있다. 또,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드래프트 장치를 구비한 방적기의 간단한 개조로 실현할 수 있다.

Claims (11)

  1. 방적기의 드래프트 파트의 최종 송출 롤러쌍의 하류측에 설치되고 조임 롤러를 구비한 송출부, 상기 송출부의 조임점에 대하여 적어도 섬유속 이동방향의 상류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흡인구멍을 구비한 흡인부 및 상기 송출부를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흡인부를 따라 회전되는 통기 에이프런을 구비하고, 상기 드래프트 파트에서 드래프트된 섬유속을 집속하는 섬유속 집속장치로서,
    구동원의 회전력이 전달되는 회전력 전달부를 가지고, 복수개 추와 대응하는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각 추와 대응하는 지점에 상기 통기 에이프런의 일부가 감겨 있는 구동 롤러부를 가지며, 기대 프레임에 설치된 지지부에 지지되는 피지지부를 복수 지점에 갖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흡인구멍을 각 추에 대응하여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흡인구멍을 덮은 상태에서 상기 통기 에이프런의 일부가 감겨 있는 슬라이딩면을 갖는 흡인파이프를 구비한 흡인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기에서의 섬유속 집속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 전달부는 마찰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기에서의 섬유속 집속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 전달부는 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기에서의 섬유속 집속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은 프론트 하부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기에서의 섬유속 집속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수단은 방적기 기대에 설치된 흡인덕트에 연결되어 마이너스압을 상기 흡인파이프에 작용시키는 접속관을 구비하고, 상기 흡인파이프는 상기 접속관에 대하여 착탈이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기에서의 섬유속 집속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지지부는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원터치로 끼워맞출 수 있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기에서의 섬유속 집속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지지부는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기에서의 섬유속 집속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피지지부는 베어링을 통해 상기 회전축에 장착되는 동시에, 상기 흡인파이프의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로서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기에서의 섬유속 집속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피지지부는 상기 흡인파이프의 개방된 단부를 폐쇄하는 엔드 플러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기에서의 섬유속 집속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수단의 일부가 상기 회전력 전달부의 커버 역할을 하도록 상기 회전력 전달부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기에서의 섬유속 집속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부는 상기 흡인구멍이 상기 조임점을 사이에 두고 이 조임점의 상류측 및 하류측의 양쪽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기에서의 섬유속 집속장치.
KR10-2002-0055800A 2001-10-04 2002-09-13 방적기에서의 섬유속 집속장치 KR1004620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08498A JP3820951B2 (ja) 2001-10-04 2001-10-04 紡機における繊維束集束装置
JPJP-P-2001-00308498 2001-10-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9015A KR20030029015A (ko) 2003-04-11
KR100462034B1 true KR100462034B1 (ko) 2004-12-17

Family

ID=19127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5800A KR100462034B1 (ko) 2001-10-04 2002-09-13 방적기에서의 섬유속 집속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300495B1 (ko)
JP (1) JP3820951B2 (ko)
KR (1) KR100462034B1 (ko)
CN (1) CN100415965C (ko)
DE (1) DE60222355T2 (ko)
TW (1) TW592223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1054642Y (es) * 2003-04-30 2003-12-01 Pinter Sa "dispositivo para la condensacion de fibras en maquinas de hilatura"
DE10343316A1 (de) * 2003-09-10 2005-04-14 Wilhelm Stahlecker Gmbh Vorrichtung an einer Spinnmaschine zum Verdichten eines Faserverbandes
JP4179227B2 (ja) * 2004-05-28 2008-11-1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紡機における繊維束集束装置
DE102004047567A1 (de) * 2004-09-24 2006-04-06 Spindelfabrik Süssen Schurr Stahlecker & Grill GmbH Spinnmaschine mit einer Vielzahl von Spinnstellen
JP4774930B2 (ja) * 2005-11-07 2011-09-2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紡機における繊維束集束装置
DE102006051875A1 (de) * 2006-10-31 2008-05-08 Maschinenfabrik Rieter Ag Kepa-Streckwerk für eine Spinnmaschine
JP5515754B2 (ja) * 2010-01-13 2014-06-1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紡機の繊維束集束装置
CN103201419A (zh) * 2010-11-10 2013-07-10 马佐里有限公司 纺纱机中的纺织条的聚集装置
CH705307A1 (de) * 2011-07-25 2013-01-31 Rieter Ag Maschf Spinnmaschine mit einer Verdichtungsvorrichtung.
ITBS20130120A1 (it) * 2013-08-05 2015-02-06 Marzoli Spa Dispositivo di compattazione di un nastro di fibre tessili in un filatoio
CN104746189B (zh) * 2015-03-04 2017-01-11 武汉纺织大学 一种负压引导捕捉式环锭纺纱方法
CN105862196B (zh) * 2016-06-21 2017-12-05 山西鸿基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紧密纺负压与落棉吸风的管路集成系统
JP6720781B2 (ja) * 2016-08-31 2020-07-0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紡機における繊維束集束装置
JP6620726B2 (ja) * 2016-11-17 2019-12-1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紡機におけるドラフト装置
CN107237015B (zh) * 2017-06-15 2023-01-24 江阴市华方新技术科研有限公司 一种由紧密纺吸棉管还原而成环锭纺位置的装置
DE102018006100A1 (de) * 2018-08-03 2020-02-06 Saurer Spinning Solutions Gmbh & Co. Kg Streckwerkeinheit und Streckwerk für eine Spinnmaschine
JP2021175835A (ja) * 2020-05-01 2021-11-0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紡機における繊維束集束装置
JP2023108077A (ja) * 2022-01-25 2023-08-0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紡機の繊維束集束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7485B1 (ko) * 1994-10-11 1998-05-15 이소가이 지세이 방직기의드래프트장치
KR0177552B1 (ko) * 1996-03-25 1999-02-01 노자키 도타로 화인 스피닝 프레임을 위한 드래프팅 장치
KR20010026077A (ko) * 1999-09-03 2001-04-06 박창호 정방기의 모우 감소장치
US6263656B1 (en) * 1998-03-31 2001-07-24 Spindelfabrik Suessen, Schurr, Stahlecker & Grill Gmbh Arrangement and method for condensing a drafted fiber strand and method for making yarn therefrom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22794A (en) * 1961-02-14 1964-03-03 Deering Milliken Res Corp Drafting and scavenging apparatus
DE19708410B4 (de) * 1997-03-03 2007-03-29 Saurer Gmbh & Co. Kg Streckwerk für Spinnmaschinen mit einer Faserbündelungszone
DE19837178A1 (de) * 1998-08-17 2000-02-24 Stahlecker Fritz Vorrichtung an einer Ringspinnmaschine
DE19921966B4 (de) * 1999-05-12 2011-02-10 Spindelfabrik Suessen Gmbh Vorrichtung zum Verdichten eines verstreckten Faserverbandes
DE19932099A1 (de) * 1999-07-09 2001-01-11 Rieter Ag Maschf Spinnmaschine mit Verdichtungseinrichtung getrennt vom Streckwerk
DE19959563A1 (de) * 1999-12-10 2001-06-13 Stahlecker Fritz Luftdurchlässiges Transportband zum Transportieren eines zu verdichtenden Faserverband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7485B1 (ko) * 1994-10-11 1998-05-15 이소가이 지세이 방직기의드래프트장치
KR0177552B1 (ko) * 1996-03-25 1999-02-01 노자키 도타로 화인 스피닝 프레임을 위한 드래프팅 장치
US6263656B1 (en) * 1998-03-31 2001-07-24 Spindelfabrik Suessen, Schurr, Stahlecker & Grill Gmbh Arrangement and method for condensing a drafted fiber strand and method for making yarn therefrom
KR20010026077A (ko) * 1999-09-03 2001-04-06 박창호 정방기의 모우 감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00495B1 (en) 2007-09-12
TW592223U (en) 2004-06-11
JP2003113540A (ja) 2003-04-18
EP1300495A1 (en) 2003-04-09
KR20030029015A (ko) 2003-04-11
CN1443883A (zh) 2003-09-24
DE60222355D1 (de) 2007-10-25
JP3820951B2 (ja) 2006-09-13
CN100415965C (zh) 2008-09-03
DE60222355T2 (de) 2008-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2034B1 (ko) 방적기에서의 섬유속 집속장치
EP1911865B1 (en) Fiber bundle collecting device for a spinning machine
EP1612309B1 (en) Fibre condensing device for a spinning machine
US7882710B2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the production of knitted fabrics by at least partially using fibre materials
US20090064719A1 (en) Machine for producing a knitted fabric from fibre material, in particular circular knitting machine
KR100589880B1 (ko) 방사기에서의 섬유다발 집속장치
JP2010529321A5 (ko)
JP2010508449A (ja) 紡績機械に用いられるドラフト装置
CN106048789B (zh) 牵伸装置以及纺纱机
JP2013067871A (ja) ドラフト装置及び紡績機
JP3786069B2 (ja) 紡機の繊維束集束装置
US4122655A (en) Housing and mounting means for open end spinners
JP2004100091A (ja) 繊維束集束装置及び紡機
JP3826864B2 (ja) 紡機における繊維束集束装置
US3802176A (en) Drive mechanism for opening rollers
JP2005023430A (ja) 繊維束集束装置
CH711549A1 (en) Cleaning device for a compacting device.
CN107541819B (zh) 牵伸罗拉的清洁装置和牵伸装置
CN213061166U (zh) 一种导辊便拆式细纱机
JP2021175835A (ja) 紡機における繊維束集束装置
WO2022223206A1 (en) Ring spinning machine for spinning yarn
JP2014105415A (ja) ドラフト装置のクリーニング装置、ドラフト装置、及び紡績機
JPH072474U (ja) ドラフト装置のエプロンテンショナー
JPS6175828A (ja) 吸着加撚紡績装置における加撚ロ−ラ駆動装置
JPH0240767B2 (ja) Bosekikiniokerusenitabanodorafutosoch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